로베르트 슈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트 슈만은 19세기 독일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뛰어난 상상력과 깊은 감성을 담은 피아노곡, 가곡, 실내악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그는 문학과 음악의 융합을 추구하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고, '다비드 동맹'을 통해 당대 음악계를 비평하며 젊은 음악가들을 지원했다. 슈만의 작품은 라이프치히, 드레스덴, 뒤셀도르프 시기를 거치며 발전했으며, 그의 음악은 낭만주의 시대의 정수를 보여주는 동시에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말년에는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았으나, 그의 음악은 오늘날까지 널리 연주되고 사랑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베르트 슈만 - 클라라 슈만
클라라 슈만은 낭만주의 시대의 중요한 독일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뛰어난 재능으로 유럽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당대 음악가들과 교류했고, 남편 로베르트 슈만과의 협력, 브람스 후원 등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 음악가로서의 어려움을 극복한 상징적 인물이다. - 로베르트 슈만 - 클라라 (영화)
클라라 영화는 로베르트 슈만 부부와 요하네스 브람스의 관계를 그린 영화로, 세 사람이 뒤셀도르프에서 갈등과 로베르트의 건강 악화를 겪으며 브람스와 클라라의 복잡한 관계를 그리고, 로베르트 사망 후 두 사람이 순회 공연을 통해 가족을 돕지만 결국 관계가 이루어질 수 없음을 깨닫는 이야기이다. - 츠비카우 출신 - 크리스토프 다움
크리스토프 다움은 독일의 전 축구 선수이자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리그 우승과 컵 대회 우승 등 성공적인 감독 경력을 쌓았으나 코카인 스캔들과 폐암으로 활동에 제약을 받은 인물이다. - 츠비카우 출신 - 막스 페히슈타인
막스 페히슈타인은 독일 표현주의 화가이자 판화가로서, 다리파의 주요 멤버로 활동하며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했고, 나치 시대 탄압 후 베를린 아카데미 교수로 복직하여 예술 활동을 재개했다. - 독일의 음악 평론가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음악 평론가 - 리하르트 바그너
리하르트 바그너는 19세기 독일의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로, 혁신적인 오페라와 음악극을 통해 낭만주의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 극, 시각예술을 통합한 "총체예술" 개념을 추구한 그의 작품들과 반유대주의적 사상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로베르트 슈만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베르트 슈만 |
원어 이름 | Robert Schumann |
출생일 | 1810년 6월 8일 |
출생지 | 작센 왕국 츠비카우 |
사망일 | 1856년 7월 29일 |
사망지 | 프로이센 라인 속주 본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음악 평론가 |
배우자 | 클라라 슈만 (1840년 결혼) |
로마자 표기 | Robert Schumann |
작품 | |
주요 작품 | |
음악 활동 | |
활동 시기 | 1830년 - 1856년 |
장르 | 낭만파 음악 |
영향 | 프란츠 슈베르트 펠릭스 멘델스존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기타 |
2. 생애
취리히에서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슈만은 라이프치히 대학교 법학과에 진학했으나, 프리드리히 비크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피아니스트를 꿈꿨다. 그러나 손가락 부상으로 피아니스트의 꿈을 접고 작곡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비크의 딸이자 피아니스트인 클라라와의 연애와 결혼은 슈만의 창작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177][178] 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던 슈만은 1834년 신음악시보를 창간하여 10년간 음악 평론 활동을 했다.
슈만은 이 무렵부터 정신질환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1844년 라이프치히에서 드레스덴으로, 1850년에는 뒤셀도르프로 이주하여 지휘자로도 활동하였다. 이 기간 동안 어린이를 위한 피아노곡을 작곡하는 등 교육 분야에서도 공헌하였다. 1853년 요하네스 브람스를 만나 그를 "새로운 길"이라는 논문에서 젊은 천재로 소개하기도 했지만,[135] 이듬해인 1854년 라인 강에 투신 자살을 기도했다.[135] 구조된 슈만은 본 근교 엔데니히 요양소에 수용되었고, 2년 후인 1856년 4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36]
2. 1. 유년 시절
로베르트 슈만은 1810년 6월 8일 작센 왕국(오늘날 독일 작센주)의 츠비카우에서 출판업자이자 소설가였던 아버지 아우구스트 슈만과 어머니 요한나 크리스티안 슈나벨 사이에서 다섯째이자 막내로 태어났다.[177] 1810년 6월 13일자 Zwickauer Wochenblattde(츠비카우 주간지)에는 "6월 8일, 이곳의 저명한 시민이자 서점 주인인 아우구스트 슈만씨에게 아들이 태어났다"는 발표가 실렸다.[5]슈만은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으로 문학과 음악에 대한 재능을 보였다.[178] 아버지는 서점 주인이자 어원학자, 작가, 기사도 로맨스 출판인이기도 했으며, 세르반테스, 월터 스콧, 바이런과 같은 작가들의 독일어 번역으로 상당한 수입을 올렸다.[2] 로베르트는 아버지의 총애를 받아 아버지의 서재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고전 문학을 탐구할 수 있었다.[2]
7세 때부터 츠비카우 고등학교 교사이자 오르가니스트였던 요한 고트프리트 쿤츠슈에게 음악을 배우기 시작했다.[179] 한때는 시립 음악가인 카를 고틀리프 마이스너에게 첼로와 플루트 레슨도 받았다.[7] 쿤츠슈의 도움 없이도 혼자서 곡을 쓸 정도로 음악에 빠져들었다.[179]

14세 때에는 음악의 미학에 대한 짧은 에세이를 쓰고, 아버지의 책 편집을 돕는 등 문학적 재능도 보였다.[179] 츠비카우에서 학교를 다니며 바이런과 그리스 비극가들뿐만 아니라 독일 시인이자 철학자인 실러와 괴테의 작품들을 읽었다. 특히, 독일 작가 장 파울에게 깊은 감명을 받았다.[8]
1819년, 9세 때 아버지와 함께 카를스바트(현재 체코 카를로비바리)에서 열린 이그나츠 모셸레스의 연주회를 보고 피아니스트의 꿈을 키우게 되었다.[11]
2. 2. 대학 시절
1828년, 슈만은 어머니의 뜻과 아버지의 유산을 관리하던 후견인의 권유로 라이프치히 대학교 법학과에 진학했다.[177] 어머니는 슈만이 음악가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178] 라이프치히에서 슈만은 룸메이트인 에밀 플레흐지그와 모리츠 젬멜과 함께 살았고, 젬멜의 소개로 장 파울의 숭배자인 기스베르트 로젠을 알게 되어 금세 친구가 되었다. 그러나 로젠은 곧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로 전학을 갔다.슈만은 로젠을 츠비카우로 초청했고, 둘은 5월 새 학기를 앞두고 바이에른 왕국으로 여행을 떠났다. 바이로이트에서는 장 파울의 미망인에게서 초상화를 받았고, 뮌헨에서는 시인 하인리히 하이네를 만났다.[179]
5월부터 학기가 시작되었지만, 슈만은 법학 공부에 점점 흥미를 잃고 결석이 잦아졌다. 그는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에 냉철한 법학을 좋아할 수 없다고 썼다.[179] 라이프치히 주변에 고향 츠비카우와 같은 자연이 없다는 것도 그를 실망시켰다.[179] 슈만은 피아노를 구해 동료 학생들과 실내악 연주에 열중했고, 베토벤의 교향곡 전곡 연주회를 듣고 강한 인상을 받았다. 이 무렵 습작으로 가곡, 연탄곡, 피아노 4중주곡 등을 작곡했다.[179]
1828년, 슈만은 라이프치히에서 칼스 가문과 재회했고, 음악회에서 피아노 교사 프리드리히 비크와 그의 딸 클라라를 만났다.[180][181] 슈만은 비크의 비싸고 엄격한 레슨을 받기 시작했고, 당시 9세였던 클라라는 슈만 앞에서 훔멜의 피아노 3중주곡을 연주했다.[180][181] 클라라는 그해 10월에 음악계에 데뷔했다.[181]
1828년 8월, 슈만은 브라운슈바이크의 악장에게 자작곡에 대한 조언을 구하는 편지를 보냈고, 작곡법 연구에 착수할 때라는 답장을 받았다.[181]
슈만은 친구 로젠의 편지를 읽고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로 전학을 결심했고, 후견인을 설득하여 허락을 받았다.[181] 1829년 5월, 슈만은 하이델베르크로 가는 길에 남부 독일의 여러 도시를 여행했고, 마인 강과 라인 강을 따라 프랑크푸르트 등을 경유하여 5월 21일에 하이델베르크에 도착했다.[181] 그는 처음 본 라인 강에 감명을 받아 어머니에게 편지를 썼다.[181]
그해 여름부터 가을까지 슈만은 스위스와 북이탈리아를 여행하며 밀라노의 스칼라 극장에서 로시니의 오페라를 감상했다.[181] 여행 중 슈만은 돈을 다 써버려 후견인에게 송금을 재촉하는 편지를 자주 보냈다.[181]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티보 교수는 법률학 권위자이자 아마추어 음악가였다.[182] 티보는 합창단을 조직하고 자택에서 음악회를 열었으며, 슈만에게 법률가로서의 운명이 없다고 말했다.[182] 슈만은 대부분의 시간을 음악에 할애했고, 만하임에서 연주회를 가질 정도로 피아니스트로서 명성을 얻었다.[182] 이때 슈만의 작품번호 1번인 《아베크 변주곡》이 완성되었다.[182]
슈만은 하이델베르크에서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겼지만,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 가족, 후견인, 친구에게 돈을 빌려달라는 편지를 썼다.[182]
어머니 요한나는 슈만을 법조인으로 키우고 싶어했지만, 슈만의 뜻에 따라 비크에게 의견을 구했다.[182] 비크는 슈만을 제자로 맡아 3년 안에 이그나츠 모셸레스나 훔멜 이상의 피아니스트로 키우겠다고 약속했다.[182] 요한나는 슈만의 뜻을 받아들였지만, 6개월간 비크의 정식 제자로 채용한다는 조건이 붙었다.[182] 반년 후, 비크는 슈만의 재능이 음악가가 되어야 한다는 증거이며, 법조인의 길을 강요하는 것은 어리석다고 답했다.[182] 요한나는 마침내 슈만이 음악가가 되는 것을 인정했다.[182]
1830년 9월, 슈만은 하이델베르크를 떠나 10월에 라이프치히로 돌아왔다.[182]
2. 3. 라이프치히 시기
1830년 10월, 로베르트 슈만은 라이프치히로 돌아와 프리드리히 비크의 집에서 살면서 레슨을 받았다. 비크의 소개로 하인리히 도른에게 음악 이론을 배웠지만,[40][41][42][43] 비크의 엄격함에 불만을 느껴 훔멜에게 편지를 보내 레슨을 부탁하기도 했다.[40][41] 1831년 10월, 비크가 딸 클라라와 함께 연주 여행을 떠나자 슈만은 비크의 집을 나왔다.[43]그 후에도 비크에게 레슨을 받았지만, 슈만은 파티와 사교 활동에 열중했다. 그는 카페에서 친구들과 음악에 대해 토론하며 '다비드 동맹'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40][41] 이 시기에 작품번호 2번 《나비》를 작곡했다.[44]
1831년, 슈만은 테크닉 연습 과다로 오른손을 다쳤다고 자서전에 기록했다.[45] 독자적인 연습 기계가 원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비슷한 시기 눈병으로 실명 위기를 겪기도 했다.[46] 여러 어려움 속에서 첼로나 신학 공부를 고려하기도 했지만, 1832년 5월부터 작곡에 전념했다.[43] 피아노 대신 교향곡 작곡을 시도했으나 《츠비카우 교향곡》은 미완성으로 남았고, 다시 피아노곡을 주로 작곡했다.[47]
1840년 9월 12일, 슈만은 오랜 연애 끝에 클라라와 결혼했다.[50] 이 결혼은 슈만에게 정서적, 가정적 안정을 주었다.[34] 클라라는 국제적인 피아니스트였지만, 육아로 인해 경력이 중단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는 슈만의 작곡 활동에 영감을 주었고, 독주 피아노곡을 넘어 다양한 장르로 확장하도록 격려했다.[34] 1840년, 슈만은 가곡에 집중하여 《미르텐》, 《여인의 사랑과 생애》, 《시인의 사랑》 등 많은 가곡을 작곡했다.[34]
1841년에는 관현악곡에 집중하여 제1교향곡 '봄'을 발표했다.[51] 이후 서곡, 스케르초와 피날레, 피아노 협주곡의 초석이 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D단조 4번 교향곡 등을 작곡했다.[34]

1842년에는 실내악에 관심을 돌려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작품을 연구했다.[52][54] 연구 후 슈만은 세 개의 현악사중주곡, 피아노 5중주곡, 피아노 4중주곡을 작곡했다.[34]
1843년 초, 슈만은 심각한 정신적 위기를 겪었다.[34] 회복 후에는 세속적인 오라토리오 《낙원과 페리》를 완성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34] 같은 해 멘델스존의 요청으로 라이프치히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가르치게 되었고,[57] 프리드리히 비크와 화해했다.[31]

1844년, 클라라는 러시아 순회 공연을 떠났고, 슈만도 동행했다.[58][59] 그들은 러시아 음악계의 주요 인물들을 만났지만, 슈만은 건강이 악화되었다.[58] 5월 말 라이프치히로 돌아온 후, 슈만은 ''신음악시보''를 팔고 12월에 드레스덴으로 이사했다.[58]
2. 3. 1. 피아니스트의 꿈 좌절
1830년 후반, 슈만은 작품 1번인, 추정 헌정 대상인 아베크 백작 부인 파울리네 폰 아베크(거의 확실히 슈만의 상상의 산물)의 이름을 바탕으로 한 피아노 변주곡집인 《아베크 변주곡》을 발표했다.[21] A-B♭-E-G-G(독일식 음명법에서는 A-B-E-G-G, B♭을 B, B[♮]를 H로 표기) 음표가 왈츠풍으로 연주되는 것이 변주곡의 주제를 이룬다.[22] 음악적 암호의 사용은 슈만 후기 음악의 반복되는 특징이 되었다.[8] 1831년 그는 작센 궁정극장의 음악 감독인 하인리히 도른에게서 화성과 대위법 수업을 시작했고,[23] 1832년에는 피아노를 위한 작품 2번, 《파피용》을 발표했다. 이것은 가면 무도회에서 같은 여인을 사랑하는 두 형제(한 명은 시적인 몽상가, 다른 한 명은 세속적인 현실주의자)를 묘사하는 표제 음악이다.[24] 이 무렵 슈만은 자신의 성격과 예술에 두 가지 뚜렷한 면이 있다고 여기게 되었고, 내성적이고 사색적인 자신을 "에우제비우스", 충동적이고 역동적인 또 다른 자아를 "플로레스탄"이라고 불렀다.[25]
슈만의 피아니스트로서의 야망은 오른손의 적어도 한 손가락의 마비가 점점 심해짐으로써 끝났다. 초기 증상은 그가 하이델베르크 대학에 다니던 학생일 때 나타났으며, 원인은 불확실하다.[29] 그는 당시 유행하던 모든 치료법(동종요법, 이종요법, 전기 치료 등)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31] 이러한 상태는 소총을 발사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를 의무 군 복무에서 면제시키는 장점이 있었다.[31] 1832년 그는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로서의 경력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주된 초점을 작곡으로 옮겼다. 그는 소규모 피아노곡 세트와 교향곡의 첫 악장을 완성했지만(비크에 따르면 편곡이 너무 얇았고, 결코 완성되지 않았다)[32] 추가 활동으로 저널리즘이 있었다. 1834년 3월부터 그는 비크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새로운 음악 잡지인 《신 라이프치히 음악 잡지》의 편집 위원회에 있었고, 1835년 1월에 그의 단독 편집으로 《신음악잡지》로 재편성되었다.[33]
2. 3. 2. 음악신보와 다비드 동맹
슈만은 1834년 4월 3일 《음악신보''Neue Zeitschrift für Musik''》를 창간했다.[42][43][44] 이 잡지에서 슈만은 '새로운 시적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낡은 음악관을 가진 속물들과 싸우는 '다비드 동맹'이라는 가상의 단체를 만들었다.[45]
'다비드 동맹'에서 슈만은 '플로레스탄'과 '오이제비우스'라는 가상의 인물을 통해 자신의 음악적 견해를 나타냈다.[45] '플로레스탄'은 행동적이고 열정적인 인물이며, '오이제비우스'는 상냥하고 몽상적인 인물로, 슈만 자신의 성격의 두 가지 측면을 보여준다.[42][43][44] 이 외에도, '라로 악장'은 분별력 있는 중재자 역할을 했는데, 이는 프리드리히 비크를 모델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42][43][44]
슈만은 '다비드 동맹'이라는 가상의 설정을 통해 쇼팽과 같은 새로운 음악가를 소개하고, 체르니 등 보수적인 음악 비평가들을 비판했다.[42][43][44] 그는 이탈리아 음악의 영향을 독일 음악 발전에 해롭다고 보았고, 마이어베어와 로시니를 비판했다.[46]
슈만은 약 10년 동안 《음악신보》를 단독으로 운영하며 음악 저널리즘에 확고한 위치를 다졌다.[45] 1853년에는 요하네스 브람스를 '새로운 길'이라는 글을 통해 소개하기도 했다.[47]
2. 3. 3. 클라라와의 사랑과 결혼
1835년부터 슈만과 클라라의 연애가 시작되었다.[40] 슈만과 클라라는 남매 같은 관계였다. 슈만은 클라라나 그녀의 동생 알빈과 산책을 하거나 귀신 이야기를 하며 놀아주곤 했다. 하지만 슈만은 에르네스티네와 헤어진 뒤 클라라를 향한 사랑을 키워가기 시작했다.[40]1835년 가을 펠릭스 멘델스존이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상임지휘자로 취임해 10월 4일 지휘자 데뷔 연주회를 열었다. 슈만은 《음악신보》에서 이 연주회를 극찬했다. 클라라는 1835년 12월 9일 16세의 나이로 게반트하우스에서 데뷔한 뒤 슈만의 고향 츠비카우에서도 연주회를 열었다. 이때 슈만은 츠비카우까지 클라라를 따라갔다.
슈만과 클라라의 관계를 알게 된 프리드리히 비크는 1836년 1월 클라라를 라이프치히에서 드레스덴으로 옮겨 살게 해 슈만으로부터 떨어뜨려 놓았다. 그러나 같은 해 2월 4일 슈만은 어머니 요한나가 사망하자 클라라를 따라 드레스덴으로 향했고, 2월 7일부터 10일까지 둘이서 지냈다. 이후 슈만은 클라라와 더욱 강하게 붙어다녔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비크는 슈만과 클라라를 라이프치히로 소환하여 두 사람에게 욕설을 퍼부었다. 슈만은 비크의 집에 출입을 금지당했고, 클라라는 편지를 검열받고 혼자 외출을 금지당했다. 비크는 라이프치히에서 슈만을 만날 때마다 욕설을 퍼붓고 얼굴에 침을 뱉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더욱이 비크는 슈만에게 생활력이 없고 음주벽이 있다는 등 중상모략을 일삼았고, 슈만의 전 여자친구인 에르네스티네의 협조를 얻으려 했다. 또한 비크의 친구이자 클라라의 성악 교사였던 칼 뱅크에게 클라라의 남자친구를 연기해달라고 부탁하기도 했다.
비크의 방해에 지친 클라라는 한 번은 체념하고 슈만의 모든 편지를 돌려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1837년 8월 클라라는 라이프치히에서 열린 리사이틀에서 슈만이 헌정한 피아노 소나타 1번을 연주해 슈만에게 화답했고, 8월 14일에는 슈만의 청혼을 받아들였다.
1837년 9월 슈만은 비크에게 편지를 했다. 며칠 후 비크는 회견에 응했지만, 비크는 클라라를 콘서트 피아니스트로 키웠으며 주부로 만들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슈만은 9월 18일자로 클라라에게 보낸 편지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 비크와의 회견은 두려웠습니다. 비크는 차갑고 적의에 가득 차 있으며 혼란스럽고 모순 투성이였습니다. 어쨌든 그는 사람을 꺾을 생각을 하고 남의 가슴에 비수를 손잡이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깊이 꽂았습니다.
클라라는 비크와 함께 종종 연주 여행을 떠나게 됐고 슈만은 클라라와 만나거나 편지를 주고받는 것도 금지돼 있었다. 하지만 그는 비밀리에 클라라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창의성 넘치는 작품들을 차례차례 써나갔다. 클라라가 콘서트에서 슈만의 작품을 연주하며 화답하는 것은 비크도 막을 수 없었다. 일본의 음악학자 마에다 아키오는 이 시기 비크와의 투쟁이 슈만의 내면을 깊은 곳까지 가라앉히는 동시에 거기서 일어서는 결정적인 동기도 되었다고 본다. 이 시기에 작곡된 곡들은 피아노 소나타 1번(Op. 11), 《환상 소곡집》(Op. 12), 피아노 소나타 3번(Op. 14), 《어린이의 정경》(Op. 15), 《크라이슬레리아나》(Op.16), 환상곡(Op.17)이다.

더 이상 비크와의 화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슈만은 1839년 6월 15일 클라라의 동의를 얻어 변호사를 선임하였다. 그해 7월 슈만은 비크와 이혼해 베를린에서 거주하던 클라라의 친모 마리안네 바르길(Mariane Bargiel)을 찾아가 클라라와의 결혼 동의를 얻었다. 또 공적 지위를 얻는 것이 결혼에 도움이 될지 모른다고 생각해 1840년 2월 셰익스피어와 음악의 관계에 대한 논문을 통해 예나 대학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소송을 알고 격분한 비크는 클라라가 피아노 치는 것을 금지하고 집에서 내쫓았다. 클라라는 베를린에서 데리러 온 친모 마리안네를 따라 갔다. 비크는 클라라의 상속권 정지 등으로 맞서려 했지만 법정에서는 유효한 혐의를 제기하지 못해 재판장에서 욕설을 퍼붓기도 하였다. 거리에서 슈만의 뺨을 때리기도 했는데, 이러한 극단적 행동은 웃음거리가 됐다. 자신의 형세가 불리하다는 것을 깨달은 비크는 1840년 1월 클라라의 동요를 노리고 레만이라는 가명을 사용해 슈만에 대한 온갖 비난을 늘어놓은 편지를 써 베를린에서 열린 클라라의 리사이틀 당일에 전달했다. 그러나 클라라의 동생 알빈이 이러한 계획을 슈만에게 미리 귀띔해주었기 때문에 클라라는 사전에 경계할 수 있었다. 슈만은 이 일로 비크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1840년 8월 12일 슈만과 클라라의 결혼을 허가하는 판결이 내려졌고, 두 사람은 9월 12일 라이프치히 근교 쇠넨펠트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다음날인 9월 13일은 클라라의 21번째 생일이었다. 이 결혼식에는 4월에 막 알게 된 사이인 프란츠 리스트도 참석했다. 1841년 비크는 명예훼손 혐의로 2주간 금고형에 처해졌다.
2. 3. 4. 빈 시기

슈만은 1838년 10월부터 1839년 4월까지 빈에 머물렀다. 클라라가 빈 연주회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것을 보고, 클라라의 활동 무대와 《신음악시보》의 본거지를 빈으로 옮기면 비크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87][88][89] 시인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권유도 있었다고 한다.[90] 빈은 슈만이 1832년부터 관심을 가졌던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도시이기도 했다.[91]
그러나 빈의 출판사들은 오히려 슈만에게 적대적이었다. 당시 빈은 반동주의적 정치 체제 하에 있었고, 각지의 자유주의 운동과 혁명의 영향을 우려하여 언론과 출판의 자유를 억압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슈만은 검열로 인해 억압받을 것을 염려하여 《신음악시보》의 본거지를 옮길 계획을 포기했다.[87][89]
빈에 머무는 동안 슈만은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무덤을 방문했다. 베토벤의 무덤 앞에서 철제 펜 한 자루를 주워 돌아갔는데, 나중에 교향곡 1번을 이 펜으로 썼다고 한다. 슈베르트의 형 페르디난트의 집을 방문하여 슈베르트의 교향곡 9번 초고를 발견했다.[87][91][89] 이 교향곡은 1839년 3월 21일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연주회에서 펠릭스 멘델스존의 지휘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87][91]
2. 3. 5. 다양한 장르로의 확장
1840년 클라라와의 결혼을 앞두고 슈만은 가곡을 다루기 시작했다. 1840년 3월부터 7월까지 두 편의 《리더 크라이스(Op. 24, 39)》, 《미르텐(Op. 25)》, 《여인의 사랑과 생애(Op. 42)》, 《시인의 사랑(Op. 48)》을 포함한 5편의 가곡집을 작곡했다.[102][103] 이 해에만 120곡이 넘는 가곡과 중창곡을 작곡했는데, 이는 슈만이 평생 남긴 가곡의 대부분을 넘어서는 양이었다. 그래서 1840년을 '가곡의 해'라고 부르기도 한다.[101] 슈만은 "다른 음악에는 전혀 손이 가지 않았다. 나는 나이팅게일처럼 죽을 때까지 계속 노래할 것이다"라고 말했다.결혼 후 슈만은 클라라와 함께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을 연구했고, 베토벤 등 빈 고전파의 현악 4중주곡을 공부했다.
1841년에는 교향곡 1번(Op. 38)을 완성했다. 이 곡은 슈만의 라이프치히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교향곡 작곡가로서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후 슈만은 서곡, 스케르초와 피날레(Op.52), 피아노 협주곡 1악장, 교향곡 4번 등 관현악 작품에 몰두했다.
1842년에는 리스트의 권유로 실내악곡 분야에 발을 들여놓아 3곡의 현악 사중주(Op. 41), 피아노 5중주곡(Op. 44), 피아노 4중주곡(Op. 47)을 작곡했다. 그래서 1841년을 '교향곡의 해', 1842년을 '실내악의 해'라고 부르기도 한다.
멘델스존의 라이프치히 음악원에서 강사, 드레스덴 합창단의 지휘자로도 활약했으며, 이 시기에 요하네스 브람스를 알게 되었다.
2. 4. 드레스덴 시기
1844년, 슈만은 정신 질환 증세가 악화되자 요양을 위해 가족과 함께 드레스덴으로 이주했다.[144] 드레스덴에서 슈만은 바흐의 작품을 연구하고, 푸가, 카논 등 대위법을 활용한 작품들을 작곡했다. 1848년에는 오페라 게노페파를 완성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44]2. 5. 뒤셀도르프 시기
1850년, 슈만은 뒤셀도르프 시의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었다.[135] 그러나 정신 질환 악화와 오케스트라와의 불화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 시기에 슈만은 교향곡 3번 '라인', 첼로 협주곡 등 중요한 작품들을 작곡했다.1853년, 슈만은 젊은 작곡가 요하네스 브람스를 만나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고, 신음악시보에 '새로운 길'이라는 평론을 기고하여 브람스를 세상에 소개했다.[135]
1854년 초, 슈만의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어 환청과 망상에 시달렸다. 그는 라인 강에 투신 자살을 시도했다.[135]
2. 6. 죽음
1833년부터 간헐적으로 정신병적 증상이 심해졌다. 1840년대에 이미 환각 증상과 망상을 나타냈고, 증상은 더욱 심해져 1854년에는 라인강에 투신하였다.[136] 이후 현재 본에 있는 엔데니히의 정신병동에 자발적으로 입원하였다. 정신병적인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그는 회복하지 못하고, 2년 후 46세의 나이로 폐렴으로 사망했다.[136] 시신은 본에 매장되었다.[136]
슈만은 엔데니히에서 2년을 보냈다. 리하르츠 박사의 요양원(현 슈만기념관)은 넓은 정원 안에 자리 잡고 있었고 슈만은 정원을 자유롭게 산책할 수 있었다. 외출도 가능하여 본의 베토벤 기념비를 찾기도 했다. 방에는 피아노와 오선보, 필기도구가 비치됐고 작곡도 할 수 있었다. 엔데니히에서 슈만은 파가니니의 24개의 카프리치오용 피아노 반주를 보필했으며, 요아힘의 오페라 《하인리히 4세》 서곡의 피아노 편곡도 했다. 클라라와 가족과의 면담은 슈만의 신경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금지됐지만 브람스와 요아힘, 디트리히, 비평가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등이 면회를 왔다. 슈만이 엔데니히에서 보낸 편지는 클라라가 7편, 브람스가 4편, 요아힘이 1편, 장녀 마리에가 1편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클라라에게 보내는 편지에서는 아이들에 대한 애정을 담은 내용이 작성되었다. 1854년 11월 27일자 브람스에게 보낸 편지에는 브람스가 작곡한 슈만의 주제에 따른 변주곡(Op. 9)에 대한 비평이 실려 있으며 여기에는 정신착란을 떠올리게 할만한 대목이 전혀 없다.

슈만 자신은 회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 희망은 나날이 희미해졌다. 발음이 어려워지면서 청각, 미각, 후각까지 둔화되기 시작했다. 슈만은 끊임없이 방안을 돌아다녔고 때로는 무릎을 꿇고 손을 맞잡았다. 네 작품은 표절이라고 비난하는 소리가 들렸고 슈만은 흥분해 "그렇지 않아, 거짓말이야!"라고 외치기도 했다. 식사를 거부하는 일도 잦아졌으며 몸은 점점 쇠약해져갔다. 1854년 8월 14일 슈만의 병문안을 간 브람스의 증언에 의하면, 슈만은 갑자기 와인을 마시는 것을 멈추고 독이 들어 있다며 바닥에 쏟아버렸다고 한다. 1855년 여름에는 슈만의 전기를 쓴 바젤레프스키가 엔데니히를 찾았다. 아무도 듣는 사람도 없는데 즉흥적으로 피아노를 치고 있는 슈만의 모습을 보고, 그것은 스프링이 부서져 가끔 생각난 듯 움직이는 기계 같았다고 말했다. 1855년 가을 리하르츠 박사는 슈만이 더 이상 회복의 희망이 없다고 진단했다. 1856년 6월 8일 브람스가 엔데니히를 찾았을 때 슈만은 다리의 염증 때문에 침대에 누워 있었다. 이때 슈만은 지도책에서 지명을 골라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이전의 슈만이 좋아했던 말장난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7월 23일 리하르츠 박사로부터 위급함을 알리는 전보를 받은 클라라는, 7월 27일 엔데니히에 도착해 2년 만에 슈만과 재회했다. 클라라 슈만은 이 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 그것은 저녁 6시에서 7시 무렵의 일이었습니다. 그는 나를 알아채곤 미소짓고, 비상한 노력을 기울여 - 이 무렵 그는 사지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없었습니다 - 그의 팔을 나에게 돌렸습니다. 저는 그것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전 세계의 어떤 보물을 바치더라도, 이 포옹을 다시 받을 수는 없겠죠.
다음 날인 28일 슈만의 손발 경련이 이어지자 클라라는 슈만에게 와인을 마시게 했다. 와인 일부가 클라라의 손 위로 쏟아지자 슈만은 기쁜 듯이 클라라의 손가락을 핥았다. 1856년 7월 29일 오후 4시 슈만은 4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슈만의 마지막 말은 meine..., ich kenne(나의..., 나는 알아)였다.
시신은 이틀 후에 본에서 매장되었다. 브람스, 요아힘, 디트리히가 관을 맡았고 그릴파르처가 사회를 보았다. 클라라가 장례식을 아주 가까운 친구들에게만 알려줬기 때문에 클라라와 힐러 외에 참석한 사람은 6년 전 슈만 부부가 뒤셀도르프에 도착했을 때 환영의 세레나데를 연주했던 악단 콩코르디아 게젤샤프트의 멤버들뿐이었다.
3. 작품
로베르트 슈만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 작품을 남겼다. 1840년에는 리더크라이스 작품 24, 리더크라이스 작품 39, 밀테의 꽃, 여인의 사랑과 생애, 시인의 사랑 등 120곡이 넘는 가곡을 작곡하여 "가곡의 해"라고 불린다.[96] 슈만은 나이팅게일처럼 죽을 때까지 노래할 것이라고 말하며 가곡에 대한 열정을 드러냈다.[96]
1841년에는 교향곡 제1번 "봄"을 발표하며 교향곡 작곡가로 변신했다.[111] 이후 로 단조 교향곡(후에 개정되어 제4번으로 출판), 교향곡 제2번, 교향곡 제3번 "라인" 등을 작곡했다. 1842년에는 3곡의 현악사중주곡, 피아노 5중주곡, 피아노 4중주곡 등 실내악 작품을 다수 작곡하여 "실내악의 해"라고 불리기도 한다.
피아노 협주곡, 첼로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등 협주곡도 작곡했다. 오페라 겐조베파(Genoveva)는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는 이 작품이 음악 비평가들의 선입견 때문에 저평가되었다고 주장했다.[129]
3. 1. 음악 작품
슈만은 관현악 편곡을 마스터하기 어려운 예술이라고 스스로 인정했지만,[106] 그의 음악은 이후 역사적으로 문맥화된 연주(Historically informed performance)에서 소규모 편성으로 연주되면서 더 높이 평가받게 되었다.[68]1841년, 첫 번째 교향곡 초연은 성공적이었지만,[111] 이후 비평가는 "평범한 관현악법을 사용한 과장된 피아노 음악"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112] 2번 교향곡(1846)은 고전적인 작품이며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영향을 받았다.[115] 3번 교향곡(1851) "라인강"은 쾰른 대성당의 종교 의식과 라인란드 사람들의 축제를 묘사한다.[116]

피아노 협주곡(1845)은 가장 인기 있는 낭만주의 피아노 협주곡 중 하나이다.[121] 첼로 협주곡(1850)은 여전히 콘서트 레퍼토리에 남아 있으며, 바이올린 협주곡(1853)은 덜 연주되지만 여러 번 녹음되었다.[122]
슈만은 상당량의 실내악 작품을 작곡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작품은 피아노 5중주, 피아노 4중주(둘 다 1842년 작)와 세 개의 피아노 3중주이다. 린다 코렐 로에스너는 5중주를 "매우 '공개적'이고 빛나는 작품"이라고 묘사한다.[124] 슈만은 세 개의 현악 4중주(작품번호 41, 1842년)를 작곡했다.
후기 실내악 작품으로는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A단조,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D단조 등이 있다.[127] 또한 아다지오와 알레그로처럼 특이한 악기 조합을 위한 작품도 작곡했다.[128]
1840년은 “가곡의 해”라고 불리는데, 120곡 이상의 가곡과 중창곡이 작곡되었다.[96] 대표적인 가곡집으로는 두 개의 리더크라이스( 작품 24, 작품 39), 밀테의 꽃(작품 25), 여인의 사랑과 생애(작품 42), 시인의 사랑(작품 48) 등이 있다. 슈만은 나이팅게일처럼 죽을 때까지 노래할 것이라고 말했다.[96]
3. 1. 1. 오페라

슈만은 생전에 오페라 ''겐조베파(Genoveva)'' Op.81(1848년)를 작곡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현재에도 오페라 무대에서 드물게 공연되는 작품으로 남아있다.[131] 초연 이후 이 작품은 "리트(Lieder)de의 향연일 뿐, 별다른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131]
이 작품을 옹호했던 지휘자 니콜라우스 하르노нку르트(Nikolaus Harnoncourt)는 이 작품이 저평가되는 것을 음악 비평가들의 탓으로 돌렸다. 그는 모든 비평가들이 오페라가 어떠해야 한다는 사전 개념을 가지고 작품에 접근했으며, ''겐조베파''가 그들의 사전 개념과 일치하지 않자 무작정 비난했다고 주장했다.[129] 하르노нку르트의 견해에 따르면, 이 오페라에서 극적인 줄거리를 찾으려는 것은 실수다. 그는 슈만이 자연주의적인 것을 전혀 원하지 않았으며, 음악이 더 많은 것을 말할 수 있는 오페라를 찾고 싶어했다고 말했다.[130]
그러나 오페라에 극적인 요소가 부족하다는 하르노нку르트의 견해는 1987년 미국에서 이 작품의 첫 번째 전문 무대 공연을 지휘했던 빅토리아 본드(Victoria Bond)의 견해와 대조된다. 그녀는 이 작품을 "극적인 요소와 넘치는 감정으로 가득 차 있다. 내 생각에는 무대에도 매우 적합하다. 전혀 정적인 작품이 아니다"라고 평가했다.[131]
3. 1. 2. 교향곡
슈만은 생애 동안 총 4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다.[106] 교향곡 작곡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은 1841년부터이며, 그 전해인 1840년에는 피아노곡에서 가곡으로 창작 분야를 전환하고 클라라와 결혼했다. 1841년에는 교향곡 제1번 "봄"[111](작품 38)과 나중에 개정되는 로 단조 교향곡이 쓰였다.[114] 교향곡 제2번(작품 61)은 슈만의 드레스덴 시대 작품이다.[115] 뒤셀도르프 시대에 교향곡 제3번 "라인"[116](작품 97)이 쓰였고, 1841년에 쓰인 로 단조 교향곡이 개정되어 "제4번"(작품 120)으로 출판되었다.[114] 참고로, 제1번 교향곡에 앞선 1832년에 『치비카우 교향곡』에 착수했고, 1841년에는 하단조 교향곡 구상도 있었지만, 이들은 완성되지 않았다.슈만은 피아노곡을 작곡하기 훨씬 이전부터 『햄릿 교향곡』 등의 스케치를 쓰고 있었고, 1829년에는 비크에게 보낸 편지에 "교향곡을 머릿속으로 작곡했습니다"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교향곡에 대한 열정은 슈만의 아주 초기부터 그에게 있었고, 슈만의 피아노 작품은 교향적인 이미지에서 발상되거나 교향적인 차원으로 열려 있는 경우가 많다. 제1번 교향곡은 불과 4일 만에 스케치가 완성되었지만, 이러한 전제를 염두에 둔 것이며, 영감만으로 갑자기 완성된 것은 아니었다.
슈만의 교향곡은 관현악 편성 측면에서는 고전파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19세기 전반의 낭만파 교향곡으로서, 베토벤과 슈베르트에서 브람스와 브루크너로 이어지는 다리 역할로서 중요하다. 이러한 영향과는 별도로, 슈만의 교향곡에는 슈만 특유의 개성과 격조, 필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만의 교향곡은 그의 피아노곡처럼 널리 지지받고 있지는 않다.[106] 그 이유 중 하나로 슈만의 관현악법이 거론되는데, "오케스트레이션이 때때로 둔중하고 세련되지 못하다"[106]는 비평이 많이 보인다. 이 때문에 말러를 비롯하여 슈만의 교향곡의 오케스트레이션에 수정을 가하여 연주하는 예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오리지널을 존중하여 손을 대지 않거나, 리허설 단계에서 각 파트의 밸런스를 조정하여 문제를 해결한 연주가 많아지고 있다.
슈만의 관현악법은 이후 역사적으로 문맥화된 연주(Historically informed performance)에서 소규모 편성으로 연주하는 경향으로 인해 더 높이 평가받게 되었다.[68]
- 1번 '봄', 내림 나장조 Op.38 (1841년)
- 2번 다장조 Op.61 (1846년)
- 3번 '라인', 내림 마장조 Op.97 (1850년)
- 4번 라단조 Op.120 (1841년; 1851년에 개정)
3. 1. 3. 협주곡
슈만은 초기부터 피아노 독주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작품에 착수했으나, 변호장조(1828년), 헤장조(1829년-1831년), 니단조(1839년) 등은 모두 미완성이다. 완성된 작품으로는 피아노 협주곡 (작품 54), 『서주와 알레그로 아파시오나토(피아노 소협주곡이라고도 함)』 (작품 92), 『서주와 협주적 알레그로』 (작품 134) 등이 있다. 피아노 이외에는 4개의 호른과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트슈튀크 (작품 86), 첼로 협주곡 (작품 129),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환상곡 (작품 131) 및 바이올린 협주곡 (WoO 23)이 있으며, 이케베 신이치로는 “그렇게 말해지는 경우는 별로 없지만, 슈만은 사실 협주곡 작곡가다”라고 말하고 있다.이 중 피아노 협주곡은 낭만파 시대의 가장 뛰어난 협주곡 중 하나이다.[1] 이 곡은 제1악장이 ‘환상곡’으로 1841년에 작곡되었고, 나머지 악장은 1846년 드레스덴에서 완성되었다.[1][2]
첼로 협주곡은 슈만이 뒤셀도르프로 이주한 직후인 1850년 10월에 완성되었지만, 그 이유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슈만은 과거 오른손을 다쳐 피아니스트가 되는 것을 포기했을 때, 첼로 연주자가 되는 것도 생각했으며, 워커는 아마도 상당 부분 향수 때문이 아니었을까 하고 말하고 있다. 초연은 1860년이며, 슈만 생전에는 연주되지 않았다.[1][3]
바이올린 협주곡은 슈만의 최후기 작품이지만, 악보를 받은 요제프 요아힘이 이 곡을 채택하지 않아 작곡 후 80년 가까이 지난 1937년에 초연되었다.[4]
3. 1. 4. 관현악곡
슈만은 자신이 관현악 편곡을 마스터하기 어려운 예술이라고 인정했으며, 많은 분석가들은 그의 관현악 작곡을 비판해 왔다.[106] 분석가 스콧 번햄은 "저음선을 구분하기 어려운 흐릿하고 웅크린 질감"을 언급했다.[108] 구스타프 말러, 막스 레거,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오토 클렘페러, 조지 셀을 포함한 지휘자들은 그의 관현악 작품을 지휘하기 전에 편성을 변경했다.[109]1841년 그의 네 개의 교향곡 중 첫 번째인 첫 번째 교향곡의 성공적인 초연 이후, Allgemeine musikalische Zeitung|알게마이네 무지칼리셰 차이퉁de은 그것을 "잘 쓰여지고 유창하게 쓰여졌다... 또한 대부분 지식 있고, 맛깔나고, 종종 매우 성공적이고 효과적으로 관현악화되었다"고 묘사했다.[111] 그러나 나중에 한 비평가는 그것을 "주로 평범한 관현악법을 사용한 과장된 피아노 음악"이라고 불렀다.[112] 그해 후반에 두 번째 교향곡이 초연되었지만 덜 열렬한 반응을 얻었다. 슈만은 10년 후에 그것을 개정하여 4번 교향곡으로 발표했다. 요하네스 브람스는 더 가볍게 편곡된 원본 버전을 선호했으며,[113] 가끔 연주되고 녹음되기도 하지만, 1851년 개정 악보가 더 자주 연주된다.[114] 현재 2번 교향곡(1846)으로 불리는 작품은 네 개의 교향곡 중 구조적으로 가장 고전적인 작품이며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프란츠 슈베르트의 영향을 받았다.[115] 3번 교향곡(1851)은 "라인강"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교향곡으로서는 드물게 5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쾰른 대성당의 엄숙한 종교 의식과 라인란드 사람들의 야외 축제를 묘사하는 악장을 통해 작곡가가 그림 같은 교향곡 음악에 가장 가까이 다가선 작품이다.[116]
슈만은 1841년 그의 서곡, 스케르초와 피날레에서 비전통적인 교향곡 형식을 실험했는데, 때때로 "느린 악장이 없는 교향곡"으로 묘사된다.[117] 그것의 비정통적인 구조 때문에 덜 매력적이었을 수도 있으며, 자주 연주되지 않는다.[118] 슈만은 여섯 개의 서곡을 작곡했는데, 그중 세 개는 조지 고든 바이런의 ''만프레드(Manfred)''(1852),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파우스트'' (1853), 그리고 그의 자신의 ''게노베바''를 위한 극장 공연용이었다. 다른 세 개는 프리드리히 실러의 ''메시나의 신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줄리어스 시저'', 그리고 괴테의 ''헤르만과 도로테아''에서 영감을 받은 독립적인 콘서트 작품이었다.[119]
슈만의 관현악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사육제 Op.9 (러시아 작곡가들에 의한 관현악 편곡판)
- 서곡, 스케르초와 피날레 마장조 Op.52 (1841년)
- 부수음악 만프레드 Op.115 (1848~49년)
- 메시나의 결혼 서곡 Op.100 (1850~51년)
- 율리우스 카이사르 서곡 Op.128 (1851년)
- 헤르만과 도로시아 서곡 Op.136
3. 1. 5. 실내악
슈만은 1823년경 김나지움 재학 시절부터 친구나 지인의 집에서 모차르트와 베버 등의 실내악을 즐기며 피아노를 담당했다.[129]초기 실내악 작품으로는 1828년부터 1829년에 걸쳐 작곡된 가단조 피아노 4중주곡과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가 있다. 1839년 6월에는 두 곡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하려 했으나, 첫 부분만 완성하고 중단했다. 1840년 클라라와 결혼한 후 슈만은 베토벤의 현악 4중주곡을 열심히 연구했다. 1842년부터 본격적으로 실내악에 매달려 현악 4중주곡(3곡), 피아노 5중주곡, 피아노 4중주곡 등을 작곡했다.[129]
드레스덴 시대 이후에는 피아노 3중주곡(3곡)과 바이올린 소나타(3곡) 등이 있다.[130]
슈만의 실내악은 독특한 환상적인 분위기로 가득하다. 고전적인 전통을 따르면서도 자유로운 구성을 보여주며, 정교한 대위법이 슈만의 환상과 잘 어우러진다.[129] 3곡의 현악 4중주곡을 제외하면 악기 편성에 피아노를 사용하고, 첼로를 애용하는 것이 특징이다.[129]
고전파적인 다악장 형식 외에도, 피아노곡 분야에서 선호했던 소품집이나 모음곡 형식도 보이며,[129] 이러한 작품에서는 슈만이 다채로운 악기 조합을 시도했다.[131]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환상 소곡집』(작품 73), 호른과 피아노를 위한 『아다지오와 알레그로』(작품 70), 오보에와 피아노를 위한 『3개의 로망스』(작품 94) 등은 로코코풍 관악기와 낭만적인 피아노의 조화로운 대화를 보여주는 예시이다.[131]
3. 1. 6. 피아노
작품 번호 | 제목 | 작곡 연도 |
---|---|---|
Op.1 | 아베크 변주곡 바장조 | 1830년 |
Op.2 | 나비 | 1829~1831년 |
Op.3 |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의한 연습곡 | 1832년 |
Op.6 | 다비드 동맹 춤곡집 | 1837년 |
Op.7 | 토카타 다장조 | 1832년 |
Op.9 | 사육제 | 1834~1835년 |
Op.10 |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따른 6개의 연주회 연습곡 | 1833년 |
Op.11 | 소나타 1번 올림 바단조 | 1835년 |
Op.12 | 환상 소곡집 | 1837년 |
Op.13 | 교향적 연습곡 | 1834년 |
Op.14 | 소나타 3번 바단조, 관현악 반주가 없는 협주곡 | 1835년 |
Op.15 | 어린이의 정경 | 1838년 |
Op.16 | 크라이슬레리아나 | 1838년 |
Op.17 | 환상곡 다장조 | 1836년 (1839년 개정) |
Op.18 | 아라베스크 | 1839년 |
Op.19 | 꽃의 곡 | 1839년 |
Op.20 | 후모레스케 | 1839년 |
Op.22 | 소나타 2번 사단조 | 1833~1835년 |
Op.23 | 4개의 야상곡 | 1839년 |
Op.26 | 빈 사육제의 어릿광대 | 1839년 |
Op.68 | 어린이를 위한 앨범 | 1848년 |
Op.82 | 숲의 정경 | 1848~1849년 |
Op.133 | 새벽의 노래 | 1853년 |
WoO 24 | 유령 변주곡 | 1854년 |
3. 1. 7. 가곡
슈만은 1839년 “성악곡은 기악곡보다 수준이 낮다. 나는 성악곡을 위대한 예술로 인정하기 어렵다”라고 말했으며, 실제로 작품 23번 ‘4개의 야상곡’까지는 거의 피아노곡만 작곡했다.[96] 그러나 1840년 클라라 슈만과의 결혼이 가까워지자 갑자기 잇달아 가곡을 작곡하기 시작했다.[96] 1840년 3월부터 7월 사이에 슈만은 음악사에 남을 5개의 뛰어난 가곡집을 작곡했다. 두 개의 『리더크라이스』(작품 24 및 작품 39), 『밀테의 꽃』(작품 25), 『여인의 사랑과 생애』(작품 42), 그리고 『시인의 사랑』(작품 48)이다.[96]이 해에 슈만은 120곡이 넘는 가곡과 중창곡을 작곡했다.[96] 이는 슈만이 평생 동안 남긴 가곡의 대부분을 넘는 것이며, 1840년은 “가곡의 해”라고 불린다.[96] 이에 대해 슈만은 “다른 음악에는 전혀 손을 댈 수 없었다. 나는 나이팅게일처럼 죽을 때까지 노래할 것이다”라고 말했다.[96]
슈만의 주요 가곡은 다음과 같다.
- 가곡 모음 Op.24 (하이네의 시, 1840년)
- 가곡 모음 Op.39 (아이헨도르프의 시, 1840년)
- 은매화 Op.25 (1840년)
- 미르테의 꽃 OP.25
- 여인의 사랑과 생애 Op.42
- 시인의 사랑 Op.48
3. 1. 8. 합창
- 오라토리오 페리와 파라다이스 Op.50 (1841~43년)
- 라인 포도주 노래에 따른 축전 서곡 Op.123 (1853년)
- 장엄 미사 Op. posth. 147 (1852년)
- 진혼곡 Op. posth. 148 (1852년)
- 괴테의 파우스트로부터의 장면 WoO3 (1844~53년)
슈만의 세속 오라토리오 파라다이스와 페리(Das Paradies und die Peri)de는 생전에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이후로는 소홀히 다뤄졌다. 차이콥스키는 이 작품을 "신성한 작품"이라 묘사하며 "음악 전체에서 이보다 더 훌륭한 것을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132] 사이먼 래틀 경은 "들어본 적 없는 위대한 걸작이며, 이제는 그런 작품이 많지 않다... 슈만 생전에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이었고 끊임없이 공연되었다. 모든 작곡가가 이 작품을 사랑했다. 바그너는 슈만이 이 작품을 만들었다는 사실에 얼마나 질투했는지 적었다"고 말했다.[133] 토머스 무어의 서사시 ''랄라 루크(Lalla Rookh)''의 한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19세기에 유행했던 페르시아 신화의 이국적이고 다채로운 이야기를 반영한다. 1843년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슈만은 "현재 큰 프로젝트, 지금까지 맡았던 가장 큰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오페라가 아니다. 콘서트홀을 위한 거의 새로운 장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133]
괴테의 파우스트 장면들(Scenes from Goethe's Faust)de은 1844년부터 1853년 사이에 작곡된 또 다른 혼합 형식의 작품으로, 오페라 형식이지만 콘서트 공연을 위해 작곡되었고 작곡가에 의해 오라토리오로 분류되었다. 슈만 생전에 완전한 형태로 공연된 적은 없었지만, 세 번째 부분은 1849년 괴테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드레스덴, 라이프치히, 바이마르에서 성공적으로 공연되었다. 옌센(Jensen)은 슈만이 대중의 취향에 맞추지 않았음에도 이 작품이 좋은 반응을 얻은 것은 놀랍다고 말한다. "음악은 특별히 멜로디가 풍부하지 않다... 파우스트나 그레첸을 위한 그랜드 매너의 아리아는 없다".[134] 완전한 작품은 슈만 사후 6년 후인 1862년 쾰른에서 처음 공연되었다.[134] 슈만의 다른 성악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으로는 비평가 이반 마치가 "오랫동안 소홀히 여겨지고 저평가되어 왔다"고 묘사한 레퀴엠 미사가 있다.[135] 모차르트 이전과 마찬가지로 슈만은 미사곡이 자신의 레퀴엠이라는 확신에 사로잡혀 있었다.[135]
3. 2. 기타 작품
- Gesammelte Schriften über Musik und Musikerde (음악과 음악가에 관한 논집, 1854년) 전 4권. 슈만이 <음악신보Neue Zeitschrift für Musik>에 연재했던 글을 중심으로 직접 주석을 추가한 평론집이다.
- 《음악과 음악가》(이기숙 역, 포노, 2016). 하인리히 지몬이 위 책을 전 3권으로 편집하여 1888년 라이프치히에서 출간한 보급판을 발췌 번역한 한글판이다.
4. 평가
슈만은 19세기 독일 낭만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음악 평론가였다. 루이스 엘레르트는 저서 《슈만과 그 악파》(1849)에서 "베토벤이 고전주의 시대 예술의 정점이었다면, 슈만은 우리 현대 시대의식을 구현하는 존재"라고 평가했다.[83] 표트르 차이콥스키는 "이 세기 후반의 음악은 예술사적 측면에서 후세가 '슈만기(紀)'라고 부르는 시기로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84]
슈만의 음악은 크게 라이프치히 시기(1828년 ~ 1844년), 드레스덴 시기(1844년 ~ 1850년), 뒤셀도르프 시기(1850년 ~ 1854년)로 나뉜다.[85] 라이프치히 시기에는 주로 피아노곡과 가곡을 작곡했다.[86] 작품 번호 1번부터 23번까지 모두 피아노곡일 정도로 20대에는 피아노 작품에 집중했다.[87] 30대에 들어서면서 1840년은 '노래의 해', 1841년은 '교향곡의 해', 1842년은 '실내악의 해'로 불릴 정도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다.[88] 드레스덴 시기와 뒤셀도르프 시기에는 오페라, 극음악, 종교 음악 등 더욱 다양한 장르로 확장했다.[89]
슈만의 음악은 비더마이어적인 가정 환경의 영향으로, 순수하고 충실한 인간성이 내면적으로 성숙할 때의 고요하고 깊은 기쁨이 빛난다는 평가를 받는다.[90] 나폴레옹 전쟁 중 태어난 유아기 경험이 행진곡 리듬으로 나타난다는 주장도 있다.[91] 슈만은 이그나츠 모셸레스와 니콜로 파가니니의 영향을 받아 기교적인 작품도 긍정했다.[92]
슈만의 작품에는 악보와 실제 연주되는 박자가 다르게 들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일본 작곡가 이케베 신이치로는 '박절 마술'이라고 불렀다.[93] 이케베는 슈만이 리하르트 바그너보다 먼저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했다고 보았다.[94]
슈만은 같은 분야의 작품을 연이어 작곡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심리학에서 말하는 '순환 기질'형 성격으로 분석되기도 한다.[95] 또한,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작품을 완성하는 특징을 보였다.[96] 예를 들어 1842년에는 3편의 현악 사중주를 5주 만에, 피아노 5중주곡은 6일 만에, 피아노 4중주곡은 5일 만에 완성했다.[97]
'''베이커 음악가 전기 사전'''(2001)은 슈만을 "뛰어난 상상력을 지닌 위대한 독일 작곡가"이자 "독일 음악 낭만주의 시대의 전형적인 예술가"로 평가한다.[98] 슈만은 모든 예술의 미학이 동일하다고 믿었으며, 자신의 음악에서 시적인 것을 주요 요소로 하는 예술 개념을 추구했다.[99]
19세기 후반과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슈만의 후기 작품은 초기 작품의 낭만적인 자발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00] 그러나 최근에는 후기 작품들이 더 호의적으로 평가되고 있다.[101]
슈만은 가브리엘 포레, 조르주 비제, 클로드 드뷔시, 모리스 라벨 등 프랑스 작곡가들과 에드워드 엘가, 에드바르 그리그 등 유럽 다른 지역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02] 요하네스 브람스, 구스타프 말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아르놀트 쇤베르크 등 독일어권 작곡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103] 20세기와 21세기 작곡가들 중에서는 볼프강 림, 마우리시오 카겔, 앙리 푸세르 등이 슈만의 영향을 받았다.[104]
19세기 후반에는 낭만주의 전쟁이 발생했는데, 슈만의 후계자들은 베토벤, 멘델스존, 슈만의 고전 독일 전통 음악 지지자로 여겨졌다.[105]
1991년 슈만 작품 전집의 첫 번째 권이 출판되었고, 2023년에 49권으로 구성된 ''새로운 슈만 전집''이 완성되었다.[106] 슈만의 출생지인 츠비카우는 그의 명예를 기리는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그를 기념하는 연례 축제가 열린다.[107]
5. 영향
슈만은 19세기 이후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가브리엘 포레와 앙드레 메사주를 포함한 프랑스 작곡가들,[150] 조르주 비제, 샤를 마리 위도르, 드뷔시, 라벨과 상징주의를 발전시킨 사람들이 영향을 받았다.[151] 코르토(Cortot)는 슈만의 Kinderscenen|어린이 정경de이 비제의 어린이 놀이프랑스어(Jeux d'enfants, 1871), 에마뉘엘 샤브리에의 Pièces pittoresques프랑스어(1881), 드뷔시의 ''어린이 방''(Children's Corner, 1908), 라벨의 어머니 거위프랑스어(Ma mère l'Oye, 1908)에 영감을 주었다고 주장했다.[152]
유럽 다른 지역에서는 에드워드 엘가가 슈만을 "나의 이상"이라고 불렀고,[153] 그리그의 피아노 협주곡은 슈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121] 그리그는 슈만의 노래가 "세계 문학에 대한 중요한 기여"로 인정받을 자격이 있다고 썼고,[151] 슈만은 안톤 루빈슈타인과 차이콥스키를 포함한 러시아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54] 차이콥스키는 슈만의 관현악법을 비판했지만 그를 "천재 작곡가"이자 "우리 시대 음악의 가장 두드러진 대표자"라고 묘사했다.[155]
브람스는 슈만에게서 배운 것은 체스를 두는 방법뿐이라고 말했지만,[156] 그의 작품에는 슈만에 대한 많은 헌정이 담겨 있다. 독일어권 국가의 다른 작곡가들 중 슈만의 영향을 보여주는 음악을 작곡한 사람들로는 말러(Mahler),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쇤베르크가 있다.[157] 최근에는 슈만이 볼프강 림의 음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는데, 그는 실내악 작품(Fremde Szenen I–III|외국 풍경de, 1982–1984)[158]과 그의 오페라 야코프 렌츠de(Jakob Lenz, 1977–1978)[159]에 슈만의 음악 요소를 통합했다. 20세기와 21세기의 다른 작곡가들 중 슈만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로는 마우리시오 카겔, 빌헬름 킬마이어, 앙리 푸세르, 로빈 홀로웨이가 있다.[160]
19세기 후반에는 "낭만주의 전쟁"으로 알려진 것이 발생했다. 클라라와 브람스를 포함한 슈만의 후계자들은 요아힘과 음악 평론가 에두아르트 한슬릭과 같은 지지자들과 함께 베토벤, 멘델스존, 슈만의 고전 독일 전통의 음악 지지자로 여겨졌다. 그들은 리스트와 바그너의 추종자들, 즉 드레제케(Draeseke), 한스 폰 뷜로(한때), 그리고 음악 평론가로서의 버나드 쇼와 같은 사람들의 반대에 직면했는데, 그들은 더 극단적인 색채 화성과 명시적인 표제 음악 내용을 옹호했다.[161] 바그너는 교향곡이 죽었다고 선언했다.[162] 세기가 바뀌면서 풀러 메이틀랜드(Fuller Maitland)와 헨리 크레비엘과 같은 비평가들은 두 파벌의 작품을 동등하게 여겼다.[163][164]
1991년 슈만 작품 전집의 첫 번째 권이 출판되었다. 클라라와 브람스가 편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완전한 판이 1879년부터 1887년 사이에 출판되었지만, 완전하지 않았다. 무심코 생략된 것 외에도 두 편집자는 그의 정신 건강이 악화된 후의 슈만의 음악 일부를 의도적으로 삭제했다.[165] 1980년대에 쾰른 대학교는 작곡가의 모든 악보를 찾는다는 목표로 연구 부서를 설립했다. 이는 49권으로 구성된 ''새로운 슈만 전집''으로 이어졌고 2023년에 완성되었다.[165][166]
슈만의 출생지인 츠비카우는 그의 명예를 기리는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실내악 연주회가 열리고 그를 기념하는 연례 축제의 중심지가 된다.[167] 피아노와 성악을 위한 국제 로베르트 슈만 콩쿠르는 1956년 베를린에서 시작되었고, 나중에 츠비카우로 이전되었다. 수상자들 중에는 피아니스트 데죄 란키, 이브 앙리, 에릭 르 사주와 가수 지그프리트 로렌츠, 에디트 바인스, 마우로 페터가 있다.[168] 2009년 런던의 왕립 음악 대학은 가수와 피아니스트를 위한 조안 키셀 슈만 상을 제정했다.[169]
2005년 독일 연방 정부는 츠비카우, 라이프치히, 뒤셀도르프, 본의 문화 기관과 협력하여 온라인 슈만 네트워크를 시작했다. 이 사이트는 대중에게 로베르트와 클라라 슈만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내용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70]
참조
[1]
서적
null
[2]
서적
null
[3]
서적
null
[4]
서적
Schumann's lives
[5]
서적
null
[6]
서적
null
[7]
서적
null
[8]
서적
null
[9]
서적
null
[10]
서적
null
[11]
서적
null
[12]
웹사이트
Schumann around 1826
https://www.schumann[...]
Schumann Portal
2024-06-09
[13]
서적
null
[14]
서적
null
[15]
서적
null
[16]
서적
null
[17]
서적
null
[18]
간행물
Robert Schumann
https://www.jstor.or[...]
1910-07-01
[19]
서적
null
[20]
서적
null
[21]
서적
null
[22]
서적
null
[23]
서적
null
[24]
서적
null
[25]
서적
null
[26]
간행물
What's in a Name?
https://ericsams.org[...]
1967-02
[27]
서적
null
[28]
서적
null
[29]
서적
null
[30]
뉴스
When I Tried to Play, my Hand Spasmed and Shook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3-10-17
[31]
서적
null
[32]
서적
null
[33]
서적
null
[34]
서적
null
[35]
서적
Chronology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Chronology
[46]
서적
[47]
서적
[48]
음반
Notes to RCA CD set 09026-62673-2
1996
[49]
음반
Notes to: DG CD set 00028948629619, Pye LP set GGCD 302 1–2, EMI CD set 5099909799356, DG CD set 00028947779322
2022, 1957, 2011, 2009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웹사이트
Jupiter Symphon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1-00
[54]
서적
[55]
서적
[56]
웹사이트
Robert Schumann's Das Paradies und die Peri and its early performances
https://blogs.qub.ac[...]
Queen's University Belfast
2017-05-31
[57]
서적
Chronology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Chronology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웹사이트
Lied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Daverio and Sams
[107]
서적
Carse
[108]
서적
Burnham
[109]
웹사이트
Schumann Symphonies; Manfred – Overture
https://www.gramopho[...]
1997-02-01
[110]
서적
Harrison
[111]
서적
Finson
1989
[112]
서적
Burnham
[113]
서적
Harrison
[114]
서적
March et al.
[115]
서적
Harrison
[116]
서적
Harrison
[117]
서적
Burnham and Abraham
[118]
서적
Burnham
[119]
서적
Burnham
[120]
서적
Sackville-West and Shawe-Taylor
[121]
서적
Tomes
[122]
서적
March et al.
[123]
서적
March et al.
[124]
서적
Roesner
[125]
웹사이트
List of Compositions for Piano Quintet
https://imslp.org/wi[...]
2024-05-17
[126]
서적
Dahlhaus
1989
[127]
서적
Roesner
[128]
서적
Daverio and Sams
[129]
웹사이트
Schumann Genoveva
https://www.gramopho[...]
1998-01-01
[130]
웹사이트
Schumann: Genoveva
https://www.harnonco[...]
2024-05-18
[131]
서적
Tibbetts
[132]
서적
Жизнь Петра Ильича Чайковского, том 1
1997
[133]
웹사이트
Schumann: Das Paradies und die Peri
https://lsolive.lso.[...]
2024-05-18
[134]
서적
Jensen
[135]
서적
March et al.
[136]
서적
March et al.
[137]
서적
Kapp
[138]
웹사이트
Robert Schumann
https://www.naxosmus[...]
2024-05-17
[139]
서적
March et al.
[140]
음반
Robert Schumann: Complete Symphonies
Harmonia Mundi
2007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웹사이트
Robert Schumann
https://www.naxosmus[...]
2024-05-17
[146]
웹사이트
Robert Schumann
https://www.naxosmus[...]
2024-05-17
[147]
웹사이트
Robert Schumann: 12 Gramophone Award-winning Recordings
https://www.gramopho[...]
2023-05-15
[148]
웹사이트
Schumann Genoveva
https://www.gramopho[...]
1998-01
[149]
웹사이트
Decca Classical, 1929–2009
http://www.charm.rhu[...]
2024-05-30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웹사이트
The Second Concert of the Russian Musical Society. Mr Slavyansky’s Russian Concert
https://en.tchaikovs[...]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웹사이트
Shaw, (George) Bernard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5-20
[162]
서적
[163]
뉴스
Obituary, J. A. Fuller Maitland
The Times
1936-03-31
[164]
서적
[165]
서적
[166]
웹사이트
Robert Schumann: New Edition of Complete Works
https://www.schott-m[...]
2024-05-20
[167]
웹사이트
Robert Schumann House
https://www.schumann[...]
2024-05-16
[168]
웹사이트
Internationaler Robert-Schumann-Wettbewerb
https://www.schumann[...]
2024-05-21
[169]
웹사이트
Chissell, Joan Olive (1919–2007), Music Critic
https://www.oxfordd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70]
웹사이트
Welcome to the Schumann Network!; Clara und Robert Schumann
https://www.schumann[...]
2024-05-20; 2024-05-28
[171]
서적
Duden Das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ag
[172]
뉴스
ロベルト・シューマンの死因は梅毒による脳軟化症 独で病状日誌を公開
https://web.archive.[...]
東京夕刊
1994-03-18
[173]
간행물
Clara Schumann-Johannes Brahms: Briefe, 1853-96
https://www.jstor.or[...]
[174]
서적
Brahms and His World
https://www.jstor.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5]
뉴스
ハインツ・ホリガー インタビュー―10月フェニックスに来演する「スーパー」オーボエ奏者ハインツ・ホリガー 思いのすべて 音楽が語る
http://phoenixhall.j[...]
ザ・フェニックスホール
2012-07-04
[176]
웹사이트
(4003) Schumann = 1933 FG1 = 1964 ED = 1967 RK1 = 1968 UL3 = 1974 SE2 = 1978 GM4 = 1980 RH2 = 1980 TP6 = 1981 WV8
https://minorplanetc[...]
MPC
2021-10-03
[177]
논문
[178]
논문
[179]
음반
Homage to Schumann
Centaur
[180]
웹인용
Portraits Robert Schumann
https://www.schumann[...]
2023-04-26
[181]
웹인용
Pin on Products
https://www.pinteres[...]
2023-04-26
[182]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