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의 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의 언어는 다양한 토착 언어와 공용어, 이주민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인 식민지배 이전에는 고유의 문자를 사용했으나, 스페인어의 영향으로 로마자가 도입되었다. 16세기부터 스페인어가 공용어로 사용되다, 19세기 말 미국 통치 이후 영어의 영향력이 커졌으며, 1937년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한 필리핀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현재 필리핀어와 영어가 공용어이며, 여러 지역 언어가 보조 공식어로 지정되어 있다. 필리핀에는 182개의 토착어가 존재하며, 타갈로그어, 세부아노어, 일로카노어, 힐리가이논어 등은 5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주요 언어이다. 또한, 아랍어, 호키엔어, 한국어 등 이주민 언어도 사용되며, 정부는 모국어 우선 교육 정책을 통해 언어 보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필리핀의 언어
지도 정보
언어 개요
언어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 말레이시아어)
필리핀 스페인어
필리핀 호키엔어
필리핀 영어
타글리시
비스리시
공용어
공용어필리핀어, 영어
국어
국어필리핀어
지역어
지역어아클라논어
아랍어
중앙 비콜어
세부아노어
차바카노어
힐리가이논어/일롱고어
이바나그어
일로카노어
이바탄어
카팜팡간어/팜팡고어
키나라이아어
마긴다나오어
마라나오어
팡가시난어/팡가시넨세어
삼발어
필리핀 스페인어
수리가오논어
타갈로그어
타우수그어
와라이어
야칸어
외국어
외국어광둥어
독일어
힌디어
일본어
한국어
중국어
수화
수화필리핀 수화
미국 수화
키보드
키보드QWERTY

2. 문자

필리핀은 스페인 식민 지배 이전 고유 문자를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로마자를 사용한다. 스페인 식민 지배 이후, 스페인어가 지배 언어로 쓰이면서 필리핀 고유 문자들은 점차 로마자로 대체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장식용 등 제한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Ethnologue 지도를 바탕으로 한 12개의 공인 보조 언어의 언어 지도.

2. 1. 고유 문자

필리핀인들은 스페인인의 식민 지배 이전에 이미 고유 문자를 가지고 있었다. 타갈로그어바이바이인 문자, 타그반와어의 타그반와 문자, 부히드어의 부히드 문자, 하누노어의 하누노 문자 등, 각 섬마다 대부분의 동남아 국가와 마찬가지로 인도의 브라프미 문자에서 파생, 발전한 자신들의 고유하고 독특한 문자 체계를 갖고 있었다. 필리핀에 전해진 것은 특히 남인도 계열의 것으로, 자바어의 자바 문자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스페인의 식민 지배 이후, 스페인어가 지배 언어로 쓰이면서, 이들 문자의 표기도 점차 로마자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오늘날에는 장식용 등 제한된 경우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민도로섬의 부히드 문자 정도가 아직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일부 필리핀인들은 그들의 문자를 고유 문화에 대한 자긍심의 상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30]

2. 2. 로마자 도입과 현재

필리핀인들은 스페인의 식민 지배 이전에 타갈로그어바이바이인 문자, 타그반와어의 타그반와 문자, 부히드어의 부히드 문자, 하누노어의 하누노 문자 등 고유하고 독특한 문자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동남아 국가와 마찬가지로 인도의 브라프미 문자에서 파생, 발전한 것이다. 필리핀에 전해진 것은 특히 남인도 계열의 것으로, 자바어의 자바 문자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스페인의 식민 지배 이후, 스페인어가 지배 언어로 쓰이면서, 이들 문자의 표기도 점차 로마자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오늘날에는 장식용 등 제한된 경우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민도로섬의 부히드 문자 정도가 아직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일부 필리핀인들은 그들의 문자를 고유 문화에 대한 자긍심의 상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30]

3. 공용어

필리핀의 공용어는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어왔다. 16세기 이후 스페인의 식민통치를 받으면서 오랫동안 스페인어가 공용어로 쓰였다.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필리핀에 대한 이권이 스페인에서 미국으로 넘어가면서 스페인어의 지위는 약화되었다. 미국의 필리핀 지배 이후 1901년 무렵부터 영어 교육이 시작되었으며, 마누엘 케손 대통령은 민족주의 관점에서 필리핀 고유어 가운데 공용어를 정하려는 시도를 하다가, 1937년타갈로그어를 선택했다. 1940년부터 타갈로그어 교육이 시작되었으나, 이 시기에는 아직 국가공용어로 지정되지 않았다. 필리핀 정식 독립 이후 타갈로그어는 공용어가 되었으며, 1959년에는 필리핀어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3년 마르코스 행정부는 필리핀어와 영어를 국가공용어로 지정하고, 스페인어는 배제하였다.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특히 수도인 메트로 마닐라에서 사용되는 방언)와 거의 같으나, 국립 필리핀 대학에서 편찬한 필리핀어 사전을 보면, 필리핀의 다른 지역어로부터도 많은 어휘를 받아들였다.

1987년 필리핀 헌법은 필리핀어국어로 선언했다. 필리핀어영어공용어가 되었고, 각 지역에서 보조 공식어로 아클란어, 비콜어, 세부아노어, 차바카노어, 힐리가이논어, 이바나그어, 일로카노어, 이바탄어, 카팜팡안어, 키나라이아어, 마긴다나오어, 마라나오어, 팡가시난어, 삼발어, 수리가오논어, 타갈로그어, 타우수그어, 와라이와라이어, 야칸어 등 19개를 포함하며, 스페인어아랍어는 선택적, 자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공표되었다.[76]

필리핀어는 교육 언어이기도 하지만, 교육에서의 활용도는 영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고급 교육일수록 두드러진다. 출판물 종류에서도 입말이 많이 쓰이는 만화책, 소설 등의 비율은 필리핀어가 높고, 교육, 과학, 기술 서적 등은 영어로 출판된다. 그러나 필리핀어는 필리핀 모든 지역과 해외 필리핀인 공동체에서 교역어로 쓰이며, 행정, 교역, 군대 등에서 가장 중요한 말이다.

3. 1. 스페인어 시대 (16세기 ~ 1898년)

16세기 이후 스페인의 식민통치를 받으면서 오랫동안 스페인어가 공용어로 쓰였다.[76] 1863년 스페인령 필리핀은 스페인어로 교육을 실시하는 무상 공립학교를 설립하는 법령을 제정했다.[18] 스페인어는 필리핀 혁명의 언어였으며, 1899년 말로스 헌법은 제1 필리핀 공화국의 공식 언어로 선포했다.[19]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은 그의 작품 대부분을 스페인어로 썼다. 미국의 필리핀 점령과 영어의 도입 이후 스페인어 사용은 점차 감소했고, 1940년대 일본 점령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했다.[20]

스페인어는 1565년 스페인 정복자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멕시코에서 출항하여 세부에 최초의 스페인 식민지를 건설한 후 필리핀 제도에 도입되었다. 스페인어 사용은 이전만큼 널리 퍼져 있지는 않지만, 수많은 외래어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필리핀 현지 언어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56] 크리올어의 여러 변종인 차바카노도 등장했다. 현행 1987년 헌법은 스페인어(아랍어와 함께)를 선택적이고 자발적인 기준으로 장려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1593년 필리핀 제도 최초의 인쇄소가 설립되어 같은 해 최초의 (다언어) 서적 ''도트리나 크리스티아나''를 발행했다. 17세기에 스페인 종교 단체들은 필리핀에 최초의 대학교들을 설립했는데, 그중 일부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로 여겨진다. 멕시코를 통한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스페인어는 교육, 무역, 정치, 종교의 언어였으며, 19세기에는 주로 교육받은 필리핀인들에 의해 사용되었지만 식민지의 공용어가 되었다.[70] 1863년 스페인의 법령에 따라 공교육 제도가 도입되어 스페인어로 무료 공립학교가 설립되었다. 1890년대 필리핀에는 호세 리살과 같은 일루스트라도스라 불리는 저명한 스페인어 구사 학자들이 있었다. 이들 학자 중 일부는 필리핀 혁명과 이후 미국의 점령에 대한 투쟁에 참여했다. 말롤로스 헌법과 ''루팡 히나랑''(국가) 모두 스페인어로 작성되었다.

미국 통치하에서 영어가 스페인어 대신 장려되기 시작했다. 공립학교에서 영어가 교육 언어로 도입됨에 따라 스페인어 사용이 감소하기 시작했다.[18] 필리핀 연방을 설립한 1935년 헌법은 영어와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 195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페인어를 제1 또는 제2언어로 사용하는 필리핀인은 전체 인구의 6%에 불과했다. 1990년 인구 조사에서는 모어 사용자가 2,500명으로 줄었다고 보고했다. 2020년 추산에 따르면 약 40만 명의 필리핀인(인구의 0.5% 미만)이 스페인어를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1]

1973년 헌법 공포와 함께 스페인어는 공용어 지위를 잠시 상실했지만, 두 달 후 마르코스 대통령이 155호 대통령령에 서명하면서 공용어 지위를 회복했다.[23] 1987년 헌법에서는 스페인어를 "선택적이고 자발적인 언어"로 지정했지만 "공용어"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코라손 아키노 정부 시절 대학 필수 과목에서 스페인어가 삭제되었다. 제3언어로 스페인어를 구사하는 전 대통령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2009년 국가 교육 시스템에서 스페인어 교육을 재개하기 위한 법안을 제출했다. 오늘날 스페인어는 주로 메트로 마닐라, 일로일로세부에 집중되어 있는 필리핀-스페인 혼혈과 스페인 가족에 의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마닐라의 산토 토마스 대학교와 세부의 산 카를로스 대학교와 같이 일부 학술 기관에서는 선택 과목으로 남아 있다.

최근까지 많은 역사 문서, 토지 등기부, 문학 작품이 스페인어로 작성되어 필리핀어 또는 영어로 번역되지 않았다.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스페인어는 타갈로그어, 세부아노어 및 기타 필리핀 언어에서 가장 많은 외래어와 표현에 기여했다.[72] 1924년 설립된 ''아카데미아 필리피나 데 라 렌구아 에스파뇰라''(필리핀 스페인어 학회)는 스페인어 학회 연합회의 창립 회원이다. 이 연합회는 전 세계 여러 스페인어 학회로 스페인어 표준화 및 홍보에 협력하고 있다. 과거 및 현재 회원에는 아로요 전 대통령, 로물로 전 외교부 장관, 비달 세부 대주교 추기경 등이 있다.

3. 2. 미국 통치 시대 (1898년 ~ 1946년)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필리핀에 대한 이권이 스페인에서 미국으로 넘어가면서 스페인어의 지위는 약화되었다. 미국의 필리핀 지배 이후 1901년 무렵부터 영어 교육이 시작되었다.[21] 그해 미국 수송선 토머스호(USAT ''Thomas'')를 타고 도착한 600명의 교육자(토마사이트(Thomasites)라고 불림)가 교사 역할을 했던 군인들을 대체했다. 1935년 헌법은 스페인어와 함께 영어를 공식 언어로 추가했다.[21]

3. 3. 필리핀어의 등장과 발전 (1937년 ~ 현재)

1937년 마누엘 케손 대통령은 민족주의 관점에서 필리핀 고유어 가운데 공용어를 정하려는 시도를 하다가 타갈로그어를 선택했다.[21] 1940년부터 타갈로그어 교육이 시작되었으나, 이 시기에는 아직 국가공용어로 지정되지 않았다. 필리핀 정식 독립 이후 타갈로그어는 공용어가 되었으며, 1959년 호세 로메로(José E. Romero) 교육부 장관에 의해 "필리피노어(Pilipino)"로 이름이 바뀌었다.[22]

1973년 마르코스 행정부는 필리피노어와 영어를 국가공용어로 지정하고, 스페인어는 배제하였다.[23] 필리피노어는 타갈로그어(특히 수도인 메트로 마닐라에서 사용되는 방언)와 거의 같으나, 국립 필리핀 대학에서 편찬한 필리핀어 사전을 보면, 필리핀의 다른 지역어로부터도 많은 어휘를 받아들였다.

1987년 필리핀 헌법은 필리핀어국어로 선언했다. 필리핀어영어공용어가 되었고, 각 지역에서 보조 공식어로 아클란어, 비콜어, 세부아노어, 차바카노어, 힐리가이논어, 이바나그어, 일로카노어, 이바탄어, 카팜팡안어, 키나라이아어, 마긴다나오어, 마라나오어, 팡가시난어, 삼발어, 수리가오논어, 타갈로그어, 타우수그어, 와라이와라이어, 야칸어 19개를 포함하며, 스페인어아랍어가 선택적, 자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공표되었다.[76]

4. 지역 언어

필리핀에는 다양한 지역 언어가 존재하며, 이는 필리핀의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필리핀에는 182개의 토착어가 있으며, 이 중 디카마이어 아그타어, 카타바가어, 타야바스 아이타어, 비야비키오사 아그타어 4개의 언어는 멸종되었다.[77] 영어, 스페인어, 차바카노어 그리고 화교들이 사용하는 중국어 방언 (필리핀 민난어, 광둥어, 관화)을 제외한 모든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100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는 언어는 13개가 있다. 타갈로그어,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와라이어, 카팜팡안어, 중부 비콜어, 팡가시난어, 마라나오어, 마긴다나오어, 키나라이아어, 타우수그어가 있으며, 이 언어들 중 하나 이상을 인구의 90% 이상이 모어로 사용한다.

로버트 블러스트가 밝혀낸 필리핀어군은 북부 술라웨시의 언어와 타이완의 야미어를 포함하지만, 타위타위 제도의 사마-바자우어군과 남부 팔라완에서 사용되는 몇몇 북부 보르네오어군은 제외된다.

에스카야어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보홀 국가의 구현으로 만들어진 인공 보조어이며, 약 500명이 사용한다.

필리핀의 지역 언어들은 북부 필리핀어, 중부 필리핀어, 남부 필리핀어 등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역별 주요 언어. 검은 다이아몬드로 표시된 지역은 해당 언어가 인구의 상당한 소수만 사용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필리핀의 지역 언어


많은 필리핀 지역 언어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며, 실제로는 서로 다른 언어에 가깝다.[30]

4. 1. 토착어 현황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필리핀에는 182개의 원주민 언어가 있으며, 디카마이어 아그타어, 카타바가어, 타야바스 아이타어, 비야비키오사 아그타어 등 4개의 언어는 멸종된 것으로 분류된다.[77] 영어, 스페인어, 스페인어 크레올, 화교들이 쓰는 중국어 방언(필리핀 민난어, 광둥어, 관화) 그리고 차바카노어를 제외하면 모든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100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는 언어는 13개가 있다. 타갈로그어,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와라이어, 카팜팡안어, 중부 비콜어, 팡가시난어, 마라나오어, 마긴다나오어, 키나라이아어, 타우수그어가 있으며, 이 언어들 중 하나 이상을 인구의 90% 이상이 모어로 사용한다.

2000년 필리핀 국가 통계국 조사에 따른 원주민어별 화자 수는 다음과 같다.[78]

순위언어화자 수
1타갈로그어26,387,855
2세부아노어21,340,000
3일로카노어7,779,000
4힐리가이논어7,000,979
5와라이와라이어3,100,000
6카팜팡안어2,900,000
7중부 비콜어2,500,000
8팡가시난어2,434,086
9마라나오어2,150,000
10타우수그어1,822,000
11마긴다나오어1,800,000
12차바카노어1,200,000
13키나라이아어1,051,000
14수리가오논어1,000,000
15마스바테뇨어530,000
16아클란어520,000
17이바나그어320,000
18야칸어110,000
19스페인어2,000
20에스카야어500


4. 2. 주요 지역 언어 (500만 명 이상 화자)

500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는 주요 지역 언어는 타갈로그어, 세부아노어, 일로카노어, 힐리가이논어이다.[47]

2020년 필리핀 인구주택총조사(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47]에 따른 모어(母語) 인구수는 다음과 같다.

언어ISO 639-3모어 화자 수
타갈로그어 (Tagalog)tl43,142,279
세부아노어/비사야어/비니사야어/보홀아노어 (Cebuano/Bisaya/Binisaya/Boholano)ceb25,584,734
일로카노어 (Ilocano)ilo7,639,977
힐리가이논어 (Hiligaynon)hil7,927,399


4. 3. 기타 지역 언어 (100만 명 ~ 500만 명 화자)

Ethnologue영어에 따르면, 100만 명에서 500만 명 사이의 원어민 화자가 있는 필리핀 언어는 비콜어, 와라이어, 캄팜팡안어, 팡가시난어, 마구인다나오어, 마라나오어, 타우스그어로 총 7개이다.[46]

2020년 필리핀 인구주택총조사(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47]에 따른 모어(母語) 인구 수는 다음과 같다. 각 언어 사용자 수는 2020년 기준 가구당 평균 인원 4.1명을 가정하여 보고된 가구 수를 기준으로 계산되었다.[50]

언어ISO 639–3모어 화자 수
비콜라노어 (Bicolano)bik4,237,174
와라이어 (Waray)war2,864,855
캄판간어 (Kapampangan)pam2,622,717
마구인다나오어 (Maguindanao)mdh1,496,631
팡가시난어 (Pangasinan)pag1,372,512
타우스그어 (Tausug)tsg1,129,419
마라나오어 (Maranao)mrw1,123,851


4. 4. 언어 분류

필리핀 고유어들은 몇 가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

  • '''중부 필리핀어''': 지리적으로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가장 많은 화자를 가진 그룹이다. 루손섬 중부를 중심으로 비사야 제도민다나오섬 일부도 포함된다. 팔라와노어와 하누노어는 중부 여러 언어 중에서도 그들만의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 최대 언어는 타갈로그어이며, 비콜어,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와라이어 등 많은 화자를 보유한 언어가 포함된다.

4. 5. 상호 의사소통 문제

많은 필리핀 지역 언어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며, 이는 같은 단어가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필리핀 사람들은 이를 방언으로 간주하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언어에 가깝다.[30] 예를 들어 "고향을 돌아보지 않는 자는 미래에 도달할 수 없다"는 속담은 각 언어마다 다르게 표현된다.

필리핀 속담의 다양한 언어 번역
언어속담
아클라논어Ro uwa' gatan-aw sa anang ginhalinan hay indi makaabut sa anang ginapaeangpan.
아시어Kag tawong waya giruromroma it ida ginghalinan, indi makaabot sa ida apagtuan.
방곤어No fuktaw hadwa bumontag idwan dasog at bato lawan.
비콜어An dai tatao maghiling sa pighalian, dai makakaabot sa padudumanan.
세부아노어Kadtong dili molingi sa gigikanan, dili makaabot sa gipadulongan.
이바나그어I tolay nga ari mallipay ta naggafuananna, ari makadde ta angayanna.
일로카노어Ti saán a tumaliaw iti naggapuanna, saán a makadánon iti papanánna.
힐리가이논어Kon sin-o ang indi makahibalo magbalikid sang iya ginta-uhan, indi makaabot sa iya padulungan.
자마마푼어Soysoy niya pandoy ngantele patulakan ne, niya taabut katakkahan ne.
카팜팡안어Ing e byasang malikid king kayang ibatan, e ya makaratang king kayang pupuntan.
키나라이아어Ang indi kamaan magbalikid sa ana ginhalinan, indi makaabot sa ana paaragtunan.
오보 마노보어Iddos minuvu no konnod kotuig nod loingoy to id pomonan din, konna mandad od poko-uma riyon tod undiyonnan din.
팡가시난어Say too ya agga unlingon ed nanlapuan to, agga makasabi ed laen to.
삼발 보톨란어Hay ahe nin nanlek ha pinag-ibatan, ay ahe makarateng ha lalakwen.
상길어Tao mata taya mabiling su pubuakengnge taya dumanta su kadam tangi.
시나마어Ya Aa ga-i tau pa beleng ni awwal na, ga-i du sab makasong ni maksud na.
타갈로그어Ang hindî marunong lumingón sa pinanggalingan ay hindî makararatíng sa paroroonan.
타우수그어In di maingat lumingi pa bakas liyabayan niya, di' makasampay pa kadtuun niya.
와라이와라이어An diri maaram lumingi han tinikangan, di maulpot ha kakadtoan.
야칸어Gey tau mayam sibukutan, gey tau tekka kaditaran.



방언의 다양성 정도는 각 언어마다 차이가 있다. 타갈로그어는 비교적 균질한 반면, 비콜어는 방언 간 차이가 매우 크다. 예를 들어 ''Were you there at the market for a long time?'' (시장에 오랫동안 있었습니까?)라는 문장은 비콜어의 각 방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르게 표현된다.


  • Haloy ka duman sa saod? (나가 시: 표준 비콜어 방언)
  • Naeban ika sadto sa sa-ran? (이리가 시)
  • Uban ika adto sa saod? (리본 지역)
  • Huray ka doon sa saod? (판단 지역)
  • Naegey ika adto sa sa-ran? (부히 지역)
  • Eley ka idto sa sed? (오아스 지역)
  • Dugay ka didto sa palengke? (티카오 지역)
  • Awat ka didto sa plasa? (구밧 지역)

5. 소수 언어 및 멸종 위기 언어

(두마가트(Dumagat), 디카마이 두마가트(Dicamay Dumagat))0이사벨라주(Isabela (province))duy아르타(Arta)0이사벨라-키리노 접경 지역 부근(near Isabela-Quirino Border)atz카타바가(Katabaga)0케손(Quezon)ktq아타(Ata)0네그로스오리엔탈주(Negros Oriental)atm



2014년 노스다코타 대학교 연구에서는 30개의 멸종 위기 언어를 확인했다.[51] 이 목록에 있는 모든 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인 네그리토(Negrito) 언어이다.

언어화자의 일반적인 지역[51]1990년대 화자 수[51]
바탁(Batak)팔라완섬(Palawan Island)386
마만와(Mamanwa)민도로섬(Mindoro Island)1000
아티(Ati)북부 파나이섬(Panay Island)30
아티(Ati)남부 파나이섬(Panay Island)900
아타(Ata)네그로스섬(Negros Island)450
아타(Ata)네그로스오리엔탈주 마비나이(Mabinay, Negros Oriental)25
아타(Atta)카가얀주 팜플로나(Pamplona, Cagayan) 서부 카가얀주(Cagayan)1000
아타(Atta)Faire-Rizal영어, 서부 카가얀(Cagayan)400
아타(Atta)아파야오주 푸드톨(Pudtol, Apayao), 칼링가-아파야오(Kalinga-Apayao)100
아타(Ayta)소르소곤주(Sorsogon)40
아그타(Agta) (멸종, 미확인)압라주 빌라비시오사(Villaviciosa, Abra)0
아벤렌(Abenlen)타를락주(Tarlac)6000
마간치(Mag-anchi)잠발레스주(Zambales) 타를락(Tarlac), 팜팡가주(Pampanga)4166
마긴디(Mag-indi)잠발레스(Zambales), 팜팡가(Pampanga)3450
암발라(Ambala)잠발레스(Zambales), 팜팡가(Pampanga), 바탄주(Bataan)1654
마그베켄(Magbeken)바탄(Bataan)381
아그타(Agta)카마리네스수르주 이사로그(Isarog, Camarines Sur) (거의 멸종으로 간주됨)1000
아그타(Agta)이라야산(Mt. Iraya) & 부히호(Lake Buhi) 동부, 카마리네스수르(Camarines Sur) (4개의 가까운 방언 존재)200
아그타(Agta)이리가산(Mt. Iriga) & 부히호(Lake Buhi) 서부, 카마리네스수르(Camarines Sur)1500
아그타(Agta)카마리네스노르테주(Camarines Norte)200
아그타(Agta)케손주 알라밧섬(Alabat Island, Quezon) 남부 케손주(Quezon)50
아그타(Agta)우미레이(Umirey), 케손(Quezon) (3개의 가까운 방언 존재)3000
아그타(Agta)아우로라주 카시구란(Casiguran, Aurora) 북부 아우로라주(Aurora (province))609
아그타(Agta)키리노주 마델라(Maddela, Quirino)300
아그타(Agta)이사벨라주 팔라난(Palanan, Isabela) & 이사벨라주 디빌라칸(Divilacan, Isabela)856
아그타(Agta)이사벨라주 산마리아노(San Mariano, Isabela)-시사붕간(Sisabungan), 이사벨라주(Isabela (province))377
아그타(Agta) (최근 멸종으로 간주됨)디카마이(Dicamay), 이사벨라주 존스(Jones, Isabela), 이사벨라(Isabela)0
아르타(Arta)키리노주 아글리페이(Aglipay, Quirino)11 (1977년에는 30명)
알타(Alta)북부 아우로라(Aurora)250
알타(Alta)북부 케손(Quezon)400
아그타(Agta)동부 카가얀(Cagayan), 수파니남(Supaninam) (여러 가까운 방언 존재)1200
아그타(Agta)중부 카가얀(Cagayan)800


6. 이주민 언어

필리핀에는 여러 이주민들의 언어가 존재한다.

6. 1. 주요 이주민 언어

7. 언어 보존 노력

계단의 발판에 필리핀의 여러 지역 언어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아래로 필리핀어, 타갈로그어/필리핀어(바이바인으로 표기), 세부아노어, 비콜어, 일로카노어, 팜팡가어, 힐리가이논어입니다. 문구를 영어로 대략 번역하면 "[만나서 함께합시다. 크리스마스는 UP 마닐라에서 재밌습니다.]"입니다.


필리핀에는 다양한 언어를 보존하기 위한 여러 제안이 있었으며, 필리핀어 위원회에 따르면 135개의 민족언어 집단이 각각 고유한 필리핀어를 사용한다. 주요 제안으로는 전국 135개 언어 사전 작성, 비디오 기록, 고대 문자 부활, 모국어 우선 교육, 공공 표지판 모국어 표기 등이 있다.[52]

현재 필리핀 정부는 이 중 모국어 우선 교육 정책만 실시하고 있으며, 국가 문자 법안이 의회에 제출되었지만 필리핀어와 호환되는 고대 문자 사용만 의무화하고 있다.[53]

7. 1. 주요 제안 내용

필리핀의 다양한 언어를 보존하기 위한 여러 제안이 있었다. 필리핀어 위원회에 따르면, 필리핀에는 각각 고유한 필리핀어를 사용하는 135개의 민족언어 집단이 있다.

주요 제안 내용은 다음과 같다.[52]

# 전국 135개의 살아있는 언어 각각에 대한 "사전 및 문장 구성 설명서" 작성

# 모든 필리핀 언어의 "비디오 기록"

# 각 민족 집단의 고유한 문자를 되살리고 학교에서 현재 사용되는 로마자와 함께 사용하는 "필리핀 고대 문자의 부활"(해당 문자가 알려진 지역 사회)

# 필리핀어와 외국어(영어, 스페인어, 아랍어)를 가르치기 전에 가정과 학교에서 "먼저 모국어를 가르치는 것"

# 예를 들어 세부아노어를 먼저 사용하고 그 아래에 필리핀어와 영어를 표기하는 것과 같이 "공공 표지판에 먼저 모국어와 문자를 사용하는 것"(그 뒤에 필리핀어와 외국어(영어, 스페인어, 아랍어) 및 문자를 표기)

현재 필리핀 정부는 네 번째 제안만 실시하고 있다.[52] 세 번째와 다섯 번째 제안을 지지하는 국가 문자 법안이 의회에 제출되었지만, 이 법안은 필리핀어와 호환되는 고대 문자의 사용만을 의무화하고 있다.[53]

7. 2. 현재 정책

필리핀 정부는 현재 모국어 우선 교육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52] 국가 문자 법안이 의회에 제출되었지만, 이 법안은 필리핀어와 호환되는 고대 문자의 사용만을 의무화하고 있다.[53]

참조

[1] 법률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rticle XIV, Section 7
[2]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s://www.ethnolog[...] 2017-09-28
[3] 논문 Subgrouping and Number of Philippine Languages
[4] 간행물 Atlas Filipinas Komisyon sa Wikang Filipino
[5] 웹사이트 What languages are spoken in the Philippines? https://www.futurele[...] Future Learn 2022-07-11
[6] 논문 A Study of Philippine Hokkien Language https://etds.lib.ntn[...]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2017
[7] 웹사이트 Exploring trilingual code-switching: The case of 'Hokaglish' (PDF Download Available) https://www.research[...] 2016-05-01
[8]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and Malaysia* https://asj.upd.edu.[...]
[9] 뉴스 Filipino, not English, is the country’s lingua franca https://opinion.inqu[...] Inquirer 2014-02-27
[10]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11106 An Act Declaring the Filipino Sign Language as the National Sign Language of the Filipino Deaf and the Official Sign Language of Government in All Transactions Involving the Deaf, and Mandating Its Use in Schools, Broadcast Media, and Workplaces https://www.official[...]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18-10-30
[11]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12] 법률 Article XIV Section 7
[13] 뉴스 DepEd adds 7 languages to mother tongue-based education for Kinder to Grade 3 http://www.gmanetwor[...] 2013-07-13
[14] 웹사이트 DepEd Order No. 60, 2008 https://www.deped.go[...]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08-08-27
[15] 웹사이트 DepEd Order No. 74, 2009 https://www.deped.go[...]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09-07-14
[16] 웹사이트 DepEd Curriculum Guide 2013 https://www.deped.go[...]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7] 웹사이트 DepEd open to more dialogue on improvement of MTB-MLE implementation https://www.deped.go[...] DepEd
[18] 웹사이트 Philippines – Education http://countrystudie[...]
[19] 법률 Malolos Constitution, Article 93
[20] 뉴스 America's shameful rapprochement to the Franco dictatorship https://english.elpa[...] 2018-10-23
[21] 웹사이트 Speech of His Excellency, Manuel L. Quezón,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on Filipino national language. http://www.quezon.ph[...] 1937-12
[22] 논문 The Language Planning Situation in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155 : Philippine Laws, Statutes and Codes http://www.chanroble[...]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24] 법률 Article XIV, Sec 7
[25] 웹사이트 Commission on the Filipino Language Act http://www.chanroble[...] Chan Robles Law Library
[26] 웹사이트 Resolusyon Blg. 92–1 http://wika.pbworks.[...] Commission on the Filipino Language 1992-05-13
[27] 뉴스 DepEd adds 7 mother-tongue languages in K to 12 https://www.rappler.[...] 2013-07-12
[28] 뉴스 K to 12 and beyond: A look back at Aquino's 10-point education agenda https://www.rappler.[...] 2016-06-24
[29]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11106 https://www.official[...]
[30] 서적 The Modern World: Civilizations of Africa, Civilizations of Europe, Civilizations of the Americas, Civilizations of the Middle East and Southwest Asia, Civilizations of Asia and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31] 서적 Fighting Words: Language Policy and Ethnic Relations in Asia https://books.google[...] MIT Press
[32] 논문 The Spanish overlay in Tagalog 1965-01-01
[33] 논문 Types of Borrowings in Tagalog/Filipino https://www.research[...] 2017-03-20
[34] 논문 The Hispanic Moros y Cristianos and the Philippine Komedya http://philippineper[...]
[35] 서적 Loanwords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arative Handbook De Gruyter Mouton
[36] 뉴스 Bahasa in schools? DepEd eyes 2nd foreign language http://www.philstar.[...] 2013-06-11
[37] 서적 Hokkien Chinese borrowings in Tagalog https://archive.org/[...] Dept. of Linguistics, School of Pacific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38] 서적 Culture and history Pasig
[39] 서적 Tagalog Borrowings and Cognates https://books.google[...] Lulu Press, Inc.
[40] 뉴스 Mexico, our older sister https://news.mb.com.[...] 2018-04-13
[41] 웹사이트 Maraming Wika, Matatag na Bansa – Chairman Nolasco http://wika.pbworks.[...] Commission on the Filipino Language 2007-10-04
[42] 뉴스 Arroyo wants Spanish language in schools https://gulfnews.com[...] 2018-08-06
[43] 뉴스 The Philippines is fronting up to its Spanish heritage, and for some it's paying off https://www.abc.net.[...] 2020-12-23
[44] 학술지 Nihongo No Benkyou: Why and How Filipinos Learn Japanese Language https://www.academia[...]
[45] 웹사이트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apan and Philippine Cultures https://www.slidesha[...] 2012-06-26
[46]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47] 웹사이트 Tagalog is the Most Widely Spoken Language at Home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2023-03-07
[48] 학술지 A Gujarati Origin for Scripts of Sumatra, Sulawesi and the Philippines https://escholarship[...]
[49] 웹사이트 National Philippine Proverb in Various Philippine Languages https://iloko.tripod[...]
[50] 웹사이트 Household Population, Number of Households, and Average Household Size of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2023-03-13
[51] 학술지 Thirty endangered languages in the Philippines https://www.research[...]
[52] 보도자료 Mother Tongue-Based Learning Makes Lessons More Interactive and Easier for Students https://www.deped.go[...] DepEd 2016-10-24
[53] 뉴스 A primer on Baybayin http://www.gmanetwor[...] 2018-08-06
[54] 뉴스 Muslim education program gets P252-M funding http://business.inqu[...]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1-07-13
[55] 웹사이트 3 Bulacan courts to use Filipino in judicial proceedings https://globalnation[...] 2007-08-22
[56]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still grappling with English http://english.safe-[...] Forum for a safer democracy 2015-02-15
[57]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8] 학술지 Compelling Memories and Telling Archival Documents and Photographs: The Search for the Baguio Japanese Community https://asj.upd.edu.[...]
[59] 웹사이트 Philippinealmanac.com http://www.philippin[...] 2015-03-15
[60] 웹사이트 Quests of the Dragon and Bird Clan http://sambali.blogs[...] 2015-03-15
[61] 웹사이트 Ancient Japanese pottery in Boljoon town http://newsinfo.inqu[...] 2015-03-15
[62] 웹사이트 Philippines History, Culture, Civilization and Technology, Filipino http://asiapacificun[...] 2015-03-15
[63] 웹사이트 Korean, foreign languages not Filipino subject replacement: DepEd http://www.pna.gov.p[...] 2018-12-12
[64] 웹사이트 Indonesian Language Club – Embassy of Indonesia – Washington D.C. http://www.embassyof[...]
[65] 웹사이트 Going Banana http://thephilippine[...] 2015-03-15
[66] 웹사이트 KINDING SINDAW http://tabacofamily.[...]
[67] 웹사이트 The Indian in the Filipino http://globalnation.[...] 2015-03-15
[68] 서적 Rising India and Indian Communities in East A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5-03-15
[69] 서적 Indian Communities in Southeast Asia (First Reprint 2006)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5-03-15
[70] 웹사이트 Estadisticas: El idioma español en Filipinas http://buscoenlaces.[...] 2015-03-15
[71] 뉴스 El español resiste en Filipinas https://www.coolt.co[...] El País 2021-05-19
[72] 웹사이트 Spanish language in Philippines http://www.spanish-i[...] 2015-03-01
[73] 저널 Subgrouping and Number of Philippine Languages Secretary of Education, Culture and Sports
[74] 법률 필리핀 헌법 제14조 7항
[75] 뉴스 DepEd adds 7 languages to mother tongue-based education for Kinder to Grade 3 http://www.gmanetwor[...] GMA News 2013-07-13
[76] 법률 헌법 제14조 7항
[77]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Eigh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78] 통계자료 Philippine Census, 2000. Table 11.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Sex and Region: 2000
[79] 웹사이트 An Satuyang Tataramon - Ethnologue. Central Bicolano (Dialects: Naga, Legazpi, Daet, Partido, and Vir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