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플로그룹 N (Y-DNA)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플로그룹 N (Y-DNA)은 약 44,700년 전 하플로그룹 NO에서 분기되어 동아시아, 북아시아, 북유럽을 거쳐 아메리카 대륙까지 확산된 Y 염색체 하플로그룹이다. 하플로그룹 N은 주로 우랄 민족, 튀르크 민족, 퉁구스 민족 등 유라시아 북부 민족에게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도 발견된다. 하위 계통으로는 N1, N2 등이 있으며, N1a1a-CTS2929/VL29는 발트-핀어군에서, N1b-F2930/M1881/V3743은 중국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 하플로그룹은 우랄어족, 빗살무늬 토기 등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류 Y-DNA 하플로그룹 - 하플로그룹 K (Y-DNA)
    하플로그룹 K는 약 47,000~50,000년 전 중동 또는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Y-염색체 DNA 하플로그룹으로, 하위 계통인 L, T, NO, M, S, P 등을 통해 유라시아,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대륙 등 전 세계에 분포한다.
  • 인류 Y-DNA 하플로그룹 - Y염색체 아담
    Y염색체 아담은 현존하는 모든 인류의 부계 혈통을 따라 올라갈 때 만나는 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을 지칭하는 비유적인 용어이며, 단 한 명의 남성이 아닌 Y염색체에 돌연변이가 발생하기 이전의 남성 집단을 의미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하플로그룹 N (Y-DNA)
Y-DNA 하플로그룹 N
개요
기원 시기36,800년 전 (95% 신뢰 구간: 34,300–39,300년 전) (YFull)
기원 장소북동 동아시아
TMRCA (가장 최근 공통 조상)21,700년 전 (95% 신뢰 구간: 19,500–23,900년 전) (YFull)
조상 하플로그룹NO
돌연변이M231
분포
주요 분포 지역북아시아, 유럽 북동부
높은 빈도 민족응가나산족 58%–94.1%
야쿠트족 81.8%–94.6%
하카스족 (시린스키 지구) 90.2%
시베리아 타타르족 33.5% (자볼로트니에 타타르족 89.5%, 이스케로-토볼 23.5%, 시베리아 부하라족 16.5%, 얄루토로프 16.3%, 이시탸크-토쿠즈 14.5%)
우그리아족 77.8% (한티족 64.3%–89.3%, 만시족 76%)
우드무르트족 77.8%
하카스족 41%–65%
코미족 33.3%–79.5%
네네츠족 75%–92.9% (툰드라 네네츠 97.9%, 삼림 네네츠 98.8%)
볍스족 55%
핀란드인 42.6% (서부)–70.9% (동부) 또는 약 54%–58.8%
투바인 27.2–54.5%
나나이족 46.2% (중국 헤저족 20%, 러시아 나나이족 44.6%, 하바롭스크 지방 고린 지역 사마르 씨족 구성원 83.8%)
카렐리야인 37.1%–53.8%
아르한겔스크주 러시아인 42.6% (아르한겔스크 44.3%, 피네가 40.8%)
리투아니아인 40.5%–44.5%
라트비아인 약 42% (41.6%, 42.1%, 43.0%)
마리인 41.2%
사미족 40%
추바시인 33.7%–36%
부랴트족 34.5% (20.2%, 25.0%, 30.9%, 48.0%)
코랴크족 33.3%
에스토니아인 30.6%-33.9%
볼가 타타르족 27.8%
텔레우트족 25.0%
북부 알타이인 21.8% (18.0%–24.6%)
프스코프주 러시아인 22.7%
러시아인 20%
바시키르인 17.3%
시버족 17.1%–18.0%
모르드바인 12.5% (10%–13.3%)
몽골족 11%
칼미크족 10.4% (토르구트족 3.4%, 도르베트 오이라트족 5.1%, 부자바 5.3%, 호슈트족 38.2%)
만주족 10% (5.8%, 8.1%, 9.1%, 11.6%, 12.5%, 14.3%)
벨라루스인 9.7%
중남부 러시아인 9.1% (트베리주 13.2%, 쿠르스크주 12.5%–13.3%, 벨고로드주 11.9%, 코스트로마주 11.8%, 스몰렌스크주 7.0%, 보로네시주 6.3%, 오룔주 5.5%)
우크라이나인 9.0%
남부 알타이인 7.1% (4.2%-9.7%)
무라오족 7.1%
스웨덴 6.8% (베스트라예탈란드주, 할란드주, 말뫼, 옌셰핑 0% - 베스테르보텐주 19.5%)
한족 6.77% (0% ~ 21.4%)
한국인 6.58% (4.41% ~ 12%) (12% 한국인, 6.58% 한국인 (KPGP: Korean Genome Project), 6.9% 제주, 6.4% 고창, 6.3% 강원, 5.7% 북한, 4.8% 경상, 4.4% 전라, 4.2% 충청, 4.0% 서울, 3.0% 대전, 1.8% 서울-경기)
울치족 5.8%
티베트인 5.65%
카자흐족 5.33% (수안 0%, 캉글리 0%, 오샤크티 0%, 제티루 1.2%, 둘라트 1.6%, 아르긴 2.0%, 알리물리 2.5%, 이스티 3.5%, 바이울리 3.9%, 알반 4.3%, 콩기라트 7.4%, 키프샤크 10.3%, 잘라이르 10.9%, 코자 16.7%, 시르겔리 65.6%)
북부 타이족 5.2%
위구르족 4.89% (2.8%, 4.8%, 4.99%, 6.0%, 8.6%)
키르기스족 3.9% (키질수 2.8%, 키질수 3.3%, 키르기스스탄 4.5%, 우루무치 10%)
베트남인 3.4%
일본인 1.9% (0%, 0.8%, 0.9%, 1.7%, 2.5%, 4.3%, 4.8%, 6.4%)

2. 유래

지금으로부터 약 48,871년 전에 존재했던 하플로그룹 NO로부터 약 44,700년 전에 하플로그룹 O와 하플로그룹 N이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116][117][118] 하플로그룹 N-M231은 약 2만 년 전 동아시아에서 발생했으나, 유라시아 대륙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 중국몽골 지역을 거쳐 북아시아로 이동해 동북유럽 지역까지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40] 이는 홀로세에 들어서면서 기온이 따뜻해지자 해당 표지를 지닌 남성들이 북쪽으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도 N-M231이 발견되는 것은 베링 육교를 통해 인류가 아메리카로 이동했음을 시사한다.[41]


3. 분포

하플로그룹 N은 유라시아 북부 전역에 걸쳐 넓은 지리적 분포를 보이며, 중앙아시아와 발칸 반도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도 가끔 관찰된다. 이러한 분포는 하플로그룹 N이 비교적 최근에 나타났다는 추정을 뒷받침한다.[37][37]

일반적으로 N-M231은 약 19,400 (±4,800)년 전에 동아시아에서 발생하여 최후 빙하기 이후 북유라시아에 정착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유전자를 지닌 남성들은 기후가 온난해짐에 따라 홀로세에 북쪽으로 이동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 결국 페노스칸디아발트 3국과 같이 멀리 떨어진 지역에 집중하게 되었다.[40]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 하플로그룹 N-M231이 부족한 것은 이것이 약 11,000년 전에 베링기아가 침수된 후에 확산되었음을 시사한다.[41]

3. 1. 지역별 분포

하플로그룹 N은 유라시아 북부 전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며, 중앙아시아와 발칸 반도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우랄 민족(마리인, 우드무르트인, 코미인, 한티인, 만시인, 네네츠인, 응가나산인), 튀르크 민족(야쿠트족, 돌간인, 하카스인, 투바인, 타타르인, 추바슈인 등), 부랴트족, 퉁구스 민족(에벤키인, 에벤인, 네기달인, 나나이인 등), 유카기르족, 루오라베틀란족(추크치인, 코랴크인) 및 시베리아 에스키모인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42]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서 흔하며, 중국(이족, 나시족, 로바족, 한족 등)에서도 낮은 빈도로 발견된다.[42] 특히 북유럽의 핀족과 발트어군 민족, 서시베리아의 오브-우그르어군 및 북부 사모예드 민족, 그리고 러시아의 튀르크어군 민족 (특히 야쿠트족)에서 두드러진다.

N1b-F2930/M1881/V3743 또는 N1*-CTS11499/L735/M2291(xN1a-F1206/M2013/S11466)에 속하는 Y 염색체는 중국에서 발견되었으며(전체 Y-DNA의 약 3.62%[43]) 유라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도 산발적으로 발견된다. N1a-F1206/M2013/S11466의 N-CTS6128/M2048 및 N-P43 하위 분류군은 북부 유라시아에서 높은 수치로 발견된다. 그러나 N1a-F1206(xCTS6128, P43)의 구성원은 현재 주로 중국 북부와 한국에서 발견된다.

하플로그룹 N의 다른 주요 하위 분류군인 N2-Y6503은 극히 드물며, 주로 구 유고슬라비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세르비아몬테네그로), 헝가리오스트리아를 구성하는 국가에 사실상 제한된 최근 형성된 하위 분류군에 의해 현존하는 인간 중에서 대표된다. N2-Y6503의 다른 구성원에는 부코비나수체아바 출신으로 최근 조상을 둔 헝가리인, 슬로바키아인, 소수의 영국인, 그리고 알타이인이 있다.[38]

2014년에 N1 하플로그룹의 하위 그룹 정의에 큰 변화가 있었다. LLY22g는 "회문 마커이며 쉽게 오해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어, N1의 주요 정의 SNP에서 제외되었다.[44]

이전 연구에서는 N-LLY22g가 중국 사천성 부토 현의 이족에서 최대 30%(13/43)의 빈도로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48][49][50] 또한, 로바족의 34.6%에서 발견된다.[50] N1*-LLY22g는 한족의 표본에서 발견되었지만, 그 빈도는 매우 다양하다.

지역한족 N1*-LLY22g 빈도
시안6.8% (3/44)[48][49]
란저우6.7% (2/30)[12]
대만3.6% (3/84)[48]
청두2.9% (1/34)[12]
하얼빈2.9% (1/35)[12]
메이셴 구2.9% (1/35)[12]
이닝 시0% (0/32)[12]



N1*-LLY22g의 대표자가 발견된 다른 집단은 다음과 같다.

민족N1*-LLY22g 빈도
하니족11.8% (4/34)[12]
시버족9.8% (4/41)[12]
토가족4.1% (2/49)[48]
만주족3.8%[48] ~ 5.7%[12]
비트족3.6% (1/28)[51]
위구르족2.9%[12] ~ 3.0%[48]
티베트족2.9%[48] ~ 8.6%[12]
한국인0.0%[40] – 8%[52]
베트남인2.9% (2/70)[48]
일본인0%(도쿠시마) – 7.7%(아오모리현)[48]
만주의 에벤키족0.0%[12] ~ 2.4%[48]
알타이족북부 0/50 ~ 남부 5/96 = 5.2%, 또는 베슈펠티르 0/43 ~ 쿨라다 5/46 = 10.9%[48][9]
쇼르인8.7% (2/23)[40]
하카스인2.8% (5/181)[40]
투바인1.6% (5/311)[40]
남부 보르네오2.5% (1/40)[40]
숲 네네츠인1.1% (1/89)[40]
야쿠트족0/215 – 0.8% (1/121)[40]
튀르크인0.2% (1/523)[40]
네팔 카트만두1.3% N-M231(xM128,P43,Tat) (1/77)[53]



현대 일본에서는 하플로그룹 N-M231에 속한다고 추정되는 Y-DNA가 평균적으로 약 50명 중 1명(약 2%)의 남성에게서 검출되고 있다.

지역N-M231 비율
아오모리7.7% (2/26)
도쿠시마5.3% ~ 7.1% (최대 5/70)
후쿠오카시 성인 남성3.9% (최대 4/102)
삿포로시 성인 남성3.9% (최대 8/206)
규슈3.8% (최대 2/53)
가나자와시 성인 남성3.4% (최대 8/232)
삿포로시 대학생3.3% (최대 10/302)
가나자와시 대학생3.0% (최대 9/298)
도쿠시마시 대학생2.6% (최대 10/388)
오사카시 성인 남성2.5% (최대 6/241)
나가사키시 대학생2.3% (최대 7/300)
오키나와2.3% (2/87)
구마모토현2.1% (1/47)
주고쿠 지방2.0% (1/49)
이바라키현2.0% (1/50)
가와사키시 대학생1.9% (최대 6/321)
시즈오카1.6% (1/61)
가고시마현1.3% (2/151)
일본 전국0.9% (4/432)
나고야0.5% ~ 1.0% (1/207 또는 2/207)
미야자키현0.6% ~ 0.7% (8/1285 또는 9/1285)
사가현, 나가사키현, 후쿠오카현, 오이타현, 시코쿠, 야마구치현, 오키나와, 도쿄0%


3. 1. 1. 유럽

하플로그룹 N은 유라시아 북부 전역에 넓게 분포하며, 중앙아시아와 발칸 반도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도 종종 발견된다.

러시아 토착 민족을 포함한 우랄 민족(마리인, 우드무르트인, 코미인, 한티인, 만시인, 네네츠인, 응가나산인)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핀란드에서는 하플로그룹 N-M178이 약 60%로 나타난다. 라트비아인리투아니아인에서 약 40%, 에스토니아인에서 35%의 빈도를 보이며 시베리아보다 북유럽에서 평균 빈도가 더 높다.[60][61]

3. 1. 2. 시베리아

하플로그룹 N은 유라시아 북부, 특히 시베리아 지역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다음은 시베리아 지역의 주요 민족별 하플로그룹 N의 분포율이다.

민족분포율 (%)
응가나산인92[121]
야쿠트인75-84[121]
네네츠인75[121]
투바인27.2-54.5[121]
에벤키족20-60[123]
추크치인58[124]
유카기르인31[126]
부랴트족20.2[177] - 48.0[178]
나나이족17.8[192]
시버족17.1[179]-18.0[188]
몽골인11[180][184][179][199][181][183]
칼미크인10.4[182][183]
만주족약 10
울치족5.8[192]



랴오허 문명 유적에서도 하플로그룹 N이 높은 비율로 발견된다.


  • 우허량 (6500–5000 BP): 66.7% (=4/6)[115]
  • 하라하이거우 (5000–4200 BP): 100.0% (=12/12)[115]
  • 다뎬쯔 (4200–3600 BP): 60.0% (=3/5)[115]


우랄어족, 튀르크 민족, 퉁구스 민족 등 시베리아의 여러 민족에게서 하플로그룹 N이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42]

3. 1. 3. 동아시아

민족빈도출처
한족0%~15%Hammer 2005, Karafet 2001, Xue 2006[45]
하니족11.8%
시버인9.8%
만주족3.8%~5.7%Hammer 2005, Xue 2006
티베트인2.9%~8.6%Hammer 2005, Xue 2006
한국인0.0%~8%Rootsi 2006, Xue 2006, Kim 2007
일본인0%~7.7%Hammer 2005



요하 문명으로 분류되는 여러 유적의 유골에서도 하플로그룹 N이 나타난다.


  • Niuheliang (기원전 6500년~기원전 5000년) 66.7%(=4/6)
  • Halahaigou (기원전 5000년~기원전 4200년) 100.0%(=12/12)
  • Dadianzi (기원전 4200년~기원전 3600년) 60.0%(=3/5)


하플로그룹 N은 동아시아에서 낮은 빈도로 발견된다.[42] 현대 일본에서는 하플로그룹 N-M231에 속한다고 추정되는 Y-DNA가 평균적으로 약 50명 중 1명(약 2%)의 남성에게서 검출되고 있다.

하플로그룹 N의 다른 주요 하위 분류군인 N2-Y6503은 극히 드물며, 주로 구 유고슬라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헝가리 및 오스트리아를 구성하는 국가에 사실상 제한된 최근 형성된 하위 분류군에 의해 현존하는 인간 중에서 대표된다.

3. 2. 고대 인골에서의 발견

랴오 문명과 시베리아 남부 바이칼호 주변 지역에서 발굴된 많은 신석기 시대 인골 표본에서 하플로그룹 N이 발견되었다.[54] yDNA N은 12,000~14,000년 전에 시베리아 남부에 도달했고, 거기서 8,000~10,000년 전에 남유럽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37]

하플로그룹 N1*는 원통형 토기의 담당자이며, N1*이 관찰되는 랴오허 지역이나 프리모르스키 지방, 일본도호쿠 지방 북부, 홋카이도 남부에서 원통형 토기가 발견되고 있다. 또한 하위 계통인 N1a1은 빗살무늬 토기의 담당자이며[210], 한반도에서 랴오허 지역, 몽골, 시베리아, 발트해 연안, 북유럽 등에서 발견되며[211], N1a1에 속하는 우랄어족(핀우고르족)의 확산과 대응하고 있다.

4. 하위 계통

하플로그룹 N-M231은 지금으로부터 약 2만 년 전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했으나, 유라시아 대륙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 중국몽골 지역을 거쳐 북아시아로 이동해 동북유럽 지역까지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214] 홀로세에 들어 기온이 따뜻해지자 북쪽으로 이동했으며,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도 발견되어 베링 육교를 통한 인류 이동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44]

'''N M231/Page91, M232/M2188'''[44]


  • N-M231*: 중국에서 낮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한족 남성 165명 중 2명(1.2%)이 N*에 속했는데, 각각 광저우와 시안 출신이었다.
  • N1 (CTS11499, Z4762, CTS3750): 2014년 LLY22g SNP의 신뢰성 문제로 N1의 정의가 변경되었다. N1은 N2-Y6503을 제외한 모든 N-M231 하위 그룹의 공통 조상이며, TMRCA는 약 18,000년 전이다.
  • 이전 연구에서 N-LLY22g는 이족에서 최대 30%, 로바족에서 34.6% 빈도로 보고되었다. 한족 표본에서는 지역별로 빈도가 다양하다.
  • 기타 N1\*-LLY22g 발견 집단: 하니족(11.8%), 시버족(9.8%), 토가족(4.1%), 만주족(3.8%~5.7%), 비트족(3.6%), 위구르족(2.9%~3.0%), 티베트족(2.9%~8.6%), 한국인(0.0%~8%), 베트남인(2.9%), 일본인(0%~7.7%), 에벤키족(0.0%~2.4%), 알타이족(0%~10.9%), 쇼르인(8.7%), 하카스인(2.8%), 투바인(1.6%), 남부 보르네오(2.5%), 숲 네네츠인(1.1%), 야쿠트족(0.0%~0.8%), 튀르크인(0.2%)
  • N1(xN1a, N1c)는 요하 문명 유적에서 고빈도로 발견되었다.
  • 우허량 유적(홍산 문화): 66.7%
  • 할라하이거우(샤오허옌 문화): 100.0%
  • 다뎬쯔(하부 샤자뎬 문화): 60.0%
  • N-CTS4309: 이라크에서 발견된 매우 희귀한 하위 그룹.

  • *'''N1-Z4762/CTS11499/L735/M2291'''

5. 계통수



하플로그룹 NO-M214에서 약 44,700년 전에 O와 N이 분기되었다.[38][39][1] N-M231은 2만 년 전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했으나 유라시아 대륙을 반시계방향으로 돌아 중국몽골 지역을 거쳐 북아시아로 이동해 동북유럽 지역까지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홀로세에 들어서면서 기온이 따뜻해지자 해당 표지를 지닌 남성들이 북쪽으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베링 육교를 통해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도 N-M231이 발견된다.[40][41]

하플로그룹 N-M128은 마커 M128의 존재로 정의된다. 일본, 중앙아시아시베리아 샘플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65][25][66][48][12] 이후 만주족, 시버족, 에벤키족, 한국인, 한족, 회족, 티베트족, 베트남인, 부이족, 카자흐족, 우즈베크족, 위구르족, 살라족, 토족, 몽골족, 칼미크족의 부자바 부족,[67] 하카스족, 코미족 등에서 낮은 빈도로 발견되었다.[40] 요나라와 거란족 후손인 야율씨 가문은 N-M128의 하위 그룹인 N-F1998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플로그룹 N-P43은 마커 P43의 존재로 정의된다. 북부 사모예드족, 오브-우그리아어 화자, 북부 하카스인 사이에서 매우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으며,[40][75][76][77][78][55][79] 우랄어족 언어, 튀르크족, 몽골족, 퉁구스족, 시베리아 유픽족 화자 사이에서도 낮거나 중간 빈도로 관찰되었다. 유럽에서는 볼가-우랄 인구 집단에서 20%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40]

'''계통수'''


  • '''NO-M214'''
  • *N-M231/Page91, M232/M2188
  • **N1-Z4762/CTS11499/L735/M2291

N1a-L729

*N-Z1956

**N-Y149447 ''중국 (산시[38])''

**N1a1-M46/Page70/Tat

***N1a1a-M178

N1a1a1-F1419

*N1a1a1a-L708

**N1a1a1a1-P298/M2126 ''중국 (우루무치, 카슈가르 지구, 투르판, 아커쑤 지구, 시안, 진청, 카이펑, 치치하얼[92])''

***N1a1a1a1a-L392

N1a1a1a1a1-CTS10760

*N1a1a1a1a1a-CTS2929/VL29 ''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 에스토니아인, 북서부 러시아인, 스웨덴 사미, 카렐리아인, 네네츠, 핀란드인, 마리인에게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며, 기타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 폴란드인에게서 중간 빈도로, 코미, 모르도바인, 타타르인, 추바슈인, 돌간인, 베프사인, 셀쿠프인, 카라노가이인, 바슈키르인에게서 낮은 빈도로 발견됨''[55]

**N1a1a1a1a1a1-Z4908

***N-Y46443

N-Y46443* ''러시아 (모스크바주[38])''

N-BY33095 ''러시아 (사마라주[38])''

***N1a1a1a1a1a1a-L550/S431

N-L550* ''스웨덴 (크로노베리주[38])''

N-Y9454 ''스웨덴 (베스트라예탈란드주,[38] 외레브로주[38]), 핀란드,[38] 러시아[38]''

N-Y20911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남핀란드 주[38])''

N-Y7795

*N-Y7795* ''스웨덴 (노르보텐주,[38] 쇠데르만란드주[38])''

*N-Y29766 ''노르웨이 (헤드마르크[38])''

*N-Y20918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주,[38] 베스테르보텐주[38]),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N-Y28771

**N-Y61225 ''스웨덴 (쇠데르만란드주,[38] 웁살라주[38])''

**N-Y30126

***N-Y30126*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주[38])''

***N-Y29764

N-Y29764* ''스웨덴 (스톡홀름주[38])''

N-Y30123 ''스웨덴 (베스테르보텐주[38]), 핀란드[38]''

N-S9378

*N-S9378* ''스웨덴 (베스트라예탈란드주[38])''

*N-S18447 ''스웨덴 (쇠데르만란드주,[38] 웁살라주[38])''

*N-Y36282

**N-Y36282* ''핀란드 (남핀란드 주[38]), 에스토니아 (이다비루마[38])''

**N-BY21957 ''폴란드 (쿠야브스코포모르스키에[38]), 스웨덴 (스톡홀름주[38]), 러시아 (프스코프주[38]), 핀란드 (남핀란드 주[38])''

N-FGC14542

*N-FGC14542* ''핀란드 (동핀란드 주[38])''

*N-BY21938 ''노르웨이 (헤드마르크[38]), 스웨덴 (달라나주[38])''

*N-Y17113 ''영국 (서퍽,[38] 스코틀랜드[38]), 캐나다 (매니토바[38]), 노르웨이 (베스트폴,[38] 부스케루[38]), 스웨덴 (베스트라예탈란드주[38])''

N-Y4341

*N-BY21874 ''스웨덴 (쇠데르만란드주[38]), 핀란드[38]''

*N-Y4338

**N-Y4338*

**N-Y4339 ''스웨덴 (중세 시대의 시그투나[38])''

***N-Y12104

N-Y12104*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주[38])''

N-Y12103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스웨덴,[38] 노르웨이 (헤드마르크[38])''

***N-Y19111

N-Y57577 ''스웨덴 (스쿠네주[38])''

N-Y22774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N-Y5611

N-Y5611* ''잉글랜드[38]''

N-Y21546 ''스웨덴 (스톡홀름주,[38] 베스트만란드주[38])''

N-F1983 ''스웨덴 (예블레보리주[38]), 러시아 (리페츠크주[38])''

***N-Y10932

N-Y85136 ''스웨덴 (웁살라주[38])''

N-Y10931 ''러시아[38]''

N1a1a1a1a1a1a1-L1025/B215 리투아니아인에게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라트비아인에스토니아인에게서 유의미하게, 벨라루스인에게서는 덜 나타난다. 우크라이나인, 남서부 러시아인, 폴란드인에게서도 나타난다. 에스토니아인을 제외하고, L1025는 앞서 언급된 인구 집단에서 N-M231 분기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또한 핀란드스웨덴에서도 관찰되었으며, 노르웨이, 독일, 네덜란드, 영국, 아조레스 제도, 체코, 슬로바키아에서도 산발적으로 나타난다.

*N-L1025* ''러시아 (쿠르스크주[38])''

*N-BY30389 ''스웨덴 (예스틀란드주[38]),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N-Y13982

**N-Y13982* ''포르투갈 (아조레스 제도[38])''

**N-Y31236 ''리투아니아 (마리얌폴레현,[38] 빌뉴스현[38])''

*N-A11940

**N-Y140872 ''스웨덴 (쇠데르만란드주,[38] 노르보텐 주[38]), 핀란드 (남핀란드 주[38])''

**N-Y143451 ''러시아 (바시키르 공화국[38])''

*N-Y5580

**N-Y93996 ''리투아니아 (샤울리아이현[38]), 폴란드 (루블린[38])''

**N-BY158 ''러시아 (보로네시주,[38] 스몰렌스크주,[38] 타타르 공화국[38]), 벨라루스 (비테프스크주[38]), 리투아니아 (빌뉴스현,[38] 샤울리아이현,[38] 파네베지스현[38]), 폴란드 (루블린[38]), 우크라이나 (폴타바주[38]), 카자흐스탄 (잠빌주[38])''

*N-Z16975

**N-VL69 ''벨라루스 (민스크주[38]), 러시아 (브랸스크주[38]), 카자흐스탄 (코스타나이주[38])''

**N-Z16976

***N-Z16976* ''벨라루스 (그로드노주[38]), 우크라이나 (흐멜니츠키주[38])''

***N-Y13475 ''폴란드,[38] 리투아니아[38]''

***N-Y21578 ''리투아니아 (카우나스현,[38] 텔샤이현[38]), 러시아 (스몰렌스크주[38])''

***N-Y6129 ''폴란드 (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38]), 리투아니아[38]''

***N-Y19113 ''폴란드 (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38]), 리투아니아 (타우라게현[38])''

***N-Y134492 ''벨라루스 (그로드노주,[38] 민스크주,[38] 모길료프주[38]), 리투아니아,[38] 미국 (일리노이주[38])''

*N-L551

**N-L551* ''리투아니아 (빌뉴스현[38])''

**N-Y15251 ''리투아니아 (알리투스현[38]), 폴란드 (루블린[38])''

**N-Y46313 ''라트비아[38]''

**N-Y86578 ''러시아 (벨고로드주[38])''

**N-Y14152

***N-BY21911 ''폴란드,[38] 라트비아 (크라스라바군[38]), 우크라이나 (키이우주[38]), 핀란드 (남핀란드 주[38])''

***N-Y13979 ''리투아니아,[38] 러시아 (랴잔주[38]), 독일[38]''

*N-Y4706

**N-Y4706* ''스웨덴 (스톡홀름 주,[38] 쇠데르만란드 주,[38] 베스트라예탈란드 주[38]), 독일 (니더작센주[38]), 핀란드 (남핀란드 주[38]), 러시아 (타타르 공화국[38])''

**N-A705 ''스웨덴 (칼마르주,[38] 외스테르예틀란드주[38])''

**N-BY21893 ''폴란드 (비엘코폴스키에[38])''

**N-Y139030 ''스웨덴 (베스테르보텐주[38]), 노르웨이 (외스트폴[38])''

**N-Y183040 ''러시아 (볼로그다주,[38] 타타르 공화국[38])''

**N-Y4707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올란드,[38] 남핀란드 주,[38] 동핀란드 주,[38] 오울루 주[38])''

*N-Z16981

**N-A2358=N-BY14135 ''잉글랜드,[38] 핀란드,[38] 라트비아 (다우가프필스시[38])''

**N-CTS8173 ''에스토니아 (래네비루마[38])''

***N-FT213922 ''[85])''

N-BY32524 ''에스토니아 (얘르바마[38]), 핀란드 (오울루 주[38])''

N-FGC39882 ''리투아니아 (텔샤이현[38])''

***N-FT6082 ''[85])''

N-A11470 ''러시아 (튜멘주[38]), 리투아니아 (파네베지스현[38]), 핀란드 (남핀란드 주[38]), 네덜란드 (사우스홀란트,[38] 노르트브라반트[38])''

*N-FTC49461 ''라트비아 (야운필스 교구, 투쿰스 시군[85])''

**N-FTE38475 ''라트비아 (야운필스 교구, 투쿰스 시군[85])''

***N-FTE39526 ''라트비아 (야운필스 교구, 투쿰스 시군[85])''

*N-BY14147 ''핀란드, 벨라루스[85])''

*N-BY52958 ''라트비아[85])''

*N-FT109465 ''라트비아[85])''

*N-FTD92343 ''라트비아, 우크라이나[85])''

*N-BY202983 ''라트비아[85])''

*N-BY40639 ''라트비아, 러시아[85])''

N-BY21926 ''러시아, 라트비아, 벨라루스, 리투아니아[85])''

***N-Y15922=N-Z35238 ''핀란드 (남핀란드 주[38]), 에스토니아 (이다비루마,[38] 패르누마[38]), 라트비아 (발미에라,[38] 리에파야,[38] 탈시 시군[38]), 러시아 (프스코프주[38]), 폴란드 (포모르스키에[38])''

***N-Y6075 ''폴란드 (마워폴스키에,[38] 마조비에츠키에[38]), 우크라이나 (리비우주[38]), 슬로바키아,[38] 체코 (모라바-실레지아 지방[38]), 미국 (뉴저지주[38])''

***N-Y11882

N-Y11882* ''러시아 (타타르 공화국[38])''

N-ZS11617 ''러시아 (야로슬라블주[38]), 리투아니아[38]''

N-Y24601 ''라트비아[38]''

N-Y94659 ''리투아니아,[38] 벨라루스 (민스크주[38])''

N-Y32725

*N-FT96305 ''라트비아 (크라스라바군[38]), 에스토니아 (빌얀디마[38])''

*N-Y33333 ''우크라이나 (수미주[38]), 벨라루스 (브레스트주[38])''

**N1a1a1a1a1a2-CTS9976

***N-L1022

N-Y19098

*N-Y19098* ''스웨덴 (예스틀란드주[38])''

*N-A12258 ''핀란드 (동핀란드 주[38])''

*N-BY117178 ''핀란드 (동핀란드 주[38])''

N-Y5004

*N-Y7300

**N-A17632

***N-Y128024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주[38])''

***N-A16017

N-A16017* ''에스토니아 (라플라마[38])''

N-A16526

*N-FT216144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N-Y95406 ''에스토니아 (타르투마[38]), 러시아 (레닌그라드주[38])''

***N-Y7297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남핀란드 주,[38] 라피 주[38])''

**N-Y15813

***N-Y15813*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N-Y49008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오울루 주[38])''

***N-Y46886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N-Y15812

N-A14187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에스토니아 (래네마[38])''

N-Y24617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스웨덴 (달라나주[38]), 러시아 (쿠르스크주[38])''

N-Y23576

*N-Y23576* ''핀란드 (동핀란드 주[38])''

*N-Y15615

**N-BY100801 ''스웨덴 (달라나 주[38]),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N-A17838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남핀란드 주[38]), 스웨덴 (스톡홀름주[38])''

**N-Y23179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오울루 주[38])''

*N-Y5005

**N-Y22106

***N-Y47789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N-Y79341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스웨덴 (베스트라예탈란드주,[38] 베름란드주[38])''

**N-Y10756

***N-A13656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라피 주[38]), 스웨덴 (달라나주[38])''

***N-PH2196

N-CTS11122 ''핀란드 (동핀란드 주[38])''

N-A17277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남핀란드 주[38])''

N-PH547 ''핀란드 (라피 주,[38] 동핀란드 주,[38] 남핀란드 주[38]), 스웨덴 (베스테르보텐주,[38] 노르보텐주[38])''

**N-Y5003

***N-Y5003* ''에스토니아 (히우마,[38] 핀란드 (남핀란드 주[38]), 영국 (웨스트민스터[38])''

***N-BY22001 ''에스토니아 (래네현[38]),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스웨덴 (노르보텐 주[38])''

***N-BY6007 ''러시아 (리페츠크주[38])''

***N-Y132182 ''스웨덴 (베름란드주[38]), 에스토니아 (빌얀디마[38])''

***N-Y20917 ''스웨덴 (크로노베리주[38]),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남핀란드 주[38])''

***N-Y24502 ''영국 (스코티시 보더스,[38] 캘더데일,[38] 커클리스[38])''

***N-Y18420 ''핀란드 (남핀란드 주,[38] 서핀란드 주[38])''

***N-Z35267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올란드 주,[38] 남핀란드 주[38]), 에스토니아 (페르누마[38])''

***N-Y6599 ''핀란드 (동핀란드 주,[38] 오울루 주,[38] 남핀란드 주,[38]) , 에스토니아 (요게바마,[38] 히우마,[38]), 러시아 (투라주[38])''

***N-Y24000

N-Y24001 ''스웨덴 (베스테르보텐주[38]), 노르웨이 (트롬스[38])''

N-A17082 ''핀란드 (서핀란드 주,[38] 남핀란드 주

6. 언어와의 관련성

Haplogroup N영어은 가설 단계의 어족인 우랄-유카기르어족이나 우랄-시베리아어족의 담당자로 여겨진다.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의 언어적 유사성은 하플로그룹 N 집단에 기인한다는 견해가 있다. 사키야 미쓰루는 우라니혼 방언 (소위 즈즈 변)은 하플로그룹 N 집단이 담당한 기층 언어의 특징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7. 토기와의 관련

하플로그룹 N1*는 원통형 토기와 관련이 있으며, 이 하플로그룹이 관찰되는 랴오허, 프리모르스키 지방, 일본도호쿠 지방 북부, 홋카이도 남부에서 원통형 토기가 발견된다. 하위 계통인 N1a1은 빗살무늬 토기와 관련이 있으며, 한반도에서 랴오허 지역, 몽골, 시베리아, 발트해 연안, 북유럽 등에서 발견된다. 이는 N1a1에 속하는 우랄족(핀-우고르족)의 확산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128][129]

참조

[1] 간행물 Punctuated bursts in human male demography inferred from 1,244 worldwide Y-chromosome sequences 2016-06
[2] 간행물 Siberian genetic diversity reveals complex origins of the Samoyedic-speaking populations 2018-11
[3] 간행물 Autosomal and uniparental portraits of the native populations of Sakha (Yakutia): implications for the peopling of Northeast Eurasia 2013-06
[4] 간행물 The Gene Pool of Siberian Tatars: Five Ways of Origin for the Five Subethnic Groups. 2016
[5] 간행물 The Nanai Clan Samar: The Structure of Gene Pool Based on Y-Chromosome Markers1 2015
[6] 간행물 Y-Chromosomal Lineages of Latvians in the Context of the Genetic Variation of the Eastern-Baltic Region 2015-11
[7] 간행물 Contrasting patterns of Y-chromosome variation in South Siberian populations from Baikal and Altai-Sayan regions 2006-01
[8] 간행물 Gene pool of Buryats: Clinal variability and territorial subdivision based on data of Y-chromosome markers 2014
[9] 간행물 2007
[10] 간행물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 variation provides evidence for a recent common ancestry between Native Americans and Indigenous Altaians 2012-02
[11] 간행물 2004
[12] 간행물 2006
[13] 간행물 2005
[14] 간행물 Afghan Hindu Kush: where Eurasian sub-continent gene flows converge
[15] 간행물 Genomic Insight Into the Population Admixture History of Tungusic-Speaking Manchu People in Northeast China 2021
[16] 간행물 "[Genetic analysis of Y chromosome and mitochondrial DNA poly-morphism of Mulam ethnic group in Guangxi, China]" 2013-02
[17] 간행물 Population structure in contemporary Sweden--a Y-chromosomal and mitochondrial DNA analysis 2009-01
[18] 간행물 Y-chromosome diversity in Sweden - a long-time perspective 2006-08
[19] 간행물 Extended Y chromosome investigation suggests postglacial migrations of modern humans into East Asia via the northern route 2011-01
[20] 간행물 Y-chromosome haplogrouping for Asians using Y-SNP target sequencing.
[21] 간행물 Korean Genome Project: 1094 Korean personal genomes with clinical information. 2020
[22] 간행물 A preliminary study on the origin of Koreans based on Y-STR variation 2005-07
[23] 간행물 Genetic characteristics of Y-chromosome short tandem repeat haplotypes from cigarette butt samples presumed to be smoked by North Korean men
[24] 간행물 Understanding the Y chromosome variation in Korea--relevance of combined haplogroup and haplotype analyses 2012-07
[25] 간행물 High frequencies of Y-chromosome haplogroup O2b-SRY465 lineages in Korea: a genetic perspective on the peopling of Korea 2011-04
[26] 간행물 Demographic and genetic portraits of the Ulchi population. 2018-10
[27] 간행물 Genetic evidence of paleolithic colonization and neolithic expansion of modern humans on the tibetan plateau 2013-08
[28] 간행물 Distribu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s of the Kazakh from the South Kazakhstan, Zhambyl, and Almaty Regions. 2017
[29] 간행물 Y chromosomal evidence on the origin of northern Thai people
[30] 간행물 A study of genetic diversity of three isolated populations in Xinjiang using Y-SNP. 2018-03
[31] 간행물 中国西部人群的遗传混合 Fudan University 2011
[32] 간행물 Dual origins of the Northwest Chinese Kyrgyz: the admixture of Bronze age Siberian and Medieval Niru'un Mongolian Y chromosomes 2022-03
[33] 간행물 Joint Genetic Analyses of Mitochondrial and Y-Chromosome Molecular Markers for a Population from Northwest China 2020-05
[34] 간행물 Y-chromosomal binary haplogroups in the Japanese population and their relationship to 16 Y-STR polymorphisms 2007-07
[35] 간행물 Analysis of Y chromosome haplogroups in Japanese population using short amplicons and its application in forensic analysis https://soar-ir.repo[...] 2014-01
[36] 논문 Evaluation of Y chromosomal SNP haplogrouping in the HID-Ion AmpliSeq™ Identity Panel 2016-09
[37] 논문 Genetic evidence of an East Asian origin and paleolithic northward migra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 N
[38] 웹사이트 YFull Haplogroup YTree https://www.yfull.co[...] 2018-09-25
[39] 논문 A recent bottleneck of Y chromosome diversity coincides with a global change in culture 2015-04
[40] 논문 A counter-clockwise northern route of the Y-chromosome haplogroup N from Southeast Asia towards Europe https://www.nature.c[...] 2006-12-06
[41] 문서 Chiaroni, Underhill, Cavalli-Sforza
[42] 문서 Hu, Yan, Liu, Ning
[43] 웹사이트 N-F2930单倍群详情 https://www.23mofang[...]
[44] 웹사이트 Y-DNA Haplogroup N and its Subclades – 2016 http://isogg.org/tre[...] ISOGG 2016-08-22
[45] 문서 Karafet, Hallmark, Cox, Sudoyo
[46] 논문 The first horse herders and the impact of early Bronze Age steppe expansions into Asia 2018-06
[47] 웹사이트 Haplotree.info - ancientdna.info. Map based on All Ancient DNA v. 2.07.26. https://haplotree.in[...]
[48] 문서 Hammer, Karafet, Park, Omoto
[49] 문서 Karafet, Xu, Du, Wang
[50] 문서 Wen, Xie, Gao, Li
[51] 문서 Cai, Qin, Wen, Xu
[52] 문서 Kim, Yoo, Kim, Shin
[53] 문서 Gayden, Cadenas, Regueiro, Singh
[54] 논문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2013-09-30
[55] 문서 Ilumäe, Reidla, Chukhryaeva, Järve
[56] 웹사이트 N-Z1956 YTree https://www.theytree[...]
[57] 논문 Investigating the prehistory of Tungusic peoples of Siberia and the Amur-Ussuri region with complete mtDNA genome sequences and Y-chromosomal markers
[58] 문서 Pakendorf, Morar, Tarskaia, Kayser
[59] 문서 Crubézy, Amory, Keyser, Bouakaze
[60] 문서 Derenko, Malyarchuk, Denisova, Wozniak
[61] 문서 Lappalainen, Laitinen, Salmela, Andersen
[62] 논문 Y-chromosome analysis reveals genetic divergence and new founding native lineages in Athapaskan- and Eskimoan-speaking populations 2012-05
[63] 논문 Human population dynamics and ''Yersinia pestis'' in ancient northeast Asia 2021-01
[64] 웹사이트 N-L708 YTree https://www.theytree[...] 2022-11-28
[65] 문서 "Genomic Insights Into the Admixture History of Mongolic- and Tungusic-Speaking Populations From Southwestern East Asia." ''Front. Genet.'' 12:685285. doi: 10.3389/fgene.2021.685285 2021
[66] 웹사이트 Zhōngguó mǎnzú qúntǐ fùxì dān bèi qún jí mínzú xiě tǒng gòuchéng qíngkuàng jiǎnjiè https://www.23mofang[...] 2024-03-11
[67] 논문 Y-chromosome diversity in the Kalmyks at the ethnical and tribal levels 2013-12
[68] 논문 Ancient Y-DNA with reconstructed phylogeny provides insights into the demographic history of paternal haplogroup N1a2-F1360 2021-12
[69] 논문 The deep population history of northern East Asia from the Late Pleistocene to the Holocene 2021-06
[70] 웹사이트 Theytree Haplogroup YTree (N-Y24206) https://www.theytree[...] 2024-03-10
[71] 웹사이트 Theytree Haplogroup YTree (N-F710) https://www.theytree[...] 2024-03-10
[72] 논문 Maternal genetic structure in ancient Shandong between 9500 and 1800 years ago 2021-05-29
[73] 논문 Human genetic history on the Tibetan Plateau in the past 5100 years 2023-03-15
[74] 웹사이트 Theytree Haplogroup YTree (N-CTS2959) https://www.theytree[...] 2024-03-10
[75] 논문 High levels of Y-chromosome differentiation among native Siberian populations and the genetic signature of a boreal hunter-gatherer way of life https://digitalcommo[...] 2002-12
[76] 논문 Genes reveal traces of common recent demographic history for most of the Uralic-speaking populations 2018-09
[77] 논문 Y-chromosome distribution within the geo-linguistic landscape of northwestern Russia 2009-10
[78] 논문 Northwest Siberian Khanty and Mansi in the junction of West and East Eurasian gene pools as revealed by uniparental markers 2008-10
[79] 논문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2004-04
[80] 논문 Genetic diversity of the Khakass gene pool: Subethnic differentiation and the structure of Y-chromosome haplogroups 2011
[81] 논문 Relationship of the gene pool of the Khants with the peoples of Western Siberia, Cis-Urals and the Altai-Sayan Region according to the data on the polymorphism of autosomic locus and the Y-chromosome 2023-03
[82] 웹사이트 N-F2930单倍群详情 https://www.23mofang[...]
[83] ISOGG Y-DNA Haplogroup N and its Subclades – 2018 https://isogg.org/tr[...] 2018-06-24
[84] YFull N-P189.2 https://www.yfull.co[...] 2018-06-24
[85] Family Tree DNA Tree of Y-DNA haplogroup N-M231 at Family Tree DNA Discover https://discover.fam[...]
[86] 논문 137 ancient human genomes from across the Eurasian steppes https://www.nature.c[...] 2018-05-09
[87] 논문 Genome flux and stasis in a five millennium transect of European prehistory https://www.nature.c[...] 2014-10-21
[88] 논문 Y-chromosomal analysis of clan structure of Kalmyks, the only European Mongol people, and their relationship to Oirat-Mongols of Inner Asia 2019-09
[89] Family Tree DNA Haplogroup N North Eurasian YDNA Project https://www.familytr[...]
[90] 논문 Human paternal and maternal demographic histories: insights from high-resolution Y chromosome and mtDNA sequences https://investigativ[...] 2014-09-24
[91] 논문 Reconstruction of Y-chromosome phylogeny reveals two neolithic expansions of Tibeto-Burman populations 2018-10
[92] 23mofang Phylogenetic tree of Haplogroup N at 23mofang https://www.23mofang[...]
[93] Biobank Biobank of the Coriell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https://www.coriell.[...]
[94] 논문 Exome and genome sequencing of nasopharynx cancer identifies NF-κB pathway activating mutations https://www.nature.c[...] 2017-01-18
[95] harvnb Jobling, Tyler-Smith, 2000
[96] harvnb Kaladjieva, Calafell, Jobling, Angelicheva, 2001
[97] harvnb Underhill, Shen, Lin, Jin, 2000
[98] harvnb Hammer, Karafet, Redd, Jarjanazi, 2001
[99] harvnb Semino, Passarino, Oefner, Lin, 2000
[100] harvnb Su, Xiao, Underhill, Deka, 1999
[101] harvnb Capelli, Wilson, Richards, Stumpf, 2001
[102] 논문 Seeing the wood for the trees: a minimal reference phylogeny for the human Y chromosome
[103] ISOGG Y-DNA Haplogroup Tree 2015 http://www.isogg.org[...] 2015-02-01
[104] 문서 Haplogroup A0-T is also known as A-L1085 (and previously as A0'1'2'3'4).
[105] 문서 Haplogroup A1 is also known as A1'2'3'4.
[106] 문서 F-Y27277, sometimes known as F2'4, is both the parent clade of F2 and F4 and a child of F-M89.
[107] 문서 Haplogroup LT (L298/P326) is also known as Haplogroup K1.
[108] 문서 Between 2002 and 2008, Haplogroup T-M184 was known as "Haplogroup K2". That name has since been re-assigned to Haplogroup K2|K-M526, the sibling of Haplogroup LT.
[109] 문서 Haplogroup K2b (M1221/P331/PF5911) is also known as Haplogroup MPS.
[110] 문서 Haplogroup K2b1 (P397/P399) is also known as Haplogroup MS, but has a broader and more complex internal structure.
[111] 문서 Haplogroup P (P295) is also klnown as K2b2.
[112] 문서 K-M2313*, which as yet has no phylogenetic name, has been documented in two living individuals, who have ethnic ties to India and South East Asia. In addition, K-Y28299, which appears to be a primary branch of K-M2313, has been found in three living individuals from India. https://www.yfull.co[...]
[113] 문서 Haplogroup S, as of 2017, is also known as K2b1a. (Previously the name Haplogroup S was assigned to K2b1a4.)
[114] 문서 Haplogroup M, as of 2017, is also known as K2b1b. (Previously the name Haplogroup M was assigned to K2b1d.)
[115] 문서 The b2/b3 deletion in the AZFc region of the human Y-chromosome is a characteristic of Haplogroup N-M231 haplotypes. This deletion, however, appears to have occurred independently on four different occasions. Therefore this deletion should not be thought as a unique event polymorphism contributing to the definition of this branch of the Y-chromosome tree (ISOGG 2012).
[116] 논문 A recent bottleneck of Y chromosome diversity coincides with a global change in culture. 2015-04
[117] 논문 Punctuated bursts in human male demography inferred from 1,244 worldwide Y-chromosome sequences. 2016-06
[118] 웹사이트 YFull Haplogroup YTree v5.08 http://www.yfull.com[...] 2017-11-14
[119] 논문 Genetic Evidence of an East Asian Origin and Paleolithic Northward Migra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 N. 2013
[120] 논문 Phylogeography of Y-chromosome haplogroup I reveals distinct domains of prehistric gene flow n Europe. 2004
[121] 논문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2004
[122] 논문 Y-Chromosomal Diversity in Europe is Clinal and Influenced Primarily by Geography, Rather than by Language 2000
[123] 논문 Autosomal and uniparental portraits of the native populations of Sakha (Yakutia): implications for the peopling of Northeast Eurasia https://www.ncbi.nlm[...] 2013-06-19
[124] 논문 The Dual Origin and Siberian Affinities of Native American Y Chromosomes 2001-2002
[125] 논문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2004
[126] 논문 Investigating the Prehistory of Tungusic Peoples of Siberia and the Amur-Ussuri Region with Complete mtDNA Genome Sequences and Y-chromosomal Markers 2013
[127] 논문 Differentiation of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in Russian Populations 2004
[128] 논문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www.biomedcen[...] 2013
[129] 논문 Genetic diversity of two Neolithic populations provides evidence of farming expansions in North China 2017-02
[130] 논문 Overview of genetic variation in the Y chromosome of modern Japanese males 2014
[131] 간행물 Geographic distribution of Y-STR haplotypes and Y-haplogroups among Miyazaki Prefecture residents. https://doi.org/10.3[...] 2021
[132] 논문 Assignment of Y-chromosomal SNPs found in Japanese population to Y-chromosomal haplogroup tree. 2013
[133] 논문 The Y-Chromosome Tree Bursts into Leaf: 13,000 High-Confidence SNPs Covering the Majority of Known Clades. 2014-12-02
[134] 웹사이트 TheYtreeによるハプログループN-M231の系統樹 https://www.theytree[...]
[135]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36] 논문 The Mosaic of the Evenks Gene Pool: Transbaikalian and Amur Segments. 2019
[137] 웹사이트 Eupedia Haplogroup N1c (Y-DNA) https://isogg.org/tr[...]
[138] 논문 Siberian genetic diversity reveals complex origins of the Samoyedic-speaking populations. https://doi.org/10.1[...] 2018
[139]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40] 웹사이트 ISOGG Y-DNA Haplogroup N and its Subclades - 2017 https://isogg.org/tr[...]
[141] 웹사이트 JAPAN DNA Project https://www.familytr[...]
[142]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43]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44] 논문 Human Y Chromosome Haplogroup N: A Non-trivial Time-Resolved Phylogeography that Cuts across Language Families. 2016-07-07
[145] 웹사이트 Phylogenetic tree of Human Y-DNA Haplogroup N at 23mofang https://www.23mofang[...]
[146]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47]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48]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49] 논문 Y chromosome sequence variation and the history of human populations 2000-11
[150]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51] 웹사이트 JAPAN DNA Project https://www.familytr[...]
[152] 웹사이트 JAPAN DNA Project https://www.familytr[...]
[153]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54]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55] 웹사이트 FamilyTreeDNAによるハプログループNの系統樹 https://discover.fam[...]
[156]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57]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58]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59]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60] 웹사이트 扶餘李氏(부여이씨)N1b1a2b1a(N-L732) http://famousdna.wik[...]
[161] 웹사이트 The Baltic Sea DNA Project https://www.familytr[...]
[162]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63]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64]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65]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66]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67]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68]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69]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70]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71]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72]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73]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74]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75]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76]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77] 논문 Contrasting patterns of Y-chromosome variation in South Siberian populations from Baikal and Altai-Sayan regions. 2006
[178] 간행물 Gene Pool of Buryats: Clinal Variability and Territorial Subdivision Based on Data of Y-Chromosome Markers. 2014
[179] 간행물 Male Demography in East Asia: A North–South Contrast in Human Population Expansion Times. 2006-04
[180] 간행물 Genetic features of Mongolian ethnic groups revealed by Y-chromosomal analysis. 2005
[181] 간행물 Afghan Hindu Kush: Where Eurasian Sub-Continent Gene Flows Converge. 2013
[182] 간행물 Y-chromosome diversity in the Kalmyks at the ethnical and tribal levels. 2013
[183] 간행물 Y-chromosomal analysis of clan structure of Kalmyks, the only European Mongol people, and their relationship to Oirat-Mongols of Inner Asia. 2019
[184] 간행물 Dual origins of the Japanese: common ground for hunter-gatherer and farmer Y chromosomes. 2006
[185] 웹사이트 https://www.23mofang[...]
[186] 간행물 Genomic Insight Into the Population Admixture History of Tungusic-Speaking Manchu People in Northeast China. 2021
[187] 간행물 Multiple Human Population Movements and Cultural Dispersal Events Shaped the Landscape of Chinese Paternal Heritage https://doi.org/10.1[...] 2024-07
[188] 간행물 Extended Y Chromosome Investigation Suggests Postglacial Migrations of Modern Humans into East Asia via the Northern Route. 2011
[189] 간행물 Forensic Analysis and Genetic Structure Construction of Chinese Chongming Island Han Based on Y Chromosome STRs and SNPs. https://doi.org/10.3[...] 2022
[190] 간행물 Forensic characteristics and genetic substructure analysis of the Handan Han population, Northern China. 2023
[191] 간행물 山東漢、回族男性人群父系遺伝結構研究 2022-02
[192] 간행물 Demographic and Genetic Portraits of the Ulchi Population. 2018
[193] 간행물 Genetic Evidence of Paleolithic Colonization and Neolithic Expansion of Modern Humans on the Tibetan Plateau. 2013
[194] 간행물 Y-chromosome analysis reveals genetic divergence and new founding native lineages in Athapaskan- and Eskimoan-speaking populations. https://www.ncbi.nlm[...] 2012
[195] 간행물 Distribu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s of the Kazakh from the South Kazakhstan, Zhambyl, and Almaty Regions. 2017
[196] 간행물 The medieval Mongolian roots of Y-chromosomal lineages from South Kazakhstan. https://doi.org/10.1[...] 2020
[197] 간행물 A study of genetic diversity of three isolated populations in Xinjiang using Y-SNP. 2018
[198] 학위논문 Genetic Mixture of Populations in Western China Fudan University 2011
[199] 간행물 High frequencies of Y-chromosome haplogroup O2b-SRY465 lineages in Korea: a genetic perspective on the peopling of Korea. http://www.investiga[...] 2011
[200] 간행물 Understanding the Y chromosome variation in Korea—relevance of combined haplogroup and haplotype analyses. 2012
[201] 간행물 Korean Genome Project: 1094 Korean personal genomes with clinical information. 2020
[202] 간행물 Y-chromosomal Binary Haplogroups in the Japanese Population and their Relationship to 16 Y-STR Polymorphisms. 2007
[203] 간행물 Analysis of Y chromosome haplogroups in Japanese population using short amplicons and its application in forensic analysis. 2014
[204] 간행물 Evaluation of Y chromosomal SNP haplogrouping in the HID-Ion AmpliSeq™ Identity Panel 2016-09
[205] 간행물 Y chromosome sequence variation and the history of human populations 2000-11
[206] 기타 A prehistoric thoroughfare between the Ganges and the Himalayas. https://www.research[...] Research India Press 2014
[207] 웹사이트 Eupedia https://www.eupedia.[...]
[208] 서적 DNAが解き明かす日本人の系譜 勉誠出版 2005
[209] 서적 新日本人の起源 勉誠出版 2009
[210] 기타 Archaeology of lake settlements IV-II mill. BC/ Mazurkevich A., Polkovnikova M., Dolbunova E. ed. https://www.academia[...] 2014
[211] 웹사이트 コトバンク「櫛目文土器」 https://kotobank.jp/[...]
[212]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213] 논문 Punctuated bursts in human male demography inferred from 1,244 worldwide Y-chromosome sequences 2016-06
[214] 저널 Genetic Evidence of an East Asian Origin and Paleolithic Northward Migra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 N http://www.plosone.o[...]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