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힌두교 경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힌두교 경전은 힌두교의 다양한 종교 및 철학적 전통을 담고 있는 방대한 문헌들을 포괄한다. 주요 경전으로는 신성한 계시를 의미하는 슈루티와 인간의 기억에 의해 전승된 스므리티가 있다. 슈루티는 베다, 브라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로 구성되며, 특히 우파니샤드는 범아일여 사상을 통해 힌두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므리티에는 이티하사(라마야나, 마하바라타), 다르마 샤스트라(마누 법전), 푸라나, 우파베다, 아가마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경전들은 인도 예술, 과학, 음악, 무용 등 다양한 분야의 역사적 기록을 제공하며, 힌두교의 중요한 가르침과 문화적 유산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 경전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경전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힌두교 경전
힌두교 경전 정보
바가바드 기타 원고
바가바드 기타 원고
유형성경
분류
스루티베다
스므리티우파니샤드
푸라나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바가바드 기타
요가 수트라
아유르베다
아르타샤스트라
카마수트라
탄트라
아가마
스토트라
수트라
다르마샤스트라
니티샤스트라
시크샤
찬다스
비야카라나
니룩타
칼파
조티샤
언어
원어산스크리트어
관련 항목
관련 항목힌두 철학

2. 슈루티 (계시)

슈루티는 '들은 것'이라는 뜻으로, 인간이나 신이 아닌 현자(리쉬)에 의해 전해진 영원한 지식으로 여겨진다.[4] 힌두교의 중심 경전인 베다가 바로 슈루티에 해당한다.[4][5]

슈루티는 삼히타, 브라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로 구성된다. 삼히타는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 《아타르바베다》의 네 가지 베다 정전을 가리키며, 이들을 투리야라고도 부른다. 브라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는 모두 투리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투리야는 그중에서도 《리그베다》를 기초로 한다.[90]

이 중 우주의 궁극적 실재(브라만)와 개인의 진정한 자아(아트만)가 하나라는 범아일여 사상을 담은 우파니샤드베다 시대 말기(기원전 700~500년)에 집성된 신비적, 밀교적 문헌이다.[91] 육파 철학을 비롯한 후대의 힌두 철학과 종교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쳤다.[92]

2. 1. 베다

베다는 힌두교에서 가장 오래되고 권위 있는 경전으로, '슈루티'라고도 불린다. 슈루티는 '들은 것'이라는 뜻으로, 고대 현자들이 신에게서 직접 들은 계시라고 여겨진다.[13] 베다는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되었으며, 그 기원은 베다 시대인 기원전 1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3]

베다는 크게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 아타르바베다의 네 가지로 나뉜다.[14] 이 네 베다는 각각 삼히타, 브라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의 네 부분으로 다시 세분화된다.[14]

힌두교인들은 베다를 ''apauruṣeya''(인간이 아닌, 초인간적)이며[19] "비인격적이며, 저자가 없다"고 여긴다.[20][21][22] 즉, 베다는 인간의 지혜가 아닌 신의 계시로, 영원하고 변하지 않는 진리를 담고 있다고 믿는다.[5]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에서는 베다가 창조신 브라흐마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24]

2. 1. 1. 삼히타

슈루티삼히타브라마나아란야카우파니샤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삼히타는 《리그베다》⋅《야주르베다》⋅《사마베다》⋅《아타르바베다》의 4종의 베다 정전(正典)을 가리킨다. 이 4종의 베다투리야라고 하며, 브라마나아란야카우파니샤드 등의 다른 모든 베다 문헌은 투리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또한 투리야는 그 중에서 《리그베다》를 기초로 하여 형성되었다.[90]

4개의 베다(리그베다, 사마베다, 야주르베다, 아타르바베다)는 북부 인도 베다 시대에 기원한 방대한 힌두교 경전으로, 리그 베다는 기원전 1200년경에 작성이 되었고, 그 삼히타브라마나는 기원전 800년경에 완성되었다.[15] 베다 산스크리트어로 작곡된 찬가로 구성된 이 텍스트는 산스크리트 문학의 가장 오래된 층이자 힌두교의 가장 오래된 경전이다.[16][17][18]

4개의 베다 각각은[26][25] 삼히타(만트라와 축복), 아란야카(의례, 의식, 제물, 상징적인 희생에 관한 텍스트), 브라흐마나(의례, 의식 및 제물에 대한 주석), 우파니샤드(명상, 철학, 영적 지식에 관해 논의하는 텍스트)의 4가지 주요 텍스트 유형으로 세분화되었다.[26][27][28]

2. 1. 2. 브라마나

슈루티삼히타, 브라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삼히타는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 《아타르바베다》의 4종 베다 정전을 가리킨다. 4종의 베다를 투리야라고 하며, 브라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 등 다른 모든 베다 문헌은 투리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투리야는 그중에서도 《리그베다》를 기초로 하여 형성되었다.[90]

4개의 베다(리그베다, 사마베다, 야주르베다, 아타르바베다)는 북부 인도 베다 시대에 기원한 방대한 힌두교 경전이다. 리그 베다는 기원전 1200년경에 작성이 되었고, 그 삼히타브라마나는 기원전 800년경에 완성되었다.[15]

4개의 베다 각각은 4가지 주요 텍스트 유형으로 세분화되었는데, 브라마나는 그 중 하나로서 의례, 의식 및 제물에 대한 주석을 담고 있다.[26]

2. 1. 3. 아란야카

슈루티삼히타, 브라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로 이루어져 있다. 아란야카는 이 중 의례, 의식, 제물, 상징적인 희생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텍스트이다.[26] 4개의 베다는 각각 삼히타, 아란야카, 브라마나, 우파니샤드의 4가지 주요 텍스트 유형으로 세분화된다.[26][25]

2. 1. 4. 우파니샤드

슈루티 중, 우주의 궁극적인 브라만과 개인의 진정한 자아(아트만)가 하나라는 범아일여의 사상을 주창한 신비적 밀교적 문헌인 우파니샤드베다 시대 말기인 기원전 700년부터 500년 사이에 "집성(集成)"된 것으로,[91] 힌두교의 여섯 정통(正統) 사상("아스티카")인 육파 철학은 모두 우파니샤드의 발전적 산물이다.[92] 또한 우파니샤드는 이후의 아드바이타 베단타, 비슈누파, 시바파, 샤크티파 등 후대의 힌두 철학과 종교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쳤다.

우파니샤드는 힌두교의 중심 철학적 개념을 담고 있는 힌두교 텍스트 모음이자 힌두교 철학적 사상과 다양한 전통의 기초이다.[7][29]

우파니샤드는 일반적으로 "베단타"라고 불리며, 이는 "베다의 마지막 장, 부분" 또는 "베다의 목적, 가장 높은 목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30] 브라만 (궁극적 실재)과 아트만 (영혼, 자아)의 개념은 모든 우파니샤드의 중심 사상이며,[31] "너의 아트만을 알라"가 그들의 주제적 초점이다.[31]

200개 이상의 우파니샤드가 알려져 있으며, 이 중 10개가 가장 오래되고 가장 중요하며, ''묵야'' (주요) 또는 주요 우파니샤드라고 불린다.[32][33] 10개의 묵야 우파니샤드는 이샤, 케나, 카타, 프라슈나, 문다카, 만두키아, 타이티리야, 아이타레야, 찬도기아, 브리하다란야카이다.[34] ''묵야'' 우파니샤드는 대부분 ''브라만''과 ''아란야카''의 마지막 부분에서 발견되며, 수세기 동안 각 세대에 의해 암기되고 구전으로 전해졌다. 초기 우파니샤드는 모두 서기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일부는 불교 이전 시대 (기원전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마우리아 시대까지 이어진다. 나머지 중 일부 95개의 우파니샤드는 묵티카 정전에 속하며, 서기 초부터 중세 힌두교까지 작성이 되었다.

3. 스므리티 (전승)

스므리티는 '기억된 것'이라는 뜻으로, 저술자가 있다고 여겨지는 힌두교 경전이다.[8] 슈루티보다 권위는 낮지만,[8] 힌두교에서 중요한 문헌으로 널리 활용된다. 스므리티는 방대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수트라(Sūtras): 베단가(Vedanga) 수트라와 육파 철학(Six astika) 수트라가 있다. 베단가는 베다에 기반한 종교적 실천(발음, 운율, 문법, 어원, 천문, 제사)을 다루는 6가지 보조 학문이다. 육파 철학 수트라는 각 학파의 철학과 체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베단타 학파의 《브라흐마 수트라》, 요가 학파의 《요가 수트라》 등이 있다.

  • 다르마 샤스트라(Dharmaśāstra): 사회, 도덕, 경제 규범을 다루는 법전으로, 마누 법전이 대표적이다.[88]

  • 우파베다(Upaveda): '응용 지식'이라는 뜻으로, 아유르베다(의학), 음악, 춤, 궁술, 군사학, 건축, 기술 등 전문 분야를 다룬다.[88][94][95]

  • 아가마(Āgama): 종교적 신앙 실천 및 수행에 대한 가르침 또는 체계를 기록한 문헌이다.[96] 철학 및 영적 지식, 요가 수행, 사원과 신상(神像) 건축, 종교 의식 및 제례, 축제에 대한 규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힌두교 경전 바가바드 기타의 19세기 필사본

3. 1. 이티하사

스므리티에 속하는 문헌으로,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바가바드 기타 포함)를 비롯한 서사시를 가리킨다.[88]

3. 1. 1. 라마야나

스므리티에 속하는 서사시로, 비슈누의 화신인 라마의 삶과 그의 아내 시타, 그리고 형제 락슈마나의 삶을 다룬다.[88] 발미키가 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4,000절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58]

줄거리의 핵심은 라마, 시타, 락슈마나가 겪는 14년간의 망명 생활이다. 이 기간 동안 시타는 랑카라바나에게 납치된다. 라마는 락슈마나, 하누만(라마의 헌신자)과 군대를 이끌고 라바나와 전투를 벌여, 라마가 라바나를 죽이면서 승리한다. 이 서사시는 라마, 시타, 락슈마나가 아요디아로 돌아와 라마가 왕으로 즉위하여 아요디아를 다스리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14]

3. 1. 2. 마하바라타

스므리티에 속하는 문헌 중 하나로, 이티하사(Itihāsas)에 해당한다. 《라마야나》와 함께 인도의 대표적인 서사시로 꼽힌다.[88]

"위대한 인도의 이야기"라는 뜻을 가진 《마하바라타》는 기원전 3세기에서 서기 3세기 사이에 편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부분은 기원전 400년경의 것이다.[52][53] 이 서사시는 초기 굽타 제국(4세기경)에 현재의 형태로 완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54][55] 전통적으로 베다 비야사가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0만 개 이상의 슬로카로 구성되어 있다.[56]

마하바라타》는 판다바카우라바라는 두 사촌 집단 간의 전쟁과 쿠룩셰트라 전쟁의 결과를 다룬다.[56] 또한 다르마(의무)에 대한 가르침, 힌두교 주요 인물들의 이야기, 바가바드기타를 포함하고 있다.[14]

바가바드기타는 700개의 슬로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쟁 직전 크리슈나아르주나의 대화를 담고 있다. 크리슈나아르주나에게 아트만(영혼), 신, 모크샤, 다르마에 대해 가르친다.[57]

3. 2. 푸라나

푸라나(Puranas)는 "역사" 또는 "옛날"을 의미하며, 기원전 3세기에서 서기 1000년 사이에 쓰여진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이다.[39] 주요한 것으로는 18종이 있으며, 우주론·신화·전설·지리·영웅·현자·반인반신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일반인들을 위해 종교적 가르침을 쉽게 만든 것이다.[88][93] 광범위한 주제, 특히 전설과 기타 전통적인 지식을 백과사전적으로 다루는 방대한 힌두교 텍스트 장르이다.[40] 주로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졌지만, 지역 언어로도 쓰여졌으며,[41][42] 이 텍스트 중 일부는 주요 힌두교 신, 예를 들어 비슈누, 시바, 데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3][44]

푸라나 문학은 백과사전적이며,[45] 우주론, 천문론, 신, 여신, 왕, 영웅, 현자, 반신들의 계보, 민담, 순례, 사원, 의학, 천문학, 문법, 광물학, 유머, 러브 스토리, 신학 및 철학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다.[40][42][43] 내용은 푸라나 전체에서 다양하며, 각 푸라나는 자체적으로 방대하고 포괄적인 수많은 필사본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힌두교 푸라나는 익명의 텍스트이며 수세기에 걸쳐 많은 작가들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대부분의 자이나 푸라나는 연대 측정이 가능하며 저자를 지정할 수 있다.[41]

18개의 ''마하 푸라나''(대 푸라나)에는 아그니 푸라나, 바가바타 푸라나, 바비샤 푸라나, 브라흐만다 푸라나, 브라흐마바이바르타 푸라나, 가루다 푸라나, 쿠르마 푸라나, 린가 푸라나, 마르칸데야 푸라나, 나라디야 푸라나, 파드마 푸라나, 시바 푸라나, 스칸다 푸라나, 바마나 푸라나, 바라하 푸라나, 바유 푸라나, 비슈누 푸라나가 있다.[39] 그리고 18개의 ''우파 푸라나''(소 푸라나)가 있으며,[46] 40만 구절이 넘는다.[40] 푸라나는 힌두교에서 경전의 권위를 누리지 못하지만,[46] 스므리티로 간주된다.[47] 이 힌두교 텍스트는 힌두 문화에 영향을 미쳐 힌두교의 주요 국가 및 지역 연례 축제를 낳았다.[48] 바가바타 푸라나는 푸라나 장르에서 가장 유명하고 인기 있는 텍스트 중 하나로,[49][50] 크리슈나에 대한 박티(헌신)를 강조하며, 크리슈나 박티 문학의 핵심 텍스트이다.[39][51]

3. 3. 다르마 샤스트라

다르마 샤스트라(Dharmaśāstra)는 사회적 '''·''' 도덕적 '''·''' 경제적 규범을 다루는 법전으로 대표적인 것은 마누 법전이다.[88]

3. 4. 아가마

아가마(Āgama)는 종교적 신앙을 실천하고 수행하는 것에 대한 전승된 가르침 또는 체계를 기록한 문헌이다.[96] 아가마는 다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철학적, 영적 지식

# 요가 수행

# 사원과 신상(神像) 건축에 대한 규범

# 종교적 의식, 제례, 축제에 대한 규범

3. 5. 다르샤나 (철학 학파)

스므리티에는 수트라(Sūtras) 외에도 다음과 같은 문헌들이 포함된다.

  • 이티하사(Itihāsas): 라마야나마하바라타(바가바드기타 포함)를 비롯한 서사시이다.[88]
  • 다르마 샤스트라(Dharmaśāstra): 사회적, 도덕적, 경제적 규범을 다루는 법전으로, 마누 법전이 대표적이다.[88]
  • 푸라나(Puranas): 18종이 있으며, 우주론, 신화, 전설, 지리, 영웅, 현자, 반인반신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88][93] 푸라나는 일반인들을 위해 종교적 가르침을 쉽게 만든 것이다.[88]
  • 우파베다(Upaveda): "응용 지식"이라는 의미로, 아유르베다(의학), 음악, 춤, 궁술, 군사학, 건축, 기술 등 전문 분야를 다룬다.[88][94][95]
  • 아가마(Āgama): 종교적 신앙 실천 및 수행에 대한 전승된 가르침 또는 체계를 기록한 문헌이다.[96] 철학적, 영적 지식, 요가 수행, 사원과 신상(神像) 건축에 대한 규범, 종교적 의식, 제례, 축제에 대한 규범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3. 5. 1. 수트라

스므리티에는 크게 베단가(Vedanga)의 수트라와 육파 철학(Six astika)의 수트라가 있다. 베단가는 베다 문헌에 기반한 종교적 실천에 따른 발음, 운율, 문법, 어원, 천문, 제식수행을 다루는 6종의 보조학으로, 이들에 대해 다루는 수트라가 있다. 각 육파 철학에는 자신들의 철학과 체계를 보여주는 수트라가 있다. 육파 철학의 수트라는 거의 정전(正典)적인 권위를 가지는 문헌으로 베단타 학파의 《브라흐마 수트라》(베단타 수트라라고도 한다), 요가 학파의 《요가 수트라》 등이 이에 속한다. 육파 철학의 수트라는 명상 상태("사마디")에서 신으로부터 계시받은 것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힌두교의 현자가 자신의 종교적, 철학적, 실천적 경험과 견해를 기록한 것이므로 분류상으로는 스므리티에 속하지만, 영적 수행과 공부의 실제적인 지침이 되므로 정전(正典)적인 권위를 가진다고 보아 베다 문헌에 속한다.

3. 6. 우파베다

우파베다(Upaveda)는 "응용 지식"이라는 뜻으로, 의학, 음악, 춤, 궁술, 군사학, 건축, 기술 등 전문 분야를 다룬다.[88][94][95]

4. 힌두교 경전의 역사적 의의

힌두교 경전은 음악, 무용, 조각, 건축, 천문학, 과학, 수학, 의학, 웰빙 등 인도의 예술 및 과학 형태에 대한 초기의 문서화된 역사를 제공한다. 발미키의 라마야나(기원전 500년~기원전 100년)에는 간다르바의 음악과 노래, 우르바시, 람바, 메나카, 틸로타마 판차압사라와 같은 압사라의 춤, 그리고 "노래와 춤"을 뜻하는 'nrityageeta'와 "악기 연주"를 뜻하는 'nritavaditra'에 뛰어난 라바나의 아내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86] 가장 초기의 춤 관련 텍스트는 파니니가 저술한 'Natasutras'에 있는데, 파니니는 산스크리트어 문법의 고전을 쓴 현자로 기원전 500년경으로 추정된다.[87] 이 공연 예술 관련 수트라 텍스트는 다른 후기 베다 텍스트에 언급되어 있으며, 고대 드라마, 노래, 춤, 이러한 예술을 위한 산스크리트 작곡 연구의 선구자로 여겨지는 실라린 (IAST: Śilālin)과 크리샤슈바 (Kṛśaśva)라는 두 학자의 이름도 언급되어 있다.[87] 리치몬드 등은 'Natasutras'가 기원전 600년경에 작곡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완전한 원고는 현대까지 전해지지 않았다.[87]

참조

[1] 서적 Hindu Scriptur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2] 서적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7
[3] 서적 Hindu Scriptures Penguin Random House 1992
[4] 서적 "Shruti",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2: N–Z Rosen Publishing 2002
[5] 서적 Rapt in the Name: The Ramnamis, Ramnam, and Untouchable Religion in Central Indi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 서적 Textual Sources for the Study of Hindu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8
[7] 서적 Textual Sources for the Study of Hinduism, 1st E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8] 서적 "Smrti",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2: N–Z Rosen Publishing 2002
[9] 간행물 The idea of Hindu law Journal of Oriental Society of Australia 2011
[10] 서적 Hindu Ethics: A Philosophical Stud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11] 서적 "Vedas and Upaniṣads" Blackwell Publishing Ltd. 2003
[12] 서적 Beyond the Written Word: Oral Aspects of Scripture in the History of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3] 문서 "Hinduism," Light and Truth: A Latter-day Saint Guide to World Religions Religious Studies Center; Deseret Book 2012
[14] 웹사이트 Hindu Philosophy https://iep.utm.edu/[...]
[15]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문서 2007-08-09
[17] 문서 2007-08-09
[18] 뉴스 Religious Developments in Ancient India https://www.worldhis[...] Ancient History Encyclopedia 2011
[19] 문서 The Practical Sanskrit-English Dictionary http://www.aa.tufs.a[...]
[20] 서적 Classical Indian Philosophy: A Reader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2] 서적 The Ethics of Śaṅkara and Śāntideva: A Selfless Response to an Illusory World 2013
[23] 문서
[24] 서적 Seer of the Fifth Veda: Kr̥ṣṇa Dvaipāyana Vyāsa in the Mahābhārat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5] 문서 The Atharvaveda and the Gopatha-Brahmana,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I.1 Vedic literature (Samhitas and Brahmanas); I.2 The Ritual Sutras
[26]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7] 서적 Hindu Dharma: Introduction to Scriptures and Theology, Handbook of Hindu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003
[28] 서적 Vedic Literature: (Saṃhitās and Brāhmaṇas) Otto Harrassowitz Verlag 1975
[29] 서적 Self as Body in Asian Theory and Practice, World Religion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enguin 1993, 2009
[30] 문서 The Upanishad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Structural Depths of Indian Though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5
[32] 서적 Yoga, Karma, and Rebirth: A Brief History and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33] 서적 The Upanishads 2007
[34] 서적 Ten Upanishads of Four Vedas. Motilal Banarsidass
[35] 서적 Unifying Hinduism: Philosophy and Identity in Indian Intellectual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
[36] 서적 Presuppositions of India's Philosophies Motilal Banarsidass
[37]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Verlag
[38] 서적 Hindu Tantric and Śākta Literature,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ume 2 Otto Harrassowitz Verlag
[39] 웹사이트 Puranas https://southasia.uc[...]
[40]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Routledge
[41] 서적 Purana Perennis: Reciprocity and Transformation in Hindu and Jaina Tex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2] 서적 The Study of Hinduism Th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43] 서적 The Puranas Otto Harrassowitz Verlag
[44] 서적 Echoes of Ancient Indian Wisdom: The Universal Hindu Vision and Its Edifice https://books.google[...] Hindology Books
[45]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Literature Merriam-Webster
[46] 서적 Classical Hindu Mythology: A Reader in the Sanskrit Puranas Temple University Press
[47]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Routledge
[48] 서적 The Puranas Otto Harrassowitz Verlag
[49] 서적 Hindu Scriptur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0] 서적 The Cosmology of the Bhagavata Purana 'Mysteries of the Sacred Univers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51] 웹사이트 Hindu Philosophy https://iep.utm.edu/[...]
[52] 서적 Pradyumna: Lover, Magician, and Son of the Avata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53] 문서
[54] 웹사이트 How did the 'Ramayana' and 'Mahabharata' come to be (and what has 'dharma' got to do with it)? https://scroll.in/ar[...] 2018-12-13
[55] 문서 The Mahabharata – 1; The Book of the Beginning
[56] 웹사이트 Mahabharata https://www.britanni[...] 2024-02-05
[57] 웹사이트 The Bhagavad Gītā https://iep.utm.edu/[...]
[58] 웹사이트 Ramayana https://www.worldhis[...] 2016-08-30
[59] 서적 History of Kr̥ṣiśāstra Otto Harrassowitz Verlag
[60] 서적 An Encyclopedia of Hindu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1] 서적 MAYAMATA : An Indian Treatise on Housing Architecture and Iconography
[62]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63] 서적 The Sanskrit Dram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4] 서적 Sanskrit Drama in Performance Motilal Banarsidass
[65] 서적 Traditions of Indian Classical Dance Peter Owen Publishers
[66] 서적 Education in Ancient India BRILL
[67] 서적 The Sanskrit Epics BRILL
[68] 서적 Subhāṣita: Gnomic and Didactic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Verlag
[69]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 5 Otto Harrassowitz Verlag
[70] 서적 Dharmasastra and Juridical Literature: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Verlag
[71]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 5 Otto Harrassowitz Verlag
[72] 서적 Mathematics in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73] 서적 A Census of the Exact Sciences in Sanskrit, Volumes 1 to 5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74] 서적 The Legacy of Caraka Orient Blackswan
[75] 서적 Medicine in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76] 서적 Musicological literature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 6 : Scientific and technical literature; Fasc. 1) Otto Harrassowitz Verlag
[77] 서적 Music and Musical Thought in Early Ind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8] 서적 The Puranas Otto Harrassowitz Verlag 1986
[79]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s 1 through 27 Motilal Banarsidass
[80]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 5 Otto Harrassowitz Verlag
[81] 서적 Sexual Life in Ancient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King, Governance, and Law in Ancient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83] 서적 Hindu Tantric and Śākta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Verlag
[84] 서적 Hindu Temple Motilal Banarsidass
[85] 서적 Vedic literature (Saṃhitās and Brāhmaṇas) Otto Harrassowitz Verlag 1975
[86] 간행물 The Society of the Ramayana https://archive.org/[...] 1991
[87] 서적 Drama and Ritual of Early Hinduism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4
[88] 인용 2004
[89] 인용 1987
[90] 인용 2007
[91] 백과사전 Hinduism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92] 인용 1947
[93] 웹사이트 Sacred Texts 사이트의 Puranas http://www.sacred-te[...] 2011-02-18
[94] 웹사이트 http://www.ibiblio.o[...] 2011-02-18
[95] 인용 1965
[96] 서적 Siva sutras: The Yoga of Supreme Identity By Vasugupta, Jaideva Singh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