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습군주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습군주제는 주권과 국가원수의 지위가 군주에게 세습되는 정치 체제이다. 군주의 지위와 권력 계승 방식에 따라 세습군주제와 선거군주제로, 권한 범위에 따라 전제군주제와 입헌군주제로 나뉜다. 세습 군주제는 혈연 관계에 따라 왕위가 계승되며, 장자 상속, 남계 상속, 혼혈 장자 상속, 절대 장자 상속 등 다양한 계승 방식을 가진다. 세습 군주제는 권력 투쟁 예방, 후계자 조기 교육 등의 장점이 있으나, 무능한 후계자 등장, 권력 불평등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역사적으로 여성의 왕위 계승은 제한적이었으나, 점차 인정되는 추세이며, 정략결혼은 왕위 세습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세습 군주제에서는 권력 찬탈이나 선위가 일어나기도 하며, 한국의 조선 시대에도 왕위 계승과 관련된 독특한 제도들이 존재했다. 유럽에서는 장자상속제가 정착되었고, 왕위 계승과 관련한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이데올로기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정치 이데올로기 - 왕족
    왕족은 왕실 구성원을 지칭하며 다양한 칭호로 불리고 왕위 계승권을 가지며 작위나 특권을 누리기도 한다.
  • 군주제 - 재가 (입헌군주제)
    재가란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군주 또는 대리인이 의회 통과 법안에 서명하여 법률로 성립시키는 행위로, 현대에는 형식적 절차이지만 법률 제정 과정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군주제 - 전제군주제
    전제군주제는 군주가 최고의 권력을 독점하여 국민의 참여 없이 통치하는 정치 체제로, 중세 후기 봉건제 발전 과정에서 등장하여 왕권신수설로 정당화되었으나, 계몽주의 시대 이후 쇠퇴하여 현대에는 일부 국가에서만 유지되고 있다.
  • 왕족과 귀족 - 킹메이커
    킹메이커는 직접 권력을 행사하지 않고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여 정치 지도자를 등극시키는 인물이나 집단을 의미하며, 게임 이론에서는 다른 플레이어의 승패를 결정하고, 현대 정치에서는 정부 수반의 인사권을 통해 권력을 행사한다.
  • 왕족과 귀족 - 공주
    공주는 제왕의 딸에게 주어지는 작위로, 춘추전국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전한 시대 이후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지위와 칭호가 다양하게 변화했고, 특히 당나라와 청나라의 제도가 후대 국가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습군주제
군주제
헤럴딕 왕관
헤럴딕 왕관
개념
군주군주
군주제군주제
왕권신수설왕권신수설
천명천명
종류
종류세습군주제
선거군주제
절대군주제
제한군주제
입헌군주제
비주권 군주제
상징군주제
섭정
역사
역사적 사건마그나 카르타
오스만 제국의 발흥
명예 혁명
프랑스 혁명
스페인 입헌 혁명
프랑스 제1제국
프랑스 제2제국
메이지 유신
천황제
독일 제국 성립
신해혁명
러시아 혁명
독일 혁명
터키 혁명
태국 입헌 혁명
스페인 내전
루마니아 왕국 붕괴
이탈리아 왕국 붕괴
스페인 왕정 복고 (1975년)
이란 혁명
캄보디아 왕국 (1993년 - 현재)
네팔 내전
관련 항목
관련 주제귀족제
전제정치
토마스 홉스
과두제
우익
왕위 요구자
왕정복고
왕당파
국제 군주주의자 연맹
백기
토리주의
군주제 폐지
공화주의
기타
기타대중군주제
보편군주제
봉건군주제
비자주군주제
선거군주제
섭정제
세습군주제
입헌군주제
전제군주제
절대군주제
연방군주제
토후국
에스나크
왕관을 쓴 공화국
철인왕
왕실
시역

2. 세습의 원리와 유형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민주제나 국가의 최고 결정권이 인민에게 있는 공화제(Republic)와 달리, 주권과 국가원수의 지위가 상징적으로든 실질적으로든 군주에게 있는 정치체제를 말한다. 군주의 호칭은 나라마다 문화와 관습에 따라 왕, 황제 등으로 다르며 국가도 군주의 호칭에 따라 왕국, 제국, 공국 등으로 불린다.[15] 군주제는 고대 국가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가장 역사가 오래되고 기본적인 형태의 정치체제로 근대 이전까지는 군주제가 국가와 동일하게 여겨지기도 했다.

군주의 지위와 권력이 계승되는 방법을 기준으로 해서 세습군주제와 선거군주제로 구분되며, 군주가 지니는 권한의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전제군주제와 입헌군주제로 나뉜다.[15] 근대에 들어 공화주의 이념과 정치운동이 확산되면서 많은 나라들에서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오늘날에도 군주제를 유지하고 있는 나라들이 적지 않으나 다수의 국가가 입헌군주제와 세습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세습 군주제에서 군주가 사망하거나 퇴위하면 왕위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대로 이어진다. 적임자가 없을 경우, 미리 정해진 계승 순위(종종 법률로 제정됨)에 따라 형제, 자매, 조카, 조카딸, 사촌 또는 다른 친척에게 왕위가 승계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다음 군주를 미리 정하고 왕족 구성원 간의 분쟁을 피하기 위해 확립되었다. 위정자들은 자신의 존경심을 높이기 위해 반신화적인 족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11]

역사적으로, 계승 시스템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주로 계승이 남성에게만 제한되는지, 아니면 여성도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관련이 있다(역사적으로, 왕위는 종종 장남에게 이어졌는데, 이는 전투에서 군대를 이끌 수 있는 능력이 왕권의 필수 요소였기 때문이다). 남계 상속은 여성이 계승할 수도 없고 남성 후손에게 계승권을 이전할 수도 없는 시스템을 말한다(살리카 법에 따름).[12] '남계 친족'은 끊이지 않는 남성 계보를 통해 공통 조상을 가진 친족이다. 혼혈 장자 상속은 남성과 여성 후손 모두가 계승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남성이 우선권을 가진다. 절대 장자 상속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장자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2011년 영연방의 군주제에서 채택되었다(하지만 계승 순위에 역행해서 적용되지는 않았다).[13] 또 다른 고려 사항은 후보자 또는 후보자의 배우자의 종교적 신앙일 수 있다. 특히 군주가 종교적 직함이나 역할을 맡는 경우에 그렇다. 예를 들어, 영국 군주는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통치자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로마 가톨릭을 공개적으로 믿을 수 없다.[14]

선거 군주제는 사실상 세습 군주제로 기능할 수 있다. 타니스트리와 같이 특정한 유형의 선거 군주제는 통치 가문 구성원에게만 자격을 제한한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 제한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세습 계승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거인 대다수가 같은 가문에 속한다면 가족 구성원만을 선출할 수 있다. 또는 재위 중인 군주가 친족을 선출할 수 있는 유일한 권한을 가질 수도 있다. 유럽의 많은 후기 중세 국가들은 공식적으로 선거 군주제였지만, 사실상 의사(擬似) 선거 제도였으며, 대부분은 근세 초기에 공식적으로 세습 제도로 이행되었다. 예외로 신성 로마 제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있다.

세습군주제(世襲君主制)에서는 모든 군주가 같은 혈통에 속하며, 왕위가 혈연관계가 있는 가족에게 대대로 계승된다. 세습제는 가족 간의 애정과 충성에 의한 안정성을 내포할 뿐만 아니라, 지속성과 예측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도 안정성이 높다.

대부분의 세습군주제에서는 누가 다음 군주가 될지를 미리 알리기 위해, 계승 순서를 결정하는 법률에 의해 왕위 계승을 정한다.

예를 들어 장자상속제(長子相続制)의 경우, 세습군주제의 군주가 죽거나 퇴위하면 왕위는 왕의 장남이 계승한다. 그 자녀가 죽으면 왕관은 마찬가지로 그 장남에게, 만약 아들이 없으면 장녀, 사위, 혈연적으로 더 가깝고 연령이 높은 형제자매, 조카, 사촌 등 기타 친족에게 계승된다.

오늘날 세습군주제에서 가장 전형적인 계승 순서는 장자상속제이지만, 그 외에도 시니어리티(연장자 친족의 상속), 타니스트리, 말자상속, 선왕의 지명 등 다양한 방식과 더불어, 남계, 여계 등 성별에 의한 제한이나 배제, 후보자들 중에서 선거를 실시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2. 1. 계승 원칙

신의 뜻에 바탕을 둔 신정적(神政的) 군주제에 따라 권력의 기원과 세습의 정당화는 혈통으로 그 합법성과 정통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국가라는 큰 가족의 가장이라는 지위에 바탕을 둔다고 하는 가부장적(家父長的) 군주제의 개념이 도입되면서[23] 장자 상속제가 뿌리내리게 되었다. 세습 군주국에서의 왕위 계승 원칙으로는 전형적인 장자우선, 성별과 무관하게 첫째 자녀, 서출 배제 등을 왕위 계승 원칙으로 하지만, 치적이 뛰어난 왕자 중에서 후계자를 지명, 경쟁을 통한 결정, 남손직계가 끊어질 경우에 형제나 방계 가문의 일족중에 선정하는 등에 방법들이 존재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장자상속에 의한 세습으로 통치권이 이양된 정권이 다른 방식의 교체된 정권보다는 안정성면에서는 뛰어났다고 한다.[24][25][26][27][28][29]

이론적으로, 세습 군주국의 군주가 죽거나 퇴위할 때, 왕관은 일반적으로 다음 세대에게 넘어간다. 자식이 없는 경우 왕위는 사전에 정해진 계승 순위에 따라 형제, 자매, 조카, 사촌 또는 다른 친척에게로 넘어갈 수 있으며, 예견치 못한 사고로 사망하는 경우 등을 대비하여 왕위계승 자격이나 순위를 법률로 명문화 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누가 먼저 다음 군주가 될 것인가를 결정하여 왕족들 간의 분쟁을 피할 수 있다.[30] 역사적으로, 계승 시스템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주로 계승이 남성에게만 제한되는지, 아니면 여성도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관련이 있다. 남계 상속은 여성이 계승할 수도 없고 남성 후손에게 계승권을 이전할 수도 없는 시스템을 말한다(살리카 법에 따름).[12] 혼혈 장자 상속은 남성과 여성 후손 모두가 계승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남성이 우선권을 가진다. 절대 장자 상속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장자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다.

2. 2. 세습의 유형

이론적으로, 세습 군주제에서 군주가 사망하거나 퇴위하면 왕위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대로 이어진다. 적임자가 없을 경우, 미리 정해진 계승 순위(종종 법률로 제정됨)에 따라 형제, 자매, 조카, 조카딸, 사촌 또는 다른 친척에게 왕위가 승계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다음 군주를 미리 정하고 왕족 구성원 간의 분쟁을 피하기 위해 확립되었다. 위정자들은 자신의 존경심을 높이기 위해 반신화적인 족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11]

역사적으로, 계승 시스템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주로 계승이 남성에게만 제한되는지, 아니면 여성도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관련이 있다. 남계 상속은 여성이 계승할 수도 없고 남성 후손에게 계승권을 이전할 수도 없는 시스템을 말한다(살리카 법에 따름).[12] '남계 친족'은 끊이지 않는 남성 계보를 통해 공통 조상을 가진 친족이다. 혼혈 장자 상속은 남성과 여성 후손 모두가 계승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남성이 우선권을 가진다. 절대 장자 상속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장자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2011년 영연방의 군주제에서 채택되었다(하지만 계승 순위에 역행해서 적용되지는 않았다).[13] 또 다른 고려 사항은 후보자 또는 후보자의 배우자의 종교적 신앙일 수 있다. 특히 군주가 종교적 직함이나 역할을 맡는 경우에 그렇다. 예를 들어, 영국 군주는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통치자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로마 가톨릭을 공개적으로 믿을 수 없다.[14]

선거 군주제는 사실상 세습 군주제로 기능할 수 있다. 타니스트리와 같이 특정한 유형의 선거 군주제는 통치 가문 구성원에게만 자격을 제한한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 제한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세습 계승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거인 대다수가 같은 가문에 속한다면 가족 구성원만을 선출할 수 있다. 또는 재위 중인 군주가 친족을 선출할 수 있는 유일한 권한을 가질 수도 있다. 유럽의 많은 후기 중세 국가들은 공식적으로 선거 군주제였지만, 사실상 의사(擬似) 선거 제도였으며, 대부분은 근세 초기에 공식적으로 세습 제도로 이행되었다. 예외로 신성 로마 제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있다.

대부분의 세습군주제에서는 누가 다음 군주가 될지를 미리 알리기 위해, 계승 순서를 결정하는 법률에 의해 왕위 계승을 정한다. 예를 들어 장자상속제(長子相続制)의 경우, 세습군주제의 군주가 죽거나 퇴위하면 왕위는 왕의 장남이 계승한다. 그 자녀가 죽으면 왕관은 마찬가지로 그 장남에게, 만약 아들이 없으면 장녀, 사위, 혈연적으로 더 가깝고 연령이 높은 형제자매, 조카, 사촌 등 기타 친족에게 계승된다.

오늘날 세습군주제에서 가장 전형적인 계승 순서는 장자상속제이지만, 그 외에도 시니어리티(연장자 친족의 상속), 타니스트리, 말자상속, 선왕의 지명 등 다양한 방식과 더불어, 남계, 여계 등 성별에 의한 제한이나 배제, 후보자들 중에서 선거를 실시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3. 세습군주제의 장단점

세습군주제가 정착될 경우에 차기 통치권 계승자를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통치권 계승을 놓고 발생할 수 있는 권력투쟁을 예방하고, 권력공백 최소화하며, 후계자 조기교육을 통하여 자질이 훌륭한 통치자를 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군주가 유능하고 억압적이지 않고 합리적이며 적절한 위엄을 유지한다면, 이는 지배 가문에 대한 대중의 충성도가 상승하고 국정이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다.[31] 태종 이방원으로부터 세종으로 이어진 안정된 세습으로 인해 태평성대를 이루었던 역사가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세습 군주제의 가장 큰 단점은 후계자가 육체적으로 허약하거나 기질적으로 통치에 적합하지 않을 때 큰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32] 다른 단점으로는 군주의 실정에 대해 직접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없고 무능한 줄 알면서도 국가원수를 갈아치우거나 선택할 수 없는 국민의 무기력함, 사회 전반에 걸친 부와 권력의 불평등한 분배, 군주와 그 가문의 지지자들의 이익을 위한 시대에 뒤떨어진 정책과 종교 및 사회경제 구조의 지속 등이 있다.[33]

스페인은 1406년 즉위한 후안 2세로부터 그의 아들 엔리케 4세의 치세기 동안 간신 알바로 데 루나의 국정농단과 반란 등이 수차례 이어져 극심한 혼란이 지속되었다. 2대에 걸친 무능한 세습군주의 출현으로 무려 68년 동안이나 백성들의 삶은 피폐했었다.[34][35] 잉글랜드에서도 1272년에 즉위한 존 왕과 그의 아들 헨리 3세까지 무려 73년간이나 무능한 군주가 치세하는 혼란기가 있었다.

프랑스 루이 14세의 집권 말기에 빈번한 전쟁 및 무리한 정책 추진 그리고 낭트 칙령 폐지 후(1685년)[36] 종교 탄압으로 상공업에 종사하던 개신교도들의 망명으로 프랑스 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다.[37] 이후 특별한 대안 없이 루이 15세와 16세로 세습이 이어지며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고 프랑스 대혁명으로 치닫고 말았다. 이는 한 명의 군주에게 지나치게 많은 권력이 집중된 절대군주제와 세습군주제가 결합되어 나타난 폐해에 해당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입헌군주제가 출현하거나 통치권 세습을 폐지하고 공화정을 도입하게 되었다.

3. 1. 장점

세습군주제가 정착될 경우에 차기 통치권 계승자를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통치권 계승을 놓고 발생할 수 있는 권력투쟁을 예방하고, 권력공백 최소화하며, 후계자 조기교육을 통하여 자질이 훌륭한 통치자를 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군주가 유능하고 억압적이지 않고 합리적이며 적절한 위엄을 유지한다면, 이는 지배 가문에 대한 대중의 충성도가 상승하고 국정이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다.[31] 태종 이방원으로부터 세종으로 이어진 안정된 세습으로 인해 태평성대를 이루었던 역사가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3. 2. 단점

세습 군주제의 가장 큰 단점은 후계자가 육체적으로 허약하거나 기질적으로 통치에 적합하지 않을 때 큰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32] 다른 단점으로는 군주의 실정에 대해 직접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없고 무능한 줄 알면서도 국가원수를 갈아치우거나 선택할 수 없는 국민의 무기력함, 사회 전반에 걸친 부와 권력의 불평등한 분배, 군주와 그 가문의 지지자들의 이익을 위한 시대에 뒤떨어진 정책과 종교 및 사회경제 구조의 지속 등이 있다.[33]

스페인은 1406년 즉위한 후안 2세로부터 그의 아들 엔리케 4세의 치세기 동안 간신 알바로 데 루나의 국정농단과 반란 등이 수차례 이어져 극심한 혼란이 지속되었다. 2대에 걸친 무능한 세습군주의 출현으로 무려 68년 동안이나 백성들의 삶은 피폐했었다.[34][35] 잉글랜드에서도 1272년에 즉위한 존 왕과 그의 아들 헨리 3세까지 무려 73년간이나 무능한 군주가 치세하는 혼란기가 있었다.

프랑스 루이 14세의 집권 말기에 빈번한 전쟁 및 무리한 정책 추진 그리고 낭트 칙령 폐지 후(1685년)[36] 종교 탄압으로 상공업에 종사하던 개신교도들의 망명으로 프랑스 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다.[37] 이후 특별한 대안 없이 루이 15세와 16세로 세습이 이어지며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고 프랑스 대혁명으로 치닫고 말았다. 이는 한 명의 군주에게 지나치게 많은 권력이 집중된 절대군주제와 세습군주제가 결합되어 나타난 폐해에 해당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입헌군주제가 출현하거나 통치권 세습을 폐지하고 공화정을 도입하게 되었다.

4. 여성 계승과 정략결혼

역사적으로 세습 제도는 남성에게만 한정되었는지, 여성에게도 자격이 있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왕위는 대개 장남에게 넘어갔는데, 이는 전쟁에서 군대를 이끄는 능력이 왕권의 필요조건이었기 때문이다. 부계 계승은 여성이 승계할 수 없거나 남성 후손에게 상속권을 물려줄 수 없는 제도를 말한다. 동족 상속은 한때 남녀 모두 상속자가 되는 것을 의미했지만, 현대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연장자에 의한 상속을 의미한다.[38]

여성의 사회적 기여도가 적은 관계로 프랑크 왕국에서는 살리카 법을 근거로 여성 상속을 금하였다. 이후 유럽 다수의 군주국에서 묵시적으로 이를 따르는 전통이 이어졌다. 잉글랜드 헨리 1세의 딸인 마틸다스티븐을 상대로 1135년부터 벌인 왕위 계승전에서 승리했지만, 여왕 즉위의 전례가 없었고 귀족들의 반발로 즉위에 실패했다.[38] 1328년 프랑스의 샤를 4세가 후계 없이 사망하자 잉글랜드 에드워드 3세필리프 4세의 외손자 자격으로 프랑스 왕위를 요구했으나, 프랑스는 살리카 법을 근거로 이를 묵살했다. 에드워드 3세는 모계 혈통에 따른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명분 삼아 백년 전쟁을 일으켰다.

헨리 8세는 첫 왕비 캐서린이 딸만 낳고 아들을 낳지 못하자 마틸다의 여왕 즉위 실패 선례를 상기하며 고민했다. 1527년 교황에게 혼인 무효 허락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하자, 1533년 종교 개혁을 단행하여 이혼을 합법화하고 재혼하여 아들을 얻었다.[39] 헨리 8세 사후 아들의 짧은 즉위가 이어졌고, 1553년 헨리 8세의 딸인 메리 1세가 즉위했다.[40] 엘리자베스 1세의 즉위로 여왕 즉위는 합법화되었다. 선례가 누적되어 관례화되고 관례가 이어져 전통으로 굳어지면서 정당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스페인에서는 후안 2세엔리케 4세 치세 68년간의 혼란을 종식시키며 1474년에 이사벨 1세 여왕이 즉위하며[41] 여성도 왕위를 계승 할 수 있다는 전통이 15세기에 생겼다. 이는 4년간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왕위 계승전을 치르며 알카소바스 조약을 통해 얻어낸 결과였다. 1700년 스페인 카를로스 2세가 후계 없이 사망한 후 왕관은 프랑스 부르봉 왕가의 펠리페 5세에게 돌아갔다. 이는 그의 조모가 스페인 펠리페 4세의 딸이라는 모계 혈통에 따른 왕위 계승이었다. 현대 유럽 군주국에서 왕위 계승은 적장자, 남성 우선 왕위 계승, 아들이 없을 경우 장녀, 성별에 무관하게 첫째가 계승하는 제도 등이 채택되고 있다.[42]

조선 이성계는 역성혁명을 통해 조선을 개국했으며, 중국 한나라의 태조 유방과 명나라의 태조 주원장은 모두 농민 출신이었다. 그러나 유럽사에서는 평민이나 하급 귀족이 아닌 고위 귀족, 즉 종친으로 분류되는 대귀족들을 통해 왕조가 변경된 역사가 대부분이다. 또한 남손 직계 혈족이 단절되었을 때 여성이나 모계 혈통에 의한 왕권 승계가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럽의 왕가 사이에 왕권 세습을 위해 정치적인 이해가 결부된 정략결혼이 이루어졌다.[43] 정략결혼 시 여성의 경우에 많은 현금 또는 영지를 지참금으로 가지고 가야 했다.

왕위 세습이라는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급적 왕가 간에 정략결혼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다 보니 근친혼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44] 이로 인해 가장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한 가문은 합스부르크 가문이었다. 빈번한 근친혼이 누대에 걸쳐 진행되다 보니 사산, 유산, 요절, 유전병, 신체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44] 대표적인 예가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조의 펠리페 2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와 후대의 카를로스 2세였다. 또 다른 예로 스페인 펠리페 4세인데, 그는 2명의 왕비로부터 낳은 12명의 자녀 중에 2명만이 장성하고 나머지는 모두 요절, 사산했다.

정략결혼이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혈통을 근거로 하여 봉건시대에 난무했던 반란이나 정난, 권력 투쟁, 왕위 계승전 등 폭력적인 방법을 피하여 통치권을 안정적으로 계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6세기 전반기에 카를 5세가 스페인과 독일을 물려받은 것은 정략결혼을 통해 물려받은 혈통 때문이었다. 외할아버지 페르난도 2세로부터 스페인과 나폴리 왕국을 물려받았고, 친할아버지 막시밀리안 1세를 통해 오스트리아를 세습받은 후 이를 바탕으로 황제선거에 출마하여 신성 로마 황제로 등극하였다. 이는 1494년 프랑스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공하자 프랑스를 견제하기 위해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가문이 정략결혼하였는데,[45] 카를 5세는 이 결혼의 최대 수혜자가 된 것이다.

4. 1. 모계 혈통과 여성 상속

역사적으로 세습 제도는 남성에게만 한정되었는지, 여성에게도 자격이 있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왕위는 대개 장남에게 넘어갔는데, 이는 전쟁에서 군대를 이끄는 능력이 왕권의 필요조건이었기 때문이다. 부계 계승은 여성이 승계할 수 없거나 남성 후손에게 상속권을 물려줄 수 없는 제도를 말한다. 동족 상속은 한때 남녀 모두 상속자가 되는 것을 의미했지만, 현대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연장자에 의한 상속을 의미한다.[38]

여성의 사회적 기여도가 적은 관계로 프랑크 왕국에서는 살리카 법을 근거로 여성 상속을 금하였다. 이후 유럽 다수의 군주국에서 묵시적으로 이를 따르는 전통이 이어졌다. 잉글랜드 헨리 1세의 딸인 마틸다스티븐을 상대로 1135년부터 벌인 왕위 계승전에서 승리했지만, 여왕 즉위의 전례가 없었고 귀족들의 반발로 즉위에 실패했다.[38] 1328년 프랑스의 샤를 4세가 후계 없이 사망하자 잉글랜드 에드워드 3세필리프 4세의 외손자 자격으로 프랑스 왕위를 요구했으나, 프랑스는 살리카 법을 근거로 이를 묵살했다. 에드워드 3세는 모계 혈통에 따른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명분 삼아 백년 전쟁을 일으켰다.

헨리 8세는 첫 왕비 캐서린이 딸만 낳고 아들을 낳지 못하자 마틸다의 여왕 즉위 실패 선례를 상기하며 고민했다. 1527년 교황에게 혼인 무효 허락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하자, 1533년 종교 개혁을 단행하여 이혼을 합법화하고 재혼하여 아들을 얻었다.[39] 헨리 8세 사후 아들의 짧은 즉위가 이어졌고, 1553년 헨리 8세의 딸인 메리 1세가 즉위했다.[40] 엘리자베스 1세의 즉위로 여왕 즉위는 합법화되었다. 선례가 누적되어 관례화되고 관례가 이어져 전통으로 굳어지면서 정당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스페인에서는 후안 2세엔리케 4세 치세 68년간의 혼란을 종식시키며 1474년에 이사벨 1세 여왕이 즉위하며[41] 여성도 왕위를 계승 할 수 있다는 전통이 15세기에 생겼다. 이는 4년간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왕위 계승전을 치르며 알카소바스 조약을 통해 얻어낸 결과였다. 1700년 스페인 카를로스 2세가 후계 없이 사망한 후 왕관은 프랑스 부르봉 왕가의 펠리페 5세에게 돌아갔다. 이는 그의 조모가 스페인 펠리페 4세의 딸이라는 모계 혈통에 따른 왕위 계승이었다. 현대 유럽 군주국에서 왕위 계승은 적장자, 남성 우선 왕위 계승, 아들이 없을 경우 장녀, 성별에 무관하게 첫째가 계승하는 제도 등이 채택되고 있다.[42]

4. 2. 정략결혼

유럽의 왕가에서는 왕권 세습을 위한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결부된 정략결혼이 이루어졌다.[43] 왕위 세습이라는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왕가 간에 정략결혼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다 보니 근친혼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44] 여성의 경우에 많은 현금 또는 영지를 지참금으로 가지고 가야 했다.

근친혼으로 인해 가장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한 가문은 합스부르크 가문이었다. 빈번한 근친혼의 누적으로 사산, 유산, 요절, 유전병, 신체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경우가 많았다.[44] 대표적인 예가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조의 펠리페 2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와 후대의 카를로스 2세였다. 또 다른 예로 스페인 펠리페 4세는 2명의 왕비로부터 낳은 12명의 자녀 중에 2명만이 장성하고 나머지는 모두 요절, 사산했다.

정략결혼은 혈통을 근거로 봉건시대에 난무했던 반란이나 정난, 권력 투쟁, 왕위 계승전 등 폭력적인 방법을 피하여 통치권을 안정적으로 계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6세기 전반기에 카를 5세가 스페인과 독일을 물려받은 것은 정략결혼을 통해 물려받은 혈통 때문이었다. 외할아버지 페르난도 2세로부터 스페인과 나폴리 왕국을 물려받았고 친할아버지 막시밀리안 1세를 통해 오스트리아를 세습받은 후 이를 바탕으로 황제선거에 출마하여 신성 로마 황제로 등극하였다. 이는 1494년 프랑스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공하자 프랑스를 견제하기 위해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가문이 정략결혼하였는데,[45] 카를 5세는 이 결혼의 최대 수혜자가 된 것이다.

5. 권력 찬탈과 선위

적장자계승이라는 혈통에 의해 그 정통성을 인정받는 세습제하에도 정란으로 군주가 교체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계유정란, 인조반정, 중종반정이 이에 해당한다. 1453년의 계유정란에서 보듯이 어린 조카의 왕권을 찬탈한 예는 동서양 역사에 허다하다. 명나라의 3대황제 영락제는 1399년에 '정난의 변'을 일으켜 조카 건문제의 황위를 찬탈했으며,[46] 잉글랜드 리처드 3세 역시 조카 에드워드 5세의 왕권을 차지했다. 밀라노 공작 루토비코 스포르차도 조카 잔 갈레아초의 통치권을 찬탈한 후 이를 정당화 시키기 위해 프랑스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공을 도왔다. 이후 이탈리아는 무려 8차례에 걸친 큰 전쟁으로 대 혼란에 빠졌다. 잉글랜드의 스티븐은 1135년 사촌 여동생 마틸다가 즉위도 하기전에 왕위를 가로챘다.[47] 헨리 4세 역시 사촌동생 리처드 2세로부터 권력을 찬탈했다.

선위(禪位)는 군주가 살아 생전에 다른 사람에게 군주의 지위를 물려주는 일을 말한다.[48] 보통 같은 왕조에서 아버지가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자신은 상왕(上王, 또는 상황(上皇))으로 물러나게 된다. 중국의 역사에서는 아들을 제쳐두고 혈통이 다른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것을 선양(禪讓)이라고 하여 유교적 이상향의 하나로 여긴다.

한국 역사에서 맨 처음 선위를 기록한 왕은 고구려 제6대 태조왕으로, 146년 재위 94년에 100세의 고령으로 동생 수성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신라 제51대 진성여왕궁예견훤 등이 나라를 세워 신라를 괴롭히자 왕위를 감당치 못하고 재위 11년 만인 897년 태자 요에게 물려주었다. 고려시대에는 몇차례 선위가 더 이루어진 역사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태조가 왕자의 난 이후 정치에 뜻을 잃고 1398년에 정종에게, 정종은 1400년 태종에게, 태종은 1418년 세종에게 선위하였다. 세조, 중종, 인종, 고종등이 선위한바 있다.[48]

카를 5세는 1556년에 스페인나폴리 등은 아들 펠리페 2세에게, 오스트리아신성 로마 제국은 동생 페르디난트 1세에게 물려주고 은퇴하였다. 2019년 4월 30일, "천황 퇴위 특례법"에 따라 제125대 일왕 아키히토가 황태자 나루히토에게 선위하였다.

5. 1. 권력 찬탈

적장자계승이라는 혈통에 의해 그 정통성을 인정받는 세습제하에도 정란으로 군주가 교체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계유정란, 인조반정, 중종반정이 이에 해당한다. 1453년의 계유정란에서 보듯이 어린 조카의 왕권을 찬탈한 예는 동서양 역사에 허다하다. 명나라의 3대황제 영락제는 1399년에 '정난의 변'을 일으켜 조카 건문제의 황위를 찬탈했으며,[46] 잉글랜드 리처드 3세 역시 조카 에드워드 5세의 왕권을 차지했다. 밀라노 공작 루토비코 스포르차도 조카 잔 갈레아초의 통치권을 찬탈한 후 이를 정당화 시키기 위해 프랑스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공을 도왔다. 이후 이탈리아는 무려 8차례에 걸친 큰 전쟁으로 대 혼란에 빠졌다. 잉글랜드의 스티븐은 1135년 사촌 여동생 마틸다가 즉위도 하기전에 왕위를 가로챘다.[47] 헨리 4세 역시 사촌동생 리처드 2세로부터 권력을 찬탈했다.

5. 2. 선위

선위(禪位)는 군주가 살아 생전에 다른 사람에게 군주의 지위를 물려주는 일을 말한다.[48] 보통 같은 왕조에서 아버지가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자신은 상왕(上王, 또는 상황(上皇))으로 물러나게 된다. 중국의 역사에서는 아들을 제쳐두고 혈통이 다른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것을 선양(禪讓)이라고 하여 유교적 이상향의 하나로 여긴다.

한국 역사에서 맨 처음 선위를 기록한 왕은 고구려 제6대 태조왕으로, 146년 재위 94년에 100세의 고령으로 동생 수성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신라 제51대 진성여왕궁예견훤 등이 나라를 세워 신라를 괴롭히자 왕위를 감당치 못하고 재위 11년 만인 897년 태자 요에게 물려주었다. 고려시대에는 몇차례 선위가 더 이루어진 역사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태조가 왕자의 난 이후 정치에 뜻을 잃고 1398년에 정종에게, 정종은 1400년 태종에게, 태종은 1418년 세종에게 선위하였다. 세조, 중종, 인종, 고종등이 선위한바 있다.[48]

카를 5세는 1556년에 스페인나폴리 등은 아들 펠리페 2세에게, 오스트리아신성 로마 제국은 동생 페르디난트 1세에게 물려주고 은퇴하였다. 2019년 4월 30일, "천황 퇴위 특례법"에 따라 제125대 일왕 아키히토가 황태자 나루히토에게 선위하였다.

6. 한국사에서의 세습

조선시대의 왕위 계승에는 왕비의 장남이 왕이 되는 적장자 왕위계승과 덕이 있는 사람이 왕이 된다는 두 가지 원칙이 있었다.[67] 적장자 왕위계승에는 여러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적장자보다 다른 왕자가 유능한 경우에는 쿠데타의 가능성 때문에 정국이 불안했다. 또 왕비가 아들을 낳지 못하고 후궁들만 여러 아들이 있는 경우 이들 사이의 치열한 암투로 정치 불안이 가중되었다.[68] 이러한 이유로 적장자 계승원칙은 잘 지켜지지 않았으며, 27명의 왕 중 7명만이 적장자 출신이었다. 적장자로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즉위하지 못한 경우도 7명이나 된다. 반면 적장자가 아니면서 왕이 된 경우는 20명이나 된다. 후궁의 아들로 왕위에 오를 경우 대부분 격렬한 궁중 암투를 겪었다.[68]

세자로 책봉되면 종묘에 고하고 사후에 형식적이었지만 중국의 허락을 받았다. 세자는 동궁(東宮)[69]에서 기거하며, 나머지 왕자(대군)들은 궐밖으로 나가 사가에서 지냈다. 세자에게는 독립된 기관, 인원, 예산이 배정되어 왕에 버금가는 예우를 받았다.[70] 세자는 정치와 인사에 간여할 수 없었으나 필요에 따라 대리청정하는 경우는 있었다.[68] 세자가 불초(不肖) 하거나[71] 덕이 없는 처신을 할 경우에 폐위되기도 한다.[72] 또한 즉위하기 전에 죽으면 그의 아들인 왕세손(王世孫)이 왕위계승권을 이어받는다. 조선 태종의 장남 양녕은 1418년 6월에 폐세자 되었고 삼남 충녕(훗날 세종)이 세자로 책봉되었다.[73] 조선 정조는 7살에 세손에 책봉되었으나 아버지 사도세자가 1762년 사망한후 왕위계승권을 물려받았다.

한편, 청나라 시대에는 황제가 미리 마음에 드는 황자의 이름을 적어 봉인하고, 황제가 죽은 후에 그 봉인을 열어보는 태자밀건 제도가 시행되었다.

6. 1. 조선시대의 왕위 계승

조선시대의 왕위 계승에는 왕비의 장남이 왕이 되는 적장자 왕위계승과 덕이 있는 사람이 왕이 된다는 두 가지 원칙이 있었다.[67] 적장자 왕위계승에는 여러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적장자보다 다른 왕자가 유능한 경우에는 쿠데타의 가능성 때문에 정국이 불안했다. 또 왕비가 아들을 낳지 못하고 후궁들만 여러 아들이 있는 경우 이들 사이의 치열한 암투로 정치 불안이 가중되었다.[68] 이러한 이유로 적장자 계승원칙은 잘 지켜지지 않았으며, 27명의 왕 중 7명만이 적장자 출신이었다. 적장자로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즉위하지 못한 경우도 7명이나 된다. 반면 적장자가 아니면서 왕이 된 경우는 20명이나 된다. 후궁의 아들로 왕위에 오를 경우 대부분 격렬한 궁중 암투를 겪었다.[68]

세자로 책봉되면 종묘에 고하고 사후에 형식적이었지만 중국의 허락을 받았다. 세자는 동궁(東宮)[69]에서 기거하며, 나머지 왕자(대군)들은 궐밖으로 나가 사가에서 지냈다. 세자에게는 독립된 기관, 인원, 예산이 배정되어 왕에 버금가는 예우를 받았다.[70] 세자는 정치와 인사에 간여할 수 없었으나 필요에 따라 대리청정하는 경우는 있었다.[68] 세자가 불초(不肖) 하거나[71] 덕이 없는 처신을 할 경우에 폐위되기도 한다.[72] 또한 즉위하기 전에 죽으면 그의 아들인 왕세손(王世孫)이 왕위계승권을 이어받는다. 조선 태종의 장남 양녕은 1418년 6월에 폐세자 되었고 삼남 충녕(훗날 세종)이 세자로 책봉되었다.[73] 조선 정조는 7살에 세손에 책봉되었으나 아버지 사도세자가 1762년 사망한후 왕위계승권을 물려받았다.

한편, 청나라 시대에는 황제가 미리 마음에 드는 황자의 이름을 적어 봉인하고, 황제가 죽은 후에 그 봉인을 열어보는 태자밀건 제도가 시행되었다.

7. 유럽의 통치권 세습

살리족은 살리카법을 제정하여 여성상속을 금지했으며 형제간에는 분할상속제를 선택하였다.[49][50][51] 부족을 넘어 프랑크 왕국을 경영하면서도 이런 전통을 고수했다. 이로 인해 상속의 불만으로 인해 골육상쟁이 벌어졌고 분열과 통일이 반복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메로빙거 왕조에 이어 샤를마뉴의 카롤링거 왕조의 말기까지 이런 갈등과 분열은 지속되었다.[52] 동프랑크 왕조에서 카롤링거의 직계는 911년에, 서프랑크에서는 987년에 카롤링거 왕실이 끝났는데, 이후 프랑스독일은 모두 분할상속제를 버리고 장자상속제를 도입하였다.[52]

독일의 하인리히 3세는 1053년에 3살된 장남 하인리히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했다.[53] 하인리히 3세가 1056년에 갑자기 사망했을 때, 6살의 어린 하인리히 4세는 문제없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하인리히 4세는 1087년에 13살이 된 장남 콘라트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하였으나,[54] 콘라트는 1093년에 반란을 일으켰다.[54] 1098년, 반란 진압에 성공한 하인리히 4세는 장남 콘라트를 폐위시키고,[55] 차남 하인리히 5세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하였다.[54] 하인리히 4세는 차남 하인리히 5세에게 제국 정치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선서를 시켰으나, 차남 역시 1104년 반란을 일으켰다.[56] 반란 진압에 실패한 하인리히 4세는 1105년 12월에 강제 퇴위당한 뒤 다음해 병사했다.[56]

잉글랜드헨리 2세는 당대에 유럽에서 가장 넓은 영지를 소유한 부유한 군주였다.[57] 헨리 2세는 1170년에 왕세자 헨리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하였으나 실권을 넘기지 않아 장남 헨리와 갈등했다.[56] 1173년 장남 헨리가 동생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56][58] 헨리 2세는 아들들을 용서했으나,[56] 헨리는 1181년에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1183년 6월에 장남 헨리가 갑자기 죽으면서 반란은 종결되었다.[56] 왕세자가 된 차남 리처드가 상속에 불만을 품고 1188년 11월에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와 동맹을 맺고 반란을 일으켰다.[59][60][61] 막내 존마저 반란에 가담하자,[61] 충격을 받은 헨리 2세1189년 7월 투렌 시농에서 죽었다.[54][62][63]

왕세자의 개념이 정착되지 못했던 시절에 적장자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하는 것은 후계구도를 든든하게 하여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중앙집권을 위해서 권력세습 구도를 분명히 할 필요성이 있었으나, 이런 조치는 반란의 단초가 되기도 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왕위계승권자를 공동통치자가 아닌 특정 지역의 영주로 임명하여 국정개입을 차단하는 전통이 정착되어갔다.

현대 유럽 대부분의 군주국에서 왕위계승은 적장자, 남성 우선 왕위계승을 원칙으로 하되, 아들이 없을 경우 장녀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다. 영국, 스페인, 덴마크, 모나코 등이 이 원칙을 지키며 스웨덴, 벨기에, 노르웨이, 네덜란드 등은 성별에 관계없이 첫째가 왕위를 계승하고 있다.[64] 차기 왕위계승 1순위자에게는 왕위계승권자나 왕위에 대한 법정추정상속인[65]이라는 의미가 부여된 상징성이 있는 실질적인 귀족 작위를 내리는 전통이 있다. 예를 들어 영국은 웨일스 공, 스페인은 아스투리아스 공, 네덜란드는 오라녜 공이라는 공식 직함을 가진다.

7. 1. 세습의 기원

내용이 비어 있으므로 내용을 추가해 달라는 메시지만 있다. 세습의 기원에 대한 내용은 제공되지 않았다.

7. 2. 장자상속

살리족은 살리카법을 제정하여 여성상속을 금지했으며 형제간에는 분할상속제를 선택하였다. 부족을 넘어 프랑크 왕국을 경영하면서도 이런 전통을 고수했다. 이로 인해 상속의 불만으로 인해 골육상쟁이 벌어졌고 분열과 통일이 반복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메로빙거 왕조에 이어 샤를마뉴의 카롤링거 왕조의 말기까지 이런 갈등과 분열은 지속되었다. 동프랑크 왕조에서 카롤링거의 직계는 911년에, 서프랑크에서는 987년에 카롤링거 왕실이 끝났는데, 이후 프랑스독일은 모두 분할상속제를 버리고 장자상속제를 도입하였다.

7. 3. 공동통치와 반란

독일의 하인리히 3세는 1053년에 3살된 장남 하인리히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했다.[53] 하인리히 3세가 1056년에 갑자기 사망했을 때, 6살의 어린 하인리히 4세는 문제없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하인리히 4세는 1087년에 13살이 된 장남 콘라트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하였으나,[54] 콘라트는 1093년에 반란을 일으켰다.[54] 1098년, 반란 진압에 성공한 하인리히 4세는 장남 콘라트를 폐위시키고,[55] 차남 하인리히 5세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하였다.[54] 하인리히 4세는 차남 하인리히 5세에게 제국 정치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선서를 시켰으나, 차남 역시 1104년 반란을 일으켰다.[56] 반란 진압에 실패한 하인리히 4세는 1105년 12월에 강제 퇴위당한 뒤 다음해 병사했다.[56]

잉글랜드헨리 2세는 당대에 유럽에서 가장 넓은 영지를 소유한 부유한 군주였다.[57] 헨리 2세는 1170년에 왕세자 헨리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하였으나 실권을 넘기지 않아 장남 헨리와 갈등했다.[56] 1173년 장남 헨리가 동생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56][58] 헨리 2세는 아들들을 용서했으나[56] 헨리는 1181년에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1183년 6월에 장남 헨리가 갑자기 죽으면서 반란은 종결되었다.[56] 왕세자가 된 차남 리처드가 상속에 불만을 품고 1188년 11월에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와 동맹을 맺고 반란을 일으켰다.[59][60][61] 막내 존마저 반란에 가담하자[61] 충격을 받은 헨리 2세1189년 7월 투렌 시농에서 죽었다.[54][62][63]

왕세자의 개념이 정착되지 못했던 시절에 적장자를 공동통치자로 임명하는 것은 후계구도를 든든하게 하여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중앙집권을 위해서 권력세습 구도를 분명히 할 필요성이 있었으나, 이런 조치는 반란의 단초가 되기도 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왕위계승권자를 공동통치자가 아닌 특정 지역의 영주로 임명하여 국정개입을 차단하는 전통이 정착되어갔다.

7. 4. 법정추정 상속인

현대 유럽 대부분의 군주국에서 왕위계승은 적장자, 남성 우선 왕위계승을 원칙으로 하되, 아들이 없을 경우 장녀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다. 영국, 스페인, 덴마크, 모나코 등이 이 원칙을 지키며 스웨덴, 벨기에, 노르웨이, 네덜란드 등은 성별에 관계없이 첫째가 왕위를 계승하고 있다.[64] 차기 왕위계승 1순위자에게는 왕위계승권자나 왕위에 대한 법정추정상속인[65]이라는 의미가 부여된 상징성이 있는 실질적인 귀족 작위를 내리는 전통이 있다. 예를 들어 영국은 웨일스 공, 스페인은 아스투리아스 공, 네덜란드는 오라녜 공이라는 공식 직함을 가진다.

7. 5. 통치 가문

8. 그 밖의 나라

몽골족은 막내우선제를, 만주족이나 튀르크는 경쟁을 통해 후계자를 선정하는 등 다양한 제도가 운용되어 왔다.[66] 각기 장단점이 있기는 하나 골치 아픈 것은 동일하다. 조선시대의 왕위 계승에는 왕비의 장남이 왕이 되는 적장자 왕위계승과 덕이 있는 사람이 왕이 된다는 두 가지 원칙이 있었다.[67] 적장자 왕위계승에는 여러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적장자보다 다른 왕자가 유능한 경우에는 쿠데타의 가능성 때문에 정국이 불안했다. 또 왕비가 아들을 낳지 못하고 후궁들만 여러 아들이 있는 경우 이들 사이의 치열한 암투로 정치 불안이 가중되었다.[68] 27명의 왕 중 7명만이 적장자 출신이었고, 적장자로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즉위하지 못한 경우도 7명이나 되었다. 반면 적장자가 아니면서 왕이 된 경우는 20명이나 된다. 후궁의 아들로 왕위에 오를 경우 대부분 격렬한 궁중 암투를 겪었다.[68]

세자로 책봉되면 종묘에 고하고 사후에 형식적이었지만 중국의 허락을 받았다. 대군들은 궐밖으로 나가 사가에서 지냈으나, 세자는 동궁(東宮)에서 기거하기 시작하며 독립된 기관, 인원, 예산이 배정되어 왕에 버금가는 예우를 받았다.[69][70] 세자는 정치와 인사에 간여할 수 없었으나 필요에 따라 대리청정하는 경우는 있었다.[68] 세자가 불초(不肖) 하거나[71] 덕이 없는 처신을 할 경우에 폐위되기도 한다.[72] 또한 즉위하기 전에 죽으면 그의 아들인 왕세손(王世孫)이 왕위계승권을 이어받는다. 조선 태종의 장남 양녕은 1418년 6월에 폐세자 되었고 삼남 충녕이 세자로 책봉되었다.[73] 조선 정조는 7살에 세손에 책봉되었으나 아버지 사도세자가 1762년 사망한 후 왕위계승권을 물려받았다.

참조

[1] 서적 Principles and Theory of Political Science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 2018-02-18
[2] 서적 Who's Not Who and Other Matters https://books.google[...] Pegasus Elliot Mackenzie Pu 2006
[3] 뉴스 A hereditary head of state and a system based on sexism and religious discrimination have no place in the 21st century https://www.theguard[...] 2008-09-25
[4] 저널 The constitutional economics of autocratic succession 2000
[5] 서적 The Encyclopedia of Public Choice 2004
[6] 저널 Delivering Stability—Primogeniture and Autocratic Survival in European Monarchies 1000–1800 2014-05
[7] 저널 Path Dependence in European Development: Medieval Politics, Conflict, and State Building 2019-11-01
[8] 저널 Leader Succession and Civil War 2019-06-11
[9] 웹사이트 Tracking the "Arab Spring": Why the Modest Harvest? https://www.journalo[...] 2019-10-27
[10] 뉴스 Why is the Japanese monarchy under threat? https://www.economis[...] 2017-06-02
[11] 서적 Finding Your Irish Ancestors: Unique Aspects of Irish Genealogy https://books.google[...] Genealogical Publishing Com 2017-12-11
[12] 서적 The Laws of the Salian Frank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2-05-23
[13] 저널 From Agnatic Succession to Absolute Primogeniture: The Shift to Equal Rights of Succession to Thrones and Titles in the Modern European Constitutional Monarchy https://digitalcommo[...] 2024-03-22
[14] 법률 Act of Settlement 1700(c.2), Article II http://www.statutela[...] 2010-05-14
[14] 법률 Union with Scotland Act 1706 (c.11), Article II http://www.statutela[...] 2010-05-14
[14] 법률 Union with England Act 1707 (c.7), Article II http://www.statutela[...] 2010-05-14
[15] 웹인용 군주제[monarchy,君主制] https://www.doopedia[...] 2022-11-21
[16] 웹인용 태자 https://terms.naver.[...] 2022-11-21
[17] 서적 A Source Book for Medieval Economic History Biblo and Tannen 1965
[18]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19] 웹사이트 살리카 계승법 (Salic Law of Succession) https://100.daum.net[...]
[20] 웹사이트 베르됭 조약 - 근대 서유럽의 테두리가 그려지다 https://terms.naver.[...] 2014-12-22
[21] 웹사이트 훈요십조 [訓要十條] https://terms.naver.[...]
[22] 웹사이트 태자 [太子]
[23] 웹사이트 절대군주제 [absolute monarchy, 絶對君主制]
[24] 저널 The constitutional economics of autocratic succession 2000
[25] 저널 Autocratic succession 2004
[26] 저널 Delivering Stability—Primogeniture and Autocratic Survival in European Monarchies 1000–1800 2014-05
[27] 저널 Path Dependence in European Development: Medieval Politics, Conflict, and State Building 2019-11-01
[28] 저널 Leader Succession and Civil War 2019-06-11
[29] 웹사이트 Tracking the "Arab Spring": Why the Modest Harvest? https://www.journalo[...] 2019-10-27
[30] 서적 Finding Your Irish Ancestors: Unique Aspects of Irish Genealogy https://books.google[...] Genealogical Publishing Com 2017-12-11
[31] 서적 Principles and Theory of Political Science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 2018-02-18
[32] 서적 Who's Not Who and Other Matters https://books.google[...] Pegasus Elliot Mackenzie Pu 2006
[33] 뉴스 A hereditary head of state and a system based on sexism and religious discrimination have no place in the 21st century https://www.theguard[...] 2018-02-18
[34] 서적 여왕의 시대 미래의 창 2011-05-25
[35] 서적 스페인사 까치글방
[36]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37] 백과사전 위그노가 프랑스에서 달아나다 2009-08-20
[38]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01-05
[39] 서적 이야기 교회사 (하) 두난노서원 2004-04-26
[40]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01-05
[41] 서적 스페인 역사 100장면 가람기획 2003-05-14
[42] 웹사이트 왕위계승법 https://terms.naver.[...] 2022-11-21
[43] 논문 The Politics of Marriage Among Non-Catholic European Royalty 1973-06
[44] 서적 유럽의 첫 번째 태양 스페인 을류문화사 2015
[45]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46] 서적 하룻밤에 읽는 중국사 중앙M&B 2001-11-20
[47]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01-05
[48] 백과사전 선위
[49]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50] 서적 A Source Book for Medieval Economic History Biblo and Tannen, New York 1965
[51] 백과사전 살리카 계승법 (Salic Law of Succession) https://100.daum.net[...]
[52] 백과사전 베르됭 조약 - 근대 서유럽의 테두리가 그려지다 https://terms.naver.[...] 2014-12-22
[53] 백과사전 하인리히 4세 [Henry IV] - 카노사의 굴욕을 당한 신성로마제국 황제
[54] 웹사이트 하인리히 4세 https://terms.naver.[...]
[55] 서적 케임브리지 독일사 시공사 2004-10-15
[56] 백과사전 하인리히 4세 [Henry IV] - 카노사의 굴욕을 당한 신성로마제국 황제
[57] 서적 옥스퍼트 영국사 2022-11-21
[58] 백과사전 리처드 1세 [Richard I] - 만용과 탐욕의 왕
[59] 서적 Henry II Yale University Press 2000
[60] 백과사전 리처드 1세 [Richard I] - 만용과 탐욕의 왕 https://terms.naver.[...]
[61]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01-05
[62] 백과사전 헨리 2세 [Henry Ⅱ] - 플랜태저넷 왕조를 개창 https://terms.naver.[...]
[63] 서적 Henry II Yale University Press 2000
[64] 웹사이트 왕위계승법 https://terms.naver.[...]
[65] 백과사전 법정상속인 (法定相續人, heir) https://100.daum.net[...]
[66] 백과사전 베르됭 조약 - 근대 서유럽의 테두리가 그려지다 https://terms.naver.[...] 2014-12-22
[67] 백과사전 태자 [太子] 한국학중앙연구원
[68] 웹사이트 왕세자 https://terms.naver.[...] 2003
[69] 웹사이트 동궁 [東宮] https://terms.naver.[...]
[70] 백과사전 태자 [太子] 한국학중앙연구원
[71] 사전 불초하다 (不肖하다) 네이버 국어사전
[72] 백과사전 태자 [太子]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73] 백과사전 세종 [世宗] (URL 정보 없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