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공산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시공산제는 문명 사회 이전에 존재했던 사회 형태로, 생산 수단의 공유와 평등한 분배를 특징으로 한다. 장 자크 루소 등의 사상과 루이스 H. 모건,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연구를 통해 개념이 정립되었으며, 엥겔스는 수렵 채집 사회와 야만 사회의 두 단계로 분류했다. 아나키스트들은 산업화 이전의 아나키스트 사회와 유사하다고 보았으며, 20세기 이후 사회학자와 고고학자들은 구석기 시대부터 농경 사회까지 이 개념을 적용했다. 원시공산제는 공동체 구성원 간의 경제적 협력, 노동 투입과 자원 반환의 일치 등을 특징으로 하며, 사유 재산과 계급의 발생으로 붕괴되었다. 차탈회위크, 스파르타, 초기 예루살렘 교회 등이 원시공산제의 사례로 제시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원시적인 개념 사용에 대한 비판과 함께, 마르크스 이전 공산주의와 같은 용어로 대체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나르코공산주의 - 아나키즘
아나키즘은 국가와 권위에 반대하며 다양한 분파로 나뉘는 정치 철학으로, 사회적 아나키즘은 생산 수단의 사회화를,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은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며, 21세기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국가 부재 시의 문제점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아나르코공산주의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은 멕시코 치아파스 주에서 활동하는 원주민 무장단체로, 1994년 무장봉기를 통해 멕시코 정부의 불평등에 저항하며 토지 개혁과 자치권을 요구하고, 대안세계화 운동과 연계하여 비폭력적 저항과 정치적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 역사 이론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역사 이론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의 저서인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칼뱅주의를 포함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가 근면, 절약, 합리성 등의 가치를 통해 자본주의 정신에 영향을 주어 경제 활동의 윤리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지만, 방법론적 한계와 근거 부족으로 비판받으며 자본주의 발전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원시공산제 | |
---|---|
개요 | |
정의 |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사유 재산과 계급 사회가 나타나기 이전의 인간 사회 조직 형태 |
특징 |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 재화의 공동 분배 계급 및 국가의 부재 |
역사적 맥락 | |
마르크스주의 관점 | 인류 역사의 초기 단계, 수렵채집사회 및 초기 농경사회에 해당 |
발전 단계 | 공산주의 사회로 이행하는 역사적 발전 단계의 초기 형태 |
생활 방식 | |
경제적 특징 | 낮은 생산력 공동 노동 평등한 분배 |
사회적 특징 | 혈연 중심의 공동체 생활 계급 및 사회적 불평등의 부재 협동과 상호 부조 중시 |
이론적 배경 | |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 유물사관에 기반하여 원시 공산 사회의 개념을 정립 |
루이스 헨리 모건 | 인류학 연구를 통해 원시 사회의 공동체적 생활 방식을 제시 |
비판적 시각 | |
생산성 문제 | 낮은 생산력으로 인해 물질적 풍요를 달성하기 어려움 |
사회 발전의 한계 | 더 복잡하고 발전된 사회 형태로의 이행 필요성 |
현대적 의의 | |
평등주의적 이상 | 현대 사회의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영감 제공 |
공동체 정신의 중요성 | 현대 사회의 사회적 연대 강화에 기여 |
관련 개념 | |
공산주의 | 원시 공산 사회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정치 이념 |
사회주의 | 생산 수단의 사회적 소유 및 평등한 분배를 추구하는 경제 체제 |
공동체주의 | 개인보다는 공동체의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 사상 |
참고 문헌 | |
A Dictionary of Sociology | John Scott and Gordon Marshall,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7 |
Introductory Guide to Critical Theory | Vincent Felluga, 2011 |
The Blackwell Dictionary of Political Science | Frank Bealey, 1999 |
Concise Philosophical Dictionary | M. Rozental and P. Judin, 1955, pp. 697–698 |
Houses and House-Life of the American Aborigines | Lewis Henry Morg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and London, 1881 |
Man the Hunter | Richard Lee and Irven DeVore, Aldine Transaction, 1969, ISBN 978-0-202-33032-7 |
2. 원시공동체의 개념 및 발전
'''원시공동체''' 또는 '''원시공산체'''는 문명 사회 이전에 존재했던 사회 형태로, 자연 상태에 가까운 단순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시기에는 이미 남녀 간의 역할 분담이 나타나, 남성은 주로 수렵이나 어로에, 여성은 간단한 농경이나 육아에 종사했다. 그러나 사회 내부의 분화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고 계급 관계도 존재하지 않았다. 생산수단은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소유했으며 생산물은 평등하게 분배되었다는 점에서 일종의 공산제 사회로 볼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인류가 토지에 정착하여 농경이나 목축을 주로 하게 되자, 사회는 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씨족 공동체로 변화했다. 이 단계에서도 생산 도구는 여전히 원시적이었고 생산력이 낮았기 때문에, 씨족 전체의 협력을 통한 집단 노동 없이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자연이나 맹수의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도 힘들었다.
혼인 형태는 초기에는 난혼(亂婚)이나 집단혼의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지만, 처음에는 혈족 간의 혼인을 금지하는 규정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모건은 한 무리의 남성이 동등한 자격으로 한 무리의 여성과 집단적으로 결혼하는 형태에서 점차 혈연관계에 있는 형제자매 간의 혼인이 금지되고, 이후 친자매 또는 방계 자매가 혈연관계가 없는 여러 남성과 집단적으로 결혼하거나, 반대로 친형제 또는 방계 형제가 혈연관계가 없는 여러 여성과 집단적으로 결혼하는 형태(모건의 '푸나루아 혼')를 거쳐 족외혼(族外婚)이 확립되었다고 보았다. 족외혼의 확립과 함께 사회는 여러 씨족으로 구성된 부족(部族)으로 발전했으며, 생산력이 더욱 발달하면서 부족들이 연합하는 부족 동맹(部族同盟)으로 사회 범위가 확대되었다.
원시공동체의 기본 단위인 씨족은 혼인과 종교에 대해 강한 규제를 받았다. 각 씨족은 고유한 토템을 가졌는데, 동물의 이름을 토템으로 삼아 씨족의 명칭으로 사용하며 씨족 내의 강한 유대감을 형성했다. 또한 같은 조상을 숭배하고 언어나 관습을 공유하며 집단으로서의 통일성을 이루었다. 이러한 원시 종교의 중심에는 애니미즘이라 불리는 영혼 숭배 사상이 있었다. 원시인들은 인간의 육체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 돌 같은 자연물에도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믿고 이를 숭배함으로써 씨족 내의 질서를 유지했다. 혼인 형태가 부족 내 다른 씨족과의 통혼인 족외혼으로 정착하면서, 태어난 자녀는 어머니의 토템 씨족에 속하게 되어 모계제 사회가 일반적이었다.
다른 부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부족 단위의 통일이 필요해지면서 점차 부족 내부의 조직화가 이루어졌고, 남녀노소의 순서에 따른 상하(上下) 구별도 생겨났다. 또한 창이나 활의 사용, 토기나 직물 제작 기술의 발명, 동물의 가축화 등 생산력이 발달하면서 원시적인 채취 경제에서 농업과 목축 중심의 생산 경제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도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고 보존할 수 있게 되면서 공동 노동의 필요성은 점차 줄어들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수확물이나 토지를 개인이 차지하는 사적 점유가 시작되었고, 부족 간의 정복 전쟁을 통한 토지 수탈 등이 일어나면서 사유재산제와 계급, 그리고 국가가 형성되었다. 결국 원시공동체는 해체되고 노예제 사회로 이행하게 되었다.
2. 1. 초기 연구
원시 공산주의에 대한 최초의 아이디어는 장 자크 루소[4]의 저작과 모건 및 엘리 S. 파커의 초기 인류학 연구에서 나타난 고귀한 야만인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5][6][7] 엥겔스는 1884년 ''가족, 사유 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을 출판하며 원시 공산주의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 첫 인물로 평가받는다.[8] 엥겔스는 원시 공산주의 사회를 두 단계로 나누었다. 첫째는 영구적인 상부 구조 없이 자연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야생"(수렵 채집) 단계이며, 둘째는 게르만족의 고대 게르만족이나[9] 로마 제국 경계 밖, 유럽 식민지화 이전의 북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처럼 상부 구조를 가진 "야만" 단계이다. 이러한 사회는 공동체 내에서 평등주의적이고 모계적인 특징을 보였다.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후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사용한 것보다 더 넓은 의미로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수렵 채집민뿐만 아니라 자급 농업에 종사하는 일부 공동체에도 적용했다.[10] 마르크스주의자를 포함한 후기 학자들 사이에서도 원시 공산주의의 역사적 범위나 수명에 대한 합의는 없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자본주의적 축적이 원시 공산주의 사회 조직과 어떻게 결합되는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12] 예를 들어, 엥겔스는 ''가족의 기원''이 출판된 해의 개인 서신에서 유럽 식민주의를 비판하며, 자바의 네덜란드령 동인도 네덜란드 정권이 "오래된 공산주의 마을 공동체를 기반으로" 농업 생산을 조직하고 이익을 얻는 방식을 지적했다. 그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영국령 인도, 러시아 제국 같은 사례들이 "오늘날 원시 공산주의가... 착취의 가장 훌륭하고 광범위한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13]
표트르 크로포트킨과 엘리제 르클뤼를 포함한 아나키스트들은 원시 공산주의 사회를 산업화 이전 아나키스트 사회의 예시로 보았다.[14] 크로포트킨의 저서 ''상호 원조: 진화의 요인''은 아나키즘과 선물 경제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로, 남아프리카의 산족 연구를 통해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했다.[15]
원시 공산주의라는 용어 자체는 19세기 후반 러시아 학계에 처음 등장했으며, 고대 크레타에 원시 공산주의가 존재했다는 언급이 있었다.[21] 그러나 20세기 이전까지는 그 깊이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한편, 모건의 연구에 기반한 초기 원시 공산주의 개념은 모건이 하우데노소니 사회를 잘못 이해했으며, 그가 이미 부인했던 사회 진화 이론에 의존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2. 2. 후기 연구
엥겔스의 연구 이후 20세기와 21세기까지 마르크스주의 학자들 사이에서 "원시 공산주의"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에르네스트 만델, 로자 룩셈부르크,[16] 이언 호더, 마리자 김부타스 등 일부 학자들은 기존의 논제를 받아들여 발전시키기도 했다.[17][18][19] 반면, 일부 비 마르크스주의 선사 시대 학자들은 이 용어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20]원시 공산주의라는 용어는 19세기 후반 러시아 학계에 처음 등장했으며, 고대 크레타에 원시 공산주의가 존재했다는 언급이 있었다.[21]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야 민족지학자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 젤레닌 등이 소련 내의 비수렵 채집 사회를 조사하여 그 사회 내에 원시 공산주의의 흔적을 식별하는 등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다.[22]

모건의 연구에 기반한 초기 원시 공산주의 개념은, 모건이 하우데노소니 사회를 오해했으며 그가 이미 부인한 사회 진화론에 의존했다는 점에서 비판받았다. 이후의 연구들은 수렵 채집 사회와 그러한 사회의 토지 소유, 공동 소유, 그리고 범죄와 정의에 관련된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원시 공산주의의 새로운 정의는 공동체 구성원 간의 경제적 협력을 실천하는 사회,[24] 공동체의 거의 모든 구성원이 사회에 기여하고 그들의 노동 투입이 자원 분배와 거의 일치하며, 토지와 천연 자원이 종종 공동체 내에서 공유되는 사회로 요약될 수 있다.
20세기 이후, 사회학자와 고고학자들은 구석기 시대의 수렵 채집 사회에서 신석기 시대의 농경 사회에 이르기까지 원시 공산주의라는 용어의 적용 범위를 살펴보았다.[25][26] 여기에는 석기 시대부터 고고 시대까지의 고대 아메리카 사회 연구도 포함된다.[27] 소련의 고고학자들은 모건과 엥겔스의 작품의 영향을 받아,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소련에서 많이 발견된 비너스 조각상을 만든 다양한 구석기 문화가 원시 공산주의적이고 모계 사회적이라는 증거로 해석하기도 했다.[28][29][30]
정신 분석학자 빌헬름 라이히는 1931년에[31][32]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연구 정보를 통해 초기 공산주의의 존재를 결론지었다.[33] 그러나 말리노프스키와 철학자 에리히 프롬은 이 결론을 설득력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34] 에르네스트 보르네만은 1975년 저서 Das Patriarchat|다스 파트리아르하트de에서 라이히의 아이디어를 지지했다.[35][36]
3. 원시공동체의 특징
문명사회 이전에 존재했던 초기 인류 사회 형태를 '''원시공동체''' 또는 '''원시공산체'''라고 부른다. 이는 복잡한 사회 구조가 발달하기 전의 단순한 자연사회(自然社會) 단계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남녀 간의 기본적인 역할 분담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남자는 주로 수렵이나 어로를, 여자는 간단한 농경이나 육아를 담당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사회 내부의 뚜렷한 분화나 계급 관계는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37]
원시공동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생산수단이 사회 전체의 공동 소유였다는 점이다. 사냥이나 채집을 통해 얻은 생산물은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비교적 평등하게 분배되었는데,[38][39] 이러한 점에서 공산제적인 성격을 지녔다고 평가받는다. 사유 재산 개념은 거의 없었으며, 의복과 같은 개인 소지품 정도를 제외하면[40] 도구, 토지, 주택 등 주요 생산 수단은 공동으로 소유하고 관리했다.[41] 이는 당시 생산력 수준이 낮아 잉여 생산물을 만들기 어려웠고, 생산된 것을 빠르게 소비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존을 위해서는 공동체 전체의 협력과 집단 노동이 필수적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인류가 한곳에 정착하여 농경이나 목축을 시작하게 되자, 사회는 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씨족공동체(氏族共同體)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씨족 사회는 고유한 토템 신앙과 애니미즘과 같은 종교적 믿음을 바탕으로 강한 내부 결속력을 유지했다. 혼인 형태도 초기에는 난혼이나 집단혼의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점차 혈족 간 혼인을 금지하고 다른 씨족과 혼인하는 족외혼(族外婚)이 자리 잡았으며, 자녀가 어머니의 씨족에 속하는 모계제 사회의 특징을 보이기도 했다. 여러 씨족이 모여 부족(部族)을 이루고, 생산력이 더욱 발달하면서 부족동맹(部族同盟)으로 사회 범위가 확대되었다.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이러한 원시공동체를 역사 발전 단계의 첫 형태로 보고 '원시 공산제'라고 명명했다. 엥겔스는 그의 저서 『가족, 사유 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에서 이 시기를 기본적인 부에 대한 집단적 권리, 사회 관계의 평등주의, 계층과 착취가 없는 사회로 묘사했다. 이들은 루이스 헨리 모건이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를 연구하며 발견한 공동체적 생활 방식에서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신석기 혁명 이후 농업과 목축의 발달로 생산력이 증대되면서 잉여 생산물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이는 사유재산제의 등장을 촉발했고, 점차 사회적 불평등과 계급 분화를 가져왔다. 부족 간의 갈등과 정복 활동은 이러한 경향을 더욱 심화시켰고, 결국 원시공동체는 해체되어 계급국가와 노예제사회로 이행하게 되었다고 분석된다.[45]
3. 1. 사회 구조
원시공동체 또는 원시공산체는 문명사회 이전에 존재했던 사회 형태로, 구성이 매우 단순한 자연사회였다.[37] 이 사회에서는 남녀 간의 기본적인 역할 분담이 나타나, 남자는 주로 수렵이나 어로에, 여자는 간단한 농경이나 육아에 종사했다. 하지만 사회 내부의 분화는 거의 진전되지 않았고 계급 관계도 존재하지 않았다.생산수단은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소유했으며, 사냥과 채집을 통해 얻은 생산물은 모든 구성원이 평등하게 분배받았다.[38][39] 이런 의미에서 초기 인류 사회는 공산제의 특징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사유 재산은 존재하지 않았는데, 이는 의류와 같은 개인적인 소지품을 의미하는 개인 재산과는 구별된다.[40] 당시 사회는 잉여 생산물을 만들어내지 못했고, 생산된 것은 빠르게 소비되었다. 이는 분업이 발달하지 않아 모든 구성원이 생존을 위해 함께 일해야 했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사용되는 도구나 토지, 주택 등 소수의 생산 수단만이 공동으로 소유되고 관리되었다.[41]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모계 거주와 모계 계승이 일반적이었으며,[42] 재생산 노동 역시 공동으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43] 또한, 국가와 같은 중앙 권력 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44]

사회생활의 기본 단위는 혈연을 기반으로 한 씨족 공동체였다. 씨족 사회는 혼인과 종교에 관해 강한 내부 규제를 가지고 있었다. 각 씨족은 고유한 토템을 가졌는데, 동물의 이름을 토템으로 삼아 씨족의 명칭으로 사용하며 강한 유대감을 형성했다. 공동의 조상을 숭배하고 같은 언어와 관습을 공유하며 집단으로서의 통일성을 유지했다. 원시 종교의 중심에는 애니미즘, 즉 영혼 숭배 사상이 있었다. 원시인들은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 식물, 돌과 같은 자연물에도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믿고 이를 숭배했으며, 이는 씨족 내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혼인 형태는 초기 난혼이나 집단혼 형태에서 점차 발전하여, 루이스 헨리 모건이 제시한 푸나루아 혼(형제자매 간 혼인 금지 이후 단계)을 거쳐 다른 씨족 구성원과 혼인하는 족외혼이 확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녀는 어머니의 씨족에 속하게 되는 모계제 사회였다. 외부의 위협에 공동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여러 씨족이 모여 부족을 형성했고, 점차 부족 내부에서도 남녀노소의 순서에 따른 위계나 역할 분담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이러한 원시 공산 사회를 인류 역사의 초기 단계로 보았다. 엥겔스는 그의 저서 『가족, 사유 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며, 기본적인 자원에 대한 집단적 권리, 사회 관계의 평등주의, 권위주의적 통치와 계층의 부재를 특징으로 꼽았다. 이들은 루이스 헨리 모건이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를 관찰하며 묘사한 "고대 민족의 자유, 평등, 박애"와 "생활 속의 공산주의" 개념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현대의 많은 사회 인류학자들(제임스 우드번,[47] 리처드 보르셰이 리, 앨런 바나드,[48] 제롬 루이스[49][50] 등)은 평등주의적이고 공산주의적인 특징을 보이는 수렵 채집 사회를 연구하고 기록해왔다. 크리스토퍼 뵘,[51] 크리스 나이트,[52] 루이스[53] 등은 이러한 사회 구조가 선사 시대에 어떻게 형성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들은 엥겔스와 유사하게, 영장류 사회에서 보이는 지배 구조에 대한 저항이 평등주의적 사회 질서를 만드는 혁명적 변화로 이어졌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리처드 리는 주류 사회나 지배 문화가 원시 공산주의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 즉 이를 '낭만적이거나 비현실적인 이상'으로 치부하려는 편견이 있다고 비판했다.[54]
하지만 원시 사회를 완전히 평등했다고 보는 시각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일부 연구(예: ''현대 인류학'' 게재 논문)는 수렵 채집 사회에서도 낮은 수준이지만 불평등이 존재했으며, 평균적인 지니 계수가 0.25(2007년 덴마크 수준과 유사) 정도였다고 주장한다.[55] 알랭 테스타르 등은 재산이 없는 사회라고 해서 착취,[56] 지배,[57] 전쟁[58]과 같은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다만, 마르크스와 엥겔스 자신들은 공산주의가 완전한 '평등'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았다. 그들에게 평등은 사회의 물리적 조건과 분리된 추상적 개념에 가까웠다.[59] 테스타르는 엥겔스의 관찰을 지지하며, 경제적 잉여가 없는 사회는 경제적으로 평등한 경향이 있고, 반대로 잉여가 발생하는 사회에서는 사회적 불평등이 나타나기 쉽다고 보았다.[60][61]
3. 2. 경제 구조
원시 공산 사회에서 생산력은 기본적으로 식량과 자원을 자연에서 직접 얻는 활동에 참여하는 모든 건강한 공동체 구성원들로 이루어졌다.[37] 이 시기 주요 경제 활동은 수렵과 채집이었으며, 이를 통해 얻은 모든 생산물은 공동체 전체가 함께 공유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38][39]
이 사회에서는 사유 재산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다. 물론 옷가지나 개인 장신구와 같은 개인적인 소유물[40]은 있었지만, 토지나 주요 생산 도구와 같은 생산 수단은 공동체의 공동 소유였다.[41] 이는 당시 사회가 잉여 생산물을 거의 만들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생산된 것은 대부분 즉시 소비되었고, 저장 기술이나 생산력의 한계로 인해 부의 축적이 어려웠다. 따라서 재산을 둘러싼 갈등이나 계급 분화가 발생하기 어려웠다. 또한, 생존을 위해 구성원들이 함께 협력하여 노동하는 것이 필수적이었기에, 명확한 분업 역시 발달하지 않았다. 국가와 같은 중앙 권력 기구도 존재하지 않았다.[44]
그러나 신석기 혁명을 거치며 목축과 농업이 발달하고, 동식물을 가축화하고 재배하게 되면서 경제 구조에 큰 변화가 나타났다. 농업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처음으로 잉여 생산물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이는 곧 사유 재산의 개념을 낳았다. 토지나 가축과 같은 생산 수단을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소유하게 되면서, 부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사회 구성원 간의 이해관계가 달라지기 시작했다.[45] 이러한 변화는 계급 사회의 등장을 촉진했으며, 전쟁 포로 등을 이용한 노예 제도와 같은 착취 구조가 나타나는 배경이 되었다.
더 나아가 생산력의 발달은 일부 사람들이 직접적인 식량 생산 활동에서 벗어나 가공, 문화, 철학, 과학 등 다른 활동에 전문적으로 종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는 사회 계층화를 더욱 심화시키고, 궁극적으로 복잡한 사회 계급 구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46] 이처럼 농업 혁명과 생산력의 발전은 원시 공동체의 해체를 가져왔고, 인류 사회는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게 되었다.
3. 3. 문화 및 종교
원시 공동체의 기본 단위는 씨족이었다. 씨족 사회에서는 혼인과 종교에 관한 강한 규제가 존재했다. 각 씨족은 고유한 토템을 가졌는데, 주로 동물의 이름을 따서 씨족의 명칭으로 삼았다. 이는 씨족 구성원 간의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같은 조상을 숭배하고 동일한 언어와 관습을 공유함으로써 집단으로서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원시인들의 종교적 믿음의 중심에는 애니미즘, 즉 영혼 숭배 사상이 있었다. 당시 사람들은 인간의 육체뿐만 아니라 동물, 식물, 돌과 같은 자연물에도 인간과 같이 살아있는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자연물과 영혼을 숭배하는 행위는 씨족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혼인 형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다. 초기에는 혈족 간의 혼인을 금지하는 명확한 규정이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루이스 헨리 모건이 언급한 푸나루아 혼(친자매 또는 방계 자매가 혈연관계가 없는 여러 남자와 집단적으로 통혼하거나, 반대로 친형제 또는 방계 형제가 혈연관계가 없는 여러 여자와 집단적으로 혼인하는 형태) 단계를 거쳐, 점차 혈연관계에 있는 형제자매 간의 혼인이 금지되고 족외혼이 확립되었다. 족외혼은 같은 부족 내 다른 씨족과의 통혼을 의미했으며, 이때 태어난 자녀는 어머니의 토템 씨족에 속하는 모계제 사회의 특징을 보였다.
4. 원시공동체의 해체
생산력의 발달은 원시공동체 해체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창이나 활의 사용, 토기 제작, 직물 기술의 발명, 동물의 가축화 등은 원시적인 채취 경제에서 농업과 목축 중심의 생산 경제로의 전환을 이끌었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도 생계유지에 필요한 자원을 얻고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씨족 전체가 협력해야 했던 집단 노동의 필요성이 점차 줄어들었다.
공동 노동의 필요성이 감소하면서, 수확물이나 토지를 개인이 소유하려는 움직임, 즉 사적 점유가 시작되었다. 또한, 부족 간의 정복 전쟁이 벌어지면서 토지를 빼앗는 등의 수탈이 발생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사유재산 제도가 점차 자리를 잡게 되었고, 재산을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계급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결국, 이러한 변화는 국가의 형성으로 이어졌고, 원시공동체는 점차 해체되어 노예제 사회로 이행하게 되었다.
5. 원시공동체의 사례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회가 원시 공산주의 또는 그와 유사한 공동체적 특징을 보였다고 주장되어 왔다. 고고학적 증거나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고대 아나톨리아의 차탈회위크, 인더스 문명, 스코틀랜드의 신석기 사회, 로마 이전의 서유럽 사회 등이 그 예시로 연구되었다.[64][65][68][69][70] 다만, 차탈회위크나 인더스 문명과 같은 경우, 원시 공산주의 개념을 반박하는 사례로 해석하는 시각도 존재한다.[66][67]
성서학에서는 초기 히브리 사회의 공동체적 가내 생산 양식을[72][73], 인류학에서는 인도의 고대 사회나 아디바시 부족[75][76], 안다만 제도인[77], 서아프리카의 월로프족[79], 아메리카 원주민[83], 시베리아 원주민[86][87] 등의 사회 구조에서 원시 공산주의적 요소를 찾으려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캐나다 원주민 사회의 경우,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침략으로 인해 전통적인 공동체 구조가 파괴되고 자본주의적 착취 관계로 편입된 과정이 연구되기도 했다.[80][81]
아일랜드의 룬데일 시스템과 같은 농업 공동체[85]나 발칸 반도의 고대 부족 공동체[78] 역시 관련 연구 대상이 되었다. 고대 피타고라스 학파, 스파르타의 지배 계급[112], 초기 예루살렘 교회,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마즈다크교[113], 고대 게르만족 사회[115][116] 등도 원시 공산제의 특징을 가진 사례로 언급된다. 근현대사에서는 마오쩌둥 시대의 중화인민공화국[117][118]이나 폴 포트 정권 하의 민주 캄푸치아[119][120][121]가 원시 공산제를 모델로 삼으려 했다는 평가가 있다.
5. 1. 세계의 원시공동체

역사가 머레이 북친은 차탈회위크가 평등주의 사회였고 계층 및 경제적 불평등이 없었다는 강력한 증거를 바탕으로, 이곳이 무정부-공산주의의 초기 사례이자 원시 도시의 원시 공산주의 예시라고 주장했다.[64]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차탈회위크를 오히려 원시 공산주의 개념을 반박하는 사례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유사하게, 인더스 문명 역시 갈등과 사회적 위계가 부족했다는 인식 때문에 원시 공산주의 사회의 예로 거론되어 왔다.[65] 하지만 다니엘 밀러 등은 인더스 문명에 대한 이러한 평가가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한다.[66][67]
마르크스주의 고고학자 V. 고든 차일드는 1920년대부터 스코틀랜드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하여 신석기 시대의 무계급 사회가 오크니 제도까지 확장되었다고 결론지었다.[68][69] 페리 앤더슨 역시 로마 제국 이전의 서유럽에 원시 공산주의가 널리 퍼져 있었다고 주장하며 이를 지지했다.[70] 이러한 사회에 대한 설명은 고전 작가들의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71]
성서학자들은 초기 히브리 사회에서 나타난 생산 양식이 원시 공산주의와 유사한 공동체적인 가내 생산 양식이었다고 주장해 왔다.[72][73] 클로드 메이야수는 많은 원시 사회에서 보이는 생산 양식이 공산주의적인 가내 생산 양식이라고 언급했다.[74]
인도의 공산당 정치인 슈리파드 암리트 댕은 고대 인도 사회가 원시 공산주의적 성격을 띠었다고 보았다.[75] 인도의 다른 공산주의자들도 아디바시와 같은 현재의 원주민 집단 사회를 원시 공산주의의 예로 들었다.[76] 알프레드 래드클리프-브라운은 20세기 초 안다만 제도인에 대한 연구에서 그들이 "공산주의에 가까운 결과를 낳는 관습"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국내 정책은 공산주의로 묘사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77]
알렉산더 미하일로비치 졸로타레프Золотарёв,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ru는 1960년 디오니소스 숭배 종교 공동체가 발칸 반도의 부족 공동체에서 발전하는 과정을 연구하면서 "부족 제도의 고대 형태"로서의 원시 공산주의를 언급했다.[78]
1980년대 롤프 젠센은 서아프리카의 월로프족 사회를 역사적으로 연구하며 원시 공산주의 사회에서 계급 대립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분석했다.[79] 같은 시기 부르조는 침략적인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로 인해 전통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자본주의적 착취 체제로 강제 편입된 캐나다 원주민 사회를 연구했다.[80][81] 이러한 주제는 마르크스주의 학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었다.[82] 존 H. 무어와 같은 일부 인류학자들은 미국 원주민 사회 등이 원시 공산주의 사회를 구성한다고 주장하며, 이들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을 통합했다.[83]
제임스 코놀리는 "게일의 원시 공산주의"가 서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거의 사라진 후에도 아일랜드 사회에 남아 있었다고 믿었다.[84] 아일랜드의 룬데일 시스템과 같은 농업 공동체는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정의한 원시 공산주의 틀 안에서 평가되기도 했다.[85]
레프 스턴버그와 같은 소비에트 이론가 및 인류학자들은 시베리아 원주민 일부와 러시아 극동의 니브흐족 같은 집단이 원시 공산주의적 성격을 지닌다고 보았다.[86][87]
유사 이래 원시 공산제로 여겨지는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사례 | 설명 |
---|---|
피타고라스 학파 | |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112] | 지배 계급 간의 공산제. 사유 재산 제도의 아테네와 대비됨. |
초기 예루살렘 교회 | 사도행전 기록에 따름. |
마즈다크교 | 사산 왕조 페르시아에서 발생한 사상. 일체의 평등을 설파하여 사회 혁명적 성격 및 원시 공산주의적 성격으로 해석됨.[113][114] |
고대~중세 게르만족[115][116] | 사유 재산 제도의 로마 제국과 대비됨. |
근대 이후, 국가 규모로 원시 공산제를 목표로 했다고 여겨지는 주요 체제는 다음과 같다.
5. 2. 한반도의 원시공동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반도의 원시공동체'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6. 현대 사회와 원시공동체
현대의 많은 사회 인류학자들은 여전히 수렵채집사회를 연구하며 원시 공동체의 모습을 탐구하고 있다. 제임스 우드번,[47] 리처드 보르셰이 리, 앨런 바나드,[48] 제롬 루이스[49][50] 등은 이들 사회의 평등주의적이고 공산주의적인 특징을 묘사해왔다. 크리스토퍼 뵘,[51] 크리스 나이트,[52] 루이스[53] 등은 이러한 사회 구조가 선사 시대에 어떻게 형성될 수 있었는지 이론적으로 설명하려 시도했다. 이들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주장처럼, 기존의 지배 질서에 대한 저항이 혁명적 변화를 통해 평등주의 사회를 만들었을 가능성을 탐구한다.
리처드 리는 주류 사회와 지배 문화가 원시 공산주의에 대해 갖는 편견을 비판했다. 그는 "부르주아 이데올로기가 원시 공산주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게 만들려고 한다. 대중의 의식 속에서 그것은 낭만주의, 이국주의, 즉 고귀한 야만인과 함께 묶여 있다"고 지적하며,[54] 이러한 인식이 원시 공동체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방해한다고 주장했다.
물론 현대 수렵 채집 사회가 완벽한 평등 사회인가에 대해서는 논쟁이 존재한다.[55][56][57][58] (자세한 내용은 아래 비판 섹션 참조) 그러나 칼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애초에 공산주의가 완전한 평등을 보장한다고 주장한 것이 아니라,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를 핵심으로 보았다.[59] 알랭 테스타르 역시 엥겔스의 관찰을 지지하며, 경제적 잉여가 없는 사회는 경제적으로 평등하며, 잉여가 발생하는 사회에서 사회적 불평등이 나타난다고 보았다.[60][61]
원시 공동체에 대한 연구는 현대 사회의 이념 논쟁에도 영향을 미친다. 아놀드 페터슨은 원시 공산주의의 존재를 근거로, 공산주의가 인간 본성에 어긋난다는 주장을 반박했다.[62] 터키의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히크메트 크브르르름름르는 그의 저서 ''역사의 테제''에서, 자본주의 이전 사회의 역사적 변화를 이끈 주요 동력은 사회 내 계급 투쟁이 아니라, 평등주의적이고 집단주의적 가치를 지닌 "원시 사회주의 사회"의 강력한 집단 행동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63]
6. 1. 원시공산주의 개념의 비판
루이스 H. 모건의 연구에 기반한 원시 공산주의 개념은 모건이 하우데노소니 사회를 잘못 이해했으며, 그가 사용한 사회 진화 이론 자체가 이후 부정확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비판을 받았다. 이후의 연구들은 수렵 채집 사회의 토지 소유, 공동 소유, 범죄와 정의 등의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원시 공산주의 개념에 대한 주요 비판 중 하나는 재산의 정의와 관련된다. 마가렛 미드와 같은 인류학자들은 수렵 채집 사회나 다른 "원시 사회"에도 사유 재산이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다만 이들이 제시하는 사례는 마르크스나 후대 이론가들이 사유 재산이 아닌 개인 재산으로 분류하는 것들이다.[89][90] 경제학자 리처드 파이프스 등도 비슷한 주장을 펼쳤다. 인류학자 만비르 싱은 파라과이의 아체족처럼 원시 공산주의적 모습을 보이는 집단도 있지만, 히위족처럼 사냥으로 얻은 고기를 불평등하게 분배하는 "사냥꾼 특권"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모든 원주민 집단에 적용되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 싱은 또한 안다만인이나 북부 파이우트족 등 많은 수렵 채집인이 토지나 나무에 대한 사적 소유권을 인정했다고 보며, 모든 수렵 채집인이 개인의 "활, 화살, 도끼 및 요리 도구"와 같은 개인 재산을 가졌다고 주장한다.[100] 그러나 이러한 개인적 소유나 노동에 기반한 '사냥꾼 특권'(종적 존재에 대한 마르크스의 이론의 기본 가정)은 사회적 생산 수단에 대한 차별적 통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원시 공산주의 개념에 대한 결정적인 반례가 되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분은 마르크스주의의 "각자의 능력에 따라, 각자의 필요에 따라"라는 구호로 설명될 수 있다.
원시 공산주의 개념은 모건의 사회 진화 모델에 기반하고 비서구 사회를 낭만적으로 미화한다는 점에서 다른 인류학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91] 서구 및 비서구 학자들은 지나치게 유럽 중심적인 모델을 비유럽 사회에 적용하는 것을 비판해왔다.[92] 엘리너 리콕을 포함한 서구 학자들은 수렵 채집 사회에 대한 이전 민족지학 연구에서 나타나는 유럽 중심적 관점과 편견을 비판했다. 이는 문화를 분석할 때 단계론을 고수하는 것에 대한 비판과도 연결된다.[93]
페미니즘 학자들은 엥겔스가 원시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여성이 예속되지 않았다고 본 점을 비판했으며,[94] 마르크스 페미니즘 학자들은 엥겔스의 ''가족, 사유 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에서 원시 공산주의에서 계급 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여성의 예속이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대한 엥겔스의 설명을 비판하고 재평가했다.[94]
마르크스 경제학자 에른스트 만델은 사회 과학 연구에서 "소비에트-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인해 원시 공산주의에 대한 소련 학자들의 연구가 왜곡되었다고 비판했다.[95]
데이비드 그레이버와 데이비드 웽그로는 공동 저서 ''만물의 새벽''에서 인류가 과거에 잉여 생산물이 거의 없는 불안정하고 소규모 사회에서 살았다는 기존의 통념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쳤다. 그들은 선사 시대에도 공유에 기반한 평등 사회가 존재했지만, V. 고든 차일드가 제시한 농업 혁명이나 도시 혁명 이전에도 이미 대도시를 포함한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들이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레이버와 웽그로의 수렵 채집 사회에 대한 이해는 크리스 나이트, 카밀라 파워, 제임스 서즈먼, 아준 아파두라이 등 많은 인류학자들로부터 비판적인 검토를 받았다.[96][97][98][99]
마지막으로, 이러한 고대의 소규모 공동체 사회를 설명하기 위해 '공산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특히 현대 국민 국가 규모의 사회나 미래의 탈산업화된 공산주의 사회와 비교할 때, 그 규모와 성격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101]
6. 2. '원시' 용어 사용 문제
최근 인류학 및 사회 연구에서는 '원시적'이라는 용어 사용을 줄이는 추세이다. 이는 '원시적'이라는 개념이 인종적 고정관념과 연결될 수 있다는 비판 때문이다.[102] 특히, '원시적'이라는 낙인으로 인해 차별과 폭력을 경험한 원주민들이 이러한 변화를 지지하고 있다.[103][104] 이러한 배경에서 '원시 공산주의' 대신 '마르크스 이전 공산주의'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자는 제안도 있다.[105]알랭 테스타르를 비롯한 일부 학자들은 현재의 수렵채집사회 연구 결과를 구석기 시대 사회 구조를 파악하는 데 직접 적용하는 것에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의 수렵 채집 사회를 단순히 '가장 오래된 원시 사회'로 간주하는 것은 외형적 인식에 기반한 것일 수 있으며, 지난 수천 년간 이들 사회가 겪어온 변화와 발전을 간과할 수 있다는 비판이다.[106]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연구에서도 식민 제국과의 접촉 이전 사회를 '원시성'이나 '야만성'으로 규정하는 시각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엔드레 시크 등의 사례처럼, 이러한 관점은 당시 비마르크스주의 학자들의 저작에서도 나타나는 경향이었다.[107][108] 또한, 일부 소련의 인류학자나 역사학자들이 연구 대상인 원주민 공동체를 '원시 공산주의' 사회로 규정하면서도 '퇴폐적'이라고 묘사한 사례가 있어, 마르크스주의 인류학자들 사이에서도 비판과 문제 제기가 있었다.
6. 3. 현대적 의의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내용 부재)참조
[2]
서적
Houses and House-Life of the American Aborigin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81
[3]
서적
Man the Hunter
Aldine Transaction
[4]
서적
The Anarchist Reader
Fontana Paperbacks
1983
[5]
서적
The Origin of the Family,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 in the Light of the Researches of Lewis H. Morgan
International Publishers
[6]
서적
Le Communisme primitif n'est plus ce qu'il était
Collectif d'édition Smolny
2009
[7]
서적
A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8]
서적
The Earth Shall Weep: A history of native America
Grove Press
2000
[9]
서적
Storia Dell'Antropologia Culturale
[10]
서적
Reexamining Engels's Legacy in the 21st Century
Palgrave Macmillan
2021
[12]
간행물
On Race, Violence, and So-Called Primitive Accumulation
https://criticaltheo[...]
2016-09
[13]
서적
A Dictionary of Marxist Thought
Wiley-Blackwell
1991
[14]
서적
Anarchism: A documentary history of libertarian ideas
Black Rose Books
2005
[15]
서적
Socialism: Ideals, Ideologies, and Local Practice
Routledge
1992-12-17
[16]
간행물
Zachodni imperializm przeciwko pierwotnemu komunizmowi – nowe odczytanie pism ekonomicznych Róży Luksemburg
2012-01-01
[17]
서적
Der Urkommunismus. Auf den Spuren der egalitären Gesellschaft
Promedia
2012
[18]
간행물
Comunismo Primitivo e transição capitalista no pensamento de Rosa Luxemburgo
https://www.scielo.b[...]
2017
[19]
간행물
Capital Accumulation and Debt Colonialism after Rosa Luxemburg.
Lawrence & Wishart Ltd.
2018
[20]
간행물
Engels and the Origins of Human Society
https://www.marxists[...]
2021-04-18
[21]
서적
Entsiklopedicheskiy slovar' Brokgauza i Yefrona: v 86 t. (82 t. i 4 dop.)
1890–1907
[22]
간행물
Imushchestvennyye zaprety kak perezhitki pervobytnogo kommunizma
[24]
서적
Cooperation, Community, and Co-Ops in a Global Er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2
[25]
간행물
Marxism, Prehistory, and Primitive Communism
https://www.tandfonl[...]
2021-04-18
[26]
뉴스
Primitive communism: life before class and oppression
https://socialistwor[...]
2021-02-03
[2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Native Peoples of the Americ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8]
서적
Okhotniki, sobirateli, rybolovy. Problemy sotsial'no-ekonomicheskikh otnosheniy v dozemledel'cheskom obshchestve
1972
[29]
간행물
"Pervobytno-kommunisticheskoye obshchestvo i yego raspad": doistoricheskoye proshloye territorii Belarusi soglasno kontseptsii V. K. Shcherbakova
2020
[30]
Thesis
Die Rede vom Matriarchat: Zur Gebrauchsgeschichte eines Arguments
http://www.research-[...]
Chronos
2011
[31]
서적
Der Einbruch der Sexualmoral. Zur Geschichte der sexuellen Ökonomie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Psychoanalytic University
1936
[32]
서적
SEX-POL: Essays 1929-1934
http://freudians.org[...]
Vintage Books New York
1972
[33]
서적
Życie seksualne dzikich w północno-zachodniej Melanezji
1929
[34]
서적
Erich Fromm: Gesamtausgabe in zwölf Bänden
1999
[35]
서적
Das Patriarchat
1975
[36]
논문
Marxist Reappraisal of the Matriarchate
1979
[37]
서적
Pervobytnyy sposob proizvodstva: Politiko-ekonomicheskiye ocherki
1987
[38]
서적
Diccionario de Economía Política
Akal
1975
[39]
논문
Философия экономических Ценностей
http://www.m-economy[...]
2022-12-11
[40]
웹사이트
Eight myths about socialism—and their answers
http://www.pslweb.or[...]
Party for Socialism and Liberation
2013-08-30
[41]
문서
[42]
서적
Early Human Kinship
http://www.chrisknig[...]
Blackwell Publishing
2008
[43]
논문
The Digital Economy of the Sourdough: Housewifisation in the Time of COVID-19
https://triple-c.at/[...]
tripleC
2021
[44]
간행물
Primitive communism, barbarism and the origins of class society
https://weeklyworker[...]
2012-02-09
[45]
서적
Revolution: Theorists, Theories & Practice
https://spot.colorad[...]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2020
[46]
논문
Hunter-Gatherers (Foragers)
https://hraf.yale.ed[...]
2020-06-01
[47]
논문
Egalitarian Societies
https://archive.org/[...]
1982-09
[48]
서적
The Cradle of Language (Studies in the Evolution of Language 12)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49]
논문
Ekila: "Blood, Bodies and Egalitarian Societies"
http://discovery.ucl[...]
2008
[50]
PhD
Forest Hunter-Gatherers and Their World: A Study of Mbendjele Yaka Pygmies of Congo-Brazzaville and Their Secular and Religious Activities and Representations
https://discovery.uc[...]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21-03-31
[51]
서적
Hierarchy in the Forest. The evolution of egalitarian behavior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52]
서적
The Transition to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53]
서적
The Social Origins of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54]
문서
[55]
논문
Wealth transmission and inequality among hunter-gatherers
2010
[56]
논문
Were Some more Equal than Others? II- Forms of Exploitation under Primitive Communism
2015
[57]
서적
Critique du don: Etudes sur la circulation non marchande
Syllepse
2007
[58]
서적
War Before Civilization: the Myth of the Peaceful Sav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59]
웹사이트
Letters: Marx-Engels Correspondence 1875
https://www.marxists[...]
2020-09-19
[60]
서적
Avant l'histoire: l'évolution des sociétés, de Lascaux à Carnac
Gallimard
2012
[61]
서적
Le communisme primitif: Tome I, Économie et Idéologie
Maison des Sciences de l'Homme
1995
[62]
서적
Socialism and Human Nature
http://www.slp.org/p[...]
Socialist Labor Party of America
2021-03-21
[63]
서적
Beyond Nationalism and the Nation-State: Radical Approaches to Nation
Routledge
2021-05-31
[64]
서적
The Rise of Urbanisation and Decline of Citizenship
1987
[65]
웹사이트
The Essence of the Legacy of Mohenjo-daro
https://www.marxist.[...]
International Marxist Tendency
2021-02-02
[66]
논문
Ideology and the Harappan Civilization
http://www.columbia.[...]
2021-02-02
[67]
논문
Peaceful Harappans? Reviewing the evidence for the absence of warfare in the Indus Civilisation of north-west India and Pakistan (c. 2500-1900 BC)
2005
[68]
서적
Prehistoric Communities of the British Isles
W. and R. Chambers
1940
[69]
서적
The Prehistory of Scotland
Kegan Paul, Trench, Trubner & Co., Ltd
1935
[70]
서적
Passages from Antiquity to Feudalism
Verso Books
1996
[71]
논문
The problem of disappearance of hunter-gatherer societies in prehistory. Archaeological evidence and testimonies of classical authors
Centre for Classical Studies at the Institute of Philosophy of the Czech Academy of Sciences
1988
[72]
논문
Women First? On the Legacy of 'Primitive Communism'
2005
[73]
서적
Political Myth: On the Use and Abuse of Biblical Themes
Duke University Press
2009
[74]
서적
Marxism and Feminism
Bloomsbury Publishing
2015-03-12
[75]
서적
India from Primitive Communism to Slavery: A Marxist Study of Ancient History in Outline
1949
[76]
논문
For an anthropological theory of praxis: dystopic utopia in Indian Maoism and the rise of the Hindu Right
http://eprints.lse.a[...]
Wiley
2021-02
[77]
서적
The Andaman Islanders: a study in social anthrop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2
[78]
논문
On som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Old Indo-European layer derivative roots
https://www.academia[...]
2020
[79]
논문
The Transition from Primitive Communism: The Wolof Social Formation of West Africa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4-18
[80]
논문
The Indian, the Métis and the Fur Trade Class, Sexism and Racism in the Transition from "Communism" to Capitalism
1983
[81]
서적
Leading Works in Law and Social Justice
Routledge
2021-03-23
[82]
서적
Beyond Capitalism and Neoliberalism
https://www.research[...]
Institute for Political Studies, Belgrade
2021
[83]
논문
Free Goods and Primitive Communism: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https://conservancy.[...]
2007
[84]
논문
Connolly, the archive, and method
2008
[85]
논문
Marx on Primitive Communism: The Irish Rundale Agrarian Commune, its internal Dynamics and the Metabolic Rift
http://mural.maynoot[...]
2009
[86]
서적
Socialist Realism without Shores
Duke University Press
1997-04-30
[87]
논문
The burdens of primitive communism
https://periodicos.u[...]
2018-02-08
[88]
논문
Rereading the Indian in Benjamin West's "Death of General Wolfe"
[89]
논문
Some Anthropological Considerations Concerning Natural Law
https://core.ac.uk/d[...]
1961-01-01
[90]
논문
Incorporeal Property in Primitive Society
https://www.jstor.or[...]
2021-04-18
[91]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Anthropology
https://pure.au.dk/w[...]
John Wiley & Sons, Ltd.
2018-09-05
[92]
논문
An Outline of a Revisionist Theory of Modernity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4-18
[93]
서적
Materialism and Politics
https://repositorio.[...]
ICI Berlin Press
2021
[94]
문서
[95]
서적
The Marxist Theory of the State
https://www.marxists[...]
Pathfinder Press
2021-04-18
[96]
웹사이트
Wrong About (Almost) Everything
https://www.focaalbl[...]
2021-12-25
[97]
웹사이트
Gender egalitarianism made us human: patriarchy was too little, too late
https://www.opendemo[...]
2021-01-28
[98]
웹사이트
On the Origin of Our Species
https://literaryrevi[...]
2021-12-29
[99]
논문
The dawn of everything?
https://rai.onlineli[...]
2022
[100]
간행물
The idea of primitive communism is as seductive as it is wrong
https://aeon.co/essa[...]
2023-06-23
[101]
웹사이트
Primitive communism versus integral communism - Antagonism
https://libcom.org/l[...]
2009-07-06
[102]
문서
[103]
서적
Sand Talk: How Indigenous Thinking Can Save the World
Text Publishing
2020
[104]
논문
The Concepts of "Primitive" and "Native" in Anthropology
https://www.jstor.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Wenner-Gren Foundation for Anthropological Research
2021-09-25
[105]
서적
Sandino's Communism: Spiritual Politic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2
[106]
논문
Some Major Problems in the Social Anthropology of Hunter-Gatherers [and Comments and Reply]
https://www.jstor.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02
[107]
서적
A Cape of Asia: Essays on European History
[[Leiden University Press]]
2011
[108]
논문
"[[Claude Lévi-Strauss]]'s Contribution to the Race Question: Race and History"
2019-09
[109]
서적
A Dictionary of Soc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10]
서적
Man the Hunter
Aldine Transaction
[111]
웹사이트
The Neolithic Revolution and the Birth...
http://wps.ablongman[...]
[112]
서적
政治学辞典
平凡社
1968
[113]
서적
A Comprehensive Commentary on the Quran and Preliminary Discourse
1896
[114]
서적
新ゾロアスター教史
刀水書房
2019
[115]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出版社
1986
[116]
서적
科学的社会主義を学ぶ
[117]
서적
竹内好全集 - 現代中国論、中国の人民革命、中国革命と日本
[118]
서적
宴のあとの中国 - 崩壊目前の偽装大国
[119]
간행물
アサヒグラフ
朝日新聞社
[120]
간행물
国際年報
日本国際問題研究所
1979
[121]
서적
[[現代用語の基礎知識]]
[[自由国民社]]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