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춘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약은 성적 욕구, 쾌락, 행동을 증진시킨다고 여겨지는 물질을 통칭하는 단어이다.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음식, 음료, 행동 등이 춘약으로 여겨졌으며, 아프로디테와 관련된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춘약은 역사적으로 발기 부전 치료, 성적 능력 향상 등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용연향, 요힘빈, 인삼, 알코올 등 다양한 천연 물질과 합성 물질이 춘약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춘약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며, 플라시보 효과에 기인하는 경우도 있다. 춘약은 영화, 소설 등 대중문화에서도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섭취 시 위험성 및 주의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의 성 - 성매매 비범죄화
    성매매 비범죄화는 성매매에 대한 형사 처벌을 폐지하여 성 노동자들이 다른 산업 노동자들과 동등한 보호와 인정을 받도록 하는 정책으로, 다양한 법적 모델 중 하나이며 사회적, 윤리적 논쟁을 포함한다.
  • 인간의 성 - 어머니
    어머니는 출산이나 입양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을 지칭하며, 생물학적,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모성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예술과 종교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뤄진다.
춘약
정의
설명성적 욕망을 자극하는 물질
역사 및 문화적 관점
어원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에서 유래
효과 및 과학적 근거
효과성적 흥분, 성적 욕망 증가를 유발한다고 주장됨
과학적 증거대부분의 주장은 과학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음, 플라시보 효과 가능성 존재
연구일부 연구에서 특정 물질이 성 기능에 미미한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
유형
음식
초콜릿
딸기
아스파라거스
고추
무화과
석류
마늘
바닐라
약물요힘빈
스페인플라이 (강력한 독성으로 인해 사용에 주의)
부포테닌
기타향수
페로몬
최음제 관련 제품
법적 및 윤리적 문제
스페인플라이많은 국가에서 불법으로 간주됨
안전성일부 최음제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윤리적 문제동의 없이 사용하거나 성적 착취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심각한 윤리적 문제 야기
사회적 영향
대중문화최음제는 문학,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대중문화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제
상업적 이용많은 기업들이 최음 효과를 주장하며 제품을 판매하지만, 효과는 입증되지 않은 경우가 많음
주의 사항
전문가 상담최음제 사용 전 전문가와 상담하여 잠재적 위험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야 함
안전성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제품은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2. 역사

"춘약"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ἀφροδισιακόν|아프로디시아콘gr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성적인, 최음의"를 뜻한다. 이 단어는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와 관련된 ''aphrodisios''에서 파생되었다.[6][7] 인류 역사에 걸쳐 다양한 음식, 음료, 행동 등이 성행위를 더 용이하게 하거나 즐거움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서는 특정 물질이 성적 욕구나 쾌락, 행동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1][4] 이러한 믿음은 기록으로 남아 전해지기도 했다.[3]

그러나 역사적, 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물질들의 효과는 실제 약리 작용보다는 사용자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 플라시보 효과에 기인했을 가능성이 크다.[8] 실제로 많은 식물, 추출물, 호르몬 등이 최음제로 제안되었지만, 그 효능이나 장기적인 안전성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임상적 증거는 거의 없다.[8][10] 예를 들어, 항우울제웰부트린은 다른 약물로 인해 저하된 리비도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보고되기도 했지만, 이는 일반적인 최음 효과와는 구분된다.[8]

2. 1. 고대 사회의 최음제

고대 중국, 인도, 이집트, 로마, 그리스 문명 등 여러 고대 사회에서는 특정 물질이 성적 욕망이나 성적 쾌락, 그리고 성행위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었다.[1][4] 이러한 믿음은 일부 남성들이 발기 부전으로 인해 자손을 남기기 어려웠던 문제와 관련이 깊었다.[1][4] 당시 사회에서는 아내를 임신시켜 많은 자녀를 둔 남성을 존경했지만, 그렇지 못한 남성은 실패자로 여겨졌기 때문에 성기능을 자극하는 물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5] 또한, 발기 부전 문제가 없는 사람들도 자신의 성적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4] 그러나 역사적으로나 과학적으로 볼 때, 이러한 물질들의 효과는 실제 약효보다는 사용자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 플라시보 효과에 기인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있다.[8]

이러한 배경 속에서 최음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는 물질들은 점차 인기를 얻었고,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졌다.[3] 기원전 2000년에서 1000년경의 힌두교 시에는 성기능 향상제와 그 성분, 사용법 등이 언급되어 있으며,[3] 고대 중국에서는 기원전 2697년에서 2595년 사이의 문서에서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5] 고대 로마와 중국 문화에서는 동물의 생식기가 최음 효과를 지닌다고 믿었으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발기 부전 치료법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5] 후고전 시대 서아프리카에서는 팀북투 사본 중 "아내와의 성적 관계에 대한 남성 조언"이라는 책이 최음제 및 불임 치료법에 대한 안내서 역할을 했다. 이 책은 남편이 아내의 마음을 되찾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담고 있었으며, 당시 서양에서는 여성의 성적 주체성이 거의 인정받지 못했던 것과 달리, 부부 양쪽 모두의 성적 쾌락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9]

고대 문헌들에서는 용연향, 부포 두꺼비, 요힘빈, 음양곽, 인삼, 알코올 및 특정 음식들이 최음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실제로 많은 식물, 추출물, 호르몬 등이 최음제로 제안되었지만, 그 효능이나 장기적인 안전성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임상적 증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8][10]

전근대 사회에서는 특정 채소나 과일, 고기 등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에, 자극적인 성분이 포함된 식재료가 최음제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오늘날 흔한 식재료인 양파도 과거에는 최음제로 취급받기도 했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현대인에 비해 자극적인 물질이나 화학 물질에 노출될 기회가 적어 약효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또한, 희귀한 과일이나 식재료에 최음 효과가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그러한 믿음에 기대어 수입 및 판매되는 경우도 있었다.

2. 2. 중세 및 근대

후고전 시대 서아프리카에서는 팀북투 사본 중 "아내와의 성적 관계에 대한 남성 조언"이라는 책이 춘약 및 불임 치료법 안내서 역할을 했다. 이 책은 남편이 아내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담고 있었다. Hammer에 따르면, "서양에서 여성의 성적 정체성이 거의 인정되지 않던 시대에, 이 원고는 남녀 모두의 성적 즐거움을 극대화하기 위한 팁을 제공했다"고 한다.[9]

식재료에 대한 지식이 제한적이었던 전근대에는 양파와 같이 오늘날 흔히 접하는 식재료 중에서도 자극적인 맛이나 향을 가진 것들이 춘약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현대처럼 다양한 기호품이나 화학 물질에 노출되지 않았던 당시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식재료의 자극적인 성분이 더 강하게 느껴져 약효가 있는 것처럼 인식되었을 수 있다는 설명도 있다. 또한, 특정 식재료가 희귀하다는 점 때문에 춘약 효과가 있다는 소문이 퍼져 위약 효과를 일으키거나 실제로 비싸게 거래되기도 했다.

2. 3. 현대

현대 사회에서 "춘약"[30]은 주로 성적 흥분을 높이는 약을 총칭하지만, 넓게는 정력을 증진시키는 약이나 식품까지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의 효과는 개인차가 크며, 사용자가 효과를 기대하는 믿음, 즉 플라시보 효과가 실제 효능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8][30] 많은 식물 추출물이나 호르몬 등이 춘약으로 제안되었으나, 그 효능이나 장기적인 안전성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임상적 증거는 부족한 실정이다.[8][10] 기본적으로 사람의 정신을 자유자재로 조종할 정도의 강력한 약효를 가진 성분은 실용화되지 않았으며, 흔히 이야기되는 '사랑의 묘약'은 현실보다는 가상의 영역에 속한다.

과거에는 양파와 같이 현대에는 흔한 식재료조차 자극적인 특성 때문에 춘약으로 취급되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 사람들이 현대인에 비해 화학 물질에 덜 노출되어 약효를 더 민감하게 느꼈을 수 있다는 설과 함께, 희귀한 식재료에 대한 기대 심리가 플라시보 효과를 유발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근 몇 년 사이, 관계 개선이나 정서적 유대 강화를 위한 화학적 개입, 즉 '사랑 약물'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11] 2020년 철학자 브라이언 이어프와 줄리안 사불레스쿠는 Love Drugs: The Chemical Future of Relationships|사랑 약물: 관계의 화학적 미래eng라는 책을 통해, 특정 약물이 사랑에 빠지거나 헤어지는 과정 등 관계의 여러 단계에서 윤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보완물"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사회적 논의를 촉발하기도 했다.[11]

3. 종류

춘약은 성적 욕구나 쾌락, 행동을 증진시킨다고 여겨지는 다양한 물질을 뜻한다.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에서 유래한 용어[6][7]로,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특정 음식, 음료, 행동 등이 성기능 향상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거나 플라시보 효과에 기인한 경우가 많다.[8]

춘약은 그 기원과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 천연 최음제: 식물이나 동물 등 자연에서 얻어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인삼, 음양곽, 요힘빈 등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일부는 현대 의학에서도 연구되거나 제한적으로 사용된다.[1][4][5] 하지만 대부분은 그 효과나 안전성에 대한 명확한 임상적 증거가 부족하다.[8][10]
  • 민간 전승 약 및 식품: 과학적 검증보다는 구전이나 경험칙에 근거하여 최음 효과가 있다고 믿어지는 약초, 특정 음식, 동물성 재료 등을 포함한다.[31] 문화권마다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상징적인 의미나 영양 보충 효과와 관련된 경우도 있다.[2][5]
  • 합성 최음제: 화학적 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약물 중 성적 기능이나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약물(암페타민 계열, 엑스터시 등)은 부수적인 효과로 성적 흥분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지만,[20][21][22][23] 이는 의도된 효능이 아니며 부작용이나 의존성의 위험이 따른다.[2] 성기능 장애 치료를 위해 개발된 전문 의약품도 있으나, 이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관계 개선을 위한 약물 사용의 윤리적, 철학적 측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등[11] 춘약 및 관련 물질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각 종류별 구체적인 예시와 설명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천연 최음제

고대 중국, 인도, 이집트, 로마, 그리스 문화와 같은 고대 문명에서는 특정 물질이 성적 욕구, 성적 쾌락, 성적 행동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었다.[1][4] 이는 일부 남성이 발기 부전으로 고통받아 번식 능력이 없었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졌다.[1][4] 자녀를 낳지 못하는 남성은 사회적으로 실패자로 간주되었고, 반대로 다산 능력이 있는 남성은 존경받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성기능 자극 물질에 대한 수요가 생겨났다.[1][5] 또한, 발기 부전 문제가 없는 사람들도 성능 향상을 원했다.[4] 이러한 물질들은 인기를 얻으며 기록되기 시작했고, 관련 정보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졌다.[3] 기원전 2000년에서 1000년경의 힌두교 문헌에는 성능 향상제, 그 성분 및 사용법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3] 중국의 관련 문서는 기원전 2697년에서 2595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5] 로마와 중국 문화에서는 동물의 생식기에 최음 효과가 있다고 믿었으며, 이집트인들은 발기 부전 치료법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5] 후고전 시대 서아프리카에서는 팀북투의 필사본 중 "아내와의 성적 관계에 대한 남성 조언"이라는 책이 최음제 및 불임 치료법 안내서 역할을 했다. 이 책은 남편에게 아내를 "되찾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제공했으며, 양쪽 모두의 성적 쾌락을 극대화하기 위한 팁을 담고 있었다.[9]

그러나 역사적으로나 과학적으로 볼 때, 이러한 물질들의 효과는 주로 사용자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 플라시보 효과에 기인했을 가능성이 크다.[8] 많은 식물, 추출물, 호르몬 등이 최음제로 제안되었지만, 그 효능이나 장기적인 안전성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임상적 증거는 거의 없다.[8][10]

다음은 역사적으로 최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천연 물질들이다.

  • 용연향

용연향: 향유고래의 창자에서 발견되는 물질이다. 아랍 문화권에서는 두통 완화나 성기능 증진제로 사용되었다. 용연향에서 추출된 화학 물질인 암브레인은 동물 연구에서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높여 성적 욕구와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3]

  • 부포테닌: 두꺼비의 피부와 분비샘에서 발견된다.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사랑의 돌'이라는 최음제로, 중국에서는 ''찬 수''라는 심장 질환 치료제로 사용된다.[3] 연구에 따르면 부포테닌을 함유한 두꺼비 피부 분비물은 두꺼비의 심박수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다.[12]
  • 요힘빈 화학 구조

요힘빈: 서아프리카의 요힘베 나무 껍질에서 추출되는 물질이다.[4] 전통적으로 서아프리카 문화권에서는 껍질을 끓여 마시며 성적 욕구를 증진시키는 데 사용했다.[1]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미국과 캐나다에서 성기능 장애 치료제로 처방될 수 있으며,[1][5] 일반 의약품에서도 발견된다.[1] 요힘빈은 중추 신경계, 자율 신경계, 음경 조직 및 혈관 평활근 세포에 영향을 미쳐 생리적 및 심인성 발기 부전 치료에 사용되기도 하지만,[1][4] 다른 치료법과 병행하는 것이 권장된다.[13]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불안, 불규칙한 심장 박동 등이 보고되었다.[4]

  • 음양곽 (*Epimedii herba*): 중국 민간 의학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약초이다.[1] 의학적 상태 치료와 함께 성적 욕구, 쾌락, 행동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졌다.[1] 음양곽에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이카린이 함유되어 있다. 이 약초의 이름은 특정 지역의 염소들이 이 풀을 즐겨 먹는 것을 보고 농부들이 그 효과를 관찰한 후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1][4]
  • 알코올 분자

알코올: 중추 신경 억제제로 작용하여 억제력을 낮춤으로써 성적 욕구와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최음제와 연관되어 왔다.[5][2] 하지만 알코올의 효과는 생리적, 심리적으로 복합적이어서 최음 효과를 명확히 규정하기 어렵다.[2] 적당량의 알코올은 성적 욕구를 긍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지만, 과량 섭취는 오히려 성적 만족을 방해할 수 있다.[2][14]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에 등장하는 문지기의 대사처럼 "욕망은 자극하지만, 행위는 방해한다".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성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다.[2]

  • 마리화나: 마리화나 사용과 성적 효과에 대한 보고는 엇갈린다. 일부 사용자는 성적 욕구와 쾌락이 증가했다고 보고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고 보고한다.[2] 섭취량, 개인의 민감도, 마리화나 품종 등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정된다.[2]
  • 음식: 많은 문화권에서 특정 음식을 성욕 증진의 원천으로 여겨왔지만, 음식의 최음 효과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부족하며 대부분 플라시보 효과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2] 일부 음식(당근, 바나나, 굴 등)은 외형이 남녀 생식기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최음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기도 했다.[2][5] 동물의 생식기(자메이카의 소 고환 수프, 필리핀발룻 등)를 섭취하면 그 특성을 흡수할 수 있다는 믿음도 있었다.[1] 코리안 버그(Korean beetle)는 중국, 한국, 동남아시아에서 인기 있는 최음제로, 살아있는 상태나 젤라틴 형태로 섭취된다.[15] 동충하초(*Ophiocordyceps sinensis*)는 중국에서 최음제로 사용된다.[16] 바다에서 태어난 아프로디테의 신화는 해산물이 최음 효과를 지닌다는 믿음의 또 다른 근거가 되었다.[5] 초콜릿은 섭취한 여성의 성적 욕구를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정향과 세이지도 최음 효과가 보고되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명시되지 않았다.[1] 보로호나 촌타두로와 같은 열대 과일은 일반적으로 활력 증진제, 특히 성적 활력 증진제로 여겨진다.[17][18]
  • 인삼

인삼: ''Panax'' 속 식물의 뿌리를 총칭한다.[1][4] 유효 성분은 진세노사이드와 사포닌 배당체이다.[19] 가공 방식에 따라 수삼(4년근), 백삼(4~6년근 건조), 홍삼(6년근 쪄서 건조)으로 나뉘며, 이 중 홍삼이 최음 효과가 가장 크다고 알려져 있다.[4] 부작용으로는 가벼운 위장 장애가 있을 수 있다.[5]

  • 마카: 페루 안데스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로, 인삼과는 관련이 없지만 "페루 인삼"으로 불리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성기능 향상을 위한 강장제로 사용되어 왔다.


남성의 성욕은 성 호르몬, 특히 테스토스테론 농도와 관련이 있다.[10][26][27]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은 개인, 특히 폐경기 여성이나 60세 이상 남성의 성욕 감소 시, 식이 보충제 형태로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높여 성욕을 증진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10][28] 합성 경구 테스토스테론의 장기 치료는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29]

=== 민간 전승 약 및 식품 ===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최음 효과가 있다고 믿어졌던 식물, 동물성 재료, 식품 등은 다음과 같다.[31] 이러한 믿음은 과학적 근거보다는 구전이나 경험칙, 혹은 상징적인 의미에 기반한 경우가 많다.

분류종류설명
과일/채소사과, 석류고대 바빌로니아 성애 주술 사용 (조르주 뒤비 외, 『사랑과 섹슈얼리티의 역사』).
과일/채소무화과그리스·로마 시대 풍요의 상징, 최음제로 여겨짐.
과일/채소양파카마수트라』 등에서 소개.
식물쐐기풀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에서 소개.
버섯트러플강장 작용이 있다고 믿어진 고급 식재료.
식품달걀, 치즈영양가가 높아 강장제로 사용.
식물감초, , 사탕수수당분 섭취 가능한 식재료, 정력제로 사용.
해산물/기타해삼, 굴, 마늘정력 증진 및 강장 효과 추정.
동물성동물의 성기 (바다표범, 물개 페니스, , 고환 등)해당 동물의 정력 흡수 믿음.
주류벌꿀술강장제로 민간 전승.
향신료사프란조미료 및 최음제로 애용.
식물만드라 고라(전승)마법 약 재료로 알려진 전설 속 식물.
식품카카오, 커피초콜릿, 코코아, 커피의 최음 효과 믿음.
향신료/식물후추, 다투라『카마수트라』에 따르면 꿀과 섞어 남성 성기에 바르면 효과.
향료바닐라남성 페로몬 유사 성분 미량 함유.
식물/명칭사티리콘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 등장 최음제 총칭 (정체 불명).
기타마녀연고다양한 생약 연고, 사바트에서 오르가슴 촉진용으로 사용 전승.
곤충칸타리스, 칸타리데스 (청딱정벌레 분말)동서양 생약, 유럽에서 최음 효과 믿음.
한약재녹각, 녹용, 부자 (투구꽃 일종), 지황, 미각 (순록 뿔) 등한의학 강장 및 정력 증진 약재.
기타아편, 두꺼비 점액에도 시대 일본 최음제 장명환 주성분.
향료사향, 용연향향기의 최음 효과 믿음, 귀한 향료.
동물성도롱뇽 흑구이[32]고대 로마, 인도에서도 도마뱀은 최음제·강정제 재료.
곤충잎꾼개미콜롬비아에서 최음 효과 믿음, 식용.


3. 2. 합성 최음제

엑스터시에 포함된 MDMA 분자 구조


파티 등에서 사용되는 일부 합성 물질들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성적 쾌락을 증진시키는 효과 때문에 최음제로 여겨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엑스터시 사용자들은 성적 욕구와 쾌락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지만, 남녀 모두에게서 오르가즘 지연 문제가 나타나며 남성의 경우 발기 부전을 겪기도 한다. 흡입용 약물인 포퍼스 역시 성적 쾌락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두통, 메스꺼움, 일시적인 발기 부전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된다.[2]

암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메스암페타민과 같은 치환된 페네틸아민 계열 약물들은 성욕을 증가시키고, 빈번하거나 지속적인 발기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치료 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성적 흥분 과잉이나 과성욕증이 나타날 수 있다.[20][21][22][23] 하지만 일부 사용자에게서는 오히려 성욕이 감소하는 경우도 보고되어 효과는 개인차가 있다.[21][23]

독일의 제약 회사 Drittewelle는 2C-B라는 물질을 "Erox"라는 상표명으로 5mg 알약 형태로 제조하여 판매했는데, 이는 최음 효과를 기대한 것이었다.[24][25]

남성의 성욕은 성 호르몬, 특히 테스토스테론 농도와 관련이 깊다.[10][26][27]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은 개인, 예를 들어 폐경기 여성이나 60세 이상의 남성이 성욕 감소를 경험할 때, 혈청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높여 성욕을 증진시키려는 목적으로 합성 테스토스테론 제제나 관련 식이 보충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효과는 제한적이며,[10][28] 합성 경구 테스토스테론을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9] 여성용으로 개발된 플리반세린과 같은 약물도 존재하지만, 10정당 5000JPY 전후로 비싸고, 구토, 졸음,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매일 1개월 동안 복용해야 하고 효과가 나타나는 비율이 절반 정도에 그쳐 판매는 부진했다고 알려져 있다.

3. 3. 작용 기제에 따른 분류

; 최음제

: 성욕을 높이는 약이다. 주로 남성의 성기능 저하 치료에 사용되며, 발기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여성용으로는 플리반세린 등이 알려져 있지만, 10정당 5000JPY 전후로 비싸고, 부작용으로 구토, 졸음, 저혈압 등이 있으며, 매일 1개월 동안 복용해야 하고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절반 정도이기 때문에 판매는 부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픽션 세계에서는 여성에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같은 약이 남녀 모두에게 작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 자극성 물질

: 경구 섭취 또는 주사를 통해 소변 내에 잔류하여 요로에서 성기를 자극한다. 다량 섭취하면 독이 되는 물질에 이러한 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 성 호르몬제

: 안드로겐, 에스트로겐 등의 스테로이드 제제 일부에 성기의 발달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며, 성욕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 민간 전승 약[31]

: 한방약이나 생약과 같이 구전이나 경험칙에 의해 효능과 유효 성분이 인정된 약이다. 또는, 감응 주술에 따른 민간요법을 의미하기도 한다.

4. 위험성 및 주의사항

이른바 '춘약'이라 불리는 물질들의 효과는 대부분 플라시보 효과에 기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 믿음 자체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6][7][30] 실제로 많은 식물, 추출물, 호르몬 등이 최음제로 제안되었지만, 그 효능이나 장기적인 안전성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임상적 증거는 거의 없다.[8][10]

춘약의 효과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얻기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다양한 문화권과 환경에서 유래하며, 원료의 성장 조건이나 추출 방식의 차이로 인해 그 효과가 일정하지 않다.[4] 또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물질이라 하더라도 섭취량이나 개인의 민감도 차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2] 약효에 대한 개인차가 크고, 약효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서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30]

민간요법이나 개인이 스스로 판단하여 춘약을 사용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의 유해성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정보를 얻는 사람들이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1][3] 일부 춘약으로 여겨지는 자극성 물질은 다량 섭취 시 독이 될 수도 있다.

여성용 성욕 저하 치료제로 알려진 플리반세린의 경우, 5000JPY 전후의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구토, 졸음,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으며, 매일 복용해도 절반 정도의 사람에게만 효과가 나타나 판매가 부진했던 사례도 있다.

결론적으로, 사람의 정신을 자유자재로 조작하여 성적 욕망을 일으킬 정도의 약효를 가진 성분은 아직 실용화되지 않았으며, 흔히 이야기되는 '사랑의 묘약'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약품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30]

5. 대중문화 속 최음제

최음제[30]는 주로 성적 흥분을 높이는 약의 총칭이지만, 그 역사는 오래되어 정력을 돋우는 약이나 식품의 총칭으로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약의 작용은 개인차가 크고, 약효의 인식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플라세보 효과 참조). 기본적으로 정신을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을 정도의 약효 성분은 실용화되지 않았으며, 사랑의 묘약은 주로 가상의 약품으로 인식되어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1926년의 알약 광고는 최음 효과를 암시한다: "붉은 피를 가진 활력과 추진력으로 가득하다".


최음제의 발명이나 사용은 여러 영화, 문학, 음악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영화'''

  • 향수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 스페니쉬 플라이
  • She'll Follow You Anywhere
  • 러브 포션 넘버 9
  • 세르비안 영화
  • 우디 앨런의 영화 ''섹스에 관해 당신이 알고 싶어했던 모든 것* (*그러나 감히 묻지 못했던 것)''의 첫 번째 에피소드 "최음제는 효과가 있는가?"에서는 앨런이 광대로 출연하여 여왕을 유혹하려 한다.
  •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의 ''캔터베리 이야기'' 중 「제1화 무역상인의 이야기」[33]
  • 영화 ''Sexually Bewitched''에서는 마녀가 만든 약물이 사람들의 억압된 성욕을 해방시키는 소동을 다룬다.


'''애니메이션 및 코믹스'''

  • 단간론파 3 -The End of Hope's Peak High School-의 "절망편"에서는 한 반 전체가 최음제를 투여받는 장면이 나온다.
  • 애니메이션 약사의 혼잣말 2화에서는 주인공 마오마오가 최음제를 만들고, 이를 모르는 시녀들이 먹게 된다.
  • 후지코 후지오의 코믹스 및 애니메이션 ''도라에몽''의 에피소드 「큐피드의 화살」(단행본 제3권 수록)에서도 유사한 소재가 등장한다.


'''문학 및 음악'''

  • 윌리엄 셰익스피어 - 『한여름 밤의 꿈』: 요정의 장난으로 사랑의 묘약이 사용된다.
  • 펠릭스 멘델스존 - 오페라 『한여름 밤의 꿈』: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바탕으로 작곡되었다.
  • 바그너 - 악극 『트리스탄과 이졸데』: 주인공들이 실수로 사랑의 묘약을 마시고 비극적인 사랑에 빠진다.
  • 도니체티 - 오페라 『사랑의 묘약』: 떠돌이 약장수가 파는 가짜 사랑의 묘약을 둘러싼 희극적인 내용을 다룬다.

참조

[1] 논문 Aphrodisiacs from plant and animal sources—A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literature 2011-05
[2] 서적 The psychology of human sexuality 2017-10-12
[3] 논문 Aphrodisiacs past and present: A historical review 2001-10
[4] 논문 Traditional Plant Aphrodisiacs and Male Sexual Dysfunction: PLANT APHRODISIACS 2014-06
[5] 논문 Natural Aphrodisiacs 2010-01
[6] LSJ *)afrodisiako/s ἀφροδισιακόν
[7] dictionary Aphrodisiac http://www.etymonlin[...]
[8] 논문 Natural Aphrodisiacs-A Review of Selected Sexual Enhancers 2015-10
[9] 서적 The Bad-Ass Librarians of Timbuktu And Their Race to Save the World's Most Precious Manuscripts Simon & Schuster
[10] 웹사이트 Sexual health https://www.drugs.co[...] Drugs.com 2016-06-11
[11] 웹사이트 Love as a drug: can romance be medically prescribed? http://www.theguardi[...] 2020-02-09
[12] 논문 In vitro cardiotoxici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the Egyptian green toad Bufo viridis skin secretions https://linkinghub.e[...] 2010-03-01
[13] 논문 Yohimbine as a treatment for erectile dysfun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
[14] 웹사이트 Do aphrodisiacs really work? https://www.bbc.com/[...] 2019-02-14
[15] 논문 Erectile dysfunction treatment and traditional medicine-can East and West medicine coexist? 2017-02
[16] 서적 The Global Circulation of Chinese Materia Medica, 1700-1949: A Microhistory of the Caterpillar Fungus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17] 논문 Peach Palm (Bactris gasipaes Kunth.): Ancestral Tropical Staple with Future Potential 2022-01
[18] 논문 Alibertia patinoi (Cuatrec.) Delprete & C.H.Perss. (Borojó): food safety, phytochemicals, and aphrodisiac potential 2022-12-16
[19] 논문 Ginseng Compounds: An Update on Their Molecular Mechanisms and Medical Applications 2010-08-25
[20] 서적 Drug Addiction II: Amphetamine, Psychotogen, and Marihuana Dependence Springer 2013
[21] 웹사이트 Adderall XR Prescribing Information http://www.accessdat[...] 2013-12
[22] 논문 Sexual desire disorders 2008-06
[23] 웹사이트 Desoxyn Prescribing Information http://www.accessdat[...] 2013-12
[24] 웹사이트 Erowid Chemicals Vaults : Images : 2cb pack https://www.erowid.o[...]
[25] 웹사이트 This Is What 2-CB Does to You https://www.vice.com[...] 2019-03-05
[26] 논문 The effects of testosterone on the cavernous tissue and erectile function
[27] 논문 Romantic love: a mammalian brain system for mate choice 2006-12-29
[28] 논문 Effects of Testosterone Treatment in Older Men
[29] 논문 Cardiovascular risks and elevation of serum DHT vary by route of testosterone administr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0] 웹사이트 Top 18+ Thuốc Tăng Cường Sinh Lý Nam Hiệu Quả Tốt Nhất https://nhatnamyvien[...] 2023-05-26
[31] 문서
[32] 문서
[33] 서적 中世の食卓から ちくま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