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싱할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할라어는 스리랑카에서 사용되는 인도아리아어이며,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이름과 기원전 5세기경 스리랑카에 정착한 비자야 왕자와 그의 측근들의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싱할라어는 엘루 프라크리트어, 원시 싱할라어, 중세 싱할라어, 현대 싱할라어의 4단계로 발전해 왔으며, 음운 변화와 동서 프라크리트어와의 비교를 통해 언어적 특징을 보여준다. 1956년 싱할라어 단독 사용법 제정 이후, 스리랑카의 언어 정책 변화는 싱할라어와 타밀어 간의 갈등과 화해의 역사를 반영하며, 현대 싱할라어는 기층 언어, 인접 언어, 외래어의 영향을 받아왔다. 싱할라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며, 문어체와 구어체의 이중 언어 사용 형태를 보인다. 싱할라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었으며, 명사, 동사,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할라어 - 싱할라 문자
    싱할라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기원하여 그란타 문자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아부기다의 일종으로, 싱할라어 표기에 사용되며 1600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팔리어 경전 기록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고 유니코드 표준에도 추가되었다.
  • 스리랑카의 언어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스리랑카의 언어 - 베다어
    베다어는 스리랑카 베다족의 언어로, 드라비다어족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그 언어적 분류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 남인도아리아어군 - 콘칸어
    인도 서부 콘칸 지역에서 사용되는 콘칸어는 인도아리아어족에 속하며, 다양한 문자 체계와 방언을 가지고 있고, 고아의 공용어이자 인도 헌법상 공식 언어이다.
  • 남인도아리아어군 - 디베히어
    디베히어는 몰디브와 락샤드위프에서 사용되는 인도아리아어의 일종으로, 신할라몰디브어에서 갈라져 나와 싱할라어와 관련이 깊으며 타나 문자를 사용하고 아랍어, 영어, 산스크리트어 등의 영향을 받았다.
싱할라어
개요
싱할라어
싱할라어 (노토 세리프 싱할라 블랙 폰트)
자칭()
사용 국가스리랑카
사용자싱할라족
화자 수제1언어: 약 1591만 5890명 (2021년 기준)
제2언어: 약 201만 1100명 (1997년 기준)
언어 분류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어군인도아리아어군
하위 어군남부 지대
세부 어군도서 인도아리아어군
분기싱할라-몰디브어군
조어엘루
파생어베다어 (크리올어일 가능성 있음)
문자
문자 체계싱할라 문자
싱할라 점자 (바라티 점자)
공용어
지정 국가스리랑카
언어 코드
ISO 639-1si
ISO 639-2sin
ISO 639-3sin
Lingua সিনহালা59-ABB-a
Glottologsinh1246
Glottolog 명칭싱할라어
분포
싱할라어 분포
싱할라어 분포 (파란색: 제1언어 사용자가 대다수인 지역, 줄무늬 파란색: 다른 언어(타밀어, 말레이어 등)도 사용되는 지역, 회색: 소수 언어 지역)

2. 이름의 유래

'싱할라'라는 이름은 이 언어를 가리키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스리랑카의 역사서 마하밤사에 따르면, 기원전 5세기경 북인도 출신의 비자야 왕자가 스리랑카섬으로 건너와 원주민이던 야카(Yakka)족과 나가(Naga)족을 복속시키고 '싱할라(Siṁhalasa)' 왕국을 세웠다고 한다.[44][45] 이후 왕국 외부의 산스크리트어 사용자들이 이 왕국의 언어를 "싱할라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 이름의 기원이다.

산스크리트어 단어 '싱할라(Siṁhalasa)'는 '사자'를 뜻하는 siṁha|심하sa에서 파생된 말이다.[11] 이는 스리랑카 섬에 과거 사자의 아종인 ''Panthera leo sinhaleyus''가 많이 서식했기 때문에 '사자의 거주지'라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12] 산스크리트어에서 파생된 중기 인도 아리아어에서는 '시할라(Sīhalainc)'라고 불렀다.

싱할라어 사용자들은 과거 자신들의 언어를 '엘루(Elu)', '헬라(Hela)', '헬루(Helu)' 등으로 칭하기도 했다. 산스크리트어와 중기 인도 아리아어 명칭 모두 단어의 시작 부분에 사자를 의미하는 단어(simba|심바sa, sīha|시하sa)가 포함되어 있다.

싱할라 왕국 건국 이후 수 세기 동안 칼링가, 마가다 등 인도 동부 및 벵골 지방에서 온 이주민들과의 교류를 통해 프라크리트어 등 다른 언어와의 혼합이 이루어졌다.[46]

3. 역사

스리랑카의 역사서인 팔리어 연대기 마하밤사에 따르면, 기원전 5세기경 방가 왕국의 비자야 왕과 그의 측근들이 인도 북동부에서 스리랑카섬으로 건너왔다.[55][13][14][15][44] 비자야 왕은 당시 스리랑카섬에 거주하던 약카(Yakka)족과 나가(Naga)족으로 이루어진 헬라(Hela)족을 통합하고, 판디아 왕조에서 온 후기 정착민들과 합류하여 '싱할라(Sinhala)' 국가를 세웠다고 전해진다.[56][13][14][15][45] 이후 수 세기 동안 칼링가, 마가다 등 인도 동부와 벵골 지방에서 온 이주민들이 유입되면서 프라크리트어와의 혼합이 진행되었다.[16][46]

'싱할라(Sinhala)'라는 명칭은 이 언어를 가리키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비자야 왕이 세운 국가 외부의 산스크리트어 사용자들이 그들의 언어를 '싱할라'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산스크리트어에서 파생된 중기 인도 아리아어에서는 '시할라(Sīhala)'라고 불렸다. 싱할라어 자체에서는 과거 엘루어(Elu), 헬라(Hela), 헬루(Helu) 등으로 불렸다. 산스크리트어와 중기 인도 아리아어 명칭의 어두에는 '사자'를 의미하는 단어(simba, sīha)가 포함되어 있다.

3. 1. 변천 과정

싱할라어의 발전 과정은 크게 네 단계로 나뉜다.[17]

  • 엘루 프라크리트어 (기원전 3세기 ~ 서기 4세기)
  • 원시 싱할라어 (서기 4세기 ~ 서기 8세기)
  • 중세 싱할라어 (서기 8세기 ~ 서기 13세기)
  • 현대 싱할라어 (서기 13세기 ~ 현재)

3. 2. 음운 변화

싱할라어는 역사적으로 여러 중요한 음운 변화를 겪었다.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 파열음에서 유기음(거센소리)과 무기음(안거센소리)의 구분이 사라졌다. 예를 들어 '먹다'를 뜻하는 싱할라어 ''kanavā''는 산스크리트어 khādati|카다티sa힌두스탄어 ''khānā''에 해당하는데, 이들 언어에서는 유기음 /kʰ/가 유지되지만 싱할라어에서는 무기음 /k/로 나타난다.
  • 원래 있던 모음의 장단 구분이 사라졌다. 현대 싱할라어에서 발견되는 장모음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나타난다.
  • 차용어: 예를 들어 '시험'을 뜻하는 ''vibāgaya''는 산스크리트어 vibhāga|비바가sa에서 빌려온 단어이다.
  • 모음 축약 및 음절 사이 자음 탈락: 예를 들어 '놓다'를 뜻하는 ''dānavā''는 이전 형태인 ''damanavā''에서 가운데 자음 /m/이 탈락하고 모음이 합쳐지면서 장모음이 되었다.
  • 복합어 형성 과정에서의 연음 현상.
  • 자음군(연속된 자음)과 겹자음(같은 자음이 연달아 오는 것)이 단순화되었다. 자음군은 겹자음으로, 겹자음은 단자음으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산스크리트어에서 '시간'을 뜻하는 viṣṭā|비슈타sa는 싱할라 프라크리트어 시기에는 ''viṭṭa'' (겹자음)가 되었다가, 현대 싱할라어에서는 ''viṭa'' (단자음)로 단순화되었다.
  • 원래의 /tʃ/ 발음이 /s/나 /ɦ/로 변했다. 예를 들어 '달'을 뜻하는 ''san̆da'' 또는 ''han̆da''는 산스크리트어 candra|찬드라sa에 해당한다.
  • 원래의 /dʒ/ 발음이 /d/로 변했다. 예를 들어 '그물' 또는 '웹'을 뜻하는 ''dæla''는 산스크리트어 jāla|잘라sa에 해당한다.
  • 비음화 자음이 발달했다. 이는 주로 산스크리트어에서 비음 뒤에 유성 파열음이 오던 환경에서 나타났다 (예: ''han̆da'' '달').[18]
  • 단어 첫머리의 /w/와 /j/ 발음이 유지되었다. 특히 초성 /j/의 유지는 인도아리아어군 내에서는 카슈미르어와 싱할라어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다. (예: ''viṭa'' '시간', ''yutu'' '적절한' < 산스크리트어 yukta|육타sa).[19]

3. 3. 동서 프라크리트어와의 비교

싱할라어는 동부 프라크리트어와 서부 프라크리트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빌헬름 가이거는 싱할라어의 서부 프라크리트어 특징으로, 동부 프라크리트어에서는 /b/ 음으로 변화한 초기 /v/ 음이 싱할라어에서는 그대로 유지된 점을 든다. 예를 들어, 산스크리트어 viṁśatisa(20)는 싱할라어에서 visi-si로 나타나는 반면, 힌디어에서는 bīshi로 나타난다. 그러나 무하마드 샤히둘라는 이러한 견해에 반박하며, 싱할라 프라크리트가 해당 음성 변화가 일어나기 전에 이미 동부 프라크리트에서 갈라져 나왔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음성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아쇼카의 칙령 사본을 근거로 제시한다.[20]

동부 프라크리트어의 특징으로는 남성 명사 단수 주격 어미가 '-e'로 끝나는 점이 싱할라어에 남아있다(서부 프라크리트어에서는 '-o'로 끝남). 또한, 어휘적으로 이중어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산스크리트어 makṣikāsa에 해당하는 단어로 싱할라어에는 mæssāsi(파리)와 mäkkāsi(벼룩)가 모두 존재한다. 이는 각각 지리적으로 다른 프라크리트어, 즉 서부 프라크리트어의 `macchiā`와 동부 프라크리트어(예: 팔리어)의 makkhikāpi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3. 4. 스리랑카 정부의 언어 정책

1956년, 당시 집권한 스리랑카 자유당 정부는 공용어를 영어에서 싱할라어로 변경하는 법률, 이른바 싱할라 유일법을 시행했다.[47] 이 법은 스리랑카 내 다수 민족인 싱할라어 사용자와 소수 민족인 타밀어 사용자 간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많은 타밀인들은 이 법안을 싱할라인의 문화, 언어, 종교(불교)만을 국가의 공식적인 것으로 인정하려는 시도로 받아들이며 강하게 반발했다.[47]

타밀인들의 반발과 민족 갈등이 심화되자, 1958년에는 "싱할라어 단독, 타밀어도 사용"이라는 내용의 법안이 통과되어 타밀어 사용이 제한적으로나마 인정되었다. 현재 스리랑카 헌법은 싱할라어와 타밀어 모두를 공용어로 명시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 싱할라인 중심의 언어 정책에서 벗어나 민족 간 평등과 공존을 지향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4. 현대 싱할라어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함)

4. 1. 기층 언어의 영향

빌헬름 가이거에 따르면 싱할라어는 다른 인도아리아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베다어 조상 언어의 기층 영향으로 설명될 수 있다.[22][48] 싱할라어에는 중기 또는 고대 인도아리아어에서 어원을 찾기 어려운, 싱할라어 고유이거나 싱할라어와 베다어에서만 공유되는 단어가 다수 존재한다.[49]

예를 들어, 싱할라어와 베다어에서 '잎'을 뜻하는 kola|콜라sin (일부에서는 드라비다어족 기원을 제안하기도 한다[23][24][25]), 베다어에서 '돼지'를 뜻하고 싱할라어에서 '제물'을 뜻하는 dola|돌라sin 등이 있다. 또한 '야생 오리'를 뜻하는 rera|레라sin나 '돌'을 뜻하는 gala|갈라sin (이 단어는 스리랑카 섬 전체의 지명에 사용되지만, 드라비다어 기원설도 있다[26][27][28][50]) 같은 단어도 흔히 사용된다.

스리랑카의 싱할라어 이전 토착 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단어도 많다. 특히 '머리'를 뜻하는 olluva|올루와sin, '다리'를 뜻하는 kakula|카쿨라sin, '목'를 뜻하는 bella|벨라sin, '허벅지'를 뜻하는 kalava|칼라와sin와 같이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단어들이 이에 해당한다.[29][51]

13세기에 쓰여진 가장 오래된 싱할라어 문법서인 Sidatsan̆garavā|시다트상가라와sin는 초기 싱할라어 고유의 단어 범주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 문법서는 '보다'라는 뜻의 naram̆ba|나람바sin와 '요새' 또는 '항구'를 의미하는 koḷom̆ba|콜롬바sin를 토착 어원에서 유래한 단어로 명시했다. koḷom̆ba|콜롬바sin는 스리랑카의 상업 수도인 콜롬보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30][31][52][53]

4. 2. 인접 언어의 영향

싱할라어의 일관된 좌분기 구문과 유기음의 소실은 아마도 남드라비다어 기층 효과로 여겨진다.[32] 이는 과거 싱할라어와 남드라비다어 사용자들이 함께 살며 두 언어를 모두 사용했던 기간이 있었기 때문으로 설명된다.

"원주민인 베다어를 제외하고 스리랑카에서 발생한 가장 초기의 언어 접촉은 남드라비다어와 싱할라어 사이에서 일어났다. 이 두 집단 사이의 장기간의 접촉과 높은 수준의 이중 언어 사용을 가정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이것이 싱할라어가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왜 남드라비다어처럼 보이는지를 설명해준다. 유전적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33]

싱할라어에는 타밀어에서 온 많은 차용어가 있으며, 드라비다어족의 발음 및 문법적 영향이 나타난다. 이는 북부 인도-아리아어군 언어들과 싱할라어를 구분 짓는 특징이며, 싱할라어 화자와 드라비다어 화자 간의 깊은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현재 나타나는 드라비다어족의 영향은 주로 다음 네 가지이다.

  • 단모음 e, o와 장모음 ē, ō의 구분
  • 유기음이 없음
  • 주요부가 앞에 오는 좌분지(left-branching syntax) 구조라는 점 (일본어와 동일)
  • kiyanavā|키야나와sin(말하다)라는 단어의 연체형을 영어의 "that"이나 "if"와 같은 종속 접속사로 사용하는 것 (아래 예시처럼 어순이 일본어와 유사하다)


ēkaaluthkiyalāmamadannawā
그것새로운~라고 말하며안다



"나는 그것이 새롭다는 것을 알고 있다."

ēkaaluth-dakiyalāmamadannēnähä
그것새로운-?~라고 말하며안다(강조)아니다



"나는 그것이 새로운지 모른다."

4. 3. 외래어

수 세기 동안 이어진 식민 통치와 그에 따른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 등과의 상호 작용, 정착, 혼인 및 동화의 결과로 현대 싱할라어에는 많은 외래어가 유입되었다. 특히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영어로부터 많은 차용어가 들어왔다.[33]

4. 4. 다른 언어에 미친 영향

마카오 파투아(또는 마카오 크리올)는 싱할라어의 영향을 받은 혼성어 중 하나이다. 이 언어는 주로 마카오포르투갈 왕국 식민지 시절 마카오인들이 사용했으며, 화자들은 Patuá|파투아mzs라고 부른다.

마카오 파투아는 초기 포르투갈 정착민 남성들이 말라카나 스리랑카 출신 여성들과 결혼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형성 초기부터 말레이어와 싱할라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후 광둥어포르투갈어 등의 요소가 더해져 발전했다.

현재 마카오 파투아는 광둥어의 확산으로 인해 화자 수가 크게 줄어, 마카오와 해외 마카오인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소수 가족들만이 사용하고 있다.

5. 수사

싱할라어의 수사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매우 유사하다.

숫자싱할라어산스크리트어그리스어라틴어독일어영어프랑스어러시아어폴란드어
1eka (එක)ékaheisunuseinsoneunadinjeden
2deka (දෙක)dvádúoduozweitwodeuxdvadwa
3thuna (තුන)trítreistresdreithreetroistritrzy
4hathara (හතර)catúrtéttaresquattuorvierfourquatrechityricztery
5paha (පහ)páñcapéntequinquefünffivecinqpyat'pięć
6haya (හය)shathéxsexsechssixsixshest'sześć
7hatha (හත)saptáheptáseptemsiebensevenseptsyem'siedem
8aṭa (අට)aṣṭáoktóoctoachteighthuitvosim'osiem
9navaya (නවය)návaennéanovemneunnineneufdyevit'dziewięć
10dahaya (දහය)dáçadékadecemzehntendixdyesit'dziesięć


6. 방언

싱할라어는 방언과 억양으로 구별되는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특히 지역적 변형이 두드러진다. 잘 알려진 지역적 변형은 다음과 같다.[34]

# 우바 주 변형 (모나라갈라, 바둘라)

# 남부 변형 (마타라, 갈레)

# 고지대 변형 (캔디, 마탈레)

# 사바라가무와 변형 (케갈레, 발란고다)

우바 지방 사람들은 단어 발음에서 독특한 언어적 특징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싱할라어 단수 명사는 '-o', '-hu', '-wal', '-waru'와 같은 접미사를 붙여 복수형을 만들지만, 모나라갈라 지역에서는 명사를 복수화할 때 비음(콧소리)이 추가되는 차이가 있다.[34] 예를 들어,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kàntawǝ'(여자)가 'kantàwò'(여자들)로, 'potǝ'(책)가 'pot'(책들)로, 'lindhǝ'(우물)가 'lindhǝwal'(우물들)로 복수화된다. 하지만 우바 지방에서는 'lindha'(우물)가 'lindhan'(우물들)으로, 'oya'(개울)가 'oyan'(개울들)으로 복수화된다.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카마트어(벼농사 문화의 토착 언어)는 스리랑카의 다른 지역(우바, 캔디)에서 사용되는 카마트어와 약간 다르다. 특히 대부분의 명사 뒤에 'boya'를 붙이는 체계적인 변형이 특징이다.[34]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작물:''' Kurakkan '''boya'''si (겨), Rambakan '''boya'''si (바나나)
  • '''도구:''' Thattu '''boya'''si (양동이)
  • '''기타 단어:''' Nivahan '''boya'''si (집)


여기서 'boya'는 남부 지역에서 '약간'을 의미하는 단어로, 언급하는 대상(작물, 도구 등)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대부분의 명사 뒤에 규칙적으로 추가된다.

또한 캔디, 케갈레, 갈레 지역 사람들은 일부 단어를 약간 다르게 발음하지만, 싱할라인들은 대부분의 문장을 이해할 수 있다.

캔디, 케갈레, 갈레 지역 사람들이 사용하는 발음의 지역적 차이[34]
일반적인 싱할라어 표현싱할라어의 지역별 표현비고
Ayye heta wapuranna enwada?si
(형, 내일 씨 뿌리러 올 거니?)



실론 섬 남부의 골레나 마타라, 함반토타에서 사용되는 싱할라어에는 독자적인 단어가 일부 있다. 실론 섬 중부, 북중부, 남동부(우바 및 그 주변 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단어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각 지역 화자 간의 의사 소통에는 문제가 없으며, 이러한 차이가 심각하게 여겨지지는 않는다.

베다족의 언어는 많은 점에서 싱할라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독자적인 기원을 가진 단어가 많다. 로디아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사회에서는 싱할라어 방언이 사용된다.[54]

7. 다이글로시아 (이중 언어 사용)

싱할라어는 남아시아의 다른 언어들처럼 다이글로시아 (이중 언어 사용) 현상을 뚜렷하게 보인다. 이는 문어체와 구어체가 서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어휘는 격식적인 상황과 비격식적인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문법적인 측면(구문론과 형태론)에서는 두 체계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존재한다.[35]

문어체는 모든 형태의 산문, , 공식 문서 작성에 사용되며, TV 및 라디오 뉴스 방송과 같은 공식적인 발언에서도 사용된다. 반면 구어체는 일상 대화에서 주로 사용된다 (싱할라어 속어 등을 참조). 종교 설교, 대학교 강의, 정치 연설 등에서는 문어체와 구어체의 특징이 혼합되어 나타나기도 하며, 어떤 표현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전달되는 느낌이 달라진다.[35] 문어체 싱할라어에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문어체와 구어체 사이에는 여러 문법적 차이가 존재한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구어체에서는 주어-동사 일치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문어체에서는 주어와 동사의 수를 일치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어떤 텍스트가 문어체인지 구어체인지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35] 또한 다음과 같은 차이점들이 있다.


  • 등식 문장에서 연결 동사인 ව‌ෙනවාsin는 문어체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되지만, 구어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35]
  • 구어체에서는 명사의 격 변화 중 대격과 처격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격식적인 연설에서는 다시 사용되기도 한다.[36]
  • 구어체에서는 동사의 어형 변화 (굴절, 활용)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과거 중세 영어고대 영어에서도 볼 수 있었던 현상과 유사하다.

8. 표기

싱할라 문자는 Sinhala hodiya|싱할라 호디야si라고 불리며, 다른 인도아리아어군문자처럼 고대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었다.[37][5] 싱할라 문자는 그란타 문자 및 크메르 문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관련 카담바 문자의 요소도 일부 포함한다.[37][5] 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이며, 주로 싱할라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지만, 불교와 학술 문헌에서 중요한 팔리어산스크리트어를 표기하는 데에도 쓰인다.

싱할라어 은 "환영합니다"라는 뜻이며, 문자 그대로는 장수를 기원하는 말이다.


싱할라어의 표기 체계는 아부기다(음절 문자)이다. 기본 자음 문자에 모음 기호(분음 부호, 싱할라어로는 '필라'(pilla), 복수형 '필리'(pili))를 붙여 모음을 나타낸다. 모음 기호는 자음 문자의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등 다양한 위치에 붙을 수 있다. 모음 기호가 없을 경우, 단어 내 위치에 따라 내재 모음인 /a/ 또는 /ə/('어'와 유사한 발음)가 발음된다. 예를 들어, 문자 ක(k)는 단독으로 쓰이면 '카'(ka) 또는 '커'(kə)로 발음된다. 다른 모음은 필라를 사용하여 කා(kā), කැ(kä), කෑ(kǟ), කි(ki), කී(kī), කු(ku), කූ(kū), කෙ(ke), කේ(kē), කො(ko), කෝ(kō)와 같이 표기한다. 모음 없이 자음 소리만 나타낼 때는 හල් කිරීම|할 키리마si라고 불리는 비라마 기호를 사용하여 ක්(k)처럼 표기한다.

/r/ 소리와 같은 일부 자음에도 분음 부호가 있지만, 현재는 전체 문자 ර(r) 뒤에 할 키리마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ශ්‍රී ලංකාව|스리랑카와si("스리랑카")의 ශ්‍රී|스리si처럼 여전히 'r' 분음 부호(첫 글자 ශ 아래의 곡선)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모음은 독립적인 문자로도 존재하지만, 이는 단어 시작 부분처럼 앞에 자음이 없을 때만 사용된다.

전체 문자 체계는 Elu Hodiya|엘루 호디야si라고 불리며, 54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모음 18개, 자음 36개). 하지만 구어체 싱할라어인 Suddha Sinhala|수다 싱할라si(순수 싱할라어)를 표기하는 데에는 36개의 문자(모음 12개, 자음 24개)만 필요하다. 나머지 문자들은 언어 역사 과정에서 소리가 합쳐진 유기음 등을 나타내며, 주로 산스크리트어팔리어에서 온 차용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ⁿd͡ʒa/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ඦsi)가 기록되어 있지만, 이 문자를 사용하는 단어(වෑංඦන, ඉඦූsi)는 극히 드물다.

싱할라 문자의 배열 순서는 다른 브라흐미계 문자와 유사하며, 산스크리트어의 순서와 매우 비슷하다.

a/ā ä/ǟ i/ī u/ū [ŗ] e/ē [ai] o/ō [au] k [kh] g [gh] ṅ c [ch] j [jh] [ñ] ṭ [ṭh] ḍ [ḍh] [ṇ] t [th] d [dh] n p [ph] b [bh] m y r l v [ś ṣ] s h [ḷ] f

9. 음운

싱할라어는 대부분의 인도아리아어 언어보다 자음 체계가 작지만, 모음 체계는 더 크다. 도서 인도아리아어에 속하는 언어로서, 디베히어와 함께 다른 인도아리아어 언어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싱할라어 음운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비음화 자음의 존재이다. 이는 다른 인도아리아어 언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발견되지 않는 현상으로, 유성 파열음 앞에 그것과 동일 조음 위치의 매우 짧은 비음이 붙는 것을 말한다. 또한, 싱할라어는 다른 4개의 위치에 비음을 유지하면서도 권설 비음 /ɳ/이 없다는 점에서 인도아리아어 언어 중 특이하다.

강세가 없는 짧은 /a/ (예를 들어 schwa /ə/ 등)는 문자로는 쓰이지 않는다.

9. 1. 자음

싱할라어는 소위 비음화 자음(prenasalized consonant) 또는 '반 비음' 자음을 가지고 있다. 이 현상은 짧은 동일 조음 위치의 비음이 유성 파열음 바로 앞에 붙는 것을 말한다. 이 비음은 단독 비음보다 짧고, 일반적인 비음과 파열음의 연속 발음보다도 짧다.[38] 예를 들어, 'tam̆ba'(구리)는 'tamba'('끓이다')와 구별된다. 이 비음화된 부분은 뒤따르는 음절의 시작 부분과 함께 음절화되지만, 앞 음절의 음가는 변하지 않는다.

비음화 자음, /ŋ/, /ɸ/, /h/, /ʃ/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모음 사이에서 겹자음(gemination)으로 발음될 수 있다.[38] 만약 다른 이유로 겹자음이 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해당 자음이 비음화 자음이라면, 이는 비음과 유성 자음의 연속 발음(예: /ⁿd/ 대신 /nd/)으로 나타난다.[43]

아래는 싱할라어의 자음 표이다.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권설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ɲŋ
파열음/파찰음무성음pʈk
유성음bɖɡ
비음화ᵐbⁿdᶯɖ(ⁿdʒ)ᵑɡ
마찰음(f~ɸ)s(ʃ)h
전동음r
접근음ʋj


  • /ʃ/ 발음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온 차용어에서 주로 발견된다. 예를 들어 존칭 표현인 'ශ්‍රී'(śrī)나 국가명 스리랑카('ශ්‍රී ලංකා', /ʃriː laŋkaː/)가 있다.
  • /f~ɸ/ 발음은 영어 등 외국어에서 온 차용어에 한정적으로 사용되며, 종종 /p/나 /s/로 대체되기도 한다. 일부 화자는 영어처럼 /f/로 발음하고, 다른 일부는 원래의 /p/와 유사하게 /ɸ/로 발음한다.

9. 2. 모음

싱할라어 모음 차트


싱할라어는 7개의 모음 음질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음질에 대해 장모음과 단모음의 음운론적 모음 길이 구분이 있어 총 14개의 모음을 갖는다. 장모음 는 고유한 싱할라어 단어에는 없지만, 특정 영어 차용어에서 발견된다. 영어의 비 로틱 방언처럼, 이 장모음은 단모음에 ර්|rsin를 붙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ෂර්ට්sin ("셔츠")와 같다.[38]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폐모음
중모음()
개모음



와 는 주로 상호 보완 분포를 가지며, 각각 강세 음절과 비강세 음절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두 음소 사이에 특정 대립쌍이 존재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동음이의어 කරsin ("어깨")와 කරsin ("하다")가 있다. 표기 시, 와 는 모두 자음 글자에 모음 부호 없이 표기되므로, 언어의 강세 패턴을 통해 정확한 발음을 구별해야 한다. 강세는 대체로 예측 가능하며 소수의 경우에만 단어 의미를 구별하므로, 특정 단어 발음 결정에 큰 어려움은 없다.[39]

대부분의 싱할라어 음절은 CV(자음+모음) 형태이다. 각 단어의 첫 음절은 일반적으로 강세를 받지만, 동사 කරනවාsin ("하다")와 그 활용형에서는 첫 음절에 강세가 오지 않는 예외가 있다. 장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은 항상 강세를 받는다. 단모음을 포함하는 나머지 음절은 뒤따르는 구조가 CCV(자음+자음+모음), 종결 (-යිsin), 종결 (-වුsin), 또는 모음 없는 종결 자음이 아닌 이상 강세를 받지 않는다. 소리 는 명사, 형용사, 부사에서 항상 강세를 받으므로, 단어 හතලිහsin ("40")에서 첫 에 강세가 있고 마지막 에 강세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로 발음되지 않는다.[40]

모음의 비음화는 특정 환경, 특히 전비음 자음 앞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비음화된 와 는 특정 감탄사에서만 나타나는 주변 음소이다.[38]

9. 3. 음소 배열

싱할라어 고유 단어의 음절 구조는 (C)V(C), V̄, CV̄(C)로 제한된다. 여기서 V는 단모음, V̄는 장모음, C는 자음을 의미한다. 예외적으로 음절 초에 두 개의 자음이 오는 CC 구조도 존재한다.[43] 비음화 파열음은 모음 사이에만 나타나며, 음절 끝에는 올 수 없다.

산스크리트어영어 등에서 온 차용어에서는 고유어보다 복잡한 자음군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질문'을 뜻하는 ප්‍රශ්‍නය|프라슈나야si가 있다.[41] 단어는 `/ŋ/`을 제외한 비음으로 끝날 수 없다.[42] 또한, 접미사 `/-hu/`에서 마찰음 `/h/`가 역사적으로 소실되었기 때문에, 단어 끝의 `/-u/`는 자체 음절처럼 기능한다.[43]

  • 비음화 자음(en: prenasalized consonant)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유성 파열음 바로 앞에 그것과 동근적(조음 위치가 같은)인 매우 짧은 비음이 붙는 것을 말한다. 이 비음화 자음 뒤에 오는 음절의 영향을 받아 파열음이 음절화되기도 하지만, 이때 모라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 강세가 없는 짧은 모음 `a` (예: 슈와 `ə`)는 문자로는 표기되지 않는다.


colspan="2"|순음치음/
치경음
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ɳɲŋ
파열음무성음pʈk
유성음bɖɡ
비음화mbɳɖŋɡ
마찰음(f)s(ʃ)h
R음r
접근음ʋlj



rowspan="2"|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
고모음iu
중고모음e(ə)o
저모음æːæa


10. 형태론

(내용 없음)

10. 1. 명사

싱할라어의 명사, , 정성, 유생성과 같은 주요 문법 범주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

10. 1. 1. 격

싱할라어의 명사, , 정성, 유생성과 같은 문법 범주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1]

싱할라어는 여러 격을 구분하는데, 주요 5가지 격은 주격, 대격, 여격, 소유격, 탈격이다.[1] 일부 학자들은 처격도구격(구격)도 별도의 격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1][2] 이에 대한 논쟁이 있다. 예를 들어, 유정 명사의 도구격과 처격을 나타내는 atiŋ|atiŋsin(손으로)과 laᵑgə|laᵑgəsin(가까이)는 각각 독립적인 단어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이를 접미사로 보아야 할지에 대한 의견 차이가 존재한다.[2] 어떤 단어가 문법화 과정을 거쳐 격 어미로 기능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해당 단어가 격 변화를 일으키는지 여부를 통해 가늠할 수 있다.[2]

무생물 명사의 경우, 처격과 소유격의 형태가 동일하며, 도구격과 탈격의 형태도 같다.[1][2]

아래 표는 싱할라어 명사의 격 변화를 보여준다. 표기된 모음 길이 기호(예: (ː))가 괄호 안에 있는 것은 특정 비강세 음절에서 장모음이 선택적으로 짧아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1][2]

유정 단수무생 단수유정 복수무생 복수
주격miniha(ː)potəminissupot
대격miniha(ː)vəpotəminissu(nvə)pot
도구격(구격)miniha(ː) atiŋpoteŋminissu(n) atiŋpotvəliŋ
여격miniha(ː)ʈəpotəʈəminissu(ɳ)ʈəpotvələʈə
탈격miniha(ː)geŋpoteŋminissu(n)geŋpotvaliŋ
소유격(속격)miniha(ː)ge(ː)pote(ː)minissu(ŋ)ge(ː)potvələ
처격miniha(ː) laŋpote(ː)minissu(n) laŋpotvələ
호격miniho(ː)-minissuneː-
의미사람서적사람(복수)서적(복수)


10. 1. 2. 수

싱할라어의 명사에는 , , 정성, 유생성과 같은 문법 범주가 있다. 수는 단수형과 복수형으로 나뉘며, 복수형을 만드는 방식은 명사의 유생성(유생/무생)과 차용어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복수형 형성은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다.

  • 유생 명사: 복수형은 주로 어미에 -o(ː), 자음 중복과 함께 -u, 또는 -la(ː) 중 하나를 붙여 만든다.
  • 무생 명사: 대부분의 경우 단수형의 일부 형태소가 탈락하는 방식으로 복수형을 만든다. (분리 접사 사용)
  • 영어 차용어: 단수형에 ekə를 붙여 표현하지만, 복수형은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다. 이는 단수 집합 수로 해석될 수 있다.


아래 표는 싱할라어 명사의 단수형과 복수형 변화 예시를 보여준다.

구분단수형복수형의미
유생 명사ammaːamməla(ː)어머니(들)
ballaːballo(ː)개(들)
deviyaːdeviyo(ː)신(들)
horaːhoru도둑(들)
무생 명사potəpot책(들)
reddəredi옷(들)
kantoːruvəkantoːru사무실(들)
satiyəsati주(週)(들)
예외 (무생)paːrəpaːrəval거리(들) / 도로(들)
영어 차용어bas ekəbas버스(들)



일반적으로 유생 명사는 복수형이 단수형보다 길어지는 경향이 있고 (표의 왼쪽 열 예시), 무생 명사는 복수형이 단수형보다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표의 오른쪽 열 예시). 하지만 paːrə(거리/도로)와 같이 예외도 존재한다.

10. 1. 3. 부정관사

싱할라어의 명사, , 정해짐/정해지지 않음, 생물/무생물 여부와 같은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1]

부정관사의 기능은 명사가 나타내는 대상이 살아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접미사를 통해 실현된다. 생물 명사(유생 명사)의 단수형에는 -ek가 붙고, 무생물 명사(무생 명사)의 단수형에는 -ak가 붙는다.[1]

이러한 부정관사 표지는 단수 명사에만 사용되며, 부정관사가 붙지 않은 단수 명사는 특정하게 정해진 대상(정관사 의미)을 나타낸다. 복수 명사에서는 정해진 대상과 정해지지 않은 대상을 구분하는 특별한 문법적 표지가 없다.[1]

10. 2. 동사

(구어: ka kaa)arinə arinə
(구어: æra æra)pipenə pipenə
(구어: pipi pipi)부정사kannə/kanḍəarinnə/arinḍəpipennə/pipenḍə강조형kanneːarinneːpipenneː번역먹다열다피어나다


11. 통사론

싱할라어는 좌분지 언어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수식하는 말이 수식받는 말 앞에 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형용사는 명사 앞에 온다.

그러나 이러한 규칙에는 예외가 있는데, 수량을 나타내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수식하는 명사 뒤에 위치한다.

: 예: '네 송이 꽃'은 මල් හතර|말 하타라sin (/mal hatərə/, 직역: 꽃 넷)로 표현한다.

:: 이는 한국어에서 '꽃 네 송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유사하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 구조에서 숫자가 중심어이고 '꽃'이 수식어('꽃으로 이루어진 넷')로 기능한다고 보기도 한다. 이 관점에 따르면 수량 표현 역시 기본적인 좌분지 규칙을 따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 순서를 따른다. 이는 한국어나 일본어와 같은 다른 많은 좌분지 언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조사의 사용에 있어서 싱할라어는 전치사가 없고 후치사만을 사용한다. 이는 좌분지 언어의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 예: '책 아래'는 පොත යට|포타 야타sin (/pot̪ə jaʈə/, 직역: 책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이는 한국어에서 '책 아래'라고 말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다.

싱할라어에는 영어의 'be' 동사와 같은 연결 동사가 없다. 명사구나 형용사를 사용하여 서술할 때 별도의 연결 동사 없이 바로 연결한다.

: 예: '나는 부자다'는 මම පොහොසත්|마마 포삿sin (/mamə poːsat̪/, 직역: 나 부자)으로 표현한다. 이는 한국어 구어체에서 서술격 조사 '-이다'를 생략하고 '나는 부자.'라고 말하는 것과 유사하다.

:: 싱할라어에는 두 종류의 존재 동사가 있지만, 이들은 주로 장소 서술('~에 있다'와 같은 의미)에 사용되며, 속성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서술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영어의 'that'이나 'whether'와 같은 접속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분사나 동사 형용사(관형사)를 사용하여 비정형절(준동사가 포함된 절)을 만들어 문장을 연결하거나 수식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 예: '책을 쓰는 남자'는 පොත් ලියන මිනිසා|폿 리아나 미니하sin (/pot̪ liənə miniha/, 직역: 책 쓰는 남자)와 같이 표현한다. 이는 한국어에서 '책을 쓰는 남자'라고 표현하는 방식과 어순이 같다.

12. 의미론

싱할라어는 드물게 4방향 지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지시 대명사 역할을 하는 4개의 어근으로 구성되며, 직시 표현이 4가지로 나뉜다. 다른 언어에서는 보기 드문 특징이다.

지시 어근발음의미
මේsin(/meː/)여기, 이것 (화자에게 가까움)
sin(/oː/)저기, 저것 (청자에게 가까움)
අරsin(/arə/)저기, 저것 (보이는 제3자에게 가까움)
sin(/eː/)저기, 저것 (보이지 않는 제3자에게 가까움)


12. 1. තුමා (thuma)의 사용

싱할라어에는 තුමා|thumasin라는 접미사가 있다. 이 접미사는 대명사에 붙어, 사람을 지칭할 때 격식을 갖추고 존경하는 어조를 나타낸다. 주로 정치인, 귀족, 승려 등을 부를 때 사용된다.

13. 화용론

싱할라어는 주어 생략 언어이다. 문장의 논항(주어, 목적어 등)은 문맥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면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주어가 생략되는 이탈리아어 등과 유사하지만, 싱할라어에서는 주어뿐만 아니라 목적어 및 문장의 다른 부분도 생략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싱할라어는 일본어와 같이 "슈퍼 주어 생략 언어" 또는 "초(超) 주어 탈락 언어"로 불리기도 한다.[1]

예를 들어, 싱할라어 표현 koɦedə ɡie|코헤더 기에sin는 직역하면 "어디 갔니?"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문맥에 따라 "나는 어디 갔니?", "너는 어디 갔니?", "그는 어디 갔니?", "그녀는 어디 갔니?", "우리는 어디 갔니?" 등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처럼 생략된 정보는 대화의 전후 상황을 통해 파악하게 된다.[2]

참조

[1] LPD
[2]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3]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11 http://www.statistic[...] 2017-04-06
[4] 웹인용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01 http://www.statistic[...] Statistics.gov.lk 2013-11-16
[5] 서적 History of the Evolution of the Sinhala Alphabet https://books.google[...] Colombo Apothecaries' Company, Limited 1976-01-01
[6] 문서 Inscriptions of Ceylon Volume I – Early Brāhmī Inscriptions
[7] 서적 The language of the Early Brahmi inscriptions of Sri Lanka# Epigraphical Notes Nos.22-23 Department of Archaeology 2020
[8] 학술지 Sinhala Diglossia: Discrete or Continuous Variation? 1997
[9] 학술지 Sinhalese Diglossia 1968
[10] 웹인용 Sigiri Graffiti: poetry on the mirror-wall http://www.lankalibr[...] 2023-01-15
[11] 서적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Dravidian or South-Indian Family of Languages Trübner & Co.
[12] 서적 The Asiatic Journal and Monthly Register for British and Foreign India, China, and Australia https://books.google[...] Parbury, Allen, and Company
[13] 웹인용 The Coming of Vijaya http://mahavamsa.org[...] 2011-10-08
[14] 웹사이트 The Consecrating of Vijaya - the island of Lanka - Kuvani https://mahavamsa.or[...] 2011-10-08
[15] 문서 Buddhism, ethnicity and Identity: A problem of Buddhist History https://blogs.dickin[...]
[16] 웹인용 Sri Lanka: A Short History of Sinhala Language http://www.lankalibr[...] WWW Virtual Library Sri Lanka 2013-11-16
[17] 학술지 "Chronological Summary of the Development of the Sinhalese Language"
[18] harvnb
[19] harvnb
[20] 학술지 "The Origin of the Sinhalesé Language"
[21] 학술지 UNESCO Collection of Representative Works, Sinhalese Series http://journals.camb[...] George Allen and Unwin Limited 1970
[22] harvnb
[23] 학위논문 Influence of Dravida on Sinhalese
[24] 웹사이트 குழை kuḻai https://dsal.uchicag[...]
[25] 뉴스 "Know the Etymology': 334, 'Place Name of the Day': 23 March 2014, Kola-munna, Anguna-kola-pelessa" https://www.tamilnet[...] TamilNet
[26] 웹인용 kal (kaṟ-, kaṉ-) https://dsal.uchicag[...]
[27] 학술지 "Dravidian Research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8] harvnb
[29] harvnb
[30] harvnb
[31] harvnb
[32] 문서 Sinhala, an Indo-Aryan isolate https://archive.org/[...]
[33] 문서 Sri Lanka and South India
[34] 서적 Gove basa Sarasavi
[35] 학술지 Sinhala Diglossia: Discrete or Continuous Variation? https://www.jstor.or[...] 2024-08-18
[36] 논문 Formalizing Formality: An Analysis of Register Variation in Sinhala https://www.jstor.or[...] 2024-08-18
[37] 웹사이트 Ancient Scripts: Sinhala http://www.ancientsc[...] 2016-04-07
[38] 서적 An Introduction to Spoken Sinhala M. D. Gunasena & Company Ltd. 1998
[39] 간행물 Research Report on Phonetics and Phonology of Sinhala https://www.columbia[...] 1996
[40] 서적 Teach Yourself Sinhalese A.W.L. Silva 2008
[41] 학위논문 Aspects of the Phonology of the Sinhalese Verb; A Prosodic Analysis University of London 1988-07
[42] 간행물 Handbook of Phonological Data from a Sample of the World's Languages 1979
[43] 학위논문 Phonology and Morphology of Modern Sinhala https://dspace.libra[...] University of Victoria 2024-08-01
[44]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Sinhala language http://www.lankalibr[...]
[45] 웹사이트 The story of prince Pandukabhaya http://ravanalankapu[...]
[46] 웹사이트 WWW Virtual Library Sri Lanka : Sri Lanka: A Short History of Sinhala Language http://www.lankalibr[...]
[47] 서적 Government and Politics in South Africa Westview Press, USA 2002
[48] 서적 A Grammar of the Sinhalese Language Colombo 1938
[49] 서적 1998
[50] 서적 2002
[51] 서적 2007
[52] 서적 2007
[53] 서적 1998
[5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 sin https://www.ethnolog[...]
[55]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Sinhala language http://www.lankalibr[...]
[56] 웹사이트 The story of prince Pandukabhaya http://ravanalankap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