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와이의 역사는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섬들의 선사 시대부터 시작된다. 폴리네시아인들이 기원전 500년에서 3세기 사이에 정착했고, 12세기에는 계급 사회가 형성되었다. 1778년 제임스 쿡이 하와이를 발견한 후, 1795년 카메하메하 1세가 하와이 왕국을 통일했다. 1810년부터 1893년까지 하와이 왕국은 번영과 쇠퇴를 겪으며, 서구 열강의 침투와 미국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사회 변화를 겪었다. 1893년 왕정은 몰락하고, 1900년 미국에 합병되어 하와이 준주가 되었다. 이후 군사 기지화와 일본인 이민자 차별, 제2차 세계 대전, 주 승격 운동을 거쳐 1959년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 현재 하와이는 관광 산업 발전과 하와이 원주민의 권리 회복 운동을 겪고 있으며, 하와이안 르네상스를 통해 문화적 부흥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의 역사 - 아나타한의 여왕사건
아나타한의 여왕사건은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아나타한 섬에 고립된 일본군 패잔병들과 여성 히가 카즈코 사이에서 벌어진 권력 다툼과 갈등, 의문사 등을 다룬 비극적인 사건으로,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며 고립된 환경에서 인간 본성을 드러내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하와이주의 역사 - 제임스 쿡
제임스 쿡은 18세기 영국의 탐험가이자 해군 장교로서, 세 차례의 태평양 탐험을 통해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을 탐사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등 지리적 발견에 기여했으며 남극권에 진입하고 하와이 제도를 기록했으나, 하와이에서 원주민과의 충돌로 사망했다. - 하와이주의 역사 - 고대 하와이
고대 하와이는 폴리네시아인들이 하와이 제도에 정착한 시기부터 제임스 쿡 선장의 도착까지의 시대로, 폴리네시아인들이 카누를 타고 와서 농경 생활을 하고 계급 사회를 이루며 종교와 금기 제도가 사회를 지배했지만, 쿡 선장의 방문 이후 유럽의 영향을 받아 하와이 왕국으로 통일되었다. - 하와이 제도 - 마우이섬
마우이섬은 하와이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두 개의 화산으로 형성되었으며 열대 기후를 보이며 관광, 파인애플 재배, 목축업이 주요 산업이고, 2023년 산불 피해를 입었으며 폴리네시아인들이 최초로 거주한 하와이주의 일부이다. - 하와이 제도 - 하와이인
하와이인은 하와이 제도에 기원을 둔 폴리네시아계 원주민으로, 질병으로 인구가 급감했으나 20세기 이후 증가하여 현재는 고유한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며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와이의 역사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하와이 제도 |
수도 | 호놀룰루 |
공용어 | 하와이어 영어 |
종교 | 기독교 |
역사 | |
하와이 정착 | 124년 ~ 1120년 사이 |
하와이 왕국 건국 | 1795년 |
하와이 공화국 선포 | 1894년 7월 4일 |
미국에 합병 | 1898년 7월 7일 |
준주 승격 | 1900년 |
주 승격 | 1959년 8월 21일 |
정치 | |
정치 체제 | 미국의 주 |
주지사 | 조시 그린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3년) | 1,440,196명 |
인구 밀도 | 89.8명/km² |
하와이 원주민 인구 (2017년) | 약 400,000명 |
경제 | |
통화 | 미국 달러 |
주요 산업 | 관광 산업 농업 |
기타 | |
시간대 | HST (UTC-10) |
여름 시간 (DST) | 해당 없음 |
국가 도메인 | .hi.us |
지역 전화번호 | +1-808 |
2. 선사 시대
하와이 제도는 화산 활동으로 해저에서 생겨났으며, 북서쪽의 오래된 섬들은 약 500만 년 전에서 100만 년 전 사이에, 하와이섬과 같은 새로운 섬들은 약 50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273][182] 이 섬들은 다른 대륙과 연결된 적이 없어[274][183] 오랫동안 사람이 살지 않았다.
제임스 쿡이 하와이를 발견하기 이전, 이곳의 원주민들은 바다를 건너온 폴리네시아인들이었다. 이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마오리족이나 타히티인과 같은 뿌리를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278][187] 이들의 초기 정착 시기는 고고학적 연구 등을 통해 추정된다.[279][188]
고대 하와이는 19세기에 서양 선교사들이 알파벳을 전하기 전까지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문화를 가졌다.[275][276][184] 따라서 하와이의 초기 역사는 언어학적 연구, 용암에 새겨진 그림 문자 카하키이(페트로글리프) 분석[277][186], 그리고 쿠무리포와 같은 구전 신화와 역사 전승을 통해 연구된다.[280][189]
폴리네시아인들은 뛰어난 항해술을 바탕으로 카타마란이나 아웃리거 카누를 이용하여 태평양을 건넜으며, 마르키즈 제도와 소시에테 제도 등지를 거쳐 하와이에 도착한 것으로 보인다.[283][193] 이들은 하와이에 정착하면서 타로, 코코넛, 바나나 등의 식물과 돼지, 개, 닭과 같은 동물들을 들여왔고[193], 시간이 흐르면서 훌라와 같은 고유문화를 발전시켰다.[287][197] 또한, 족장(알리이)을 중심으로 한 계급사회가 형성되었고, 아후푸아아라는 독특한 토지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독자적인 사회 구조를 구축해 나갔다.[288][198]
2. 1. 폴리네시아인의 이주와 정착
하와이 제도는 화산 활동을 통해 해저에서 형성되었으며, 다른 대륙과 육지로 연결된 적이 없는 고립된 섬들이었다.[273][274][182][183] 따라서 1778년 제임스 쿡이 도착하기 이전의 원주민들은 바다를 건너온 이주민들이었다. 하와이는 태평양의 다른 많은 섬들처럼 19세기 서양 선교사들이 알파벳을 전하기 전까지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275][276][184], 초기 역사는 문자 기록 대신 언어학적 연구, 구전 신화(쿠무리포 등), 고고학적 유물(페트로글리프 등)을 통해 추정된다.[277][186]연구에 따르면 하와이에 처음 정착한 사람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폴리네시아인으로, 마오리족이나 타히티인과 같은 기원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278][187] 이들은 카타마란이나 아웃리거 카누를 이용하여 마르키즈 제도를 거쳐 처음 하와이에 도착했으며, 이후 900년경에는 타히티 섬을 중심으로 하는 소시에테 제도에서 온 폴리네시아인들이 추가로 이주하여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283][193] 최초 정착 시기에 대해서는 기원전 500년 전후부터 서기 1130년경까지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279][188][14][15]
고대 폴리네시아인들의 장거리 항해 능력은 1976년과 1978년, 전통 항해술로 복원된 카누 호클레아호가 하와이와 타히티 사이의 왕복 항해에 성공함으로써 입증되었다.[284][194] 그러나 이들이 왜 고향을 떠나 머나먼 하와이까지 이주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인구 증가, 기근, 전쟁 등의 가설만 존재한다.[286][196]
하와이에 정착한 폴리네시아인들은 타히티 등 다른 섬들을 오가며 타로, 코코넛, 바나나 등의 식물과 돼지, 개, 닭 같은 동물들을 들여왔다. 이러한 교류는 14세기경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훌라와 같은 하와이 고유의 문화가 형성되고 발전한 것으로 여겨진다.[287][197][193]
시간이 흐르면서 하와이 사회는 점차 복잡한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12세기경에는 족장(알리이)을 중심으로 한 토지 지배와 통제가 시작되며 계급사회가 형성되었다.[198] 사회는 최고 통치자인 '''aliʻi nui'''를 정점으로 신성한 힘(마나)을 지닌 귀족 계급 '''알리이''', 신관이나 전문가 계급인 '''카후나''', 평민 계급인 '''마카아이나나'''(makaʻāinana), 그리고 전쟁 포로나 범죄자로 구성된 최하층 계급인 '''카우바'''(kauā)로 나뉘었다.[18][198] 토지는 아후프아아라는 독특한 제도를 통해 관리되었는데, 이는 산에서 해안까지 이어지는 쐐기 모양의 구역을 기본 단위로 삼는 방식이었다.[198] 사회 질서는 카푸라고 불리는 엄격한 금기 및 규범 체계를 통해 유지되었다.[20]
2. 1. 1. 초기 이주 (기원전 500년 전후 ~ 3세기경)
하와이 제도는 화산 활동으로 해저에서 융기하여 형성되었으며, 북서부의 오래된 섬들은 500만 년 전부터 100만 년 전, 하와이섬과 같은 새로운 섬은 약 50만 년 전에 만들어졌다.[182] 다른 대륙과 육지로 연결된 적이 없었기[183] 때문에 오랫동안 무인도였으며, 제임스 쿡이 하와이에 도달하기 전의 선주민들은 바다를 건너 이곳으로 이주해 왔다. 하와이는 다른 태평양의 섬들과 마찬가지로 19세기에 미국의 선교사가 알파벳을 전파하기 전까지 문자를 가지지 않는 문화를 형성했다.[184] 따라서 초기 역사에 대한 문자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언어학적 연구와 용암에 새겨진 그림인 카하키이(페트로글리프) 등의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186], 하와이에 처음 도착한 사람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폴리네시아인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마오리족이나 타히티인과 같은 기원을 공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87]
최초 정착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논쟁의 대상이다.[14] 유적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기원전 500년 전후부터 3세기경으로 보는 설[188], 패트릭 빈턴 키르히 등이 초기에 주장했던 약 300년경 설(이후 600년경으로 수정)[14], 700년에서 800년경으로 보는 설[14] 등이 있다. 가장 최근의 탄소 연대 측정 증거 분석에서는 최초 정착 시기를 940년에서 1130년 사이로 추정하기도 한다.[15]
폴리네시아인들은 카타마란이나 아웃리거 카누를 이용하여 마르키즈 제도를 거쳐 하와이에 도착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900년경에는 타히티 섬을 중심으로 하는 소시에테 제도에서 온 폴리네시아계 이민자들이 추가로 정착한 것으로 여겨진다.[193]

이들의 장거리 항해 능력에 대한 검증은 1976년부터 이루어졌다. 피우스 마우 피아일루그를 포함한 17명의 남녀가 탑승한 전통 방식의 카누 호쿠레아는 마우이섬을 출발하여 31일 만에 타히티에 도착했으며, 1978년에는 타히티에서 마우이섬으로의 항해에도 성공했다. 이를 통해 폴리네시아인들의 태평양 항해가 불가능하지 않았음을 증명했다.[194]
그러나 왜 그들이 고향을 떠나 먼 항해를 감행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하와이의 신화나 페트로글리프 등에서 원거리 항해나 교류를 암시하는 내용은 발견되지만[195], 구체적인 설명은 없다. 기존에 살던 섬이 인구 증가로 좁아졌거나, 기근이 발생했거나, 다른 부족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추방되었을 것이라는 등의 가설만 제시되고 있다.[196]
하와이에 정착한 이들은 타히티 등 다른 폴리네시아 섬들을 오가며 토란(타로), 코코넛, 바나나와 같은 식물과 돼지, 개, 닭과 같은 동물을 하와이 제도로 들여왔다. 이러한 "대항해"는 14세기경까지 계속된 것으로 보이며[193], 훌라를 비롯한 하와이 고유의 문화 역시 이러한 교류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197] 1000년경에는 해안가 정착지에서 식량을 재배하기 시작했다.[17]
12세기경에는 족장(알리이)에 의한 토지 지배와 통제가 시작되면서 계급사회가 탄생했다.[198] 타히티인 사제 파아오가 1200년경 새로운 질서, 법률, 그리고 계급 구조를 가져왔다는 전승도 있다.[18] 당시 하와이 사회의 계급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198][18]
계급 | 설명 |
---|---|
알리이 (Aliʻi) | 최고 족장(aliʻi nui)을 포함한 왕족 및 귀족 계급. 살아있는 신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16], 신성한 힘인 마나를 가졌다고 믿어졌다. 깃털로 만든 망토와 투구를 착용했다.[198] 이들은 사람들이 엄격한 카푸(금기 또는 행동 규범)를 따르도록 강제하며 사회 질서, 어업권 등 사회의 여러 측면을 규제했다.[20] |
카후나 (Kahuna) | 신관 또는 전문 기술자 계급. 종교 의례를 주관하거나 특정 분야의 전문가 역할을 했다. |
마카아이나나 (Makaʻāinana) | 평민 계급. 주로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며 사회의 기반을 이루었다. |
카우바 (Kauā) | 노예 또는 최하층 계급. 전쟁 포로나 카푸를 어긴 범죄자들로 구성되었다. 얼굴에 문신을 새겼으며 다른 계급과의 교류가 엄격히 금지되었다. 때로는 카후나가 집행하는 종교 의식의 제물로 희생되기도 했다.[198] |
토지 지배는 아후프아아라고 불리는 독특한 제도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는 산꼭대기에서부터 해안까지 쐐기 모양으로 이어지는 구역을 토지 관리의 기본 단위로 삼는 방식이었으며, 각 아후프아아의 경계에는 돼지(푸아아) 형상을 조각한 돌무더기(아후)를 세워 표시했다.[198]
문자가 없던 하와이 사회에서는 하와이 신화와 역사, 족보 등이 구전으로 전승되었다. 최고 추장의 족보는 신들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졌다.[16] 대표적인 구전 서사시로는 쿠무리포가 있다. 이는 창조 신화부터 하와이인의 기원, 족보, 13세기 전후의 사건까지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노래와 춤, 챈트 형식으로 왕가에 의해 대대로 전승되었다. 1700년경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며[189], 1881년 칼라카우아 왕에 의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고[190], 1889년에는 그의 여동생이자 후계자인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영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190]
2. 1. 2. 후기 이주 (900년경 ~ 14세기경)
언어학적 견해, 역사 유적, 전승 신화 등의 유추에 따르면, 초기 폴리네시아인들은 카타마란이나 아웃리거 카누를 이용하여 마르키즈 제도를 거쳐 하와이에 도착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900년경에는 타히티섬을 중심으로 하는 소시에테 제도에서 온 폴리네시아계 이민자들이 추가로 정착하기 시작했다.[193][283]
고대 폴리네시아인들의 항해 가능성에 대한 검증은 1976년에 이루어졌다. 피우스 마우 피아이루그를 포함한 17명의 남녀가 탑승한 전통 방식의 카누 호클레아호는 마우이 섬을 출발하여 31일 만에 타히티에 도착했다. 1978년에는 타히티에서 마우이 섬으로 돌아오는 항해에도 성공함으로써, 고대 폴리네시아인들의 태평양 항해가 충분히 가능했음을 증명했다.[194][284]
그러나 이들이 왜 먼 거리를 항해하여 이주해야 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하와이 신화나 암각화(페트로글리프) 등에는 원거리 항해나 교류를 암시하는 내용은 있지만[195], 구체적인 이주 동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기존에 살던 섬의 인구가 증가하여 생활 공간이 부족해졌거나, 기근이 들었거나, 다른 부족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추방되었을 것이라는 등의 가설만 존재한다.[196][286]
하와이 제도에 정착한 이주민들은 타히티 등 원래 살던 섬과 하와이 사이를 지속적으로 왕복하며 타로감자, 코코넛, 바나나와 같은 식물과 돼지, 개, 닭과 같은 동물들을 하와이로 들여왔다. 이러한 '대항해'는 14세기경까지 계속되었으며,[193][287] 훌라를 비롯한 하와이 고유의 문화 역시 이러한 교류 과정 속에서 발전한 것으로 여겨진다.[197][287]
12세기경에는 족장(aliʻi) 중심의 토지 지배와 통제가 시작되면서 계급사회가 형성되었다.[198] 타히티 출신 사제 파아오가 1200년경 새로운 질서를 도입했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법률 제정과 사회 계층화를 포함했다.[18] 사회 계급은 최고 통치자인 Aliʻi nui(왕)를 정점으로, 그 아래로 왕을 보좌하는 ''ʻaha kuhina''(추밀원 격), aliʻi(귀족), kahuna(고위 사제), makaʻāinana(평민), 그리고 가장 낮은 계급인 kauā(노예 또는 천민)로 나뉘었다.[18][198]
Aliʻi nui는 백성들이 엄격한 카푸(kapu)라고 불리는 행동 규범을 따르도록 강제할 책임이 있었다. 카푸는 사회 질서 유지, 어업권 규제, 심지어 여성의 식사 장소까지 규정하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20] 알리이 계급은 특별한 힘인 mana를 지녔다고 믿어졌으며, 권위의 상징으로 깃털로 장식된 투구와 망토를 착용했다.[198]
토지 지배 방식으로는 아후푸아아(ahupuaʻa) 제도가 시행되었다. 이는 산 정상에서부터 해안까지 이어지는 쐐기 모양의 구역을 기본적인 토지 단위로 삼는 방식으로, 각 아후푸아아의 경계에는 돼지(puaʻa) 형상을 조각한 제단(ahu)을 세워 표시했다.[198]
가장 낮은 계급인 카우바는 공동체의 규율을 어긴 범죄자나 전쟁 포로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얼굴에 문신을 새겨 구분했고 다른 계급과의 교류가 엄격히 금지되었다.[198] 이들은 때때로 카후나가 주관하는 종교 의식에서 제물로 희생되기도 했다.[198]
1500년경에 이르러 하와이인들은 해안가뿐만 아니라 섬 내부 지역으로까지 거주지를 넓혀 나갔으며, 종교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기 시작했다.[17]
2. 2. 사회와 문화
고대 하와이 사회는 제임스 쿡 선장이 도착하기 훨씬 이전부터 폴리네시아인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들은 마르키즈 제도나 타히티섬 등지에서 카타마란이나 아웃리거 카누와 같은 카누를 타고 태평양을 건너 하와이 제도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187][193] 정확한 최초 정착 시기에 대해서는 기원전 500년경부터 서기 1130년경까지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188][15] 이들의 뛰어난 항해술은 1976년과 1978년에 이루어진 호클레아호의 실험 항해를 통해 증명되었으며, 고대 폴리네시아인들이 실제로 장거리 항해를 통해 하와이와 타히티 사이를 왕래했음을 보여주었다.[194] 이주 동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인구 증가, 기근, 전쟁 등의 이유로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나섰을 것으로 추측된다.[196]
초기 정착민들은 토란(kalo), 코코넛(niu), 바나나(maiʻa)와 같은 식물과 돼지(puaʻa), 개(ʻīlio), 닭(moa)과 같은 동물들을 하와이로 가져왔다.[193] 이러한 교류는 14세기경까지 이어졌으며, 훌라와 같은 하와이 고유의 문화 역시 이 과정에서 발전한 것으로 여겨진다.[197]
고대 하와이는 19세기 서양 선교사들이 알파벳을 전파하기 전까지 문자가 없는 사회였다.[184] 따라서 역사, 신화, 족보 등은 챈트(노래), 춤, 구전을 통해 세대 간에 전승되었다.[16] 용암에 새겨진 그림 문자인 카하키이(페트로글리프)는 당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186] 하와이의 창조 신화와 왕가의 역사를 담은 서사시 쿠무리포는 1700년대에 집대성되어 구전되다가, 19세기 후반 칼라카우아 국왕과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에 의해 기록되고 번역되었다.[189][190]
12세기경부터는 족장(알리이) 중심의 계급 사회가 형성되었다. 사회는 알리이(귀족), 카후나(신관), 마카아이나나(평민), 카우바(노예)로 나뉘었으며, 토지는 아후푸아아라는 독특한 시스템으로 관리되었다.[198] (자세한 내용은 계급 사회 및 토지 제도 (아후푸아아) 참조) 종교적으로는 엄격한 규율인 카푸 시스템에 기반한 다신교 신앙이 사회 전반을 지배했다.[20] (자세한 내용은 종교와 신앙 참조)
하와이인들은 관개와 건조지 농업을 통해 토란, 고구마(ʻuala), 참마(uhi), 빵나무(ʻulu), 사탕수수(kō)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했다.[58][59] 물은 농업뿐만 아니라 어업, 목욕, 식수, 그리고 로코 이아(loko iʻa)라 불리는 독특한 어류 양식 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이었다.[58]
19세기 초 개신교 선교사들의 등장은 하와이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선교사들은 하와이어 알파벳을 만들어 문자를 보급하고 교육을 실시했으며, 신문 발행과 성경 번역 등을 통해 주민들의 문해율을 높이고 근대화에 기여했다.[216]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카푸 시스템이 폐지되고, 훌라를 비롯한 고유 문화와 신앙이 억압받는 등 전통 문화의 단절이라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216]
서구식 법과 제도가 도입되면서 1840년에는 하와이 헌법이 공포되어 입헌 군주제가 수립되었고, 행정부와 입법부가 구성되었다.[217] 하지만 점차 하와이에 귀화한 서구인들이 정부 요직을 차지하게 되었고, 1850년 외국인의 토지 소유가 허용되자 많은 토지가 외국인의 손에 넘어가 하와이 원주민들은 생활 기반을 잃는 문제에 직면했다.[219]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는 하와이 왕국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결국 1887년 미국계 세력이 주도하여 왕권을 크게 제약하는 총검 헌법이 강요되고[228], 1893년 왕정이 전복되는 배경이 되었다.[233]
2. 2. 1. 계급 사회
12세기경 하와이에서는 족장('''알리이''')에 의한 토지 지배와 통제가 시작되면서 계급 사회가 형성되었다.[198] 사회는 알리이를 정점으로 하여 신관('''카후나'''), 장인이나 서민('''마카아이나나'''), 그리고 노예('''카우바''') 계급으로 구성되었다.[198]최고 계급인 알리이는 특별한 힘인 '''마나'''를 가진 것으로 여겨졌으며, 깃털로 짠 화려한 망토와 헬멧을 착용했다.[198] ʻ우미가 아버지 릴로아에게 자신의 신분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했던 레이 니호 팔라오아(고래 이빨과 사람 머리카락으로 만든 목걸이)와 같은 왕실 표식은 오직 최고 추장만이 착용할 수 있었다.[46]

카후나는 신관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를 가졌으며, 때로는 정치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예를 들어, 하카우 왕이 로노 신을 섬기는 두 명의 카후나를 모욕하자, 이들은 불만을 품고 ʻ우미와 손잡고 하카우를 몰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7][29] 당시 어떤 왕도 카후나의 권위를 함부로 무시할 수 없었으며, 많은 카후나는 왕족 혈통이거나 토지를 소유하기도 했다.[38]
마카아이나나는 평범한 서민과 장인 계급을 의미했다.
가장 낮은 계급인 카우바는 주로 공동체의 규율을 어긴 범죄자나 전쟁 포로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얼굴에 문신을 새겨야 했고 다른 계급과의 교류가 엄격히 금지되었으며, 때로는 카후나가 주관하는 의식의 제물로 바쳐지기도 했다.[198]
토지 지배는 아푸아아라는 독특한 제도를 통해 이루어졌다. 아푸아아는 산꼭대기에서 해안까지 이어지는 쐐기 모양의 토지 구획을 기본 단위로 삼았으며, 각 구획의 경계에는 돼지(푸아아)를 본뜬 상징물(아후)을 세워 표시했다.[198]
2. 2. 2. 종교와 신앙

고대 폴리네시아인의 역사는 공식 행사나 가족 행사에서 낭송되는 족보 구절을 통해 구전으로 전해졌다. 최고 추장의 족보는 신들이 살았다고 여겨지는 시대로 거슬러 올라갔으며, ''pua aliʻi''(왕족의 꽃)는 살아있는 신으로 간주되었다.[16] 19세기에 서양 선교사들이 알파벳을 전하기 전까지 하와이어에는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184], 하와이의 전통 종교와 신앙은 주로 구전을 통해 계승되었다.
고대 하와이의 지배적인 종교는 카푸 시스템에 기반한 다신교였다. 카푸는 신성한 법률이자 행동 규범으로, 사회 질서 유지, 어업권 관리, 심지어 성별에 따른 식사 장소 구분 등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규제했다.[20][24] 카푸를 어기거나 신을 믿지 않는 불경한 사람은 ''ʻaiā''라고 불렸다.[22][23]
하와이 신화에 따르면, 하늘 아버지 와케아와 땅의 어머니 파파하나우모쿠의 결합에서 신들과 모든 하와이인이 탄생했다고 전해진다.[24] 다른 전승에서는 쿠무쿠무-케-카아와 파이아-아-카-라니, 또는 카-마이-엘리와 쿠무-호누아를 시조로 보기도 한다.[22] 하와이의 판테온은 네 명의 주요 신(카네, 쿠, 로노, 카날로아)을 중심으로[26], 수백 명의 다른 신들과 영웅들, 그리고 각 가족을 지키는 수호 영 또는 조상신인 ʻ아우마쿠아로 구성되었다.[25][22] 예를 들어, 이올라니는 ''알리이''(aliʻi, 귀족 계급)의 신 중 하나였다.[24] 가장 유명한 신 중 하나는 화산의 여신 펠레이다.
알리이 계급은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으며, 깃털 망토를 입고 마나(mana)라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졌다고 믿어졌다.[198] 카후나(kahuna)는 신관 계급으로 종교 의식을 주관했으며,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를 누렸다. 리롤라 왕의 이야기에서 볼 수 있듯, 왕이라 할지라도 카후나를 함부로 대할 수 없었으며, 종교적 권위는 세속적 권력과 분리되거나 때로는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했다.[36][37][29] 카후나는 때때로 최하위 계급인 ''카우바''(kauwā, 노예 또는 전쟁 포로)를 제물로 바치기도 했다.[198]
쿠무리포는 하와이의 창조 신화이자 왕가의 역사를 담은 서사시로, 노래, 춤, 챈트의 형태로 구전되었다. 170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189], 1881년 칼라카우아 국왕에 의해 공식적으로 발표되고 1889년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190] 쿠무리포는 하와이인의 기원과 고대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고대 하와이 사회에서는 ''아이카네''라고 불리는 동성애 또는 양성애 관계가 용인되는 전통이었다.[47] 주로 남성 알리이들 사이에서 나타났으며, 성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유대를 형성하는 기능을 했다.[50] 쿡 선장과 그의 선원들은 이러한 관계를 목격하고 기록했으며[49], 카메하메하 1세를 포함한 많은 알리이들이 아이카네 관계를 맺었다.[51] 리롤라 왕이 이 관행을 시작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52]
19세기 초 개신교 선교사들이 도착하면서 하와이의 종교와 문화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선교사들은 하와이어 알파벳을 만들고 교육을 통해 문자를 보급했으며 성경을 번역했다.[216] 이로 인해 하와이 주민들의 교육 수준은 향상되었지만, 전통적인 카푸 시스템과 신앙, 훌라와 같은 문화는 미신으로 치부되어 쇠퇴하거나 금지되는 등 단절을 겪었다.[216]
카메하메하 4세는 미국 개신교 선교사들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영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1860년 성공회(영국 국교회)를 "하와이 개혁 가톨릭교회"라는 이름으로 도입하려 시도했다.[220] 그는 영국 빅토리아 여왕을 아들의 대모로 삼으려 했으나[221], 아들의 이른 죽음과 자신의 사망으로 계획은 완전히 실현되지 못했다.[128] 이러한 시도는 하와이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노력이었으나, 서구 열강의 영향력 확대 속에서 전통 신앙은 점차 약화되었다.
2. 2. 3. 토지 제도 (아후푸아아)
12세기경 알리이(aliʻi, 족장)에 의한 토지 지배와 통제가 시작되면서 계급 사회가 형성되었다. 알리이를 정점으로 카후나(kahuna, 신관), 마카아이나나(makaʻāinana, 평민), 그리고 최하위 계급인 카우바(kauā, 노예) 순서의 계급 구조가 자리 잡았다.[18][198]토지 지배는 '''아후푸아아'''(Ahupuaʻa)라고 불리는 독특한 제도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시스템은 산꼭대기에서부터 바다의 암초선까지 이어지는 쐐기 모양의 구역을 토지의 기본 단위로 삼는 방식이었다.[198][54] 일부 구전 역사에 따르면, 우미 아 리로아(ʻUmi-a-Līloa) 추장이 이 아후푸아아 시스템을 창시했다고 전해진다.[54]
토지는 알리이 누이(aliʻi nui, 최고 추장)의 뜻에 따라 분할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4단계의 계층 구조를 가졌다.[54]
단계 | 명칭 | 설명 |
---|---|---|
1 | 모쿠푸니 (Mokupuni) | 섬 전체 |
2 | 모쿠 (Moku) | 섬의 주요 하위 구획 |
3 | 아후푸아아 (Ahupuaʻa) | 모쿠의 하위 구획, 기본적인 토지 단위 |
4 | 일리 (ʻIli) | 아후푸아아의 하위 구획 (아후푸아아 당 보통 2~3개였으나, 예를 들어 카호올라웨 섬에는 8개가 있었다.[54]) |
폴리네시아인의 전통을 이어오던 하와이는 1778년 제임스 쿡의 상륙 이후 서구 세계와 접촉하며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섬들 간의 오랜 분열과 전쟁 끝에 카메하메하 1세가 1810년 하와이 제도를 통일하여 하와이 왕국 시대를 열었지만, 이는 동시에 외부 세력의 영향력이 커지는 시작점이기도 했다.
각 아후푸아아는 저지대의 경작지(말라, mala)와 고지대의 산림 지역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획되었다.[55] 분할은 일반적으로 산등성이를 따라 해안까지 이어졌으며, 종종 개울의 경계를 따랐다. 아후푸아아의 크기는 해당 지역의 경제적 자원과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양했다. 이 시스템은 공동체가 개울 시스템을 따라 조직되어 공유된 물 사용(카나와이, Kanawai)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유리했다.[54]
이러한 방사형 토지 분할 방식은 몇 가지 이점이 있었다. 첫째, 각 아후푸아아가 산림 자원부터 해양 자원까지 다양한 환경 구역을 포함하게 되어, 공동체가 필요한 대부분의 자원을 자체적으로 확보하고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둘째, 많은 지역에서 계곡과 계곡 사이를 이동하는 것보다 산에서 바다로, 또는 바다에서 산으로 이동하는 것이 더 용이한 하와이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54]
하와이 원주민들은 아후푸아아 내의 자원을 이용하면서 알로하(aloha, 존경과 사랑), 라울리마(lāulima, 협력), 그리고 말라마(mālama, 관리와 보존)의 가치를 실천하며 자연과의 바람직한 포노(pono, 균형) 상태를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그들은 땅, 바다, 구름 등 모든 자연 요소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믿음은 자원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는 방식으로 이어졌다.[57] 자원의 지속 가능성은 코노히키(konohiki, 아후푸아아의 자원을 관리하는 추장의 대리인 또는 토지 감독관)와 카후나(사제)에 의해 유지되었다. 이들은 특정 계절에 특정 어종의 어획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식물 채집을 규제하는 등 자원 고갈을 막는 역할을 수행했다.[56] 평민들은 쿨레아나(kuleana)라고 불리는 개별 토지를 경작할 권리를 가졌으며, 그 대가로 코노히키에게 정기적으로 노동력이나 생산물의 일부를 세금으로 납부하여 추장과 공동체를 부양했다.[56]
'아후푸아아'라는 이름은 하와이어 단어 '아후'(ahu, 돌무더기 또는 제단)와 '푸아아'(puaʻa, 돼지)에서 유래했다. 아후푸아아의 경계 지점에는 전통적으로 돌무더기(아후)를 쌓아 표시했으며, 이곳에 섬의 최고 추장에게 바치는 공물(종종 돼지나 농산물)을 놓아두었다.[54]
아후푸아아 내에서는 다양한 농업 활동이 이루어졌다. 관개 시설을 이용하여 주로 토란(kalo)을 재배했으며, 빗물에 의존하는 건조지 농업(말라, mala)도 활발했다. 말라에서는 고구마(ʻuala), 참마(uhi), 건조지 토란[58] 외에도 코코넛(niu), 빵나무(ʻulu), 바나나(maiʻa), 사탕수수(kō) 등 다양한 작물을 길렀다. 쿠쿠이 나무(Aleurites moluccanus)는 때때로 말라에 그늘을 제공하고 토양을 보호하기 위해 심어졌다.[59] 각 작물은 그 특성에 가장 적합한 미기후와 토양 조건을 가진 지역에서 재배되었다.[60] 하와이인들은 개, 닭, 돼지를 가축으로 길렀으며, 집 주변에는 개인적인 용도의 작은 정원을 가꾸기도 했다. 물은 하와이인의 삶에서 매우 중요했는데, 낚시, 목욕, 식수, 정원 가꾸기뿐만 아니라 로코 이아(loko iʻa)라고 불리는 독특한 형태의 수산 양식(어류 양식 연못)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필수적이었다.[58]
3. 하와이 왕국 (1795년 ~ 1893년)
19세기 동안 유럽과 미국에서 온 이주민들과 그 후손들은 기독교 전파와 경제 개발을 명분으로 하와이 사회에 깊숙이 침투했다. 특히 사탕수수 농장 경영과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와 토지를 축적한 미국계 백인 자본가들은 경제적 이익을 지키고 확대하기 위해 점차 정치 권력까지 장악하려 했다. 이들은 값싼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일본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많은 이민자를 데려왔고, 이는 하와이 사회를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뒤섞인 복합적인 모습으로 변화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하와이 원주민의 소외와 권리 침해를 동반했다.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을 키운 백인 세력은 하와이 왕국의 주권을 잠식해 나갔으며, 결국 총검 헌법 등을 통해 왕권을 무력화시키고 하와이인들의 정치 참여를 제한했다.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의 주권 회복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계 세력은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무너뜨렸고, 이는 결국 1900년 미국에 의한 하와이 병합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하와이는 고유한 정치적 독립성을 상실하고 미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또한, 노동자로 이주해 온 일본인 이민자들은 사회적 차별에 시달리기도 했다. 하와이 왕국 시대는 통일 국가의 성립과 근대화라는 긍정적 측면도 있었지만, 외세의 침투와 내부 갈등 속에서 주권을 잃고 미국에 종속되어 가는 과정이기도 했다.
3. 1. 제임스 쿡의 "발견"과 하와이 왕국 성립 (1778년 ~ 1810년)
1778년 영국 탐험가 제임스 쿡의 하와이 제도 도착은 외부 세계와의 공식적인 첫 접촉으로, 하와이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쿡은 이 섬들을 '샌드위치 제도'라고 명명했으나, 이미 원주민들은 '하와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었다[290]. 쿡의 방문은 하와이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으며, 비록 1779년 원주민과의 충돌 과정에서 쿡이 사망하는 사건[293][81]이 있었지만, 이후 서구 선박들의 방문은 꾸준히 이어졌다[294].
쿡이 방문했을 당시 하와이 제도는 각 섬의 대족장(알리이 누이)들에 의해 분할 통치되고 있었다[295]. 하와이섬의 칼라니오푸우와 마우이섬의 카헤킬리 등이 대표적인 통치자였다. 1782년 칼라니오푸우가 사망한 후, 그의 조카인 카메하메하 1세가 점차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바탕으로 내부 경쟁자들을 제압하고, 1790년에는 하와이섬을 통일하였다[296].
카메하메하 1세는 조지 밴쿠버 등 유럽 탐험가들과의 접촉을 통해 서구의 무기와 기술을 받아들이고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특히 영국과의 관계를 통해 군사력을 강화한 그는 1795년, 니하우섬과 카우아이섬을 제외한 대부분의 섬을 정복하고 하와이 왕국을 건국하였다. 이후 1810년에는 외교적 협상을 통해 카우아이섬과 니하우섬까지 평화적으로 통합함으로써 하와이 제도 전체의 통일을 완성하고 카메하메하 왕가 시대를 열었다. 이 시기는 하와이가 분열된 사회에서 통일된 왕국으로 나아가는 과정이었으며, 외부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중요한 기간이었다.
3. 1. 1. 제임스 쿡의 하와이 제도 "발견" (1778년)
1778년, 영국의 해양 탐험가 제임스 쿡은 1월 18일 오아후섬, 1월 20일 카우아이섬을 발견하고 와이메아 만에 레졸류션호와 디스카버리호를 정박시켜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하와이 제도에 상륙했다[289][77][78]. 쿡은 자신의 상관인 해군 본부장 샌드위치 백작의 이름을 따서 이 제도를 '샌드위치 제도'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쿡이 이름을 붙이기 전부터 하와이 원주민들은 이곳을 '하와이'라고 부르고 있었다[290]. 이 하와이(Hawaii)라는 명칭의 유래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처음 발견한 폴리네시아인 '''하와이로아'''에서 유래했다는 설[200][201], 폴리네시아어로 "작은 고향"을 의미하는 "'''하와이키'''"에서 유래했다는 설[202][201], 폴리네시아 서쪽에 있다고 전해지는 전설의 땅 '''하와이키'''에서 유래했다는 설[202], 기원전 7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형성된 폴리네시아 기어 '''사와이키'''에 기초한다는 설[202]등이 있다[203].
갑자기 나타난 거대한 배와 기묘한 복장의 선원들을 본 원주민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새로운 항로 탐색을 목표로 했던 쿡 일행은 같은 해 2월, 일단 하와이를 떠나 북아메리카 해안을 탐사하며 북서항로를 찾았다[79]. 약 9개월 후인 1778년 11월, 보급을 위해 하와이로 돌아온 쿡은 마우이섬과 하와이섬 해안을 탐사하며 교역한 뒤, 1779년 1월 17일 하와이섬의 케알라케쿠아 만에 상륙했다[291][79].
당시 하와이섬의 왕이었던 칼라니오푸우는 쿡을 풍요의 신 로노의 화신으로 여기고, 신성한 장소인 헤이아우의 제단으로 안내하여 신처럼 대우했다[291]. 쿡은 이전에도 원주민들에게 신으로 오인받은 경험이 있었기에, 그들의 믿음에 맞춰 행동했다[291]. 마침 마카히키 축제 기간이었기에 원주민들은 로노 신을 기리는 성대한 잔치를 열었고, 쿡 일행은 풍족한 대접을 받았다. 오랜 항해에 지친 선원들은 약 3주간 현지 여성들과 어울리며 연회를 즐겼다[292].
2월 4일, 쿡 일행은 보급품을 싣고 북쪽으로 떠났으나, 카와이하이 해역에서 폭풍을 만나 레졸루션호의 돛대가 부러지는 바람에 수리를 위해 2월 11일 다시 케알라케쿠아 만으로 돌아왔다[79]. 그러나 원주민들은 쿡 일행의 인간적인 모습과 배의 손상을 보며 그가 신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품기 시작했다. 분위기는 험악해졌고, 2월 13일 밤에는 원주민들이 디스커버리호의 작은 보트(롱보트)를 훔쳐가는 사건이 발생했다[80]. 이에 쿡은 2월 14일, 보트를 되찾기 위해 칼라니오푸우 왕을 인질로 잡으려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격렬한 충돌이 벌어졌고, 쿡은 분노한 원주민들에게 살해당했으며, 4명의 수병도 함께 목숨을 잃었다[293][81].
디스커버리호를 지휘하던 찰스 클라크는 서둘러 배를 수리하고 영국으로 귀환길에 올랐으나, 같은 해 8월 결핵으로 사망했다. 이후 존 고어가 지휘를 이어받아 영국으로 돌아갔다. 이들은 해군 본부와 왕립 학회에 쿡의 죽음, 북방 항로 탐색 실패, 그리고 샌드위치 제도(하와이)의 발견 사실을 보고했고, 이로써 하와이의 존재가 유럽과 아메리카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94].
이 시기 하와이 제도는 각 섬을 다스리는 대족장(알리이 누이)들에 의해 통치되고 있었다[295]. 하와이섬은 칼라니오푸우가, 마우이섬을 비롯한 다른 섬들은 대족장 카헤킬리가 지배하고 있었다. 대족장 지위는 세습되었기에, 1782년 칼라니오푸우가 사망하자 아들 키왈라오가 왕위를 계승했다. 한편, 군사적 재능이 뛰어났던 칼라니오푸우의 조카 카메하메하 1세는 전쟁의 신 '쿠카일리모쿠'라는 칭호와 함께 코할라와 코나 지역을 물려받았다. 이에 불만을 품은 키왈라오는 카메하메하에게 전쟁을 선포했으나, 모쿠오하이 전투에서 패배했고, 결국 1790년 카메하메하는 하와이섬 전체를 통일했다[296].
쿡의 발견 이후 하와이에는 교역을 원하는 상선이나 식민주의 열강의 배들이 빈번하게 드나들었다[297]. 카메하메하 1세는 뛰어난 외교술과 선견지명을 발휘하여 서구 열강의 영토적 야심을 경계하고 막아내려 노력했다. 그는 쿡의 후계자 격인 조지 밴쿠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1794년 2월 24일에는 하와이 내 영국인 선원의 안전을 보장하는 대가로 영국이 외국의 침략으로부터 하와이를 방어해준다는 내용의 방위 원조 협정을 맺는 데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영국으로부터 총기를 확보한 카메하메하는 1795년 2월, 하와이 제도 통일에 본격적으로 나서 같은 해 4월까지 니하우섬과 카우아이섬을 제외한 모든 섬을 정복하고 하와이 왕국을 건국했다.
1800년에는 남은 섬들을 정복하려 했으나 폭풍과 전염병으로 실패했다. 이후 1810년, 미국인 윈십 형제의 도움을 받아 카우아이섬의 대족장 카우무알리이와 협상을 벌였다. 카우무알리이의 종신 통치를 인정하는 조건으로 카우아이섬과 니하우섬을 평화적으로 양도받는 데 성공하면서, 카메하메하 1세는 마침내 하와이 제도 전체의 통일을 완수했다.
3. 1. 2. 카메하메하 1세의 하와이 제도 통일 (1795년 ~ 1810년)
1782년 하와이섬의 대족장 칼라니오푸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키왈라오가 왕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군사적 재능이 뛰어났던 칼라니오푸의 조카 카메하메하 1세는 전쟁의 신 쿠카이리모쿠라는 칭호와 함께 코할라 및 코나 지역 영토를 받으며 세력을 키웠다. 키왈라오는 이에 불만을 품고 카메하메하에게 전쟁을 선포했으나, 모쿠오하이 전투에서 패배했고, 카메하메하는 1790년 하와이섬을 통일했다.[209]
제임스 쿡의 하와이 제도 "발견" 이후 교역을 원하는 서구 선박과 식민주의 열강의 내항이 빈번해졌다.[297] 카메하메하는 뛰어난 외교 수완과 선견지명을 발휘하여 서구 열강의 영토적 야심을 경계하고 하와이의 독립을 지키려 노력했다. 그는 제임스 쿡의 후계자로 여겨지는 영국 탐험가 조지 밴쿠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1794년 2월 24일, 카메하메하는 하와이에 체류하는 영국인 선원의 안전을 보장하는 대가로, 영국이 외국의 침략으로부터 하와이를 방어한다는 내용의 방위 원조 협정을 성공적으로 체결했다. 이 협정을 통해 영국으로부터 총기와 같은 서구식 무기를 확보한 카메하메하는 하와이 제도 전체를 통일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96]
1795년 2월, 카메하메하는 확보한 무기를 바탕으로 하와이 제도 통일 전쟁을 시작했다. 그는 강력한 군사력으로 빠르게 다른 섬들을 공략하여 같은 해 4월까지 니이하우섬과 카우아이섬을 제외한 모든 주요 섬을 정복하고 하와이 왕국의 건국을 선포했다. 카메하메하는 라하이나에 벽돌 궁전을 건설하여 왕국의 첫 수도로 삼았다.[98] 이 건물은 하와이 최초의 서양식 건축물로 알려져 있다.[102]
1800년에 카메하메하는 남은 카우아이섬과 니이하우섬을 정복하려 했으나, 거센 폭풍과 전염병으로 인해 실패했다. 이후 10년 동안 카메하메하는 무력 대신 외교적 방법을 모색했다. 1810년, 미국인 상인 윈십 형제의 중재와 도움을 받아 카우아이섬의 대족장 카우무알리이와 협상을 벌였다. 카메하메하는 카우무알리이에게 그의 종신 통치권을 인정하는 조건을 제시하며 평화적인 합병을 제안했고, 카우무알리이는 이를 받아들여 카우아이섬과 니이하우섬을 카메하메하에게 양도했다. 이로써 카메하메하 1세는 마침내 하와이 제도 전체를 통일하는 위업을 달성하고, 카메하메하 왕가 시대를 열었다.[85]
3. 2. 하와이 왕국의 번영과 쇠퇴 (1810년 ~ 1893년)
1810년 카메하메하 1세에 의한 하와이 제도 통일이 완성되면서 하와이 왕국의 시대가 열렸다. 이후 약 80여 년간 하와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번영과 쇠퇴의 길을 걸었다.
카메하메하 왕조의 통치 아래 하와이는 서구 문물과 제도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사회 규범이었던 카푸(Kapu) 제도가 폐지되고[211][298], 미국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기독교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또한 서구식 헌법이 제정되어 입헌 군주제가 도입되었고[304], 토지 소유 개념의 변화로 전통적인 공동체 기반의 토지 제도가 사유제로 전환되었다[306]. 이러한 변화는 하와이 사회의 근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고유한 전통 문화가 약화되고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경제적으로는 백단향 무역과 고래잡이 산업에 이어 사탕수수 농장이 주요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서구 자본, 특히 미국 자본의 영향력이 커졌다. 1875년 미국과 체결된 상호주의 조약은 하와이산 설탕의 미국 시장 무관세 수출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 번영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하와이의 영토 주권을 제약하고 미국의 정치·경제적 예속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311]. 조약 갱신 과정에서는 진주만의 독점 사용권까지 미국에 넘겨주게 되었다[313].
경제적 이권을 바탕으로 하와이 내 미국계 백인 세력의 정치적 영향력은 점차 강화되었다. 이들은 하와이 원주민의 권리를 제한하고 왕권을 약화시키려는 시도를 계속했으며, 1887년에는 무력을 동원하여 카라카우아 국왕에게 왕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내용의 총검 헌법(Bayonet Constitution) 서명을 강요했다[314][315]. 이로 인해 하와이 국왕은 실질적인 권력을 상당 부분 상실했고, 하와이 왕국의 주권은 심각한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1891년 카라카우아 국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실추된 왕권과 하와이인의 권리를 회복하기 위해 신헌법 제정을 추진했다[317]. 그러나 이는 하와이 합병을 노리던 미국계 세력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이들은 미국 공사와 결탁하여 왕정을 전복시키려는 쿠데타를 계획하기에 이르렀다. 1893년, 하와이 왕국은 외세의 개입과 내부 갈등 속에서 몰락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3. 2. 1. 카메하메하 왕조의 통치 (1810년 ~ 1872년)
1795년 하와이 왕국을 건국한 카메하메하 1세는 뛰어난 외교술과 선견지명을 바탕으로 유럽과 미국 열강의 영토적 야심을 경계했다. 그는 조지 밴쿠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1794년 영국으로부터 하와이 침략 시 방위를 원조받는 협정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영국으로부터 총기를 확보한 카메하메하 1세는 1795년까지 니하우섬과 카우아이섬을 제외한 주요 섬들을 정복했다. 1800년 남은 섬들의 정복을 시도했으나 태풍과 전염병으로 실패했다. 마침내 1810년, 미국인 윈쉽 형제의 도움을 받아 카우아이섬의 대족장 카우무아리이와 교섭하여 그의 평생 통치를 인정하는 조건으로 카우아이섬과 니하우섬을 양도받아 하와이 제도의 통일을 완성했다.
카메하메하 1세가 1819년 5월 8일 사망하자, 그의 장남 리호리호가 왕위를 계승했다. 카메하메하 1세는 리호리호의 통치 능력에 대한 우려로 섭정(쿠히나 누이) 제도를 신설하고, 리호리호의 계모이자 가장 총애했던 아내 카아후마누를 섭정으로 임명했다.[108] 카아후마누는 리호리호의 친어머니인 케오푸올라니와 협력하여 12세기부터 이어져 온 전통적인 금기 제도인 '''카푸'''를 폐지했다.[211][298] 그녀는 솔선하여 금기를 깨뜨리고 토착 신앙과 신관의 권위를 부정했다. 이로 인해 고대 신전이 파괴되고 전통 의식이 중단되었으나, 동시에 사회 질서와 규범이 함께 무너지면서 하와이 왕국은 혼란의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212][299]
1820년 3월 31일, 미국 해외 선교 위원회에서 파견한 개신교 선교사 하이럼 빙엄, 아서 서스턴 등이 하와이에 도착했다. 그들은 하와이 원주민의 복장, 훌라 춤, 영아 살해 풍습 등을 비도덕적이고 야만적인 것으로 간주하며 충격을 받았다.[213][300] 빙엄을 중심으로 한 선교사들은 이러한 사회 질서를 바로잡는다는 명분 아래 개신교를 통한 사회 통제를 시도했고, 점차 교육, 정치, 경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다.
한편, 서구와의 교류 증가는 화폐 경제를 급속도로 확산시켰고, 후불 결제를 통한 외국 제품 수입으로 왕국의 부채가 급증했다.[214][301]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호리호는 1823년 11월 23일 왕비 카마마루와 함께 영국 런던을 방문했으나, 홍역에 감염되어 1824년 7월 왕과 왕비 모두 사망했다. 리호리호의 뒤를 이어 1825년 6월 6일, 그의 10세 동생 카우이케아오울리가 왕위에 올랐다. 어린 왕을 대신해 실권을 쥔 섭정 카아후마누는 선교사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하와이의 기독교화를 더욱 강력하게 추진했다.[214] 카아후마누는 1832년 사망할 때까지 하와이 사회에 강력한 기독교적 영향을 미쳤다.[109]
1827년 프랑스 가톨릭교회 선교사들이 하와이에 도착했지만, 이미 개신교가 깊이 뿌리내린 상황에서 종교적 갈등을 우려한 카아후마누는 이들을 추방했다. 1837년 가톨릭 사제들이 다시 입국하자 카우이케아오울리는 12월 18일 가톨릭 선교와 신앙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이 명령은 1839년에 해제되었지만, 다른 태평양 섬들과 달리 하와이에서는 개신교의 우위가 지속되었다.[215][302]
개신교 선교사들은 하와이 언어 교육에 힘썼다. 1822년 알파벳을 이용한 하와이어 표기법을 확립했고, 1834년에는 태평양 지역 최초의 신문인 "라마 하와이"(6월, 마우이섬)와 "그무 하와이"(10월, 호놀룰루)가 발행되었다. 1839년에는 하와이어 성경이 출판되었다.[215][303] 이러한 교육 정책으로 하와이 주민들의 문자 해독률은 크게 향상되었고 근대화가 가속화되었지만, 동시에 하와이 고유의 전통 문화는 급격히 단절되는 결과를 낳았다.
1832년 카아후마누가 사망하자 카메하메하 1세의 딸인 키나우(카아후마누 2세)가 섭정직을 계승했다. 하와이 왕국은 서구 제도를 받아들여 1839년 영국의 마그나 카르타를 모델로 한 '권리 선언'을 공포했고, 이듬해 1840년 10월 8일에는 하와이 최초의 헌법을 제정하여 입헌 군주제를 수립했다. 1845년 기본법 제정을 통해 행정부(왕, 섭정, 내무, 재무, 교육지도, 법무, 외무)를 구성하고 15명의 세습 의원과 7명의 대리 의원으로 구성된 입법 협의회를 개설했으나, 서구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하와이인들을 대신하여 하와이에 귀화한 서구인들이 정부 요직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졌다.[304] 1852년에는 신헌법이 채택되었는데, 이 새로운 헌법에는 에이브러햄 링컨의 노예 해방 선언보다 훨씬 앞서 노예 제도를 금지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노예가 자유롭게 되었다.[305]
서구화는 전통적인 토지 공유제인 아후푸아아 시스템을 무너뜨리고 토지 사유 개념을 도입했다. 1848년 토지법(Great Māhele) 제정으로 하와이 토지는 국왕령, 국유지, 족장령으로 분할되었다.[306] 그러나 1850년 외국인의 토지 소유가 인정되면서,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던 하와이 정부는 토지 매각을 통해 부채를 상환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1862년까지 12년간 하와이 제도 토지의 약 75%가 외국인의 소유가 되었고, 많은 하와이 원주민들은 생활 기반을 잃게 되었다.
1854년 카우이케아오울리가 사망하고, 1855년 1월 11일 전 섭정 키나우의 차남 알렉산더 리호리호가 왕위에 올랐다. 당시 정부 내에서는 미국계, 영국계, 하와이인 세력 간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었다. 알렉산더 리호리호는 전 왕 시대에 확대된 일반 성인 남성의 정치 참여권이 왕권 약화를 초래했다고 판단하고, 동생 로트 카메하메하와 협력하여 귀족 중심의 군주제 강화를 목표로 삼았다. 영국 왕실 제도를 높이 평가했던 그는 미국 개신교 세력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 1860년 성공회 계열의 '하와이 개혁 가톨릭 교회'를 설립하고 영국 본토에서 토마스 스테일리를 필두로 한 잉글랜드 국교회 성직자들을 초빙했다.[307] 이는 아들 앨버트 왕자를 세례시키고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을 대모로 삼아 열강과 대등한 관계를 구축하려는 정치적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08] 그러나 1862년 총애하던 어린 아들이 사망하고,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알렉산더 리호리호 자신도 1863년 11월 30일 사망하면서 그의 계획은 미완으로 끝났다. 왕위는 같은 날 동생 로트 카메하메하가 계승했다.
로트 카메하메하는 형의 뜻을 이어 왕권 복원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1852년 헌법이 왕권을 지나치게 제약한다고 보고, 1864년 8월 20일 새로운 헌법을 공포하여 입법부의 권한을 축소하고 왕의 권한을 강화했다. 그러나 젊은 왕들이 연이어 영국에 우호적인 정책을 펼치자, 하와이 왕국이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는 것을 경계한 미국은 극비리에 하와이 왕국 합병 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했다.[309][310] 이러한 상황 속에서 로트 카메하메하는 후계자를 지명하지 못한 채 1872년 12월 11일 급사했다. 이로써 카메하메하 1세의 직계 후손이 단절되면서 카메하메하 왕조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 왕위 계승권은 의회로 넘어갔고, 이는 하와이 정치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3. 2. 2. 서구 열강의 침투와 왕정의 위기
1778년, 영국의 해양 탐험가 제임스 쿡은 1월 18일 오아후섬, 1월 20일 카우아이섬을 발견하고 와이메아 베이에 상륙하며 유럽인 최초로 하와이에 발을 디뎠다[289][77][78]. 쿡은 자신의 상관인 해군본부장 샌드위치 백작의 이름을 따 이곳을 '샌드위치 제도'라고 명명했지만, 이미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는 '하와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었다[290]. 거대한 배와 낯선 복장의 선원들의 등장은 원주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쿡 일행은 새로운 항로 탐색을 위해 잠시 하와이를 떠났다가 같은 해 11월 다시 돌아와 마우이섬과 하와이섬을 탐사하고 1779년 1월 하와이섬의 케알라케쿠아 만에 정박했다[291][79].
당시 하와이 섬의 대족장(알리이 누이) 칼라니오푸우는 쿡을 풍요의 신 로노(Lono)의 현신이라 여기고 극진히 대접했다. 쿡은 이전에도 원주민들에게 신으로 추앙받은 경험이 있었기에 그들의 생각에 맞춰 행동했다. 마침 풍요의 신을 기리는 마카히키(Makahiki) 축제 기간이었기에 쿡 일행은 성대한 환대를 받으며 약 3주간 머물렀다[292]. 그러나 2월 4일 보급품을 싣고 떠났던 쿡 일행은 폭풍으로 배가 손상되어 2월 11일 다시 케알라케쿠아 만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이 사건은 원주민들 사이에 쿡이 신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의심을 불러일으켰고, 양측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2월 13일 밤, 하와이인들이 쿡 탐험대의 보트 중 하나를 가져가자[80], 쿡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족장 칼라니오푸우를 인질로 잡으려 했다. 이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1779년 2월 14일, 쿡은 원주민들과의 싸움 중에 살해당했다[293][81]. 쿡의 죽음 이후 찰스 클락이 이끄는 탐험대는 서둘러 하와이를 떠났고, 이 사건과 '샌드위치 제도'의 발견은 유럽과 미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94]. 쿡의 방문은 하와이에 성병과 같은 질병을 유입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82].
당시 하와이 제도는 각 섬의 대족장(아리이누이)들에 의해 나뉘어 통치되고 있었다[295]. 하와이 섬은 칼라니오푸우가, 나머지 주요 섬들은 마우이섬의 대족장 카헤키리 2세가 지배했다. 1782년 칼라니오푸우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키왈라오가 왕위를 계승했지만, 군사적 재능이 뛰어났던 칼라니오푸우의 조카 카메하메하 1세는 전쟁의 신 '쿠카일리모쿠'의 수호자 지위와 함께 코할라, 코나 지역의 영토를 받았다. 이에 불만을 품은 키왈라오가 전쟁을 일으켰으나 패배했고, 카메하메하 1세는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1795년까지 니하우섬과 카우아이섬을 제외한 모든 섬을 정복하고 하와이 왕국을 건국했다[296].
쿡의 발견 이후 교역과 식민지 확장을 노린 서구 열강의 선박들이 빈번하게 하와이를 방문했다[297]. 카메하메하 1세는 뛰어난 외교술과 선견지명으로 이들의 영토적 야심을 경계했다. 그는 쿡의 후계자로 여겨지던 조지 밴쿠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1794년 2월 24일 영국이 외국의 침략으로부터 하와이를 방어해준다는 내용의 방위원조협정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영국으로부터 총기를 확보한 카메하메하 1세는 하와이 통일에 박차를 가했다. 1810년에는 미국 상인 윈십 형제의 중재로 카우아이섬의 대족장 카우무알рии로부터 평생 통치권을 인정하는 조건으로 카우아이섬과 니하우섬을 양도받아 마침내 하와이 제도의 통일을 완수했다.
1819년 5월 8일 카메하메하 1세가 사망하자 장남 리호리호가 왕위를 계승했다. 하지만 카메하메하 1세는 아들의 통치 능력에 불안을 느껴, 자신이 가장 총애했던 아내이자 리호리호의 계모인 카아후마누를 섭정(쿠히나 누이)으로 임명하여 공동 통치하도록 했다[108]. 카아후마누는 리호리호의 친어머니인 케오푸올라니와 협력하여 12세기부터 이어져 온 엄격한 금기 제도인 카푸(Kapu)를 폐지했다[298][211]. 이들은 솔선하여 금기를 어기고 전통 신앙의 신들과 신관의 권위를 부정했다. 이로 인해 고대 신전들이 파괴되고 전통 의식들이 중단되었으나, 동시에 사회 질서와 규범의 근간이었던 계층 구조가 무너지면서 하와이 왕국은 혼란의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299][212].
1820년 3월 31일, 미국 해외 선교 위원회에서 파견한 개신교 선교사 하이럼 빙엄, 아서 서스턴 등이 하와이에 도착했다. 이들은 하와이 원주민들의 복장(남성의 마로, 여성의 파우 스커트), 훌라 춤, 영아 살해 풍습 등을 목격하고 충격을 받았으며, 이를 '미개하고 야만적'이라고 여겼다[300][213]. 빙엄을 중심으로 한 선교사들은 이러한 '풍기문란'을 바로잡고 사회 질서를 회복한다는 명분 아래 기독교를 통한 사회 통제를 시도했다. 이들의 영향력은 교육, 정치, 경제 등 사회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한편, 서구와의 교류가 늘면서 화폐 경제가 급속히 침투했고, 외국 상품 수입으로 인한 국가 부채가 증가했다[301][214].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호리호는 1823년 왕비 카마말루와 함께 영국 런던을 방문했으나, 안타깝게도 부부 모두 현지에서 홍역에 감염되어 1824년 7월 사망했다. 리호리호의 뒤를 이어 그의 10세 동생 카우이케아오우리가 1825년 6월 6일 왕위에 올랐다. 어린 왕을 대신해 실권을 장악한 섭정 카아후마누는 선교사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하와이의 기독교화를 강력하게 추진했다[214].
1827년 프랑스 가톨릭교회 선교사들이 하와이에 도착했지만, 이미 개신교 세력이 강했던 하와이에서 종교적 갈등을 우려한 카아후마누는 이들의 추방을 명령했다. 1837년 가톨릭 사제들이 다시 입국하자 카우이케아오울리는 가톨릭 선교와 신앙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으나, 1839년 이 명령은 철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와이에서는 개신교의 영향력이 계속 우세했다[302][215]. 개신교 선교사들은 하와이 주민들에게 읽고 쓰는 법을 가르치는 데 주력하여 1822년에는 하와이어 알파벳을 만들었고, 1834년에는 태평양 지역 최초의 신문을 발행했으며, 1839년에는 하와이어 성경을 출판했다[303]. 이러한 교육 정책으로 하와이 주민들의 식자율은 크게 향상되었고 근대화가 가속화되었지만, 동시에 하와이 고유의 전통 문화가 단절되는 결과를 낳았다.
1832년 카아후마누가 사망하고 카메하메하 1세의 딸 키나우가 섭정직을 계승했다. 하와이 왕국은 서구 제도를 받아들여 1839년 '권리 선언'을 공포하고, 1840년 10월 8일에는 하와이 최초의 헌법을 제정하여 입헌 군주제를 수립했다. 1845년 기본법에 따라 행정부와 입법부가 구성되었지만, 서구식 행정에 익숙하지 않은 하와이 원주민들을 대신하여 하와이에 귀화한 서구인들이 정부 요직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졌다[304]. 1852년에는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었는데, 이 헌법에는 미국의 노예 해방 선언보다 앞서 노예제 금지 조항이 포함되었다[305]. 이러한 서구화 과정에서 전통적인 토지 공유제(아후푸아아) 대신 토지 사유 개념이 도입되었다. 1848년 토지법(Great Māhele) 제정으로 하와이의 토지는 국왕령, 국유지, 족장령으로 분할되었다[306]. 그러나 1850년 외국인의 토지 소유가 허용되면서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던 하와이 정부는 토지 매각을 통해 빚을 갚았고, 그 결과 1862년까지 하와이 제도 전체 토지의 약 75%가 외국인의 소유가 되어 많은 하와이 원주민들이 생활 기반을 잃게 되었다.
1855년 1월 11일, 카우이케아오울리의 조카이자 전 섭정 키나우의 차남인 알렉산더 리호리호가 왕위에 올랐다. 당시 하와이 정부 내에서는 미국계, 영국계, 하와이 원주민 세력 간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었다. 알렉산더 리호리호는 전임 왕 시대에 확대된 보통선거권이 왕권을 약화시킨다고 생각하여, 동생 로트 카메하메하와 협력하여 귀족 중심의 군주제 강화를 목표로 삼았다. 영국 왕실을 높이 평가했던 그는 1860년 성공회(하와이 개혁 가톨릭 교회)를 하와이에 도입하고 영국 성공회 성직자들을 초빙했다[307]. 이는 아들 알버트 왕자를 세례시키고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을 대모로 삼아 열강과 대등한 관계를 구축하려는 정치적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08]. 그러나 1862년 어린 아들이 사망하고,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알렉산더 리호리호 자신도 1863년 11월 30일에 사망하면서 그의 계획은 미완으로 끝났다. 왕위는 동생 로트 카메하메하가 계승했다.
로트 카메하메하(카메하메하 5세)는 왕권 강화를 목표로 1864년 8월 20일 새로운 헌법을 공포했다. 그러나 하와이 왕국이 점차 영국 쪽으로 기울자 위기감을 느낀 미국은 비밀리에 하와이 합병 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했다[309][310]. 이런 상황 속에서 카메하메하 5세는 후계자를 지명하지 못한 채 1872년 급사했다. 왕위 계승권이 의회로 넘어가면서, 1873년 1월 9일 친미 성향의 루날릴로가 하와이 역사상 최초의 선거를 통해 왕으로 선출되었다. 루날릴로는 미국인들을 각료로 임명하고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추진하며 상호주의 조약 체결을 모색했으나, 즉위 1년 만인 1874년 결핵으로 사망했다.
왕위는 다시 선거를 통해 결정되었고, 카메하메하 1세의 조언자였던 유력 가문 출신의 카라카우아가 에마 왕비를 누르고 당선되어 1874년 2월 13일 즉위했다. 선거 결과에 불복한 에마 왕비 지지자들이 폭동을 일으켰으나 미군의 도움으로 진압되었다[129]. 카라카우아는 전임 왕의 정책을 이어받아 1875년 6월 3일 미국과 상호주의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하와이의 주요 생산품(특히 설탕)이 미국 시장에 무관세로 수출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으로 큰 이득을 얻었지만, 조약에는 "하와이 영토의 어떤 부분도 미국 외 다른 나라에 양도하거나 임대할 수 없으며, 특권을 부여할 수 없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하와이의 주권을 제약하고 미국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311]. 7년 기한이었던 조약은 1887년 갱신되었는데, 미국 내 일부 반대에도 불구하고 제국주의 확장론자들의 주도로 진주만의 독점 사용권을 미국에 넘겨주는 조건으로 연장되었다[313].
1887년, 미국계 백인들을 중심으로 급진적인 개혁을 추구하는 비밀결사 하와이안 리그가 조직되었다. 이들은 백인 민병대인 호놀룰루 라이플즈와 협력하여 6월 30일 카라카우아 국왕에게 총리 월터 M. 깁슨의 해임과 신헌법 채택을 강요했다. 무력 저항 수단이 없었던 카라카우아는 결국 이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7월 6일, 총검의 위협 아래 강제로 서명하게 된 이 헌법은 총검 헌법으로 불리며, 왕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고 미국계 및 유럽계 백인들의 정치적 권력을 강화했다[314][315]. 재산 소유 자격 요건 도입으로 대부분의 하와이 원주민과 아시아계 이민자들의 투표권이 박탈되었다. 카라카우아는 일본 등 동양 국가와의 연대를 모색하고 총검 헌법을 폐기하려 시도하는 등 왕권 회복을 위해 노력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1891년 1월 20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객사했다.
카라카우아의 뒤를 이어 그의 여동생 릴리우오칼라니가 1891년 1월 29일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즉위 직후부터 미국계 세력이 장악한 의회와의 갈등으로 내각 구성에 어려움을 겪는 등 정치적 불안정이 계속되었다[316]. 릴리우오칼라니는 재정난 타개를 위해 복권 사업과 아편 판매를 허가하는 법안을 추진했으나, 이는 미국계 백인 세력으로부터 도덕적 비판을 받는 빌미가 되었다[317]. 또한, 총검 헌법에 대한 하와이 원주민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왕권을 회복하기 위해 1864년 헌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헌법 제정을 계획했다. 이러한 움직임에 위기감을 느낀 미국 공사 존 L. 스티븐스는 하와이안 리그의 핵심 인물인 로린 A. 서스턴, 샌퍼드 돌 등과 접촉하여 하와이 왕정을 전복하고 미국에 합병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왕정을 둘러싼 갈등은 극으로 치닫고 있었다.
3. 2. 3. 왕정의 몰락 (1872년 ~ 1893년)
로트 카메하메하는 왕권 강화를 목표로 1864년 8월 20일 신헌법을 공표했다. 그러나 젊은 왕들이 연이어 즉위하며 하와이 왕국이 영국에 가까워지는 것을 우려한[309] 미국은 비밀리에 하와이 왕국 합병 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했다.[310] 이러한 상황 속에서 로트 카메하메하는 다음 왕위 계승자를 지명하지 못한 채 1872년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왕위 결정권은 의회에 넘겨졌고, 친미 성향의 루나리로가 1873년 1월 9일 왕으로 선출되어 즉위했다. 루나리로는 미국인들을 각료로 임명하고 미국으로부터 정치적, 경제적 원조를 얻으려 했으며, 미국과의 상호주의 조약 체결을 목표로 교섭을 진행했다. 그러나 루나리로는 결핵에 걸려 즉위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고, 왕위는 다시 한번 의회에 의해 결정되게 되었다.
선거 결과, 카메하메하 왕가의 유력한 조언자였던 카메에이아모쿠와 케이아웨아 헤울의 손자인 카라카우아가 당선되어 1874년 2월 13일 즉위했다. 이 과정에서 에마 여왕의 지지자들이 호놀룰루 법원 폭동을 일으켰고, 왕정은 이를 진압하기 위해 미군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129]
카라카우아는 전임 왕의 뜻을 이어받아 1875년 6월 3일 미국과 상호주의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하와이의 모든 생산품은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될 수 있게 되었지만, 제4조에는 "하와이의 어떤 영토도 미국 외의 다른 나라에 양도하거나 빌려줄 수 없으며, 특권도 부여할 수 없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하와이의 미국 종속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311] 조약의 유효 기간은 7년이었는데, 갱신 시점이 다가오자 미국 내에서는 쌀과 설탕 생산업자들을 중심으로 조약이 미국에 손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312] 그러나 상원의원 존 타일러 모건 등 제국주의 확장론자들은 "다른, 더 높은 차원의 이익이 있다"고 주장하며 반대 세력을 억눌렀고, 결국 모건이 주장했던 진주만의 독점 사용권을 확보하는 조건[313]으로 1887년 11월 조약은 갱신되었다.
1887년, 야당 의원 로린 써튼을 중심으로 급진적인 개혁을 추구하는 비밀결사 하와이안 리그가 결성되었다. 같은 해 6월 30일, 하와이안 리그는 백인 시민들로 구성된 자원 민병대 호놀룰루 라이플즈와 협력하여 카라카우아에게 총리 월터 깁슨의 퇴진과 신헌법 채택을 요구했다. 효과적인 대응 수단이 없었던 카라카우아는 스스로 내각을 해산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호놀룰루 라이플즈는 신헌법에 대한 승인을 강제로 받아내어 1887년 7월 6일, 통칭 베이오넷 헌법(총검 헌법)[314]이 성립되었다. 이 헌법은 왕권을 크게 약화시켰다.[315] 카라카우아는 강대해진 미국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일본과의 동맹을 모색하고 베이오넷 헌법 폐기를 추진하는 등 왕권 회복을 시도했으나, 1891년 1월 20일 뜻을 이루지 못하고 샌프란시스코에서 객사했다.
1891년 1월 29일, 카라카우아의 여동생인 릴리우오칼라니가 왕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릴리우오칼라니가 지명한 각료들이 의회에서 여러 차례 거부당하는 등 내각 구성에 어려움을 겪으며 정치적 위기가 이어졌고, 1892년 11월 8일에야 겨우 내각이 승인되었다.[316]
릴리우오칼라니는 산적한 문제들 속에서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해 복권 발행과 아편 판매를 허가제 하에 합법화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하지만 이 정책은 미국계 백인 세력으로부터 도덕적 관점에서 거센 비판을 받았다.[317] 또한, 베이오넷 헌법에 대한 하와이 원주민들의 불만이 커지자, 릴리우오칼라니는 1864년 헌법을 바탕으로 왕권을 강화하는 내용의 신헌법 제정을 계획했다.
이러한 움직임에 위기감을 느낀 미국 공사 존 스티븐스는 로린 써튼, 샌퍼드 돌 등과 접촉하여 하와이 왕국을 전복하고 임시 정부를 수립하려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이는 하와이 왕정의 종말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4. 미국령 시대 (1893년 ~ 1959년)
1887년, 미국계 세력이 주도한 압력으로 칼라카우아 국왕은 왕권을 크게 제약하는 이른바 '총검 헌법'에 서명하게 되었다.[141] 이는 하와이 원주민의 정치적 권리를 축소하고 외국인, 특히 미국인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144][145][146] 미국은 이미 같은 해 진주만의 독점 사용권을 확보한 상태였다.[141]
1893년 1월, 로린 서스턴 등이 이끈 안전 위원회는 미 해병대의 지원 아래 쿠데타를 일으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을 폐위시키고 하와이 왕국을 전복시켰다.[317] 쿠데타 세력은 즉시 미국과의 합병을 추진했으나 당시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1894년 독자적으로 샌퍼드 돌을 대통령으로 하는 하와이 공화국을 선포했다.
미국-스페인 전쟁(1898년)을 계기로 하와이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미국 내 병합 여론이 높아졌고[242], 결국 1898년 7월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 행정부는 뉴랜즈 결의안을 통해 하와이를 미국 영토로 편입시켰다.[242] 1900년에는 하와이 유기법이 제정되어 공식적으로 하와이 준주가 출범했으며, 초대 지사로는 샌퍼드 돌이 임명되었다.[242]
준주 시대 하와이는 미국의 법률 체계에 편입되었고, 이는 일본계 이민자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노동 계약 변화로 미국 본토 이주 시도가 있었으나 미일 신사 협약(1908년) 등으로 제한되었고[243], 하와이 내에서도 일본계에 대한 차별과 배척이 심화되었다.[244] 또한 하와이는 태평양에서 미국의 군사적 요충지로 개발되었다.
1941년 12월 7일 일본군의 진주만 공격은 미국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끌었고, 하와이에는 즉시 계엄령이 선포되어 1944년까지 지속되었다.[246][250] 하와이는 태평양 전쟁의 핵심 기지로 기능했으며[247], 주민들은 군의 통제를 받았다.[248] 특히 일본계 주민들은 '적성 외국인'으로 분류되어 차별과 감시, 일부는 강제 수용의 대상이 되었다.[247][249]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많은 일본계 2세들은 제442연대 전투단 등에 자원하여 미군으로 복무하며 충성심을 증명했다.[247]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하와이 사회는 변화를 맞았다. 기존 백인 엘리트 중심의 지배 구조가 약화되고[253] 노동 운동이 활성화되었으며, 전쟁 중 미군 병사들의 경험을 통해 관광 산업 발전의 계기가 마련되었다.[253] 미국 본토의 시민권 운동과 연계되어 하와이의 주 승격 운동이 다시 힘을 얻었고, 마침내 1959년 8월 21일 하와이는 미국의 50번째 주(State)로 공식 승격되었다.[345]
4. 1. 하와이 공화국 (1894년 ~ 1900년)

1893년 1월, 미국 해병대의 지원을 받은 안전 위원회는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을 폐위시키고 하와이 왕국을 전복시켰다.[317] 로린 서스턴, 샌포드 돌 등 미국계 백인 세력이 주도한 이 쿠데타는 하와이의 주권을 침탈하고 미국의 이익을 관철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317] 쿠데타 세력은 즉시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미국과의 합병을 추진했다. 당시 미국 공사였던 존 L. 스티븐스는 이 과정에 적극 개입하여 쿠데타를 지원했다.[317][143]
그러나 당시 미국 대통령 그로버 클리블랜드는 제국주의적 팽창에 부정적이었고, 하와이 왕국 전복이 불법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합병을 승인하지 않았다. 클리블랜드 행정부는 여왕 복위를 시도했으나, 임시 정부는 이를 거부하고 1894년 7월 4일, 샌퍼드 돌을 대통령으로 하는 하와이 공화국 수립을 일방적으로 선포했다.
하와이 병합 문제는 미국-스페인 전쟁 발발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1898년, 쿠바와 필리핀 등 태평양에서의 전쟁 수행을 위해 하와이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자, 미국 내 병합 여론이 급증했다.[242] 진주만의 군사적 가치[141]와 태평양 항로의 중간 기착지로서 하와이의 필요성이 강조된 것이다.[242] 결국 제국주의 팽창을 지지했던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 행정부는 1898년 7월 7일, 뉴랜즈 결의안 (Newlands Resolution)을 통해 하와이 병합을 강행했다.[242] 이로써 하와이 공화국은 소멸하고 하와이의 주권은 공식적으로 미국에 넘어갔다.
1900년 4월, 미국 의회는 하와이 유기법 (Hawaiian Organic Act)을 제정하여 하와이를 미국의 준주(Territory of Hawaii)로 편입시키는 법적 절차를 완료했다.[242] 같은 해 6월, 하와이 준주 정부가 공식 출범했으며, 초대 준주 지사에는 하와이 공화국의 대통령이었던 샌퍼드 돌이 임명되었다.[242] 이 법의 시행으로 하와이에는 미국의 여러 법률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4. 2. 하와이 준주 (1900년 ~ 1959년)
1900년, 미국 의회는 하와이 병합을 위한 뉴랜즈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하와이 유기법을 공포하여, 하와이는 공식적으로 미국의 영토인 하와이 준주가 되었다.[242] 초대 준주 지사로는 전 하와이 공화국 대통령 샌퍼드 돌이 임명되었다. 미국 법률 적용으로 기존 노동 계약이 무효화되자, 플랜테이션에서 일하던 다수의 일본인 노동자들은 더 나은 조건을 찾아 미국 본토 이주를 시도했다. 그러나 이는 미국 내 반일 감정을 자극했고, 결국 미일 신사 협약(1908년) 체결로 이어져 일본인의 미국 본토 이주가 제한되었다.[243] 하와이 내에서도 일본인에 대한 차별과 배척 분위기가 점차 강해졌으며[244], 1924년에는 아시아계 이민을 크게 제한하는 이민법이 제정되기도 했다.1941년 12월 7일 일본군의 진주만 공격은 하와이 준주 시기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246] 이 사건으로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하와이 전역에는 즉시 계엄령이 선포되어 1944년 10월까지 지속되었다.[246][250] 이 기간 하와이는 태평양 전쟁의 핵심 군사 기지로 변모했으며[247], 주민들은 군대의 엄격한 통제 하에 생활해야 했다.[248] 특히 일본계 주민들은 '적성 외국인'으로 분류되어 차별과 감시를 받았고, 일부는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247][249]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많은 일본계 2세들은 미국에 대한 충성을 증명하고자 제442연대 전투단 등에 자원하여 유럽 전선에서 큰 공헌을 했다.[247]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하와이 사회는 큰 변화를 맞았다. 전쟁을 계기로 기존 백인 엘리트 중심의 정치·경제 구조가 약화되었고[253], 노동 운동이 활성화되어 노동자들의 권익이 향상되기 시작했다. 또한 전쟁 중 많은 미군 병사들이 하와이를 경험하면서 '가까운 낙원'이라는 이미지가 퍼졌고, 이는 전후 하와이가 관광 산업을 주요 산업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253] 전후 미국 본토의 시민권 운동과 맞물려 하와이의 주 승격 운동이 다시 힘을 얻었고, 마침내 1959년 8월 21일 하와이는 미국의 50번째 주로 공식 승격되었다.[345]
4. 2. 1. 미국의 하와이 병합 (1900년)
1898년 1월 쿠바 아바나에서 발생한 폭동을 계기로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태평양 상의 스페인 영토까지 확대되었고, 미국 내에서는 전쟁 수행을 위한 안정적인 보급 기지 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242]。미국은 이미 하와이의 진주만에 대한 독점 사용권을 확보하고 있었으나, 이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하는 하와이 병합 지지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졌다[242]。결국 1898년 7월 7일, 윌리엄 매킨리 미국 대통령은 하와이 병합을 위한 결의안(뉴랜즈 결의안)에 서명했고, 하와이의 주권은 공식적으로 미국으로 이양되었다.이후 1900년 4월에는 하와이 영토 병합법이 공포되었고, 같은 해 6월 14일에는 하와이 준주 정부가 공식적으로 수립되었다. 하와이 공화국 시절의 관료들이 정부 요직에 그대로 임명되었으며, 초대 준주 지사로는 전 하와이 공화국 대통령이었던 샌퍼드 돌이 취임했다. 같은 해 하와이 유기법(Hawaiian Organic Act)이 시행되면서 하와이에도 미국의 여러 법률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미국 병합은 하와이 사회에 여러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기존의 노동 계약이 무효화되면서, 계약 이민 형태로 하와이에 정착해 있던 다수의 일본인 노동자들이 가혹한 노동 조건에서 해방되었다[243]。이들 중 상당수는 더 나은 기회를 찾아 미국 본토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1908년까지 약 3만 명 이상의 일본인이 미국으로 건너간 것으로 추정된다[243]。그러나 이러한 일본인 이민자의 증가는 미국 내에서 반일 감정을 고조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결국 1908년 미국과 일본 정부는 일본인 노동자의 미국 본토 이주를 제한하는 미일 신사 협약을 체결하게 된다. 또한, 하와이 내에서는 파업이 법적으로 보장되면서 노동자들이 권리 향상을 위해 파업을 조직하는 사례가 증가했다.
4. 2. 2. 군사 기지화와 일본인 이민자 차별
1898년 쿠바 아바나에서 발생한 폭동을 계기로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하면서, 미국은 태평양에서의 전쟁 수행을 위해 안정적인 보급 기지가 필요하게 되었다[242]。 이미 진주만의 독점 사용권을 확보하고 있었지만, 이를 더욱 공고히 하려는 병합파의 목소리가 커졌고[242], 결국 1898년 7월 7일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이 하와이 병합 결의안에 서명하면서 하와이의 주권은 미국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1900년 4월에는 하와이 영토 병합법이 공포되었고, 같은 해 6월에는 하와이 준주 정부가 수립되었다. 초대 지사로는 전 하와이 공화국 대통령이었던 돌이 임명되었으며, 하와이 유기법 시행으로 미국의 법률이 하와이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미국 합병으로 기존의 노동 계약이 무효화되면서, 계약 이민으로 하와이에 와 있던 많은 일본인 노동자들이 가혹한 노동 조건에서 해방되었다[243]。 이들 중 상당수는 더 나은 기회를 찾아 미국 본토로 이주했으며, 1908년까지 약 3만 명 이상이 미국으로 건너간 것으로 추정된다[243]。 그러나 이러한 일본인 이민 증가는 미국 내에서 반일 감정을 확산시키는 배경이 되었고, 결국 1908년 미국으로 향하는 일본인 노동자의 수를 제한하는 미일 신사 협약이 체결되었다. 한편, 하와이 내에서는 파업이 법적으로 가능해지면서 노동자들의 권리 요구가 증가했다.
미국 본토의 반일 운동은 하와이에도 영향을 미쳐 일본인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심화되었다. 당시 하와이에는 2만 명이 넘는 일본인 아동을 위한 150개 이상의 일본어 학교가 있었는데, 이를 두고 미국 국수주의를 주입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영자 신문은 일본인의 생활 방식과 노동자 및 그 자녀들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를 자주 실으며 일본인 배척 여론을 형성해 나갔다[244]。 이러한 불신은 공산주의 음모론 등과 결합하여 일본인에 대한 공포와 혐오감을 조장하는 결과를 낳았다[24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경제가 불황에 빠지자 이민자 수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1924년 이민자 수를 연간 15만 명으로 제한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는데, 이 할당은 북유럽계 이민자에게 유리하게 배정되어 아시아계 이민자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했다.
1941년 12월 7일, 일본군의 진주만 공격으로 하와이는 태평양 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공격 당일 오후 4시 30분 하와이 전역에 계엄령이 선포되었고[246], 이는 1944년 10월 24일 해제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하와이는 미국의 중요한 군사 기지로서 역할이 강화되었고, 군사 시설 건설이 가속화되었으며, 이올라니 궁전에는 군사 정부가 설치되어 태평양 전쟁 수행의 본부가 되었다[247]。 군은 재판권을 장악하여 영장 없는 구속을 가능하게 했고, 주민에게는 통행금지, 신분증 휴대 의무, 지문 등록 강제 등이 부과되었다. 전화 도청과 모든 출판물 및 편지에 대한 검열이 이루어졌고, 일본어 라디오 방송 등은 즉시 금지되었다[248]。
진주만 공격 이후 일본계 주민에 대한 불신은 극에 달했다. 1942년 1월 5일, 징병 연령의 일본계 2세 남성은 4C(적성 외국인)로 분류되었고, 이미 군에 복무 중이던 일본계 병사는 해임되거나 제대 처리되었다[247]。 일본어 학교 교사, 언론인 등 '특히 위험하다'고 간주된 약 1,500명의 일본인 및 일본계 주민은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249]。 이러한 차별 속에서도 하와이 지방 방위군으로 활동했던 일본계 2세 시게오 요시다는 방위 사령관 데로스 칼턴 에먼스에게 미국에 대한 충성을 증명하겠다며 탄원서를 보냈고, 이는 일본계로만 구성된 육군 부대인 제442연대 전투단의 모태가 된 대학 승리 봉사단(V.V.V) 결성으로 이어졌다[247]。
전쟁 기간 동안 당시 약 26만 명이었던 하와이 인구에 100만 명에 달하는 미군 병사와 10만 명에 가까운 새로운 노동자가 유입되었다[250]。 군수 산업은 호황을 누렸지만, 급격한 인구 변화는 심각한 남녀 성비 불균형을 초래했으며(젊은 여성 한 명당 동년배 남성 비율이 150명에서 1,000명에 달했다[251]), 이는 사회 문제로 이어져 미군 병사에 의한 성범죄가 끊이지 않았다[252]。 미국 본토에서는 금지되었던 매춘 행위가 하와이에서는 특례적으로 허용되기도 했다[251]。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미군이 승리하면서 일본군의 하와이 침공 가능성이 낮아지자, 1943년 등화 관제가 해제되었고 1944년 10월 계엄령도 해제되었다[250]。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된 후, 하와이 사회에는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전쟁 중 일시적으로 권력을 빼앗겼던 백인 지배층의 정치·경제적 영향력이 약화되었고[253], 1946년 파업에서는 처음으로 노동자가 임금 인상에 성공하는 등 노동 운동이 활성화되었다. 또한, 전쟁 중 잠시 머물렀던 미군 병사에게 하와이가 '가까운 낙원'이라는 인상을 심어주면서[253], 하와이는 전쟁 특수를 대체할 새로운 산업으로 관광업 육성에 나서게 되었다.
4.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하와이 (1941년 ~ 1945년)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 해군은 오아후섬의 미국 해군 기지인 진주만을 기습 공격했다. 이 공격으로 약 2,500명의 미국인이 사망하고, 미국 태평양 함대의 주력 전함 다수가 침몰하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175] 미국의 항공모함 4척은 당시 해상에 있어 피해를 면했다. 이 사건은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진주만 공격 당일 오후, 하와이 전역에는 계엄령이 선포되었고[246], 이는 1944년 10월 24일 해제될 때까지 지속되었다.[250] 계엄령 하에서 하와이 주민들의 생활은 군대의 엄격한 통제를 받았다. 통행 금지 시간이 설정되었고, 모든 주민은 신분증 휴대와 지문 등록이 의무화되었다. 전화 통화는 도청되었으며, 모든 출판물과 편지는 검열 대상이 되었다. 특히 일본어 라디오 방송과 신문 발행은 즉시 금지되었다.[248] 재판권 역시 군의 관리하에 놓여, 영장 없는 구속이 가능해지는 등 기본적인 시민의 권리가 크게 제한되었다.[247]
하와이는 태평양 전쟁 수행을 위한 미국의 핵심적인 전진 기지가 되었다. 진주만을 비롯한 여러 섬에 군사 시설 건설이 가속화되었고, 호놀룰루의 이올라니 궁전에는 군사 정부가 들어섰다.[247] 수십만 명의 미군 병력과 군무원이 전쟁 기간 동안 하와이를 거쳐 갔으며, 섬들은 훈련 및 야영 장소로 활용되었다.[175]
전쟁 발발과 함께 하와이에 거주하던 일본계 미국인들은 큰 고통을 겪었다. 미국 본토 서해안의 일본계 주민들처럼 대규모 강제 수용은 피했지만[175], 많은 이들이 잠재적인 적으로 의심받았다. 일본계 사회 지도자, 교사, 언론인 등 "특히 위험하다"고 간주된 약 1,500명의 일본인 및 일본계 미국인이 본토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249] 1942년 1월에는 징병 연령의 일본계 2세 남성들이 '4C'("적성 외국인")로 분류되어 징병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이미 군에 복무 중이던 일본계 병사들은 해임되거나 제대 조치되었다.[247]
이러한 차별과 불신 속에서도 많은 일본계 미국인들은 미국에 대한 충성심을 증명하고자 노력했다. 시게오 요시다와 같은 일본계 2세들은 하와이 방위 사령관에게 충성 맹세 탄원서를 보내고, 대학 승리 봉사단(V.V.V.)을 결성하여 국방에 기여했다.[247] 이러한 노력의 결과, 미 육군은 일본계 미국인들로만 구성된 제442연대 전투단을 창설했다. 이 부대는 주로 이탈리아, 남부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전선에서 용맹하게 싸웠다.[176] 제442연대는 부대의 규모와 복무 기간을 고려할 때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부대로 기록되었다. 총 14,000여 명의 하와이 출신을 포함한 일본계 병사들이 이 부대에서 복무했으며, 9,486개의 퍼플 하트 훈장과 8개의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고, 훗날 하와이 출신 연방 상원의원이 되는 다니엘 이노우에를 포함한 21명이 최고 무공훈장인 명예 훈장을 받았다. 이들의 부대 구호는 "모두 걸어라(Go for Broke)"였다.[176]
전쟁 기간 동안 하와이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기존 인구 약 26만 명에 더해, 100만 명으로 추산되는 병사와 약 10만 명의 새로운 노동자들이 섬으로 유입되었다.[250] 군수 산업은 호황을 누렸지만, 급격한 인구 유입은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남녀 비율이 극심하게 불균형해지면서(젊은 여성 한 명당 남성 비율이 150명에서 많게는 1,000명에 달했다고 추정된다[251]), 성 관련 문제들이 발생했다. 미국 본토에서는 금지되었던 군인 대상 매춘이 하와이에서는 특례적으로 허용될 정도였으며[251], 미군 병사에 의한 성범죄도 발생하여 지역 사회에 불안감을 주었다.[252]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미군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일본군에 의한 하와이 침공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175][250] 이후 점차 전시 통제가 완화되어 1943년에는 등화 관제가 해제되었고, 1944년 10월에 계엄령이 최종적으로 해제되었다.[250]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면서 하와이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전쟁을 거치며 기존의 백인 중심 정치·경제 체제가 약화되었고[253], 노동 운동이 활성화되어 1946년에는 대규모 파업을 통해 노동자들이 처음으로 임금 인상에 성공하기도 했다. 또한, 전쟁 중 미군 병사들에게 잠시나마 휴식을 제공했던 경험은 하와이를 "가까운 낙원"으로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전후 하와이가 관광 산업을 본격적으로 발전시키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253]
4. 2. 4. 하와이 주 승격 운동 (1946년 ~ 1959년)
1950년대에 들어서 시민권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이를 계기로 하와이 및 알래스카의 주 승격 운동이 본격적으로 일어났다. 마침내 1959년 3월 11일, 연방상원에서 찬성 76표, 반대 15표로, 연방하원에서는 찬성 323표, 반대 89표로 가결되어 연방의회는 하와이를 주로 승격시키는 것을 승인하였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1959년 8월 21일, 선언서에 서명하며 하와이가 공식적으로 아메리카합중국의 50번째 주가 되었음을 선포했다. 당시 하와이에서는 "지금 우리들은 다같이 하오레(백인)"라는 유행어가 생겨나는 등 주 승격을 환영하는 분위기가 가득했으며, 하와이 주민들은 새로운 시대에 대한 기대감을 만끽했다.[345]5. 미국 하와이 주 (1959년 ~ 현재)
1954년, 하와이에서는 비폭력적인 산업 전반의 파업, 시위, 시민 불복종 등이 이어지는 1954년 하와이 민주 혁명이 발생했다. 이 혁명을 통해 하와이 민주당이 자치령 선거에서 다수당으로 부상하며 주 승격을 위한 활동을 본격화했다. 노동력의 노조화는 기존의 농장 중심 경제 구조 변화를 촉진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배경으로 하와이는 1959년 미국의 50번째 주로 편입되었다. 주 승격 이후 하와이는 관광업을 중심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동시에 급격한 개발에 따른 환경 오염, 역사 유적 파괴, 지가 및 물가 상승과 같은 문제들에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하와이 원주민의 자치권 획득 문제는 하와이 원주민 문제 사무국 등을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중요한 사회적 과제이다. 하와이는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들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5. 1. 주 승격과 경제 발전
1950년대 들어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이를 계기로 하와이와 알래스카의 주 승격 운동이 일어났다. 1959년 3월 11일, 연방 의회는 하와이를 주로 승격시키는 법안을 통과시켰다(연방 상원 찬성 76, 반대 15 / 연방 하원 찬성 323, 반대 89).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1959년 3월 18일 하와이 합병 법안에 서명하여 주 승격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하와이 시민의 93% 이상이 주 승격에 찬성하는 국민 투표를 거쳐 1959년 8월 21일, 하와이는 공식적으로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345]
주 승격 당시 하와이 사회는 "지금 우리들은 다같이 하오레(백인)"라는 유행어가 생겨날 정도로 환영하는 분위기였으며, 시민들은 성취감과 새로운 시대에 대한 기대를 만끽했다.[345] 주 승격 이후 하와이는 급격한 경제 발전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대규모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하와이 사회와 경제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5. 1. 1. 관광 산업의 발전
1959년 주로 승격된 후 10년 동안 하와이는 호텔과 콘도가 늘어선 도시로 변모하기 위해 총액 34억달러가 넘는 건축 투자를 단행했다.[346] 월터 딜링엄의 하와이안 랜드 사는 첫 대형 쇼핑몰인 알라모아나 쇼핑센터를 개업했으며, 항공 및 해상 교통 인프라, 도로, 용수 공급 등 리조트 관광 개발과 연계된 인프라의 근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1963년 미국인 대상 갤럽 조사에서 하와이는 "금전적 제약 없이 휴가를 보내고 싶은 곳" 2위인 캘리포니아보다 거의 두 배 많은 지지를 받으며 1위를 차지했다. 주로 승격되면서 관광 산업이 번창하여 미국 국내외 관광객이 꾸준히 증가했고, 1967년 12월 28일에는 연간 관광객 100만 명을 돌파했다.
일본이 해외여행 규제를 완화한 1964년부터 일본인 관광객 증가가 예상되면서, 하와이에서는 일본어 안내문 설치나 직원 대상 일본어 교육 등을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1970년대에는 패키지 투어가 활성화되면서 일본 자본은 하와이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 자본의 유입은 투기적 성격을 띠며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기도 했다. 1962년 일본 사업가 오사노 켄지가 와이키키의 모아나 호텔과 프린세스 카이울라니 호텔을 1939.9999999999998만달러에 매수한 것을 시작으로, 1972년까지 10년간 50개 이상의 일본 기업이 하와이의 부동산 및 기업을 매수하고 지점을 개설했다.[347] 1974년에는 하와이 상원의원 앤더슨 등이 "일본의 경제 침략"이라며 경고했고, 1980년대 들어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되어[348] 카와모토 겐시로[349], 카와구치 카츠히로[350] 등 일본 투기꾼들의 부동산 매수가 논란이 되었다. "일본 돈"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면서 하와이 대학 이스트 웨스트 센터의 연구자들과 경제평론가 클라이드 프레스트위츠 등은 일본 자본이 하와이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고급 리조트 호텔과 함께 골프장 개발 붐도 일었다. 1992년까지 하와이에는 68개의 골프장이 운영되었고, 같은 해 주 정부에 93개의 골프장 건설 신청이 추가로 접수되었다.[351] 그러나 골프장 건설은 자연환경 훼손과 소박한 생활을 중시하는 현지 주민과의 마찰을 일으켰다. 이에 일부 지역 시장은 개발업자에게 골프장 1개소당 1억달러의 공공시설 개발 비용(마찰 비용)을 부담하게 하여 지역 사회에 환원하는 방식으로 갈등 해소를 시도하기도 했다.
1980년대 후반, 일본 국내외 부동산 투기의 영향으로 하와이의 토지 및 주택 가격이 급등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응한 일본 정부와 일본 은행의 긴축 정책으로 투기 열기가 식었고, 1989년 10월 도쿄 주식 시장 폭락(버블 붕괴)이 발생하자 하와이에서도 일본 기업과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이 급감했다.[352][353] 진행 중이던 다수의 호텔 및 골프장 개발 프로젝트가 중단되거나 보류되었다. 1967년 설탕 및 파인애플 산업 수입을 넘어서며 하와이 최대 산업으로 부상했던 관광업은 1991년 처음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를 기록했다.[354]
5. 1. 2. 일본 자본의 유입과 경제 변화
일본은 1964년 여행 규정이 해제되면서 하와이에서는 일본인 관광객 증가를 예상하고, 일본어 안내문 설치나 직원 대상 일본어 교육을 본격적으로 도입하였다. 1970년대에 들어 패키지 투어가 본격화되면서 일본 자본은 하와이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그러나 이러한 일본 자본의 유입은 투기적인 측면을 동반하며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1962년 일본 사업가 오사노 켄지가 와이키키의 모아나 호텔과 프린세스 카이우라니 호텔을 1939.9999999999998만달러에 매수한 것을 시작으로[347], 1972년까지 10년간 50개 이상의 일본 기업이 하와이의 부동산 및 기업을 매수하거나 하와이 지점을 개설했다.[347] 1974년에는 하와이 상원의원 앤더슨 등이 "일본의 경제 침략"이라며 경고하는 등 일본 자본의 급증은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1980년대에 들어서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되었고[348], 카와모토 겐시로[349]나 카와구치 카츠히로[350]와 같은 일본의 투기꾼들에 의한 부동산 매수 문제가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일본 돈"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면서, 하와이 대학교 이스트 웨스트 센터의 연구자들과 경제평론가 클라이드 프레스트위츠 등은 일본 자본이 하와이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고급 리조트 호텔과 골프장 개발 붐이 일어 1992년에는 이미 68개의 골프장이 운영 중이었고, 같은 해 주 정부에 93개의 골프장 건설 신청이 추가로 접수될 정도였다.[351] 그러나 골프장 건설은 소박한 생활을 추구하는 현지 주민들과의 마찰을 일으켰다. 이에 하와이 시장은 골프장 1개소 건설 시 개발 비용(마찰 비용)으로 1억달러를 개발자 측에 요구하고, 이를 지역 사회에 환원하여 갈등을 해소하고자 했다.
1980년대 후반, 일본 국내외 부동산 투기의 영향으로 하와이의 토지 및 주택 가격이 급등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의 긴축 정책으로 투기 열기가 꺾이고, 1989년 10월 도쿄 주식 시장 폭락(버블 붕괴)이 발생하자 하와이에서도 일본 기업과 투자자들의 투자가 급감했다.[352][353] 진행 중이던 여러 호텔 및 골프장 개발 프로젝트가 중단되거나 보류되었다. 1967년 이후 설탕 및 파인애플 산업 수입을 넘어서 하와이 최대 산업이 된 관광업 역시 1991년 처음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를 기록하며[354] 일본 자본 유입 감소의 영향을 받았다.
5. 2. 하와이 원주민의 권리 회복 운동
하와이 원주민의 인구는 서구와의 접촉 및 하와이 왕국 병합 과정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1900년 미국이 처음 실시한 인구 조사에서는 37,656명까지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후 점차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10]많은 하와이 원주민들은 하와이가 독립을 잃고 미국에 편입된 과정에 대해 역사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0년대 하와이 르네상스가 일어나 하와이어와 고유 문화, 그리고 하와이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관심과 자각이 높아졌다. 이는 하와이 원주민의 권리 회복을 위한 중요한 움직임의 시작이었다.
미국 정부 차원에서도 과거사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 표명이 있었다. 1993년 미국 의회는 사과 결의안(US 공법 103-150)을 통과시켜 하와이 왕국 전복과 원주민의 자결권 박탈에 대해 사과했지만, 이 결의안의 역사 해석과 실질적인 효력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177][178][179][180][7][8] 또한, 대니얼 아카카 상원의원이 발의했던 아카카 법안과 같이 하와이 원주민에게 미국 원주민과 유사한 지위를 부여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연방 의회를 통과하지는 못했다.[181]
오늘날 하와이는 관광 산업의 발전 이면에 환경 오염, 역사 유적 파괴, 물가 상승 등 여러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하와이 원주민 문제 사무국 등을 중심으로 하와이 원주민의 자치권 획득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5. 2. 1. 하와이안 르네상스
1960년대에 시작된 하와이 르네상스는 하와이어, 문화, 그리고 하와이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0] 이는 하와이 원주민 인구가 하와이 왕국 전복 이후 감소하여 1900년 미국 인구 조사에서 최저점인 37,656명을 기록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일어난 중요한 움직임이었다.[10]많은 하와이 원주민들은 하와이 왕국이 독립을 잃고 미국에 병합된 과정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왔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미국 의회는 1993년 11월 23일, 빌 클린턴 대통령이 서명한 사과 결의안(US 공법 103-150)을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은 "1893년 1월 17일 하와이 왕국 전복에 대해, 그리고 하와이 원주민의 자결권 박탈에 대해 미국 국민을 대신하여 하와이 원주민에게 사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77][178] 하지만 이 결의안의 역사 해석과 적용 범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예를 들어, 왕국 전복을 주도한 안전 위원회가 하와이 시민들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간과했다는 비판[179]과, 사과의 대상이 왜 접촉 이전 하와이 거주민의 후손에게만 한정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지적[180][7][8] 등이 제기되었다.
2000년에는 대니얼 아카카 상원의원이 하와이 원주민 혈통을 가진 사람들에게 미국 원주민 부족과 유사한 지위를 부여하여 연방 정부의 인정을 받도록 하는 아카카 법안을 제안했으나, 이 법안은 의회를 통과하지 못했다.[181]
5. 2. 2. 자치권 획득 운동
현대는 관광 도시로서 발전을 이루었지만, 개발로 인한 환경 오염, 역사 유적의 파괴, 인구 증가에 따른 지가 및 물가 상승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와 함께 하와이 원주민 문제 사무국이 제기하는 하와이 원주민의 자치권 획득 문제 역시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하와이는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책을 모색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5. 3. 현재의 하와이
폴리네시아인들이 가져온 전통을 지키며 생활하던 하와이는 1778년 제임스 쿡 선장의 항해 이후 서구 사회에 알려지면서 근대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약 100년에 걸친 섬들 간의 전쟁 끝에 하와이 왕국으로 통일되었으며, 서양과의 접촉은 하와이 사회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19세기 들어 유럽과 미국에서 온 이민자들과 그 후손들은 기독교 전파와 경제 개발을 명분으로 하와이 사회에 깊숙이 관여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점차 경제적 안정을 넘어 정치적 영향력을 추구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그 힘은 더욱 강력해졌다. 특히 사탕수수 농장 경영과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와 토지를 축적한 이들은 산업 발전을 위해 일본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값싼 노동력을 대규모로 유입시켰고, 이는 하와이가 다양한 인종이 혼합된 복잡한 문화를 형성하는 배경이 되었다.
결국 백인을 중심으로 한 세력은 하와이 원주민의 국가를 무너뜨리고, '근대화'라는 명분 아래 1900년 하와이를 미국의 영토로 병합시켰다. 병합 이전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발발 당시, 미국은 태평양에서의 군사 작전을 위한 안정적인 보급 기지의 필요성을 느꼈고, 이미 독점 사용권을 확보하고 있던 진주만의 전략적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하와이 병합을 추진했다.[242] 1898년 7월 7일,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이 하와이 병합 결의안에 서명하면서 하와이의 주권은 미국으로 넘어갔다. 1900년에는 하와이 유기법(Hawaiian Organic Act)이 시행되어 미국 법률이 적용되는 하와이 준주가 공식 출범했으며, 초대 준주 지사에는 전 하와이 공화국 대통령이었던 샌퍼드 돌이 임명되었다.
이후 하와이는 태평양 전쟁 등 국제적 갈등 속에서 태평양의 중요한 군사 거점으로 개발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노동자로 이주해 온 많은 일본계 이민자들은 심각한 차별을 겪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 하와이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발전했지만, 동시에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5. 3. 1. 당면 과제
현대 하와이는 관광 도시로서 발전을 이루었으나, 여러 당면 과제에 직면해 있다.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환경 오염, 역사 유적의 파괴 문제가 심각하며, 인구 증가로 인한 지가 및 물가 상승 역시 주민들의 삶에 부담을 주고 있다. 특히 하와이 원주민 문제 사무국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하와이 원주민의 자치권 획득 요구는 하와이 사회의 중요한 현안으로 남아있다. 하와이는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들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5. 3. 2.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논문
A Paleoenvironmental and Archaeological Model-based Age Estimate for the Colonization of Hawaiʻi
http://www.jstor.org[...]
Society for American Archaeology
2024-05-07
[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New Zea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뉴스
Kamehameha: The Founding of the Hawaiian Kingdom
https://www.hawaiifr[...]
2024-01-28
[4]
논문
On the 'Margins' of Empire? Toward a History of Hawaiian Labour and Settlement in the Pacific Northwest
http://www.jstor.org[...]
The Polynesian Society
2024-05-07
[5]
논문
Japan's Protest against the Annexation of Hawaii
http://dx.doi.org/10[...]
2024-02-24
[6]
웹사이트
Kingdom of Hawaii Constitution of 1840
https://www.hawaii-n[...]
2022-01-23
[7]
논문
To Dwell on the Earth in Unity: Rice, Arakaki, and the Growth of Citizenship and Voting Rights in Hawaii
https://www.angelfir[...]
2022-01-23
[8]
웹사이트
The Historical Context for Sacredness, Title, and Decision Making in Hawai'i: Implications for TMT on Maunakea
https://www.imuatmt.[...]
2022-01-23
[9]
웹사이트
Chuukese and Papua New Guinean Populations Fastest Growing Pacific Islander Groups in 2020
https://www.census.g[...]
2024-02-21
[10]
웹사이트
Native Hawaiian Population Enumerations in Hawai'i
https://19of32x2yl33[...]
2022-01-23
[11]
서적
Dominion from Sea to Sea: Pacific Ascendancy and American Pow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06-21
[12]
논문
American Imperialism in Hawai'i: How the United States Illegally Usurped a Sovereign Nation and Got Away With It
https://repository.u[...]
2024-05-08
[13]
논문
The Lāhui Strikes Back: The Illegal Overthrow of the Hawaiian Kingdom and the Struggle for Hawai'i's Water Resources
https://scholarspace[...]
2024-05-08
[14]
서적
Oceanic Migration: Paths, Sequence, Timing and Range of Prehistoric Migration in the Pacific and Indian Ocean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7-03-27
[15]
논문
A paleoenvironment and archeological model-based age estimate for the colonization of Hawai'i.
2014
[16]
서적
Nā Pua Ali{{'okina}}i O Kaua{{'okina}}i: Ruling Chiefs of Kaua{{'okina}}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
[17]
웹사이트
In the beginning
http://www.hawaiihis[...]
Info Grafik Inc.
2014-12-20
[18]
웹사이트
Heiau and Kapu
http://www.hawaiiane[...]
Mutual Publishing
2014-12-20
[19]
서적
Ruling Chiefs of Hawaii
http://www.ulukau.or[...]
Kamehameha Schools Press
2016-05-20
[20]
서적
Islands in Transiti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Hawaii's Econom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1]
서적
The Journals
Penguin Books
[22]
서적
Hawaiian Antiquities
http://www.ahamoku.o[...]
Hawaiian Gazette Co., Ltd
2022-01-23
[23]
웹사이트
Nā Puke Wehewehe ʻŌlelo Hawaiʻi
https://wehewehe.org[...]
2024-10-31
[24]
서적
Hawaii's Religions
https://books.google[...]
Tuttle
1970-06-10
[25]
서적
Lonely Planet Kauai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6]
서적
Na pule kahiko: ancient Hawaiian prayers
https://books.google[...]
Editions Limited
1983-11
[27]
문서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28]
서적
Hawaií in 1819: A Narrative Account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Anthropology, Bernice Pauahi Bishop Museum
2016-09-14
[29]
서적
The legends and myths of Hawaii: The fables and folk-lore of a strange people
https://books.google[...]
C.L. Webster & Company
[30]
서적
Northern California, Oregon, and the Sandwich Islands
https://books.google[...]
Harper
[31]
서적
Ancient Hawaiian Civilization: A Series of Lectures Delivered at the Kamehameha School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32]
서적
Ancient Hawaiian Civilization: A Series of Lectures Delivered at THE KAMEHAMEHA SCHOOL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24-02-22
[33]
서적
Hawaiian Antiquities: (Moolelo Hawaii)
https://books.google[...]
Hawaiian islands
[34]
서적
Ideology and the Formation of Early States
https://books.google[...]
BRILL
1996
[35]
서적
Ideology and the Formation of Early States
https://books.google[...]
Trubner & Company
2024-02-26
[36]
서적
Sacred Queens and Women of Consequence: Rank, Gender, and Colonialism in the Hawaiian Islan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7]
서적
Hewa: The Wrong Way of Living
https://books.google[...]
CRDG
2009
[38]
서적
Nordhoff's West Coast: California, Oregon, and Hawaii
https://books.google[...]
Routledge
[39]
서적
The Creation of Inequality: How Our Prehistoric Ancestors Set the Stage for Monarchy, Slavery, and Empi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05-15
[40]
서적
The Arts of Kingship: Hawaiian Art and National Culture of the Kalākaua Er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41]
서적
Hawaii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42]
서적
Hawaii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43]
뉴스
Ka Moolelo O Hawaii Nei
1865-09-23
[44]
웹사이트
Kumalaenui-a-Umi .
https://www.geni.com[...]
2019-04-04
[45]
웹사이트
Kekoolani Genealogy of the Descendants of the Ruling Chiefs of Hawaii - pafg54 - Generated by Personal Ancestral File
http://www.kekoolani[...]
[46]
서적
The Seven Dawns of the Aumakua: The Ancestral Spirit Tradition of Hawaii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
2004-03-03
[47]
서적
Sociology in a Changing World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1
[48]
서적
From the Closet to the Altar: Courts, Backlash, and the Struggle for Same-Sex Marri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0-18
[49]
간행물
''Aikāne''
http://dx.doi.org/10[...]
1990-09-10
[50]
서적
Encyclopedia of Sex and Gender: Men and Women in the World's Cultures Topics and Cultures A-K - Volume 1; Cultures L-Z -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3-12-31
[51]
서적
Lesbian Histories and Cultures: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2]
서적
Rethinking the Native Hawaiian P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25
[53]
서적
Homosexualit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06-01
[54]
서적
Ulukau: From the Mountains to the Seas - Early Hawaiian Life
http://ulukau.org/el[...]
Kamehameha Schools Hawaiian Studies Institute, 1994
[55]
문서
Losch, Tracie, and Momi Kamahele, "Hawaii: Center of the Pacific" (Pearl City: University of Hawaii Leeward Community College, 2008)
[56]
웹사이트
Ahupuaa
http://www.hawaiihis[...]
[57]
웹사이트
Ahupuaʻa: Sustainability
http://www.hawaii.ed[...]
[58]
웹사이트
The Ahupuaʻa of Puanui: A Resource for Understanding Hawaiian Rain-fed Agriculture
http://www.pacificsc[...]
[59]
웹사이트
Canoe Plants of Ancient Hawaiʻi
http://www.canoeplan[...]
[60]
서적
Hawai'i: Center of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Copley Custom Textbooks
[61]
웹사이트
konohiki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Incorporated
[62]
간행물
Monumental architecture and power in Polynesian chiefdoms: A comparison of Tonga and Hawaii
1990
[63]
서적
Ancient Hawaiian Civilization: A Series of Lectures Delivered
https://books.google[...]
Tuttle
2012-12-21
[64]
서적
A Dictionary of Hawaiian Legal Land-Ter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5
[65]
서적
Hawaii Reports: Cases Determined in the Supreme Court of the State of Hawaii
https://books.google[...]
Valenti Brothers Graphics
[66]
서적
H__ena: Through the Eyes of the Ancesto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67]
서적
Hawaiian Antiquities
http://www.ahamoku.o[...]
[68]
웹사이트
The Last Stand
https://hanahou.com/[...]
[69]
간행물
The Link that Kept the Philippines Spanish: Mexican Merchant Interests and the Manila Trade, 1571–1815
[70]
서적
Hawaii Chronicles: Island History from the Pages of Honolulu Magazin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71]
서적
History of the Hawaiian Islands
https://www.google.c[...]
Henry M. Whitney
1872
[72]
서적
Hawaii's Discovery by Spaniards; Theories Traced and Refuted
https://catalog.hath[...]
Hawaiian Historical Society
1939
[73]
서적
The Pacific Islands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1989
[74]
간행물
Great Britain in Hawaii: The Captain Cook Monument
[75]
서적
The Spanish lake
ANU E Press
2004
[76]
서적
The Three Voyages of Captain James Cook Round the World. ...
https://books.google[...]
Longman, Hurst, Rees, Orme, and Brown
2022-05-04
[77]
서적
The Journals
Penguin Books
2000-04-01
[78]
서적
Declarations of Independence: Encyclopedia of American Autonomous and Secessionist Movement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2-05-04
[79]
서적
Hawaii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0-09-15
[80]
서적
Visions of Culture: An Introduction to Anthropological Theories and Theorists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16-09-14
[81]
서적
Captain Cook: The Life, Death and Legacy of History's Greatest Explorer
2003
[82]
서적
The Climate, Diseases and Materia Medica of the Hawaiian Islands
https://hdl.handle.n[...]
Holman & Gray, Printers
[83]
서적
A Narrative of the Death of Captain James Cook: To Which are Added Some Particulars, Concerning His Life and Character. And Observations Respecting the Introduction of the Venereal Disease into ohe Sandwich Islands
https://www.gutenber[...]
[84]
서적
Lost Kingdom: Hawaii's Last Queen, the Sugar Kings and America's First Imperial Adventure
https://books.google[...]
Atlantic Monthly Press
2012-01-01
[85]
서적
Remaking Queen Victor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10-02
[86]
서적
History of the Sandwich Islands. [With a map.]
https://books.google[...]
Press of the Mission Seminary
2016-09-14
[87]
서적
Pauahi: The Kamehameha Legacy
https://books.google[...]
Kamehameha Schools Press
2016-09-14
[88]
서적
Annual Report of the Hawaiian Historical Society
https://books.google[...]
The Hawaiian Historical Society
[89]
서적
Kamehameha: The Warrior King of Hawai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08-08
[90]
서적
I-H3, Halawa Interchange to Halekou Interchange, Honolulu: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https://books.google[...]
[91]
서적
under hawaiian skies
https://books.google[...]
[92]
서적
An Account of the Polynesian Race: Its Origins and Migrations, and the Ancient History of the Hawaiian People to the Times of Kamehameha I
https://books.google[...]
Trübner & Company
[93]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Hawaiian people
https://books.google[...]
American Book Co.
[94]
서적
Pocketful of History: Four Hundred Years of America-One State Quarter at a Time
https://books.google[...]
Perseus Books Group
[95]
서적
Hawai'i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96]
서적
Madness, betrayal and the lash: the epic voyage of Captain George Vancouver
Douglas and McIntyre
2008
[97]
웹사이트
Flag of Hawaii | United States state flag
https://www.britanni[...]
2017-09-21
[98]
서적
Lonely Planet Hawaii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13-08-01
[99]
서적
Lonely Planet Maui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100]
서적
The Americas: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101]
서적
Lahaina Watershed Flood Control Project: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https://books.google[...]
[102]
서적
Hawaii's Forgotten History: 1900–1999: The Good...The Bad...The Embarrassing
https://books.google[...]
Aloha Press
2005
[103]
서적
Frommer's Maui 2013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7-17
[104]
서적
Feathered Gods and Fishhooks: An Introduction to Hawaiian Archaeology and Pre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
[105]
서적
Pauline Frommer's Hawaii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07-14
[106]
서적
Hawaii's Royal History
https://books.google[...]
Bess Press
[107]
서적
Hawaii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Books
[108]
서적
The Hawaiian Kingdo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38
[109]
서적
To Live Among the Stars: Christian Origins in Oceania
https://books.google[...]
editorips@usp.ac.fj
1982
[110]
서적
Kauai: The Separate Kingdo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8-02-01
[111]
서적
Making Gender: The Politics and Erotics of Culture
https://books.google[...]
Beacon Press
[112]
서적
The Volcano Is Our Home
https://books.google[...]
Balboa Press
2014-03-18
[113]
간행물
Determining the Birth Date of Kauikeaouli, Kamehameha III
https://dx.doi.org/1[...]
2018-11
[114]
간행물
Sacred Wife of Kamehameha I
http://hdl.handle.ne[...]
2023-03-30
[115]
서적
Colonizing Hawai'i: The Cultural Power of Law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09-30
[116]
서적
Colonizing Hawai'i: The Cultural Power of Law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01-10
[117]
웹사이트
Kamehameha III - Hawaii History - Monarchs
http://www.hawaiihis[...]
2023-03-22
[118]
간행물
Transl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Laws of the Hawaiian Islands, Established in the Reign of Kamehameha III
https://heinonline.o[...]
2023-05-09
[119]
간행물
Mapping the Hawaiian Kingdom: A Colonial Venture?
https://heinonline.o[...]
2023-05-09
[120]
뉴스
The Hawaiian star. [volume] (Honolulu [Oahu]) 1893-1912, July 31, 1893, Image 2
https://chroniclinga[...]
2023-03-22
[121]
웹사이트
His Majesty King Kamehameha III
https://www.crownofh[...]
2023-03-23
[122]
서적
Speeches of His Majesty Kamehameha IV: To the Hawaiian Legislature ...
https://books.google[...]
Printed at the Government Press
2024-02-24
[123]
웹사이트
Kamehameha IV {{!}} king of Hawaii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3-28
[124]
간행물
King Kamehameha IV's Attitude towards the United States
https://www.jstor.or[...]
2023-03-30
[125]
서적
Who Owns the Crown Lands of Hawai'i?
https://www.degruyt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3-03-28
[126]
웹사이트
Liholiho, Alexander
http://archives1.dag[...]
2023-03-28
[127]
간행물
Death of the Prince of Hawai'i: A Retrospective Diagnosis
http://hdl.handle.ne[...]
2023-03-30
[128]
뉴스
The Pacific commercial advertiser. [volume] (Honolulu, Hawaiian Islands) 1856-1888, December 03, 1863, Image 2
https://chroniclinga[...]
2023-03-29
[129]
서적
Darwin's Laboratory: Evolutionary Theory and Natural History in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6-09-14
[130]
웹사이트
The Last Stop For Whalers And Sailors
https://www.civilbea[...]
2024-02-25
[131]
문서
[132]
서적
Hawaii: The Aloha State
https://books.google[...]
World Almanac Library
2016-09-14
[133]
서적
The History of Sugar, Volume 1
Chapman and Hall Ltd
[134]
서적
From a Native Daughter: Colonialism and Sovereignty in Hawaiʻ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135]
서적
The Psychologist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136]
서적
Merchant Prince of the Sandalwood Mountains: Afong and the Chinese in Hawai'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3-11-17
[137]
서적
The United States in the Pacific: Private Interests and Public Policies, 1784–1899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5
[138]
서적
Builders of Hawaii
https://books.google[...]
The Kamehameha Schools Press
2024-02-26
[139]
서적
The Gilded Age: Perspectives on the Origins of Modern Americ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6-09-11
[140]
서적
The Hawaii State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3-18
[141]
서적
American Invasions: Canada to Afghanistan, 1775 to 2010: Canada to Afghanistan, 1775 to 2010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2010-09-02
[142]
서적
A Digest of International Law
https://archive.org/[...]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43]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Foreign Relations, 1865-1900
http://dx.doi.org/10[...]
2024-02-24
[144]
서적
Hawaii
https://books.google[...]
Interlink Books
[145]
서적
The Imperial Cruise: A Secret History of Empire and War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2009-11-24
[146]
서적
Aloha Betrayed: Native Hawaiian Resistance to American Colonialism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04-09-07
[147]
서적
Decolonizing Native Histories: Collaboration, Knowledge, and Language in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1-12-30
[148]
서적
Hawaii's Story
https://digital.libr[...]
Tothrop, Lee & Shepard Co.
2022-01-23
[149]
서적
Hawaii's Story
https://archive.org/[...]
Tothrop, Lee & Shepard Co.
[150]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894: Affairs in Hawaii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151]
서적
Hawaii's Story
https://archive.org/[...]
Tothrop, Lee & Shepard Co.
[152]
서적
The Palace Hotel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2009-02-11
[153]
서적
Hawaii's story by Hawaii's queen, Liliuokalani
https://books.google[...]
Lee and Shepard, reprinted by Kessinger Publishing, LLC
2007-07-25
[154]
서적
Pacific Diaspora: Island Peoples in the United States and Across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155]
서적
Race Over Empire: Racism and U.S. Imperialism, 1865–1900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156]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57]
서적
https://books.google[...]
[158]
서적
[159]
서적
The Hawaiian Kingdom, Volume 3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0]
서적
The Hawaiian Kingdom, Volume 3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
서적
The Hawaiian Revolution (1893–94)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162]
서적
The American Promise, Combined Volume: A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Bedford/St. Martin's
2012-01-09
[163]
서적
Mass Immigration and the National Interest: Policy Directions for the New Century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3
[164]
서적
Immigration and American Unionism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65]
서적
Comparative Constitutional Law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1
[166]
서적
Unconquerable Rebel: Robert W. Wilcox and Hawaiian Politics, 1880–1903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167]
서적
Hawaii and its people
Silver, Burdett and company
[168]
서적
The Real Hawaii
https://archive.org/[...]
Doubleday & McClure company
[169]
서적
American Indians: Answers to Today's Ques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70]
간행물
Overthrow: America's Century of Regime Change from Hawaii to Iraq
http://dx.doi.org/10[...]
2024-02-24
[171]
서적
The Hawaiian Revolution (1893–94)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172]
웹사이트
ハワイと日本の歴史的関係~ハワイ王国・アメリカ編入・太平洋戦争etc
https://shiodome.co.[...]
2022-08-06
[173]
간행물
The Hawaiian Republic, 1894-98, and Its Struggle to Win Annexation
http://dx.doi.org/10[...]
Susquehanna U Press
2024-02-24
[174]
웹사이트
For a group of Siberians, Hawaii was far from a tropical paradise
https://www.pri.org/[...]
The World in Words
2015-01-28
[175]
서적
Hawaii Goes to War: Life in Hawaii from Pearl Harbor to Peace
https://books.google[...]
Editions Limited
1989
[176]
웹사이트
European Theater of Operations – 100/442d Regimental Combat Team
http://www.history.a[...]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6-05
[177]
뉴스
Law expert Francis Boyle urges natives to take back Hawaii
https://web.archive.[...]
2015-06-04
[178]
웹사이트
Hawaii Divided Against Itself Cannot Stand
https://www.angelfir[...]
Lycos
2012-09-04
[179]
서적
Hawaiian Sovereignty: Do the Facts Matter?
https://bigfiles90.a[...]
Goodale Publishing
2022-01-23
[180]
간행물
Hawaiian Reparations: Nothing Lost, Nothing Owed
https://www.angelfir[...]
2022-01-23
[181]
뉴스
Aloha, Apartheid: A court strikes down a race-based policy in Hawaii, while Congress considers enshrining one
2005-08-08
[182]
문서
後藤2004、p.16
[183]
문서
矢口2005、p.214
[184]
문서
ハワイ州観光局
[185]
문서
後藤2004、p.24
[186]
문서
延江3
[187]
문서
矢口2005、p.216
[188]
문서
後藤2004、p.23
[189]
문서
延江1
[190]
문서
石出p.34
[191]
문서
延江4
[192]
문서
延江5
[193]
문서
中嶋p.18
[194]
문서
石出p.38
[195]
문서
クムリポにおいてはハワイの王族はタヒチから来た家系に由来するとされており、その時既にハワイにいた先住民にフラやパーカッション、儀式や儀礼を伝えた、とされている。
[196]
문서
矢口2005、p.216-217
[197]
문서
矢口2005、p.217
[198]
문서
中嶋p.19
[199]
문서
中嶋p.20
[200]
문서
中嶋p.17
[201]
문서
石出p.13
[202]
문서
中嶋p.17
[203]
문서
矢口2005
[204]
문서
タナカp.12
[205]
문서
タナカp.13
[206]
문서
中嶋p.21
[207]
문서
タナカp.14
[208]
문서
中嶋p.22
[209]
문서
中嶋p.23
[210]
문서
中嶋p.24
[211]
서적
中嶋p.31
[212]
서적
中嶋p.32
[213]
서적
中嶋p.33
[214]
서적
中嶋p.34
[215]
서적
中嶋p.35
[216]
서적
中嶋p.36
[217]
서적
中嶋p.37-38
[218]
서적
中嶋p.38
[219]
서적
中嶋p.39
[220]
서적
中嶋p.58
[221]
서적
中嶋p.59
[222]
서적
中嶋p.60
[223]
서적
中嶋p.61
[224]
서적
中嶋p.76
[225]
서적
中嶋p.77
[226]
서적
中嶋p.76
[227]
서적
中嶋p.79
[228]
서적
中嶋p.81
[229]
논문
後藤濶リンチ事件と記念碑――ハワイ日系社会黎明期の記憶の表象
2013-03-25
[230]
서적
中嶋p.83
[231]
서적
中嶋p.84
[232]
서적
中嶋p.90
[233]
서적
中嶋p.92
[234]
서적
中嶋p.96
[235]
서적
中嶋p.93-94
[236]
서적
中嶋p.95
[237]
서적
猿谷p.178
[238]
서적
猿谷p.181
[239]
서적
猿谷p.188
[240]
서적
中嶋p.104
[241]
서적
猿谷
[242]
서적
中嶋p.123
[243]
서적
中嶋p.148
[244]
서적
中嶋p.160
[245]
서적
中嶋p.164
[246]
서적
矢口2002、p.74
[247]
서적
中嶋p.180
[248]
서적
矢口2002、p.75
[249]
서적
矢口2002、p.86
[250]
서적
矢口2002、p.77
[251]
서적
矢口2002、p.81
[252]
서적
矢口2002、p.82
[253]
서적
矢口2002、p.102
[254]
서적
中嶋p.195
[255]
서적
中嶋p.196-197
[256]
서적
中嶋p.198
[257]
서적
中嶋p.199
[258]
서적
中嶋p.214
[259]
서적
中嶋p.218
[260]
서적
中嶋p.228
[261]
서적
中嶋p.230-234
[262]
서적
中嶋p.231
[263]
서적
中嶋p.233
[264]
서적
中嶋p.236-239
[265]
서적
中嶋p.235
[266]
서적
中嶋p.234-236
[267]
서적
中嶋p.239-241
[268]
서적
山中1993、p.165
[269]
서적
山中1993、p.166
[270]
서적
山中1993、p.170
[271]
서적
バローp.50
[272]
서적
山中1993、p.174
[273]
서적
後藤2004、p.16
[274]
서적
矢口2005、p.214
[275]
간행물
ハワイ州観光局
[276]
서적
文字を持った例外的なものとしてはイースター島のロンゴロンゴが挙げられる(後藤2004、p.24)。
[277]
문서
延江3
[278]
서적
矢口2005、p.216
[279]
서적
後藤2004、p.23
[280]
문서
延江1
[281]
서적
石出
[282]
문서
[283]
서적
中嶋
[284]
서적
石出
[285]
문서
[286]
서적
矢口
2005
[287]
서적
矢口
2005
[288]
서적
中嶋
[289]
서적
中嶋
[290]
문서
[291]
서적
タナカ
[292]
서적
タナカ
[293]
서적
中嶋
[294]
서적
タナカ
[295]
서적
中嶋
[296]
서적
中嶋
[297]
문서
[298]
서적
中嶋
[299]
서적
中嶋
[300]
서적
中嶋
[301]
서적
中嶋
[302]
서적
中嶋
[303]
서적
中嶋
[304]
문서
[305]
서적
中嶋
[306]
서적
中嶋
[307]
서적
中嶋
[308]
서적
中嶋
[309]
문서
[310]
서적
中嶋
[311]
서적
中嶋
[312]
서적
中嶋
[313]
문서
[314]
문서
[315]
서적
中嶋
[316]
서적
中嶋
[317]
서적
中嶋
[318]
서적
中嶋
[319]
서적
中嶋
[320]
서적
ハワイ・さまよえる楽園
[321]
서적
中嶋
[322]
서적
猿谷
[323]
서적
猿谷
[324]
서적
猿谷
[325]
서적
中嶋
[326]
서적
猿谷
[327]
서적
中嶋
[328]
서적
中嶋
[329]
서적
中嶋
[330]
서적
中嶋
[331]
서적
矢口2002
[332]
서적
中嶋
[333]
서적
矢口2002
[334]
서적
矢口2002
[335]
서적
矢口2002
[336]
서적
矢口2002
[337]
서적
矢口2002
[338]
서적
矢口2002
[339]
서적
矢口2002
[340]
서적
中嶋
[341]
서적
中嶋
[342]
서적
中嶋
[343]
서적
中嶋
[344]
서적
中嶋
[345]
서적
中嶋
[346]
서적
中嶋
[347]
서적
中嶋
[348]
뉴스
ホノルル・アドバタイザー
1991
[349]
서적
中嶋
[350]
서적
中嶋
[351]
서적
中嶋
[352]
뉴스
[353]
서적
中嶋
[354]
서적
中嶋
[355]
서적
山中
1993
[356]
서적
山中
1993
[357]
서적
山中
1993
[358]
서적
バロー
[359]
서적
山中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