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1세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세기는 서하의 등장, 고려-거란 전쟁, 셀주크 투르크의 부상 등 동서양에서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송나라와 요나라 간의 산원 조약, 중국의 활자 인쇄술 발명, 왕안석의 개혁 등이 있었고, 서아시아에서는 가즈나 왕조와 셀주크 왕조의 부상, 만지케르트 전투가 일어났다. 유럽에서는 동서 교회의 분열, 십자군 원정의 시작, 노르만족의 잉글랜드 정복 등이 주요 사건으로 꼽힌다. 이 시기에는 건축 기술, 과학 기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발전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11세기
지도
11세기
주요 사건
정치1002년: 키예프 대공국, 브레스트 전투에서 폴란드에게 패배
1018년: 부얀과 카잔 지역의 볼가 불가리아에서 루스의 공격으로 루스 - 볼가 불가리아 전쟁이 발생함
1025년: 신성 로마 제국의 콘라트 2세가 황제로 즉위함
1037년: 송나라에서 경력력(慶曆曆)을 제정함
1054년: 기독교의 동서 교회 분열 발생
1066년: 노르만 정복으로 윌리엄 1세잉글랜드의 왕이 됨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셀주크 제국이 비잔티움 제국을 격파함
1073년: 그레고리오 7세가 교황으로 즉위함
1096년 ~ 1099년: 제1차 십자군 전쟁 발발
문화
예술1020년 ~ 1030년: 북송에서 여요(汝窯)가 설립됨
1050년 경: 페르시아의 카라칸 탑 건설
1060년: 알사흘리가 아스트롤라베를 제작함
바실레이오스 2세의 시편 제작
과학1010년경: 이븐 시나의 의학 정전이 편찬됨
인물
정치바실레이오스 2세: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콘라트 2세: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윌리엄 1세: 잉글랜드의 왕
그레고리오 7세: 교황
로베르 기스카르: 노르만족의 모험가
문화이븐 시나: 페르시아의 의사이자 철학자
무라사키 시키부: 일본의 소설가 (겐지 이야기 저자)
기타
건축물카라칸 탑
북송 여요 청자연화식 따뜻한 그릇

2. 역사

서하가 등장하여 비단길의 요충 지역을 차지하였다.[46]

1010년–1011년에는 제2차 고려-거란 전쟁이 있었다. 고려 국왕은 일시적으로 수도에서 피신하였으나, 발판을 마련하지 못하고 거란군의 반격을 우려하여 거란군이 철군했다.

1018년에는 제3차 고려-거란 전쟁이 있었다.; 강감찬 장군이 귀주 전투에서 거란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거란군은 철군했고 양측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2. 1. 한국 (고려)

서하가 등장하여 비단길의 요충 지역을 차지하였다.[46]

1010년–1011년에는 제2차 고려-거란 전쟁이 있었다. 고려 국왕은 일시적으로 수도에서 피신하였으나, 발판을 마련하지 못하고 거란군의 반격을 우려하여 거란군이 철군했다.

1018년에는 제3차 고려-거란 전쟁이 있었다.; 강감찬 장군이 귀주 전투에서 거란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거란군은 철군했고 양측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2. 2. 동아시아

서하가 등장하여 비단길의 요충지역을 차지하였다.[46]

1005년, 중국 송나라거란 요나라 사이에 산원 조약이 체결되었다.

1041년–1048년, 중국 장인 비승이 도자기 활자 인쇄술을 발명하였다.

1043년, 송나라의 재상 범중엄과 저명한 관리이자 역사가인 오양수가 경력개혁을 도입했으나, 개혁에 대한 당파적 저항으로 1045년에 폐지되었다.

1044년, 증공량과 양위덕이 저술한 중국의 ''무경총요''는 최초로 화약 공식을 기술하였으며,[7] 또한 화약을 함침한 도화선을 이용한 화염방사기 등 전쟁에서의 용도를 기술하였다.[8] 초기 형태의 나침반인 자기 나침반도 기술되어 있다.[9]

1080~1081년, 중국 정치가이자 과학자인 심괄(沈括)이 서하(西夏)에 대한 원정을 지휘했지만, 연안(延安)으로 향하는 서하의 침입 경로를 성공적으로 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장교가 황제의 명령을 어기는 바람에 결국 원정은 실패로 돌아갔다.

1084년, 재상 사마광(司馬光)의 지휘 아래 학자들이 방대한 중국 역사서인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편찬하여 294권, 300만 자의 한자로 완성하였다.

1087년, 중국의 국제 항구인 취안저우(泉州)에 아프리카, 아라비아, 인도, 스리랑카, 페르시아, 동남아시아에서 온 외국 상품의 모든 상업 거래에 대한 세금과 관세를 처리하고 규제하기 위한 새로운 사무소가 설립되었다.

1088년, 저명한 박식가이자 중국 과학자, 관리였던 심괄(沈括)이 그의 저서 『몽계필담(夢溪筆談)』에서 세계 최초로 자기 나침반에 대한 언급을 하였고, 백과사전적인 과학적 발견에 대한 기록과 연구를 수록하였다.[12][13]

동아시아에서는 북송(北宋)의 경제적 번영이 계속되었지만, 거란(遼)과 서하(西夏)에 대한 조공의 부담과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가 큰 부담으로 작용하여 왕안석(王安石)의 개혁이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중기부터 후기 초기에 해당한다. 원정의 시작 이후를 중세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11세기 전반부터 중반에 걸쳐서는, 후지와라 북가에 의한 '''섭관정치'''가 전성기를 맞았지만, 지방에서는 국사가정상소가 행해지고, 소영주(小領主)의 유력한 무사가 대두하고 있었다. 명목적인 기진(寄進) 장원에 과세하는 등 세금의 공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장원정리령이 행해졌지만, 반면 여기서 공인된 장원은 그때까지의 공전(公田) 속에 세금 징수권이 장원 영주에게 있는 농지가 산재한 형태에서 일원 영역화하여 정돈된 경영 영역으로 변화하고, 국아에 납세하는 공령(公領)과 대등한 권리 주체로서의 지위를 획득한다. 여기서 장원과 공령의 영역 등을 둘러싼 무력 분쟁이 다발하는 사태가 되고, 양측의 현지 관리인으로서 무력 분쟁에 대한 대응 능력이 있는 무사가 임명되는 일이 많아지면서, 무사의 지방 영주화가 진행되었다. 11세기 후반이 되면 후지와라 씨의 힘이 미치지 않는 후삼조 천황의 친정이 계기가 되어 '''원정'''이 시작되었다. 원정은 수령(受領)이 분쟁 당사자가 됨으로써 조정 불능이 된 장원 공령 간의 분쟁의 조정자로서 권력을 높이고, 또한 원(院) 자신도 장원 영주로서 광대한 장원을 축적했다. 이렇게 장원과 공령이 병존하여 지방 사회의 통치 단위가 되는 장원공령제는 이 원정기를 통해 발전해 나가게 된다.

2. 3. 서아시아 및 이슬람 세계

11세기에는 서아시아에서 투르크계 이슬람 왕조인 가즈나 왕조셀주크 왕조의 부상이 두드러졌다.[46] 가즈나 왕조는 마무드의 지휘 아래 북인도에 침입하여 인도 이슬람화의 계기를 마련했고[46], 셀주크족알프 아르슬란의 지휘 아래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비잔티움 제국을 패배시키며 300년간의 군사 및 경제적 황금기에 종지부를 찍었다.[46] 또한 앙카라를 점령하고, 파티마 왕조로 부터 예루살렘을 점령하여 순례자 통행을 차단하였다.[46] 셀주크 투르크는 1055년 바그다드를 함락하고, 부이 왕조의 에미르 알-말리크 알-라힘을 포로로 잡았다.[46]

북아프리카의 모로코 근처에서는 무라비트 왕조 등 베르베르인의 이슬람 왕조가 부상하기 시작하여 레콩키스타를 늦추는 한편, 1076년 가나 제국을 공격하여 쿰비 살레의 수도를 약탈하고, 툰카 마닌 왕의 통치를 종식시켰다.[46] 1004년 파티마 왕조 치하 이집트에 도서관이자 대학인 다르 알-히크마가 설립되었다.[46]

1020년대에는 의학 백과사전인 ''의학 정전''이 페르시아 무슬림 학자 아비센나에 의해 쓰여졌다.[46]

2. 4. 유럽

서하가 등장하여 비단길의 요충지역을 차지하였다.[46] 1001년, 마무드 가즈나비는 북부 인도에 대한 일련의 습격을 시작하여 1027년 소므나트 파괴로 끝냈다. 같은 해, 라이프 에리크손이 이끄는 바이킹들은 북아메리카빈란드와 그 주변에 단명한 정착촌을 건설하였다. 1005년, 중국 송나라거란 요나라 사이에 산원 조약이 체결되었다. 1009년, 리 타이 토가 베트남의 전 레 왕조를 무너뜨리고 리 왕조를 세웠다.

1010–1011년에는 제2차 고려-거란 전쟁이 발발하여 고려 국왕이 일시적으로 수도에서 피신하였으나, 거란군이 철군하였다. 1014년, 클레이디온 전투에서 바실 2세의 비잔티움 군대가 불가리아의 사무일을 물리치고 승리하였다.[2] 1018년, 제1 불가리아 제국이 비잔티움 제국에 정복되었다. 같은 해, 칸나이 전투에서 바실 보이오안네스의 비잔티움 군대가 바리의 멜루스 휘하 롬바르디아군을 물리치고 승리하였다. 1018년에는 제3차 고려-거란 전투가 발발, 강감찬 장군이 귀주 대첩에서 거란군에 큰 피해를 입혔고, 양측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1030년, 스티클레스타드 전투에서 올라프 2세가 이교도 신하들에게 패배하여 전투에서 사망, 그는 나중에 시성되어 노르웨이의 수호성인이자 노르웨이의 영원한 왕이 된다. 1035년, 카누트 대왕이 사망하고 그의 왕국은 분열되었다. 1040년, 던컨 1세가 전투에서 사망하고 맥베스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1041년, 아이랑가가 카후리판 왕국을 분할하였다.[6]

지리드 왕조와 함마디드 왕조의 영토(힐랄족의 침입, 노르만인의 침략, 알모라비드 왕조의 약화 이후)


1054년,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가 갈라서는 대분열이 일어났다. 같은 해, 천문학자들이 게 성운을 형성한 큰 초신성을 관측하였다. 1066년,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해럴드 고드윈손이 노르웨이의 하랄드 3세를 물리쳤다. 같은 해, 하스팅스 전투에서 정복자 윌리엄이 해럴드 고드윈손을 전사시키고 잉글랜드의 왕으로 즉위하였다.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알프 아르슬란이 이끄는 셀주크 군대가 비잔티움 제국을 패배시켰다. 1075년, 서임권 투쟁이 시작되었다.

1084년, 사마광의 지휘 아래 학자들이 『자치통감』을 편찬하였다. 1086년, 대토지조사서가 편찬되었다. 1088년, 볼로냐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1세기 촐라 왕조 청동 조각상, 아르타나리슈와라


1091년,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황제가 이끄는 비잔티움 제국과 그의 쿠만 동맹군이 레보우니온 전투에서 페체네그족을 패배시켰다. 1095년,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이 제1차 십자군 원정을 시작하였다. 1099년, 유럽 십자군의 예루살렘 공성전이 있었다.

1099년 예루살렘 공성전


동유럽에서는 동로마 제국이 제1 불가리아 제국을 정복하고 발칸반도 전역을 회복하며 최전성기를 맞이하지만, 11세기 후반에 이르러 쇠퇴하기 시작하여, 내부 반란과 셀주크 제국, 노르만인 등 외부의 적들에게 시달리게 된다. 서유럽에서는 교황권이 신장하는 한편, '''동서 교회의 분열'''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동로마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가 교황 우르바누스 2세에게 구원을 요청한 것이 발단이 되어, '''십자군 원정'''이 시작되었다.

3. 주요 사건

11세기에는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1054년에는 게 성운을 남긴 SN 1054가 발견되었다. 이 초신성은 그 밝기가 매우 밝아 여러 나라에서 관측 기록이 남아있다.

1001년경, 라이프 에리크손이 이끄는 바이킹들이 북아메리카빈란드와 그 주변에 단명한 정착촌을 건설했다. 1001년 ± 40년에는 백두산 화산이 6.5 규모의 폭발을 일으켜, 역사상 네 번째로 큰 홀로세 폭발이 발생했다.

1001년에서 1027년 사이, 가즈니의 마무드 가즈나비는 북부 인도에 대한 일련의 습격을 시작하여 소므나트를 파괴했다. 1001년, 고대 부탄 왕국은 중국 송나라와 접촉하였고, 1004년에는 송나라 조정이 부탄의 여러 품목 수출을 금지하기도 했다. 1007년, 부탄 왕 라자 킬링은 송나라 황실에 참파와 동등한 지위를 요청하는 진술서를 보냈으나 거부되었다. 1008년, 파티마 이집트의 선장 도미야트는 중국 산둥에 있는 불교 순례지로 여행하여 이집트와 중국 사이의 외교 관계를 재개했다. 1011년, 스리 바타 샤자라 밑에서 부투안은 사절 리칸시에를 파견하여 마침내 참파와 외교적 동등성을 달성했다.

1003년, 프랑스의 로베르 2세는 부르고뉴 공국을 침략하여 1016년 로마 가톨릭 교회의 승인을 얻어 부르고뉴를 자신의 영토에 병합했다. 1005년, 중국 송나라거란 요나라 사이에 산원 조약이 체결되었다. 1009년, 리 타이 토가 베트남의 전 레 왕조를 무너뜨리고 리 왕조를 세웠다.

1013년, 덴마크의 스베인 포크비어드 왕이 잉글랜드를 정복했다. 1014년, 클레이디온 전투에서 비잔티움 군대가 불가리아군을 물리쳤고, 클론타르프 전투에서는 게일족 군대가 레인스터-바이킹 연합군을 물리쳤다. 1018년, 제1 불가리아 제국이 비잔티움 제국에 정복되었다.

1021년, 파티마 칼리프 알-하킴 비암르 알라가 갑자기 사라지면서 드루즈파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었다. 1025년, 인도의 콜라 왕조가 스리비자야를 정복하고 속국으로 만들었으며, 라젠드라 콜라 1세는 수도를 탄자부르에서 강가이콘다 콜라푸람으로 옮겼다.

1040년, 스코틀랜드의 던컨 1세가 전투에서 사망하고 맥베스가 왕위를 계승했다. 1041년, 아이랑가가 카후리판 왕국을 장갈라와 카디리 두 왕국으로 분할했다. 1041년–1048년, 중국 장인 비승이 도자기 활자 인쇄술을 발명했다.

1054년, 대분열이 일어나 서방(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가 갈라섰다. 1055년, 셀주크 투르크가 바그다드를 함락했다. 1057년, 파간 왕국의 아나우라타가 타톤을 정복하여 미얀마를 통일했다.

1066년,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해럴드 고드윈손이 노르웨이의 하랄드 3세를 물리쳤고, 하스팅스 전투에서 정복자 윌리엄이 잉글랜드의 왕으로 즉위했다. 1069년~1076년, 송 신종의 지원을 받은 왕안석이 '신법'을 도입했다.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셀주크 군대가 비잔티움 제국을 패배시켰다. 1075년, 서임권 투쟁이 시작되었다. 1077년, 신성 로마 제국의 하인리히 4세의 카노사의 참회가 있었다.

1086년, 잉글랜드의 윌리엄 1세의 명령에 따라 대토지조사서(Domesday Book)가 편찬되었다. 1088년, 볼로냐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099년 예루살렘 공성전을 통해 예루살렘 왕국이 건설되었다.

4. 주요 인물


  • 안셀무스는 중세 이탈리아의 신학자이자 철학자이다.(1034년 ~ 1109년)
  • 무라사키 시키부는 일본의 작가이다.(973년경 ~ 1014년 및 1025년경)
  • 피르다우시는 「샤 나메」(1009년경 완성)를 저술한 시인이다.(934년 ~ 1025년)
  • 바실리우스 2세는 동 로마 황제이다.(958년 ~ 1025년, 재위 976년 ~ 1025년)

  • 투 그릴 베크는 셀주크 왕조 초대 술탄이다.(993년 ~ 1063년, 재위 1038년 ~ 1063년)
  • 마흐무드는 가즈니 왕조의 술탄이다.(재위 998년 ~ 1030년)
  • 덩컨 1세는 스코틀랜드 왕이다.(1001년 ~ 1040년, 재위 1031년 ~ 1040년)
  • 마크베스는 스코틀랜드 왕이다.(1005년 ~ 1057년, 재위 1040년 ~ 1057년)
  • 라젠드라 1세는 촐라 왕조의 왕이다.(재위 1016년 ~ 1044년)
  • 아이르랑가는 자와, 쿠디리 왕이다.(재위 1019년 ~ 1052년?)
  •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로마 교황이다.(1020년 ~ 1085년, 재위 1073년 ~ 1085년)
  • 윌리엄 1세는 잉글랜드 왕이다.(1027년 ~ 1087년, 재위 1035년 ~ 1087년)

  • 왕안석은 중국 북송 왕조의 정치가이다.(1021년 ~ 1086년)
  • 사마광은 중국 북송 왕조의 정치가·학자이다.(1019년 ~ 1086년)
  • 우르바누스 2세는 로마 교황이다.(1035년 ~ 1099년, 재위 1088년 ~ 1099년)

  • 알렉시우스 1세는 동 로마 황제이다.(1048년 ~ 1118년, 재위 1081년 ~ 1118년)
  • 알폰소 6세

  • 아그네스 황후는 신성 로마 제국의 섭정이 된 독일 여왕이다.

  • 천사들이 카누트 대왕에게 왕관을 씌우고, 그의 아내 노섬프턴의 앨기푸와 함께 윈체스터 십자가를 교회에 봉헌하는 모습(1031년)

  • 톨텍 전사 형상의 기둥인 아틀란테스(툴라)

  • 리칭자오 여사의 동상 (중국 두보초당의 시인들의 대강당)

  • 이탈리아 출신의 군사 지도자 토스카나의 마틸다

  • 중국 송 신종

  • 송 인종의 황후인 조황후

  • 세이 쇼나곤 여사는 일본 궁정 생활에 관한 『마쿠라노소시』를 저술했다.

  • 11세기 모자이크, 아이아 소피아에 있는 콘스탄티누스 9세 모노마코스, 조에 황후,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

  • 11세기 브라반트 공국 마스트리흐트 대성당에서 제작된 나무 위에 금과 클로이조네 기법으로 장식된 성물함(현재는 루브르 박물관 소장).

  • 던가(? - 1008년경)는 인도의 찬델라 왕조 군주(재위 950년경 - 1008년경)로 카주라호 사원을 건립했다.
  • 아티샤(982년 - 1054년)는 인도의 비크라마실라 사원 학장으로 티베트에 초청되어 티베트 불교 중흥의 조상이 되었다.
  • 돔툰(1005년 - 1064년)은 티베트의 승려로 아티샤를 티베트에 초빙하여 제자가 되었으며 카담파의 조상이 되었다.
  • 나로파(1016년 - 1100년)는 인도의 승려로 날란다 대학에서 활약했으며 “나로파의 육법”이라고 불리는 후기 밀교는 카규파에 영향을 주었다.
  • 돌제탁(11세기)은 티베트의 승려로 인도의 날란다 대학에서 배우고 불경의 티베트어 번역을 하였으며 주술에 능한 이능의 인물로 여겨졌다.
  • 소마데바(11세기)는 카슈미르 출신의 시인으로 『시귀 25화』를 포함한 설화집 『카타 사릿 사가라』를 편찬했다.
  • 크리슈나 미슈라(11세기)는 찬델라 왕조의 시인으로 산스크리트어 희곡 『프라보다찬드로다야(깨달음의 달의 돋아남)』로 알려졌다.
  • 빌하나(11세기)는 카슈미르 출신으로 후기 찰루키야 왕조의 시인으로 희곡 『칼나순다리』와 시집 『차우라 판차시카』가 있다.
  • 위자야바후 1세(1039년 - 1100년)는 스리랑카의 왕(재위 1055년 - 1100년)으로 촐라 왕조를 몰아내고 불교를 재건하였다.
  • 빅라마디티야 6세(? - 1126년)는 후기 찰루키야 왕조의 군주(재위 1076년 - 1126년)로 50년의 치세로 왕조의 전성기를 가져왔다.
  • 다르마왕샤(?-1016년)는 자와·크디리 왕조의 왕(재위 991년-1016년)으로 영토 확장을 하였으나 반란으로 살해되었으며 아이르랑가는 그의 사위이다.
  • 아노야타(1015년-1078년)는 파간 왕조의 초대 왕(재위 1044년-1078년)으로 몬족을 제압하고 버마족을 통일했으며 상좌부 불교를 도입했다.

4. 1. 한국

4. 2. 동아시아

다르마왕샤는 자와·크디리 왕조의 왕으로 영토 확장을 시도했으나 반란으로 살해되었고, 그의 사위 아이르랑가가 동부 자와를 통일하고 왕국을 재건했다. 아노야타는 파간 왕조의 초대 왕으로 몬족을 제압하고 버마족을 통일했으며, 상좌부 불교를 도입했다.

북송에서는 구준(961년 - 1023년)이 재상으로서 와의 澶淵의 맹(澶淵之盟)을 맺게 했고, 왕흠약(962년 - 1025년)은 남쪽 천도를 주장하고 진종에게 봉선(封禪)을 권유했으며, 『책부원규(冊府元龜)』 편찬에 참여했다. 임포(967년 - 1028년)는 서호(西湖)에 은거하며 시를 지었고, 송 진종(968년 - 1022년)은 요와 澶淵의 맹(澶淵之盟)을 맺고 태산(泰山)에서 봉선(封禪)을 거행했다. 범중엄(989년 - 1052년)은 “선우후락(先憂後樂)”의 어구로 유명한 정치가였다. 필승(?-1052년경)은 교니(膠泥) 활자를 사용한 인쇄 기술자로 알려져 있다. 오양수(1007년 - 1072년)는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명으로, 『신오대사(新五代史)』, 『신당서(新唐書)』를 편찬했다.

소순(1009년 - 1066년)은 소식(蘇軾)과 소철(蘇轍) 형제의 아버지로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이다. 주돈이(1017년 - 1073년)는 송학(宋學)의 시조로 여겨지며, 『태극도설(太極圖說)』을 저술했다. 사마광(1019년 - 1086년)은 구법당(舊法黨)의 정치가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했다. 장재(1020년 - 1077년)는 송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왕안석(1021년 - 1086년)은 신법당(新法黨)의 정치가로 희녕신법(熙寧新法)을 실시했다. 심괄(1030년 - 1094년)은 『몽계필담(夢溪筆談)』을 저술하여 중국의 과학기술사에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정이(程頤)(1033년 - 1107년)는 형 정호(程顥)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라 불리는 북송 오자 중 한 명이다. 소식(1037년 - 1101년)은 당송팔대가 중 한 명이자 송사대가(宋の四大家) 중 한 명으로, “적벽부(赤壁賦)”가 대표작이다.

(遼)의 성종(971년 - 1031년)은 북송과 澶淵之盟(천연지맹)을 맺었다. 원호(1003년 - 1048년)는 서하의 초대 황제로 북송과 경력의 화약을 맺었다. 대월국에서는 이공온(974년 - 1028년)이 리 왕조를 건국했고, 이상걸(1019년 - 1105년)은 참파와 북송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명장이었다.

일본에서는 후지와라 미치나가(966년 - 1027년)가 섭관정치의 최전성기를 이끌었고, 무라사키 시키부(973년? - 1016년)가 『겐지 모노가타리』를 저술했다.

4. 3. 서아시아 및 이슬람 세계

피르도우시는 사마니드 왕조 및 가즈나 왕조 시대에 활동한 페르시아어 시인으로, 샤흐나메를 저술하였다. 아부 알 카심 알 자흐라위는 코르도바(스페인)의 의사로, 의학 백과사전 『알 자흐라위의 의서』(Kitāb al-Taṣrīf)를 저술하고 외과 수술 기구를 고안하였다. 사알리비는 니샤푸르 출신의 문헌학자로, 시인들의 업적을 『야티마 알다훌』과 『알칼브 필-아달』에 정리하였다. 이븐 알하이삼은 바스라 출신의 수학자, 천문학자, 물리학자로, 『광학의 서』(Kitāb al-Manāẓir)를 저술하여 "광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알 하마자니는 하마단 출신의 시인이자 작가로, 마카마(語り物)의 창시자로 "시대의 경이"라고 불린다. 마무드 가즈나비는 가즈나 왕조의 술탄(재위 997년 - 1030년)으로, 인도 원정으로 프라티하라 왕조를 멸망시켰다. 알비루니는 호라즘 출신의 저술가로, 천문서 『마수드의 법전』(al-Qānūn al-Masʿūdī)과 지리서 『인도지』(Kitāb Taḥqīq mā li'l-Hind)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였다. 알 마왈르디는 샤피이 학파의 법학자로, 압바스 왕조 칼리프를 섬겼고 『통치의 규칙』(al-Ahkām al-Sulṭāniyya)을 편찬하였다.

이븐 시나는 부하라 출신의 학자로, 철학자로서는 『의학총서』(al-Qānūn fī al-ṭibb)가 있고, 의사로서는 『치유의 서』(Kitāb al-Shifāʾ)가 있다. 카부스 빈 우슈무기르는 지야르 왕조의 군주(재위 978년 - 1012년)로, 곤바데 카부스를 건설하였고, 시인이기도 하였다. 하킴은 파티마 왕조 제6대 칼리프(재위 996년 - 1021년)로, 잔혹함과 기이함으로 유명하며, 드루즈파에서는 구세주로 여겨진다. 시투 알 무르크는 파티마 왕조 제7대 칼리프 자히르의 섭정으로, 실종된 하킴의 누이로 전 정권의 정책을 전환하였다.

투그릴 베그는 셀주크 왕조 초대 술탄(재위 1038년 - 1063년)으로, 니샤푸르를 수도로 삼았다. 이븐 하즘은 후 우마이야 왕조 시대의 법학자이자 문학자로, 『종파에 관한 책』(Al-Fisāl fī al-milal wa-l-ahwāʾ wa-l-nihal)과 『비둘기 목걸이』(Tawq al-Ḥamāma) 등의 저서가 있다. 이븐 부트란은 바그다드에서 활동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의사로, 『건강 백과사전』에 영향을 주었다.

이븐 자이둔은 후 우마이야 왕조의 정치가로, 자잘 형식을 정리한 시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공주 와라다와의 서로 주고받는 시도 유명하다. 나시르 흐소로는 페르시아의 시인이자 신학자로, 시집 『디완』과 여행기 『사파르나메』(Safarnama)가 있다. 마흐무드 카시가리는 카라한 왕조의 왕족으로, 압바스 왕조로 망명하여 『튀르크어 사전』(Divan Lughat al-Turk)을 칼리프에게 헌정하였다.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는 무라비트 왕조 제4대 아미르(재위 1056년 - 1087년)로, 가나 왕국을 정복하였다.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무라비트 왕조 제5대 아미르(재위 1061년 - 1106년)로, 이베리아 반도를 평정하였다. 니잠 알 멀크는 셀주크 왕조 전성기의 재상으로, 말리크 샤를 보좌하여 니자미야 학원을 설립하였다. 유수프 하스 하지브는 카라한 왕조의 고위 관리로, 『쿠타두구 빌리그』(Kutadgu Bilig)를 저술하였다.

카이 카우스는 지야르 왕조의 군주로, 아들 기란 샤에게 남긴 교훈서 『카부스의 서』(Qābūs-nāma)를 남겼다. 솔로몬 이븐 가비롤은 스페인의 유대교 철학자로, 저서로는 『생명의 원천』(Meqor Ḥayyim)이 있다. 알프 아르슬란은 셀주크 왕조 제2대 술탄(재위 1064년 - 1072년)으로,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술레이만 이븐 쿠틀미쉬는 룸 셀주크 왕조의 창시자(재위 1077년 - 1086년)로, 소아시아 각지를 점령하였다.

우마르 카얌은 셀주크 왕조 시대 페르시아의 천문학자로, 『루바이야트』의 시인으로 유명하다. 말리크 샤는 셀주크 왕조 제3대 술탄(재위 1072년 - 1092년)으로,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킬리치 아르슬란 1세는 룸 셀주크 왕조 제2대 술탄(재위 1092년 - 1107년)으로, 제1차 십자군의 침공에 고전하였다. 하산 사바는 이스마일파 니자리파의 창시자이자 이른바 암살단의 최초 지도자이다.

4. 4. 유럽

노트커(950년 - 1022년)는 생갈렌 수도원 부속학교 교사로, 고전 라틴 문학을 고대 고지 독일어로 번역하고 독일어 표기법을 확립하였다. 베른바르트(960년 - 1022년)는 힐데스하임 주교로, 성 마리아 대성당과 성 미카엘 교회를 건립하였으며, "성 베른바르트의 청동 문"으로도 유명하다. 하인리히 3세(1017년 - 1056년)는 로마 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재위 1039년 - 1056년)로, 수트리 교회 회의에서 세 명의 교황을 파면하였다. 하인리히 4세(1050년 - 1106년)는 로마 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재위 1056년 - 1105년)였으며, 카노사의 굴욕에서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에게 패배하였다. 헤르마누스 콘트락투스(1013년 - 1054년)는 음악 이론가, 작곡가, 천문학자, 역사가로, 신체 장애가 있었지만 라이헨나우 수도원에서 활동하였다. 빌헬름(1030년경 - 1091년)은 베네딕트회 수도원장으로, 독일의 수도원 개혁의 중심 인물이었다. 브레멘의 아담(11세기 후반)은 연대기 작가이자 브레멘 대성당 부속 신학교 교장으로, 북유럽 여러 나라에 대한 선교를 기록한 『브레멘 교회사』가 유명하다.

베네딕토 9세(1012년경 - 1055년 이후)는 로마 교황(재위 1032년 - 1048년까지 단속적)으로, 교황직에 세 번이나 취임한 것으로 유명하다. 레오 9세(1002년 - 1054년)는 로마 교황(재위 1049년 - 1054년)으로, 움베르토를 동로마 제국에 특사로 파견했다. 그레고리오 7세(1020년 - 1085년)는 로마 교황(재위 1073년 - 1085년)으로, 그레고리오 개혁을 추진하고 카노사의 굴욕에서 승리했다. 우르바누스 2세(1035년 - 1099년)는 로마 교황(재위 1088년 - 1099년)으로, 클레르몽 교회회의에서 십자군을 요청했다. (1000년경 - 1061년)는 추기경, 베네딕토회 수사, 교황 특사로 동로마 제국에 파견되어 상호 파문 사건을 일으켰다. 페트루스 다미아니(1007년 - 1072년)는 추기경, 베네딕토회 수사, 그레고리오 개혁의 중심 인물로, 저서에 『고모라의 책』, 『성사론』이 있다. (952년 - 1027년)는 수도사로, 카젠티노의 숲에 은둔자의 암자 "사크로 에레모"를 짓고 를 창설했다. 구이도 다레초(991년/992년 - 1050년)는 수도사이자 음악 교사로, 현재에 이르는 악보 기보법을 발명했다.

로베르토 기스카르도(1015년 - 1085년)는 노르만인 용병으로 후에 중세 시칠리아 왕국을 건설한 오트빌 가의 수장이다. 콘스탄티누스 아프리카누스(1017년 - 1087년)는 북아프리카 출신의 수도사로, 아랍 의학을 번역 소개하고 살레르노 대학교를 기초지었다. 마틸데 디 카노사(1046년? - 1115년)는 토스카나 백작 부인으로, 서임권 투쟁에서는 교황파였으며 "카노사의 굴욕"의 카노사 성의 소유자였다. 아달베론(947년 - 1030년)은 랭(프랑스) 주교로, "로베르 2세(프랑스 왕)에게 바치는 노래"에서 중세 사회의 "기도하는 자", "싸우는 자", "일하는 자"의 삼분설을 정립했다. (985년 - 1047년)는 부르고뉴 지방의 수도사이자 연대기 작가로, 저서 '역사'에서는 기원 1000년의 사회가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모레의 로베르(1029년경 - 1111년)는 샹파뉴 지방 출신의 수도사로, 알베리크와 스테판 하딩 등과 함께 시토회를 설립했다. 쾰른의 브루노(1030년경 - 1101년)는 독일 출신의 수도사, 랭스 대성당 부속학교 교장, 카르투시오회의 창시자, 교황 우르바누스 2세의 고문이었다. 트루아의 라시(1040년 - 1105년)는 유대인 랍비로, 샹파뉴 백작의 보호를 받아 십자군에 의해 멸망한 유대인의 학문 연구를 재건했다. 콩피에뉴의 로스켈리누스(1050년경 - 1125년경)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신학자로, 유명론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제자 아벨라르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고다이바 부인(990년경 - 1067년)은 잉글랜드 귀족 여성으로, 남편인 머시아 백작의 코번트리 압정에 저항한 일화로 유명하다. 크누트(995년 - 1035년)는 잉글랜드 왕, 덴마크 왕, 노르웨이 왕을 겸임한 북해 제국의 군주였다. 에드워드 참회왕(1004년경 - 1066년)은 잉글랜드의 앵글로색슨 왕(재위 1042년 - 1066년)이었다. 랑프랑크(1005년경 - 1089년)는 캔터베리 대주교이자 베크 수도원 부속학교 교장으로, 윌리엄 1세의 통치에도 협력했다. 하롤드 2세(1022년 - 1066년)는 잉글랜드의 마지막 앵글로색슨 왕(재위 1066년)으로,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전사했다. 윌리엄 1세(1027년 - 1087년)는 노르망디 공작이자 잉글랜드 왕(재위 1066년 - 1087년)으로, 노르망디 왕조의 시조였다. 안셀무스(1033년 - 1109년)는 캔터베리 대주교, 신학자, 철학자로, "스콜라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저서로는 『모놀로기온』이 있다. 던컨 1세(1001년 - 1040년)는 스코틀랜드 왕(재위 1031년 - 1040년)으로, 왕국의 영토를 확장하였으나 맥베스에게 살해되었다. 맥베스(1005년 - 1057년)는 스코틀랜드 왕(재위 1040년 - 1057년)으로, 던컨 1세를 살해했으며 셰익스피어의 비극으로 유명하다.

올로프(?-1022년?)는 스웨덴 국왕(재위 994년?-1022년?)으로, 가톨릭을 받아들였다. 올라프 2세(995년-1030년)는 노르웨이 국왕(재위 1015년-1028년)으로, 기독교화를 진행하여 성인(성왕)이 되었다. 하랄 3세(1015년-1066년)는 노르웨이 국왕(재위 1046년-1066년)으로,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전사했다. 바실리우스 2세(958년 - 1025년)는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 최전성기 황제(재위 976년 - 1025년)였다. 조에(978년경 - 1050년)는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의 황후(재위 1042년)로, 세 명의 황제의 황후가 되었다(1028년 - 1050년). 테오도라(995년 - 1056년)는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의 황후(재위 1042년, 1055년 - 1056년)로, 조에와 일시적으로 공동 통치했다.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1000년 - 1055년)는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의 황제(재위 1042년 - 1055년)로, 조에의 세 번째 남편이었다. 로마누스 4세 디오게네스(?- 1072년)는 동로마 제국 두카스 왕조의 황제(재위 1068년 - 1071년)로,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패배했다. 알렉시오스 1세(1048년 - 1118년)는 동로마 황제(재위 1081년 - 1118년)로, 콤네노스 왕조의 시조였으며, 십자군 대책에 고심하면서 제국을 재건했다.

신학자 시메온(949년 - 1022년)은 성 마마스 수도원장, 신학자로, 두 차례 추방을 받았으나 복권되었으며,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찬가』 등의 저서가 있다. 미카엘 1세 케르라리오스(1000년경 - 1059년)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재위 1043년 - 1059년)로, 교황 특사와 대립하여 상호 파문 사건이 발생했다. (1005년경 - 1090년경)는 스투디오스 수도원장으로, 『성 시메온 전기』를 저술했으며, 반 라틴파의 대표이기도 했다. 미카엘 프셀로스(1018년경 - 1078년경)는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의 정치가, 철학자, 역사가로서 『연대기』를 기록했다. 요하네스 스큐리체스(1040년대 초 - 1101년 이후)는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로, 그의 저서 『역사 개관』은 마드리드 삽화 사본으로 알려져 있다. (1050년? - 1112년)는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로, 프셀로스의 제자였으며, 지나치게 철학에 치우친 탓에 이단으로 규탄받았다. 사무일(958년 - 1014년)은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황제(재위 997년 - 1014년)로, 클리디온 고개 전투에서 동로마군에 패배했다.

볼레스와프 1세(966년/967년 - 1025년)는 피아스트 왕조의 폴란드 국왕(재위 992년 - 1025년)으로, 보헤미아마이센에 영토를 확장했다. 이슈트반 1세(975년 - 1038년)는 헝가리의 건국자(재위 997년 - 1038년)로, 헝가리의 기독교화를 추진했다. 야로슬라프 1세(978년경 - 1054년)는 키예프 대공(재위 1016년 - 1054년)으로, 『루스카야 프라우다』(루스 법전)를 정비했다. (983년 - 1073년)는 키예프 동굴(페체르스키) 수도원의 창설자로, 테오도시와 함께 러시아 수도원 제도를 확립했다. 슈체파누프의 스타니스와프(1030년 - 1079년)는 크라쿠프 주교로, 폴란드 국왕 볼레스와프 2세의 대관식을 거행했지만, 후에 반목하여 살해되었다.

피에르 은둔자(?-1115년)는 프랑스 출신 성직자로, 제1차 십자군 본대에 앞서 민중 십자군을 이끌고 예루살렘을 향했으나 실패했다. 아데마르 드 몽테유(?-1098년)는 프랑스의 르 퓌 주교로, 교황 특사로서 제1차 십자군의 정신적 지도자가 되었다. (1058년경 - 1127년)는 프랑스 출신 성직자로, 제1차 십자군에 참가하여 『십자군 원정기』를 저술했다. 고드프루아 드 부용(1060년경 - 1100년)은 제1차 십자군의 지도자 중 한 명이자 예루살렘의 초대 성묘 수호자였다. (?-1105년)는 피사 대주교로, 피사 함대를 이끌고 제1차 십자군을 지원했으며, 이후 라틴계 예루살렘 총대주교가 되었다. 산초 3세(10세기 - 1035년)는 나바라 국왕(재위 1004년 - 1035년)으로, 결혼 정책으로 이베리아 반도 북부 여러 국가의 조상이 되었다. 알폰소 6세(1040년 이전 - 1109년)는 레온 국왕(재위 1065년 - 1109년)이자 카스티야 국왕(재위 1072년 - 1109년)이었다. 엘 시드(1045년? - 1099년)는 레콩키스타에서 활약한 카스티야의 기사였다.

5. 과학 기술 및 문화

11세기에는 건축 기술이 크게 발전했다. 아니 대성당(1001년 또는 1010년),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1029년), 세인트 올번스 대성당(1089년), 알 하킴 모스크(1013년), 철탑(1049년), 브리하데스와라 사원(1010년), 프루투아리아(1007년), 케다레슈와라 사원(1060년), 파르마 대성당(1059년), 노브고로드의 성 소피아 대성당(1052년), 키예프의 성 소피아 대성당(1037년), 호시오스 루카스 수도원(1011~1012년), 령소탑(1045년), 복공사 목탑(1056년), 니코르츠민다 대성당(1014년), 슈파이어 대성당(1061년), 이맘 알리 모스크(1086년 재건), 피즈히 탑(1063년), 산 리베라토레 아 마이엘라(1080년), 웨스트민스터 사원(1065년), 아난다 사원(1091년), 하노이 문묘(1070년), 리치몬드 성(1071년), 료디탑(1055년), 고바드에 카부스 탑(1006년), 사소비보 수도원(1070년), 알하페리아 궁전, 산 로렌초 원형 극장(11세기 후반), 마달레나 다리(1080년), 이스파한 자메 모스크 돔(1086~1087년) 및 안뜰(11~18세기), 체스터 성(1069년), 바그라티 대성당(1003년), 힐데스하임 성 미카엘 교회(1031년), 산타본디오 대성당(1095년), 짐바브웨 대국립유적, 산 피에트로 인 빈쿨리스(1072년), 런던 탑(1078년), 케카리스 수도원 성 그리골 교회(1003년), 마르탱 뒤 카니구 수도원(1009년), 힐데스하임 성 마리아 대성당(1020년), 일주탑(1049년), 옥스퍼드 북문 성 미카엘 교회(1040년), 옥스퍼드 성(1071년), 피렌체 세례당(1059년), 칸다리아 마하데바 사원(1050년), 산 마르코 대성당(1063년 재건), 캔터베리 대성당(1077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1075년) 등이 이 시기에 건설되거나 완공되었다.

환자의 소변을 검사하는 콘스탄티누스 아프리카누스; 그는 살레르노 의과대학에서 고대 그리스 의학과 이슬람 의학을 가르쳤다.
중세 이슬람 천문학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던 구면 천구의는 후에 실베스테르 2세가 된 제르베르트 도리야크에 의해 유럽에 소개되었다.


범관의 ''산수여행'', 아부 알-카심 알-자흐라위의 ''알-타스리프'', 이븐 유누스의 ''알-지지 알-하키미 알-카비르'', 정현의 법칙 발견, 아부 라이한 알-비루니의 저술,[15] 실베스터 2세의 주판 재도입 및 천구의 관련 논문,[17][18][19][20][21][22][23][24][25] ''기록국의 최고 거북이'' 편찬, 이븐 삼의 기계식 톱니바퀴 천구의 제작, 이븐 알-하이삼의 ''광학의 서'' 저술, 아비켄나의 ''의학의 정전''과 ''치유의 서'' 출판, 연숙의 남쪽을 가리키는 수레 재현,[26] 아부 이샤크 이브라힘 알-자르칼리의 천구의 제작, 심괄의 지형 형성 및 기후 변화 이론, 진북 개념 발견, 카메라 옵스큐라 실험,[27][28][29][30][31][32][34] 비승의 활자 인쇄 발명,[35] 드라이독 사용,[36] 소송의 ''본초도경'' 출판,[37][38][39][40][41] 베세머 제철법 전신 기술 혁신,[42] 콘스탄티누스 아프리카누스의 ''판테그니 서'' 저술,[43] 수문 발명,[44] 소송의 탈진기 및 체인 드라이브를 이용한 천문 시계 제작[45]등 과학 기술 분야에서도 많은 발전이 있었다.

문학 분야에서는 아부 라이한 알비루니가 ''과거 세기의 남은 흔적들''을 저술하고, 아부 알카심 알자흐라위가 ''알타스리프''를, 이븐 유누스가 ''지즈 알카비르 알하키미''를 출판했다. 그레고리우스 나렉시는 ''애가''를, 이븐 투파일은 ''하이 이븐 야크단''을 저술했다. ''레닌그라드 사본''이 완성되고, ''베오울프''의 가장 오래된 사본이 쓰여졌다. ''기록국 최고의 거북이''가 완성되고, ''밤베르크 계시록''이 완성되었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겐지 이야기''를, 이븐 알하이삼은 ''광학의 책''을 저술했다. 아비켄나는 ''의학 교과서''와 ''치유의 책''을 완성했다. ''집운''이 출판되고, 소식이 태어났다. ''무경총요''가 완성되고, 오마르 카이얌은 ''오마르 카이얌의 루바이야트''를 저술했다. 채상은 ''다경''을 출판하고, ''우지 다이나곤 이야기''가 쓰여졌다. ''오대신사''와 ''신당서''가 완성되고, ''무그니 복음서''가 쓰여졌다. 아부 우바이드 압둘라 알바크리는 ''도로와 왕국에 관한 책''을 출판하고, ''노르망디 공작의 업적''이 확장되었다. 캔터베리의 안셀무스는 ''프로슬로기온''을 출판하고, 소식이 궁정에서 추방되었다. 콘스탄티누스 아프리카누스는 ''리베르 판테그니''를 출판하고, ''자치통감''이 완성되었다. ''대토지조사서''가 작성되고, 심괄은 ''몽희록''을 완성했다. 유럽에서는 스콜라스티시즘이 뿌리내리고 르네상스를 가져왔다.

참조

[1] 서적 Pengantar Sejarah Kebudayaan Indonesia 2 Penerbit Kanisius 1973
[2] 웹사이트 index http://www.muslimphi[...]
[3] 서적 Pengantar Sejarah Kebudayaan Indonesia 2 Penerbit Kanisius 1973
[4] 간행물 Epigraphia Carnatica
[5] 논문 A Revised Earthquake-Catalogue of Palestine https://www.jstor.or[...] Israel Exploration Society 1950
[6] 서적 Pengantar Sejarah Kebudayaan Indonesia 2 Penerbit Kanisius 1973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On the Banu Hillal invasion
[11] 서적 The Crusades and Other Historical Essays Presented to Dana C. Munro by his Former Students https://archive.org/[...] Crofts 2023-03-21
[12] 서적
[13] 서적
[14] 웹사이트 Asian maritime & trade chronology to 1700 CE https://www.maritime[...]
[15] 서적
[16] 서적 2006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Needham, Volume 4, Part 3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Needham, Volume 4, Part 2
[40] 서적 Needham, Volume 6, Part 1
[41] 서적 Needham, Volume 3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Needham, Volume 4, Part 3
[45] 서적 Needham, Volume 4, Part 2
[46] 교과서 고등학교 동아시아 교과서 천재교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