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굴절 (문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굴절은 단어의 시제, 법, 상, 태, 인칭, 수, 격, 성 등을 변경하는 형태소를 추가하는 문법 과정으로, 단어의 의미나 품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굴절은 파생과 달리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지 않으며, 단어의 굴절 형태소를 기준으로 사전에 등재되는 경우는 드물다. 굴절 형태소를 단어에 추가하는 언어를 굴절어라고 하며, 접사 부착, 중복, 교체, 운율 변동 등의 방법으로 굴절이 나타난다. 명사의 굴절을 곡용, 동사의 굴절을 활용이라고 부르며, 굴절 형태의 집합을 굴절 패러다임이라고 한다. 굴절은 언어별로 다양한 유형을 보이며,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바스크어, 동남아시아 대륙 언어 등에서 굴절의 특징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형태론 - 첩어
    첩어는 형태소의 반복 또는 유사 형태를 통해 복수, 강조, 반복 동작, 의미 축소, 신규 단어 형성, 어조 및 뉘앙스 부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여러 어족과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언어 현상이다.
  • 형태론 - 어근
    어근은 단어 의미의 핵심 형태소로서, 어미 없는 어간과 달리 최소 의미 단위이며, 인도유럽어족의 모음 교체, 셈어족의 자음 결합 등 언어별 특징을 보이고, 어원 연구의 중요 요소이자 범주 중립적 요소로 간주되며 언어 유형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 문법 - 접속사
    접속사는 문장, 절, 구, 단어와 같은 언어 요소들을 연결하여 논리적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로, 등위 접속사, 종속 접속사, 상관 접속사 등으로 나뉘며, 언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문법 - 품사
    품사는 형태, 기능, 의미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는 언어학적 범주로, 언어별 특징과 문법화 과정에 따라 분류 체계와 구성원이 달라지며, 품사 간 경계가 모호한 경우도 있어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굴절 (문법)
정의
굴절 (문법)단어의 형태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변하는 현상
관련 개념활용
곡용
접사



시제


인칭
일치
개요
설명단어의 형태 변화를 통해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예시영어의 복수형 (예: book → books), 동사의 시제 변화 (예: walk → walked)
굴절의 목적단어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 문장의 의미를 구체화함
굴절의 종류
명사 굴절성, 수, 격 등을 표시
동사 굴절시제, 상, 법, 인칭, 수 등을 표시
형용사 굴절성, 수, 격, 비교 등을 표시
굴절이 없는 언어
특징단어 형태 변화 없이 어순이나 조사를 통해 문법적 관계를 나타냄
예시중국어, 베트남어, 한국어 (제한적)
굴절어의 특징
굴절어단어의 형태 변화가 활발하며, 문법적 기능이 형태에 반영됨
예시인도유럽어족 (예: 라틴어, 그리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굴절의 중요성
문법적 기능 명확화문장 내 단어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함
의미의 풍부화다양한 문법적 의미를 표현하여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함
언어의 효율성단어 형태 변화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여 언어 사용의 효율성을 높임

2. 굴절과 파생

굴절은 단어의 문법적 기능을 변경하는 형태론적 과정으로, 어형 변화를 통해 나타난다. 굴절은 단어의 의미나 품사를 크게 바꾸지 않는 반면, 파생은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고 단어의 의미나 품사를 변경한다.[6] 예를 들어 명사동사로 바꾸는 경우가 있다.

단어는 굴절 형태소를 기준으로 사전에 등재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파생 형태소를 기준으로는 자주 등재된다. 예를 들어, 영어 사전은 파생 접미사가 있는 ''readable'' 및 ''readability''를 어근 ''read''와 함께 등재하지만, ''book''과 ''books'', ''jump''와 ''jumped''는 별도 항목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동사의 법 사이의 구별은 주로 파생 형태소에 의해 표시된다.

2. 1. 굴절의 특징

굴절은 문법 범주(시제, 법, 상, 태, 인칭, 수, 격, 성 등)를 표시한다. 굴절은 단어의 의미나 품사를 크게 바꾸지 않는다. 굴절은 일반적으로 어미나 접사와 같은 굴절 형태소를 통해 나타난다.[4][5]

영어에는 8개의 규칙 굴절 접사가 있다.

영어의 굴절 접사
접사문법 범주표시품사
-s문법적 수복수명사
-s//s소유격명사와 명사구, 대명사 (독립 소유격 표시)
-ing진행형동명사 또는 분사
-en/-ed완료동사
-ed/-t문법적 시제과거 시제 (단순)동사
-s인칭, 수, 상, 시제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동사
-er비교급비교급형용사부사
-est비교급최상급형용사부사



규칙적인 변화 외에도, 현대 영어에는 음운 변화나 움라우트 (특정 유형의 음운 변화)를 사용하는 불규칙 굴절도 존재한다.


  • ''Write, wrote, written'' (음운 변화 변동 표시, 분사에서도 접미사 사용)
  • ''Sing, sang, sung'' (음운 변화)
  • ''Foot, feet'' (움라우트 변동 표시)
  • ''Mouse, mice'' (움라우트)
  • ''Child, children'' (음운 변화, 복수에서도 접미사 사용)


명사, 대명사, 형용사, 부사, 관사, 한정사의 굴절은 '''변화'''라고 하며, 수, 격, 성, 비교급을 나타낸다. 동사의 굴절은 '''활용'''이라고 하며, 시제, 법, 태, 양상, 인칭, 수를 나타낸다.

영어 대명사 'I'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단수복수
주격Iwe
목적격meus
소유 한정사myour
소유 대명사mineours
재귀myselfourselves



대명사 'who'는 격에 따라 굴절되지만, 재귀 형태가 없는 결함이 있다.

단수 및 복수
주격who
간접격whom (전통적), who (비공식적)
소유격whose
재귀



동사 'to arrive'의 직설법 활용은 다음과 같다.

시제Iyouhe, she, itweyouthey
현재arrivearrivearrivesarrivearrivearrive
과거arrivedarrivedarrivedarrivedarrivedarrived



고대 영어에서 명사는 ''강변화''와 ''약변화''의 두 가지 주요 격변화 범주로 나뉜다.

}

|-

| 속격 || engles|천사의ang || engla|천사들의ang || scipes|배의ang || scipa|배들의ang || sorge|슬픔의ang || sorga|슬픔들의ang

|-

| 여격 || engle|천사에게ang || englum|천사들에게ang || scipe|배에게ang || scipum|배들에게ang || sorge|슬픔에게ang || sorgum|슬픔들에게ang

|-

! style="background:#efafef" rowspan="2"|격

! style="background:#afefef" colspan="6"|약명사 격변화

|-

|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nama|이름ang

|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ēage|눈ang

|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tunge|혀ang

|-

| 주격 || nama|이름ang || naman|이름들ang || ēage|눈ang || ēagan|눈들ang || tunge|혀ang || tungan|혀들ang

|-

| 대격 || naman|이름을ang || naman|이름들을ang || ēage|눈을ang || ēagan|눈들을ang || tungan|혀를ang || tungan|혀들을ang

|-

| 속격 || naman|이름의ang || namena|이름들의ang || ēagan|눈의ang || ēagena|눈들의ang || tungan|혀의ang || tungena|혀들의ang

|-

| 여격 || naman|이름에게ang || namum|이름들에게ang || ēagan|눈에게ang || ēagum|눈들에게ang || tungan|혀에게ang || tungum|혀들에게ang

|}

핵 표시 언어에서는 전치사가 굴절을 가질 수 있다. 서부 아파치어(샌 카를로스 방언)에서 후치사 -ká’|onapw은 접두사를 사용하여 인칭과 수에 따라 굴절된다.

rowspan="3"|성과 수
남성중성여성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강명사 격변화
engel|천사angscip|배angsorg|슬픔ang
주격engel|천사angenglas|천사들angscip|배angscipu|배들angsorg|슬픔angsorga|슬픔들ang
대격engel|천사angenglas|천사들angscip|배angscipu|배들angsorge|슬픔angsorga|슬픔들ang/{{lang|ang|sorge|}
단수2중수복수
1인칭shi-ká|나에게apw나에게noh-ká|우리 둘에게apw우리 둘에게da-noh-ká|우리에게apw'우리에게'
2인칭ni-ká|너에게apw너에게nohwi-ká|너희 둘에게apw'너희 둘에게'da-nohwi-ká|너희 모두에게apw'너희 모두에게'
3인칭bi-ká|그에게apw'그에게'da-bi-ká|그들에게apw'그들에게'


2. 2. 파생의 특징

파생은 기존 단어에서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고, 단어의 의미나 품사를 변경하는 ''파생 형태소''를 추가하는 과정이다.[6] 예를 들어 명사를 동사로 바꾸는 경우가 있다.[6]

파생 형태소를 기준으로 단어는 사전에 자주 등재된다. 반면 굴절 형태소를 기준으로는 단어가 사전에 등재되는 경우는 드물다. 예를 들어, 영어 사전은 파생 접미사가 있는 ''readable'' 및 ''readability''를 어근 ''read''와 함께 등재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영어 사전에는 ''book''을 한 항목으로, ''books''를 별도의 항목으로 등재하지 않으며, ''jump''와 ''jumped''도 마찬가지이다.

동사 법 사이의 구별은 주로 파생 형태소에 의해 표시된다.

3. 굴절과 활용, 곡용

굴절은 크게 동사의 활용과 명사의 곡용으로 나뉜다.


  • '''활용''': 동사가 시제, 법, 양상, 태, 인칭, 수 등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이다.
  • '''곡용''': 명사, 대명사, 형용사, 관사, 한정사 등이 격, 수, 성 등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이다.


영어에서 대부분의 명사는 문법적 수에 따라 굴절되며(예: "dog" → "dog-'''s'''"), 대부분의 영어 동사는 문법적 시제에 따라 굴절된다(예: "call" → "call-'''ed'''").[4][5] 영어는 또한 현재 시제의 3인칭 단수(''-s'' 사용)와 현재 분사(''-ing'' 사용)를 표시하기 위해 접사를 사용하여 동사를 굴절시킨다. 영어의 짧은 형용사는 비교급과 최상급 형태를 표시하기 위해 굴절된다(각각 ''-er'' 및 ''-est'' 사용).

영어의 굴절 접사
접사문법 범주표시품사
-s문법적 수복수명사
-s//s소유격명사와 명사구, 대명사 (독립 소유격 표시)
-ing진행형동명사 또는 분사
-en/-ed완료동사
-ed/-t문법적 시제과거 시제 (단순)동사
-s인칭, 수, 상, 시제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동사
-er비교급비교급형용사부사
-est비교급최상급형용사부사



현대 영어는 규칙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단어는 여전히 음운 변화에 의한 굴절(주로 동사에서)과 움라우트(특정 유형의 음운 변화, 주로 명사에서)를 사용하며, 장모음-단모음 교체도 사용한다.


  • ''Write, wrote, written'' (음운 변화 변동 표시, 분사에서도 접미사 사용)
  • ''Sing, sang, sung'' (음운 변화)
  • ''Foot, feet'' (움라우트 변동 표시)
  • ''Mouse, mice'' (움라우트)
  • ''Child, children'' (음운 변화, 복수에서도 접미사 사용)


형태론에서, 실제로 발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말을 '''어형'''이라고 한다. 어형은 다르지만 같은 개념을 나타내는 하나의 말이라고 생각되는 복수의 어형은 같은 '''어휘소'''이다. 예를 들어 "먹다, 먹었다, 먹자, 먹어라" 등은 각각 다른 어형이지만, 모두 같은 종류의 행위를 나타내므로 하나의 어휘소이다.

하나의 어휘소에 속하는 각각의 어형이 가지는 고유한 의미 기능을 '''값'''(value)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영어의 eat "먹다"는 "현재"를, ate "먹었다"는 "과거"를 값으로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값들이 상호 배타적이며 같은 의미 기능을 가질 때, 그것들은 하나의 '''굴절 소성'''(inflectional feature)의 다른 값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영어의 "현재"와 "과거"는 같은 굴절 소성 "시제"의 두 값이며, 영어의 동사는 시제의 값에 따라 어형 변화한다.

어형 변화하는 어휘소의 복수의 어형을 '''굴절형'''(inflectional form)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먹다, 먹었다, 먹자, 먹어라" 등은 어휘소 타벨의 굴절형이다. 어떤 어휘소의 모든 굴절형을 정리한 것을 그 어휘소의 '''패러다임'''(paradigm)이라고 하며, 표 형식으로 나타낸다.

3. 1. 활용 (Conjugation)

동사가 시제, 법, 양상, 태, 인칭, 수 등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을 활용이라고 한다. 주어진 어휘소 또는 어근 단어의 굴절된 형태를 동사일 경우 ''활용''이라고 부른다.[7]

다음 표는 직설법에서 동사 'to arrive'의 활용을 보여준다. 접미사는 인칭, 수 및 시제에 따라 굴절된다.

시제Iyouhe, she, itweyouthey
현재arrivearrivearrivesarrivearrivearrive
과거arrivedarrivedarrivedarrivedarrivedarrived



비정형 형태 ''arriv'''e''''' (원형 부정사), ''arriv'''ed''''' (과거 분사) 및 ''arriv'''ing''''' (게런드/현재 분사)는 인칭이나 수에 따라 굴절되지 않지만 동사 ''to arrive''의 활용의 일부로 간주될 수도 있다. ''I have arrived'', ''I had arrived'', 또는 ''I will arrive''와 같은 복합 동사 형태는 교육적 목적으로 동사의 활용에 포함될 수 있지만, ''arrive''의 명시적 굴절은 아니다. 관련 굴절이 주요 동사에 나타나지 않는 암묵적 형태를 도출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대명사 + 활용된 조동사 + 주요 동사의 비정형 형태.

현대 표준 아랍어(문어 아랍어라고도 함)는 굴절어이다. 인칭과 수를 기준으로 분류되는 독립형, 접미사 대명사 체계를 사용하며, 인칭과 수를 나타내는 동사 굴절을 사용한다. 접미사 대명사는 소유를 나타내는 표지, 동사 및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다. 타트윌 (ـــ)은 동사 어간, 동사 형태, 명사 또는 전치사가 위치하는 곳을 표시한다.[19]

rowspan=2 colspan=3 |단수복수이중수
독립형
대명사
접미사
대명사
현재 시제
접사
독립형
대명사
접미사
대명사
현재 시제
접사
독립형
대명사
접미사
대명사
현재 시제
접사
인칭1인칭أَنَا|ʾanāar "나"ـــِـي, ـــيَ, ـــنِي|—ī, —ya, —nīarأ|ʾ—arنَحْنُ|naḥnuarـــنَا|—nāarنـــ|n—ar복수와 동일
2인칭남성أَنْتَ|ʾantaar "너"ـــكَ|—kaarتـــ|t—arأَنْتُمْ|ʾantumarـــكُمْ|—kumarتــــُونَ|t—ūnarأَنْتُمَا|ʾantumāarـــكُمَا|—kumāar تــــَانِ|t—āniar
여성أَنْتِ|ʾantiar "너"ـــكِ|—kiarتــــِينَ|t—īnaarأَنْتُنَّ|ʾantunnaarـــكُنَّ|—kunnaarتــــْنَ|t—naar
3인칭남성هُوَ|huwaar "그"ـــهُ|—huarيـــ|y—arهُمْ|humarـــهُمْ|—humarيــــُونَ|y—ūnaarهُمَا|humāarـــهُمَا|—humāarيــــَانِ|y—āniar
여성هِيَ|hiyaar "그녀"ـــهَا|—hāarتـــ|t—arهُنَّ|hunnaarـــهُنَّ|—hunnaarتــــْنَ|t—naar



일상적인 의사 소통에 사용되는 아랍어 아랍어 방언 (예: 모로코 아랍어, 이집트 아랍어, 페르시아만 아랍어)는 격식이 있는 문어 아랍어보다 굴절이 적은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요르단 아랍어에서는 2인칭 및 3인칭 여성 복수형(أنتنّ|''antunna''ar 및 هنّ|''hunna''ar)과 각각 고유한 활용이 사라지고 남성형(أنتم|''antum''ar 및 هم|''hum''ar)으로 대체되지만, 레바논 및 시리아 아랍어에서는 هم|''hum''ar이 هنّ|''hunna''ar로 대체된다.[19]

활용(동사의 어형 변화)에서 나타나는 것은 수, 인칭, 시제, 상, 법 등이다.

3. 2. 곡용 (Declension)

명사, 대명사, 형용사, 관사, 한정사 등이 격, 수, 성 등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을 '''곡용'''이라고 한다.

품사의 굴절을 나타내는 두 가지 전통적인 문법 용어는 다음과 같다.

  • 명사, 대명사, 형용사, 부사, 관사 또는 한정사를 굴절시키는 것을 '''곡용'''이라고 한다. 형태는 수, 격, 성 또는 비교급을 나타낼 수 있다.
  • 동사를 굴절시키는 것을 '''활용'''이라고 한다. 형태는 시제, 법, 태, 양상, 인칭, 또는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주어진 어휘소 또는 어근 단어의 굴절된 형태를 정리한 목록을 명사일 경우 ''곡용''이라고 부르고, 동사일 경우 ''활용''이라고 부른다.

다음은 격과 수에 따라 굴절되는 영어 대명사 ''I''의 곡용이다.

단수복수
주격Iwe
목적격meus
소유 한정사myour
소유 대명사mineours
재귀myselfourselves



대명사 ''who''도 격에 따라 굴절된다. 굴절은 결함이 있는데, 재귀 형태가 없다는 의미이다.

단수 및 복수
주격who
간접격whom (전통적), who (비공식적)
소유격whose
재귀



'''굴절 패러다임'''은 단어의 한 부류가 동일한 패턴을 따르는 패턴(일반적으로 굴절 어미 집합)을 지칭한다. 명사 굴절 패러다임은 ''격변화''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라틴어 격변화에는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첫 번째 격변화에 속하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a''로 끝나며 일반적으로 여성형이다. 이러한 단어들은 공통적인 굴절 체계를 공유한다. 고대 영어에서 명사는 아래와 같이 ''강변화''와 ''약변화''의 두 가지 주요 격변화 범주로 나뉜다.

rowspan="3"|성과 수
남성중성여성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강명사 격변화
engel|천사angscip|배angsorg|슬픔ang
주격engel|천사angenglas|천사들angscip|배angscipu|배들angsorg|슬픔angsorga|슬픔들ang
대격engel|천사angenglas|천사들angscip|배angscipu|배들angsorge|슬픔angsorga|슬픔들ang/sorge|슬픔ang
속격engles|천사의angengla|천사들의angscipes|배의angscipa|배들의angsorge|슬픔의angsorga|슬픔들의ang
여격engle|천사에게angenglum|천사들에게angscipe|배에게angscipum|배들에게angsorge|슬픔에게angsorgum|슬픔들에게ang
약명사 격변화
nama|이름angēage|눈angtunge|혀ang
주격nama|이름angnaman|이름들angēage|눈angēagan|눈들angtunge|혀angtungan|혀들ang
대격naman|이름을angnaman|이름들을angēage|눈을angēagan|눈들을angtungan|혀를angtungan|혀들을ang
속격naman|이름의angnamena|이름들의angēagan|눈의angēagena|눈들의angtungan|혀의angtungena|혀들의ang
여격naman|이름에게angnamum|이름들에게angēagan|눈에게angēagum|눈들에게angtungan|혀에게angtungum|혀들에게ang



"강변화"와 "약변화"라는 용어는 의존 표시 언어(예: 인도유럽어족 또는 일본어)에 주로 관련이 있다. 의존 표시 언어에서 전치사(전치사 또는 후치사)구의 명사는 굴절 형태소를 가질 수 있다.

4. 굴절 패러다임

'''굴절 패러다임'''은 한 단어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굴절 형태의 집합을 의미한다. 굴절 패러다임은 언어마다 다르며, 같은 언어 내에서도 품사나 굴절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주어진 어휘소 또는 어근 단어의 굴절된 형태를 정리한 목록을 명사일 경우 '''변화'''라고 부르고, 동사일 경우 '''활용'''이라고 부른다.

다음은 격과 수에 따라 굴절되는 영어 대명사 ''I''의 변화이다.

단수복수
주격Iwe
목적격meus
소유 한정사myour
소유 대명사mineours
재귀myselfourselves



대명사 ''who''도 격에 따라 굴절된다. 굴절은 결함이 있는데, 재귀 형태가 없다는 의미이다.

단수 및 복수
주격who
간접격whom (전통적), who (비공식적)
소유격whose
재귀



다음 표는 직설법 법에서 동사 ''to arrive''의 활용을 보여준다. 접미사는 인칭, 수 및 시제에 따라 굴절된다.

시제Iyouhe, she, itweyouthey
현재arrivearrivearrivesarrivearrivearrive
과거arrivedarrivedarrivedarrivedarrivedarrived



명사 굴절 패러다임은 ''격변화''라고 불리며, 동사 굴절 패러다임은 ''활용''이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라틴어 격변화에는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첫 번째 격변화에 속하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a''로 끝나며 일반적으로 여성형이다. 이러한 단어들은 공통적인 굴절 체계를 공유한다. 고대 영어에서 명사는 아래와 같이 ''강변화''와 ''약변화''의 두 가지 주요 격변화 범주로 나뉜다.

}

|-

| 속격 || engles|천사의ang || engla|천사들의ang || scipes|배의ang || scipa|배들의ang || sorge|슬픔의ang || sorga|슬픔들의ang

|-

| 여격 || engle|천사에게ang || englum|천사들에게ang || scipe|배에게ang || scipum|배들에게ang || sorge|슬픔에게ang || sorgum|슬픔들에게ang

|-

! style="background:#efafef" rowspan="2"|격

! style="background:#afefef" colspan="6"|약명사 격변화

|-

|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nama|이름ang

|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ēage|눈ang

|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tunge|혀ang

|-

| 주격 || nama|이름ang || naman|이름들ang || ēage|눈ang || ēagan|눈들ang || tunge|혀ang || tungan|혀들ang

|-

| 대격 || naman|이름ang || naman|이름들ang || ēage|눈ang || ēagan|눈들ang || tungan|혀ang || tungan|혀들ang

|-

| 속격 || naman|이름의ang || namena|이름들의ang || ēagan|눈의ang || ēagena|눈들의ang || tungan|혀의ang || tungena|혀들의ang

|-

| 여격 || naman|이름에게ang || namum|이름들에게ang || ēagan|눈에게ang || ēagum|눈들에게ang || tungan|혀에게ang || tungum|혀들에게ang

|}

같은 품사에 속하는 두 어휘소의, 같은 문법 기능을 가지는 굴절 접사의 형태가 서로 음운적으로 닮지 않은 (=보충적인) 경우, 그 어휘소들은 서로 다른 '''굴절류''' (inflection class)에 속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일본어동사 "飲む(nom-u)"와 "食べる(tabe-ru)"의 명령형은 각각 "飲め(nom-e)", "食べろ(tabe-ro)"로, 명령형을 만드는 굴절 접사 -e와 -ro는 보충적이므로, "飲む"와 "食べる"는 서로 다른 굴절류에 속한다(5단 활용과 1단 활용).

"〜곡용"은 명사 및 이에 준하는 품사의 굴절류를, "〜활용"은 동사 및 이에 준하는 품사의 굴절류를 나타낸다.

같은 굴절류에 포함된 어휘소는, 같은 방식으로 어형 변화를 하며, 같은 종류의 패러다임을 가진다.

rowspan="3"|성과 수
남성중성여성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강명사 격변화
engel|천사angscip|배angsorg|슬픔ang
주격engel|천사angenglas|천사들angscip|배angscipu|배들angsorg|슬픔angsorga|슬픔들ang
대격engel|천사angenglas|천사들angscip|배angscipu|배들angsorge|슬픔angsorga|슬픔들ang/{{lang|ang|sorge|}
일본어의 "分(わ)かる(wakaru)"와 "分(わ)ける(wakeru)"의 패러다임(일부)
분(わ)かる(wakaru) (5단 활용)분(わ)ける(wakeru) (1단 활용)
종지형wakar-uwake-ru
연용형wakar-iwake
명령형wakar-ewake-ro


5. 굴절의 유형

언어는 굴절 형태소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굴절 형태소를 단어에 추가하는 언어를 굴절어라고 부른다. 형태소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가될 수 있다.


  • 접사 부착: 어근을 변경하지 않고 형태소를 단어에 추가한다.
  • 중복: 단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반복하여 의미를 변경한다.
  • 교체: 어근에서 하나의 소리를 다른 소리로 바꾸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음 소리, 예를 들어 모음 교체)
  • 초분절적 변동: 강세, 음고 또는 성조와 같이 소리가 추가되거나 변경되지 않지만 각 소리의 억양과 상대적 강도가 규칙적으로 변경되는 경우이다.


인도유럽조어는 굴절이 매우 발달했기 때문에, 그 후손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굴절을 겪는다.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고대 영어 등과 같은 초기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은 인도유럽조어에 근접했기 때문에 굴절이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굴절 소실은 이전에 굴절이 매우 발달했던 일부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현대적 형태에서 굴절을 상당히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예를 들어 고대 영어에 비해 현대 영어가 그러하다.

현대 표준 아랍어(문어 아랍어)는 굴절어의 한 예이다. 인칭과 수를 기준으로 분류되는 독립형, 접미사 대명사 체계를 사용하며, 인칭과 수를 나타내는 동사 굴절을 사용한다. 접미사 대명사는 소유를 나타내는 표지, 동사 및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다.[19]

rowspan=2 colspan=3 |단수복수이중수
독립형
대명사
접미사
대명사
현재 시제
접사
독립형
대명사
접미사
대명사
현재 시제
접사
독립형
대명사
접미사
대명사
현재 시제
접사
인칭1인칭أَنَا|ʾanāar "나"ـــِـي, ـــيَ, ـــنِي|—ī, —ya, —nīarأ|ʾ—arنَحْنُ|naḥnuarـــنَا|—nāarنـــ|n—ar복수와 동일
2인칭남성أَنْتَ|ʾantaar "너"ـــكَ|—kaarتـــ|t—arأَنْتُمْ|ʾantumarـــكُمْ|—kumarتــــُونَ|t—ūnarأَنْتُمَا|ʾantumāarـــكُمَا|—kumāar تــــَانِ|t—āniar
여성أَنْتِ|ʾantiar "너"ـــكِ|—kiarتــــِينَ|t—īnaarأَنْتُنَّ|ʾantunnaarـــكُنَّ|—kunnaarتــــْنَ|t—naar
3인칭남성هُوَ|huwaar "그"ـــهُ|—huarيـــ|y—arهُمْ|humarـــهُمْ|—humarيــــُونَ|y—ūnaarهُمَا|humāarـــهُمَا|—humāarيــــَانِ|y—āniar
여성هِيَ|hiyaar "그녀"ـــهَا|—hāarتـــ|t—arهُنَّ|hunnaarـــهُنَّ|—hunnaarتــــْنَ|t—naar



일상적인 의사 소통에 사용되는 아랍어 방언은 문어 아랍어보다 굴절이 적은 경향이 있다. 또한, ʾIʿrāb이라고 알려진 시스템은 문장 내에서의 기능과 주변 단어와의 관계에 따라 각 동사, 명사, 형용사 및 부사에 모음 어미를 붙인다.[19]

어형 변화란, 하나의 어휘소가 굴절 소성(값)의 차이에 따라 다른 어형을 가지는 것이다. 형태론에서, 실제로 발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말을 '''어형'''이라고 한다. 어형은 다르지만 같은 개념을 나타내는 하나의 말이라고 생각되는 복수의 어형은 같은 '''어휘소'''이다. 예를 들어 "먹다, 먹었다, 먹자, 먹어라" 등은 각각 다른 어형이지만, 모두 같은 종류의 행위를 나타내므로 하나의 어휘소이다.

하나의 어휘소에 속하는 각 어형이 가지는 고유한 의미 기능을 '''값''' (value)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영어의 eat "먹다"는 "현재"를, ate "먹었다"는 "과거"를 값으로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값들이 상호 배타적이며, 같은 의미 기능을 가질 때, 그것들은 하나의 '''굴절 소성'''의 다른 값이다. 예를 들어 영어의 "현재"와 "과거"는 같은 굴절 소성 "시제"의 두 값이며, 영어의 동사는 시제의 값에 따라 어형 변화한다.

어형 변화하는 어휘소의 복수 어형을 '''굴절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먹다, 먹었다, 먹자, 먹어라" 등은 어휘소 '타베루'의 굴절형이다. 어떤 어휘소의 모든 굴절형을 정리한 것을 그 어휘소의 '''패러다임'''이라고 하며, 표 형식으로 나타낸다.

5. 1. 교착어 (Agglutinative language)

우랄어족교착어이며, 이는 우랄조어의 교착 현상에서 비롯되었다. 가장 큰 언어는 헝가리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로, 모두 유럽 연합의 공용어이다. 우랄어의 굴절은 접사 부착에서 유래하거나 그로부터 발전했다. 단어에 직접 추가된 문법 표지는 영어의 전치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동사,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및 일부 조사와 같이 거의 모든 단어가 문장 내 역할에 따라 굴절된다.[7]

특히 헝가리어와 핀란드어는 접미사를 단순히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핀란드어 ''talossanikinko'' ("내 집에도?")는 ''talo-ssa-ni-kin-ko''로 구성된다. 그러나 핀어군 언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와 사미어족 언어에는 특히 자음 단계와 같이 어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 있다. 원래 접미사는 사라질 수 있으며 (그리고 연결을 통해서만 나타날 수 있음), 어근의 변형만 남게 된다. 이 과정은 에스토니아어와 사미어에서 광범위하게 발달했으며, 이 언어들을 교착어일 뿐만 아니라 굴절어이기도 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에스토니아어의 내격은 수정된 어근으로 표현된다. ''maja'' → ''majja'' (역사적 형태 *''maja-han'').[7]

알타이어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언어 연합으로 여겨지지만, 소수의 언어학자들이 알타이 어족으로 묶는 세 개의 어족, 즉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만주-퉁구스어족은 교착어이다. 가장 큰 언어는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우즈베크어로 모두 튀르크어이다. 알타이어의 굴절은 접사 부착에 의한 것이거나 여기에서 파생되었다. 단어에 직접 추가되는 문법 표지는 영어의 전치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거의 모든 단어는 문장 내 역할에 따라 활용되는데, 동사,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및 일부 조사가 해당된다.[7]

일본어는 동사에서 높은 수준의 명시적 굴절을 보이며, 형용사에서는 덜하고 명사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대부분 매우 엄격한 교착어이며 매우 규칙적이다. 형태소의 융합 또한 구어에서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사역-수동이 ''-사레-''(-sare-)로 융합되어, "가게 된다"와 같이 사용되며, 비과거 진행형 ''-테이루''(-teiru)가 ''-테루''(-teru)로 융합되어 "먹고 있다"와 같이 사용된다. 형식적으로, 모든 명사구는 격이 표시되어야 하지만, 이는 불변의 입자 (단어 덧붙임 후치사)에 의해 수행된다.[7]

5. 2. 굴절어 (Fusional language)

굴절어는 접사를 부착하여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언어 유형 중 하나이다. 굴절어에서 하나의 형태소는 여러 개의 문법적 의미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형태소 간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형태소의 변화가 불규칙적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라틴어에서 'bonus'(좋은)라는 형용사는 남성 단수 주격 형태이다. 여기서 '-us'는 남성, 단수, 주격이라는 세 가지 문법적 의미를 동시에 나타낸다. 러시아어독일어도 굴절어에 속한다.

5. 3. 고립어 (Isolating language)

고립어는 굴절이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단어가 문법적 기능에 따라 형태가 변하지 않는 언어이다. 문법적 관계는 어순이나 조사와 같은 기능어를 통해 나타낸다. 동남아시아 대륙 언어권에 속하는 중국어 방언, 베트남어, 태국어 등이 대표적인 고립어이다.[23]

표준 중국어는 굴절 형태론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나' 또는 '나를'을 의미하는 '我|wǒ중국어'와 '그' 또는 '그를'을 의미하는 '他|tā중국어'는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의미가 결정된다. 반면, 라틴어에서는 단어의 격 어미를 통해 문법적 역할을 표시하므로 어순이 바뀌어도 의미가 변하지 않는다.

  • 현대 표준 중국어:
  • *: 我给了他一本书|wǒ gěile tā yī běn shū중국어 '나는 그에게 책을 주었다'
  • *: 他给了我一本书|tā gěile wǒ yī běn shū중국어 '그는 나에게 책을 주었다'


고대 중국어에서는 대명사가 격에 따라 굴절되었지만, 현대 중국어에서는 이러한 굴절 형태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 고어로 간주된다.[23]

일부 중국어 방언에서는 성조 변화를 통해 의미를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타이산과 중산어(둘 다 월어 방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성조를 통해 단수와 복수, 또는 과거 시제를 나타낸다.[24]

(단수)
우리 (복수)



'가다'
갔다 (완료)



육가 방언의 인칭 대명사를 자이와 및 징포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위첨자로 표시된 숫자는 차오 성조 숫자를 나타낸다.[25][26]

인칭 대명사 비교
scope="col" |육가자이와징포
1 주격ŋai11hakŋo51zaiŋai33kac
1 속격ŋa24hak or ŋai11 ke55hakŋa55zaiŋjeʔ55kac
1 대격ŋai11hakŋo31zaiŋai33kac
2 주격ŋ̍11haknaŋ51zainaŋ33kac
2 속격ŋia24hak or ŋ̍11 ke55haknaŋ55zainaʔ55kac
2 대격ŋ̍11haknaŋ31zainaŋ33kac
3 주격ki11hakjaŋ31zaikhji33kac
3 속격kia24hak or ki11 ke55hakjaŋ51zaikhjiʔ55kac
3 대격ki11hakjaŋ31zaikhji33kac


6. 여러 언어의 굴절

인도유럽어족은 굴절이 발달한 언어군으로, 굴절어의 특징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와 같은 고대 인도유럽어족 언어는 굴절이 매우 발달했으나, 현대 언어에서는 굴절이 간소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굴절 소실은 이전에 굴절이 매우 발달했던 일부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현대적 형태에서 굴절을 상당히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예를 들어 고대 영어에 비해 현대 영어가 그러하다. 일반적으로 굴절 소실이 일어나는 언어는 굴절의 복잡성을 잃어버린 굴절적 세부 사항을 제공하는 더 엄격한 어순으로 대체한다.

인도유럽조어는 굴절이 매우 발달했기 때문에, 그 후손인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영어, 독일어,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페르시아어, 쿠르드어, 이탈리아어, 아일랜드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힌디어, 마라티어, 우르두어, 벵골어, 네팔어 등 모든 인도유럽어족 언어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굴절을 겪는다.

대부분의 슬라브어파와 일부 인도아리아어파는 일반적인 인도유럽어의 굴절 소실 추세에서 예외이며, (일부 경우에는 체코어 격변화와 마라티어와 같이 추가적인 굴절 복잡성 및 문법적 성을 획득하면서) 여전히 고도로 굴절되어 있다.

고대 노르드어는 굴절되었지만, 현대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는 굴절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 격 (문법)은 영어처럼 대명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형용사, 명사, 결정사 및 관사는 여전히 문법적 수와 문법적 성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진다. 덴마크어와 스웨덴어는 두 개의 다른 성으로만 굴절되는 반면, 노르웨이어는 어느 정도 여성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이슬란드어처럼 세 개의 문법적 성으로 굴절된다. 그러나 아이슬란드어와 비교하면 언어에 남아있는 여성 형태는 훨씬 적다.

이에 비해 아이슬란드어는 거의 모든 고대 노르드어의 굴절을 보존하고 있으며, 여전히 굴절이 많이 이루어진다. 고대 노르드어의 모든 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와 세 개의 다른 문법적 성에 따라 굴절된다. 그러나 이중수 형태는 고대 노르드어에 비해 거의 완전히 사라졌다.

다른 게르만어와 달리, 명사는 모든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 정해성에 따라 굴절된다. 다음은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의 경우이다.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명사의 굴절
rowspan="2" |단수복수
부정정해부정정해
남성ein bilbilenbilarbilane
a carthe carcarsthe cars
여성ei vognvognavognervognene
a wagonthe wagonwagonsthe wagons
중성eit hushusethushusa
a housethe househousesthe houses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관사
rowspan="2" |단수복수
부정정해부정정해
남성ein-en-ar-ane
여성ei-a-er-ene
중성eit-et--a



형용사와 분사 역시 모든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 원시 게르만어처럼 정해성에 따라 굴절된다.

현대 독일어는 4개의 명사 격을 유지하며 적당히 굴절된 형태를 보이지만, 초기 신고지 독일어에서 격 소유격은 격식을 갖춘 글을 제외하고는 사용 빈도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네덜란드어의 격 체계는 독일어보다 더 단순하며,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더욱 단순화되었다. 20세기 초에 네덜란드 방언이 아닌 별개의 언어로 인정받은 아프리칸스어는 거의 모든 굴절을 잃었다.

로망스어는 영어보다 명확한 굴절을 가지며, 특히 동사 활용에서 두드러진다.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등이 그 예시이다. 형용사, 명사, 관사는 동사보다 굴절이 덜하지만, 수와 문법적 성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로망스어의 기원인 라틴어는 굴절이 매우 발달했다. 명사와 형용사는 7개의 문법 격 (5개의 주요 격 포함)에 따라 형태가 변했고, 5개의 주요 활용 패턴과 대부분의 로망스어에서 나타나는 2개의 성 대신 3개의 성을 가졌다. 6개의 시제, 3개의 법 (직설법, 가정법, 명령법, 그리고 부정사, 분사, 게룬드, 게룬디브, 수동태) 및 2개의 태 (수동태와 능동태)에서 4개의 활용 패턴이 있었으며, 모두 접사를 통해 명확하게 표현되었다 (수동태 형태는 3개의 시제에서 주변 구문을 사용했다).

슬라브어는 굴절이 매우 발달한 언어군으로, 일반적으로 명사와 형용사에 6~7개의 격과 3개의 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명시적인 격 체계는 현대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거의 완전히 사라졌다. 대부분의 동사 시제와 법 또한 굴절에 의해 형성된다(그러나 일부는 주어술어구문이며, 일반적으로 미래 시제와 가정법이 그렇다). 굴절은 형용사 비교와 단어 파생에서도 나타난다.[18] 격어미는 격(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처격, 조격, 호격), 수(단수, 쌍수 또는 복수), 성(남성, 여성, 중성) 및 유정성(유정 vs 무정)에 따라 달라진다. 다른 언어군에서는 특이하게, 대부분의 슬라브어의 격 변화는 단어가 명사인지 형용사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슬로베니아어소르브어는 쌍수라고 알려진 희귀한 세 번째 수(단수와 복수 외에)를 사용한다(일부 단어의 경우 쌍수는 폴란드어 및 기타 슬라브어에서도 살아남았다). 현대 러시아어, 세르비아어, 체코어에서도 쌍수의 더 복잡한 형태를 사용하지만, 이는 2, 3, 4, 그리고 2, 3, 또는 4로 끝나는 더 큰 숫자에 적용된다(십 대는 복수로 처리되므로, 102는 쌍수이지만 12 또는 127은 그렇지 않다).[18] 또한, 폴란드어와 같은 일부 슬라브어에서는 어간이 어미의 추가 또는 부재로 자주 수정되어 자음 및 모음 교체가 발생한다.[18]

우랄어족교착어이며, 이는 우랄조어의 교착 현상에서 비롯되었다. 우랄어의 굴절은 접사 부착에서 유래하거나 그로부터 발전했다. 단어에 직접 추가된 문법 표지는 영어의 전치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동사,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및 일부 조사와 같이 거의 모든 단어가 문장 내 역할에 따라 굴절된다.[1] 특히 헝가리어핀란드어는 접미사를 단순히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핀란드어 ''talossanikinko'' ("내 집에도?")는 ''talo-ssa-ni-kin-ko''로 구성된다. 그러나 핀어군 언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와 사미어족 언어에는 특히 자음 단계와 같이 어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 있다. 원래 접미사는 사라질 수 있으며 (그리고 연결을 통해서만 나타날 수 있음), 어근의 변형만 남게 된다. 이 과정은 에스토니아어와 사미어에서 광범위하게 발달했으며, 이 언어들을 교착어일 뿐만 아니라 굴절어이기도 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에스토니아어의 내격은 수정된 어근으로 표현된다. ''maja'' → ''majja'' (역사적 형태 *''maja-han'').[1]

알타이어족은 교착어의 특징을 보이며,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만주-퉁구스어족이 이에 속한다. 이 중 가장 큰 언어는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우즈베크어와 같은 튀르크어이다. 알타이어에서 굴절은 접사 부착을 통해 나타나며, 영어의 전치사와 같은 기능을 하는 문법 표지가 단어에 직접 추가된다. 거의 모든 단어는 문장 내 역할에 따라 활용되며, 여기에는 동사,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및 일부 조사가 포함된다.[1]

바스크어고립어로서 명사와 동사에 모두 굴절이 심하게 일어나는 언어이다.[20] 명사구 형태론은 첨가어적이며, 어간의 끝에 단순히 부착되는 접미사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미사는 많은 경우에 관사 (단수형은 '-a', 복수형은 '-ak')와 융합되는데, 바스크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한정사가 없을 경우 명사구를 닫기 위해 필요하며, 많은 언어의 관사와 달리, 그것은 단정성의 개념과 부분적으로만 관련될 수 있다. 고유 명사는 관사를 사용하지 않으며, 관사가 없는 부정 명사(바스크어 문법에서 'mugagabe'라고 불림)는 구문론적으로 매우 제한적이다. 바스크어는 절대격-주격 언어인데, 이는 굴절적으로 자동사의 단일 논항(주어)이 타동사의 직접 목적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절대격'이라고 불리며, 바스크어에서는 대부분의 절대격-주격 언어와 마찬가지로 0 형태소로 실현된다. 즉, 특별한 굴절을 받지 않는다. 타동사의 주어는 '대격'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격 접미사를 받는다.[20]

바스크어에는 격 일치가 없으며, 관사와 융합된 격 접미사를 포함한 격 접미사는 명사구의 마지막 단어에만 추가된다. 복수성은 명사에 표시되지 않으며, 관사 또는 다른 한정사, 어쩌면 격 표지와 융합된 것으로만 식별된다. 아래의 예는 0 격 표지가 있는 절대격이며, 관사만 포함한다:[20]

txakurr-a(the/a) 개
txakurr-ak(the) 개들
txakur polit-a(the/a) 예쁜 개
txakur polit-ak(the) 예쁜 개들



명사구는 11개의 격으로 굴절된다: '절대격, 대격, 여격, 소유-속격, 수혜격, 공동격, 도구격, 내격, 향격, 탈격, 국소-속격'. 이들은 '단수, 복수, 부정' 및 '고유 명사' 범주에 따라 변하는 접미사로 표시되며,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지 모음으로 끝나는지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다. 단수 및 복수 범주는 관사와 융합되며, 이러한 어미는 다른 한정사로 명사구가 닫히지 않을 때 사용된다. 이를 통해 잠재적으로 88개의 서로 다른 형태가 생기지만, 부정 및 고유 명사 범주는 국소 격(내격, 향격, 탈격, 국소-속격)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며, 어미의 많은 다른 변형은 허용되지 않는 자음군을 피하기 위해 작동하는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국소 격 어미는 일반적으로 생물 고유 명사에는 추가되지 않는다. 국소 격의 정확한 의미는 국소 격 접미사 뒤에 추가되는 추가 접미사로 더 구체화될 수 있다.[20]

동사 형태는 매우 복잡하며, 주어,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와 일치한다. 또한 자동사에 대한 "관심의 여격"과 일치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친한 지인에게 말할 때 동사 형태가 변경되는 호칭형도 포함한다. 이러한 호칭형은 또한 대상이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는다. 이것은 바스크어 문법에서 성이 어떤 역할이라도 하는 유일한 영역이다.[20]

동남아시아 대륙 언어권의 중국어 방언, 베트남어, 태국어 등 대부분의 언어는 굴절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분석 언어(고립어)로 간주된다.

표준 중국어는 굴절 형태론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조사와 어순을 사용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 또는 '나를'을 뜻하는 ''wǒ''와 '그' 또는 '그를'을 뜻하는 ''tā''의 의미는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23] 고대 중국어에서는 대명사가 격에 따라 굴절되었으나, 현대 중국어 표준어에서는 이러한 굴절이 대부분 사라졌다. 예를 들어, 고대에는 我 (''wǒ'')가 1인칭 대격으로, 吾 (''Wú'')가 1인칭 주격으로 사용되었다.[23]

일부 중국어 방언에서는 성조 변화를 통해 의미를 표현하기도 한다. 타이산 방언과 중산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24]

방언단어의미
타이산ngwoi33 (단수)
ngwoi22우리 (복수)
중산어hy22'가다'
hy35갔다 (완료)



육가 방언의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자이와 및 징포와 비교할 수 있다. 위첨자는 차오 성조 숫자를 나타낸다.[25][26]

인칭 대명사 비교
scope="col" |육가자이와징포
1인칭 주격ŋai11ŋo51ŋai33
1인칭 속격ŋa24 or ŋai11 ke55ŋa55ŋjeʔ55
1인칭 대격ŋai11ŋo31ŋai33
2인칭 주격ŋ̍11naŋ51naŋ33
2인칭 속격ŋia24 or ŋ̍11 ke55naŋ55naʔ55
2인칭 대격ŋ̍11naŋ31naŋ33
3인칭 주격ki11jaŋ31khji33
3인칭 속격kia24 or ki11 ke55jaŋ51khjiʔ55
3인칭 대격ki11jaŋ31khji33



일본어교착어이며, 동사 활용이 발달했고, 형용사에서도 동사보다는 덜하지만 활용이 나타난다. 명사에서는 굴절이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격은 불변의 입자(단어 덧붙임 후치사)를 통해 표시된다. 많은 문법학자들은 일본어의 입자를 별개의 단어로 간주하여 굴절이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교착을 명시적 굴절의 한 유형으로 간주하여 일본어 명사가 굴절된다고 보기도 한다. 구어에서는 형태소 융합도 일어나는데, 예를 들어 사역-수동 '~せられ|세라레일본어~'(-serare-)가 '~され|사레일본어~'(-sare-)로 융합되어 '行か'''され'''る|이카'''사레'''루일본어'(가게 된다)와 같이 사용되고, 비과거 진행형 '~ている|테이루일본어'(-teiru)가 '~てる|테루일본어'(-teru)로 융합되어 '食べ'''てる'''|타베'''테루'''일본어'(먹고 있다)와 같이 사용된다.

한국어는 교착어이며, 조사를 통해 격, 시제, 존칭 등을 나타내는 굴절이 발달해 있다. 한국어의 조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부사 등에 붙어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한국어의 동사 어미는 시제, 상, 양태, 존칭 등을 나타낸다. 한국어는 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지만, 조사를 통해 문장 성분을 명확히 구별할 수 있다.

6. 1.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어족은 굴절이 발달한 언어군으로, 굴절어의 특징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와 같은 고대 인도유럽어족 언어는 굴절이 매우 발달했으나, 현대 언어에서는 굴절이 간소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굴절 소실은 이전에 굴절이 매우 발달했던 일부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현대적 형태에서 굴절을 상당히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예를 들어 고대 영어에 비해 현대 영어가 그러하다. 일반적으로 굴절 소실이 일어나는 언어는 굴절의 복잡성을 잃어버린 굴절적 세부 사항을 제공하는 더 엄격한 어순으로 대체한다.

인도유럽조어는 굴절이 매우 발달했기 때문에, 그 후손인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영어, 독일어,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페르시아어, 쿠르드어, 이탈리아어, 아일랜드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힌디어, 마라티어, 우르두어, 벵골어, 네팔어 등 모든 인도유럽어족 언어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굴절을 겪는다.

대부분의 슬라브어파와 일부 인도아리아어파는 일반적인 인도유럽어의 굴절 소실 추세에서 예외이며, (일부 경우에는 체코어 격변화와 마라티어와 같이 추가적인 굴절 복잡성 및 문법적 성을 획득하면서) 여전히 고도로 굴절되어 있다.

고대 노르드어는 굴절되었지만, 현대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는 굴절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 격 (문법)은 영어처럼 대명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형용사, 명사, 결정사 및 관사는 여전히 문법적 수와 문법적 성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진다. 덴마크어와 스웨덴어는 두 개의 다른 성으로만 굴절되는 반면, 노르웨이어는 어느 정도 여성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이슬란드어처럼 세 개의 문법적 성으로 굴절된다. 그러나 아이슬란드어와 비교하면 언어에 남아있는 여성 형태는 훨씬 적다.

이에 비해 아이슬란드어는 거의 모든 고대 노르드어의 굴절을 보존하고 있으며, 여전히 굴절이 많이 이루어진다. 고대 노르드어의 모든 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와 세 개의 다른 문법적 성에 따라 굴절된다. 그러나 이중수 형태는 고대 노르드어에 비해 거의 완전히 사라졌다.

다른 게르만어와 달리, 명사는 모든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 정해성에 따라 굴절된다. 다음은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의 경우이다.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명사의 굴절
rowspan="2" |단수복수
부정정해부정정해
남성ein bilbilenbilarbilane
a carthe carcarsthe cars
여성ei vognvognavognervognene
a wagonthe wagonwagonsthe wagons
중성eit hushusethushusa
a housethe househousesthe houses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관사
rowspan="2" |단수복수
부정정해부정정해
남성ein-en-ar-ane
여성ei-a-er-ene
중성eit-et--a



형용사와 분사 역시 모든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 원시 게르만어처럼 정해성에 따라 굴절된다.

현대 독일어는 4개의 명사 격을 유지하며 적당히 굴절된 형태를 보이지만, 초기 신고지 독일어에서 격 소유격은 격식을 갖춘 글을 제외하고는 사용 빈도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네덜란드어의 격 체계는 독일어보다 더 단순하며,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더욱 단순화되었다. 20세기 초에 네덜란드 방언이 아닌 별개의 언어로 인정받은 아프리칸스어는 거의 모든 굴절을 잃었다.

6. 1. 1. 영어

영어는 고대 영어에 비해 굴절이 상당히 간소화되었지만, 여전히 몇 가지 굴절의 흔적이 남아있다.

대부분의 영어 명사는 문법적 수에 따라 복수 접미사 '-s'를 사용하여 굴절된다. (예: "dog" → "dog'''s'''")[4][5] 또한, 명사는 소유격을 나타내는 '''s'를 사용하여 굴절되기도 한다. (예: "Jennifer'''’s''' book" - 제니퍼의 책)

대부분의 영어 동사는 문법적 시제에 따라 과거 시제 접미사 '-ed'를 사용하여 굴절된다. (예: "call" → "call'''ed'''")[4][5] 또한, 현재 시제의 3인칭 단수('-s' 사용)와 현재 분사('-ing' 사용)를 표시하기 위해 접사를 사용하여 동사를 굴절시킨다.

영어의 짧은 형용사는 비교급(-er)과 최상급(-est) 형태를 표시하기 위해 굴절된다.[4][5]

영어의 굴절 접사[4][5]
접사문법 범주표시품사
-s문법적 수복수명사
-s/s소유격명사와 명사구, 대명사 (독립 소유격 표시)
-ing진행형동명사 또는 분사
-en/-ed완료동사
-ed/-t문법적 시제과거 시제 (단순)동사
-s인칭, 수, 상, 시제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동사
-er비교급비교급형용사부사
-est비교급최상급형용사부사



규칙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현대 영어는 여전히 음운 변화에 의한 굴절(주로 동사)과 움라우트(주로 명사)를 사용하는 단어들이 남아있다.[4][5]


  • ''Write, wrote, written'' (음운 변화 변동 표시, 분사에서도 접미사 사용)
  • ''Sing, sang, sung'' (음운 변화)
  • ''Foot, feet'' (움라우트 변동 표시)
  • ''Mouse, mice'' (움라우트)
  • ''Child, children'' (음운 변화, 복수에서도 접미사 사용)


명사, 대명사, 형용사, 부사, 관사, 한정사의 굴절은 '''변화'''라고 하며, 동사의 굴절은 '''활용'''이라고 한다.

다음은 영어 대명사 ''I''의 변화이다.

단수복수
주격Iwe
목적격meus
소유 한정사myour
소유 대명사mineours
재귀myselfourselves



대명사 ''who''는 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굴절된다.

단수 및 복수
주격who
간접격whom (전통적), who (비공식적)
소유격whose
재귀



다음은 동사 ''to arrive''의 직설법 활용을 보여준다.

시제Iyouhe, she, itweyouthey
현재arrivearrivearrivesarrivearrivearrive
과거arrivedarrivedarrivedarrivedarrivedarrived


6. 1. 2. 로망스어군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그리고 특히 많은 격 변화를 가진 루마니아어와 같은 로망스어는 영어보다 명확한 굴절을 가지며, 특히 동사 활용에서 두드러진다. 형용사, 명사, 관사는 동사보다 굴절이 덜하지만, 수와 문법적 성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로망스어의 기원인 라틴어는 굴절이 매우 발달했다. 명사와 형용사는 7개의 문법 격 (5개의 주요 격 포함)에 따라 형태가 변했고, 5개의 주요 활용 패턴과 대부분의 로망스어에서 나타나는 2개의 성 대신 3개의 성을 가졌다. 6개의 시제, 3개의 법 (직설법, 가정법, 명령법, 그리고 부정사, 분사, 게룬드, 게룬디브, 수동태) 및 2개의 태 (수동태와 능동태)에서 4개의 활용 패턴이 있었으며, 모두 접사를 통해 명확하게 표현되었다 (수동태 형태는 3개의 시제에서 주변 구문을 사용했다).

6. 1. 3. 슬라브어파

슬라브어는 굴절이 매우 발달한 언어군으로, 일반적으로 명사와 형용사에 6~7개의 격과 3개의 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명시적인 격 체계는 현대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거의 완전히 사라졌다. 대부분의 동사 시제와 법 또한 굴절에 의해 형성된다(그러나 일부는 주어술어구문이며, 일반적으로 미래 시제와 가정법이 그렇다). 굴절은 형용사 비교와 단어 파생에서도 나타난다.[18]

격어미는 격(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처격, 조격, 호격), 수(단수, 쌍수 또는 복수), 성(남성, 여성, 중성) 및 유정성(유정 vs 무정)에 따라 달라진다. 다른 언어군에서는 특이하게, 대부분의 슬라브어의 격 변화는 단어가 명사인지 형용사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슬로베니아어소르브어는 쌍수라고 알려진 희귀한 세 번째 수(단수와 복수 외에)를 사용한다(일부 단어의 경우 쌍수는 폴란드어 및 기타 슬라브어에서도 살아남았다). 현대 러시아어, 세르비아어, 체코어에서도 쌍수의 더 복잡한 형태를 사용하지만, 이는 2, 3, 4, 그리고 2, 3, 또는 4로 끝나는 더 큰 숫자에 적용된다(십 대는 복수로 처리되므로, 102는 쌍수이지만 12 또는 127은 그렇지 않다).[18]

또한, 폴란드어와 같은 일부 슬라브어에서는 어간이 어미의 추가 또는 부재로 자주 수정되어 자음 및 모음 교체가 발생한다.[18]

6. 2. 우랄어족

우랄어족교착어이며, 이는 우랄조어의 교착 현상에서 비롯되었다. 우랄어의 굴절은 접사 부착에서 유래하거나 그로부터 발전했다. 단어에 직접 추가된 문법 표지는 영어의 전치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동사,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및 일부 조사와 같이 거의 모든 단어가 문장 내 역할에 따라 굴절된다.[1]

특히 헝가리어핀란드어는 접미사를 단순히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핀란드어 ''talossanikinko'' ("내 집에도?")는 ''talo-ssa-ni-kin-ko''로 구성된다. 그러나 핀어군 언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와 사미어족 언어에는 특히 자음 단계와 같이 어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 있다. 원래 접미사는 사라질 수 있으며 (그리고 연결을 통해서만 나타날 수 있음), 어근의 변형만 남게 된다. 이 과정은 에스토니아어와 사미어에서 광범위하게 발달했으며, 이 언어들을 교착어일 뿐만 아니라 굴절어이기도 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에스토니아어의 내격은 수정된 어근으로 표현된다. ''maja'' → ''majja'' (역사적 형태 *''maja-han'').[1]

6. 3. 알타이어족

알타이어족은 교착어의 특징을 보이며,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만주-퉁구스어족이 이에 속한다. 이 중 가장 큰 언어는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우즈베크어와 같은 튀르크어이다. 알타이어에서 굴절은 접사 부착을 통해 나타나며, 영어의 전치사와 같은 기능을 하는 문법 표지가 단어에 직접 추가된다. 거의 모든 단어는 문장 내 역할에 따라 활용되며, 여기에는 동사,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및 일부 조사가 포함된다.[1]

6. 4. 바스크어

바스크어고립어로서 명사와 동사에 모두 굴절이 심하게 일어나는 언어이다.[20] 명사구 형태론은 첨가어적이며, 어간의 끝에 단순히 부착되는 접미사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미사는 많은 경우에 관사 (단수형은 '-a', 복수형은 '-ak')와 융합되는데, 바스크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한정사가 없을 경우 명사구를 닫기 위해 필요하며, 많은 언어의 관사와 달리, 그것은 단정성의 개념과 부분적으로만 관련될 수 있다. 고유 명사는 관사를 사용하지 않으며, 관사가 없는 부정 명사(바스크어 문법에서 'mugagabe'라고 불림)는 구문론적으로 매우 제한적이다. 바스크어는 절대격-주격 언어인데, 이는 굴절적으로 자동사의 단일 논항(주어)이 타동사의 직접 목적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절대격'이라고 불리며, 바스크어에서는 대부분의 절대격-주격 언어와 마찬가지로 0 형태소로 실현된다. 즉, 특별한 굴절을 받지 않는다. 타동사의 주어는 '대격'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격 접미사를 받는다.[20]

바스크어에는 격 일치가 없으며, 관사와 융합된 격 접미사를 포함한 격 접미사는 명사구의 마지막 단어에만 추가된다. 복수성은 명사에 표시되지 않으며, 관사 또는 다른 한정사, 어쩌면 격 표지와 융합된 것으로만 식별된다. 아래의 예는 0 격 표지가 있는 절대격이며, 관사만 포함한다:[20]

txakurr-a(the/a) 개
txakurr-ak(the) 개들
txakur polit-a(the/a) 예쁜 개
txakur polit-ak(the) 예쁜 개들



명사구는 11개의 격으로 굴절된다: '절대격, 대격, 여격, 소유-속격, 수혜격, 공동격, 도구격, 내격, 향격, 탈격, 국소-속격'. 이들은 '단수, 복수, 부정' 및 '고유 명사' 범주에 따라 변하는 접미사로 표시되며,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지 모음으로 끝나는지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다. 단수 및 복수 범주는 관사와 융합되며, 이러한 어미는 다른 한정사로 명사구가 닫히지 않을 때 사용된다. 이를 통해 잠재적으로 88개의 서로 다른 형태가 생기지만, 부정 및 고유 명사 범주는 국소 격(내격, 향격, 탈격, 국소-속격)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며, 어미의 많은 다른 변형은 허용되지 않는 자음군을 피하기 위해 작동하는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국소 격 어미는 일반적으로 생물 고유 명사에는 추가되지 않는다. 국소 격의 정확한 의미는 국소 격 접미사 뒤에 추가되는 추가 접미사로 더 구체화될 수 있다.[20]

동사 형태는 매우 복잡하며, 주어,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와 일치한다. 또한 자동사에 대한 "관심의 여격"과 일치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친한 지인에게 말할 때 동사 형태가 변경되는 호칭형도 포함한다. 이러한 호칭형은 또한 대상이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는다. 이것은 바스크어 문법에서 성이 어떤 역할이라도 하는 유일한 영역이다.[20]

6. 5. 동남아시아 대륙 언어

동남아시아 대륙 언어권의 중국어 방언, 베트남어, 태국어 등 대부분의 언어는 굴절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분석 언어(고립어)로 간주된다.

6. 5. 1. 중국어

표준 중국어는 굴절 형태론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조사와 어순을 사용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 또는 '나를'을 뜻하는 ''wǒ''와 '그' 또는 '그를'을 뜻하는 ''tā''의 의미는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23]

고대 중국어에서는 대명사가 격에 따라 굴절되었으나, 현대 중국어 표준어에서는 이러한 굴절이 대부분 사라졌다. 예를 들어, 고대에는 我 (''wǒ'')가 1인칭 대격으로, 吾 (''Wú'')가 1인칭 주격으로 사용되었다.[23]

일부 중국어 방언에서는 성조 변화를 통해 의미를 표현하기도 한다. 타이산 방언과 중산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24]

방언단어의미
타이산ngwoi33 (단수)
ngwoi22우리 (복수)
중산어hy22'가다'
hy35갔다 (완료)



육가 방언의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자이와 및 징포와 비교할 수 있다. 위첨자는 차오 성조 숫자를 나타낸다.[25][26]

인칭 대명사 비교
scope="col" |육가자이와징포
1인칭 주격ŋai11ŋo51ŋai33
1인칭 속격ŋa24 or ŋai11 ke55ŋa55ŋjeʔ55
1인칭 대격ŋai11ŋo31ŋai33
2인칭 주격ŋ̍11naŋ51naŋ33
2인칭 속격ŋia24 or ŋ̍11 ke55naŋ55naʔ55
2인칭 대격ŋ̍11naŋ31naŋ33
3인칭 주격ki11jaŋ31khji33
3인칭 속격kia24 or ki11 ke55jaŋ51khjiʔ55
3인칭 대격ki11jaŋ31khji33


6. 6. 일본어

일본어교착어이며, 동사 활용이 발달했고, 형용사에서도 동사보다는 덜하지만 활용이 나타난다. 명사에서는 굴절이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격은 불변의 입자(단어 덧붙임 후치사)를 통해 표시된다. 많은 문법학자들은 일본어의 입자를 별개의 단어로 간주하여 굴절이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교착을 명시적 굴절의 한 유형으로 간주하여 일본어 명사가 굴절된다고 보기도 한다. 구어에서는 형태소 융합도 일어나는데, 예를 들어 사역-수동 '~せられ|세라레일본어~'(-serare-)가 '~され|사레일본어~'(-sare-)로 융합되어 '行か'''され'''る|이카'''사레'''루일본어'(가게 된다)와 같이 사용되고, 비과거 진행형 '~ている|테이루일본어'(-teiru)가 '~てる|테루일본어'(-teru)로 융합되어 '食べ'''てる'''|타베'''테루'''일본어'(먹고 있다)와 같이 사용된다.

6. 7. 한국어

한국어는 교착어이며, 조사를 통해 격, 시제, 존칭 등을 나타내는 굴절이 발달해 있다. 한국어의 조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부사 등에 붙어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한국어의 동사 어미는 시제, 상, 양태, 존칭 등을 나타낸다. 한국어는 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지만, 조사를 통해 문장 성분을 명확히 구별할 수 있다.

7. 굴절과 관련된 기타 개념

같은 품사에 속하는 어휘소라도 굴절 접사의 형태가 음운적으로 서로 다르면, 서로 다른 굴절류에 속한다. 굴절류는 어휘소들이 굴절 접사의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일본어 동사 "飲む(nom-u)"와 "食べる(tabe-ru)"의 명령형은 각각 "飲め(nom-e)", "食べろ(tabe-ro)"이다. 이때 명령형을 만드는 굴절 접사 '-e'와 '-ro'는 서로 다르므로, "飲む"와 "食べる"는 서로 다른 굴절류(5단 활용과 1단 활용)에 속한다. 명사 및 이에 준하는 품사의 굴절류는 "곡용", 동사 및 이에 준하는 품사의 굴절류는 "활용"이라고 한다. 같은 굴절류에 속하는 어휘소는 같은 방식으로 어형 변화를 하며, 같은 종류의 패러다임을 가진다.

일본어의 "分(わ)かる(wakaru)"와 "分(わ)ける(wakeru)"의 패러다임(일부)
분(わ)かる(wakaru) (5단 활용)분(わ)ける(wakeru) (1단 활용)
종지형wakar-uwake-ru
연용형wakar-iwake
명령형wakar-ewake-ro


8. 참고 문헌


  • 로리 바우어, Introducing linguistic morphology영어 (2판), 조지타운 대학교 출판부, 2003.
  • 마틴 하스펠마트, Understanding morphology영어, 아널드,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2.
  • 프랜시스 카탐바, Morphology영어, St. Martin's Press영어, 1993.
  • 피터 매튜스, Morphology영어 (2판),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91.
  • 요한나 니콜스, Head-marking and dependent-marking grammar영어, Language영어, 1986.
  • 빌럼 J. 드 루즈, A practical grammar of the San Carlos Apache language영어, 린컴, 1996.
  • 앤드루 스펜서, 아널드 M. 즈위키, The handbook of morphology영어, 블랙웰, 1998.
  • 그레고리 T. 스텀프, Inflectional morphology: A theory of paradigm structure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1.
  • 로버트 D. 밴 베일린 2세, An introduction to syntax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1.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Blackwell 2008
[2] 논문 Case and proto-Arabic, Part I https://www.research[...]
[3] 서적 The Structure of Modern English: A Linguistic Introduction John Benjamins
[4] 웹사이트 Section 4: Inflectional Morphemes https://nagelhout.fa[...]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2024-03-11
[5] 웹사이트 Derivation and Inflection https://websites.umi[...] 2024-03-11
[6] 간행물 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논문 A Crosslinguistic study of Reduplication
[8] 서적 Plurality and classifiers across languages in China Mouton de Gruyter 2012
[9] 논문 The Structure Analysis and Tone Sandhi of Reduplicative Adjectives in Taiwanese
[10] 서적 Studies on Reduplication Mouton de Gruyter 2005
[11] 논문 On the diachronic development of C1V1 reduplication in some Austronesian languages
[12] 문서 Tone and inflection: An introduction 2014
[13] 문서 Oto-Manguean Inflectional Class Database: Tlatepuzco Chinantec University of Surrey 2015
[14] 서적 Tone and Inflection: New Facts and New Perspectives Walter de Gruyter 2016
[15] 논문 The Syntax of English Genitive Constructions 1986
[16] 논문 2016
[17] 서적 The Circum-Baltic Languages: Grammar and typology John Benjamins
[18] 서적 From case to adposition : the development of configurational syntax in Indo-European languages Benjamins
[19] 서적 A Reference Grammar of Modern Standard Arabic
[20] 서적 The Basque Language: A Practical Introduction. University of Nevada Press. Reno, Nevada
[21] 학위논문 Evidence from Basque for a New Theory of Grammar
[22] 학위논문 Evidence from Basque for a New Theory of Grammar
[23] 서적 Chi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4] 서적 Tone Sandhi: Patterns across Chinese dial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5] 논문 The Source of Hakka Personal Pronoun and Genitive with the Viewpoint of Diminutive
[26] 논문 Case markers of personal pronouns in Tibeto-Burman languages
[27] 사전 広辞苑(第五版) 岩波書店
[28] 문서 収録、デジタル大辞泉・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等の「活用」の解説を参照
[29] 문서 斎藤・田口・西村(編)2015、p.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