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리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리타선은 지바현을 운행하는 동일본여객철도(JR 동일본)의 철도 노선으로, 총 연장 119.1km에 27개의 역이 있다. 소부 본선 사쿠라역에서 분기하여 나리타역을 거쳐 마쓰기시역까지 연결되는 본선, 나리타역에서 나리타 공항역까지 연결되는 공항 지선, 아비코역에서 나리타역까지 연결되는 아비코 지선으로 구성된다. 본선은 소부 쾌속선, 요코스카선과 직결 운행하며, 공항 지선은 나리타 익스프레스와 쾌속 에어포트 나리타 호가 운행된다. 아비코 지선은 조반 쾌속선과 직결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그린 라인 (MBTA)
그린 라인(Green Line)은 미국 보스턴과 인근 지역을 운행하는 MBTA의 경전철 노선으로, 19세기 말에 개통되어 4개의 지선을 통해 보스턴 외곽까지 운행하며, 지상, 고가, 지하 구간을 모두 운행한다. - 189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스이군선
스이군선은 미토역에서 고리야마역까지 137.5km를 운행하는 JR 동일본의 비전철화 단선 철도 노선이며, 1897년 오타 철도에서 시작되어 현재 43개의 역을 운영하며 주변 지역의 교통에 기여한다. - 나리타선 - 나리타 익스프레스
나리타 익스프레스는 JR 동일본의 공항철도로, 신주쿠역 또는 오후나역에서 출발하여 도쿄역을 경유, 나리타 국제공항역까지 E259계 전동차로 운행되며 모든 좌석이 지정석이고, 도쿄역과 나리타 공항역 간 소요시간은 약 53분에서 1시간이다. - 나리타선 - 사와라역
사와라역은 지바현 가토리시에 위치한 JR 동일본의 철도역으로, 나리타선과 가시마선이 접속하며 1898년 개업하여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2,721명이 승차하고, 이노 다다타카 기념관, 도네강, 사와라 구시가지 등의 관광 명소가 주변에 있다. - 지바현의 철도 - 도가네선
도가네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지바현의 13.8km 단선 전철화 노선으로, 5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00년 개통 후 국유화 및 연장을 거쳐 1973년 전철화되었고 현재 209계와 E233계 전동차가 운행 중이며 대부분 보통열차로 운행된다. - 지바현의 철도 - 소부 쾌속선
소부 쾌속선은 JR 동일본의 도쿄-지바 간 쾌속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운행 형태와 여러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제공하며 E217계, E235-1000번대 전동차 및 특급 열차가 운행되고 2022년 통근 쾌속이 폐지되었다.
나리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시스템 | |
노선 상태 | |
노선 경로 | |
일일 승객 수 | |
폐쇄일 | |
운영자 | |
노선 특징 | |
차량 기지 | |
노선 길이 | |
선로 길이 | |
선로 수 | |
최소 곡선 반경 | |
노선 번호 | |
최고 속도 | |
고도 | |
노선도 상태 | |
기본 정보 (추가) | |
지도 | |
이미지 | |
![]() | |
![]() | |
![]() |
2.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119.1km
- 궤간: 1067mm (협궤)
- 역 수: 27
- 복선 구간: 사쿠라 ~ 나리타
- 단선 구간: 나리타 ~ 나리타 공항, 나리타 ~ 마쓰기시, 아비코 ~ 나리타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1500V
- 차단 장치: 자동 차단식
- 보안 장치: ATS[8][9][10]
3. 운행 형태
나리타선은 본선, 공항 지선, 아비코 지선으로 나뉘어 다양한 열차가 운행된다. 각 지선은 열차 운행 및 직결 운행 여부에 따라 구분되며, 특히 아비코 지선은 본선 및 공항 지선과 정기 열차 직결 운행을 하지 않아 별도로 구분된다.
나리타선의 주요 운용 차량은 다음과 같다.
3. 1. 본선
소부 본선 사쿠라 역에서 분기하여 나리타역을 거쳐 도네강 남안을 따라 마쓰기시역에 이르는 노선이다. 보통 열차는 소부 본선 지바역 또는 조시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며, 쾌속 열차는 소부 쾌속선을 통해 도쿄역을 경유, 요코스카선으로 직결 운행한다. 나리타 공항 연계 열차가 중심이며, 긴 편성의 화물 열차도 운행된다. 가토리역에서 분기하는 가시마선 직통 열차는 지바역, 나리타역, 사와라역을 시종착역으로 한다. 나리타 ~ 사와라·가토리 간 운전 간격은 시간당 1~2편, 가토리 ~ 마쓰기시 간은 1시간~1시간 30분 간격이다.[8][9][10]3. 2. 공항 지선
나리타역 북쪽 2 km 지점에서 본선과 분기하여 공항 제2빌딩역을 거쳐 나리타 공항역에 이르는 노선이다. "세계에서 제일 불편한 국제 공항"으로 야유를 받던 나리타 국제 공항의 상황에 대해, 1991년 운수대신 이시하라 신타로의 지시(鶴の一声|쓰루노 히토코에일본어)[93]로 건설이 중지된 나리타 신칸센의 노반을 일부 활용하여 1991년 3월 19일 게이세이 전철 본선과 동시 개업하였다. 운수성 내부에서도 1980년대 후반부터 구체적인 계획이 진행되고 있었다. 개업 당초에는 나리타 공항역만 운영되었으나, 1992년 12월 6일 제2 여객 터미널이 개업함에 따라 12월 3일 공항 제2빌딩역을 개업했다.[10]공항 지선을 운행하는 정기 열차는 아침 통근 시간대의 209계 보통 열차 1편 이외에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와 쾌속 에어포트 나리타 호 뿐(단 상행에서는 '쾌속'으로만 표시한다)으로, 양쪽 모두 공항 지선 내 두 역에 모두 정차한다. 나리타 역 ~ 나리타 공항역 간의 왕복 운전은 없으며, 모든 열차가 소부 본선과 직결 운행한다. 나리타 익스프레스 호가 시간당 1 ~ 2편, 에어포트 나리타 호가 시간당 1편이 운행된다.[10]
나리타 익스프레스 열차는 나리타 선을 운행하지만, 아침과 저녁 러시아워를 제외하고는 나리타 공항 제2·3터미널역과 나리타 공항 제1터미널역에만 정차한다. 러시아워에는 일부 열차가 나리타역에도 정차한다. 쾌속 통근 열차는 도쿄와 나리타 공항 제1터미널역 사이를 운행하며, 츠가역과 나리타 공항 제1터미널역 사이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
나리타 신칸센 시설을 전용하여 본선에 연결하여 JR의 나리타 국제공항으로 가는 액세스 노선으로 한 경위가 있기 때문에, 나리타역에서 본선과의 분기점(이온몰 나리타 부근에 있으며, 독립된 신호장이 아니라 여기까지가 나리타역 구내 취급)까지가 JR 동일본의 제1종 철도 사업 구간, 거기부터는 나리타 공항 고속철도의 제3종 철도 사업 구간(JR 동일본이 제2종 철도 사업자)이 된다. 참고로, 분기점에는 검은 바탕에 흰색으로 "'''NKT 0.0'''"라고 쓰인 경계 표시 표지가 서 있다.
이 구간을 운행하는 정기 열차는, 아침 저녁 통근 시간대 및 낮 시간대에 209계 8량 편성으로 소부 본선 지바역 발착의 보통열차가 6왕복 운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와, E217계 및 E235계 1000번대에 의한 쾌속뿐이며, 어느 열차도 공항 제2빌딩·나리타 공항 양역에 정차한다. 사쿠라역·나리타역 - 나리타 공항역 간의 셔틀 운행은 없고, 모든 열차가 이들 소부 본선 직통 열차이다. 낮 시간대의 본선은 1시간에 나리타 익스프레스 1~2편, 쾌속 및 지바역 발착의 보통이 1~2편의 다이아가 되지만, 마찬가지로 나리타 공항에 진입하는 경성선에는 특급 스카이라이너가 3편(낮 시간대 20분 간격)·경성 본선 경유의 쾌속이 3편(낮 시간대 20분 간격)·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선 경유의 액세스 특급이 1~2편(낮 시간대 40분 간격) 운행되고 있어, JR보다 압도적으로 편수가 많다.
2022년 3월 개정까지는 소부 쾌속선의 통근 쾌속 중, 아침의 상행 1편이 공항 지선에서 직통하고 있었다.
3. 3. 아비코 지선
나리타 선의 아비코 지선은 아비코 ~ 나리타 구간을 운행하며, 조반 쾌속선과 직결 운행을 한다. 나리타 선 본선 및 공항 지선과는 정기 열차 직결 운행을 하지 않아, '아비코 지선'으로 구분된다. 조반선 구간과 함께 '조반·나리타 선'으로 묶이기도 한다.[8][9][10]아비코 방면이 상행, 나리타 방면이 하행으로 운용되며, 열차 번호는 아비코에서 나리타 방향 열차에 홀수가 부여된다. 정기 열차는 모두 보통 열차이며, 우에노역까지 직결 운행하는 열차는 왕복 16.5편이다. 나리타 역에서 나리타 공항 방면 열차 환승을 고려한 연계 시각표가 설정되어 있다.
새해에는 나리타산 신쇼지 (하쓰모우데) 참배객을 위한 단체 전용 열차가 운행된다. 2007년~2008년에는 우에노~아비코~나리타~나리타 공항 간 임시 쾌속 열차 에어포트 조반이 운행되었다.[94][95]
전 구간 단선으로 모든 역에서 교행이 가능하다. 차량은 조반선 쾌속 열차와 같은 직류형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를 사용한다. 모든 열차는 각역에 정차하며, 일부는 조반선(쾌속)을 경유, 우에노역 및 시나가와역까지 운행한다.
2001년 아비코 지선 100주년 기념으로 '수공라인(水空ライン)'이라는 애칭이 채택되었으나, JR 동일본에서는 '나리타선' 안내를 유지하고 있다.[14]
4. 차량
成田線일본어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근거리 운행
- E131계 전동차 (2021년 3월 13일부터 가시마 선 직통 운행)
- 209-2000/2100계 전동차
아비코 지선, 조반 선 직통 운행
- E231계 전동차
소부 본선 (쾌속) 직통 운행
- E217계 전동차
- E235-1000계 전동차
나리타 익스프레스
- E259계 전동차


모든 열차는 전철로 운행된다.
- 특급열차
- E259계 (나리타 익스프레스에 사용, 가마쿠라 차량센터 소속)
- 보통·쾌속열차
- E217계 (가마쿠라 차량센터 소속)
- 요코스카·소부 쾌속선 직통 열차용으로 본선과 공항 지선의 쾌속으로 구리하마역 - 도쿄역 - 나리타 공항역·가시마신궁역 간을 11량 또는 15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15량인 경우 요코스카선 즈시 이남에서는 구리하마 쪽 4량이 즈시에서 증결된다. 가시마신궁 발착 열차는 4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 E235계 1000번대
- 요코스카·소부 쾌속선 직통 열차용으로 2020년 12월 21일부터 지바역 - 나리타 공항역·가시마신궁역 간에서 운행 개시[79]. E217계와 공통 운용.
- 209계 2000번대·2100번대 (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 본선과 공항 지선의 보통으로 지바역 - 쵸시역·나리타 공항역 간을 4·6·8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 E131계 (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 2021년 3월 13일부터 운행 개시[80]. 본 노선에서는 가시마선 직통 열차(사하라역 - 가시마신궁역 간) 및 나리타역 - 사하라역 간 일부 열차에 운용된다. 전 구간에서 원맨 운전을 실시한다.[81].
- E231계 (마쓰도 차량센터 소속)
- 아비코 지선에서만 사용되며, 조반선 쾌속 전철과 공통 운용으로 5량 또는 10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 임시열차
- E257계 (2015년 3월 13일까지 특급 「아야메」에서 정기 운용. 2024년 현재는 임시 열차 운용)
- 255계 (2015년 3월 13일까지 특급 「아야메」에 종사, E257계의 대차 열차로 사용. 2024년 현재는 임시 열차 운용. 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 209계 2200번대 (단체 전용 사이클 트레인 「B.B.BASE」에 사용. 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 185계 (1월에만 운행되는 임시 쾌속 열차 「나리타산 신년참배 요코스카호」「나리타산 신년참배 이토호」「나리타산 신년참배 무사시노호」 및 단체 열차 등에 사용. 오오미야 종합 차량센터 소속)




과거 운행 차량
- 준급·급행·특급 열차
- 전동차
- 153계(수향·가시마 사용)
- 165계(수향·가시마 사용)
- 183계(아야메·수향 사용)
- 253계(나리타 익스프레스 사용, 가마쿠라 차량센터 소속) - 2010년 6월 30일 운용 종료
- 기동차
- 키하17계(키하16·17·18형)
- 키하35계
- 키하55계(소부·수향 사용)
- 키하58계(수향 사용)
- 보통·쾌속 열차
- 전동차 - 1974년 전철화 완료 이후
- 211계 3000번대(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 본선과 공항 지선의 보통 열차로 2013년 3월 15일까지 운행
- 113계(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 아비코 지선에서 1998년 3월 13일까지, 본선에서 2011년 8월까지 운행
- 103계(마쓰도 차량센터 소속, 아비코 지선만) 1973년경 - 2006년 3월 17일까지 운행
- 72계 - 1977년까지 운행
- 기동차 - 1974년 전철화 완료까지 운행
- 17계·20계·35계·45계
- 증기기관차·디젤기관차 견인에 의한 구형 객차
- 임시 열차
- 전동차
- 485계(뉴 나노하나, 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5. 역사
- 1897년(메이지 30년)
- * 1월 19일: 나리타 철도(초대)가 사쿠라역 - 나리타역 구간을 개통했다.[43]
- * 12월 29일: 나리타역 - 나가레가와역 구간이 개통되었다.[44]
- 1898년(메이지 31년) 2월 3일: 나가레가와역 - 사와라역 구간이 개통되었다.[45]
- 1901년(메이지 34년)
- * 2월 2일: 나리타역 - 야스지키역 구간이 개통되었다.[46]
- * 4월 1일: 야스지키역 - 아비코역 구간이 개통되었다.[47]
- * 8월 10일: 마츠자키역과 고바야시역이 개업했다.[49]
- 1902년(메이지 35년)
- * 3월 1일: 일본철도 우에노역 - 나리타역 간 직통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50][51][52]
- * 4월 9일: 우에노-나리타 직통 열차에 일본 최초의 끽다실이 딸린 일등 객차가 연결되었다. 끽다실에는 회전 의자와 테이블이 놓여지고 맥주, 커피, 과일류가 판매되었으며 신문과 잡지도 비치되어 있었다.[53][54][51][52]
- * 7월 1일: 쿠주역이 개업했다.[55]
- 1904년(메이지 37년) 3월 20일: 나리타역 - 소부 철도 혼죠역(현 긴시초역) 간 직통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50]
- 1920년(다이쇼 9년) 9월 1일: 나리타 철도가 국유화되어 사쿠라역 - 아비코역 간, 나리타역 - 사와라역 간이 나리타선이 되었다.[19] 마츠자키역은 시모우사마츠자키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기관차 8량, 객차 62량, 화차 98량이 인수되었다.[57]
- 1926년(다이쇼 15년) 4월 1일: 오오토역이 개업했다.[58]
- 1931년(쇼와 6년) 11월 10일: 사와라역 - 사사가와역 구간이 개통되었다.[58]
- 1933년(쇼와 8년) 3월 11일: 사사가와역 - 마쓰기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58]
- 1938년(쇼와 13년) 6월 29일: 아비코역 - 고호쿠역 간에서 선로가 침수되어 전면 운행이 중단되었다.[59]
- 1957년(쇼와 32년) 4월 1일: 군역이 시모우사칸자키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8]
- 1958년(쇼와 33년) 4월 1일: 신기역이 개업했다.[58]
- 1968년(쇼와 43년)
- * 2월 25일: 사쿠라역 - 나리타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다.
- * 3월 28일: 사쿠라역 - 나리타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58]
- 1970년(쇼와 45년)
- * 6월 1일: 나리타역 - 사와라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다.
- * 6월 5일: 사와라역 - 수향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다.
- * 7월 15일: 나리타역 - 가토리역 구간에 열차집중제어장치(CTC)가 도입되었다.
- * 10월 1일: 나리타역 - 아비코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다. 사쿠라역 - 나리타역 - 아비코역 구간이 CTC화되었다.
- 1973년(쇼와 48년)
- * 9월 28일: 나리타역 - 아비코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58]
- * 9월 29일: 혼사쿠라 신호장 - 사카사이역 - 나미키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었다.[58] 혼사쿠라 신호장과 나미키 신호장이 개업했다.[58]
- 1974년(쇼와 49년)
- * 2월 14일: 수향역 - 마쓰기시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다.
- * 3월 15일: 가토리역 - 마쓰기시역 구간이 CTC화되었다.[61]
- * 10월 26일: 나리타역 - 마쓰기시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58]
- 1979년(쇼와 54년) 10월 10일: 새벽, 쿠주역 - 나메가와역 간의 오오스가 건널목 부근에서 레일 조인트의 볼트, 침목의 못이 빠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같은 날 심야에는 같은 건널목 부근에서 나리타 공항으로 항공 연료를 수송하는 화물 열차가 공격받아 디젤 기관차가 파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62]
- 1984년(쇼와 59년) 2월 1일: 나리타역 - 아비코역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 1986년(쇼와 61년)
- * 2월 24일: 사쿠라역 - 혼사쿠라 신호장 간, 나미키 신호장 - 나리타역 간이 복선화되었다.[58] 혼사쿠라 신호장과 나미키 신호장이 폐지되었다.[58]
- * 11월 1일: 가토리역 - 마쓰기시역 구간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 1991년(헤이세이 3년) 3월 19일: 나리타역 - 나리타 공항역 구간의 공항 지선(空港支線)이 개통되었다.
6. 역 목록
역 번호 | 역 이름 | 역간 영업 거리 | 누계 영업 거리 | 쾌속 | 접속 노선・비고 | 선로 | 소재지 | |||||
---|---|---|---|---|---|---|---|---|---|---|---|---|
도쿄 에서 | 지바 에서 | 사쿠라 에서 | 나리타 에서 | |||||||||
직통 운전 구간 | 요코스카 선 구리하마역까지 (소부 쾌속선 도쿄역 경유) | |||||||||||
소 부 본 선 | JO 28 | 지바역 | - | 39.2 | 0.0 | ● | 동일본여객철도:소부선(쾌속)・소부선(각역정차)(JB 39)・게이요선・우치보선[84] 지바시 도시 모노레일:1호선・2호선 (CM03) 게이세이 전철:지바선 (게이세이 지바역: KS59) | ∥ | 지바시 | 주오구 | ||
JO 29 | 히가시지바역 | 0.9 | 40.1 | 0.9 | | | ∥ | ||||||
JO 30 | 쓰가역 | 3.3 | 43.4 | 4.2 | ● | 지바시 도시 모노레일:2호선 (CM11) | ∥ | 와카바구 | ||||
JO 31 | 요쓰카이도역 | 3.5 | 46.9 | 7.7 | ● | ∥ | 요쓰카이도시 | |||||
JO 32 | 모노이역 | 4.2 | 51.1 | 11.9 | ● | ∥ | ||||||
JO 33 | 사쿠라역 | 4.2 | 55.3 | 16.1 | 0.0 | rowspan="2" | | ● | 동일본여객철도:소부 본선 (나리토 방면) | ∥ | 사쿠라시 | ||
나 리 타 선 | ||||||||||||
JO 34 | 시스이역 | 6.4 | 61.7 | 22.5 | 6.4 | ● | ∥ | 인바군 시스이정 | ||||
JO 35 | 나리타역 | 6.7 | 68.4 | 29.2 | 13.1 | 0.0 | ● | 동일본여객철도:나리타선(본선 조시 방면·아비코 지선) 게이세이 전철:본선・히가시나리타 선 (게이세이나리타 역: KS40) | ∥ | 나리타시 | ||
구즈미역 | 6.9 | 75.3 | 36.1 | 20.0 | ◇ | |||||||
나메가와역 | 5.5 | 80.8 | 41.6 | 25.5 | ◇ | |||||||
시모사코자키역 | 6.1 | 86.9 | 47.7 | 31.6 | ◇ | |||||||
오토역 | 4.5 | 91.4 | 52.2 | 36.1 | ◇ | |||||||
사와라역 | 3.9 | 95.3 | 56.1 | 40.0 | ◇ | |||||||
가토리역 | 3.6 | 98.9 | 59.7 | 43.6 | 동일본여객철도:가시마 선[85] | ◇ | ||||||
스이고역 | 3.9 | 102.8 | 63.6 | 47.5 | ◇ | |||||||
오미가와역 | 5.2 | 108.0 | 68.8 | 52.7 | ◇ | |||||||
사사가와역 | 5.0 | 113.0 | 73.8 | 57.7 | ◇ | |||||||
시모사타치바나역 | 5.2 | 118.2 | 79.0 | 62.9 | | | |||||||
시모사토요사토역 | 3.3 | 121.5 | 82.3 | 66.2 | ◇ | 조시시 | ||||||
시시바역 | 4.8 | 126.3 | 87.1 | 71.0 | ◇ | |||||||
rowspan="2" | | 마쓰기시역 | 4.4 | 130.7 | 91.5 | 75.4 | rowspan="2" | | 동일본여객철도:소부 본선 (하치니치이치바 방면) | ◇ | ||||
소 부 본 선 | ||||||||||||
조시역 | 3.2 | 133.9 | 94.7 | 78.6 | 조시 전기 철도:조시 전기 철도선 (CD01) | ∧ |
- 쾌속은 나리타 역 ~ 가토리 역 구간에서 각 역에 정차한다.
- 2022년도 시점에서 JR 동일본 자체 승차 인원 집계[86] 대상 역은 지바역, 히가시지바역, 쓰가역, 요쓰카이도역, 모노이역, 사쿠라역, 시스이역, 나리타역, 나메가와역, 시모사코자키역, 사와라역, 오미가와역이다.
- 2022년도 시점에서 JR 동일본 자체 승차 인원 집계[86] 제외 대상(완전 무인역)은 구즈미역, 오토역, 가토리역, 스이고역, 사사가와역, 시모사타치바나역, 시모사토요사토역, 시시바역이다.
- 참고: 통근 쾌속은 2022년 3월 12일에 중단되었다.[1]
역 번호 | 역명 | 成田|나리타일본어 | 쾌 속 | 통 쾌 | 나 익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
JO 35 | 나리타 | 成田|나리타일본어 | ● | ● | ▲ | 본선 (JO 35, 지바 방면 직결 운행), 아비코 지선, 게이세이 전철 본선・히가시나리타 선 (게이세이나리타 역, KS 40) | 0.0 | 0.0 | 지 바 현 | 나 리 타 시 | |
호리노우치 신호장 | 堀之内信号場|호리노우치 신호장일본어 | │ | │ | │ | |||||||
JO 36 | 공항 제2빌딩 | 空港第2ビル|공항 제2빌딩일본어 | ● | ● | ● | 게이세이 전철 본선 (KS 41), 나리타 공항선 (KS 41) | 9.8 | 9.8 | |||
JO 37 | 나리타 공항 | 成田空港|나리타 공항일본어 | ● | ● | ● | 게이세이 전철 본선 (KS 42), 나리타 공항선 (KS 42) | 1.0 | 10.8 |
- 쾌속: 쾌속 정차역
- 통쾌: 통근쾌속 정차역
- 나익: 나리타 익스프레스 정차역
역명 | 일어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
아비코 | 我孫子|아비코일본어 | 조반 쾌속선 (JJ 08, 우에노 방면 직결 운행) · 조반선 (JJ 08), 조반 완행선 (JL 30) | 0.0 | 0.0 | 지 바 현 | 아비코시 | |
히가시아비코 | 東我孫子|히가시아비코일본어 | 3.4 | 3.4 | ||||
고호쿠 | 湖北|고호쿠일본어 | 2.9 | 6.3 | ||||
아라키 | 新木|아라키일본어 | 2.6 | 8.9 | ||||
후사 | 布佐|후사일본어 | 3.2 | 12.1 | ||||
기오로시 | 木下|기오로시일본어 | 1.9 | 14.0 | 인자이시 | |||
고바야시 | 小林|고바야시일본어 | 4.3 | 18.3 | ||||
아지키 | 安食|아지키일본어 | 4.9 | 23.2 | 인바군 | 사카에 | ||
시모사만자키 | 下総松崎|시모사만자키일본어 | 4.1 | 27.3 | 나리타시 | |||
나리타 | 成田|나리타일본어 | 본선・공항 지선 (JO 35), 게이세이 전철 본선・히가시나리타 선 (게이세이나리타 역, KS 40) | 5.6 | 32.9 |
나리타 선 아비코 지선(나리타 역~아비코 역 간)은 조반선 쾌속 열차와 직통 운행을 하지만, 본선(사쿠라·사와라 방면)·공항 지선과는 정기 열차 직통 운행을 하지 않아 조반 쾌속선의 일부로 기능한다.
시점->종점 방향이 하행이지만, 실제로는 아비코 방면이 상행, 나리타 방면이 하행으로 운용되며, 열차 번호도 아비코->나리타행 열차에 홀수 번호(하행)가 부여된다. 조반선 직통 열차는 아비코 역에서 열차 번호가 바뀐다.
정기 열차는 모두 보통(각역정차)이며, 중간역 발착 구간 열차 없이 전 구간(나리타 역~아비코 역) 운행한다. 선내 운행 열차 외에 조반선 직통 열차(조반선 내 쾌속)가 하행 평일 16편·토·휴일 17편, 상행 20편 운행되며, 이 중 아침 상행 2편, 평일 저녁 2편, 아비코 발 18~23시대 하행 각 1편(19시대는 2편, 총 7편, 토·휴일은 20시대 1편 제외 6편)은 우에노 도쿄 라인 경유 시나가와역 발착이다. 낮에는 선내 운행 및 조반선 직통 열차가 1시간에 1편씩 운행된다. 직통 유무, 발착역은 평일/토·휴일 차이가 있지만, 선내 운행 시각은 동일하다. 우에노 역 발착 일부 및 시나가와 역 발착 모든 열차는 아비코 역에서 증결하며, 나리타 선 내에서는 기본 10량 편성, 아비코 역에서 5량 부속 편성이 증결된다. 본선·공항 지선의 다층 구조는 없다. 직통 열차는 낮 시간대 제외 아비코 역 정차 시간이 길며, 상행은 조반선 쓰치우라·토리데 방면 선행 쾌속(우에노 행/우에노 도쿄 라인 경유 시나가와 행), 하행은 후발 쾌속으로 환승 가능하다. 조반선 특급은 아비코 역을 통과한다.
시각표 상으로는 조반 쾌속선 직통 포함, 선내 모든 열차가 보통이지만, 나리타->우에노 행 열차는 차내에서 “쾌속 우에노 행”으로 안내된다. 역 게시 시각표에도 “쾌속 우에노 행” 표기 기간이 있어, 이용자들은 나리타->우에노 행 열차를 “쾌속”으로 인식한다. 이는 본선·공항 지선 소부 쾌속선 직통 열차와 유사하나, 본선·공항 지선 직통 열차는 지바 역 이서에서도 쾌속 운행(히가시지바역 통과)하는 점이 다르다. 직통 운행 목적지 종별 안내는 본선 구간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 구간 단선, 모든 역에 열차 교환 설비가 있다. 차량은 조반선 쾌속 열차와 공용 직류 전차(E231계 5량/10량 편성)이다.
설날 나리타산 신쇼지신년 참배 위한 심야 운행(2왕복), 단체 전용 열차도 운행된다.
연선은 아비코시·인자이시 중심 주택가, 연선 자치체 외(구 혼노무라, 이바라키현기타소마군도네마치 등) 수요도 있지만, 아침 상행 제외 매시 2~3편으로 적어, 중간역 승차 인원 많은 고호쿠 역, 후사 역도 4000명 정도다. 특히 히가시아비코 역->도보 15분 거리 조반선 데노다이, 고호쿠 역 주변->데노다이 역·아비코 역 고빈도 운행 반토 자동차 노선 버스로 이용객 유출이 있다.
2007년 말~2008년 여름, 우에노 역~아비코 역~나리타 역~나리타 공항 역 간 임시 쾌속 「'''에어포트 조반'''」이 운행되었다.
1985년 11월 「국전 동시 다발 게릴라 사건」 계기, 담당 승무원 구 변경, 기관사는 조반 쾌속선 전차 담당 마쓰도 운전구, 차장은 마쓰도 차장구/나리타 차장구 이관, 2012년 3월 17일 아비코 운수구 신설, 마쓰도 차장구/마쓰도 운전구(3월 16일 폐지)/나리타 차장구 업무 이관.
6. 1. 본선


- 1920년 9월 1일: 나리타 철도가 국유화되어 사쿠라 역 - 아비코 역 간, 나리타 역 - 사와라 역 간이 나리타선이 되었다.[19] 마쓰자키 역을 시모우사마츠자키 역으로 개칭하였고, 기관차 8량, 객차 62량, 화차 98량을 인계받았다.[57]
- 1926년 4월 1일: 오오토 역이 개업하였다.[58]
- 1931년 11월 10일: 사와라 역 - 사사가와 역 구간이 개업하였다.[58]
- 1933년 3월 11일: 사사가와 역 - 마쓰기시 역 구간이 개업하였다.[58]
- 1938년 6월 29일: 아비코 역 - 고호쿠 역 사이 선로가 침수되어 전면 운휴하였다.[59]
- 1944년 4월 1일: 결전비상조치요강에 따라 나리타선(사쿠라 역 - 마쓰기시 역 간) 열차의 2등차가 폐지되었다.[60]
- 1957년 4월 1일: 군 역이 시모우사칸자키 역으로 개칭되었다.[58]
- 1958년 4월 1일: 신기 역이 개업하였다.[58]
- 1967년 12월 21일: 임시 신도쿄 국제공항 각료협의회에서 나리타 공항 사용 개시(1971년 예정)를 목표로 사쿠라 - 나리타 간 복선화 정비를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
- 1968년
- 2월 25일: 사쿠라 역 - 나리타 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다.
- 3월 28일: 사쿠라 역 - 나리타 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58]
- 1970년
- 6월 1일: 나리타 역 - 사와라 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다.
- 6월 5일: 사와라 역 - 수향 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다.
- 7월 15일: 나리타 역 - 가토리 역 구간에 열차집중제어장치(CTC)가 도입되었다.
- 10월 1일: 나리타 역 - 아비코 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고, 사쿠라 역 - 나리타 역 - 아비코 역 구간이 CTC화되었다.
- 1973년
- 9월 28일: 나리타 역 - 아비코 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58]
- 9월 29일: 혼사쿠라 신호장 - 사카사이 역 - 나미키 신호장 구간이 복선화되었고,[58] 혼사쿠라 신호장과 나미키 신호장이 개업하였다.[58]
- 1974년
- 2월 14일: 수향 역 - 마쓰기시 역 구간이 자동 신호화되었다.
- 3월 15일: 가토리 역 - 마쓰기시 역 구간이 CTC화되었다.[61]
- 10월 26일: 나리타 역 - 마쓰기시 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58]
- 1978년 6월 19일: 나리타 공항으로의 항공 연료 잠정 수송을 하는 화물 열차를 공격하려던 과격파를 경계하던 헬리콥터가 사쿠라 시내의 선로 주변에 추락하였다.
- 1979년 10월 10일: 새벽, 구주 역 - 나메가와 역 사이 오스게 건널목 부근에서 레일 조인트의 볼트, 침목의 못이 빠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같은 날 심야에는 같은 오스게 건널목 부근에서 나리타 공항으로 항공 연료를 수송하는 화물 열차가 공격받아 디젤 기관차가 파괴되었다.[62]
- 1984년 2월 1일: 나리타 역 - 아비코 역 간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 1986년
- 2월 24일: 사쿠라 역 - 혼사쿠라 신호장, 나미키 신호장 - 나리타 역 구간이 복선화되었고,[58] 혼사쿠라 신호장과 나미키 신호장이 폐지되었다.[58]
- 11월 1일: 가토리 역 - 마쓰기시 역 간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여객철도(JR 동일본)에 노선이 계승되었다.[58]
- 1991년 3월 19일: 나리타 역 - 나리타 공항역 간 지선이 개업하였다(개업 당시부터 CTC, ATS-P 도입).[58]
- 1992년
- 9월 14일: 오후 4시경, 구주 역 - 나메가와 역 간 오스게 건널목에서 지바발 사와라행 보통열차 1457M과 과적된 덤프트럭이 충돌하여 열차 기관사가 병원 이송 중 사망하였다. 이 사고를 계기로 건널목 사고로부터 기관사를 보호하기 위해, 전면 강화 구조가 아닌 113계, 115계, 165계 등 일부 차량에 보강판이 부착되었고, 209계 이후 전동차 운전석에는 크러셔블 존이 설치되었다. 1998년 2월 25일에 오스게 건널목은 입체 교차화되어 폐지되었다.[63] (자세한 내용은 "나리타선 오스게 건널목 사고" 참조)
- 12월 3일: 공항 제2빌딩역이 개업하였다.[58]
- 1994년 10월 28일: 사쿠라 역 - 나리타 역 간 ATS-P 사용이 개시되었다.
- 1997년
- 이 해: 아비코 지선의 부분 복선화 공사가 시작되었다(용지 매입 단계에서 잠정 중단).
- 3월 22일: 나리타 역 - 마쓰기시 역 간 보통열차가 모두 금연이 되었다.[64]
- 2000년 3월 12일: 나리타 역 - 아비코 역 간 ATS-P 사용이 개시되었다.
- 2001년 11월 18일: 도쿄 근교 구간의 사쿠라 역 - 나리타 역 간 IC 카드 승차권 "스이카"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 2009년
- 3월 14일: 나리타 공항선 부설 공사로 네구야 신호장이 폐지되었고,[58] 공항 제2빌딩역 쪽에 호리노우치 신호장이 개업하였다.[58] 나리타 역 - 마쓰기시 역 간이 도쿄 근교 구간에 포함됨과 동시에 "스이카" 서비스가 개시되었다.[65]
- 10월 1일: 113계 노후화 등의 이유로 지바 역 - 나리타 역 - 조시 역 간에 209계 2000번대·2100번대 전동차 투입이 시작되었다.[66]
- 2010년 2월 14일: 나리타 역 - 마쓰기시 역 간 ATS-P 사용이 개시되었다.
- 2015년 3월 14일: 우에노 도쿄 라인 개업으로 아비코 지선 일부 전동차가 도카이도 본선 시나가와 발착이 되었다.
- 2018년 4월 15일: 나리타시의 도시 계획 도로 사업으로 나리타 역 - 시모후소마쓰자키 역 간 일부 구간(나리타유가와역 부근)이 신선으로 변경되었다.[67][68]
- 2021년
- 3월 13일: 사와라 역 - 가토리 역 간 E131계 사용 열차(가시마선 직통)에서 원맨 운전이 개시되었다.[69]
- 4월 30일: 아비코 역 - 나리타 역 간 개업 120주년을 기념하여 1990년대 후반까지 사용했던 차량(113계)을 본뜬 스카색 E231계(MAT 139편성)를 5월 말까지 운행하였다.[70][71]
- 2022년 3월 12일: 나리타 역 - 사와라 역 간 E131계 사용 열차에서 원맨 운전이 개시되었다.[72]
== 역 목록 ==
역 번호 | 역 이름 | 역간 영업 거리 | 누계 영업 거리 | 쾌속 | 접속 노선・비고 | 선로 | 소재지 | |||||
---|---|---|---|---|---|---|---|---|---|---|---|---|
도쿄 에서 | 지바 에서 | 사쿠라 에서 | 나리타 에서 | |||||||||
직통 운전 구간 | -- 소부 쾌속선 도쿄역 경유 -- 요코스카 선 구리하마역까지 | |||||||||||
소 부 본 선 | JO 28 | 지바역 | - | 39.2 | 0.0 | ● | 동일본여객철도:-- 소부선(쾌속)・ 지바시 도시 모노레일: 게이세이 전철:-- 지바선(게이세이 지바역: KS59) | ∥ | 지바시 | 주오구 | ||
JO 29 | 히가시지바역 | 0.9 | 40.1 | 0.9 | | | ∥ | ||||||
JO 30 | 쓰가역 | 3.3 | 43.4 | 4.2 | ● | 지바시 도시 모노레일:-- 2호선 (CM11) | ∥ | 와카바구 | ||||
JO 31 | 요쓰카이도역 | 3.5 | 46.9 | 7.7 | ● | ∥ | 요쓰카이도시 | |||||
JO 32 | 모노이역 | 4.2 | 51.1 | 11.9 | ● | ∥ | ||||||
JO 33 | 사쿠라역 | 4.2 | 55.3 | 16.1 | 0.0 | rowspan="2" | | ● | 동일본여객철도:소부 본선 (나리토 방면) | ∥ | 사쿠라시 | ||
나 리 타 선 | ||||||||||||
JO 34 | 시스이역 | 6.4 | 61.7 | 22.5 | 6.4 | ● | ∥ | 인바군 시스이정 | ||||
JO 35 | 나리타역 | 6.7 | 68.4 | 29.2 | 13.1 | 0.0 | ● | 동일본여객철도:나리타선(본선 조시 방면·아비코 지선) 게이세이 전철:-- 본선・히가시나리타 선 (게이세이나리타 역: KS40) | ∥ | 나리타시 | ||
구즈미역 | 6.9 | 75.3 | 36.1 | 20.0 | ◇ | |||||||
나메가와역 | 5.5 | 80.8 | 41.6 | 25.5 | ◇ | |||||||
시모사코자키역 | 6.1 | 86.9 | 47.7 | 31.6 | ◇ | |||||||
오토역 | 4.5 | 91.4 | 52.2 | 36.1 | ◇ | |||||||
사와라역 | 3.9 | 95.3 | 56.1 | 40.0 | ◇ | |||||||
가토리역 | 3.6 | 98.9 | 59.7 | 43.6 | 동일본여객철도:가시마 선[85] | ◇ | ||||||
스이고역 | 3.9 | 102.8 | 63.6 | 47.5 | ◇ | |||||||
오미가와역 | 5.2 | 108.0 | 68.8 | 52.7 | ◇ | |||||||
사사가와역 | 5.0 | 113.0 | 73.8 | 57.7 | ◇ | |||||||
시모사타치바나역 | 5.2 | 118.2 | 79.0 | 62.9 | | | |||||||
시모사토요사토역 | 3.3 | 121.5 | 82.3 | 66.2 | ◇ | 조시시 | ||||||
시시바역 | 4.8 | 126.3 | 87.1 | 71.0 | ◇ | |||||||
rowspan="2" | | 마쓰기시역 | 4.4 | 130.7 | 91.5 | 75.4 | rowspan="2" | | 동일본여객철도:소부 본선 (하치니치이치바 방면) | ◇ | ||||
소 부 본 선 | ||||||||||||
조시역 | 3.2 | 133.9 | 94.7 | 78.6 | 조시 전기 철도: | ∧ |
- 쾌속은 나리타 역 ~ 가토리 역 구간에서 각 역에 정차한다.
- 2022년도 시점에서 JR 동일본 자체 승차 인원 집계[86] 대상 역은 지바역, 히가시지바역, 쓰가역, 요쓰카이도역, 모노이역, 사쿠라역, 시스이역, 나리타역, 나메가와역, 시모사코자키역, 사와라역, 오미가와역이다.
- 2022년도 시점에서 JR 동일본 자체 승차 인원 집계[86] 제외 대상(완전 무인역)은 구즈미역, 오토역, 가토리역, 스이고역, 사사가와역, 시모사타치바나역, 시모사토요사토역, 시시바역이다.
- 참고: 통근 쾌속은 2022년 3월 12일에 중단되었다.[1]
6. 2. 공항 지선
속쾌
익
거리
거리
| 0.0
| 0.0
| rowspan="4" | 지
바
현
| colspan="2" rowspan="4" | 나
리
타
시
|-
!
| 호리노우치 신호장
| 堀之内信号場|호리노우치 신호장일본어
| style="background:#bcf" | │
| style="background:#fbd" | │
| style="background:#f00" | │
|
|
|
|-
! JO 36
| 공항 제2빌딩
| 空港第2ビル|공항 제2빌딩일본어
| style="background:#bcf" | ●
| style="background:#fbd" | ●
| style="background:#f00" | ●
| -- 게이세이 전철 본선 (KS 41),
| 9.8
| 9.8
|-
! JO 37
| 나리타 공항
| 成田空港|나리타 공항일본어
| style="background:#bcf" | ●
| style="background:#fbd" | ●
| style="background:#f00" | ●
| -- 게이세이 전철 본선 (KS 42), 게이세이 전철 나리타 공항선 (KS 42)
| 1.0
| 10.8
|}
- 쾌속: 쾌속 정차역
- 통쾌: 통근쾌속 정차역
- 나익: 나리타 익스프레스 정차역
6. 3. 아비코 지선
바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