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덜란드 식민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 식민 제국은 17세기 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설립과 함께 시작되어, 향신료 무역을 장악하고 식민지를 확장하며 황금 시대를 맞이했다.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를 설립하여 아메리카, 아프리카 지역으로 식민 활동을 넓혔다. 주요 식민지로는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일본의 데지마, 브라질, 카리브해, 북아메리카 등이 있었으며, 노예 무역에도 참여했다. 17세기 후반부터 영국과의 영란 전쟁에서 패배하고, 나폴레옹 전쟁을 거치면서 식민지를 잃고 쇠퇴했다. 식민 지배는 다양한 유산을 남겼으며, 현재 인도네시아, 수리남, 아프리카 등 여러 지역에서 네덜란드어, 건축 양식, 문화적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2. 네덜란드의 식민지 확장과 황금 시대

17세기 초, 네덜란드 공화국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와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WIC) 설립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외 식민지 확장에 나섰다. 이를 통해 포르투갈 왕국이 장악하고 있던 향신료 무역의 주도권을 빼앗고 세계적인 해상 제국으로 발돋움하며 이른바 네덜란드 황금 시대를 맞이했다.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네덜란드는 식민주의 강대국으로 성장했으며, 이 시기 네덜란드 본국과 식민지를 통틀어 네덜란드 해상 제국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황금 시대'라는 명칭에도 불구하고, 당시 네덜란드 무역액의 대부분은 발트해지중해 등 유럽 내 무역에서 발생했다. 해외 식민지는 막대한 유지 비용이 드는 반면, 실질적인 경제적 이익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동시대에도 있었다.

거듭된 영란 전쟁에서의 패배로 북아메리카뉴네덜란드 식민지를 대영 제국에 빼앗겼고, 이후 남아프리카의 케이프 식민지마저 영국에 넘겨주면서 열강으로서 네덜란드의 국제적 지위는 점차 약화되었다. 이 시기 나가사키 데지마를 통한 일본과의 독점 무역은 동아시아에서 네덜란드가 가진 거의 유일한 거점이었다. 나폴레옹 전쟁에서의 패배는 네덜란드의 해외 패권 상실을 더욱 가속화했다.

최종적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현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령 기아나(현 수리남) 등 일부 식민지만이 남았으며, 이들은 20세기 중반까지 유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네덜란드 본토는 1940년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고, 동인도는 일본 제국의 침공으로 점령당했다(말레이 작전). 전쟁이 끝난 후 네덜란드는 식민지 지배를 재개하려 했으나,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등 식민지 주민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혀 결국 독립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네덜란드령 기아나 역시 1975년 수리남으로 독립하면서 네덜란드 식민 제국은 사실상 막을 내렸다.

2. 1.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VOC)

16세기 말 80년 전쟁을 거치며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추진하던 네덜란드 공화국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했다. 당시 스페인 왕 펠리페 2세포르투갈 왕위까지 겸하게 되면서(1580년 이베리아 연합), 네덜란드 상인들은 기존에 향신료를 구매하던 리스본 항구 접근이 막혔다.[16] 이는 네덜란드가 직접 아시아로 항로를 개척하여 수익성 높은 향신료 무역에 뛰어드는 계기가 되었다. 코르넬리스 데 호트만의 첫 항해(1595) 성공 이후 여러 '전초 회사'(voorcompagnieënnl)들이 경쟁적으로 설립되었으나,[16][22] 과도한 경쟁은 오히려 현지 향신료 가격 상승과 유럽 내 가격 하락을 초래하여 수익성을 악화시켰다.[2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포르투갈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네덜란드 공화국의 국가 총회는 1602년 여러 전초 회사들을 통합하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erenigde Oost-Indische Compagnienl, 약칭 '''VOC''')를 설립했다. VOC는 단순한 주식회사가 아니었다. 국가 총회로부터 21년 기한으로 희망봉 동쪽과 마젤란 해협 서쪽 지역에서의 무역 독점권을 부여받았을 뿐만 아니라, 요새 건설, 조약 체결, 자체적인 육군 및 해군 보유, 방어 전쟁 수행 등 사실상 정부와 같은 막강한 권한을 위임받았다.[24] 이는 약 2년 먼저 설립된 영국의 동인도 회사와 유사한 형태였다.[20]

VOC는 설립 초기부터 공격적인 확장 정책을 펼쳤다. 1603년, 야코프 판 헤임스케르크 제독이 이끄는 함대가 싱가포르 해협에서 막대한 부를 실은 포르투갈 상선 산타 카타리나호를 나포한 사건은[38] 네덜란드 내에서 그 합법성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법학자 후고 그로티우스는 ''자유 해역''(Mare Liberumla, 1609)이라는 저술을 통해 공해상의 자유로운 통행과 무역 권리를 주장하며 VOC의 활동을 정당화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38] 같은 해(1603년) 국가 총회는 VOC에게 "적에게 피해를 입히고, 가능한 모든 수단을 통해 적의 인원, 선박 및 재산에 피해를 입혀 명예롭게 무역을 지속할 뿐만 아니라 확장하고 성장시킬 수 있도록" 지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39] 이는 VOC가 단순한 상업적 이익 추구를 넘어,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 등을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 네덜란드의 식민 제국을 건설하는 핵심 도구로 기능하게 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40]

VOC는 막강한 권한과 자본력을 바탕으로 아시아 전역에서 포르투갈 세력을 몰아내고 주요 거점을 확보하며 향신료 무역을 장악하고자 했다. 인도네시아 군도에 바타비아(현 자카르타)를 건설하여 동인도 지역의 본거지로 삼았으며, 인도양과 동아시아 전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했다. 특히 일본과는 쇄국 정책 하에서도 나가사키의 데지마 상관을 통해 19세기 중반까지 유럽 국가 중 유일하게 교역 관계를 유지했다.

VOC는 세계 최초의 다국적 기업이자 주식회사로 평가받는 동시에, 군사력과 정치적 권력을 동원하여 무역 독점과 식민지 확장을 추구한 제국주의의 첨병이라는 양면성을 지닌다. 약 2세기 동안 아시아 무역을 주도하며 네덜란드 황금 시대의 부를 축적하는 데 기여했지만, 18세기 후반 영국과의 경쟁 심화, 내부 부패, 경영난 등으로 인해 쇠퇴하였다. 결국 1799년 12월 31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고, 그 방대한 권리와 영토는 1800년 1월 1일부로 네덜란드 정부에 귀속되어 네덜란드령 동인도라는 이름으로 직접 통치 체제에 편입되었다.[51]

2. 1. 1. 인도네시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1602년 설립되어 네덜란드 공화국 국가 총회로부터 희망봉 동쪽과 마젤란 해협 서쪽 지역에서의 무역 독점권을 부여받았다. VOC는 요새 건설, 조약 체결, 군대 동원 및 전쟁 수행 권한까지 가지며 단순한 무역 회사를 넘어 식민지 개척의 첨병 역할을 했다. 이는 당시 포르투갈 제국과의 경쟁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네덜란드는 포르투갈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동방 무역의 주도권을 장악하고자 했다. 특히 1603년 국가 총회는 VOC 선박이 "적에게 피해를 입히고, 가능한 모든 수단으로 적의 인원, 선박 및 재산에 피해를 입혀" 무역을 확장하도록 지시했는데, 이는 VOC가 아시아에서 네덜란드 식민 제국을 건설하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VOC는 동남아시아에서 포르투갈의 주요 거점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1605년 암보이나를 점령했지만, 말라카 공략에는 실패했다. 1619년, 얀 피터스존 쿤은 자카르타를 정복하고 네덜란드의 조상 이름을 따 바타비아로 개명했으며, 이곳은 이후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네덜란드는 계속해서 포르투갈 세력을 몰아내 말라카(1641년), 실론(1658년), 코치(1662년) 등을 차례로 점령하며 동인도 지역의 지배권을 확립해 나갔다.[24] 또한 대만 남부에 식민지를 건설하고(1624년), 북부의 스페인 세력을 몰아내기도 했다(1642년).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운동이 성장했지만, 네덜란드는 이를 강력하게 억압했다.[60]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1월, 일본이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침공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58] 네덜란드는 두 달 만에 항복했고, 인도네시아인들은 처음에는 일본군을 해방군으로 환영했다.[59] 일본은 점령 기간 동안 네덜란드의 식민 통치 구조를 해체하고 수카르노와 같은 민족주의 지도자들을 등용하며 인도네시아 민족주의를 이용했다.[60]

수카르노, 인도네시아 독립 운동 지도자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하자, 수카르노와 동료 민족주의 지도자 하타는 일방적으로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했다. 네덜란드가 식민지를 재건하려 하면서 4년 반 동안의 투쟁이 뒤따랐다. 네덜란드군은 결국 식민지 영토의 대부분을 재점령했고, 게릴라전이 시작되었다. 대부분의 인도네시아인과 궁극적으로 국제 여론은 독립을 지지했고, 1949년 12월,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주권을 인정했다. 1949년 협정에 따라 서뉴기니는 네덜란드령 네덜란드령 뉴기니로 네덜란드의 후원하에 남았고, 그 분쟁은 1년 안에 해결될 것이었다. 수카르노 대통령 하의 새로운 인도네시아 정부는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들이 처음 의도한 대로 영토가 인도네시아의 통제 하에 들어오도록 압력을 가했다. 미국의 압력에 따라 네덜란드는 1962년 뉴욕 협정에 따라 이를 인도네시아로 이전했다.[61]

네덜란드의 식민 통치는 인도네시아에 여러 유산을 남겼다. 자카르타, 반둥, 수라바야 등 주요 도시에는 네덜란드 양식의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으며, 초기에는 본국 양식을 따랐으나 점차 열대 기후에 적응한 '인디스 건축' 양식이 발전했다.[94][95] 대통령궁, 재무부 건물 등 공공건물과 멘텡과 같은 주거 지역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96] 또한 네덜란드는 도로(67000km), 철도(7500km), 140만ha의 벼농사를 위한 현대식 관개 시스템, 여러 국제 항구 및 140개의 공공 식수 시스템을 포함한 방대한 사회 기반 시설을 건설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의 경제 발전에 기초가 되었다.[102] 자바 섬을 횡단하는 대우편로(네덜란드어: Grote Postweg)[101] 역시 이 시기에 건설되었다.

자바 섬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뻗어 있는 '''대우편로'''(Grote Postweg)


농업 분야에서는 커피, 차, 코코아, 담배, 고무와 같은 작물들이 모두 네덜란드에 의해 도입되었다. 네덜란드는 중앙 및 남아메리카에서 커피 식물의 확산을 처음 시작했으며, 19세기 초에는 자바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생산지였다.[103] 1778년, 네덜란드는 필리핀에서 인도네시아로 카카오를 가져와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104] 현재 인도네시아는 20세기 초 네덜란드에 의해 도입된 작물인 천연 고무의 세계 두 번째 생산국이다.[105] 담배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도입되었으며 1863년 네덜란드에 의해 첫 번째 농장이 설립되었다. 오늘날 인도네시아는 담배의 가장 오래된 산업 생산국일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담배 소비국이다.[106]

인도네시아 축구 리그는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인 1930년경에 시작되었다. 인도네시아 남자 축구 대표팀FIFA 월드컵에 진출한 최초의 아시아 팀이었으며, 1938년 FIFA 월드컵에서는 네덜란드령 동인도로 출전했다.[112] 축구는 현재 연간 관람객 수, 참여율, 수익 측면에서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어린이부터 중년 남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에서 즐겨진다.[113]

인도네시아 테니스 협회 또한 1935년 네덜란드 통치 시대에 설립되었으며, 독립 이후인 60년대에 처음 참여했지만, 오랜 역사를 통해 자국의 페드컵팀과 데이비스컵팀을 출전시켰다.

네덜란드와 마찬가지로 배구는 여전히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인도네시아 배구 협회는 남자 프로 리그와 여자 프로 리그를 모두 조직하고 남자 및 여자 국가대표팀을 관리한다.[114][115]

네덜란드 스포츠인 코프볼도 행해지고 있으며, 코프볼 국가대표팀도 존재한다.

2. 1. 2. 스리랑카 (실론)

네덜란드스리랑카콜롬보를 점령한 것은 1656년이었다. 이후 1796년 영국이 점령하기 전까지 네덜란드령 실론으로 통치했다.

2. 1. 3. 일본

네덜란드는 아시아에서 포르투갈 제국의 무역 네트워크를 공격했으며, 이는 남만 무역 시기 일본에서의 포르투갈 상업적 이익에 대한 공격도 포함했다. 이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에도 막부의 쇄국 정책 하에서도 나가사키의 인공섬인 데지마에서 제한적인 무역 활동을 허가받았다. 데지마는 17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약 200년간 서양 국가 중 네덜란드만이 일본과 교역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 역할을 수행했다. 비록 정식 식민지는 아니었지만, 데지마는 네덜란드의 중요한 해외 무역 거점 중 하나였다.

2. 1. 4. 기타 아시아 지역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외에도 아시아 여러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장했다. 주요 목표는 기존 포르투갈 제국의 무역 네트워크를 장악하는 것이었으며,[18] 이는 스페인 제국의 재정 및 군사 자원을 분산시키려는 목적도 있었다.[18]

'''인도 및 실론'''

VOC는 포르투갈이 장악하고 있던 인도 아대륙의 해안 거점들을 공략했다. 1605년 암보이나를 점령했으며,[23] 이후 네덜란드령 인도 (1605–1825), 네덜란드령 실론 (1640–1796), 네덜란드령 벵골 (1627–1825), 네덜란드령 말라바르 (1665–1795) 등을 차례로 확보했다. 실론에서는 1656년 콜롬보를 점령하고 1658년까지 섬의 해안 지역 대부분을 장악했다.[24] 인도 본토에서는 1662년 나가파티남, 크란가노르, 코친 등을 포르투갈로부터 빼앗았다.[24] 하지만 포르투갈의 동방 거점이었던 고아 공략은 1603년과 1610년 두 차례 모두 실패했다.

'''동남아시아'''

말레이 반도의 전략적 요충지인 말라카는 1606년 첫 공격 실패 후, 1641년 두 번째 시도 끝에 점령하여 네덜란드령 말라카 (1641–1795, 1818–1825) 시대를 열었다.[24] 태국아유타야 왕국과는 1604년 나레수안 왕 재위 시기에 무역 관계를 맺고 교역소를 설치했다.

'''포르모사 (타이완)'''

네덜란드는 1624년 타이완 섬 남부 타유안(현 안핑 구)에 질란디아 요새를 건설하며 네덜란드령 포르모사 (1624–1662) 시대를 열었다. 이는 명나라와의 펑후 제도 전쟁(1623-1624)에서 패배하여 펑후 제도를 포기하고 타이완으로 거점을 옮긴 결과였다.[24] 1633년에는 랴오뤄만 해전에서 다시 명나라에 패배했다.[24][25][26] 그럼에도 불구하고 1642년에는 섬 북부를 점령하고 있던 스페인 세력을 몰아내고 타이완 섬 전체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려 했다.

'''일본'''

일본에서는 도쿠가와 막부가 가톨릭 확산을 우려하여 1639년 포르투갈 상인들을 추방하면서 네덜란드에게 독점적인 무역 기회가 열렸다. 막부의 쇄국 정책 하에서 네덜란드는 1639년부터 1854년까지 약 215년간 나가사키의 인공섬 데지마를 통해 일본과 교역할 수 있는 유일한 유럽 국가가 되었다. 처음에는 히라도에 상관을 두었으나 1641년부터 데지마로 이전했다. 한편, 포르투갈이 장악했던 마카오는 여러 차례 공격했으나 점령에 실패했다.[23]

'''기타 지역'''

인도양모리셔스 섬은 1598년 네덜란드 선박이 우연히 상륙한 것을 계기로, 1638년 나사우의 모리츠 총독의 이름을 따 식민지로 삼았다. 그러나 기후 등의 문제로 수십 년 후 포기했다.

2. 2.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 (WIC)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주로 아시아 무역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1621년 설립된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West-Indische Compagnie|베스트인디스허 콤파니nl, WIC)는 아메리카 대륙과 서아프리카에서의 식민 활동과 무역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WIC는 네덜란드 공화국으로부터 대서양 지역에서의 무역 독점권, 식민지 건설, 군사 활동 등에 대한 특허를 부여받았다.

WIC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당시 이베리아 연합 아래 통합되어 강력한 해상 세력을 구축하고 있던 스페인포르투갈의 아메리카 식민지 무역 독점을 깨뜨리는 것이었다. 특히 수익성이 높은 설탕 무역과 노예 무역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아메리카에서 유럽으로 귀환하는 스페인의 보물선을 나포하는 데 주력했다.[27]

이를 위해 WIC는 여러 지역에서 군사 및 경제 활동을 전개했다. 남아메리카에서는 브라질 북동부를 점령하여(1630–1654) 설탕 농장을 직접 운영하고자 했으며[28][30], 카리브 해에서는 신트마르턴, 퀴라소, 아루바, 보네르 등 전략적으로 중요한 섬들을 점령하여 무역 거점으로 삼고 염전을 확보했다.[29] 북아메리카에서는 허드슨강 유역을 중심으로 뉴네덜란드 식민지를 건설하여 모피 교역을 시도했으나[32][33], 경영난과 영국과의 경쟁 등으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34][50] 또한, 서아프리카에서는 브라질의 설탕 농장에 필요한 노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포르투갈이 장악하고 있던 엘미나[22], 루안다 등 주요 노예 무역 기지를 점령하려 시도했다.

하지만 WIC의 성공은 동인도 회사(VOC)만큼 지속적이지 못했다. 브라질에서는 포르투갈 정착민들의 반란과 포르투갈 본국의 반격으로 결국 철수해야 했고[30], 아프리카의 주요 거점 역시 다시 포르투갈에 빼앗겼다. 북아메리카의 뉴네덜란드도 결국 영란 전쟁 과정에서 영국에 영구적으로 넘겨주게 되었다.[50] 재정적인 어려움과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WIC는 1791년에 최종적으로 해산되었고, 회사가 관리하던 식민지들은 네덜란드 국가의 직접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54]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의 구체적인 활동과 각 지역에서의 영향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 브라질
  • 카리브 해
  • 북아메리카
  • 아프리카

2. 2. 1. 브라질

서인도 제도브라질에서의 네덜란드의 정복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네덜란드 식민지화는 여러 상반된 결과를 가져왔다. 대서양에서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WIC)는 설탕과 노예 무역에 대한 포르투갈의 지배력을 빼앗고, 귀항하는 스페인 보물선에 대한 기습 공격에 집중했다.[27] 네덜란드는 오랜 기간 브라질의 설탕 산업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었기에, 포르투갈령 브라질에 대한 직접 지배를 꾀했다. 이를 위해 1621년 서인도 회사를 설립했다.

1624년, 서인도 회사는 브라질 북동부 해안의 바이아 주 바이아(현재의 사우바도르)를 점령했지만, 스페인-포르투갈 연합 원정대에 의해 불과 1년 만에 재탈환되었다.[28] 이후 1630년, 네덜란드는 포르투갈의 주요 설탕 생산지인 페르남부쿠 주의 헤시피와 올린다를 점령하고 몇 년 동안 내륙으로 진출하여 주변의 설탕 농장을 합병했다. 1641년까지 네덜란드의 지배는 마라냥 주까지 확대되었다.

설탕 농장에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네덜란드는 아프리카에서의 노예 무역 거점 확보에 나섰다. 1637년 브라질에서 성공적인 원정을 시작하여 포르투갈 노예 무역 기지인 엘미나를 점령했으며,[22] 1641년에는 앙골라의 포르투갈 정착지 루안다를 성공적으로 점령했다. 1642년에는 아프리카의 포르투갈 영토인 아심을 점령했다. 1650년까지 서인도 회사는 설탕 및 노예 무역을 확고하게 통제했으며, 카리브해의 신트마르턴, 퀴라소, 아루바, 보네르 섬을 점령하여 섬의 염전 접근을 보장했다.[29]

네덜란드령 브라질은 나사우-지겐 백 요한 마우리츠가 총독으로 부임하면서 황금기를 맞이했다. 그는 식민지 주민들에게 비교적 관대한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요한 마우리츠가 서인도 회사와의 대립 끝에 사임하면서 네덜란드령 브라질의 문제는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아시아와 달리 브라질과 아프리카에서 포르투갈에 대한 네덜란드의 성공은 오래가지 못했다. 수년간의 정착으로 인해 네덜란드의 지배하에는 대규모 포르투갈 공동체가 남아 있었는데, 이들은 네덜란드를 단순한 상인으로 여겼지 식민지 개척자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1645년, 페르남부쿠의 포르투갈 공동체(농원주들)는 네덜란드 지배에 반란을 일으켰고, 포르투갈 본국도 반격을 준비했다. 1648년에는 브라질에서 파견된 포르투갈 원정대가 루안다를 재탈환하며 아프리카에서의 네덜란드 세력 약화를 가져왔다. 결국 1654년, 서인도 회사는 브라질에서 완전히 철수했다.[30]

현재 브라질에는 네덜란드 점령기의 흔적이 일부 남아있다. 올린다라는 지명(다른 어원 설도 존재)과 그 북쪽에 위치한 이타마라카 섬의 오렌지 요새 유적이 대표적이다.

2. 2. 2. 카리브 해



아메리카 대륙에서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WIC)는 설탕노예 무역에 대한 포르투갈의 지배력을 약화시키고, 귀항하는 스페인 보물선에 대한 기습 공격에 집중했다.[27] 1650년까지 서인도 회사는 설탕 및 노예 무역을 확고하게 통제했으며, 카리브해의 신트마르턴, 퀴라소, 아루바, 보네르 섬을 점령하여 섬의 염전 접근을 보장했다.[29] 이 섬들은 이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가 되었다.

카리브 해 지역에는 네덜란드 식민 지배의 흔적이 건축 양식으로 남아있다. 아루바, 퀴라소, 보네르, 세인트 유스타티우스에서는 네덜란드 건축 양식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퀴라소의 수도 빌렘스타트에서는 가파른 박공, 큰 창문, 높이 솟은 장식이 특징인 네덜란드 양식 건물이 두드러진다.[93]

2. 2. 3. 북아메리카

1664년 모습의 뉴암스테르담. 영국 통치하에 뉴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북아메리카 북동부 해안에서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WIC)는 뉴네덜란드 회사(1614–1618)가 허드슨강의 올버니에 있는 오렌지 요새에 세운 정착지를 인수했다.[31] 이 요새는 1614년에 설립된 나소 요새에서 이전한 것이었다. 네덜란드는 헨리 허드슨의 1609년 항해 이후 매년 허드슨 강에 배를 보내 모피를 거래했다.[32] 올버니에서 인근의 영국과 프랑스에 대한 불안정한 입지를 보호하기 위해, 회사는 1625년 허드슨 강 어귀에 뉴암스테르담이라는 요새화된 도시를 건설하여 롱아일랜드와 뉴저지 주변 지역의 정착을 장려했다.[33] 하지만 모피 무역은 막대한 규모의 불법 개인 거래로 인해 회사가 독점하기 어려웠고, 뉴네덜란드의 정착은 큰 수익을 내지 못했다.[34]

1655년, 네덜란드 총독 피터 스토이베선트는 군대를 보내 델라웨어강 유역의 인근 스웨덴 식민지인 뉴 스웨덴을 점령하고 뉴네덜란드에 강제로 합병시켰다.[35] 그러나 뉴네덜란드는 1664년(혹은 1667년 자료도 있음[31]) 영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잠시 1673-1674년에 네덜란드가 탈환하기도 했으나 결국 영국 영토가 되었다.[31]

네덜란드는 또한 잠시 아카디아 지역에 뉴 홀랜드라는 식민지를 1674년부터 1678년까지 유지하기도 했다.

한때 뉴네덜란드 식민지의 일부였던 뉴욕의 일부 도시와 뉴욕시 지역에는 네덜란드 기원의 이름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브루클린 (브레우켈렌에서 유래), 플러싱 (플리싱겐에서 유래), 보워리 (Bouwerij, 건설 현장에서 유래), 할렘 (하를럼에서 유래), 코니아일랜드 (Konijneneiland: 토끼 섬에서 유래), 스태튼아일랜드 ("네덜란드 연합주의 섬"을 의미) 등이 있다. 뉴네덜란드 식민지의 마지막 총독인 피터 스토이베선트는 그의 이름을 뉴욕시의 거리, 지역 및 몇몇 학교, 그리고 스토이베선트 마을에 남겼다. 뉴욕주 북부의 허드슨 강을 따라 있는 많은 도시와 마을(예: 욘커스, 호보컨, 해버스토, 클라버랙, 스타츠버그, 캣스킬, 킨더후크, 코이만스, 렌셀러, 워터블리트)과 롱아일랜드의 나소 카운티 역시 네덜란드 기원의 지명을 가지고 있다. 필라델피아에서 델라웨어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슐킬 강 역시 네덜란드어로 숨겨진 강을 의미하는 이름이다.

2. 2. 4. 아프리카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WIC)는 아메리카 대륙 식민지, 특히 브라질의 설탕 농장에 필요한 노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서아프리카에서 활동했다. 1637년, WIC는 포르투갈의 주요 노예 무역 기지였던 엘미나를 점령했고[22], 1641년에는 앙골라루안다를 점령했다. 1642년에는 아심까지 점령하며 서아프리카 해안에서 포르투갈 세력을 몰아내고 대서양 노예 무역의 주도권을 잡으려 했다. 그러나 브라질에서 포르투갈 세력이 회복하면서 1648년 루안다를 다시 빼앗겼다. 이후에도 네덜란드령 골드 코스트는 유지되었으나, 1871년 1870-1871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에 따라 영국의 골드 코스트 식민지에 매각되었다.

한편, 남아프리카에서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1652년 희망봉에 케이프 식민지를 건설했다.[40] 이는 아시아로 가는 항해 중 선박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한 중간 기착지 목적이었다. VOC는 네덜란드인뿐만 아니라 독일인, 프랑스 위그노 등 유럽인들의 이주를 장려하고 토지를 제공했으며,[41][42] 노동력 확보를 위해 동인도 등지에서 수천 명의 노예를 데려왔다.[41][43]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유럽계 이민자들은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며 아프리카너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했다.[44]

케이프 식민지는 점차 내륙으로 확장하며 원주민인 코이산과 산족의 땅을 점령했다.[45] 동쪽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코사족과 충돌하게 되었고, 이는 코사 전쟁이라 불리는 장기간의 분쟁으로 이어졌다.[45]

프랑스 혁명 전쟁나폴레옹 전쟁 시기, 네덜란드가 프랑스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자 영국은 케이프 식민지를 점령했다. 1802년 아미앵 조약으로 잠시 네덜란드(바타비아 공화국)에 반환되었으나, 전쟁이 재개되면서 1806년 영국이 다시 점령했다. 결국 1814년 1814년 영-네덜란드 조약에 따라 케이프 식민지는 공식적으로 영국에 할양되었다.

3. 네덜란드 제국의 쇠퇴와 종말



제2차 세계 대전 중 네덜란드는 큰 타격을 입었다. 1940년 나치 독일에 의해 본국이 점령되었고, 1942년 1월에는 일본이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침공했다.[58] 네덜란드는 두 달 만에 자바에서 항복했으며, 초기 인도네시아인들은 일본군을 해방자로 환영하기도 했다.[59] 그러나 일본의 점령은 네덜란드 식민 통치 구조를 해체하고 일본식 통치 체제를 강요하는 결과를 낳았다.[60]

일본은 점령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 민족주의를 이용하고 지원했는데, 이는 네덜란드가 억압해왔던 민족주의 운동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수카르노와 같은 민족주의 지도자들이 일본의 지원 아래 활동했으며, 네덜란드인들이 억류되면서 인도네시아인들이 행정직을 맡게 되었다.[60] 한편, 1914년 네덜란드 사회주의자 헨크 스네빌리트가 창설한 인도네시아 공산당은 사레카트 이슬람과 연대하며 일본 점령에 맞서 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하자, 이틀 뒤 수카르노와 하타는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했다. 네덜란드는 식민 지배를 복원하려 군대를 파견했지만, 이는 4년 반에 걸친 투쟁으로 이어졌다. 네덜란드군은 대부분의 영토를 재점령했으나 격렬한 게릴라전과 국제 사회의 비판에 직면했다. 결국 1949년 12월, 네덜란드는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원탁 회담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다만 서뉴기니네덜란드령 뉴기니로 남아 분쟁의 불씨가 되었으나, 미국의 압력 등으로 1962년 뉴욕 협정을 통해 인도네시아에 이양되었다.[61]

수리남의 네덜란드 식민지 개척자, 1920. 1975년 독립 후 대부분의 유럽인이 떠났다.


한편, 카리브해 지역의 식민지들도 변화를 맞이했다. 1954년 "네덜란드 왕국 헌장"에 따라 네덜란드, 수리남,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당시 아루바 포함)는 자치권을 가지는 연합 왕국 형태가 되었다. 그러나 1969년 퀴라소에서 발생한 봉기는 네덜란드 해병대가 진압하는 사태로 이어졌다. 1973년부터 수리남의 독립 협상이 시작되어 1975년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고, 이로써 네덜란드 식민 제국은 사실상 종말을 고했다. 수리남 독립 당시 약 6만 명의 주민이 네덜란드로 이주했다.[62][1]

1986년 아루바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연방에서 분리되어 독자적인 지위를 확보했고, 독립을 추진했으나 1994년 왕국 내 자치령으로 남기로 결정했다.[62] 2010년 10월 10일에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해체가 이루어져, 퀴라소신트마르턴은 아루바와 같은 왕국 내 구성국 지위를 얻었다. 보네르섬, 신트외스타티우스섬, 사바섬은 네덜란드 본국의 특별 자치체(카리브 네덜란드)로 편입되었다.[63][64] 이로써 과거 광대했던 네덜란드 제국은 해체되고, 현재는 카리브해의 일부 섬들만이 네덜란드 왕국의 구성 부분으로 남아 있다.

3. 1. 영국-네덜란드 전쟁 (영란 전쟁)

네덜란드는 황금 시대를 구가하며 강력한 해상 제국을 건설했지만, 17세기 중반 이후 영국과의 경쟁이 심화되었다. 여러 차례 벌어진 영란 전쟁에서 네덜란드는 영국에 연이어 패배하면서 점차 해상 패권을 잃어갔다. 특히 이 전쟁의 결과로 북아메리카의 주요 거점이었던 북아메리카 식민지를 영국에 빼앗겼으며, 이후 남아프리카 식민지마저 초강대국으로 부상한 대영 제국에 넘겨주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네덜란드는 열강으로서의 국제적 지위가 점차 약화되었다.

3. 2. 나폴레옹 전쟁

거듭된 영란 전쟁 패배로 뉴네덜란드 등 북아메리카 식민지를 상실하고, 남아프리카케이프 식민지마저 대영 제국에 빼앗기면서 네덜란드의 국제적 지위는 점차 약화되었다.[1]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 전쟁과 이어진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네덜란드 본국이 프랑스군에 점령당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 혼란을 틈타 영국은 이미 점령했던 케이프 식민지를 포함하여 네덜란드의 해외 식민지 대부분을 장악했다. 결국 네덜란드는 나폴레옹 전쟁에서의 패배로 인해 해외 패권을 거의 상실하게 되었다.[1] 이 시기 동아시아에서는 나가사키 데지마를 통한 일본과의 제한적인 독점 무역만이 유지되고 있었다.

4. 네덜란드와 한국의 관계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네덜란드와 한국의 관계'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유산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에 거의 350년 동안 존재했지만, 네덜란드어는 공식적인 지위를 갖지 못하고 있다.[69] 네덜란드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소수는 교육받은 고령층이나 법조계 종사자인데,[70] 일부 법전이 여전히 네덜란드어로만 존재하기 때문이다.[71] 인도네시아어는 차용어를 통해 일상생활 용어뿐만 아니라 과학 기술 용어에서도 네덜란드어에서 파생된 많은 단어를 물려받았다.[72] 한 학자는 인도네시아어 단어의 20%가 네덜란드어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73]

스리랑카와 남인도에서 네덜란드 통치가 지속된 1세기 반 동안 네덜란드어의 흔적은 거의 또는 전혀 남지 않았다.[74]

수리남에서는 네덜란드어가 공용어이다.[75] 인구의 82%가 네덜란드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76] 아루바, 보네르, 퀴라소에서는 네덜란드어가 공용어이지만, 인구의 7~8%만이 모국어로 사용한다.[77][78] 대부분의 인구가 네덜란드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며, 일반적으로 교육 언어로 사용된다.[79] 신트마르턴, 사바, 신트외스타티위스 등 북부 3개 앤틸리스 섬의 인구는 주로 영어를 사용한다.[80][81][82][83]

미국 뉴저지주에서는 17세기 네덜란드 정착민의 후손들이 버겐 군과 패세익 군에서 사용했던 멸종된 네덜란드어 방언인 저지 네덜란드어가 1921년까지도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었다.[84]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뉴욕의 한 지역에서 자란 미국 대통령 마틴 밴 뷰런은 네덜란드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85]

네덜란드의 가장 큰 언어 유산은 남아프리카 식민지에 있었는데, 그곳은 많은 수의 네덜란드 농부(보어) 정착민들을 끌어들였고, 그들은 네덜란드어의 단순화된 형태인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네덜란드어와 상호 이해 가능한 수준이다. 식민지가 영국의 손에 넘어간 후, 정착민들은 내륙 지방으로 퍼져나가 자신들의 언어를 함께 가져갔다. 2005년 기준, 아프리칸스어를 제1언어 또는 제2언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1,000만 명인 반면, 네덜란드어 사용자는 2,200만 명 이상이다.[86][87]

네덜란드어의 언어적 뿌리를 가진 다른 크리올어로는 아루바, 보네르, 퀴라소, 신트외스타티위스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파피아멘토어, 수리남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사라막카어, 스라난 통고, 가이아나에서 사멸된 버비스어, 인도네시아네덜란드에서 사용되지만 소멸 위기에 처한 페초어, 미국에서 사용되었지만 소멸 위기에 처한 올버니 네덜란드어 등이 있다.

사멸된 네덜란드어 기반 크리올 언어에는 스케피 크리올어(가이아나), 네거홀란드어 (일명 "흑인 네덜란드어"), 저지 네덜란드어와 모호크 네덜란드어(미국), 그리고 자빈도어(자바)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utch empire https://www.oxfordre[...] 2024-05-04
[2] 서적 Empires and Entrepots: Dutch, the Spanish Monarchy and the Jews, 1585–1713 Hambledon Press 2003
[3] 서적 Networks of Empire: Forced Migration in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 서적 Dutch South Africa: Early Settlers at the Cape, 1652–1708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5
[5] 서적 The Colonial 'civilizing Process' in Dutch Formosa: 1624–1662 Tuta Sub Aegide Pallas 2008
[6] 서적 Explorers of the New World Time Line Teaching & Learning Company 2007
[7] 서적 Finance and Society in 21st Century China: Chinese Culture Versus Western Markets https://books.google[...] CRC Press
[8] 서적 The Islamic World: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Bengal: the unique state Concept Publishing Company. p. 10.
[10] 웹사이트 Empire, Mughal http://link.galegrou[...] Macmillan Reference USA 2022-11-18
[11] 서적 Bengal Industries and the British Industrial Revolution (1757–1857)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서적 Land, Sea or Air?: Military Priorities- Historical Choices Palgrave-Macmillan 1992
[13] 웹사이트 The Big Cycles of the Dutch and British Empires and Their Currencies https://www.linkedin[...] 2020-10-01
[14] 서적 Dutch Racism Rodopi B.V. 2014
[15] 웹사이트 Victimario Histórico Militar http://remilitari.co[...]
[16] 문서 Vidal, Prudencio. (1888)
[17] 문서 Taylor (2001), p. 248.
[18] 문서 Scammel (1989), p.20.
[19] 간행물 Investment in English Overseas Enterprise, 1575-1630 https://www.jstor.or[...] 1966
[20] 간행물 Investment in English Overseas Enterprise, 1575-1630 https://www.jstor.or[...] 1966
[21] 간행물 Competitive Collaboration: The Dutch and English East India Companies & The Forging of Global Corporate Political Economy (1650-1700) https://dukespace.li[...]
[22] 문서 Rogozinski (2000), p.62.
[23] 문서 Shipp, p.22.
[24] 간행물 Pioneers or cattle for the slaughterhouse? A rejoinder to A.R.T. Kemasang 1989-01-01
[25] 웹사이트 Cook 2007 https://books.google[...] 2022-11-23
[26] 웹사이트 Li (李) 2006 https://books.google[...] 2022-11-23
[27] 문서 Taylor (2001), p.62.
[28] 문서 Taylor (2001), p.63.
[29] 문서 Taylor (2001), p.65.
[30] 웹사이트 Facsimile of manuscript regarding the surrender of Dutch Brazil http://www.s4ulangua[...] 2010-07-15
[31] 문서 Davies (1974), p.89.
[32] 문서 Taylor (2001), p.251.
[33] 문서 Taylor (2001), p.252.
[34] 문서 Taylor (2001), p.253.
[35] 문서 Taylor (2001), p.255.
[36] 문서 McEvedy (1998), p.44.
[37] 간행물 The Spanish Lake
[38] 서적 Pillaging the Empire: Piracy in the Americas 1500–1750 https://books.google[...] M.E. Sharpe
[39] 웹사이트 Dutch in Chile http://www.colonialv[...] Colonial Voyage.com 2014-10-23
[40] 문서 Taylor (2001), p.250.
[41] 서적 Dutch South Africa: Early Settlers at the Cape, 1652–1708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5
[42] 서적 An Archaeology of Colonial Identity: Power and Material Culture in the Dwars Valley, South Africa Springer, Publishers 2004
[43] 문서 Entry: Cape Colony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933
[44] 서적 New History of South Africa Tafelburg, Publishers 2007
[45]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South Africa: From the Dutch-Khoi Wars to the End of Apartheid ABC-CLIO, LLC 2010
[46] 문서 McEvedy (1988), p.46.
[47] 문서 Taylor (2001), p.259
[48] 서적 Formosa under the Dutch: described from contemporary records, with explanatory notes and a bibliography of the island Kegan Paul
[49] 문서 Steven C. A. Pincus, ''Protestantism and Patriotism: Ideologies and the Making of English Foreign Policy, 1650–1668'' (1996)
[50] 문서 Taylor (2001), p.260
[51]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2nd Edition MacMillan
[52] 문서 SarDesai, pp.92–93.
[53] 서적 A Nation in Waiting: Indonesia in the 1990s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54] 문서 Rogozinski (1999), pp.213
[55] 문서 Rogozinski (1999), pp.213–4
[56] 웹사이트 オリックス銀行・カードローンの申し込み方 http://www.bataviabo[...] 2016-05-18
[57] 웹사이트 Javanese in Suriname strive to preserve origins http://home.wanadoo.[...]
[58] 문서 L., Klemen, 1999–2000, ''The Netherlands East Indies 1941–42'' http://warfare.gq/du[...]
[59] 문서 Ricklefs (1991), p. 195. Vickers (2005), pp.85, 85.
[60] 문서 Vickers (2005), page 85
[61] 서적 Violent Internal Conflicts in Asia Pacific: Histories, Political Economics, and Policies Yayasan Obor Indonesia
[62] 문서 Rogozinski, pp.296–7
[63] 웹사이트 Officielebekendmakingen.nl https://zoek.officie[...]
[64] 뉴스 Netherlands Antilles to cease to exist as a country http://www.nrc.nl/in[...] 2010-10-10
[65] 웹사이트 A 2011 series of critical analysis featured in ''Inside Indonesia'', the English-language media forum of the ''Indonesian Resources and Information Program''. http://www.insideind[...]
[66] 웹사이트 Postcolonial neglect in Holland, Colonial and anticolonial sentiments lead Dutch scholars to ignore and marginalize Indies postcolonial history. http://www.insideind[...] Inside Indonesia, the English-language media forum of the Indonesian Resources and Information Program. 2012-08-15
[67] 뉴스 A third of Brits proud of former empire: Survey https://www.aa.com.t[...] 2020-03-11
[68] 웹사이트 Share of respondents who felt that their country's former empire was something to be proud or ashamed of in 2019 https://www.statista[...] Statista.com
[69] 문서 Baker (1998), p.202.
[70] 문서 Ammon (2005), p.2017.
[71] 서적 Booij (1995), p.2
[72] 서적 Sneddon (2003), p.162.
[73] 간행물 A Hidden Language – Dutch in Indonesia http://repositories.[...] 2016-05-18
[74] 서적 Encyclopedia of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1998
[75]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6-05-18
[76] 문서 Bron: Zevende algemene volks- en woningtelling 2004, Algemeen Bureau voor de Statistiek
[77]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 Netherlands Antilles https://www.cia.gov/[...]
[78]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6-05-18
[79] 웹사이트 Languages of Aruba http://www.aruba.com[...]
[80] 웹사이트 Papiamento most-spoken language on Bonaire, English on Saba and St Eustatius https://www.cbs.nl/n[...] 2014-12-18
[81] 웹사이트 The Caribbean Netherlands in numbers 2022, What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speaks Dutch? https://longreads.cb[...] 2022
[82] 웹사이트 What are the languages of Sint Maarten? https://www.sint-maa[...] 2022
[83] 웹사이트 Zakendoen in Sint-Maarten (Doing business in Sint Maarten) https://www.rvo.nl/o[...] 2021-01-25
[84] 웹사이트 Appendix 2. Non-English Dialects in America. 8. Dutch. Mencken, H.L. 1921. The American Language http://www.bartleby.[...] 2016-05-18
[85] 서적 Martin Van Buren: The American Presidents Series: The 8th President, 1837–1841 https://books.google[...] Times Books
[86] 웹사이트 About the Netherlands http://www.minbuza.n[...] Dutc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8-08-23
[87] 웹사이트 Hoeveel mensen spreken Nederlands als moedertaal? http://taalunieversu[...] Nederlandse Taalunie 2008-08-23
[88] 웹사이트 Tasman's achievement http://www.teara.gov[...] Te Ara –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08-02-16
[89]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New Zealand http://history-nz.or[...] 2010-10-12
[90] 웹사이트 'Select chronology of renaming' ''Parliament of Tasmania'' http://www.parliamen[...] 2011-04-22
[91] 웹사이트 Tourism.gov.my http://travel.touris[...]
[92] 웹사이트 Dutch Colonial Remains http://www.colonialv[...]
[93] 웹사이트 Willemstad, Curaçao, Netherlands Antilles Heritage Site of the Month http://www.crosscult[...]
[94] 서적 Suptandar, Pamudji ''Tokoh Pejuang Kemerdekaan, Pembangunan, Dan Pendidikan.'' Penerbit Universitas Trisakti, Jakarta
[95] 웹사이트 Article by Dr. Mauro Rahardjo, architect, lecturer and founder of [[Feng Shui]] School Indonesia and Indonesian Feng Shui Society. http://arsitekturind[...]
[96] 웹사이트 Designing colonial cities: the making of modern town planning in the Dutch East Indies and Indonesia 1905–1950 http://www.iias.nl/s[...] 2015-09-03
[97] 서적 Lim, Budy ''The past in the present: architecture in Indonesia.'' NAI Rotterdam, 19 January 2007
[98] 서적 Page, Melvin and Sonnenburg, Penny ''Colonialism: an international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Santa Barbara, ca, usa, 2003
[99] 웹사이트 For images see the website of the 'Royal Institute of language, geography and ethnology' (KITLV) http://www.geheugenv[...]
[100] 서적 Page, Melvin and Sonnenburg, Penny ''Colonialism: an international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Santa Barbara, ca, usa, 2003
[101] 웹사이트 Daendels (1762–1818), a pro-French Governor-General, originally named the road: ''La Grand Route''. In Indonesian it is called ''Jalan Raya Pos''. A documentary narrated by Indonesian author [[Pramoedya Ananta Toer]] was made about the road in 1996. https://www.imdb.com[...]
[102] 간행물 Ravesteijn, Wim "Between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Case of Dutch Civil Engineering in Indonesia, 1800–1950," in Comparative Technology Transfer and Society, Volume 5, Number 1, 1 April 2007 http://muse.jhu.edu/ Project MUSE
[103]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http://www.ico.org/c[...]
[104] 웹사이트 Chocolate website. http://www.chocolate[...]
[105] 웹사이트 Publication | World Agroforestry Center http://www.worldagro[...] 2010-10-31
[106] 웹사이트 http://www.gimonca.c[...]
[107] 웹사이트 Het debuut van Humphrey Mijnals http://www.olympisch[...] Olympisch Stadion
[108] 뉴스 Stefano Rijssel, Seattle Sounders and the strange case of Surinamese soccer http://www.soccerwir[...] 2016-08-26
[109] 웹사이트 Suriprofs geïnformeerd over WK 2018-project http://www.natiosuri[...] 2020-04-21
[110] 웹사이트 FIFA bereidt om Suriprofs te verzekeren http://www.natiosuri[...] 2020-04-21
[111] 웹사이트 Nigel Hasselbaink wil debuteren voor Suriname https://www.ad.nl/bu[...] Algemeen Dagblad 2019-11-19
[112] 웹사이트 Indonesian soccer fans' world of pain http://www.smh.com.a[...] 2013-08-15
[113] 뉴스 In Indonesia, a Scandal Over Soccer https://www.nytimes.[...] 2013-08-15
[114] 웹사이트 Tentang PBVSI https://pbvsi.or.id/[...] 2019-12-26
[115] 웹사이트 Sejarah PBVSI - http://www.mangwahyu[...] 2019-12-26
[116] 서적 Empires and Entrepots: Dutch, the Spanish Monarchy and the Jews, 1585–1713 Hambledon Press 2003
[117] 서적 Networks of Empire: Forced Migration in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18] 서적 Afrikaner Political Thought: Analysis and Documents, Volume One (1780–1850). Claremont: David Philip (Pty) Ltd
[119] 서적 Dutch South Africa: Early Settlers at the Cape, 1652–1708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5
[120] 서적 The Colonial 'civilizing Process' in Dutch Formosa: 1624 – 1662 Tuta Sub Aegide Pallas 2008
[121] 서적 Explorers of the New World Time Line Teaching & Learning Company 2007
[122] 서적 Land, Sea or Air?: Military Priorities- Historical Choices Palgrave-Macmillan 1992
[123] 서적 Dutch Racism Rodopi B.V.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