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 (문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number)는 언어에서 대상의 수량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다. 문법적 수는 형태적 또는 구문적 수단을 통해 표현되며, 단수, 복수, 쌍수, 삼중수, 소수, 다수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언어에 따라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등 다양한 품사에서 수의 표현이 나타나며, 문장의 주어와 동사, 명사와 형용사 등 사이에서 수의 일치가 일어난다. 한국어에는 명사에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들'이 있지만, 문법적인 수는 존재하지 않으며 대명사에서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법 범주 -
    격은 단어 형태 변화를 통해 문장 내 단어들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요소로, 주격, 목적격, 여격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언어마다 명칭과 기능이 다르고, 한국어에서는 체언에 붙는 조사의 문법적 기능으로 구분되지만 보편적인 의미론적 격 분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문법 범주 - 부정 (언어학)
    부정(否定)은 언어학에서 개념을 반박하거나 의미를 반전시키는 언어적 메커니즘을 총칭하며, 어휘 항목이 다른 항목의 의미를 부정하거나 반전시키는 형태통사론적 연산, 부정적인 진술이나 구성 요소의 특징, 그리고 부정적인 발화를 의미한다.
수 (문법)
수 (문법)
정의언어에서 명사, 대명사, 형용사 및 동사의 문법적 범주 중 하나
수의 표현단수, 복수, 쌍수 등
단수
정의하나를 나타내는 수
복수
정의둘 이상을 나타내는 수
복수 표기접미사: -s, -es (예: cats, boxes)
모음 변화 (예: foot → feet)
어형 변화 (예: child → children)
완전 중복 (예: 인도네시아어 beberapa '몇몇')
일부 언어에서는 단수와 동일한 형태 사용
집합명사 (영어 cattle)
복수 형태접두사: 예: 스와힐리어와 반투어군에서 명사 클래스를 나타내는 접두사 사용
접미사: 예: 터키어, 헝가리어 등의 교착어에서 명사 뒤에 접미사를 붙여 복수 표시
어형 변화: 예: 영어의 man → men, child → children과 같은 불규칙 변화
중복: 인도네시아어말레이어에서 'orang' (사람)를 'orang-orang'으로 만들어 복수 표현
성조: 일부 언어에서 성조 변화로 복수 표시 (예: 베트남어)
쌍수
정의둘을 나타내는 수
사용슬로베니아어, 아랍어, 고대 그리스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리투아니아어 등
에스키모알류트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서 흔히 나타남
자바어는 쌍수를 가지지만, 복수 형태는 없음
기타 수 체계
삼수드물지만 일부 언어에서 셋을 나타내는 삼수 존재
소수일부 언어에서 소수를 나타내는 별도 형태 존재
다수복수보다 더 많은 수를 나타내는 형태
수에 따른 동사 일치
동사 일치명사의 수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변화하는 경우 존재
예시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수와 문맥
문맥적 의미명사의 수가 문맥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예: '모든 학생'은 여러 명을 의미하지만, '각 학생'은 한 명을 의미)
참고자료
언어학레너드 블룸필드의 저서 '언어' (대수관서점, 1962)
수와 관련된 언어학 연구 자료

2. 의미론적 수와 문법적 수

어떤 언어이든 대상의 수량을 기술하기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다. 한국어에서는 '조금', '약간', '한', '두', '이백오십', '수억' 등이 이러한 어휘에 해당한다. 그러나 모든 언어가 수를 위한 문법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다. 문법적인 의미로서의 수는 형태적 또는 구문적인 수단을 통해 표현되며, 대상에 접어를 붙이거나 수를 표현하는 단어와 같은 문법적인 항목들을 통해 나타난다. 문법적 수는 의미론적인 수의 개념을 문법을 통해 표식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할 수 있다.[2]

세계의 대부분 언어는 수의 차이를 표현하는 공식적인 수단을 가지고 있다. 영어와 다른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널리 퍼진 구분은 단수복수의 단순한 이분법적 대조를 포함한다 (''car''/''cars'', ''child''/''children'' 등).[2]

문법적 수는 굴절이나 일치를 통해 수량을 표현하는 형태론적 범주이다. 예를 들어, 아래의 영어 문장을 생각해 보자.[2]

: ''That apple on the table is fresh.''

: ''Those two apples on the table are fresh.''

사과의 수량은 명사—"apple" 단수 (하나의 항목) 대 "apples" 복수 (둘 이상의 항목)—지시어, ''that/those'', 그리고 동사, ''is/are''에 표시된다. 두 번째 문장에서 이 모든 정보는 중복적이다. 수량이 이미 숫자 ''two''에 의해 표시되기 때문이다.[2]

언어가 문법적 수를 가지는 것은 명사 형태가 표현하는 수량에 따라 형태론적 종류로 세분화될 때이다. 즉:[2]

# 모든 명사 형태는 수 종류에 속한다 (수에 따라 서로소인 종류로 분할된다).

# 명사 수식어 (형용사 등)와 동사는 각 수 하위 종류에 대해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수식하거나 일치하는 명사의 수와 일치하도록 어미가 붙는다 (수는 일치 범주이다).

이는 영어에도 부분적으로 해당된다. 모든 명사와 대명사 형태는 단수 또는 복수이다 (몇몇은 문맥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가 될 수 있다). 명사의 일부 수식어—즉, 지시어 한정사—와 유한 동사는 수식하거나 주어로 가지는 명사의 수에 따라 어미가 붙는다: ''this car''와 ''these cars''는 정확하지만, *''this cars''와 *''these car''는 잘못되었다. 그러나 형용사는 수에 따라 어미가 붙지 않으며, 많은 동사 형태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지 않는다 ("그녀/그들은 갔다", "그녀/그들은 갈 수 있다", "그녀/그들은 갔었다", "그녀/그들은 갈 것이다").[2]

많은 언어는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를 구분한다. 가산 명사만 단수와 복수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우유", "금", "가구"와 같은 불가산 명사는 일반적으로 변하지 않는다.[2]

모든 언어가 문법적 범주로서 수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 않은 언어에서는 수량을 수사로 직접 표현하거나 선택적 양화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언어는 문법적 수의 부족을 광범위한 측량사 체계로 보완한다.[2]

조셉 그린버그는 언어 보편성으로서 수 범주 계층 구조를 제안했다. "어떤 언어도 이중수를 가지지 않고 삼중수를 가지는 경우는 없다. 어떤 언어도 복수를 가지지 않고 이중수를 가지는 경우는 없다." 이 계층 구조는 소수를 고려하지 않는다.[3][4]

모든 언어는 참조 대상의 수량을 지정할 수 있다. 영어의 ''a few'', ''some'', ''one'', ''two'', ''five hundred''과 같은 어휘적 수단을 통해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언어가 수의 문법적 범주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문법적 수는 형태소적 또는 통사적 수단으로 표현된다. 즉, 접사나 수사와 같은 특정한 문법 요소를 통해 나타난다. 문법적 수는 문법을 통한 의미적 수의 표시로 생각할 수 있다.[326]

어휘적 수단으로만 수량을 표현하는 언어는 수의 문법적 범주가 부족하다. 예를 들어 크메르어에서는 명사나 동사 모두 수에 관한 어떠한 문법적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한 정보는 'some', 'a few'과 같은 어휘 항목을 통해서만 전달될 수 있다.[326]

명사에서는, 그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cat이라고 하면 한 마리의 고양이를, cats라고 하면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가리킨다.[2]

대명사에도 수의 구별이 있으며, 일본어처럼 명사의 수를 명시하지 않는 언어라도 대명사의 수는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서구 언어에서는 2인칭 복수를 2인칭 단수의 경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현대 영어에서는 이 때문에 2인칭 대명사가 you 하나뿐이고, 수의 명시적인 구별은 완전히 없어졌다.[2]

1인칭 대명사의 복수형에는, 상대방을 포함하지 않는 용법(제외법)도 있지만, 상대방(본래는 2인칭)을 포함하여 3인칭과 대립시키는 용법(포함법)도 있으며, 이 둘을 구별하는 언어도 많다.[2]

동사나 형용사 등에서는, 그 주어나 수식받는 명사 등이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인 차이를 나타낸다(「일치」라고 한다). 예를 들어, 라틴어에서 amat는 「그/그녀는 사랑한다」(주어는 1인)이지만, amant는 「그들/그녀들은 사랑한다」(주어는 2인 이상)이다.[2]

셀 수 있는 여러 대상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나타내는 명사를 집합명사라고 하며, 명사와 동사 등의 수가 형식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family 등은, 사람이 아니라 집단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여러 집단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복수형이 된다), 집단의 구성원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형 그대로 복수로 취급된다.[2]

많은 언어에서는, 명사의 단수형이 무표, 복수형이 유표(예를 들어 영어의 복수 어미 -s)라는 패턴이 일반적이지만, 집합명사에 해당하는 명사에서 반대로 단수형이 유표가 되는 언어도 있다.[2]

한국어에서는 명사에 대해 복수를 나타내는 ‘들’과 같은 접미사가 있다. 그러나 영어와 달리 ‘고양이들’이라고 해도 그것이 고양이만 여러 마리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고양이를 포함하여 개나 쥐, 새 등 동물이 종합적으로 여러 마리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김군들’이라는 표현이 성립하며, 그것은 여러 명의 김군이 있는 것이 아니라, 김군을 대표로 하는 그룹으로 여러 사람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이러한 접미사는 문법적인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무생물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단, 예외적으로 오래된 표현에서는 ‘것들’과 같이 말하기도 한다).[2]

그 외에 ‘사람들’, ‘산들’, ‘나라들’과 같이 명사를 반복하는 표현(중복어)이 있다. 이것은 특정 명사에만 사용되며, ‘*책상들*’과 같이 말하지는 않는다 (인도네시아어에도 같은 용법이 있지만, 상당히 일반적인 명사에 적용된다).[2]

이와 같이 한국어에는 문법적인 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단, 대명사의 경우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있다. (예: ‘나’는 단수의 경우에 사용되고, ‘우리’는 복수의 경우에 사용된다.)[2]

3. 지리적 분포

서유라시아와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의 언어에서는 모든 명사에 복수 표기를 의무적으로 한다. 세계의 다른 지역 언어들은 이질적인 양상을 보인다.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에서는 선택적 복수 표기가 흔하고, 파푸아뉴기니와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에서는 특히 복수 표기가 없는 경우가 많다. 지역적 상관관계 외에도, 형태론적 유형론과의 상관관계도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고립어는 복수 표기를 하지 않거나 선택적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특히 아프리카에서 두드러지는데, 아프리카 서부의 고립어에서 복수 표기가 선택적이거나 없는 경우가 많다.[5][6]

4. 수의 종류

언어는 대상의 수량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갖추고 있다. 한국어의 '조금', '약간', '한', '두', '이백오십', '수억' 등과 같은 어휘들이 그 예시이다. 그러나 모든 언어가 수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를 가진 것은 아니다. 문법적인 수는 형태적 또는 구문적 수단을 통해 표현된다. 예를 들어, 대상에 접어를 붙이거나, 수를 표현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등 문법적인 방법으로 수를 나타낸다. 문법적인 수는 의미론적인 수의 개념을 문법을 통해 나타내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286]

세계 언어에서 발견되는 문법적 수는 아래 표와 같이 다양하게 구분된다.

세계 언어에서 발견되는 문법적 수의 구분
체계구분 수예시
언어품사출처
(수 없음)1피라하어-[286]
단수, 복수2영어명사, 대명사, 동사(3인칭)[7]
일반, 단수2시다마어명사(일부)[199]
일반, 복수2일본어명사[287]
일반, 대복수2부르샤스키어명사(일부)[212]
최소, 증강2일로카노어대명사[216][217]
단수-이중, 복수2칼라우 라가우 야어명사[258]
호피어동사[261][262]
단수-소수, 복수2주니어명사[271][272]
라리케어동사(비인간 지시대상)[265]
단수-이중-삼중, 복수2투유카어명사(무생물)[265][266]
단수-이중-삼중-사중, 복수2피라타푸요어명사(일부)[267][269]
비이중, 이중2왕쿠마라어명사[276]
팀비샤어동사(일부)[281]
단수, 이중, 복수3알류트어명사, 대명사, 동사[288]
단수, 소수, 복수3모코비어명사[73][75]
단수, 복수, 이중 복수3소말리어명사(일부)[248]
단수, 복수, 대복수3츠와나어명사(일부)[289]
일반, 단수, 소수3하머어명사(일부)[201]
일반, 단수, 복수3풀라어명사[196]
일반, 이중, 소수3왈피리어명사[202]
일반, 이중, 복수3밤바시어명사[290]
최소, 단위 증강, 증강3비닌지 쿤워크어대명사[218]
최소, 소수, 복수3카야포어대명사[239][240]
단수, 이중, 삼중, 복수4우라마어명사, 대명사[291]
레나켈어동사, 대명사[292]
단수, 이중, 소수, 복수4모투나어명사[293]
이마스어대명사[85]
단수, 이중, 복수, 이중 + 복수 (4+)4브르타뉴어명사(일부)[241][242]
단수, 이중, 복수, 이중 + 복수 (6+)4고전 아랍어명사(일부)[244]
단수, 이중, 복수, 이중 복수4고전 아랍어명사(일부)[246][247]
단수, 이중, 복수, 대복수4바른갈라어명사[175]
모킬레세어대명사[177]
단수, 소수, 복수, 대복수4화랄라파이어동사(일부)[178]
단수, 복수, 대복수, 최대복수4와레케나어명사[185][186]
다츠인어동사(일부 경우)[193]
일반, 단수, 소수, 복수4바이소어명사[205]
일반, 단수, 소수, 대복수4하머어명사(일부)[214]
일반, 이중, 삼중, 복수4아라바나어명사[208]
일반, 이중, 복수, 대복수4카이테티어명사[209][211]
단수, 이중, 삼중, 사중*, 복수5러시아 수화대명사[141]
단수, 이중, 삼중, 소수, 복수5무사우어대명사[76][77]
단수, 이중, 소수, 대소수, 복수5수르수룽가어대명사[119]
단수, 이중, 소수, 복수, 대복수5멜레-필라어대명사/관사 결합[179]
단수, 이중, 복수, 이중 복수, 삼중 복수5고전 아랍어명사(일부)[251]
일반, 단수, 이중, 복수, 대복수5다마스쿠스 아랍어명사(일부)[190]
단수, 이중, 삼중, 사중*, 오중*, 복수6레반트 아랍 수화대명사[139]
단수, 이중, 삼중, 사중*/소수,
복수 (5+), 복수 (2+)
6마셜어대명사[147][149]
단수, 이중, 삼중, 사중*, 오중*,
[여섯 개의 지시 대상]*, 복수
7우간다 수화대명사[142]
단수, 이중, 복수, 이중 복수, 삼중 복수,
사중 복수, 오중 복수, 육중 복수
8고전 아랍어 (15세기)낙타를 나타내는 단어[252]
단수, 이중, 삼중, 사중*, 오중*,
[여섯 개의 지시 대상]*, ... [아홉 개의 지시 대상]*, 복수
10미국 수화대명사(일부 화자)[171]
단수, 이중, 삼중, 사중*, 오중*,
[여섯 개의 지시 대상]*, ... [열 개의 지시 대상]*, 복수
11이스라엘 수화대명사[172]
단수, 이중, 삼중, ... 복수?비스라마어대명사[126]
*범주의 존재 여부에 대해 논쟁이 있음
정확한 제한 없음


4. 1. 단수와 복수

어떤 언어이든 대상의 수량을 기술하기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다. 수를 나타내기 위해 '조금', '약간', '한', '두', '이백오십', '수억' 등의 어휘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모든 언어가 수를 위한 문법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다. 문법적인 수는 형태적으로, 또는 구문적인 수단을 통해 표현되며, 대상에 접어를 붙여 표현하거나, 수를 표현하는 단어와 같이 수를 표현하기 위한 문법적인 항목들이 제공된다. 문법적인 수는, 의미론적인 수의 개념을 문법을 통해 표식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될 수 있다.[7]

언어가 구분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수의 구분 중 하나는 단수와 복수이다. 단수는 정확히 하나의 지시 대상을 나타내는 반면, 복수는 둘 이상의 지시 대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다음과 같다.[7]

  • ''dog'' (단수, 하나)
  • ''dogs'' (복수, 둘 이상)


수를 표시하기 위해 영어는 명사동사(3인칭)에 대해 서로 다른 단수형과 복수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my dog watches television" (단수)과 "my dogs watch television" (복수)와 같다.[7] 하지만 이는 보편적인 것이 아니다. 와뱌어는 명사에는 수를 표시하지만 동사에는 표시하지 않고,[8] 오논다가어는 동사에는 수를 표시하지만 명사에는 표시하지 않는다.[9] 라틴어는 명사, 동사, 그리고 형용사에 대해 서로 다른 단수형과 복수형을 가지는데, 이는 수에 따라 형용사가 변하지 않는 영어와 대조적이다.[10] 툰드라 네네츠어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그리고 후치사에 단수와 복수를 표시할 수 있다.[11] 하지만 수의 구분을 보이는 가장 일반적인 품사대명사이다.[12][13]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는 인칭 대명사 체계의 예로는 와요로어가 있다.[14]

와요로어 대명사
단수복수
1인칭(배타적)on|온wyrote|오테wyr
1인칭(포괄적)-txire|트시레wyr
2인칭en|엔wyrdjat|드자트wyr
3인칭ndeke|은데케wyrndeat|은데아트wyr



영어는 대부분의 세계 언어와 마찬가지로 단수와 복수의 숫자만 구분한다. 단수는 정확히 하나(또는 마이너스 하나)에 해당하는 반면, 복수는 하나 이상 또는 하나 미만, 심지어 1.0을 포함한 다른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316] 명사의 복수형은 일반적으로 접미사 '-(e)s'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대명사는 "나" 대 "우리"와 같이 불규칙적인 복수형을 가지는데, 이는 고대어이며 영어에 잘 발달된 어미변화 시스템이 있었던 시대부터 자주 사용되었던 단어이기 때문이다. 영어 동사는 3인칭 현재 시제에서 단수와 복수를 구분한다("그는 간다" 대 "그들은 간다"). 고대 영어에는 이중수도 포함되어 있었다. 현대 영어에는 이중 수를 반영하는 몇 가지 잔여 용어(예: '둘 다'와 '둘 다 아닌', 각각 '모두'와 '하나도 아닌'과 대조됨)가 남아 있지만, 일반적으로 더 이상 별개의 문법적 수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핀란드어는 거의 모든 명사의 에 복수 형태가 있다.


  • talo|탈로fi – 집
  • talot|탈로트fi – 집들
  • taloissa|탈로이사fi – 집들 안에


하지만, 숫자나 숫자를 나타내는 단어(monta|몬타fi - 많은)가 사용될 때는, 부분격의 단수형이 사용된다.

  • kolme taloa|콜메 탈로아fi – 세 채의 집


그리고 특정 숫자가 언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부분격의 복수형이 사용된다.

  • taloja|탈로야fi


그리고 소유격(속격)에서는

  • talon ovi|탈론 오비fi (집의 문)
  • talojen ovet|탈로옌 오베트fi (집들의 문)


현대 로망스어에서 명사, 형용사, 관사는 수(단수 또는 복수만)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한다. 동사는 수뿐만 아니라 인칭에도 활용된다. 프랑스어는 0을 복수가 아닌 단수로 취급한다.

프랑스어는 문어체에서 명사의 수(단수 또는 복수)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한다. 그러나 구어체에서는 대부분의 명사(와 형용사)가 수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복수 접미사인 -s|-s프랑스어 또는 -es|-es프랑스어묵음이어서 더 이상 발음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명사의 구어체 수 표시는 연음이 발생할 때 나타난다.

  • 일부 복수형은 단수형과 발음이 다르다. 예를 들어, -al|-al프랑스어로 끝나는 남성 단수형은 때때로 -aux|-aux프랑스어로 끝나는 남성 복수형을 만든다.
  • 고유 명사는 문어체에서도 복수형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Les voitures|레 부아튀르프랑스어, 하지만 Les 푸조 404 (Peugeot 404)|레 푸조 404프랑스어)


일반적으로 관사 또는 한정사가 수를 나타내는 주요 구어체 지표이다.

현대 히브리어는 셈어에 속하는 언어로, 대부분의 명사는 단수형과 복수형만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ספר|세페르he "책"과 ספרים|스파림he "책들"과 같다. 하지만 일부 명사는 별도의 이중 접미사를 사용하여 이중 형태를 가지고 있다(주로 숫자나 시간과 관련된 명사, 예: אלפיים|알파임he "이천"과 שבועיים|슈부아임he "2주"). 또한, 일부 명사는 이 이중 접미사를 일반적인 복수형에 사용하기도 한다(대부분 쌍으로 존재하는 신체 부위, 예: עיניים|에이나임he "눈"과 같이, שיניים|쉬나임he "이"와 같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일부 명사는 본질적으로 이중 형태이다(예: מכנסיים|미흐나사임he "바지"와 אופניים|오파나임he "자전거"). 형용사, 동사, 대명사는 주어 또는 선행사의 수에 일치하지만, 단수와 복수의 이중적인 구분만 존재한다. 이중 명사는 복수 형용사, 동사 및 대명사를 수반한다.

현대 러시아어는 단수와 복수의 수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수사 표현을 포함하는 명사구의 어미 변화는 복잡한 규칙을 따른다. 예를 들어, У меня (есть) одна книга/три книги/пять книгru("나는 책 한 권/세 권/다섯 권을 가지고 있다")를 보라. 러시아어와 다른 슬라브어의 수 표현에 대한 논의는 이중수: 슬라브어족을 참조하라.

수사 "하나"는 또한 одни часы|오드니 차시ru("하나의 시계")에서와 같이 집합명사와 함께 사용되는 복수형을 가지고 있다.[320] 같은 형태는 "오직"이라는 의미의 가산 명사와 함께 사용된다. Кругом одни идиоты|크루곰 오드니 이디요티ru ("주변에는 바보들 뿐이다")

스웨덴어는 명사를 단수와 복수로 활용한다. 명사의 복수형은 일반적으로 명사의 어미에 따라 접미사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제1어미변화에서는 -or|-orsv (예: flicka|플리카sv – flickor|플리코르sv), 제2어미변화에서는 -ar|-arsv (예: bil|빌sv – bilar|빌라르sv), 제3어미변화에서는 -er|-ersv (예: katt|캇sv – katter|캇테르sv), 제4어미변화에서는 -n|-nsv (예: äpple|에플레sv – äpplen|에플렌sv)을 사용하며, 제5어미변화 명사는 어미가 변하지 않는다 (예: bord|보르드sv – bord|보르드sv). 스웨덴어 동사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지 않지만, 형용사는 구분한다.

보조어는 종종 매우 간단한 수의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체계 중 하나(예: 인터링구아와 이도에서 볼 수 있음)에서는 명사와 대명사가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지만, 다른 수는 구분하지 않으며, 형용사와 동사는 수 일치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에스페란토에서는 형용사가 수와 격에서 수식하는 명사와 일치해야 한다.

라아단은 단수-소수-다수의 구분을 사용하며, 소수는 2개에서 5개의 항목을 포함한다.

명사에서는, 그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cat이라고 하면 한 마리의 고양이를, cats라고 하면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가리킨다.

대명사에도 수의 구별이 있으며, 일본어처럼 명사의 수를 명시하지 않는 언어라도 대명사의 수는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서구 언어에서는 2인칭 복수를 2인칭 단수의 경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현대 영어에서는 이 때문에 2인칭 대명사가 you 하나뿐이고, 수의 명시적인 구별은 완전히 없어졌다.

1인칭 대명사의 복수형에는, 상대방을 포함하지 않는 용법(제외형)도 있지만, 상대방(본래는 2인칭)을 포함하여 제3자(3인칭)와 대립시키는 용법(포함형)도 있으며, 이 둘을 구별하는 언어도 많다.

동사형용사 등에서는, 그 주어나 수식받는 명사 등이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인 차이를 나타낸다(「일치」라고 한다). 예를 들어, 라틴어에서 amat는 「그/그녀는 사랑한다」(주어는 1인)이지만, amant는 「그들/그녀들은 사랑한다」(주어는 2인 이상)이다.

셀 수 있는 여러 대상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나타내는 명사를 집합명사라고 하며, 명사와 동사 등의 수가 형식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family 등은, 사람이 아니라 집단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여러 집단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복수형이 된다), 집단의 구성원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형 그대로 복수로 취급된다.

많은 언어에서는, 명사의 단수형이 무표, 복수형이 유표(예를 들어 영어의 복수 어미 -s)라는 패턴이 일반적이지만, 집합명사에 해당하는 명사에서 반대로 단수형이 유표가 되는 언어도 있다.

이 외에도, 일부 언어에서는 동사에 의해 나타나는 동작·현상이 단독(단발)인지 복수(반복)인지에 따른 구별(상)이 있다.

4. 2. 쌍수 (이중수)

쌍수는 정확히 두 개의 대상을 나타낸다. 산스크리트어[17], 슬로베니아어[23] 등 일부 언어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캄사어에서는 다음과 같다.[15]

  • kes̈kbh - "개" (단수)
  • kes̈'''at'''kbh - "두 마리의 개" (쌍수)
  • kes̈'''ëng'''kbh - "개들" (복수)


단수/쌍수/복수 패러다임을 가진 언어에서 복수의 정확한 의미는 쌍수가 의무적인지 선택적인지에 따라 달라진다.[16] 쌍수가 의무적인 언어에서는 복수가 엄격하게 셋 이상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어[17], 알루티크어[19]가 이에 해당한다. 쌍수가 선택적인 언어에서는 어떤 것이 두 개인 경우 쌍수 또는 복수를 사용하여 참조할 수 있으므로 복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현대 아랍어 방언[20], 일부 이누크티투트어 방언[21]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베니아어에서는 대명사의 경우 쌍수가 의무적이지만 명사의 경우 선택적이다.[23]

몰타어에서는 약 30개의 특정 명사에만 쌍수가 존재하며, 그중 8개(시간, 날, 주, 달, 년, 한 번, 백, 천)에 대해서만 의무적이다.[30]

마오리어 대명사[32]
단수쌍수복수
1인칭(배타적)au/ahaumimāuamimātoumi
1인칭(포함적)-tāuamitātoumi
2인칭koemikōruamikoutoumi
3인칭iamirāuamirātoumi



쌍수는 기원전 4000년경 원시 인도유럽어의 모든 명사와 형용사에 존재했으며, 인도유럽어족에서 현대까지 이어져 온 경우는 매우 드물다. 원시 슬라브어에서 슬로베니아어와 소르브어파에 현재까지도 남아 있다.[38]

4. 3. 삼중수

삼중수는 정확히 세 개의 대상을 나타낸다.[40] 예를 들어 아와어에서는 다음과 같다.[40]

  • iyaawb - "개" (단수)
  • iyatadeawb - "두 마리의 개" (이중)
  • iyatadoawb - "세 마리의 개" (삼중)
  • iyamadiawb - "개들" (복수)


명사에 삼중수를 표시하는 언어는 드물다.[41] 아라바나어,[44][45] 우라마어,[46] 앙가아타하어[47] 등이 그 예이다. 라리케어,[48][49] 톨라이어,[50] 라가어, 와메사어[52]와 같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서 삼중 대명사를 갖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42][43] 누크나어는 2인칭 또는 3인칭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삼중 대명사 nanggulaklt를 가지고 있다.[53] 레나켈어와 같이 동사에 삼중수가 표시되기도 한다.[54]

라리케어 대명사[55]
단수이중삼중복수
1인칭(배제)aʔualoaruaaloaridualoamialo
1인칭(포함)-ituaaloitidualoitealo
2인칭anealoiruaaloiridualoimialo
3인칭manealomatuaalomatidualomatialo



그레빌 코벳에 따르면, 의무적인 삼중수는 알려진 바가 없으므로 삼중수는 항상 선택적이다. 라리케어처럼 선택적인 이중수와 선택적인 삼중수를 모두 가지거나, 응안기어처럼 의무적인 이중수와 선택적인 삼중수를 가질 수 있다.[55]

삼중수를 가지는 대부분의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아닌 삼중수를 가진 대부분의 언어는 오세아니아 근처에 있다.[56]

4. 4. 소수

소수는 '몇몇'의, 부정확하게 숫자로 세어진 작은 그룹의 항목을 나타낸다. 모코비어[73][75], 하머어[201] 등 일부 언어에 존재한다.

체계구분 수예시 언어품사출처
단수, 소수, 복수3모코비어명사[73][75]
일반, 단수, 소수3하머어명사(일부)[201]
일반, 이중, 소수3왈피리어명사[202]
최소, 소수, 복수3카야포어대명사[239][240]
단수, 이중, 소수, 복수4모투나어명사[293]
일반, 단수, 소수, 복수4바이소어명사[205]
일반, 단수, 소수, 대복수4하머어명사(일부)[214]
단수, 이중, 삼중, 소수, 복수5무사우어대명사[76][77]
단수, 이중, 소수, 대소수, 복수5수르수룽가어대명사[119]


4. 5. 다수 (대수)

대수(大數) 파칼 수는 정확하지 않은 숫자의 집단으로, 소수 파칼보다 크기가 더 큰 파칼 범주이다. 수르수룽가어와 모킬레세어 등 일부 언어에서 발견된다.[119][177]

수르수룽가어의 경우, 대명사는 단수, 이중, 파칼, 대수 파칼, 복수로 구분되는 5가지 구분을 보인다. 수르수룽가어의 파칼은 보통 3~4개 정도의 작은 집단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핵가족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수르수룽가어의 대수 파칼은 4개 이상의 집단에 사용되며(2개 이상의 쌍으로 이루어진 집단에는 복수 대신 이것을 사용해야 한다.) 두 범주에는 어느 정도 중복이 있다. 예를 들어 4인 가족은 수르수룽가어에서 두 파칼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언급할 수 있다.[119]

수르수룽가어 대명사[121][119]
단수이중파칼대수
파칼
복수
1인칭(배제)iau|이아우sgzgiur|기우르sgzgimtul|김툴sgzgimhat|김핫sgzgim|김sgz
1인칭(포함)-gitar|기타르sgzgitul|기툴sgzgithat|기트핫sgzgit|깃sgz
2인칭u|우sgzgaur|가우르sgzgamtul|감툴sgzgamhat|감핫sgzgam|감sgz
3인칭a|아sgzdiar|디아르sgzditul|디툴sgzdihat|디핫sgzdi|디sgz


4. 6. 사중수

사중수(Quadral)는 정확히 네 개의 항목을 나타낸다. 사중수의 사용 예시는 대부분 오세아니아 언어나 수화의 대명사에서 발견된다. 자연어에 사중수가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사중수를 부정하는 반면,[122] 다른 일부는 받아들인다.[123] 수르수룬가와 같이 이전에는 사중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던 일부 언어는 이후 소수(Paucal)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재분석되었다.[124][119]

많은 수화에서 사중수 대명사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오스트레일리아 수화, 덴마크 수화[143] 및 아이슬란드 수화[144]는 사중수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았지만, 정확히 네 명의 참조 대상에 대한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 에스토니아 수화는 명사에 대한 사중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145]

마셜어는 대명사 체계에서 사중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6][147] 마셜어의 사중수는 정확히 네 명을 의미할 수 있지만, 더 큰 그룹에 대한 연설에서 개별적인 친밀감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그레빌 G. 코벳(Greville G Corbett)에 따르면, 이는 소수(Paucal)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148] 그러나 마셜어 전문 언어학자인 바이런 W. 벤더(Byron W. Bender)는 2016년 참고 문법에서 여전히 사중수를 언급한다.[147] 마셜어는 단수, 이중수, 삼중수 및 사중수 또는 소수 외에도, 다섯 명 이상에 대한 다수와 두 명 이상에 대한 복수의 두 가지 복수 형태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 6가지 수의 구분을 만든다.[147][149][150] 코베어(Kove)는 마셜어와 유사한 대명사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복수(2+)가 같은 가족 구성원과 다른 가족 구성원으로 나뉘어 7가지 구분을 만든다.[151]

마셜어 대명사 (Rālik|랄릭mh 방언)
단수이중수삼중수사중수
또는 소수
다수
(5+)
복수
(2+)
1인칭(배제)ña|냐mhkōmro|콤로mhkōmjeel|콤지일mhkōm(je)eañ|콤(지)애냔mhkōmwōj|콤워지mhkōm|콤mh
1인칭(포함)-kōjro|코지로mhkōjjeel|코지일mhkōjeañ|코재냔mhkōjwōj|코줘지mhkōj|코지mh
2인칭kwe|퀘mhkoṃro|콤로mhkoṃjeel|콤지일mhkoṃ(je)eañ|콤(지)애냔mhkoṃwōj|콤워지mhkoṃ|콤mh
3인칭e|에mherro|애로mherjeel|애르지일mher(je)jeañ|애르(지)재냔mherwōj|애르워지mher|애르mh



몇몇 다른 언어들도 사중수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 로버트 블러스트(Robert Blust) 등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일부 케냐어, 특히 롱 아납(Long Anap)에서 사용되는 고지대 레포 사와(Lepoʼ Sawa) 방언에 사중수가 존재한다고 말했다.[152][153][154] 나우루어의 생명체를 나타내는 지시 대명사에도 사중수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55]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외부에서는, 아분어(Abun) 이야기에 삼중수 외에 사중수 대명사가 자주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9] 오세아니아 외부에서 사중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되는 유일한 구어는 브라질의 아피나예어(Apinayé)이다.[156][157]

4. 7. 오중수

오중수는 정확히 다섯 개의 항목을 나타낸다.[57] 이 용례의 명확한 예는 대부분 수화의 대명사에서만 발견된다. 사중수와 마찬가지로 그 존재 여부가 논쟁의 대상이며, 일부 분류 체계에서만 인정된다.[57]

오중수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되는 수화에는 미국 수화[128][129], 아르헨티나 수화[130], 영국 수화[132], 독일 수화[134][135], 레반트 아랍 수화[139], 우간다 수화[142]가 포함된다.

수화 대명사를 사중수 또는 오중수로 분류하는 것의 타당성에 대해 논쟁이 있었다. 언어학자 수전 맥버니(Susan McBurney)는 미국 수화에는 진정한 이중수가 있지만, 삼중수, 사중수, 오중수는 문법적 수가 아니라 수사 통합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68] 언어학자 라켈 베이가 부스토(Raquel Veiga Busto)는 이러한 이유가 카탈루냐 수화에는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했으며, 문법적 수인지 수사 통합인지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고 편의상 언어의 대명사에 사중수와 오중수라는 용어를 적용했다.[169] 다른 저자들은 여전히 사중수와 오중수라는 용어를 적용하면서도 대명사 수사 통합을 언급하면서 이러한 개념을 완벽하게 동등한 것으로 다루었다.[142][137]

4. 8. 최대 복수

최대 복수는 더 큰 복수보다 크고 그 너머에 있는 수를 의미한다. "훨씬 더 큰 복수(even greater plural)"라고도 불린다.[184] 와레케나어와 바뉴어 등 일부 언어에 존재한다.[185]

예시:

  • 와레케나어:[184][185][186]
  • ʧinugae - "개" (단수)
  • ʧinu'''ne'''gae - "개들" (복수)
  • ʧinu'''nawi'''gae - "매우 많은 개들" (더 큰 복수)
  • ʧinu'''nenawi'''gae - "정말 엄청나게 많은 개들,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개들" (최대 복수)
  • 바뉴어: 더 큰 복수는 무한함을 나타내고, 최대 복수는 "더 높은 수준의 무한함"을 나타낸다.[185]

4. 9. 일반, 단일수, 복수수

일부 언어에서는 명사의 기본 형태가 단수가 아니라 수를 지정하지 않는 일반 형태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단수형과 복수형은 일반 형태에서 파생된다. 특정 수가 무관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일반 형태가 사용된다. 이 시스템에서 단수는 다른 형태에서 파생된 것으로 구분하기 위해 종종 단일수(singulative)라고 불린다. 마찬가지로 일반 형태에서 파생된 복수는 복수수(plurative)라고 불리기도 한다.[195]

예를 들어, 풀라어에서는:[196]

  • barefuf - "개(들)" (일반, 수에 관계없음)
  • bare'''eru'''fuf - "개" (단일수)
  • bare'''eji'''fuf - "개들" (복수수)


그러나 일본어와 같이 일반형과 복수수의 두 가지 차이만 있는 언어도 있다.[197]

  • (犬|이누일본어) - "개(들)" (일반)
  • (犬たち|이누타치일본어) - "개들" (복수수)


일반형과 단일수의 두 가지 구분은 덜 일반적이다. 어떤 언어도 이것을 기본적인 수의 대조로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일부 언어는 이러한 구분을 가진 특정 명사를 가지고 있다.[198] 예를 들어, 시다마어에서는:[199]

  • gotosid - "하이에나(들)" (일반)
  • got'''iiččo'''sid - "하이에나" (단일수)


아파르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는 일반/단일수/복수수의 세 가지 대조를 가진 명사가 거의 없지만, 일반/단일수와 일반/복수수의 두 가지 대조를 가진 명사는 모두 일반적이다.[200]

일반형 외에도 이중수, 삼중수, 소수 또는 그 이상의 복수를 사용하는 다른 수 체계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도 있다.

언어일반단일수이중수삼중수소수복수복수수대복수
하머어[201]qáskiamf ("개(들)")qáskinoamf ("개")qáskinaamf ("몇 마리의 개")
왈피리어[202][203]malikiwbp ("개(들)")malikijarrawbp ("두 마리의 개")malikipatuwbp ("몇 마리의 개")
밤바시어[204]kanémyf ("개(들)")kankuwemyf ("두 마리의 개")kanolemyf ("개들")
바이소어[205][206][207]kerbsw ("개(들)")kertitibsw ("개")kerdʒedʒabsw ("몇 마리의 개")keroorbsw ("개들")
아라바나어[208]madlaard ("개(들)")madlapulaard ("두 마리의 개")madlakarikariard ("세 마리의 개")madlakariard ("개들")
카이테티어[209][211]alekegbb ("개(들)")aleketherregbb ("두 마리의 개")alekamernegbb ("개들")alekeynengegbb ("모든 개들")



특정 명사에 대해서만 다른 수 체계가 사용되는 언어도 있다.


  • 부루샤스키어에서는 단수와 복수가 같은 형태인 명사의 경우 복수 표시가 대복수를 나타낸다.[212]
  • * čhúmobsk - "물고기" (일반)
  • * čhúmo'''muc'''bsk - "꽤 많은 수의 물고기" (대복수)
  • 일반, 단일수, 소수복수 외에도 하머어의 일부 명사는 대복수[213] 또는 집합 복수[214]로 분석된 추가적인 구분을 가지고 있다. 특정한 경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대복수임이 명확하다.[215]
  • * hámaramf - "하머 사람/사람들" (일반)
  • * hamar'''tâ'''amf (남성) / hamar'''tóno'''amf (여성) - "하머 사람" (단일수)
  • * hámar'''ra'''amf - "몇몇 하머 사람들" (소수복수)
  • * hámar'''ro'''amf - "모든 하머 사람들" (대복수)
  • 아랍어의 일부 방언에는 일반, 단일수, 이중수, 복수수, 대복수의 다섯 가지 구분을 보이는 몇몇 명사가 있다. 다마스쿠스 아랍어에서는:[190]
  • * - "파리/파리들" (일반)
  • * - "파리" (단일수)
  • * - "두 마리의 파리" (이중수)
  • * - "파리들" (복수수)
  • * - "많은 파리들" (대복수)

4. 10. 최소, 단위 증강, 증강

최소, 단위 증강, 증강은 문법에서 1인칭 복수 포함 대명사를 단수 대명사와 동일하게, 1인칭 3인칭 포함 대명사를 복수 대명사와 동일하게 취급하는 언어에서 사용되는 대명사의 수 범주이다.[216][217][218] 이는 절대적인 단수, 복수, 3인칭, 복수의 패러다임을 대체하는 상대적인 패러다임으로, 절대적인 분류가 적합하지 않은 언어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로카노어와 비닌지 쿤워크어의 대명사는 단수/이중/3인칭/복수 분석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일로카노어 대명사
단수이중복수
1인칭(배타적)co|코ilo-mi|미ilo
1인칭(포함적)-ta|타ilotayo|타요ilo
2인칭mo|모ilo-yo|요ilo
3인칭na|나ilo-da|다ilo



비닌지 쿤워크어 대명사
단수이중3인칭복수
1인칭(배타적)ngarduk|응아르둑gupngarrewoneng|응아르웨넹gup-ngadberre|응아드베레gup
1인칭(포함적)-ngarrgu|응아르구gupgarriwoneng|가리워넹gupgadberre|가드베레gup
2인칭nguddanggi|응우당기gupngurriwoneng|응우리워넹gup-ngudberre|응우드베레gup
3인칭nuye/ngarre|누예/응아레gupberrewoneng|베레워넹gup-bedberre|베드베레gup



정의상 최소 두 명 이상을 의미하는 1인칭 포함의 경우 "단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일로카노어에서 "이중"은 1인칭 포함에만 존재하며, 비닌지 쿤워크어의 "3인칭"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범주화는 "우아하지 못하다"고 불려왔다.[218] 또한 문법 구조를 잘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 비닌지 쿤워크어는 접미사 -woneng|-워넹gup를 사용하여 1인칭 포함 "3인칭"을 다른 인칭의 "이중"과 동일하게 취급하지만, 세 명을 지칭한다.

따라서 대안적인 분석은 다음과 같다.

일로카노어 대명사
최소증강
1인칭(배타적)co|코ilomi|미ilo
1인칭(포함적)ta|타ilotayo|타요ilo
2인칭mo|모iloyo|요ilo
3인칭na|나iloda|다ilo



비닌지 쿤워크어 대명사
최소단위 증강증강
1인칭(배타적)ngarduk|응아르둑gupngarrewoneng|응아르웨넹gupngadberre|응아드베레gup
1인칭(포함적)ngarrgu|응아르구gupgarriwoneng|가리워넹gupgadberre|가드베레gup
2인칭nguddanggi|응우당기gupngurriwoneng|응우리워넹gupngudberre|응우드베레gup
3인칭nuye/ngarre|누예/응아레gupberrewoneng|베레워넹gupbedberre|베드베레gup



'최소' 수는 각 범주에 대한 최소 가능한 그룹이다. 1인칭 배타적, 2인칭, 3인칭의 경우 1이고, 1인칭 포함의 경우 2이다. 단위 증강은 최소보다 하나 더 많다. 1인칭 배타적, 2인칭, 3인칭의 경우 2이고, 1인칭 포함의 경우 3이다. 증강은 복수와 동일하다. 최소/증강 시스템에서 증강은 1인칭 배타적, 2인칭, 3인칭의 경우 1보다 많음을 의미하고, 1인칭 포함의 경우 2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최소/단위 증강/증강 시스템에서 증강은 1인칭 배타적, 2인칭, 3인칭의 경우 2보다 많음을 의미하고, 1인칭 포함의 경우 3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일로카노어 외에도 최소/증강 대명사 시스템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지는 언어로는 타갈로그어,[219][220] 마라나오어,[221] 마스켈린어,[222] 그리고 호-청크어가 있다.[223] 단위 증강이 추가된 3가지 구분은 주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보다 구체적으로 파마-뉴응안어가 아닌 언어에서 발견된다.[224] 오스트레일리아 외에서 적용되는 극소수의 언어 중에는 오스트로네시아어인 아이우어[224][237]트랜스뉴기니어족 언어인 쿠니마이파어가 있다.[224][238]

최소와 증강은 소수(paucal)와 결합하여 최소, 소수, 증강/복수의 3가지 대명사 시스템을 만들 수도 있다. 이것은 카야포어의 경우라고 알려져 있다.[239][240] 최소, 단위 증강, 소수, 복수의 4가지 시스템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어떤 자연어에서도 관찰된 적이 없다.[240]

4. 11. 합성수

합성수는 여러 개의 수 표기 부호를 결합하여 만든 수 범주이다. 이는 "드문 현상"이다.[241] 브르타뉴어, 고전 아랍어 등 일부 언어에서 발견된다.

  • 브르타뉴어: 명사(일부)에서 '단수, 이중, 복수, 이중+복수(4+)'와 같이 4가지로 구분된다.[241][242]
  • 고전 아랍어: 명사(일부)에서 '단수, 이중, 복수, 복수+이중(6+)'[244] 또는 '단수, 이중, 복수, 이중 복수'[246][247]와 같이 4가지로 구분된다.

4. 12. 혼합수

몇몇 언어에서는 다른 기존 범주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혼합수가 나타나기도 한다.[257]

브르타뉴어에서는 자연스럽게 쌍으로 나타나는 명사에 이중수를 사용하며, 복합 이중 및 복수는 각각 두 개의 집합을 여러 개 나타내는 반면, 일반 복수는 쌍으로 인식되지 않고 여러 개의 항목을 나타낸다.[242] 고대 이집트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문법적 구조가 확인되었다.[243]

  • lagadbr - "눈" (단수)
  • daoulagadbr - "두 눈" (이중)
  • lagadoùbr - "눈들" (복수)
  • daoulagadoùbr - "눈 쌍들" (복합, 이중 + 복수)


고대 아랍어의 일부 명사에서는 "복수의 이중"이라는 범주가 나타나는데, 이는 각각 여러 개의 집합이 두 개임을 나타낸다.[244][245]

  • - 창 (단수)
  • - 두 개의 창 (이중)
  • - 창들 (복수)
  • - 두 무리의 창들 (복수의 이중)


칼라와 라가와 야어와 중앙 파메어에서는 단수-이중수가 나타나는데, 이는 하나 또는 둘을 의미한다.[258][259][260] 투유카어에서는 무생물 분류사가 하나에서 셋까지와 넷 이상을 구분한다.[265][266]

  • ùmaymwp - "개" (하나 또는 둘)
  • ùmaylmwp - "개들" (복수, 셋 이상)
  • čihàgŋpbs - 숟가락 (하나 또는 둘)
  • šihàgŋpbs - 숟가락들 (복수, 셋 이상)
  • hoópórotue - "바나나" (하나에서 셋)
  • hoópóritue - "바나나들" (복수, 넷 이상)


호피어와 이디어에서는 단수-이중수 동사와 복수 명사를 결합하여 이중수를 나타내는 구성 수 현상이 나타난다.[261][262][263] 코아사티어에서는 동사에 따라 단수, 이중수, 복수, 단수-이중수 등 다양한 구분이 나타난다.[264]

일부 코아사티어 동사
동사단수이중수복수
"앉다"cokkó:linckucikkí:kanckuí:sancku
"달리다"walí:kanckutóɬkancku
"죽다"íllinckuhápkancku



피라타푸요어에서는 무생물 분류사가 있는 일부 명사가 하나에서 넷까지와 다섯 개 이상을 구분한다.[267][269][270]


  • pikapir - "손가락" (하나에서 넷까지)
  • pikaripir - "손가락들" (복수, 다섯 개 이상)


왕쿠마라어에서는 형용사적 대명사, 복수 형용사, 또는 이중 접미사를 통해 단수, 이중, 복수를 구분하며, 명사 자체로는 이중과 비이중(하나 또는 셋 이상)만 구분된다.[276]

  • d̯it̯ixwk - "개(들)" (비이중, 하나 또는 셋 이상)
  • d̯it̯ibulaxwk - "두 마리의 개" (이중)


키오와어와 헤메즈어는 역수 체계를 가지는데, 명사의 범주에 따라 암시적으로 포함된 수가 달라진다.[277][278]

키오와어 명사의 예
범주명사단수이중복수
I벌레pólkiopóldaukio
II막대기áadaukioáakio
III토마토k’âundaukiok’âunkiok’âundaukio
style="border-style: none none none none;" |
IV바위ts’ówkio



헤메즈어 명사의 예
범주명사단수이중복수
I까마귀kyáátowkyááshtow
II다리wáákweshtowwáákwetow
IIItowpáshkiotow
style="border-style: none none none none;" |
IVtow


4. 13. 비이중수

비이중수는 둘을 제외한 모든 수를 의미한다.[276] 왕쿠마라어와 팀비샤어 등 일부 언어에서 발견된다.[276][281]

비이중수가 나타나는 언어
언어품사
왕쿠마라어명사
팀비샤어동사 (일부)


4. 14. 수가 없는 언어

소수의 언어는 대명사에서조차 문법적 수(number)가 전혀 없다. 잘 알려진 예로 피라하어가 있다.[285] 아체어는 거의 그에 가깝지만, 1인칭 대명사에서만 단수/복수의 구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85]

피라하어 대명사
1인칭ti
2인칭gíxai
3인칭hiapióxio


5. 품사별 수의 표현

어떤 언어든 대상의 수량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갖추고 있다. 한국어의 '조금', '약간', '한', '두', '이백오십', '수억' 등과 같이 특정 어휘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모든 언어가 수를 나타내는 문법적인 요소를 가진 것은 아니다. 문법적인 수는 형태적 또는 구문적 수단을 통해 표현되며, 대상에 접어를 붙이거나 수를 표현하는 단어와 같이 수를 나타내는 문법적인 항목들을 사용한다.

세계 대부분의 언어는 수의 차이를 표현하는 공식적인 수단을 가지고 있다. 영어를 비롯한 많은 언어에서는 단수와 복수의 이분법적 대조가 일반적이다 (예: 'car'/'cars', 'child'/'children').

문법적 수는 굴절이나 일치를 통해 수량을 표현하는 형태론적 범주이다. 예를 들어, 영어 문장에서 사과의 수량은 명사('apple' 단수 / 'apples' 복수), 지시어('that'/'those'), 동사('is'/'are')에 표시된다.

언어가 문법적 수를 가진다는 것은 명사 형태가 표현하는 수량에 따라 형태론적 종류로 세분화됨을 의미한다. 즉, 모든 명사 형태는 수 종류에 속하고, 명사 수식어(형용사 등)와 동사는 각 수 하위 종류에 대해 다른 형태를 가지며, 수식하거나 일치하는 명사의 수와 일치하도록 어미가 붙는다.

많은 언어가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를 구분한다. 가산 명사만 단수와 복수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으며, "우유", "금", "가구"와 같은 불가산 명사는 일반적으로 변하지 않는다.[2]

모든 언어가 문법적 범주로서 수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 않은 언어에서는 수량을 수사로 직접 표현하거나 선택적 양화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조셉 그린버그는 언어 보편성으로서 수 범주 계층 구조를 제안했다. "어떤 언어도 이중수를 가지지 않고 삼중수를 가지는 경우는 없다. 어떤 언어도 복수를 가지지 않고 이중수를 가지는 경우는 없다."[3]

명사에서는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 차이를, 대명사에서도 수의 구별을, 동사형용사 등에서는 주어나 수식받는 명사 등이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 차이를 나타내며, 이를 '일치'라고 한다.

셀 수 있는 여러 대상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나타내는 명사를 집합명사라고 하며, 명사와 동사 등의 수가 형식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많은 언어에서 명사의 단수형이 무표, 복수형이 유표인 패턴이 일반적이지만, 집합명사에 해당하는 명사에서 반대로 단수형이 유표가 되는 언어도 있다. 일부 언어에서는 동사에 의해 나타나는 동작·현상이 단독(단발)인지 복수(반복)인지에 따른 구별(상)이 있다.

5. 1. 명사

영어에서 'cat'은 한 마리의 고양이를, 'cats'는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가리키는 것처럼, 명사는 그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 차이를 나타낸다.[2]

대명사에도 수의 구별이 있으며, 일본어처럼 명사의 수를 명시하지 않는 언어라도 대명사의 수는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서구 언어에서는 2인칭 복수를 2인칭 단수의 경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현대 영어에서는 이 때문에 2인칭 대명사가 'you' 하나뿐이고, 수의 명시적인 구별은 완전히 없어졌다.

1인칭 대명사의 복수형에는 상대방을 포함하지 않는 용법(제외형)도 있지만, 상대방(본래는 2인칭)을 포함하여 제3자(3인칭)와 대립시키는 용법(포함형)도 있으며, 이 둘을 구별하는 언어도 많다.

동사형용사 등에서는 그 주어나 수식받는 명사 등이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인 차이를 나타내는데, 이를 '일치'라고 한다. 예를 들어 라틴어에서 'amat'는 "그/그녀는 사랑한다"(주어는 1인)이지만, 'amant'는 "그들/그녀들은 사랑한다"(주어는 2인 이상)이다.

셀 수 있는 여러 대상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나타내는 명사를 집합명사라고 하며, 명사와 동사 등의 수가 형식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family' 등은 사람이 아니라 집단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여러 집단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복수형이 된다), 집단의 구성원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형 그대로 복수로 취급된다.

많은 언어에서는 명사의 단수형이 무표, 복수형이 유표(예를 들어 영어의 복수 어미 -s)라는 패턴이 일반적이지만, 집합명사에 해당하는 명사에서 반대로 단수형이 유표가 되는 언어도 있다.

이 외에도 일부 언어에서는 동사에 의해 나타나는 동작·현상이 단독(단발)인지 복수(반복)인지에 따른 구별(상)이 있다.

5. 2. 대명사

대명사에도 수의 구별이 있으며, 일본어처럼 명사의 수를 명시하지 않는 언어라도 대명사의 수는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2] 다만 서구 언어에서는 2인칭 복수를 2인칭 단수의 경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현대 영어에서는 이 때문에 2인칭 대명사가 'you' 하나뿐이고, 수의 명시적인 구별은 완전히 없어졌다.[2]

1인칭 대명사의 복수형에는 상대방을 포함하지 않는 용법(제외형)과 상대방(본래는 2인칭)을 포함하여 제3자(3인칭)와 대립시키는 용법(포함형)이 있으며, 이 둘을 구별하는 언어도 많다.[2]

한국어에는 문법적인 수가 존재하지 않지만, 대명사의 경우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있다. (예: '나'는 단수의 경우에 사용되고, '우리'는 복수의 경우에 사용된다.)[2]

5. 3. 동사

많은 언어에서 동사는 수에 따라 활용된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로는 je vois프랑스어(''나는 본다'')라고 하지만, nous voyons프랑스어(''우리는 본다'')라고 한다.[323] voir프랑스어(''보다'') 동사는 1인칭 단수형인 vois프랑스어에서 복수형인 voyons프랑스어로 변한다. 영어에서는 3인칭에서 이러한 현상이 자주 발생하지만(''그녀는 본다'', ''그들은 본다''), 'to be' 동사를 제외하고는 다른 문법적 인칭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영어와 일반적으로 인도유럽어족에서는 문장의 주어가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동사가 단수 또는 복수로 일치한다. 반대로, 크사반테어에서는 타동사가 목적어의 수와 일치한다.[323] 서그린란드어에서는 동사가 주어와 목적어의 수 모두에 표시된다.[324]

동사는 일치하는 주어가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라틴어에서 'amat'는 "그/그녀는 사랑한다"(주어는 1인)를 뜻하지만, 'amant'는 "그들/그녀들은 사랑한다"(주어는 2인 이상)를 뜻한다.

5. 4. 형용사

형용사는 프랑스어의 단수 ''grand''(큰), 복수 ''grands''와 같이 수식하는 명사의 수에 일치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6. 수의 일치

많은 언어에서 동사는 주어의 수와 일치한다. 형용사나 관형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수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세계의 대부분 언어는 수의 차이를 표현하는 공식적인 수단을 가지고 있다. 영어와 다른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널리 퍼진 구분은 단수와 복수의 단순한 이분법적 대조를 포함한다 (''car''/''cars'', ''child''/''children'' 등).

문법적 수는 굴절이나 일치를 통해 수량을 표현하는 형태론적 범주이다. 예를 들어, 아래의 영어 문장을 보자.

: ''That apple on the table is fresh.''

: ''Those two apples on the table are fresh.''

사과의 수량은 명사—"apple" '''단수''' (하나의 항목) 대 "apples" '''복수''' (둘 이상의 항목)—지시어, ''that/those'', 그리고 동사, ''is/are''에 표시된다. 두 번째 문장에서 이 모든 정보는 중복적이다.[2] 수량이 이미 숫자 ''two''에 의해 표시되기 때문이다.

언어가 문법적 수를 가지는 것은 명사 형태가 표현하는 수량에 따라 형태론적 종류로 세분화될 때이다. 즉:

# 모든 명사 형태는 수 종류에 속한다 (수에 따라 서로소인 종류로 분할된다).

# 명사 수식어 (형용사 등)와 동사는 각 수 하위 종류에 대해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수식하거나 일치하는 명사의 수와 일치하도록 어미가 붙는다 (수는 일치 범주이다).

이는 영어에도 부분적으로 해당된다. 모든 명사와 대명사 형태는 단수 또는 복수이다 (몇몇은, 예를 들어 "물고기", "대포", "너희들"은 문맥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가 될 수 있다). 명사의 일부 수식어—즉, 지시어 한정사—와 유한 동사는 수식하거나 주어로 가지는 명사의 수에 따라 어미가 붙는다: ''this car''와 ''these cars''는 정확하지만, *''this cars''와 *''these car''는 잘못되었다. 그러나 형용사는 수에 따라 어미가 붙지 않으며, 많은 동사 형태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지 않는다 ("그녀/그들은 갔다", "그녀/그들은 갈 수 있다", "그녀/그들은 갔었다", "그녀/그들은 갈 것이다").

많은 언어는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를 구분한다. 가산 명사만 단수와 복수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우유", "금", "가구"와 같은 불가산 명사는 일반적으로 변하지 않는다.[2] (어떤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불가산 명사 '''''X'''''가 가산 명사로 사용되어 여러 종류의 '''''X'''''를 열거 가능한 그룹으로 모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즈 제조업자는 염소, 양, 소 우유를 ''milks''로 말할 수 있다.)

모든 언어가 문법적 범주로서 수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 않은 언어에서는 수량을 수사로 직접 표현하거나 선택적 양화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언어는 문법적 수의 부족을 광범위한 측량사 체계로 보완한다.

조셉 그린버그는 언어 보편성으로서 수 범주 계층 구조를 제안했다. "어떤 언어도 이중수를 가지지 않고 삼중수를 가지는 경우는 없다. 어떤 언어도 복수를 가지지 않고 이중수를 가지는 경우는 없다."[3] 이 계층 구조는 소수를 고려하지 않는다.[4]

합성어는 일반적으로 굴절을 통해 문법적 수를 구분한다. (중국어와 같은 분석어는 종종 문법적 수를 표시하지 않는다.)

일부 언어는 특정 경우 복수에 대한 표지가 없다. 예를 들어 스웨덴어의 hussv는 "집, 집들"을 의미하지만 (하지만 husetsv는 "그 집", husensv은 "그 집들"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단수는 형식적으로 표시되지 않지만 복수는 어떤 방식으로든 표시된다. 반대로, 특히 반투어와 같은 다른 언어들은 단수와 복수 모두를 표시한다. 웨일스어와 신할라어와 같이 소수의 언어에서만 발견되는 세 번째 논리적 가능성은 표시된 단수와 대조되는 표시되지 않은 복수이다. 다음은 명사에 대한 수 접미사의 몇 가지 예이다(굴절하는 형태소는 밑줄로 표시됨).


  • 접사(접두사, 접미사, 중간접미사 또는 둘러싸기 접미사를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 * 에스토니아어: puuet "나무"(단수) – puudet "나무들"(주격 복수), 또는 kolm puudet "나무 세 그루"(분리격 단수)
  • * 핀란드어: lehmäfi "암소"(단수) – lehmätfi "암소들"(주격 복수)
  • * 터키어: dağtr "산"(단수) – dağlartr "산들"(복수)
  • * 슬로베니아어: lípasl "린든"(단수) – lípisl "린든"(이중수) – lípesl "린든"(복수)
  • * 산스크리트어: पुरुषस्sa "남자"(단수) – पुरुषौsa "두 남자"(이중수) – पुरुषास्sa "남자들"(복수)
  • * 신할라어: මලක්si "꽃"(단수) – මල්sa "꽃들"(복수)
  • * 스와힐리어: mtotosw "아이"(단수) – watotosw "아이들"(복수)
  • * 간다어: omusajjalg "남자"(단수) – abasajjalg "남자들"(복수)
  • * 조지아어: კაციka "남자"(단수) – კაცებიka "남자들"(''eb''는 주격 접미사)
  • * 웨일스어: plantcy "아이들"(집합적) – plentyncy "아이"(단수형)
  • * 바른갈라어: wárraidyabjb "에뮤"(단수) – wárraidyalbilibjb "에뮤 두 마리"(이중수) – wárraidyarribjb "에뮤들"(복수) – wárraidyailyarranhabjb "많은 에뮤들"(다수 복수)[175]
  • 동시접사(다양한 종류의 내부 음운 변화를 통해):
  • * 아랍어: كِتَاب ar "책"(단수) – كُتُبar "책들"(복수)
  • * 웨일스어: adarcy "새들"(집합적) - deryncy "새"(단수형). 어근 단어(adarcy)에 추가적인 음절을 추가하는 -yncy 접미사는 초기(그리고 의미적으로 빈) 음절이 생략되도록 한다. 이 접미사는 위의 '접사' 유형과 아래의 '음운 변화' 유형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모음 변화를 일으켜 어근 모음 acy를 ecy로 변경한다. 같은 과정은 hosancy "양말"과 sanaucy "양말들" 쌍에서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접미사 -aucy는 초기 음절(ho-cy)이 생략되도록 한다.
  • 음운 변화(다른 모음 사이에서 번갈아 가며):
  • * 딩카어: katdin "틀" – kɛtdin "틀들"
  • * 영어: ''foot'' – ''feet''
  • * 독일어: Mutterde "어머니" – Mütterde "어머니들"
  • * 웨일스어: bachency "소년" – bechgyncy "소년들"
  • 중복(이중화를 통해):
  • * 인도네시아어: orangid "사람"(단수) – orang-orangid "사람들"(복수); 하지만 dua orangid "두 사람"과 banyak orangid "많은 사람들"(문맥이 명확하고 복수가 강조되지 않을 때는 중복이 되지 않음)
  • * 피필어: kumitppl "냄비"(단수) – kuj-kumitppl "냄비들"(복수); 인도네시아어와 유사하게, 복수가 다른 곳에서 표시되거나 강조되지 않을 때는 중복이 생략된다.
  • * 소말리아어: buugso "책"(단수) – buug-agso "책들"(복수)
  • 보충(한 단어를 다른 단어의 굴절된 형태로 사용하는 것):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čov(j)eksh "사람"(단수) – ljudish "사람들"(복수)[321]
  • * 영어: ''person''(단수) - ''people''(복수) (구어체로 사용됨. 형식적이고 신중한 말투에서는 ''persons''가 여전히 ''person''의 복수로 사용되는 반면, ''people''은 ''peoples''라는 자체 복수형을 가지고 있다.)
  • 성조(끌어내리는 성조를 밀어내는 성조로 변경하여)
  • * 림부르흐어: daãgli "날"(단수) – daàgli "날들"(복수)
  • * 고대 그리스어: γλῶσσαgrc "혀"(단수) – γλώσσαgrc "두 혀"(이중수)


수를 표시하는 요소는 종속 표시 언어의 명사와 대명사 또는 의존 표시 언어의 동사와 형용사에 나타날 수 있다.

영어
(종속 표시)
서부 아파치어
(의존 표시)
Paul is teaching the cowboy.Paul idilohí yiłchígóaah.apw
Paul is teaching the cowboys.Paul idilohí yiłchídagóaah.apw



위의 영어 문장에서 복수 접미사 ''-s''는 명사 ''cowboy''에 추가된다. 서부 아파치어의 동등한 표현에서, 의존 표시 언어인 경우, 복수 접미사 da-apw는 동사 yiłch'ígó'aahapw "그는 그를 가르친다"에 추가되어 yiłch'ídagó'aahapw "그는 그들을 가르친다"가 되는 반면, 명사 idilohíapw "카우보이"는 수에 대해 표시되지 않는다.

많은 언어, 예를 들어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그리고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포함)와 같이 특히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은 선택적인 수 표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수 표기가 없는 명사는 단수도 복수도 아니고, 수에 대해 모호하다. 이것을 '초수(transnumeral)' 또는 때로는 '일반 수(general number)'라고 한다. 이러한 많은 언어에서 수는 특히 1인칭 대명사와 같이, 특정하고 고도로 생물적인 지시 대상에 대해 표시되는 경향이 있다.

많은 언어에서, 동사는 수에 따라 활용된다. 프랑스어를 예로 들면, je vois프랑스어(''나는 본다'')라고 하지만, nous voyons프랑스어(''우리는 본다'')라고 한다. voir프랑스어(''보다'') 동사는 1인칭 단수형인 vois프랑스어에서 복수형인 voyons프랑스어로 변한다. 일상적인 영어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3인칭(''그녀는 본다'', ''그들은 본다'')에서 자주 발생하지만, ''to be'' 동사를 제외하고는 다른 문법적 인칭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영어와 일반적으로 인도유럽어족에서는 문장의 주어가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동사가 단수 또는 복수로 일치한다. 반대로, 크사반테어에서는 타동사가 목적어의 수와 일치한다.[323] 서그린란드어에서는 동사가 주어와 목적어의 수 모두에 표시된다.[324]

형용사는 종종 수식하는 명사의 수에 따라 어울린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는 un grand arbre프랑스어 "키 큰 나무"라고 하지만, deux grands arbres프랑스어 "키 큰 나무 두 그루"라고 한다. 단수 형용사 grand프랑스어는 복수형에서 grands프랑스어가 되는데, 영어의 "tall"과는 달리 변하지 않는다.

관형사는 수에 따라 어울릴 수 있다. 영어에서 지시형용사 "this", "that"은 복수형에서 "these", "those"로 바뀌고, 부정관사 "a", "an"은 생략되거나 "some"으로 바뀐다. 프랑스어와 독일어에서는 정관사가 단수형에서 의 차이를 가지지만, 복수형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에서는 정관사와 부정관사 모두 성과 수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포르투갈어 o, apt "the" (단수, 남성/여성), os, aspt "the" (복수, 남성/여성); um, umapt "a(n)" (단수, 남성/여성), uns, umaspt "some" (복수, 남성/여성), dois, duaspt "two" (복수, 남성/여성)과 같다.

핀란드어 문장 Yöt ovat pimeitäfi "밤은 어둡다"에서 복수 명사 yötfi "밤들"("밤" = yöfi)을 가리키는 각 단어는 복수형으로 변화한다 (밤-이다-어둡-).

때때로 문법적 수는 실제 수량을 나타내지 않는데, 이를 형태-의미 불일치라고 한다.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어의 중성 복수는 단수 동사를 취했다.[325] 대명사의 복수형은 중요성, 존경 또는 일반성을 나타내기 위해 단수 개체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여러 언어에서 볼 수 있는 ''존칭 복수'', 경어법 및 일반적 "너", 또는 영어에서 단수 "they"(단수 they)를 성 중립적 용법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같다.

아랍어에서는 비인간 명사(동물이나 무생물을 가리키는 명사, 명사가 단수에서 문법적으로 남성 또는 여성인지 여부에 관계없이)의 복수는 여성 단수로 취급되는데, 이를 무생물 복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 رجل جميلar () '아름다운 남자': (남자)는 남성 단수이므로 남성 단수 형용사 을 취한다.

: بيت جميلar () '아름다운 집': (집)은 남성 단수이므로 남성 단수 을 취한다.

: كلب جميلar () '아름다운 개': (개)는 남성 단수이므로 남성 단수 을 취한다.

: بنت جميلةar () '아름다운 소녀': 는 여성 단수이므로 여성 단수 을 취한다.

: سيارة جميلةar () '아름다운 자동차': 는 여성 단수이므로 여성 단수 을 취한다.

: رجال جميلونar () '아름다운 남자들': (남자들)은 남성 복수이므로 남성 복수 을 취한다.

: بنات جميلاتar () '아름다운 소녀들': 는 여성 복수이므로 여성 복수 을 취한다.

하지만

: بيوت جميلةar () '아름다운 집들': (집들)은 비인간 복수이므로 무생물 복수(여성 단수) 을 취한다.

: سيارات جميلةar () '아름다운 자동차들': 는 비인간 복수이므로 무생물 복수(여성 단수) 을 취한다.

: كلاب جميلةar () '아름다운 개들': 는 비인간 복수이므로 무생물 복수(여성 단수) 을 취한다.

명사에서는, 그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cat이라고 하면 한 마리의 고양이를, cats라고 하면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가리킨다.

대명사에도 수의 구별이 있으며, 일본어처럼 명사의 수를 명시하지 않는 언어라도 대명사의 수는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서구 언어에서는 2인칭 복수를 2인칭 단수의 경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현대 영어에서는 이 때문에 2인칭 대명사가 you 하나뿐이고, 수의 명시적인 구별은 완전히 없어졌다.

1인칭 대명사의 복수형에는, 상대방을 포함하지 않는 용법(제외형)도 있지만, 상대방(본래는 2인칭)을 포함하여 제3자(3인칭)와 대립시키는 용법(포함형)도 있으며, 이 둘을 구별하는 언어도 많다.

동사형용사 등에서는, 그 주어나 수식받는 명사 등이 가리키는 대상의 수량적인 차이를 나타낸다(「일치」라고 한다). 예를 들어, 라틴어에서 amat는 「그/그녀는 사랑한다」(주어는 1인)이지만, amant는 「그들/그녀들은 사랑한다」(주어는 2인 이상)이다.

셀 수 있는 여러 대상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나타내는 명사를 집합명사라고 하며, 명사와 동사 등의 수가 형식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family 등은, 사람이 아니라 집단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여러 집단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복수형이 된다), 집단의 구성원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형 그대로 복수로 취급된다.

많은 언어에서는, 명사의 단수형이 무표, 복수형이 유표(예를 들어 영어의 복수 어미 -s)라는 패턴이 일반적이지만, 집합명사에 해당하는 명사에서 반대로 단수형이 유표가 되는 언어도 있다.

이 외에도, 일부 언어에서는 동사에 의해 나타나는 동작·현상이 단독(단발)인지 복수(반복)인지에 따른 구별(상)이 있다.

7. 집단 명사

셀 수 있는 여러 대상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나타내는 명사를 집합명사라고 하며, 명사와 동사 등의 수가 형식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294] 예를 들어 영어의 'family' 등은 사람이 아니라 집단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여러 집단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복수형이 된다)로 취급되며, 집단의 구성원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단수형 그대로 복수로 취급된다.

많은 언어에서는 명사의 단수형이 무표(無標), 복수형이 유표(有標) (예를 들어 영어의 복수 어미 -s)라는 패턴이 일반적이지만, 집합명사에 해당하는 명사에서 반대로 단수형이 유표가 되는 언어도 있다.

8. 한국어의 수

한국어에서 명사는 복수를 나타내는 '들'과 같은 접미사를 붙일 수 있다. 그러나 영어와 달리 '고양이들'이라고 해도 고양이만 여러 마리 있다는 뜻은 아니며, 고양이를 포함하여 개, 쥐, 새 등 여러 동물이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김군들'이라는 표현은 김군을 대표로 하는 여러 사람의 그룹을 의미한다. 즉, '-들'은 문법적인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보통 무생물에는 '-들'을 사용하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오래된 표현에서는 '것들'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사람들', '산들', '나라들'처럼 명사를 반복하는 표현(중복어)도 복수를 나타낼 때 쓰인다. 이는 특정 명사에만 사용되며, '책상들'과 같이 쓰이지는 않는다.

이처럼 한국어에는 문법적인 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대명사의 경우 단수와 복수를 구별한다. (예: '나'는 단수, '우리'는 복수)

참조

[1] 간행물 Dictionary of Linguistic Terms http://www.sil.org/l[...] SIL
[2] 논문 Mass Nouns and Plural Logic http://d.a.nicolas.f[...] 2024-01-23
[3] 서적 Universals of Language M.I.T Press
[4]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Kwa noun http://www.acsu.buff[...] Buffalo
[6] 간행물 Occurrence of Nominal Plurality Wals
[7]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A Grammar of Wambaya,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https://www.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3-10
[9] 서적 A Semantically Based Sketch of Onondaga Waverly Press
[10] 서적 Wheelock's Latin Collins Reference
[11] 서적 A Grammar of Tundra Nenets De Gruyter Mouton
[12] 서적 The Category of Person in Language Walter de Gruyter
[13] 서적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3-25
[14] 논문 Predicação na Língua Wayoro (Tupi): Propriedades de Finitude https://www.teses.us[...] University of São Paulo 2024-02-22
[15] 논문 A Grammatical Description of Kamsá, a Language Isolate of Colombia https://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2023-03-31
[16]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Kodiak Alutiiq Language Textbook https://alutiiqmuseu[...] Alutiiq Museum and Archaeological Repository 2024-03-10
[20]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논문 The Use of the Dual in Some Inuit Dialects: The Importance of {{lang|naq|Tirliaq|cat=no}} https://ajohns.artsc[...] 2024-01-21
[22] 서적 Innamincka Talk: A Grammar of the Innamincka Dialect of Yandruwandha with Notes on Other Dialect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3]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A Grammar of Comanch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5] 서적 North Sámi: An Essential Grammar Routledge
[26] 서적 Say it in Samoan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7] 서적 Tuvaluan: A Polynesian Language of the Central Pacific Routledge
[28] 서적 Tuvaluan: A Polynesian Language of the Central Pacific Routledge
[29] 서적 Maori Routledge
[30] 논문 Functions of the Dual Suffix in Maltese https://linguistica.[...] 2024-01-21
[31] 논문 The Evolution of Number in Otomi 2013-01-01
[32] 서적 Maori Routledge
[33] 서적 From Proto-Indo-European to Proto-Germanic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Personal Pronouns in the Germanic Languages: A Study of Personal Pronoun Morphology and Change in the Germanic Languages from the First Records to the Present Day Walter de Gruyter
[35] 백과사전 Proto-Greek and Common Greek https://www.academia[...] Brill 2023-12-11
[36] 백과사전 Dual Brill
[37]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A Phylogenetic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The Evolution of the Slavic Dual: A Biolinguistic Perspective Lexington Books
[39] 서적 Norwegian: An Essential Grammar Routledge
[40] 서적 The Languages of the Eastern Family of the East New Guinea Highland Stock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41] 웹사이트 Feature GB165: Is there productive morphological trial marking on nouns? https://grambank.cll[...] The Grambank Consortium 2024-03-16
[42] 서적 Number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arative Handbook De Gruyter Mouton
[43] 서적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Typolog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44] 서적 A Grammar of the Arabana-Wangkangurru Language, Lake Eyre Basin, South Austral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45] 학술지 Some Aspects of the Form and Use of the Trial Number in Victorian Languages and in Arabana https://onlinelibrar[...] 1966-01-01
[46] 서적 A Short Grammar of Urama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47] 보고서 Tentative Grammar Description for the Angaataha Language Spoken in Morobe Province https://www.sil.org/[...] SIL International 2014-01-01
[48] 학술지 Larike Pronouns: Duals and Trials in a Central Moluccan Language 1990-01-01
[49]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서적 Tolai Syntax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https://core.ac.uk/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51]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Routledge
[52] 논문 Windesi Wamesa Morphophonology https://elischolar.l[...] Yale University
[53] 서적 Nukna Grammar Sketch https://www.sil.org/[...] SIL-PNG Academic Publications
[54] 서적 A Grammar of Lenakel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55]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The Paradigmatic Structure of Person Marking Oxford University Press
[57] 서적 Toward a Reference Grammar of Tok Pisin: An Experiment in Corpus Linguistics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58] 서적 Bislama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Hawai'i Press
[59] 논문 Pijin: A Grammar of Solomon Islands Pidgin https://rune.une.edu[...] University of New England
[60] 서적 A Grammar of the Arabana-Wangkangurru Language, Lake Eyre Basin, South Austral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61] 논문 Enindhilyakwa Phonology, Morphosyntax and Genetic Position https://ses.library.[...] University of Sydney
[62]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서적 Linguistic Preferences Mouton de Gruyter
[64] 논문 Marrithiyel, A Language of the Daly River Region of the Northern Territory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65] 학술지 Preference Organization Driving Structuration: Evidence from Australian Aboriginal Interaction for Pragmatically Motivated Grammaticalization https://www.linguist[...] 2013-01-01
[66] 논문 The Phonology and Morphology of Bachamal (Wogait)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67] 서적 Worrorra: A Language of the North-West Kimberley Coast University of Adelaide Press
[68] 서적 The Oxford Guide to Australi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A Description of Abun: A West Papuan Language of Irian Jay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70] 논문 Pijin: A Grammar of Solomon Islands Pidgin https://rune.une.edu[...] University of New England
[71] 논문 A Descriptive Grammar of Muklom Tangsa https://opal.latrobe[...] La Trobe University 2024-01-22
[72] 논문 A Grammar of Motuna (Bougainville, Papua New Guinea)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1-27
[73] 학술지 Single Versus Concurrent Systems: Nominal Classification in Mian https://uknowledge.u[...] 2024-03-30
[74]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논문 A Grammar of Mocoví https://etnolinguist[...] University of Pittsburgh 2024-03-30
[76]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Routledge
[77] 서적 Mussau Grammar Essentials https://www.sil.org/[...] SIL-PNG Academic Publications 2024-02-25
[78]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80] 서적 Basic Materials in Warndarang: Grammar, Texts and Dictionary https://core.ac.uk/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1-30
[81] 서적 SALT II: Proceedings from the Second Conference on Semantics and Linguistic Theory; Held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May 1-3, 1992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Linguistics
[82] 학술지 When a Dual Marker Acts as a Paucal Marker: The Case of the Dual ''-e:n'' in Northern Rural Jordanian Arabic 2023
[83] 서적 A Grammar of Manam https://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4-01-31
[84] 서적 The Paamese language of Vanuatu https://core.ac.uk/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1-31
[85]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86] 논문 A Sketch Grammar of Meryam Mir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2-01
[87] 학회 Number in Meryam Mir https://web.stanford[...] 2024-02-01
[88]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89] 논문 Towards a Grammar of Takivatan Bunun: Selected Topics https://hcommons.org[...] La Trobe University 2024-02-01
[90]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91] 서적 The Paradigmatic Structure of Person Marking Oxford University Press
[92]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93] 서적 The Syntax of Spoken Arabic: A Comparative Study of Moroccan, Egyptian, Syrian, and Kuwaiti Dialect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94] 학술지 When a Dual Marker Acts as a Paucal Marker: The Case of the Dual ''-e:n'' in Northern Rural Jordanian Arabic 2023
[95] 서적 The Paradigmatic Structure of Person Marking Oxford University Press
[96] 논문 Ambai: An Austronesian Language of Irian Jaya, Indonesia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3-08-06
[97] 서적 A Grammar of the Northern Dialect of Sakao https://core.ac.uk/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2-02
[98] 학술지 Oceanic Linguistics Today https://www.jstor.or[...] 1962
[99] 서적 The Linguistic Situation in the Gulf District and Adjacent Areas, Papua New Guine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00] 서적 Studies in Kope https://www.sil.org/[...] SIL-PNG Academic Publications 2024-02-02
[101] 서적 A Short Grammar of Urama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3-16
[102] 서적 Studies in Kope https://www.sil.org/[...] SIL-PNG Academic Publications 2024-02-02
[103] 논문 Frustrated Modernity: Kerewo Historie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Gulf Province, Papua New Guinea https://core.ac.uk/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2-02
[104] 서적 A Grammar of the Arabana-Wangkangurru Language, Lake Eyre Basin, South Austral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05] 학술지 Larike Pronouns: Duals and Trials in a Central Moluccan Language 1990
[106] 서적 A Grammar of Anejom̃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2-02
[107] 서적 Russian Case Morphology and the Syntactic Categories The MIT Press
[108]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9] 학술지 Pronominal Number in Mongondow-Gorontalo 2011
[110] 서적 Feat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1] 학술지 Parametric Properties of Numeral Phrases in Slavic https://link.springe[...] 1994
[112] 서적 Russian Case Morphology and the Syntactic Categories The MIT Press
[113] 학술지 Countability, Agreement and the Loss of the Dual in Russian https://www.cambridg[...] 2024-02-04
[114] 참고자료
[115] 참고자료
[116] 학술지 The Structure of Polish Numerically-Quantified Expressions https://www.glossa-j[...] 2024-02-04
[117] 서적 Annual Workshop on Formal Approaches to Slavic Linguistics: The Second MIT Meeting 2011 Michigan Slavic Publications
[118] 서적 A Basic Reference Grammar of Slovene Slavica Publishers
[119]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0] 서적 Sálán má Worwor Talas uri tan Kuir Wor Sursurunga (The Meanings and Explanations of Sursurunga Words) https://www.sil.org/[...]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2024-02-25
[121] 서적 Sálán má Worwor Talas uri tan Kuir Wor Sursurunga (The Meanings and Explanations of Sursurunga Words) https://www.sil.org/[...]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2024-02-25
[122] 참고자료
[123] 참고자료
[124] 서적 Pronominal Systems Gunter Narr
[125] 서적 Language Dea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6] 서적 Bislama: An Introduction to the National Language of Vanuatu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4-29
[127] 서적 Varieties of English De Gruyter Mouton
[128] 서적 American Sign Language: A Teacher's Resource Text on Grammar and Culture Gallaudet University Press
[129] 서적 Sign Languages of the World: A Comparative Handbook De Gruyter Mouton
[130] 논문 Lexical Categories in Lengua de Señas Argentina https://commons.und.[...] University of North Dakota 2024-01-24
[131] 서적 Brazilian Sign Language Studies De Gruyter Mouton
[132] 서적 The Linguistics of British Sign Language: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3] 학술지 Poznáváme Český Znakový Jazyk II. (Slovesa a Jejich Typy) http://dspace.specpe[...] 2023-11-29
[134] 학회 The Trial Caught in the Middle. An Analysis of the Trial in DGS as a Phenomenon Between Dual and Paucal https://fiona.uni-ha[...] 2024-01-25
[135] Video presentation The Trial Caught in the Middle. An Analysis of the Trial in DGS as a Phenomenon Between Dual and Paucal https://fiona.uni-ha[...] 13th Conference of Theoretical Issues in Sign Language Research (TISLR13), University of Hamburg 2024-01-25
[136] 논문 Verb Agreement in Hong Kong Sign Language https://core.ac.uk/d[...]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23-08-01
[137] 서적 Sign Languages of the World: A Comparative Handbook De Gruyter Mouton
[138] 서적 Sign Languages of the World: A Comparative Handbook De Gruyter Mouton
[139] 백과사전 Sign Languages Brill
[140] 서적 New Zealand Sign Language: A Reference Grammar https://books.google[...] Bridget Williams Books
[141] 서적 Number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arative Handbook De Gruyter Mouton
[142] 논문 A Descriptive Grammar of Morphosyntactic Constructions in Ugandan Sign Language (UgSL)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2023-07-31
[143] 서적 Modality and Structure in Signed and Spoken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4] 논문 Sagnir í Íslenska Táknmálinu: Formleg Einkenni og Málfræðilegar Formdeildir https://skemman.is/b[...] University of Iceland 2024-01-25
[145] 학술지 Number in Estonian Sign Language https://kirj.ee/wp-c[...] 2023-07-31
[146] 서적 Spoken Marshallese: An Intensive Language Course with Grammatical Notes and Glossar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47] 서적 Marshallese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148]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9] 학술지 Morphosemantic Features in Universal Grammar: What We Can Learn from Marshallese Pronouns and Demonstratives https://muse.jhu.edu[...] 2024-01-26
[150] 학술지 Oceanic Linguistics Today https://www.jstor.or[...] 1962
[151] 논문 Grammar of Kove: An Austronesian Language of the West New Britain Province, Papua New Guinea https://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2024-03-19
[15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53] 학술지 Reconstructing Proto Kenyah Pronouns and the Development of a True Five Number System https://evols.librar[...]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3-08-05
[154] 학술지 Deixis in Borneo: Kenyah and Punan https://www.ethnorem[...] 2024-01-02
[155] 논문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Phonology of Nauruan: Towards a Definitive Classification of an Understudied Micronesian Language https://academicwork[...]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24-01-02
[156] 논문 The Apinayé Language: Phonology and Grammar https://eprints.soas[...] University of London 2023-11-24
[157] 서적 The Paradigmatic Structure of Person Marking Oxford University Press
[158] 서적 Form, Structure, and Grammar: A Festschrift Presented to Günther Grewendorf on Occasion of His 60th Birthday Akademie Verlag
[159] 서적 Proto Oceanic and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Western Melanes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60] 서적 Current Trends in Linguistics Mouton
[161] 논문 Austronesians in Papua: Diversification and Change in South Halmahera–West New Guinea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23-08-05
[162] 학술지 Larike Pronouns: Duals and Trials in a Central Moluccan Language 1990
[163] 서적 New Guinea Area Languages and Language Stud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64] 서적 A Grammar and Lexicon of Loniu, Papua New Guine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65] 서적 A Grammar of Paluai: The Language of Baluan Island, Papua New Guinea De Gruyter Mouton
[166] 학회 On the Development of Number Systems in Oceanic Pronouns https://www.academia[...] 2023-11-24
[167] 서적 Bislama: An Introduction to the National Language of Vanuat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68] 서적 Modality and Structure in Signed and Spoken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9] 서적 Person and Number: An Empirical Study of Catalan Sign Language Pronouns De Gruyter Mouton
[170] 논문 Grammaticization of Indexic Signs: How American Sign Language Expresses Numerosity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71] 논문 Numeral Incorporation In American Sign Language https://commons.und.[...] University of North Dakota 2023-08-02
[172] 서적 A Language in Space: The Story of Israeli Sign Languag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3]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4] 논문 Nominal Classification and Verbal Nouns in Baïnounk Gubëeher https://eprints.soas[...] SOAS University of London 2024-03-07
[175] 서적 Revivalistics: From the Genesis of Israeli to Language Reclamation in Australia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176] 서적 An Introduction to Tswana Grammar Longmans, Green and Co.
[177]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8] 서적 Morphological Perspectives: Papers in Honour of Greville G. Corbett Edinburgh University Press
[179]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0] 학술지 Paucity, Abundance, and the Theory of Number https://www.linguist[...] 2024-01-04
[181]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2] 서적 Mokilese Reference Grammar https://pdfs.semanti[...] University Press of Hawaii 2024-02-23
[183] 논문 Inflectional Morphology in the Zamucoan Languages https://ricerca.sns.[...]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 2024-02-23
[184]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5] 학술지 Paucity, Abundance, and the Theory of Number https://www.linguist[...] 2024-01-04
[186] 서적 The Art of Grammar: A Practical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187] 학술지 Paucity, Abundance, and the Theory of Number https://www.linguist[...] 2024-01-04
[188] 학술지 Paucity, Abundance, and the Theory of Number https://www.linguist[...] 2024-01-04
[189] 서적 Distributed Morphology Today: Morphemes for Morris Halle MIT Press
[190]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 학술지 Paucity, Abundance, and the Theory of Number https://www.linguist[...] 2024-01-04
[192] 논문 A Grammar of Northern and Southern Gumuz https://scholarsbank[...] University of Oregon 2024-03-07
[193] 서적 Diversity in African Languages: Selected Papers from the 46th Annual Conference on African Linguistics https://core.ac.uk/d[...] Language Science Press 2024-03-07
[194] 논문 A Grammar of Northern and Southern Gumuz https://scholarsbank[...] University of Oregon 2024-03-07
[195]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 서적 Miɗo Waawi Pular! Learner's Guide to Pular (Fuuta Jallon) https://archive.org/[...] Peace Corps
[197] 서적 Number, textsPocket Kenkyusha Japanese Dictionary, Syntactic and Semantic Natures of Japanese Common Nouns, 起きてから寝るまでイヌ英語表現 https://core.ac.uk/d[...] Cambridge University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アルク 2024-03-30
[198]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 논문 A Grammar of Sidaama (Sidamo), a Cushitic Language of Ethiopia https://www.acsu.buf[...] University at Buffalo 2024-03-30
[200] 서적 An Afar-English-French Dictionary (with Grammatical Notes in English)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London
[201] 논문 A Grammar of Hamar: A South Omotic Language of Ethiopia https://scholarlypub[...] Leiden University 2024-03-30
[202] 보고서 A Government-Binding Based Parser for Warlpiri, a Free-Word Order Language https://apps.dtic.mi[...] MIT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2024-03-30
[203] 학술지 Warlpiri and the Theory of Second Position Clitics https://www.ling.upe[...] 2024-03-30
[204] 논문 A Grammar of Northern Mao (Màwés Aas'è) https://cla.csulb.ed[...] University of Oregon 2024-03-31
[205]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6] 논문 Grammatical Description and Documentation of Bayso https://etd.aau.edu.[...] Addis Ababa University 2024-03-31
[207] 웹사이트 One-of-a-kind Words https://www.pbs.org/[...] 2024-03-31
[208] 서적 A Grammar of the Arabana-Wangkangurru Language, Lake Eyre Basin, South Austral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9]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0] 논문 Topics in Kaytetye Phonology and Morpho-Syntax https://nova.newcast[...] University of Newcastle 2024-03-31
[211] 서적 A Learner's Guide to Kaytetye IAD Press
[212] 논문 A Reference Grammar of Eastern Burushaski https://archive.org/[...]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13] 서적 The Non-Semitic Languages of Ethiopia African Studies Center, Michigan State University
[214] 논문 A Grammar of Hamar: A South Omotic Language of Ethiopia https://scholarlypub[...] Leiden University 2024-03-30
[215] 논문 A Grammar of Hamar: A South Omotic Language of Ethiopia https://scholarlypub[...] Leiden University 2024-03-30
[216] 서적 The Paradigmatic Structure of Person Marking Oxford University Press
[217] 학술지 Three Analyses of the Ilocano Pronoun System https://www.tandfonl[...] 2024-01-02
[218] 서적 Bininj Gun-wok: A Pan-Dialectal Grammar of Mayali, Kunwinjku and Kun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19] 서적 The Paradigmatic Structure of Person Marking Oxford University Press
[220] 학술지 Against a Minimal–Augmented Analysis of Number https://www.jbe-plat[...] 2024-01-03
[221] 서적 Piakandatu Ami: Dr. Howard P. McKaughan Linguistic Society of the Philippines and SIL Philippines 2024-01-04
[222] 서적 Impossible Persons The MIT Press
[223] 학술지 Paucity, Abundance, and the Theory of Number https://www.linguist[...] 2024-01-04
[224] 서적 The Paradigmatic Structure of Person Marking Oxford University Press
[225] 학술지 Pronominal Person and Number Categories in Rembarrnga and Djeebbana 1978
[226] 학술지 Greenberg on the First Person Inclusive Dual: Evidence from Some Australian Languages 1989
[227] 학술지 Excluding Exclusively the Exclusive: Suppletion Patterns in Clusivity https://www.glossa-j[...] 2024-01-03
[228] 서적 The Languages of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9] 서적 Functional Grammar of Nunggubuyu Australian Institute of Aboriginal Studies
[230] 서적 Warrwa Lincom Europa
[231] 서적 Papers in Australian Linguistics No. 16 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232] 서적 A Grammar of Gaagudju Mouton de Gruyter
[233] 서적 The Oxford Guide to Australi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34] 서적 The Oxford Guide to Australi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35] 서적 A Grammar of Gurindji: As Spoken by Violet Wadrill, Ronnie Wavehill, Dandy Danbayarri, Biddy Wavehill, Topsy Dodd Ngarnjal, Long Johnny Kijngayarri, Banjo Ryan, Pincher Nyurrmiari and Blanche Bulngari De Gruyter Mouton
[236] 서적 A Grammar of Bilinarra: An Australian Aboriginal Language of the Northern Territory De Gruyter Mouton
[237] 학술지 Plural-Marking Strategies in Äiwoo https://www.duo.uio.[...] 2024-01-03
[238] 학술지 Case and Number Suppletion in Pronouns https://scholar.harv[...] 2024-01-03
[239] 웹사이트 Numerus: Der Morphologische Gebrauch Semantischer Atome https://www.qmul.ac.[...]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2024-01-29
[240] 학술지 Paucity, Abundance, and the Theory of Number https://www.linguist[...] 2024-01-04
[241]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2] 서적 Lexical Plurals: A Morphosemantic Approach Oxford University Press
[243] 서적 Body and Frames of War in New Kingdom Egypt: Violent Treatment of Enemies and Prisoners Harrassowitz Verlag
[244] 서적 SALT II: Proceedings from the Second Conference on Semantics and Linguistic Theory; Held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May 1-3, 1992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Linguistics
[245] 학술지 Der Sternhimmel in den "Dichterischen Vergleichen der Andalus-Araber" 1978
[246] 서적 SALT II: Proceedings from the Second Conference on Semantics and Linguistic Theory; Held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May 1-3, 1992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Linguistics
[247] 서적 Weak Referentialit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48] 서적 Many Morphologies Cascadilla Press 2024-04-03
[249] 서적 Recent Advances in Nilotic Linguistics https://tufs.repo.ni[...]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 of Asia and Africa,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24-04-03
[250] 학술지 Prosody and the Initial Formation of Classical Arabic 1986
[251] 서적 SALT II: Proceedings from the Second Conference on Semantics and Linguistic Theory; Held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May 1-3, 1992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Linguistics
[252] 학술지 A Note on a Sextuple Plural in Arabic and More on Plurals of Paucity and Abundance 1982
[253] 서적 Arabic: An Essential Grammar Routledge
[254] 서적 Counsel for Kings: Wisdom and Politics in Tenth-Century Iran Edinburgh University Press
[255] 학술지 Contact-Induced Elements in Arabi-Malayalam http://www.languagei[...] 2024-04-10
[256] 서적 SALT II: Proceedings from the Second Conference on Semantics and Linguistic Theory; Held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May 1-3, 1992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Linguistics
[257]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8] 학술지 Ergativity and Grammatical Relations in Kalaw Lagaw Ya (Saibai Dialect) 1981
[259] 학술지 Ngalmun Lagaw Yangukudu: The Language of Our Homeland https://www.research[...] 2024-03-09
[260] 학술지 Pame Noun Inflection http://www.balsas-na[...] 2024-03-10
[261]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2] 학술지 Frankenduals: Their Typology, Structure, and Significance https://www.linguist[...] 2024-03-11
[263] 학회 The Multifaceted Expression of Number on the Idi Verb https://www.universi[...] 2024-03-12
[264] 서적 Koasati Grammar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65]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6] 서적 Amazonian Linguistics: Studies in Lowland South American Languages University of Texas Press
[267] 학술지 Innovations in Wanano (Eastern Tucanoan) When Compared to Piratapuyo 2002
[268] 논문 A Reference Grammar of Wanano https://etnolinguist[...] University of Colorado 2024-03-13
[269] 서적 Diccionario Bilingüe: Piratapuyo-Español, Español-Piratapuyo https://www.sil.org/[...] Editorial Fundación para el Desarrollo de los Pueblos Marginados 2024-03-13
[270] 학술지 Quantificação e Individuação em Wa'ikhana https://periodicos.s[...] 2024-03-16
[271] 학술지 Inflectional Class and Taxonomic Structure in Zuni 1966
[272] 학술지 Frankenduals: Their Typology, Structure, and Significance https://www.linguist[...] 2024-03-11
[273] 학술지 Navajo Categories of Objects at Rest 1971
[274] 참고자료
[275] 참고자료
[276] 서적 Basic Materials in Waŋkumara (Gaḷali): Grammar, Sentences and Vocabulary http://sealang.net/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4-11
[277] 서적 Fieldwork and Linguistic Analysis in Indigenous Languages of the Americas https://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4-03-15
[278] 서적 Fieldwork and Linguistic Analysis in Indigenous Languages of the Americas https://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4-03-15
[281] 논문 Expanding to the Edges: Central Numic Dual Number https://digitalcommo[...] 2024-03-15
[282] 서적 Materials on Forest Enets, an Indigenous Language of Northern Siberia Société Finno-Ougrienne
[283]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84] 서적 A Grammar of Nama: A Papuan Language of Southern New Guinea De Gruyter Mouton 2023
[285]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86]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87]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88] 서적 Kodiak Alutiiq Language Textbook https://alutiiqmuseu[...] Alutiiq Museum and Archaeological Repository 2023
[289] 서적 An Introduction to Tswana Grammar Longmans, Green and Co. 1955
[290] 논문 A Grammar of Northern Mao (Màwés Aas'è) https://cla.csulb.ed[...] University of Oregon 2012
[291] 서적 A Short Grammar of Urama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6
[292] 서적 A Grammar of Lenakel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78
[293] 논문 A Grammar of Motuna (Bougainville, Papua New Guinea)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94
[294]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95]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9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rammatical Number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297] 서적 A Dictionary and Grammatical Sketch of Dagaare Language Science Press 2021
[298]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99] 서적 Yir-Yoront Lexicon: Sketch and Dictionary of an Australian Language Mouton de Gruyter 1991
[300] 서적 The Languages of Native North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01] 논문 Reduplication in Paraguayan Guaraní: A Descriptive Account https://mspace.lib.u[...] University of Manitoba 2013
[302] 서적 Number – Constructions and Semantics: Case Studies from Africa, Amazonia, India and Ocean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4
[303] 논문 Aspects of Plurality in ǂHoan 2001
[304] 서적 Number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arative Handbook De Gruyter Mouton 2022
[305] 참고자료 The Navaho Language: The Elements of Navaho Grammar with a Dictionary in Two Parts Containing Basic Vocabularies of Navaho and English https://opal.latrobe[...] Deseret Book Company 1972
[306] 참고자료 Adjective Classes: A Cross-Linguistic Typ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07]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08] 서적 A Dictionary and Grammatical Sketch of Dagaare Language Science Press 2021
[309] 논문 The Semantics of Collectives and Distributives in Papago 1998
[310]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11] Unpublished manuscript When Animals Become Humans: Grammatical Gender in Tunica https://repository.a[...] University of Arizona 2017
[312] 논문 Kujireray: Morphosyntax, Noun Classification and Verbal Nouns https://eprints.soas[...] SOAS University of London 2015
[313] 논문 Kinship and Collective Activity in the Ngayarda Languages of Australia 1987
[314] 서적 A Grammar of Vaeakau-Taumako De Gruyter Mouton 2011
[315] 서적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16] 논문 The Origin of the Mind https://www.scientif[...] 2009-09-01
[317] 서적 A preliminary survey of the economic and social life of the Mortlock Islands people, Eastern Carolines, Trust Territory of Micronesia
[318] 서적 Afféú Fangani 'Join Together': A Morphophonemic Analysis of Possessive Suffix Paradigms and A Discourse-Based Ethnography of the Elicitation Session in Pakin Lukunosh Mortlockese http://ling.hawaii.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Dissertation 2015-05
[319] 웹사이트 Narrative and identity construction in the Pacific Islands http://reader.eblib.[...] Philadelphia, P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5.
[320] 서적 Fundamentals of Russian: First Russian Course Slavica
[321] 서적 Bosnian, Croatian, Montenegrin and Serbian: An Essential Grammar Routledge
[322] 서적 Preverbal Particles in Pingelapese Ann Arbor
[323] 논문 Morfologia e Sintaxe da Língua Xavante https://livros01.liv[...] Federal University of Rio de Janeiro 2024-03-26
[324] 서적 West Greenlandic: An Essential Grammar Routledge
[325] 웹사이트 Learn Ancient Greek: 11_Unit 2 Agreement Infinitives Questions https://chs.harvard.[...] Center for Hellenic Studies at Harvard University 2018-05-30
[326] 웹사이트 Khmer https://web.archive.[...] UCLA Language Materials project 2005-11-28
[327] 서적 言語 大修館書店
[328] 웹사이트 alt.usage.english FAQ http://www.ccp14.ac.[...]
[329] 웹사이트 SIL Dictionary of Linguistic Terms: What is Number? http://www.sil.org/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