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석기 혁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석기 혁명은 홍적세 빙하기 이후 기후 변화로 농업이 시작되면서 일어난 인류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이다. 이 시기에는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으며, 정착 생활이 이루어지면서 잉여 생산물과 분업, 기술 발전이 나타났다. 신석기 혁명은 인구 증가와 사회 구조의 변화를 가져왔지만, 질병 증가와 영양 불균형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있었다. 한국에서는 약 5,000년 전에 빗살무늬 토기 문화가 시작되었으며, 이후 민무늬 토기 문화로 대체되었다. 신석기 혁명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과 단선적, 다선적 발전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 혁명 - 정밀 농업
    정밀 농업은 정보통신 기술과 장비를 이용하여 농작업을 자동화하고 농경지 내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비료, 농약, 물 등의 투입량을 최적화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환경 부담을 줄이는 농업 방식이다.
  • 농업 혁명 - 녹색 혁명
    녹색 혁명은 20세기 중반 헨리 A. 월리스와 노먼 볼로그 등의 주도로 개발도상국의 식량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농업 기술 혁신이지만, 화학 비료와 농약 사용 증가, 환경 문제, 사회 경제적 불균형 심화 등 비판과 논쟁이 있어 지속 가능한 농업 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사회문화적 진화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사회문화적 진화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신석기 혁명
개요
신석기 혁명 설명 그림
신석기 혁명은 인간 역사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시기기원전 7500년경
다른 이름농업 혁명
배경
이전 시대수렵채집 생활
주요 변화
식량 생산 방식농업 시작
생활 방식정착 생활
인구증가
사회 구조복잡화
농업
주요 작물
보리
가축화된 동물

돼지

염소
영향
기술 발전농기구 개발
관개 시설 건설
사회 변화계급 발생
도시 형성
국가 형성
문화 변화종교 의식 발전
예술 활동 증가
지역별 확산
비옥한 초승달 지대가장 먼저 시작된 지역
동아시아 농경 시작
아메리카옥수수 농경 시작
기타
관련 개념농경 사회

2. 신석기 혁명의 배경

신석기 혁명이 일어난 배경에는 여러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주요 가설로는 기후 변화, 인구 증가, 정주 생활 등이 있다.


  • 기후 변화 가설: 홍적세 빙하기가 끝나고 충적세가 시작되면서 기후가 농업에 적합하게 변했다는 가설이다. 팔레스타인예리코이라크의 자르모 유적은 이러한 초기 신석기 문화를 보여준다.
  • 인구 증가 가설: 인구가 늘어나면서 수렵·채집만으로는 식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져 농경을 시작했다는 가설이다.
  • 정주 생활 가설: 한 곳에 정착하면서 자연스럽게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가설이다.


이 외에도 수렵과 채집에 의존하던 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해 농경을 시작했다는 가설[108], 기후 변화로 인해 수렵 채집 생활이 불안정해져 곡물을 채취하게 되었다는 가설[109] 등이 있다.

V. 고든 차일드는 그의 저서 ''Man Makes Himself''(1936)에서 '신석기 혁명'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6][17] 그는 농업 기술의 채택과 개선이 가져온 변화의 정도를 강조하기 위해 "혁명"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18][19] 차일드에 따르면, 농경은 기원전 1만 년에서 기원전 8000년경 수메르에서 시작되었고, 이와는 독립적으로 기원전 9500년부터 기원전 7000년경에 인도페루에서도 시작되었다. 그 후, 기원전 6000년경에 이집트, 기원전 5000년경에 중국, 기원전 2700년경에 메소아메리카에서도 농경이 시작되었다.



농경과 목축의 시작은 인류가 수렵·채집에 의존하던 획득 경제에서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생산 경제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식량 생산 혁명).[104][105][106] 생산성 향상은 인구 증가를 가져왔고, 이는 다시 생산력 향상으로 이어져 농경·목축 사회가 확대되었다.[106] 정주 생활은 집단화와 조직화를 촉진했고, 촌락이 형성되었다. 또한, 한 곳에 머무르면서 여가 시간이 생겨 다양한 물건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고, 석기도 더욱 정교한 마제석기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잉여 생산과 노동력은 사회에 여유를 가져왔고, 교역을 하는 행상이나 전문 기술을 가진 장인이 등장하게 되었다.[113] 정주 농경 사회는 분업을 촉진하고 계급을 발생시켜 사회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었으며, 이는 문명으로 이어졌다.[114]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문화는 약 5,000년 전 해안이나 하천 유역에 나타나는 빗살무늬 토기 문화이다. 한강 유역 암사동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14C)을 이용한 측정 결과 약 5,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이스라엘의 야생 곡물과 기타 야생 풀의 연관성.


하지만 인구 증가와 식량의 풍요가 반드시 건강 개선으로 이어진 것은 아니다. 제한된 종류의 주식에 의존하는 것은 더 많은 사람에게 식량을 공급할 수 있게 했지만,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도 있었다. 예를 들어, 옥수수는 특정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하고 철분 공급원으로서도 좋지 않다. 옥수수에 포함된 피트산은 영양소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초기 농업인과 가축의 건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다른 요인으로는 인간의 배설물 및 오염된 식수와 관련된 기생충과 질병을 옮기는 해충의 증가가 있다. 비료관개는 작물 수확량을 증가시켰지만, 지역 환경에서 곤충세균의 확산을 촉진했으며, 곡물 저장 시설은 곤충과 설치류를 유인했다.[13]

2. 1. 기후 변화 가설

홍적세 빙하기가 끝나고 충적세에 접어들면서 오늘날과 같은 기후로 변해 농업 생산에 적합한 시기가 되었기 때문에 신석기 혁명이 일어났다는 가설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이른 신석기 문화는 팔레스티나의 예리코이라크의 자르모이다. 이들은 지금부터 약 9,000년 ~ 8,000년 전에 형성된 문화들이다.[16][17]


2. 2. 인구 증가 가설

인구 증가 가설은 인구 증가로 인해 수렵·채집 생활의 한계에 도달하여, 새로운 식량 생산 방식인 농경을 채택하게 되었다는 가설이다. 마크 코헨(M. Cohen)은 인구 증가로 인해 이전에는 식량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곡류를 채취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109]

2. 3. 정주 생활 가설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정주 생활을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가설이다.[107][110][111]

3. 농경과 목축의 시작

농경과 목축의 시작은 인류가 수렵 채집인 방식에서 벗어나 더 정착된 농경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은 지역에 따라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기원전 10,000년에서 8,000년 사이,[43][20] 멜라네시아의 쿡 늪에서 기원전 8000년경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21][22] 2003년의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반도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에서 농업인으로의 전환은 선형적이지 않고 지역별로 특수했다.[23]

이러한 변화는 안정된 식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식량 생산 혁명),[104][105][106] 인구 급증과 농경·목축 사회 확대로 이어졌다.[106] 정주 생활은 집단·조직화를 촉진하고 정착 취락 (촌락) 형성을 가져왔다. 또한 여가가 생겨 마제석기와 같이 더욱 정교한 도구 제작이 가능해졌다. 잉여 생산과 노동력사회에 여유를 가져와 교역을 하는 행상이나 전문 기술을 담당하는 장인이 등장하게 되었다.[113] 정주 농경 사회는 분업을 촉진하고 계급을 발생시켜 사회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었으며, 이는 문명으로 이어져[114] 국가시장의 탄생을 가져왔다.

신석기 시대 중국의 농업은 크게 화북 지역과 화남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49][50]

신석기 시대 중국의 농업
지역특징주요 작물관련 문화
화북황허 강 유역에 밀집, 초기 시노티베트어족 화자 거주 추정수수, 메조, , 오렌지, 복숭아허우리, 페이리강, 츠산, 싱롱와
화남창장 강 유역에 밀집, 경작 발달카우후차오, 허무두, 마자방, 송저, 펑터우산, 다시



화북 지역에서는 수수와 메조가 약 8,000년 전부터 재배되기 시작했고,[51] 7,500년 전부터 널리 재배되었다.[51] 또한 4,500년 전에 재배되었으며,[52] 오렌지복숭아는 기원전 2500년경에 재배되었다.[53][54]

화남 지역에서는 13,500년에서 8,200년 사이에 쌀이 재배되었으며,[49][55][56] 쌀 재배 중심지는 두 곳으로 추정된다. 하나는 하류 창장 강 유역으로 선 오스트로네시아인의 고향으로 추정되며, 다른 하나는 중류 창장 강 유역으로 초기 흐몽-미엔어족 화자의 고향으로 추정된다.[56][49][50] 이 두 지역은 서로 정기적인 교류를 했고, 서쪽의 초기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화자, 남쪽의 초기 크라다이어족 화자와도 교류하여 쌀 재배가 화남 지역 전체로 확산되었다.[56][49][50]

조와 쌀 재배 문화는 약 9,000~7,000 BP에 처음 접촉했고, 약 5,500~4,000 BP에 초기 오스트로네시아인인 다펑컹 문화로부터 타이완으로 쌀과 조 재배 기술이 전파되었다.[49][50]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쌀 재배 기술을 동남아시아 섬 지역으로 전파했으며, 새로운 열대 섬 환경에 맞춰 새로운 식량 작물을 활용했다. 이들은 오세아니아 전역에 가축화된 종과 반가축화된 종을 빠르게 도입했으며, 뉴기니, 남인도, 스리랑카 지역의 초기 농업 중심지와 접촉하여 새로운 작물을 얻고 기술을 전파했다.[50][57][58][59] 서기 1천년기 동안에는 마다가스카르코모로를 식민지화하여 쌀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식량 작물을 동아프리카로 가져왔다.[60][61]

3. 1. 농경의 시작

농경은 일반적으로 기원전 1만 년에서 기원전 8,000년경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112] V. 고든 차일드는 저서 ''Man Makes Himself''(1936)에서 '신석기 혁명'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6][17] 그는 농업 기술의 채택과 개선으로 인한 공동체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혁명"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19]

이후 농경은 인도, 페루, 이집트, 중국, 메소아메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 독립적으로 시작되었다. V. 고든 차일드에 따르면, 인도페루에서는 기원전 9500년부터 기원전 7000년경,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6000년경, 중국에서는 기원전 5000년경, 메소아메리카에서는 기원전 2700년경에 농경이 시작되었다.

농경의 시작은 영거 드라이아스의 추운 시기가 끝나고 홀로세의 따뜻한 기간이 시작되면서 기온이 빠르게 상승한 시기와 일치한다.[14]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저서 ''총, 균, 쇠''에서 유라시아북아프리카의 넓은 동서 방향 온대 기후대가 신석기 혁명에서 유리한 지리적 위치를 제공했다고 주장한다. 이 지역들은 온대 기후와 가축화하기 쉬운 다양한 식물과 동물 종을 가지고 있었다.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수렵·채집에 의존한 만성적인 기아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는 설[108]
  • 기후 변화에 의해 수렵 채집 생활이 불안정해져 곡류 채취를 하게 되었다는 설[109]
  • 인구 증가로 인해 수렵·채집 생활의 임계점을 돌파했기 때문에 곡류 채취를 하게 되었다는 설[109]
  • 정주 생활을 시작하면서 필연적으로 농경·목축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설[107][110][111]

3. 2. 목축의 시작

목축은 농경과 함께 시작되었거나, 혹은 농경보다 먼저 시작되었을 수도 있다. 가축은 식량뿐만 아니라 노동력, 운송 수단, 의복 재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4. 신석기 혁명의 영향

기원전 2000년 세계 지도, 기원전 3천년 말 직후, 문화 단계별 색상 표시


농경과 목축의 시작은 수렵·채집에 의존하던 획득 경제에서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생산 경제로의 전환을 가져왔다(식량 생산 혁명).[104][105][106] 생산성 향상은 인구 급증을 야기했고, 이는 다시 생산력 향상으로 이어져 농경·목축 사회가 확대되었다.[106]

이집트 나일강 계곡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에티오피아 고원, 사헬서아프리카에서 농업이 독립적으로 발달했다.[62] 반면, 나일강 계곡의 농업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시작된 최초의 신석기 혁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초기 이집트의 세빌 문화와 메치 문화 유적에서는 많은 숫돌이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7,000년경의 신석기 시대 작물 기반 경제의 증거도 발견되었다.[63][64] 그러나 중동과 달리, 이 유적들은 이후 버려졌고, 영구적인 농업은 타시안 문화와 바다리 문화와 함께 근동으로부터 작물과 동물이 유입된 기원전 6,500년경까지 지연되었다.

바나나와 플랜틴은 처음 동남아시아, 아마도 파푸아뉴기니에서 가축화되었으며, 아프리카에서는 약 5,000년 전에 재가축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시아의 토란 또한 아프리카에서 재배되었다.[62]

에티오피아 고원에서는 커피가 가축화되었으며, 캇, 엔세트, 누그, 테프, 수수도 이 지역에서 가축화되었다. 사헬 지역에서는 수수진주조가, 서아프리카에서는 콜라 열매, 아프리카 벼, 얌, 기름 야자가 가축화되었다.[62] 농업은 기원전 1천년기에서 서기 1천년기 동안 반투족의 이동을 통해 중앙 및 남부 아프리카로 확산되었다.

정착 생활은 집단·조직화를 촉진했고, 정착 취락(촌락)이 형성되었다. 한 곳에 머무르면서 여가 시간이 생겨 다양한 물건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고, 석기도 더욱 정교한 마제석기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잉여 생산과 노동력사회에 여유를 가져왔고, 교역을 하는 상인이나 전문 기술을 가진 장인이 등장했다.[113] 정착 농경 사회는 분업을 촉진하고 계급을 발생시켰으며, 사회 구조는 더욱 복잡해져 문명으로 발전했고,[114] 마침내 국가시장이 탄생하게 되었다.

4. 1. 인구 증가

기원전 9000년경 농업이 본격화되면서, 인류는 엠머, 이합곡, 보리와 같은 곡물을 선택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했다. 더 많은 열량을 얻기 위해 큰 씨앗을 선호하고, 작은 씨앗이나 쓴맛을 가진 식물은 기피했다. 또한, 씨앗이 빨리 떨어지는 식물은 수확 및 저장에 불리하여 점차 식용 씨앗을 오래 보존하는 품종이 선택되었다.[24][25]

다니엘 조하리는 밀, 보리, 호밀을 비롯한 여러 식물 종을 "개척 작물" 또는 신석기 창시 작물로 지목했다. 그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주변의 레반트 회랑에서 시작된 각 분류군의 단일 또는 소수 가축화 사건이 이후 유럽으로 확산되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26] 고든 힐먼과 스튜어트 데이비스는 야생 밀 품종 실험을 통해 가축화 과정이 20년에서 200년 사이의 비교적 짧은 기간에 걸쳐 일어났을 것이라고 추정했다.[27]

초기 농부들이 관개와 같은 농업 기술을 발전시키면서 작물 수확량은 잉여분을 낼 정도로 증가했다. 수렵 채집인들은 이동 생활로 인해 음식을 장기간 저장하기 어려웠지만, 정착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잉여 곡물을 저장할 수 있었다. 마을에는 곡물 창고가 생겨나 더 많은 식량을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인구 증가로 이어졌고, 공동체는 전문 노동자와 더 발전된 도구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 과정은 여러 지역의 서로 다른 인구 집단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된 복잡한 과정이었다. 농경과 목축의 시작은 획득 경제에서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생산 경제로의 전환을 가져왔다(식량 생산 혁명).[104][105][106] 생산성 향상은 인구 급증을 야기했고, 이는 다시 생산력 향상으로 이어져 농경·목축 사회가 확대되었다.[106]

4. 2. 사회 구조의 변화

정착 생활을 하면서 사람들은 집단을 이루고 조직화되기 시작했다. 잉여 생산물과 노동력이 생기면서 사회에는 여유가 생겼고, 교역을 하는 상인이나 전문 기술을 가진 장인들이 나타났다.[113] 정착 농경 사회는 분업을 촉진하고 계급을 발생시켰으며, 사회 구조는 더욱 복잡해졌다.[114] 이러한 변화는 문명의 발달로 이어졌고,[114] 마침내 국가시장이 탄생하게 되었다.

4. 3. 기술 발전

농경과 목축의 시작은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생산 경제로의 이행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시간을 들여 다양한 물건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고, 석기도 더욱 정교하게 다듬은 마제석기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잉여 생산물과 노동력 덕분에 사회에 여유가 생겨, 교역을 하는 행상이나 전문 기술을 가진 장인이 등장하였다.[113]

4. 4. 한반도의 신석기 문화

홍적세 빙하기가 끝나고 충적세에 접어들면서 오늘날과 같은 기후로 변해 농업 생산에 적합한 시기가 도래하면서 신석기 문화가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이른 신석기 문화는 팔레스티나의 예리코이라크의 자르모이며, 이들은 지금부터 약 9,000년 ~ 8,000년 전에 형성된 문화들이다.

한국의 신석기 문화는 크게 빗살무늬 토기 문화와 민무늬 토기 문화로 분류된다.

4. 4. 1. 빗살무늬 토기 문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문화는 약 5,000년 전에 해안이나 하천 유역에 나타나는 빗살무늬 토기 문화(櫛文土器文化)이며, 한강 유역 암사동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 문화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14C)을 이용한 측정 결과 약 5,000년 전의 것으로 보고되었다.[69]

한국에는 기하학적 무늬가 있는 ‘빗살무늬 토기 문화’와 무늬가 없는 ‘민무늬 토기 문화’(無文土器文化) 두 종류의 신석기 문화가 존재한다. 빗살무늬 토기는 한반도뿐만 아니라 노르웨이, 핀란드, 시베리아 일대 하천 유역에서도 발견된다. 이 분포 지역이 대체로 북위 55도 이북이어서 '극지 문화'(Circumpolar culture)라고도 불린다. 극지 문화 지역에서 발견되는 토기는 형태가 한국 빗살무늬 토기와 같은 반란형(半卵型)이고, 표면 무늬 역시 평행단선열문(平行單線列紋)이지만, 한국 토기보다 표면에 찔러 만든 점렬문(點列紋)이 훨씬 더 많다. 이외에 동남아 일대에서도 빗살무늬를 사용한 토기가 발견되는데, 이것들은 거의 평저(平底)이며 동남아 빗살무늬 토기라고 불린다. 한국의 빗살무늬 토기 문화와 동남아 빗살무늬 토기 문화는 문화 성격, 토기 형태, 연대 등에서 전혀 연관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의 빗살무늬 토기 문화와는 서컴폴러 빗살무늬 토기 문화가 연관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반도의 빗살무늬 토기 문화는 직접적인 연결보다는 한반도에 정착한 후 자체적으로 특수한 방향으로 발전하여 한반도 내 초기 신석기 문화라는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던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빗살무늬 토기 문화는 대체로 어로와 수렵을 주요 생산 수단으로 삼았으며, 약간의 원시적인 농경도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이 문화는 한반도 전역의 해안 지대, 하천 유역 지대 및 도서 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대개 해안이나 하천 유역의 일정한 장소에 상당한 규모의 취락을 형성하고 있었음이 최근 조사 결과 밝혀지고 있다.

빗살무늬 토기 문화가 형성되었던 대표적인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유적
서해안 지구평안북도 의주 미송리(美松里), 정주 당산리(堂山里), 평안남도 온천군 궁산리(弓山里), 승호군 금탄리(金灘里),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智塔里), 장연군 몽금포(夢金浦), 경기도 부천시 시도(矢島), 옥귀도(玉貴島), 광주군 미사리(渼沙里), 양주군 양수리, 서울특별시 암사동(岩寺洞)
남해안부산광역시 다대포, 동삼동(東三洞), 울산광역시 서생포(西生浦)
동해안웅기(雄基) 송평동(松坪洞), 청진시 농포리(農圃里)



전국적으로 약 70개소 정도의 유적이 보고되어 있다.

빗살무늬 토기 문화의 대표적인 유물은 토기이다. 빗살무늬 토기는 진흙과 고운 사질(砂質)의 개흙을 혼합하여 만든 비교적 발달된 제작 형식을 갖추고 있다.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빗살무늬 토기는 대개 입이 넓고 밑이 뾰족한(V) 항아리 모양이다. 밑이 아주 뾰족한 V자형과 약간 둥근 U자형이 있으며, 후기에는 약간의 평저(平底)도 나타난다. 함경북도 지방에서는 평저가 아주 많이 발견된다.

빗살무늬 토기 문화인은 대개 하천변 충적평야에 자리 잡고 원형(圓形)과 방형(方形)의 움집을 짓고 살았다. 이들 유적에서 발견되는 석기는 오래된 빗살무늬 토기 문화일수록 마제(磨製)가 전혀 없는 특수한 모양의 자갈돌 박편석기(剝片石器)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적 조잡한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사용 목적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석기들이다. 빗살무늬 토기 주거지에서는 긁개가 거의 대부분 발견되며, 납작한 돌도끼도 상당량 발견된다. 후기에는 슬레이트 석재(石材)를 사용한 약간의 마제 석촉(石鏃)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간석기는 빗살무늬 토기 문화 후기에 농경문화를 가지고 들어온 민무늬 토기 문화와의 접촉에서 얻어진 석기 제작 기술로 보인다. 석재는 함경북도 지방에서 흑요석을 이용한 석기가 많이 발견되는 것이 특징인데, 한반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보통 하천석(河川石) 중 치밀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처트 등 규석(硅石) 계통의 규질암(硅質岩)과 자갈을 석재로 사용하였다.

맷돌도 이 유적에서 상당히 발견된다. 그러나 맷돌은 곡물 제분용(製粉用)이라기보다는 야생 도토리호두 같은 것을 제분하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 결국 이러한 식량 생산 방식을 가진 빗살무늬 토기인이 낮은 경제성을 가진 사회를 구성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빗살무늬 토기 문화 말기에 한반도에 중국 북부 지방 농경문화의 영향을 받은 민무늬 토기인이 정착하기 시작한다. 이들은 곡물 농경 생산을 주로 하는 문화를 지니고 있어 식량 확보에서 보다 발달된 문화를 소유한 사람들이다. 이 민무늬 토기인은 결국 선주민인 빗살무늬 토기인을 흡수하여 문화적으로 민무늬 토기 문화로 균일화하였다. 빗살무늬 토기 문화는 금속 문화와의 접촉 없이 한반도에서 사라졌다. 빗살무늬 토기와 민무늬 토기는 토기 형태와 무늬 유무에서 차이가 있고, 석기 자체에도 뚜렷한 차이가 있다. 또한 이들 문화를 형성했던 사회 구조에도 차이가 있다.

4. 4. 2. 민무늬 토기 문화

빗살무늬 토기 문화 말기에 중국 북부 지역의 농경 문화의 영향을 받은 민무늬 토기 문화가 한반도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민무늬 토기 문화는 빗살무늬 토기 문화를 흡수하고 대체하면서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5. 신석기 혁명과 관련된 논쟁

신석기 혁명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논쟁이 있다.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이유에 대해서는 수렵·채집에 의존한 만성적인 기아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는 설,[108] 기후 변화에 의해 수렵 채집 생활이 불안정해져 곡류 채취를 하게 되었다는 설,[109] 인구 증가로 인해 수렵·채집 생활의 임계점을 돌파했기 때문에 곡류 채취를 하게 되었다는 설(M.코헨) 등이 있다.[109] 또한, 정주 생활을 시작하면서 농경·목축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107][110][111]

농경 시작 시기에 대해서도 여러 설이 있는데, 마르크스주의 고고학자 V. 고든 차일드는 기원전 1만 년에서 기원전 8000년경에 수메르에서 시작되었고, 이와는 독립적으로 기원전 9500년부터 기원전 7000년경에 인도페루에서도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이후 기원전 6000년경에 이집트, 기원전 5000년경에 중국, 기원전 2700년경에 메소아메리카에서도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농업이 세계 각지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남아시아의 초기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는 하리아나의 비르라나 (기원전 7570–6200년)[73],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의 카치 평원에 있는 메르가르 (기원전 6500년에서 5500년 사이) 등이 있다.

근동 신석기 시대와 인도 인근까지의 동쪽 지역 사이에 인과 관계가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74]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의 메르가르는 기원전 8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북서부 인도 아대륙에서 가장 초기의 신석기 시대 유적이다.[74] 메르가르에서 발견된 작물, 토기, 화덕, 곡창, 무덤 양식 등은 서아시아 지역과 유사성을 보인다.[74] 탄소-14 및 고고학적 연대 측정 결과는 근동에서 인도 아대륙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걸쳐 신석기 문화가 약 0.65km/년의 속도로 동쪽으로 확산되었음을 보여준다.[74]

5. 1. 신석기 혁명의 긍정적/부정적 영향 논쟁

신석기 혁명(Neolithic Revolution)이 인류에게 긍정적인 영향만 주었는지, 아니면 부정적인 영향도 있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농업으로의 전환은 식량 생산량을 늘리고 정착 생활을 가능하게 했다. 다니엘 조하리는 밀, 보리, 호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아마, 완두, 병아리콩, 쓴 귀리, 렌즈콩의 가축화가 조금 늦게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24][25]

고든 힐먼과 스튜어트 데이비스는 야생 밀 품종을 가지고 실험하여 가축화 과정이 20년에서 200년 사이의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발생했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26]

하지만, 동시에 영양 불균형, 질병 확산,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의 문제도 야기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초기 농부들이 관개와 같은 농업 기술을 완성하자,[29][30] 잉여 생산물들을 수확량을 내고 저장해야 했다. 수렵 채집인들은 이동 생활 방식 때문에 오랫동안 음식을 쉽게 저장할 수 없었지만, 정착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잉여 곡물을 저장할 수 있었다. 결국 마을이 씨앗을 더 오래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창고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더 많은 식량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공동체는 전문 노동자와 더 발전된 도구를 개발했다.

5. 2. 신석기 혁명의 단선적/다선적 발전 논쟁

신석기 혁명이 단일 기원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는지, 아니면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고든 차일드는 신석기 혁명이 기원전 1만 년에서 기원전 8000년경 수메르에서 시작되었고, 이와는 독립적으로 기원전 9500년부터 기원전 7000년경 인도페루에서도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그 후, 기원전 6000년경 이집트, 기원전 5000년경 중국, 기원전 2700년경 메소아메리카에서도 농경이 시작되었다고 보았다.[112]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는 농업이 세계 각지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남아시아의 초기 신석기 시대 유적은 하리아나의 비르라나 (기원전 7570–6200년)[73],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의 카치 평원에 있는 메르가르 (기원전 6500년에서 5500년 사이) 등이다.

근동(Near East) 신석기 시대와 인도 인근까지의 동쪽 지역 사이에 인과 관계가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74]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의 선사 시대 유적인 메르가르는 기원전 8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북서부 인도 아대륙에서 가장 초기의 신석기 시대 유적이다.[74] 메르가르에서 발견된 작물, 토기, 화덕, 곡창, 무덤 양식 등은 서아시아 지역과 유사성을 보인다.[74] 탄소-14 및 고고학적 연대 측정 결과는 근동에서 인도 아대륙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걸쳐 신석기 문화가 약 0.65km/년의 속도로 동쪽으로 확산되었음을 보여준다.[74]

참조

[1] 논문 When the World's Population Took Off: The Springboard of the Neolithic Demographic Transition 2011-07-29
[2]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W.W. Norton & Company
[3] 서적 Human Evolution: An Illustrated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2-18
[4]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ratigraphic Chart http://www.westfalen[...]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5] 논문 Brain Evolution, the Determinates of Food Choice, and the Omnivore's Dilemma
[6] 논문 From Foraging To Farming: Explaining The Neolithic Revolution https://curis.ku.dk/[...] 2005-09
[7] 논문 Do We Finally Know What the Neolithic Is? 2022
[8] 웹사이트 Violence and its causes https://unesdoc.unes[...]
[9] 논문 The Urban Revolution Liverpool University Press 1950
[10] 백과사전 Neolithic Period https://www.worldhis[...] 2018-04-02
[11] 웹아카이브 The Slow Birth of Agriculture http://cas.bellarmin[...]
[12] 웹사이트 Wizard Chemi Shanidar http://www.mnsu.edu/[...] Minnesota State University
[13] 서적 The Cambridge World History of F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논문 Mapping Post-Glacial expansions: The Peopling of Southwest Asia 2017-01-06
[15] 논문 Farmers and Their Languages: The First Expansions
[16] 서적 Man Makes Himself Watts & Company
[17] 논문 The Invention of Prehistory and the Rediscovery of Europe: Exploring the Intellectual Roots of Gordon Childe's 'Neolithic Revolution' (1936) 2019-12-01
[18] 웹사이트 7.6: Neolithic Revolution https://socialsci.li[...] 2018-04-28
[19] 웹사이트 7.6: Neolithic Revolution https://socialsci.li[...] 2018-04-28
[20] 간행물 The Neolithic of Central Anatolia. Internal developments and external relations during the 9th–6th millennia cal BC
[21] 논문 Origins of Agriculture at Kuk Swamp in the Highlands of New Guinea https://espace.libra[...]
[22] 웹사이트 The Kuk Early Agricultural Site https://whc.unesco.o[...]
[23] 논문 Looking into the gap: land use and the tropical forests of southern Thailand 2003
[24] 서적 ORIGINS & SPREAD AGRIC PAST https://books.google[...] Smithsonian 1996-04-17
[25] 논문 Monophyletic vs. polyphyletic origin of the crops on which agriculture was founded in the Near East https://doi.org/10.1[...] 1999-04-01
[26] 서적 Préhistoire de l'agriculture: nouvelles approches expérimentales et ethnographiques Editions du CNRS 1992
[27] 논문 Autonomous Cultivation Before Domestication
[28] 뉴스 Tamed 11,400 Years Ago, Figs Were Likely First Domesticated Crop https://www.scienced[...] 2006-06-04
[29] 서적 The Domestication and Exploitation of Plants and Animals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30] 서적 Agriculture in Semi-Arid Environment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1] 논문 Barley heads east: Genetic analyses reveal routes of spread through diverse Eurasian landscapes 2018-07-18
[32] 뉴스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https://genographic.[...]
[33] 뉴스 Origin of dogs trac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2-11-22
[34] 간행물 Notes de Préhistoire Libanaise : 1) Ard es Saoude. 2) La Bekaa Nord. 3) Un polissoir en plein air
[35] 논문 Composite Sickles and Cereal Harvesting Methods at 23,000-Years-Old Ohalo II, Israel 2016-11-23
[36] 서적 Quaternary of the Leva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37] 학술지 The complex origins of domesticated crops in the Fertile Crescent http://wrap.warwick.[...] 2018-11-08
[38] 서적 After the ice : a global human history, 20.000–5.000 BC https://archive.org/[...] Harvard Univ. Press
[39] 학술지 Plant-food preparation area on an Upper Paleolithic brush hut floor at Ohalo II, Israel 2008
[40] 학술지 AFLP analysis of a collection of tetraploid wheats indicates the origin of emmer and hard wheat domestication in southeast Turkey 2002-10
[41] 간행물 Archaeobotanical Studies in the Levant 1. Neolithic Sites in the Damascus Basin: Aswad, Ghoraifé, Ramad.
[42] 서적 Jericho plant remains British School of Archaeology at Jerusalem
[43] 서적 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Prehistory: Why did Foragers become Farm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4] 서적 The Birth of the Gods and the Origins of Agri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8-15
[45] 학술지 Emergence of Agriculture in the Foothills of the Zagros Mountains of Iran https://www.research[...] 2018-11-08
[46] 서적 Maya Haïdar Boustani, Flint workshops of the Southern Beqa' valley (Lebanon): preliminary results from Qar'oun* in Neolithic revolution: new perspectives on southwest Asia in light of recent discoveries on Cyprus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47] 서적 Inventory of Stone-Age Sites in Lebanon: North, South and East-Central Lebanon https://books.google[...] Imprimerie Catholique
[48] 웹사이트 BBC – History – Ancient History in depth: Overview: From Neolithic to Bronze Age, 8000–800 BC https://www.bbc.co.u[...] 2017-07-21
[49] 학술지 Prehistoric evolution of the dualistic structure mixed rice and millet farming in China https://www.research[...] 2019-01-23
[50] 학술지 The Checkered Prehistory of Rice Movement Southwards as a Domesticated Cereal – from the Yangzi to the Equator https://core.ac.uk/d[...] 2019-01-23
[51] 학술지 Contrasting Patterns in Crop Domestication and Domestication Rates: Recent Archaeobotanical Insights from the Old World
[52] 서적 Tylenchicida: Parasites of Plants and Insects CABI 2001
[53] 서적 The history of garde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4] 웹아카이브 Chapter I.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Citrus Industry http://websites.lib.[...] University of California
[55] 학술지 Molecular evidence for a single evolutionary origin of domesticated rice
[56] 학술지 Early Mixed Farming of Millet and Rice 7800 Years Ago in the Middle Yellow River Region, China 2012-12-17
[57] 서적 Ten Thousand Years of Cultivation at Kuk Swamp in the Highlands of Papua New Guinea ANU Press
[58]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59] 서적 The Global Origins and Development of Seafaring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2019-01-23
[60] 학술지 The first migrants to Madagascar and their introduction of plants: linguistic and ethnological evidence https://halshs.archi[...] 2019-07-11
[61] 서적 Gardens of Oceania https://books.google[...] IRD Éditions-CIRAD 2007
[62] 서적 Guns, Germs, and Steel New York: Norton Press
[6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08-29
[64] 학술지 Stone-Age Man on the Nile 1976
[65] 서적 Corn and Culture in the Prehistoric New World Westview Press
[66] 서적 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Prehistory: Why Did Foragers Become Farm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1-04
[67] 학술지 Early and mid Holocene tool-use and processing of taro (Colocasia esculenta), yam (Dioscorea sp.) and other plants at Kuk Swamp in the highlands of Papua New Guinea 2006
[68] 학술지 Direct evidence for human use of plants 28,000 years ago: starch residues on stone artefacts from the northern Solomon Islands 1992
[69] 뉴스 Art of cheese-making is 7,500 years old http://www.nature.co[...] 2020-01-17
[70] 학술지 Ancient DNA from European Early Neolithic Farmers Reveals Their Near Eastern Affinities 2010-11-09
[71] 논문 The Near-Eastern Roots of the Neolithic in South Asia 2014
[72] 논문 Ancient DNA Analysis of 8000 B.C. Near Eastern Farmers Supports an Early Neolithic Pioneer Maritime Colonization of Mainland Europe through Cyprus and the Aegean Islands 2014-06-05
[73] 서적 The Archaeology of South Asia: From the Indus to Asoka, c. 6500 BCE–200 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논문 The Near-Eastern Roots of the Neolithic in South Asia 2014-05-07
[75] 서적 The Human Past: World Prehistory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ies Thames & Hudson 2005
[76] 서적 Rise of Civilization: From Early Hunters to Urban Society in the Ancient Near East Freeman
[77] 서적 Transitions to Agriculture in Prehistory Prehistory Press
[78] 웹사이트 The Neolithic Revolution {{!}} Early World Civilizations https://courses.lume[...] 2023-10-18
[79] 서적 Agricultural origins and dispersals MIT Press
[80] 서적 New Perspectives in Archaeology Aldine Publishing Company
[81] 서적 The Origins of Agriculture: An Evolutionary Perspective Academic Press 1987-12
[82] 논문 Was Agriculture Impossible during the Pleistocene but Mandatory during the Holocene?
[83] 서적 A Short History of Progress https://archive.org/[...] Anansi
[84] 간행물 Production Revolutions and Periodization of History: A Comparative and Theoretic-mathematical Approach http://www.socionauk[...] 2007-09
[85] 논문 A Reassessment of the Neolithic Revolution https://www.persee.f[...] 2022-08-29
[86] 서적 Against the Grain: a Deep History of the Earliest States Yale UP
[87] 웹사이트 What was the Neolithic Revolution? https://www.national[...] 2023-06-18
[88] Review Elevating optimal human nutrition to a central goal of plant breeding and production of plant-based foods.
[89] Review Cardiovascular disease resulting from a diet and lifestyle at odds with our Paleolithic genome: how to become a 21st-century hunter-gatherer.
[90] 서적 The Borderlands of Scien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1] 논문 Stature of early Europeans http://hormones.gr/p[...] 2014-06-12
[92] 논문 The Origins of Sex Differences in Human Behavior: Evolved Dispositions Versus Social Roles http://www.sscnet.uc[...] 1999-06
[93] 논문 The Worst Mistake in the History of the Human Race https://www.discover[...] 2021-07-26
[94] 논문 Sex Matters 2014-07-03
[95] 논문 Lording It over the Goddess: Water, Gender, and Human-Environmental Relations. http://www.jstor.org[...] 2014
[96] 논문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A Chapter in the History of Modern Social Science." 1944
[97] 서적 Pattern of the Past: Studies in honour of David Clark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8] 논문 The agricultural revolution as environmental catastrophe: Implications for health and lifestyle in the Holocene http://www.sciencedi[...] 2020-07-10
[99] 논문 Life History Transitions at the Origins of Agriculture: A Model for Understanding How Niche Construction Impacts Human Growth, Demography and Health 2020
[100] 논문 Origin of measles virus: Divergence from rinderpest virus betwee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101] 논문 Emergence of human-adapted Salmonella enterica is linked to the Neolithization process 2020-03
[102] 논문 From the mouths of babes: Dental caries in infants and children and the intensification of agriculture in mainland Southeast Asia 2013
[103] 문서 食糧生産革命
[104] 간행물 世界史B 高等学校地理歴史科 2015-07-30
[105] 문서 食料生産革命
[106] 백과사전 採集狩猟文化 世界大百科事典
[107] 서적 進化考古学の大冒険 http://booklog.kinok[...] 新潮選書 2014-03-29
[108] 서적 人口論
[109] 웹사이트 先史時代ワールドモデルの構築 http://faculty1.scu.[...] 2014-03-29
[110] 서적 人類史のなかの定住革命 講談社学術文庫 2015-07-30
[111] 서적 世界史の構造 岩波書店 2015-07-30
[112] 서적 食の人類史 ユーラシアの狩猟・採集、農耕、遊牧 中央公論新社
[113] 백과사전 新石器時代 世界大百科事典
[114] 서적 人類学概論:文化人類学 https://books.google[...] 早稲田大学出版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