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식 중국 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식 중국 요리는 1876년 개항 이후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화교들이 정착하면서 유입된 중화 요리가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화한 음식이다. 초기에는 산둥 요리를 중심으로 청요리로 불렸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고급 요리로 인식되었다. 1960년대 이후 정부의 분식 장려 정책과 짜장면, 짬뽕 등 간편한 메뉴의 개발로 대중화되었으며, 현재는 한국인이 운영하는 중식당이 대부분이다. 주요 음식으로는 짜장면, 짬뽕, 탕수육 등이 있으며, 다양한 밥류, 요리류, 만두 등도 곁들여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식 중국 요리 - 짜장면
    짜장면은 한국에서 대중적인 면 요리로, 춘장, 채소, 고기 등을 볶아 만든 소스를 밀가루 면에 비벼 먹는 한국식 중화 요리의 대표 메뉴이며, 중국 짜장면에서 유래되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되었고, 저렴한 가격과 간편함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 특별한 날에 즐겨 먹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 한국식 중국 요리 - 유린기
    유린기는 닭고기를 튀겨 소스를 곁들여 먹는 중화 요리로, 닭고기 종류, 소스, 튀김옷에 따라 다양하게 조리되며, 중국 광둥 요리가 기원이다.
한국식 중국 요리
개요
짜장면, 짬뽕, 탕수육
짜장면, 짬뽕, 탕수육 (세 가지 대표적인 한국식 중화 요리)
명칭
한국어한국식 중화 요리
한자中華料理
로마자 표기junghwa yori
특징
주요 특징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중국 요리
대표 요리짜장면
짬뽕
탕수육
역사
기원20세기 초, 인천 차이나타운의 중국인 이민자
발전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화, 독자적인 요리 스타일 확립
영향
한국 사회저렴하고 맛있는 외식 메뉴로 자리 잡음
한국 문화배달 문화와 결합, 한국인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
참고
관련 정보한국 요리
중국 요리
인천 차이나타운

2. 역사

조선에서는 1876년 개항 이후 외식업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그중 가장 먼저 자리를 잡은 것이 중국 요리집이었다. 초기 중국 요리집은 일반 대중보다는 특수한 권력층이 주로 찾는 고급 식당이었다. 1884년 조선청나라 사이에 인천구화상지계장정이 체결되면서 현재의 인천 차이나타운 자리에 청나라 조계지가 생겼고, 1898년 산둥반도에서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면서 많은 산둥성 사람들이 인천으로 이주해 정착했다.[11]

1920년대 일제강점기에는 화교들이 운영하는 청요리집이 많았으며, 1922년 전국 주요 도시 화교 가구의 30%가 중국 음식점을 운영했다는 조선총독부 자료도 있다.[11] 당시 중국 식당은 대부분 2층 건물이었고, 1층은 , 2층은 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식당에는 술 접대를 하는 기녀도 있었으며, 짜장면이나 짬뽕 같은 단품 요리가 아닌, 정해진 순서에 따라 나오는 코스 요리를 제공했다.

한국식 중화 요리는 19세기, 한국의 화교 인구가 대부분 거주하던 항구 도시인 인천에서 처음 개발되었다.[1] 지리적 근접성과 한국 화교 인구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으로 인해, 한국식 중화 요리의 대부분은 초기 한국 화교 이민자의 다수가 출신인 산둥 요리를 비롯한 중국 동북, 산둥 지방의 요리에서 유래되거나 영향을 받았다.[1]

2. 1. 개항 이후 ~ 일제강점기: 중화 요리의 유입과 고급화

1876년 개항 이후 인천을 중심으로 화교들이 정착하면서 중국 요리가 한국에 유입되기 시작했다. 초기 중화 요리점은 청요리로 불렸으며, 주로 산둥반도 출신 화교들이 운영했다.[11] 아서원, 금곡원, 대관원, 사해루 등 고급 중화 요리점은 부유층과 권력층이 주로 이용하는 고급 식당이었다.[11] 당시 중화 요리는 코스 요리 형태로 제공되었으며, 기녀가 있는 곳도 있었다.

2. 2. 1950년대 ~ 1960년대: 정치인들의 밀실 정치 장소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대한민국의 정치인들은 화교들이 운영한 중화 요리집에서 밀실 정치를 하곤 했다. 정치인들이 중화 요리집을 선호한 이유는 코스 요리가 제공되어 긴 대화를 나누기 좋고, 독립된 방이 있어 보안 유지에 용이했기 때문이다. 당시 유명했던 음식점으로는 서울의 아서원, 태화관, 대려도, 중화반점인천공화춘 등이 있다.[11]

2. 3. 1960년대 이후 ~ 현재: 한국식 중화 요리의 대중화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대한민국정치인들은 화교들이 운영한 중국 요리집에서 밀실 정치를 하곤 했다. 정치인들이 중화요리집을 선호한 이유는 길게 대화를 나눌 수 있고 보안 유지에 용이하기 때문이었다. 코스별로 요리가 한 가지씩 나오는 중국 요리집은 요리가 나오기 전까지 오랜 시간 동안 이야기를 나누기 적당했고, 식사 장소는 독립된 한 칸의 방이었기 때문에 이야기한 내용이 외부로 새어나갈 위험이 적었다. 이때 유명했던 음식점은 서울에 아서관, 태화관, 대려도, 중화반점, 인천공화춘 등이 있다.[11]

박정희 정권은 통화 개혁과 외국인의 토지 소유 금지책을 통해 화교의 경제력을 약화시켰기 때문에, 많은 화교가 한국을 떠났고, 남은 사람들도 운영할 수 있는 생업이 외식 산업으로 제한되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정부가 분식을 장려하자, 비교적 조리 시간이 짧은 중화 요리는 시대의 요청에도 부합하여 대중적인 외식 요리로 정착했다. 대중적인 중화 요리점도 급증하여, 현재의 중화 요리점은 화교가 아닌 한국인의 소유, 운영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11]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많은 중화 요리점에서 가장 흔하게 제공되는 메뉴는 다음과 같다.

요리설명
짜장면한국식 짜장면. 채소나 육류, 춘장, 식용유를 섞어 만든 고기와 밀가루로 만든 을 섞어 먹는 요리.
짬뽕고추기름양파로 풍미를 내고, 고추로 맵게 한 국물에, 밀가루로 만든 면이 들어간 요리. 복건 요리를 일본의 나가사키현에서 향토 요리(나가사키 짬뽕)로 변화한 것이 일제 시대한반도에 전해진 것이다.
탕수육돼지고기 등에 밀가루를 묻혀 튀긴 것에 달콤한 소스를 뿌려 먹는 요리. 일본의 스부타와 같은 것이다.
만두일본의 교자와 같지만, 표준적인 것은 납작한 원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 물만두와 같은 것으로, "물만두"도 있다.
우동우동은 굵은 면이 특징이지만, 한국의 중화 요리점에서 제공되는 우동은, 우동 면을 사용하는 점은 본고장 일본의 것과 같지만, 위의 짬뽕과 똑같은 매운 맛과 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짬뽕의 파생 요리이기도 하다.
울면잘게 썬 채소, 어패류가 들어간 걸쭉한 국물에, 밀가루로 만든 면이 들어간 요리. 중국의 웬루미엔(wēnlŭmiàn, 溫滷麵)이 기원이다.[8]
짬짜면한국의 중화 요리점에서는 짬뽕과 자장면이 주요 메뉴이며, 두 요리가 두 부분으로 나뉜 식기에 담겨 나오는 요리. 양이 적어 짬뽕과 자장면을 함께 시키는 것보다 저렴하다. 역사가 짧아 일부 중화 요리점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3. 종류

한국식 중화 요리는 산둥 요리를 비롯한 중국 북방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되면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1]

대한민국에 있는 대부분의 중국 음식점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판매하는 음식은 다음과 같다.

한국식 중화 요리
이름사진원형이 된 중국 요리설명
계란탕
120x120픽셀
蛋花湯|단화탕중국어녹말을 풀어 걸쭉한 국물달걀물을 풀어 만든 국이다.
고추잡채
120x120픽셀
青椒肉絲|칭자오러우쓰중국어여러 가지 채소와 고기붙이를 잘게 썰어 볶은 것에 당면 대신 씨를 제거한 피망을 길게 썰어 넣고 버무린 음식이다.
기스면
120x120픽셀
鷄絲麵|지쓰몐중국어가늘게 뽑은 밀국수에 닭국물을 부어 만든 음식이다.
깐쇼새우
120x120픽셀
乾燒明蝦|간사오밍샤중국어껍질 깐 새우에 녹말과 달걀 흰자 등으로 만든 튀김옷을 입혀 튀긴 다음 매콤한 칠리소스에 볶은 음식이다. "칠리새우"로도 부른다.
깐풍기
120x120픽셀
乾烹鷄|간펑지중국어토막을 친 닭고기녹말을 묻혀 튀긴 다음, 양념 초간장을 위에 끼얹어 먹는 음식이다.
난자완스
120x120픽셀
南煎丸子|난젠완쯔중국어곱게 다진 돼지고기를 둥글게 빚어 튀기듯 지진 다음 , 마늘, 고기를 썰어 넣어 익히고 녹말을 풀어 위에 얹은 음식이다.
누룽지탕
120x120픽셀
鍋巴湯|궈바탕중국어튀긴 궈바에 해물과 채소을 넣어 걸쭉하게 끓인 국물을 끼얹어 먹는 음식이다.
라조기
120x120픽셀
辣子鷄|라쯔지중국어토막 친 닭고기녹말을 묻혀 튀긴 다음, 고추, , 마늘, 생강 등을 볶아 섞고, 녹말을 푼 물에 넣어 익힌 음식이다.
마파두부
120x120픽셀
麻婆豆腐|마포더우푸중국어두부와 다진 고기두반장, 조미료 등을 넣고 볶아 만든 음식이다.
만두
120x120픽셀
餃子|자오쯔중국어밀가루 등을 반죽하여 를 넣어 빚은 음식이다.
마라탕
120x120픽셀
麻辣烫|마랄탕중국어쓰촨성의 음식으로, 마라라는 향신료를 사골국에 넣어 고른 재료를 넣는 요리이다. 2019년에 한국에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멘보샤
120x120픽셀
蝦多士|하도시yue 사이에 잘게 다진 새우를 넣어서 기름에 튀긴 음식이다.
볶음밥
120x120픽셀
炒飯|차오판중국어쌀밥채소, 고기, 해물 등을 잘게 썰어 넣고 기름에 볶아 만든 음식이다.
부추잡채
120x120픽셀
韭菜肉絲|주차이러우쓰중국어가늘게 썬 돼지고기부추를 기름에 볶아 만든 중국식 잡채이다.
송이덮밥洋菇蓋飯|양구가이판중국어양송이버섯을 여러 가지 채소양념과 함께 볶아 위에 얹어 먹는 음식이다.
야끼우동
120x120픽셀
??麵중국어대구 지역 중국집에서 파는 매운 볶음국수이다.
양장피
120x120픽셀
炒肉拉皮|차오러우라피중국어전분으로 만든 얇은 판을 두 겹으로 겹쳐서 만든 음식이다.
오향장육
120x120픽셀
五香醬肉|우샹장러우중국어회향, 계피, 산초, 정향, 진피의 오향으로 향을 낸 간장돼지고기를 조린 후 얇게 잘라 낸 음식이다.
우동
120x120픽셀
打滷麵중국어국수에 각종 해물이나 채소를 섞어서 볶은 것에 국물을 붓고 달걀물을 푼 음식이다. "백짬뽕"으로도 부른다.
울면
120x120픽셀
溫滷麵|원루몐중국어해물을 넣고 끓인 국물녹말을 풀어 걸쭉하게 만들어 을 말아 낸 음식이다.
유린기
120x120픽셀
油淋鷄|유린지중국어채소 위에 튀긴 닭고기를 얹고 간장 양념을 끼얹은 음식이다.
유산슬
120x120픽셀
溜三絲|류산쓰중국어고기와 해물을 가늘게 채 썰어 볶은 후 걸쭉하게 만든 음식이다.
자춘걸
120x120픽셀
作春卷|자춘쥐안중국어달걀 지단에 를 넣고 말아 낸 음식이다.
잡채밥
120x120픽셀
炒粉條|차오펀탸오중국어잡채 위에 얹어 먹는 음식이다.
잡탕밥
120x120픽셀
잡탕을 위에 얹어 먹는 음식이다.
중국냉면
120x120픽셀
凉麵|량몐중국어냉면의 일종으로 얼음 육수에 새우, 해파리, 갑오징어 등 해물과 오이, 달걀, 당근 등 채소를 곁들이고 땅콩 소스겨자장을 넣어 먹는 음식이다.[12]
짜장면
/
자장면
120x120픽셀
炸醬麵|자장몐중국어고기채소를 넣어 볶은 짜장에 국수를 비벼 먹는 음식이다.
짬뽕
120x120픽셀
炒碼麵|차오마몐중국어국수에 각종 해물이나 채소를 섞어서 볶은 것에 돼지 뼈나 소뼈, 닭 뼈를 우린 국물을 부어 만든 음식이다.
크림새우
120x120픽셀
富貴明蝦|푸구이밍샤중국어새우마요네즈, 설탕, 식초를 섞어서 만든 소스를 끼얹어 먹는 음식이다.
탕수육
120x120픽셀
糖醋裡脊|탕추리지중국어돼지고기녹말을 묻혀 튀긴 것에 , 간장, 설탕, 채소 등을 넣고 끓인 녹말 물을 부어 만든 음식이다.
팔보채
120x120픽셀
八寶菜|바바오차이중국어마른 해삼, 새우, 닭고기, 죽순, 목이버섯, 느타리버섯, 양파, 완두콩 등을 각각 기름에 볶아서 육수양념을 넣고 끓이다가 물에 푼 녹말을 부어 걸쭉하게 익힌 음식이다.
해삼주스
120x120픽셀
海參肘子|하이선저우쯔중국어해삼과 돼지고기소스를 끼얹은 음식이다.
해파리냉채
120x120픽셀
涼拌海蜇|량반하이저중국어해파리식초겨자를 넣고 무친 음식이다.


3. 1. 면류


  • '''짜장면''': 춘장에 볶은 돼지고기와 채소를 면과 함께 비벼 먹는 요리이다. 한국식 중화 요리의 대표 메뉴이다.[3] 산둥 ''자장면'' (炸醬麵중국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중국에서 제공되는 ''자장면'' 요리와는 구별된다.
  • '''짬뽕''': 고추기름해산물, 채소를 넣어 얼큰하게 끓인 국물에 면을 넣어 먹는 요리이다. 1960년대부터 ''짬뽕''에 고춧가루 (''고추가루'')와 고추기름을 추가했다.[4]
  • '''우동''': 짬뽕과 유사하지만 맵지 않은 흰 국물에 해산물과 채소를 넣어 끓인 면 요리이다.[6]
  • '''울면''': 해산물과 채소를 넣고 끓인 걸쭉한 국물에 면을 말아 먹는 요리이다. 중국 요리인 ''원루면'' (溫滷麵|온루면중국어)에서 유래되었다.[8]
  • '''기스면''': 닭 육수에 가늘게 썬 닭고기와 채소를 곁들여 먹는 면 요리이다.
  • '''중국냉면''': 차가운 육수에 해산물, 채소, 땅콩 소스, 겨자 등을 넣어 먹는 여름철 별미이다.[5] 겨자와 땅콩 소스를 섞은 소스는 고소하고 매운 맛을 낸다.
  • '''야끼우동''': 대구광역시 지역에서 유래된 매운 볶음 국수이다.


이름사진원형이 된 중국 요리설명
기스면鷄絲麵중국어가늘게 뽑은 밀국수에 닭국물을 부어 만든 음식이다.
야끼우동??麵중국어대구 지역 중국집에서 파는 매운 볶음국수이다.
우동 打滷麵중국어국수에 각종 해물이나 채소를 섞어서 볶은 것에 국물을 붓고 달걀물을 푼 음식이다. "백짬뽕"으로도 부른다.
울면溫滷麵중국어해물을 넣고 끓인 국물녹말을 풀어 걸쭉하게 만들어 을 말아 낸 음식이다.
중국냉면凉麵중국어냉면의 일종으로 얼음 육수에 새우, 해파리, 갑오징어 등 해물과 오이, 달걀, 당근 등 채소를 곁들이고 땅콩 소스겨자장을 넣어 먹는 음식이다.[12]
짜장면
/
자장면
炸醬麵중국어고기채소를 넣어 볶은 짜장에 국수를 비벼 먹는 음식이다.
짬뽕炒碼麵중국어국수에 각종 해물이나 채소를 섞어서 볶은 것에 돼지 뼈나 소뼈, 닭 뼈를 우린 국물을 부어 만든 음식이다.


3. 2. 밥류

한국식 중국 요리의 밥류
이름사진원형이 된 중국 요리설명
볶음밥炒飯|차오판중국어쌀밥채소, 고기, 해물 등을 잘게 썰어 넣고 기름에 볶아 만든 음식이다.
잡채밥炒粉條|차오펀탸오중국어잡채 위에 얹어 먹는 음식이다.
잡탕밥잡탕을 위에 얹어 먹는 음식이다.
송이덮밥洋菇蓋飯|양구가이판중국어양송이버섯을 여러 가지 채소양념과 함께 볶아 위에 얹어 먹는 음식이다.


3. 3. 요리류

이름사진원형이 된 중국 요리설명
고추잡채青椒肉絲|칭자오러우쓰중국어여러 가지 채소와 고기붙이를 잘게 썰어 볶은 것에 당면 대신 씨를 제거한 피망을 길게 썰어 넣고 버무린 음식이다.
깐쇼새우乾燒明蝦|간사오밍샤중국어껍질 깐 새우에 녹말과 달걀 흰자 등으로 만든 튀김옷을 입혀 튀긴 다음 매콤한 칠리소스에 볶은 음식이다. "칠리새우"로도 부른다.
깐풍기乾烹鷄|간펑지중국어토막을 친 닭고기녹말을 묻혀 튀긴 다음, 양념 초간장을 위에 끼얹어 먹는 음식이다.
난자완스南煎丸子|난젠완쯔중국어곱게 다진 돼지고기를 둥글게 빚어 튀기듯 지진 다음 , 마늘, 고기를 썰어 넣어 익히고 녹말을 풀어 위에 얹은 음식이다.
라조기辣子鷄|라쯔지중국어토막 친 닭고기녹말을 묻혀 튀긴 다음, 고추, , 마늘, 생강 등을 볶아 섞고, 녹말을 푼 물에 넣어 익힌 음식이다.
마파두부麻婆豆腐|마포더우푸중국어두부와 다진 고기두반장, 조미료 등을 넣고 볶아 만든 음식이다.
마라탕麻辣烫|마랄탕중국어쓰촨성의 음식으로, 마라라는 향신료를 사골국에 넣어 고른 재료를 넣는 요리이다. 2019년에 한국에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멘보샤蝦多士|하도시yue 사이에 잘게 다진 새우를 넣어서 기름에 튀긴 음식이다.
부추잡채韭菜肉絲|주차이러우쓰중국어가늘게 썬 돼지고기부추를 기름에 볶아 만든 중국식 잡채이다.
양장피炒肉拉皮|차오러우라피중국어전분으로 만든 얇은 판을 두 겹으로 겹쳐서 만든 음식이다.
오향장육五香醬肉|우샹장러우중국어회향, 계피, 산초, 정향, 진피의 오향으로 향을 낸 간장돼지고기를 조린 후 얇게 잘라 낸 음식이다.
유린기油淋鷄|유린지중국어채소 위에 튀긴 닭고기를 얹고 간장 양념을 끼얹은 음식이다.
유산슬溜三絲|류산쓰중국어고기와 해물을 가늘게 채 썰어 볶은 후 걸쭉하게 만든 음식이다.
크림새우富貴明蝦|푸구이밍샤중국어새우마요네즈, 설탕, 식초를 섞어서 만든 소스를 끼얹어 먹는 음식이다.
탕수육糖醋裡脊|탕추리지중국어돼지고기녹말을 묻혀 튀긴 것에 , 간장, 설탕, 채소 등을 넣고 끓인 녹말 물을 부어 만든 음식이다.
팔보채八寶菜|바바오차이중국어마른 해삼, 새우, 닭고기, 죽순, 목이버섯, 느타리버섯, 양파, 완두콩 등을 각각 기름에 볶아서 육수양념을 넣고 끓이다가 물에 푼 녹말을 부어 걸쭉하게 익힌 음식이다.
해삼주스海參肘子|하이선저우쯔중국어해삼과 돼지고기소스를 끼얹은 음식이다.


3. 4. 기타

고기, 채소 등으로 속을 채워 빚은 만두는 한국식 중국 요릿집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메뉴이다. 보통 중국식 자오쯔와 한국식 만두의 중간 형태로, 팬에 구워 제공된다.[6] 달걀 지단에 소를 넣고 말아 낸 자춘걸도 맛볼 수 있다.[12] 튀긴 누룽지에 해물과 채소를 넣고 끓인 걸쭉한 국물을 부어 먹는 누룽지탕과, 녹말을 풀어 걸쭉하게 만든 국물에 달걀을 풀어 만든 계란탕도 있다.[12]

한국식 중국 요리
이름사진원형이 된 중국 요리설명
계란탕단화탕
蛋花湯|단화탕중국어
녹말을 풀어 걸쭉한 국물달걀물을 풀어 만든 국이다.
누룽지탕궈바탕
鍋巴湯|궈바탕중국어
튀긴 궈바에 해물과 채소을 넣어 걸쭉하게 끓인 국물을 끼얹어 먹는 음식이다.
만두자오쯔
餃子|자오쯔중국어
밀가루 등을 반죽하여 를 넣어 빚은 음식이다.
자춘걸자춘쥐안
作春卷|자춘쥐안중국어
달걀 지단에 를 넣고 말아 낸 음식이다.


4. 곁들임

한국의 중화 요리점에서는 어느 곳에 가더라도 공통적으로 나오는 밑반찬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단무지, 춘장양파[13], 김치이다.

참조

[1] 뉴스 A Chinese-Korean mashup? Here are 5 restaurants to try in L.A.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7-09-20
[2] 뉴스 Traditional Chinese New Year fare symbolic http://lubbockonline[...] Lubbock Avalanche-Journal 2017-04-18
[3] 뉴스 Korean Chinese Food: The Must-Try Fusion Cuisine You've Never Heard of http://asiasociety.o[...] Asia Society 2017-03-01
[4] 뉴스 "[명사 70인과의 동행] (38) \"중국 초마면 본 일본인이 짬뽕이라 불러\"…한국 근대를 맛보다" http://biz.khan.co.k[...] Kyunghyang Shinmun 2017-04-20
[5] 문서 냉면만 먹자니 지겹죠…색다른 '여름麵' 어때요 https://archive.toda[...] Hankguk Gyeongju 2009-06-12
[6] 웹사이트 udong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3-15
[7] 웹사이트 韓国に来た日本の料理人の中華料理 http://news.mt.co.kr[...] 2010-10-18
[8] 웹사이트 http://www.hanintown[...]
[9] 서적 한국에만 있는 정통 중화요리에 대한 수사보고서 주류성
[10] 뉴스 한국에 온 일본 요리사의 중국요리 http://news.mt.co.kr[...] 머니위크 2010-10-18
[11] 서적 한국에만 있는 정통 중화요리에 대한 수사보고서 주류성
[12] 뉴스 "[박정배의 한식의 탄생] 중국엔 없는 '한국형 中食'… 땅콩소스·겨자 넣은 냉면"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7-12-25
[13] 문서 양파를 춘장에 찍어 먹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