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련-일본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일본 전쟁은 1945년 8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 소련이 일본의 만주 및 한반도 북부, 사할린, 쿠릴 열도를 침공한 군사 작전이다. 이 전쟁은 1943년 테헤란 회담에서 소련이 독일 패배 후 일본을 침공하기로 합의한 데 이어, 1945년 얄타 회담에서 구체적인 참전 시기가 결정되면서 시작되었다. 소련은 중립 조약을 파기하고 만주 침공을 감행했으며, 일본은 포츠담 선언에 대한 답변을 미루던 중 소련의 선전포고를 받았다. 소련군의 압도적인 전력으로 인해 일본은 만주, 한반도 북부, 사할린, 쿠릴 열도에서 패배했고, 이는 일본의 항복을 앞당기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전쟁은 만주와 한반도 분단, 쿠릴 열도 분쟁, 그리고 6.25 전쟁의 발발 등 동아시아의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몽골 - 1945년 몽골 독립 국민투표
    1945년 몽골 독립 국민투표는 몽골 인민 공화국에서 실시되어 투표자 100%의 찬성으로 몽골의 독립을 확고히 했으며, 이후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승인을 받았으나, 결과의 진실성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었다.
  • 1945년 몽골 - 만주 전략공세작전
    만주 전략공세작전은 1945년 8월 9일 소련이 만주국을 침공하여 만주를 점령한 대규모 군사 작전으로, 일본 항복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전쟁 범죄 논란과 한반도 분단 배경이라는 비판도 있다.
  • 몽골-일본 관계 - 원나라의 일본 원정
    원나라의 일본 원정은 13세기 후반 쿠빌라이 칸이 일본을 정복하려 두 차례 시도한 원정으로, 몽골, 고려, 중국 군대가 참여했으나 두 번 모두 태풍으로 인해 실패하고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몽골-일본 관계 - 주몽골 일본 대사관
    1972년 일본과 몽골의 외교 관계 수립 후 울란바토르에 개설된 주몽골 일본 대사관은 대사관 거리에 위치하며 대사, 총괄, 총무·정무반, 경제·개발협력반, 공보·문화반, 영사·경비반, 관방반 등으로 구성된 일본의 외교 공관이다.
소련-일본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명칭소련-일본 전쟁
다른 명칭소비에트-일본 전쟁
소렌 타이 니치 산센 (ソ連対日参戦)
1945년 해방 전쟁 (몽골어: 1945 оны чөлөөлөх дайн)
일부태평양 전쟁, 중일 전쟁
날짜1945년 8월 8일 ~ 1945년 9월 2일
장소만주
내몽골
사할린
쿠릴 열도
한반도 북부
결과소련의 승리
결과 상세1946년까지 소련의 만주 및 내몽골 점령
소련의 사할린 남부 지역 영유권 회복
교전 세력
교전국 1

교전국 2

지휘관
지휘관 1야마다 오토조
노기 마레스케
고즈키 요시오
히구치 기이치로
푸이
장징후이
데므치그돈로브
지휘관 2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로디온 말리놉스키
이반 유마셰프
알렉산드르 노비코프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막심 푸르카예프
키릴 메레츠코프
허를러깅 처이발상
자미양긴 라그바수렌
녜룽전
샤오진광
류보청
추가 지휘관 1 (일본)스즈키 칸타로
야마다 오토조
기타 세이이치
이케타니 한지로
시미즈 노리쿠
고미야 준
이이다 쇼지로
혼고 요시오
가미무라 미키오
구시부치 센이치
네모토 히로시
히구치 키이치로
미네키 주이치로
츠츠미 후사키
아이신카쿠라 푸이
장징후이
데무추크돈로부
리쇼신
추가 지휘관 2 (소련)요시프 스탈린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키릴 메레츠코프
아파나시 벨로보로도프
니콜라이 크루일로프
이반 치스차코프
마크심 푸르카예프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레온티 체레미소프
알렉세이 그네치코
로디온 말리노프스키
알렉산드르 루친스키
안드레이 크라프첸코
잇사 플리에프
이반 유마셰프
호를로깅 초이발상
자미얀깅 르하그바수렌
마오쩌둥
주더
펑더화이
병력 규모
병력 1 (일본)1,092,400명
만주국군 200,000명
몽강군 44,000명
병력 2 (소련)1,577,225명
전투 부대
전투 부대 1 (일본)관동군
제1방면군
제3방면군
제4군
제34군
제17방면군
제5방면군
만주국군
내몽골군
전투 부대 2 (소련)트란스바이칼 전선군
제1극동전선군
제2극동전선군
태평양 함대
팔로군
장비
장비 1 (소련)화포 및 박격포 26,137문
전차 및 자주포 5,556대
항공기 5,368대
장비 2 (일본)화포 1,000문
전차 150대
항공기 150대
사상자
사상자 1 (일본)일본 측 기록: 사망자 22,300명~23,600명, 부상 약 40,000명
소련 및 몽골 측 주장: 사망자 83,737명, 부상 20,000명 (만주 지역에서만), 8월 19일 기준 포로 41,199명, 총 640,000명 포로 및 무장해제
일본 기록: 만주, 치시마, 가라후토 합계 사망자 33,900명
포로로 잡힌 일본군 570,000명 이상, 이중 70,000명 사망, 민간인 희생 130,000명 (전후 사망 및 행방불명 포함)
사상자 2 (소련)소련 및 몽골: 사망자 9,780명, 실종자 911명, 비전투 사망 1,340명, 병사 24,425명 (부상 19,562명, 환자 4,863명), 총 사상자 36,456명
소련측 주장: 전사 8,200명
작전
주요 작전만주
싱안링산맥-선양
하이라얼
하얼빈-지린
무단장
후투요새
쑹화강
푸위안
헤이허
푸진
갈근묘
한반도 북부
청진
웅기
나진
원산
일본
남사할린
토로항
마오카
오토마르항
쿠릴 열도
슘슈
홋카이도 (취소됨)

2. 명칭

이 전투는 전통적으로 만주족이 살았던 지역인 만주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벌어졌지만, 일본의 북방 영토에 대한 소련의 침공 작전도 포함하여 "만주 전투"로 불려왔다.[131] 1983년 이후 미국 역사학자 데이비드 M. 글랜츠가 작전에 관한 논문 제목으로 "8월 폭풍 작전"이라는 제목을 사용하면서 이 명칭도 쓰인다.[117] 몽골 측에서는 이 전쟁을 "1945년 해방 전쟁"이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일소전쟁(日ソ戦争)[132][133][134]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지만,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에서는 대소방위전(対ソ防衛戦)[135]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3. 배경

1943년 11월 테헤란 회담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은 독일이 패배하면 소련이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하는 데 동의했다.[136][137] 1945년 2월 얄타 회담에서 스탈린은 유럽 전쟁 종전 후 2~3개월 안에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기로 약속했다.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통해 소련과 일본은 평화롭고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기로 했으나,[138][139] 1945년 4월 5일, 소련은 일본에게 조약을 갱신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통보했다.[140] 일본은 우려했지만, 소련은 조약이 12개월 동안 유효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일본을 안심시키려 했다.[141][142][144]

1945년 5월 8일, 나치 독일이 항복하면서 연합국의 다음 상대는 일본만 남게 되었다.[143] 일본은 소련과의 평화 유지 및 중립 조약 연장을 희망했지만,[144] 소련은 만주 침공을 위한 군사 준비를 계속했다.[144]

1945년 7월, 포츠담 회담 이후 발표된 포츠담 선언에서 영국, 중화민국, 미국은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다. 일본은 소련의 지연 전술을 통해 8월 말 이전에는 소련이 동만주를 침공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으나,[147] 실제로는 8월 중반에 공세를 시작할 계획이었다.[148]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와 소련의 선전포고는 일본의 항복 결정을 가속화했다.

3. 1. 국제 정세

1943년 테헤란 회담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은 독일이 패배하면 소련이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하는 데 동의했다. 1945년 2월 얄타 회담에서는 스탈린이 유럽 전쟁 종전 후 3개월 이내에 연합군의 요청에 따라 태평양 전선에 참전하기로 합의했다.[136][137]

한편, 소련-일본 중립 조약에 따라 소련과 일본은 평화적 관계를 유지하기로 되어 있었다.[138][139] 소련은 조약 만료 1년 전인 1945년 4월 5일, 일본에 조약 갱신 의사가 없음을 통보했다.[140] 일본은 소련의 통보에 우려했지만, 소련은 조약이 12개월간 유효하다며 일본을 안심시키려 노력했다.[141][142][144]

1945년 7월 26일, 미국, 영국, 중국은 포츠담 선언을 발표하여 일본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다. 일본 정부는 소련을 통한 연합국과의 협상을 기대하며 포츠담 선언에 대한 결정을 미루었다.[24]

일본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교통 상황과 만주 동쪽에서의 소련군 활동을 감시하며, 소련의 지연 전술로 인해 8월 말 이전에는 소련의 침공 준비가 완료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일본은 침공 시기와 장소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없었다.[147] 관동군은 1945년 8월이나 1946년 봄 이전까지는 소련군이 공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스타프카는 이미 1945년 8월 중순에 공세를 시작하기로 계획하고 있었다.[148]

4. 준비

1939년 할힌골 전투에서 일본군은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이를 통해 만주국 군대의 확장을 정당화했다.[165] 그러나 1940년대 만주국군의 활동은 공산주의 게릴라 부대와 반란군 진압에 집중되었고, 일본은 정예 부대에 의존했다.[165] 러일 전쟁 승리 이후 일본은 한국, 만주, 사할린 남부를 장악했고, 1930년대 후반 장고봉 사건, 할힌골 전투소련-일본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1941년 4월 소련-일본 중립 조약[18][19] 체결로 양국은 각각 유럽과 태평양 전선에 집중할 수 있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승리 이후 소련은 일본에 대한 태도를 바꾸며 테헤란 회담에서 독일 패배 후 소련의 참전을 합의했다. 소련은 중립 조약으로 인해 일본에 대한 작전 후 소련 영토에 착륙한 연합군 조종사들을 수용했지만, "탈출"을 허용했다.[20] 1945년 초, 일본은 소련의 만주 침공 준비를 인지했지만, 독일 패배 전에는 공격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다.

얄타 회담에서 스탈린은 참전 대가로 극동 영토에 대한 욕심을 보장받았다. 1945년 3월, 일본은 정예 부대를 만주에서 철수시켜 태평양 작전을 지원했고, 소련은 극동에서 군사력 증강을 계속했다. 소련은 1945년 4월 5일 중립 조약 미갱신을 통보했고,[21] 일본은 우려했지만,[22][23] 소련은 조약 유효 기간을 안심시켰다.[24]

1945년 5월 9일 독일 항복 후, 소련은 8월 9일까지 참전해야 했다. 일본은 소련과 평화 및 중립 조약 연장을 원했고,[24] 얄타 회담 이후 소련에 접근하여 평화 협상 참여를 요청했다. 소련은 일본의 희망을 꺾지 않고 침략군을 계속 준비했다.[24] 스즈키 간타로 내각은 무조건 항복 이외의 평화 조건을 확보하려 했다.[25] 일본은 소련에 매력적인 영토 할양을 제안했지만, 소련은 답변을 회피했다. 포츠담 회담에서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포츠담 선언이 발표되었지만, 일본은 소련의 답변을 기다리며 답변을 회피했다.[24]

일본은 소련의 지연 전술로 8월 말 이전 침공 준비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지만, ''스타브카''는 8월 중순 공세를 계획하고 90개 사단 병력을 은폐했다.[27] 야마다 오토조 장군이 지휘하는 관동군은 만주와 한국 주둔 일본군 주력이었으며, 3개 독립군으로 구성되었다.[4] 만주 주둔 관동군과 한국 주둔 제17야전군 병력은 100만 명에 육박했지만, 훈련 부족, 장비 열악, 보급 제한적이었다.[30] 중장비와 최정예 부대는 태평양 전선으로 이동했고, 관동군은 경보병 반란 진압 부대로 전락했다.[31]

일본군은 소련군 주 공격 방향을 오판하고 병력을 과소평가했다. 1945년 여름, 소련 공격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일본은 만주 방어 계획을 수립, 국경 지역 병력을 재배치하고 주력 부대는 남동쪽에 집중했다.[32] 일본은 동쪽 침공에 대비했지만, 서쪽 공격 발생 시 재배치된 병력이 대처할 수 있다고 믿었다.[26][32] 재배치는 9월까지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소련군 동시 공격으로 관동군은 재배치 과정에 있었다.

1945년 당시 만주국군은 17만~22만 명으로 추정되지만, 주요 무기는 구식이었다. 만주국 공군은 해체된 상태였다. 4만 명 규모의 만주국 방위군은 약하고 장비와 훈련이 부족한 8개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의 내몽골군은 일본군과 함께 참전했지만, 전차와 장갑차는 대부분 일본군이 운용했다.

제1극동전선군 부대원들


스탈린얄타 회담 약속에 따라 403,355명의 병력과 2,119대의 전차와 돌격포, 7,137대의 포와 박격포 등을 유럽에서 극동으로 이동시켰다.[166] 이들은 나치 독일 상대 전투 경험이 있는 병력과 지휘관이었다.[167] 소련군은 만주 침공을 위해 트란스바이칼 전선군, 제1극동전선군[172], 제2극동전선군[173]을 편성, 협공 작전을 계획했다.[129]

소련과 몽골은 1934년 신사협정, 1936년 상호지원조약으로 군사 동맹을 맺었다.[174] 1937년 소련군이 몽골에 이동했고,[175] 이는 일본 견제와[176] 시베리아 횡단철도 보호 목적이었다.[177] 1945년 몽골 인민군은 이사 플리예프 지휘 소련-몽골 기병 기계화군단 소속으로 참전했다.[178] 당시 몽골군은 제5, 제6, 제7, 제8기병사단, 제7기계화기갑군단, 제3전차특수연대, 제3포병연대, 몽골 항공혼성사단이었다.[179]

4. 1. 일본

1939년 할힌골 전투에서 일본군은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이 전투를 통해 만주국 군대의 확장을 정당화했다.[165] 1940년대 만주국군에 대한 보도들은 군대가 도적들을 상대로 성공적인 작전을 펼쳤다는 내용과 모집 공고를 게시한 것이 전부였다.[165] 그러나 1940년대 내내 만주국의 유일한 활동은 공산주의 게릴라 부대와 다른 반란군들에 대한 것이었고, 일본은 대부분 수비대와 보안 임무를 위해 더 많은 정예 부대에만 의존했다.[165]

20세기 초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포츠머스 조약이 체결되면서, 1931년 9월 만주사변과 만주 점령 등 일본은 한국, 만주, 사할린 남부를 장악하게 되었다. 1930년대 후반 장고봉 사건, 할힌골 전투 등 여러 소련-일본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이 사건들은 1941년 4월 소련-일본 중립 조약[18][19]으로 이어졌다. 중립 조약으로 국경 분쟁에 대한 병력이 해방되어 소련은 독일과의 전쟁에, 일본은 아시아와 태평양으로 남진에 집중할 수 있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승리와 독일 패배가 확실해짐에 따라, 소련의 일본에 대한 태도는 스탈린이 일본을 비난하는 연설을 하거나 극동에 병력과 물자를 증강하는 등 변화했다. 테헤란 회담(1943년 11월)에서 스탈린, 처칠, 루즈벨트는 독일이 패배하면 소련이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하기로 합의했다. 스탈린은 2전선 전쟁을 피하고 싶었지만, 극동과 유럽에서 이익을 얻고 싶어하는 딜레마에 직면했다.

소련-일본 중립 조약으로 인해 소련은 일본에 대한 작전 후 소련 영토에 착륙한 연합군 조종사들을 수용했지만, 이들은 일정 기간 후 "탈출"할 수 있었다.[20] 독일 패배 이전에도 극동에서 소련의 군사력 증강은 가속화되었다. 1945년 초, 일본은 소련이 만주 침공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독일 패배 전에는 공격할 가능성이 적었다. 일본은 소련의 침공 시기와 장소를 결정해야 했다.

얄타 회담(1945년 2월)에서 스탈린은 독일 패배 후 2~3개월 안에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는 대가로 루즈벨트로부터 극동 영토에 대한 자신의 욕심을 보장받았다. 1945년 3월 중순, 태평양에서 일본의 상황은 좋지 않았고, 일본은 정예 부대를 만주에서 철수하여 태평양 작전을 지원했다. 소련은 극동에서 군사력 증강을 계속했다. 소련은 중립 조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1945년 4월 5일 일본에 통보했다.[21] 이는 일본에 상당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지만,[22][23] 소련은 조약이 12개월 동안 유효하다고 일본을 안심시켰다.[24]

1945년 5월 9일(모스크바 시간) 독일이 항복했고, 소련은 얄타 협정을 이행하려면 1945년 8월 9일까지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해야 했다. 일본은 소련과 평화를 유지하고 중립 조약을 연장하며, 전쟁 종식을 원했다.[24] 얄타 이후, 일본은 중립 조약 연장과 연합국과의 평화 협상에 소련을 참여시키기 위해 소련에 접근했다. 소련은 일본의 희망을 꺾지 않고 과정을 끌었지만, 침략군을 계속 준비했다.[24] 1945년 4월 취임한 스즈키 간타로 내각은 무조건 항복 이외의 평화 조건을 확보하려 했다.[25] 6월 말, 일본은 소련에 접근하여 연합국과의 평화 협상을 요청하고 구체적인 제안을 제공했으며, 소련에 매력적인 영토 할양을 제안했다. 스탈린은 관심을 표명했고, 일본은 소련의 답변을 기다렸으나, 소련은 답변을 회피했다. 포츠담 회담은 1945년 7월 16일부터 8월 2일까지 열렸다. 7월 24일, 소련은 일본 주재 대사관 직원과 가족을 소환했다. 7월 26일, 처칠, 해리 S. 트루먼, 장제스가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포츠담 선언을 발표했다. 일본은 소련의 답변을 기다리며 선언에 대한 답변을 회피했다.[24]

일본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 교통량과 만주 동쪽의 소련 활동을 감시했고, 소련의 지연 전술은 소련이 8월 말 이전에 만주 동부를 침공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시사했다. 일본은 침공 시기와 장소에 대한 정보가 없었다.[26] 1945년 8월이나 1946년 봄 이전에는 공격이 없을 것이라 추산했지만, ''스타브카''는 1945년 8월 중순 공세를 계획했고 90개 사단 규모의 병력 증강을 은폐했다. 철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많은 병력이 차량으로 시베리아를 건너갔다.[27]

야마다 오토조 장군이 지휘하는 관동군은 만주와 한국에 주둔한 일본군의 주력이었으며, 제1야전군(만주국 북동부), 제3야전군(만주국 남서부), 북부 만주, 북한, 몽강, 사할린 남부, 쿠릴 열도를 담당하는 3개의 독립군으로 구성되었다.[4] 각 야전군은 현장군 외에 본부 부대와 직속 부대를 거느렸다.

만주 주둔 관동군과 한국 주둔 제17야전군 병력은 100만 명에 육박했다. 31개 사단과 13개 여단(전차여단 2개 포함), 독립 연대와 요새 부대가 있었다. 만주에는 약 700대의 장갑차와 5,000문의 대포와 박격포가 있었고, 일본 공군은 만주와 한국에 2,004대의 항공기를 보유했지만, 전투기는 627대였다. 일본 해군은 전략적 이유로 만주 방위에 지상군을 투입하지 않았다. 침공 당시, 해군 함대 잔여 세력은 쇼우다운 작전에 대비하여 일본 본토 방어에 배치되었지만, 일본 해군 상륙부대 12항공함대 소속 부대는 사할린 남부 소련 침공과 쿠릴 열도 침공 작전에서 활동했다.[29] 관동군은 훈련 부족, 장비 열악, 보급 제한적이었다. 탄약 비축량은 13개 사단의 3개월치 수요만 충족했다.[30] 중장비와 최정예 부대는 태평양 전선으로 이동했고, 2류 부대가 그 자리를 메웠다. 관동군은 기동성이 제한적인 경보병 반란 진압 부대로 전락했다.[31]

일본군의 잘못된 가정과 실수는 다음과 같다.

  • 일본군은 서쪽 공격이 하일라르 현으로 향하는 구 철도를 따르거나 몽골 동쪽 끝에서 솔룬으로 향할 것이라 추정했다. 소련군은 이 경로로 공격했지만, 서쪽 주 공격은 솔룬 남쪽 대흥안령 산맥을 통과하여 만주 중앙으로 향했다.
  • 일본군 정보부는 극동 지역 소련군 증강을 파악하지 못했다. 소련군 전력을 과소평가하고 시베리아 횡단 철도 이동을 감시한 결과, 8월 말 이전에 소련군이 충분한 병력을 배치하지 못할 것이며, 공격은 1945년 가을이나 1946년 봄에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다.


태평양 전선으로 관동군 정예 부대가 철수하면서, 1945년 여름 일본은 소련 공격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여 만주 방어 계획을 수립했다. 국경 지역에서 대부분 병력을 재배치하고, 지연 작전으로 경계를 유지하며, 주력 부대는 한국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남동쪽에 집중했다.[32]

일본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동만주 전선에서만 소련 활동을 관찰하여 동쪽 침공에 대비했다. 서쪽 공격 발생 시 재배치된 병력이 대처할 수 있다고 믿었다.[26][32] 재배치는 9월까지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소련군이 모든 전선에서 동시 공격을 개시했을 때 관동군은 재배치 과정에 있었다.

4. 1. 1. 만주국

1945년 당시 만주국군의 병력은 170,000명에서 220,000명 사이로 추정되지만, 주요 무기는 1935년부터 교체되기 시작한 38식 소총이나 구식 전차 등이었다. 만주국 공군은 실질적으로 해체된 상태였다. 4만 명 규모의 만주국군(만주국 방위군)은 8개의 약하고 장비와 훈련이 부족한 만주국 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4. 1. 2. 몽강연합자치정부

의 공식 군대인 내몽골군은 1945년 8월 일본군과 함께 소련-일본 전쟁에 참전했다. 내몽골군은 마우저 소총, ZB vz. 26 기관총 등을 운용했지만, 전차와 장갑차는 대부분 일본군이 운용했다.

4. 2. 소련



독일이 항복한 지 3개월 안에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겠다는 얄타 회담에서의 약속에 따라, 스탈린은 약 403,355명의 병력과 2,119대의 전차와 돌격포, 7,137대의 포와 박격포 등을 유럽에서 극동으로 이동시켰다.[166] 이 병력과 지휘관들은 나치 독일을 상대했던 전투 경험 때문에 일본과의 전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되어 특별히 선발되었다.[167]

소련군은 만주 침공을 위해 트란스바이칼 전선군, 제1극동전선군[172], 제2극동전선군[173]을 편성했다. 작전은 협공 작전으로, 서만주에서는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이, 동만주에서는 제1극동전선군이, 만주 북부에서는 제2극동전선군이 포위망을 형성할 계획이었다.[129]

4. 2. 1. 몽골

소련과 몽골은 1934년 11월 27일 신사협정을 맺었고, 1936년 3월 12일에는 상호지원조약을 체결하여 군사 동맹을 맺었다. 이 조약에 따라 양국은 군사 원조가 필요 없어지면 서로의 영토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약속했다.[174] 1937년 8월 24일, 소련 국방부 차관 표트르 스미르노프는 장교들을 이끌고 소련 제17군의 몽골 이동에 참여했다.[175] 몽골과 소련의 동맹은 만주를 점령하고 내몽골을 침공한 일본을 견제하고,[176] 소련의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177]

1945년 소련과 일본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자, 몽골 인민군은 이사 플리예프가 지휘하는 소련-몽골 기병 기계화군단에 소속되어 참전했다.[178] 당시 소련군에 배속된 몽골군은 제5, 제6, 제7, 제8기병사단, 제7기계화기갑군단, 제3전차특수연대, 제3포병연대, 몽골 항공혼성사단이었다.[179]

5. 전술 및 전략

소련과 일본 양측은 각자의 독특한 전술 및 전략을 바탕으로 전쟁에 임했다. 소련은 종심작전이론을, 일본은 정신력을 강조하는 전술을 채택했다.

이 작전은 서유럽 크기의 지역에 걸쳐 전형적인 양면 포위 작전으로 수행되었다. 서쪽 포위 작전에서 소련군은 보급 철도에서 멀리 떨어진 몽골리아의 사막과 산악 지대를 통해 진격했다. 이는 소련군의 물류에 대한 일본군의 분석을 혼란스럽게 했고, 방어군은 요새화되지 않은 지점에서 기습을 당했다. 침공 당시 기획 연습에 참여했던 관동군 사령관들은 전투 초기 18시간 동안 부대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통신 인프라가 열악하여 전방 부대와의 통신이 매우 초기에 두절되었다. 관동군은 맹렬하고 끈기 있는 전투원으로서 막강한 명성을 가지고 있었고, 약하고 준비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해라 마을에서 강력한 저항을 펼쳐 일부 소련군을 묶어두었다. 동시에 소련 공수부대는 지상군보다 앞서 비행장과 도시 중심지를 장악하고 보급선을 벗어난 부대에 연료를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일본군의 37mm 및 47mm 대전차포는 경소련 전차와 싸우는 데만 적합했기 때문에 일본군은 수류탄과 폭발물을 장착한 자살 특공대를 임시변통 대전차 무기로 사용했다.[33][34] 동시에 일본군 항공대가 소련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가미카제기를 사용했다는 보고가 있었다.[35][36][37] 동쪽에서 온 소련군의 포위 공격은 우스리강을 건너 한카호 주변을 진격하여 수이펑허를 향해 공격했다. 일본군 방어군이 강하게 싸우고 강력한 저항을 제공했지만, 소련군은 압도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오키나와 전투에서 일본군이 보여준 광신적이고 때로는 자살적인 저항을 고려할 때, 남아 있는 일본군 요새 지역을 점령하기 위한 길고 어려운 작전이 예상되었다.[38] 소련군 공세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러한 예상이 완전히 충족되었다.

소련의 공격은 일본군을 압도했다. 일본군 후방에서 소련군 공수부대는 일본군의 대전차탄이 소련군 전차의 측면에서 튀어나오면서 관동군을 궤멸시켰다.[39] 만주에서 일본 관동군에 대한 압도적인 공세를 시작한 러시아는 일본군을 최악의 잔혹함으로 다루었다.[40] 만주에 있던 일본군은 공포에 질려 후퇴했다.[41] 내몽골에서도 같은 상황이 발생했지만, 소련군은 대부분 외몽골 출신의 몽골인이었다.[42] 내몽골에 있던 일본군은 소련군에 저항하지 않고 갈건의 도시 요새를 버리고 남쪽으로 도망쳤다.[43]

러시아군은 만주에서 일본군 포로와 신체적으로 건강한 일본 남성들을 사로잡아 시베리아로 이송하여 강제 노동을 시켰고, 그중 많은 수가 추위로 사망했다.[44] 러시아의 관점에서 이것은 1905년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의 패배에 대한 복수로 여겨졌다.[45] 일본 피난민들은 베이징으로 피난하여 소련군의 일본인 학대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고, 이는 일본인들 사이에 공황을 불러일으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장제스와의 협정에 따라 중국 본토에는 개입하지 않았다.[46]

8월 18일, 몇몇 소련 상륙 작전이 육상 진격에 앞서 수행되었다. 북한의 세 곳, 사할린 남부의 한 곳, 그리고 치시마 열도의 한 곳이었다. 적어도 한국에서는 이미 소련군이 육로로 들어오는 부대를 기다리고 있었다. 가라후토와 치시마에서는 소련의 주권이 갑작스럽고 부인할 수 없게 확립되었음을 의미했다.

8월 10일, 미국 정부는 소련 정부에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한국 점령을 분할할 것을 제안했다. 미국인들은 소련 정부가 이를 수락한 것에 놀랐다. 소련군은 철도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고, 그들을 막아 한국 전체를 점령하는 것을 막을 것은 없었다.[47] 소련군은 8월 14일 북한에서 상륙 작전을 시작하여 한반도 북동부를 신속하게 장악했고, 8월 16일 원산에 상륙했다.[48] 8월 24일, 소련군은 평양에 진입하여 북위 38도선 이북 한국에 군정을 수립했다. 미국군은 9월 8일 인천에 상륙하여 남한을 장악했다.[49][50]

5. 1. 소련

소련의 전술과 전략은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개발된 종심작전이론을 기초로 하고 있었다. 종심작전이론에 따르면, 종심작전은 육군 및 전선 수준의 작전에 맞춰져 있었으며, 소련군은 작전급 공군, 공수부대, 지상군을 이용하여 "적의 작전 방어 모든 깊이에서 동시다발적인 타격"을 가했다. 이를 통해 작전 지역에 위치한 가장 강력한 병력을 격파하고, 후방에서 작전종심을 점령하여 병력을 포위한 뒤, 방어군의 작전종심 및 전략종심을 향해 공세를 계속하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180] 종심작전이론은 할힌골 전투, 모스크바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베를린 공방전 등에서 활용되었다.

미하일 투하쳅스키는 소련에서 개발된 종심작전이론의 창시자로, 이후 소련군의 작전 및 군 운용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1945년 8월 일본과의 전쟁을 준비할 당시 소련군의 편제를 보면, 소련-일본 전쟁에서도 소련군은 종심작전이론을 채택하여 작전을 진행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208]

5. 2. 일본

300px


일본은 1941년 관동군을 중심으로 소련 침공 작전인 관특연을 계획했다. 그러나 남진론에 따른 동남아시아 공격 준비, 중일 전쟁 장기화, 유럽에서의 독일군 전황 악화, 미국과 동맹국의 경제 제재로 인해 1941년 8월 9일 이 작전은 폐지되었다.[183] 태평양 전쟁 발발 후, 관동군 소속 베테랑 부대 대다수가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 배치되면서[155] 관동군의 병력은 감소했고, 대소련 전략도 변화했다. 1942년 관동군의 전략은 1941년과 같았지만, 소련군의 공세에 대비해 국경에서 지연 작전을 펼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184] 1941년 관동군의 전략은 할힌골 전투 경험을 바탕으로 했으며, 소련에 대한 공세 계획은 다싱안링산맥이 있는 서부보다는 북부와 동부에 집중되었다.[185] 일본군은 만저우리, 하일라르, 후룬베이얼 등 서부에 군대를 집결시켜 소련-만주 국경을 돌파하고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있는 네르친스크와 스레텐스크까지 진격할 계획도 세웠다.[182] 그러나 관동군 병력이 계속 약화되자, 1945년 5월 30일 일본은 소련군의 국경 진격을 늦추고 한국 국경 근처 퉁화시를 중심으로 한 요새로 퇴각하는 최종 작전 계획을 채택했다.[186][187] 일본 육군본부는 창춘에서 선제적으로 철수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안보, 정치, 심리적 이유로 거부했다.[188]

일본군의 전술은 정신적인 면에 크게 의존했으며, 이는 전투에서 다양한 결과를 낳았다.[189] 일본군은 정신을 강조했고,[190] 이는 때때로 논리적 사고나 합리적 개념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았다.[191] 이러한 정신적 전술은 1868년 메이지 유신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메이지 유신 시기 일본 정부와 군은 무사도를 홍보 수단으로 활용했다.[192] 사이고 다카모리의 자살은 전투에서의 죽음을 이상화하고 낭만화하게 했으며, 자살을 명예로운 최후로 여기게 했다.[193] 1905년 러일 전쟁 이후, 다른 강대국들은 일본 육군의 독일식 화력주의에 주목했지만, 일본군은 여전히 무사도와 정신력을 중시하며 군사 기술을 경시했다.[194] 쇼와 천황 시기 무사도는 군국주의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고,[195] 전쟁은 숭고하며 죽음은 의무라는 인식이 퍼졌다.[196] 반자이 돌격[197][198], 가이텐[199], 가미카제[200] 등은 무사도와 야마토다마시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전술이었다.

일본군 내에서 전통에 대한 맹목적인 집착은 교리와 기술 발전을 저해했고,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나약하다"거나 "제국 군대를 모욕한다"는 비난을 받았다.[201] 태평양 전쟁 말, 일본 지도자들은 제트 전투기나 "죽음의 광선"과 같은 신무기에 희망을 걸었다.[202]

6. 작전

이 작전은 서유럽 크기의 지역에서 전형적인 양면 포위 작전으로 수행되었다. 서쪽 포위 작전에서 소련군은 보급 철도에서 멀리 떨어진 몽골의 사막과 산악 지대를 통해 진격했다. 이는 소련군의 물류에 대한 일본군의 분석을 혼란스럽게 했고, 방어군은 요새화되지 않은 지점에서 기습을 당했다. 침공 당시 관동군 사령관들은 전투 초기 18시간 동안 부대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통신 인프라가 열악하여 전방 부대와의 통신이 매우 초기에 두절되었다. 관동군은 강하고 끈기 있는 전투원으로서 명성이 높았고, 약하고 준비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해라 마을에서 강력한 저항을 펼쳐 일부 소련군을 묶어두었다. 동시에 소련 공수부대는 지상군보다 앞서 비행장과 도시 중심지를 장악하고 보급선을 벗어난 부대에 연료를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일본군의 37mm 및 47mm 대전차포는 경소련 전차와 싸우는 데만 적합했기 때문에 일본군은 수류탄과 폭발물을 장착한 자살 특공대를 임시변통 대전차 무기로 사용했다.[33][34] 동시에 일본군 항공대가 소련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가미카제기를 사용했다는 보고가 있었다.[35][36][37] 동쪽에서 온 소련군의 포위 공격은 우스리강을 건너 한카호 주변을 진격하여 수이펑허를 향해 공격했다. 일본군 방어군이 강하게 싸우고 강력한 저항을 제공했지만, 소련군은 압도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신속한 패배 가능성은 불투명해 보였다. 1945년 4월~6월 오키나와 전투에서 일본군이 보여준 광신적이고 때로는 자살적인 저항을 고려할 때, 남아 있는 일본군 요새 지역을 점령하기 위한 길고 어려운 작전이 예상되는 것은 당연했다. 소련군 공세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러한 예상이 완전히 충족되었다.[38]

소련의 공격은 일본군을 압도했다. 일본군 후방에서 소련군 공수부대는 일본군의 대전차탄이 소련군 전차의 측면에서 튀어나오면서 관동군을 궤멸시켰다.[39] 일본의 항복 불과 며칠 전 만주에서 일본 관동군에 대한 압도적인 공세를 시작한 러시아는 일본군을 최악의 잔혹함으로 다루었다.[40] 만주에 있던 일본군은 공포에 질려 후퇴했다.[41] 내몽골에서도 같은 상황이 발생했지만, 소련군은 대부분 외몽골 출신의 몽골인이었다.[42] 내몽골에 있던 일본군은 소련군에 저항하지 않고 갈건의 도시 요새를 버리고 남쪽으로 도망쳤다.[43]

러시아군은 만주에서 일본군 포로와 신체적으로 건강한 일본 남성들을 사로잡아 시베리아로 이송하여 강제 노동을 시켰고, 그중 많은 수가 추위로 사망했다.[44] 러시아의 관점에서 이것은 1905년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의 패배에 대한 복수로 여겨졌다.[45] 일본 피난민들은 베이징으로 피난하여 소련군의 일본인 학대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고, 이는 일본인들 사이에 공황을 불러일으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장개석과의 협정에 따라 중국 본토에는 개입하지 않았다.[46]

8월 18일, 몇몇 소련 상륙 작전이 육상 진격에 앞서 수행되었다. 북한의 세 곳, 사할린 남부의 한 곳, 그리고 치시마 열도의 한 곳이었다. 적어도 한국에서는 이미 소련군이 육로로 들어오는 부대를 기다리고 있었다. 가라후토와 치시마에서는 소련의 주권이 갑작스럽고 부인할 수 없게 확립되었음을 의미했다.

8월 10일, 미국 정부는 소련 정부에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한국 점령을 분할할 것을 제안했다. 미국인들은 소련 정부가 이를 수락한 것에 놀랐다. 소련군은 철도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고, 그들을 막아 한국 전체를 점령하는 것을 막을 것은 없었다.[47] 소련군은 8월 14일 북한에서 상륙 작전을 시작하여 한반도 북동부를 신속하게 장악했고, 8월 16일 원산에 상륙했다.[48] 8월 24일, 소련군은 평양에 진입하여 북위 38도선 이북 한국에 군정을 수립했다. 미국군은 9월 8일 인천에 상륙하여 남한을 장악했다.[49][50]

19세기 러시아 제국 시대부터 일본은 러시아(소련)와의 군사적 충돌을 예상하고 준비를 진행해 왔다. 1904년부터 1905년까지의 러일 전쟁은 이러한 예상이 현실화된 것으로, 남만주에서의 여순 요새 공격전과 봉천 전투에서의 일본의 승리 끝에 포츠머스 조약이 체결되었고, 일본은 러시아령이었던 남사할린을 할양받고 청나라령이었던 남만주에서 러시아의 이권을 양도받았다.

전후인 1907년에 체결된 러일 협약에서 양국은 만주에서의 세력권을 남북으로 분할함으로써 협력 관계를 맺었지만, 1917년의 러시아 혁명 이후 성립된 (소련)은 세계의 공산주의화를 최고 목표로 내걸고, 유럽동아시아로 세력권을 확장하려고 적극적이었다. 한편, 일본은 제1차 세계 대전연합국으로 시베리아 출병에서 소련 정부 타도를 목표로 했다. 1920년에 다른 연합국들이 철병한 후에도 일본은 출병을 계속했지만, 국내외의 반대 여론이 높아지면서 1922년에 시베리아에서 철수했고, 소련이 일국 사회주의로 전환한 후인 1925년에 체결된 일소 기본 조약에서 포츠머스 조약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그 후에도 소련은 동청 철도를 통해 만주 북부에서 이권을 확보했고, 1929년의 중소 분쟁에서도 철도의 강제 징수를 노린 중화민국 정부를 물리쳤지만, 1931년에 일어난 만주 사변의 결과 1932년에 만주국이 성립되자 소련은 철도 매각 협상에 응했고, 1935년의 북만 철도 양도 협정에 따라 만주 전역이 일본의 세력권이 되었다.

한편, 극동에서의 일소 군비 경쟁은 1933년부터 이미 시작되었고, 당시 일본군은 대소 전비 확충을 위해 본국과 현지가 연계하여, 관동군이 중심이 되어 군사력 양성을 추진했지만, 1936년 무렵에는 전비에 결정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사단 수, 장비 성능, 진지·비행장·엄폐 시설의 규모와 내용, 병참에 걸쳐 극동 소련군의 전력이 관동군의 그것을 크게 능가했다고 알려져 있다.

1938년의 장고봉 사건과 1939년의 노몬한 사건에서 일소 양군은 전투를 벌였고, 관동군은 그 전력 차를 인식했지만, 육군성에서는 남진론이 힘을 얻어 관심은 동남아시아로 옮겨가고, 군비의 중점도 태평양 전쟁 발발로 남쪽으로 이동했다. 1943년 이후는 남방에서의 전황 악화로 관동군의 전력을 남방 전선에 할당해야만 했다. 일본이 북진론을 버리고 남진론을 채택하여 1941년 4월에 일소 중립 조약을 체결한 것은 소련에 극동에서의 군사적 여력을 주었고, 같은 해 6월부터 시작된 독소 전쟁(대조국 전쟁)에서의 모스크바 전투에서 극동에서의 전력 투입을 가능하게 하여, 결국 전황을 역전시키는 데 이르렀다.

만주국에서의 일본군의 군사력이 저하되는 한편, 독일군은 패퇴를 계속했고, 마침내 1945년 5월 8일독일이 항복함에 따라 소련군은 유럽 전선에서 철수할 여력이 생기고, 소련의 대일 참전이 현실적인 문제로 떠오르기 시작한다.

6월에 대본영 제5과 과장 시라키 스에마사 대좌는 신경(新京)에서 당시 관동군 총참모장에게 상황의 긴박성을 설득하려 했으나, “도쿄에서는 초가을 무렵이 거의 절대적으로 위기라고 하고, 마치 소련군이 곧이라도 나올 것처럼 보고 있지만, 그렇게 단정 지을 일도 아니다”라는 반론을 들었다고 전해진다. 관동군 부대가 남방 전선으로 차출되었기 때문에, 만주(滿洲)의 긴 국경을 방어할 만한 충분한 전력은 이미 상실되었지만, 중립 조약을 맹신하고 있던 관동군과 만주국 요인들은, 그 가족들을 공습을 당하고 있는 일본에서 만주로 데려왔다.

관동군 제1과(작전과)에서는 참모본부의 정세 인식보다 훨씬 낙관적이었다. 당시 관동군은 전력 차를 조금이라도 메우기 위해 진지 증설과 무기 자재 축적을 서두르고 기초 훈련을 계속했지만, “극동 소련군의 후방 보급 준비는 10월에 이른다”고 생각했다. 즉, 관동군 작전과에서는 1945년 여름에 엄계 태세로 임하지만, 독일과의 전쟁에서 입은 손해를 보충하는 소련군은 이르더라도 9월 이후, 혹은 다음 해로 이월될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관동군 전선 부대에서는 소련군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었다. 제3방면군 작전참모의 회상에 따르면, 소련군이 만주-소련 국경 3방면에서 병력이 증강되고 작전 준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감지했다. 특히 동방면에서는 포병 최소 200문 이상이 배치되어 소련군의 침공은 필연적이라고 생각되었다. 8월 3일, 직통 전화로 관동군 작전과 작전반장 쿠사치 사이고(草地貞吾) 참모에게 정세 판단을 요청했더니, “관동군에서 소련이 지금 즉시 공세를 취할 수 없는 체제에 있으며, 참전은 9월 이후가 될 것이라는 견해이다”라는 답변이 있었다. 그 내용은 관동군 전체에 명시되었지만, 8월 9일 새벽, 쿠사치 참모로부터 “멋지게 기습당했어”라는 전화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제4군 사령관 우에무라 미키오(上村幹男) 중장은 정세 분석에 매우 열심이었고, 7월 무렵부터 끊임없이 북쪽 및 서쪽 방면의 정보를 수집하여 독자적으로 종합 연구한 결과, 8월 3일에 소련군의 대일 작전 준비가 끝났고, 수일 내에 침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제4군은 즉시 대응 전비를 갖추기 시작했다. 8월 4일에 관동군 총참모장이 하이라얼(海拉爾) 방면으로 출장 중임을 알고, 귀환 도중 치치하얼(齊齊哈爾) 비행장에 착륙을 요청하여 직접 면담하여 견해를 전달하려 했으나, 총참모장은 제4군으로서의 독자적인 대응에는 동의했지만, 관동군 전체로서의 대응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그래서 우에무라 군 사령관은 부하인 군 참모장을 서쪽(하이라얼) 방면, 작전 주임 참모를 북쪽 방면에 급파하여 소련군의 침공에 대해 경고하고, 침공이 시작되면 계획대로 적을 저지하도록 전달했다.

사전에 만주의 변경을 시찰했던 참모본부 작전과의 아사에다 시게하루(朝枝繁春) 중좌도, 4월 단계에서 소련의 침공을 간파하고 전력 증강을 계속 주장한 결과, 5월 30일이 되어 작전과가 대소 작전 준비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그것을 받은 관동군이 작전 계획을 책정한 것은 7월에 들어서였고, 그 내용인 후퇴 지구전 준비의 종료가 9월 말을 예정하고 있었던 것 등에서 관동군 수뇌부의 낙관적인 시각이 준비를 지연시키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다.

한편, 홋카이도·사할린·쿠릴 열도 방면을 관할하고 있던 제5방면군은 아투섬 함락 및 키스카 철수에 의해 쿠릴 열도에 대한 압력이 증대되었기 때문에, 동 지역에서의 대미 전비 충실을 지향하고, 사할린에서도 국경 부근보다 남쪽 요지의 방비를 권고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5년 5월 9일, 대본영으로부터 “대미 작전 중 소련 참전 시의 북동 방면 대소 작전 계획 요령”으로 대소 작전 준비를 지시받고, 다시 대소 작전으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육상 국경을 접하고 있는 사할린의 중요성이 인식되지만, 병력이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홋카이도 본섬을 우선하고, 설령 소련군이 침공해 온다 하더라도 병력은 증강하지 않기로 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략 전환에도 불구하고, 국경 방면에 충당하는 병력량이 정해지지 않는 등, 실제 시책은 정체되어 있었다. 쿠릴 열도에서는 이미 제해권이 위기에 처해 있었기 때문에, 북쿠릴에서는 현황의 병력을 유지하고, 중쿠릴 병력은 남쿠릴로의 추출이 모색되었다.

사할린에서 육군 부대의 주력이 되고 있던 것은 제88사단이었다. 동 사단은 정찰 등에서의 상황 파악과 소련군 동송 정보에서 8월 공세는 필연적이라고 판단하여 방면군에 보고하는 동시에 사단의 대소 전환을 상신했지만, 현 체제에 변화 없다는 방면군의 답변만 얻었을 뿐이었다.

대소 작전 계획이 정비되고, 각 연대장 이하 섬 내의 주요 간부에게 대소 전환이 고지된 것은, 8월 6·7일의 도요하라(豊原)에서의 회의에서였다. 쿠릴 열도에서는, 전술한 대본영으로부터의 요령에서도, 지리적인 관계도 있어 대미 전이 중시되었지만, 도서전을 전제로 한 진지 구축이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가상 적의 변경은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6. 1. 만주 및 내몽골

1945년 8월 9일 0시, 소련군은 만주 북부, 동부, 서부에서 진격을 시작했다. 소련군은 폭격기를 이용해 지린, 하얼빈, 창춘 지역의 철도, 비행장, 일본군 핵심 시설을 공격했다.[15] 트란스바이칼 전선은 국경을 넘어 만주 본토로 진격했고, 소련-몽골 기병기계화군단도 만몽 국경을 돌파해 몽강연합자치정부만주국을 동시에 공격했다.[28]

무단장 전투에서 일본군은 소련군의 진격을 지연시키고 철수에 성공했지만, 대부분의 전선에서 일본군은 빠르게 붕괴했다. 1945년 8월 14일, 일본은 포츠담 선언을 수용하기로 결정했지만, 일본군 내부에서는 항복을 받아들이지 않는 군인들이 있었다.[111][112] 8월 15일 일본 천황의 항복 선언에도 불구하고, 일부 일본군 사단은 항복을 거부한 채 소련군과 며칠 간 교전을 벌였다.[75] 8월 18일 만주국이 소련에 항복했고, 8월 20일에는 창춘, 선양, 하얼빈이 소련군에 점령되었다.

소련군의 만주 침공은 일본군의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되었다. 일본군은 소련군의 강력한 화력과 기동력에 압도되어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고 후퇴해야 했다. 특히, 서부 전선에서는 소련군의 기갑 부대가 일본군의 방어선을 쉽게 돌파하고 만주 내륙으로 빠르게 진격했다.

6. 2. 한반도

1945년 청진에 상륙한 소련군.


소련군이 한반도를 처음 공격한 것은 만주 전략공세작전 때로, 1945년 8월 9일 러시아 태평양 함대는 한반도 북부의 웅기, 나진, 성진을 공격했다.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극동지역 소련군 총사령관은 8월 8일 한국 국민에게 일본 통치에 대항하는 투쟁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210]

제국주의 일본은 멸망할 것입니다! 한국인 여러분, 당신의 노예들과 함께 성전을 벌이세요! 당신의 적극적인 투쟁으로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살 권리를 얻을 것입니다. 자유와 독립의 깃발이 서울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후방에 있는 한국인들은 일본의 군사행동을 모든 힘과 방법으로 격파하십시오. 게릴라 부대를 조직하세요. 일본인들을 가능한 한 공격하십시오! 전선에 있는 한국 사람들은 일본군에 맞서 무기를 들고, 일본 장교들을 물리치고, 붉은 군대 쪽으로 가십시오! 한국인 여러분, 우리는 공통의 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인들이죠! 우리가 일본의 억압으로부터 당신의 석방을 위해 싸우는 것을 도울 것이라는 것을 알아 주시기 바랍니다. 일본 침략자에게 죽음을!|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ru

8월 9일, 소련군은 경흥을 점령했고 이는 한반도에서 최초로 해방된 마을이 되었다. 이후 소련군은 회령투먼으로 진격했고, 다른 군대는 한국의 북동쪽 해안에 있는 나선으로 진격했다. 8월 11일, 낙하산 부대가 웅기 항구에 상륙했다. 거의 동시에 제393소총사단의 일부가 웅기에 입성하여 작은 수비대를 남겨두고 나진으로 이동했다. 다음날 나진에서 상륙한 낙하산 부대는 8월 13일까지 항구와 주요 도시를 점령했고, 8월 14일 해상 부대는 제393소총사단과 함께 나진 내의 일본군을 완전히 소탕했다.

두만강 지역과 웅기항 및 나진항이 소련군의 손에 넘어감에 따라 일본 본토 부대와 관동군 사이의 연락망이 끊겼고, 소련군은 청진을 공격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었다. 8월 13일부터 소련군은 청진 확보를 위한 전투를 벌였으며 3일 간의 전투 끝에 8월 16일 청진 내 일본군을 완전히 소탕했다. 8월 19일 저녁 총 800명의 소련 해병대와 소총군단이 성진 항구에 상륙하여 저항 없이 도시와 항구를 점령했다. 8월 22일 소련군은 원산에 상륙해 도시를 점령했고, 8월 27일에는 평양까지 남하했다.

6. 3. 사할린

소련-일본 전쟁 발발 이전 남사할린 일대의 일본군은 기타 지구(시쿠카 지청, 에스토루 지청)와 미나미 지구(도요하라 지청, 마오카 지청)로 나뉘어 있었다. 기타 지구는 제125보병연대가, 미나미 지구는 제88사단 주력이 분담했다.[211]

1945년 8월 9일 전쟁 발발 당시, 소련군의 사할린섬 침공 계획은 3단계로 나뉘었다. 1단계로 제79저격사단과 제214전차여단으로 구성된 제1제단이 사할린 국경을 돌파하고, 2단계에 고톤 요새를 공략, 제3단계에는 제2저격여단이 주축이 된 제2제단이 사할린 남부를 점령한다는 것이었다.[212] 같은 날, 국경 북쪽 지구 수비를 담당하는 제125보병연대는 고톤에서 소련군에 대비하고 있었다. 제125보병연대장 고바야시 대령은 국경 부근의 분초와 주민 후퇴, 도로 파괴를 명령하고 연대 주력을 이끌고 북상했다. 소련군이 포격만 하고 진격하지 않아 일본군은 8월 10일 고톤 북서쪽 팔방산에 포진을 마칠 수 있었다.[213]

소련군의 침공은 8월 11일 오전 5시에 시작되었다. 8월 13일부터 16일까지 양측은 팔방산과 고톤 일대에서 격전을 벌였다. 8월 16일부터 소련군 주력도 총공격을 재개하여 고둔까지의 군도를 확보했으나, 일본군 주진지인 팔방산은 함락시키지 못했다.[216] 8월 17일부터 18일경 일본 제125보병연대 본부에 사단의 정전명령이 하달되었지만, 양측의 전투는 계속되었다. 8월 18일 고바야시 대령은 군사를 파견하여 항복에 응했다.[216] 제125보병연대는 8월 19일이 되어서야 소련군에 항복했다.[217]

8월 16일 대본영은 제5방면군을 포함한 대륙명 1382호를 전군에 보내고, 정전협상 성립 전 적의 공격 시 불가피한 자위전투를 제외하고 즉각적인 전투행동 중지를 명령했다. 그러나 같은 날 도로 상륙작전이 시작되자, 제5방면군 사령부 히구치 게이치로 중장은 소련군이 사할린을 거쳐 홋카이도까지 진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8월 16일 오후 제88사단에 전투를 계속해 소련군의 전진을 막고 홋카이도 침공 거점으로 사용될 우려가 있는 남사할린을 사수하라고 명령했다.[221]

8월 22일부터 24일까지 소련군은 성공적으로 작전을 수행했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지원 부대가 도착해 소련군의 남사할린 소탕 작전은 이어졌다.[179]

8월 23일 이른 아침, 소련군은 마오카에서 해군보병혼성여단을 출항시킨 뒤 다음 날 혼토를 거쳐 8월 25일 오도모리에 상륙했다. 일본군의 저항은 없었고, 소련군은 오도모리 해군기지 등을 점령했다.[229]

6. 4. 쿠릴 열도

소련이 쿠릴 열도에 대한 침공을 개시한 것은 일본 측이 캄차카반도에서 12km 밖에 떨어지지 않았던 슘슈섬을 요새화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230] 하지만 슘슈섬의 요새는 대부분 가짜이거나 위장된 것이 많았으며, 소련군 사령부는 이에 대해 알지 못했고, 슘슈섬 요새는 또 다른 강화된 요새였던 파라무시르섬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231] 슘슈섬 상륙부대는 제2극동전선군의 일부이자 캄차카 방어구역에 있었던 제101소총사단이 맡았다.[232] 슘슈섬 공격은 1945년 8월 15일 캄차카반도의 로팟카곶에 위치한 해안포가 슘슈섬을 향해 포격을 개시하면서 시작되었고, 이 포격은 3일간 이어졌다.

쿠릴열도와 사할린, 홋카이도를 수비하는 일본군은 삿포로에 본부를 둔 제5방면군 사령관 시노구치 지이치로(樋口一一郞) 중장이 통솔하였다. 1943년 알류샨 전투 패배 이후 슘슈섬은 일본 북방전선의 교두보가 될 정도로 병력이 강화되었다. 1944년 하순, 쿠릴열도 북부의 수비 병력은 한때 거의 5만 명에 이르렀으나, 이후 수비의 중심이 바뀌어, 병력이 계속 일본 본토로 차출되었다. 1945년 8월까지 쿠릴열도 북부의 수비력은 쓰쓰미 후사키 중장의 제91사단 예하 2개 여단을 주축으로 스기노 다케시 소장의 보병 제73여단이 슘슈섬, 사토 정치 소장의 보병 제74여단이 파라무시르섬에 주둔하여 각 여단 산하에 5개의 독립보병대대를 관할하였다. 1944년 이른 봄에는 관동군의 전차 제11연대도 만주에서 증원되어, 해군 경비대의 양용 전차를 합하여 쿠릴열도 북부수비군은 모두 74대의 전차를 보유하고 있었다. 8월 15일, 슘슈섬 주둔군은 히로히토 천황이 낭독한 '옥음방송'을 접수한 다음 날, 제5방면군으로부터 '대륙명 제1382호'라는 일방적인 휴전을 받았고, 대륙명 제1382호는 "모든 전투행위를 즉각 중지하되 부득이한 경우 자위행동을 할 수 있으며, 18일 16시부터는 완전히 휴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8월 17일 오전 5시, 소련 함정은 차례로 닻을 내리고 짙은 안개 속에서 약 273.59km 떨어진 슘슈섬으로 향했다. 18일 오후 4시 22분 해병대 군단이 이끄는 상륙부대 1,363명이 슈토프 소령의 지휘 하에 슘슈섬에 상륙했다.[233] 소련군의 상륙 소식은 동이 틀 무렵 파라무시르섬에 있는 제91사단 사령부에 전해졌다. 제5방면군 사령관 시노구치 중장은 이 소식을 듣고 "적 상륙부대를 단호히 반격해 분쇄하라"고 지시했다. 오전 9시쯤 소련군 선발지대는 북쪽 기슭에서 거의 정상에 올랐고, 상륙병의 수가 제한되고 대전차 무기가 없는 것을 본 일본측은 즉시 반격으로 전환하였다. 30여 대의 전차단이 횡렬로 소련군 보병을 향해 정면 돌격을 개시하고 진지 내 제282독립보병대대의 보병과 협력하여 고사포의 직사 지원을 받아 소련군을 고지에서 몰아냈다. 소련군 선발대가 사령부와 연락을 취해 고지에 포격을 가해 고지에서 진격하는데 성공했지만 소련군은 고지 내 일본군을 좀처럼 제압하지 못했고, 일본군도 전차와 탄약이 소진돼 결정적인 타격을 주지 못했다.

18일 일본군 수비부대가 적극적으로 방어부대를 조직하고 후속 원병을 속속 전장에 투입하면서, 슘슈섬에 상륙한 소련군이 바다로 쫓겨나는 것은 시간문제처럼 보였다. 교전이 한창이던 오후, 제91사단은 제5방면군으로부터 "전투를 중지하고 자위행동으로 전환하라"는 명령을 받고, 방면군의 명령에 따라 일방적으로 휴전을 하고, 군사들을 파견하여 휴전협상에 착수했다. 이 틈을 타 소련군 보병들은 함포와 포대의 지원을 받아 공격을 재개하여 여러 요지를 탈취하고 저녁 무렵 시난산 남쪽 비탈로 돌진하여 정면 길이 4km, 종심 5km~6km의 교두보를 확보하였다.

일본군은 8월 18일 오후 사단장교인 나가시마 조 대위를 소련군 진지로 보내 현 전선을 경계로 즉각 휴전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군 군사들이 소련군 사령부에 도착하자, 상대방은 나가시마의 군사 신분을 믿지 않고 그를 체포하여, 소련군 제2제대 지휘관인 아르추신 대령이 나서서 마침내 만남을 가졌다. 소련 측의 요청에 따라 제73보병여단장인 스기노 소장과 제91사단 참모장인 야나기오카 다케시 대좌가 직접 군사를 맡아 19일 오후 그네치코 소장과 본격적인 협상을 시작했다. 즉시 휴전하는 것 외에도 소련 측은 일본군에게 현장에서 무기를 제거하고 집중 포로를 요구했고, 일본 측 대표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승낙했다. 그러나 소식을 듣고 양보를 거부하자 야나기오카에게 다음날까지 재협상을 명령했다. 소련군은 휴전에 합의했다고 보고 쿠릴열도 상륙작전의 다음 단계를 시작했다. 8월 19일 오전 특별조직된 돌격대가 구니바타자키와 오바사키의 화력 거점을 파괴하고 수송선을 접안시키고 중포와 운반차량을 싣고 19일 오후까지 모든 병사들의 무기 상륙을 완료했다.

항복 협상을 위해 도착한 쓰쓰미 후사키 중장


8월 20일 이른 아침, 오호츠크함, 키로프함, 제르진스키함, 소해정 Tsh-525호, 수송선 푸가초프함 등으로 구성된 소련 함대가 가타오카만을 점령하기 위해 슘슈섬과 파라무시르섬 사이의 쿠릴 제2해협에 진입했다. 이때 슘슈섬 조미자키(見見军) 포대에 있던 일본해군 제51경비대가 갑자기 76mm 고사포로 발포했고, 97식 함상공격기 2대가 소련 군함 상공으로 날아와 위협했다. 소련군 함대는 즉각 대응사격을 했으나 일본군의 정밀하고 밀집된 포화에 밀려 연막을 치면서 키를 돌려 후퇴해야 했다. 교전 과정에서 키로프호와 오호츠크호는 총탄 2발을 맞고 2명이 숨지고 13명이 부상했으며, 함상의 조타기구와 중앙조명시스템, 전신기가 모두 파손됐다. 각 함대는 오전에 쿠릴열도 제1해협으로 철수하였다. 소련 측은 이 포격을 일본군의 배신적인 도발로 간주하고 슘슈섬과 파라무시르섬에 대한 총공격을 결정했다. 상황이 점점 불리해지자 일본군은 다시 전비 명령을 내려 8월 21일 아침 소련군과 결전을 시도했다. 그러나 관동군과 극동 소련군 총사령관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원수가 8월 19일 맺은 휴전 합의가 위태로워질 것을 우려해 일본군은 조에게 총공격을 중지하고 소련 측의 뜻에 따라 행동할 것을 명령했다. 21일 새벽, 그네치코는 대표를 통해 일본군에 무기를 버리고 항복하라는 최후통첩을 하달했고, 그날 밤 일본군은 소련 측에 동의한다는 회신을 보냈다. 8월 23일 정오, 조의 수행원들은 소련군의 기함 키로프호에서 그네치코를 만나 항복문서에 서명했다. 이날 슘슈섬 수비군 대대는 섬 남쪽의 미요시노 비행장에 집결하여 소련군의 감시하에 무장해제되었다.

8월 19일, 슘슈섬에서 소련군과 일본군의 전투가 진행되는 동안, 소련 태평양 함대사령부는 캄차카 방어 지역에 다음 작전을 배치하여 8월 25일까지 시무시르섬 북쪽의 쿠릴 열도의 다른 모든 섬을 점령하는 것을 제한했다. 8월 23일 제91사단의 항복과 함께 소련군의 상륙부대가 속속 승선해 슘슈섬 남쪽 섬으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23일부터 24일까지 제198보병연대와 제7독립보병대대가 파라무시르섬 북서부와 북동부에 상륙했지만, 파라무시르섬의 일본군은 저항하지 않고 모두 무기를 버리고 항복했다.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해군기지의 선박들은 25일 캄차카 방위구역에서 2개 노선으로 남하해 오네코탄섬시아시코탄섬, 하림코탄섬을 점령했고, 다른 부대는 이날 마투아섬에서 이 섬을 지키고 있던 제41독립혼성연대장 우에다 미에 대좌에게 항복명령을 내려 4,000명에 가까운 수비부대를 무장해제하고 26일 시무시르섬을 점령했다. 임무를 마친 그네치코는 여세를 몰아 계속 남하하여 8월 29일 주력을 이끌고 우루프섬에 상륙하여 수비사령관과 제129독립여단장 니보 스스메 소장이 항복 수속을 협의하였다. 제129독립혼성여단은 8월 31일 섬 동북단의 미시마만에 집결해 집중 무장해제됐다.

7. 역내 항일 세력과의 연대

1930년대 만주사변 이후 만주에서 활동하던 중국인 항일 게릴라 부대 대다수는 1936년 동북항일연군에 편입되었다.[234] 만주사변으로 붕괴된 장쉐량의 구 동북군이나 중국 국민당 세력, 그리고 만주에서 활동하던 마적은 구국군, 의용군 등 여러 항일 무장단체를 결성해 만주에서 활동했으나, 1930년대 중후반 일제의 삼광작전으로 빠르게 해체되었다.[234] 동북항일의용군의 경우 1933년 일본의 공격으로 일부는 관내로 후퇴하고 일부는 중국 공산당과 연계해 동북인민혁명군을 조직하기도 했다.[235] 중국 공산당은 1935년 8월 1일 중국 국민 간의 내전을 중지하고, 반파시스트 통일 전선을 세워 일제 침략에 대항할 것을 요구하는 8·1선언을 발표했다.[236][237] 이 선언을 바탕으로 1936년 동북인민혁명군은 동북항일연군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만주 내 다른 항일 무장단체와의 연대를 모색했다.[234]

소련-일본 전쟁이 발발할 무렵 동북항일연군은 제88독립보병여단으로 소련군 편제에 들어가 있었다. 제88독립보병여단은 1942년 7월 22일 일본군의 만주 내 게릴라 소탕 작전으로 동북항일연군이 만주에서 소련으로 이동하였을 때 창설되었다.[238][239] 제88독립보병여단은 소련군 부대였지만 동북항일연군의 구조와 독자성은 보존되었다.[234]

1943년 10월 5일 촬영한 제88독립보병여단 대원들. 1936년 결성된 동북항일연군이 이들의 기원이다.


제88독립보병여단에 참여한 주요 인물에는 김일성, 안길, 최용건 등이 있었으며,[239] 창설 후 첫 여단장은 중국 공산당 소속 저우바오중이 맡았다.[240] 1945년 중반 제88독립보병여단은 새로 창설된 제2극동전선군 휘하 제5소총군단에 배치되었으며,[241] 1945년 7월 여단사령부는 만주에 있는 100명 규모의 분견대를 파견하여 별도로 공격하는 계획을 수립했으나 실행되지 않았다.[238] 소련-일본 전쟁이 발발한 1945년 8월 9일, 제88독립보병여단은 제25군의 예비부대로 배속되어 전투를 치르지 않았고, 여단장은 전선 사령관 막심 푸르카예프 장군에게 전투부대로의 이동을 요청했으나 실패했다.[238] 제88독립보병여단은 1945년 8월 말이 되어서야 중국 둥베이의 여러 마을을 해방시켰다.[238]

한편 소련 정부는 일본과의 전쟁이 진행 중이던 1945년 8월 14일 중화민국 정부와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을 체결하였다.

소련과 중화민국 정부가 중소 우호동맹조약을 1945년 8월 14일 소련 모스크바에서 체결하고 있다.


소련 정부는 조약이 체결되기 이전인 1945년 6월 12일과 15일 중화민국 측에 여러 가지 조건을 제시했는데, 이 중에는 "중화민국이 만주에서 행정조직을 쉽게 조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 주석의 대표가 소련군과 동행해 만주로 들어오는 것을 환영한다"는 내용과 "스탈린 총서기는 중국의 통일·안정을 기대하며 만주를 중국의 일부로 통일하기를 희망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242] 당시 중화민국과 소련은 이 조약을 체결하여 중화민국-소련 관계를 안정시키고, 중국 공산당의 활동을 줄이며, 대일 작전을 하는 소련군이 작전 종료 후 둥베이에서 철수하여 중화민국군이 둥베이에서 주둔하고, 둥베이에서 소련과 옛 러시아의 권익을 최대한 제한하여 소련군이 신장 등지에서 활동하도록 하게 만들었다.[243] 하지만 중화민국과의 조약과는 별도로, 1945년 8월 말 스탈린은 중국 공산당의 마오쩌둥에게 장강 이북 지역은 중국 공산당이 통치하고 장강 이남은 중국 국민당이 다스리는 것이 어떻냐고 제안하기도 했다.

8. 결과

1945년 8월 9일,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한 소련군은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을 개시하여 만주, 한반도 북부, 사할린 남부, 쿠릴 열도를 공격했다.[15][16] 이 공세는 할힌골 전투(1939년)를 포함한 과거 소련-일본 국경 분쟁과는 구별된다.[18]

20세기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포츠머스 조약을 체결하면서, 일본은 한국, 만주, 사할린 남부를 장악하게 되었다. 1930년대 후반에는 장고봉 사건(1938년), 할힌골 전투(1939년) 등 여러 소련-일본 국경 분쟁이 발생했고, 이는 1941년 소련-일본 중립 조약으로 이어졌다.[18][19]

스탈린그라드 전투 승리 이후, 소련은 일본에 대한 태도를 바꾸기 시작했다. 테헤란 회담(1943년 11월)에서 이오시프 스탈린, 윈스턴 처칠,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독일 패배 후 소련이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하기로 합의했다. 얄타 회담(1945년 2월)에서 스탈린은 독일 패배 후 2~3개월 안에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기로 약속했다.

소련은 중립 조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일본에 통보했고(1945년 4월 5일),[21] 독일 항복(1945년 5월 9일) 이후 소련은 얄타 협정에 따라 일본과의 전쟁을 준비했다. 일본은 소련과의 평화 유지를 원했지만, 소련은 침략 준비를 계속했다.[24] 포츠담 회담(1945년 7월 16일 ~ 8월 2일)에서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포츠담 선언이 발표되었지만, 일본은 소련의 답변을 기다리며 답변을 회피했다.[24]

소련의 침공은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와 거의 동시에 시작되었다. 스탈린은 맨해튼 계획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지만, 침공 시기는 얄타 협정과 독일 항복에 의해 예고되었다.[13]

소련군은 만주 동, 서, 북 세 전선에서 동시에 침공을 시작했다. 주요 작전은 다음과 같다:


  • 흥안-묵덴 공세 작전 (1945년 8월 9일 – 1945년 9월 2일)
  • 하얼빈-길림 공세 작전 (1945년 8월 9일 – 1945년 9월 2일)
  • * 무단장 전투
  • * 후터 요새 공방전
  • Сунгарийская наступа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숭가리 공세 작전ru (1945년 8월 9일 – 1945년 9월 2일)
  • 남사할린 작전 (1945년 8월 11일 – 1945년 8월 25일)
  • * 마오카 소련 공격 (1945년 8월 19일 – 1945년 8월 22일)
  • 청진 상륙 작전 (1945년 8월 13일 – 1945년 8월 16일)
  • 쿠릴 상륙 작전 (1945년 8월 18일 – 1945년 9월 1일)
  • * 슘슈 전투


이 작전은 "만주 전투" 또는 "8월 폭풍 작전"이라고도 불린다.[17][2]

소련군은 알렉산드르 바실레프스키 원수 지휘 하에 만주 전역에 걸친 대규모 포위섬멸작전을 계획했다.[4] 소련군은 89개 사단, 150만 명, 전차 3,704대, 자주포 1,852문, 차량 85,819대, 항공기 3,721대, 그리고 주요 수상 전투함 12척, 잠수함 78척 등으로 구성된 대규모 병력이었다.[4]

소련의 만주 전략 공세 작전과 원자폭탄 투하는 일본의 항복에 큰 영향을 미쳤다.

8. 1. 일본의 항복

1945년 8월 15일 옥음방송을 통해 일본은 연합국에 항복 의사를 공식적으로 전달했다. 그러나 옥음방송의 소리가 명확하지 않았고, 천황이 사용한 단어가 황실 언어였으며, "항복"이라는 단어가 명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을 확약하는 내용을 다시 보냈다.[244][245]

1945년 9월 2일 USS 미주리에서 시게미쓰 마모루우메즈 요시지로, 그리고 연합국 대표가 일본 항복문서에 서명하면서 일본의 공식적인 항복이 이루어졌다.[246] 소련은 쿠즈마 데레비얀코를 대표로 파견해 항복문서에 서명하게 했다.[246]

일본의 공식적인 항복 이후, 일본이 점령했던 식민지와 전투 지역에서도 일본군의 항복이 이어졌다. 동남아시아에 주둔하던 일본군은 9월 2일 페낭에서, 9월 10일 라부안에서, 9월 11일 사라왁 왕국에서, 그리고 9월 12일 싱가포르에서 각각 항복했다.[247][248] 1945년 9월 9일 더글러스 맥아더의 명령에 따라 만주를 제외한 중국 전역과 대만, 그리고 북위 16도선 이북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주둔한 일본군은 모두 중화민국의 장제스에게 항복했다.[249] 한반도에 주둔한 일본군은 북위 38도 이북의 경우 소련에, 북위 38도 이남의 경우 미군에게 항복했다. 1945년 9월 7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한반도 주민에게 제1호 포고문을 발표하고, 38선 이남의 한국에 대한 미군의 통제권을 선포하고, 군사통제 중 영어를 공용어로 제정하였고,[250] 이에 따라 서울에 있던 조선총독부는 소련이 아닌 미국에 항복하게 되었다.[239]

8. 2. 소련의 만주 및 다롄 점령

1945년 8월 14일 체결된 중소우호동맹조약에 따라 소련은 만주 지역을 중화민국 측에 반환해야 했다. 하지만 소련군은 1946년 5월까지 만주에 주둔했다.[251] 1945년 8월 소련군은 만주를 통치하기 시작했는데, 붉은 군대 병사들은 패전한 일본인을 약탈, 폭행하고 일본 전쟁 포로와 일본 교민들을 학살했으며, 일본으로 철수할 겨를이 없었던 많은 일본 교민들이 소련군에 의해 학살되었다.[252] 현지 중국인들에 대해서도 소련군 병사들은 백주 대낮에 오가는 중국 행인들을 약탈하였는데, 소련군은 임의로 개인 건축물에 들어가 총칼로 위협하여 물건을 강탈하거나 부녀자를 강간한 뒤 사살하였다.[253][254]

1946년 8월 1일 소련군이 통치한 만주 지역. 붉은색이 소련군 통치지역이다.


다롄 지역은 특수해방구(特殊解放区|특수해방구중국어)[256] 또는 관동해방구(关东解放区|관동해방구중국어)[257]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소련이 점령한 다롄에서 전반적인 통치는 소련군이 맡았으나, 주요 행정직은 중국 공산당이 맡게 되었다.[258] 소련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도 다롄에 주둔하다가 1955년 4월 16일 중국 인민해방군이 다롄의 방어를 맡기로 합의하면서 철수를 시작하였고, 5월 27일 완전 철수했다.[259]

8. 3. 한반도 분단

1945년 일본이 항복하기 직전, 미국과 소련 양측은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단하기로 결정했다.[239] 이 결정에 따라 1945년 8월 말부터 38도선 이북에는 소비에트 민정청이, 1945년 9월 8일에는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이 서울에 수립되었다.[239]

6.25 전쟁 당시 평양을 지나 38선을 지나는 유엔군의 모습.

9. 영향

소련의 만주 점령과 소련령 다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1945년 8월 14일 체결된 중소우호동맹조약에 따라 소련은 만주 지역을 중화민국에 반환해야 했다. 하지만 소련군은 일본과의 전쟁 이후 점령한 지역을 군정 지역으로 통치했으며, 1946년 5월까지 만주에 주둔했다. 1945년 9월부터는 팔로군둥베이에 진출해 소련군과 협력하기 시작했다.[251]

소련군은 둥베이에 있는 동안 심각한 군기 문제를 겪었다. 붉은 군대 병사들은 패전한 일본인을 약탈, 폭행하고, 일본 전쟁 포로들과 일본 교민들을 학살했다.[252] 현지 중국인들에 대해서도 소련군 병사들은 백주 대낮에 오가는 중국 행인들을 약탈했는데, 소련군은 임의로 개인 건축물에 들어가 총칼로 위협하여 물건을 강탈하거나 부녀자를 강간한 뒤 사살하기도 했다.[253][254] 소련 측은 외교 의례에도 불구하고 둥베이 각 도시에 소련 지도자의 초상화를 내걸도록 하고, 광장에 소련군을 강제로 주둔시켰다. 이 때문에 점령지를 통제하고 치안을 유지하려는 팔로군과 붉은 군대 사이에 교전 충돌까지 일어났다.[255]

다롄 지역은 특수해방구(特殊解放区중국어)[256] 또는 관동해방구(关东解放区중국어)[257]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소련이 점령한 다롄에서 전반적인 통치는 소련군이 맡았으나, 주요 행정직은 중국 공산당이 맡았다.[258] 소련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도 다롄에 주둔하다가 1955년 4월 16일 중국 인민해방군이 다롄의 방어를 맡기로 합의하면서 철수를 시작하였고 5월 27일 완전 철수했다.[259]

1943년 11월 테헤란 회담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은 독일이 패배하면 소련이 일본에 대한 전쟁에 참전하는 데 동의했다. 1945년 2월 얄타 회담에서 스탈린은 유럽 전쟁 종전 후 3개월 이내에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군 요청에 따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는 데 동의했다.

1945년 8월 8일 밤 11시, 소련 외무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크렘린에서 일본 대사 사토 나오타케에게 소련이 일본에 대해 선전포고했으며, 8월 9일부터 소련 정부는 자신이 일본과 전쟁 중이라고 간주할 것이라고 통보했다.[15][16]

만주 전략 공세 작전과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는 일본의 정치적 교착 상태를 돌파하고 일본 지도자들이 연합국이 요구한 항복 조건(일본의 항복)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는 데 기여했다.

미국의 역사학자 리처드 B. 프랭크는 일본의 항복 원인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가 존재함을 지적한다. 그는 일본이 원자폭탄 투하 때문에 항복했다는 "전통적인 견해"를 설명한다. 그는 전통적인 견해와 상반되는 다른 견해들을 요약하는데, 그것은 일본 정부가 이미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판단하고 원자폭탄 투하 전에 항복할 준비가 되어 있었고, 소련이 일본과의 전쟁을 시작했다는 점이다.[52]

하세가와 츠요시의 연구는 원자폭탄 투하가 일본의 항복의 주된 이유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8월 8일 스탈린의 선전포고 후 일주일 만에 일어난 소련의 빠르고 파괴적인 본토 승리가 일본 지도자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일본의 국토 방위 전략은 남쪽에서의 연합군 침공을 막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북쪽에서의 소련의 위협에 대응할 여유 병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소련의 선전포고로 일본은 더 이상 소련을 중재자로 이용하여 연합국과의 협상을 통해 평화를 달성할 수 없게 되었다. 하세가와에 따르면 이것은 일본에게 "전략적 파산"을 의미했고, 1945년 8월 15일 항복 선언을 강요했다.[53][54]

소련의 침략과 괴뢰국 만주국의 점령은 100만 명이 넘는 일본계 주민들에게 고통스러운 시기를 가져왔다. 일본군 점령군의 상황은 명확했지만, 만주국을 고향으로 삼았던 일본 식민지 주민들, 특히 만주국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이제 무국적자이자 집 없는 사람이 되었고, (비일본인) 만주인들은 이러한 외국인들을 없애기를 원했다. 많은 주민들이 살해되었고, 다른 사람들은 최대 20년 동안 시베리아 감옥에 수감되었다. 일부는 일본 본토로 향했지만, 그곳에서도 외국인으로 취급받았다.[25][58][59][60]

만주는 소련군에 의해 잠재적인 군사 저항이 제거되었다. 공산주의 확산에 대한 소련의 지원으로,[61] 만주는 마오쩌둥 세력의 주요 작전 기지가 되었고, 이들은 그 후 4년간의 중국 국공내전에서 승리했다. 공산당 중국의 만주와 중국에서의 군사적 성공으로 소련은 서방 연합국이 약속한 중국의 기지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게 되었는데, 소련이 중국이라고 간주한 모든 땅은, 소련이 일본이 점령했다고 간주했던 소련 땅과는 구분하여, 결국 중화인민공화국에 넘겨졌다.[61]

만주에서 철수하기 전에, 소련군과 관료들은 만주에 있는 상당한 규모의 일본이 건설한 산업 시설의 거의 모든 이동 가능한 부품을 해체하여 "전쟁으로 황폐해진 소련 영토의 산업을 복구하기 위해" 이전했다. 그러나 이동할 수 없는 것은 소련이 만주가 특히 개발이 덜 된 극동 연방관구에 경제적 경쟁자가 되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무력화되거나 파괴되었다.[25] 중국 국공내전에서 공산당이 승리하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소련은 새로운 정부에 경제적 지원을 시작했으며, 그 대부분은 만주의 산업 기반 재건에 사용되었다.[62]

얄타 회담에서 합의된 대로, 소련은 독일 항복 3개월 이내에 일본과의 전쟁에 개입했기 때문에, 러시아가 러일 전쟁 이후 일본에 빼앗겼던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의 영토를 합병하고, 전략적인 철도 연결망을 가진 뤼순과 다롄에 대한 우선적 권리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중국과 소련이 공동으로 소유한 회사인 중장철도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회사는 전 만주국의 모든 철도를 운영했다. 아시아 본토의 영토는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완전한 통제하에 넘어갔다. 다른 영토들은 소련의 후신국가인 러시아가 여전히 관리하고 있다.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의 합병은 오호츠크 해가 소련의 내해가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러시아에게 지속적인 전략적 이점을 제공한다.

소련과 미국의 점령으로 인한 한국의 분단은 5년 후 한국 전쟁의 전조가 된 남한과 북한의 분리된 국가의 탄생으로 이어졌다.[63]

9. 1. 만주와 국공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국 공산당 군대의 숫자는 약 300만 명에서 400만 명까지 증가했다.[260][261] 1945년 당시 이미 중국 공산당 소속 린뱌오와 그의 군대는 진저우를 비롯한 만주의 교외 및 그 주변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다.[262] 중국 공산당이 완전히 섬멸되기를 원하지 않았던 스탈린은 만주를 점령하고 있던 소련군 총사령관 로디온 말리놉스키에게 노획한 모든 일본제 무기들을 중국 공산당에 인계하라고 명령했다.[263]

장제스의 지속적인 요청에도 불구하고, 말리놉스키가 지휘하는 소련군은 만주에서 철수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말리놉스키는 은밀하게 중국 공산당을 지원하고 있었다.[264][265] 1946년 5월 3일, 소련군은 만주에서 완전히 철수했다.[267] 다만, 옛 일본의 관동주였던 뤼순커우와 와팡뎬 등은 여전히 소련의 영토로 남아있다가,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었으며 1981년 다롄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267]

1949년 10월 1일 베이징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하는 마오쩌둥.


이러한 조건들 덕택에 중국 공산당 내부의 지도층에도 변화가 생겼으며, 중국 전체를 무력으로 통일하려는 급진파가 권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게 되었다.[266]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베이징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했다.[273]

9. 2. 내몽골과 외몽골의 분리

내몽골 인민공화국의 제2대 주석이었던 우란푸.


1945년 8월 19일, 몽강국은 소련-몽골 연합군에 항복했고, 내몽골 지역은 소련의 점령을 받게 되었다.[274] 같은 해 9월 9일, 수니트 우기 온두얼 사원의 옛 몽골군 유년학교 강당에서 내몽골 맹기 인민대표대회가 열렸고, 이 대회에서 내몽골 인민공화국 임시정부 수립이 선포되었다.[274][275]

1945년 10월 하순, 우란푸는 수니트 우기에서 인민대표회의를 주재하여 임시정부를 개편하였고, 내몽골 인민공화국 임시정부는 몽골 자치정부로 바뀌었다. 우란푸는 자치정부 주석 겸 군사부장을, 퀴비는 내무부 장관, 칼레트는 경제부 장관, 다토는 군사부 부부장을 맡았다. 몽골계 청년 지식인과 상층부 일부가 정부 보직에 선출되면서 달라이 라마의 정부 위원은 유지되었다.[274][275] 11월, 몽골 자치정부는 장자커우(張家口) 장베이(張北)현으로 이전했고, 임시정부 명의의 발표나 각 맹기(盟旗)와의 연락을 끊고 내몽골 자치운동의 길을 걸었다.[274][275] 1947년 5월 1일, 우란푸는 내몽골 자치정부를 수립했고,[276]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인 1949년 12월 2일, 내몽골 자치정부에 기반을 둔 내몽골 자치구가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중 하나로 편성되었다.

9. 3. 6.25 전쟁

1945년 8월 일본으로부터 한반도가 독립한 이후, 1945년 9월 38선 이북에는 소비에트 민정청이, 38도선 이남에는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이 들어섰다.[239]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1948년 9월 8일에는 소련의 후원을 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도 수립되었다.[239]

1949년 5월 4일 개성 송악산 일대에서 조선 인민군과 대한민국 국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고 조선인민군이 송악산을 점령했다.[278]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고,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복무했던 50,000명에서 70,000명 사이의 한국인이 그들의 무기와 함께 조선 인민군에 편입되었다. 1950년 1월 12일 딘 애치슨애치슨 선언을 통해 미군의 방위선에서 대한민국과 대만을 언급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전쟁 발발 시 미군이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판단했다.[282]

1950년 4월, 스탈린김일성에게 남한에 대한 전쟁을 개시해도 좋다고 승인했으나, 미국과의 직접 교전을 피하기 위해 소련이 참전하지는 않을 것임을 확실시했다.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은 38도선을 넘어 전쟁을 개시했고, 이 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이 조인될 때까지 이어졌다.

9. 4. 샌프란시스코 조약 및 소련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체결되었지만, 소련은 미국과 영국이 작성한 조약 초안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비준하지 않았다.[287][288] 소련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어 조약에 반대했다.

  • 일본 군국주의 부활에 대한 어떠한 보장도 없다.
  • 중국이 일본 침략의 주요 피해국임에도 불구하고 회의에 초대받지 못했다.
  • 소련은 조약 준비 과정에서 제대로 된 협의를 받지 못했다.
  • 조약이 일본을 미국의 군사 기지로 만들고, 소련에 대항하는 군사 동맹으로 끌어들인다.
  • 조약은 사실상 별개의 평화 조약이다.
  • 조약 초안이 대만과 몇몇 섬에 대한 중국의 권리를 침해한다.
  • 얄타 협정을 위반하여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에 대한 소련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소련과 일본은 1956년 일소공동선언을 통해 양국 관계를 회복했다.[289] 그러나 1956년 선언에서 규정된 '2개 섬 이전'과 일본의 '4개 섬 반환' 요구 사이의 이견은 쿠릴 열도 분쟁이 지속되는 기반이 되었다.[290]

9. 5. 쿠릴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러시아일본쿠릴 열도 남서쪽에 위치한 4개의 섬, 즉 이투루프섬, 쿠나시르섬, 시코탄섬, 그리고 하보마이 군도를 두고 벌이는 영토 분쟁이다. 일본 측은 이 지역을 북방영토(北方領土일본어) 또는 북방사도(北方四島일본어)라고 부른다.

일본 측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쿠릴 열도 4개 섬이 일본 영토라고 주장한다.[291]

  • 카이로 선언포츠담 선언은 1904년에서 1905년 이전부터 러시아가 영토로 보유한 적이 없는 북방영토를 포함하지 않았다.
  • 러시아는 1855년 일본과 외교 관계를 시작하기 이전에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았다. 따라서 분쟁 중인 섬들은 일본이 "폭력과 탐욕으로" 획득한 영토의 일부로 간주될 수 없다.
  • 얄타 협정은 전후 해결 원칙에 대한 당시 연합국 지도자들의 성명에 불과했기 때문에 영토 문제의 최종 해결을 결정하지 못했다. (영토 문제는 평화 조약으로 해결해야 한다.) 게다가, 일본은 이 협정에 동의하지 않았기에 구속되지 않는다.[291]
  • 1945년 소련이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한 것은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위반한 것이었고, 따라서 이 섬들의 점령은 국제법 위반이었다. 일본은 이 조약이 1946년 4월 25일까지 유효하다고 주장한다.
  • 1951년 샌프란시스코 조약 제2c조에 따라 일본은 쿠릴 열도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했지만, 쿠나시르 섬, 에토로후 섬, 시코탄 섬, 하보마이 섬은 쿠릴 열도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조약은 적용되지 않았다. 또한 소련은 샌프란시스코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 일본 정부는 사할린 남부와 쿠릴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지만,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는 어느 나라에 속하는지 명시하지 않았고, 소련은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따라서 조약 제25조에 따라 국제법상 토지가 확정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일본에서는 많은 조직과 단체들이 쿠릴 열도 반환을 위해 지자체 및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가족이 쿠릴 열도에서 쫓겨난 사람 중 한 명인 스즈키 겐지로[292]는 지시마 하보마이 제도 주민 연맹의 도카치 지부장을 맡고 있다.[293] 2018년 일본 정부는 도쿄 지요다구에 영토·주권전시관을 설립해 쿠릴 열도뿐만 아니라 독도센카쿠 열도 등 일본이 얽혀 있는 영토문제를 홍보하고 있다.[294]

러시아 측은 1945년 2월 열린 얄타 회담을 통해 쿠릴 열도에 대한 영유권이 러시아에 있다고 보고 있다.[295] 2018년 12월 21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주일미군 주둔이 러시아와 일본 사이의 공식적인 평화 조약 모색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296] 2022년 3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안전 보장 이사회 부의장은 러시아가 영토 협정에 진지하게 임한 적이 없다고 인정했으며, 일본과 쿠릴 열도에 대한 합의점이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297] 많은 러시아 국민들은 쿠릴 열도를 일본으로부터 빼앗은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소련의 희생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었다고 믿는다.[298][299]

2010년 11월 1일 유즈노쿠릴스크에 방문 중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전 대통령.

10. 기념

대부분의 소련-일본 전쟁 참전국은 대일 전승 기념일을 기념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가 공휴일은 아니다.[302] 일본의 경우에는 1952년부터 전국 전몰자 추도식을 개최하고 있으며 매년 8월 15일 일본 정부의 주관 하에 이루어진다.[305]

2015년 대일 전승 70주년 기념 열병식 당시 톈안먼 광장. 인민영웅기념비 앞에 1945, 2015라는 숫자가 세워져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2015년 9월 3일 대일 전승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동북항일연군 소속 옛 병사들이 열병식에 참석하기도 했다.[306] 이 행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열병식이 국경절이 아닌 시기에 열린 첫 열병식이기도 했다.[307]

몽골 울란바토르에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희생된 소련 및 몽골군을 기념하기 위해 1971년 건립된 자이승 기념관이 있다. 기념관 전망대 중앙에는 등화대 <도루가>가 있고, 도루가 주위에는 추축국을 무찌르고 평화가 찾아온 모습을 담은 모자이크화가 있는 콘크리트 고리가 있다.[308]

11. 연구

1991년 소련 및 동구권 붕괴 이후, 소련-일본 전쟁의 주요 당사국이었던 소련의 문서가 공개되기 시작하면서 사학계에서는 이 문서들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해졌다.[310] 소련 백과사전에 소련-일본 전쟁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기는 했지만,[311] 소련-일본 전쟁만을 다룬 논문이나 에세이 등은 1990년대가 되어서야 등장하였다.[312]

바트에르데닝 바트바야르가 저술한 『몽골사』에는 소련-일본 국경분쟁부터 소련-일본 전쟁까지 몽골 인민공화국이 이 전쟁에 어떻게 개입하게 되었는지 서술되어 있다.[314]

"일소전쟁사연구"라는 조직이 소련-일본 전쟁 관련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이 연구회는 《일소전쟁사의 연구》(日ソ戦争史の研究일본어)라는 연구집을 발간하기도 했다.[315] 이 연구집은 러시아의 역사, 몽골의 역사, 일본의 역사와 소련-일본 전쟁 당시의 정치·사회적 맥락을 모두 분석했다고 소개된다.[117]

일본의 민족주의 세력과 극우 세력, 또는 이러한 사상에 기반한 저자들은 북방영토"라고 부르는 쿠릴 열도 문제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서적 및 연구집을 펴냈다.[318] 이들이 저술한 연구집이나 저서의 경우, 소련-일본 전쟁 당시 소련의 쿠릴 열도 병합을 불법으로 간주하며, 독도, 센카쿠 열도와 함께 쿠릴 열도를 일본의 국경 분쟁 지역으로 규정한다.[319][320][32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일성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를 통해 1940년부터 1945년까지 김일성의 항일 활동과 1945년 소련-일본 전쟁 당시 김일성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323] 그러나 《세기와 더불어》는 김일성이 직접 기록했는지 여부조차 논란이 있어 역사학계의 정통 연구로 보기는 어렵다.[324]

11. 1. 러시아 및 구소련

1991년 소련 및 동구권 붕괴 이후, 소련-일본 전쟁의 주요 당사국이었던 소련의 문서가 공개되기 시작하였다.[310] 이 문건들이 공개되면서 사학계에서는 이 문서들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해졌다.[310] 소련 백과사전에 소련-일본 전쟁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기는 했지만,[311] 소련-일본 전쟁만을 다룬 논문이나 에세이 등은 1990년대가 되어서야 등장하였다.[312] 러시아의 역사학자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슬라빈스키는 그의 저서 『소련-일본 중립 조약』(2004)을 통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과 일본의 관계 및 소련-일본 전쟁의 원인을 분석했다.[313]

11. 2. 몽골

바트에르데닝 바트바야르가 저술한 『몽골사』에는 소련-일본 국경분쟁부터 소련-일본 전쟁까지 몽골 인민공화국이 이 전쟁에 어떻게 개입하게 되었는지 서술되어 있다.[314]

11. 3. 일본

"일소전쟁사연구"라는 조직이 소련-일본 전쟁 관련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회는 《일소전쟁사의 연구》(日ソ戦争史の研究일본어)라는 연구집을 발간하기도 했다.[315] 이 연구집은 러시아의 역사, 몽골의 역사, 일본의 역사와 소련-일본 전쟁 당시의 정치·사회적 맥락을 모두 분석했다고 소개된다.[117] 소련-일본 전쟁을 더 자세히 다룬 자료로는 일본 역사연구회가 펴낸 《역사의 회상·시베리아 연구》(歴史の回想・シベリア抑留일본어)가 있는데, 이 책은 소련-일본 전쟁의 여파로 시베리아에 강제 억류된 일본군, 일본군 협력 민간인, 일본군 협력 괴뢰국 국민들에 대해 다룬다.[316] 이 외에도 하세가와 쓰요시가 펴낸 《종전의 설계자》는 일본의 항복 당시 미국과 소련의 관계,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태평양 전쟁의 종결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317]

일본의 민족주의 세력과 극우 세력, 또는 이러한 사상에 기반한 저자들은 "북방영토"라고 부르는 쿠릴 열도 문제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서적 및 연구집을 펴냈다.[318] 이들이 저술한 연구집이나 저서의 경우, 소련-일본 전쟁 당시 소련의 쿠릴 열도 병합을 불법으로 간주하며, 독도, 센카쿠 열도와 함께 쿠릴 열도를 일본의 국경 분쟁 지역으로 규정한다.[319][320][321]

소련-일본 전쟁을 코민테른의 전략으로 보고, 일본이 코민테른의 전략에 속아 넘어갔다는 연구도 있다.[322]

11.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일성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를 통해 1940년부터 1945년까지 김일성의 항일 활동과 1945년 소련-일본 전쟁 당시 김일성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323] 그러나 《세기와 더불어》는 김일성이 직접 기록했는지 여부조차 논란이 있어 역사학계의 정통 연구로 보기는 어렵다.[324]

참조

[1] 서적 When Titans Clashed: How the Red Army Stopped Hitler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5
[2] 웹사이트 Australia-Japan Research Project: Dispositions and Deaths http://ajrp.awm.gov.[...] 2021-04-23
[3] 웹사이트 Final Report, Demobilization and Disarmament of the Japanese Armed Forces, 30 December 1946 https://cgsc.content[...] 2021-04-23
[4] 논문 August Storm: The Soviet 1945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https://apps.dtic.mi[...] Combat Studies Institute 1983-02
[5] 서적 When Titans Clashed: How the Red Army Stopped Hitler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5
[6] 서적 Russia and the USSR in twentieth century wars: A statistical survey Olma-press 2001
[7] 문서 JM-154 p. 69, JM-155 pp.266–267
[8] 서적 Серп и молот против самурайского меча (Hammer and Sickle vs Samurai Sword) Veche 2003
[9] 서적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1939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7-02-09
[10] 뉴스 A Soviet Push Helped Force Japan to Surrender https://web.archive.[...] The Moscow Times 2013-12-12
[11] 뉴스 How the Soviets helped Allies defeat Japan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10-08-22
[12]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https://www.amazon.c[...] Penguin 2001
[13] 서적 Stalin and the bomb: the Soviet Union and atomic energy, 1939–1956 Yale University Press 1996
[14] 웹사이트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http://digitalarchiv[...]
[15] 웹사이트 Soviet Declaration of War on Japan http://avalon.law.ya[...] 1945-08-08
[16] 서적 日ソ戦争 帝国日本最後の戦い 中央公論新社 2024-04-25
[17] 서적 Collision of East and West Henry Regnery Company 1951
[18] 웹사이트 Soviet-Japanese Neutrality Pact http://avalon.law.ya[...] 1941-04-13
[19] 웹사이트 Declaration Regarding Mongolia http://avalon.law.ya[...] 1941-04-13
[20] 서적 "Northern Territories" and Beyond: Russian, Japanese, and American Perspectiv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5
[21] 웹사이트 Soviet Denunciation of the Pact with Japan http://avalon.law.ya[...] 1945-04-05
[22] 뉴스 So sorry, Mr Sato https://web.archive.[...] Time 1945-04
[23] 웹사이트 Russia and Japan https://web.archive.[...] 2011-09-13
[24] 서적 The Japanese-Soviet Neutrality Pact: A Diplomatic History 1941–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25] 서적 Manchuria since 1931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49
[26] 학술지 Missing Intentions: Japanese Intelligence and the Soviet Invasion of Manchuria, 1945 1984
[27] 서적 When Titans Clashed: How the Red Army Stopped Hitler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5
[28] 비디오 Battlefield Manchuria – The Forgotten Victory Battlefield (U.S. TV series) 2001
[29] 웹사이트 第12航空艦隊 https://www.jacar.go[...] 2024-04-21
[30] 서적
[31] 웹사이트 JSOM vol. XIII https://apps.dtic.mi[...] 2021-04-23
[32] 보고서 Study of Strategic and Tactical peculiarities of Far Eastern Russia and Soviet Far East Forces Military History Section, Headquarters, Army Forces Far East, US Army 1955
[33] 웹사이트 На службе народу http://militera.lib.[...] Политиздат 1968
[34] 웹사이트 August Storm: The Soviet 1945 Stragetic Offensive in Manchuria https://www.armyupre[...] 2022-10-07
[35] 웹사이트 Японские летчики-камикадзе против Красной Армии в 1945 году. https://dzen.ru/medi[...] 2022-10-07
[36] 웹사이트 The Soviet Invasion of Manchuria led to Japan's Greatest Defeat https://warfarehisto[...] 2022-10-07
[37] 웹사이트 Soviet Invasion of Manchuria: Catching Japan Unawares https://warfarehisto[...] 2022-10-07
[38] 간행물 August Storm: The Soviet 1945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Leavenworth Papers №7. by LTC David. M. Glantz http://www.cgsc.edu/[...] Combat Studies Institute, fort Leavenworth, Kansas 2010-06-15
[39] 논문 Staying On: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in China, 1945-1949
[40] 논문 Staying On: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in China, 1945-1949
[41] 논문 Staying On: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in China, 1945-1949
[42] 논문 Staying on: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in China, 1945-1949 https://www.jstor.or[...] 1983-01-22
[43] 논문 Staying on: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in China, 1945-1949 https://www.jstor.or[...] 1983-01-22
[44] 논문 Staying On: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in China, 1945-1949
[45] 논문 Staying On: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in China, 1945-1949
[46] 논문 Staying On: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in China, 1945-1949
[47] 서적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48] 서적 A Concise History of Modern Korea: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11-16
[49]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Routledge
[50] 서적 Bipolar Orders: The Two Koreas since 1989 Zed Books 2007
[51] 서적 Japan's decision to surrender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52] 논문 Why Truman Dropped the Bomb http://www.weeklysta[...] 2005-08-08
[53] 웹사이트 The Atomic Bombs and the Soviet Invasion: What Drove Japan's Decision to Surrender? http://www.japanfocu[...] Japan Focus 2007-08-17
[54] 서적 Racing the Enemy: Stalin, Truman, and the Surrender of Japan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55] 웹사이트 The Winning Weapon? Rethinking Nuclear Weapons in Light of Hiroshima https://www.belferce[...] International Security 2023-07-31
[56] 웹사이트 The Bomb Didn't Beat Japan . . . Stalin Did https://foreignpolic[...] 2023-07-31
[57] 웹사이트 Five Myths About Nuclear Weapons https://www.harperco[...] Mariner Books 2023-07-31
[58] 서적 Manchurian Legacy : Memoirs of a Japanese Colonist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59] 서적 Manchuria under Japanese Domin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0] 서적 Memory Maps : The State and Manchuria in Postwar Jap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61] 서적 The Soviet Union and the Manchurian Revolutionary Base (1945–1949) https://archive.org/[...] Progress Publishers
[62] 웹사이트 Economy of Northeastern China and Soviet assistance to the PRC in the 1950s http://cyberleninka.[...]
[63] 웹사이트 SOVIET AIMS IN KOREA AND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1945–1950: NEW EVIDENCE FROM RUSSIAN ARCHIVES http://pages.ucsd.ed[...] The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64] 웹사이트 ソ連が対日参戦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23-03-25
[65] 웹사이트 戦争の記憶~ソ連の対日参戦 写真特集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24-07-27
[66] 웹사이트 ソ連の対日参戦の用語解説・ニュース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24-07-27
[67] 웹사이트 1945年の今日、8月8日に、ソ連が日本に宣戦布告し、翌9日から満州や樺太(サハリン)で、日本に対する攻撃が始まった https://jp.rbth.com/[...] 2013-08-08
[68] 웹사이트 1945年の今日、8月8日に、ソ連が日本に宣戦布告し、翌9日から満州や樺太(サハリン)で、日本に対する攻撃が始まった https://jp.rbth.com/[...] 2013-08-08
[69] 웹사이트 1945年の今日、8月8日に、ソ連が日本に宣戦布告し、翌9日から満州や樺太(サハリン)で、日本に対する攻撃が始まった https://jp.rbth.com/[...] 2013-08-08
[70] 웹사이트 1945年の今日、8月8日に、ソ連が日本に宣戦布告し、翌9日から満州や樺太(サハリン)で、日本に対する攻撃が始まった https://jp.rbth.com/[...] 2013-08-08
[71] 간행물 地域別兵員及び死没者概数表 厚生省援護局 1964-03
[72] 간행물 地域別兵員及び死没者概数表 厚生省援護局 1964-03
[73] 뉴스 ソ連対日宣戦を布告 満州東部西部国境でソ連軍攻撃を開始す 1945-08-09
[74] 웹사이트 1945年の今日、8月8日に、ソ連が日本に宣戦布告し、翌9日から満州や樺太(サハリン)で、日本に対する攻撃が始まった https://jp.rbth.com/[...] 2013-08-08
[75] 서적 ソ連の対日参戦 吉川弘文館 2015-11-10
[76] 논문 日ソ戦争の性格 http://id.nii.ac.jp/[...] 国士舘大学日本政教研究所 1977-03
[77] 서적 日ソ戦争への道 ノモンハンから千島占領まで 共同通信社 1999-08-10
[78] 서적 日ソ戦争 1945年8月―棄てられた兵士と居留民 みすず書房 2020-07-17
[79] 서적 満州国崩壊8・15 潮書房光人新社 2021-06-24
[80] 서적 戦術・戦略分析 詳解 独ソ戦全史「史上最大の地上戦」の実像
[81] 서적 戦術・戦略分析 詳解 独ソ戦全史「史上最大の地上戦」の実像
[82] 웹사이트 ソ連の北方四島占領、米が援助 極秘に艦船貸与し訓練も https://www.hokkaido[...] 2017-12-30
[83] 서적 1945年日本北海道险被苏军占领始末 舰载武器
[84] 서적 アジアの教科書に書かれた日本の戦争 東アジア編 梨の木舎 1990
[85] 서적 証言 私の昭和史 (株)学藝書林 1969-10-31
[86] 서적 地図と写真でみる半藤一利「昭和史1926–1945」 平凡社 2021-10-04
[87] 서적 墓標なき八万の死者 ― 満蒙開拓団の壊滅 中央公論新社
[88] 서적 語りつぐ戦争 一〇〇〇通の手紙から 東方出版 2006-12-01
[89] 서적 私の山 谷川岳 中央公論社 1983
[90] 서적 墓標なき八万の死者 ― 満蒙開拓団の壊滅 中央公論新社
[91] 서적 関東軍作戦参謀の証言 芙蓉書房
[92] 서적 暗い青春の日々
[93] 서적 語りつぐ戦争 一〇〇〇通の手紙から 東方出版 2006-12-01
[94] 서적 満洲開拓団27万人「死の逃避行」 富士書苑 1978-03-20
[95] 서적 日本開拓民と葛根廟の惨劇 (満州) 文藝春秋 2002-08-10
[96] 서적 開拓民の受難 吉川弘文館 2012-12-10
[97] 서적 昭和史の天皇 読売新聞社 1969-04-01
[98] 서적 流れる星は生きている 母と子・戦火に追われて 偕成社 1965-06
[99] 서적 赤い夕陽 「赤い夕陽」刊行会事務局
[100] 서적 満州電々追憶記集 赤い夕陽 「赤い夕陽」刊行会事務局
[101] 서적
[102] 서적 赤い月
[103] 뉴스 対日宣戦布告時、ソ連が公電遮断英極秘文書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8-09
[104] 뉴스 「ラストエンペラー」溥儀の自伝、完全版が刊行へ http://book.asahi.co[...] 朝日新聞 2006-12-17
[105] 서적 満州帝国の興亡 新人物往来社
[106] 서적 別冊歴史読本 戦記シリーズ38 満州帝国の興亡 新人物往来社
[107] 문서 北東方面陸軍作戦(2)
[108] 서적 一九四五年夏 最後の日ソ戦 中央公論新社
[109] 웹사이트 北方領土返還要求運動岐阜県民会議 http://hoppou-gifu.j[...] 2012-10-30
[110] 웹사이트 ソ連の不法占拠 http://www.hoppou.go[...] 2012-10-30
[111] 저널 日本の敗戦と大本営命令 https://hdl.handle.n[...] 明治大学史学地理学会
[112] 서적 東アジア国際政治史 名古屋大学出版会
[113] 뉴스 日ロ関係を左右しかねないロシアが第二次大戦終結記念日を1日ずらした理由 https://globe.asahi.[...] 朝日新聞GLOBE+ 2020-05-05
[114] 보고서 戦史叢書 関東軍 <2> 関特演・終戦時の対ソ戦 朝雲新聞社 1974-06-28
[115] 서적 満洲国 交錯するナショナリズム 平凡社
[116] 서적 「反日思想」歴史の真実
[117] 웹인용 The Yan'an Soviet https://alphahistory[...] 2019-09-18
[118] 서적
[119] 웹사이트 Australia-Japan Research Project: Dispositions and Deaths http://ajrp.awm.gov.[...] 2021-04-23
[120] 보고서 August Storm: The Soviet 1945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https://apps.dtic.mi[...] Combat Studies Institute
[121] 서적 When Titans Clashed: How the Red Army Stopped Hitler University Press of Kansas
[122] 문서 JM-154, JM-155
[123] 서적 Серп и молот против самурайского меча (Hammer and Sickle vs Samurai Sword) Veche
[124] 서적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1939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7-02-09
[125] 서적 When Titans Clashed: How the Red Army Stopped Hitler University Press of Kansas
[126] 서적 Russia and the USSR in twentieth century wars: A statistical survey Olma-press
[127] 뉴스 A Soviet Push Helped Force Japan to Surrender http://www.themoscow[...] The Moscow Times 2005-08-08
[128] 뉴스 How the Soviets helped Allies defeat Japan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10-08-22
[129] 비디오 Battlefield Manchuria – The Forgotten Victory https://www.amazon.c[...]
[130] 보고서 Study of Strategic and Tactical peculiarities of Far Eastern Russia and Soviet Far East Forces Military History Section, Headquarters, Army Forces Far East, US Army
[131] 서적 Collision of East and West Henry Regnery Company
[132] 저널 日ソ戦争の性格 https://kokushikan.r[...] 国士舘大学日本政教研究所
[133] 서적 日ソ戦争への道 ノモンハンから千島占領まで 共同通信社
[134] 서적 日ソ戦争 1945年8月―棄てられた兵士と居留民 みすず書房
[135] 웹인용 關東軍<2>-關特演・終戦時の対ソ戦 http://www.nids.mod.[...] 2023-02-24
[136] 웹사이트 Milestones: 1937–1945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21-11-04
[137] 웹사이트 Yalta Conference Summary, Dates, Consequences, & Facts https://www.britanni[...] 2021-11-04
[138] 웹사이트 Soviet-Japanese Neutrality Pact http://avalon.law.ya[...] 1941-04-13
[139] 웹사이트 Declaration Regarding Mongolia http://avalon.law.ya[...] 1941-04-13
[140] 웹사이트 Soviet Denunciation of the Pact with Japan http://avalon.law.ya[...] 1945-04-05
[141] 뉴스 So sorry, Mr Sato https://web.archive.[...] Time 1945-04-00
[142] 웹사이트 Russia and Japan https://web.archive.[...] CIA 1945-04-00
[143] 웹사이트 The German Surrender Documents – WWII http://www.ibiblio.o[...] iBiblio
[144] 서적 The Japanese-Soviet Neutrality Pact: A Diplomatic History 1941–1945 Routledge 2004
[145] 서적 Manchuria since 1931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49
[146] 서적 (정보 부족) 1999
[147] 저널 Missing Intentions: Japanese Intelligence and the Soviet Invasion of Manchuria, 1945 1984
[148] 서적 When Titans Clashed: How the Red Army Stopped Hitler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5
[149] 서적 Stalin and the bomb: the Soviet Union and atomic energy, 1939–1956 Yale University Press 1996
[150] 웹사이트 Soviet Declaration of War on Japan http://avalon.law.ya[...] 아발론 프로젝트, 예일 대학교 1945-08-08
[151] 문서 JM-77
[152] 문서 Coox
[153] 문서 Giangreco
[154] 문서 Coox
[155] 문서 Giangreco
[156] 문서 Coox
[157] 문서 Giangreco
[158] 웹사이트 The Pacific War Encyclopedia: Manchuria http://pwencycl.kgbu[...] 2017-03-21
[159] 문서 Coox
[160] 문서 Coox
[161] 문서 The Pacific War Encyclopedia: Manchuria
[162] 문서 Coox
[163] 문서 Coox
[164] 문서 Shtemenko
[165] 저널 Manchuria: Japan's Supply Base 1945
[166] 문서 Cherevko
[167] 문서 Shtemenko
[168] 문서 Shtemenko
[169] 문서 Glantz
[170] 문서 Cherevko
[171] 문서 Shtemenko
[172] 서적 Фронты Советских Вооружённых Сил во время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1941—45
[173] 웹사이트 2-й 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фронт http://victory.mil.r[...] Ministry of Defense of the Russian Federation 2017-10-12
[174] 서적 The Theory, Law, and Policy of Soviet Treati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2
[175] 서적 The Japanese Threat and Stalin's Policies Towards Outer Mongolia Routledge Curzon 2003
[176] 웹인용 Mongolia: A Country Study-Economic Gradualism and National Defense, 1932-45 http://countrystudie[...] Claitor's Pub Division 2016-11-27
[177] 웹인용 Japanese-Soviet Manchurian-Mongolian Border War: Khalkhin Gol (May-September 1939) http://histclo.com/e[...] 2016-11-27
[178] Ruheroes 2017-04-10
[179] 서적 Soviet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1945: "August Storm" Frank Cass Publishers 2003
[180] 서적 1991
[181] 서적 1991
[182] 간행물 JSOM vol. I 1955
[183] 서적
[184] 간행물 JSOM vol. I
[185] 서적
[186] 간행물 JSOM vol. I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논문 Bushidō or Bull? A Medieval Historian's Perspective on the Imperial Army and the Japanese Warrior Tradition http://ejmas.com/jal[...] 1994-05
[193] 웹사이트 Meiji Restoration leader's lessons of sincerity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6-12-10
[194] 서적 35년 (3) 1921-1925 의열투쟁, 무장투쟁, 그리고 대중투쟁 비아북 2018-04-13
[195] 웹사이트 No Surrender: Background History http://www.wanpela.c[...]
[196] 웹인용 BBC – History – World Wars: Japan: No Surrender in World War Two https://www.bbc.co.u[...] 2018-05-23
[197] 웹인용 Banzai Attack: Saipan https://www.national[...] 2021-12-15
[198] 웹인용 8 Legendary Battle Cries HISTORY http://www.history.c[...] 2021-12-15
[199] 웹인용 Japanese suicide attacks at sea http://www.ww2pacifi[...] 2010-09-11
[200] 서적 The Nobility of Failure: Tragic Heroes in the History of Japa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5
[201] 서적
[202] 웹사이트 USSBS Report 63 p. 71 https://www.scribd.c[...]
[203] 서적 Русский архив: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Ставка ВКГ: Документы и материалы 1944–1945 ТЕРРА 1999
[204] 웹사이트 苏军并未击败关东军 http://war.163.com/1[...] 精兵堂 2015-06-16
[205] 논문 Sino-Soviet Diplomacy and the Second Partition of Mongolia, 1945–1946 M. E. Sharpe 1999
[206] Wikidata
[207] 서적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 1941—1945: энциклопедия Сов. энциклопедия 1985
[208] 논문 August Storm: The Soviet 1945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http://usacac.army.m[...] Combat Studies Institute 1983-02
[209] 웹사이트 “特殊解放区”时期大连党组织的活动 http://dangjian.peop[...] 人民网-中国共产党新闻网,来源:辽宁《共产党员》杂志 2015-08-26
[210] 서적 Отношения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с народной Кореей 1945—1980. Документы и материалы 1981
[211]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1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1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14]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15]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1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12
[21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18]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19]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2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21]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2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2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24]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993
[225]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2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2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28] 서적 樺太地上戦 終戦後7日間の悲劇 (株)KADOKAWA 2019-10-25
[229] 서적 北東方面陸軍作戦(2)
[230] 웹사이트 Из описания десантной операции августа 1945 года, подготовленного в штабе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в 1947 году http://gspo.ru/lofiv[...] ЦAMO РФ. ф. 238. Оп. 1584. д. 159. л. 17-23, 26-48 2017-10-31
[231] 간행물 Камчатский оборонительный район Министерство культуры Камчатского края, Камчатская краевая научная библиотека им. С. П. Крашенинникова 2010
[232] 간행물 Август 1945 Танкомастер 2005
[233] 서적 Япония. Незавершенное соперничество
[234] 서적 35년 (6) 1936-1940 결전의 날을 준비하라 비아북 2023-03-04
[235] 웹사이트 寒风漫卷中东北抗日义勇军的悲壮归国路 http://www.zgdazxw.c[...] 中国档案报 2016-01-25
[236] 서적 在如來佛掌中: 張東蓀和他的時代
[237] 서적 中共抗日民族統一戰線透視 幼獅文化事業公司 1985-09
[238] 웹사이트 О 88-й отдельной стрелковой бригаде Красной армии https://harbin.mid.r[...] 2021-02-12
[239] 서적 35년 (7) 1941-1945 밤이 길더니··· 먼동이 튼다 비아북 2023-03-03
[240] 웹사이트 How an obscure Red Army unit became the cradle of the North Korean elite https://www.nknews.o[...] NK News 2019-06-01
[241] 웹사이트 88-я отдельная стрелковая бригада http://samsv.narod.r[...] 2021-02-12
[242] 웹사이트 蔣總統密錄之第一冊 俄提先決條件 http://freeman2.com/[...] 2011-07-12
[243] 서적 俄帝侵略中國史 http://books.google.[...] 國立編譯館 1957
[244] 웹사이트 The Emperor's Speech: 67 Years Ago, Hirohito Transformed Japan Forever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8-15
[245] 웹사이트 History – 1945 https://www.1945proj[...] The 1945 Project
[246] 뉴스 Memories on Board Battleship http://community.sea[...] Seattle Times 1998-05-21
[247] 웹인용 WW2 People's War – Operation Jurist and the end of the War https://www.bbc.co.u[...] 2017-03-11
[248] 웹인용 The Japanese Formally Surrender http://eresources.nl[...] National Library Board, Singapore 1945-09-12
[249] 웹사이트 Act of Surrender, 9 September 1945 http://www.taiwandoc[...] 2015-09-03
[250] 웹인용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1945,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Volume VI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22-06-23
[251] 웹인용 战史今日:8月9日苏联红军出兵中国东北 http://news.ifeng.co[...] 凤凰网>信息>军事>正文 2008-08-10
[252] 웹인용 重整河山二十天 http://www.vistastor[...] 看天下 2016-07-20
[253] 문서 蘇軍暴行調查表 中華民國外交部西亞司
[254] 문서 蘇軍駐金縣狀況 大連市史志辦公室
[255] 웹사이트 https://www.marxists[...]
[256] 웹인용 “特殊解放区”时期大连党组织的活动 http://dangjian.peop[...] 人民网-中国共产党新闻网,来源:辽宁《共产党员》杂志 2015-08-26
[257] 저널 《在建设旅大特殊解放区的日子里 》 http://qikan.cqvip.c[...] 中国人民政治协商会议广西壮族自治区委员会办公厅
[258] 저널 《抗日战争胜利后苏联红军进驻旅大地区的历史作用 http://d.et.wanfangd[...] 中共大连市委党校 大连行政学院 大连社会主义学院 2022
[259] 저널 《接收苏军驻旅大地区防务始末 https://www.zz-news.[...] 中国延安精神研究会
[260] 저널 An inquiry into the rise of communism in China https://scholarlycom[...] 1953
[261] 서적 The mission of General of the Army George C. Marshall to China to arrange for cessation of civil strife and to bring about political unification https://history.stat[...] U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1946
[262] 서적
[263] 웹인용 杨奎松《读史求实》:苏联给了林彪东北野战军多少现代武器 http://book.sina.com[...] 2011-11-24
[264] 서적
[265] 웹인용 Historical Evolution http://www.harbin.go[...] Harbin Municipal Government 2017-01-17
[266] 서적 Battling Western Imperi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267] 서적 The Geography of China: Sacred and Historic Places The Rosen Publishing Group
[268] 서적 Projecting a Nation: Chinese National Cinema Before 1949 Hong Kong University Press
[269] 웹인용 【延安记忆】"中国人民解放军"称谓由此开始 http://m.cnwest.com/[...] 2020-08-01
[270] 서적 Decisive Encounters: The Chinese Civil War, 1946–1950 Stanford University Press
[271] 저널 Stalin and the Chinese Civil War
[272] 서적 Mao Zedong as Poet and Revolutionary Leader: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Lexington books
[273] 뉴스 Taiwan in Time: The great retreat http://www.taipeitim[...]
[274] 웹인용 第二节 内蒙古人民共和国临时政府,内蒙古区情网,2011-4-14 http://www.nmqq.gov.[...]
[275] 웹인용 锡察地区的民族自治运动,锡林郭勒盟旅游局,2007-09-02 http://lyj.xlgl.gov.[...]
[276] 서적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사계절 2016-04-20
[277] 서적 Policy and Direction: The First Year http://www.history.a[...]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72
[278] 서적
[279] 서적
[280] 서적 Korea - Division of Korea https://www.britanni[...]
[281] 웹인용 Statement by the President on the Decision To Withdraw U.S. Forces From Korea, 1947-1949.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https://www.presiden[...] 2022-06-24
[282] 웹인용 Excerpts http://web.viu.ca/da[...] 2017-12-30
[283]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284] 간행물 Soviet Involvement in the Korean War: A New View from the Soviet-Era Archives OAH Magazine of History 2000-03-01
[285] 뉴스 CIA Files Show U.S. Blindsided By Korean War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3-02-16
[286]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2010
[287] 뉴스 GROMYKO BIDS FAIL; A DRAMATIC MOMENT AT CONFERENCE SOVIET BLOC LOSES ALL PARLEY VOTES. https://select.nytim[...] New York Times 1951-09-06
[288] 웹사이트 Text of Gromyko's Statement on the Peace Treaty https://www.mofa.go.[...]
[289] 웹인용 Jap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ompendium of Documents http://www.mofa.go.j[...]
[290] 서적 Japan, Russia and their Territorial Dispute: The Northern Delus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291] 웹사이트 Japan's Northern Territories (Pamphlet) http://www.mofa.go.j[...]
[292] 웹인용 抑留55年目の回顧~「シベリア抑留関係展示会」【3】 https://web.archive.[...] 2008-07-08
[293] 문서 Tokachi branch of the League of ''Chijima'' ''Habomai'' Islands Residents: 2008 16th Regular Meeting Proposals
[294] 뉴스 Japan displays documents to defend claims to disputed isle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8-01-25
[295] 간행물 A Historical Reevaluation of America's Role in the Kuril Islands Dispute Pacific Affairs 1999-01-01
[296] 웹인용 Putin says U.S. presence in Japan complicates signing of peace treaty https://japantoday.c[...]
[297] 웹인용 Russia's Cancellation of Peace Treaty Talks is a Blessing in Disguise for Japan https://www.rusi.org[...] Rusi 2022-04-05
[298] 웹사이트 Kuril Islands dispute http://everything.ex[...] The Public Opinion Foundation Database 2004-11-25
[299] 웹인용 V.Yatsko. My Solution of the Kuril Islands Problem http://samlib.ru/j/j[...]
[300] 뉴스 全國慶祝勝利 明日勝利日放假一天 大公報 1945-09-02
[301] 뉴스 70年前的今天胜利之日 举城狂欢 http://epaper.tianji[...] 每日新報 2015-09-03
[302] 뉴스 Подзабытое торжество http://www.ng.ru/pol[...] Новая газета 2010-03-26
[303] 웹인용 Парад в честь 80-летия Победы советских и монгольских войск на реке Халхин-Гол прошел в Улан-Удэ https://egov-buryati[...]
[304] 웹인용 Info https://regnum.ru/ne[...] Regnum.ru 2019-12-30
[305] 웹인용 戦後75年に考える シベリア抑留の悲劇はなぜ起きたのか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2-08-16
[306] 뉴스 “9·3”纪念抗战胜利阅兵“四个首次”值得关注 http://politics.peop[...] 人民网 2015-06-23
[307] 뉴스 部分国产现役主战装备将在抗战胜利日阅兵中首次展示 https://web.archive.[...] 央视新闻 2015-06-23
[308] 서적 地球の歩き方 モンゴル 2007-2008年版 ダイヤモンド社 2007
[309] 웹인용 The Zaisan Memorial http://www.atlasobsc[...]
[310] 웹인용 Impact of the Opening of Soviet Archives on Western Scholarship on Soviet Social History https://onlinelibrar[...] 2023-03-15
[311] 서적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Сигишоара-Сок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2023-08-07
[312] 서적 Август 1945 Международный центр истории флота 2023-08-07
[313] 서적 The Japanese-Soviet Neutrality Pact RoutledgeCurzon 2023-08-07
[314] 서적 History of Mongolia Monsudar 2023-08-07
[315] 서적 日ソ戦争史の研究 勉誠出版 2023-02
[316] 서적 歴史の回想・シベリア抑留 歴史研究会
[317] 서적 종전의 설계자들 1945년 스탈린과 트루먼 그리고 일본의 항복 메디치미디어 2019-02-28
[318] 서적 北方領土問題の真相: 千島列島とヤルタ会談 有信堂 1968
[319] 서적 北方領土は泣いている 国を売る平成の「国賊」を糺す 産経新聞出版 2007-07
[320] 서적 マンガ尖閣・竹島・北方領土 知らなきゃヤバい国境問題 ブックマン社 2013-07-25
[321] 서적 日本の国境問題 尖閣・竹島・北方領土 筑摩書房 2011-05
[322] 서적 コミンテルンの謀略と日本の敗戦 株式会社PHP研究所 2017
[323] 저널 The Literary Ideas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n Introduction to North Korean Meta-Authorial Perspectives http://clogic.eserve[...] 2009-01
[324] 서적 북한의 진실과 허위 시대정신 2006-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