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 문학은 고대, 중세, 근현대를 거치며 다양한 언어와 장르로 발전해 왔다. 고대 문학은 베다 문학, 서사시 문학으로 대표되며, 베다 문학은 브라만교의 종교, 철학적 문헌을 포함한다. 서사시 문학에는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가 있으며,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은 굽타 제국 시대에 번성했다. 중세 시대에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으로 힌두스탄어 문학이 발달했으며, 칸나다어, 텔루구어, 말라얄람어 등 지방어 문학이 성장했다. 근현대 문학은 19세기에 근대 산문 문학이 시작되었고, 20세기에는 다양한 장르와 사조가 발전했다. 인도 문학은 사히티아 아카데미 펠로우십, 자나피트 상 등 다양한 문학상을 통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191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인도 문학 | |
---|---|
인도 문학 | |
유형 | 문학 |
국가 | 인도 |
역사 | |
고대 | 고대 메이테이 팔리어 프라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 타밀어 타밀 상감 베다 산스크리트어 |
중세 초기 | |
중세 초기 | 벵골어 칸나다어 (멸종된 칸나다어) 말라얄람어 오디아어 텔루구어 |
중세에서 초기 근대 | |
중세에서 초기 근대 | 아삼어 아와디어 브라지 보이푸리어 영어 구자라트어 힌디어 카슈미르어 코크보로크어 콘카니어 마이틸리어 마라티어 메이테이어 미조어 네팔어 펀자브어 라자스탄어 신드어 우르두어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인도 영어 문학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Narayanrao, H.L. (2011). "A Brief on Indian Literature and Languages".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2 (3): 46. ISSN 2222-288X. Ayyappappanikkar (1997). Medieval Indian Literature: Surveys and selections. Sahitya Akademi. ISBN 978-81-260-0365-5. p. 326. Singh, Khelchandra Ningthoukhongjam (ed.). History of Old Manipuri Literature. Digital Library of India; Internet Archive. pp. 81, 82, 83. Ougri. Singh, Ch Manihar (1996). A History of Manipuri Literature. Sahitya Akademi. ISBN 978-81-260-0086-9. p. 13, 14. The Early Period (Ritual Songs) : Ougri. Ayyappappanikkar (1997). Medieval Indian Literature: Surveys and selections. Sahitya Akademi. ISBN 978-81-260-0365-5. p. 329. Wouters, Jelle J. P.; Subba, Tanka B. (2022-09-30). The Routledge Companion to Northeast India. Taylor & Francis. ISBN 978-1-000-63699-4. p. 473. Kshetrimayum, Jogendro (2009-10-03). "Shooting the Sun: A Study of Death and Protest in Manipur".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44 (40). Singh, Khelchandra Ningthoukhongjam (ed.). History of Old Manipuri Literature. Digital Library of India; Internet Archive. pp. 95, 96. Numit Kappa. Kshetrimayum, Jogendro (2009). "Shooting the Sun: A Study of Death and Protest in Manipur".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44 (40): 48–54. ISSN 0012-9976.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13". NobelPrize.org.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깨진 링크 |
2. 고대 문학
베다 산스크리트어로 쓰인 핵심 베다와 우파니샤드는 초기 작품에 해당한다. 슐바 수트라는 기하학에 관한 가장 초기의 텍스트 중 하나이다.
베다 비야사의 《마하바라타》와 발미키의 《라마야나》는 서사 산스크리트어로 쓰였으며, 가장 위대한 산스크리트 서사시로 여겨진다.
칼리다사는 ''라구밤샤''라는 서사시를 고전 산스크리트어로 썼다. 파니니의 ''아슈타드야이''는 고전 산스크리트어의 문법과 음성학을 표준화한 작품이다. ''마누 법전''은 힌두교의 유명한 텍스트이다. 칼리다사는 산스크리트 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극작가이자 시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그의 ''사쿤탈라의 인식''과 ''메가두타''는 각각 그의 가장 유명한 희곡과 시이다. 슈드라카의 ''므리차카티카'', 바사의 ''스바프나 바사바다탐'', 스리 하르샤의 ''라트나발리''도 유명한 희곡이다. 자야데바의 ''기타 고빈다''는 후기 시 작품이다. 차나키아의 ''아르타샤스트라''와 바트사야나의 ''카마 수트라''도 유명하다.
메이테이어(마니푸르어)의 고대 문학에는 우그리 (음악 작품),[2] 누밋 카파 (서사 작품),[3] 포이레이톤 쿤톡 (서사 작품),[7] ''켄초'' (7세기 이전 음악 작품),[8] 콩텍차 왕의 6-7세기 구리판 비문,[9] 판토이비 콩굴 (서사 작품),[10] 로이윰파 실리엘 (429년경 초안 작성, 11-12세기 완성된 문서 헌법)[11] 등이 있다.
아슈바고샤의 많은 작품, 상당수의 자이나교 작품, 라자셰카라의 『카르푸라마자리』는 샤우라세니어로 쓰였다. 바티카비야 제13장은 프라크리트어와 산스크리트어로 동시에 읽을 수 있는 "방언과 같은" 것으로 쓰였다.
2. 1. 북인도 문학
베다(Veda)는 중앙아시아 쪽에서 인도 서북부로 이주한 아리아 민족이 기원전 1500~500년경에 성립한 브라만교의 종교적, 철학적 문헌으로, 베다 문학은 이러한 문헌들을 총칭하는 낱말이다. 브라만교 성전의 이름이 "베다"이므로 "베다 문학"이라고 한다.인도의 고대 서사시 문학은 베다 문학과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 사이에 위치하며,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의 선구가 된다. 고대 서사시 문학에는 인도의 국민적 양대 서사시인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가 있다.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은 굽타 제국 이후 인도 중왕국 시대인 기원후 3세기부터 8세기(또는 13세기)까지의 문학을 지칭한다. 흔히 산스크리트 문학이라고 하면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을 의미하며, "중고 문학(中古文學)"[53]이라고도 불린다. 이 시기에 인도 문학은 완성의 경지에 이르렀고, 많은 문예 작품이 성립되어 황금시대를 이루었다.
2. 1. 1. 베다 문학

베다(Veda)는 중앙아시아 쪽에서 인도 서북부로 이주한 아리아 민족에 의해 기원전 1500~500년경 동안 성립된 브라만교의 종교적, 철학적 문헌이다. 베다 문학은 이러한 종교적, 철학적 문헌을 총칭하는 낱말이며, 브라만교의 성전(聖典) 이름이 "베다"이므로 그 이름을 따서 "베다 문학"이라고 한다. 베다 문학의 중심은 투리야라고 부르는 다음 4종의 삼히타("집성(集成) 본집(本集)")이다.
- 《리그 베다(Ṛgveda, Rigveda)》: 자연 찬미의 서정시가를 집대성한 가장 오랜 문헌
- 《사마 베다(Sāmaveda, Samaveda)》: 가곡을 위한 것
- 《야주르 베다(Yajurveda)》: 제식(祭式)을 위한 것
- 《아다르바 베다(Atharvaveda)》: 재앙을 털어버리고 복을 비는 것
이들 4종의 베다서를 근간으로 하여, 각 제식(祭式)의 법칙, 찬가, 주문에 대해 해설한 신학적 문헌인 브라마나(Brahmana), 숲에서 전수된 비법을 모은 아란야카(Aranyaka), 범아일여(梵我一如)의 요체를 풀이한 철학적 문헌인 우파니샤드(Upanishad)가 발달하였다. 그 후, 다시 제식의 실행에 필요한 보조 지식으로 6가지의 베단가(Vedanga)가 발달하였다.
베다 산스크리트어로 쓰인 핵심 베다와 우파니샤드는 초기 작품의 예이다. 슐바 수트라는 기하학에 관한 가장 초기의 텍스트 중 하나이다.
『리그베다』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기원전 1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대 인도에서는 성전이 구전으로 전해졌다. 판디트(Pandit)라고 불리는 집단에 의해 전승되었고, 그 방법은 슈루티(Śruti, 천계 성전)와 스므리티(Smriti, 전승 성전)로 구분되었다. 기원전 7세기경에 완성된 전통적인 베다 문헌을 나타내는 슈루티는 특히 구전이 중시되었다. 제식의 방법 등을 전하는 실용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스므리티는 간략한 문체를 갖는다. 슈루티도 후세에는 문자로 기록되게 되었다.
2. 1. 2. 고대 서사시 문학
인도의 고대 서사시 문학(Epic Sanskrit literature)은 베다 문학(1500-500 BC)과 인도 문학의 최전성기를 이룬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AD 3-8세기경)의 중간에 위치하는 문학으로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의 선구가 되는 문학이다. 고대 서사시 문학에 속한 것이 인도의 국민적 양대 서사시인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이다. 이 두 서사시는 서사 산스크리트어(Epic Sanskrit)로 쓰여졌으며,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온 설화와 전설을 기초로 한다. 이 양대 서사시에서 묘사하는 시대가 기원전 800년부터 기원후 200년까지의 인도 서사 시대(Epic India)이다.


쿠루크셰트라 전투를 그린 그림
《마하바라타》는 바라타족의 대전쟁을 서술한 것으로 4세기경에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라마야나》는 인도의 영웅적인 왕인 라마의 무용담으로 2세기경에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이 두 서사시는 그리스의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나 오디세이아와 비견되는 세계 굴지의 대서사시로서 인도는 물론 다른 나라의 후대의 사상과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베다 비야사의 《마하바라타》와 발미키의 《라마야나》는 서사 산스크리트어로 쓰였으며, 가장 위대한 산스크리트 서사시로 여겨진다.[1]
고대 인도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산스크리트어의 장대한 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가 알려져 있다.[2] 『라마야나』는 코살라국의 영웅 라마 왕자의 전설 모음으로, 시인 발미키의 작품이라고도 하며, 3세기경에 현재의 내용으로 정리되었다.[2] 『마하바라타』는 판다바족과 바라타족의 전투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로, 전설적인 리시(성선)인 비야사의 작품이라고도 하며, 굽타 제국 시대에 현재의 내용으로 정리되었다.[2] 모두 힌두교의 세계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마하바라타』에는 중요한 성전인 시편 『바가바드 기타』가 포함되어 있다.[2]
2. 1. 3.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
기원전 4세기경 파니니(Panini)가 고전 산스크리트어 문법을 완성하였다.[53] 이후 고전 산스크리트어는 고대 인도의 일상적인 속어인 프라크리트어(Prakrit)와 함께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의 용어로서 널리 사용되어 카비야(Kāvya)라는 각종 문예작품이 출현하였다.최초의 작가로는 불교 시인 아슈바고샤(Aśvaghoṣa)(1-2세기)가 있고, 극작가 바사(Bhāsa)(2-3세기 또는 5세기)와 슈도라카(Śudraka)(4세기)가 나왔고, 후에 인도의 셰익스피어라고 일컫는 칼리다사(Kalidasa)(4/5세기)가 나와 융성기를 이루었다.
칼리다사 이후 약 800년간은 고전 문학의 최전성기로서 각 분야에서 많은 작가가 쏟아져 나왔다. 서정시에서는 바르트리하리(Bhartrihari)(5세기), 아마루(Amaru)(7/8세기), 자야데바(Jayadeva)(13세기) 등 많은 시인이 나타났다. 서사시에서는 바라비(Bharavi)(6세기), 바티(Bhatti)(7세기), 마가(Magha)(7/8세기)의 3대 시인이 있었다. 희곡에서는 세 편의 희곡을 남긴 하르샤(Harsha)(7세기) 왕과 거장 바바부티(Bhavabhuti)(8세기) 등이 있었다. 산문으로 된 전기 소설(傳奇小說)에는 수반두(Subandhu)(5세기), 단딘(Dandin)(6/7세기), 바나(Bana)(7세기) 등이 나와서 새 분야를 개척했다. 설화 문학에서는 《판차탄트라(Pancatantra)》(1200 BC-300 AD)와 현존하지 않는 대설화집 《브르하트카타(Brhatkatha)》의 개작본인 《카타사리트사가라(Kathasaritsagara)》(11세기)를 포함한 크고 작은 설화집이 나왔다.
유명한 시인이자 극작가인 칼리다사는 라구밤샤(Raghu 왕조)를 썼는데, 서사 산스크리트어 대신 고전 산스크리트어로 쓰였다. 고전 산스크리트어로 쓰인 다른 작품으로는 고전 산스크리트어의 문법과 음성학을 표준화한 파니니의 ''아슈타드야이''가 있다. ''마누 법전''은 힌두교의 유명한 텍스트이다. 칼리다사는 종종 산스크리트 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극작가이자 산스크리트 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시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그의 ''사쿤탈라의 인식''과 ''메가두타''는 각각 칼리다사의 가장 유명한 희곡과 시이다. 다른 유명한 희곡으로는 슈드라카의 ''므리차카티카'', 바사의 ''스바프나 바사바다탐'', 그리고 스리 하르샤의 ''라트나발리''가 있다. 후기 시 작품으로는 자야데바의 ''기타 고빈다''가 있다.
2. 1. 4. 프라크리트어 문학
산스크리트 문학이 이슬람교의 침입과 유럽 제국의 식민지 세력 때문에 쇠퇴하면서, 여러 방언 문학이 나타났다.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은 페르시아 문학이 유입되면서 다채로운 근대 문학 시대가 열렸다.- 힌디 문학: 힌디어는 크게 두 가지 방언군으로 나뉘는데, 힌디 문학에서는 힌두교의 신들 중 크리슈나와 라마를 숭배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 펀자브 문학: 가장 오래된 문학 작품은 시크교 문학이다. 시크교의 경전인 《아디 그란트》는 대부분 힌디어로 쓰였지만, 일부 찬미가는 펀자브어로 기록되었다.
- 구자라티 문학: 14세기경부터 시작되었으며, 자이나교도의 작품이 많다. 힌두교도의 작품으로는 크리슈나 신을 찬미하는 시와 극이 많으며, 이러한 종교적 경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 마라티 문학: 13세기경부터 시작되었으며, 힌두교 비슈누 신의 화신인 비토바에게 바치는 찬가가 중심을 이룬다.
아슈바고샤(Aśvaghoṣa)의 많은 작품은 샤우라세니어(Śaurasenī)로 쓰였으며, 상당수의 자이나교 작품과 라자셰카라(Rajashekhara)의 『카르푸라마자리(Karpuramanjari)』 역시 샤우라세니어로 쓰였다. 바티카비야(Bhaṭṭikāvya) 제13장은 "방언과 같은"(bhāṣāsama) 것으로 쓰여, 프라크리트어와 산스크리트어 두 언어로 동시에 읽을 수 있다.
2. 2. 남인도 문학
타밀어로 쓰인 문학은 2천 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54] 현존하는 최초의 타밀어 기록은 기원전 3세기의 석문 칙령과 영웅석(Hero stones영어)이다.[55]남인도에서는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3세기에 걸쳐 타밀 문학이 번성했다. 2대 시화집 『에투토카이(Eṭṭuttokai)』와 『파투파투(Pattuppāṭṭu)』, 음운론과 시론을 포함하는 문법서 『톨카피얌(Tolkāppiyam)』이 만들어졌으며, 마두라이에 존재했던 학술원에 연관되어 상감 문학(샹감 문학)이라고도 불렸다.
인도에서 인생의 3대 목적이라고 불리는 '법'(다르마), '재'(아르타), '애'(카마)도 문예의 소재가 되었으며, 그 가장 초기의 작품으로는 티루발루바르의 타밀어 격언 시집 『티루쿠랄』이 있다.

2. 2. 1. 상감 문학
상감 문학(타밀어: சங்க இலக்கியம், ''상가 일라키얌'')은 기원전 300년 부터 기원후 300년까지의 남인도사 시대(타미자감 또는 타밀라감으로 알려짐)의 고대 타밀 문학이다.[14][15][16][17][18] 이 컬렉션에는 473명의 시인이 작곡한 2381편의 타밀어 시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102명은 익명으로 남아 있다.[19]이용 가능한 상감 문학의 대부분은 세 번째 상감에서 유래했으며,[20] 이 기간은 상감 시대로 알려져 있다. 이는 문학 아카데미가 수천 년 동안 지속되었다고 주장하는 상감 전설을 의미하며, 문학 작품에 이름을 부여했다.[21][22][23] 짧은 시 중에서 유일한 종교시는 ''파리파탈''에 등장한다. 나머지 상감 문학은 인간 관계와 감정을 다루고 있다.[24]
상감 문학은 사랑, 전쟁, 통치, 무역, 사별 등 정서적이고 물질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25] 티루발루바르, 마물라나르와 같은 위대한 타밀 학자들이 상감 시대에 살았다.[26][27]
상감 시대에는 《톨카피얌》 등의 언어학과 시학을 아우르는 서적, 《실라파티카람(Cilappatikaram)》을 비롯한 타밀 5대 서사시 등이 탄생하여 문학이 크게 융성하였다.[57]
2. 2. 2. 상감 시대 이후의 타밀 문학
상감 시대 이후의 타밀 문학은 교훈서, 종교서, 서사시 등이 발달한 후 상감 시대부터 촐라 제국의 번성에 힘입은 중세 시대, 비자야나가르 제국과 마두라이 나야크 왕조 시대, 영국을 비롯한 유럽 열강과의 접촉으로 시작된 근현대 시대로 나뉜다.[57]바크티 운동은 중세 힌두교에서 중요한 종교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구원을 달성하기 위해 헌신의 방식을 채택하여 사회의 모든 계층에 종교 개혁을 가져오고자 했다.[29] 기원전 6세기경 타밀라캄에서 시작되어,[30][31][32][33] 바이슈나바 알바르와 샤이바 나야나르의 시와 가르침을 통해 북쪽으로 확산되었다.[28]
2. 3. 불교 문학과 자이나교 문학
원시 불교의 경전인 티피타카(경·율·논의 삼장(三藏))는 프라크리트어의 일종인 팔리어로 기록되었다. 불교 문학 중에는 설화집 《자타카》처럼 문학적 가치가 높은 것이 많다. 불교 문학은 나중에는 산스크리트어로도 작성되었다. 1세기-2세기의 불교 시인이었던 아슈바고샤[58]에 이어 많은 불교 시인이 나왔다.자이나교는 마하비라(599-527 BC)[59]가 기초를 확립한 종교로서 불교와 더불어 브라만교에 대항하였으며, 고대 인도에서 번성하였던 종교이다. 자이나교 문학은 힌두교의 크리슈나 신화, 불교의 설화집인 《자타카》, 힌두교의 서사시 중 하나인 《라마야나》등과 같은 인도의 고대 신화와 전설에서 소재를 가져와 성립되었다.
정통 팔리 문학에는 불교 담론 (''수트라''), 아비담마, 시, 승가의 율에 관한 저작 (''비나야''), 그리고 ''자타카 이야기''가 포함된다.
3. 중세 문학
13세기 이후 인도에서는 이슬람교의 영향이 커지면서 문학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델리 술탄조와 무굴 제국 시대에는 페르시아어가 행정, 학문, 궁정 문학에서 사용되는 공용어가 되면서, 페르시아 문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46]
이 시기에는 여러 지방에서 고유한 언어로 쓰인 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남인도에서는 9세기에 칸나다어로 쓰인 수사학·시론인 『카비라자마르가』가 쓰였으며, 11세기에는 텔루구어 시인 난냐야가 『라마야나』를 번역했다. 타밀어와 산스크리트어가 섞인 마니프라발라라는 문체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같은 시기에 말라얄람어가 타밀어에서 파생되었다. 말라얄람어로는 13세기에 『마하바라타』가 번역되었다.
3. 1. 페르시아 문학의 영향
델리 술탄조와 무굴 제국 시대에 페르시아어는 행정, 학문, 궁정 문학에서 사용되는 공용어였다.[46] 특히 무굴 제국에서는 고전 작품들이 페르시아어로 번역되었고, 페르시아어로 된 창작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1세기 초부터 중앙아시아의 튀르크 및 아프간 왕조가 인도 아대륙으로 유입되면서 페르시아어가 인도 아대륙에 들어오게 되었고, 초기 이슬람 시대부터 인도 아대륙 북부에서 대부분의 교육받은 사람들과 정부에서 페르시아어를 사용했다.[46]페르시아어와 아라비아어의 영향을 받아 힌두스탄어가 탄생했고, 힌두스탄어로 된 창작 활동도 시작되었다. 15세기 카비르는 힌디어로 종교 시를 썼으며, 18세기 미르 타키 미르는 우르두어로 다수의 연애시(가잘)를 썼다.

3. 2. 지방어 문학의 발흥
칸나다어 문학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서기 450년 할미디 비문이며, 트리파디 운율의 시는 서기 700년 카페 아라바타 기록이다. 칸나다 문학은 민속 형태가 다른 어떤 문학보다 먼저 시작되었다. 시바마라 2세의 ''Gajashtaka''(서기 800년), 툼발라차리아의 ''Chudamani''(서기 650년)는 현재 멸종된 초기 문학의 예이다. 아모가바르샤 1세(서기 850년)의 ''카비라자마르가''는 칸나다어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학 작품으로, 이전 세기 문학에서 사용된 다양한 칸나다 방언을 표준화하기 위한 문학 비평 및 시학에 관한 저작물이다. 이 책은 6세기 두르비니타 왕과 636년 아이홀 기록의 저자인 라비키르티 등 초기 작가들의 칸나다 작품을 언급한다. 900년 시바코티아차리아의 ''Vaddaradhane''는 슈라바나벨라골라의 바드라바후의 삶을 상세히 묘사한 초기 현존하는 산문 작품이다.[37] 칸나다어 문법에 관한 가장 오래된 저작물은 칸나다 문법과 문학 스타일의 기존 변형을 통일하기 위한 지침으로, 칸나다어 문학은 수세기 전에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아디카비 팜파는 칸나다 고유의 참푸 스타일을 대중화한 서사시 "비크라마르주나 비자야"와 "아디푸라나"를 썼다. 폰나, 라나 등 다른 유명한 시인들은 "샨티나타푸라나", "부바나이카라마브유다야", "지낙샤라마레", "가타프라티아가타", "가다유다"를 썼다. 자이나교 시인 나가바르마 2세는 "카비야발로카나", "카르나타바샤부샤나", "바르다마나푸라나"를 썼다. 자나는 "야쇼다라 차리타"를 썼고, 루드라바타와 두르가심하는 각각 "자간나타 비자야"와 "판차탄트라"를 썼다. 중세 시대 작품은 자이나교와 힌두교의 원칙에 기초한다. 12세기 바차나 사히티야 전통은 순수하게 토착적이며 세계 문학에서 독특하다.[38]
인도에서 세 번째로 많은 화자를 가진 텔루구어(힌디어와 벵골어 다음)는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기원전 300년부터 비문 형태로 문학이 존재해 왔다. 가장 오래된 문헌은 서기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9세기에는 칸나다어로 쓰인 수사학·시론인 『카비라자마르가』가 쓰였으며, 11세기에는 텔루구어 시인 난냐야가 『라마야나』를 번역했다. 타밀어와 산스크리트어가 섞인 마니프라발라 문체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같은 시기에 말라얄람어가 타밀어에서 파생되었다. 말라얄람어로는 13세기에 『마하바라타』가 번역되었다.
3. 3. 중세 산스크리트 문학
11세기의 저명한 산스크리트 시인으로는 연애시와 그 성립에 대한 전설로 유명한 빌하나가 있으며, 13세기의 자야데바는 크리슈나에 얽힌 서정시 《기타 고빈다》를 썼다. 10세기에서 12세기에 걸쳐 바르트리하리의 《샤타카 트라얌》이 묶어졌다.소마데바의 《베탈라 판차빈샤티카(시귀 25화)》, 《슈카 사프타티(앵무 70화)》 등의 설화집이 있다. 인도의 설화집에서 볼 수 있는 액자식 구성 구조는 《천일야화》의 성립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여겨진다.
4. 근현대 문학
19세기 이후 인도 문학은 서구의 영향을 받아 산문 문학이 크게 발전했다. 1800년 콜카타에 설립된 포트 윌리엄 칼리지는 영국인 직원들에게 인도의 언어와 문화를 가르치기 위해 다양한 인도 언어로 된 문학 작품을 번역하고 문법서와 사전을 제작했다.[1]
1857년 인도 대반란 이후 근대화와 독립 요구가 거세지면서 문학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여러 언어에서 산문체가 활발히 쓰였고, 벵골어 문학에서는 벵골 르네상스가 일어나 방킴 찬드라 차토파디야이, 마이클 마두수단 더트 등이 활동했다.[1]
20세기에는 문시 프렘찬드가 리얼리즘 문학을 널리 알렸고, 우르두어와 힌디어로 사회 문제를 다룬 작품을 썼다. 벵골어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기탄잘리를 영어로 번역해 1913년 아시아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1930년대에는 프렘찬드를 중심으로 진보주의 작가 협회가 설립되어 민중의 삶을 다룬 작품이 많아졌다.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어, 크리샨 찬다르, 비슈마 사흐니, 크리슈나 발데오 바이드 등이 동란 문학을 썼다. R. K. 나라얀, 쿠쉬완트 싱, 아미타브 고쉬, 키란 데사이 등은 영어로 작품을 쓰는 대표적인 인도 작가들이다.
4. 1. 19세기: 근대 문학의 태동
1800년 포트 윌리엄 칼리지(Fort William College) 설립은 근대 이후 산문 문학 확산의 계기가 되었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영국인 직원들의 현지어 교육을 위해 콜카타에 이 기관을 설립하고, 인도의 언어, 법률, 역사, 풍속 등을 가르쳤다. 칼리지에는 힌두스탄어를 비롯한 각 언어의 어학과가 설립되었으며, 산스크리트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영어 등의 문헌이 각 지방어로 번역되었고, 문법서와 사전도 제작되었다.[1]인도 대반란 이후, 근대화와 독립을 요구하는 운동이 높아지면서 문학도 그 영향을 받았다. 지금까지 산문 작품이 활발하지 않았던 언어에서도 산문체가 쓰이게 되었으며, 가리브는 페르시아어 어휘를 풍부하게 사용한 우르두어로 시와 서간집을 썼다. 벵골에서는 벵골 르네상스(Bengal Renaissance)라 불리는 운동이 일어나 방킴 찬드라 차토파디야이, 마이클 마두수단 더트 등의 벵골어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다.[1]
4. 2. 20세기: 다양한 문학의 발전

소설 분야에서는 문시 프렘찬드가 리얼리즘을 널리 퍼뜨렸다. 프렘찬드는 우르두어와 힌디어로 작품을 창작하며 사회 문제 의식을 표현했다. 벵골어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시집 『기탄잘리』를 직접 영어로 번역하여 호평을 받았고, 1913년 아시아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1930년에는 프렘찬드가 문예지 "한스"( ''Hans'' )를 창간했고, 1936년에는 진보주의 작가 협회가 설립되어 프렘찬드가 제1회 대회의 의장이 되었다. 1930년대 이후에는 민중을 다루는 작품이 증가했으며, 빈곤, 전통과의 관계 등도 소재가 되었다.
1947년 인도는 독립을 달성했지만,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에 따른 동란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이를 그린 작품은 동란 문학이라고도 불린다. 크리샨 찬다르의 『페샤와르 특급』, 비슈마 사흐니의 『타마스』, 크리슈나 발데오 바이드의 『지나간 날들』 등이 있다.
그 외 작가로는 사티야지트 레이에 의해 영화화된 것으로 유명한 비부티부샨 반도파다이, 벵골어 단편 소설의 명수 타라샹카르 반도파다이, 사회의 가혹함과 복잡함을 유머를 섞어 그리는 힌디어 작가 우다이 프라카시 등이 있다. 영국령 시대부터의 영향으로 영어로 저술 활동을 하는 작가도 많으며, 가상의 도시 마르구디를 무대로 소설을 계속 쓴 R. K. 나라얀, 『수도 델리』로 중층적인 역사 소설을 쓴 쿠쉬완트 싱, 사히티아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아미타브 고쉬, 여성 최연소로 부커상을 수상한 키란 데사이 등이 있다.
4. 3. 영어 인도 문학
20세기에는 여러 인도 작가들이 전통적인 인도의 언어뿐만 아니라 영국으로부터 물려받은 영어로도 두각을 나타냈다. 영국의 식민지화로 인해 인도는 인도 영어로 알려진 독특한 방언을 발전시켰다.영국령 시대부터의 영향으로 영어로 저술 활동을 하는 작가도 많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가상의 도시 마르구디를 무대로 소설을 계속 쓴 R. K. 나라얀, 『수도 델리』로 중층적인 역사 소설을 쓴 쿠쉬완트 싱, 사히티아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아미타브 고쉬, 여성 최연소로 부커상을 수상한 키란 데사이 등이 있다.
5. 인도 문학의 주요 상
인도 문학의 주요 상으로는 다음이 있다.
- 사히티아 아카데미 펠로우십
- 자나피트 상
- 사히티아 아카데미 상
- 비아스 삼만
- 사라스와티 삼만
현대 인도 문학에서 가장 권위 있는 두 가지 문학상은 사히티아 아카데미 펠로우십과 자나피트 상이다. 힌디어와 칸나다어로 각각 8개의 자나피트 상이 수여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벵골어와 말라얄람어로 각각 5개, 오디아어, 구자라트어, 마라티어, 텔루구어 및 우르두어로 각각 4개, 아삼어, 콘칸어 및 타밀어로 각각 2개, 산스크리트어와 카슈미르어로 각각 1개가 수여되었다.[4]
6.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인도 문학 작가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1913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1]
참조
[1]
논문
A Brief on Indian Literature and Languages
[2]
서적
Medieval Indian Literature: Surveys and selections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7
[2]
서적
History of Old Manipuri Literature
https://archive.org/[...]
Digital Library of India; Internet Archive
[2]
서적
A History of Manipur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6
[2]
서적
Medieval Indian Literature: Surveys and selections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7
[3]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Northeast In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09-30
[3]
논문
Shooting the Sun: A Study of Death and Protest in Manipur
https://www.epw.in/j[...]
2009-10-03
[3]
서적
History of Old Manipuri Literature
https://archive.org/[...]
Digital Library of India; Internet Archive
[3]
논문
Shooting the Sun: A Study of Death and Protest in Manipur
https://www.jstor.or[...]
2009
[4]
백과사전
Kannada literature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
[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13
https://www.nobelpri[...]
2024-02-23
[6]
서적
Indian Literature – Volume 14 – Page 20
Sahitya Akademi
1971
[6]
서적
Manipuri Language: Status and Importance
https://books.google[...]
N. Tombi Raj Singh
1975
[6]
서적
Manipur, Past and Present: The Heritage and Ordeals of a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988
[7]
서적
History of Old Manipuri Literature
https://archive.org/[...]
Digital Library of India
[7]
서적
The Cultural Heritage of India: Languages and literatures
https://books.google[...]
Ramakrishna Mission, Institute of Culture
1953
[8]
서적
History of Old Manipuri Literature
https://archive.org/[...]
Digital Library of India; Internet Archive
[8]
서적
Medieval Indian Literature: Surveys and selections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7
[8]
서적
A History of Manipur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6
[9]
웹사이트
মণিপুরি ভাষা ও লিপি – এল বীরমঙ্গল সিংহ
https://aponpath.com[...]
2021-09-16
[9]
서적
Glimpses of Manipuri Culture
https://books.google[...]
Lulu.com
2019-06-16
[9]
서적
Medieval Indian Literature: Surveys and selections (Assamese-Dogri)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7
[9]
서적
Tribes and Castes of Manipur: Description and Select Bibliography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992
[10]
서적
Glimpses of Manipuri Culture
https://books.google[...]
Lulu.com
2019-06-16
[10]
서적
A Dictionary of Indian Literature: Beginnings-1850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1998
[10]
웹사이트
The relationship between Thang-Ta & Meitei Pung maintained by our Ancient ...
https://ccrtindia.go[...]
Centre for Cultural Resources and Training
[11]
서적
Manipur: Treatise & Documents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993
[11]
서적
History of Old Manipuri Literature
https://archive.org/[...]
Digital Library of India; Internet Archive
[11]
서적
Law and Society: Strategy for Public Choice, 2001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991
[12]
서적
Bhatti's Poem: The Death of Rávana (Bhaṭṭikāvya)
http://www.claysansk[...]
Clay Sanskrit Library
2009
[13]
논문
An Analysis of the Prākṛta of Bhāśā-sama of the Bhaṭṭi-kāvya (Canto XII)
Utkal University
2003
[14]
서적
Ancient India
2009
[15]
서적
Companion Studies to the History of Tamil Literature
[16]
서적
A History of South India
OUP
1955
[17]
웹사이트
Classical Tamil
http://www.ciil-clas[...]
[18]
웹사이트
Jain History of Tamil Nadu vandalised
http://jainology.blo[...]
2009-07-10
[19]
서적
The Poems of Ancient Tamil
U of California P
1975
[20]
서적
Shilappadikaram: (The Ankle Bracelet)
https://books.google[...]
New Directions Publishing
1965-01-01
[21]
서적
A History of South India
OUP
1955
[22]
서적
History of Tamil language and literature
[23]
서적
A History of India
Blackwell
1998
[24]
서적
A History of South India
OUP
1955
[25]
논문
Chera, Chola, Pandya: Using Archaeological Evidence to Identify the Tamil Kingdoms of Early Historic South Ind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
[26]
서적
Morality and Ethics in Public Life
[27]
서적
Essays on Indian Society
[28]
서적
The Sants: Studies in a Devotional Tradition of India
Motilal Banarsidass
1987
[29]
뉴스
CBSE Class 12 History #CrashCourse: Bhakti movement's emergence and influence
https://www.indiatod[...]
2019-01-24
[30]
서적
The Bhakti Movement: Renaissance or Revivalis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10-04
[31]
서적
A Storm of Songs: India and the Idea of the Bhakti Move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32]
서적
Temples of Kr̥ṣṇa in South India: History, Art, and Traditions in Tamil nāḍu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02
[33]
서적
Keywords for India: A Conceptual Lexicon for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02-20
[34]
웹사이트
The writers of the Charyapada, the Mahasiddhas or Siddhacharyas, belonged to the various regions of Assam, Bengal, Orissa and Bihar.
https://sites.google[...]
2020-07-14
[35]
서적
Passionate Enlightenment::Women in Tantric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36]
뉴스
Documentary film, books on Bhabananda–Nalini Prava
http://www.sentinela[...]
2014-12-04
[3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Kannada Literature-I
http://www.kamat.com[...]
Kamat's Potpourri
2006-11-04
[38]
뉴스
Declare Kannada a classical language
http://www.hindu.com[...]
2005-05-27
[39]
서적
A survey of Maithil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am Vilas Sahu
[40]
서적
Early history of Kamarupa
https://archive.org/[...]
Published by the Author
[41]
웹사이트
The great Meitei Reconciliation Process: Revisiting the classical folklore on "Emoinu Chakhong Ngahongbi" by Late Shri Ningomabam Angouton Meetei – KanglaOnline
https://kanglaonline[...]
2011-04-04
[41]
서적
AKASHVANI: Vol. XXXIII, No. 12 ( 17 MARCH, 1968 )
All India Radio (AIR), New Delhi
1968-03-17
[41]
서적
The Penguin Book of Classical Indian Love Stories and Lyrics
Penguin UK
2000-10-14
[42]
서적
Modern Indian Literature, an Anthology: Surveys and poems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2
[42]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Devraj to Jyoti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42]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1911-1956, struggle for freedom : triumph and tragedy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43]
웹사이트
Vanglaini
https://www.vanglain[...]
[44]
웹사이트
Giant new chapter for Nagpuri poetry
https://www.telegrap[...]
2012-11-05
[45]
웹사이트
JOURNAL OF CRITICAL REVIEWS A Study of the Special Features of Nagpuri Language of Jharkhand
https://www.research[...]
research gate
2020-07
[46]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47]
웹사이트
Ojapali – A performing art form of Assam
https://www.oknorthe[...]
[48]
저널
Assamese literature
https://www.jstor.or[...]
1957
[49]
웹사이트
Jnanpith Home
http://jnanpith.net/
[50]
뉴스
Kunwar Narayan to be awarded Jnanpith
http://www1.timesofi[...]
2008-11-24
[51]
서적
『アラビアン・ナイト』あとがき
平凡社
[52]
문서
중고 문학
http://book.naver.co[...]
[53]
웹사이트
인도문학
http://100.naver.com[...]
2011-02-15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문서
마명
[59]
문서
대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