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는 도시의 창의력과 창조성을 증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는 유네스코의 사업이다. 이 네트워크는 문학, 영화, 음악, 공예 및 민속 예술, 디자인, 미디어 아트, 음식 등 7개 분야에서 창의 도시를 선정하여, 도시 간의 교류와 협력을 지원한다. 2023년 기준으로 전 세계 295개 도시가 창의 도시로 지정되었으며, 한국은 10개 도시가 참여하고 있다. 창의도시는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고, 기후 변화, 빈곤, 불평등 등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젠트리피케이션, 재정적 어려움 등의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 - 쓰레기
    쓰레기는 생분해성, 재활용 가능, 불활성, 전자, 복합, 위험, 유독성, 의료 폐기물 등으로 분류되며, 재활용, 퇴비화, 매립,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리된다.
  • 도시 - 우크메르게
    우크메르게는 리투아니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빌크메르게 강에서 유래한 여러 설이 있는 원래 이름 빌크메르게에서 시작하여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13세기부터 기록되었고, 잦은 공격과 봉기, 전쟁, 문화적 억압과 강제 추방을 겪은 후 리투아니아 독립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안타나스 스메토나 전 대통령 등 저명 인사를 배출했으며, 2021년 기준 약 21,258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역사적 건축물과 조형물이 있는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은 도시이다.
  • 유네스코 - 국제 기념일
    국제 기념일은 전 세계적으로 특정 사건을 기념하거나 문제 인식을 높이거나 특정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 제정되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유엔, 각국 정부, 시민단체 등이 주도하는 기념 행사들을 말한다.
  • 유네스코 - 생물권보전지역
    생물권보전지역은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계획에 따라 생태계 보전, 생물다양성 유지,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지정되어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분 관리되는 지역이다.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개요
유형유네스코 프로젝트
목표창의성을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의 전략적 요소로 활용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풍요롭게 함.
가입 조건문화, 창의성,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헌신
유네스코의 목표와 이상에 대한 지지
회원 혜택국제적 인지도 향상
모범 사례 공유 및 협력 기회 확대
도시 개발 및 문화 정책 수립 지원
창의 산업 발전 및 경제 성장 촉진
역사
설립2004년
목표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위한 창의성 활용 증진
창립 주도 인물찰스 랜드리(Charles Landry)
초기 목표도시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창의적 산업 발전 지원
활동
분야공예와 민속 예술
미디어 아트
영화
디자인
미식
문학
음악
주요 활동회원 도시 간 정보 및 경험 교환
공동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개발
창의 산업 관련 연구 및 출판
국제 포럼 및 회의 개최
조직
회원 도시 수2022년 기준 295개 도시
회원 국가 수90개국 이상
사무국유네스코 본부 (프랑스 파리)
운영 방식회원 도시 간 협력 및 유네스코의 지원
추가 정보
외부 링크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 공식 웹사이트
관련 문서세계화

2.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의 의의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는 유엔과 유네스코에 가입했거나 옵서버로 참여하는 국가 및 지역(국가 승인을 받은 유엔 비가입 국가 및 지역 목록 참조)의 도시가 신청할 수 있다.[9] 심사는 유네스코가 위임하는 전문가 위원회(연구자와 NGO)가 진행한다.[9]

신청 도시는 해당 분야의 창조 산업이 발전한 경위, 경제적 성과,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중장기적 전망 등을 제시해야 한다.[10][11] 또한,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에 대한 노력과 여성, 청년, 장애인 등 다양한 구성원의 참여도 요구된다.[12]

2015년부터 2년마다 홀수 해에 선정하며, 6월 말에 신청을 마감하고 11월 중 결과를 발표한다. 심사는 부문별로 진행되어 발표 시기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13] 2019년부터는 한 국가당 신청 가능한 도시 수가 4개로 제한되었다.[14]

인증된 도시는 해당 타이틀을 홍보에 활용할 수 있고, 다른 인증 도시 및 세계 문화 단체와 교류 기회를 얻는다. 인증 후에는 4년마다 유네스코에 활동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가치 훼손이나 활동 침체가 확인되면 인증이 취소될 수 있다.[15][16]

3. 선정 및 운영

유네스코 내 담당 부서는 문화국 문화적 표현·창조 산업부 박물관·창의성 과이다.[8] 2019년부터는 1개국당 신청할 수 있는 도시가 4건으로 제한되었다. 일본의 경우 일본 유네스코 국내 위원회가 "문화 활동 소위원회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 신규 가입 신청 관련 선발 워킹 그룹"을 설치하여, 국내 선발을 거친 후 정식 신청을 한다.[14]

3. 1. 선정 기준 및 절차

유엔·유네스코에 가입하거나 옵서버로 참여하는 국가 또는 지역(국가 승인을 받은 유엔 비가입 국가 및 지역 목록 참조)의 도시가 신청할 수 있다.[9] 신청 도시는 신청하는 부문의 창조 산업 성립·발전 경위, 경제적 성과,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중장기적 전망 등을 제시해야 한다.[10][11] 또한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포함해야 하며, 여성, 청년,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의 참여도 장려한다.[12]

2015년부터 2년마다 서기력 홀수 해에 선정 작업을 진행하며, 6월 말일에 신청 접수를 마감하고 심사 후 11월 중에 결과를 발표한다. 단, 심사는 부문별로 진행되므로 발표 시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2019년 접수분 일부는 2020년에 발표되었다). 신청한다고 반드시 인증되는 것은 아니며, 지금까지 탈락한 도시도 있다.[13] 심사는 유네스코가 위임하는 전문가 위원회(연구자와 NGO)가 담당한다.[9]

3. 2. 운영 방식

인증된 도시는 해당 타이틀을 상업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다른 인증 도시 및 세계 문화 단체와 교류할 수 있다.[15] 인증 후에는 유네스코에 4년마다 활동 실적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현저하게 가치를 훼손하거나 활동 침체가 확인될 경우 인증이 취소될 수도 있다(지금까지 인증 취소 사례는 없다).[16]

4. 참여 도시

2023년 기준으로 전 세계 295개 도시가 창의 도시로 지정되었다.[17][18] 각 도시들은 문학, 영화, 음악, 공예 및 민속 예술, 디자인, 미디어 아트, 음식 등 7개 분야에서 창의성을 인정받았다.

창의도시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유엔 및 유네스코에 가입하거나 옵서버로 참여하는 국가 또는 지역(국가 승인을 받은 유엔 비가입 국가 및 지역 목록 참조)의 도시여야 한다. 신청 도시는 해당 분야의 창조 산업이 발전한 경위를 비롯하여 경제성,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에 대한 노력 등을 제시해야 한다.[9][10][11][12]

2015년부터 2년마다 홀수 해에 선정 작업이 진행되며, 선정 결과는 11월 중에 발표된다. 선정된 도시는 해당 분야의 타이틀을 홍보하고 다른 인증 도시 및 세계 문화 단체와의 교류 기회를 얻는다. 4년마다 유네스코에 활동 실적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활동이 부진할 경우 인증이 취소될 수 있다.[13][15][16] 2019년부터는 한 국가당 신청할 수 있는 도시 수가 4개로 제한되었다.[14]

유네스코는 창의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약 3천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약 1.3조달러 (약 154조 원)의 경제 효과를 가진다고 발표했다.[23]

4. 1. 문학

대한민국에서는 경기도 부천시(2017년), 강원도 원주시(2019년)가 유네스코 문학 창의 도시로 지정되었다.[17][18] 2021년 11월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295개 도시가 창의도시로 인증되었다.


4. 2. 영화

대한민국에서는 부산광역시(2014년)가 영화 창의 도시로 지정되었다.[17][18]


4. 3. 음악

대한민국에서 음악 분야로 지정된 도시는 경상남도 통영시(2015년)와 대구광역시(2017년)이다.[17][18]

도시국가가맹 연도
세비야 스페인2006
볼로냐 이탈리아2006
글래스고 영국2008
겐트 벨기에2009
보고타 콜롬비아2012
브라자빌 콩고 공화국2013
하마마쓰 일본2014
하노버 독일2014
만하임 독일2014
애들레이드 오스트레일리아2015
포르투갈2015
카토비체 폴란드2015
킹스턴 자메이카2015
리버풀 영국2015
메데인 콜롬비아2015
살바도르 브라질2015
통영2015
바라나시 인도2015
킨샤사 콩고 민주 공화국2015
첸나이 인도2017
브르노 체코2017
프라이아 카보베르데2017
모렐리아 멕시코2017
알마티 카자흐스탄2017
대구2017
칠레2017
캔자스시티 미국2017
포르투갈2017
페자로 이탈리아2017
오클랜드 뉴질랜드2017
노르셰핑 스웨덴2017
포트오브스페인 트리니다드 토바고2019
베스프렘 헝가리2019
레이리아 포르투갈2019
아바나 쿠바2019
발파라이소 칠레2019
메스 프랑스2019
카잔 러시아2019
사난다지 이란2019
산토도밍고 도미니카 공화국2019
라말라 팔레스타인2019
암본 인도네시아2019
에사우이라 모로코2019
스페인2019
바예두파르 콜롬비아2019
크르셰히르 튀르키예2019
브라네 세르비아2020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2021
바투미 조지아2021
벨파스트 영국2021
와랑카요 페루2021
이바게 콜롬비아2021
하르키우 우크라이나2021
런던 캐나다2021
포트루이스 모리셔스2021
헤시피 브라질2021
산티아고 데 쿠바 쿠바2021
탈린 에스토니아2021
할라파 멕시코2021
바라주딘 크로아티아2023
달랏 베트남2023
툴루즈 프랑스2023
바냐루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23
비사우 기니비사우2023
몽트뢰 스위스2023


4. 4. 공예 및 민속 예술

대한민국에서 공예 및 민속 예술 분야로 지정된 도시는 경기도 이천시(2010년), 경상남도 진주시(2019년), 경상남도 김해시(2021년)이다.[17][18]

참가 도시명국가명가맹 연도
산타페 미국2005
아스완 이집트2005
가나자와 일본2009
이천 대한민국2010
항저우 중국2012
파브리아노 이탈리아2013
패듀카 미국2013
자크멜 아이티2014
징더전 중국2014
나소 바하마2014
페칼론간 인도네시아2014
쑤저우 중국2014
단바사사야마 일본2015
알 아사#전송2015
바미안 아프가니스탄2015
둘란 에콰도르2015
이스파한 이란2015
자이푸르 인도2015
루붐바시 콩고 민주 공화국2015
산 크리스토발 데 라스 카사스 멕시코2015
퀴타히아 튀르키예2017
바기오 필리핀2017
마다바 요르단2017
바르셀루스 포르투갈2017
조앙페소아 브라질2017
포르토노보 베냉2017
와가두구 부르키나파소2017
치앙마이 태국2017
Chordeleges 에콰도르2017
카이로 이집트2017
카라라 이탈리아2017
가브로보 불가리아2017
리모주 프랑스2017
소코데 토고2017
테투안 모로코2017
튀니스 튀니지2017
셰키 아제르바이잔2017
칼다스 다 라이냐 포르투갈2019
수코타이 태국2019
반다르아바스 이란2019
Areguáes 파라과이2019
빌얀디 에스토니아2019
카르골로폴 러시아2019
발라랏 오스트레일리아2019
진주 대한민국2019
아야쿠초 페루2019
샤르자 아랍에미리트2019
트리니다 쿠바2019
비엘라 이탈리아2019
Bida영어 나이지리아2021
부르사 튀르키예2021
코모 이탈리아2021
김해 대한민국2021
마니세스 스페인2021
나쿠루 케냐2021
파스토 콜롬비아2021
퍼스 영국2021
스리나가르 인도2021
웨이팡 중국2021
울란바토르 몽골2023
부하라 우즈베키스탄2023
호이안2023


4. 5. 디자인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2010년)가 디자인 창의 도시로 지정되었다.[17][18]


4. 6. 미디어 아트

대한민국에서 미디어 아트로 지정된 도시는 광주광역시(2014년)이다.[17][18]


4. 7. 음식

대한민국에서는 전라북도 전주시(2012년), 강원도 강릉시(2023년)가 유네스코 음식 창의 도시로 지정되었다.[17][18]

2021년 11월 현재, 음식 분야 창의 도시
참가 도시명국가명가맹 연도


5. 성과 및 경제적 효과

창조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약 3천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1.3조달러 (약 154조 엔)의 잠재적인 경제 효과가 있다고 추정된다.[23]

6. 비판적 관점 및 쟁점

미국은 유네스코 분담금(전체 예산의 22%) 지급을 거부하여 재정난을 초래했고, 이는 창의도시 운영에도 지장을 주었다.[48] 이로 인해 중국은 직접적인 자금 지원을 통해 국제적 평가와 문화 보호국으로서의 존재감을 높이게 되었다.[24][49]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공식 홈페이지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중앙 정부와 다롄 완다 그룹(Wanda Group) 등의 명칭이 게재되었다.

유네스코 담당 부서의 자금 부족으로 가맹 도시가 자율적으로 출연금을 내는 방안도 제시되었으나, 재정 기반이 취약한 지방 도시나 개발도상국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50]

한국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창조경제를 내걸고 미래창조과학부를 편성하여 서울, 이천시, 전주시 등 창의도시를 중심으로 창조 경제 육성을 시도했다. 그러나 IT 분야에 편중되어 문화적 효과가 미흡하고, 실물 경제에서도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지역 문화(유교)가 오히려 창의도시 정책 추진에 장벽이 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51]

해외 창의도시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문제가 되기도 하며, 중국에서는 창의도시 내에서도 성중촌(슬럼)이 존재하여 창조 산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격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소멸 가능 도시[53] 와 산업화 없는 도시화와 같은 도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요코하마시처럼 유네스코 창의도시와 별개로 독자적인 창의도시 정책을 추진하는 사례도 있지만, 도시 환경 파괴 등의 문제로 문화 정책으로서 창의도시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측면도 있다.[56]

지방 창생법(도시·사람·일 창생법) 성립으로 창의도시 보급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여전히 제조업 의존 경향이 강하고,[57] 문화 발신보다는 신산업 육성에 초점이 맞춰지는 등 지방 분권과 중복 사업 정리 및 통합 문제가 검토되고 있다.

7. 한국의 창의 도시 현황과 과제

박근혜 정부는 크네노믹스 정책의 일환으로 창조경제를 내걸고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하여, 창의도시인 서울, 이천시, 전주시를 중심으로 창조 경제 육성을 시도했다.[51] 그러나 IT 분야에 편중되어 문화적 효과가 미흡하고, 실물 경제 성과도 아직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51] 일각에서는 지역 문화(한국의 경우 유교)가 오히려 창의도시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51]

7. 1. 현황

한국은 유네스코 창의 도시로 지정된 여러 도시를 통해 창조 산업을 육성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힘쓰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크네노믹스 정책의 일환으로 창조경제를 내걸고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하여, 창의도시인 서울, 이천시, 전주시를 중심으로 창조 경제 육성을 추진했다.[51] 그러나 IT 분야에 편중되어 문화적 효과가 미흡하고, 실물 경제 성과도 아직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51] 일각에서는 지역 문화(한국의 경우 유교)가 오히려 창의도시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51]

7. 2. 과제

창조 도시 정책은 지역 문화와 조화를 이루고, 다양한 분야에서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 IT 분야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전주시의 전통 공예 등 다양한 분야의 창조 산업을 육성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51] 젠트리피케이션, 도시 내 격차 문제 등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고, 모든 시민이 창조 도시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박근혜 정부의 경제 정책인 크네노믹스는 창조 도시의 본래 취지와 맞지 않게 IT 분야에만 편중되거나,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51] 이러한 문제점은 지역 문화(예: 유교)가 오히려 창조 도시 발전에 장벽이 된다는 시각도 있다.[51]

해외 창의도시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창의도시 내에서도 성중촌(슬럼)이 존재하여 창조 산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격차 문제가 있다. 일본에서도 소멸 가능 도시와 산업화 없는 도시화와 같은 도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8. 전망

유네스코는 창의 도시를 통해 기후 변화, 빈곤, 불평등 등 다양한 문제에 대응하고, 시민 참여형 도시로의 전환을 강조한다.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문화 유산과 창조 산업을 융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 회복 과정에서 창조 산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증된 도시는 해당 타이틀을 상업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다른 인증 도시 및 세계 문화 단체와의 교류 기회를 얻는다. 인증 후에는 4년마다 유네스코에 활동 실적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현저하게 가치를 훼손하거나 활동이 침체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인증이 취소될 수 있다(지금까지 인증 취소 사례는 없다).[15][16]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the Creative Cities Network ? https://en.unesco.or[...] a UNESCO webpage
[2] 웹사이트 Creative Cities Network https://en.unesco.or[...] homepage
[3] 서적 Inequalities in Creative Cities: Issues, Approaches, Comparisons https://books.google[...] 2016
[4] 웹사이트 UCCN today: 116 Cities in 54 countries https://en.unesco.or[...] 2018-10-03
[5] 웹사이트 Reporting & monitoring https://en.unesco.or[...]
[6] 서적 OECD Studies on Tourism Tourism and the Creative Economy https://books.google[...] 2014
[7] 웹사이트 文化庁ホームページの記載 http://www.bunka.go.[...]
[8] 문서 創造産業開発課から変更になった。
[9] 웹사이트 Creative Cities Network External Evaluators http://www.unesco.or[...] UNESCO(英語)
[10] 문서 創造産業という概念は新しいものであるため、あまり長い歴史的背景は求めないが、文学・音楽・工芸・食文化部門では一定の時間的な経過があることが望ましいとされる。工芸部門では観光地における土産物のようなものでも構わないが、食文化部門では伝統食材や調理法を継承している前提が必要。
[11] 문서 創造都市では伝統の保護のみならず、伝統を活かしつつも新たな試みに積極的に挑戦することを求めている。
[12] 웹사이트 The 2019 Call for Applications of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is open! https://en.unesco.or[...] UNESCO(英語)
[13] 웹사이트 ユネスコ・クリエイティブシティーズ(創造都市)ネットワークへの登録申請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日本ユネスコ国内委員会
[14] 웹사이트 ユネスコ創造都市ネットワーク2019年新規加盟申請 国内公募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5] 문서 2019年末から続く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流行 (2019年-)に伴う活動の低迷は不問。
[16] 웹사이트 財団法人地域活性化センター『月刊地域づくり第243号』 http://www.chiiki-du[...] 「都市再生の新しい概念が普及 -世界に広がる「創造都市」のネットワーク-」
[17] 웹사이트 Who are the Members ? http://www.unesco.or[...] UNESCO(英語)
[18] 웹사이트 UNESCO Names 49 Additions to Its Creative Cities Network as Azoulay Wins Reelection https://publishingpe[...] 2021-11-09
[19] 웹사이트 Why Cities ? http://www.unesco.or[...] UNESCO(英語)
[20] 문서 創造都市においては主として重工業、クラフト&フォークアート部門では繊維産業や製材|製材業といった軽工業に由来する場合もある
[21] 논문 創造都市と新自由主義 https://doi.org/10.1[...] 社会学年報 2012
[22] 웹사이트 『創造都市への挑戦』のこれまでとこれから 佐々木雅幸 http://www.47news.jp[...] 47NEWS
[23] 웹사이트 The Power of Culture for Development http://en.unesco.org[...] UNESCO(英語)
[24] 웹사이트 第37回ユネスコ総会文化委員会 主な議論の概要報告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5] 보고서 UNCTAD Creative Economy Report http://unctad.org/en[...]
[26] 문서 創造都市の参考になったとされるのが欧州文化首都の前進でEU創設前の1985年から一年持ち回りで選定してきた欧州文化都市である
[27] 웹사이트 Creative Europe http://ec.europa.eu/[...] EU(영어)
[28] 문서 EUの経済状況については欧州連合の経済を参照
[29] 웹사이트 クリエイティブ産業が支える英国経済 クローデン葉子 https://www.huffingt[...] ハフィントン・ポスト
[30] 뉴스 Creative economies boost growth,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 UN reports http://www.un.org/ap[...] UN News Centre(영어)
[31] 서적 奇跡のレストラン アル・ケッチァーノ 食と農の都・庄内パラディーゾ 文芸春秋(文春文庫) 2015
[32] 웹사이트 Creative Tourism Network http://www.creativet[...]
[33] 보고서 Creative Productivity Index: Analys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Asia http://www.adb.org/p[...] アジア開発銀行(英語)
[34] 웹사이트 WindowsOfMusicAndHope in Llíria, UNESCO Creative City of Music https://en.unesco.or[...] UNESCO
[35] 뉴스 La UNESCO pone a Llíria como ejemplo mundial por su iniciativa cultural solidaria en homenaje a Beethoven https://www.elperiod[...] el Periódico 2020-04-11
[36] 웹사이트 Human Cities http://humancities.e[...]
[37] 웹사이트 文化芸術創造都市 http://www.bunka.go.[...] 文化庁
[38] 웹사이트 東アジア文化都市について http://www.bunka.go.[...] 文化庁
[39] 웹사이트 京都市新価値創造ビジョン WEB版京都市政報告書 http://www.city.kyot[...] 京都市
[40] 웹사이트 東京文化発信プロジェクト http://www.bh-projec[...] 東京都歴史文化財団
[41] 웹사이트 文化創造都市戦略:東京都におけるクリエイティブ産業の集積 https://www.rieti.go[...] 経済産業研究所
[42] 뉴스 谷・根・千、連携させて目指す世界の文化首都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4-06-03
[43] 웹사이트 クリエイティブ・シティ・コンソーシアム http://creative-city[...] 三菱総合研究所
[44] PDF Civic Urbanity: Looking at the city afresh http://www.unesco.or[...] UNESCO
[45] 문서 中国は杭州国際会議後に「従中国製造到中国創造(製造から創造へ)」を表明した
[46] 웹사이트 Cultu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www.unesco.or[...] UNESCO
[47] 뉴스 Arts, Culture – Trying to Keep the Lights on amid Covid-19 https://www.ipsnews.[...] 2020-03-24
[48] 웹사이트 ユネスコの概要 https://www.mofa.go.[...] 外務省
[49] PDF H25 国内・海外の取組に関する調査報告書-創造都市ネットワーク http://www.ccn-j.net[...] NPO法人都市文化創造機構
[50] 뉴스 創造都市の活動、4年ごと報告 ユネスコ会議で合意、閉幕 http://headlines.yah[...] 北國新聞社 2015-05-28
[51] 뉴스 創造経済? 韓国、秩序重視する儒教思想が障害物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4-10-30
[52] 웹사이트 台北市、3大食文化でユネスコ「美食の都」に申請へ http://taiwantoday.t[...] Taiwan Today
[53] 웹사이트 「地方創生」の背景と論点 http://www.nga.gr.jp[...] 全国知事会
[54] 웹사이트 横浜市文化観光局 http://www.city.yoko[...]
[55] 웹사이트 アートWEBマガジン「創造都市横浜」 http://yokohama-sozo[...] 横浜市芸術文化振興財団
[56] 뉴스 「経済振興」か「横浜らしさ」か “世界遺産級”倉庫の解体着工 https://web.archive.[...] 神奈川新聞 2014-11-06
[57] 뉴스 農業と観光で実現するほど甘くない 地域経済の活性化 地方創生に向けての処方箋を考える 雑賀憲彦 http://newsbiz.yahoo[...]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14-11-21
[58] 웹사이트 통영시, 국내 최초로 유네스코 음악 창의도시에 선정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