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식 피라미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식 피라미드는 식품을 섭취량에 따라 분류하여 나타낸 시각적 도표로, 1974년 스웨덴에서 처음 개발되었다. 이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미국은 1992년에 처음 식품 피라미드를 개발했다. 식품 피라미드는 곡물, 채소, 과일, 유제품, 육류 및 콩류, 기름 및 당류 등 다양한 식품군을 포함하며, 각 식품군의 적절한 섭취량을 제시한다. 하지만 특정 식단 선택 허용, 단백질 그룹 내 차별 부족, 식품 산업의 영향력, 권장 섭취량의 불명확성, 지방 섭취 제한 등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강 증진 - 세계 정신건강의 날
    세계 정신건강의 날은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해 1992년 제정된 국제 기념일로, 세계 보건 기구의 지원 아래 매년 특정 주제로 기념되며, 대한민국에서도 정부와 시민 단체가 정신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한다.
  • 건강 증진 -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은 심리 모델로, 행동 변화의 시간적 차원, 변화 과정, 의사 결정 균형, 자기 효능감의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며, 건강 증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음식 피라미드
개요
음식 피라미드
일반적인 음식 피라미드의 예시
유형다이어트 권장 사항
목적건강한 식습관 권장
만성 질환 예방
개발 주체다양한 보건 기관 및 정부
역사 및 변천
기원1970년대 스웨덴, "기본 식품" 피라미드
미국 최초 피라미드1992년 미국 농무부 (USDA)
주요 변경 사항2005년 MyPyramid로 변경
2011년 MyPlate로 변경 (접시 모형)
구성 요소
일반적인 권장 사항곡물 (탄수화물)
채소
과일
단백질 (육류, 생선, 콩류)
유제품
지방, 오일, 단 음식 (소량)
비판 및 논쟁
문제점단순화로 인한 영양 불균형 가능성
식품 산업의 영향
개인별 맞춤형 권장 사항 부재
대안지중해식 식단 피라미드
Harvard Healthy Eating Plate
국가별 가이드라인
미국MyPlate (2011년 이후)
일본식사 균형 가이드
기타 국가다양한 형태의 식품 기반 식이지침 존재

2. 역사

1974년 스웨덴에서 식품을 분류하고 섭취 기준을 피라미드 형태로 나타낸 것이 음식 피라미드의 기원이다. 이는 당시 스웨덴의 식량 가격 급등에 대응하여, 저렴하면서도 영양가 있는 '기본 식품'과 이를 보완하는 '보충 식품'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스웨덴 협동조합 소매 체인인 코오페라티바 포르분데트(KF)가 이를 개발하여 1974년 잡지를 통해 대중에게 소개했다.

이후 음식 피라미드 개념은 다른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 서독, 일본, 스리랑카 등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 미국1992년에 처음으로 자체적인 식품 피라미드를 개발하여 발표했다. 일본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발굴! 어떤 일' 등을 통해 소개되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2. 1. 스웨덴 기원

1974년 스웨덴에서 처음 등장한 식품 분류 및 섭취 기준 도표가 음식 피라미드의 기원이다. 이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주로 주식인 탄수화물 섭취를 강조하는 특징을 가진다.

1972년, 스웨덴에서는 식량 가격이 크게 오르자 스웨덴 국립 보건 복지 위원회(National Board of Health and Welfare)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영양가가 높은 '기본 식품'과, 기본 식품만으로는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주는 '보충 식품'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이듬해, 스웨덴의 협동조합 소매 체인인 코오페라티바 포르분데트(Kooperativa Förbundet, KF)의 실험 주방 책임자였던 안나-브리트 아그네세터(Anna-Britt Agnsäter)는 이러한 식품 분류를 설명하는 강연을 열었다. 강연에 참석했던 피알라르 클레메스(Fjalar Clemes)는 기본 식품을 가장 아래쪽에 표시하는 삼각형 모양의 도표를 제안했다. 아그네세터는 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최초의 음식 피라미드를 만들었고, 1974년 KF에서 발행하는 잡지 ''Vi''를 통해 이를 대중에게 공개했다.[5][6][7]

초기 스웨덴 음식 피라미드는 가장 아래 칸(기저부)에 우유, 치즈, 마가린, , 시리얼, 감자와 같은 기본 식품을 배치했다. 그 위 칸에는 보충 식품인 채소과일을 넓게 배치했고, 가장 위 칸(정점)에는 역시 보충 식품인 고기, 생선, 계란을 배치했다. 당시 스웨덴 국립 보건 복지 위원회는 '식단 원(Dietary Circle)'이라는 다른 형태의 권장 식단 모형을 제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KF는 이 '식단 원'이 마치 7조각으로 나뉜 케이크처럼 보이고 각 식품을 얼마나 먹어야 하는지 명확히 보여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음식 피라미드 형태를 계속해서 홍보했다. 비록 국립 보건 복지 위원회는 음식 피라미드와 거리를 두었지만, KF의 노력으로 피라미드 형태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음식 피라미드는 스웨덴 외 다른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 서독, 일본, 스리랑카 등 여러 나라에서도 개발되었다. 미국은 1992년에 처음으로 자체적인 음식 피라미드를 개발했다.

2. 2. 세계 각국의 식품 피라미드

스웨덴에서 식품 피라미드가 개발된 이후, 서독, 일본, 스리랑카 등 다른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에서도 유사한 식품 안내 지침이 만들어졌다. 미국은 1992년에 첫 번째 식품 피라미드를 개발했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식량 농업 기구(FAO)와 협력하여 비만, 영양 부족, 만성 질환, 치아 우식증 예방 목표와 관련된 지침을 발표했다. 이는 메타 분석에 기반한 것으로, 음식 피라미드 형태로 효과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8][9] 그러나 실제로는 "피라미드"보다는 표 형태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 구조는 미국 농무부(USDA)의 음식 피라미드와 유사한 점도 있지만, 지방 유형을 명확히 구분하고 탄수화물을 유리당과 천연당으로 나누는 등 차이점도 존재한다. 특정 식품은 관련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별도로 언급되기도 한다. 아래 표는 2002년 WHO/FAO 전문가 협의회의 권고 사항을 요약한 것이다. 표에 제시된 비율은 무게나 부피가 아닌 칼로리 비율이다.

2002년 WHO/FAO 전문가 협의회 권고 사항에 따른 "음식 피라미드"의 "단순화된" 표현


식이 요인1989년 WHO 연구 그룹 권고 사항2002년 WHO/FAO 전문가 협의회 권고 사항
총 지방15–30%15–30%
포화 지방산 (SFA)0–10%<10%
다불포화 지방산 (PUFA)3–7%6–10%
n-6 PUFA5–8%
n-3 PUFA1–2%
트랜스 지방산<1%
단일 불포화 지방산 (MUFA)차이로 계산
탄수화물55–75%55–75%
유리당0–10%<10%
복합 탄수화물50–70%권고 없음
단백질10–15%10–15%
콜레스테롤< 300mg/day< 300mg/day
염화 나트륨 (나트륨)< 6g/day< 5g/day (< 2g/day)
과일채소≥ 400g/day≥ 400g/day
콩류, 견과류 및 씨앗≥ 30g/day (과일 및 채소 400g의 일부로)
식이 섬유27–40 g/day음식으로부터
비전분 다당류 (NSP)16–24 g/day음식으로부터



=== 일본의 식사 균형 가이드 ===

일본에서는 후생노동성과 농림수산성이 공동으로 2005년에 "식사 균형 가이드"(食事バランスガイド|쇼쿠지 바란스 가이도일본어)를 발표했다. 이는 전통적인 피라미드 형태가 아닌, 층으로 구분된 팽이 모양의 그림으로 표현된다. 팽이 그림 안에는 "주식", "부식", "주찬", "우유·유제품", "과일"의 5가지 식품군이 있으며, 각 그룹별 섭취량 지침이 제시되어 있다. 팽이의 축은 물·차를 나타내고, 팽이 돌리는 끈은 과자·기호 음료를 상징한다. 이는 영양 균형뿐만 아니라, 팽이가 넘어지지 않도록 "운동"이 필요함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43]

식사 균형 가이드의 구분
구분1일의 양(SV)*1개의 기준많이 포함된 영양소
주식 (밥, 빵, 면류)5~7개탄수화물40g탄수화물
부식 (채소, 버섯, 감자, 해조류 요리)5~6개무게70g비타민, 미네랄, 식이 섬유
주찬 (고기, 생선, 달걀, 콩 요리)3~5개단백질6g단백질
우유·유제품2개칼슘100mg칼슘
과일2개무게100g비타민 C, 칼륨



* SV(Serving)는 각 식품군의 1회 제공량을 의미한다. 제시된 양은 대부분의 여성과 신체 활동 수준이 낮은 남성에게 해당한다.

일본의 2002년 통계에 따르면, 고혈압 환자 약 3,100만 명, 고지혈증(지질 이상증) 환자 약 3,000만 명, 당뇨병 가능성이 있는 사람 약 1,620만 명으로, 인구의 약 47%가 이 세 가지 생활 습관병 중 하나에 해당했다.[44] 이러한 질환을 가진 경우, 식사 균형 가이드의 권장량과 다른 식단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는 과일 섭취를 하루 1단위(약 100g)로 제한하는 경우가 많으며[46], 고지혈증이나 동맥 경화증 환자는 육류보다 생선, 콩, 채소를 통한 영양 섭취 비중을 높이는 것이 권장된다.[45] 따라서 "과일 2개"와 같은 일반적인 권장 사항은 건강한 사람을 기준으로 하며, 특정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담하여 식단을 조절해야 한다.[45]

"식사 균형 가이드" 그림은 관련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리플릿, 카드, CD-ROM 형태로도 제공된다. 농림수산성은 탤런트 유카를 모델로 기용하여 상업 광고를 제작하기도 했다.

=== 미국의 푸드 가이드 피라미드 ===

미국 농무부(USDA)는 1992년푸드 가이드 피라미드(Food Guide Pyramid)를 처음 발표했으며, 2005년에는 이를 개선한 마이피라미드(MyPyramid)를 공개했다.

마이피라미드(미국) 2005년

2. 3. 미국의 식품 피라미드 (USDA Food Pyramid)

스웨덴, 서독, 일본, 스리랑카 등 여러 나라에서 푸드 피라미드가 개발된 이후, 미국은 1992년에 미국 농무부(USDA) 주도로 첫 번째 푸드 피라미드를 개발했다.

1992년에 만들어진 USDA 음식 피라미드는 총 6개의 수평 섹션으로 나뉘었으며, 각 섹션에는 해당 식품군을 묘사하는 그림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어떤 식품군을 얼마나 섭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각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했다.

1999년에는 70세 이상 성인을 위한 수정된 형태의 음식 피라미드가 제안되기도 했다.[10][11]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사용된 USDA의 마이피라미드


2005년, USDA는 기존 피라미드를 업데이트하여 마이피라미드(MyPyramid)라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마이피라미드는 기존의 수평 섹션 대신 여러 가지 색상의 수직 쐐기 모양으로 구성되었고, 종종 식품 이미지 없이 더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는 개인별 활동 수준에 따른 맞춤형 식단 정보를 강조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식품 영양 지침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SDA는 2011년 6월에 마이피라미드를 대체하는 새로운 마이플레이트(MyPlate)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로써 1992년부터 약 19년간 사용되었던 USDA의 피라미드 형태 가이드라인은 마이플레이트로 대체되었다.

3. USDA 식품 피라미드의 구성 요소

1992년 미국 농무부 (USDA)는 첫 번째 공식 음식 피라미드를 개발하여 발표했다. 이 피라미드는 총 6개의 수평 섹션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섹션에는 해당 식품군을 나타내는 그림이 포함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졌다. 피라미드 형태는 아래쪽이 넓고 위쪽이 좁은 구조를 통해 각 식품군의 권장 섭취 비율을 나타냈다. 즉, 아래쪽에 위치한 식품군일수록 더 많이 섭취하고, 위쪽으로 갈수록 섭취량을 줄여야 함을 의미했다. 이 1992년 피라미드는 이후 2005년 마이피라미드, 2011년 마이플레이트로 개정되었다.

3. 1. 채소 (Vegetables)

채소는 일반적으로 단맛이 없고 짭짤한 맛을 내는, 사람이 섭취하는 식물의 일부이다. 채소는 곡물, 과일, 견과, 향신료, 또는 허브로 간주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줄기, 뿌리, 등은 채소로 섭취될 수 있다. 채소에는 많은 비타민무기질이 들어 있지만, 채소 종류에 따라 미량 영양소의 균형이 다르므로 다양한 종류를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오렌지색 및 짙은 녹색 채소에는 일반적으로 비타민 A가, 짙은 녹색 채소에는 비타민 C가, 브로콜리 및 이와 관련된 식물에는 철분과 칼슘이 들어 있다. 채소는 지방칼로리가 매우 낮지만, 조리 과정에서 첨가되는 재료로 인해 지방과 칼로리가 증가할 수 있다.

3. 2. 곡물 (Grains)

곡물류는 우리 몸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양질의 영양소인 복합 탄수화물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옥수수, , 파스타, 등이 있다.[1] 곡물은 소화 과정에서 포도당으로 분해되는데, 이는 우리 몸이 가장 선호하는 에너지원이다.[1] 또한, 곡물에 포함된 복합 탄수화물은 식이 섬유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소화기 건강을 돕고 심장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1]

3. 3. 과일 (Fruits)

음식으로서 과일은 일반적으로 달콤한 맛을 내는 식물의 씨앗을 포함하는 부분을 말하며, 드물게 씨앗이 없는 달콤한 부분을 가리키기도 한다. 사과, 오렌지, 포도, 바나나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과일은 일반적으로 칼로리와 지방 함량이 낮고, 천연 , 식이 섬유, 비타민의 좋은 공급원이다. 다만, 통조림이나 주스 형태로 가공될 경우, 당분이 추가되고 일부 영양소가 손실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식물학적으로는 과일로 분류되지만 단맛이 적어 요리에서는 채소처럼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토마토아보카도는 식물학적으로는 과일에 속한다.

일본 후생노동성과 농림수산성이 공동으로 책정한 '식사 균형 가이드'에서는 과일을 비타민C와 칼륨의 주요 공급원으로 보고 하루에 2단위(1단위 기준 약 100g) 섭취를 권장한다.[43] 그러나 고혈압, 고지혈증(지질 이상증), 당뇨병과 같은 특정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과일 섭취를 제한해야 할 수 있다.[44][45]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과일 섭취량을 하루 1단위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46] 따라서 '하루 과일 2단위' 권장량은 건강한 사람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조절이 필요하다.[45]

3. 4. 유제품 (Dairy)

유제품포유류, 일반적으로 젖소우유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식품을 말한다. 여기에는 우유뿐만 아니라 요거트, 치즈 등이 포함된다. 우유와 유제품은 식이 칼슘의 풍부한 공급원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단백질, , 비타민 A, 비타민 D와 같은 다른 중요한 영양소도 제공한다.

하지만 많은 유제품은 채소, 과일, 통곡물과 비교했을 때 포화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포화 지방 함량을 줄인 저지방 또는 무지방 유제품이 대안으로 권장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에 유제품 세 컵 정도를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었다.[12] 그러나 최근 연구들에서는 유제품 섭취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만큼 건강에 큰 이점을 주지 못하며, 오히려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연구에서는 유제품 섭취와 뼈 강화 또는 골절 위험 감소 사이에 뚜렷한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반면, 우유나 요구르트 섭취가 고관절 부위의 뼈 미네랄 밀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대부분의 연구는 유제품에 함유된 칼슘 외 다른 영양소들의 영향으로 인해 뼈 건강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13][14][15]

3. 5. 육류 및 콩류 (Meat and beans)

고기는 사람이 먹는 동물의 조직, 주로 근육을 말한다. 다양한 동물의 여러 부위를 먹을 수 있어 고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고기는 단백질의 중요한 공급원이며, 철분, 아연, 비타민 B12 역시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육류, 가금류, 생선에는 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연어, 참치, 새우, 달걀 등이 포함된다.

육류군은 음식 안내 피라미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식품군이다. 고기에서 발견되는 영양소 다수는 달걀, 말린 , 견과류 등에서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품들은 보통 고기와 같은 범주인 육류 대체 식품으로 분류된다. 여기에는 두부, (대두)으로 만든 고기나 생선 유사 제품, 달걀, 치즈 등이 포함된다. 고기나 동물성 식품을 먹지 않는 사람들(채식주의, 비건, 음식 금기 참고)을 위해 고기 대체 식품, 두부, 콩, 렌즈콩, 병아리콩, 견과류 및 기타 단백질이 풍부한 채소도 이 그룹에 포함된다. 음식 안내 피라미드에서는 성인이 하루에 2~3인분을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고기 1인분은 약 113.40g 정도로, 카드 한 벌 크기에 해당한다.

3. 6. 기름 및 당류 (Oils and sweets)

음식 피라미드의 가장 윗부분은 가장 작은 면적을 차지하며, 이는 해당 그룹의 식품 섭취를 가장 적게 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 꼭대기 부분에 해당하는 기름(지방) 및 당류(단 음식)는 우리 식단에서 가장 작은 비율을 차지해야 한다.

이러한 음식들은 칼로리는 높지만 필수 영양소는 거의 제공하지 않으므로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권장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샐러드 드레싱, 식용유, 크림, 버터, 마가린, 설탕, 청량음료, 사탕, 달콤한 디저트 등이 있다.

참고로, 1992년부터 2005년까지 사용된 음식 피라미드에서는 지방을 나타내는 원(●)과 설탕을 나타내는 삼각형(▲) 표시가 피라미드 전체에 흩어져 있었다. 이는 과일 등 다른 식품군에도 자연적으로 지방과 설탕이 포함되어 있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즉, 다른 식품들을 통해 이미 충분한 지방과 설탕을 섭취하고 있으므로, 정크 푸드나 별도의 기름, 설탕 섭취를 과도하게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였다.

4. 비판과 논란

미국 농무부(USDA)가 제시한 음식 피라미드는 발표 이후 여러 측면에서 비판과 논란에 직면했다. 주요 비판점으로는 심장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특정 식단(예: 매일 많은 양의 햄버거 섭취)이 기술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는 점,[16] 건강 효과가 다른 단백질 공급원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은 점,[16] 식품 산업, 특히 육류 및 유제품 업계의 로비로 인해 지침이 영향을 받았다는 의혹,[17][18][19][20][21][22] 권장 섭취량이 최소 기준인지 최대 기준인지 불명확하다는 점,[23] 그리고 건강 유지에 필요한 지방까지 포함하여 모든 지방 섭취를 무조건 최소화하도록 권장한 점[24][25][26] 등이 제기되었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식량 농업 기구(FAO)와 협력하여 비만, 영양 불균형, 만성 질환 및 치아 우식증 예방을 목표로 하는 식단 지침을 발표했다.[8][9] 이 지침은 USDA 피라미드와 일부 유사하지만, 지방 유형(포화, 불포화, 트랜스)을 명확히 구분하고 탄수화물을 유리당과 그 외(복합 탄수화물)로 나누는 등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WHO/FAO의 권고 사항은 주로 표 형태로 제시되며, 아래 표는 2002년 전문가 협의회 권고 사항을 요약한 것이다. (모든 비율은 칼로리 기준)

식이 요인1989년 WHO 연구 그룹 권고 사항2002년 WHO/FAO 전문가 협의회 권고 사항
총 지방15–30%15–30%
포화 지방산 (SFA)0–10%<10%
다불포화 지방산 (PUFA)3–7%6–10%
n-6 PUFA5–8%
n-3 PUFA1–2%
트랜스 지방산<1%
단일 불포화 지방산 (MUFA)차이로 계산
총 탄수화물55–75%55–75%
유리당0–10%<10%
복합 탄수화물50–70%권고 없음
단백질10–15%10–15%
콜레스테롤0–300 mg/day< 300 mg/day
염화 나트륨 (나트륨)< 6 g/day< 5 g/day (< 2 g/day)
과일 및 채소≥ 400 g/day≥ 400 g/day
콩류, 견과류 및 씨앗≥ 30 g/day (과일 및 채소 400 g의 일부로)권고 없음 (과일 및 채소에 포함될 수 있음)
총 식이 섬유27–40 g/day음식으로부터
비전분 다당류 (NSP)16–24 g/day음식으로부터



이러한 비판과 대안적인 지침 제시 속에서 USDA는 1992년 처음 발표된 피라미드를 2005년 마이피라미드(MyPyramid)로 개편했고, 2011년에는 마이플레이트(MyPlate)라는 새로운 형태로 대체했다.

그러나 마이피라미드는 시각적으로 너무 추상적이라는 비판을 받았고, 마이플레이트 역시 기존 피라미드가 가졌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다는 비판과 함께 대중적 인지도가 낮다는 지적을 받았다.[41]

한편, 기존 피라미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 피라미드도 제안되었다. 1999년에는 70세 이상 노인을 위한 수정된 음식 피라미드가 제안되었고,[10][11] 채식주의자를 위한 채식 식단 피라미드 등 특정 식단을 고려한 대안적 피라미드들도 등장했다.[38][39][40]

4. 1. 특정 식단 선택 허용 문제

USDA 식품 피라미드


피라미드 내부


심장병과 관련된 특정 식단 선택, 예를 들어 매일 약 226.80g의 햄버거를 먹는 것과 같은 식단이 기술적으로 피라미드 내에서 허용되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며, 피라미드는 단백질이 풍부한 그룹("고기, 가금류, 생선, 마른 콩, 달걀 및 견과류") 내에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식품들을 구분하지 못했다.[16]

이러한 문제점 외에도, 미국 식품 피라미드의 개발 과정은 식품 관련 이익 집단의 영향으로 인해 그 신뢰성이 훼손되었다는 비판이 있다.[17][18][19][20][21] 1991년 4월, 미국 농무부(USDA)는 '올바른 식사 피라미드'(Eating Right Pyramid)의 발표를 앞두고 육류 및 유제품 업계 로비 단체의 반발에 부딪혀 출판을 중단해야 했다. 이들 단체는 가이드에 자신들의 제품이 불리하게 표시되었다고 주장했다. USDA는 추가 연구와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지만, 관련 연구 결과가 나온 1년 뒤에야 피라미드를 공식 발표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업계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가이드의 그래픽 디자인까지 변경되었다. 이는 식품 산업이 경제적 이익을 위해 연방 정부의 식단 권장 사항에 영향을 미치려 한 여러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22]

기존 피라미드는 여러 음식 유형의 권장 섭취량 제시 방식에서도 명확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어, 단백질 그룹은 2~3인분을 권장했지만 이는 최대 섭취량을 의미했고, 과일 그룹은 2~4인분을 권장했지만 이는 최소 섭취량을 의미했다.[23]

지방 그룹 전체를 피라미드 꼭대기에 배치하여 섭취를 최소화하도록 한 지침 역시 문제로 지적되었다. 지방은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임에도 무조건적인 섭취 제한은 오히려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24][25][26] 특히 불포화 지방은 체중 감량, 심장병 위험 감소,[27] 혈당 및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8][29][30] 또한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혈당 안정에 기여하며,[31][32] 뇌 기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3]

여러 연구자들은 식품 및 농업 관련 단체들이 USDA에 부적절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지적했다.[34][35] 예를 들어 우유 회사를 비롯한 식품 업계는 새로 만들어진 식품 피라미드에서 특정 제품군(특히 우유)의 영역을 시각적으로 더 크고 눈에 띄게 만들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사람들이 다른 식품군보다 우유를 더 많이 섭취해야 한다고 오인하게 만들 수 있다.[36] 또한 우유를 별도의 필수 그룹으로 포함시킨 것은 유당 불내증이 있거나 유제품 섭취를 피하는 사람들, 그리고 역사적으로 유제품을 거의 섭취하지 않은 다양한 문화권의 존재를 간과한 처사라는 비판도 있다. 조엘 퓨어만(Joel Fuhrman)은 저서 ''살기 위해 먹어라(Eat to Live)''에서 미국 납세자들이 연간 200억달러에 달하는 세금을 가격 지지 정책을 통해 유제품, 소고기, 송아지 산업 지원에 사용하며, 이는 결국 비만 인구 증가에 따른 의료비 부담으로 이어진다고 비판했다.[37] 그는 식품 피라미드가 과학적 근거에 기반했다면 채소가 기초가 되어야 했을 것이라며 USDA가 식품 산업의 영향을 받는지 의문을 제기했다.[37]

이러한 논란과 비판 속에서 채식 식단 피라미드 등 특정 식단을 위한 대안적 피라미드가 등장하게 되었다.[38][39][40]

식품 피라미드의 후속 모델인 마이플레이트(MyPlate) 역시 여러 비판에 직면했으며 대중적 인지도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4명 중 3명은 정부의 마이플레이트 식단 지침이 무엇인지조차 모른다"고 한다.[41]

4. 2. 단백질 그룹 내 차별 부족

음식 피라미드는 단백질이 풍부한 그룹("고기, 가금류, 생선, 마른 콩, 계란 및 견과류") 내에서 식품 종류별 구분을 명확히 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로 인해 심장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식단 선택, 예를 들어 매일 약 226.80g(약 230g)의 햄버거를 섭취하는 것조차 피라미드 지침상으로는 기술적으로 허용될 수 있었다.[16] 이는 단백질 공급원 중에서도 건강에 더 유익한 선택(예: 생선, 콩류)과 상대적으로 덜 유익하거나 과다 섭취 시 문제가 될 수 있는 선택(예: 붉은 육류)을 구분하여 권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4. 3. 식품 산업의 영향력

1991년 4월, 미국 농무부(USDA)는 '올바른 식습관 피라미드'(Eating Right Pyramid) 발표를 앞두고 육류 및 유제품 로비 단체의 반발에 부딪혔다.[22] 이들 단체는 피라미드 가이드 내 제품 표기 방식에 이의를 제기했다. USDA는 가이드에 추가 연구와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해명했지만, 결국 1년 뒤 관련 연구 결과가 뒷받침된 후에야 피라미드를 공식 발표할 수 있었다.[22] 이 과정에서 업계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피라미드의 그래픽 디자인까지 변경되었다.[22] 이는 식품 산업이 경제적 이익을 위해 연방 정부의 식단 권장 사항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 여러 사례 중 하나로 지적된다.[22]

식품 로비스트들의 이러한 영향력 행사는 미국 식단 피라미드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았다.[17][18][19][20][21] 예를 들어, 심장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식단, 가령 매일 약 226.80g의 햄버거를 섭취하는 것 등이 기술적으로는 피라미드 내에서 허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16] 또한 단백질이 풍부한 그룹("고기, 가금류, 생선, 마른 콩, 달걀 및 견과류") 내에서 건강에 더 유익한 선택지에 대한 구분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6]

여러 연구자들은 식품 및 농업 관련 단체들이 USDA에 부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34][35] 특히 우유 회사와 같은 특정 식품 산업계가 USDA가 새로 만든 식품 피라미드에서 자신들의 제품군을 더 눈에 띄게 만들도록 압력을 가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36] 실제로 피라미드에서 우유 부분은 여섯 부분 중 가장 쉽게 눈에 띄도록 묘사되었는데, 이는 사람들이 다른 식품군보다 우유를 더 많이 섭취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36] 또한, 우유를 별도의 필수 식품군으로 포함시킨 것은 유당 불내증을 가진 사람들이나 유제품을 의도적으로 피하는 사람들, 그리고 역사적으로 유제품을 거의 섭취하지 않은 문화권의 존재를 간과하고 건강한 식단에 유제품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았다.

의사 조엘 퓨어만(Joel Fuhrman)은 그의 저서 ''살기 위해 먹어라(Eat to Live)''에서 이러한 문제를 더욱 강하게 비판한다. 그는 미국 납세자들이 가격 지지 정책을 통해 연간 200억달러를 부담하며 유제품, 쇠고기, 송아지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소 사료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결과를 낳는다고 지적했다.[37] 또한 그는 이렇게 형성된 식단이 비만 인구를 증가시켜 결국 의료비 부담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37] 퓨어만은 USDA가 식품 산업의 이해관계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제기하며, 진정으로 과학에 기반한 식품 피라미드라면 채소를 가장 기초적인 부분으로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7]

이러한 식품 산업의 영향력 논란과 피라미드 자체의 문제점들은 이후 채식 식단 피라미드와 같이 특정 식단을 위한 맞춤형 피라미드가 등장하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38][39][40]

4. 4. 권장 섭취량의 불명확성



구 음식 피라미드의 여러 음식 유형에 대한 권장 섭취량 중 일부는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어, 피라미드는 단백질이 풍부한 그룹("고기, 가금류, 생선, 마른 콩, 달걀 및 견과류")에서 2~3인분을 권장했지만, 이는 최대 섭취량으로 의도된 것이었다. 반면, 과일의 경우 2~4인분을 권장했는데, 이는 최소 섭취량으로 의도된 것이었다.[23] 하지만 이러한 최대 또는 최소 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지방 그룹 전체를 피라미드의 가장 윗부분에 배치하여 가능한 한 적게 섭취하도록 권장한 점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지침은 구체적인 기준 없이 '최소화'만을 강조하여 어느 정도까지 섭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했다. 더 나아가 지방은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임에도 불구하고,[24][25][26] 모든 종류의 지방 섭취를 무조건 제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특히 불포화 지방과 같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방의 중요성을 간과하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27][28][29][30][31][32][33]

4. 5. 지방 섭취 제한의 문제점

지방 그룹 전체는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위치하여 가능한 한 적게 섭취하도록 권장되었는데, 일부에서는 이를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해당 지침은 지방 섭취를 가능한 한 제한하도록 하였으나, 지방은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므로 과도한 제한은 오히려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24][25][26]

연구에 따르면 불포화 지방은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되며 심장병 위험을 줄이고,[27] 혈당을 낮추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28][29][30] 또한, 불포화 지방은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혈당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며,[31][32] 뇌 기능 향상에도 기여한다.[33] 따라서 모든 지방 섭취를 무조건 최소화하라는 단순한 권고는 이러한 불포화 지방의 긍정적인 역할을 간과하게 만들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5. 대한민국의 식품구성안

주어진 원본 소스는 일본의 '식사 균형 가이드'에 대한 내용으로, 요청하신 '대한민국의 식품구성안' 섹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원본 소스를 기반으로 요청하신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뉴스 The USDA Ditches the Food Pyramid for a Plate https://healthland.t[...] 2016-07-26
[2] 웹사이트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Entry: food pyramid https://www.ahdictio[...] Ahdictionary.com 2015-02-05
[3] 뉴스 Nutrition Plate Unveiled, Replacing Food Pyramid. https://www.nytimes.[...] 2011-06-02
[4] 웹사이트 Food-Based Dietary Guidelines in Europe http://www.eufic.org[...] www.eufic.org 2011-01-26
[5] 웹사이트 Ett provkok blev provkök http://www.mersmak.k[...] kf.se 2011-01-21
[6] 웹사이트 KF Provkök lanserar idén om basmat (engl.: KF test-kitchen introduces the idea of foodgroups) http://www.coop.se/G[...] coop.se 2011-01-22
[7] 웹사이트 matpyramid http://www.ne.se/mat[...] 2011-06-07
[8] 서적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https://www.who.int/[...]
[9] 논문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dental diseases
[10] 논문 Modified Food Guide Pyramid for people over seventy years of age
[11] 논문 Modified My ''Pyramid'' for Older Adults
[12] 웹사이트 7773-DGA_V7 http://www.health.go[...] 2009-09-28
[13] 논문 Milk and yogurt consumption are linked with higher bone mineral density but not with hip fracture: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2018-04-24
[14] 간행물 Bone Health and Osteoporosi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https://www.ncbi.nlm[...]
[15] 논문 Calcium, vitamin D, milk consumption, and hip fractures: A prospective study among postmenopausal women
[16] 웹사이트 Dietary Guidelines 2005: Two Steps Forward, One Step Back http://www.hsph.harv[...]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2012-09-18
[17] 서적 Food Politics: How the Food Industry Influences Nutrition and Health Univ of California Press 2013-05-14
[18] 논문 Food Lobbies, the Food Pyramid, and U.S. Nutrition Policy 1993-07
[19] 뉴스 Revisiting The Evils Of The Food Pyramid https://www.pbssocal[...] 2015-01-26
[20] 뉴스 Experts Say Lobbying Skewed the U.S. Dietary Guidelines https://time.com/413[...] 2016-01-08
[21] 뉴스 Food Industry Influence Could Cloud the U.S. Dietary Guidelines, a New Report Says https://www.nytimes.[...] 2023-10-05
[22] 논문 Food lobbies, the food pyramid, and U.S. Nutrition policy
[23] 서적 Fitness for Dummies '"For Dummies"and you' 2005-03-01
[24] 논문 On The Nature And Rôle Of The Fatty Acids Essential In Nutrition http://www.jbc.org/c[...] 2009-09-28
[25] 논문 Omega-3 fatty acids and bipolar disorder: A review
[26] 논문 Essential fatty acids in health and chronic disease http://www.arcticfre[...]
[27] 논문 Types of dietary fat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 critical review
[28] 논문 Effects of moderate-fat (from monounsaturated fat) and low-fat weight-loss diets on the serum lipid profile in overweight and obese men and women http://sphhp.buffalo[...] 2011-04-18
[29] 논문 Optimal Diets for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30] 논문 Circulating fatty acids are essential for efficient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after prolonged fasting in humans
[31] 논문 Role of Free Fatty Acids in Glucose Homeostasis
[32] 논문 Effects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Glucose Homeostasis and Blood Pressure in Essential Hyperten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995-12-15
[33] 논문 Is docosahexaenoic acid, an n-3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required for development of normal brain function? An overview of evidence from cognitive and behavioral tests in humans and animals
[34] 서적 The China Study BenBella Books 2007
[35] 서적 Food Poli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36] 뉴스 Food Pyramid Frenzy: Lobbyists Fight to Defend Sugar, Potatoes and Bread In Recommended U.S. Diet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06-12-09
[37] 서적 Eat to Live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Hachette)
[38] 간행물 Development of a vegetarian food guide http://www.ajcn.org/[...] 2011-06-20
[39] 간행물 Modified Food Guide Pyramid for Lactovegetarians and Vegans http://jn.nutrition.[...] 2011-06-20
[40] 간행물 A New Food Guide: For North American Vegetarians https://web.archive.[...]
[41] 웹사이트 'MyPlate,' the USDA's 'Food Pyramid' Replacement, Is Also a Dud https://reason.com/2[...] Reason 2022-12-12
[42] 문서 第5回 フードガイド(仮称)検討会 議事次第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43] 웹사이트 食事バランスガイドの特徴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ホームページ 2020-07-08
[44] 문서 生活習慣病健診・保健指導の在り方に関する検討会 第1回資料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45] 문서 生活習慣病予防のための各学会のガイドラインの整理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46] 문서 糖尿病 食事療法 炭水化物 日本糖尿病学会 http://minds.jcqhc.o[...] 医療情報サービスMin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