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획득 폐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역사회획득 폐렴은 병원 밖에서 발생한 폐렴으로, 기침, 고열, 흉통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폐렴구균이며,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기생충 등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노인과 유아는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며, 패혈증, 호흡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은 증상과 징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흉부 X-레이, 혈액 검사 등이 사용된다. 치료는 항생제를 사용하며, 예방을 위해 예방 접종과 금연이 권장된다. 사망률은 입원 환자에서 더 높으며, 기저 질환, 흡연, 알코올 중독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렴 - 흡인성 폐렴
흡인성 폐렴은 구강이나 위 내용물이 폐로 흡인되어 발생하는 폐렴으로, 연하 기능 장애, 의식 저하, 불량한 구강 위생 등이 주요 원인이며, 고령자에게 흔하게 발생하고 높은 입원 사망률과 재발 위험을 가진다. - 폐렴 -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성 폐렴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렴으로,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하고 항바이러스제 투여 및 대증 치료를 통해 치료한다. - 감염병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감염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지역사회획득 폐렴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CAP |
진료과 | 감염내과 |
증상 | |
증상 | 기침 가래 열 |
원인 | |
원인 |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 감염 |
예방 | |
예방 | 예방 접종 |
치료 | |
치료 | 항생제 투여 |
2. 증상 및 징후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증상은 원인균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기침, 가래, 발열, 흉통,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객혈, 두통, 피로감, 청색증, 구역질,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관절통, 근육통, 빈맥, 어지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흔한 증상 및 덜 흔한 증상에서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2. 1. 흔한 증상
2. 2. 덜 흔한 증상
- 객혈[26]
- 두통, 편두통 포함[26]
- 식욕 부진[26]
- 과도한 피로[26]
- 청색증[26]
- 메스꺼움[26]
- 구토[26]
- 설사[26]
- 관절통[26]
- 근육통[26]
- 빠른 심박수[26]
- 어지러움 또는 현기증[26]
2. 3. 연령별 특징적인 증상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26]
- 녹색이나 황색의 가래가 나오는 기침
- 땀, 오한, 떨림을 동반하는 고열
-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가슴 통증
- 빠르고 얕은 호흡 (종종 통증을 동반)
- 기침에 피가 섞여 나오는 객혈
- 편두통과 같은 두통
- 식욕 부진
- 과도한 피로감
- 청색증
- 구역질
- 구토
- 설사
- 관절통
- 근육통
- 빈맥
- 어지럼증
2. 3. 1. 노인
2. 3. 2. 유아
- 비정상적인 졸음[26]
- 황달 (피부나 눈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현상)[26]
- 수유 곤란
3. 합병증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주된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 패혈증 - 감염에 의해 나타나는 합병증으로 목숨을 위협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성 폐렴, 그중에서도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감염이다. 패혈증 환자는 집중치료실에서 혈압을 감시하면서 저혈압에 대한 관리를 계속해야 한다. 패혈증은 간, 심장, 콩팥 등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 호흡부전 - 지역사회획득 폐렴 환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양단기도양압 등의 비침습적 기구나 기관내튜브, 인공호흡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흉막삼출, 농흉 - 폐의 미생물이 흉강에 액체가 고이게 하거나 농흉을 유발할 수 있다. 흉강에 액체가 고인 경우 바늘로 액체 표본을 얻는 흉강천자를 통해 검사할 수 있다. 결과에 따라 감염이 더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흉관삽입술을 통해 액체를 완전히 배출시켜야 할 수 있다. 흉벽을 잘 뚫지 못하는 항생제는 덜 효과적이다.
- 농양 - X선 검사상에서 액체와 세균이 모여서 폐의 텅 빈 공간으로 보이기도 한다. 흡인성 폐렴에서 보통 발생하는 농양은 대부분 혐기성 세균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항생제로 대개 치료가 가능하나 간혹 수술을 통해 배출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다.
4. 원인
여러 가지 미생물이 지역사회획득 폐렴을 일으킬 수 있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이다.[27][5] 확정적인 원인은 전체 사례의 절반에서만 확인된다.
신생아,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과 같은 만성 질환을 앓는 성인, 알코올 의존증 환자, 면역결핍 상태인 사람 등 특정 집단은 인플루엔자균(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이나 주폐포자충(폐포자충)(Pneumocystis jirovecii) 등으로 인한 지역사회획득 폐렴 발병 위험이 높다.[27][5]
성인의 경우, 특정 위험 요인을 가진 환자는 특정 미생물군에 의한 감염에 더 취약하다. 이러한 미생물에 의한 감염 위험이 있는 사람을 식별하면 적절한 치료에 도움이 된다. 덜 흔한 미생물도 많이 있으며, 이는 특정 위험 요인을 식별하거나 더 흔한 원인에 대한 치료가 실패할 때 파악할 수 있다.
병원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 전형성 폐렴 (일반 세균성 폐렴)
; 비정형 폐렴
- 세균
- * 레지오넬라
- * 마이코플라스마
- 편성세포내 기생균
- * 클라미디아
- * 콕시엘라균
4. 1. 연령별 주요 원인균
지역사회획득 폐렴은 여러 미생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폐렴구균이다.[27][5] 신생아,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과 같은 만성 질환을 가진 성인, 알코올 의존증 환자, 면역결핍 상태인 사람들은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인플루엔자균)나 주폐포자충 (폐포자충) 등으로 인한 지역사회획득 폐렴 발병 위험이 높다.[27][5]원인균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소아의 경우 연령별 주요 원인균은 다음과 같다.
명칭 | 시기 | 폐렴 호발 원인균 |
---|---|---|
신생아 | 출생 후 28일 미만 | B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대장균, 포도구균 |
유아 | 생후 28일부터 1세 미만 | 포도구균, 폐렴구균 |
유아 | 만 1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
학동 | 초등학생 |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구균 |
4. 1. 1. 신생아 및 영아
태아는 감염된 양수를 흡인하거나 태반을 통해 혈액으로 감염되어 출생 전에 폐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영아는 또한 출생 시 질에서 오염된 체액을 흡입할 수 있다. 신생아에서 지역사회획득 폐렴(CAP)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병원체는 B군 연쇄상구균(GBS)이라고도 알려진 ''Streptococcus agalactiae''이다. GBS는 출생 후 첫 주에 발생하는 CAP의 절반 이상을 유발한다. 신생아 CAP의 다른 세균성 원인으로는 ''Listeria monocytogenes''와 다양한 미코박테리아가 있다. CAP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도 산모에게서 자녀에게 전염될 수 있다. 가장 흔한 단순 포진 바이러스는 생명을 위협하며, 아데노바이러스과, 유행성 이하선염 및 장 바이러스도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 신생아 CAP의 또 다른 원인은 ''Chlamydia trachomatis''인데, 출생 시 획득되지만 2~4주 후에야 폐렴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열이 없고 특징적인 끊어지는 기침이 나타난다.더 나이가 많은 영아의 CAP는 미생물에 대한 노출 증가를 반영하며, 일반적인 세균성 원인으로는 ''Streptococcus pneumoniae'',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Moraxella catarrhalis'' 및 ''Staphylococcus aureus''가 있다. 모체에서 유래된 매독 또한 영아의 CAP의 원인이다. 바이러스성 원인으로는 사람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RSV),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및 라이노바이러스가 있으며, RSV는 영아의 흔한 질병 및 입원 원인이다. 진균 또는 기생충에 의해 유발되는 CAP는 다른 건강한 영아에서는 일반적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소아의 연령에 따른 폐렴 호발 원인균은 다음과 같다.
명칭 | 시기 | 폐렴 호발 원인균 |
---|---|---|
신생아 | 출생 후 28일 미만 | B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대장균, 포도구균 |
유아 | 생후 28일부터 1세 미만 | 포도구균, 폐렴구균 |
4. 1. 2. 소아 (1개월 이상)
한 달 이상 된 소아는 성인과 동일한 미생물에 감염될 위험이 있지만, 5세 미만의 소아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클라미디아 폐렴 또는 레지오넬라 폐렴균에 의한 폐렴에 걸릴 가능성이 훨씬 적다. 반대로, 나이가 많은 소아와 십대들은 성인보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과 클라미디아 폐렴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소아는 연령에 따라 원인균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명칭 | 시기 | 폐렴 호발 원인균 |
---|---|---|
신생아 | 출생 후 28일 미만 | B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대장균, 포도구균 |
유아 | 생후 28일부터 1세 미만 | 포도구균, 폐렴구균 |
유아 | 만 1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
학동 | 초등학생 |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구균 |
4. 1. 3. 성인
다양한 미생물이 지역사회획득 폐렴(CAP)을 일으킬 수 있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폐렴구균이다.[27][5] 영아,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등의 만성 질환을 가진 성인, 노인 등은 특정 미생물에 의한 감염에 더 취약하다.[5] 알코올 중독자 및 면역 체계가 손상된 사람은 인플루엔자균 또는 폐포자충에 의해 CAP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27][5]성인의 지역사회획득 폐렴은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며, 특정 위험 요인을 가진 환자는 특정 미생물군에 의한 감염에 더 취약하다. 특정 위험 요인을 식별하거나 흔한 원인균에 대한 치료가 실패할 경우, 덜 흔한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고려해야 한다.
지역사회획득 폐렴을 유발하는 병원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 전형성 폐렴 (일반 세균성 폐렴)
; 비정형 폐렴
- 세균
- * 레지오넬라
- * 마이코플라즈마
- 편성세포내 기생균
- * 클라미디아
- * 콕시엘라균
; 전형적인 폐렴 치료
: 기저 질환이나 위험 인자가 없다면, 지역사회획득 폐렴에서 빈도가 높고 병원성도 높은 미생물은 폐렴구균이다. β-락탐계 항생제가 1차 선택 약제이다. 아목시실린이나 클라불란산/아목시실린 배합제, β-락타마제 저해제 배합 암피실린(설타미실린 토실산염 수화물)이 전형적이다.
:*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PRSP)은 최근 감소 추세이며, 일본에서 폐렴구균의 99.6%가 페니실린계 항균제에 감수성을 보인다. 뉴퀴놀론계 항균제의 내성은 2%, 마크로라이드계 항균제의 내성은 무려 85%이므로 폐렴구균성 폐렴의 외래 치료에는 페니실린계 항균제를 선택한다.[21]
: 65세 이상이거나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또는 원인균이 폐렴구균이 아닌 경우에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나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병용한다. 만성 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뉴퀴놀론계 항생제를 사용한다. 레보플록사신과 같은 뉴퀴놀론(IIa세대 퀴놀론)이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토스플록사신 등 제IIb세대 이후의 퀴놀론계 약제는 ''호흡기 퀴놀론''으로 통칭되며, 더 강한 항균 작용이 인정되고 있다.
; 비정형 폐렴 치료
: 클래리스로마이신 등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나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가 사용된다. 특히 레지오넬라가 의심되는 경우, 시프로플록사신 등 정맥 주사용 뉴퀴놀론계 약제가 1차 선택 약제이다.
4. 2. 기타 원인균
지역사회획득 폐렴을 일으키는 기타 원인균은 다음과 같다.-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사람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RS 바이러스),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수두, SARS, 조류 인플루엔자, 한타바이러스 등이 있다.[6]
- 세균: 폐렴구균 외에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클라미도필라 폐렴, 레지오넬라 폐렴균과 같은 비정형 세균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장균, 폐렴막대균과 같은 장내 그람 음성 세균과 드물게 녹농균도 원인이 될 수 있다.[19]
- 곰팡이
- 기생충: 에키노콕스증, 사상충증
소아의 경우 연령에 따라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원인균이 다르게 나타난다.
명칭 | 시기 | 폐렴 호발 원인균 |
---|---|---|
신생아 | 출생 후 28일 미만 | B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대장균, 포도구균 |
유아 | 생후 28일부터 1세 미만 | 포도구균, 폐렴구균 |
유아 | 만 1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
학동 | 초등학생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구균 |
4. 3. 위험 요인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폐쇄: 폐로 이어지는 기관지 일부가 막히면 폐가 체액을 제거하지 못해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어린아이의 경우 구슬이나 장난감 같은 이물질 흡입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폐암으로 인해 기류가 막혀 발생하기도 한다.[27]
- 폐 질환: 폐기종과 같은 기저 폐 질환이 있거나 흡연을 하는 경우 폐렴 발생 횟수가 늘어나고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소아의 재발성 폐렴은 낭성 섬유증이나 폐 분리증을 나타낼 수 있다.[27]
- 면역 문제: HIV/AIDS와 같은 면역 결핍 환자는 폐렴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Wiskott–Aldrich 증후군이나 공통 가변 면역 결핍증도 폐렴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27]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과 같은 만성 질환을 앓는 성인, 알코올 의존증 환자, 면역결핍 상태인 사람은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나 주폐포자충(Pneumocystis jirovecii) 등에 의한 지역사회획득 폐렴 발병 위험이 높다.[5]
5. 병태생리
지역사회획득 폐렴(CAP)의 증상은 미생물에 의한 폐 감염과 이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감염 경로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6]
5. 1.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지역사회획득 폐렴(CAP)의 최대 20%를 차지한다.[6] 가장 흔한 바이러스 원인으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사람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및 아데노바이러스가 있다. 덜 흔하지만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로는 수두, SARS, 조류 인플루엔자 및 한타바이러스가 있다.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물방울을 흡입하여 폐로 들어가 기도와 폐포를 덮고 있는 세포를 침범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는 죽거나 스스로 파괴된다. 면역 체계가 감염에 반응하면 추가적인 폐 손상이 발생한다. 백혈구, 특히 림프구는 사이토카인이라고 알려진 화학 물질을 활성화시켜 체액이 폐포로 새어 나오게 한다. 세포 파괴와 체액으로 가득 찬 폐포의 조합은 혈류로의 산소 운송을 방해한다. 폐에 미치는 영향 외에도 많은 바이러스가 다른 장기에 영향을 미친다. 바이러스 감염은 면역 체계를 약화시켜 세균성 폐렴을 포함한 세균 감염에 신체가 더 취약하게 만든다.
흔한 병원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 RS 바이러스
-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아데노바이러스
5. 2. 세균 및 곰팡이
세균과 곰팡이는 일반적으로 물방울 흡입을 통해 폐로 들어가지만, 감염이 있는 경우 혈류를 통해 폐에 도달할 수도 있다. 폐포에서 세균과 곰팡이는 연결 구멍을 통해 세포 사이 공간과 인접한 폐포로 이동한다. 면역 체계는 미생물을 공격하는 백혈구인 호중구를 폐로 방출하여 이에 반응한다. 호중구는 미생물을 탐식하여 죽이고, 전체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는 사이토카인을 방출한다. 이러한 반응은 지역사회획득 폐렴(CAP)의 일반적인 증상인 발열, 오한 및 피로를 유발한다. 호중구, 세균 및 주변 혈관에서 누출된 체액이 폐포를 채워 산소 운반을 손상시킨다. 세균은 폐에서 혈류로 이동하여 패혈성 쇼크 (뇌, 신장 및 심장을 손상시키는 매우 낮은 혈압)를 유발할 수 있다.[19]병원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 전형성 폐렴 (일반 세균성 폐렴)
; 비정형 폐렴
- 세균
- 레지오넬라
- 마이코플라즈마
- 편성세포내 기생균
- 클라미디아
- 콕시엘라균
소아의 경우 연령에 따라 원인균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명칭 | 시기 | 폐렴 호발 원인균 |
---|---|---|
신생아 | 출생 후 28일 미만 | B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대장균, 포도구균 |
유아 | 생후 28일부터 1세 미만 | 포도구균, 폐렴구균 |
유아 | 만 1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
학동 | 초등학생 |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구균 |
5. 3. 기생충
다양한 기생충은 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피부를 통해 또는 삼킴으로써 신체에 들어간다. 그런 다음 혈액을 통해 폐로 이동하며, 여기서 세포 파괴와 면역 반응의 조합이 산소 수송을 방해한다.[1]다음과 같은 병원 미생물이 있다.
- 에키노콕스증
- 사상충증
6. 진단
지역사회획득 폐렴(CAP)은 특정 검사 결과뿐 아니라 환자의 증상 및 징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임상적으로 진단한다.[7] 신체 검사에서는 발열, 빈호흡(빠른 호흡), 저혈압(낮은 혈압), 빈맥(빠른 심박수), 혈중 산소량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촉진(촉진법)과 타진(타진법)을 통해 흉벽의 경직과 체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청진(청진기) 시 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거나 수포음이 들리면 액체 굳어짐을 의심할 수 있다. 촉각 진동(말할 때 가슴 진동 증가)과 청진 중 속삭이는 말의 음량 증가는 체액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
CAP의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 배양, 가래 그람 염색 및 배양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중증의 경우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검체를 채취하며, 드문 미생물이 의심되는 경우 소변 검사 등 특수 검사를 시행한다.
흉부 X-레이나 X선 전산화 단층 촬영(CT)에서 굳어짐을 나타내는 불투명도(흰색) 영역이 보일 수 있다.[7] 그러나 CAP가 초기 단계이거나 X-레이에서 잘 보이지 않는 폐 부위에 발생한 경우, 흉부 CT를 통해 확인해야 할 수도 있다. 울혈성 심부전 등 다른 폐 질환이 X-레이에서 CAP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폐렴 징후가 발견되면 흉부 X-레이, 혈액 및 가래 검사를 통해 CAP 진단을 뒷받침한다. 진단 도구는 질병 심각도, 지역 관행, 합병증 우려 등에 따라 달라진다. CAP 환자는 맥박 산소 측정법으로 혈중 산소를, 필요시 동맥혈 가스 분석으로 혈액 내 산소량을 측정해야 한다. 전혈구 계산(CBC)에서 감염을 나타내는 백혈구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6. 1. 중증도 분류 (A-DROP 시스템, 일본)
일본 호흡기 학회는 지역사회획득 폐렴(CAP)의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해 A-DROP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영국 흉부 질환 학회의 CURB-65 시스템을 참고하여 만들어졌다.[18] A-DROP 시스템은 다음 다섯 가지 지표를 사용한다.지표 | 설명 |
---|---|
Age (나이) | 남성 70세 이상, 여성 75세 이상 |
Dehydration (탈수) | BUN 21mg/mL 이상 또는 탈수 있음 |
Respiration (호흡) | SpO2 90% 이하 (PaO2 60Torr 이하) |
Orientation (지남력) | 의식 장애 |
Pressure (혈압) | 수축기 혈압 90mmHg 이하 |
각 항목에 해당하는 개수에 따라 중증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중증도 | 해당 항목 수 | 치료 방법 |
---|---|---|
초중증 | 4~5개 또는 1개 이상이면서 쇼크(순환 부전) 동반 | 집중 치료실 치료 |
중증 | 3개 | 입원 치료 |
중등증 | 1~2개 | 외래 또는 입원 치료 |
경증 | 0개 | 외래 치료 |
6. 2. 전형/비정형 폐렴 구분 (일본)
현재 일본 호흡기 학회에서 발행한 지역사회획득 폐렴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단이 이루어지고 있다.미국 폐렴 가이드라인에서는 전형적인 폐렴과 비정형적인 폐렴을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일본의 폐렴 가이드라인에서는 구분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전형적인 폐렴과 비정형적인 폐렴은 다음 6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점수를 매겨 판단한다.
항목 |
---|
만 60세 미만 |
기저 질환이 없거나 경미함 |
심한 기침 |
흉부 청진 상 소견이 미미함 |
가래가 없거나, 신속 진단 키트로 원인균이 증명되지 않음 |
말초 혈액 백혈구 수가 10,000/μl 미만 |
위 항목에서 4개 이상에 해당하면 비정형적인 폐렴이고, 3개 미만이면 전형적인 폐렴으로 진단한다. 말초 혈액 백혈구 수를 제외한 5개 항목만을 기준으로 3개 이상이면 비정형 폐렴, 2개 미만이면 전형 폐렴으로 판단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 방법을 사용하면 진료소에서도 판정이 가능하다.
7. 예방
지역사회획득 폐렴은 위험을 증가시키는 기저 질환을 치료하고, 금연을 하며, 예방 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생후 첫 해에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와 폐렴구균에 대한 예방 접종은 소아 지역사회획득 폐렴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성인을 위한 폐렴구균 백신은 65세 이상 건강한 개인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심부전, 당뇨병, 간경변, 알코올 중독, 뇌척수액 누출 또는 비장 절제술을 받은 모든 성인에게 권장된다. 재접종은 5년 또는 10년 후에 필요할 수 있다.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받은 환자, 의료 전문가, 요양원 거주자 및 임산부는 매년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받아야 한다. 유행 시기에는 아만타딘, 리만타딘, 자나미비르 및 오셀타미비르와 같은 약물이 인플루엔자를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치료
지역사회획득 폐렴은 감염 미생물을 죽이는 항생제로 치료하며, 합병증 관리도 치료 목표에 포함된다. 원인 미생물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실험실에서 가장 효과적인 항생제를 확인하며, 이 과정에는 며칠이 걸릴 수 있다.[8]
의료 전문가는 초기 항생제를 선택할 때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개인의 위험 요소를 고려한다. 치료 환경도 추가적으로 고려되는데, 대부분의 환자는 경구 투약으로 완치되지만, 일부 환자는 정맥 주사 치료 또는 집중 치료를 위해 입원해야 한다.
현재의 치료 지침은 아목시실린과 같은 베타락탐, 아지트로마이신 또는 클래리스로마이신과 같은 마크로라이드 항생제, 또는 퀴놀론 항생제인 레보플록사신을 권장한다. 독시사이클린은 영국에서 비정형 세균에 대한 항생제로, 클래리스로마이신의 사용 증가와 관련된 병원 환자의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감염 증가로 인해 선택된다.[8]
세프트리악손과 아지트로마이신은 기침, 발열, 호흡 곤란 증상이 며칠간 나타나는 지역사회획득 폐렴을 치료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8]
미생물을 특정하여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가 이상적이지만, 종종 폐렴은 급격한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수진 후 4시간 이내에 항균제의 시작이 권장되며, 경험적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전형/비전형의 감별이 최우선이 된다.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우선 전형 폐렴의 β-락탐 약물과 비정형 폐렴의 치료제를 병용하고, 배양 결과를 보고 한쪽을 중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일본의 경우에는 확신할 수 없다면 비정형 폐렴의 치료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8. 1. 연령별 치료
지역사회획득 폐렴(CAP)은 환자의 연령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신생아, 소아, 성인의 경우 각 연령대에 맞는 항생제와 치료 기간이 적용된다.- 신생아: 대부분 입원하여 GBS(Streptococcus agalactiae),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의 주요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치료를 받는다.
- 소아: 나이와 질병의 심각도에 따라 치료법이 결정되며, 아목시실린이나 코트리목사졸 등의 항생제가 처방된다.
- 성인: 환자의 건강 상태, 위험 인자, 입원 여부,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위험 등에 따라 4가지 범주로 나누어 치료한다. 아지트로마이신이나 클래리스로마이신 같은 마크로라이드 항생제나 레보플록사신과 같은 퀴놀론 항생제 등이 사용된다.
8. 1. 1. 신생아
대부분의 지역사회획득 폐렴(CAP) 신생아는 입원하며, 일반적인 원인균인 GBS(Streptococcus agalactiae),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대장균(Escherichia coli) 치료를 위해 최소 10일 동안 정맥 내 암피실린 및 겐타마이신을 투여받는다.[8]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치료를 위해 정맥 내 아시클로비르를 21일 동안 투여한다.8. 1. 2. 소아
소아의 지역사회획득 폐렴(CAP) 치료는 아이의 나이와 질병의 심각성에 따라 달라진다. 5세 미만의 어린이는 일반적으로 비정형 세균에 대해 치료받지 않는다. 입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7일간의 아목시실린 처방이 일반적이며, 페니실린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에는 코트리목사졸이 대체 약물로 사용된다.[9] 약물 내성 폐렴구균의 증가로 인해 세포독심과 같은 항생제가 더 많이 사용될 수 있다. 입원한 어린이는 정맥 주사 암피실린, 세프트리악손 또는 세포탁심을 투여받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의 대부분의 경증-중등도 CAP에 3일 코스의 항생제로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10] 새로운 항생제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9]8. 1. 3.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은 감염 미생물을 죽이는 항생제로 치료하며, 합병증 관리도 치료 목표에 포함된다. 원인 미생물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실험실에서 가장 효과적인 항생제를 확인하며, 이 과정에는 며칠이 걸릴 수 있다.의료 전문가는 초기 항생제를 선택할 때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개인의 위험 요소를 고려한다. 치료 환경도 추가적으로 고려되는데, 대부분의 환자는 경구 투약으로 완치되지만, 일부 환자는 정맥 주사 치료 또는 집중 치료를 위해 입원해야 한다.
현재의 치료 지침은 아목시실린과 같은 베타락탐, 아지트로마이신 또는 클래리스로마이신과 같은 마크로라이드 항생제, 또는 퀴놀론 항생제인 레보플록사신을 권장한다. 독시사이클린은 영국에서 비정형 세균에 대한 항생제로, 클래리스로마이신의 사용 증가와 관련된 병원 환자의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감염 증가로 인해 선택된다.
세프트리악손과 아지트로마이신은 기침, 발열, 호흡 곤란 증상이 며칠간 나타나는 지역사회획득 폐렴을 치료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흉부 X-레이는 일반적으로 미만성이 아닌 엽성 침윤을 나타낸다.[8]
2001년, 미국 흉부 학회는 영국 흉부 학회와 캐나다 흉부 학회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CAP) 관리 지침을 수립했으며, 환자를 흔한 원인균에 따라 다음의 4가지 범주로 나눴다:
범주 | 설명 | 주요 미생물 | 권장 약물 |
---|---|---|---|
위험 인자가 없는 건강한 외래 환자 | 약제 내성 폐렴구균(DRSP), 장내 그람 음성 세균, Pseudomonas 또는 기타 흔하지 않은 CAP 원인에 대한 위험 인자가 없는 건강한 환자 | 바이러스, 비정형 세균, 페니실린 감수성 Streptococcus pneumoniae 및 Haemophilus influenzae | 아지트로마이신 또는 클래리스로마이신과 같은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 (7[11]~10일간 투여) |
기저 질환 또는 위험 인자가 있는 외래 환자 | 입원이 필요하지 않지만, 폐기종 또는 심부전과 같은 기저 건강 문제나 DRSP 또는 장내 그람 음성 세균 감염 위험이 있는 환자 | (위와 동일) | Streptococcus pneumoniae에 활성인 퀴놀론(예: 레보플록사신) 또는 β-락탐 항생제(예: 세프포독심, 세푸록심, 아목시실린 또는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과 아지트로마이신 또는 클래리스로마이신과 같은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 (7~10일) |
Pseudomonas 감염 위험이 없는 입원 환자 | 정맥 항생제가 필요한 환자 | (위와 동일) | Streptococcus pneumoniae에 활성인 퀴놀론(예: 레보플록사신), β-락탐 항생제(예: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암피실린/설박탐 또는 고용량 암피실린)과 아지트로마이신 또는 클래리스로마이신과 같은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 (7~10일) |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위험이 있는 중환자 | 제거하기 어려운 세균을 표적으로 하는 항생제가 필요한 환자 | (위와 동일) |
경증에서 중등도 CAP의 경우, 항생제 치료 기간이 짧아도(3~7일)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10]
CAP 환자 중 일부는 항균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숙주의 과도한 염증 반응이다. 감염을 제어하는 것과 다른 조직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 사이에는 긴장이 존재한다.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폐와 심장과 같은 기타 영향을 받는 장기에 대한 손상을 줄이기 위해 면역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면역 조절 치료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약물에 대한 증거가 일상적인 사용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잠재적인 이점은 유망하다.[14]
미생물을 특정하여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가 이상적이지만, 종종 폐렴은 급격한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수진 후 4시간 이내(과거에는 8시간 이내)에 항균제의 시작이 권장되며, 경험적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전형/비전형의 감별이 최우선이 된다.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우선 전형 폐렴의 β-락탐 약물과 비정형 폐렴의 치료제를 병용하고, 배양 결과를 보고 한쪽을 중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일본의 경우에는 확신할 수 없다면 비정형 폐렴의 치료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8. 2. 일본에서의 치료 (참고)
일본의 폐렴 가이드라인에서는 전형적인 폐렴과 비전형적인 폐렴을 구분하여 치료한다.구분 기준 | 전형 폐렴 | 비전형 폐렴 |
---|---|---|
만 60세 미만 | X | O |
기저 질환 유무 | 없거나 경미 | 없거나 경미 |
기침 정도 | 심하지 않음 | 심함 |
흉부 청진 소견 | 뚜렷함 | 미미함 |
가래 유무 또는 신속 진단 키트 | 가래가 있거나 원인균 증명 | 가래가 없거나 원인균 미증명 |
말초 혈액 백혈구 수 | 10,000/μl 이상 | 10,000/μl 미만 |
위 표에서 4개 이상 해당하면 비전형 폐렴, 3개 미만이면 전형 폐렴으로 판단한다. 말초 혈액 백혈구 수를 제외한 5개 항목 중 3개 이상이면 비전형 폐렴, 2개 미만이면 전형 폐렴으로 판단하는 방법도 있다.
; 전형적인 폐렴
: 기저 질환이나 위험 인자가 없다면 폐렴구균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β-락탐계 항생제가 1차 선택이며, 아목시실린, 클라불란산/아목시실린 배합제, β-락타마제 저해제 배합 암피실린(설타미실린 토실산염 수화물) 등이 사용된다.[21]
:* 일본에서 폐렴구균의 99.6%가 페니실린계 항균제에 감수성을 보인다. 뉴퀴놀론계 항균제 내성은 2%, 마크로라이드계 항균제 내성은 85%이므로 폐렴구균성 폐렴의 외래 치료에는 페니실린계 항균제를 선택한다.[21]
: 65세 이상이거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또는 원인균이 폐렴구균이 아니라면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나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병용한다. 만성 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뉴퀴놀론계 항생제를 사용한다. 레보플록사신과 같은 뉴퀴놀론(IIa세대 퀴놀론)이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토스플록사신 등 제IIb세대 이후의 퀴놀론계 약제는 ''호흡기 퀴놀론''으로 통칭되며, 더 강한 항균 작용이 있다.
; 비정형 폐렴
: 클래리스로마이신 등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나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가 사용된다. 특히 레지오넬라가 의심되는 경우, 시프로플록사신 등 정맥 주사용 뉴퀴놀론계 약제가 1차 선택이 된다.
8. 3. 치료 효과 판정 (일본)
중증 사례의 경우 2일 후, 통상 3일 후에 초기 항생제의 유효성을 평가한다. 7일 이내에 유효성 평가와 종료 시점 평가를 실시하고, 14일 이내에 종료 시점 및 약제 변경 평가를 실시한다.[8];초기 치료의 효과 판정
- 발열
- 증상(호흡수, 가래, 폐 잡음)
- 백혈구
;항생제 투여 종료 기준
- 해열(기준으로는 37°C 이하)
- 백혈구 증가의 개선(정상화가 기준)
- C 반응 단백질(CRP)의 개선(최고치의 30% 이하로 감소)
- 흉부 X선 사진의 뚜렷한 개선
기저 질환이 없으면 위 항목 4가지 중 3가지 항목을 충족한 시점에서, 기저 질환이 있으면 4가지 항목 중 3가지 항목을 충족한 4일 후에 치료를 종료한다.
;경구약으로의 변경 시기
- 임상적 개선
- 약물 섭취 가능
- 혈역학적 안정
- 위장관 기능
;퇴원 불가능한 조건
- 해열되지 않음(37.8°C 이상)
- 맥박수 100회/분 이상
- 호흡수 24회/분 이상
- 산소 포화도 90% 이하
- 경구 투여 불가능
위 항목 중 2가지 이상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퇴원이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9. 예후
외래 환자의 지역사회획득 폐렴 사망률은 1% 미만이며, 일반적으로 치료 시작 후 이틀 이내에 열이 내리고, 다른 증상은 첫 주 안에 완화된다. 하지만 엑스레이 소견은 최소 한 달 동안 이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입원 환자의 평균 사망률은 12%이며, 혈류 감염이 있거나 집중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사망률이 40%까지 증가한다.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입원을 요하는 요인과 동일하다.
지역사회획득 폐렴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이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건강 문제, 치료 합병증, 원인균에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 이전에 의심하지 못했던 미생물(예: 결핵) 때문일 수 있다. 또는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과 같이 지역사회획득 폐렴과 유사한 질환일 수도 있다. 추가 검사에는 X-선 컴퓨터 단층 촬영(CT), 기관지 내시경 검사, 또는 폐 생검이 포함된다.
10. 역학
지역사회획득 폐렴(CAP)은 전 세계적으로 흔하며, 모든 연령대에서 주요 사망 원인이다. 소아의 경우, 대부분의 사망(연간 200만 명 이상)이 신생아 기간에 발생한다. 세계 보건 기구의 추정에 따르면 신생아 사망의 3분의 1이 폐렴으로 인한 것이다. 사망률은 노년기까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노인은 CAP와 관련된 사망의 위험이 높다.
CAP 사례는 연중 다른 시기보다 겨울에 더 많이 발생한다. CAP는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며, 백인보다 흑인에게 더 흔하다.[15] 알츠하이머병, 낭성 섬유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흡연, 알코올 중독 또는 면역 억제와 같은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는 폐렴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neumonia Causes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2015-05-18
[2]
웹사이트
Pneumonia Treatments and drugs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2015-05-18
[3]
논문
Adult pneumococcal vaccination
[4]
웹사이트
Pneumonia Prevention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2015-05-18
[5]
웹사이트
What is pneumonia? What causes pneumonia?
http://www.medicalne[...]
2015-05-18
[6]
서적
Respiratory infections
CRC Press
[7]
논문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American Thoracic Society Consensus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Adults
Oxford University Press (OUP)
2007-03-01
[8]
웹사이트
UWorld {{!}} Test Prep for NCLEX, SAT, ACT, MCAT, USMLE & More!
https://www.uworld.c[...]
2021-01-25
[9]
논문
Antibiotics for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children.
2013-06-04
[10]
논문
Short- versus long-course antibacterial therapy for community-acquired pneumonia : a meta-analysis
[11]
논문
Efficacy of short-course antibiotic regimens for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 meta-analysis
2007-09
[12]
논문
Short-course versus long-course therapy of the same antibiotic for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adolescent and adult outpatients
2018-09-06
[13]
논문
Respiratory fluoroquinolones for the treatment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08-12
[14]
간행물
Current and emerging evidence for immunomodulatory therapy in community-acquired pneumonia
http://arh.amegroups[...]
2017
[15]
논문
Adults Hospitalized With Pneumonia in the United States: Incidence, Epidemiology, and Mortality
2017-07-28
[16]
웹사이트
Pneumonia Causes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2015-05-18
[17]
서적
Respiratory infections
CRC Press
[18]
뉴스
市中肺炎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7-12-01
[19]
간행물
Comprehensive Molecular Testing for Respiratory Pathogens in Community-Acquired Pneumonia
2016-04-01
[20]
간행물
2007-03-01
[21]
간행물
2017
[22]
웹인용
Pneumonia Causes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2015-05-18
[23]
웹인용
Pneumonia Treatments and drugs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2015-05-18
[24]
논문
Adult pneumococcal vaccination
[25]
웹인용
Pneumonia Prevention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2015-05-18
[26]
논문
Influence of age on symptoms at presentation in patients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1997-07
[27]
웹인용
What is pneumonia? What causes pneumonia?
http://www.medicalne[...]
2015-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