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육의 역사는 인류가 지식을 습득하고 전달해 온 과정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의무 교육이 시행되고 있으며, 유네스코는 향후 30년 동안 교육을 받는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수십 년간 문맹률과 학교 미취학 인구 비율은 감소했으며,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큰 변화가 있었다. 20세기 중반 이후 사회의 변화는 교육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21세기 역량과 같은 새로운 기술과 학습 성향이 중요해졌다. 교육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와 흐름을 보이며, 각 시대와 지역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야별 과학사 - 병력
병력은 의료 종사자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질문하여 얻은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이다. - 분야별 과학사 - 천문학사
천문학사는 인류 문명 초기의 달력 제작과 별자리 그림 기술에서 기원하여 그리스 철학자들의 지구중심설, 이슬람 문화권의 관측 천문학 발전,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케플러, 뉴턴 등의 태양중심설 확립과 천체역학 발전을 거쳐 현대 천문학의 기틀을 마련하고 우주론, 천체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한국 천문학 또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 온 학문이다. - 교육사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교육사 - 중세 대학
중세 대학은 대성당학교와 수도원학교에서 발전하여 전문 성직자 수요 증가에 따라 교수와 학생들의 학문적 길드로 발전, 7자유과 중심의 교과 과정과 학위 제도를 통해 학문적 위계를 확립하고 법학, 신학 등 다양한 학문을 발전시키며 과학 혁명에도 기여한 교육기관이다.
교육의 역사 | |
---|---|
교육사 | |
학문 분야 | 역사학, 교육학 |
연구 대상 | 교육의 역사 |
관련 분야 | 사회사, 지성사, 여성사, 노동사 |
주요 학자 | 필리프 아리에스, 미셸 푸코, 조안 스콧, 마르타 누스바움 |
주요 연구 주제 | 아동의 역사 학교의 역사 교육 사상의 역사 교육 정책의 역사 교육 운동의 역사 |
방법론 | 사료 분석 문헌 연구 구술사 통계 분석 |
역사적 관점 | 사회사적 관점 문화사적 관점 젠더적 관점 계급적 관점 |
주요 학회 | 미국 교육사 학회 유럽 교육사 학회 국제 교육사 학회 |
주요 저널 | History of Education Paedagogica Historica Journal of the History of Childhood and Youth |
역사적 중요성 | 교육의 과거를 이해 현재의 교육 문제 해결에 기여 미래의 교육 방향 설정에 도움 |
연구 동향 | 전 지구적 관점 비교 교육사 디지털 교육사 환경 교육사 |
역사적 도전 과제 | 사료 부족 객관성 유지 연구 윤리 준수 |
2. 교육사의 흐름
교육사는 초기의 교육 형태부터 학교의 탄생과 발전, 그 법적인 정비, 교육 내용 및 방법, 교육 사상 등의 역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교육학 분야에서 교육사라고 하면 교육 사상사를 말하는 경우가 많지만, 학교의 역사 또는 학교 제도 변천사 등 특정 주제나 시대를 지칭하기도 한다.
프랑스 사회사의 아날 학파(특히 필립 아리에스의 '아이의 탄생' 저술) 이후, 교육사를 사회사 속에서 파악하는 시도가 많아지면서 교육사의 내용과 시점도 바뀌어 왔다. 예를 들어 출산과 육아의 역사, 교육관의 역사 등도 연구되고 있다.
일본의 교육학의 한 부분인 교육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교육사를 일본 교육사, 서양 교육사, 기타 지역의 교육사로 대별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역사 초기 교육과 훈육의 형태에서부터 학교의 탄생과 발전, 그 법적인 정비 등 교육 제도, 읽기·쓰기·셈하기에서 음악, 변론, 무예 등 교육의 내용·방법, 교육의 사상 등의 역사를 포함한다.
2. 1. 고대 교육
고대 그리스에서는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가 변론술과 철학을 가르쳤다. 플라톤은 아카데메이아를, 아리스토텔레스는 뤼케이온을 설립하여 교육 기관의 기틀을 마련했다.[33][34] 이 시기 교육은 주로 유산 계급 남성들의 여가 활동(스코레, school의 어원)으로, 교양(파이디아)을 쌓는 것을 목표로 했다.가장 초창기의 공식적인 학교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 멘투호테프 2세(기원전 2061-2010년)의 재무관이었던 케티의 지시로 개발되었다.[4]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초기 표어 문자 형태의 설형 문자를 익히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왕족, 부유층 자녀, 전문직 종사자 등 극소수만이 서기로 고용되어 교육을 받았다.[5] 대부분의 소년들은 아버지의 직업을 배우거나 도제 수업을 받았고,[6] 소녀들은 어머니에게서 가사와 요리를 배웠다. 음절 문자가 널리 보급된 후 바빌론 시대에는 대부분의 마을과 사원에 도서관이 있었고, 서기라는 사회 계층이 생겨났다.[7] 남녀 모두 읽고 쓰는 법을 배웠으며, 셈족 바빌로니아인들은 멸망한 수메르어와 복잡한 음절 문자를 익혔다. 에두바()라고 알려진 고대 바빌론 서기 학교(기원전 2000-1600년)에서는 방대한 양의 텍스트 기록이 발견되었다. 길가메시 서사시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서사시로, 고대 문학의 초기 작품 중 하나이며, 가장 초창기 수메르어 버전은 우르 제3왕조(기원전 2150-2000년)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 아슈르바니팔(기원전 685-c. 627)은 서기 교육을 받았으며, 기름 점, 수학, 읽고 쓰기, 승마, 사냥, 전차, 군인 정신, 장인, 왕실 예법 등을 배웠다. 그는 메소포타미아 전역에서 설형 문자를 수집하여 니네베 도서관을 설립했는데, 이는 고대 중동에서 체계적으로 조직된 최초의 도서관이었다.[8]
고대 이집트에서 문해력은 교육받은 서기 엘리트들에게 집중되었다. 사원, 파라오, 군 당국에서 일하기 위해 특정 배경을 가진 사람들만이 서기 훈련을 받을 수 있었다. 상형 문자 시스템은 배우기 어려웠지만, 이후 시대에는 서기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더욱 어려워졌다. 문해력 추정치는 인구의 1~5%에서 훨씬 높은 수치까지 다양하며,[9][10][11][12][13][14][15][16] 지역 및 도시와 농촌 인구 간의 차이를 보인다.
고대 이스라엘에서는 토라에 토라를 읽고, 배우고, 가르치고, 쓰는 명령이 있어 문해력과 연구가 필요했다. 서기 64년 대제사장은 학교를 열게 했다.[17] 소녀들은 예시바에서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결혼 후 집을 유지하고 아이들을 교육하기 위해 과목의 상당 부분을 알아야 했다. 그러나 많은 아이들이 읽고 쓰는 법을 배우지 못했으며, 서기 1세기 로마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인구의 문해율은 약 3%로 추정된다.[19]
고대 인도에서는 베다 및 불교 교육 시스템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졌다. 베다 교육 시스템에서는 산스크리트어가, 불교 교육 시스템에서는 팔리어가 사용되었다. 베다 시스템에서는 8세에서 12세, 불교 시스템에서는 8세에 교육이 시작되었다. 고대 인도 교육의 주요 목표는 인격 함양, 자기 통제, 사회적 인식, 고대 문화 보존 및 발전이었다.
베다 학습 시스템에서는 네 개의 베다(리그 베다, 사마 베다, 야주르 베다, 아타르바 베다)와 여섯 개의 베당가(의례적 지식, 운율, 주석, 문법, 음성학, 천문학), 우파니샤드를 배웠다. 고대 인도에서 교육은 구두로 전달되었으며, 슈라바나(듣기), 마나나(성찰), 니디드야사나의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베다 시대(기원전 1500년경~기원전 600년경) 교육은 베다와 힌두교 텍스트 및 경전을 기반으로 했으며, 주요 목표는 해탈이었다. 베다 교육에는 베다의 정확한 발음과 암송, 희생 규칙, 문법, 작문, 운율, 자연의 비밀 이해, 논리, 과학, 직업 기술 등이 포함되었다.[20] 아유르베다, 64 칼라(예술), 공예, 실파 샤스트라, 나트야 샤스트라 교육도 이루어졌다.[20][21] 여성 교육도 중요하게 여겨져 춤, 음악, 가사 기술을 훈련받았으며, ''사디오드와하스'' 계급 여성들은 결혼할 때까지, ''브라흐마바디니스'' 계급 여성들은 평생 교육을 받았다. 고샤, 가르기, 인드라니 등이 주목할 만한 여성 학자였다.[22]
우파니샤드는 힌두교 경전의 일부로, 기원전 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혜 가르침"으로 여겨지며, 교사와 학생들이 진리를 찾는 탐구적인 학습 과정을 장려했다. 구루쿨라 교육 체제는 전통적인 힌두교 기숙 학교를 지원했으며, 교사(구루)와 학생(시샤)은 동등하게 여겨졌다. 교육은 무료였지만, 부유한 가정의 학생들은 학업 후 "구루닥시나"를 지불했다. 구루쿨에서는 종교, 경전, 철학, 문학, 전쟁, 통치술, 의학, 점성술, 역사를 가르쳤다. 산스크리트 문학은 시와 드라마, 과학, 철학, 힌두교 텍스트, 불교, 자이나교의 중심 텍스트를 포괄했다.
서사시인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는 고대 인도 교육의 일부를 형성했다. 마하바라타는 기원전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23] 인간의 목표와 카르마의 작용을 설명한다. 라마야나는 기원전 400년경에서 서기 200년 사이에 편집되었으며, 인간 존재와 다르마를 탐구한다.[23] 불교 교육 시스템에서는 삼장(三藏, Pitakas)을 가르쳤다.
전설에 따르면 요와 순(기원전 24~23세기) 임금이 최초의 학교를 세웠다. 최초의 교육 시스템은 하 왕조(기원전 2076~1600년)에 만들어졌으며, 귀족들에게 의례, 문학, 궁술을 교육했다. 상 왕조(기원전 1600년~1046년) 시대에는 일반인들이 대략적인 교육을 받았고, 귀족 자녀들은 관립 학교에서, 일반 사람들은 사립 학교에서 공부했다. 관립 학교는 의례, 문학, 정치, 음악, 예술, 궁술을, 사립 학교는 농사일과 수공예를 가르쳤다.[30]
주 왕조(기원전 1045~256년) 시대에는 수도에 5개의 국립 학교가 있었고, 육예(의례, 음악, 궁술, 마술, 서예, 수학)를 가르쳤다. 예기에 따르면, 소년들은 의례 관련 예술과 궁술, 마차 운전을, 소녀들은 의례, 올바른 태도, 비단 생산, 직조를 배웠다.[31] 공자(기원전 551~479년)는 유교의 창시자로, 중국 교육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진나라(기원전 246~207년) 시대에는 관료 계층이 설치되었고, 문맹 퇴치와 철학 지식이 필요했다. 한 왕조(서기 206~221년) 시대에는 소년들이 7세에 읽기, 쓰기, 계산을 배우기 시작했다.[30] 기원전 124년 한 무제는 태학을 설립했고, 커리큘럼은 공자의 오경이었다. 구품관인법은 삼국 시대(서기 220~280년)와 남북조 시대(서기 420~589년) 중국의 문관 추천 시스템이었으며, 수 왕조(서기 581~618년)에 과거 제도로 대체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에서 대부분의 교육은 스파르타를 제외하고 사립 교육이었다. 기원전 5세기와 4세기 아테네에서는 국가가 학교 교육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33][34] 학부모들은 자녀가 배우고 싶어하는 과목을 가르치는 학교를 선택하고 월 수업료를 지불했다.[33] 가난한 사람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들을 학교에 보냈고, 체육, 음악, 문해력을 배우게 했다.[33][34] 소녀들은 거의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다. 부유한 학생들은 궤변가들과 함께 수사학, 수학, 지리학, 박물학, 정치학, 논리학 등을 배웠다.[33][34] 리케이온과 플라톤 아카데미는 아테네의 고등 교육 기관이었다.

스파르타의 교육 시스템은 전사 양성을 위해 설계되었다. 7세 소년들은 학교 기숙사나 군대 막사에서 혹독한 훈련을 받았다.[33][34]
고대 로마 최초의 학교는 기원전 4세기 중반에 생겨났다.[35] 기원전 3세기 문해율은 약 1~2%로 추정된다.[36] 로마 공화국 전성기와 로마 제국 시대에 로마 교육 시스템은 계층별 학교로 발전했다.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모두 교육을 받았지만, 반드시 함께 교육을 받지는 않았다.[37] 교육자 퀸틸리아누스는 교육을 가능한 한 일찍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38] 로마 학생들은 능력에 따라 학교를 진학했으며,[37] 타고난 학습 "재능"(''ingenium'')이 중요했다.[39] 로마 엘리트만이 완전한 정규 교육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리스-로마 세계의 문해율은 20%를 넘는 경우가 드물었고, 로마 제국에서는 10%를 약간 웃돌았으며, 서부 지방에서는 5%를 넘지 않았다. 고전 그리스의 문맹자 비율은 인구의 5%를 크게 넘지 않았다.[40][41]
2. 2. 중세 교육
7 자유 학과는 언어를 중심으로 한 3개 과목(문법, 수사학, 논리학)과 수(數)를 중심으로 한 4개 과목(대수, 기하, 천문, 음악)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로마 제정 후기에 카펠라에 의해 7개 과목으로 확정되었고, 6세기에 카시오도로스는 로마 가톨릭교회에 적용하였다.[125] 중세 초기에는 기독교 전파 과정에서 3R's(읽기, 쓰기, 대수) 교육이 실시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학교라는 단어가 마을, 교회, 수도원 학교 등 다양한 교육 기관을 통칭했다. 중세 후기 마을 학교 학생들은 보통 7세에서 14세 사이였으며, 문해력 기초부터 라틴어 심화 교육까지 받았다. 때로는 산수, 편지 쓰기, 사업 관련 기술도 가르쳤으며, 다양한 수준의 교육이 같은 교실에서 이루어지기도 했다.[42]
초기 중세 시대 동안 로마 가톨릭 교회의 수도원은 교육과 문해력의 중심지였다. 라틴 학습을 보존하고 글쓰기 기술을 유지했다. 많은 중세 대학교는 공식 설립 이전에 수백 년 동안 기독교 수도원 학교(Scholae monasticae)로 운영되었으며, 수도사들이 수업을 가르쳤고, 나중에는 주교좌 학교로 운영되었다. 이러한 초기 대학의 전조는 6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3]
일반적으로 대학교로 간주되는 최초의 중세 교육 기관은 11세기 후반과 12세기에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에 설립되어 예술, 법학, 의학, 신학을 연구했다. 이 대학교들은 오래된 기독교 주교좌 학교와 수도원 학교에서 발전했으며, 교황청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럽 고등 교육을 위한 studia generalia 목록이 유용한 지침이 되긴 하지만, 이들이 언제 진정한 대학교가 되었는지 정의하기는 어렵다.

12세기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르침을 받은 스승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그들은 교육을 받은 장소나 지역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는 데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다. 심지어 오늘날에도 학자들이 독특한 학설을 가진 학교를 인용할 때, 그들은 학교의 지리적 위치보다는 그룹 이름을 사용하여 학교를 묘사한다. 로버트 드 멜룬 밑에서 공부한 사람들은 "멜루디넨세스"라고 불렸다. 이 사람들은 멜룬에서 공부한 것이 아니라 파리에서 공부했고, 스승의 그룹 이름을 받았다. 12세기의 시민들은 스승들이 제공할 수 있는 희귀하고 어려운 기술을 배우는 데 매우 관심을 갖게 되었다.[44]
아일랜드는 성자와 학자들의 섬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수도원이 아일랜드 전역에 건설되었고, 이곳은 훌륭한 학습의 중심지가 되었다(켈트 교회 참조).
노섬브리아는 종교적 학습과 예술의 중심지로 명성을 얻었다. 처음에는 왕국이 켈트 교회에서 온 수도사들에 의해 복음화되었는데, 이는 수도원 생활의 번성을 이끌었고, 노섬브리아는 앵글로-색슨, 켈트 기독교, 비잔틴 및 기타 요소를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인 도서 예술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664년 위트비 종교회의 이후 로마 교회 관행이 공식적으로 켈트 관행을 대체했지만 앵글로-켈트 스타일의 영향은 계속되었고, 가장 유명한 예는 린디스판 복음서였다. 존경받는 베다 (673–735)는 그의 저서 ''앵글로족 교회 역사''(731년에 완성)를 노섬브리아 수도원에서 썼으며, 그 대부분은 왕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45]
768년부터 814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로마 이후 처음으로 서유럽 대부분을 통일한 샤를마뉴 치하에서 카롤링거 르네상스로 알려진 문학, 예술, 건축의 개화가 일어났다. 광대한 정복을 통해 다른 국가의 문화와 학습에 접하게 된 샤를마뉴는 프랑키아에서 수도원 학교와 필사실 (책 복사 센터)의 제공을 크게 늘렸다. 현존하는 고전 라틴어 작품의 대부분은 카롤링거 학자들에 의해 복사되고 보존되었다. 샤를마뉴는 학문에 관심을 보였고, 궁정에서 자유 교양을 장려했으며, 자녀와 손자들에게 훌륭한 교육을 받도록 명령했다. 그는 파울 더 디컨에게서 문법을 배우고, 알쿠인에게서 수사학, 변증법, 천문학을 배우는 등 스스로 공부했으며, 아인하르트가 산수 공부를 도왔다. 영국 수도사인 알쿠인은 아헨에 있는 샤를마뉴의 궁정으로 초청되었고, 노섬브리아 수도원에서 구할 수 있는 정확한 고전 라틴어 교육을 가져왔다.[46] 이러한 라틴어 숙련의 프랑크 왕국으로의 회귀는 중세 라틴어의 발전에 중요한 단계로 여겨진다. 샤를마뉴의 관청은 현재 카롤링거 소문자로 알려진 일종의 필기체를 사용하여 유럽 대부분에서 소통할 수 있는 공통적인 글쓰기 스타일을 제공했다. 카롤링거 왕조가 쇠퇴한 후, 독일에서 작센 왕조의 부상은 오토 르네상스를 동반했다.
샤를마뉴는 797년의 조서를 통해 교구 사제들에 의한 청소년을 위한 무료 초등 교육을 시도했다. 이 조서는 "사제들이 모든 읍과 마을에 학교를 설립하고, 만약 신자들 중 누군가가 자녀를 편지에 대해 배우도록 맡기기를 원한다면, 그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지 말고 모든 자비로 그들을 가르치도록 한다... 그리고 그들이 가르침에 대해 아이들에게 어떤 대가도 요구하지 말고 부모가 자발적으로 그리고 애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만 받아들여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P.L., CV., col. 196)[47]
주교좌 학교와 수도원은 중세 시대 내내 중요했으며, 1179년 제3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교회는 사제들에게 그들의 신도들에게 무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의무화했고, 스콜라 운동으로 알려진 12세기와 13세기의 르네상스는 수도원을 통해 확산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수도원주의에서 성장한 중세 대학교가 주요 유럽 도시에 설립되기 시작한 11세기에 교육의 유일한 근원이 되는 것을 중단했다. 문해력은 더 광범위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제공되었고, 예술, 조각, 음악 및 건축에서 주요한 발전이 있었다.[48]
1120년 스코틀랜드의 던펌린 수도원은 말콤 3세와 그의 여왕 마가렛의 명령에 따라 영국 최초의 고등학교인 던펌린 고등학교를 건설하고 설립했다. 이것은 고대 스코틀랜드 수도에서 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수도원의 영향과 발전을 강조했다. 조각, 그림,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은 문맹 시청자들에게 성서적 주제와 성자들의 삶을 가르치는 중요한 교육 매체였다.[49]

7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중국과 스페인으로 뻗어나간 이슬람 문명권에서 무슬림들은 622년 현재 사우디 아라비아의 도시인 메디나에서 학교 교육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모스크(아랍어로 '마스지드')에서 교육이 이루어졌지만, 이후 모스크 옆에 학교가 분리되어 세워졌다. 최초의 분리된 학교는 1066년 바그다드에 세워진 니자미야 학교였다. 아이들은 6세부터 무상으로 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쿠란은 무슬림들에게 교육을 장려했다. 따라서 고대 이슬람 사회에서는 교육과 학교가 번성했다. 모로코 페스에 위치한 카라윈 대학교는 유네스코와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계속 운영되는, 최초의 학위 수여 교육 기관이며[50] 때로는 가장 오래된 대학교로 언급되기도 한다.[51] 이 학교는 원래 859년에 세워진 모스크였다.[52]
바그다드의 지혜의 집은 9세기에서 13세기까지 도서관, 번역, 교육 센터였다. 점성술, 수학, 농업, 의학, 철학에 관한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페르시아 제국, 인도사, 그리스어 텍스트—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히포크라테스, 유클리드, 플로티누스, 갈레노스, 수슈루타, 차라카, 아리아바타, 브라마굽타의 작품들을 포함하여—를 바탕으로 학자들은 세계적인 지식 컬렉션을 축적하고, 그들의 발견을 통해 이를 발전시켰다. 지혜의 집은 인문학과 이슬람 과학—이슬람 수학, 이슬람 천문학, 이슬람 의학, 이슬람 연금술, 동물학, 이슬람 지리학—연구의 독보적인 중심지였다. 바그다드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이자 지적 발달의 중심지로 알려졌으며, 1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최대 규모였다.[53]
이슬람 모스크 학교(마드라사)는 아랍어로 쿠란을 가르쳤으며 중세 유럽의 대학교와는 전혀 달랐다.[54][55] 9세기에는 이슬람 황금기 동안 비마리스탄 의과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의학 디플로마가 이슬람 의학을 공부하여 의사가 될 자격을 갖춘 학생들에게 수여되었다.[56] 975년 이집트 카이로에 설립된 알 아즈하르 대학교는 다양한 대학원 학위를 제공하고 마드라사와 신학 신학교를 갖춘 "자미아"(아랍어로 "대학교")였으며, 샤리아, 피크, 아랍어 문법, 이슬람 천문학, 초기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의 논리를 가르쳤다.[56]
오스만 제국 시대에 부르사와 에디르네는 주요 학습 중심지가 되었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서아프리카 국가 말리의 팀북투라는 도시가 이슬람 학습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중동과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학생들이 찾아왔다. 이 도시에는 명망 있는 상코레 대학교와 다른 마드라사가 있었다. 이 학교들의 주요 초점은 쿠란을 가르치는 것이었지만, 논리학, 천문학, 역사와 같은 분야에서도 폭넓은 교육이 이루어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지역에 많은 수의 필사본이 축적되었고, 그 중 일부는 이슬람 이전 시대와 12세기부터 존재했으며, 10만 개 이상의 필사본이 도시의 유력 가문들에 의해 보관되었다.[58] 그 내용은 특히 천문학, 음악, 식물학 분야에서 교훈적이다. 아흐메드 바바 센터는 18,000개 이상의 필사본을 수집했다.[59]
2. 3. 르네상스, 종교개혁기의 교육
르네상스 시기에는 그리스학이 부흥하고 역사 편찬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는 에라스무스와 코메니우스와 같은 학자들이 등장했다.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이 일어나면서 예수회가 설립되었다.2. 4. 근대 교육의 발전
루소의 에밀은 아동 중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고,[1] 콩도르세는 공교육의 시작을 알렸다.[2] 로버트 오웬은 뉴 라나크에서 아동 복지와 교육에 힘썼다.[3]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 프리드리히 프뢰벨, 헐버트는 교육학 발전에 기여했고,[4] 엘렌 카이는 아동의 세기를 통해 아동 중심 교육을 강조했다.[5]
세계적으로 신교육 운동이 일어났는데, 독일의 개혁 교육 운동과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이 대표적이다.[6] 반 더 포겔 운동, 예술 교육 운동도 이 시기에 나타났다.[7] 달톤 계획과 위넷카 계획은 개별화 교육을 위한 시도였고, 교육에서는 권위주의와 반권위주의 논쟁이 있었다.[8][9]
1950년대 중국 공산당은 초등 교육을 확대하고 실용적 기술 교육을 강조했는데,[70] 이는 문맹 퇴치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것이었다.[71] 중국 정부는 교육과 "생산적 노동"의 연관성을 강조했다.[72]
유럽의 현대 교육 시스템은 고중세 학교에서 기원하며, 종교적 목적이 강했다.[73][74] 파리 대학교와 볼로냐 대학교 등 초기 대학들은 기독교를 기반으로 하거나 세속적인 대학이었다.[73][74] 1179년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무상 교육을 의무화했고,[75] 중세 유럽에는 종교적 성격의 사립 학교들도 있었다.[76] 교육 과정은 트리비움 (교육)과 쿼드리비움을 중심으로 라틴어로 진행되었다.[77]
북유럽에서는 종교 개혁 이후 초등 교육이 발전했다. 스코틀랜드는 1561년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상 교육을 제공하는 원칙을 세웠고, 1633년 법으로 제도화했다.[78]
헤르바르트는 독일어권에서 널리 사용된 교육학 시스템을 개발했고, 프로이센은 1800년경 의무 교육을 시작했다. 얀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보편적 교육 시스템을 알렸다.
이반 베츠코이는 예카테리나 2세의 교육 고문으로, "새로운 인류" 창조를 목표로 국립 기숙 학교를 제안했다.[79] 폴란드는 1773년 국민 교육 위원회를 설립하여 유럽 최초의 정부 교육부 역할을 했다.[80]
18세기에는 대학에서 학술지를 발행했고, 19세기에는 독일과 프랑스의 대학교 모델이 확립되었다. 에콜 폴리테크니크는 프랑스 혁명기에 설립되었고, 훔볼트 교육 모델은 세미나와 실험실을 중시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대학교가 과학에 집중했다.
1770년대 독일 할레 대학교에 최초의 교육학 교수가 설립되었다.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와 조지프 랭커스터는 교육 연구에 기여했다.
1884년 런던에서 국제 보건 전시회의 일환으로 교육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81] 19세기 말 서유럽, 중유럽, 동유럽 일부 지역에서 초등 교육이 시작되었고, 정치인들은 교육이 질서 있는 정치 행동에 필요하다고 믿었다.[82]
20세기에는 마리아 몬테소리의 몬테소리 교육과 루돌프 슈타이너의 발도르프 교육이 등장했다.
덴마크 교육 시스템은 성당 및 수도원 학교에서 시작되었으며, 종교 개혁 이후 국왕에게 넘어갔다.[83] 1721년 전국에 ''rytterskoler''(기병 학교)가 설립되었고, 경건주의 운동은 문해력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19세기 N. F. S. 그룬트비는 국민 고등학교 설립을 옹호했다. 1871년 덴마크 중등 교육이 분리되었고,[83] 1894년 ''폴케스코울''(공립학교)이 설립되었다. 1903년 김나지움이 공립학교와 연결되었고, 1975년 ''realskoleda''가 폐지되고 평등주의적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1818년 존 파운즈는 가난한 아이들에게 무료 교육을 제공했다. 1820년 새뮤얼 와일더스핀은 최초의 유아 학교를 열었다. 1833년부터 의회는 가난한 아이들의 학비를 지원했고,[84] 1837년 헨리 브루엄은 공교육 준비를 주도했다.[85]
프랑스에서는 앙시앵 레짐 시대에 교육이 제도화되어 교회와 국가에 봉사할 관리들을 양성했다.[86] 계몽주의는 여성 교육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86] 1790년대 혁명은 대학교를 폐지하고 에콜 폴리테크니크로 대체했다.[87][88] 1833년 기조 법(Guizot Law)은 초등 교육을 의무화했다. 1880년대 쥘 페리는 쥘 페리 법을 통해 무상 세속 교육을 실시했다.[89][90]
러시아 제국에서 1897년 문맹률은 28%였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1919년 문맹 퇴치를 선언하고 의무 교육 제도를 확립했다. 문맹 퇴치 학교에 수백만 명이 등록했고, 청소년 단체가 활용되었다. 1937년 문맹률은 75%였다. 소련 초등 교육의 급속한 확장은 제1차 5개년 계획과 일치했다.[100] "토착화"(코레니자치야) 정책은 비러시아어 사용을 촉진했다. 1938년 러시아어 교육이 의무화되었고, 1950년대 후반부터 비러시아 학교에서 러시아어가 주요 교육 매체가 되었다.
이탈리아에는 1859년 카사티 법(Legge Casati)으로 국가 교육 시스템이 시작되었다.[101] 이 법은 초등 교육을 의무화하고 문해력 향상을 목표로 했다. 1923년 젠틸레 개혁은 베니토 무솔리니와 국가 파시스트당 하에서 발표되었다. 의무 교육 연령이 14세로 높아졌고, 계단식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리세오 클라시코''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기술, 상업, 산업 학교와 ''리세오 과학''이 만들어졌다. 1962년 '아비아멘토 알 라보로'가 폐지되고 단일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 1999년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라 대학 시스템이 개편되었다. 2019년 로렌초 피오라몬티는 기후 변화 (일반 개념)와 지속 가능한 개발 연구를 의무화한다고 발표했다.[102]
노르웨이는 1152년 대성당 학교를 건설했다.[103] 1537년 종교 개혁 이후 라틴 학교로 바뀌었고, 모든 시장 도시에 학교 설립이 의무화되었다. 1736년 읽기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1827년 ''folkeskole''가 도입되었고, 의무 교육 기간이 점차 늘어났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folkeskole''가 폐지되고 ''grunnskole''가 도입되었다.[104] 1997년 새로운 교육 과정이 수립되었다.[105]
1842년 스웨덴 의회는 4년제 초등학교 "folkskola"를 도입했다. 의무 교육은 점차 늘어나 1962년 9년이 되었다.
일본은 도쿠가와 막부 시대에 학습이 널리 퍼졌다. 유교 경전 암송, 산수, 서예 등이 교육되었다. 평민 교육은 실용적이었고, 테라코야에서 이루어졌다. 1860년대 일본 소년의 40~50%, 소녀의 15%가 학교 밖에서 교육을 받았다.[109] 메이지 시대에 서구식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이와쿠라 사절단이 파견되었고, 초등학교 등록률이 증가했다. 1890년 이후 아동에 대한 새로운 감성이 확산되었다.[110][111][112] 1870년 이후 유교 기반 교과서가 서구화되었으나, 1890년대에 반동이 시작되어 교육에 관한 교육칙어가 발표되었다.[113]
18세기 인도에서는 엘리트 남성 교육이 널리 퍼져 있었다.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서구식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었다.[114] 커즌 경은 대중 교육을 우선시했다.[116]
캐나다에서는 1867년 연방 이후 교육이 논쟁거리가 되었다. 뉴질랜드의 교육은 1877년 법안으로 시작되었고, 6세부터 16세까지 의무 교육이었다.[117]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870년대에 의무 교육이 시행되었다.[118]
1920년대와 1930년대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터키 교육을 개혁했다.[120] 메드레세 교육이 근대화되었고, 존 듀이가 초청되었다.[122] 1924년 교육이 통일되었고, 터키 국립 교육부가 설립되었다. 1930년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제안으로 망명 교수들이 고용되었다.[123][124]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서는 "적응 교육"이 사용되었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2000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초등학교 등록률은 58%였다. USAID는 2005년 아프리카 학령기 아동의 40%가 초등학교에 다니지 않는다고 보고했다.
3. 지역별 교육사
아시아의 수메르(에두바), 이슬람 문명(지혜의 관), 아프리카의 이집트 (생명의 관), 남아메리카의 아스텍 (칼메카크, 텔포치칼리) 등 다양한 지역에서 독자적인 교육 기관이 발전했다.
- '''아스텍:''' 14~16세기 중앙 멕시코 지역에서 나와틀어를 사용하며 번성했던 아스텍은 15세가 되면 모든 소년 소녀가 학교에 다녔다. 학교는 실용 및 군사 연구를 위한 텔포치칼리와 쓰기, 천문학, 정치, 신학 등의 고급 학습을 위한 칼메카크로 나뉘었다.
- '''잉카:''' 15~16세기 잉카 제국 시대의 잉카 교육은 상류층과 일반 대중을 위한 교육으로 나뉘었다. 왕족과 특별히 선발된 개인들은 '아마우타스'라 불리는 현자들에게 정식 교육을 받았고, 일반 대중은 직계 조상으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배웠다.
- '''이슬람:''' 7세기에서 19세기 사이 이슬람 문명권에서는 622년 메디나에서 학교 교육이 시작되었다. 쿠란은 무슬림들에게 교육을 장려했고, 카라윈 대학교와 같은 교육 기관이 설립되었다. 바그다드의 지혜의 집은 9세기에서 13세기까지 도서관, 번역, 교육 센터 역할을 했다.
3. 1. 한국 교육사
한국 교육사는 일본 교육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일본은 고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대 일본에서는 귀족 중심 교육이 이루어졌고, 중앙의 대학과 지방의 국학에서 관리를 양성했다. 교육 과정은 명경도(유교), 명법도(율령), 기전도(한시문), 산도(수학) 등이었다. 견당사를 통해 당나라 문물을 받아들였고, 구카이는 종예종지원을 설립해 서민 교육을 했다. 후지와라 씨의 권학원이나 왕씨·겐지 씨의 장학원 등 귀족 가문은 대학별조를 통해 자제를 교육했다.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는 교토 귀족들이 고전 연구와 유직고실(有職故実) 학문을 담당했다. 가마쿠라 시대 호조 사네토키는 가나자와 문고를 설치해 문서를 수집했고, 무로마치 시대 우에스기 노리자네는 아시카가 학교를 재흥했다.
근현대 일본에서는 유시마 성당을 중심으로 유교 도덕이 강조되었고, 번교와 사숙이 운영되었다. 난학이 융성했으나, 간세이 이학의 금, 만사의 옥 등 학문 탄압도 있었다. 학교령과 학제 시행 후 다이쇼 자유주의 교육 운동이 일어나 국민 개별 교육, 국가주의 교육, 수신 교육이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연합군 주둔 하에 먹칠 교과서가 사용되었고, 미국 교육 사절단 보고서와 새 헌법이 발표되었다. 교육기본법과 학교교육법이 제정되었고, 역사 교과서 문제가 발생했다. 주입식 교육에서 여유 교육으로, 다시 탈 여유 교육으로 변화했다.
3. 1. 1. 고대
일본 교육의 역사에서 고대 시기에는 귀족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졌다. 중앙에는 대학이, 지방에는 국학이 설치되어 관리를 양성했다.- 교육 과정으로는 명경도(유교), 명법도(율령), 기전도(한시문), 산도(수학) 등이 있었으며, 이시가미노 야쿠쓰구의 예정이 있었다.
- 견당사를 통해 당나라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였다.
- 구카이는 서민 교육을 위해 종예종지원을 설립했다.
- 후지와라 씨의 권학원이나 왕씨·겐지 씨의 장학원 등 귀족 가문은 대학별조를 통해 자제들을 교육했다.
3. 1. 2. 조선시대
-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교토의 귀족들은 고전 연구와 유직고실(有職故実) 학문을 담당하였다.
- 가마쿠라 시대에는 호조 사네토키가 가나자와 쇼묘지 (현재의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가나자와구)에 가나자와 문고를 설치하고, 많은 문서를 수집하였다.
- 무로마치 시대에는 간토 지방에서 우에스기 노리자네가 아시카가 학교를 재흥하였다.
3. 1. 3. 근현대
일본 교육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시마 성당을 중심으로 유교 도덕이 강조되었다.
- 번교와 사숙이 운영되었다.
- 난학이 융성하였다.
- 간세이 이학의 금, 만사의 옥 등 학문에 대한 탄압이 있었다.
- 학교령과 학제가 시행되었다. 다이쇼 자유주의 교육 운동이 일어나 국민 개별 교육, 국가주의 교육, 수신 교육이 이루어졌다.
- 제2차 세계 대전 패배 후 연합군이 주둔하며 먹칠 교과서가 사용되었다.
- 미국 교육 사절단 보고서와 새 헌법이 발표되었다.
- 교육기본법과 학교교육법이 제정되었다.
- 역사 교과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 주입식 교육에서 여유 교육으로, 다시 탈 여유 교육으로 변화하였다.
3. 2. 서양 교육사

유럽의 현대적인 교육 시스템은 고중세의 학교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 시대 대부분의 학교는 성직자 양성을 주 목적으로 종교적 원칙에 따라 설립되었다. 1160년에 설립된 파리 대학교처럼 많은 초기 대학들이 기독교를 기반으로 했다. 이 외에도 1088년 이탈리아에 설립된 볼로냐 대학교는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1224년 설립)와 같은 여러 세속 대학도 존재했다.[73][74] 1179년, 교회는 모든 대성당이 정규 수업료를 지불할 수 없을 정도로 가난한 소년들을 가르칠 교사를 배정해야 한다고 선언하며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무상 교육을 공식적으로 의무화했다.[75] 교구와 수도원 또한 기본적인 문해 능력을 가르치는 무상 학교를 설립했다. 중세 유럽에는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학교가 다시 등장했지만, 이들 역시 종교적인 성격을 띠었다.[76] 교육 과정은 일반적으로 트리비움 (교육)을 중심으로, 쿼드리비움 (7개의 자유 과목)을 약간 덜 중요하게 다루었으며,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서유럽 교육받은 사람들의 공용어인 라틴어로 진행되었다.[77]
북유럽에서는 종교 개혁 이후 이러한 성직자 교육이 초등 교육 형태로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에서는 1561년 1월, 국가적인 스코틀랜드 교회가 모든 교구 교회에 학교 교사를 두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상 교육을 제공하는 원칙을 세워 영적인 개혁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는 1633년 스코틀랜드 의회에서 통과된 법령으로 제공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을 위한 세금을 도입했다. 이 시기에 이처럼 광범위한 교육 시스템을 갖춘 국가는 거의 없었지만,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는 교육이 훨씬 더 널리 퍼지게 되었다.[78]
헤르바르트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는 교육학 시스템을 개발했다. 1800년경 프로이센에서는 "더 많은 군인과 더 순종적인 시민을 생산"하기 위해 대규모 의무 교육이 시작되었다. 중앙유럽에서는 17세기 과학자이자 교육자인 얀 아모스 코메니우스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된 개혁된 보편적 교육 시스템을 널리 알렸다.
이러한 발전은 교육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증가시켰다. 예를 들어 1760년대에 이반 베츠코이는 러시아 여제 예카테리나 2세의 교육 고문으로 임명되어 "새로운 인류"를 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국립 기숙 학교에서 남녀 젊은 러시아인을 교육할 것을 제안했다. 그의 아이디어 중 일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귀족 소녀들을 위해 설립한 스몰니 학원에서 실행되었다.[79] 1773년 폴란드에 설립된 국민 교육 위원회는 유럽 국가 최초의 정부 교육부 역할을 했다.[80]

18세기에는 대학교에서 학술지를 발행했고, 19세기에는 독일과 프랑스의 대학교 모델이 확립되었다. 프랑스는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수학자 가스파르 몽주에 의해 1794년 에콜 폴리테크니크를 설립했고, 1804년 나폴레옹 1세 치하에서 사관학교가 되었다. 빌헬름 폰 훔볼트가 설립한 독일 대학교, 즉 훔볼트 교육 모델은 세미나와 실험실의 중요성에 대한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자유주의적 아이디어에 기반을 두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대학교가 과학에 집중했으며 상류층을 대상으로 했다. 과학, 수학, 신학, 철학, 고대사가 전형적인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이집트 중왕국에서는 멘투호테프 2세(기원전 2061-2010년)의 재무관이었던 케티의 지시 아래 가장 초창기의 공식적인 학교가 개발되었다.[4]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초기 표어 문자 형태의 설형 문자를 익히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서기로 고용되어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 왕족, 부유층, 서기, 의사, 사원 관리 등 전문직 종사자들만이 학교 교육을 받았다.[5]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 아슈르바니팔(기원전 685-627년)은 자신의 서기 교육을 자랑스럽게 여겼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메소포타미아 전역, 특히 바빌로니아에서 니네베 도서관에 설형 문자를 수집했는데, 이는 고대 중동에서 체계적으로 조직된 최초의 도서관이었다.[8] 고대 이집트에서 문해력은 교육받은 서기 엘리트들에게 집중되었다. 사원, 파라오, 군 당국에서 봉사하기 위해 특정 배경을 가진 사람들만이 서기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을 수 있었다. 상형 문자 체계는 배우기 어려웠지만, 이후 시대에는 서기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더욱 어려워졌다. 고대 이스라엘에서는 토라에 토라를 읽고, 배우고, 가르치고, 쓰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어 문해력과 연구가 필요했다. 서기 64년 대제사장은 학교를 열었다.[17]
전설에 따르면 요와 순 (기원전 24~23세기) 임금이 최초의 학교를 세웠다고 한다. 최초의 교육 시스템은 하 왕조 (기원전 2076~1600년)에 만들어졌다. 주 왕조 (기원전 1045~256년)에는 수도에 5개의 국립 학교(비용, 상상 등)가 귀족과 귀족 자제를 위해 설립되어 육예(의례, 음악, 궁술, 마술, 서예, 수학)를 가르쳤다. 유교의 창시자 공자 (기원전 551~479년)는 중국 철학자로, 이후 중국의 여러 세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2000년 동안 중국 교육 시스템의 커리큘럼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 왕조 (서기 206~221년) 시대에는 소년들이 7세가 되면 읽기, 쓰기, 계산의 기본 기술을 배우기 시작했다.[30] 기원전 124년에 한 무제는 태학을 설립했는데, 그 커리큘럼은 공자의 오경이었다. 구품관인법은 삼국 시대 (서기 220~280년)와 남북조 시대 (서기 420~589년) 중국의 문관 추천 시스템이었다.
교육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교수법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고, 1770년대에는 독일 할레 대학교에 최초의 교육학 교수가 설립되었다. 유럽 다른 지역의 교육 연구에 대한 기여로는 스위스의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와 영국의 조지프 랭커스터의 연구가 있었다. 1884년, 국제 보건 전시회에서 유럽 전역의 전문가들을 초청하는 획기적인 교육 컨퍼런스가 런던에서 개최되었다.[81] 19세기 말, 서유럽, 중유럽, 그리고 동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읽기, 쓰기, 셈하기를 가르치는 초등 교육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정치인들이 교육이 질서 있는 정치 행동에 필요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문해력을 갖추게 되면서, 대부분의 중등 교육이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만 열려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주요 국가들은 초등 교육을 마련한 후, 제1차 세계 대전 즈음에는 중등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했다.[82] 20세기에는 이탈리아의 마리아 몬테소리의 몬테소리 학교와 독일의 루돌프 슈타이너가 개발한 발도르프 교육이 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 제시되었다.

덴마크 교육 시스템은 교회가 설립한 성당 및 수도원 학교에서 시작되었으며, 12세기와 13세기에 설립된 학교 중 7개가 오늘날까지 존재한다. 1536년 종교 개혁 이후 학교는 덴마크 국왕에게 넘어갔다. 당시 대중 초등 교육은 매우 원시적이었지만, 1721년에 전국에 240개의 "기병 학교"(''rytterskoler'')가 설립되었다. 18세기 경건주의 종교 운동은 문해력을 요구했고, 이는 공교육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19세기 덴마크 교육 시스템은 국민 고등학교 설립을 옹호한 N. F. S. 그룬트비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1818년, 존 파운즈는 학교를 설립하고 가난한 아이들에게 무료로 읽기, 쓰기, 수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1820년, 새뮤얼 와일더스핀은 스피탈필드에 최초의 유아 학교를 열었다. 1833년부터 의회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가난한 아이들의 학비를 지원하기 위해 자금을 투표했다.[84] 1837년, 휘그당 재상 헨리 브루엄은 공교육 준비를 주도했다.
1789년 이전 앙시앵 레짐 시대에는 교육 시설과 열망이 점차 제도화되어 주로 교회와 국가에 미래의 행정관으로 봉사할 관리들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프랑스 교육의 현대 시대는 1790년대에 시작되었다. 혁명은 전통적인 대학교를 폐지했고,[87] 나폴레옹은 이를 기술에 중점을 둔 에콜 폴리테크니크로 대체하려 했다.[88] 초등학교는 1830년 프랑스가 프로이센 교육 제도를 모방할 때까지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1833년, 프랑스는 최초의 포괄적인 초등 교육법인 기조 법(Guizot Law)을 통과시켰다. 1880년대 공공 교육부 장관 쥘 페리는 15세 미만 모든 아이들(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이 학교에 다닐 것을 요구함으로써 현대 공화주의 학교(''l'école républicaine'')를 만들었다. 쥘 페리 법에 따라 학교는 무상이었고 세속 교육(''laïque'')을 실시했다.

러시아 제국에서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문맹률은 인구의 28%였다. 상류층을 위한 강력한 대학교 네트워크가 있었지만, 다른 사람들을 위한 지원은 미약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1919년 소비에트 정부의 주요 목표가 문맹 퇴치라고 선언하고 보편적 의무 교육 제도를 확립했다. 수백만 명의 문맹 성인이 특별 문맹 퇴치 학교에 등록되었다.
이탈리아에는 1859년부터 국가 학교 시스템 또는 교육 시스템이 존재해 왔는데, 이는 레제 카사티(카사티 법)가 곧 설립될 이탈리아 국가에 교육적 책임을 부여했기 때문이다(이탈리아 통일은 1861년에 이루어졌다). 카사티 법은 초등 교육을 의무화했으며 문해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탈리아 교육 시스템과 관련된 다음 중요한 법은 젠틸레 개혁이었다. 이 법은 1923년에 발표되었으며, 당시에는 베니토 무솔리니와 그의 국가 파시스트당이 집권하고 있었다.

1962년부터 현재까지 이탈리아 초등(및 중등) 교육의 주요 구조는 일부 수정 사항이 있었지만 대체로 변경되지 않았다. 1999년,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라 이탈리아 대학 시스템은 이전 시스템(''베키오 오르디나멘토'')에서 새로운 시스템(''누오보 오르디나멘토'')으로 전환되었다. 2019년, 로렌초 피오라몬티 교육부 장관은 2020년에 이탈리아가 학생들이 기후 변화와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의무화하는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02]
노르웨이가 1152년 대교구가 된 직후, 사제 교육을 위한 대성당 학교가 트론헤임, 오슬로, 베르겐, 하마르에 건설되었다.[103] 1537년 노르웨이의 종교 개혁 이후 대성당 학교는 라틴 학교로 바뀌었고, 모든 시장 도시에 그러한 학교를 갖추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1842년, 스웨덴 의회는 스웨덴 어린이들을 위한 4년제 초등학교인 "folkskola"를 도입했다. 1882년에는 "folkskola"에 5학년과 6학년이 추가되었다.

캐나다에서는 1867년 연방 이후 교육이 논쟁거리가 되었는데, 특히 퀘벡 밖의 프랑스어 학교의 지위와 관련하여 갈등이 있었다. 뉴질랜드의 교육은 지방 정부, 기독교 선교 교회, 사립 교육 기관의 지원으로 시작되었다. 교육에 관한 최초의 의회 법안은 1877년에 통과되었으며, 초등 교육의 기준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870년대에 의무 교육이 시행되었으나, 시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터키를 근대화하기 위해 급진적인 교육 개혁을 단행했다. 그는 먼저 정부와 종교를 분리했다. 교육은 이 노력의 초석이었다. 1924년, 아타튀르크는 미국의 교육 개혁가 존 듀이를 앙카라로 초청하여 터키 교육 개혁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122] 1930년대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제안에 따라 아타튀르크는 독일의 나치 장악을 피해 도망친 세계적으로 유명한 망명 교수들을 포함하여 천 명 이상의 저명한 학자들을 고용했다.
3. 2. 1. 고대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에서 스파르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교육은 사립 교육이었다. 예를 들어, 기원전 5세기와 4세기 아테네에서는 2년간의 군사 훈련을 제외하고는 국가가 학교 교육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33][34] 학교를 열고 교육 과정을 결정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자유였다. 학부모들은 자녀가 배우고 싶어하는 과목을 가르치는 학교를 선택하여 월 수업료를 지불했다.[33] 가난한 사람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부모들은 적어도 몇 년 동안 아들을 학교에 보냈으며, 형편이 된다면 7세부터 14세까지 체육(육상, 스포츠, 레슬링 포함), 음악(시, 연극, 역사 포함), 문해력을 가르쳤다.[33][34] 소녀들은 거의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다. 글쓰기 학교에서 가장 어린 학생들은 노래로 알파벳을 배우고, 나중에는 왁스 칠한 나무판에 스타일러스로 글자 모양을 베껴 썼다. 학교 교육을 마친 후, 가난하거나 중산층 가정의 아들들은 아버지나 다른 장인과 함께 견습생으로 일하며 직업을 배우는 경우가 많았다.[33]
기원전 350년경, 아테네의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그림, 회화, 조각과 같은 다양한 예술을 공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부유한 학생들은 궤변가들과 함께 공부하며 수사학, 수학, 지리학, 박물학, 정치학, 논리학 등을 배워 교육을 계속했다.[33][34] 아테네의 가장 위대한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리케이온(소요학파, 스타게이로스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설립)과 플라톤 아카데미(아테네의 플라톤이 설립)가 있었다. 부유한 고대 그리스인들의 교육 시스템은 파이데이아라고도 불렸다. 그 후 로마 제국에서 그리스어는 과학의 주요 언어였으며, 고도의 과학 연구와 교육은 주로 로마 제국의 헬레니즘 지역에서 그리스어로 진행되었다.
스파르타의 교육 시스템은 완벽한 복종, 용기, 육체적 완성을 갖춘 전사를 양성하기 위해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그리스의 다른 폴리스와는 완전히 달랐다. 7세가 되면 소년들은 집에서 나와 학교 기숙사나 군대 막사에서 생활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혹독한 훈련 속에서 스포츠, 지구력, 전투 기술을 배웠고, 그 외에는 거의 배우지 못했다. 대부분의 인구는 문맹이었다.[33][34]
고대 로마 최초의 학교는 기원전 4세기 중반에 생겨났다.[35] 이 학교들은 어린 로마 아이들의 기본적인 사회화와 초보적인 교육을 담당했다. 기원전 3세기의 문해율은 약 1~2%로 추정된다.[36] 기원전 2세기까지 로마의 교육 과정에 대한 1차 자료나 설명은 거의 없으며,[35] 이 시기에는 로마에 사립 학교가 급증했다.[36] 로마 공화국의 전성기와 이후 로마 제국 시대에 로마 교육 시스템은 점차 최종 형태를 갖추었다. 유료 학생들을 위한 공식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무상 공교육은 거의 없었다.[37] 일반적으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모두 교육을 받았지만, 반드시 함께 교육을 받지는 않았다.[37] 현대 세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과 매우 유사하게 로마 교육 시스템은 계층별 학교로 발전했다.
교육자 퀸틸리아누스는 교육을 가능한 한 일찍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며 "기억력은 … 어린아이들에게도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그 나이에 특별히 기억력이 좋다"고 언급했다.[38] 로마의 학생들은 오늘날의 학생들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로 진학하는 것처럼 학교를 진학했다. 진학은 나이보다는 능력에 더 많이 의존했으며,[37] 학생의 ''ingenium'' 즉 타고난 학습 "재능"에 큰 비중을 두었고,[39] 학생의 고등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암묵적인 강조도 있었다. 로마의 엘리트만이 완전한 정규 교육을 기대할 수 있었다. 상인이나 농부는 직장에서 대부분의 직업 기술을 습득할 것으로 예상했다. 로마의 고등 교육은 실용적인 관심사라기보다는 지위의 상징이었다.
그리스-로마 세계의 문해율은 20%를 넘는 경우가 드물었고, 로마 제국에서는 10%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었지만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으며, 서부 지방에서는 5%를 넘은 적이 없었을 것이다. 고전 그리스의 문맹자 비율은 인구의 5%를 크게 넘지 않았다.[40][41]
- 고대 그리스의 교양 (파이데이아)
- 유산 계급 남성들의 여가 (스코레, school의 어원)
- 변론술과 철학 - 소피스트 대 소크라테스
- 플라톤의 아카데메이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뤼케이온
- 기독교의 윤리 (신의 사랑, 이웃 사랑 (형제애, 우애))
3. 2. 2. 중세
7 자유 학과는 7개의 기본 교과목으로, 언어를 중심으로 한 문법, 수사학, 논리학의 3개 과목과 수를 중심으로 한 대수, 기하, 천문, 음악의 4개 과목이었다. 로마 제정 후기에 카펠라에 의해 7개 과목으로 확정되었고, 6세기에 카시오도로스는 로마 가톨릭교회에 적용하였다.[125] 중세 초기 기독교를 전파하는 과정에서 3R's(읽기, 쓰기, 대수) 교육이 실시되었다. 수도원은 문화 센터로서의 역할을 하였다.중세 시대의 교육 기관은 마을, 교회, 수도원 학교 등 다양했으며, '학교'라는 단어가 적용되었다. 중세 후기에 마을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보통 7세에서 14세 사이였다. 이러한 학교에서 소년들을 위한 교육은 문해력의 기초(알파벳, 음절, 간단한 기도문, 격언)에서 라틴어에 대한 더 발전된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때때로 이 학교들은 기본적인 산수나 편지 쓰기, 사업에 유용한 다른 기술들을 가르치기도 했다. 종종 다양한 수준의 교육이 같은 교실에서 이루어졌다.[42]
초기 중세 시대 동안 로마 가톨릭 교회의 수도원은 교육과 문해력의 중심지였으며, 라틴 학습에서 교회의 선택을 보존하고 글쓰기 기술을 유지했다. 공식적으로 설립되기 전에, 많은 중세 대학교는 수백 년 동안 기독교 수도원 학교(Scholae monasticae)로 운영되었는데, 이곳에서 수도사들이 수업을 가르쳤고, 나중에는 주교좌 학교로 운영되었다. 많은 장소에서 이러한 초기 대학의 전조 증거는 6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43]
일반적으로 대학교로 간주되는 최초의 중세 교육 기관은 11세기 후반과 12세기에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에 예술, 법학, 의학, 신학을 연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 대학교들은 훨씬 오래된 기독교 주교좌 학교와 수도원 학교에서 발전했으며, 교황청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럽 고등 교육을 위한 studia generalia 목록이 유용한 지침이 되긴 하지만, 이들이 언제 진정한 대학교가 되었는지 정의하기는 어렵다.
12세기의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르침을 받은 스승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그들은 교육을 받은 장소나 지역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는 데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다. 심지어 오늘날에도 학자들이 독특한 학설을 가진 학교를 인용할 때, 그들은 학교의 지리적 위치보다는 그룹 이름을 사용하여 학교를 묘사한다. 로버트 드 멜룬 밑에서 공부한 사람들은 "멜루디넨세스"라고 불렸다. 이 사람들은 멜룬에서 공부한 것이 아니라 파리에서 공부했고, 스승의 그룹 이름을 받았다. 12세기의 시민들은 스승들이 제공할 수 있는 희귀하고 어려운 기술을 배우는 데 매우 관심을 갖게 되었다.[44]
아일랜드는 성자와 학자들의 섬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수도원이 아일랜드 전역에 건설되었고, 이곳은 훌륭한 학습의 중심지가 되었다(켈트 교회 참조).
노섬브리아는 종교적 학습과 예술의 중심지로 명성을 얻었다. 처음에는 왕국이 켈트 교회에서 온 수도사들에 의해 복음화되었는데, 이는 수도원 생활의 번성을 이끌었고, 노섬브리아는 앵글로-색슨, 켈트 기독교, 비잔틴 및 기타 요소를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인 도서 예술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664년 위트비 종교회의 이후 로마 교회 관행이 공식적으로 켈트 관행을 대체했지만 앵글로-켈트 스타일의 영향은 계속되었고, 가장 유명한 예는 린디스판 복음서였다. 존경받는 베다 (673–735)는 그의 저서 ''앵글로족 교회 역사''(731년에 완성)를 노섬브리아 수도원에서 썼으며, 그 대부분은 왕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45]
768년부터 814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로마 이후 처음으로 서유럽 대부분을 통일한 샤를마뉴 치하에서 카롤링거 르네상스로 알려진 문학, 예술, 건축의 개화가 일어났다. 광대한 정복을 통해 다른 국가의 문화와 학습에 접하게 된 샤를마뉴는 프랑키아에서 수도원 학교와 필사실 (책 복사 센터)의 제공을 크게 늘렸다. 현존하는 고전 라틴어 작품의 대부분은 카롤링거 학자들에 의해 복사되고 보존되었다.
샤를마뉴는 학문에 심각한 관심을 보였고, 궁정에서 자유 교양을 장려했으며, 자녀와 손자들에게 훌륭한 교육을 받도록 명령했고, 심지어 파울 더 디컨에게서 문법을 배우고, 알쿠인에게서 수사학, 변증법, 천문학을 배우는 등(그는 특히 별의 움직임에 관심이 많았다) 스스로 공부했으며, 아인하르트가 산수 공부를 도왔다. 영국 수도사인 알쿠인은 아헨에 있는 샤를마뉴의 궁정으로 초청되었고, 노섬브리아 수도원에서 구할 수 있는 정확한 고전 라틴어 교육을 가져왔다.[46] 이러한 라틴어 숙련의 프랑크 왕국으로의 회귀는 중세 라틴어의 발전에 중요한 단계로 여겨진다. 샤를마뉴의 관청은 현재 카롤링거 소문자로 알려진 일종의 필기체를 사용하여 유럽 대부분에서 소통할 수 있는 공통적인 글쓰기 스타일을 제공했다. 카롤링거 왕조가 쇠퇴한 후, 독일에서 작센 왕조의 부상은 오토 르네상스를 동반했다.
샤를마뉴는 797년의 조서를 통해 교구 사제들에 의한 청소년을 위한 무료 초등 교육을 시도했다. 이 조서는 "사제들이 모든 읍과 마을에 학교를 설립하고, 만약 신자들 중 누군가가 자녀를 편지에 대해 배우도록 맡기기를 원한다면, 그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지 말고 모든 자비로 그들을 가르치도록 한다... 그리고 그들이 가르침에 대해 아이들에게 어떤 대가도 요구하지 말고 부모가 자발적으로 그리고 애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만 받아들여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47]
주교좌 학교와 수도원은 중세 시대 내내 중요했으며, 1179년 제3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교회는 사제들에게 그들의 신도들에게 무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의무화했고, 스콜라 운동으로 알려진 12세기와 13세기의 르네상스는 수도원을 통해 확산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수도원주의에서 성장한 중세 대학교가 주요 유럽 도시에 설립되기 시작한 11세기에 교육의 유일한 근원이 되는 것을 중단했다. 문해력은 더 광범위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제공되었고, 예술, 조각, 음악 및 건축에서 주요한 발전이 있었다.[48]
1120년 스코틀랜드의 던펌린 수도원은 말콤 3세와 그의 여왕 마가렛의 명령에 따라 영국 최초의 고등학교인 던펌린 고등학교를 건설하고 설립했다. 이것은 고대 스코틀랜드 수도에서 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수도원의 영향과 발전을 강조했다.
조각, 그림,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은 문맹 시청자들에게 성서적 주제와 성자들의 삶을 가르치는 중요한 교육 매체였다.[49]
7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중국과 스페인으로 뻗어나간 이슬람 문명권에서 무슬림들은 622년 현재 사우디 아라비아의 도시인 메디나에서 학교 교육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모스크(아랍어로 '마스지드')에서 교육이 이루어졌지만, 이후 모스크 옆에 학교가 분리되어 세워졌다. 최초의 분리된 학교는 1066년 바그다드에 세워진 니자미야 학교였다. 아이들은 6세부터 무상으로 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쿠란은 무슬림들에게 교육을 장려했다. 따라서 고대 이슬람 사회에서는 교육과 학교가 번성했다. 또한, 모로코 페스에 위치한 카라윈 대학교는 유네스코와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계속 운영되는, 최초의 학위 수여 교육 기관이며[50] 때로는 가장 오래된 대학교로 언급되기도 한다.[51] 이 학교는 원래 859년에 세워진 모스크였다.[52]
바그다드의 지혜의 집은 9세기에서 13세기까지 도서관, 번역, 교육 센터였다. 점성술, 수학, 농업, 의학, 철학에 관한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페르시아 제국, 인도사, 그리스어 텍스트—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히포크라테스, 유클리드, 플로티누스, 갈레노스, 수슈루타, 차라카, 아리아바타, 브라마굽타의 작품들을 포함하여—를 바탕으로 학자들은 세계적인 지식 컬렉션을 축적하고, 그들의 발견을 통해 이를 발전시켰다. 지혜의 집은 인문학과 이슬람 과학—이슬람 수학, 이슬람 천문학, 이슬람 의학, 이슬람 연금술, 동물학, 이슬람 지리학—연구의 독보적인 중심지였다. 바그다드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이자 지적 발달의 중심지로 알려졌으며, 1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최대 규모였다.[53]
이슬람 모스크 학교(마드라사)는 아랍어로 쿠란을 가르쳤으며 중세 유럽의 대학교와는 전혀 달랐다.[54][55]
9세기에는 이슬람 황금기 동안 비마리스탄 의과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의학 디플로마가 이슬람 의학을 공부하여 의사가 될 자격을 갖춘 학생들에게 수여되었다.[56] 975년 이집트 카이로에 설립된 알 아즈하르 대학교는 다양한 대학원 학위를 제공하고 마드라사와 신학 신학교를 갖춘 "자미아"(아랍어로 "대학교")였으며, 샤리아, 피크, 아랍어 문법, 이슬람 천문학, 초기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의 논리를 가르쳤다.[56]
오스만 제국 시대에 부르사와 에디르네는 주요 학습 중심지가 되었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서아프리카 국가 말리의 팀북투라는 도시가 이슬람 학습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중동과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학생들이 찾아왔다. 이 도시에는 명망 있는 상코레 대학교와 다른 마드라사가 있었다. 이 학교들의 주요 초점은 쿠란을 가르치는 것이었지만, 논리학, 천문학, 역사와 같은 분야에서도 폭넓은 교육이 이루어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지역에 많은 수의 필사본이 축적되었고, 그 중 일부는 이슬람 이전 시대와 12세기부터 존재했으며, 10만 개 이상의 필사본이 도시의 유력 가문들에 의해 보관되었다.[58] 그 내용은 특히 천문학, 음악, 식물학 분야에서 교훈적이다. 아흐메드 바바 센터는 18,000개 이상의 필사본을 수집했다.[59]
3. 2. 3. 르네상스, 종교개혁기
서양 교육사 참고3. 2. 4. 근대
장 자크 루소의 에밀은 근대 교육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콩도르세는 공교육의 시작을 알렸다.[1]로버트 오웬은 뉴 라나크에서 아동 노동자들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아동 복지에 힘썼다.[1]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 프리드리히 프뢰벨, 헐버트 등은 아동 중심 교육을 강조했다.[1] 엘렌 카이는 저서 아동의 세기를 통해 아동의 권리와 존엄성을 역설했다.[1]
독일의 개혁 교육 운동과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은 세계의 신교육 운동을 이끌었다.[1] 전원 교육 학원(Landerziehungsheim) , 방랑 운동에서 예술 교육 운동까지 다양한 교육 운동이 전개되었다.[1] 덜턴 플랜, 위네트카 플랜 등 새로운 교육 방법이 시도되었다.[1] 교육의 권위주의와 반권위주의 논쟁도 벌어졌다.[1]
3. 3. 기타 지역 교육사
아시아의 수메르 (에두바), 이슬람 (지혜의 관), 아프리카의 이집트 (생명의 관), 남아메리카의 아스텍 (칼메카크, 텔포치칼리) 등 다양한 지역에서 독자적인 교육 기관이 발전했다.- '''아스텍:''' 14~16세기 중앙 멕시코 지역에서 나와틀어를 사용하며 번성했던 아스텍은 15세가 되면 모든 소년 소녀가 학교에 다녔다. 학교는 실용 및 군사 연구를 위한 텔포치칼리와 쓰기, 천문학, 정치, 신학 등의 고급 학습을 위한 칼메카크로 나뉘었다.
- '''잉카:''' 15~16세기 잉카 제국 시대의 잉카 교육은 상류층과 일반 대중을 위한 교육으로 나뉘었다. 왕족과 특별히 선발된 개인들은 '아마우타스'라 불리는 현자들에게 정식 교육을 받았고, 일반 대중은 직계 조상으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배웠다.
- '''이슬람:''' 7세기에서 19세기 사이 이슬람 문명권에서는 622년 메디나에서 학교 교육이 시작되었다. 쿠란은 무슬림들에게 교육을 장려했고, 카라윈 대학교와 같은 교육 기관이 설립되었다. 바그다드의 지혜의 집은 9세기에서 13세기까지 도서관, 번역, 교육 센터 역할을 했다.
3. 3. 1. 아시아
요와 순 (기원전 24~23세기) 임금이 최초의 학교를 세웠다는 전설이 있다. 최초의 교육 시스템은 하 왕조 (기원전 2076~1600년)에 만들어졌다. 하 왕조 시대에 정부는 귀족들에게 의례, 문학, 궁술 (고대 중국 귀족에게 중요)을 가르치기 위해 학교를 세웠다.[30]상 왕조 (기원전 1600년~1046년) 시대에는 일반인 (농부, 노동자 등)이 대략적인 교육을 받았다. 그 당시 귀족의 자녀들은 관립 학교에서, 일반 사람들은 사립 학교에서 공부했다. 관립 학교는 항상 도시에, 사립 학교는 농촌 지역에 세워졌다. 관립 학교는 학생들에게 의례, 문학, 정치, 음악, 예술, 궁술을 교육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사립 학교는 학생들에게 농사일과 수공예를 가르쳤다.[30]
주 왕조 (기원전 1045~256년) 시대에는 수도에 5개의 국립 학교가 있었는데, 비 용 (중앙에 위치한 황실 학교)과 상상을 포함한 귀족과 귀족을 위한 4개의 학교였다. 이 학교들은 주로 육예: 의례, 음악, 궁술, 마술, 서예, 수학을 가르쳤다. 예기에 따르면, 12세가 되면 소년들은 의례와 관련된 예술 (예: 음악 및 춤)을 배우고, 더 나이가 들면 궁술과 마차 운전을 배웠다. 소녀들은 의례, 올바른 태도, 비단 생산, 직조를 배웠다.[31]
주 왕조 시대에 토착 중국 철학의 기원도 발전했다.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 (기원전 551~479년)는 중국 철학자로, 이후 중국의 여러 세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2000년 동안 중국 교육 시스템의 커리큘럼에도 영향을 미쳤다.
진나라 (기원전 246~207년) 시대에는 제국의 외곽 지역에 대한 중앙 통제를 제공하기 위해 관료 계층이 설치되었다. 이 계층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문맹 퇴치와 철학 지식이 모두 필요했다. 교육 과정의 내용은 기능적으로 특정한 기술을 창출하기보다는 도덕적으로 깨우치고 교양 있는 일반인을 생산하도록 설계되었다.[32]
한 왕조 (서기 206~221년) 시대에는 소년들이 7세가 되면 읽기, 쓰기, 계산의 기본 기술을 배우기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했다.[30] 기원전 124년에 한 무제는 태학을 설립했는데, 그 커리큘럼은 공자의 오경이었다. 한 왕조 말기 (서기 220년)에 이 아카데미는 14세에서 17세 사이의 소년 3만 명 이상을 등록했다. 그러나 이 시대의 교육은 사치였다.[31]
구품관인법은 삼국 시대 (서기 220~280년)와 남북조 시대 (서기 420~589년) 중국의 문관 추천 시스템이었다. 이론적으로 지방 정부는 재능 있는 후보자를 선택하고, 그들의 능력에 따라 9등급으로 분류하는 임무를 받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부유하고 권력 있는 사람들만 선택되었다. 구품관인법은 결국 수 왕조 (서기 581~618년)에 문관을 위한 과거 제도로 대체되었다.
1950년대에 중국 공산당은 중국 전역에서 초등 교육의 급속한 확장을 감독했다. 동시에 미래 근로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용적인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강조하도록 초등학교 교과 과정을 재설계했다. 파글라얀[70]은 이 시기 중국 뉴스 소스에서 문맹 퇴치를 "생산성 개발과 기술 및 문화 혁명을 위한 길을 열기" 위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고 지적했다.[71] 중국 정부 관계자는 교육과 "생산적 노동" 사이의 상호 관계를 언급했다.[72] 소련과 마찬가지로 중국 정부는 자국 경제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 제공을 확대했다.

고대 인도에서 교육은 주로 베다 및 불교 교육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졌다. 산스크리트어는 베다 교육 시스템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었다. 팔리어는 불교 교육 시스템에서 사용된 언어였다. 베다 시스템에서 아이는 8세에서 12세에 교육을 시작했지만, 불교 시스템에서는 8세에 교육을 시작했다. 고대 인도 교육의 주요 목표는 개인의 인격을 함양하고, 자기 통제 기술을 습득하고,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고대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불교와 베다 시스템은 서로 다른 과목을 가르쳤다. 베다 학습 시스템에서 학생들은 네 개의 베다(리그 베다, 사마 베다, 야주르 베다, 아타르바 베다)와 여섯 개의 베당가(의례적 지식, 운율, 주석, 문법, 음성학, 천문학) 그리고 우파니샤드를 배웠다.
고대 인도에서 교육은 문어 형태가 아닌 구두로 전달되고 전수되었다. 교육은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 과정이었는데, 첫 번째는 슈라바나(듣기)로, 슈루티를 들음으로써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마나나(성찰)로, 학생들이 생각하고 분석하며 추론하는 과정이다. 세 번째는 니디드야사나로, 학생들이 실제 생활에 지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기원전 1500년경부터 기원전 600년경까지의 베다 시대 동안 대부분의 교육은 베다 (힌두교 이전 전통의 사제들이 암송하거나 낭송한 찬송가, 공식 및 주문)와 이후의 힌두교 텍스트 및 경전을 기반으로 했다. 베다에 따르면 교육의 주요 목표는 해탈이다.
베다 교육에는 베다의 정확한 발음과 암송, 희생의 규칙, 문법과 파생, 작문, 운율 및 미터, 자연의 비밀에 대한 이해, 논리를 포함한 추론, 과학, 직업에 필요한 기술 등이 포함되었다.[20] 약간의 의학 지식이 존재했고 가르쳤다. 열, 기침, 탈모, 뱀 물린 상처 등 다양한 상태나 질병에 대한 약초 의학에 대한 언급이 베다에 있다.[20]
교육에는 아유르베다, 64 칼라 (예술), 공예, 실파 샤스트라, 나트야 샤스트라 교육이 포함되었다.[20][21]
고대 인도에서는 여성 교육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여성들은 춤, 음악, 가사 기술을 훈련받았다. ''사디오드와하스'' 계급의 여성들은 결혼할 때까지 교육을 받았다. ''브라흐마바디니스'' 계급의 여성들은 평생 결혼하지 않고 스스로 교육을 받았다. 의식을 위해 필요한 시와 종교 노래가 포함된 베다의 일부는 여성들에게 가르쳤다. 고대 인도의 주목할 만한 여성 학자로는 고샤, 가르기, 인드라니 등이 있다.[22]
우파니샤드는 힌두교 경전의 또 다른 부분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파니샤드는 희생의 더 깊고 실제적인 의미를 탐구하기 때문에 "지혜 가르침"으로 여겨진다. 이 텍스트들은 교사와 학생들이 진리를 찾는 공동 여행자였던 탐구적인 학습 과정을 장려했다. 가르치는 방법은 추론과 질문을 사용했다. 최종적인 답으로 규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20]
구루쿨라 교육 체제는 전통적인 힌두교 기숙 학교를 지원했으며, 일반적으로 교사의 집이나 수도원이었다. 구루쿨라 체제에서 교사 (구루)와 학생 (시샤)은 서로 다른 사회적 지위에 속해 있더라도 동등하게 여겨졌다. 교육은 무료였지만, 부유한 가정의 학생들은 학업을 마친 후 자발적인 기부인 "구루닥시나"를 지불했다. 구루닥시나는 학생들이 구루에게 바치는 존경의 표시이다. 그것은 학생들이 영적 지도자로 여기는 구루에게 감사를 표하고 존경하는 방식이다. 구루쿨에서는 교사가 종교, 경전, 철학, 문학, 전쟁, 통치술, 의학, 점성술 및 역사를 가르쳤다. 산스크리트 문학의 총서는 풍부한 시와 드라마 전통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과학, 철학적 및 일반적으로 힌두교 텍스트를 포괄하지만, 불교와 자이나교의 많은 중심 텍스트도 산스크리트어로 구성되었다.
두 개의 서사시가 고대 인도 교육의 일부를 형성했다. 마하바라타는 일부가 기원전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23] 인간의 목표 (목적, 즐거움, 의무 및 해방)에 대해 논의하고 개인과 사회 및 세계 ( '자아'의 본질)의 관계와 카르마의 작용을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또 다른 서사시인 라마야나는 24,000개의 구절로 짧다. 기원전 400년경에서 서기 200년 사이에 편집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서사시는 인간의 존재와 다르마 (자신의 의무를 다하는 것)의 개념을 탐구한다.[23]
불교 교육 시스템에서 과목은 삼장(三藏, Pitakas)을 포함했다.
기원전 1천년과 그 이전 몇 세기 동안 날란다, 탁샤실라 대학교, 우자이, 비크라마실라 대학교에서 고등 교육이 번성했다. 가르쳐진 과목으로는 미술, 건축, 회화, 논리학, 수학, 문법, 철학, 천문학, 문학, 불교, 힌두교, 아르타샤스트라 (경제 및 정치), 법학, 의학 등이 있었다. 각 대학은 특정 분야를 전문으로 했다. 탁샤실라는 의학 연구를, 우자이는 천문학을 강조했다. 날란다는 가장 큰 중심지로서 모든 지식을 다루었으며, 전성기에는 최대 10,000명의 학생을 수용했다.[63]
인도에서 불교 학습의 또 다른 중요한 중심지인 마하비하라는 다르마팔라 왕(783~820)에 의해 날란다의 학문적 수준 저하에 대응하여 설립되었다.[64]
수학, 천문학, 물리학 분야의 주요 작업은 아리아바타에 의해 이루어졌다. 파이의 근사값, 기본적인 삼각 방정식, 부정 방정식, 위치 기수법은 5세기 인도 수학자의 유일하게 알려진 생존 작품인 그의 ''대작''인 아리아바티야에 언급되어 있다.[65] 이 작품은 820년경 알콰리즈미에 의해 아랍어로 번역되었다.
무슬림이 인도를 통치하기 시작한 후, 이슬람 교육의 확산이 증가했다. 이슬람 교육의 주요 목표는 지식 습득, 이슬람의 전파와 이슬람 사회 도덕, 무슬림 문화의 보존 및 확산 등을 포함했다. 교육은 주로 막탑, 마드라사, 그리고 모스크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들의 교육은 주로 귀족이나 지주들에 의해 자금 지원을 받았다. 교육은 구두로 이루어졌으며, 아이들은 암기 방식으로 꾸란의 몇 구절을 배웠다.[67]
18세기 인도에는 토착 교육이 널리 퍼져 있었으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찰, 모스크 또는 마을마다 학교가 있었다.[68] 가르치는 과목은 읽기, 쓰기, 산수, 신학, 법학, 천문학, 형이상학, 윤리학, 의학 및 종교를 포함했다. 이 학교에는 사회 모든 계층을 대표하는 학생들이 다녔다.[69]
18세기에는 엘리트 젊은 남성들에게 교육이 널리 퍼져 있었으며, 나라의 대부분 지역에 학교가 있었다. 가르치는 과목에는 읽기, 쓰기, 산수, 신학, 법학, 천문학, 형이상학, 윤리학, 의학, 종교 등이 있었다.
현재의 서구식 스타일과 내용을 갖춘 교육 시스템은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영국인들에 의해 도입 및 설립되었으며,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영국화된 인도 통역가 계급을 형성할 것을 주장한 토마스 매콜리 경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114] 전통적인 구조는 영국 정부에 의해 인정받지 못했고 그 이후 쇠퇴해 왔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공교육 지출은 지역별로 크게 달랐으며, 서부 및 남부 지방은 동부 지방보다 3~4배 더 많은 지출을 했다. 지역 간의 상당한 차이는 주요 수입원이었던 토지세의 역사적 차이 때문이었다.[115]
커즌 경(Lord Curzon)은 1899년부터 1905년까지 총독으로 재직하면서 인도의 어린이 중 20% 미만이 학교에 다니는 것을 발견한 후 대중 교육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그의 개혁은 문맹 퇴치 훈련과 대학교 시스템의 재구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들은 무등급 커리큘럼, 현대 교과서 및 새로운 시험 시스템을 강조했다. 커즌 경의 기술 교육 계획은 이후 정부들이 따르게 될 토대를 마련했다.[116]
일본의 교육사는 적어도 6세기, 중국 학문이 야마토 조정에 도입된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외국의 문명은 종종 일본 문화 발전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6세기부터 9세기까지 중국의 가르침과 사상이 일본으로 유입되었다. 불교의 도입과 함께 중국 문자와 그 문학 전통, 그리고 유교가 들어왔다.
9세기에는 황도인 헤이안쿄 (오늘날의 교토)에 5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었고, 헤이안 시대의 나머지 기간 동안 귀족과 황실에서 다른 학교들이 설립되었다. 중세 시대 (1185–1600) 동안 선 불교 수도원은 특히 중요한 학습 중심지였으며, 아시카가 학교인 아시카가 학교는 15세기에 고등 교육의 중심지로서 번성했다.
일본은 도쿠가와 정권(1600–1867) 아래 1600년에 세계와 단절되었다. 1600년에는 문자를 해독할 수 있는 일반인은 극소수였다. 시대가 끝날 무렵에는 학습이 널리 퍼졌다. 도쿠가와 시대의 교육은 가치 있는 유산을 남겼다: 점점 더 문해력이 높아지는 인구, 능력주의 이념, 규율과 유능한 수행에 대한 강조. 엘리트를 위한 전통적인 사무라이 교육 과정은 도덕과 무술을 강조했다. 유교 경전을 암기했으며, 암송과 낭독이 흔한 학습 방법이었다. 산수와 서예도 공부했다. 평민의 교육은 일반적으로 실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기본적인 세 가지 기본 기술, 서예, 주판 사용법을 가르쳤다. 이러한 교육의 상당 부분은 이전 불교 학교에서 유래된 소위 사숙 (테라코야)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학교는 더 이상 종교 기관이 아니었으며, 1867년까지는 주로 사찰에 위치하지도 않았다. 도쿠가와 시대 말까지 이러한 학교는 11,000개가 넘었고, 75만 명의 학생들이 다녔다. 교육 기술에는 다양한 교과서 읽기, 암기, 주판, 한자 및 일본어 필사 반복 등이 있었다. 1860년대까지 일본 소년의 40~50%, 소녀의 15%가 학교 밖에서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비율은 당시 주요 유럽 국가(의무 교육을 실시한 독일 제외)와 비슷했다.[109] 이후 메이지 지도부 아래, 이러한 기반은 일본이 봉건 사회에서 서양 과학, 기술 및 교육 방법에 매우 주의를 기울이는 현대 국가로 빠르게 전환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1868년 이후 개혁가들은 일본을 서유럽과 같은 공교육 시스템을 갖춘 급격한 근대화의 길로 이끌었다. 이와쿠라 사절단과 같은 사절단이 서구 선진국의 교육 시스템을 연구하기 위해 해외로 파견되었다. 그들은 분권화, 지역 학교 위원회, 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돌아왔다. 초등학교 등록률은 1870년대에 학령기 인구의 약 40~50%에서 1900년까지 90% 이상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특히 수업료에 대한 강력한 대중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
1850년 이후 일본은 서구와의 교류의 일환으로 아동에 대한 현대적 개념이 등장했다. 메이지 시대 지도자들은 국가가 개인, 특히 아동을 국가에 봉사하도록 동원하는 데 주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서구식 학교가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1890년대에 이르러 학교는 아동에 대한 새로운 감성을 만들어냈다.[110] 1890년 이후 일본에는 수많은 개혁가, 아동 전문가, 잡지 편집자, 그리고 새로운 감성을 받아들인 교육받은 어머니들이 있었다. 그들은 상류층에게 아이들이 아동 도서를 읽고, 교육용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특히 학교 숙제에 엄청난 시간을 쏟는 자신만의 공간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아동의 모델을 가르쳤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모든 사회 계층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111][112]
1870년 이후 유교에 기반한 학교 교과서는 서구화된 텍스트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1890년대에 반동이 시작되었고, 보다 권위적인 접근 방식이 도입되었다. 인간 관계의 계층적 특성, 신생 국가에 대한 봉사, 학습 추구, 도덕성에 관한 것을 포함하여 전통적인 유교 및 신토의 훈령이 다시 강조되었다. 이러한 이상은 1890년 교육에 관한 교육칙어에 담겨 있으며, 교육에 대한 고도로 중앙집권적인 정부 통제와 함께 1945년까지 일본 교육을 크게 이끌었고, 이 시기에 대대적으로 폐기되었다.[113]
3. 3. 2. 이슬람
7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중국과 스페인으로 뻗어나간 이슬람 문명권에서 무슬림들은 622년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의 도시인 메디나에서 학교 교육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모스크(아랍어로 '마스지드')에서 교육이 이루어졌지만, 이후 모스크 옆에 학교가 분리되어 세워졌다. 최초의 분리된 학교는 1066년 바그다드에 세워진 니자미예(니자미야) 학교였다.[50] 아이들은 6세부터 무상으로 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쿠란은 무슬림들에게 교육을 장려했기 때문에 고대 이슬람 사회에서는 교육과 학교가 번성했다. 모로코 페스에 위치한 카라윈 대학교는 유네스코와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계속 운영되는, 최초의 학위 수여 교육 기관이며,[50] 때로는 가장 오래된 대학교로 언급되기도 한다.[51] 이 학교는 원래 859년에 세워진 모스크였다.[52]바그다드의 지혜의 집은 9세기에서 13세기까지 도서관, 번역, 교육 센터였다. 점성술, 수학, 농업, 의학, 철학에 관한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페르시아 제국, 인도사, 그리스어 텍스트—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히포크라테스, 유클리드, 플로티누스, 갈레노스, 수슈루타, 차라카, 아리아바타, 브라마굽타의 작품들을 포함하여—를 바탕으로 학자들은 세계적인 지식 컬렉션을 축적하고, 그들의 발견을 통해 이를 발전시켰다. 지혜의 집은 인문학과 이슬람 과학—이슬람 수학, 이슬람 천문학, 이슬람 의학, 이슬람 연금술, 동물학, 이슬람 지리학—연구의 독보적인 중심지였다. 바그다드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이자 지적 발달의 중심지로 알려졌으며, 1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최대 규모였다.[53]
이슬람 모스크 학교(마드라사)는 아랍어로 쿠란을 가르쳤으며 중세 유럽의 대학교와는 전혀 달랐다.[54][55]
9세기에는 이슬람 황금기 동안 비마리스탄 의과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의학 디플로마가 이슬람 의학을 공부하여 의사가 될 자격을 갖춘 학생들에게 수여되었다.[56] 975년 이집트 카이로에 설립된 알 아즈하르 대학교는 다양한 대학원 학위를 제공하고 마드라사와 신학 신학교를 갖춘 "자미아"(아랍어로 "대학교")였으며, 샤리아, 피크, 아랍어 문법, 이슬람 천문학, 초기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의 논리를 가르쳤다.[56]
오스만 제국 시대에 부르사와 에디르네는 주요 학습 중심지가 되었다.[57]
15세기와 16세기에는 서아프리카 국가 말리의 팀북투라는 도시가 이슬람 학습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중동과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학생들이 찾아왔다. 이 도시에는 명망 있는 상코레 대학교와 다른 마드라사가 있었다. 이 학교들의 주요 초점은 쿠란을 가르치는 것이었지만, 논리학, 천문학, 역사와 같은 분야에서도 폭넓은 교육이 이루어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지역에 많은 수의 필사본이 축적되었고, 그 중 일부는 이슬람 이전 시대와 12세기부터 존재했으며, 10만 개 이상의 필사본이 도시의 유력 가문들에 의해 보관되었다.[58] 그 내용은 특히 천문학, 음악, 식물학 분야에서 교훈적이다. 아흐메드 바바 센터는 18,000개 이상의 필사본을 수집했다.[59]
3. 3. 3. 아프리카
아프리카에는 4천만 명 이상의 어린이가 있다. 유네스코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개요''에 따르면, 2000년에 초등학교에 등록한 어린이는 58%에 불과하여, 어떤 지역보다도 낮은 등록률을 보였다. USAID 센터는 2005년 기준으로 아프리카의 학령기 아동의 40%가 초등학교에 다니지 않는다고 보고한다.[19]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 프랑스 통치하 서아프리카의 교육은 1880년대 프랑스의 전국적으로 통일된 의무 교육과는 달랐다. 1903년에 조직된 "적응 교육"은 프랑스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사용했으며, 프랑스와 관련된 정보를 "아프리카 맥락에서 가져온 유사한 정보"로 대체했다. 예를 들어 프랑스 도덕 수업은 아프리카 역사와 지역 민속에 대한 많은 언급과 결합되었다. 프랑스어도 적응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가르쳤다.
3. 3. 4. 남아메리카
아즈텍은 14세기, 15세기, 16세기에 중앙 멕시코의 특정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특히 나우아틀어를 사용하고 메소아메리카의 광대한 지역에 정치적, 군사적 지배력을 행사했던 집단을 지칭한다. 이 시기는 연대기에서 후기 후고전 시대로 불린다.14세가 될 때까지 아이들의 교육은 부모의 손에 맡겨졌지만, ''칼폴리'' 당국의 감독을 받았다. 이 교육의 일부는 아즈텍의 이상을 구현하는 ''우에우에틀라톨리''(''“옛말”'')라고 불리는 일련의 격언을 배우는 것이었다. 그들의 언어로 판단해 볼 때, 대부분의 ''우에우에틀라톨리''는 아즈텍 이전 수세기 동안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다른 나우아 문화에서 채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5세가 되면 모든 소년 소녀는 학교에 다녔다. 아즈텍의 여러 집단 중 하나인 치나파는 성별, 계급 또는 지위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어린이에게 의무 교육을 실시한 세계 최초의 민족 중 하나였다. 학교는 실용 및 군사 연구를 위한 ''텔포치칼리''와 쓰기, 천문학, 정치, 신학 및 기타 분야의 고급 학습을 위한 칼메카크의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 이 두 기관은 나우아 민족에게 일반적인 것으로 보이며, 일부 전문가들은 아즈텍 문화보다 오래되었다고 제안한다.
아즈텍 교사(''틀라티미네'')는 금욕적인 사람들을 형성할 목적으로 스파르타식 교육 제도를 제창했다.
소녀들은 집안일과 육아 기술을 교육받았다. 그들은 읽거나 쓰는 법을 배우지 않았다. 모든 여성은 종교에 참여하도록 가르침을 받았으며, 여성들이 종교 의식을 주재하는 그림이 있지만, 여성 사제에 대한 언급은 없다.
잉카 제국 시대의 잉카 교육은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나뉘었다. 상류층을 위한 교육과 일반 대중을 위한 교육이 그것이다. 제국의 왕족과 제국의 지방에서 특별히 선발된 몇몇 개인들은 ''아마우타스''(현자)에 의해 정식 교육을 받았고, 일반 대중은 그들의 직계 조상으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배웠다.
아마우타스는 영국의 음유 시인과 유사한 현자들의 특별 계급을 형성했다. 그들은 잉카의 구술 역사를 보존하고 그들의 문화, 역사, 관습 및 전통에 대한 지식을 왕국 전체에 전달함으로써 생생하게 유지하는 뛰어난 철학자, 시인, 사제를 포함했다. 제국에서 가장 교육받고 존경받는 사람들로 여겨진 아마우타스는 왕족의 혈통뿐만 아니라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특별히 선발된 정복된 문화의 다른 젊은 구성원들을 교육하는 일을 주로 맡았다. 따라서 잉카 영토 전체의 교육은 사회적으로 차별적이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왕족이 받는 정식 교육을 받지 못했다.
제국의 공식 언어는 케추아어였지만 수십 개가 넘는, 아니 수백 개에 달하는 지역 언어가 사용되었다. 아마우타스는 일반 대중이 잉카 제국의 언어인 케추아어를 배우도록 했다. 이는 고대 로마가 유럽 전역에 라틴어를 보급한 것과 같은 방식이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교육적인 이유보다는 정치적인 이유로 이루어졌다.
4. 현대 교육의 과제와 전망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어떤 형태의 의무 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인구 증가와 의무 교육의 확산으로 인해, 유네스코(UNESCO)는 향후 30년 동안 인류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사람들이 정규 교육을 받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문맹률과 학교를 전혀 다니지 않은 인구의 비율이 감소했다. 예를 들어, 학교를 전혀 다니지 않은 인구의 비율은 1960년 36%에서 2000년 25%로 감소했다. 개발도상국에서 2000년 문맹률과 학교 미취학률은 1970년 수치의 약 절반 수준이었다. 선진국의 문맹률 수치는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흔히 6%에서 1%로 감소했다고 한다.
1970년에 덜 경제적으로 발전된 국가들(LEDCs)의 문맹률은 더 경제적으로 발전된 국가들(MEDCs)의 문맹률보다 10배 높았으며, 2000년에는 약 20배 더 높았다. 문맹률은 LEDC에서 크게 감소했고, MEDC에서는 사실상 사라졌다. 학교를 전혀 다니지 않은 비율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000년 LEDC에서는 학교를 다니지 않은 인구의 비율이 10% 미만에서 65% 이상으로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MEDC는 2% 미만에서 17%로 변화의 폭이 훨씬 적었다.
20세기 중반 이후, 전 세계 사회는 경제 및 기술 분야에서 가속화되는 변화를 겪어 왔다. 이는 직장에 영향을 미쳤고, 따라서 노동력을 위해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교육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1980년대부터 정부, 교육자 및 주요 고용주들은 일련의 보고서를 발표하여 변화하고 점점 더 디지털화되는 직장과 사회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학생과 근로자를 유도하기 위한 핵심 기술과 실행 전략을 파악했다. '''21세기 역량'''은 21세기 사회와 직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교육자, 기업 리더, 학계 및 정부 기관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확인된 일련의 고차원 기술, 능력 및 학습 성향이다. 이러한 기술 중 다수는 전통적인 지식 기반 학문적 기술과 비교하여 분석적 추론, 복잡한 문제 해결 및 팀워크를 포함한 심층 학습과도 관련이 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https://archive.org/[...]
[2]
서적
The Routledg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3]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4]
웹사이트
Education in Ancient Egypt
http://www.touregypt[...]
[5]
서적
Luxury and Legitimation: Royal Collecting in Ancient Mesopotamia
Ashgate Publishing, Ltd.
[6]
서적
Gender and Aging in Mesopotamia
[7]
서적
A History of Writing
Reaktion Books
[8]
웹사이트
Ashurbanipal – king of Assyria
http://www.britannic[...]
[9]
간행물
Literacy and Ancient Egyptian Society
[10]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Visual and Written Culture in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Literacy
https://www.ucl.ac.u[...]
[13]
간행물
Conquest by book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ch.
[14]
간행물
Literacy and ancient Egyptian society
[15]
서적
Pharaoh's Workers: The Villagers of Deir el Medina
Cornell University Press
[16]
서적
Village Voices: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Texts from Deir El-Medîna and Their Interpretation"
Centre of Non-Western Studies, Leiden university
[17]
서적
History of Pedagogy
Kessinger Publishing
[18]
서적
Jewish Literacy in Roman Palestine
https://books.google[...]
Mohr-Siebeck
[19]
웹사이트
Illiteracy in the Land of Israel in the First Centuries C.E.
http://faculty.biu.a[...]
Ktav
2008-10-29
[20]
서적
Going to School in South As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1]
웹사이트
True Hindu Greatness
http://koenraadelst.[...]
2014-11-21
[22]
웹사이트
What Did the Ancient Indian Education System Look Like?
https://theculturetr[...]
2018-04-20
[23]
서적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Blackwell Publishing
[24]
서적
Education in Ancient India
Brill Academic Publishers
[25]
서적
An Advanced History of India
Macmillan
[26]
웹사이트
Taxila: Brief Description
https://whc.unesco.o[...]
1980
[27]
백과사전
History of Education
[28]
백과사전
Nalanda
[29]
서적
Within the Four Seas: The Dialogue of East and West
Routledge
[30]
서적
Education in Post-Mao China
Praeger
[31]
서적
Representations of Childhood and Youth in Early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Literacy and societ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non-Western worl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3]
서적
Market Education: The Unknown History
Transaction Publishers
[34]
서적
A Brief History of Education: A Handbook of Information on Greek, Roman, Medieval, Renaissance, and Modern Educational Practice
Rowman & Littlefield
[35]
간행물
Historiography and Roman Education
[36]
서적
Ancient lite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37]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8]
서적
Quintilian on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66
[39]
서적
Education in Greek and Roman antiquity
Brill
2001
[40]
서적
Ancient lite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41]
논문
'"Ancient Rome\'s Daily News Publication With Some Likely Implications For Early Christian Studies" TynBull 67.1'
https://www.academia[...]
[42]
논문
Marking Time, Making Community in Medieval Schools
2021-05
[43]
서적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Barbarian West: From the Sixth through the Eighth Century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78
[44]
서적
Renaissance and Renewal in the Twelfth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Narrators of Barbarian History (A.D. 550–800): Jordanes, Gregory of Tours, Bede, and Paul the Deac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8
[46]
서적
Alcuin, Friend of Charlemagne: His World and his Work
1965
[47]
문서
Carolingian schools#Further ambition
[48]
서적
Medieval Education
https://books.google[...]
Fordham U. Press
[49]
서적
Dictionary of biblical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2007
[50]
웹사이트
Oldest higher-learning institution, oldest university
http://www.guinnessw[...]
[51]
서적
Patter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52]
서적
1001 inventions: Muslim heritage in our world
Foundation for Science, Technology and Civilisation Ltd.
2011
[53]
서적
World Cities: –3000 to 2000
http://faculty.washi[...]
FAROS 2000
2003
[54]
간행물
Madrasa
2010
[55]
논문
"Madrasa and University in the Middle Ages"
1970
[56]
논문
From Jami'ah to University: Multiculturalism and Christian–Muslim Dialogue
https://zenodo.org/r[...]
[57]
논문
A Spatial Study of Three Ottoman Capitals: Bursa, Edirne, and Istanbul Kuran, Aptullah
https://www.jstor.or[...]
1996
[58]
웹사이트
Les manuscrits trouvés à Tombouctou
http://www.monde-dip[...]
2004-08-01
[59]
웹사이트
Reclaiming the Ancient Manuscripts of Timbuktu
http://news.national[...]
[60]
웹사이트
Chinese Writing: Transitions and Transformations
http://www.askasia.o[...]
2006-12-11
[61]
서적
Echoes from Old China: Life, Legends, and Lore of the Middle Kingdom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9
[62]
논문
"Local Government Schools in Sung China: A Reassessment"
1994-06
[63]
서적
Encyclopaedia of Higher Education: Historical survey-pre-independence period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64]
서적
Ancient Indian Education: Brahmanical and Buddhist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65]
서적
Aryabhatiya
https://www.rarebook[...]
[66]
웹사이트
Hindu Education in the Medieval Times {{!}} India
http://www.historydi[...]
2016-07-14
[67]
웹사이트
Islamic Education During Medieval India
http://www.yourartic[...]
2016-06-16
[68]
웹사이트
Education in Pre-British India
http://www.infinityf[...]
[69]
서적
History Of Education In India
https://books.google[...]
2005
[70]
논문
The Non-Democratic Roots of Mass Education: Evidence from 200 Years
2021-02
[71]
간행물
US Dept of State 1962
[72]
논문
“Education Must Be Combined with Productive Labor,” published in Red Flag, cited in US Dept of State 1962, 58; People’s Daily, cited in US Dept of State 1962, 59, cited in Paglayan 2021
https://www.cambridg[...]
[73]
서적
Storia d'Italia
UTET
1981-08-07
[74]
서적
Storia dello Studium di Napoli in età sveva
Mario Adda Editore
[75]
서적
Medieval Schools
Yale University Press
[76]
서적
Medieval Germany: an encyclopedia
[77]
서적
Medieval France: A Companion to French Studies
[78]
서적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79]
논문
"Ivan Betskoi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nlightenment in Russia"
[80]
논문
"The Commission of National Education and Civic Revival through Books in Eighteenth-Century Poland"
[81]
서적
Draw they must: A history of the teaching and examining of art
Edward Arnold
[82]
서적
Western Heritage: Since 1300
Pearson Education, Inc.
[83]
논문
"Forty years of research into the history of education in Denmark."
[84]
간행물
Ragged schools and the development of youth work and informal education
https://infed.org/ra[...]
[85]
서적
Britain in the Hanoverian Age, 1714–1837: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86]
간행물
Noblesse, Domesticity, and Social Reform: The Education of Girls by Fenelon and Saint-Cyr
[87]
서적
Education and the French revolution
[88]
논문
"Scientific Education for a New Society The Ecole Polytechnique 1795–1830"
[89]
논문
"Education in secular France:(re) defining laïcité"
[90]
논문
"Jules Ferry and the laic revolution in French primary education"
[91]
논문
"Inadequacies of the notion of assimilation in African education"
https://www.jstor.or[...]
[92]
논문
"Education for Colonial Dominance in French West Africa from 1900 to the Second World War"
[93]
논문
"Conflicted missionaries: power and identity in French West Africa during the 1930s"
[94]
논문
"Between empire and nation: francophone West African students and decolonization"
[95]
논문
"The modernization of education: A case study of Tunisia and Morocco"
[96]
논문
"Teaching Africans To Be French?: France's 'civilizing miss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education system in French West Africa, 1903-30."
https://www.jstor.or[...]
[97]
논문
"Schooling in the states of equatorial Africa"
[98]
논문
"French education in revolutionary North Africa"
[99]
논문
"The rivalry of the French and American educational missions during the Vietnam War"
[100]
간행물
U.S. DOE 1959
[101]
서적
Mussolini's fascist philosopher: Giovanni Gentile reconsidered
P. Lang
[102]
웹사이트
Italy to become the first country to make learning about climate change compulsory for school students
https://www.cnn.com/[...]
CNN
2019-11-06
[103]
서적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Medieval Iceland
Medieval Institute Publications
[104]
논문
"Forty years of Norwegian research in the history of education"
[105]
웹사이트
Education Otherwise and Home Education in Norway
http://folk.uio.no/c[...]
[106]
웹사이트
Folkskolan och grundskola
http://www.lararnash[...]
2019-03-17
[107]
논문
"'Where the glorious laurels grow...': Swedish grammar schools as a means of social mobility and social reproduction."
1993
[108]
간행물
"Some aspects of the expansion of education in Sweden."
https://www.tandfonl[...]
1977
[109]
간행물
"Universal Social Dilemmas and Japanese Educational History: The Writings of R. P. Dore"
https://www.jstor.or[...]
JSTOR
1972
[110]
간행물
"Japanese Childhood, Modern Childhood: The Nation-State, the School, and 19th-Century Globalization"
https://www.jstor.or[...]
JSTOR
2005
[111]
서적
Passages to Modernity: Motherhood, Childhood, and Social Reform in Early 20th Century Japan
1999
[112]
서적
Children as Treasures: Childhood and the Middle Class in Early 20th century Japan
2010
[113]
서적
Confucianism in action
1959
[114]
웹사이트
Minute on Education (1835) by Thomas Babington Macaulay
http://www.columbia.[...]
2016-05-03
[115]
간행물
"Land revenues, schools, and literacy: A historical examination of public and private funding of education"
2010-04
[116]
간행물
"Curzon'S Educational Reform in India"
1973
[117]
웹사이트
Leaving school before the age of 16
https://parents.educ[...]
2017-05-24
[118]
서적
The Evolution of Education in Australia
http://www.historyau[...]
IFHAA Australian Schools
[119]
웹사이트
History
http://www.istanbul.[...]
2014-06-12
[120]
문서
John Dewey in Turkey: An Educational Mission
[121]
웹사이트
Atatürk's views on education
https://web.archive.[...]
T.C. Government
2007-11-20
[122]
간행물
"John Dewey in Turkey: An Educational Mission."
1996
[123]
간행물
"German Jewish Intellectuals' Diaspora in Turkey: 1933–55."
2007
[124]
간행물
"Jewish Refugees from Nazism, Albert Einstein, and the Modern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Turkey (1933–1945)."
http://www.jstor.org[...]
2007
[125]
문서
Butts, 1955: 10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