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오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오마이는 중국에서 유래한 만두의 일종으로,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조리법으로 발전했다. 명칭은 지역에 따라 '소매', '소맥', '시우마이', '샤오마이' 등으로 불리며, 14세기 원나라 시대 문헌에도 등장한다. 사오마이는 딤섬, 길거리 음식, 반찬 등으로 널리 소비되며, 광둥, 후허하오터, 후난, 장난, 위구르, 장시 등 중국 각 지역과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해산물 요리 - 고이 꾸온
고이 꾸온은 라이스페이퍼에 채소, 육류, 해산물 등을 넣어 만든 베트남 음식으로,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서양에서는 샐러드 롤 등으로 알려져 있고, 돼지고기, 새우, 쌀국수, 허브 등을 주재료로 다양한 소스에 찍어 먹으며, 베트남의 일상생활과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고 다른 국가에서도 즐겨 먹는다. - 베트남의 해산물 요리 - 짜오 똠
- 중국의 해산물 요리 - 오징어튀김
오징어튀김은 오징어에 튀김옷을 입혀 튀긴 요리로, 다양한 조리법과 곁들임으로 여러 나라에서 즐겨 먹는 음식이다. - 중국의 해산물 요리 - 어아찌안
어아찌안은 굴을 주재료로 전분, 계란을 섞어 만든 중화 요리의 일종이며, 지역과 조리법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 상하이 요리 - 샤오룽바오
샤오룽바오는 중국의 만두 일종으로, 얇은 만두피 안에 다진 고기와 육수를 넣어 쪄낸 음식이며, 1871년 상하이에서 처음 판매되어 상하이, 장쑤성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전했고, 뜨거운 육즙이 특징이다. - 상하이 요리 - 탕바오
속에 뜨거운 국물이 든 중국 만두 요리인 탕바오는 지역과 조리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먹을 때 특별한 방법이 필요하고, 샤오롱바오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크고 국물이 많다.
사오마이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shaomai shui mai shu mai sui mai shui mei siu mai shao mai xíu mại (베트남어) siomai (필리핀어) siomay (인도네시아어) |
국가 | 중국 |
지역 | 광저우, 광둥성 또는 후허하오터, 내몽골 자치구 |
종류 | 딤섬 |
주재료 | 양념한 간 돼지고기, 통째로 또는 다진 양고기, 중국 검은 버섯, 잿물 반죽 |
중국어 | |
간체자 | 烧卖 |
번체자 | 燒賣 |
병음 | shāomài |
민난어 | sio-māi |
월어 | sīumáai |
기타 언어 | |
일본어 | 焼売 (しょうまい, shūmai) |
태국어 | ขนมจีบ (khanom chip) |
타갈로그어 | siomai / siyomay |
힌디어 | momo |
인도네시아어 | siomai / siomay / somay |
2. 명칭
''사오마이''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강소성, 저장성, 안후이성, 광둥성 등에서는 "소매(焼売)"라고 불리고, 베이징 등에서는 "소맥(焼麦)"이라고 불린다.[19] "소매"와 "소맥"은 같은 음이다. 소매라는 단어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사료는 14세기 원나라 시대 고려에서 발간된 『박통사』이다.[20]
청나라 시대 『증속문』(호의행 저)에는 "석류 꽃 모양을 한 겉껍질이 매우 얇은 고기 속"으로 "소맥"이 기록되어 있다. 명나라 시대 장편 소설 『금병매』에는 "복숭아꽃 소매"를 먹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나 홍콩에서는 광둥어로 "'''시우마이'''"라고 발음한다. 일본어는 광둥어 발음을 외래어로 받아들였지만 "슈마이"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기요켄의 "시우마이" 표기는 초대 사장이 토치기 사투리로 "슈" 발음을 할 수 없었던 데에서 유래한다.[21][22] 표준 중국어(푸퉁화)에서는 "'''샤오마이'''"라고 발음하며, 동음의 "燒麥중국어(간체자: 烧麦중국어)" 자를 사용한다.
중국 북방에서는 "燒麥중국어"으로 표기하고, 남방에서는 "소매"로 표기한다.
2. 1. 명칭의 유래
역사적 자료에 따르면, '사오마이'는 찻집에서 부수적인 상품으로 제공되었다.[3][14] '사오마이'라는 이름은 차와 함께 "곁가지로 판매"되었다는 의미를 지닌다. 산시 성 출신 상인들이 베이징과 톈진으로 가져오면서 널리 퍼지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이 이름은 "; ", "" 및 "; "와 같은 현대적인 형태로 바뀌었으며, 원래의 '사오마이' 발음을 유지하면서 한자가 변경되었다. 이 제품은 처음에는 얇은 피에 고기와 채소를 넣은 형태로 판매되었으며, 포장지만을 무게로 쟀는데, 이는 후허하오터에서도 여전히 이어져 오고 있다. 2021년에는 "라오 수이위안의 사오마이 제조 기술"이 후허하오터의 무형 문화 유산 프로젝트로 지정되었다.[15]명칭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으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중국에서는 병해를 입어 검게 변한 보리 이삭은 전염을 막기 위해 태워졌다. 그 모양과 비슷하여 소맥(焼麦)이라고 이름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3. 역사
역사적 자료에 따르면, '사오마이'는 찻집에서 부수적인 상품으로 제공되었다.[3][14] '사오마이'()라는 이름은 차와 함께 "곁가지로 판매"되었다는 의미를 지닌다. 산시 성 출신 상인들이 베이징과 톈진으로 가져오면서 널리 퍼지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이 이름은 "; ", "" 및 "; "과 같은 현대적인 형태로 바뀌었으며, 원래의 '사오마이' 발음을 유지하면서 한자가 변경되었다. 이 제품은 처음에는 얇은 피에 고기와 채소를 넣은 형태로 판매되었으며, 포장지만을 무게로 쟀는데, 이는 후허하오터에서도 여전히 이어져 오고 있다. 2021년에는 "라오 수이위안의 사오마이 제조 기술"이 후허하오터의 무형 문화 유산 프로젝트로 지정되었다.[15]
17세기 말, 청나라 초기에 현재의 중국 내몽골 자치구 서부에서 탄생한 것으로 여겨진다.[26] 그것이 선양, 베이징, 톈진으로 퍼져나가, 더 나아가 저장 성, 장쑤 성, 광둥 성으로 남쪽으로 확산되었다.
선양시에는 1796년 청나라 시대에 창업했다고 전해지는 소매(燒賣)집이 있으며, 초대 마춘은 손수레로 쇠고기와 양고기를 사용한 소매(燒麦)를 판매하여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홍콩에서는 "干蒸燒賣중국어"라는 새우 슈마이가 정식 메뉴로 자리 잡았다.[27]
4. 조리법
후허하오터에서는 ''사오마이''를 주식으로, 특히 아침 식사로 흔히 제공한다. 후허하오터 주변 지역의 특산품으로 여겨진다. 찐 ''사오마이''는 대나무 찜통에 담아 제공하며, 튀긴 ''사오마이''는 접시에 담아 제공한다.
중국 남부의 딤섬 전통에서 ''사오마이''는 가장 일반적인 요리 중 하나이다.[1] 새우, 돼지 지방, 죽순, 파를 넣고 찐 또 다른 종류의 만두인 ''하가우''와 함께 제공되며, 이를 통칭하여 ''하가우-사오마이'' ()라고 부른다.
광저우에서 ''사오마이''(燒賣)와 ''하가우''(蝦餃)는 ''차슈바오''(叉燒包), 에그 타르트(蛋撻)와 함께 광둥 딤섬 요리의 대표적인 요리로 여겨진다. 이들은 통칭하여 요리의 "사대천왕"(四大天王|쓰다톈왕중국어)이라고 불린다.[16][17]
인도네시아의 음식 노점상에서는 ''시오마이''(현지 방언으로는 "siomay")를 찐 채소와 두부와 함께 먹으며, 매콤한 땅콩 소스와 함께 제공한다.
필리핀의 음식 노점상과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는 ''시오마이''를 찍어 먹거나, 취급하기 쉽도록 이쑤시개를 사용하거나, 밥과 함께(숟가락과 포크를 사용하여) 먹는다. 찜으로 조리하는 경우가 많지만, 철판으로 가열하는 "구운 샤오마이", 기름에 튀기는 "튀긴 샤오마이", 수프에 넣는 "물 샤오마이" 등도 있다.[23] 이러한 것들과 구별하기 위해 "찐 샤오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오뎅 재료로 삶아 먹는 경우도 있으며,[24]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오뎅에는 샤오마이를 어묵으로 감싼 "슈마이 말이"를 판매하는 곳도 있다.[25]
5. 중국 내 종류
중국에서는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의 사오마이를 맛볼 수 있다.
- 광둥식 시우마이(廣東燒賣): 광둥성과 광시성 남부 지역에서 유래했으며, 가장 널리 알려진 종류이다. 다진 돼지고기, 새우, 표고버섯, 파, 생강 등을 얇은 피로 감싸 만들며, 게 알이나 당근, 완두콩 등으로 장식한다. 홍콩에서는 길거리 음식으로도 인기가 높다.[2]
- 후허하오터 사오마이(呼和浩特燒賣):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지역의 특색 음식이다. 다진 양고기와 파, 생강을 듬뿍 넣어 만든 소를 얇고 둥근 피로 감싸 윗부분을 꽃 모양으로 만든다. 찜이나 지짐으로 조리하며, 식초와 차를 곁들여 먹는다.[3][4]
- 후난 국화 사오마이(湖南 菊花燒賣): 후난성 창사 지역에서 유래했으며, 윗부분이 국화 꽃잎 모양을 닮았다. 찹쌀, 돼지고기 해시, 새우, 표고버섯, 죽순, 양파 등으로 소를 만들고 고추로 매운 맛을 낸다. 피는 투명하다.
- 장난 사오마이(江南燒賣): 상하이에서 난징에 이르는 장난 지역에서 만들어진다. 쭝쯔와 비슷한 소를 사용하며, 찹쌀에 절인 돼지고기 조각, 간장, 소흥주 등을 넣고 돼지 비계로 찐다. 광둥식보다 크기가 크다.[5][6]
- 위구르식 사오마이(維吾爾燒賣):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두 가지 지역적 변형으로 발전했다. 북부 지역에서는 양고기 또는 쇠고기에 파와 무를 넣고, 남부 지역에서는 찹쌀에 소량의 양고기나 쇠고기를 사용한다.
- 장시 이펑 사오마이(江西 宜丰燒賣): 장시성 이펑 지역에서 유래했으며, 돼지고기, 빵가루, 참깨 가루, 후추 가루, 설탕을 섞어 독특한 풍미를 낸다.[7] 특히 이펑 탄산 톈바오 지역에서 중국 설날에 즐겨 먹는다.
- 상하이 사오마이(上海燒賣): 상하이에서는 표고버섯과 양파를 넣기도 하며, 다진 고기, 버섯, 양파를 볶아 소를 만들기도 한다.
14세기 원나라 시대 고려에서 발간된 『박통사』에는 대도에서 "素酸馅稍麦중국어" (한국 한자음: 소산함초맥)을 판매하는 가게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0]
청나라 시대의 『증속문』에는 "석류 꽃 모양을 한 겉껍질이 매우 얇은 고기 속"으로 "소맥" (한국 한자음: 소맥)의 기재가 있다.
명나라 시대의 장편 소설 『금병매』와 18세기 중국청나라 중기에 성립된 백화 소설 『유림외사』에도 소매 (한국 한자음: 소매)를 먹는 묘사가 등장한다.
17세기 말, 청나라 초기에 현재의 중국 내몽골 자치구 서부에서 탄생한 것으로 여겨진다.[26]
선양시에는 1796년 청나라 시대에 창업했다고 전해지는 소매(燒賣) (한국 한자음: 소매)집이 있다.
표준 중국어 (푸퉁화)에서는 "'''샤오마이'''"라고 발음하며, 동음의 "燒麥중국어(간체자: 烧麦중국어)" (한국 한자음: 소맥) 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중국 북방에서는 "燒麥중국어"으로 표기하고, 남방에서는 "소매" (한국 한자음: 소매)로 표기한다. 사용되는 식재료도, 북방은 양고기, 파, 무가 사용되는 반면, 남방에서는 돼지고기나 찹쌀이 사용된다.
5. 1. 광둥식 시우마이 (廣東燒賣)

'''광둥식 시우마이'''(廣東燒賣)는 광둥성 남동부에서 만들어지는 사오마이의 일종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조리법은 다진 돼지고기, 작은 새우 또는 다진 새우, 표고버섯, 파 등을 사용하여 소를 만든다. 만두 위에 올리는 재료로는 완두콩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게 알이나 깍둑썰기한 당근을 사용하기도 한다.
다진 생선살을 이용한 시우마이는 홍콩에서 길거리 음식으로 인기가 높으며, 달콤한 간장 소스와 고추 기름에 찍어 먹는다.[2]
광둥 요리에서 ''시우마이''(siumaai)는 "돼지고기 버섯 만두"라고도 불린다. 기본적으로는 다진 돼지고기, 작게 썰거나 다진 새우, 표고버섯, 파 (Scallion) (또는 파) 및 생강으로 속을 채우며, 쌀술(소흥주 등), 간장, 참기름, 닭 육수로 간을 한다. 죽순, 마름, 후추를 넣기도 한다. 겉은 얇은 잿물 반죽으로 만들며, 노란색이나 흰색이다. 가운데는 주로 게 알이나 잘게 썬 당근으로 만든 주황색 점으로 장식하지만, 완두콩으로 만든 녹색 점을 사용하기도 한다. 장식은 다양하다.
5. 2. 후허하오터 사오마이 (呼和浩特燒賣)
남몽골 후허하오터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사오마이로, 사오마이의 원형으로 알려져 있다.[44][45]피는 매우 얇고 둥글며, 부풀리지 않는 반죽으로 만들고, 테두리는 주름지게 만든다. 소는 주로 다진 양고기를 중심으로 하여 파나 생강도 곁들인다. 후허하오터 사오마이는 파와 생강을 많이 사용하여, 독특한 향과 함께 약간의 매운 맛을 지닌다. 소는 피의 중앙부에 놓고, 피를 느슨하게 감싸면서 상단을 꽃 모양에 가깝게 만든다. 이후 쪄내거나 구워내어 조리한다. 식초, 차와 함께 제공되는데, 이는 기름기를 많이 함유한 것 때문이다.[3][4]
량 단위로 제공되며, 찜통에 담아 8개를 찌거나 접시에 8개를 튀겨서 낸다. "량"은 50그램에 해당하며, 전통적으로 피의 총 무게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5. 3. 후난 국화 사오마이 (湖南 菊花燒賣)
후난성 창사에서 만드는 사오마이로, '''국화 사오마이'''라고 부른다. 윗부분이 국화 꽃잎 모양을 닮아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고추를 넣어 매우며, 반투명한 피로 이루어져 있다. 소는 찹쌀, 다진 돼지고기, 새우, 표고버섯 등 버섯류, 죽순, 양파로 구성된다.[1]5. 4. 장난 사오마이 (江南燒賣)
장강 이남의 상하이에서 난징에 이르는 장난(江南) 지역에서 제조되는 사오마이는 광둥식 사오마이보다 더 큰 피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크기가 더 크다. 소는 쭝쯔와 유사하며, 강장과 사오싱주같은 중식 미주, 찹쌀에 절인 돼지고기 조각, 쪄놓은 돼지 비계를 사용한다.[5][6]장난 지방 (상하이에서 난징에 이르는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사오마이''는 이 지역의 ''종즈''와 유사한 속을 가지고 있으며, 찹쌀에 절인 돼지고기 조각, 간장, 소흥주를 넣고 돼지 비계로 찐다. 이는 광둥식보다 크다. 상하이식 사오마이는 표고버섯과 양파도 포함하며, 다진 고기, 버섯, 양파는 속을 채우기 전에 볶음 요리를 한다.
5. 5. 위구르식 사오마이 (維吾爾燒賣)
위구르식 사오마이는 중국 북서부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중심으로 퍼진 사오마이이다. 위구르식 사오마이는 북부와 남부에 따라 재료와 조리법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북부에서는 양고기와 쇠고기, 양파, 무를 소로 사용하는 반면, 남부에서는 양고기와 쇠고기에 적은 양의 찹쌀을 첨가한다. 다진 양고기 갈비살에 약간의 지방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5. 6. 장시 이펑 사오마이 (江西 宜丰燒賣)
'''장시 이펑 사오마이'''는 장시성 남동쪽에서 널리 퍼진 것으로, 이펑 사오마이(宜丰燒賣)라고도 부른다. 다진 돼지고기, 빵가루, 참깨 가루, 갈아낸 후추 및 설탕을 섞어 독특한 맛을 낸다.[7] 중국 설날 행사 기간 동안 먹는 음식으로 인기가 높다. 특히 이펑 탄산 톈바오 지역에서 인기가 많다.[7]5. 7. 상하이 사오마이 (上海燒賣)
돼지고기, 쇠고기, 새우, 양배추, 버섯, 찹쌀, 양파 등을 소로 만든 사오마이이다. 아시아 이외 지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종류이며, 광둥성과 광시성 남부 지방에서 유래했다. 광둥 요리에서 조리되는 ''siumaai''는 "돼지고기 버섯 만두"라고도 불린다. 기본적으로 돼지고기 간 것, 작게 썰거나 다진 새우, 표고버섯, 파 (Scallion) 및 생강으로 속을 채우며, 중국 쌀술(예: 소흥 쌀술), 간장, 참기름, 닭 육수로 간을 한다. 죽순, 마름과 후추를 추가할 수도 있다. 겉은 얇은 잿물 반죽으로 만들며, 노란색 또는 흰색이다. 가운데는 보통 게 알, 또는 잘게 썬 당근으로 만든 주황색 점으로 장식하지만, 완두콩으로 만든 녹색 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장식은 다양하다.''siumaai''의 어묵 종류는 홍콩에서 인기 있는 길거리 음식으로 판매되며, 보통 카레 어묵과 함께 판매된다. 달콤한 간장 및/또는 고추 기름과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2]
6. 중국 외의 종류
일본 중국 요리에서 '슈마이'는 돼지고기와 다진 양파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완두콩으로 고명을 얹는 경우가 많다. 중국식 샤오마이와 달리 일본식 슈마이는 고기를 갈아서 페이스트 형태로 만든다.
인도네시아의 '시오마이'(Siomay, siomai) 또는 '소마이'(somay)는 발음은 같지만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보통 만두피에 소를 채워 찌며, 찐 감자, 두부, 삶은 달걀, 찐 여주와 양배추를 곁들인다. 썰어서 땅콩 소스와 '케찹 마니스'(단맛 간장)를 얹어 먹는다. 무슬림 인구가 많은 인도네시아에서는 돼지고기 대신 만새기, 점다랑어, 새우, 닭고기 등을 사용한 시오마이가 인기가 많다.
필리핀의 '시오마이'(siomai) 또는 '시요마이'(siyomay|tlceb)는 돼지고기, 쇠고기, 새우 등을 갈아 마늘, 완두콩, 당근 등과 함께 만두피에 싸서 만든다. 보통 쪄서 먹지만, 튀겨서 바삭하게 만들기도 한다. 깔라만시 즙과 간장을 섞어 찍어 먹으며, 칠리 마늘 오일을 소스에 첨가하기도 한다.[10] 최근에는 만두피를 해초 시트로 감싼 "일본식" 시오마이도 판매된다.
태국의 '카놈 찝'(ขนมจีบ, 카놈 칩)은 사오마이의 태국식 변형으로, "주름 잡힌 간식"을 의미한다. 하가우와 유사하게 흰색 밀가루로 싸여 있으며, 새 모양으로 주름이 잡혀 "카놈 찝 녹"(새 모양의 찐 만두)이라고도 불린다. 사쿠 사이 무처럼 양상추와 고추와 함께 먹는다.[11][12] 푸껫이나 뜨랑 주 등 태국 남부 지역에서는 붉은 갈색의 달콤한 소스를 곁들이는 것이 특징이다.[13]
베트남 요리에서 '쑤이마이'는 다진 돼지고기, 양파, 파, 빵 부스러기를 토마토 소스에 조리한 음식이다. 주로 반미 빵에 담아 아침 식사로 제공되며, 반죽 랩핑이 없어 미트볼에 더 가깝다.
6. 1. 일본식 슈마이 (日本のシュウマイ)
일본식 '''슈마이'''(焼売|shūmai일본어)는 돼지고기를 주로 사용하며, 새우나 쇠고기 간 것을 넣기도 한다. 여기에 다진 양파를 섞고, 윗부분에 녹색 콩을 얹는 경우가 많다. 1950년대 일본의 냉동 식품 제조사인 니치레이()에서 학교 급식용으로 쇼트케이크(:en:Shortcake)의 딸기를 본떠 고안했다고 알려져 있다.[30]

일본 중국 요리에서 ''슈마이''는 돼지고기와 다진 양파를 주재료로 하며, 완두콩으로 고명을 얹는 경우가 많다. 중국식 샤오마이와 달리 일본식 슈마이는 고기를 갈아서 페이스트 형태로 만든다.
일본에서는 1899년 요코하마시 이세자키초의 "하쿠가테이"가 처음으로 슈마이를 만들어 팔았다고 한다.[28] 1908년에는 키요켄이 개업하여 역 도시락인 "슈마이 도시락"을 판매하면서 슈마이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38년 주부의 벗 신년호 부록에는 교자, 슈마이 조리법이 실려있다.[29] 그중 "변화된 슈마이"는 교자 재료에 녹말을 더해 찐 것이고, "즉석 슈마이"는 껍질 없이 경단 모양으로 빚어 밀가루를 묻혀 찐 요리였다.[29] 이러한 "즉석 슈마이"는 1965년경까지 요리책에 자주 등장했다.[29]
1950년대 학교 급식에 슈마이가 제공되면서 쇼트케이크 위 딸기처럼 보이도록 완두콩을 올리기 시작했다.[30] 그러나 점차 완두콩 없는 슈마이가 늘어났고, 2018년 조사에서는 시판 냉동 슈마이에는 모두 완두콩이 없었다.[31] 하지만 키요켄처럼 재료에 섞는 곳도 있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32]
슈마이는 찌는 것 외에도 기름에 튀기거나, 교자처럼 굽거나, 오뎅이나 냄비 요리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냉장, 냉동 식품으로도 많이 판매된다.
총무성 통계에 따르면, 2015년 - 2017년 가계의 슈마이 지출액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가 가장 높았다.[33]
사가현 가라쓰시 요부코정에서는 오징어를 넣은 "오징어 슈마이"가 특산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34][35] 도치기현 아시카가시에는 고기가 없는 "아시카가 슈마이"가 향토 음식으로 존재한다.[35][36] 같은 현 가누마시는 키요켄 초대 사장 출생지로, "슈마이 마을"을 목표로 지역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키요켄도 협력하고 있다.[37][38][39][40]
6. 2. 인도네시아식 시오마이 (Indonesian Siomay)
'''시오마이'''(''Siomay'', ''siomai'') 또는 '''소마이'''(''somay'')는 인도네시아식으로 변형된 사오마이이다. 찐 감자, 두부, 삶은 계란, 찐 여주, 양배추 등의 재료를 채 썰어 곁들이며, 땅콩 소스나 케찹 마니스(단 맛의 간장)를 끼얹어 먹는다. 무슬림 인구가 많은 인도네시아에서는 돼지고기를 사용한 시오마이는 매우 드물고, 주로 꼬치삼치나 점다랑어(Mackerel Tuna)와 같은 생선을 사용한다. 이러한 형태는 서방에서는 덜 알려져 있다.
인도네시아의 ''시오마이'' (때로는 소마이라고도 함)는 다른 종류의 시오마이와 발음이 같으며, 보통 만두피에 소를 채워 찌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찐 감자, 두부, 삶은 달걀, 찐 여주와 양배추를 곁들여 모두 썰어 땅콩 소스와 ''케찹 마니스''(단맛 간장)를 얹어 먹는다. 인도네시아는 인구 대부분이 무슬림이기 때문에 돼지고기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만새기 또는 점다랑어, 새우나 닭고기를 사용하는 다른 변형들도 인기가 있다. 이러한 변형은 서구 국가에서는 덜 흔하다.
6. 3. 필리핀식 시오마이 (Philippine Siomai)
'''시오마이'''(''siomai'') 또는 '''시요마이'''(siyomay|tlceb)는 돼지고기, 쇠고기, 새우 등을 갈아서 녹색 완두콩, 당근 등의 부재료와 함께 만두피에 싸서 만든 음식이다. 보통 쪄서 먹지만, 튀겨서 바삭하게 만들기도 한다. 필리핀식 라임인 칼라만시 즙과 간장을 섞어 찍어 먹으며, 때로는 칠리 마늘 오일을 소스에 첨가하기도 한다.[10]최근에는 만두피를 해초 시트로 감싸 "일본식"으로 판매되는 변형도 있다.
6. 4. 태국식 카놈 찝 (Thai Khanom Jeeb)
''카놈 찝'' 또는 ''카놈 칩''(ขนมจีบ|카놈 찝th)은 사오마이의 태국식 변형이다. "주름 잡힌 간식"을 의미하는 태국어 용어이며, 중국 식당과 딤섬 카트의 주요 음식이다. 그러나 중국식 카놈 찝과는 다른 전통적인 태국식 카놈 찝도 있다.[11][12]태국식 카놈 찝은 하가우와 유사하게 흰색 밀가루로 싸여 있으며, 새 모양으로 주름이 잡혀 "카놈 찝 녹"(ขนมจีบนก; 문자 그대로 "새 모양의 찐 만두")이라고도 불린다. 중국식 카놈 찝에 사용되는 시큼한 간장과 함께 먹지 않으며, 사쿠 사이 무와 마찬가지로 양상추와 고추와 함께 먹는다.[11][12] 200년 이상 전 라타나코신 시대 초기의 라마 2세 국왕의 궁중 시 작품인 ''Kap He Chom Khrueang Khao Wan''에 언급되어 있다.
푸껫이나 뜨랑 주와 같은 일부 태국 남부 지역에서는 중국식 카놈 찝(슈마이)의 찍어 먹는 소스가 다른 지역과 다르다. 이 소스는 붉은 갈색의 달콤한 소스이다. 이 찍어 먹는 소스와 함께 카놈 찝을 먹는 것은 딤섬을 먹는 것의 일부이며 뜨랑 지역 주민들의 일반적인 아침 식사 문화이다.[13]
6. 5. 베트남식 쑤이마이 (Vietnamese Xíu mại)
베트남 요리에서 ''쑤이마이''는 다진 돼지고기, 양파, 파, 빵 부스러기를 주재료로 토마토 소스에 조리한다. 보통 아침 식사로 ''반미'' 빵에 담아 제공된다. 반죽 랩핑을 생략했기 때문에 ''슈마이''보다는 미트볼에 더 가깝다.[1]
7. 한국의 슈마이
(이전 출력 결과가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동일하게 빈 내용을 출력합니다.)
참조
[1]
서적
The food of China: a journey for food lovers
Bay Books
[2]
웹사이트
Love at first bite: Hong Kong's humble street food inspires an encyclopedia
https://hongkongfp.c[...]
2021-05-23
[3]
웹사이트
烧麦的名称由来
http://news.ganji.co[...]
news.ganji.com
2013-12-16
[4]
서적
绥远通志稿
内蒙古人民出版社
[5]
웹사이트
鲜香入味的上海三丁烧卖附配方+做法_腾讯新闻
https://new.qq.com/o[...]
2020-10-30
[6]
AV media
香菇糯米烧卖的做法,老上海烧卖制作解说,上海美食,上海冬笋烧卖,香菇笋丁烧卖,椎茸シュウマイの作り方,shumai recipes,不用工具就能做出完美烧卖皮,名店烧卖商用做法看完一次就能开店
https://www.youtube.[...]
2022-02-15
[7]
웹사이트
宜丰烧卖介绍_宜春美食
https://m.cncn.com/m[...]
2020-10-30
[8]
웹사이트
Honolulu Star-Bulletin Features
https://archives.sta[...]
[9]
웹사이트
Grindz of the Day: Sing Cheong Yuan Bakery, Hawaiian Airlines 1st Class & Mai Tai’s – Tasty Island
https://tastyislandh[...]
2016-10-13
[10]
웹사이트
Pork Siomai with Shrimp
https://ambersmenu.c[...]
2024-11-06
[11]
웹사이트
Kanom Jeeb (Thai Dumplings Recipe)
https://hungryinthai[...]
2024-10-14
[12]
웹사이트
ขนมจีบ (ไทย) ต้นตำรับจากขนมไส้หมูเจ้าครอกวัดโพธิ์ ของว่างโบราณอายุสองร้อยกว่าปี
https://www.silpa-ma[...]
2024-10-14
[13]
웹사이트
“กำเจือง” น้ำจิ้มติ่มซำที่มีเฉพาะเมืองตรัง
https://www.gourmeta[...]
2024-10-14
[14]
서적
绥远通志稿
内蒙古人民出版社
[15]
웹사이트
Hohhot shaomai included on national delicacy list
https://subsites.chi[...]
[16]
웹사이트
Dim Sum, a Beginner's Guide to the Cantonese Cuisine
https://www.honestfo[...]
2020-10-30
[17]
웹사이트
广州早茶"四大天王"有哪些?
http://www.sohu.com/[...]
2020-10-30
[18]
웹사이트
シュウマイ潤の焼売探訪。「焼売」の“プロレス”的魅力を体感できる『野田焼売店』の魅力とは?
https://www.syokurak[...]
2018-05-16
[19]
웹사이트
绝处逢生时的意外发明—烧卖
https://www.epochtim[...]
2017-06-13
[20]
웹사이트
烧卖
https://wap.xinmin.c[...]
2020-04-25
[21]
뉴스
ハマっ子はなぜシュウマイが好きなのか? シュウマイ文化をひもとく講座にファン約180人が参加
https://www.townnews[...]
タウンニュース
[22]
뉴스
「崎陽軒の初代社長」野並茂吉さんはどんな人? 鹿沼
https://www.shimotsu[...]
下野新聞 SOON(スーン)
[23]
간행물
焼売はごちそうだ!
ハースト婦人画報社
[24]
웹사이트
変わりおでん
https://www.asahibee[...]
[25]
간행물
ファミリーマート 人気のおでんBEST5
第三文明社
[26]
웹사이트
嗜好に応じ進化する庶民の食
https://older.minpak[...]
교토신문
2015-10-14
[27]
웹사이트
本場・香港の人気点心がズラリ! 【香港】ローカルに愛される人気飲茶レストラン〈蓮香居〉、おすすめ点心16選をチェック!
https://hanako.tokyo[...]
2018-11-12
[28]
웹사이트
“元祖”は崎陽軒ではなかった!? 焼売の奥深き世界
https://dot.asahi.co[...]
2015-04-01
[29]
서적
国民食の履歴書 カレー、マヨネーズ、ソース、餃子、肉じゃが
青弓社
[30]
웹사이트
シュウマイからグリーンピースが消えたのはなぜ?
https://www.excite.c[...]
에키사이트뉴스
2017-05-29
[31]
웹사이트
冷凍シュウマイから消えつつあるグリーンピース「タモリ倶楽部」で話題に
https://news.livedoo[...]
livedoor ニュース
2018-07-28
[32]
웹사이트
タモリ倶楽部「シュウマイのグリーンピース」が話題
https://www.narinari[...]
ナリナリドットコム
2018-07-28
[33]
웹사이트
家計調査(二人以上の世帯) 品目別都道府県庁所在市及び政令指定都市(※)ランキング(平成27年(2015年)~29年(2017年)平均)
https://www.stat.go.[...]
총무성 통계국
[34]
웹사이트
佐賀県のいかしゅうまい
https://gurutabi.gna[...]
ぐるなび
[35]
웹사이트
ブーム到来? 常識外れの「ご当地焼売」に注目せよ!!
https://dot.asahi.co[...]
아사히신문사
2015-05-26
[36]
웹사이트
県南編(1)シューマイ 肉なしでモチッ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14-02-03
[37]
웹사이트
鹿沼 シューマイのまちへ 崎陽軒の初代社長、市出身 商議所中心に3者連携
https://www.shimotsu[...]
下野新聞
2021-01-01
[38]
웹사이트
認知ゼロなのに?シューマイまちおこしのワケ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放送網
2021-01-01
[39]
웹사이트
鹿沼 シューマイの街に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01-01
[40]
웹사이트
ギョーザの街の隣がなぜシウマイの街に きっかけは崎陽軒との縁
https://www.asahi.co[...]
2024-08-10
[41]
웹사이트
東京シュウマイ党
https://bs.tbs.co.jp[...]
BS-TBS
2023-08-31
[42]
웹인용
烧麦的名称由来
https://web.archive.[...]
news.ganji.com
2013-12-16
[43]
서적
绥远通志稿
内蒙古人民出版社
[44]
웹인용
烧麦的名称由来
https://web.archive.[...]
news.ganji.com
2013-12-16
[45]
서적
绥远通志稿
内蒙古人民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