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특별시 부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 부시장은 서울특별시장을 보좌하여 시정 전반에 관한 업무를 분담하는 직위이다. 1945년 경성부 부부윤으로 시작하여, 서울특별자유시 부시장, 서울특별시 참사관,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거쳐 1994년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현재와 같이 행정1·2부시장과 정무부시장 3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역대 부시장들은 행정, 도시계획, 정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울시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 부시장 - 원세훈 (1951년)
    원세훈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특별시청에서 공직을 시작해 강남구청장,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안전부 장관과 국가정보원장을 지냈으나,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 건설업자 금품 수수, 국정원 예산 횡령 혐의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2022년 특별감형되었다.
  • 서울특별시 부시장 - 서정협
    서정협은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시청에서 다양한 보직을 거쳐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 서울특별시청 - 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5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1~9호선 대부분을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소사~원시 구간) 운영도 담당하고, 65세 이상 고령자의 무료 이용 등으로 인한 적자, 시위 대응 과정에서의 논란 등 여러 현안에 직면해 있다.
  • 서울특별시청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특별시의 공립 종합대학교인 서울시립대학교는 경성공립농업학교로 시작하여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으로서 도시 관련 학문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서울특별시의 지원으로 낮은 등록금과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유지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반값 등록금을 시행하였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하여 법률 제정과 국정 심의를 수행하며 4년 임기에 만 18세 이상에게 선거권이 주어지고,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을 가지는 동시에 청렴, 국익 우선, 품위 유지의 의무를 지닌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보좌하며, 검찰총장의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정권의 성격과 검찰 개혁 추진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변화해왔다.
서울특별시 부시장
지도
기본 정보
국가대한민국
소속 광역 자치 단체서울특별시
직책서울특별시 부시장
임명권자서울특별시 시장
임기4년 (서울특별시장의 임기)
로마자 표기Seoul Metropolitan City Vice Mayor
한자 표기서울特別市 副市長
역할
주요 업무서울특별시장 보좌, 서울특별시청 사무 총괄, 서울시 행정 업무 관리 및 조정
법적 근거지방자치법 제110조
역대 부시장
초대 부시장김한태
현직 부시장김성보
기타
관련 직위행정부시장, 경제부시장, 정무부시장

2. 역대 부시장

2. 1. 경성부 부부윤 (1945~1946)

이범승(李範昇)은 1945년 8월 16일부터 1945년 10월 24일까지 재임하였다. 충남 연기(현 세종특별자치시) 출신으로, 일본 리쓰메이칸 대학 법과를 졸업하고 양주경찰서장 및 경성부윤을 역임하였다.

김창영(金昌永)은 1945년 10월 25일부터 1946년 9월 29일까지 재임하였다. 평북 강계 출신으로, 일본 교토 대학을 졸업하고 전라남도 참여관 겸 산업부장, 전라남도 광공부장 겸 토목과장, 경성부윤, 경성부 민정관, 서울시 고문을 역임하였다.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로, 친일 논란이 있다.

2. 1. 1. 역대 경성부 부부윤

이범승(李範昇)은 1945년 8월 16일부터 1945년 10월 24일까지 재임하였다. 충남 연기(현 세종특별자치시) 출신으로, 일본 리쓰메이칸 대학 법과를 졸업하고 양주경찰서장 및 경성부윤을 역임하였다.

김창영(金昌永)은 1945년 10월 25일부터 1946년 9월 29일까지 재임하였다. 평북 강계 출신으로, 일본 교토 대학을 졸업하고 전라남도 참여관 겸 산업부장, 전라남도 광공부장 겸 토목과장, 경성부윤, 경성부 민정관, 서울시 고문을 역임하였다.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로, 친일 논란이 있다.

2. 2. 서울특별자유시 부시장 (1946~1949)

미군정 시기 서울특별자유시 부시장은 주로 한국인 관료가 임명되었다.


2. 2. 1. 역대 서울특별자유시 부시장

wikitext

대수이름임기출신지출신학교비고
3임홍재1946년 9월 30일 ~ 1946년 10월 4일경기 인천인천부 농정과장, 인천부윤 역임
4소선규1946년 10월 11일[5] ~ 1946년 11월 29일전북 익산일본 후쿠시마상업고교서울특별자유시 동대문구청장, 제2·5대 국회의원 역임


2. 3. 서울특별시 참사관 (1949)

1949년 2월 8일부터 1949년 7월 31일까지 재임한 이석기(李錫基)는 충남 부여 출신으로, 일본 주오대를 졸업하였다. 대전부윤과 제2·3·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윤보선 시장 시절, 김태선이 7대 서울특별시 경찰참사관을 역임하였다. 임기는 1949년 1월 13일 ~ 1949년 7월 31일이다. 김태선은 수도경찰청장과 서울특별시 시경국장을 겸임하였다.

2. 3. 1. 서울특별시 행정참사관

1949년 2월 8일부터 1949년 7월 31일까지 재임한 이석기(李錫基)는 충남 부여 출신으로, 일본 주오대를 졸업하였다. 대전부윤과 제2·3·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2. 3. 2. 서울특별시 경찰참사관

윤보선 시장 시절, 김태선이 7대 서울특별시 경찰참사관을 역임하였다. 임기는 1949년 1월 13일 ~ 1949년 7월 31일이다. 김태선은 수도경찰청장과 서울특별시 시경국장을 겸임하였다.

2. 4. 서울특별시 부시장 (1949~1962)

1949년 8월 1일부터 1951년 9월 15일까지 전예용(全禮鎔)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전예용은 규슈 제국대학을 졸업하였고, 인천부윤과 한국은행 부총재를 역임하였다.

1951년 12월 20일부터 1952년 3월 13일까지 이상용(李相龍)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이상용은 경기도 용인시 출신으로, 서울상고를 졸업하였고, 경상남도 내무국장, 경상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

1952년 3월 14일부터 1953년 11월 22일까지 이익흥(李益興)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이익흥은 평안북도 선천군 출신으로, 일본 규슈 대학을 졸업하였고, 경기도지사, 내무부 장관, 제4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1953년 11월 23일부터 1953년 12월 13일까지 김응권(金應權)이 서울특별시 부시장 직무대리를 역임하였다. 김응권은 서울특별시 산업국장·내무국장을 역임하였다.

1953년 12월 14일부터 1954년 9월 11일까지 고재봉(高在鳳)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고재봉은 서울특별시장, 경전 사장을 역임하였다.

1954년 9월 12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김응권(金應權)이 서울특별시 부시장 직무대리를 역임하였다. 김응권은 서울특별시 산업국장·내무국장을 역임하였다.

1954년 9월 22일부터 1956년 9월 23일까지 조필현(趙弼顯)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1956년 9월 24일부터 1959년 6월 11일까지 신용우(申庸雨)가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신용우는 전매청장,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

1959년 6월 20일부터 1960년 5월 11일까지 최응복(崔應福)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1960년 5월 11일부터 1960년 10월 8일까지 정종철(鄭鍾哲)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정종철은 부산광역시장, 경상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

1960년 10월 8일부터 1961년 3월 4일까지 김주흥(金柱興)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1961년 3월 4일부터 1961년 5월 8일까지 최경렬(崔景烈)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1961년 5월 9일부터 1961년 5월 19일까지 김용진(金容鎭)이 서울특별시 부시장 직무대리를 역임하였다. 김용진은 서울특별시 내무국장을 역임하였다.

1961년 5월 20일부터 1961년 6월 19일까지 전재덕(全在德)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전재덕은 경상북도 선산(현 경상북도 구미시)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고, 현역 육군 중령 신분이었다.

1961년 6월 19일부터 1962년 1월 31일까지 김송환(金松煥)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김송환은 평안남도 덕천시 출신으로, 일본 교토 대학을 졸업하였고, 상공부 차관을 역임하였다.

2. 4. 1. 역대 서울특별시 부시장

1949년 8월 1일부터 1951년 9월 15일까지 전예용(全禮鎔)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전예용은 규슈 제국대학을 졸업하였고, 인천부윤과 한국은행 부총재를 역임하였다.[9]

1951년 12월 20일부터 1952년 3월 13일까지 이상용(李相龍)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이상용은 경기도 용인시 출신으로, 서울상고를 졸업하였고, 경상남도 내무국장, 경상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9]

1952년 3월 14일부터 1953년 11월 22일까지 이익흥(李益興)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이익흥은 평안북도 선천군 출신으로, 일본 규슈 대학을 졸업하였고, 경기도지사, 내무부 장관, 제4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9]

1953년 11월 23일부터 1953년 12월 13일까지 김응권(金應權)이 서울특별시 부시장 직무대리를 역임하였다. 김응권은 서울특별시 산업국장·내무국장을 역임하였다.[9]

1953년 12월 14일부터 1954년 9월 11일까지 고재봉(高在鳳)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고재봉은 서울특별시장, 경전 사장을 역임하였다.[9]

1954년 9월 12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김응권(金應權)이 서울특별시 부시장 직무대리를 역임하였다. 김응권은 서울특별시 산업국장·내무국장을 역임하였다.[9]

1954년 9월 22일부터 1956년 9월 23일까지 조필현(趙弼顯)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9]

1956년 9월 24일부터 1959년 6월 11일까지 신용우(申庸雨)가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신용우는 전매청장,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9]

1959년 6월 20일부터 1960년 5월 11일까지 최응복(崔應福)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9]

1960년 5월 11일부터 1960년 10월 8일까지 정종철(鄭鍾哲)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정종철은 부산광역시장, 경상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9]

1960년 10월 8일부터 1961년 3월 4일까지 김주흥(金柱興)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9]

1961년 3월 4일부터 1961년 5월 8일까지 최경렬(崔景烈)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9]

1961년 5월 9일부터 1961년 5월 19일까지 김용진(金容鎭)이 서울특별시 부시장 직무대리를 역임하였다. 김용진은 서울특별시 내무국장을 역임하였다.[9]

1961년 5월 20일부터 1961년 6월 19일까지 전재덕(全在德)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전재덕은 경상북도 선산(현 경상북도 구미시)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고, 현역 육군 중령 신분이었다.[9]

1961년 6월 19일부터 1962년 1월 31일까지 김송환(金松煥)이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김송환은 평안남도 덕천시 출신으로, 일본 교토 대학을 졸업하였고, 상공부 차관을 역임하였다.[9]

2. 5. 서울특별시 기획조정관 (1961~1966)

wikitable

시장대수이름임기출신지출신학교비고
윤태일1대안영기(安榮基)1961년 8월 25일 ~ 1964년 8월 30일
윤치영2대조성래(趙聖來)1964년 8월 31일 ~ 1966년 4월 27일


2. 5. 1. 역대 서울특별시 기획조정관

wikitext

안영기(安榮基)는 1961년 8월 25일부터 1964년 8월 30일까지 서울특별시 기획조정관을 역임하였다.

조성래(趙聖來)는 1964년 8월 31일부터 1966년 4월 27일까지 서울특별시 기획조정관을 역임하였다.

2. 6. 서울특별시 부시장 (1962~1994)

1962년부터 서울특별시 부시장은 제1부시장과 제2부시장으로 분리되었다.

== 서울특별시 제1부시장 (1962~1981) ==

제1부시장은 주로 행정 분야를 담당했다.

  • 김송환(1962년 2월 1일 ~ 1963년 4월 13일): 평안남도 덕천 출신으로, 일본 교토대학을 졸업하고 상공부 차관을 역임했다.
  • 김영준(1963년 4월 13일 ~ 1963년 12월 31일): 경상북도 예천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경제기획원 차관보, 농림부 장관, 한국전력공사 사장을 역임했다.
  • 김병완(1963년 12월 31일 ~ 1964년 7월 22일): 민주공화당 상임위원을 역임했다.
  • 김세준(1964년 7월 23일 ~ 1964년 8월 21일, 직무대리): 서울특별시 내무국장을 역임했다.
  • 전재덕(1964년 9월 2일 ~ 1966년 4월 27일): 경상북도 선산(현 경상북도 구미)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행정개혁위원회 위원, 중앙정보부 제2차장을 역임했다.
  • 이기수(1966년 4월 27일 ~ 1968년 5월 21일): 전라남도 장성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경상남도지사, 내무부 지방행정국장을 역임했다.
  • 남봉진(1968년 5월 21일 ~ 1968년 9월 4일): 경상북도 대구(현 경상북도와 분리) 출신으로, 경북대학교를 졸업하고 경기도지사, 내무부 지방국장, 서울시립교향악단장을 역임했다.
  • 김정오(1968년 9월 4일 ~ 1971년 6월 12일): 서울특별시 내무국장을 역임했다.
  • 강영수(1971년 6월 12일 ~ 1974년 2월 5일): 경상남도 진주 출신으로, 부산대학교를 졸업하고 경상남도지사,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내무부 지방국장을 역임했다.
  • 남문희(1974년 2월 7일 ~ 1976년 5월 12일): 경상북도 영양 출신으로, 충청남도 부지사, 부산직할시 부시장,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장을 역임했다.
  • 김찬회(1976년 5월 13일 ~ 1976년 5월 16일, 직무대리): 경기도 안성 출신으로, 서울특별시 중구·영등포구청장, 서울특별시 관광운수국장·재무국장·내무국장·보사국장·기획관리관, 인천직할시장을 역임했다.
  • 김성배(1976년 5월 18일 ~ 1978년 12월 26일):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영국 버밍엄대를 졸업하고 서울특별시 재무국장·기획관리관, 서울특별시 제2부시장, 강원도지사,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다.
  • 김찬회(1978년 12월 29일 ~ 1981년 6월 18일): 경기도 안성 출신으로, 서울특별시 중구·영등포구청장, 서울특별시 관광운수국장·재무국장·내무국장·보사국장·기획관리관, 인천직할시장을 역임했다.
  • 박순철(1981년 6월 19일 ~ 1981년 6월 25일, 직무대리): 서울특별시 내무국장을 역임했다.
  • 이상연(1981년 6월 26일 ~ 1981년 11월 10일): 경상북도 성주 출신으로, 경북대학교를 졸업하고 대구직할시장, 보안사령관 특별보좌관, 민주정의당 중앙정치연수원장, 정부제1장관 보좌관, 내무부 장관,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역임했다.


== 서울특별시 제2부시장 (1962~1981) ==

제2부시장은 주로 도시계획 및 건설 분야를 담당했다.

== 서울특별시 부시장 (1981~1994) ==

1981년 제1·2부시장이 다시 통합되었다가, 이후 행정부시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이상연: 1981년 11월 10일 ~ 1985년 2월 21일 재임.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출신으로, 경북대학교를 졸업했다. 안기부장,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 김진원: 1985년 2월 21일 ~ 1988년 12월 13일 재임. 경기 안성 출신으로, 경희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마포구·영등포구청장, 서울특별시 기획관리실장을 역임하였다.
  • 윤백영: 1988년 12월 13일 ~ 1991년 2월 19일 재임. 충남 아산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세종문화회관 관장, 서울특별시 산업경제국장·재무국장·내무국장·기획관리실장을 역임하였다.
  • 백상승: 1991년 2월 19일 ~ 1993년 3월 5일 재임. 경북 경주 출신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성북구청장, 서울특별시 산업경제국장·교통국장·내무국장·상수도사업본부장을 역임하였다.
  • 우명규: 1993년 3월 5일 ~ 1993년 12월 27일 재임. 경북 의성 출신으로, 서울특별시 지하철본부장, 경북지사, 서울시장을 역임하였다.
  • 이원택: 1993년 12월 27일 ~ 1994년 10월 22일 재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강서구청장을 역임하였다.
  • 강덕기: 1994년 10월 22일 ~ 1994년 12월 6일 재임. 서울특별시 강동구청장, 서울특별시 환경녹지산업국장·기획관리실장,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 회장을 역임하였다.

2. 6. 1. 서울특별시 제1부시장 (1962~1981)

제1부시장은 주로 행정 분야를 담당했다.

  • 김송환(1962년 2월 1일 ~ 1963년 4월 13일): 평안남도 덕천 출신으로, 일본 교토대학을 졸업하고 상공부 차관을 역임했다.
  • 김영준(1963년 4월 13일 ~ 1963년 12월 31일): 경상북도 예천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경제기획원 차관보, 농림부 장관, 한국전력공사 사장을 역임했다.
  • 김병완(1963년 12월 31일 ~ 1964년 7월 22일): 민주공화당 상임위원을 역임했다.
  • 김세준(1964년 7월 23일 ~ 1964년 8월 21일, 직무대리): 서울특별시 내무국장을 역임했다.
  • 전재덕(1964년 9월 2일 ~ 1966년 4월 27일): 경상북도 선산(현 경상북도 구미)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행정개혁위원회 위원, 중앙정보부 제2차장을 역임했다.
  • 이기수(1966년 4월 27일 ~ 1968년 5월 21일): 전라남도 장성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경상남도지사, 내무부 지방행정국장을 역임했다.
  • 남봉진(1968년 5월 21일 ~ 1968년 9월 4일): 경상북도 대구(현 경상북도와 분리) 출신으로, 경북대학교를 졸업하고 경기도지사, 내무부 지방국장, 서울시립교향악단장을 역임했다.
  • 김정오(1968년 9월 4일 ~ 1971년 6월 12일): 서울특별시 내무국장을 역임했다.
  • 강영수(1971년 6월 12일 ~ 1974년 2월 5일): 경상남도 진주 출신으로, 부산대학교를 졸업하고 경상남도지사,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내무부 지방국장을 역임했다.
  • 남문희(1974년 2월 7일 ~ 1976년 5월 12일): 경상북도 영양 출신으로, 충청남도 부지사, 부산직할시 부시장,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장을 역임했다.
  • 김찬회(1976년 5월 13일 ~ 1976년 5월 16일, 직무대리): 경기도 안성 출신으로, 서울특별시 중구·영등포구청장, 서울특별시 관광운수국장·재무국장·내무국장·보사국장·기획관리관, 인천직할시장을 역임했다.
  • 김성배(1976년 5월 18일 ~ 1978년 12월 26일):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영국 버밍엄대를 졸업하고 서울특별시 재무국장·기획관리관, 서울특별시 제2부시장, 강원도지사,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다.
  • 김찬회(1978년 12월 29일 ~ 1981년 6월 18일): 경기도 안성 출신으로, 서울특별시 중구·영등포구청장, 서울특별시 관광운수국장·재무국장·내무국장·보사국장·기획관리관, 인천직할시장을 역임했다.
  • 박순철(1981년 6월 19일 ~ 1981년 6월 25일, 직무대리): 서울특별시 내무국장을 역임했다.
  • 이상연(1981년 6월 26일 ~ 1981년 11월 10일): 경상북도 성주 출신으로, 경북대학교를 졸업하고 대구직할시장, 보안사령관 특별보좌관, 민주정의당 중앙정치연수원장, 정부제1장관 보좌관, 내무부 장관,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역임했다.

2. 6. 2. 서울특별시 제2부시장 (1962~1981)

제2부시장은 주로 도시계획 및 건설 분야를 담당했다.

2. 6. 3. 서울특별시 부시장 (1981~1994)

1981년 제1·2부시장이 다시 통합되었다가, 이후 행정부시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이상연: 1981년 11월 10일 ~ 1985년 2월 21일 재임.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출신으로, 경북대학교를 졸업했다. 안기부장,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 김진원: 1985년 2월 21일 ~ 1988년 12월 13일 재임. 경기 안성 출신으로, 경희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마포구·영등포구청장, 서울특별시 기획관리실장을 역임하였다.
  • 윤백영: 1988년 12월 13일 ~ 1991년 2월 19일 재임. 충남 아산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세종문화회관 관장, 서울특별시 산업경제국장·재무국장·내무국장·기획관리실장을 역임하였다.
  • 백상승: 1991년 2월 19일 ~ 1993년 3월 5일 재임. 경북 경주 출신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성북구청장, 서울특별시 산업경제국장·교통국장·내무국장·상수도사업본부장을 역임하였다.
  • 우명규: 1993년 3월 5일 ~ 1993년 12월 27일 재임. 경북 의성 출신으로, 서울특별시 지하철본부장, 경북지사, 서울시장을 역임하였다.
  • 이원택: 1993년 12월 27일 ~ 1994년 10월 22일 재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강서구청장을 역임하였다.
  • 강덕기: 1994년 10월 22일 ~ 1994년 12월 6일 재임. 서울특별시 강동구청장, 서울특별시 환경녹지산업국장·기획관리실장,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 회장을 역임하였다.

2. 7. 서울특별시 행정부시장 (1994~현재)

wikitext

1994년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서울특별시 부시장은 행정1부시장, 행정2부시장, 정무부시장 3인으로 개편되었다.

'''서울특별시 행정제1부시장''' (1994 ~ 현재)

'''서울특별시 행정제2부시장''' (1994 ~ 현재)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1995 ~ 현재)

  • 이해찬(李海瓚) (1995년 7월 1일 ~ 1995년 12월 26일): 충남 청양 출신, 서울대학교 졸업,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제13·14·15·16·17·19대 국회의원, 민주당 당무기획실장,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을 역임. 이후 더불어민주당 대표 역임.[13]
  • 최수병/崔洙秉중국어 (1995년 12월 26일 ~ 1996년 12월 26일): 광주 출신, 서울대학교 졸업, 경제기획원 기획관리실장,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역임.
  • 김희완/金熙完중국어 (1996년 12월 26일 ~ 1998년 6월 30일): 경기 이천 출신, 연세대학교 졸업.
  • 신계륜/申溪輪중국어 (1998년 7월 1일 ~ 1999년 8월 11일): 전남 함평 출신, 고려대학교 졸업, 제14·16·17·19대 국회의원, 통합민주당 사무총장 역임.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활동.
  • 박병석/朴炳錫중국어 (1999년 8월 11일 ~ 2000년 2월 12일): 대전 출신, 성균관대학교 졸업, 새정치국민회의 총재 특별보좌관, 제17·18·19대 국회의원, 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국회부의장 역임. 이후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장 역임.[13]
  • 탁병오/卓秉伍중국어 (2000년 2월 13일 ~ 2002년 6월 30일): 전북 임실 출신, 전북대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보건사회국장·재무국장·환경관리실장, 서울특별시의회 사무처장 역임.
  • 정두언/鄭斗彦중국어 (2002년 7월 1일 ~ 2003년 11월 1일): 서울 종로 출신, 서울대학교 졸업, 제17·18·19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최고위원, 여의도연구원 소장 역임. 새누리당 소속이었으나 탈당.
  • 이춘식/李春植중국어 (2003년 11월 3일 ~ 2005년 9월 5일): 경북 포항 출신, 연세대학교 졸업, 서울시도시개발공사 감사, 제18대 국회의원 역임. 한나라당 소속 활동.
  • 정태근/鄭泰根중국어 (2005년 9월 5일 ~ 2006년 6월 30일): 서울 출신, 연세대학교 졸업, 제18대 국회의원 역임. 한나라당 소속이었으나 탈당.
  • 권영진/權泳臻중국어 (2006년 7월 1일 ~ 2007년 12월 10일): 경북 안동 출신, 고려대학교 졸업,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 제18대 국회의원, 미래사회연구소장 역임. 이후 대구광역시장 역임. 국민의힘 소속.[14]
  • 나진구/羅鎭求중국어 (2007년 12월 10일 ~ 2007년 12월 12일, 직무대리): 대구 출신, 고려대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 역임.
  • 권영규/權寧奎중국어 (2007년 12월 24일 ~ 2008년 5월 12일, 직무대리): 경북 안동 출신, 경북대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 역임.
  • 이상철/李相哲중국어 (2008년 5월 13일 ~ 2009년 9월 24일): 부산 출신, 서울대학교 졸업, 조선일보 편집국장, 월간조선 대표이사 사장 역임.
  • 권영규/權寧奎중국어 (2009년 9월 25일 ~ 2009년 10월 24일, 직무대리): 경북 안동 출신, 경북대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 역임.
  • 서장은/徐張恩중국어 (2009년 10월 26일 ~ 2010년 6월 30일): 경북 포항 출신, 고려대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정무조정실장, 여의도연구원 감사 역임.
  • 조은희/趙恩禧중국어 (2010년 7월 1일 ~ 2011년 8월 26일): 경북 청송 출신, 이화여자대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관, 양성평등실현연합 공동대표 역임. 이후 국민의힘 소속으로 서초구청장 역임.[15]
  • 최항도/崔伉燾중국어 (2011년 8월 27일 ~ 2011년 10월 26일, 직무대리): 한국외국어대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 역임.
  • 김형주/金炯柱중국어 (2011년 11월 1일 ~ 2012년 11월 1일): 경남 사천 출신, 한국외국어대학교 졸업, 제17대 국회의원 역임.
  • 기동민 (2012년 11월 1일 ~ 2014년 4월 14일): 전남 장성 출신, 성균관대학교 졸업,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보좌관,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비서관 역임. 이후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제20대·21대 국회의원 당선.
  • 정효성(丁效聲) (2014년 4월 25일 ~ 2014년 6월 22일, 직무대리): 전북 전주 출신, 성균관대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문화국장·대변인·행정국장·기획조정실장 역임.
  • 임종석 (2014년 6월 23일 ~ 2015년 12월 22일): 전남 장흥 출신, 한양대학교 졸업, 제16·17대 국회의원, 청와대 비서실장 역임.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정치 활동.
  • 장혁재/張爀載중국어 (2015년 12월 23일 ~ 2016년 1월 14일, 직무대리): 경기 포천 출신, 고려대학교 졸업, 서울시립대학교 행정처장, 일자리기획단장,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 기조실장 직무대리, 기조실장 역임.
  • 하승창 (2016년 1월 15일 ~ 2017년 3월 15일): 서울 출신, 연세대학교 졸업, 2011년 박원순 서울시장후보 총괄기획단장, 2014년 박원순 서울시장후보 총괄기획단장, 서울정책박람회 총감독 역임.
  • 김종욱/金鐘煜중국어 (2017년 3월 16일 ~ 2018년 3월 20일): 서울 출신, 고려대학교 졸업.
  • 진성준 (2018년 6월 29일 ~ 2019년 3월 20일): 전북 전주 출신, 전북대학교 졸업, 제19대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실 정무기획비서관 역임.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제21대 국회의원 당선.
  • 김원이 (2019년 3월 21일 ~ 2019년 11월 29일): 전남 신안 출신, 성균관대학교 졸업, 교육부 장관정책보좌관 역임.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제21대 국회의원 당선.
  • 문미란/文美蘭중국어 (2019년 12월 16일 ~ 2020년 7월 1일): 전북 군산 출신, 이화여자대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실장, 미국 변호사.
  • 김우영/金宇榮중국어 (2020년 7월 2일 ~ 2021년 4월 9일): 강원 강릉 출신, 한국과학기술원 졸업, 서울 은평구청장,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실 제도개혁비서관, 정무수석실 자치발전비서관 역임.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정치 활동.
  • 조인동/曺仁棟중국어 (2021년 4월 9일 ~ 2021년 4월 28일, 직무대리): 전남 광주 출신, 서울대학교 졸업, 서울시 서울혁신기획관,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관, 서울시 경제정책실장, 기획조정실장 역임.
  • 김도식/金度植중국어 (2021년 4월 29일 ~ 2022년 3월 18일): 명지대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 김의승/金意承중국어 (2022년 3월 19일 ~ 2022년 4월 17일, 직무대리): 경북 안동 출신, 고려대학교 졸업, 서울시 대변인,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 서울시 경제정책실장, 기획조정실장 역임.
  • 송주범/宋周範중국어 (2022년 4월 18일 ~ 2022년 8월 8일): 서울 출신, 건국대학교 졸업, 청음회관 운영위원장, 포스코건설 자문역, LG 디스플레이 상임고문.
  • 오신환/吳晨煥중국어 (2022년 8월 9일 ~ 2023년 5월 19일): 서울 출신, 건국대학교 졸업, 제20대 국회의원, 바른정당 수석대변인·원내대표, 바른미래당 원내수석부대표·비상대책위원·사무총장·원내대표, HOW's 이사장. 국민의힘 소속으로 정치 활동.
  • 강철원/姜哲遠중국어 (2023년 5월 22일 ~ 2024년 6월 30일): 광주 출신, 연세대학교 졸업, 서울시 민생특별보좌관, 서울시 정무조정실장, 서울시 홍보기획관, 정종복·오세훈 국회의원 보좌관.
  • 김병민/金炳玟중국어 (2024년 7월 1일 ~ ): 서울 출신, 경희대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총학생회장, 제6대 서초구의회 의원, 여의도연구원 정책자문위원,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자문위원,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최고위원.

2. 7. 1. 서울특별시 행정제1부시장 (1994~현재)

2. 7. 2. 서울특별시 행정제2부시장 (1994~현재)

2. 7. 3.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1995~현재)

이해찬 (1995년 7월 1일 ~ 1995년 12월 26일): 이해찬/李海瓚중국어은 충남 청양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제13·14·15·16·17·19대 국회의원, 민주당 당무기획실장,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역임하며 당을 이끌었다.[13]

최수병 (1995년 12월 26일 ~ 1996년 12월 26일): 최수병/崔洙秉중국어은 광주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경제기획원 기획관리실장,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을 역임했다.

김희완 (1996년 12월 26일 ~ 1998년 6월 30일): 김희완/金熙完중국어은 경기 이천 출신으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했다.

신계륜 (1998년 7월 1일 ~ 1999년 8월 11일): 신계륜/申溪輪중국어은 전남 함평 출신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제14·16·17·19대 국회의원, 통합민주당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활동했다.

박병석 (1999년 8월 11일 ~ 2000년 2월 12일): 박병석/朴炳錫중국어은 대전 출신으로,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했다. 새정치국민회의 총재 특별보좌관, 제17·18·19대 국회의원, 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국회부의장을 역임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장을 역임하며 의회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13]

탁병오 (2000년 2월 13일 ~ 2002년 6월 30일): 탁병오/卓秉伍중국어는 전북 임실 출신으로, 전북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보건사회국장·재무국장·환경관리실장, 서울특별시의회 사무처장을 역임했다.

정두언 (2002년 7월 1일 ~ 2003년 11월 1일): 정두언/鄭斗彦중국어은 서울 종로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제17·18·19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최고위원, 여의도연구원 소장을 역임했다. 새누리당 소속이었으나 탈당했다.

이춘식 (2003년 11월 3일 ~ 2005년 9월 5일): 이춘식/李春植중국어은 경북 포항 출신으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시도시개발공사 감사,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한나라당 소속으로 활동했다.

정태근 (2005년 9월 5일 ~ 2006년 6월 30일): 정태근/鄭泰根중국어은 서울 출신으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했다.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한나라당 소속이었으나 탈당했다.

권영진 (2006년 7월 1일 ~ 2007년 12월 10일): 권영진/權泳臻중국어은 경북 안동 출신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 제18대 국회의원, 미래사회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이후 대구광역시장을 역임하며 지역 발전에 힘썼다. 국민의힘 소속이다.[14]

나진구 (2007년 12월 10일 ~ 2007년 12월 12일, 직무대리): 나진구/羅鎭求중국어는 대구 출신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했다.

권영규 (2007년 12월 24일 ~ 2008년 5월 12일, 직무대리): 권영규/權寧奎중국어는 경북 안동 출신으로, 경북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했다.

이상철 (2008년 5월 13일 ~ 2009년 9월 24일): 이상철/李相哲중국어은 부산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조선일보 편집국장, 월간조선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했다.

권영규 (2009년 9월 25일 ~ 2009년 10월 24일, 직무대리): 권영규/權寧奎중국어는 경북 안동 출신으로, 경북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했다.

서장은 (2009년 10월 26일 ~ 2010년 6월 30일): 서장은/徐張恩중국어은 경북 포항 출신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정무조정실장, 여의도연구원 감사를 역임했다.

조은희 (2010년 7월 1일 ~ 2011년 8월 26일): 조은희/趙恩禧중국어는 경북 청송 출신으로,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관, 양성평등실현연합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이후 국민의힘 소속으로 서초구청장을 역임하며 지역 행정에 기여했다.[15]

최항도 (2011년 8월 27일 ~ 2011년 10월 26일, 직무대리): 최항도/崔伉燾중국어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했다.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했다.

김형주 (2011년 11월 1일 ~ 2012년 11월 1일): 김형주/金炯柱중국어는 경남 사천 출신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했다. 제17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기동민 (2012년 11월 1일 ~ 2014년 4월 14일):

정효성 (2014년 4월 25일 ~ 2014년 6월 22일, 직무대리):

임종석 (2014년 6월 23일 ~ 2015년 12월 22일):

장혁재 (2015년 12월 23일 ~ 2016년 1월 14일):

하승창 (2016년 1월 15일 ~ 2017년 3월 15일):

김종욱 (2017년 3월 16일 ~ 2018년 3월 20일):

진성준 (2018년 6월 29일 ~ 2019년 3월 20일):

김원이 (2019년 3월 21일 ~ 2019년 11월 29일):

문미란 (2019년 12월 16일 ~ 2020년 7월 1일):

김우영 (2020년 7월 2일 ~ 2021년 4월 9일):

조인동 (2021년 4월 9일 ~ 2021년 4월 28일, 직무대리):

김도식 (2021년 4월 29일 ~ 2022년 3월 18일):

김의승 (2022년 3월 19일 ~ 2022년 4월 17일, 직무대리):

송주범 (2022년 4월 18일 ~ 2022년 8월 8일):

오신환 (2022년 8월 9일 ~ 2023년 5월 19일)

강철원 (2023년 5월 22일 ~ 2024년 6월 30일):

김병민 (2024년 7월 1일 ~ ):

참조

[1] 법률 지방자치법 제110조 ① 2013-03-23
[2] 법률 지방자치법 제110조 ① 2013-03-23
[3] 뉴스 서울시 행정부시장 김상범ㆍ문승국씨 내정 http://news.hankooki[...] 연합뉴스 2011-10-28
[4] 뉴스 알듯 말듯 ‘정무 부시장’이 뭐기에 http://www.donga.com[...] 주간동아 2002-07-04
[5] 뉴스 자유신문 1946-10-13
[6] 뉴스 行政長官으로 副市長을改稱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46-11-30
[7] 뉴스 市에農會設置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6-11-30
[8] 뉴스 http://newslibrary.n[...]
[9] 문서 서울시 공무원의 뇌물수수와 업무비 부당청구에 대한 책임으로 사퇴
[10] 문서 와우아파트 붕괴 사고에 대한 책임으로 사퇴
[11] 문서 한신공영아파트 사건으로 사퇴
[12] 문서 현 광주광역시
[13] 문서 4·12 총선 출마를 위해 사퇴
[14] 문서 총선 참여차 사퇴
[15] 문서 최초의 여성 출신 부시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