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의 기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기후는 국토의 남북 길이로 인해 냉대 기후부터 열대 기후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혼슈, 규슈, 시코쿠 등 대부분 지역은 온대 기후이며, 홋카이도와 고원 지대는 냉대 기후, 가잔 열도 등은 열대 기후에 속한다. 계절풍과 해류의 영향으로 계절별 변화가 크며,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동해안에 폭설이 내리고, 태평양 쪽은 맑은 날씨가 이어진다. 봄,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과 저기압의 영향으로 날씨가 변동하며, 6월부터 장마가 시작되어 여름에는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진다. 9월에는 가을 장마와 태풍이 나타난다. 일본은 지리적 특징에 따라 6개의 기후 구역으로 나뉘며, 최근 기온 상승과 강수량 변화 등 기후 변화가 관측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기후 - 오호츠크해 기단
    오호츠크해 기단은 세력이 강해지거나 위치가 변동될 때 야마세라는 북동풍을 발생시켜 일본 태평양 연안 지역에 저온 현상과 냉해를 유발하고 벼농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일본의 기후 - 삼한사온
    죄송합니다. 제공된 본문이 없어 삼한사온에 대한 위키백과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나라별 기후 - 인도의 기후
    인도의 기후는 지리적 위치와 계절풍의 영향으로 열대, 건조, 아열대, 산악 기후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이며, 4개의 뚜렷한 계절과 몬순으로 인한 자연재해 및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 나라별 기후 - 러시아의 기후
    러시아의 기후는 대륙성 기후가 특징이며, 시베리아는 극한의 추위를 보이고 강수량은 위도와 지형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 일본의 지리 - 쿠로시오 해류
    쿠로시오 해류는 적도 부근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흑색 난류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며 해저 지형, 탄소 순환, 기후 변화, 해상 운송, 어업 등에 영향을 미치는 해류이다.
  • 일본의 지리 - 태평양 벨트
    태평양 벨트는 일본 열도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주요 도시와 공업 지대가 밀집된 지역으로, 일본 인구의 약 60%와 공업 생산액의 약 70%를 차지하며, 4대 공업 지대를 포함하고 교통과 시설이 발달했으나 과밀, 공해, 범죄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일본의 기후
지리적 위치
기후 개요
주요 특징대부분 지역에서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며, 뚜렷한 사계절이 나타남. 겨울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북서 계절풍이 불고, 여름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한 날씨가 나타남.
강수량연평균 강수량은 1,718mm로, 세계적으로 습윤한 기후에 속함.
계절풍여름에는 남동 계절풍,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이 우세함.
장마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림.
태풍여름과 가을에 태풍의 영향을 받아 강풍과 호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기후 구분
홋카이도냉대 습윤 기후 (Dfa). 연교차가 크고 강설량이 많음.
동해 연안동해의 영향으로 겨울철 강설량이 많음. 북서 계절풍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음.
태평양 연안여름철 강수량이 많고, 겨울철에는 건조함. 비교적 온난한 기후를 보임.
중앙 고지내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이며, 연교차가 큼. 여름철에는 비교적 서늘함.
세토 내해강수량이 적고 온난한 기후를 보임.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기후 변화가 적음.
난세이 제도아열대 기후 (Cfa/Cwa). 연중 온난하고 강수량이 많음.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음.
지역별 기후 특성
북일본겨울 강설량이 많고, 여름에는 비교적 선선함. 홋카이도와 동해 연안 지역이 해당됨.
동일본태평양 연안 지역은 여름에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건조함. 중앙 고지 지역은 연교차가 큼.
서일본세토 내해 연안은 온난하고 강수량이 적음. 규슈 지역은 아열대 기후의 영향을 받음.
기후 요인
위도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위도에 따른 기온 차이가 큼.
해류난류인 구로시오 해류와 쓰시마 해류, 한류인 오야시오 해류의 영향을 받음.
지형산지가 많아 지역별 기후 차이가 큼. 동해 연안과 태평양 연안의 강수량 차이에 영향을 미침.
계절풍여름철 남동 계절풍과 겨울철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뚜렷한 계절 변화가 나타남.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온 상승, 강수량 변화, 해수면 상승 등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음.
이상 기후폭염, 집중 호우, 태풍 등의 이상 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
기타
관련 정보일본의 기후는 농업, 관광, 생활 양식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침.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음.

2. 기후 구분

일본 국토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냉대 기후부터 열대 기후까지 지역에 따라 기후 차이가 크다. 혼슈(일부 지역 제외), 규슈, 시코쿠, 난세이 제도(일부 지역 제외) 등 대부분은 온대 기후에 속한다. 홋카이도와 혼슈 고원지대는 냉대 기후, 가잔 열도·미나미토리섬·오키노토리섬·야에야마 제도·다라마섬·오키다이토섬열대 기후에 속한다. 쿠로시오 해류 등 계절에 따른 여러 기단의 영향으로 난세이 제도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은 계절에 따라 기후 변화가 크다. 일본 기후는 중앙 산악지대를 경계로 태평양동해에 접하는 지역의 차이가 크다.[185][186][187][188][189][190][191][192][193][194][195][196][197]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에서 차가운 북서계절풍이 강하게 분다. 이 계절풍과 대마난류의 영향으로 동해와 맞닿은 지역은 이 내리거나 흐린 날이 많다. 니가타현이나 호쿠리쿠 지방에서 동해와 맞닿은 산간 지역은 매년 적설량이 2~3m 정도가 되어 세계적인 폭설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비그늘이 되는 태평양쪽은 맑고 건조한 날이 계속된다. 때때로 강한 저기압으로 인해 악천후가 이어지기도 한다.

가을은 계절풍의 영향이 약하고 고기압이나 저기압에 의해 주기적으로 날씨가 바뀐다. 특히 저기압이나 전선의 이동에 따라 단계적으로 기온이 바뀌며 계절이 바뀐다.

5월 하순에서 7월 하순에 걸쳐 남쪽에서부터 '장마'가 시작된다. 1개월 정도 계속되는 장마가 끝나면 북태평양 고기압에 의해 안정적인 맑은 날씨가 이어지는 여름이 된다. 더운 날에는 내륙을 중심으로 기온이 상승하여 대개 30°C를 넘고, 습도는 70% 이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더위로 인해 일본 북쪽에서도 벼농사가 가능하고, 높은 습도에 따른 소나기로 인해 여름에도 강수량이 유지되어 농사에 도움을 주는 등 긍정적인 면도 있다.

매년 9월이 되면 북쪽에서부터 '가을 장마'가 시작된다. 이와 동시에 본토에서는 태풍의 계절이 된다. (난세이 제도에서는 6월부터).

일본의 다양한 지리적 특징은 6개의 주요 기후 구역으로 나뉜다.


  • 홋카이도: 냉대 습윤 기후에 속하며, 겨울은 길고 매우 춥고 여름은 따뜻하고 서늘하다. 강수량은 적지만, 겨울에는 삿포로와 아사히카와와 같은 지역에 많은 눈이 내린다.
  • 동해 지역: 겨울철 북서 계절풍으로 인해 폭설이 내리며, 도호쿠 지방 남쪽에서는 대부분 봄이 시작되기 전에 눈이 녹는다. 여름에는 태평양 지역보다 강수량이 적지만, 푄 현상으로 인해 극심한 고온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 중앙 고원: 전형적인 내륙 기후로, 여름과 겨울 사이, 그리고 낮과 밤 사이에 큰 기온 변화를 보인다. 강수량은 비 그늘 효과로 인해 해안보다 적다.
  • 세토 내해: 주고쿠 및 시코쿠 지역의 산들이 계절풍을 막아 연중 온화한 기후와 맑은 날씨가 많다.
  • 태평양: 기후는 북부와 남부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겨울은 동해와 마주한 지역보다 훨씬 온화하고 맑다. 여름은 동남 계절풍으로 인해 덥다. 강수량은 남부에서 매우 많고, 북부에서는 여름에 많다. 오가사와라 제도의 기후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에서 열대 사바나 기후(쾨펜 기후 구분 ''Aw'')까지 다양하며, 연중 따뜻하거나 더운 기온을 보인다.
  • 류큐 열도: 기후는 북부의 온대 습윤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에서 남부의 열대 우림 기후(쾨펜 기후 구분 ''Af'')까지 다양하며, 겨울은 따뜻하고 여름은 덥다. 강수량은 매우 높으며, 특히 장마와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일본의 쾨펜의 기후 구분 (1981년부터 2016년의 평년값을 기반으로 함)

2. 1. 세계적인 기후 구분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일본은 거의 온난 습윤 기후 또는 습윤 대륙성 기후에 속하지만, 일부 예외가 있다. 도난 연안부,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도치기현, 야마나시현, 나가노현의 고원 일부에는 서안 해양성 기후가 분포한다.[14] 군마현 일부에는 온대 하우 기후가 존재한다. 후지산 정상이나 다이세쓰산 산정 부근[15]에는 툰드라 기후가 분포한다. 이는 일본에 존재하는 몇 안 되는 한대이며, 기온이 낮고 강수량이 적은 주된 요인은 위도가 아닌 해발 고도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정식 쾨펜의 기후 구분에는 없는 고산 기후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섬이나 서표섬 등은 열대에 속한다.[16][17] 주로 열대 우림 기후에 속하지만, 기타다이토 섬만 열대 몬순 기후에 해당한다. 그러나 관측 기간이 30년에 미치지 못해 정식으로는 열대 몬순 기후로 인정되지 않는다. 도쿄도 오가사와라 제도도 열대이며, 미나미토리 섬 등 오가사와라 제도 남부는 사바나 기후에 속한다.

대륙 동쪽에 있어 겨울에는 대륙의 계절풍 영향을 받아 대륙성 기후 지역은 월평균 기온이 영하인 달이 수개월 이어져 추위가 심하다.

알리소프의 기후 구분으로는 북위 36~37도 부근(나가노현, 후쿠시마현)을 경계로 아열대와 한대 기단대로 분류할 수 있다.[18]

2. 2. 일본 독자적인 기후 구분

쾨펜의 기후 구분을 일본 국내에 적용해도 계절에 따른 강수량의 변화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강수량의 변화를 고려하는 일본 독자적인 기후 구분이 고안되었다.[19] 이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학자연도구분 방법세부 구분
후쿠이 에이이치로1933년연평균 기온과 월평균 기온을 바탕으로 크게 북일본(홋카이도의 대부분), 중부 일본(오시마반도에서 큐슈까지), 남일본(아마미오섬 이남)으로 나눔. 중구분으로 월 강수량과 월 강수량의 연 변화에 따라 10개의 중기후구로 분류.해당 없음
세키구치 타케시1959년기후 요소(기온・강수량・일조율・수분 과잉량)의 연 변화에 주목한 통계적인 기후 구분.[19]동일본형, 일본해형, 남해형, 큐슈형, 세토내해형, 기타로 구분. 동일본형은 동부 홋카이도형, 산리쿠・조반형, 도카이・칸토형, 중앙 고원형으로, 일본해형은 오호츠크해형, 토호쿠・홋카이도형, 호쿠리쿠・산인형으로, 기타는 남서 제도형, 치치지마형으로 세분.
스즈키 히데오1962년[20]기단과 겨울의 강수량, 전선, 저기압에 주목한 성인적 기후 구분.해당 없음
마에지마 이쿠오1967년강수량이 많은 시기, 장마・추계강수의 발현 시기의 지역차에 주목한 기후 구분.해당 없음
고이즈미 카즈야・카토 히로유키2012년월 평균 기온・월 강수량・월 일조시간에 주목하여 다변량 해석에 의해 14개의 존으로 분류.크게 보면 일본해 측, 태평양 측, 그 중간의 3개로 나눌 수 있다고 함.[21]
쿠사나기 히로시2016년일 강수량의 평년값 등에서 군집 분석을 이용하여 일본을 다우 지역과 소우 지역의 두 개로 대별하고, 다우 지역을 더욱 구분한 3 지역 구분이 강수량을 바탕으로 한 구분이라고 함.더 나아가 구분 지역의 면적도 고려하여 일본을 9개의 기후로 구분하는 것을 제안.[22]


3. 일본의 기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일본은 국토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냉대 기후부터 열대 기후까지 다양한 기후대가 나타난다. 혼슈(일부 지역 제외), 규슈, 시코쿠, 난세이 제도(일부 지역 제외) 등 대부분 지역은 온대 기후에 속한다. 홋카이도와 혼슈 고원지대는 냉대 기후, 가잔 열도·미나미토리섬·오키노토리섬·야에야마 제도·다라마섬·오키다이토섬열대 기후에 속한다.[1] 쿠로시오 해류 등의 영향으로 계절에 따라 다양한 기단의 영향을 받아 대부분 지역에서 계절 변화가 뚜렷하다. 일본 기후는 중앙 산악지대를 경계로 태평양쪽과 동해쪽 지역의 차이가 크다.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동해와 맞닿은 지역은 이 내리거나 흐린 날이 많다. 니가타현이나 호쿠리쿠 지방동해와 맞닿은 산간 지역은 매년 2m~3m의 적설량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폭설 지역이다. 반면, 비그늘 효과가 나타나는 태평양쪽은 맑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진다. 때때로 강한 저기압으로 인해 악천후가 나타나기도 한다.

가을에는 계절풍 영향이 약해지고 고기압과 저기압에 의해 주기적으로 날씨가 변한다. 특히 저기압이나 전선 이동에 따라 단계적으로 기온이 변하며 계절이 바뀐다.

5월 하순에서 7월 하순에는 남쪽에서부터 '장마'가 시작된다. 1개월 정도 지속되는 장마가 끝나면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안정적인 맑은 날씨가 이어지는 여름이 된다. 더운 날에는 내륙을 중심으로 기온이 상승하여 대개 30°C를 넘고 습도는 70% 이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고온다습한 기후는 벼농사에 유리하며, 소나기로 인해 여름철 강수량이 유지되어 농사에 도움을 준다.

매년 9월이 되면 북쪽에서부터 '가을 장마'가 시작된다. 이와 동시에 본토에서는 태풍의 계절이 시작된다. (난세이 제도에서는 6월부터 태풍의 계절이다.)

일본은 일반적으로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오는 국가이다.[1] 위도가 넓고,[1] 계절풍과 다양한 해류의 영향으로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사람이 거주하는 섬들의 위도는 24°N46°N에 걸쳐 있다.[1] 도쿄35°N36°N 사이에 위치한다.[1]

후지산과 일본 알프스 산맥이 강수량 그림자를 형성하여 나가노현야마나시현은 혼슈에서 강수량이 가장 적지만, 연간 900mm를 초과한다. 비슷한 효과가 홋카이도에서도 나타나 오호츠크 종합진흥국은 연간 750mm 정도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다른 모든 현들은 태평양, 동해, 세토 내해에 해안선을 접하고 있거나, 이들과 연결된 염수역을 가지고 있다. 홋카이도오키나와현의 두 현은 섬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3. 1. 기단 및 편서풍

일본에는 시베리아 기단, 오가사와라 기단, 오호츠크해 기단, 양쯔강 기단, 적도 기단의 5개 기단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이 시베리아 고기압을 발생시켜 계절풍을 불게 하고 일본해 측에 눈을 내리게 한다. 여름에는 오가사와라 기단이 일본에 다습한 날씨를 가져온다. 오호츠크해 기단은 오가사와라 기단과 부딪혀 장마 전선을 형성하고, 야마세간토 지방의 북동 기류에 의한 악천후를 가져온다. 봄과 가을에는 양쯔강 기단이동성 고기압에 의해 일본에 맑은 날씨를 가져온다. 적도 기단은 태풍으로 일본에 접근하여 일본 부근에 있는 전선에 기류가 유입되면 집중 호우를 일으킨다.

또한, 일본 상공에는 편서풍이 항상 불고 있어서 날씨는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바뀐다. 일본 부근에 자주 생기는 전선은 한대 전선대의 일부로 여겨진다.

3. 2. 그 외의 요인

일본에는 시베리아 기단, 오가사와라 기단, 오호츠크해 기단, 양쯔강 기단, 적도 기단의 5개 기단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각 기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시베리아 기단: 겨울에 시베리아 고기압을 발생시켜 계절풍을 불게 하고, 일본해 측에 눈을 내리게 한다.
  • 오가사와라 기단: 일본에 다습한 여름을 가져온다.
  • 오호츠크해 기단: 오가사와라 기단과 부딪혀 장마 전선을 형성하고, 야마세간토 지방의 북동 기류에 의한 악천후를 일으킨다.
  • 양쯔강 기단: 봄과 가을에 이동성 고기압을 통해 일본에 맑은 날씨를 가져온다.
  • 적도 기단: 태풍으로 일본에 접근하여 일본 부근의 전선에 기류가 유입되면 집중 호우를 일으킨다.


일본 상공에는 편서풍이 항상 불고 있어 날씨는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바뀐다. 일본 부근에 자주 생기는 전선은 한대 전선대의 일부로 여겨진다.

엘니뇨 현상 발생 시, 서태평양 열대 지역의 해수 온도가 낮아져 여름에는 태평양 고기압 발달이 어려워져 저온・과조 경향이, 겨울에는 서고동저 기압 배치가 약해져 고온 경향이 나타난다[23]. 라니냐 현상 발생 시에는 반대로 서태평양 열대 지역 해수 온도가 상승하여 여름에는 태평양 고기압이 북쪽으로 세력을 뻗쳐 고온이, 겨울에는 서고동저 기압 배치가 강해져 저온 경향이 나타난다[23]. 인도양 해수 온도 상승 시에는 인도양에서 적도 부근 서태평양에 저기압이 발생하고, 필리핀 동쪽에서 북동풍이 불어 필리핀 부근에서 하강기류가 발생, 적란운 활동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태평양 고기압이 북쪽으로 확장되기 어려워져 오키나와・아마미는 고온, 북일본은 과조・다우 경향을 보인다[23].

봄철, 적도 부근 해역에서 발생한 태풍은 여름이 되면서 발생 해역이 다소 북상한다. 태풍의 일본 접근은 75%가 7~9월에 집중되며, 이동 경로는 계절에 따라 다르다. 7~8월에는 남일본에 접근・상륙이 잦다. 오키나와현은 4월에도 드물게 태풍이 접근하며, 5월에는 오키나와현과 오가사와라 제도에 태풍 계절이 시작된다[24]. 초여름~한여름, 태평양 고기압이 일본 열도 남서쪽까지 확장될 때 태풍의 전향 지점은 오키나와나 타이완 주변이나, 세력이 약해지는 늦가을 이후에는 약간 동쪽이 된다. 태풍은 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며, 9월 이후 늦가을~초가을에는 일본 남동 해상에서 북서쪽으로 진행, 일본 부근에 도달한 후 중위도에서 편서풍의 영향으로 진로를 동쪽으로 바꾸어 북상한다. 9월경 오가사와라 고기압의 가장자리가 일본에 걸쳐있어 큰 태풍이 9월에 오는 경우가 많으며, 쇼와의 3대 태풍처럼 막대한 피해를 입힌 태풍도 모두 9월에 상륙했다. 1991~2020년 평년값 기준, 연간 태풍 평균 발생 수는 25.1개, 일본 기상 관서 중 하나에서 300km 이내 접근하는 태풍은 연평균 11.7개, 규슈, 시코쿠, 혼슈, 홋카이도 해안선에 상륙하는 태풍은 연평균 3.0개이다[25].

일본 접근 태풍 동쪽에서 부는 남풍은 따뜻하고 습한 바람을 장마 전선이나 가을 장마 전선에 보내 전선을 활성화시켜 일본 열도에 폭우를 유발하기도 한다[26].

4. 연간 기온 및 강수량

일본은 국토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냉대 기후부터 열대 기후까지 다양한 기후가 나타난다. 대부분의 지역은 온대 기후에 속하지만, 홋카이도혼슈 고원지대는 냉대 기후, 가잔 열도, 미나미토리섬 등 일부 지역은 열대 기후에 속한다.[1] 쿠로시오 해류 등의 영향으로 계절에 따라 기온과 강수량 변화가 크다.

일본 기상청은 전국 평균 기온의 실제 값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어렵고, 그 수치 자체가 기후 변화 감시에 큰 의미가 없다는 이유로 산출하지 않는다.[27] 미국의 민간 기업 "Canty and Associates LLC"는 일본 209개 도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일본의 평균 기온을 13.9℃, 평균 최고 기온을 17.6℃, 평균 최저 기온을 10.1℃로 추정했다.[28]

일본 각지의 평균 기온(1991년~2020년 평년값)은 다음과 같다.[29]

지역평균 기온
삿포로9.2℃
센다이12.8℃
도쿄15.8℃
오사카17.1℃
후쿠오카17.3℃
나하23.3℃



일본은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많은 국가이다. 1976년부터 2005년까지 세계 연강수량 평균은 807mm였던 반면, 일본의 평균 연강수량은 1690mm로 약 2배였다.[30] Canty and Associates LLC는 일본 185개 도시의 연강수량을 분석하여 일본의 평균 강수량을 1716.6mm로 추정했다.[28]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1000mm에서 3000mm 이상까지 차이가 크다.[31]

다음은 일본의 월별 기온 및 강수량 기록이다.[32][28]

최고 기온 (℃)평균 최고 기온 (℃)평균 기온 (℃)평균 최저 기온 (℃)최저 기온 (℃)강수량 (mm)
1월29.7[33]7.53.90.3-41.0[33]87.7
2월29.1[34]7.94.30.6-38.3[34]85.2
3월30.4[35]117.13.2-35.2[35]111.8
4월33.7[36]16.512.27.9-27.8[36]135.1
5월39.5[37]20.716.412.2-18.9[37]154.7
6월40.2[38]23.620.116.6-13.1[38]214.3
7월41.1[39]27.223.820.6-6.9[39]184
8월41.1[40]28.725.121.6-4.3[40]166.3
9월40.4[41]25.321.718.2-10.8[41]204.9
10월36.0[42]20.416.312.3-19.5[42]152.5
11월34.2[43]15.211.27.3-28.1[43]108.6
12월31.6[44]10.16.52.8-34.2[44]89.4
연간41.117.613.910.1-41.01716.6


5. 계절

일본은 국토가 남북으로 길어 냉대 기후부터 열대 기후까지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 혼슈(일부 지역 제외), 규슈, 시코쿠, 난세이 제도(일부 지역 제외) 등 대부분은 온대 기후에 속한다. 홋카이도와 혼슈의 고원지대는 냉대 기후, 가잔 열도·미나미토리섬·오키노토리섬·야에야마 제도·다라마섬·오키다이토섬열대 기후에 속한다. 쿠로시오 해류 등으로 인해 계절에 따른 여러 기단의 영향을 받아 난세이 제도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은 계절에 따라 변화가 크다. 일본의 기후는 중앙을 가르는 산악지대를 경계로 태평양에 접하는 지역과 동해와 맞닿은 지역의 차이가 크다.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에서 차가운 북서계절풍이 강하게 분다. 이 계절풍과 대마난류의 영향으로 동해와 맞닿은 지역은 이 내리거나 흐린 날이 많다. 니가타현이나 호쿠리쿠 지방에서 동해와 맞닿은 산간 지역은 매년 적설량이 2m~3m 정도가 되어, 세계적인 폭설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비그늘이 되는 태평양쪽은 맑고 건조한 날이 계속된다. 때때로 강한 저기압으로 인해 악천후가 이어지기도 한다.

가을은 계절풍의 영향이 약하고 고기압이나 저기압에 의해 주기적으로 날씨가 바뀐다. 특히 저기압이나 전선의 이동에 따라 단계적으로 기온이 바뀌어 계절이 바뀐다.

5월 하순에서 7월 하순에 걸쳐 남쪽에서부터 '장마'가 시작된다. 1개월 정도 계속되는 장마가 끝나면 북태평양 고기압에 의해 안정적인 맑은 날씨가 이어지는 여름이 된다. 더운 날에는 내륙을 중심으로 기온이 상승하여 대개 30°C을 넘고, 습도는 70% 이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더위로 인해 일본의 북쪽에서도 벼농사가 가능하고, 높은 습도에 따른 소나기로 인해 여름에도 강수량이 유지되어 농사에 도움을 주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면도 있다.

매년 9월이 되면 북쪽에서부터 '가을 장마'가 시작된다. 이와 동시에 본토에서는 태풍의 계절이 된다. (난세이 제도에서는 6월부터가 그러하다.)

고온다습한 날씨와 태풍의 출몰로 인해 일본의 전통적인 가택은 방을 벽으로 나누지 않고, 통풍을 좋게 해두었다. 후스마쇼지는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 바닥(마루)을 높게 해서 다다미를 깔아둔 것도 이런 기후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1960년대에서 고도 성장기를 경계로 위와 같은 집은 사라지고 있다. 절과 콘크리트로 만든 집이나 사무실에서 냉난방을 하게 되고, 특히 도시에서는 그것이 당연시 되고 있다. 이런 주택 환경의 변화에 도시 집중화가 진행되어 도쿄, 요코하마 등 대도시에는 심각한 도시 열섬이라는 국지적인 온난화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일본은 중위도 지방에 위치해 있어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다.[45] 그러나 장마와 가을 장마를 포함해 6계절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45] 계절 변화의 주요 요인은 태양 고도의 변화에 따른 기온 변화이지만, 일본이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온의 연교차가 커서 중국, 한국과 마찬가지로,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도 겨울철 저온 현상이 두드러진다.[45]

다양한 사계절의 정의[45] (본 항목에서는 기상학적 정의를 채용)
분류여름가을겨울
전통적 계절월력 구분음력 정월 (양력 2월경) ~음력 4월 (양력 5월경) ~음력 7월 (양력 8월경) ~음력 10월 (양력 11월경) ~
절월 구분입춘 (2/3경) ~입하 (5/5경) ~입추 (8/7경) ~입동 (11/7경) ~
기상학적 계절3월 ~6월 ~9월 ~12월 ~
천문학적 계절춘분 (3/20경) ~하지 (6/21경) ~추분 (9/22경) ~동지 (12/22경) ~



저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이 교대로 일본을 통과하는 봄의 기압 배치.(2019년 4월 9일, 기상청)


초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과 저기압이 번갈아 도래하므로 맑은 가을 하늘은 2~3일밖에 지속되지 않지만, 10월이 되면 가을이 깊어지고, 태평양 고기압이 더욱 후퇴하면,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부터의 큰 이동성 고기압에 덮여 맑은 날이 많아진다. 가을이 깊어짐에 따라 점점 맑은 가을 하늘의 날이 늘어나고, 대륙에서 잇따라 생성되는 이동성 고기압이 동서로 2개 이상 연결된 형태를 한 띠 모양 고기압에는 뚜렷한 기압의 골이 없기 때문에, 1주일 이상 지속되는 장기간의 맑은 가을 하늘을 가져온다. 이동성 고기압은 저온 건조한 공기를 운반해 올 뿐만 아니라, 직전에 통과한 저기압이 대기 중의 먼지를 씻어내기 때문에, 맑고 상쾌한 가을 하늘이 된다.

늦가을이 되면, 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의 일부가 찢어져 이동성이 되어, 북에서 남하하는 듯이 오기 때문에, 이동성 고기압에 의해 맑지만 공기가 차가운 날도 있다. 가을이 깊어지고 겨울에 가까워짐에 따라, 차가운 이동성 고기압이 늘어난다. 그 가을 첫 번째 (관동 지방이나 간사이 지방에서는 입동 (11월 7일경))에 부는 나뭇잎을 나뭇잎 1호라고 하며, 봄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선언되는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그 발표는 계절이 가을에서 겨울로 향하기 시작했음을 상징한다. 일본을 통과한 저기압이 동쪽 바다에서 발달하고, 시베리아 고기압의 일부가 찢어지는 듯이 이동성 고기압이 되어 일본 부근으로 이동해 왔을 때, 일시적으로 서고동저의 겨울형 기압 배치가 되어, 나뭇잎이 불지만, 대부분의 경우, 그 후 바로 이동성 고기압에 덮여 온화한 가을 하늘로 돌아간다. 이러한 패턴은 늦가을부터 몇 번 반복되며, 저기압 통과 시 한랭 전선도 통과하여 기온이 내려가므로, 서서히 한겨울의 기온이 된다. 그 나뭇잎과 관계가 깊은 것이, 가을의 끝에 내리는 차가운 소나기인 시우로, 동해 쪽을 불어가는 한기가 난류로 아래에서 따뜻하게 되어 적운이 되고, 태평양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단속적으로 상륙해 와서 동해 쪽, 교토 분지나 후쿠시마현, 기후현, 나가노현 등의 산간 지역에 강우를 가져온다.

11~12월 상순의 늦가을부터 초겨울에 걸쳐, 도호쿠 이남에서는, 햇볕에서 지내면 봄처럼 따뜻한 경우가 있어, 소춘일화라고 한다. 서고동저의 기압 배치라도, 등압선의 간격이 넓어져 겨울형의 느슨함이 생기고 있는 경우가 있어, 이럴 때, 바람이 약하고 체감 온도가 높아지는 것과, 계절풍이 약해지면 한기가 들어오지 않으므로 낮에는 일사에 의해 승온하기 쉬우므로, 소춘일화를 느낄 수 있다. 이동성 고기압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이 찢어져 남하해 온 것 외에도, 장강 방면에서 생겨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해 온 것도 있어, 따르는 공기의 온도가 다르지만, 장강 방면에서 따뜻한 이동성 고기압이 오면 특히 뚜렷한 소춘일화가 된다.

5. 1. 봄 (3월~5월)

일본은 중위도 지방에 위치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변화가 뚜렷하다.[45] 일본에서 봄은 기상학적으로 3월부터 5월까지이다.

일본의 3월~5월 기온 및 강수량[185][186][187][188][189][190]
최고 기온평균 기온최저 기온강수량(mm)
3월30.4°C7.1°C-35.2°C111.8
4월33.7°C12.2°C-27.8°C135.1
5월39.5°C16.4°C-18.9°C154.7



겨울철 일본 상공을 덮었던 시베리아 기단이 북쪽으로 물러나면 창장강 부근에서 발달한 따뜻한 기단의 일부가 떨어져 이동성 고기압이 되어 일본에 접근한다. 이동성 고기압에 덮여 있는 동안 맑은 날 아침에는 방사 냉각으로 강하게 추워지는 경우가 있어 꽃샘추위라고 한다. 때로는 늦서리가 내려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맑은 날은 2~3일 밖에 이어지지 않고 흐리거나 비가 오는 경우가 많으며, 날씨는 3~5일 정도의 주기로 바뀐다. 벚꽃이 피는 시기에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하늘 전체가 흐려지는 경우가 많고, 저기압에 따른 전선 통과로 비가 올 때마다 기온이 상승한다. 유채꽃이 피는 4월 20일경에는 며칠간 날씨가 궂은 (유채 장마) 경우가 있지만, 명확하게 나타나는 해는 적다.

일본해 저기압이 가져오는 그 해 처음으로 부는 남쪽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이 춘투이며, 이는 일본의 봄이 왔음을 상징한다. 다만, 기간이 입춘(2월 4일경)부터 춘분(3월 20일경)으로 한정되어 있어 매년 전 지역에 부는 것이 아니라 관측되지 않는 해도 있다.

5월에는 일본해와 북일본을 통과하는 저기압이 태풍 수준으로 발달하는 경우가 많아 전국적으로 강풍이 몰아치는 메이 스톰이 일어난다. 또한, 5월은 겨울의 잔재가 남아 있어 상공에 한기가 들어와 대기가 불안정해지고, 뇌운이 발달하여 뇌우우박이 내리는 경우가 많다.

중화인민공화국황토 지대나 타클라마칸 사막, 고비 사막의 가는 모래 먼지가 겨울에 건조해져 봄의 저기압이 가져오는 상승 기류나 강풍으로 상공까지 날아오른 황사편서풍에 의해 일본에도 날아와 시정 장애를 일으킨다. 황사는 2월부터 5월에 걸쳐 관측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서일본에서는 7월부터 9월에 관측된 적도 있다.

5. 2. 장마 (5월~7월)

장마전선의 북상과 기단의 모습


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48] 우기장마가 일부 지역에서 나타난다. 장마전선의 정체로 강수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일조시간이 길어진다.

5월 중순부터 하순에 걸쳐, 일시적으로 오호츠크해 기단이 생기거나 북고형 기압 배치가 되어 찬 기류가 유입되어 장마처럼 흐린 날씨가 되는 장마의 시작이라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장마전선은 해양성의 따뜻하고 습한 계절풍이 대륙의 고위도 측으로부터의 기단과 부딪혀 형성되며, 일본 부근에서는 오가사와라 기단과 이 시기에 생기는 오호츠크해 기단의 세력이 대치하고 있다. 그 오호츠크해 기단은 티베트나 히말라야 산맥 사이를 흐르는 제트 기류가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북상하여 티베트나 히말라야 산맥에 부딪히기 때문에 남북 2개로 나뉘어, 오호츠크해 부근에서 합류한 곳에 공기가 모여 하강 기류가 생겨, 고기압이 발달함에 따라 생성된다. 오키나와에서는 5월에 일찍 장마가 시작되지만, 점차 북상한 장마전선이 6월 상순 경에 일본 남안에 정체하게 되면, 혼슈 등에서도 장마가 시작된다.

오가사와라 기단과 오호츠크해 기단 사이에서 장마는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장마의 전반기는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저온에 가랑비를 동반하는 등 흐린 날씨가 오래 지속되는 음의 장마가 되기 쉽다. 동일본과 북일본에서는 음의 장마가 되기 쉽고, 북동 기류가 유입되어 장마철 추위가 되지만, 강수량은 적다. 8월까지 이어진 음의 장마가 냉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드물게 있다. 한편, 장마의 후반기에는 오가사와라 기단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고온에 맑은 날이 비교적 많고, 강우 시에는 단위 시간당 강수량이 많은 양의 장마가 되기 쉽다. 서일본에서는 양의 장마가 되기 쉽고, 폭우로 강수량이 많아진다. 그 외, 비가 예년보다 적은 가뭄 장마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은 오가사와라 고기압의 세력이 강했기 때문에 예년보다 빨리 장마전선이 북상하여 장마가 끝나거나, 반대로 오가사와라 고기압의 세력이 너무 약해서 장마전선이 남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기간이 길었을 경우에 일어난다.

장마의 말기가 되면, 오가사와라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돌아 들어오는 것처럼 습한 기류가 유입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장마전선이 활발해져 폭우가 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오호츠크해 고기압은 제트 기류가 더욱 북진함으로써 세력이 약해지고, 오가사와라 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져 장마전선을 밀어 올리면 장마 종료가 된다. 장마전선이 북상하지 않고 점차 약해져 소멸하거나, 장마가 끝났다고 생각했음에도 다시 돌아오는 경우도 있어, 장마 종료의 판단은 어려우므로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장마 종료는 즉시가 아닌 추이를 보고 발표된다. 또한, 엘니뇨 현상의 해는 장마 종료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장마의 전반기부터 양의 장마라면 오가사와라 고기압이 강하고, 장마 종료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입추가 지나면 가을 기운이 감돌기 때문에, 여름이 됨을 의미하는 장마 종료는 특정되지 않고, 혼슈의 북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원래 장마 종료가 늦어지므로 이러한 사태가 일어나기 쉽다. 장마 시작도 확실하지 않으면 특정되지 않으며, 실제로 그렇게 된 것은 1963년의 긴키 지방과 시코쿠 지방뿐이다[49]

덧붙여, 홋카이도에서는 장마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장마 기간의 총 강수량은, 오가사와라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돌아 들어오는 것처럼 흘러오는 습한 기류의 영향을 받기 쉬운 서일본 쪽이, 동일본보다 많고, 도쿄에서는 장마의 이미지가 가랑비인 반면, 가고시마현에서는 폭우이다. 또한, 서일본에서는 산사태홍수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5. 3. 여름 (6월~8월)

6월부터 8월까지는 태평양과 동남아시아에서 불어오는 열대 기류의 영향으로 덥고 습한 날씨가 특징이다.[1] 이 기류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육지에 닿으면 많은 비를 뿌린다.[1] 6월 초에는 약 한 달 동안 지속되는 장마가 시작된다.[1] 장마가 끝나면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진다.[1]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는 홋카이도를 제외한 혼슈, 시코쿠, 규슈 지역에 장마가 나타난다. 계절성 장마 전선(梅雨前線|쓰유 전선일본어)이 홋카이도에 도달하기 전에 혼슈 북부에서 소멸되기 때문이다. 오키나와에서는 5월 초에 장마가 시작되어 6월 중순까지 이어진다. 일본 본토의 장마와 달리, 오키나와에서는 장마 기간 동안 매일 비가 내리는 것은 아니다.

장마가 끝나면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된다.[1] 소서(7월 23일경) 무렵에는 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더위를 맞이한다. 장마가 끝난 직후에는 장마 뒤 열흘이라고 하며, 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져 맑은 날씨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고, 소나기도 잘 발생하지 않아 야외 활동에 좋다는 의견도 있다. 이는 장마전선을 밀어 올린 오가사와라 고기압의 강한 상태가 10일 정도 지속되기 때문이다.

일본 열도에 확장되어 오는 오가사와라 고기압으로부터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유입되고, 기압 차이가 작고 바람도 약해 매우 무더워진다. 바람이 약하고 습도가 높아 체감 온도열대 지방보다 높다. 또한 높은 습도는 국지적으로 적란운을 발생시켜 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내리는 소나기를 일으키기 쉽다. 여름의 전형적인 기압 배치를 남고북저형이라고 한다. 해륙풍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지역이 많다. 8월 7일 전후의 입추 무렵이 가장 덥다.

일본에 더운 여름을 가져오는 기압 배치가 무너져 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약하면,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북쪽에서 확장되어 야마세라고 불리는 차가운 북동풍이 홋카이도도호쿠 지방에 불어온다. 그런 해에는 장마전선의 북상이 늦어져 저온이나 일조 부족으로 냉해가 발생한다.

일본의 6월~8월 기온 및 강수량[185][186][187][188][189][190][191][192][193]
최고 기온평균 최고 기온평균 최저 기온최저 기온평균 강수량
6월39.8°C23.6°C16.6°C-13.1°C214.3mm
7월41.1°C27.2°C20.6°C-6.9°C184mm
8월41°C28.7°C21.6°C-4.3°C166.3mm


5. 4. 가을 (9월~11월)

9월 초에는 아직 여름 더위가 남아 열대야한여름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잔서라고 부른다.[45] 특히 9월에 일단 시원함을 느낀 후 다시 더워지는 30°C를 넘는 잔서가 자주 나타난다.[45]

오가사와라 고기압이 8월 후반에 점차 약해져 남쪽으로 물러나면, 대륙에서 서늘한 이동성 고기압이 일본 북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성 고기압이 북쪽으로 치우쳐 이동하면, 북쪽의 차가운 가을 고기압과 남쪽의 따뜻한 여름 고기압이 부딪혀 추우전선이라는 전선(정체 전선이 되는 경우가 많음)이 생긴다.[45] 이 추우전선이 9월경에 가져오는 가을 장마를 추우라고 하며,[45] 동아시아 각지에서 볼 수 있는 장마와 달리 일본 고유의 현상이다.[45] 동일본에서는 장마보다 추우 시기에 강수량이 많고, 폭우가 내리기 쉽다.[45]

일본의 평균 기온과 강수량 (9월~11월)[185][194][195][196]
평균 최고 기온 (℃)평균 기온 (℃)평균 최저 기온 (℃)강수량 (mm)
9월25.3°C21.7°C18.2°C204.9mm
10월20.4°C16.3°C12.3°C152.5mm
11월15.2°C11.2°C7.3°C108.6mm


5. 5. 겨울 (12월~2월)

겨울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이 유라시아 대륙 상공에 발달하고, 알류샨 저기압이 북태평양 상공에 발달한다.[1] 그 결과 일본 전역으로 차가운 공기가 동남쪽으로 흘러들어 일본해를 마주보는 중앙 산악 지역에는 혹한과 폭설을 가져오지만, 태평양을 마주보는 지역에는 맑은 하늘을 가져온다.[1]

자오산 산맥의 미야기현에 있는 구마노산 근처의 겨울, 얼어붙은 침엽수


겨울은 시베리아 기단에서 차가운 북서계절풍이 강하게 분다. 이 계절풍과 대마난류의 영향으로 동해와 맞닿은 지역은 이 내리거나 흐린 날이 많다. 니가타현이나 호쿠리쿠 지방에서 동해와 맞닿은 산간 지역은 매년 적설량이 2m~3m 정도가 되어, 세계적인 폭설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비그늘이 되는 태평양쪽은 맑고 건조한 날이 계속된다. 또한 때때로 강한 저기압으로 인해 악천후가 이어지기도 한다.

가장 따뜻한 겨울 기온은 난포 제도와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나타나는데, 이곳은 위도, 아시아 대륙과의 거리, 쿠로시오 해류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온난화 효과의 조합으로 열대 기후를 보인다. 또한, 화산 열도(류큐 열도의 최남단 위도인 북위 24°)도 이에 해당한다.

일본에는 5개의 기단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겨울에 시베리아 고기압을 발생시켜 계절풍을 불어 일본해 측에 눈을 내리게 하는 시베리아 기단이 겨울에 영향을 주는 기단 중 하나이다.

12월~2월의 평균 기온은 다음과 같다.

일본의 12월~2월 평균 기온[185][186][187][197]
최고 기온 (℃)평균 기온 (℃)최저 기온 (℃)
12월10.1°C6.5°C2.8°C
1월7.5°C3.9°C0.3°C
2월7.9°C4.3°C0.6°C


6. 지역별 특징

일본은 국토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지역에 따라 기후 차이가 크다. 대부분 지역은 온대 기후에 속하지만, 홋카이도와 혼슈 고원지대는 냉대 기후, 가잔 열도 등 일부 섬 지역은 열대 기후에 속한다. 쿠로시오 해류 등의 영향으로 계절에 따른 기단의 변화가 크며, 특히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동해와 맞닿은 지역에 많은 눈이 내린다. 니가타현이나 호쿠리쿠 지방 산간 지역은 세계적인 폭설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185][186][187][188][189][190][191][192][193][194][195][196][197]

일본의 기후는 중앙 산악 지대를 경계로 태평양 쪽과 동해 쪽의 차이가 크다.


  • 홋카이도냉대 습윤 기후에 속하며, 겨울은 길고 매우 춥고 여름은 따뜻하고 서늘하다. 강수량은 적지만, 겨울에는 삿포로와 아사히카와와 같은 지역에 많은 눈이 내린다.
  • 동해 지역은 겨울철 북서 계절풍으로 인해 폭설이 내리며, 도호쿠 지방 남쪽에서는 대부분 봄이 시작되기 전에 눈이 녹는다. 여름에는 태평양 지역보다 강수량이 적지만, 푄 현상으로 인해 극심한 고온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 중앙 고원은 전형적인 내륙 기후로, 여름과 겨울 사이, 그리고 낮과 밤 사이에 큰 기온 변화를 보인다. 강수량은 비 그늘 효과로 인해 해안보다 적다.
  • 세토 내해: 주고쿠 및 시코쿠 지역의 산들이 계절풍을 막아 연중 온화한 기후와 맑은 날씨가 많다.
  • 태평양은 기후는 북부와 남부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겨울은 동해와 마주한 지역보다 훨씬 온화하고 맑다. 여름은 동남 계절풍으로 인해 덥다. 강수량은 남부에서 매우 많고, 북부에서는 여름에 많다. 오가사와라 제도의 기후는 온대 습윤 기후(''Cfa'')에서 열대 사바나 기후(''Aw'')까지 다양하며, 연중 따뜻하거나 더운 기온을 보인다.
  • 류큐 열도의 기후는 북부의 온대 습윤 기후(''Cfa'')에서 남부의 열대 우림 기후(''Af'')까지 다양하며, 겨울은 따뜻하고 여름은 덥다. 강수량은 매우 높으며, 특히 장마와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일본은 거의 온난 습윤 기후 또는 습윤 대륙성 기후에 속하지만, 일부 예외가 보인다. 후지산 정상이나 다이세쓰산 산정 부근에는 툰드라 기후가 분포한다. 오키나와현이시가키섬이나 서표섬 등의 일부는 열대 기후가 된다.

일본의 겨울은 비슷한 날씨가 계속되는 것이 특징이며, 기온은 전국적으로 낮아진다. 일본의 겨울은 서쪽에 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 동쪽에 저기압이 위치하며, 일본 부근을 남북으로 등압선이 좁은 간격으로 뻗어 있는 서고동저형이 대표적인 기압 배치이다.

태평양 측 기후의 특징은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남동 계절풍으로 인해 여름에는 비가 많고 겨울에는 비가 적다는 것이다. 동해 쪽에 폭설을 가져오는 겨울 계절풍은 척량산맥을 넘으면 건조한 바람이 되어 태평양 쪽에 쾌청한 날씨를 가져온다. 또한, 겨울에는 남안 저기압의 접근으로 눈이 내릴 수 있다.

각 지역별 특징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 할 수 있다.

  • '''동일본형''': 동일본 지역의 기후를 설명한다.
  • '''남해형''': 규슈 남부에서 난세이 제도에 걸친 지역의 기후를 설명한다.
  • '''규슈형''': 규슈 지역의 기후를 설명한다.
  • '''일본해형''': 동해와 맞닿은 지역의 기후를 설명한다.
  • '''세토내해형''': 세토내해 지역의 기후를 설명한다.
  • '''기타 (남서 제도·오가사와라 제도)''': 남서 제도오가사와라 제도의 기후를 설명한다.

6. 1. 동일본형

센다이의 강우량 및 기온 그래프


봄에는 4월 말에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연중 일조 시간이 가장 길다.[58] 봄부터 여름에 걸쳐서는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커져 동풍인 야마세가 부는데, 며칠씩 계속되면 냉해를 초래한다. 늦더위는 짧고, 가을에는 가을 장마 전선이 남하하고 태풍이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진다.[59] 9월에는 강수량이 연중 가장 많으며, 가을에도 날씨가 좋으면 서리가 내리기도 한다.[59] 겨울에는 남부에서 눈이 장기간 쌓여 있는 경우는 드물다.[60] 미야기현에서는 겨울에도 추위가 도호쿠 지방에 비하면 심하지 않다.[61]

나고야시의 강우량 온도 그래프


간토 지방에서는 여름에 도시 열섬 현상에 의한 기온 상승이 두드러진다.[62] 또한, 사이타마현 동부에서는 지치부 산지를 넘어오는 서풍이 불어 내려오는 푄 현상도 겹쳐 최고 기온이 상승하기 쉽다.[63] 이로 인해 2007년에는 구마가야시에서 당시 국내 최고 기온 기록을 갱신하는 40.9°C가 기록되었다. 같은 지역에서는 2018년에 41.1°C가 기록되어 국내 최고 기온 기록을 갱신했다.[64] 두 지방 모두 가을에 강수량이 많다.[65][66] 북동 기류는 산리쿠 해역을 지날 때 수증기를 보급받으면서 간토 지방으로 불어오기 때문에 다른 지방은 맑은데도 간토 지방만 흐린 날씨가 되기도 한다. 남쪽 해안 저기압에 의한 강설 시에는, 남쪽 해안 저기압이 오호츠크 해에서 차갑고 습한 북동 기류가 흘러들어 눈을 내리게 하지만, 저기압이 통과하는 짧은 시간 동안만 북동 기류가 흘러들기 때문에 눈은 하루 만에 그치고 날씨가 빨리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겨울의 간토 지방에 부는 차갑고 건조한 바람을 카라카제라고 한다. 더욱이 간토 지방에서는 대륙으로부터 황사가 날아오면 간토 로움층에서 날아온 먼지와 섞여 하늘이 더욱 짙은 황갈색으로 변한다.

아이치현오와리 지방에서는 세키가하라정 부근을 넘어오는 계절풍에 의해 강설이 많아진다.[67] 여름에는 기후현미노 지방에서 고온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68] 다지미시에서는 푄 현상으로 인해 2007년 8월 16일에 일본에서 당시 최고 기온 기록을 갱신하는 40.9°C가 기록되었다.

나가노시의 강수량 및 기온 분포


전역에서 강수량은 적고, 연교차는 크다. 나가노시의 연교차는 홋카이도 내륙부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69] 연간 강수량은 야마나시현의 분지에서 약 1000 mm이다.[70] 나가노현의 지쿠마강 연안에서는 특히 비가 적어 1000 mm를 밑돈다.[71] 이는 도토 다음으로 적은 양이다.[72] 이처럼 비가 적은 이유는 주변이 산맥으로 둘러싸여 태풍, 저기압, 전선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며, 일조 시간도 길다.[69] 또한, 연교차나 일교차가 큰 것은 바다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69]

여름은 더워지지만, 습도가 낮고, 밤이 되면 시원해지며, 열대야가 되는 일은 거의 없다.[73] 겨울의 최저 기온은 나가노현 중부의 분지에서는 -15 ℃ 이하가 되는 경우도 있으며, 해발 1000미터 이상의 고원에서는 가장 추운 2월 상순의 최저 기온 평균은 -14 ℃에서 -10 ℃로, 홋카이도와 비슷한 낮은 기온을 보인다.[74] 겨울의 날씨는 나가노현 북부에서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눈이 오는 날이 많지만, 나가노현 중부·남부의 평지에서는 맑은 날이 많고,[69] 남안 저기압에 의한 눈이 내리기도 한다.[74] 야마나시현은 서부나 북부의 산간부를 제외하고 겨울형 기압 배치에 의한 눈은 드물고, 남안 저기압에 의한 눈이 많다.[75]

6. 2. 남해형

규슈 남부에서 난세이 제도에 걸친 지역은 남해형 기후에 속한다. 이 지역은 겨울에도 비교적 따뜻하며, 태풍의 주요 경로에 해당하여 연간 강수량이 많다. 특히 장마철과 태풍 시기에 많은 비가 집중된다.

6. 3. 규슈형

규슈혼슈(일부 지역 제외), 시코쿠, 난세이 제도(일부 지역 제외) 등과 함께 대부분 온대 기후에 속한다.[185][186][187][188][189][190][191][192][193][194][195][196][197] 겨울철 일본의 남쪽 해안에 저기압과 전선이 잇따라 나타나면서 규슈를 포함한 태평양 쪽이나 난세이 제도에서는 강수량이 약간 증가한다. 1월에도 계절풍이 동중국해를 지나오기 때문에 규슈 서부나 난세이 제도에서는 강수량이 증가한다.[185][186][187][188][189][190][191][192][193][194][195][196][197]

6. 4. 일본해형

국토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지역에 따라 기후 차이가 크다. 대부분 지역은 온대 기후에 속하지만, 홋카이도와 혼슈 고원지대는 냉대 기후, 가잔 열도 등 일부 섬 지역은 열대 기후에 속한다. 쿠로시오 해류 등의 영향으로 계절에 따른 기단의 변화가 크며, 특히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동해와 맞닿은 지역에 많은 눈이 내린다. 니가타현이나 호쿠리쿠 지방 산간 지역은 세계적인 폭설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185][186][187][188][189][190][191][192][193][194][195][196][197]

겨울철 동해와 맞닿은 지역은 대마난류의 영향으로 눈이 내리거나 흐린 날이 많다. 특히 니가타현이나 호쿠리쿠 지방에서 동해와 맞닿은 산간 지역은 매년 적설량이 2m~3m 정도가 되어 세계적인 폭설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홋카이도의 일본해 쪽은 겨울에 눈보라가 심하며, 호로카나이정에서는 연간 평균 1348cm의 눈이 내리고, 삿포로시에서도 597cm의 눈이 내린다. 오호츠크해 연안의 유빙은 홋카이도 일본해 쪽의 눈 내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아오모리시의 연간 강설량은 일본 전국 기상 관서에서 가장 많다. 캐나다 미디어 "The Richest"는 아오모리시가 연간 많은 눈이 내리는 세계 1위의 폭설 도시이며, 삿포로시는 연간 많은 눈이 내리는 세계 2위의 폭설 도시라고 보도했다. 도호쿠 지방 일본해 쪽에서는 이른 봄에 황사로 인해 붉은 눈이 내리기도 한다.

호쿠리쿠 지방에서는 겨울에 뇌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겨울 계절풍이 난류에 의해 따뜻해지면서 대기가 불안정해져 적란운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가나자와시는 연간 뇌우 관측 일수가 일본에서 가장 많다. 호쿠리쿠에서는 이른 봄에 붉은 눈이 내리기도 한다. 이시카와현노토 지방은 겨울의 적설량이 비교적 적다. 니가타현에서는 특히 강설량이 많다. 캐나다 미디어 "The Richest"는 도야마시가 연간 많은 눈이 내리는 세계 3위의 폭설 도시라고 보도했다. 도야마만에서는 매년 수십 번 신기루가 관측된다.

효고현 북부에서는 푄 현상으로 인해 최고 기온이 37℃ 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교토부아시유 지방이나 시가현 북부 등에는 폭설 지대가 있다. 겨울의 눈은 시마네현에서는 서부보다 동부에 많고, 강한 한랭 기단이 한반도를 통과할 때 폭설이 내리는 경우가 있다. 산인 지방에서는 겨울의 눈이나 흐린 날이 호쿠리쿠 지방만큼 많지는 않다. 연 강수량은 산인의 주고쿠 산지 연안에서 많다.

6. 5. 세토내해형

오사카시의 강우 온도표


연중 강수량이 적은 것은 중앙 고지형과 같지만, 이곳은 겨울에도 비교적 온난하며, 가가와현쇼도 섬에는 무상 지대가 있다[122]。강수량이 적은 이유는 여름과 겨울 모두 계절풍에 의해 운반되어 오는 바다로부터의 습한 공기가 산맥에 부딪혀 상승할 때 강우나 강설로 수분을 줄이고, 비교적 건조한 공기가 산맥에서 흘러내려오기 때문이다. 강수량은 1000mm에서 1400mm 정도로, 태평양측·일본해측 어느 쪽과 비교해도 훨씬 적다[123]

세토내해에서는 3월부터 6월에 걸쳐 이류 안개라고 불리는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겨울부터 여름에 걸쳐 해수 온도는 기온보다 늦게 상승하므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해수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육지에 둘러싸여 있어 습기가 쌓이기 쉽다는 조건도 겹쳐, 기온이 수온보다 높은 시기에 안개가 발생하기 쉽다[124]

연안부에서는 해풍·육풍의 교대에 의한 잔잔한 바다가 나타나기 쉽고 "세토의 저녁 잔잔한 바다"라고 불린다. 성하 시기의 저녁 잔잔한 바다에 의한 무풍은, 견딜 수 없을 정도의 무더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21]。한편, 나라현의 야마토 분지나 야마토 고원은 내륙성 기후로, 일교차나 연교차가 크다[125]

6. 6. 기타 (남서 제도·오가사와라 제도)

나하시의 강수량 및 기온 도표


기온은 겨울에도 15°C 이상을 유지한다.[126][127] 이 때문에 두 지역 모두 아열대 기후로 여겨진다. 태풍 접근 횟수의 평년값은 오키나와 지방에서 연간 7.7개,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연간 5.4개[128], 아마미 지방에서 연간 4.3개에 달한다.[25]

다습한 기후이다.[129] 초봄에는 동중국해 저기압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오키나와 부근을 통과하는 경우가 있으며, 현지에서는 닝구와치・카지마이(2월 바람의 회전)라고 불린다.[129] 혼슈보다 약 1개월 빠른[129] 5월에는 장마가 시작되고[129] 6월 하순에는 장마가 끝난다.[129] 여름은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습한 해풍이 불어 들어오면서 공기가 차가워지기 때문에, 또는 히트 아일랜드 현상에 의한 기온 상승이 적기 때문에 기온이 35°C를 넘는 일은 거의 없다.[130] 또한, 가장 더운 달은 7월이다.[126] 한편, 열대야, 한여름 일수의 평년값은 일본에서 가장 많다.[131] 8월부터 9월에 걸쳐서는 태풍의 접근 횟수가 많아진다.[132] 오키나와 지방은 8월부터 9월은 태풍이 전향하기 쉬운 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최성기에 통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며칠에 걸쳐 영향을 받을 수 있다.[132] 10월경, 가을 장마 전선이 규슈 남쪽으로 물러나면, 북동쪽에서 겨울의 계절풍이 불기 시작하고, 이것을 미니시(새로운 북풍)라고 한다.[129] 겨울은 계절풍이 동중국해를 지날 때 습기를 많이 포함하므로, 흐린 날과 비 오는 날이 많아진다.[129] 눈・싸락눈이 내린 것은 1977년의 구메지마, 2016년의 구메지마와 나고시 (모두 싸락눈) 뿐이다.[133] 또한, 센카쿠 열도[134], 이시가키 섬[135] 등은 열대 우림 기후가 된다.

지치지마의 경우에는 장마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장마전선이 오가사와라 제도의 북쪽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강수량은 지치지마에서 5월과 11월에 많다.[137] 기상청에서 오가사와라 제도의 장마 시작과 장마 종료를 발표하지 않는 것은, 일조량이 줄고, 다우 기간이 다른 지역의 약 6주에 비해 오가사와라 제도에서는 5월 중순부터 6월 초에 걸쳐 2, 3주로 짧고, 게다가 태평양 고기압의 동향에 따라 거의 나타나지 않는 해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133] 난세이 제도보다 연교차가 작고, 더 해양성 기후의 특징이 강하다.[138] 또한, 지치지마에서는 겨울부터 봄에는 전선의 영향으로 강풍이 불기도 한다.[137]

7. 기후 변화

일본은 온난화로 인해 기온 상승률이 높은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하여 세계 평균보다 기온이 더 크게 상승하고 있다.[158] 일본의 평균 기온은 장기적으로 100년당 약 1.21°C 상승하고 있다.[159] 이 값은 1898년 이후 관측을 지속하고 있으며, 도시화의 영향이 적은 지점 15곳의 데이터를 사용한 것이다.[160] 계절별로는 봄이 100년당 1.47°C[161], 여름은 1.11°C[162], 가을은 1.2°C[163], 겨울은 1.13°C[164]씩 상승하고 있다. 연평균, 1월, 8월 모두 최고 기온보다 최저 기온의 상승폭이 더 크다.[165] 1940년대까지는 비교적 저온이었으나 이후 상승하여 1960년경 고온이 되었고, 1980년대 중반까지 다소 저온이었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기온이 상승하여 1990년대 이후 현저한 고온을 기록한 해가 집중되었다.[166]

1931년부터 2012년까지 10년당 폭염은 0.2일, 열대야는 1.4일 증가한 반면, 겨울 추위는 2.2일 감소했다.[166]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의 IPCC 제5차 평가 보고서는 미래 기후 예측을 위해 온실 가스 배출량에 따른 RCP 시나리오(8.0, 6.0, 4.5, 2.8)를 제시한다.[167] 각 시나리오에서 일본의 미래 기후도 예측되었는데,[168] 이에 따르면 일본의 평균 기온은 모든 지역에서 상승한다. (RCP 8.0에서 3.4°C~5.4°C, RCP 2.8에서 0.5°C~1.7°C) 저위도 지역보다 고위도 지역, 최고 기온보다 최저 기온의 상승폭이 약간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여름 일수는 RCP 8.0에서 약 50일, RCP 2.8에서 약 10일 증가하고, 혹한 일수는 RCP 8.0에서 약 15일, RCP 2.8에서 약 5일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여름 일수 증가는 오키나와・아마미에서, 혹한 일수 감소는 북일본에서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RCP 8.0 시나리오에서 2071년부터 2100년까지의 평년값을 기준으로 한 일본의 쾨펜 기후 구분의 예측


일본에는 후지산,[169] 다이세쓰산,[169] 다테야마 등에 영구 동토가 존재한다. 그러나 후지산의 영구 동토는 축소되고 있으며, 특히 남쪽에서는 2009년 산정 부근에서도 부분적으로 소실된 것이 확인되었다.[170] 이는 겨울철 기온 상승으로 얼리는 능력이 저하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170]

일본에서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매년 기후 차이와 장기적인 기후 변화를 추정하고 기상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생물계절관측이 이루어진다. 이 데이터로 가을, 겨울의 도래가 늦어지고 봄의 도래는 빨라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의 평균 연 강수량 추이 (1981년-2010년 평년값에서의 편차,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일본의 강수량은 1965년경부터 적은 해가 늘고 있다.[180] 1920년대 중반까지와 1950년대에는 많았지만, 1970년대 이후[166] 또는 최근 20-30년(2017년 기준)[180]은 연도별 변동이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181] 21세기 말에는 20세기 말보다 5% 정도 강수량이 많아져 북일본에서는 유의미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166] 아메다스 관측 시간 강수량 50mm 이상과 80mm 이상의 횟수(1000지점당)는 1976년부터 2016년까지 10년당 각각 20회, 2회씩 증가하고 있지만, 관측 기간이 짧아 지구 온난화와의 관련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182] 단시간 폭우(시간 강수량 50mm 이상)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166] 대부분 지역에서 일 강수량 1mm 미만 또는 무강수 일수가 증가하고, 그 이상 일수는 감소하며, 무강수 일수 증가 경향은 계속될 것으로 추측된다. 일 강수량 100mm, 200mm 이상 일수는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있다. (100년당 각각 0.25일, 0.04일)[166]

강설량은 1962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변동이 크지만, 동일본 동해 쪽에서는 10년당 12.3%, 서일본 동해 쪽에서는 14.5%씩 감소하고 있지만, 북일본 동해 쪽에서는 변화 경향이 보이지 않는다.[183] 기온과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 수증기량이 증가하여 홋카이도나 혼슈 내륙 일부 지역에서는 강설량이나 최심 적설이 증가하지만,[166] 대부분 지역에서는 기온 상승으로 눈이 비로 내리고 쌓여도 녹기 쉬워져[183] 강수량이나 최심 적설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166][183]

간토 지방 각지의 9월 평균 기온 변화. 도쿄의 기온 상승이 현저하다.


각지에서 8월 평균 기온이 교외보다 도시부에서 높아(2006년~2010년 평균) 열섬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184] 중소 도시에서는 100년당 기온 상승이 1°C 정도, 우쓰노미야시나 구마가야 등에서는 2배, 도쿄나 나고야시 등 대도시에서는 3배를 넘는 등 도시별 차이가 크다. 지역 환경 연구 센터 대기 환경 모델링 연구실 주임 연구원 나가시마 타츠야는 대도시에서는 열섬 현상이 기온 상승의 주된 원인이라고 생각한다.[157] 폭염일도 대규모가 아닌 도시에서 증가가 큰 한편, 대도시에서도 증가하지 않는 곳이 있고, 서일본에서 여름 기온 상승이 현저한 지점이 많다.[157] 나가시마는 열섬 현상으로 인한 일본의 기온 상승은 동계나 야간에 주로 나타난다고 한다.[157]

7. 1. 과거의 기후

중생대 쥐라기 후기부터 백악기 초기까지 일본의 식물군은 태평양 쪽에서는 건조 기후를 좋아하는 것, 동해 쪽에서는 습윤 기후를 좋아하는 것들이 분포했지만, 백악기 중기가 되면서 뚜렷하지 않게 되었다.[139] 홋카이도나 북부 규슈 등의 식물 화석의 전록엽률로 추정하면, 신생대 시신세 중기에는 북부 규슈와 혼슈 서부의 평균 기온은 21℃ 전후, 홋카이도는 17℃에서 18℃ 정도였지만, 점신세 중반에는 홋카이도의 평균 기온이 약 7℃로, 혼슈 서부와 북부 규슈에서도 급속히 한랭화되어 연교차도 커졌다.[140] 이 기간 동안 점신세 초기의 화석에는 두꺼운 상록엽이 많아, 단기적인 온난화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고, 동세 후기에는 서일본에서 온난화가 있었다고 추정된다.[140] 신 제3기 중신세 초기에는 혼슈 평균 기온은 8℃ 정도였고, 중신세 초기 말에는 혼슈 평균 기온이 16℃ 정도까지 상승하여 남북 평균 기온 차이가 최대가 되었지만, 이후 한랭화가 다시 시작되어 선신세 말까지 이어졌다.[140] 제4기 홍적세 초기에는 더욱 추워졌다는 것을 오사카층군의 화석을 통해 알 수 있다.[141] 홍적세 중기에는 홋카이도에도 삼나무너도밤나무가 자생할 정도로 온난했지만, 히다카 산맥 등에 빙하가 발달했다.[141]

일본에서 최종 빙하기는 12만 년 전(1986년 기준) 무렵 시작되었으며, 기온은 대략 1975년 시점보다 8℃ 낮았다.[141] 2015년 시점의 아키타현 남부와 당시 규슈 최남단이 거의 같은 기후였다.[143] 약 5만 년 전을 중심으로 하는 나카고쇼 계곡 1기, 약 4만 년 전(모두 1983년 기준)을 중심으로 하는 나카고쇼 계곡 2기라는 아빙기가 있었고, 이 시기 기후는 습윤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44],[142] 두 아빙기 사이에는 간빙기가 있었지만, 적설량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142] 4.1만 년 전(1986년 기준)에는 기후가 불안정해졌고, 3.3만 년 전(동)에는 건조하고 저온이 현저해져 다음 아빙기에 돌입했다.[142] 최종 빙기 극성기는 2.3만 년 전부터 2.0만 년 전 사이, 혹은 1.8만 년 전부터 1.7만 년 전(모두 1982년 기준) 사이로 추정된다.[145] 최종 빙기 극성기가 끝나고 기후가 온난해진 것은 가문비나무속의 꽃가루가 감소한 것으로 알 수 있지만, 겨울 적설량이 본격적으로 증가한 것은 1.2만 년 전(1982년 기준) 이후였다.[145] 11000년 전부터 10720년 전(2015년 기준)까지 영거 드라이아스라는 빙기 상태로 되돌아간 시기가 있었다.[143] 이 무렵 보소 반도 앞바다의 태평양 해수온도는 2004년 시점보다 5℃에서 9℃ 낮았다.[148]

일본의 연평균 기온은 히프시서멀 시기인 2015년 시점보다 2℃ 정도 높았고, 해수면도 상승했다(조몬 해진).[143] 9500년 전에는 고온, 9000년 전(모두 2004년 기준)에는 저온이 되었다.[148] 8500년에서 8000년 전(1982년 기준)에는 습윤 기후가 되었고, 해양성 기후가 되었다.[145] 보소반도 앞바다의 태평양 해수 온도는 6000년 전부터 5000년 전(모두 2004년 기준)에 걸쳐 높아졌고, 동해 해수 온도는 6500년 전(동) 이후 높아졌다.[148]

신빙하기로 인해 기원전 3500년부터 기원전 3000년경까지 서늘하고 습윤한 기후가 되었다.[143] 풍성사구 형성으로도 기원전 3천년기 초두의 한랭화를 확인할 수 있다.[149] 약 3000년 전(2008년 시점)에 한랭화가 있었고, 약 4000년 전(동)에도 한랭한 시기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149] 야쿠스기 나이테 탄소 동위체 비율을 통해 1세기에는 온난화, 4세기부터 5세기 초, 6세기 초부터 약 100년은 온난, 5세기 초 이후, 6세기 초까지와 7세기 초부터 나라 시대 초기까지는 한랭했다.[151] 6세기 초부터의 온난기는 중세 온난기와 동등한 고온, 5세기 초부터의 한랭기는 야요이 시대 말과 동등한 저온, 7세기 초부터의 한랭기는 고대 일본에서 최대였지만, 이후 소빙기에는 미치지 못했다.[151]

8세기 중반에는 유럽에서의 중세 온난기와 때를 같이하여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 이어지는 온난화가 시작되었고, 가뭄도 늘었다.[151] 9세기 초에는 짧은 한랭화가 있었다.[151] 벚꽃 개화 시기나 강수·강설 등의 기록에서, 교토의 겨울 기온은 12세기에 2016년 시점보다 높았을지도 모르며, 13세기 또는 15세기에 중세 온난기가 종료되었다고 추정된다.[152] 다른 연구에서는 820년경 평균 해수 온도가 높았고, 990년경에는 낮았으므로, 서일본에는 중세 온난기가 확인되지 않는다고 한다.[153]

교토의 겨울 기온은 11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서서히 저하했다. 1360년대까지 하계 기온이 상승했고, 이후 16세기에 걸쳐 저하했다.[152] 소빙기와 겹치는 1440년부터 1730년경에 서일본 저온 현상이 현저했다.[153] 스와호 오미와타리 기록에서 16세기 초 한랭화를 추측할 수 있다.[154] 15세기부터 17세기에는 기온 변동이 컸고, 18세기부터 19세기에는 작았다.[155] 에도 시대 번 일기 기록에서 19세기 전반 현저한 한랭화가 보이며, 1780년대1830년대에는 여름 기온도 낮았다.[155] 일본에서 소빙기 종료 시기는 1840년대부터 1850년대에 걸쳐 최근(2013년 기준)과 거의 같은 기온이 된 온난기이다.[156]

7. 2. 현재의 기후 변화

일본의 평균 기온 (1981년-2010년 평년값에서의 편차,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지역 환경 연구 센터 대기 환경 모델링 연구실 주임 연구원 나가시마 타츠야는 일본의 기온 상승 경향이 지구 온난화, 도시의 열섬 현상, 대기의 수십 년 규모 변동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말한다.[157]

일본은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률이 큰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하여 세계 평균보다 기온이 더 크게 상승하고 있다.[158] 일본의 평균 기온은 장기적으로 100년당 약 1.21°C 상승하고 있다.[159] 이 값은 1898년 이후 관측을 지속하고 있으며, 도시화의 영향이 적은 지점 15곳의 데이터를 사용한 것이다.[160] 계절별로는 봄이 100년당 1.47°C[161], 여름은 1.11°C[162], 가을은 1.2°C[163], 겨울은 1.13°C[164]씩 상승하고 있다. 연평균, 1월, 8월 모두 최고 기온보다 최저 기온의 상승폭이 더 크다.[165] 1940년대까지는 비교적 저온이었으나 이후 상승하여 1960년경 고온이 되었고, 1980년대 중반까지 다소 저온이었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기온이 상승하여 1990년대 이후 현저한 고온을 기록한 해가 집중되었다.[166]

1931년부터 2012년까지 10년당 폭염은 0.2일, 열대야는 1.4일 증가한 반면, 겨울 추위는 2.2일 감소했다.[166]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의 IPCC 제5차 평가 보고서는 미래 기후 예측을 위해 온실 가스 배출량에 따른 RCP 시나리오(8.0, 6.0, 4.5, 2.8)를 제시한다.[167] 각 시나리오에서 일본의 미래 기후도 예측되었는데,[168] 이에 따르면 일본의 평균 기온은 모든 지역에서 상승한다. (RCP 8.0에서 3.4°C~5.4°C, RCP 2.8에서 0.5°C~1.7°C) 저위도 지역보다 고위도 지역, 최고 기온보다 최저 기온의 상승폭이 약간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여름 일수는 RCP 8.0에서 약 50일, RCP 2.8에서 약 10일 증가하고, 혹한 일수는 RCP 8.0에서 약 15일, RCP 2.8에서 약 5일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여름 일수 증가는 오키나와・아마미에서, 혹한 일수 감소는 북일본에서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에는 후지산,[169] 다이세쓰산,[169] 다테야마 등에 영구 동토가 존재한다. 그러나 후지산의 영구 동토는 축소되고 있으며, 특히 남쪽에서는 2009년 산정 부근에서도 부분적으로 소실된 것이 확인되었다.[170] 이는 겨울철 기온 상승으로 얼리는 능력이 저하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170]

일본에서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매년 기후 차이와 장기적인 기후 변화를 추정하고 기상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생물계절관측이 이루어진다. 이 데이터로 가을, 겨울의 도래가 늦어지고 봄의 도래는 빨라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강수량은 1965년경부터 적은 해가 늘고 있다.[180] 1920년대 중반까지와 1950년대에는 많았지만, 1970년대 이후[166] 또는 최근 20-30년(2017년 기준)[180]은 연도별 변동이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181] 21세기 말에는 20세기 말보다 5% 정도 강수량이 많아져 북일본에서는 유의미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166] 아메다스 관측 시간 강수량 50mm 이상과 80mm 이상의 횟수(1000지점당)는 1976년부터 2016년까지 10년당 각각 20회, 2회씩 증가하고 있지만, 관측 기간이 짧아 지구 온난화와의 관련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182] 단시간 폭우(시간 강수량 50mm 이상)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166] 대부분 지역에서 일 강수량 1mm 미만 또는 무강수 일수가 증가하고, 그 이상 일수는 감소하며, 무강수 일수 증가 경향은 계속될 것으로 추측된다. 일 강수량 100mm, 200mm 이상 일수는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있다. (100년당 각각 0.25일, 0.04일)[166]

강설량은 1962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변동이 크지만, 동일본 동해 쪽에서는 10년당 12.3%, 서일본 동해 쪽에서는 14.5%씩 감소하고 있지만, 북일본 동해 쪽에서는 변화 경향이 보이지 않는다.[183] 기온과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 수증기량이 증가하여 홋카이도나 혼슈 내륙 일부 지역에서는 강설량이나 최심 적설이 증가하지만,[166] 대부분 지역에서는 기온 상승으로 눈이 비로 내리고 쌓여도 녹기 쉬워져[183] 강수량이나 최심 적설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166][183]

각지에서 8월 평균 기온이 교외보다 도시부에서 높아(2006년~2010년 평균) 열섬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184] 중소 도시에서는 100년당 기온 상승이 1°C 정도, 우쓰노미야시나 구마가야 등에서는 2배, 도쿄나 나고야시 등 대도시에서는 3배를 넘는 등 도시별 차이가 크다. 나가시마 타츠야는 대도시에서는 열섬 현상이 기온 상승의 주된 원인이라고 생각한다.[157] 폭염일도 대규모가 아닌 도시에서 증가가 큰 한편, 대도시에서도 증가하지 않는 곳이 있고, 서일본에서 여름 기온 상승이 현저한 지점이 많다.[157] 나가시마는 열섬 현상으로 인한 일본의 기온 상승은 동계나 야간에 주로 나타난다고 한다.[157]

7. 3. 미래의 기후 전망

일본은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률이 큰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하여, 세계 평균보다 기온 상승폭이 더 크다.[158] 일본의 평균 기온은 100년당 약 1.21℃ 상승하고 있으며,[159] 이는 도시화의 영향이 적은 15곳의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결과이다.[160] 계절별로는 봄이 1.47℃,[161] 여름이 1.11℃,[162] 가을이 1.20℃,[163] 겨울이 1.13℃[164] 상승하여, 모든 계절에서 기온 상승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저 기온의 상승폭이 최고 기온보다 더 크다.[165]

1940년대까지는 비교적 저온이었으나, 이후 상승하여 1960년경 고온, 1980년대 중반까지 다소 저온,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한 기온 상승을 보이며 1990년대 이후 고온 현상이 집중되었다.[166] 1931년부터 2012년까지 폭염은 10년당 0.2일, 열대야는 1.4일 증가한 반면, 겨울 추위는 2.2일 감소했다.[166]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의 IPCC 제5차 평가 보고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RCP 8.0, RCP 6.0, RCP 4.5, RCP 2.8의 네 가지 RCP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미래 기후를 예측한다.[167] 일본의 경우, 모든 시나리오에서 평균 기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RCP 8.0: 3.4℃~5.4℃, RCP 2.8: 0.5℃~1.7℃),[168] 저위도보다 고위도 지역, 최고 기온보다 최저 기온의 상승폭이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 한여름 일수는 RCP 8.0에서 약 50일, RCP 2.8에서 약 10일 증가하고, 혹한 일수는 RCP 8.0에서 약 15일, RCP 2.8에서 약 5일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오키나와・아마미 지역에서 한여름 일수 증가가, 북일본에서 혹한 일수 감소가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서적 Japan: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1992
[2] 웹사이트 Japan Climate Charts Index http://www.climate-c[...] 2015-10-11
[3] 웹사이트 Yakushima World Heritage property http://www.env.go.jp[...]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15-10-11
[4] 웹사이트 Japan Climate Index http://www.climate-c[...] 2015-10-11
[5] 웹사이트 Nature https://nbakki.haten[...] 2017-01-08
[6] 웹사이트 http://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1-05-19
[7] 웹사이트 http://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12-16
[8] 웹사이트 http://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1-05-19
[9] 웹사이트 Tokyo, Japan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2019-07-09
[10] 웹사이트 Climate & Weather Averages in Tokyo https://www.timeandd[...] Time and Date 2022-08-07
[11] 웹사이트 季節風って何?どうしてふくの? https://www.jma.go.j[...] 気象庁 2019-08-02
[12] 웹사이트 日本の年平均気温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5-25
[13] 간행물 Present and futur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maps at 1-km resolution
[14] 간행물 東北地方北部から北海道地方におけるケッペンの気候区分の再検討 https://doi.org/10.7[...] 2017-09-22
[15] 간행물 1kmメッシュデータによる北海道の気候変動解析 https://doi.org/10.7[...] 2017-09-22
[16] 웹사이트 日本に熱帯はある? https://www.excite.c[...]
[17] 웹사이트 沖縄の気候を知ろう https://www.town.kad[...]
[18] 웹사이트 日本(読み)にっぽん(英語表記)Nippon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の解説) 2019-07-12
[19] 웹사이트 「読みやすく,わかりやすい」教科書 http://www.ninomiyas[...] 二宮書店 2018-01-06
[20] 간행물 日本の気候区分 https://doi.org/10.4[...] 公益社団法人 日本地理学会 2019-07-26
[21] 간행물 気候要素の変動パターンに基づく日本の気候区分 https://www.chs.niho[...] 日本大学文理学部自然科学研究所 2018-01-06
[22] 간행물 平年日降水量時系列のクラスター分析による日本の9気候地域区分の提案 https://dl.ndl.go.jp[...] 日本気象学会 2018-02-01
[23] 웹사이트 日本の天候に影響を及ぼすメカニズム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8-03-04
[24] 웹사이트 デジタル台風:月次台風経路図(台風発生/存在時期マップ) http://agora.ex.nii.[...] 国立情報学研究所 2019-08-02
[25] 웹사이트 台風の平年値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2-04-23
[26] 웹사이트 デジタル台風:前線と台風 http://agora.ex.nii.[...] 国立情報学研究所 2019-08-02
[27] 웹사이트 世界と日本の気温、降水量の経年変化に関して、よくある質問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8-01-06
[28] 웹사이트 JAPAN https://www.weatherb[...] Canty and Associates LLC 2018-01-10
[29] 웹사이트 【付録:主な新平年値のデータ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1-03-24
[30] 웹사이트 雨や雪の多い国土 http://www.jice.or.j[...] 国土技術研究センター 2017-09-22
[31] 웹사이트 Q1-2 日本ではどのくらいの雨が降りますか(降水量) https://www.ffpri.af[...] 国立研究開発法人 森林研究・整備機構 2018-01-06
[32] 웹사이트 歴代全国ランキング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5-27
[33] 웹사이트 1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34] 웹사이트 2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35] 웹사이트 3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36] 웹사이트 4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37] 웹사이트 5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38] 웹사이트 6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39] 웹사이트 7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40] 웹사이트 8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41] 웹사이트 9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42] 웹사이트 10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43] 웹사이트 11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44] 웹사이트 12月の順位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45] 웹사이트 暦Wiki/季節 - 国立天文台暦計算室 https://eco.mtk.nao.[...] 2024-03-14
[46] 뉴스 関東地方で「春一番」発表 去年より8日遅く https://weathernews.[...] ウェザーニューズ 2019-07-27
[47] 웹사이트 春一番!! http://www.ebayama.j[...] 江波山気象館 2019-07-27
[48] 웹사이트 昭和26年(1951年)以降の梅雨入りと梅雨明け(確定値)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7-09-23
[49] 뉴스 近畿など梅雨入りへ 梅雨前線は活発化 大雨のおそれ https://tenki.jp/lit[...] 日本気象協会 2019-07-27
[50] 웹사이트 東京 木枯らし1号吹かず 39年ぶり https://tenki.jp/lit[...] 日本気象協会 2019-07-27
[51] 뉴스 「知って得する季語」冬の雨“時雨”はレアな現象だった!? https://tenki.jp/lit[...] 日本気象協会 2019-08-02
[52] 웹사이트 第7回  急速に発達する低気圧にも警戒を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19-08-02
[53] 웹사이트 冬にはなぜ日本海側の地方で雪がたくさん降るのですか? https://www.jma.go.j[...] 気象庁 2019-08-02
[54] 웹사이트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55] 웹사이트 《コラム》 盛夏期前の曇・雨天 https://www.jma-net.[...] 札幌管区気象台 2017-09-23
[56] 웹사이트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57] 웹사이트 四季の特徴 https://www.jma-net.[...] 帯広測候所 2017-09-23
[58] 웹사이트 東北地方の気候 ~四季の天気~ https://www.jma-net.[...] 仙台管区気象台 2017-09-23
[59] 웹사이트 東北地方の気候 ~四季の天気~ https://www.jma-net.[...] 仙台管区気象台 2017-09-24
[60] 웹사이트 東北地方の気候 ~四季の天気~ https://www.jma-net.[...] 仙台管区気象台 2017-09-23
[61] 웹사이트 宮城県の地勢・気候・コラム https://www.jma-net.[...] 仙台管区気象台 2017-09-24
[62] 웹사이트 夏の高温の要因 https://www.jma-net.[...] 東京管区気象台
[63] 웹사이트 埼玉県の平野部が暑くなる理由 https://www.jma-net.[...] 熊谷地方気象台 2017-09-24
[64] 뉴스 国内最高気温、5年ぶりに記録更新 埼玉・熊谷で https://weathernews.[...] ウェザーニューズ 2019-01-23
[65] 웹사이트 秋の降水 https://www.jma-net.[...] 東京管区気象台 2017-09-24
[66] 웹사이트 季節ごとの天候の特徴-東海地方-(解説) https://www.jma-net.[...] 名古屋地方気象台 2017-09-25
[67] 웹사이트 地域特性(愛知県の気候) https://www.jma-net.[...] 名古屋地方気象台 2017-09-25
[68] 웹사이트 岐阜県の気象特性 https://www.jma-net.[...] 岐阜地方気象台 2017-09-25
[69] 웹사이트 長野県の気候 https://www.jma-net.[...] 長野地方気象台 2017-10-14
[70] 웹사이트 山梨県の気候特性 https://www.jma-net.[...] 甲府地方気象台
[71] 웹사이트 降水量 http://www.soarnagan[...] 2017-10-14
[72] PDF 2.3 自然的状況 https://www.pref.nag[...] 長野県 2017-10-14
[73] 웹사이트 気温 http://www.soarnagan[...] 長野グライダー協会 2017-10-14
[74] 웹사이트 長野県の冬の特徴 https://www.jma-net.[...] 長野地方気象台 2017-10-14
[75] 웹사이트 山梨県の気候特性 https://www.jma-net.[...] 2017-10-14
[76] 웹사이트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7-09-25
[77] 웹사이트 近畿地方の平年の天候 https://www.jma-net.[...] 2017-09-25
[78] 웹사이트 秋霖 しゅうりん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2019-07-26
[79] 웹사이트 三重県の気候特性 https://www.jma-net.[...]
[80] 웹사이트 高知県の地勢と気象 https://www.jma-net.[...] 2017-09-27
[81] 웹사이트 四国地方の天候 https://www.jma-net.[...] 2017-09-27
[82] PDF 第 2 章 伊豆小笠原諸島沿岸の現況 http://www.kouwan.me[...] 東京都港湾局 2017-09-24
[83] 웹사이트 鹿児島地方気象台トップページ https://www.jma-net.[...] 鹿児島地方気象台 2017-09-28
[84] 웹사이트 ≪ レジャー・体験 ≫ 41度最高気温の街 江川崎 http://www.shimanto-[...] 四万十市観光協会 2017-09-27
[85] 웹사이트 伊豆半島 いずはんとう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017-09-25
[86] 웹사이트 気候 https://web.archive.[...] 和歌山県 2019-07-25
[87] PDF 和歌山県の野菜・花き https://www.pref.wak[...] 和歌山県 2019-07-25
[88] 웹사이트 53.高知 http://www.naro.affr[...] 2017-09-27
[89] 웹사이트 産地紹介:長崎県 JA全農ながさき ~温暖な気候を生かした長崎の新じゃが~ http://vegetable.ali[...] 2017-09-28
[90] 웹사이트 宮崎県 みやざき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09-28
[91] 웹사이트 作型の種類と留意事項 https://web.archive.[...] 鹿児島県 2019-07-25
[92] 웹사이트 【コラム1】九州北部地方(福岡)の気候は日本海型? https://www.jma-net.[...] 2017-09-28
[93] PDF 日本海の貯熱量の変動及びその日本海側の降雪との関係 https://www.jma.go.j[...] 気象庁 2017-09-22
[94] 웹사이트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7-25
[95] 웹사이트 流氷(読み)りゅうひょう(英語表記)pack ice; drift ice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2019-05-25
[96] 웹사이트 《コラム》 オホーツク海を覆う流氷の影響 https://www.jma-net.[...] 札幌管区気象台 2017-09-23
[97] PDF 序章 北海道の地理環境と気候の特徴 https://www.jma-net.[...] 札幌管区気象台 2018-02-07
[98] 문서
[99] 웹사이트 上川・留萌地方の季節のトピックス https://www.jma-net.[...] 2017-09-23
[100] 웹사이트 歴代全国ランキング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7-09-23
[101] 웹사이트 気温の最高および最低記録 https://official.rik[...] 2023-01-25
[102] 웹사이트 秋田県の気象特性 https://www.jma-net.[...] 2017-10-05
[103] 웹사이트 東北地方の気候 ~四季の天気~ https://www.jma-net.[...] 仙台管区気象台 2017-10-05
[104] 웹사이트 山形県の気象特性 https://www.jma-net.[...] 2017-10-05
[105] 웹사이트 北海道の気温と気候 http://www.tabirai.n[...] パム 2017-09-23
[106] 웹사이트 世界一の豪雪都市 http://www.city.aomo[...] 2017-10-05
[107] 웹사이트 The 10 Snowiest Cities On Earth http://www.theriches[...] 2017-10-05
[108] 웹사이트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2017-10-08
[109] 웹사이트 北陸地方の天候(解説) https://www.jma-net.[...] 2017-10-05
[110] 웹사이트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2017-10-05
[111] 웹사이트 石川県の気象特性 https://www.jma-net.[...] 2017-10-05
[112] 웹사이트 日本で見られる蜃気楼 https://www2.nhk.or.[...] 2017-10-21
[113] 웹사이트 「蜃気楼(しんきろう)」が出現しやすいシーズン・春に、幻想的風景を見に出かけよう! http://www.tenki.jp/[...] 2017-10-21
[114] 간행물 富山湾における上位蟹気楼の発生理由:気温の鉛直分布が示す新たな事実 https://dl.ndl.go.jp[...] 2017-10-21
[115] 웹사이트 兵庫県の地勢・気候 https://www.jma-net.[...]
[116] PDF 2.近畿圏の自然環境の特性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7-10-08
[117] 웹사이트 冬の天気 https://www.jma-net.[...] 2017-10-08
[118] 웹사이트 コラム https://www.jma-net.[...] 2017-10-08
[119] 웹사이트 山陰地方 サンインチホウ https://kotobank.jp/[...] 2017-10-08
[120] PDF (山陰側)と瀬戸内式気候(山陽側 https://www.cgr.mlit[...] 中国地方整備局 2017-10-08
[121] 웹사이트 中国地方の天候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4-06-10
[122] 웹사이트 マーガレット https://www.pref.kag[...] 2019-07-25
[123] 웹사이트 瀬戸内気候 せとうちきこう https://kotobank.jp/[...] 2017-10-21
[124] 웹사이트 瀬戸内海の濃霧 https://www.jma-net.[...]
[125] 웹사이트 奈良県の気象の特徴 https://www.jma-net.[...] 2017-09-25
[126] 웹사이트 なんせいしょとうきこう【南西諸島気候】 https://web.archive.[...] 2017-10-28
[127] 웹사이트 小笠原の気候 ―東京と父島の気象の比較― http://www.jma-net.g[...] 2017-10-28
[128] 문서 伊豆諸島も含めた値。
[129] 웹사이트 沖縄地方の平年の天候 https://www.jma-net.[...] 2019-07-25
[130] 뉴스 沖縄県だけが猛暑日なし…旅行者などから「地元より涼しい」の声 https://news.livedoo[...] ライブドアニュース 2017-10-28
[131] 뉴스 データーで見る都道府県民性 13 日本一暑い沖縄県、実は猛暑日数は全国最小! 食生活にも独特な文化が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7-10-28
[132] 웹사이트 コラム③ 台風の発生と沖縄への接近について http://www.jma-net.g[...] 2017-10-28
[133] 웹사이트 雨・雪について https://www.jma.go.j[...] 2019-07-20
[134] 웹사이트 尖閣諸島の気象(気候区分・気象状況) https://www.spf.org/[...] 海洋政策研究所 2017-11-01
[135] 웹사이트 ソチの気候って? http://www.ebayama.j[...] 2017-11-01
[136] 웹사이트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2017-11-03
[137] 웹사이트 小笠原の気候 https://www.ogasawar[...] 2019-07-25
[138] 간행물 小笠原諸島における気象観測研究 https://hdl.handle.n[...] 首都大学東京 2017-11-01
[139] 논문 大型植物化石からみた始新世ー漸新世の陸上植生と気候 https://doi.org/10.1[...] 2019-07-12
[140] 간행물 北半球における第三紀の気候変動と植生の変化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141] 논문 資料・第四紀の日本列島―1 氷河時代の日本列島 https://www.kubota.c[...] クボタ 1975
[142] 논문 最終氷期の気候変動と日本旧石器時代 花粉分析からみた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2019-07-12
[143] 웹사이트 これまでの気候の移り変わり(第五版) http://atmenv.envi.o[...] 2019-07-12
[144] 논문 木曽山脈北部における最終氷期の氷河の消長と編年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2019-07-13
[145] 논문 福井県三方湖の泥土の花粉分析的研究 最終氷期以降の日本海側の乾・湿の変動を中心として https://doi.org/10.4[...] 日本第四紀協会 2019-07-13
[146] 논문 ヴュルム氷期の世界の気候 https://doi.org/10.4[...] 日本第四紀協会 2019-07-13
[147] 논문 低位周氷河現象の南限と最終氷期の気候区界 https://doi.org/10.4[...] 日本地理学会 2019-07-13
[148] 논문 東アジアにおける最終氷期最盛期から完新世初期の海洋古環境 https://doi.org/10.1[...] 岡山大学理学部地球科学教室 2019-07-14
[149] 논문 気候変動と考古学 https://hdl.handle.n[...] 熊本大学 2019-07-15
[150] 웹사이트 連載エッセイ [41] 暮らしの中のバイオクリマ 歴史時代の気候変動 https://www.bioweath[...] 2019-07-13
[151] 논문 4~10世紀における気候変動と人間活動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2019-07-13
[152] 논문 11-16世紀の日本の気候変動の復元 https://doi.org/10.1[...] 富山大学人間発達科学部 2019-07-13
[153] 논문 Climatic change and its influence on human society in western Japan during the Holocene https://doi.org/10.1[...] エルゼビア 2019-07-13
[154] 논문 小氷期中期の日本列島の気候変動 https://doi.org/10.1[...] 富山大学人間発達科学部 2019-07-13
[155] 논문 気候変動と飢饉の歴史 : 天明の飢饉と気候の関わり(シンポジウム 環境変化と人間社会,2011年度地理科学学会秋季学術大会) https://doi.org/10.2[...] 地理科学学会
[156] 논문 東京における江戸時代以降の気候変動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157] 웹사이트 温暖化の科学 Q19 暑い日が増えたのはヒートアイランドが原因? http://www.cger.nies[...] 2017-12-28
[158] 웹사이트 日本の気候の変化 https://www.data.jma[...] 2017-09-22
[159] 웹사이트 日本の年平均気温 https://www.data.jma[...] 2019-04-29
[160] 웹사이트 日本の平均気温の偏差の算出方法 https://www.data.jma[...] 2017-11-07
[161] 웹사이트 日本の季節平均気温 https://www.data.jma[...] 2019-04-29
[162] 웹사이트 日本の季節平均気温 https://www.data.jma[...] 2019-04-29
[163] 웹사이트 日本の季節平均気温 https://www.data.jma[...] 2019-04-29
[164] 웹사이트 日本の季節平均気温 https://www.data.jma[...] 2019-04-29
[165] PDF 日本各地における気温等の長期変化傾向 https://www.data.jma[...] 2017-12-11
[166] PDF 気候変動の観測・予測及び影響評価統合レポート 『日本の気候変動とその影響』 (2012年度版) https://www.env.go.j[...] 2017-12-03
[167] 웹사이트 将来予測における「RCPシナリオ」とは? http://www.jccca.org[...] 2017-12-11
[168] PDF 21世紀末における日本の気候予測結果 https://www.env.go.j[...] 2017-12-11
[169] 웹사이트 大雪ものしり百科:自然編|大雪山の気象:その1 http://www.kamikawa.[...] 2017-12-03
[170] 웹사이트 縮小する富士山の永久凍土 https://www.fujisan-[...] 2017-12-03
[171] PDF 近年の桜の開花異常!? http://www.cger.nies[...] 2017-12-11
[172] 웹사이트 サクラの開花と地球温暖化 http://weather.geo.k[...] 2017-12-11
[173] PDF 「桜の開花と気温」 気候リスク管理の応用 https://www.jma-net.[...] 2017-12-11
[174] 뉴스 満開ソメイヨシノ、幻になる?温暖化進行の40年後予測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8-11-14
[175] 웹사이트 2010年~2110年における桜開花シミュレーション結果発表 http://weathernews.c[...] 2017-12-11
[176] 뉴스 第11回 紅葉は春?お花見は秋? 地球温暖化で日本の風物詩に異変あり https://web.archive.[...] 日本経済新聞社 2019-07-12
[177] 뉴스 紅葉シーズンはいつ? 地球温暖化の影響?で遅れ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7-12-11
[178] 논문 紅葉の季節学 2017-12-11
[179] 뉴스 【地球温暖化の行方】 2050年には紅葉の見頃がクリスマスに…温暖化は年々深刻化 スカスカなミカン、着色不良のリンゴも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7-12-11
[180] 간행물 第1章 水の循環と水資源の賦存状況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2019-07-25
[181] 웹사이트 第I部 進行する地球温暖化とわたしたちのくらし~地球温暖化対策に向けた国土交通行政の展開~  2 渇水リスクの増大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2017-12-20
[182] 웹사이트 大雨や猛暑日など(極端現象)のこれまでの変化 https://www.data.jma[...] 기상청 2017-12-17
[183] 웹사이트 ~こんにちは!気象庁です!平成26年11月号~ https://www.jma.go.j[...] 기상청 2017-12-28
[184] 간행물 1章 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の現状 https://www.env.go.j[...] 환경성 2017-12-15
[185] 웹사이트 歴代全国ランキング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5-27
[186] 웹사이트 1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87] 웹사이트 2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88] 웹사이트 3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89] 웹사이트 4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90] 웹사이트 5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91] 웹사이트 6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92] 웹사이트 7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93] 웹사이트 8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94] 웹사이트 9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95] 웹사이트 10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96] 웹사이트 11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197] 웹사이트 12月の順位 http://www.data.jma.[...] 기상청 2019-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