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 행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첩 행위는 국가의 기밀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군사 활동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다. 첩보 활동은 인적 정보(HUMINT), 신호 정보(SIGINT), 영상 정보(IMINT), 공개 출처 정보(OSINT)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스파이, 이중 스파이, 잠복 에이전트 등 다양한 유형의 첩보원이 활용된다. 간첩 행위는 1907년 헤이그 협약, 각국의 법률 및 국제법에 의해 규제되며, 위반 시 처벌을 받는다. 대한민국은 북한과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간첩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국가보안법과 군사기밀보호법을 통해 이를 규제하고 있다. 간첩 행위는 인권 침해, 민주주의 훼손, 정보 조작 및 오용, 국제 관계 악화 등의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첩 - 고정간첩
고정간첩은 국가 안보를 위협하며 정보를 수집하거나 공작 활동을 하는 간첩으로, 합법적 또는 위장 신분을 이용해 활동하며 대한민국은 북한의 위협에 노출되어 정보기관이 방첩 활동 강화 및 국민 안보 의식 고취를 통해 대응하고 있다. - 간첩 행위 - 위키리크스
위키리크스는 2006년 설립되어 줄리언 어산지가 주도한 비영리 조직으로, 정부와 기업의 기밀 정보를 폭로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정보 진위 논쟁, 러시아 정부 연루 의혹, 법적 문제 등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간첩 행위 - 국제 스파이 박물관
국제 스파이 박물관은 밀턴 말츠가 구상하여 2002년 워싱턴 D.C.에 개관한 박물관으로, 7,000여 점의 전시물 중 약 1,000점을 공개하며 고대 그리스부터 냉전 시대까지 스파이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전시품을 선보인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간첩 행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범죄 |
다른 이름 | 첩보 활동 스파이 행위 정보 수집 |
주요 목표 | 비밀 정보 획득 |
관련 행위 | 위장 잠입 사보타주 기만 암호 감시 |
처벌 | 징역 벌금 사형 (일부 국가) |
법적 측면 | |
주요 규제 | 국가보안법 |
목적 | 국가 안전 보장 방첩 활동 |
구성 요건 | 비밀 정보 획득 시도 국가 안보 위협 고의성 |
관할 | 형사 재판 군사 재판 |
역사적 측면 | |
기원 | 고대 시대 |
초기 형태 | 정보 수집 암살 파괴 공작 |
현대적 발전 | 기술 발전 정보 기관 설립 |
주요 사건 |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
주요 대상 | |
대상 | 정부 기관 군사 시설 민간 기업 연구 기관 |
방법 | |
정보 수집 방법 | 휴민트 시긴트 오신트 |
기술적 수단 | 도청 해킹 감시 장비 사이버 공격 |
비밀 연락 | 암호 통신 비밀 접선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스파이 첩보원 정보 분석가 간첩 |
유명 인물 | 마타 하리 김현희 리하르트 조르게 올드리치 에임스 애나 채프먼 민나 크라우처 |
국가별 사례 | |
국가별 사례 | 미국 러시아 중국 이스라엘 영국 |
사회적 영향 | |
영향 | 정치적 불안정 국제 관계 악화 사회적 불신 기술 개발 경쟁 |
기타 정보 | |
참고 자료 | MI5 |
2. 역사
첩보 활동은 고대 문명의 태동기부터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군사,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3] 고대 함무라비 시대의 기록이나 성경, ''일리아드'' 등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으며, 손자병법과 같은 고전 병법서들은 일찍이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중세 유럽의 종교재판이나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의 외교 활동 속에서도 체계적인 정보 수집 및 방첩 활동이 이루어졌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잉글랜드의 프랜시스 월싱엄이나 미국 독립 전쟁 당시의 조지 워싱턴처럼 국가 차원의 정보 조직 운영이 본격화되었다.[7][3] 미국 남북 전쟁 시기에도 양측은 활발한 스파이 활동을 전개했다.[9] 20세기에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거치며 각국의 정보기관이 더욱 발전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미국의 중앙 정보국(CIA)과 소련의 KGB를 중심으로 치열한 첩보전이 벌어졌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통해 첩보 활동은 국가 안보와 국제 관계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하였다.
2. 1. 고대 및 중세
첩보 활동은 고대부터 군사 활동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가장 오래된 기밀 문서는 기원전 1750년경 사망한 함무라비 왕의 궁정에 외교 사절로 위장한 스파이가 작성한 보고서로 알려져 있다.[55] 고대 이집트는 발달된 첩보 기관을 운영했으며, 첩보 활동은 ''일리아드'', 성경(특히 구약성서 민수기 13장에서 가나안 땅에 12명의 정탐꾼을 보내 정보를 얻은 이야기[55]), 그리고 아마르나 서신에도 언급되어 있다.[3] 그리스-로마 세계에서도 첩보 활동은 널리 퍼져 있었으며, 당시 스파이들은 글을 모르는 사람들을 공무원으로 고용하기도 했다.[4][5][6]
첩보와 정보 활동이 전쟁과 평화 시기 모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주장은 고대 동양의 병법서인 ''손자병법''과 인도의 ''아르타샤스트라''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다루어졌다. ''아르타샤스트라''에는 신분을 위장하여 첩보망을 구축하고 정보를 얻으며, 이를 암호화하여 전달하는 방법 등이 기술되어 있다.
중세 유럽 국가들은 이후 반선동(counter-subversion)이라 불리게 될 활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가톨릭교회의 종교재판은 이단을 색출하고 박멸하기 위해 중앙 집중적으로 조직된 대규모 심문과 상세한 기록 보관 시스템을 활용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서구의 첩보 활동은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이 정보 수집을 위해 각국 수도에 상주 대사를 파견하면서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했다. 특히 르네상스 시대 베네치아는 첩보 활동에 매우 집중했다. 명목상 안보를 책임졌던 십인회는 최고 통치자인 도제조차 정부 기록 보관소를 자유롭게 열람하지 못하도록 통제했다. 1481년, 십인회는 모든 베네치아 정부 관리들이 외국 대사나 외국인과 접촉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공무상 비밀을 누설한 자는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베네치아가 이처럼 첩보 활동에 몰두한 이유는 성공적인 국제 무역을 유지하기 위해 도시 국가의 영업 비밀을 보호해야 했기 때문이다.
한편, 16세기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 여왕(재위 1558년~1603년) 치하에서는 프랜시스 월싱엄(1532년경~1590년)이 외무장관 겸 정보국장으로 활동하며 첩보망을 구축했다.[7] 이후 18세기 초,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성립 시기에는 소설가이자 언론인이었던 다니엘 디포(1731년 사망)가 앤 여왕 정부를 위해 스파이 활동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현대 경찰 국가의 운영 방식을 예견하는 듯한 첩보 이론을 발전시키기도 했다.[8]
2. 2. 근대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서구의 첩보 활동은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이 정보 수집을 위해 수도에 상주 대사를 파견하면서 근본적으로 변화했다. 특히 베네치아는 첩보 활동에 매우 집중했는데, 안보를 담당했던 십인회는 도제조차 정부 기록 보관소를 자유롭게 열람하지 못하도록 통제했다. 1481년 십인회는 모든 베네치아 정부 관리들이 대사나 외국인과 접촉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공무상 비밀을 누설할 경우 사형에 처해질 수도 있었다. 베네치아가 이처럼 첩보 활동에 집착한 이유는 성공적인 국제 무역을 위해 도시 국가의 영업 비밀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이다.잉글랜드에서는 엘리자베스 1세 여왕(1558년~1603년 재위) 치하에서 프랜시스 월싱엄(1532년경~1590년)이 외무장관 겸 정보국장으로 활동하며 첩보망을 운영했다.[7] 이후 18세기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시기에는 소설가이자 언론인이었던 다니엘 디포(1731년 사망)가 앤 여왕 밑에서 정부를 위해 스파이 활동을 했을 뿐만 아니라, 현대 경찰 국가의 방식을 예견하는 첩보 이론을 개발하기도 했다.[8]
미국 독립 전쟁 시기에는 내선 힐과 베네딕트 아놀드 같은 인물들이 스파이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렸다. 조지 워싱턴은 스파이는 아니었지만, 미국의 첫 첩보 책임자로서 영국에 대항하여 효과적인 첩보 전술을 활용했다.[3] 이후 미국 남북 전쟁 중에도 북부와 남부 양측 모두 상당한 규모의 스파이 활동을 벌였다.[9]
한편, 동아시아에서는 에도 시대 일본에서 네덜란드 상관 소속의 독일인 의사 지볼트가 일본 지도를 불법적으로 반출하려다 발각된 시볼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 3. 현대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열강은 정교한 민간 첩보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고, 모든 국가의 군사 기관은 정보 부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외국 첩보원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기 위해 미국 의회는 1917년 간첩죄 법을 통과시켰다. 프랑스 관리들을 유혹하여 독일을 위해 정보를 빼낸 마타 하리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주목받는 첩보원으로 알려져 있다.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독일과 일본 제국이 정교한 첩보망을 구축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첩보 활동은 더욱 확대되었으며, 이는 주로 미국과 구소련 간의 냉전에 기인했다. 러시아 제국과 그 후계 국가인 소비에트 연방은 오크라나에서 KGB (국가 안전 위원회)에 이르기까지 오랜 첩보 활동 전통을 가지고 있었으며, KGB는 비밀 경찰 역할도 수행했다. 미국에서는 1947년 국가 안보법에 따라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중앙 정보국(CIA)과 암호 및 전자 통신 연구를 위한 국가안보국(NSA)이 설립되었다. 이 외에도 미국에는 13개의 다른 정보 수집 기관이 있으며, 정보 수집 예산의 대부분은 여러 국방부 기관과 그 프로그램에 배정되어 있다. 2004년 정보 개편 이후, 국가 정보국 국장(DNI)은 미국 정보 기관의 활동과 예산을 감독하고 조정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냉전 시대에는 여러 주목할 만한 첩보 사건들이 발생했다. 알저 히스, 휘태커 체임버스 사건과 로젠버그 부부 사건 등이 대표적이다. 1952년에는 중국 공산당이 CIA 요원 2명을 체포했으며, 1960년에는 CIA 소속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가 U-2 정찰기를 조종하여 소련 영공을 비행하던 중 격추되어 체포되었다. 냉전 기간 동안 양측 진영에서 망명하는 정보 관리들도 다수 발생했다.
망명 방향 | 주요 인물 | 출신 기관/국가 | 망명 시기 |
---|---|---|---|
서방으로 망명 | 월터 크리비츠키 장군 | 소련 정보기관 | 1937년 (냉전 이전) |
빅터 크라브첸코 | 소련 | 1944년 (냉전 직전) | |
블라디미르 페트로프 | 소련 KGB | 1954년 | |
피터 데리아빈 | 소련 KGB | 1954년 | |
파벨 모나트 | 폴란드 군 정보기관 | 1959년 | |
올레그 펜콥스키 | 소련 GRU | 1962년 (체포) | |
소련/동구권으로 망명 | 가이 버지스 | 영국 외무부/MI6 | 1951년 |
도널드 맥린 | 영국 외무부 | 1951년 | |
오토 존 | 서독 헌법수호청 | 1954년 | |
윌리엄 해밀턴 마틴 | 미국 NSA | 1960년 | |
버논 F. 미첼 | 미국 NSA | 1960년 | |
해럴드 (킴) 필비 | 영국 MI6 | 1962년 |
오늘날 정보기관들은 불법 마약 거래와 테러리스트뿐만 아니라 국가 행위자들을 목표로 삼는다.[10] 정보기관들은 각자의 상황과 판단에 따라 특정 정보 수집 기법을 다른 기법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구 소련은 인적 자원(HUMINT)을 통한 정보 수집을 선호했던 반면, 미국은 SIGINT(신호 정보) 및 IMINT(영상 정보)와 같은 기술적 방법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11]
미국이 U-2 비행 사실을 인정하고 1962년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와 소련 스파이 루돌프 아벨을 교환한 것은, 특정 첩보 활동이 외교 정책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중국은 특히 몽골, 러시아, 인도 등 인접 국가를 감시하는 데 효과적인 정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규모 국가들도 효과적인 첩보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베트남 공산당은 베트남 전쟁 중 지속적으로 우수한 정보를 확보했다. 리비아, 이란, 시리아를 포함한 일부 이슬람 국가들도 고도로 발달된 첩보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파흘라비 왕조 시절 이란의 비밀 경찰이었던 사바크(SAVAK)는 1979년 이란 혁명 이전까지 반체제 인사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었다.
오늘날 정보기관들은 전통적인 국가 행위자뿐만 아니라 불법 마약 거래 조직과 테러리스트들을 대상으로도 활동한다.[10] 정보기관들은 특정 정보 수집 기법을 다른 기법보다 중요하게 여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구 소련은 인적 자원(HUMINT)을 통한 정보 수집을 선호했던 반면, 미국은 신호 정보(SIGINT) 및 영상 정보(IMINT)와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소련에서는 정치 정보(KGB) 및 군사 정보(GRU) 장교 모두 모집한 요원의 수로 평가받기도 했다.[11]
첩보는 정부, 기업, 또는 독립적인 기관에 속한 개인이나 스파이 집단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본질적으로 비밀리에 이루어지는 작전이며, 상황에 따라 합법적인 법 집행 활동일 수도 있지만 불법적인 행위로 간주되어 처벌받을 수도 있다. 첩보는 비밀 정보원을 포함한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이다. 표적의 정보를 수집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조직 내부에 침투하는 것이며, 이는 스파이(첩보원)의 주요 역할이다. 스파이는 정보 수집 외에도 허위 정보를 유포하거나 특정 정보를 은폐하고 혼란을 야기하여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47] 위기 상황에서는 기술을 훔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적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첩보는 정부 및 상업 활동과 관련되지만, 종종 국가 안보를 위해 잠재적 적국이나 실제 적국을 대상으로 하는 군사 첩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방첩은 적의 스파이 활동과 정보 수집을 방해하는 활동을 말한다. 거의 모든 국가는 첩보 활동에 관한 엄격한 법률을 가지고 있으며, 적발 시 처벌은 매우 무겁다. 기업과 관련된 스파이 활동은 산업 스파이라고 불린다.
3. 첩보의 방법 및 용어
일반적으로 '간첩'이나 '스파이'라는 용어가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간첩행위(Espionage)는 모든 정보 수집 활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간 정보(HUMINT) 수집의 특정한 한 형태로, 암호 해독(COMINT), 위성 사진 분석(IMINT), 공개 정보 분석(OSINT) 등 다른 정보 수집 분야와는 구분된다. 이러한 기술적 정보 수집이나 공개 정보 분석, 심지어 포로 심문이나 군사 정찰 보고 등 많은 HUMINT 활동조차 간첩행위로 분류되지 않는다. 간첩행위의 핵심은 민감한 정보(기밀)를 해당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는 사람에게 은밀하게 전달하는 행위이다.[12]
따라서 간첩행위는 일반적으로 목표 정보가 있는 장소나 정보를 가진 사람에게 접근하여 은밀한 방법으로 정보를 빼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물론 오슬로 보고서나 로버트 한센 사건처럼 물리적 접촉 없이 정보가 오가는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첩보는 정부, 기업, 또는 독립적인 개인이나 조직 등 다양한 주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33] 본질적으로 비밀리에 이루어지는 비밀 작전의 성격을 띤다. 가장 효과적인 정보 수집 방법 중 하나는 목표 조직에 침투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정보를 빼낼 뿐 아니라 허위 정보 유포 등으로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47] 첩보는 주로 국가 안보나 군사적 목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기업 비밀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 스파이 활동도 존재한다. 한편, 적국의 첩보 활동을 막고 방해하는 활동은 방첩이라고 부른다. 각국은 첩보 활동에 대해 엄격한 법률을 가지고 있으며, 적발 시 처벌 수위가 높다. 예를 들어 미국 법률에서는 간첩행위를 국방 관련 정보의 불법적인 취득 및 전달 행위로 규정하고 처벌한다.[12][48]
3. 1. 인적 정보 (HUMINT)
간첩행위는 HUMINT(인간 정보)의 특정한 형태이며, 모든 정보 수집 분야를 포괄하는 용어는 아니다. 암호 해독(COMINT), 항공기 또는 위성 사진 촬영(IMINT), 공개 정보 분석(OSINT) 등은 정보 수집 분야이지만 간첩행위로 간주되지 않는다. 포로 심문, 군사 정찰 순찰대 및 외교관의 보고서 등 많은 HUMINT 활동 역시 간첩행위로 보지 않는다. 간첩행위의 핵심은 민감한 정보(기밀)를 해당 정보에 접근 권한이 없는 사람에게 누설하는 행위이다.
다른 형태의 정보 수집 분야와 달리, 간첩행위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정보가 있는 장소에 접근하거나, 정보를 아는 사람에게 접근하여 어떤 형태의 은밀한 방법으로 정보를 누설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오슬로 보고서나, 정보를 구매한 사람과 절대 만나지 않으려 했던 로버트 한센의 경우처럼 물리적 접촉 없이 정보가 전달되는 예외도 있다.
첩보 용어에서 '에이전트(agent)'는 스파이 활동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에이전트는 자국을 위해 다른 나라를 염탐하도록 모집된 자국민일 수도 있고, 자국을 방해하는 가짜 깃발 작전을 수행하도록 모집된 자국민일 수도 있으며, 제3국을 염탐하거나 해당 국가 또는 제3국에 대항하여 활동하도록 제2국이 모집한 제1국 국민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경우가 있다. 미국의 정보기관에서는 '자산(Asset)'이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용어로는 에이전트를 모집하고 관리하는 정보 장교(case officer)나 정보 작전 요원과 혼동되기도 한다. 이러한 정보 장교는 에이전트(자산)를 지원하고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수요원이나 외교관(공식 신분) 신분일 수 있다.
에이전트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유형 | 설명 |
---|---|
선동자 | 여러 사람을 한 곳에 모아 체포할 수 있도록 문제를 일으키거나 정보를 제공한다. |
정보 에이전트 | 특별한 권한을 이용하여 민감한 정보에 접근하여 제공한다. 기업 정보 수집에서는 사업 벤처나 주식 포트폴리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제 정보에서는 경제 동향 분석, 외국 금융 활동 평가 및 추적, 새로운 계량 경제학 및 모델링 방법론 개발 등을 수행할 수 있다.[17] 무역 또는 관세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
영향력 행사자 | 관심 분야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정보 기관의 목표 달성을 위해 간행물 배포 등을 포함할 수 있다.[13] 미디어를 이용해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거나 감시 중인 작전을 노출시켜 외국 정보 기관의 행동을 유도하기도 한다. |
이중 스파이 | 두 개 이상의 정보 또는 보안 기관을 위해 비밀 활동을 하며, 한 기관의 정보를 다른 기관에 제공하거나, 한 기관의 지시에 따라 다른 기관으로부터 정보를 숨긴다.[18] 정보 판매자나 조작자처럼 자신을 위해 일하는 사람은 에이전트가 아니므로 이중 스파이가 아니다. 이중 스파이는 양측 모두와 에이전트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침투자와 구별된다. |
재이중 스파이 | 이중 스파이로 체포된 후, 외국 정보 기관을 오도하도록 강요받는 에이전트이다. |
무의식적인 이중 스파이 | 이중 스파이나 재이중 스파이로 모집되거나 강요받는 과정에서, 본인이나 원래 표적 정보 기관 모르게 제3의 정보 기관이나 자국 정부에 의해 다시 모집된 에이전트이다. 다른 국가와의 동맹을 추구하려는 에이전트로부터 중요 정보를 확보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이중 스파이는 일반적으로 양쪽 정보 기관과 작전 기법을 알고 있어 제3자 모집이 어렵다. |
잠복 에이전트 | 특정 임무 수행을 위해 깨어나도록 모집되어 관심 지역에서 은밀히 생활하는 에이전트이다. 지속적으로 정보 보고서를 제출하는 심층 잠복 요원과는 다르며, 활성화될 때까지 누구와도 접촉하지 않는다. |
삼중 스파이 | 세 개의 정보 기관을 위해 일하는 에이전트이다. |
그 외 덜 일반적인 에이전트 유형은 다음과 같다.
유형 | 설명 |
---|---|
접근 에이전트 | 다른 잠재적 에이전트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하며, 범죄자 프로파일링 정보를 제공하여 정보 기관의 모집 활동을 돕는다. |
혼란 에이전트 | 적 정보 기관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작전 중 표적의 활동을 방해하려 시도한다. |
시설 에이전트 | 작전, 재보급 등에 사용될 차고나 사무실 같은 건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한다. |
불법 에이전트 | 위조 신분증을 사용하여 다른 국가에 거주하며 현지 기지에 보고하지 않는다. 외교적 보호 없이 활동하는 비공식 은폐 요원을 지칭하기도 한다.[19] |
주요 에이전트 | 잘 구축된 에이전트 네트워크(종종 "우량"으로 간주됨)의 관리자 역할을 한다. |
이중 스파이(Double agent)는 두 개의 정보기관 또는 치안기관을 위해 비밀 활동(첩보 활동)을 수행하며, 한쪽 기관에 다른 쪽 기관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른 쪽 기관의 지시에 따라 한쪽 기관으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신중하게 숨기기도 한다.[52] 표적 조직에 침투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스파이(첩보원)의 주요 역할이다. 스파이는 조직 내부에 허위 정보를 유포하거나 정보를 은폐하고 혼란을 야기하여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47]
3. 2. 신호 정보 (SIGINT)
신호 정보(SIGINT)는 통신, 레이더 등 전자 신호를 가로채 분석하여 정보를 얻는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HUMINT를 통해 기밀 정보를 얻는 전통적인 의미의 간첩 행위와는 구분되는 정보 수집 분야 중 하나이다.[12]신호 정보는 기술적인 수단을 주로 활용하며, 특히 미국과 같은 국가는 통신 정보(COMINT)를 포함하는 신호 정보(SIGINT)나 영상 정보(IMINT)와 같은 기술적 정보 수집 방식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57] 반면, 구 소련의 경우 인적 정보 수집(HUMINT)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57]
3. 3. 영상 정보 (IMINT)
영상 정보(IMINT)는 인공위성이나 항공기 등을 이용해 촬영한 사진 및 영상 자료를 분석하여 정보를 얻는 정보 수집 활동을 말한다. 이는 HUMINT와는 다른 정보 수집 분야이며, 암호 해독(COMINT)이나 공개 출처 정보 분석(OSINT) 등과 마찬가지로 간첩 행위로 간주되지는 않는다.[12] 간첩 행위가 주로 사람을 통해 비밀 정보를 얻는 것이라면, 영상 정보 수집은 기술적 수단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미국은 SIGINT와 더불어 위성 영상 수집 및 분석, 즉 영상 정보(IMINT)와 같은 기술적 정보 수집 방법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57]3. 4. 공개 출처 정보 (OSINT)
공개 출처 정보(OSINT)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소스를 분석하는 정보 수집 분야이다.[12] 이는 인간 정보(HUMINT)를 활용하는 간첩 행위와는 다르다. 간첩 행위는 민감한 기밀 정보에 접근하거나 정보를 가진 사람에게 은밀하게 접근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OSINT는 합법적으로 공개된 정보를 다룬다.[12] 따라서 암호 해독(COMINT)이나 위성 사진 분석(IMINT)과 마찬가지로 OSINT는 간첩 행위로 간주되지 않는다.[12]정보 기관마다 선호하는 정보 수집 방식이 다른데, 예를 들어 구 소비에트 연방은 HUMINT를 선호한 반면, 미국은 SIGINT나 IMINT 같은 기술적 수단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57]
3. 5. 용어
뉴스 등에서는 '간첩 위성' 같은 말을 쓰기도 하지만, '간첩행위'는 모든 정보 수집 활동을 뜻하는 말은 아니다. 이것은 사람이 직접 정보를 얻는 인간 정보(HUMINT) 활동의 한 종류이다. 예를 들어 암호 해독 (COMINT)이나 위성 사진 촬영(IMINT), 공개된 자료 분석(OSINT) 등은 정보 수집 방법이지만 간첩행위는 아니다. 포로 심문, 군대의 정찰 활동, 외교관의 보고 같은 많은 인간 정보 활동도 간첩행위로 보지는 않는다. 간첩행위는 본질적으로 접근 권한이 없는 사람에게 기밀 정보를 몰래 넘겨주는 행위를 말한다. 다른 정보 수집 분야와 달리, 간첩행위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정보가 있는 곳에 접근하거나, 정보를 아는 사람에게 접근하여 은밀한 방법으로 정보를 빼내는 것을 포함한다. 오슬로 보고서나 로버트 한센의 경우처럼 물리적 접촉 없이 정보가 오가는 예외도 있다.미국 법률에서는 간첩행위를 "미국의 국익에 해를 끼치거나 외국의 이익을 도울 가능성이 있는 국방 관련 정보를 취득, 전달, 전송 또는 수신하는 행위"로 정의한다. ''블랙 법률 사전''(1990) 역시 "...국방과 관련된 정보의 수집, 전송 또는 유출..."로 정의한다. 이는 미국 연방법 제18편 제792조부터 제798조 및 군사 사법 통일법 제106a조 위반 행위이다.[12][48] 미국법상 반역죄[49], 첩보[50], 스파이 행위[51]는 각각 별개의 범죄이다.

첩보 활동과 관련된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스파이''' 또는 '''첩보원'''(Agent): 정보원으로부터 최고 기밀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고용된 사람을 말한다.[13] 정보 전문 용어에서 '첩보원'(agent영어)은 스파이 활동, 즉 첩보 활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첩보원은 자국이나 제3국을 정탐하거나 대항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 고용된 자국민일 수도 있고, 제3국을 염탐하거나 해당 국가 또는 제3국에 대항하여 활동하도록 제2국이 모집한 제1국 국민일 수도 있다. 흔히 '비밀 첩보원'(secret agent영어)이라고도 불린다.
- '''자산'''(Asset): 미국 정보 공동체에서는 첩보원이나 스파이를 지칭할 때 더 흔하게 사용하는 용어이다.
- '''정보 장교'''(Intelligence Officer), '''케이스 오피서'''(Case officer), '''특수 요원'''(Special agent): 첩보원(자산)을 모집하고 관리하며 지휘하는 정보기관의 직원을 말한다. 일상에서는 이들을 '첩보원'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외교관 신분 등으로 외교적 보호를 받는 정보 장교(공식적 신분 또는 비공식적 신분)가 첩보원을 지원하고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13]
- '''중개자'''(Cut-out): 첩보원이나 정보 장교를 직접 만나지 않고 메시지만 전달하는 연락책이다.
- '''안가'''(Safe house): 스파이를 위한 안전한 은신처이다.
- '''레전드'''(Legend): 스파이 활동을 위해 첩보 기술을 이용, 표적 조직에 침투할 때 사용되는 잘 만들어진 가짜 신분(배경)을 의미한다.[13] 때로는 '보호 증인'처럼 스파이가 아닌 일반인이 신분을 바꿔 재배치될 때도 사용된다.
- '''첩자'''(Mole): 비밀 정보에 접근하기 전에 모집되어 조직 내부에 심어진 첩보원.
- '''망명자'''(Defector): 비밀 정보에 접근한 후 자국을 떠나 망명한 사람.
- '''현장 망명자'''(Defector in place): 비밀 정보에 접근했지만 자국을 떠나지 않고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
첩보 활동에는 다양한 목적과 역할을 가진 첩보원(에이전트)들이 있다.
- '''선동자'''(Agent provocateur): 일부러 문제를 일으키거나 정보를 흘려 여러 사람을 함정에 빠뜨려 체포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 '''정보 에이전트'''(Information agent): 특별한 권한을 이용해 민감한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한다. 기업 정보 수집에서는 특정 사업 정보나 주식 포트폴리오 정보 등을 수집하기도 한다. 경제 정보 분야에서는 경제 동향 분석, 외국 금융 활동 추적 등의 역할을 한다.[17]
- '''영향력 행사자'''(Influence agent): 특정 분야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선전 활동이나 허위 정보 유포 등을 통해 정보기관의 목표 달성을 돕는다.[13] 미디어를 이용해 특정 기사를 보도하게 하여 외국 정보기관을 유도하거나 그들의 작전을 노출시키기도 한다.
- '''이중 스파이'''(Double agent): 두 개의 정보기관(때로는 그 이상)을 위해 비밀 활동을 수행하며, 한 기관 또는 각 기관에 대한 정보를 다른 기관에 제공하거나, 다른 기관의 지시에 따라 한 기관으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고의적으로 숨기기도 한다. 자신을 위해 정보를 파는 정보 판매자나 정보 조작자 등과는 구별된다. 이들은 양측 모두와 첩보원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적 조직에 침투한 침투자(penetrator)와는 다르다.[18][52]
- '''재이중 스파이'''(Re-doubled agent): 이중 스파이 활동이 발각된 후, 역으로 이용당해 원래 소속되었던 정보기관을 속이는 임무를 맡게 된 스파이.
- '''무의식적인 이중 스파이'''(Unwitting double agent): 자신이 이중 스파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제3의 정보기관이나 자국 정부에 의해 이용당하는 경우. 이중 스파이는 보통 양쪽 정보기관과 그들의 작전 기법을 알기 때문에 제3자에게 포섭되기 어렵다.
- '''잠복 에이전트'''(Sleeper agent): 특정 임무를 위해 활동 지역에 조용히 잠입해 있다가, 지령을 받으면 활동을 개시('활성화')하는 첩보원. 지속적으로 정보를 보고하는 '심층 잠복 요원'과는 구별되며, 활성화 전까지는 누구와도 접촉하지 않는다.
- '''삼중 스파이'''(Triple agent): 세 개의 정보기관을 위해 활동하는 첩보원.
덜 일반적이거나 덜 알려진 첩보원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접근 에이전트'''(Access agent): 다른 잠재적 첩보원을 포섭할 수 있도록 접근 경로를 열어주거나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 '''혼란 에이전트'''(Confusion agent): 적 정보기관에 혼란을 줄 수 있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대방의 작전을 방해한다.
- '''시설 에이전트'''(Facilities agent): 작전 수행, 재보급 등에 필요한 건물(예: 차고, 사무실 등)이나 장소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한다.
- '''불법 에이전트'''(Illegal agent): 위조된 신분으로 활동 국가에 잠입해 있으며, 현지의 공식 기관(대사관 등)에는 보고하지 않는다. 비공식적 신분(NOC, Non-official cover)으로 외교적 보호 없이 활동하는 요원을 지칭하기도 한다.[19]
- '''주요 에이전트'''(Principal agent): 여러 첩보원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우량 에이전트 네트워크)의 관리자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첩보 활동과 관련하여 인적 자원 활용, 은폐 장치, 비밀 요원, 도청 장치, 사이버 스파이 활동, 암호화된 통신, 가짜 깃발 작전, 위장 단체, 허니팟, 사칭, 심문, 숫자 메시지, 사보타주, 측 채널 공격, 스파이 함선, 스테가노그래피, 감시, 감시 항공기, 감시 기구 등 다양한 용어와 개념이 사용된다.[33]
한편, 적국의 스파이 활동을 막고 방해하는 활동을 방첩(Counterintelligence)이라고 하며, 기업의 비밀 정보를 빼내는 행위는 산업 스파이라고 부른다.
4. 첩보의 대상
(산업 첩보 참조)
(군사 첩보 참조)
(방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