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권은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로 자리 잡은 지역을 의미하며, 서양 문명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용어는 9세기 앵글로색슨 시대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기독교 세계를 정치체로 나타내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초기 기독교는 로마 제국 내에서 성장하여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밀라노 칙령과 니케아 공의회를 거치며 국교로 자리 잡았고, 중세 시대에는 교황권의 부상과 함께 유럽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동서 교회의 분열, 십자군 전쟁, 종교 개혁을 거치면서 기독교는 다양한 교파로 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서는 민주주의, 여성의 역할, 사회적 책임 등 다양한 문제와 관련하여 논의되고 있다. 기독교는 예술, 문학, 건축 등 다양한 문화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사회에도 교육, 의료, 사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여해왔다.

2. 용어

앵글로색슨 용어 ''crīstendōm''은 9세기에 잉글랜드 남부 어딘가, 아마도 웨섹스의 왕 알프레드 대왕의 궁정에서 서기(書記)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 서기는 파울루스 오로시우스의 저서 ''이교도에 맞선 역사''를 번역하고 있었고, 예수 그리스도에 초점을 맞춘 보편적인 문화를 표현할 용어가 필요했다.[10] 이것은 현재 ''기독교''가 가지는 의미와 같았으며, 동족어인 네덜란드어 ''christendom''도 마찬가지이다.[11] (네덜란드어 ''christendom''은 주로 종교 자체를 의미하며, 독일어 ''Christentum''과 같다).[12]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인 지역"이라는 단어의 현재 의미는 중세 후기 영어에 나타났다.[14]

캐나다의 신학 교수 더글러스 존 홀은 1997년에 "기독교권"은 문자 그대로 기독교의 지배 또는 주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13] 로마 가톨릭 로스앤젤레스 대교구의 로마 가톨릭 보조 주교인 토마스 존 커리는 2001년에 기독교권을 "정부가 기독교를 지지하고 장려한 4세기에 시작된 체제"로 정의했다.[15] 커리는 기독교권의 종말은 현대 정부가 "기독교의 가르침, 관습, 정신, 실천을 지지"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말한다.[15] 영국의 교회사학자 다이아미드 맥컬로흐는 2010년에 기독교권을 "기독교와 세속 권력의 연합"으로 묘사했다.[62]

3. 역사

앵글로색슨 용어 ''crīstendōm''은 9세기 잉글랜드 남부, 아마도 웨섹스의 왕 알프레드 대왕의 궁정에서 서기(書記)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 서기는 파울루스 오로시우스의 저서 ''이교도에 맞선 역사''를 번역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에 초점을 맞춘 보편적인 문화를 표현할 용어가 필요했다.[10] 이는 현재 ''기독교''가 가지는 의미와 같았다.[11],[12]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인 지역"이라는 단어의 현재 의미는 중세 후기 영어 (1400년경)에 나타났다.[14]

캐나다의 신학 교수 더글러스 존 홀은 (1997) "기독교권"은 문자 그대로 기독교의 지배 또는 주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13] 로마 가톨릭 로스앤젤레스 대교구의 로마 가톨릭 보조 주교인 토마스 존 커리는 (2001) 기독교권을 "정부가 기독교를 지지하고 장려한 4세기부터 시작된 체제"로 정의했다.[15] 커리는 기독교권의 종말은 현대 정부가 "기독교의 가르침, 관습, 정신, 실천을 지지"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말한다.[15] 영국의 교회사학자 다이아미드 맥컬로흐는 (2010) 기독교권을 "기독교와 세속 권력의 연합"으로 묘사했다.[62]

"유럽"과 "서방 세계"라는 개념은 "기독교와 기독교권"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통일된 유럽 정체성을 창출한 연결 고리가 기독교라고 생각한다.[17] 기독교의 역사는 서양 문명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3. 1. 초기 기독교

초기 기독교는 1세기 유대교 분파로서 그리스/로마 세계와 그 너머로 퍼져나갔으며,[18] 역사가들은 이를 유대교 기독교라고 부른다. 초기 기독교는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초대 사도들이 살아있고 교회를 조직했던 사도 시대이고, 두 번째는 초기 역사적 주교제도가 발전하여 주교들이 감독하는 감독 (감독자)가 다스리는 사도 이후 시대이다.

사도 이후 시대는 사도들이 사망한 후, 주교들이 도시 기독교 인구를 감독하는 감독자로 등장한 시기이다. ''기독교'' (그리스어 Χριστιανισμόςgrc) 와 ''가톨릭'' (그리스어 καθολικόςgrc) 이라는 용어는 이 시기인 2세기 기독교의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가 기원후 107년경에 처음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19] 초기 기독교 세계는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즉위와 기원후 313년의 밀라노 칙령, 그리고 325년의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이후 로마 황제의 기독교 박해가 끝나면서 막을 내렸다.[20]

서기 600년까지의 기독교 전파 (짙은 파란색은 서기 325년까지의 초기 기독교 전파를 나타냄)


콘스탄티누스 황제와 주교들이 제1차 니케아 공의회(서기 325년)에서 381년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든 모습을 묘사한 아이콘

3. 2. 중세 시대



중세 시대 "크리스타덤"은 기독교 세계를 하나의 정치체로 보는 개념이었다. 이 시기 기독교 성직자들은 정치 권력을 행사했으며, 정치 지도자들과 성직자 간의 관계는 다양했지만, 이론적으로 국가와 정치의 분열은 교회의 지도력 아래 흡수되었다.[24] 이러한 교회-국가 관계 모델은 유럽 역사에서 다양한 교회 및 정치 지도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교회는 점차 로마 제국의 중요한 기관이 되었다.[25]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313년에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여 기독교에 대한 관용을 선포했고, 325년에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니케아 신조를 발표했다.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는 380년 테살로니카 칙령을 통해 니케아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지정했다.[26]

서로마 제국이 붕괴되어 봉건 왕국공국으로 분열되면서, 크리스타덤의 개념은 변화했다. 서방 교회는 오방교회의 다섯 교구 중 하나가 되었고, 동로마 제국의 기독교인들은 발전했다. 비잔틴 제국은 크리스타덤의 마지막 보루였다.[30] 이후 크리스타덤은 기독교 신앙으로 개종하고 로마와의 친교에 들어간 게르만 부족인 프랑크족의 부상과 함께 변화를 겪게 된다.

800년 크리스마스에 교황 레오 3세가 샤를마뉴에게 대관식을 거행하면서, 비잔틴 국가의 기독교 황제 외에 또 다른 기독교 왕이 탄생했다.[31] 카롤링거 제국은 비잔틴 제국과 대조되는 분산된 문화 대 중앙 집권적인 문화라는 ''크리스타덤''의 정의를 만들었다.[32]

윌 듀런트는 플라톤이상적인 공동체의 특정 두드러진 특징이 유럽의 "중세 교회"의 조직, 교리 및 효과에서 감지할 수 있다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했다:[33]

> ... 지난 천 년 동안 유럽은 우리 철학자가 생각했던 것과 상당히 유사한 수호자들의 질서에 의해 통치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크리스타덤의 인구를 ''노동자'' (노동자), ''전사'' (군인), ''기도자'' (성직자)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 번째 집단은 수가 적었지만 문화의 도구와 기회를 독점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대륙의 절반을 거의 무제한의 지배력으로 통치했다. 성직자들은 플라톤의 수호자처럼, 교회 연구와 행정에서 나타난 재능, 명상과 단순한 삶에 대한 그들의 성향, 그리고 ... 국가와 교회의 권력과의 관계를 통해 권위를 부여받았다. 그들이 통치했던 후반부 [800년 이후]에서, 성직자들은 플라톤조차도 [그러한 수호자들을 위해] 바라듯이 가족의 걱정으로부터 자유로웠다... [성직자] 독신은 성직자 권력의 심리적 구조의 일부였다; 왜냐하면 한편으로는 그들은 가족의 제한적인 이기심에 방해받지 않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육체의 부름에 대한 그들의 분명한 우월성은 세속 죄인들이 그들에게 가졌던 경외심을 더했기 때문이다....''[33]''

3. 3. 종교 개혁과 근대

종교 개혁근대성의 부상은 'Corpus Christianum'(그리스도교 세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555년 신성 로마 제국에서 맺어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는 모든 기독교인이 하나의 교회 아래 통일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55] ''cuius regio, eius religio''(그 지역의 지배자가 그의 종교를 결정한다) 원칙은 기독교의 종교적, 정치적, 지리적 분열을 확립했다. 이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통해 확립되어, 가톨릭 교회만이 유일한 참된 교회라는 교리에도 불구하고 신성 로마 제국 영토 내에서 단일 기독교 패권 개념을 법적으로 종식시켰다.[56]

결과적으로 각 정부는 자체 국가의 종교를 결정하게 되었다. 국교가 아닌 종파에 속한 기독교인은 정해진 시간에 공공장소에서, 그리고 원할 경우 사적으로 자신의 신앙을 실천할 권리를 보장받았다.[56] 때때로 잘츠부르크 개신교도와 같이 반대 신앙을 가진 사람들의 대량 추방이 발생하기도 했다. 어떤 사람들은 공식 교회를 따르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니고데모인 또는 비밀 개신교 신자로 살았다.[57]

유럽 종교 전쟁은 보통 베스트팔렌 조약(1648년)으로 끝난 것으로 여겨진다.[58] 혹은, 9년 전쟁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포함하여 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으로 끝났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59] 18세기에는 기독교 분파 간의 종교적 갈등이나 이슬람 세력의 외부 위협보다는, 국가의 발전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3. 4. 한국의 기독교 역사

한국의 기독교는 18세기 말 천주교 전래를 시작으로, 19세기 말 개신교 선교사들의 활동을 통해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민족 운동과 독립 운동에 참여하며 민족의 희망과 위로가 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사회 발전과 민주화 운동에 기여하며 한국 사회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자리 잡았다.

4. 주요 기독교 교파

세계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 개신교, 동방 정교회, 성공회 등 다양한 교파가 있다.

4. 1. 교파별 규모

2010년 퓨 리서치 센터 자료에 따르면, 기독교 내 주요 종파의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다.[129]

}

| 50.1

| 15.9

|-

| 개신교

|

| 36.7

| 11.6

|-

| 정교회

|

| 11.9

| 3.8

|-

| 기타 기독교

|

| 1.3

| 0.4

|-

! 기독교

!

! 100

! 31.7

|}

2009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기독교는 유럽(러시아 포함)에서 80%, 라틴 아메리카에서 92%, 북아메리카에서 81%, 오세아니아에서 79%를 차지하며 다수 종교였다.[109] 또한 중국, 인도, 중앙아시아와 같은 세계 다른 지역에도 대규모 기독교 공동체가 있으며, 이곳에서 기독교는 이슬람교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기독교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뒤를 브라질과 멕시코가 잇는다.[110]

4. 2. 한국의 주요 교파

한국에서는 개신교가 가장 큰 교세를 가지고 있으며, 장로회, 감리회, 성결교, 침례회, 순복음교회 등 다양한 교단이 활동하고 있다. 천주교 역시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 복지와 인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5. 기독교 문화

서양 문화는 역사 대부분 동안 사실상 기독교 문화와 동일했으며, 서반구 인구의 상당수는 문화적 기독교인으로 묘사될 수 있다. "유럽"과 "서구 세계"라는 개념은 "기독교와 기독교 세계"라는 개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왔으며, 많은 사람들은 심지어 기독교가 통일된 유럽 정체성을 창출한 연결 고리라고 생각한다.[17] 스탠퍼드 대학교의 역사가 폴 레굿코는 가톨릭 교회가 "우리가 서양 문명이라고 부르는 가치, 아이디어, 과학, 법률, 제도의 발달의 중심에 있다"고 말했다.[9]

계몽주의 시대까지,[66] 기독교 문화는 철학, 문학, 예술, 음악 및 과학의 흐름을 이끌었다.[65][7] 각 예술 분야의 기독교적 규율은 이후 기독교 철학, 기독교 미술, 기독교 음악, 기독교 문학 등으로 발전했다. 교회는 대성당, 대학교, 수도원, 신학교를 세웠으며, 이 중 일부는 오늘날까지 존재한다. 중세 기독교는 최초의 현대 대학교를 만들었다.[67][68]

기독교는 사회 복지,[77] 병원 설립,[78] 경제(프로테스탄트 윤리),[79][80] 자연법 (이후 국제법 제정에 영향을 미침),[81] 정치,[82] 건축,[83] 문학,[84] 개인 위생,[85][86] 및 가족 생활[87]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는 이교도 사회에서 흔히 행해지던 인신 제사, 노예 제도,[88] 영아 살해 및 일부다처제와 같은 관행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다.[89]

과학, 특히 기하학천문학은 중세 시대 대부분의 학자들에게 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이 우주에 규칙적인 기하학적이고 조화로운 원리를 부여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러한 원리를 찾는 것은 곧 하나님을 찾고 숭배하는 것이었다.

5. 1. 예술과 문학

기독교 미술기독교의 원리를 유형적인 형태로 설명하고, 보충하며, 묘사하기 위해 제작된 미술 작품이다. 거의 모든 기독교 단체가 어느 정도 미술을 사용하거나 사용해왔다. 미술과 매체, 스타일, 표현의 중요성은 변화하지만, 궁극적인 통일된 주제는 예수의 생애와 시대를 묘사하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구약도 포함된다. 특히 성공회,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에서는 성인들의 묘사도 흔하다.[94]

'''채색 필사본'''은 장식이 추가되어 문자가 보충된 필사본이다.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실질적인 채색 필사본은 서기 400년부터 600년 사이의 것으로, 주로 아일랜드, 콘스탄티노폴리스, 이탈리아에서 제작되었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필사본은 중세 시대의 것이지만, 15세기의 르네상스 시대의 채색 필사본과 후기 고대 시대의 극소수의 필사본도 남아있다.[91]

채색 필사본에 담긴 위엄 있는 그리스도 그림


대부분의 채색 필사본은 두루마리를 대체한 코덱스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몇몇 단편적인 단일 시트가 남아 있다. 극소수의 채색 필사본 조각이 파피루스에 남아 있다. 중세 시대의 대부분의 필사본은 채색 여부와 관계없이 양피지(가장 흔하게는 송아지 가죽, 양, 또는 염소 가죽)에 쓰였지만, 채색할 만큼 중요한 대부분의 필사본은 벨럼이라고 불리는 최고 품질의 양피지(전통적으로 분할되지 않은 송아지 가죽으로 만들어짐)에 쓰였다. 다른 가죽으로 만든 고품질 양피지도 ''양피지''라고 불렸다.[92]

종교 이미지는 아브라함 계통 종교인 기독교에서도 어느 정도 사용되며, 수 세기에 걸쳐 축적된 전통을 반영하는 매우 복잡한 도상학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93] 후기 고대 시대에 도상학은 표준화되기 시작했으며, 정경 복음서의 서술에 많은 공백이 외경의 내용으로 채워졌지만, 성경 텍스트와 더욱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결국 교회는 대부분의 내용을 제거하는 데 성공했지만, 예수 탄생에서 소와 나귀와 같은 일부는 남아 있다.

900년경(프레슬라프, 불가리아)으로 추정되는 성 테오도르 성상. 이와 같이 오래된 도자기 성상은 거의 없다.


성상은 종교적인 미술 작품으로, 주로 동방 기독교의 그림이다. 기독교는 시작부터 상징을 사용해 왔다.[94] 동서양 모두에서, 예수 그리스도, 마리아, 성인 및 기타 주제에 대한 수많은 성상 유형이 개발되었다. 아기 예수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마리아의 성상 유형의 수는 특히 동방에서 많았고, 반면 그리스도 판토크라토르는 그리스도의 가장 일반적인 이미지였다.

기독교 상징은 기독교적 사상을 표현하는 내적 의미를 가진 물건이나 행위에 부여한다. 기독교는 대부분의 시대와 세계 모든 지역에 알려진 중요한 상징들의 공통적인 자료를 차용했다.[95] 종교 상징은 지성과 감성에 모두 호소할 때 효과적이다. 마리아의 특히 중요한 묘사에는 호데게트리아와 파나기아 유형이 있다. 그리스도의 생애, 성모 마리아의 생애, 구약의 일부, 그리고 점점 더 대중적인 성인의 삶을 다루는 대형 사이클을 포함하여, 서술적 그림을 위한 전통적인 모델이 발전했다. 특히 서방에서는 표준적인 모습과 상징적인 물체를 통해 성인의 개별적인 인물을 식별하기 위한 상징의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동방에서는 텍스트 레이블로 식별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94]

각 성인은 모범적인 삶을 살았던 이야기와 이유를 가지고 있다. 상징은 교회의 역사 전반에 걸쳐 이러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다. 많은 기독교 성인들은 그들을 식별하기 위해, 삶과 관련된 상징 또는 성상 모티프(속성 또는 상징이라고 함)로 전통적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형태를 연구하는 것은 미술사도상학의 일부를 이룬다.[96]

전형적인 고딕 대성당 구조


기독교 건축은 기독교 창시부터 현재까지의 다양한 세속적, 종교적 양식을 포괄하며, 기독교 문화 내 건물 및 구조물의 설계와 건설에 영향을 미쳤다.[97] 건물은 처음에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던 것을 개조하여 사용했지만, 독자적인 교회 건축이 등장하면서 교회 건물은 세속적인 건물에 영향을 미쳤고, 세속 건물은 종종 종교 건축을 모방했다. 20세기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새로운 재료의 사용과 더 단순한 양식이 교회의 설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의 흐름이 역전되었다고 주장할 수 있다.[98] 기독교 탄생부터 현재까지 서양에서 기독교 건축의 가장 중요한 변화 시기는 고딕 대성당이었다. 동방에서는 비잔틴 건축로마 건축의 연장이었다.[99]

기독교 문학은 기독교적 주제를 다루고 기독교 세계관을 담고 있는 문학 작품을 말한다. 이는 매우 다양하고 방대한 저작물을 구성한다. 기독교 시기독교의 가르침, 주제, 또는 언급을 담고 있는 모든 를 의미한다. 기독교가 자리 잡은 모든 분야에서 기독교는 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 시는 종종 성경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다른 시들은 우화를 제공한다.[90]

5. 2. 철학과 윤리

기독교 철학은 다양한 철학 분야와 기독교의 신학 교리를 융합한 것을 설명하는 용어이다.[100] 스콜라 철학은 "학교에 속한 것"을 의미하며, 1100년부터 1500년까지 중세 대학교의 학자(또는 '학교 사람들')들이 가르친 학습 방법이었다.[101] 스콜라 철학은 원래 고대 고전 철학자들의 철학과 중세 기독교 신학을 조화시키기 위해 시작되었다. 스콜라 철학은 그 자체로 철학이나 신학이 아니라 변증법적 추론을 강조하는 학습 도구이자 방법이다.[101]

5. 3. 한국 문화에 미친 영향

기독교는 한국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양 문물을 소개하고, 교육 및 의료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개신교 선교사들은 학교와 병원을 설립하여 근대 교육과 의료 기술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기독교는 민주주의인권 사상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일제강점기에는 3·1 운동과 같은 독립운동에 기독교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민족의 독립 의지를 고취했다.

사회 복지 활동을 통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고아원, 양로원, 병원 등을 운영하며 소외된 이웃에게 사랑을 실천했다.

6. 기독교와 현대 사회

유럽의 기적, 계몽주의 시대, 거대한 식민 제국의 형성은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함께 지정학적 "기독교 세계"의 종말을 알렸다.[60] 서구 역사의 초점은 국가의 발전에 맞춰졌으며, 이는 무신론의 역사세속주의 증가를 동반했고,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전쟁으로 절정에 달했다.[60]

교황 바오로 6세는 1964년 교황 회칙 ''Ecclesiam Suam''에서 세계의 한 부분이 기독교적 문화 기초에서 벗어났지만, 이전에는 기독교에 깊이 스며들어 있었다고 언급했다.[61] 더글러스 존 홀은 1997년에 기독교 세계가 이미 멸망했거나 죽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토마스 존 커리 주교는 2001년에 현대 정부가 "기독교의 가르침, 관습, 정신, 실천"을 지지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기독교 세계가 종말을 맞이했다고 말했다.[15] 그는 미국 헌법 수정 제1조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종교 자유에 관한 선언이 그 종말을 위한 가장 중요한 두 문서라고 주장했다.[15]

영국 역사가 디어미드 맥컬로흐(2010)에 따르면, 기독교 세계는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사망'했으며, 이는 유럽의 세 주요 기독교 제국(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과 오스만 제국의 몰락으로 이어졌고, 그 영토에 존재했던 동방 기독교 공동체를 파괴했다.[62]

지난 세기 동안 전 세계 기독교의 변화는 상당했으며, 1900년 이후 기독교는 글로벌 사우스와 제3세계 국가에서 빠르게 확산되었다.[63] 20세기 후반은 기독교 신앙이 제3세계와 남반구로 이동했음을 보여주었으며,[64] 2010년까지 세계 약 157개 국가와 지역이 기독교 다수를 차지했다.[1]

330px

6. 1. 기독교와 민주주의

기독교 민주주의는 기독교 원리를 공공 정책에 적용하려는 정치 이념이다. 19세기 유럽에서 주로 가톨릭 사회 교리의 영향을 받아 등장했다. 많은 국가에서 기독교 민주주의의 기독교적 정신은 세속화로 인해 약화되었다. 실제적으로 기독교 민주주의는 문화, 사회, 도덕적 문제에 있어서는 보수적으로, 재정 및 경제 문제에 있어서는 진보주의적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상대가 전통적으로 세속적인 사회주의와 사회 민주주의였던 곳에서는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이 온건한 보수주의를 띠는 반면, 다른 문화적, 정치적 환경에서는 좌파로 기울어질 수 있다.[1]

6. 2. 여성의 역할

기독교 내 여성의 역할에 대한 태도와 믿음은 지난 2천 년 동안 매우 다양하게 변화해 왔으며, 기독교인들이 살아온 사회와 함께 발전하거나 그에 반하여 변화해 왔다. 성경과 기독교는 역사적으로 여성을 교회 지도자에서 배제하고 결혼에서 종속적인 역할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교회, 결혼, 사회 및 정부에서 남성 리더십이 당연시되어 왔다.[132]

일부 현대 작가들은 교회 생활에서 여성의 역할이 기독교 역사의 대부분에서 축소되고, 간과되거나, 부정되었다고 묘사한다. 사회와 많은 교회에서 성 역할의 패러다임 전환은 많은 기독교인들이 오랫동안 유지해 온 일부 반대 입장에 대한 재평가를 불러일으켰다. 기독교 평등주의자들은 기독교의 결혼관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역할뿐만 아니라 여성 안수에 대한 주장을 점점 더 강화하고 있다. 한편, 현대 보수주의자들은 교회의 전통적인 믿음을 옹호하는 "상호보완주의"라고 불리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성경이 교회와 가정에서 여성과 남성에게 서로 다른 역할과 책임을 부여한다고 주장한다.[133]

참조

[1]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s://assets.pewre[...] Pew Research Center
[2] 서적 The Christian World: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3] 웹사이트 Christendom http://www.merriam-w[...]
[4] 서적 The Jews of Medieval Western Christendom: 1000-15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1-26
[5] 문서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1993–2002) s.v. "christendom. §1.3 Scheidingen"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6] 문서 Chazan, p. 5.
[7] 서적 Crisis in Western Education CUA Press
[8]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9] 웹사이트 Review of ''How the Catholic Church Built Western Civilization'' by Thomas Woods, Jr. http://www.nrbookser[...] 2006-09-16
[10]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The First Three Thousand Years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18-01-26
[11] 웹사이트 Translate christendom from Dutch to English https://www.interglo[...]
[12] 웹사이트 CHRISTENTUM - Translation in English - bab.la https://en.bab.la/di[...]
[13] 서적 The End of Christendom and the Future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8-01-28
[14] 웹사이트 Christendom | Origin and meaning of christendom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15] 서적 Farewell to Christendom: The Future of Church and State in Americ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1-28
[16] 서적 Secularism: Western And Indian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P) Limited
[17] 서적 Crisis in Western Education CUA Press
[18] 문서 Acts
[19] 문서 Walter Bauer, Greek-English Lexicon
[20]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19-10-13
[21] 뉴스 Impish defense of Christianity; The End of Christendom, by Malcolm Muggeridge https://www.csmonito[...] 2018-01-28
[22] 문서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1993–2002) s.v. "Justinianus I"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23] 문서 Hall (2002), p. 1–9.
[24] 문서 Episcopacy
[25] 문서 The church in the Roman empire before A.D. 170 Sir William Mitchell Ramsay
[26] 문서 The ecclesiastical edicts of the Theodosian code Columbia University Press
[27] 문서 Cameron
[28] 문서 Cameron
[29] 문서 Browning
[30] 서적 The Art of War in World History: From Antiquity to the Nuclear 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 서적 The ancient world from the earliest times to 800 A.D. ... https://books.google[...] Allyn and Bacon
[32] 서적 The Rise of Western Christendom: Triumph and Diversity 200-1000 AD https://books.google[...] Wiley
[33] 서적 Story of Philosophy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13-12-10
[34] 문서 Shaping a global theological mind
[35] 문서 Prefaces to Canon Law books in Latin Christianity: Selected translations, 500-1245; commentary and translations Yale Univ. Press
[36] 서적 History of canon law Peeters Press 1991
[37] 서적 Canon law and the Christian community Gregorian & Biblical BookShop 1978
[38] 서적 Code of canon law, Latin-English edition: New English translation Canon Law Society of America 1998
[3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0] 서적 The Byzantine Empire, 1025-1204: A political history Longman 1997
[41] 서적 The History of the Balkan Peninsula: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and Company
[42] 서적 The history of creeds https://books.google[...] Harper
[43] 웹사이트 Christendom
[44] 문서 2010
[45] 문서 1903
[46] 웹사이트 Inquisition
[47] 서적 The reforms of the Council of Constance, 1414-1418 E.J. Brill 1994
[48] 간행물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Vol 2: The Reformation (1903) https://www.questia.[...]
[49] 웹사이트 The Papacy during the Renaissance http://www.metmuseum[...] 2007-08
[50] 웹사이트 Papal Rome http://www.oxfordbib[...] 2011-08-26
[51] 웹사이트 Background for Italian Renaissance http://faculty.uml.e[...] 2011-08-26
[52] 서적 The Life of Reason http://www.gutenberg[...] Dover Publications
[53] 문서 This was presaging the modern nation-state
[54] 웹사이트 The Anglican Domain: Church History http://anglican.org/[...]
[55] 웹사이트 Peace of Augsburg https://www.britanni[...] 2023-09-18
[56] 웹사이트 The Peace of Westphalia https://pages.uorego[...]
[57] 간행물 Protestantizem in bukovništvo med koroškimi Slovenci 2004
[58] 서적 Europese democratieën: vrijheid, gelijkheid, solidariteit en soevereiniteit in praktijk https://books.google[...]
[59] 웹사이트 Wars of Religion https://www.britanni[...] 2021-06-26
[60] 서적 The Cleaving of Christendom - A history of Christendom vol. 4 Christendom Press
[61] 웹사이트 Ecclesiam Suam https://www.vatican.[...] 1964-08-06
[62] 문서 2010
[63] 서적 The Next Christendom: The Coming of Global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64] 서적 Christianity as a World Religion Continuum 2008
[65] 서적 The Catholic Church: Journey, Wisdom, and Mission https://archive.org/[...] St. Mary's Press
[66] 서적 The Catholic Church: Journey, Wisdom, and Mission https://archive.org/[...] St. Mary's Press
[67] 간행물 "Foreword. The University as a European Institution", in: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Vol. 1: Universities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68] 문서 1999
[69] 웹사이트 Valetudinaria http://broughttolife[...]
[70] 서적 Mending Bodies, Saving Souls: A History of Hospital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04
[71]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Tübingen (Germany) 1956
[72] 웹사이트 Forms of Christian education https://www.britanni[...]
[73] 간행물 "Foreword. The University as a European Instit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74] 서적 Culture, enseignement et société en Occident aux XIIe et XIIIe siècles https://openlibrary.[...]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in Rennes 1999
[75] 서적 Richter's Scale: Measure of an Earthquake, Measure of a Man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76] 웹사이트 Jesuit https://www.britanni[...]
[77] 웹사이트 Church and social welfare https://www.britanni[...]
[78] 웹사이트 Care for the sick https://www.britanni[...]
[79] 웹사이트 Property, poverty, and the poor https://www.britanni[...]
[80] 서적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1905
[81] 서적 God, Locke, and Equality: Christian Foundations in Locke's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82] 웹사이트 Church and state https://www.britanni[...]
[83] 문서 History of Architecture on the Comparative Method
[84] 간행물 "Charting the 'Rise of the West':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in Europe, A Long-Term Perspective from the Sixth through Eighteenth Centuries" 2009
[85] 서적 Baths and Basins: The Story of Domestic Sanitation Stroud, England: Sutton 2002
[86] 웹사이트 Christianity in Action: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Salvation Army https://archive.org/[...]
[87] 웹사이트 The tendency to spiritualize and individualize marriage https://www.britanni[...]
[88] 문서
[89] 문서
[90] 서적 The Celestial Cycle: The Theme of Paradise Lost in World Literature with Translations of the Major Analogu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52
[91] 간행물 Written Word in Medieval Society 2018
[92]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Parchment, Vellum and Paper https://www.archives[...] 2016-08-15
[93] 웹사이트 Answering Eastern Orthodox Apologists regarding Icons https://www.thegospe[...]
[94] 문서 Symbolism
[95] 서적 Christian Symbolism Kessinger Publishing 2004
[96] 서적 Picturing Roman Belief Systems: The iconography of coins in the Republic and Empire http://dx.doi.org/10[...]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Oxford) Ltd 2023-04-30
[97] 서적 A History of Architecture
[98] 웹사이트 19th- and 20th-Century Roman Catholic Churches https://historicengl[...] 2017
[99] 웹사이트 Byzantine Architecture https://www.worldhis[...]
[100] 서적 Philosophy and Christian Theolog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6
[10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cholasticism https://www.newadven[...]
[102] 문서 The Measure of Reality : Quantification in Western Europe, 1250–1600
[103] 웹사이트 Christianity and the rise of western science http://www.abc.net.a[...] 2012-05-08
[104] 간행물 Science, Religion, and A.D. White: Seeking Peace in the "Warfare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https://web.archive.[...] The Biologos Foundation
[105] 서적 God & Nature: Historical Essays on the Encounter Between Christianity and Sc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8, World Christianities C.1815-c.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7] 서적 Galileo Goes to Jail and Other Myths about Science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11-08
[108] 서적 Galileo Goes to Jail and Other Myths about Science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11-08
[109] 서적 Britannica Book of the Year 2010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2018-01-30
[110] 웹사이트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www.pewforum.[...] 2011-12-19
[111] 백과사전 Argentina https://www.britanni[...] 2008-05-11
[112] 웹사이트 Gov. Pataki Honors 1700th Anniversary of Armenia's Adoption of Christianity as a state religion http://www.anca.org/[...] Aremnian National Committee of America 2009-04-11
[113] 백과사전 Costa Rica https://www.britanni[...] 2008-05-11
[114] 백과사전 Denmark https://www.britanni[...] 2008-05-11
[115] 백과사전 El Salvador https://www.britanni[...] 2008-05-11
[116] 웹사이트 Church and State in Britain: The Church of privilege http://www.centrefor[...] Centre for Citizenship 2008-05-11
[117] 백과사전 Iceland https://www.britanni[...] 2008-05-11
[118] 웹사이트 Liechtenstein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08-05-11
[119] 백과사전 Malta https://www.britanni[...] 2008-05-11
[120] 백과사전 Monaco https://www.britanni[...] 2008-05-11
[121] 백과사전 Norway https://www.britanni[...] 2008-05-11
[122] 백과사전 Vatican https://www.britanni[...] 2008-05-11
[123] CIA World Factbook 2022-07-27
[124] 웹사이트 Christianity 2015: Religious Diversity and Personal Contact http://www.gordoncon[...] gordonconwell.edu 2015-05-29
[125] 웹사이트 Major Religions Ranked by Size http://www.adherents[...] Adherents.com 2009-05-05
[126]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http://www.pewforum.[...] Pewforum.org 2012-08-17
[127] 문서 Hinnells, The Routledge Companion to the Study of Religion
[128] 뉴스 How many Roman Catholics are there in the world? https://www.bbc.com/[...] 2013-03-14
[129]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www.pewforum.[...] 2011-12-19
[130] CathEncy
[131] 문서 Burns, "Aquinas's Two Doctrines of Natural Law."
[132] 문서 Blevins, Carolyn DeArmond, Women in Christian History: A Bibliography. Macon, Georgia: Mercer Univ Press, 1995.
[133] 서적 Recovering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https://archive.org/[...] Crossway
[134] 웹사이트 Merriam-Webster.com : dictionary, "Christendom" http://www.merriam-w[...]
[135] 서적 The Christian World: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기독교 내 주요 종파의 인구 통계 (퓨 리서치 센터, 2010년 자료)
종파신자 수기독교 인구 대비 비율(%)세계 인구 대비 비율(%)
로마 가톨릭교회{{cvt|1094|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