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론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신론의 역사는 고대 인도 철학에서 시작되어, 자이나교, 불교, 차르바카 학파 등에서 신의 존재를 부정하거나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사상이 나타났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철학자, 소피스트, 에피쿠로스학파 등이 무신론적 견해를 제시했으며, 기독교가 로마 제국에서 세력을 얻으면서 무신론은 이단으로 간주되어 박해받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는 무신론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종교적 비판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무신론이라는 단어가 생겨나고, 계몽주의 시대에는 볼테르, 홀바흐 등을 중심으로 무신론이 확산되었다. 19세기에는 자유사상, 합리주의 운동과 함께 무신론이 퍼져나갔으며, 마르크스, 니체 등은 종교를 비판했다. 20세기에는 실존주의, 마르크스주의, 분석철학 등 다양한 철학에서 무신론이 인정받았고,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국가 무신론 정책이 시행되었다. 21세기에는 신무신론 운동이 나타나고, 세속주의가 확산되면서 무신론은 서구 사회에서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인도 철학은 고대부터 다양한 무신론적 전통을 포함해 왔다. 동아시아에서는 기원전 6세기부터 자이나교, 불교, 인도에서 다양한 종파의 힌두교, 그리고 중국의 도교가 등장하면서 신의 개념에 집중하지 않는 사색적인 삶이 시작되었다. 이 종교들은 신을 숭배하지 않는 철학적이고 구원적인 길을 제시했다.
유럽의 고대 시대에 유신론은 도시 국가나 로마 제국의 신성한 의무로 여겨지는 기본적인 믿음이었다. 역사적으로 국가가 숭배하는 신을 믿지 않는 시민은 중죄로서 무신론자로 고발되었다. 정치적인 이유로 아테네의 소크라테스는 기원전 399년 초경험적인 내심의 소리, 즉 다이몬의 소리를 경청하라는 주장을 했다는 이유로 '무신론자'라는 혐의로 고소되어 사형을 당했다.[52] 당시 로마의 기독교인들 역시 로마의 종교를 믿지 않아 무신론자로 취급되어 박해를 받았다. 이처럼 당시 무신론은 이교도나 무신앙자를 의미했으며, 정적을 제거하기 위한 정치적인 도구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2. 인도 철학
힌두 철학의 아스티카("정통") 학파 중 상키아와 초기 미맘사 학파는 창조주 신을 인정하지 않았다. 상키아 학파는 프라크리티("자연")와 푸루샤("의식")의 이원적 존재를 믿었으며, 이가바라("신")를 위한 자리를 두지 않았다. 미맘사 학파는 베다 해석을 통해 다르마의 본질을 탐구했으며, 초기 미맘사카들은 카르마("행위")의 결과인 ''아드리스타''("보이지 않는 것")을 믿었고, 이가바라("신")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다.
자이나교, 불교 등의 종교 또한 신에 대한 신앙 없이 철학적인 구원의 길을 제공한다고 주장하지만, 몇몇 종파에서는 신앙, 영혼의 위안 등 전통적인 요소가 관습으로 남아있다.2. 1. 차르바카
인도의 가장 명백하게 무신론적인 철학 학파는 철저한 유물론적이며 반종교적인 차르바카(로카야타라고도 함)이다. 이 학파는 바르하스파티아-수트라(기원전 최종 세기)와 함께 시작되었다.[29] 이러한 고대 회의론 학파는 마우리아 시대보다 훨씬 이전에 발전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6세기 초, 아지타 케사캄발린은 "몸이 해체되면 현명한 자와 어리석은 자 모두 소멸되고 파괴된다. 그들은 죽음 이후에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가르쳤다.[29]
차르바카 철학은 현재 주로 그들의 아스티카 및 불교 반대자들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료에 따르면, 차르바칸의 적절한 목표는 이 세상에서 번영하고 행복하며 생산적인 삶을 사는 것이었다. 람크리슈나 바타차리아는 그의 저서 "차르바카/로카야타에 대한 더 많은 연구"에서 인도에는 다양한 유물론적 사상이 존재했으며, 쾌락주의에 대한 비난이나 이러한 학파가 지식의 한 방식으로서 추론(''아누마나'')을 거부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주장한다.[30]
자야라시 바타의 ''타트바오팔라바심하''(8세기 경)는 때때로 생존하는 차르바카 텍스트로 인용된다.[30] 이 학파는 대략 15세기경에 쇠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다 철학자 아디 샹카라(790–820년경)는 비이원론적 ''아드바이타 베단타'' 전통을 통합했는데, 그는 "무식한 사람들, 로카야티카들(…)"에 반대하면서 비종교적 학파들을 반박하려고 여러 페이지를 할애한다.[32]
역사학자 다그 헤르비에른스루드에 따르면, 무신론적인 차르바카 학파는 이슬람 태생의 무굴 통치자 악바르(1542–1605)의 궁정에 존재했는데, 그는 "전통에 의존"하는 것보다 "이성의 추구"를 믿는 탐구적인 회의론자였다.[33] 그가 파테푸르 시크리에 있는 그의 새로운 "숭배의 집" (''이바다트 카나'')으로 철학자들과 다양한 종교의 대표자들을 초대했을 때, 차르바카도 참석했다. 연대기 작가 아불 파즐(1551–1602)에 따르면, 악바르의 궁정에서 종교적, 실존적 문제에 대해 논의한 사람들에는 무신론자들이 포함되었다.
2. 2. 불교
불교는 창조신 개념이 없기 때문에 무신론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이는 단순한 관점일 수 있다.[37][38] 최고 신 또는 제1 원동자 개념을 따르지 않는다는 점이 불교와 다른 종교의 주요 차이점으로 여겨진다.[172] 불교는 초자연적 존재를 부정하지 않지만(많은 존재가 불교 경전에서 논의됨), "신"에게 창조, 구원, 심판 등 서구적인 권능을 부여하지는 않는다. 다만, 깨달은 신에게 기도하면 어느 정도 영적 공덕이 있다고 여겨진다.
불교도들은 ''데바''로 알려진 상위 영역에 존재하는 존재를 인정하지만, 그들은 인간처럼 ''윤회''에서 고통받으며,[40][173] 우리보다 특별히 현명하지 않다고 한다. 부처는 종종 신들의 스승으로 묘사되며,[41][174] 그들보다 우월하다.[42][175]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 중에는 불성을 향해 가는 깨달은 데바도 있다.
일부 불교 철학자들은 영원한 창조주 신에 대한 믿음이 종교적 삶의 핵심 과제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반대 논증을 펼친다.[28] 일부 해석에서는 신의 개념과 기본적인 불교 원리 사이에 근본적인 양립 불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본다.[27]
2. 3. 자이나교
자이나교는 우주가 물질과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원하고 창조되지 않았다고 본다. 따라서 전능한 창조신의 존재를 부정한다.[170] 그러나 우주 안에 "신"과 다른 영들이 존재하며, 영혼은 "신성"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이러한 초자연적 존재들은 창조 활동이나 기도에 응답하는 능력을 갖지 않는다.[170]
조직화된 자이나교는 기원전 6세기 마하비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70] 마하비라는 붓다와 동시대 인물이었다.
3. 고대 그리스와 로마
에우리피데스(기원전 480-406년)는 "누군가 저 위에 신은 있는가 물었다. 신은 없다. 신은 없다. 바보처럼 굴지 말라. 옛날의 거짓 우화를 앞세워 너를 기만하고 있다."라고 말했다.[228]
아리스토파네스(기원전 약 448-280년)는 특유의 풍자적인 양식을 이용하여 희극 ⟪기사⟫에서 "신전들이여! 신전들이여! 분명히 너희들은 신들을 믿지 않을 것이다. 너희들의 논증은 무엇인가? 너희들의 증명은 어디에 있는가?"라고 말했다.[229]
고대 그리스 시대 초기에 형용사 (ἄθεοςgrc, 무관사 ἀ- + θεόςgrc "신")는 "신이 없는"을 의미했다. 이 단어는 처음에는 "불경한" 또는 "불신앙적인"이라는 뜻으로 비난할 때 쓰였다. 기원전 5세기에 이 단어는 "신과의 관계를 단절하는" 또는 "신을 부인하는" 의미로, 보다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무신론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그 후 ἀσεβήςgrc ()라는 단어가 다른 신을 믿더라도 지역 신을 불경하게 부인하거나 무시하는 사람들에게 적용되었다. 고전 텍스트의 현대 번역에서는 때때로 를 "무신론적"으로 번역한다. "무신론"을 뜻하는 추상 명사 ἀθεότηςgrc ()도 있었다. 키케로는 그리스 단어를 라틴어 átheosla로 음역했다. 이 용어는 초기 기독교인과 헬레니스트 사이의 논쟁에서 자주 사용되었으며, 양측은 서로를 경멸하는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했다.[8]
"신 또는 신들의 존재를 부인하는 사람"을 뜻하는 ''무신론자''(프랑스어 athée프랑스어에서 유래)라는 용어는 영어에서 ''무신론''보다 먼저 나타났으며, 1566년에 처음 발견되었고,[12] 1571년에 다시 나타났다.[13] 실질적인 무신론을 나타내는 ''무신론자''는 적어도 1577년까지 사용되었다.[14]
3. 1. 철학
서양 철학은 기원전 6세기 그리스 세계에서 시작되었다. 초기 철학자들은 무신론자는 아니었지만, 신화적 설명 대신 자연 현상을 통해 세계를 설명하려 했다. 예를 들어, 번개는 "바람이 충돌하고 구름이 분열되면서" 발생하고,[230] 지진은 "지구가 급격한 온도 변화를 겪을 때" 발생한다고 추측했다.[231] 초기 철학자들은 전통적인 종교 관념을 자주 비판했다. 크세노파네스(기원전 6세기)는 "만약 소와 말이 손을 가지고 있다면, 말은 말처럼 생긴 신을, 소는 소처럼 생긴 신을 그릴 것이다"라고 주장했다.[232] 아낙사고라스(기원전 5세기)는 태양을 "펠로폰네소스반도보다 훨씬 큰 불덩어리"라고 불렀다가 불경죄로 아테네에서 추방되었다.[233]
최초의 완전한 유물론 철학은 원자론자인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기원전 5세기)에게서 나왔다. 그들은 무한한 우주 속 원자의 움직임으로 세계의 형성과 발전을 설명하려 했다.
소크라테스는 정치적인 이유로 "국가가 인정한 신들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atheos'' 혐의로 고발당했다.[52] 아테네 대중은 소크라테스(기원전 470–399년경)를 자연 탐구와 현상에 대한 신성한 설명을 거부하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의 경향과 연관시켰다.[53][54]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구름''(기원전 423년 공연)에서는 소크라테스가 학생들에게 전통적인 그리스 신들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르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53][54] 소크라테스는 이후 국가의 신을 믿지 않고 외국의 신을 숭배한다는 혐의로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다.[53][54]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재판에서 무신론 혐의를 강력히 부인했으며,[53][54][55] 현존하는 모든 자료는 그가 매우 독실한 사람이었고, 떠오르는 태양에게 기도했으며 델포이 신탁이 아폴론의 말씀을 전한다고 믿었다는 것을 보여준다.[53]
고대 그리스-로마 철학 학파 중 무신론이라는 비난을 받은 학파는 극소수였지만, 무신론적 견해를 표명한 철학자도 몇몇 있었다. 소요학파 철학자 람프사쿠스의 스트라톤은 신의 존재를 믿지 않았다.[56] 키레네학파 철학자인 무신론자 테오도로스(기원전 300년경)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자신의 견해를 설명하는 ''신에 관하여''라는 책을 썼다고 한다.
3. 1. 1. 소피스트
기원전 5세기 소피스트들은 그리스의 전통적 관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케오스의 프로디코스는 "인간의 삶에 유용한 것들이 신으로 여겨졌다"고 믿었다고 전해지며,[234] 프로타고라스는 자신의 저서 서문에서 "신들에 관해서 나는 그들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235]
3. 1. 2. 에피쿠로스학파
에피쿠로스(기원전 300년경)는 데모크리토스와 원자론자들의 사상을 바탕으로, 신의 개입 없이 우주가 우연의 법칙에 따라 지배된다는 유물론 철학을 옹호했다.[62] 에피쿠로스는 신이 존재한다고는 했지만, 신은 인간사에 무관심하다고 믿었다.[62] 에피쿠로스학파의 목표는 아타락시아(마음의 평정 상태)를 얻는 것이었다. 이를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신의 노여움에 대한 두려움을 비합리적인 것으로 드러내는 것이었다. 에피쿠로스학파는 또한 사후 세계의 존재를 부정하고 죽음 이후의 신의 처벌에 대한 두려움이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62]
에피쿠로스 사상의 가장 훌륭한 표현 중 하나는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기원전 1세기)인데, 그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종교적 두려움이 인간 불행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신은 세상사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63][64] 에피쿠로스 학파는 또한 사후 세계의 존재를 부정했으며, 따라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일축했다.[65]
에피쿠로스학파는 자신이 무신론자가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비판가들은 그들이 무신론자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암호적 무신론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그들이 박해를 두려워했기 때문이며, 그들은 박해를 피했지만 그들의 가르침은 논란이 되었고, 특히 스토아 철학과 신플라톤주의 등 다른 학파의 거센 공격을 받았다.
3. 1. 3. 피론주의
에피쿠로스 학파와 비슷하게, 피론주의자들은 무신론으로 인해 박해받는 것을 피하고자 조상들의 관습과 법에 따라 신이 존재한다고 선언하고 숭배와 존경에 기여하는 모든 것을 행했다. 그러나 철학적으로는 신의 존재에 대해 확언하기를 거부하는 전술을 사용했다.[66] 피론주의 철학자 섹스투스 엠피리쿠스는 신의 존재에 반대하는 수많은 고대 논쟁들을 엮어, 이 문제에 관해서는 판단을 유보할 것을 권고했다.[67]
3. 2. 의학
히포크라테스 이전 시대 그리스인들은 건강과 질병을 포함한 인간 존재의 모든 측면을 신들이 통제한다고 믿었다.[69]
3. 3. 에우헤메로스
에우헤메로스(기원전 330~260년경)는 신들이란 과거에 통치자, 정복자, 건국자로서 추앙받다 신격화된 존재일 뿐이며, 신들에 대한 숭배와 종교는 본질적으로 사라진 왕국과 이전의 정치 구조를 이어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70] 에우헤메로스는 훗날 "신들을 말살함으로써 사람이 거주하는 지구 전체에 무신론을 퍼트렸다"는 비판을 받았으나,[71] 그의 세계관은 엄격하고 이론적인 의미에서 무신론은 아니었다. 그는 신들을 태초신들과 구별하여 "영원하고 불멸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72]
4. 고대시대의 몰락
유럽의 고대 시대에 유신론은 도시 국가나 로마 제국의 신성한 의무로 여겨지는 기본적인 믿음이었다. 역사적으로 국가가 숭배하는 신(들)을 믿지 않는 시민은 중죄로서 무신론자로 고발되었다. 정치적인 이유로 아테네의 소크라테스는 기원전 399년 '무신론자'라는 혐의로 고소되어 사형을 당했다.[228] 로마의 기독교인들도 역시 당시 로마의 종교를 믿지 않는 무신론자로 취급되어 박해를 받았다. 당시의 무신론이 가지는 의미는 이교도나 무신앙자였으며, 정적으로 제거하려는 정치적인 도구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아리스토파네스(기원전 약 448-280년)는 특유의 풍자적인 양식을 이용하여 희극 ⟪기사⟫에서 "신전들이여! 신전들이여! 분명히 너희들은 신들을 믿지 않을 것이다. 너희들의 논증은 무엇인가? 너희들의 증명은 어디에 있는가?[229]라고 말했다.
무신론에 대한 개념은 고대 유대인들에게도 알려졌는데, 성경 복음서의 저자들에게는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 성경의 시편에는 "어리석은 자는 그의 마음에 이르기를 '하나님이 없다.' 하는도다 그들은 부패하고 그 행실이 가증하니 선을 행하는 자가 없도다."[236]라는 구절이 있다. 그러나 구약성서에는 원래 '신'이라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적절한 해석은 "야훼는 존재하지 않는다"일 것이다. 야훼는 히브리인의 신에 대한 호칭이다. 무신론은 엄밀히 말해 당시 이 지역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었다고는 할 수 없다. 즉, 시편에 언급된 어리석은 자는 야훼의 존재를 부정하고 바알과 같은 다른 신을 믿었을 것이다.
5. 중국
동북아시아에서는 강력한 유일신이나 인격적인 신이 존재하는 종교가 없었기 때문에 무신론 논쟁의 필요성이 부각되지 않았다. 이 지역의 무신론은 주로 영적인 존재와 작용에 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중국의 유명한 무신론 철학자로는 범진이 있다. 그는 유물주의 철학자로, 중국 철학사에서 최초로 형질신용설을 주장했으며, 《신멸론》 등을 통해 자신의 무신론을 선전하였다. 완첨은 무귀론을 주장하였다.[203]
6. 중세시대
중세 이슬람에서는 학자들이 무신론의 관점을 인지하고 무신앙자들을 공격했지만, 실질적인 무신론자로 볼 수 있는 경우는 드물었다.[237] 무신론으로 비난받는 사람들은 대개 무신론 지지자보다는 이교도로 여겨졌다.[238] 9세기 학자 이븐 알-라완디는 무함마드를 포함한 종교적 예언 개념을 비판하며, 종교적 도그마는 받아들여질 수 없으며 거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39] 이슬람 세계에서 종교를 비판한 다른 인물로는 아부 바크르 알-라지와 알-마아리가 있다.
유럽 중세 시대에는 기독교 전파와 이단 심문 활동으로 이단자들이 박해받았다. 그러나 토마스 아퀴나스의 다섯 가지 신존재증명(Quinquae viae)과 캔터베리의 안셀름의 존재론적 논증은 신의 존재에 대한 질문의 타당성을 인정한 사례이다.[82] 당시에는 정적을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대방을 무신론자로 비난하기도 했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교회의 종교적 최고 지위를 강요했기 때문에 사후에 정적들로부터 무신론자라는 비난을 받았다.[241]
7. 르네상스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면서 종교 비판에 대한 출판물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무신론적 내용을 포함한 것은 아니었다.[242] 무신론(''athéisme'')은 16세기 프랑스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16세기와 17세기를 거치면서 '무신론'이란 단어는 모욕적인 비속어로 분류되었다.[243] 당시에는 자유사상가로 추측되는 익명의 저자가 작성한 《테오프라스투스 레디비부스》라는 무신론 개요서가 널리 퍼져있었다.[244]
당시 유럽에서 무신론자임을 공공연히 밝히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었다.
- 프랑스 인본주의자 에티엔 돌레는 1546년 목이 졸린 후 화형을 당했다.
- 이탈리아 자연주의자 줄리오 체사레 바니니 또한 1619년 화형당했다.
- 1689년 무신론자였던 폴란드 귀족인 카지미에시 위슈친스키는 바르샤바에서 고문을 당한 후 참수형에 처해졌다.
- 1766년 프랑스 귀족 장프랑스와 드 라 바가 참수형을 당한 후 불에 태워졌으며 시신이 훼손되었다.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백과전서》의 저자인 드니 디드로는 그의 저서 《맹인 서간》을 근거로 무신론자로 고발되었다.[245] 결국 그는 투옥되었으며 그의 저서들은 금서로 지정되고 불에 태워졌다.
영국의 유물론 철학자인 토마스 홉스도 무신론자라는 죄목으로 고발되었으나 자신이 무신론자임을 부정하였다. 영국의 극작가이자 시인인 크리스토퍼 말로 역시 그의 집에서 예수의 신성을 부정하는 글이 발견되어 무신론자로 고발되었다. 그는 자신에 대한 변호를 다 마치기 전에 암살당했다.
근세에서, 이름이 알려진 최초의 명시적 무신론자는 덴마크의 독일어권 종교 비판자 마티아스 크누첸(1646~1674 이후)으로, 그는 1674년에 무신론에 관한 세 권의 저서를 출판했다. 크누첸은 토마스 모티머가 쓴 1789년 학생용 세계사 휴대용 사전에서 "공개적으로 무신론을 공언하고 가르친 기록상 유일한 사람"으로 불렸다.
1689년, 철학 논문 ''De non-existentia Dei''에서 신의 존재를 부정했던 폴란드 귀족 카지미에시 우이슈친스키는 불법적으로 투옥됐다. 바르샤바 연방의 전통과 소비에스키 국왕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리진스키는 무신론으로 사형을 선고받았고, 불타는 쇠로 혀가 뽑히고 손이 천천히 태워진 후 바르샤바에서 참수됐다. ''De non-existentia Dei''에서 그는 강력한 무신론을 나타냈다.
8. 계몽시대
이신론은 특정 지식인 집단 사이에서 영향력을 얻었지만, 대중에게 널리 퍼지지는 않았다. 장자크 루소는 인간이 죄로 오염되었다는 기독교 개념에 반대하며, 인간은 본래 선하지만 문명에 의해 타락한다고 주장했다. 볼테르는 이신론을 널리 알리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제프리 블레인에 따르면, "프랑스 혁명과 무신론의 폭발 이후, 볼테르는 원인 중 하나로 널리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볼테르는 그의 글에서 신에 대한 두려움이 무질서한 세상에서 필수적인 경찰이라고 인정했다. 볼테르는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신을 발명해야 할 것이다'라고 썼다.[102]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자크 헤베르와 피에르 쇼메테는 무신론에 바탕을 둔 이성숭배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는 이신론자였던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가 제창한 최고존재숭배로 인해 중단되었다.[246] 이 두 숭배는 프랑스 혁명 중 일어난 비기독교 운동의 결과였다.
이성숭배는 1792년과 1794년 사이에 발전했으며, 이 기간 동안 일부 프랑스 교회들은 이성주의 신전으로 개조되었다. 이 교회들은 1793년부터 산발적으로 폐쇄되기 시작하여 1793년 11월 24일 가톨릭 미사가 금지되면서 모두 폐쇄되었다.
9. 현대
20세기에는 실존주의, 객관주의,[208] 세속적 휴머니즘, 니힐리즘, 논리 실증주의, 마르크스주의, 아나키즘, 페미니즘,[209], 과학 및 합리주의 운동 등 다양한 철학 사조에서 무신론이 인정받았다. 신실증주의와 분석 철학은 고전적 합리주의와 형이상학을 비판하고, 경험주의와 인식론적 유명론을 옹호했다. 버트런드 러셀은 신에 대한 믿음을 강하게 거부했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초기 저작에서 형이상학적, 초자연적 언어를 합리적 담론에서 분리하려 했다. 헨리 루이스 멩켄은 과학과 종교의 양립 가능성, 그리고 과학도 종교처럼 교조적 신앙 체계라는 주장을 모두 비판했다.[210]
A. J. 에이어는 경험주의에 입각하여 종교적 진술의 증명 불가능성과 무의미함을 주장했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는 종교적 언어가 인간의 잠재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고, 그 초월적 의미를 부정했다. 존 니메이어 핀들레이와 존 제이미슨 커즈웰 스마트는 신의 존재가 논리적으로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존 듀이와 같은 자연주의자나 유물론자들은 자연 세계를 모든 것의 기초로 간주하고 신의 존재를 부정했다.[211][212]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을 해석하여, 20세기에는 무신론이 정치적으로도 진보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 등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국가 지원 무신론과 종교 조직 거부 정책을 펼쳤다.
21세기 초, 서구 세계에서는 세속주의, 인본주의, 무신론이 계속 발전했고, 특정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의 수가 늘었다.[159][160] 샘 해리스, 리처드 도킨스, 대니얼 데닛, 크리스토퍼 히친스, 로렌스 M. 크라우스, 제리 코인, 빅터 J. 스텐저 등의 학자와 과학자들은 무신론 관련 서적을 출판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63][164][165] 이 시기에는 신 무신론이 부상했는데, 이는 유신론과 종교 비판에 적극적인 사람들을 지칭하는 표현이다.[166]
2016년 12월 16일,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은 프랭크 R. 울프 국제 종교 자유 법에 서명하여 1998년 국제 종교 자유 법을 개정했다. 이로써 특정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과 불신자들도 보호 대상에 포함되었다.[168]
9. 1. 19세기
프랑스 혁명 이후, 몇몇 서유럽 국가에서 무신론이 정치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 합리주의와 자유사상 운동을 통해 무신론이 빠르게 확산되었다. 1792년에 태어난 낭만주의 시인 퍼시 비시 셸리는 《무신론의 필요성》이라는 책자를 익명으로 출간하여 1811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퇴학당했다. 이 책은 영어로 작성된 최초의 무신론 출간물로 여겨진다. 독일에서는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의 《기독교의 본질》을 통해 무신론이 유입되었다. 그는 카를 마르크스, 막스 슈티르너,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프리드리히 니체 등 19세기 독일 무신론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자유사상가 찰스 브래들로는 여러 차례 영국 의회에 당선되었으나, 성서에 대한 선서를 거부하여 의원직을 박탈당했다. 브래들로가 4번이나 재선된 후, 국회의장이 그를 입회하도록 허가하였다.[247] 그는 최초의 무신론자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선서법을 개정하였다.[248]
1844년, 무신론 정치 경제학자 카를 마르크스는 《헤겔 법철학 비판 서설》에서 '종교적 비참은 현실적 비참의 표현이자 현실적 비참에 대한 항의이다. 종교는 곤궁한 피조물의 한숨이며, 무정한 세계의 감정이고, 또 정신 없는 상태의 정신이다.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라고 주장하였다. 마르크스는 현실과 사회에서 유래된 고통으로 사람들이 종교를 가지게 된다고 믿었다. 그는 종교를 환상적 행복이라 규정하고 사람들이 내세에 관심을 갖게 함으로써 사회의 부조리를 고쳐나가 진실된 행복을 추구해야한다고 제안하였다. 같은 저서에서 마르크스는 '인간이 종교를 만들지, 종교가 인간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다.[249]

19세기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발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발언은 니체가 직접 한 발언이 아니라 그의 작품 속 인물들 사이의 대화에서 나온 문장이다. 니체는 기독교적 유신론이 한 신앙 체제로서 서구 세계의 도덕적 근원이었으나 현대 사상의 결과, 즉 허무주의의 부상과 기독교적 가치의 하락으로 붕괴되고 거부되었다고 논증하였다. 니체는 굳은 무신론자로서 허무주의와 인본주의의 부작용을 걱정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그는 새로운 사회를 요구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초인 중심의 사회였다.
9. 2. 20세기
20세기의 무신론은 실존주의, 객관주의[208], 세속적 휴머니즘, 니힐리즘, 논리 실증주의, 마르크스주의, 아나키즘, 페미니즘[209], 일반 과학 및 합리주의 운동 등 서양 사상의 폭넓은 철학에서 인정받았다. 신실증주의와 분석 철학은 고전적인 합리주의 및 형이상학을 폐지하고 엄밀한 경험주의와 인식론적 유명론을 선택했다. 버트런드 러셀과 같은 옹호자들은 신을 믿는 것을 단호히 거부했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초기 저작에서 형이상학적 및 초자연적 언어를 합리적인 담론에서 분리하려 했다. 헨리 루이스 멩켄은 과학과 종교가 양립할 수 있다는 생각과 과학이 종교와 마찬가지로 교조적인 신앙 체계라는 생각 모두의 오류를 폭로하려 시도했다[210].A. J. 에이어는 자신이 경험주의를 지지한다는 점을 언급하며 종교적 진술의 증명 불가능성과 무의미성을 주장했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는 종교적 언어를 인간의 잠재 의식에서 유래한 것으로 간주하며, 그 초월적인 의미를 부정했다. 존 니메이어 핀들레이와 존 제이미슨 커즈웰 스마트는 신의 존재는 논리적으로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존 듀이와 같은 자연주의자나 유물론자는 자연 세계를 모든 것의 기초로 간주하고 불멸의 신의 존재를 부정했다.[211][212]
20세기에는 마르크스 및 엥겔스의 저작 해석에 의해 무신론의 정치적 진보도 일어났다. 무신론에 대한 국가의 지원과 종교 조직에 대한 국가의 거부]](중화인민공화국과 과거의 소련을 포함한)는 모든 공산주의 국가의 정책이 되었다.
9. 2. 1. 무신론의 확산
20세기 무신론은 논리실증주의, 마르크스주의, 아나키즘, 실존주의, 세속적 인본주의, 객관주의,[115] 페미니즘,[116] 그리고 일반적인 과학 및 합리주의 운동과 같은 다양한 철학에서 인정을 받았다. 신실증주의와 분석철학은 고전적 합리주의와 형이상학을 버리고 경험주의를 선호했다. 버트런드 러셀과 같은 지지자들은 신앙을 단호하게 거부했다.[117][118]A. J. 에이어는 경험과학을 고수하며 종교적 진술의 검증 불가능성과 무의미함을 주장했다. J. N. 핀들리와 J. J. C. 스마트는 신의 존재에 대해 반대했다. 존 듀이와 같은 자연주의자들과 유물론자들은 자연세계를 모든 것의 기반으로 간주했다.
20세기에는 마르크스 및 엥겔스의 저작 해석에 의해 무신론의 정치적 진보도 일어났다. 무신론에 대한 국가의 지원과 종교 조직에 대한 국가의 거부( 중화인민공화국과 과거의 소련을 포함한 모든 공산주의 국가의 정책)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비림비공운동과 소련의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탄압이 대표적이다. 이론적, 실제적으로 이들 국가는 세속적이었다. 종교 조직을 정치적, 사회적으로 배척하는 근거는 종교적 신앙의 "비합리성"과 교회와 대중과의 관계의 "기생적" 성격에 있다고 여겨졌다. 교회는 때로는 허용되기도 했지만, 엄격한 제재 하에 놓였다. 교회 직원은 국가에 의해 심문을 받았고, 교회의 행사에 참여하는 것은 그 사람의 경력에 흠집을 남길 수 있었다. 매우 빈번하게, 국가에 의한 종교의 폐지는 폭력적인 형태를 취했다.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수용소 군도』에서 종교 신자에 대한 광범위한 박해, 투옥, 고문을 보고했다. 결과적으로, 가톨릭 교회 등 여러 종교 조직은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가장 강력한 반대자가 되었다. 엔베르 호자 정권 하의 알바니아는 1967년에 최초의 무신론 국가를 선언했다.[213] 알바니아에서는 다른 공산주의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수준으로 철저한 종교 의식 금지가 감행되었으며, 종교 신자들이 체계적으로 억압 및 박해받았다. 신앙의 자유는 1991년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된 후에 회복되었다.
인도에서는, 페리야르가 카스트 및 종교의 이름으로 사람들을 분리, 차별하고 있다며, 힌두교와 브라만에 대한 투쟁을 벌였다.[214] 1956년에 그가 힌두교의 신 라마에게 화환으로 만든 슬리퍼를 착용시키고 반신론 성명을 발표했을 때 이 운동은 절정에 달했다.[215]
냉전기에 미국은 종종 적을 "불신하는 공산주의자"로 특징지었다. 이는 무신론자는 믿을 수 없는 매국노라는 생각을 강화하는 것이었다.[216] 1954년에 "신의 가호 아래"라는 문구가 충성 서약에 삽입되었고,[217] 1956년에 국가의 모토가 E Pluribus Unum(다수로부터 하나로)에서 In God We Trust(우리는 신을 믿는다)로 바뀐 것이 그 배경이다. 매들린 머레이 오헤어는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의 무신론자 중 한 명일 것이다. 그녀는 1963년에 대심원에 "머레이 대 커렛"을 제기하여 공교육에서의 기도의 강제를 철폐하라고 소송했다.[218]
9. 2. 2. 국가 무신론
러시아 정교회는 소련 정부에 의해 탄압받았다.[119] 1922년, 소련 정권은 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를 체포했다.[120] 블라디미르 레닌 사후, 종교 권위를 억압의 도구로 여기고 "명백한 설명" 전략을 펼친 소련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걸쳐 교회를 박해했다.[121][122] 많은 사제들이 살해되거나 투옥되었고, 수천 개의 교회가 폐쇄되었으며 일부는 병원으로 개조되었다. 1925년, 소련 정부는 투사적 무신론자 연맹을 창설했다. 1941년 나치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스탈린은 독일과의 전쟁에서 소련 국민을 단결시키기 위해 러시아 교회를 다시 열면서 종교 박해를 완화했다.[119][123][124]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 파시즘의 핵심 인물이었다.[125] 그는 초기에는 무신론자였고 교회를 강하게 반대했으며, 1919년에 작성된 최초의 파시스트 강령은 이탈리아 내 교회 재산의 세속화를 요구했다.[126] 그러나 무솔리니는 나중에 입장을 완화하여 집권 기간 동안 학교에서 종교 교육을 허용하고 라테란 조약을 통해 교황청과 합의했다.[125] 비오 11세는 1931년 회칙에서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운동이 "국가를 이교도적으로 숭배"하고 "교회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젊은이들을 빼앗는 혁명"을 일으킨다고 비난했다.[12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의 새로운 공산주의 국가들은 종교에 반감을 가졌다. 종교 지도자들에 대한 박해가 뒤따랐고,[137][138][119] 거의 모든 교회 학교와 많은 교회 건물이 폐쇄되었으며, 아이들은 무신론을 교육받았고 수천 명의 성직자들이 투옥되었다.[139] 1967년, 엔베르 호자 치하의 알바니아는 공식적으로 무신론 국가임을 선포했는데, 이는 2022년 기준으로 유일한 사례이다.[140][141][142] 알바니아는 다른 대부분의 국가들보다 훨씬 더 나아가 종교적 관습을 완전히 금지하고 신자들을 체계적으로 억압하고 박해했다. 1976년 알바니아 헌법 제37조는 "국가는 종교를 인정하지 않으며, 국민에게 과학적 유물론적 세계관을 심어주기 위해 무신론 선전을 지원한다"고 규정했다.[143][144]
이후, 동아시아에서 공산주의가 승리하면서 중국, 북한, 인도차이나 대부분 지역에서 종교가 숙청되었다.[139]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은 마오쩌둥의 중국 공산당 지도 하에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 마오쩌둥 시대의 중국은 공식적으로 무신론 국가였으며, 일부 종교적 관행은 국가의 감독 하에 계속 허용되었지만, 1959년 티베트 불교와 21세기 파룬궁과 같이 질서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종교 단체는 탄압을 받았다.[145] 종교 학교와 사회 기관은 폐쇄되었고, 외국 선교사는 추방되었으며, 지역 종교 관습은 억제되었다.[139]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마오쩌둥은 "낡은 사상, 관습, 문화, 사고방식"을 의미하는 사구에 대한 "투쟁"을 시작했다.[146] 1999년, 중국 공산당은 티베트에서 무신론을 장려하기 위한 3개년 운동을 시작하면서, 무신론 선전 강화가 "이 지역의 경제 건설, 사회 발전, 사회주의 정신 문명 촉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티베트에 특히 중요하다"고 밝혔다.[147] 2022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중국 인구의 약 절반이 무종교이거나 무신론자라고 한다.[145]
9. 2. 3. 세속주의
인도에서, 저명한 무신론 지도자 E. V. 라마사미는 힌두교와 브라만이 카스트와 종교의 이름으로 사람들을 차별하고 분열시키는 것에 맞서 싸웠다.[148][149]냉전 시대 동안, 미국은 종종 적들을 "신 없는 공산주의자"로 묘사했는데, 이는 무신론자들이 믿을 수 없고 비애국적이라는 견해를 강화하는 경향이 있었다.[150]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54년 국기에 대한 맹세에 "under God"라는 문구가 삽입되었고,[151] 국가 표어는 1956년에 E Pluribus Unum에서 In God We Trust로 변경되었다.
무신론자 바시티 매컬럼은 1948년의 획기적인 대법원 사건 (''매컬럼 대 교육 위원회'')에서 원고였으며, 이 사건은 미국의 공립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을 폐지했다.[152][153] 매들린 머레이 오헤어는 1963년 대법원 사건 ''머레이 대 컬렛''을 제기하여 공립학교에서의 의무적인 기도를 금지시켰다.[154]
9. 3. 21세기
21세기 초 서구 세계에서는 세속주의, 인본주의 및 무신론이 계속해서 발전했으며, 특정 종교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했다.[159][160] 무신론 단체는 자연주의, 자연과학적 세계관을 통해 과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증진하고 인정받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161] 이를 공유하는 불신자의 인권, 시민 및 정치적 권리를 옹호하고 사회적 인정을 추구한다.[162]
샘 해리스, 리처드 도킨스, 대니얼 데닛, 크리스토퍼 히친스, 로렌스 M. 크라우스, 제리 코인, 빅터 J. 스텐저와 같은 학자들과 과학자들이 무신론 관련 서적을 출판하였고, 이 중 다수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63][164][165] 이 시기는 "신 무신론"의 부상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유신론과 종교 비판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들에게 적용된 표현이다.[166] 무신론 페미니즘 또한 2010년대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167] 신 무신론은 ''만들어진 신'', ''마법 풀기: 자연 현상으로서의 종교'', ''신은 위대하지 않다'', ''신앙의 종말'', ''기독교 국가에 보내는 편지'' 등의 에세이들에 의해 촉진되었다.
2016년 12월 16일, 당시 미국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는 프랭크 R. 울프 국제 종교 자유 법에 서명하여 발효시켰으며, 이는 1998년 국제 종교 자유 법을 개정하여 특정 종교를 주장하지 않는 사람뿐만 아니라 불신자에게도 보호를 확대했다.[168]
참조
[1]
서적
Agnosticism and Atheism
Flynn
[2]
사전
atheism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1-21
[3]
서적
Dictionary of Philosophy
https://archive.org/[...]
Littlefield, Adams & Co. Philosophical Library
2011-04-09
[4]
백과사전
Atheism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4-23
[5]
서적
[6]
백과사전
Atheism and Agnostic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the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8]
서적
Atheism in Pagan Antiquity
https://books.google[...]
Chicago: Ares Publishers
[9]
성경
Ephesians
[10]
서적
Word Pictures in the New Testament
Broadman Press
2011-04-09
[11]
웹사이트
atheist
http://www.thefreedi[...]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2013-11-21
[12]
서적
A Replie to Mr Calfhills Blasphemous Answer Made Against the Treatise of the Cross
https://books.google[...]
2017-04-23
[13]
서적
The Psalmes of David and others, with J. Calvin's commentaries
[14]
서적
The auncient ecclesiasticall histories of the first six hundred years after Christ, written by Eusebius, Socrates, and Evagrius
London
[15]
기타
Merriam-Webster Online:Atheism
http://www.merriam-w[...]
2013-11-21
[16]
서적
A Woorke Concerning the Trewnesse of the Christian Religion: Against Atheists, Epicures, Paynims, Iewes, Mahumetists, and other infidels
[17]
서적
English history
https://books.google[...]
2011-04-09
[18]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deist
https://books.google[...]
2011-04-09
[20]
서적
His opinion concer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urch of England and Geneva [etc.]
London
[21]
서적
An universal etymological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22]
서적
The true intellectual system of the universe
[23]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4]
서적
World Scriptures: An Introduction to Comparative Religions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986-01
[25]
서적
Maps of Time: An Introduction to Big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09-01
[2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7]
웹사이트
The Buddhist Attitude to God
http://www.budsas.or[...]
2015-08-29
[28]
웹사이트
Principled Atheism in the Buddhist Scholastic Tradition
http://www.unm.edu/~[...]
2020-03-25
[29]
웹사이트
Elements of Atheism in Hindu Thought
http://www.tamu.edu/[...]
AGORA
2006-06-26
[30]
웹사이트
More Studies on the Cārvāka/Lokāyata -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https://www.cambridg[...]
2021-02-05
[31]
서적
Upanisads Reissue Owc :Pb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8-04-17
[32]
웹사이트
The untold history of India's vital atheist philosophy {{!}} Blog of the APA
https://blog.apaonli[...]
2020-06-16
[33]
웹사이트
India's atheist influence on Europe, China, and science {{!}} Blog of the APA
https://blog.apaonli[...]
2020-06-24
[34]
서적
Ain I Akbari Vol. 3
https://archive.org/[...]
1894
[35]
간행물
East-West Swerves: Cārvāka Materialism and Akbar's Religious Debates at Fatehpur Sikri
https://read.dukeupr[...]
2015-07-01
[36]
웹사이트
Vedantasara by Sadananda
https://www.swamij.c[...]
2021-02-05
[37]
서적
Buddhism: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38]
웹사이트
Is Buddhism Really Non-Theistic?
http://www.alanwalla[...]
1999-11
[39]
서적
Tittha Sutta: Sectarians
http://www.accesstoi[...]
[40]
웹사이트
The Thirty-one planes of Existence
http://www.accesstoi[...]
Access To Insight
2005
[41]
서적
Teacher of the Devas
http://www.accesstoi[...]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42]
서적
Kevaddha Sutta
http://www.accesstoi[...]
Access To Insight
[43]
CE1913
Atheism
[44]
서적
Diagoras of Melos: A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Ancient Atheism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6
[45]
서적
Backgrounds of Early Christianity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3
[46]
간행물
Why Were the Early Christians Persecuted? – An Amendment
1964-04
[47]
웹사이트
Inquisition from Its Establishment to the Great Schism: An Introductory Study
https://books.google[...]
2003
[48]
문서
Refutation of all Heresies
[49]
문서
Refutation of all Heresies
[50]
문서
Stromata
[51]
문서
Diogenes Laërtius
[52]
문서
Battling the Gods: Atheism in the Ancient World
2016
[53]
서적
Greek Relig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54]
서적
Atheism in Antiquity
[55]
서적
Routledge Philosophy Guidebook to Plato and the Trial of Socrates
Routledge
[56]
문서
Lucullus
[57]
문서
De Natura Deorum
[58]
문서
De Natura Deorum
[59]
문서
Outlines of Pyrrhonism
[60]
서적
Classic Drama Plays by Greek, Spanish, French, German and English Dramatists ... – Albert Ellery Bergh
https://books.google[...]
Kessinger
2012-03-01
[61]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62]
웹사이트
Epicuru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13-11-10
[63]
웹사이트
BBC: Ancient atheists
http://www.bbc.co.uk[...]
BBC
2012-06-13
[64]
서적
The Hellenistic Philosophers, vol.1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문서
Sallust, The War With Catiline
[66]
문서
Against the Physicists
[67]
문서
Outlines of Pyrrhonism
[6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Freethought and Atheism
http://www.positivea[...]
Prometheus
1980
[69]
간행물
Epilepsy: Contemplating 'The Sacred Disease'
https://dx.doi.org/1[...]
2005-01
[70]
문서
Fragments of Euhemerus' work
[71]
문서
Moralia – Isis and Osiris
https://penelope.uch[...]
[72]
문서
Preparation for the Gospel
http://www.tertullia[...]
[73]
간행물
Euhemeros
Der Kleine Pauly
1979
[74]
간행물
Polytheism and Atheism
Brill Publishers
2006
[75]
서적
Freethinkers of Medieval Islam: Ibn al-Rāwandī, Abū Bakr al-Rāzī, and Their Impact on Islamic Thought
Brill Publishers
2016
[76]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6
[77]
간행물
Encyclopaedia of Islam
1971
[78]
문서
Muhammad ibn Zakariya al-Razi#Views on religion
[79]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the Arabs
Routledge
1962
[80]
웹사이트
Freethought Traditions in the Islamic World
http://www.sdsmt.edu[...]
Rowman Altamira
2012-02-14
[81]
서적
Teutonic Mythology
1882
[8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the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83]
서적
A History of Philosophy: Volume II: Medieval Philosophy: From Augustine to Duns Scotus
Burns, Oates & Washbourne
1950
[84]
문서
SUMMA THEOLOGIAE: The existence of God, (Prima Pars, Q. 2)
http://www.newadvent[...]
[85]
서적
History of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Europe
http://www.h-net.org[...]
1864
[86]
서적
Assault on the Remnant: The Advent Movement The Spirit of Prophecy and Rome's Trojan Horse
https://books.google[...]
Dog Ear Publishing
2023-03-03
[87]
서적
Belief and Unbelief in Medieval Europe
Bloomsbury Academic
2005-06-30
[88]
서적
A Replie to Mr Calfhills Blasphemous Answer Made Against the Treatise of the Cross
https://books.google[...]
[89]
서적
A History of God
London: Vintage
[90]
서적
Doubt: A History
HarperOne
2004
[91]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92]
저널
On the Development of Spinoza's Account of Human Religion
https://digitalcommo[...]
2014
[93]
서적
Unpublished Essays by an Impoverished Scholar
http://www.faculty.u[...]
[94]
서적
Pantheism: Its Story and Significance
1905
[95]
서적
Philosophy of Theism
William Blackwood and Sons
1895
[96]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97]
문서
Schriften und Materialien
2010
[98]
서적
Students Pocket Dictionary 1789
https://books.google[...]
1789
[99]
인용구
[100]
인용구
[101]
문서
1957
[102]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103]
웹사이트
If God did not exist, it would have to be invented
https://www.whitman.[...]
Whitman College
2019-04-14
[104]
인용구
[105]
서적
Atheist Manifesto: The Case Against Christianity, Judaism, and Islam
Arcade Publishing
2007
[106]
웹사이트
The Philosophe
http://www.pinzler.c[...]
Pinzler.com
2012-03-01
[107]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108]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109]
웹사이트
War, Terror, and Resistance
http://chnm.gmu.edu/[...]
2006-10-31
[110]
문서
see Berman 1988, Chapter 5
[111]
웹사이트
Charles Bradlaugh (1833–91)
http://www.humanism.[...]
[112]
간행물
Oaths Bill 1888
https://api.parliame[...]
Hansard
[113]
논문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
http://www.marxists.[...]
2009-07-24
[114]
논문
Does God Hate Women?
http://www.newstates[...]
2010-07-26
[115]
Lecture
The Philosophy of Objectivism
http://www.aynrandle[...]
1976
[116]
서적
Feminism and Athe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17]
서적
Atheism
Polish Thomas Aquinas Association
2005
[118]
웹사이트
Atheism and Agnosticism
2007-04-12
[119]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120]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121]
서적
Koba the Dread
Vintage Books
2003
[122]
서적
Hitler and Stalin: Parallel Lives
Fontana Press
1993
[123]
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The Harvill Press
1994
[124]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125]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126]
서적
The Rise of Fascism
Methuen & Co Ltd
1976
[127]
웹사이트
Fascism – identification with Christianity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3-04
[128]
Speech
Holy Reich: Nazi conceptions of Christianity, 1919–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29]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1960
[130]
서적
The Third Reich at War
Penguin Press
2009
[131]
서적
The Third Reich at War
Penguin Press
2009
[132]
서적
Hitler's Table Talk 1941–1944: Secret Conversations
https://books.google[...]
Enigma Books
2013-10-18
[133]
서적
The Third Reich at War
Penguin Press
2009
[134]
서적
The Nazi Persecution of the Churches, 1933–1945
Regent College Publishing
[135]
서적
Himmler's Auxiliaries
https://books.google[...]
1993
[136]
서적
The Third Reich: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2012
[137]
서적
Paul VI, the First Modern Pope
Harper Collins Religious
1993
[138]
서적
Rising '44: the Battle for Warsaw
Viking
2003
[139]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2011
[140]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litics and Religion: 2-volume se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2-04
[141]
논문
"Religion and Atheism in the U.S.S.R. and Eastern Europe, Review."
https://www.jstor.or[...]
1976
[142]
논문
Representations of Place: Albania
https://www.jstor.or[...]
Blackwell Publishing on behalf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1999-07
[143]
웹사이트
C. Education, Science, Culture
http://bjoerna.dk/do[...]
[144]
서적
State-Religion Relationships and Human Rights Law : Towards a Right to Religiously Neutral Governance
Brill Academic/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0
[145]
백과사전
China - Religion
https://www.britanni[...]
2022-05-28
[146]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 China – History: Cultural Revolution
http://www.britannic[...]
2013-11-10
[147]
뉴스
China announces "civilizing" atheism drive in Tibet
http://news.bbc.co.u[...]
BBC
1999-01-12
[148]
서적
Untouchable: Dalits in Modern India
https://archive.org/[...]
Lynne Rienner Publishers
[149]
웹인용
Atheism in South India
http://www.iheu.org/[...]
International Humanist News
1996
[150]
학술지
Constructing "Godless Communism": Religion, Politics, and Popular Culture, 1954–1960
http://www.americanp[...]
2009-07-24
[151]
뉴스
How 'Under God' Got in There
2002-07-06
[152]
웹사이트
Anniversary of McCollum v. Board of Education Decision – Freedom From Religion Foundation
https://ffrf.org/new[...]
Ffrf.org
2015-07-14
[153]
뉴스
Vashti McCollum, 93, Plaintiff in a Landmark Religion Suit
https://query.nytime[...]
2006-08-26
[154]
서적
Religion on Trial
https://books.google[...]
AltraMira Press
2009-07-23
[155]
웹사이트
About: American Atheists
http://www.atheists.[...]
American Atheists
2007-09-27
[156]
웹사이트
Who was Madalyn Murray O'Hair? Profile of the legendary atheist – Beliefnet.com – Page 5
http://www.beliefnet[...]
Beliefnet.com
2015-07-14
[157]
뉴스
The atheists' calling the Madison-based Freedom From Religion Foundation is taking its latest battle to the U.S. Supreme court. It's a milestone for the often-vilified but financially strong group, which has seen its membership grow to an all-time high.
http://host.madison.[...]
2013-06-30
[158]
웹사이트
The Atheists' Calling
http://www.madison.c[...]
Wisconsin State Journal
2009-07-24
[159]
웹사이트
The Rise of Atheism
https://abcnews.go.c[...]
2009-07-23
[160]
뉴스
Christianity's Image Problem
http://www.time.com/[...]
TIME
2009-07-23
[161]
뉴스
The future looks bright
https://www.theguard[...]
2009-07-24
[162]
웹사이트
The Brights' Principles
http://www.the-brigh[...]
www.the-brights.net
2017-11-06
[163]
뉴스
Keeping the faith
http://news.bbc.co.u[...]
BBC
2009-07-23
[164]
웹사이트
The New Atheism
http://www.colorado.[...]
University of Colorado
2009-07-23
[165]
웹사이트
Richard Dawkins on militant atheism Talk
http://www.ted.com/t[...]
TED
2009-11-27
[166]
뉴스
The Church of the Nonbelievers
https://www.wired.co[...]
2009-11-23
[167]
웹사이트
Women in Secularism: 2012 conference in Washington, DC
http://www.womeninse[...]
2015-02-27
[168]
웹사이트
New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Act a first for atheists
http://religionnews.[...]
Religion News Service
2017-01-02
[169]
문서
[170]
웹사이트
For Beginners
http://raider.mountu[...]
Raider.mountunion.edu
2012-03-01
[171]
웹사이트
Elements of Atheism in Hindu Thought
http://www.tamu.edu/[...]
AGORA
2006-06-26
[172]
서적
Tittha Sutta: Sectarians
http://www.accesstoi[...]
[173]
웹사이트
The Thirty-one planes of Existence
http://www.accesstoi[...]
Access To Insight
2010-05-26
[174]
서적
Teacher of the Devas
http://www.accesstoi[...]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75]
서적
Kevaddha Sutta
http://www.accesstoi[...]
Access To Insight
[176]
문서
Refutation of all Heresies
[177]
문서
Refutation of all Heresies
[178]
문서
Stromata
[179]
문서
[180]
웹사이트
El-Ev: Positive Atheism's Big List of Quotations
http://www.positivea[...]
Positiveatheism.org
2012-03-01
[181]
웹사이트
Classic Drama Plays by Greek, Spanish, French, German and English Dramatists ... – Albert Ellery Bergh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2-03-01
[182]
문서
De Natura Deorum
[183]
문서
De Natura Deorum
[184]
서적
Homo necans
[185]
문서
[186]
문서
Moralia – Isis and Osiris
https://penelope.uch[...]
[187]
문서
Preparation for the Gospel
http://www.tertullia[...]
[188]
문서
Euhemeros
[189]
문서
Cicero, Ennius and the Concept of Apotheosis at Rome
[190]
웹사이트
Li-Lu: Positive Atheism's Big List of Quotations
http://www.positivea[...]
Positiveatheism.org
2012-03-01
[191]
문서
[192]
웹사이트
Ce-Cl: Positive Atheism's Big List of Quotations
http://www.positivea[...]
Positiveatheism.org
2012-03-01
[193]
웹사이트
Psalm 14 NIV – For the director of music. Of David.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12-03-01
[194]
서적
Freethinkers of medieval Islam: Ibn al-Rawandi, Abu Bakr al-Razi and their Impact on Islamic Thought
BRILL
[195]
서적
Freethinkers of Medieval Islam: Ibn al-Rdwandi, Abu Bakr al-Razi, and their Impact on Islamic Thought
BRILL
[196]
문서
Encyclopaedia of Islam
[197]
서적
Teutonic Mythology
[198]
서적
History of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Europe
http://www.h-net.org[...]
[199]
서적
A Replie to Mr Calfhills Blasphemous Answer Made Against the Treatise of the Cross
https://books.google[...]
[200]
서적
A History of God
London: Vintage
[201]
서적
Doubt: A History
HarperOne
[202]
웹사이트
The Philosophe
http://www.pinzler.c[...]
Pinzler.com
2012-03-01
[203]
웹사이트
War, Terror, and Resistance
http://chnm.gmu.edu/[...]
2006-10-31
[204]
문서
[205]
웹사이트
Charles Bradlaugh (1833–91)
http://www.humanism.[...]
British Humanist Association
[206]
문서
Oaths Bill 1888
https://api.parliame[...]
Hansard
[207]
간행물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
http://www.marxists.[...]
2009-07-24
[208]
문서
The Philosophy of Objectivism
http://www.aynrandle[...]
[209]
서적
Feminism and Atheism
[210]
서적
Treatise on the God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11]
서적
Universal Encyclopedia of Philosophy
Polish Thomas Aquinas Association
[212]
웹사이트
Atheism and Agnosticism
2007-04-12
[213]
논문
Religion and Atheism in the U.S.S.R. and Eastern Europe, Review.
http://links.jstor.o[...]
[214]
서적
Untouchable: Dalits in Modern India
Lynne Rienner Publishers
[215]
뉴스
He who created god was a fool, he who spreads his name is a scoundrel, and he who worships him is a barbarian.
http://www.iheu.org/[...]
International Humanist and Ethical Union
2007-05-30
[216]
간행물
Constructing "Godless Communism": Religion, Politics, and Popular Culture, 1954–1960
http://www.americanp[...]
2009-07-24
[217]
간행물
How 'Under God' Got in There
2002-07-06
[218]
서적
Religion on Trial
https://books.google[...]
AltraMira Press
2009-07-23
[219]
웹사이트
The Rise of Atheism
http://abcnews.go.co[...]
ABC News
2009-07-23
[220]
뉴스
Christianity's Image Problem
http://www.time.com/[...]
TIME
2009-07-23
[221]
웹사이트
The Atheists' Calling
http://www.madison.c[...]
Wisconsin State Journal
2009-07-24
[222]
웹사이트
The future looks bright
http://www.guardian.[...]
2009-07-24
[223]
뉴스
Keeping the faith
http://news.bbc.co.u[...]
BBC
2009-07-23
[224]
웹사이트
The New Atheism
http://www.colorado.[...]
Colorado University
2009-07-23
[225]
뉴스
The Church of the Nonbelievers
http://www.wired.com[...]
2009-11-23
[226]
웹사이트
Richard Dawkins on militant atheism Talk
http://www.ted.com/t[...]
TED
2009-11-27
[22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theism.about[...]
2011-02-06
[22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positivea[...]
2012-03-01
[229]
문서
http://books.google.[...]
[230]
문서
Refutation of all Heresies
[231]
문서
Refutation of all Heresies
[232]
문서
Stromata
[233]
문서
[234]
문서
De Natura Deorum
[235]
문서
De Natura Deorum
[236]
웹사이트
http://www.biblegate[...]
[237]
문서
Various Muslim theologians in the early Abbasid periods wrote treatises 'Against the Unbelievers,' ... the earliest extant work bearing this title is probably the ''Radd ala al-mulhid'' of the ninth-century Zaydi theologian al-Qasim b. Ibrahim. ... Nevertheless, in the discussions of God's existence the actual opponents are not identified as individuals. As a group they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heretics, unbelievers, materialists, or skeptics. These designations often appear together, and they do not always seem to b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authors' mind.
BRILL
[238]
서적
Freethinkers of Medieval Islam: Ibn al-Rdwandi, Abu Bakr al-Razi, and their Impact on Islamic Thought
BRILL
[239]
문서
Encyclopaedia of Islam
[240]
서적
Teutonic Mythology
[241]
서적
History of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Europe
http://www.h-net.org[...]
[242]
서적
A Replie to Mr Calfhills Blasphemous Answer Made Against the Treatise of the Cross
http://books.google.[...]
[243]
서적
A History of God
https://archive.org/[...]
London: Vintage
[244]
서적
Doubt: A History
HarperOne
[245]
웹사이트
The Philosophe
http://www.pinzler.c[...]
[246]
웹인용
War, Terror, and Resistance
https://web.archive.[...]
2006-10-31
[247]
웹사이트
Charles Bradlaugh (1833–91)
http://www.humanism.[...]
[248]
간행물
Oaths Bill 1888
http://hansard.millb[...]
Hansard
[249]
저널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
http://www.marxists.[...]
2009-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