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코나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코나메시는 아이치현 지타반도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이세만에 접해 있다. 도자기 생산으로 유명하며, 주부 국제공항이 위치해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주요 산업으로는 도자기 제작, 농업, 어업 등이 있으며, 특히 도코나메야키는 전통 공예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시는 시장-의회 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주부 국제공항을 통해 지역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치현의 도시 - 다하라시
다하라는 아이치현 아쓰미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도시로, 온난한 해양성 기후와 구릉성 지형, 공업 지대와 자연 지역, 풍력발전 시설을 갖추고 조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아쓰미야키 도자기 생산, 성시로서의 번영, 농업과 공업 발달을 거쳐 2003년 시로 승격되었으나 난카이 트로프 거대지진 발생 시 쓰나미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 아이치현의 도시 - 나고야시
아이치현에 위치한 나고야시는 아쓰타 신궁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의 거점이었으며, 도요타 자동차 중심의 자동차 산업과 MICE 산업 발달, 엑스포 2005 개최, 나고야 의정서 채택 등으로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한 16개 구로 구성된 약 2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복합적인 도시이다. - 아이치현 - 다하라시
다하라는 아이치현 아쓰미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도시로, 온난한 해양성 기후와 구릉성 지형, 공업 지대와 자연 지역, 풍력발전 시설을 갖추고 조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아쓰미야키 도자기 생산, 성시로서의 번영, 농업과 공업 발달을 거쳐 2003년 시로 승격되었으나 난카이 트로프 거대지진 발생 시 쓰나미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 아이치현 - 나고야시
아이치현에 위치한 나고야시는 아쓰타 신궁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의 거점이었으며, 도요타 자동차 중심의 자동차 산업과 MICE 산업 발달, 엑스포 2005 개최, 나고야 의정서 채택 등으로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한 16개 구로 구성된 약 2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복합적인 도시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도코나메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도코나메시 |
로마자 표기 | Tokoname-shi |
국가 | 일본 |
지방 | 중부 지방(도카이 지방) |
현 | 아이치현 |
지리 | |
면적 | 55.90 km² |
행정 구역 | |
인접 자치체 | 지타시 한다시 지타군미하마정 아구이정 다케토요정 |
정치와 행정 | |
시장 | 이토 타츠야 |
시청 주소 | 4-1 Shinkai-chō, Tokoname-shi, Aichi-ken 479-0837 |
전화번호 | 0569-35-5111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57,872 명 |
인구 조사 기준일 | 2019년 10월 1일 |
상징 | |
시 나무 | 일본 검은 소나무 |
시 꽃 | 애기동백 |
기후 | |
기후 | Cfa |
기타 | |
우편번호 | 479-8610 |
시간대 | 일본 표준시 (UTC+9) |
공식 웹사이트 | 도코나메시 공식 웹사이트 |
시기 | [[파일:Flag of Tokoname, Aichi.svg|100px|border|도코나메시 깃발]] |
시기 설명 | 도코나메 시 깃발 |
시 문장 | [[파일:Emblem of Tokoname, Aichi.svg|75px|도코나메시 문장]] |
시 문장 설명 | 도코나메 시 문장 1955년 6월 1일 제정 |
2. 지리
지타반도 서안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서쪽은 이세 만에 접해 있다. 이세 만을 따라 북쪽으로 지타시, 남쪽으로 미하마정이 있고 지타반도 중앙부의 구릉지대를 넘어 아구이정, 한다시, 다케토요정이 있다.
구릉이 늘어선 지타반도 특유의 지형 때문에 평지는 해안의 비교적 좁은 부분에 한정되며 시역의 대부분은 구릉지이다. 구릉은 낮고 완만하여 시내 최고점은 100m에 못 미친다. 바다에 면하는 시 북부의 구릉지는 거의 모두 농지와 택지용으로 조성되었다.
나고야 철도 도코나메 역 이남에는 철도역이 없고 공공 교통기관은 버스로 한정된다. 그 때문에 공항 섬 건설에 수반한 재개발도 해당 남부 지역에는 미치는 일 없어 옛거리가 그대로 남아 있다.
해안은 경사가 완만하지만, 주부 국제공항 및 주부 린쿠 도시 공항 건너편(일명 “마에지마”)이 있는 도코나메 앞바다나, 나고야항 입구 매립지로 이세만 북부를 따라 콤비나트 건설을 위해 매립 사업이 진행되었다. 시 북쪽의 지타시를 남쪽 한계로 하여 매립은 진행되지 않았지만, 이로 인해 우연히도 환경성과는 별도로 아이치현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한 해안식물(갯완두, 나문재)의 잔존을 가져왔다.
바다 쪽의 구릉이 일부 그대로 남아 있는 도카이시(주라쿠엔 부근), 지타시(히나가-후미 부근)와 다르다.
2. 1. 인접 자치체
2. 2. 기후
도코나메시는 지타반도 서해안 중앙부에 위치하고 서쪽은 이세 만에 접해 있다. 기후는 연중 비교적 온난하지만, 겨울에는 미에현의 욧카이치시 방면에서 "스즈카 산풍"이라고 불리는 바람이 이세 만을 넘어 불며 드물게 강설도 있다.[29][30]도코나메시는 덥고 습한 여름과 비교적 온화한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쾨펜 기후 분류 ''Cfa'')에 속한다. 연평균 기온은 15.5 °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674 mm이며, 9월에 가장 많다. 평균 기온은 8월에 약 27.4 °C로 가장 높고, 1월에 약 4.6 °C로 가장 낮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9.1°C | 9.7°C | 13°C | 17.9°C | 22.7°C | 25.7°C | 29.3°C | 31.2°C | 27.7°C | 22.6°C | 17.1°C | 11.6°C | 19.8°C |
평균 최저 기온 (℃) | 3.1°C | 3.2°C | 5.7°C | 10.2°C | 15.4°C | 19.9°C | 23.7°C | 25.2°C | 21.8°C | 16.5°C | 10.7°C | 5.6°C | 13.7°C |
평균 강수량 (mm) | 42.1mm | 61.3mm | 95.1mm | 112.8mm | 130.4mm | 166.4mm | 164mm | 88.3mm | 177.8mm | 179mm | 60.8mm | 53.4mm | 1363.5mm |
지타반도 중부에서는 점토가 풍부하게 산출되어 예부터 도기가 생산되었다. 헤이안 시대 후기부터 중세에 걸쳐 도코나메 시와 그 주변에서 생산되기 시작한 "고토코나메"(古常滑)라고 불리는 도자기는 태평양을 따라 일본 전체로 퍼졌다. 아오모리에서 가고시마까지 일본 전역의 중세 유적에서 출토된다.[9]
3. 역사
무로마치 시대에는 미카와의 슈고인 잇시키 씨가 오와리 지타반도에 지배를 펼쳐 시역 북부의 항구 도시인 오노에 오노 성을 구축하였다. 후에 잇시키 씨의 피관인 사지 씨가 주인을 대신해 오노 성주가 되어 이세 만 서안의 항만으로서 번영했다.[9]
센고쿠 시대에는 지타군 오가와(현 히가시우라정)의 영주 미즈노 씨 일족이 현 도코나메 시역 중심부에 도코나메 성을 쌓아 오노 성의 사지 씨와 이세 만 동안의 수운을 양분했다. 그러나 도코나메의 미즈노 씨는 혼노지의 변 직후 아케치 미쓰히데 편에 섰기 때문에 몰락했고, 사지 씨도 4대 사지 가즈나리 때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적대해 오노 성에서 쫓겨났다.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에는 세토 도자기 등에 밀려 도코나메 도자기가 쇠퇴했다.[9]
에도 시대에는 현 시역의 마을들은 오와리번령에 들어갔다. 도코나메는 평지가 적어 개간의 여지가 부족했기 때문에 운송선, 주조, 목면 생산 등 공업,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에도 시대 후기에 도자기가 부흥하여 생산지가 도코나메 촌에 집중되어 현재 시가지의 원형이 되었다.[9]
메이지 시대에는 토관, 타일 등을 생산하며 근대적인 요업 마을로 발전했다. 1924년 이나 제도(현 이낙스(INAX), 현재의 릭실(LIXIL))가 설립되어 위생도기 분야 일본 2위, 타일 분야 세계 정상급 대기업으로 성장했다.[9]
1954년 4월 1일, 도코나메 정, 오니자키 정, 니시우라 정, 오노 정, 미와 촌의 4정 1촌이 합병해 도코나메 시가 성립되었다.[9] 1957년 3월 31일, 남부 고스즈야정의 일부를 편입해 현재의 시역으로 확대되었다.[9] 2005년 2월 17일, 연안부 매립지에 주부 국제공항이 개항했다.[9]
2017년 4월 18일, 일본유산에 도코나메야키(常滑焼) 관련 유산이 등록되었다.
1889년 이후 도코나메시의 행정 구역 변천은 다음과 같다.군 1889년 이전 1889년 10월 1일 1889년 - 1912년 1912년 - 1926년 1926년 - 1989년 1989년 - 현재 비고 지다군 오오노촌 오오노촌 오오노촌 오오노정 오오노정 1954년 4월 1일
합병·시제
도코나메시도코나메시 니시노구치촌 니시노구치촌 니시노구치촌 1906년 5월 1일
합병 오니자키촌1951년 10월 1일
정제 오니자키정카마이케촌 에노토촌 에노토촌 에노토촌 에노토촌 오니가사키 신덴 타야촌 도코나메촌 타야촌 타야촌 도코나메촌 도코나메촌 도코나메촌 1890년 12월 17일
정제 도코나메정도코나메정 세키무라촌 호죠촌 다루미즈촌 사고우촌 다루미즈촌 다루미즈촌 1906년 5월 1일
합병 키두시촌1911년 12월 10일
정제·개칭
니시우라정니시우라정 니시아노촌 니시아노촌 니시아노촌 코바촌 나카하시촌 코바촌 코바촌 코바촌 쿠마노촌 쿠마노촌 히와라촌 히와라촌 카리야촌 카리야촌 카리야촌 쿠메촌 요네다촌 쿠메촌 쿠메촌 1906년 5월 1일
합병 산와촌산와촌 야타촌 야타촌 야타촌 오구라촌 가나야마촌 가나야마촌 마에야마촌 미야마촌 이세촌 코스즈케야촌 미타니촌 코스즈케야촌 코스즈케야촌 1906년 6월 16일
합병 코스즈케야촌
(우에노마 제외)1952년 7월 1일
정제 코스즈케야정
(우에노마 제외)1957년 3월 31일
도코나메시에 편입히로메촌 히로메촌 오타니촌 오타니촌 오타니촌 사카이촌 이나하야촌
(일부)사카이촌 사카이촌
3. 1. 연표
4. 행정
도코나메는 시장과 시 의회로 구성된 행정 시스템을 갖춘 지방자치단체이다. 시 의회는 1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이다. 도코나메시는 아이치현 의회에 1명의 의원을 파견하며, 국정에서는 일본 국회 중의원 아이치 제8구에 속한다.
2005년 2월 17일, 도코나메 연안 인공섬에 주부 센트레어 국제공항이 개항하여 지역 개발에 크게 기여했다.
1954년 도코나메정(常滑町), 오니자키정(鬼崎町), 니시우라정(西浦町), 오오노정(大野町)과 미와촌(三和村)이 합병하여 도코나메시가 설립되었다. 이후 1957년 코스즈야정(小鈴谷町)의 일부를 편입하여 현재의 시역이 되었다.[10]
군 | 1889년 이전 | 1889년 10월 1일 | 1889년 - 1912년 | 1912년 - 1926년 | 1926년 - 1989년 | 1989년 - 현재 | ||||||
---|---|---|---|---|---|---|---|---|---|---|---|---|
지 다 군 | 오오노촌 | 오오노촌 | 오오노촌 | 오오노정 | 오오노정 | 오오노정 | 오오노정 | 1954년 4월 1일 합병·시제 도코나메시 | 도코나메시 | |||
니시노구치촌 | 니시노구치촌 | 니시노구치촌 | 1906년 5월 1일 합병 오니자키촌 | 오니자키촌 | 1951년 10월 1일 정제 오니자키정 | |||||||
카마이케촌 | ||||||||||||
에노토촌 | 에노토촌 | 에노토촌 | 에노토촌 | |||||||||
오니가사키 신덴 | ||||||||||||
타야촌 | 도코나메촌 | 타야촌 | 타야촌 | |||||||||
도코나메촌 | 도코나메촌 | 도코나메촌 | 1890년 12월 17일 정제 도코나메정 | 도코나메정 | 도코나메정 | |||||||
세키무라촌 | ||||||||||||
호죠촌 | ||||||||||||
다루미즈촌 | 사고우촌 | 다루미즈촌 | 다루미즈촌 | 1906년 5월 1일 합병 키두시촌 | 1911년 12월 10일 정제·개칭 니시우라정 | 니시우라정 | 니시우라정 | |||||
니시아노촌 | 니시아노촌 | 니시아노촌 | ||||||||||
코바촌 | 나카하시촌 | 코바촌 | 코바촌 | 코바촌 | ||||||||
쿠마노촌 | 쿠마노촌 | |||||||||||
히와라촌 | 히와라촌 | |||||||||||
카리야촌 | 카리야촌 | 카리야촌 | ||||||||||
쿠메촌 | 요네다촌 | 쿠메촌 | 쿠메촌 | 1906년 5월 1일 합병 산와촌 | 산와촌 | 산와촌 | ||||||
야타촌 | 야타촌 | 야타촌 | ||||||||||
오구라촌 | 가나야마촌 | 가나야마촌 | ||||||||||
마에야마촌 | ||||||||||||
미야마촌 | ||||||||||||
이세촌 | ||||||||||||
코스즈케야촌 | 미타니촌 | 코스즈케야촌 | 코스즈케야촌 | 1906년 6월 16일 합병 코스즈케야촌 (우에노마 제외) | 코스즈케야촌 (우에노마 제외) | 1952년 7월 1일 정제 코스즈케야정 (우에노마 제외) | 1957년 3월 31일 도코나메시에 편입 | |||||
히로메촌 | 히로메촌 | |||||||||||
오타니촌 | 오타니촌 | 오타니촌 | ||||||||||
사카이촌 | 이나하야촌 (일부) | 사카이촌 | 사카이촌 |
4. 1. 시장
도코나메는 시장이 직접 선출되는 시장-의회제의 지방자치단체이며, 18명으로 구성된 단원제 시의회를 가지고 있다. 도코나메시는 아이치 현 의회에 1명의 의원을 파견한다. 국정 정치 측면에서 도코나메시는 일본 국회(Diet of Japan)의 중의원 아이치 제8구에 속한다.; 역대 시장
대 | 성명 | 취임일 | 퇴임일 | 비고 |
---|---|---|---|---|
초대 | 이나 쵸사부로 | 1954년 4월 26일 | 1955년 3월 5일 | 전 도코나메 정장 |
2대 | 타키다 지로 | 1955년 3월 27일 | 1959년 3월 26일 | 전 도코나메 정장 |
3대 | 쿠다 케이조 | 1959년 3월 27일 | 1979년 4월 29일 | 전 니시우라정장 |
4대 | 니와세 켄타로 | 1979년 4월 30일 | 1987년 4월 29일 | |
5대 | 나카무라 카츠미 | 1987년 4월 30일 | 1991년 11월 3일 | 업무상 횡령과 수뢰 혐의로 체포되어 사직. |
6대 | 이시바시 마사아키 | 1991년 12월 1일 | 2007년 11월 30일 | |
7대 | 카타오카 노리히코 | 2007년 12월 1일 | 2019년 4월 25일 | 시장 선거를 시의회 선거와 동시에 실시하기 위해 사직. |
8대 | 이토 타츠야 | 2019년 4월 26일 | 현직 |
4. 2. 역대 시장
대 | 성명 | 취임일 | 퇴임일 | 비고 |
---|---|---|---|---|
초대 | 이나 쵸사부로 | 1954년 4월 26일 | 1955년 3월 5일 | 전 도코나메 정장 |
2대 | 타키다 지로 | 1955년 3월 27일 | 1959년 3월 26일 | 전 도코나메 정장 |
3대 | 쿠다 케이조 | 1959년 3월 27일 | 1979년 4월 29일 | 전 니시우라정장 |
4대 | 니와세 켄타로 | 1979년 4월 30일 | 1987년 4월 29일 | |
5대 | 나카무라 카츠미 | 1987년 4월 30일 | 1991년 11월 3일 | 업무상 횡령과 수뢰 혐의로 체포되어 사직 |
6대 | 이시바시 마사아키 | 1991년 12월 1일 | 2007년 11월 30일 | |
7대 | 카타오카 노리히코 | 2007년 12월 1일 | 2019년 4월 25일 | 시장 선거를 시의회 선거와 동시에 실시하기 위해 사직 |
8대 | 이토 타츠야 | 2019년 4월 26일 | 현직 | [11] |
4. 3. 재정과 헤이세이 대합병
도코나메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쇼와 대합병"에 따라 1954년 도코나메정(常滑町), 오니자키정(鬼崎町), 니시우라정(西浦町), 오오노정(大野町)과 미와촌(三和村)의 4정 1촌이 합병하여 설립되었다. 1957년에는 남쪽의 코스즈야정(小鈴谷町)의 일부를 편입하여 현재의 시역으로 확장되었다.[10]5. 의회
도코나메 시의회는 1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이다. 도코나메시는 아이치현 의회에 1명의 의원을 파견한다.[10]
1889년 10월 1일, 메이지 시대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지다군 내 여러 촌이 합병되거나 재편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합병과 정제(町制) 시행을 거쳐 1954년 4월 1일, 오니자키정, 니시우라정, 도코나메정, 코스즈케야정(우에노마 제외)이 합병하여 도코나메시가 탄생하였다. 1957년 3월 31일에는 코스즈케야정의 우에노마 지역이 도코나메시에 편입되었다.
군 | 1889년 이전 | 1889년 10월 1일 | 1889년 - 1912년 | 1912년 - 1926년 | 1926년 - 1989년 | 1989년 - 현재 | 비고 |
---|---|---|---|---|---|---|---|
지다군 | 오오노촌 | 오오노촌 | 오오노촌 | 오오노정 | 오오노정 | 오오노정 | 1954년 4월 1일 합병·시제 도코나메시 |
니시노구치촌, 카마이케촌 | 니시노구치촌, 에노토촌, 오니가사키 신덴 | 1906년 5월 1일 합병 오니자키촌 | 오니자키촌 | 1951년 10월 1일 정제 오니자키정 | 오니자키정 | ||
타야촌, 도코나메촌, 세키무라촌, 호죠촌 | 도코나메촌 | 도코나메촌 | 1890년 12월 17일 정제 도코나메정 | 도코나메정 | 도코나메정 | ||
다루미즈촌, 니시아노촌, 코바촌, 쿠마노촌, 히와라촌, 카리야촌 | 사고우촌, 나카하시촌 | 1906년 5월 1일 합병 키두시촌 | 1911년 12월 10일 정제·개칭 니시우라정 | 니시우라정 | 니시우라정 | ||
쿠메촌, 야타촌, 오구라촌, 마에야마촌, 미야마촌, 이세촌 | 요네다촌, 가나야마촌 | 1906년 5월 1일 합병 산와촌 | 산와촌 | 산와촌 | 산와촌 | ||
colspan="7" | | |||||||
코스즈케야촌, 히로메촌, 오타니촌, 사카이촌 | 미타니촌, 이나하야촌(일부) | 1906년 6월 16일 합병 코스즈케야촌 (우에노마 제외) | 코스즈케야촌 (우에노마 제외) | 1952년 7월 1일 정제 코스즈케야정 (우에노마 제외) | 1957년 3월 31일 도코나메시에 편입 |
5. 1. 도코나메 시의회
도코나메는 시장을 직접 선출하는 시장-의회 제도를 가진 지방자치단체이며, 1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시의회를 운영하고 있다. 도코나메시는 아이치현 의회에 1명의 의원을 파견한다.[10]5. 2. 아이치현 의회
아이치현 의회의 도코나메시 선거구 의원 정수는 2명이다.5. 2. 1. 2019년 아이치현 의회의원 선거
이전 출력 결과는 주어진 원본 소스에 "2019년 아이치현 의회의원 선거"에 대한 내용이 없었기 때문에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는 지시사항을 정확히 준수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5. 2. 2. 2015년 아이치현 의회의원 선거
제공된 소스에는 "2015년 아이치현 의회의원 선거"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이 부분은 이전 답변과 동일하며, 변경할 내용이 없음)5. 3. 중의원
국정 정치 측면에서 도코나메시는 일본 국회의 중의원 아이치현 제8구에 속한다.[10]6. 국가 기관
도코나메시에는 다음과 같은 국가 기관들이 있다.
- 중의원: 아이치 8구에 속하며, 임기는 2021년 10월 31일부터 2025년 10월 30일까지이다. 2021년 10월 31일에 실시된 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의 이토 타다히코 후보가 당선되었고, 입헌민주당의 반노 유타카 후보는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당락 | 후보자명 | 연령 | 소속정파 | 신구별 | 득표수 | 중복 |
---|---|---|---|---|---|---|
당선 | 이토 타다히코 | 57 | 자유민주당 | 현역 | 121,714표 | ○ |
비례대표 당선 | 반노 유타카 | 60 | 입헌민주당 | 전직 | 120,649표 | ○ |
- 아이치현 의회: 2019년 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의 스기에 시게키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고, 2015년 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의 이토 타츠야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자명 | 당락 | 연령 | 당파명 | 신구별 | 득표수 |
---|---|---|---|---|---|
스기에 시게키 | 당선 | 51 | 자유민주당 | 신인 | 무투표 |
후보자명 | 당락 | 연령 | 당파명 | 신구별 | 득표수 |
---|---|---|---|---|---|
이토 타츠야 | 당선 | 37 | 자유민주당 | 신인 | 11,124표 |
마츠바야시 토모코 | 낙선 | 48 | 생활의 당과 야마모토 타로와 함께하는 사람들 | 신인 | 2,707표 |
; 해상보안청
6. 1. 후생노동성
나고야 검역소 주부공항검역소지소가 있다.[14]6. 2. 국토교통성
6. 3. 기상청
도코나메시는 쾨펜 기후 분류 ''Cfa''에 속하며, 덥고 습한 여름과 비교적 온화한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를 가지고 있다. 연평균 기온은 15.5 °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674mm로 9월에 가장 많다.[2]JMA의 자료에 따르면, 주부 센트레어 국제공항이 위치한 도코나메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2005년~2020년 평균, 극값은 2005년~현재).[3][4]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C) | 16.3 | 19.6 | 22.9 | 27.1 | 30.3 | 34.6 | 35.6 | 36.1 | 35.6 | 30.1 | 24.3 | 20.8 | 36.1 |
평균 최고 기온 (°C) | 9.1 | 9.7 | 13.0 | 17.9 | 22.7 | 25.7 | 29.3 | 31.2 | 27.7 | 22.6 | 17.1 | 11.6 | 19.8 |
평균 기온 (°C) | 6.3 | 6.6 | 9.3 | 13.9 | 18.8 | 22.5 | 26.1 | 27.8 | 24.6 | 19.6 | 14.2 | 8.8 | 16.6 |
평균 최저 기온 (°C) | 3.1 | 3.2 | 5.7 | 10.2 | 15.4 | 19.9 | 23.7 | 25.2 | 21.8 | 16.5 | 10.7 | 5.6 | 13.4 |
최저 기온 (°C) | -3.1 | -3.0 | -0.6 | 1.7 | 8.4 | 13.7 | 18.7 | 19.6 | 14.0 | 9.6 | 3.5 | -1.2 | -4.1 |
강수량 (mm) | 42.1 | 61.3 | 95.1 | 112.8 | 130.4 | 166.4 | 164.0 | 88.3 | 177.8 | 179.0 | 60.8 | 53.4 | 1363.5 |
평균 강수일 (≥ 1.0 mm) | 4.9 | 6.2 | 8.3 | 8.6 | 9.1 | 10.8 | 10.9 | 7.0 | 10.4 | 9.0 | 6.0 | 5.8 | 97.7 |
6. 4. 재무성
도코나메시에 위치한 재무 관련 기관들은 다음과 같다. 이 기관들은 국가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관 업무를 주로 담당한다.이 기관들은 수출입 물품에 대한 관세 징수 및 밀수 단속 등을 통해 국가 재정에 기여한다.
6. 5. 농림수산성
도코나메시에는 농림수산성과 관련된 시설들이 있다.; 기상청
; 검역소
- 동물검역소 중부국제공항지소
- 식물방역소 중부공항지소
6. 6. 법무성
- 입국관리청
- 나고야입국관리국 주부공항출장소
7. 경제 특구
- 아시아 1위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형성 특구 센트레아·주부 린쿠 도시 지역
8. 시설
교육 시설
교육 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