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환희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희천은 힌두교 신 가네샤의 영향을 받아 불교에서 숭배되는 신으로, 기쁨과 번영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쇼텐' 또는 '칸기텐'으로 불리며, 특히 이중 형태의 신으로 숭배받는다. 비나야카, 가나파티, 쇼텐, 칸기텐은 불교 신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며, 칸기텐은 신의 이중 형태를 나타낸다. 환희천은 악신에서 불교에 귀의한 호법선신으로 변화하여 재운과 복운을 가져다주는 신으로 숭배받았으며, 여러 문헌에서 그 유래와 의식, 숭배 방법이 언급된다. 환희천은 단독 또는 쌍신 형태로 묘사되며, 다양한 속성과 관련되어 있다. 일본의 밀교 사찰에서 숭배되며, 유욕공, 화수공 등의 의식과 공물을 통해 숭배된다. 숭배자들은 환희천을 강력한 신으로 여기지만, 그 변덕스러운 성격과 숭배에 대한 주의를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운의 남신 - 가네샤
    가네샤는 코끼리 머리를 가진 힌두교 신으로 지혜, 재산, 행운을 관장하며 장애를 제거하는 존재로 숭배받고, 인도 미술에서 인기가 많을 뿐 아니라 불교와 자이나교에서도 나타나며 매년 가네샤 차투르티 축제가 열린다.
  • 행운의 남신 - 플루토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부의 신 플루토스는 데메테르와 이아시온의 아들로, 풍요의 뿔을 든 어린아이로 묘사되며, 제우스에 의해 눈이 멀어 편견 없이 부를 분배하는 존재로도 전해진다.
  • 호법신 - 산신
    산신은 동아시아에서 산의 정령으로 숭배되며, 한국에서는 사찰이나 신당에서 노년 남성의 모습으로 호랑이와 함께 모셔지고, 불교에서는 호법신으로, 중국에서는 오악의 신, 일본에서는 야마노카미, 베트남에서는 특정 산에 깃든 신으로 숭배받으며 각 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반영한다.
  • 호법신 - 길상천
환희천
개요
쌍신 환희천
쌍신 환희천
다른 이름쇼텐 / 쇼덴 (聖天)
쇼텐- / 쇼덴-사마 (聖天様 / 聖天さま)
다이쇼 강기텐 (大聖歓喜天)
강기 지자이텐 (歓喜自在天)
다이쇼 강기 다이지자이텐 (大聖歓喜大自在天)
다이쇼 강기 소신 텐노 (大聖歓喜双身天王)
난다이 지자이텐 (難提自在天)
조비텐 (象鼻天)
비나야카 / 비나야캬 (毘那夜迦)
가나바치 / 가나하치 / 가나핫테이 (誐那缽底)
텐손 (天尊)
종류일본 신
성별남성
소속천인
비로자나불
십일면 관세음보살
군다리명왕
삼보 고진
힌두교 해당 신가네샤
숭배진언종
거주지카일라스산 (게이라-센)
상징강기단 (모닥)

킨차쿠
만트라"" (On kiri(ku) gyaku un sowaka)
무기도끼
삼지창
아버지마혜수라
어머니우마
배우자세나야카
형제자매세나야카 (형제, 후에 아내로 환생; 아발로키테슈바라의 화신)
스칸다 (형제)
기게이텐 (자매)
역할장애, 행복, 성공의 신
추가 정보
관련 항목대자재천
대흑천
위타천
대일여래
십일면관음
군다리명왕
삼보황신
가네샤

2. 명칭

환희천은 '쇼텐'(聖天, 성스러운 신), '칸기텐'(歓喜天, 환희의 신), '비나야카'(Vināyaka)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1] '쇼텐'은 행운 및 재물과의 연관성을 나타내며, '칸기텐'은 기쁨과 번영을 가져다주는 존재로서의 의미를 강조한다. '비나야카'는 힌두교에서 가네샤의 다른 이름이며, 불교에서는 장애를 일으키는 존재를 의미하기도 한다.[1]

일본에서는 이 신을 일반적으로 '쇼텐' 또는 '칸기텐'으로 부르며, 신도들 사이에서는 존칭인 '텐손'(天尊, 존귀한 신)으로 불리기도 한다.[3]

'비나야카'는 중국어로 毘那夜迦 (毘那夜迦|pinyin: Pínàyèjiā중국어), 頻那夜迦 (頻那夜迦|pinyin: Pínnàyèjiā중국어), 毘那怛迦 (毘那怛迦|pinyin: Pínàdájiā중국어) 등으로 음차되었으며,[1] '가나파티'는 誐那鉢底 (誐那鉢底|pinyin: Énàbōdǐ중국어) 또는 伽那鉢底 / 迦那鉢底 (伽那鉢底 / 迦那鉢底|pinyin: Jiānàbōdǐ중국어)로 음차되었다.[1] 일본어로는 毘那夜迦 (로마자: Binayaka / Binayakya), 誐那鉢底 (로마자: Ganabachi / Ganahachi / Ganahattei)로 표기한다.[1]

「성천(聖天)」의 「성(聖)」자는 환희천의 본신(대일여래 혹은 관세음보살)을 나타낸다.

3. 역사적 발전과 문헌

환희천(비나야카)을 설명하는 경전은 다음과 같다.

경전 이름번역자비고
『사주법경』 보리류지대정장 1267
『대사주법경』당 보리류지대정장 1268
『불설금색아나발저다라니경』당 금강지대정장 1269
『대성환희쌍신대자재천비나야가왕귀의념송공양법』당 선무외대정장 1270
『대성천환희쌍신비나야가법』당 불공대정장 1266
『마가비로자나여래정혜균등입삼마야신쌍신대성환희천보살수행비밀법의궤』당 불공대정장 1271
『비나야가아나발저유가실지품비요』당 함광대정장 1273
『대성환희쌍신비나야가천형상품의궤』당 경슬대정장 1274
『성환희천식법』당 반야갈라대정장 1275
『금강살타설빈나야가천성취의궤경』 법현대정장 1272
『권현금색가나파제구목천법』보리류지만속장경 185



헤이안 시대부터 환희천은 국가가 후원하는 공식 의식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정복 의식에 자주 소환되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도 환희천을 숭배했다.[23] 에도 시대에는 일반 대중 사이에서도 환희천 신앙이 확산되어, 상인 등 다양한 계층에서 숭배되었다.[23]

3. 1. 악신과 호법신

초기 불교 문헌에서 '비나야카'는 장애를 일으키는 악마적인 존재로 묘사되었다.[1] 당나라 승려 이정의 《대공작주왕경》 주석에는 비나야카를 "장애 신"으로 정의하고, 서쪽(인도)에서 널리 숭배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대일경》(《바이로차나비삼보디 수트라》)에서는 ''비나야카''와 ''라크샤사''와 같은 악마적 존재가 진언의 힘을 통해 흩어진다고 말한다. 승려 의정은 이 텍스트에 대한 주석에서 ''비나야카''를 망상심에서 비롯된 장애물로 묘사한다.[1]

밀교 문헌에서 비나야카는 진언으로 쫓아내거나 의식적인 공양으로 달래야 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적절하게 숭배되면 그는 수행자의 동맹자가 되어 모든 장애물을 제거하는 보호신으로 변모한다. 비나야카는 '비그나라자'(Vighnarāja), 즉 "장애의 군주"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때로는 분노신인 마하칼라나 부동명왕에게 짓밟히는 모습으로 티베트 불교와 동아시아 불교 미술에 묘사되기도 한다.[5]

밀교(탄트라) 불교의 등장과 함께 비나야카는 악마를 제압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얻게 되었다. 티베트에서 이 신은 장애물을 제거하고 부를 가져다주는 존재로 숭배되었으며, 때로는 무기를 휘두르는 분노한 여러 팔을 가진 신으로 묘사되었다. 비나야카는 둔황의 모고굴 285호 벽화에서 마헤슈바라 (시바)와 간다와 함께 불교의 수호신으로 묘사되기도 한다.[6]

두 주요 만다라는 동아시아 밀교(당밀)에도 비나야카가 등장한다. 태장계(가르바코샤다투) 만다라(대일경을 기반)에서 비나야카는 방위신 이샤나의 시종들 중 하나로, 힌두교의 시바에서 유래한 대흑천 신과 함께 등장한다.[7][8] 반면 금강계(바즈라다투) 만다라(금강정경을 기반)의 외부 구역에는 네 방향으로 배치된 네 그룹의 다섯 신이 있으며, 각 그룹에는 하나의 ''비나야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는 장애를 일으키는 악마를 굴복시키기 위해 명시적으로 ''비나야카''의 형태를 취한 비로자나의 화신으로 해석된다.

진언종의 창시자인 구카이(774–835)에 의해 일본으로 전래된 이러한 만다라에 비나야카가 포함된 것은 그가 일본에 도입되는 데 기여했다. 여기서 그는 처음에는 두 만다라의 부차적인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헤이안 시대(794–1185)에 비나야카는 개별화된 숭배가 이루어지는 ''벳손''(別尊, 문자 그대로 "별도의/독특한 가치")으로 부상했다. 이 신의 숭배는 진언종에서 승려 가쿠반(1095–1143)에 의해 발전되었고, 천태종에서는 안넨(841–889?)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3. 2. 일본으로의 전래

진언종의 창시자 구카이(774–835)가 중국에서 들여온 만다라에 비나야카가 포함되어 일본에 전래되었다.[7][8] 헤이안 시대(794–1185)에 비나야카를 중심으로 한 개별적인 숭배가 발전했으며, 진언종의 가쿠반(1095–1143)과 천태종의 안넨(841–889?)에 의해 체계화되었다.[11][12][13][14][1]

3. 3. 쌍신 환희천(Dual Vinayaka, Kangiten)의 등장

헤이안 시대 후기에 비나야카(이전에는 종종 두 팔을 가진 단일 형상으로 묘사되었지만 때로는 네 개 또는 여섯 개의 팔을 가진 경우도 있음)가 포옹하는 남녀 한 쌍으로 묘사되는 이중 신 환희천(''소신'' / ''소진 환희천'') 이미지의 인기가 높아졌다.[7]

이중 신 쇼텐(환희천), ''불조도회''(1690)에서


동아시아에서만 볼 수 있는 이 이미지의 기원은 수년 동안 학자들을 당혹게 했다. 이 형태의 시작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없다. 네팔과 티베트에서 발견되는 성적인 야브윰 도상학과 비교되기도 하지만, 두 인물 모두 동물의 머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현저하게 다르다.[9] 로드 로셀스는 이중 신 비나야카 형태가 8세기에 신장 위구르 자치구(중국 투르키스탄)와 둔황에서 입증된 네 다리를 가진 가나파티를 보여주는 도상학적 유형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형태는 처음으로 7~8세기 중국 밀교 텍스트에서 증명되었다. 아티굽타(또는 아티쿠타)가 653~654 CE에 중국어로 번역한 ''다라니집경''(대정장 901)은 이중 신 비나야카를 숭배하는 의식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아모가바지라 (705–774)가 그의 의식 텍스트 ''대성 환희 쌍신 비나야카 법'' (T. 1266)에서 복제했다.[10][11] 이 텍스트는 이중 신과 여섯 팔을 가진 단일 비나야카 이미지의 제작 지침을 제공하고 신에게 제공해야 할 제물의 종류를 명시한다.

보리류지(전승 672–727)에게 귀속되는 두 개의 텍스트인 ''가나의 진언과 의식의 경'' (T. 1267)과[12] ''가나의 진언과 의식의 대경'' (T. 1268)은[13] 이중 신 비나야카의 의식과 묘사에 대한 동일한 지침을 담고 있다.

선무외 (637–736)의 의식 매뉴얼 ''대성 환희 쌍신 대자재천 비나야가왕 귀의 염송 공양법'' (T. 1270)은[14] 인도 자료에서 발견되지 않은 이중 신 비나야카에 관한 새로운 신화를 언급하고 있으며, 신을 보살 관세음보살(관음 / 간논)과 명시적으로 연관시키는 최초의 텍스트이다.

아모가바즈라가 저술한 것으로 여겨지는 짧은 텍스트인 ''여래 대일여래의 선정과 지혜가 삼매야신과 융합된 쌍신 대성 환희천 보살 수행 비밀 법 의궤''(T. 1271)는[16] 쌍신 비나야카 의식을 네 가지 종류의 이익 또는 ''siddhi''(보호, 획득, 사랑 및 굴복)을 얻는 절차로 설명한다.

''간기단''(歓喜団, 문자 그대로 "환희 빵"), 인도의 모다카에서 파생된 튀긴 화과자


아모가바즈라의 제자인 한광(含光)은 747년에 그의 스승의 작업을 이어받아 ''비나야카 가나파티 요가 시디품 비요''(T.1273)라는 텍스트를 저술했다.[17]

보리류지가 저술한 것으로 여겨지는 의식 안내서인 ''아홉 눈의 데바, 금색 가나파티의 임시 화신 의식''은[18] 네 개의 팔과 세 개의 머리(각 머리마다 세 개의 눈)를 가진 비나야카의 분노한 화신을 설명하며, 이는 겉보기에 티베트 형태의 신을 기반으로 한다. 금강지가 번역한 ''금색 가나파티 다라니 경''(T. 1269)은[19] 여섯 개의 팔을 가진 가나파티를 묘사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이는 또한 숨겨져야 하고 모다카(歡喜團, ''huānxǐtuán''; ''kangidan'', 문자 그대로 "환희 빵"), 꿀, 과자와 같은 단 것을 바쳐야 한다.

11세기 초에 제작된 위경인 ''금강살타가 가르친 비나야카 천 성취 의궤경''(T. 1272)은[20] 적의 파멸을 목표로 하는 ''비나야카''를 소환하는 흑마술 주문을 담고 있다.

선무외가 번역한 『대성환희쌍신대자재천비나야가왕귀의염송공양법』은 쌍신환희천상의 유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마헤슈바라(마혜수라대자재천왕)의 아내 우마녀는 3,000명의 자녀를 낳았다. 왼쪽에서 태어난 1,500명의 자식은 비나야가왕을 장자로 하여 온갖 악행을 저질렀다. 한편, 선나야가지선천(扇那夜迦持善天, Senanāyaka|세나나야카sa)을 장자로 하는 오른쪽의 1,500명의 자식은 선행을 닦았다. 관음보살의 화신이었던 선나야가왕은 비나야가왕의 악행을 진정시키기 위해 처음에는 그의 형제가 되었고, 이어서 여천으로 비나야가왕과 부부가 되어 '상포동체'의 형상을 현현했다고 한다.[86][87]

3. 4. 중세 이후

平安時代|헤이안 시대일본어부터 환희천은 국가가 후원하는 공식 의식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정복 의식에 자주 소환되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같은 유명한 역사적 인물들도 환희천을 숭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江戸時代|에도 시대일본어에는 일반 대중 사이에서도 환희천 신앙이 확산되었으며, 상인 등 다양한 계층에서 숭배되었다.[23]

  • 국가 의식 참여: 785년에 내려진 칙령은 쇼텐(환희천)을 포함한 여러 신들을 대상으로 한 개인적인 의식 수행을 금지했지만, 황실 의식에는 환희천이 등장했다. 호겐 이야기에서는 후지와라노 요리나가고시라카와 천황에 대항하여 쇼텐을 소환하는 의식을 요청하기도 했다.[22]

  • 정복 의식: 쇼텐은 정복 의식에 자주 소환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덴다이 승려 손이(소니)는 스기와라노 미치자네의 온료(원령)를 진정시키기 위해 쇼텐을 소환했다.[22][23]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손이가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반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의식을 수행했을 때, 강기천(환희천)의 조각상이 동쪽으로 날아가 마사카도의 패배를 알렸다고 한다.

  • 대중 신앙 확산: 에도 시대에는 일반 대중 사이에서도 환희천 신앙이 널리 퍼졌다. 키노쿠니야 분자에몬, 타카다야 카헤이와 같은 상인들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같은 다이묘, 미쓰이, 스미토모, 고노이케 같은 부유한 사업가 가문도 환희천을 숭배했다.[23] 극작가 콘파루 젠치쿠도 환희천에게 헌신했다.[23]

  • 양면성: 환희천은 강력하고 효험이 있는 신으로 여겨지지만, 동시에 변덕스럽고 요구가 많은 신으로도 여겨졌다. 숭배를 소홀히 하면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57]

  • 현대: 현대에도 환희천 신앙은 이어지고 있으며, 주로 사랑, 관계, 사업에서의 성공을 기원하며 숭배된다.[60] 간사이 지방에서 특히 인기가 높다.[60]

4. 신화

여러 텍스트에서 쌍신 환희천 이미지의 기원과 의미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슈브하카라심하의 의례서에 나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마헤슈바라의 아내 우마(파르바티)는 세 자녀를 낳았는데, 왼쪽에서 비나야카왕(毘那夜迦王)을 우두머리로 하는 1,500명의 악신이 태어났고, 오른쪽에서 아발로키테슈바라의 화신인 세나야카왕(扇那夜迦王)을 우두머리로 하는 1,500명의 자비로운 신들이 태어났다.[27][28][29] Vinayaka의 악행을 제압하기 위해 세나야카는 "Vinayaka와 동시에 태어나 형제, 부부 관계를 맺었다." 그의 아내로 환생한 세나야카는 Vinayaka를 껴안아 그의 분노를 진정시키고 그를 선을 위한 존재로 만들었다.[20][101]

마헤슈바라(Daijizaiten)


선무외가 번역한 『대성환희쌍신대자재천비나야가왕귀의염송공양법』은 쌍신환희천상의 유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마헤슈바라(大自在天|마혜수라대자재천왕)의 아내 우마녀는 3,000명의 자녀를 낳았다. 왼쪽에서 태어난 1,500명의 자식은 비나야가왕을 장자로 하여 온갖 악행을 저질렀다. 한편, 선나야가지선천(扇那夜迦持善天)을 장자로 하는 오른쪽의 1,500명의 자식은 선행을 닦았다. 관세음보살의 화신이었던 선나야가왕은 비나야가왕의 악행을 진정시키기 위해 처음에는 그의 형제가 되었고, 이어서 여천으로 비나야가왕과 부부가 되어 '상포동체'의 형상을 현현했다고 한다.[86][87]

진언 승려 각선(1143~?)이 저술한 『각선초』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마라케이라(摩羅醯羅) 주라는 나라에 왕이 있었다. 무와 쇠고기만 먹었기 때문에, 결국 나라 안에서 소가 없어졌다. 그러자 왕은 다음으로 죽은 사람의 고기를 먹기 시작했고, 그것마저 줄어들자 산 사람을 먹게 되었다. 나라 사람들은 왕을 토벌하려 했지만, 왕은 "대귀왕 비나야카"로 변하여 권속들과 함께 날아가 모습을 감췄다. 그 후, 왕의 저주로 나라에 역병이 유행하자, 사람들은 십일면관음에게 도움을 청했다. 십일면관음은 비나야카녀의 모습을 하고 왕 앞에 나타나 악을 버리도록 설득했다. 마음이 바뀐 왕은 크게 환희하여 역병을 종식시켰다. 이렇게 하여 나라에 평화가 돌아오고, 사람들이 편안하게 살게 되었다고 한다.[88][89]

천태 승려 광종(1276~1350)이 지은 『계람습엽집』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있다.

천축국에 의소하 대신(비장 대신이라고도 함)이라는 대신이 있었는데, 왕비와 불륜 관계를 맺었다. 이를 알고 격노한 왕은 대신을 죽이려 하여, 코끼리 고기를 섞은 독주를 대신에게 마시게 했다. 왕비의 조언을 받은 대신은 계라산으로 도망쳐 그곳에서 기름을 덮어쓰고 나복근(무)을 먹었다. 그러자 독이 사라지고 대신은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분노에 찬 대신은 "대장애신"이 되기를 서원하고, 대황신 비나야카로 몸을 바꾸어 5억 8천 나유타의 권속을 거느리고 왕궁에 난입했다. 대신에게 간 왕비는 "악한 마음을 돌이켜 대자비의 마음을 내십시오"라고 대신에게 권고했고, 대신은 이에 따라 자비의 마음을 내기를 맹세했다. 왕비는 대신에게 몸을 맡기자, 대신은 환희의 마음을 내고 왕비를 껴안았다고 한다.[90][91][92]

5. 다른 신들과의 관계

산보 고진("삼보의 맹렬한 신 (''고진'')"), 일본 불교의 부뚜막 신


다키니텐 만다라(무로마치 시대, 15세기), 다키니텐(중앙 인물), 벤자이텐(왼쪽 머리), 쇼텐(오른쪽 머리)을 묘사함


12세기 티베트 (카담파 종파) 아칼라가 비그나라자를 밟고 있는 그림


간기텐은 비로자나불의 화현[1]으로 여겨지며, 포옹하는 쌍의 여성은 십일면관세음보살의 화현으로 여겨진다.[1][3] 이 외에도 마헤슈바라-다이자이텐, 부뚜막 신 산보 고진, 뱀 신 우가진, 엔마(야마), 벤자이텐(사라스바티), 여우 여신 다키니텐, 지혜의 왕 아이젠 묘오(라가라자) 등과 연결되거나 동일시되었다.[1]

진언종 승려 카쿠반은 남성은 마헤슈바라의 변화신, 여성은 관세음보살의 십일면 형태의 변신이라고 했다.[1] 다른 문헌에서는 '다이지자이텐'이 이 신의 다양한 이름 중 하나라고 했다.[1] 그러나 진언율종 승려 탄카이는 이러한 동일시에 비판적이었다.[1]

지몬 덴다이 사찰 미이데라에서는 쇼텐을 악마 왕 마라(타카지자이텐(他化自在天; Skt. ''파라니르미타바사바르틴''))와 연관시킨다.[3] 미이데라 전통은 다이지자이텐 주문 대신 쇼텐 의식에서 타케지자이텐 만트라를 사용한다.[3]

쇼텐은 산보 고진과 동일시되기도 했는데, 산보 고진 역시 장애를 일으키는 신(''고진'')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1] 간기텐처럼 고진(나교토사신)은 단일 신이거나 나교(那行)와 토사(都佐) 두 신의 쌍으로 해석되었다.[1] 고진은 때때로 마헤슈바라-다이지자이텐과 동일시되었고,[3] 비나야카의 상징(사마야)인 양산과 연관되었다.[1]

중세 시대에 벤자이텐, 다키니텐, 쇼텐은 세 신의 합동 의식(三天合行法)으로 결합되어 황실 즉위 의식의 주요 초점이 되었다.[1] 난보쿠초 시대와 무로마치 시대에 인기를 얻은 세 데바를 묘사한 그림은 여우를 탄 세 머리 형상으로, 가운데 머리는 보통 다키니텐이지만 쇼텐이 중앙인 경우도 있다.[1]

쇼텐은 스사노오, 아마테라스, 사루타히코와 그의 아내 아메노우즈메(사루타히코의 긴 코가 쇼텐의 코끼리 코를 연상시켰을 수 있음), 도소진 등과 동일시되었다.[1]

관세음보살 외에 진자 다이쇼(바이슈라바나의 화신), 웃슈슈마(우스사마), 아칼라(후도), 아미리타군달린(군다리 묘오) 등 분노한 신들도 비나야카와 그 부하들을 제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 아미리타군달린은 ''비나야카''에 효과적이며, 쇼텐도 그의 수행원에 속한다고 한다.[1][3]

중세 일본 사상은 불교 천신(天神)과 토착신 가미를 ''gonrui''(권류, 権類)와 ''jitsurui''(실류, 実類)로 분류했다.[37][38][39] 밀교 경전은 세 종류의 환희천 의식을 구분한다.[1][3]

  • 첫째 유형은 남성을 ''jitsurui'' 신, 여성을 임시 화신으로 보아 본존을 "임시적이고 실제적인 천신"(権実の天)이라 한다.
  • 둘째 유형은 두 신 모두 ''jitsurui''로 보아 본존을 "둘 다 실제적인 천신"(倶実の天)이라 한다. 가장 효과적이지만 위험하다.
  • 셋째 유형은 두 신 모두 ''gonrui''로 보아 본존을 "둘 다 임시적인 천신"(倶権の天)이라 한다. 효과는 덜하지만 가장 안전하다.


이 구분은 수행자 관점을 반영할 뿐, 의식에 사용되는 이미지는 변하지 않는다.[1][3]

6. 도상학

육비 단신 성천
(고야산 신베츠쇼 엔츠지본 『도상초』에서)


두 개의 세계 만다라에 그려진 환희천은 모두 단독으로 두 팔을 가진 상이다. 금강계 만다라에서는 외원 20천 북쪽에 위치하며, 대자재천의 화신인 이샤나천의 권속으로서 태장계 만다라의 최외원 북동부에 있다.

6. 1. 단신 및 쌍신 형태

단신(単身, ''tanshin'') 쇼텐이 도끼와 를 들고 있는 모습


쇼텐(환희천, 歓喜天)은 주로 단독으로 묘사되거나, 더 흔하게는 배우자를 안고 있는 모습(쌍신 형태)으로 묘사된다.[18][19]
단신 형태단독으로 묘사될 때는 두, 넷, 여섯, 여덟, 심지어 열두 개의 팔을 가지고 있으며, 금강저, 도끼, 올가미, 몽둥이, 삼지창, 바퀴, 부러진 상아 또는 무(무 자체가 상아에서 파생되었을 수도 있음)와 같은 다양한 속성을 지닌다.[15][16][17] 힌두교의 가네샤와는 다르게, 가네샤의 특징인 거대한 배나 가네샤의 동물 탈것(''바하나'')인 쥐는 가지고 있지 않다.[15] 어떤 묘사에서는 가네샤와 유사하게 상아가 하나만 있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다른 묘사에서는 두 개의 상아가 모두 온전한 모습으로 묘사된다.[15]

두 몸을 가진 환희천의 모습으로 두 인물이 모두 정면을 향하고 있다


단신 쇼텐의 이미지는 신의 거친 성격 때문에 소유하고 유지하기 가장 어렵고 위험하다고 여겨진다. 십일면관음보살|십일면 관음(Jūichimen Kannon)의 이미지는 단신 쇼텐을 모시는 사찰에 함께 설치되어 신을 진정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유형의 이미지는 환희천 수법(水歓喜天供, ''Sui Kangiten-ku'')이라는 밀교 의식에 사용되는데, 이 의식에서는 관음상에 사용된 물을 쇼텐 상 위에 부은 다음, 의식 수행자와 신자들이 사용한다. 이 물에 목욕하는 것은 불순물을 정화하고 모든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5]
쌍신 형태
비나야카(무를 들고 있음)와 그의 돼지 머리 배우자(모다카를 들고 있음), 둔황에서(유물: 펠리오 시누아 4518 (8))


두 몸을 가진 환희천(쌍신 환희천)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남성과 여성 인물이 모두 코끼리 머리를 하고 있지만, 몇몇 예에서는 여성 인물이 멧돼지 머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15][16] 쌍의 성별은 명확하지 않지만, 도상학에서 암시된다.[15][16][17] 여성은 종종 왕관을 쓰고 남성의 발 위에 발을 올려놓고, 남성은 여성의 어깨에 머리를 기댄 모습으로 묘사된다. 일부 변형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서로를 바라보거나, 서로의 어깨 너머를 보거나, 하나의 옷을 함께 입거나, 나란히 서 있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15][16]

''곤지쓰'' 묘사로 분류되는 신의 몇몇 이미지는 여성이 남성의 발을 밟는 모습(아발로키테슈바라의 임시 화신에 의해 굴복하는 ''지쓰루이'' 신 비나야카를 상징)을 묘사할 수 있으며, ''구곤'' 묘사(남성과 여성 모두가 보살의 화신으로 해석되는 경우)에서는 두 인물이 서로의 발을 밟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15] 이는 대조적인 성별과 반대성의 통일과 비이원성을 상징한다.[15][16]

아모가바즈라의 ''두 몸을 가진 비나야카의 의식''은 비나야카의 이미지가 백납, 황동 또는 나무로 만들어지고 약 5~7 ''촌''(약 17~20cm) 높이로 만들어지도록 권장하지만,[16] 일본 사찰에서 숭배되는 환희천의 대부분의 조각상은 훨씬 작아서 평균 약 1~2 ''촌''(3~6cm) 정도이다. 정기적으로 기름으로 의식적인 목욕을 시키기 때문에, 많은 조각상은 , , 청동 또는 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나무 이미지(木天, ''mokuten'')는 비교적 드물다.[16]

6. 2. 금강 비나야카(Vajra vinayakas)

금강계(''바즈라다투'') 만다라(''금강정경''을 기반으로 함)의 외부 구역에는 네 방향으로 배치된 네 그룹의 다섯 신이 있으며, 각 그룹에는 하나의 ''비나야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는 장애를 일으키는 악마를 굴복시키기 위해 명시적으로 ''비나야카''의 형태를 취한 비로자나의 화신으로 해석된다.[7]

금강계 만다라의 바깥 부분에 묘사된 20명의 신에는 무와 모다카를 들고 있는 비나야카(Vinayaka)와 돼지 머리를 한 신인 바즈라무카(Vajramukha)(金剛面天, ''콩고멘텐''; 때때로 불교 미술에서 돼지 머리로 묘사되는 여신 차문다 또는 비나야카의 배우자와 동일시됨), 네 방향에 분포된 네 명의 ''비나야카''가 포함된다.[41]

금강계 만다라의 네 비나야카[41]
방위이름특징다른 이름
동쪽바즈라비키라나 / 바즈라친나 (金剛摧天, 콩고자이텐)우산을 들고 있다. 악의적인 비나야카에 의해 야기된 장애물을 파괴하는 역할을 반영한다.산가이텐(傘蓋天, "파라솔 데바"), 산가이 비나야카(傘蓋毘那夜迦, "파라솔 비나야카")
남쪽바즈라바크샤나 (金剛食天, 콩고지키텐 / 金剛飲食天, 콩고온지키텐)오른손에 꽃 화환을 들고, 때로는 왼손에 올가미를 들고 있다.케만 비나야카(華鬘毘那夜迦, "꽃 화환 비나야카")
서쪽바즈라바신 (金剛衣天, 콩고에텐 / 金剛衣服天, 콩고에부쿠텐)활과 화살을 들고 묘사된다.코큐센 비나야카(拘弓箭毘那夜迦, "활과 화살을 든 비나야카")
북쪽바즈라자야 (金剛調伏天, 콩고초부쿠텐 / 調伏天, 초부쿠텐)오른손에 칼이나 지팡이 또는 곤봉을 들고 왼손에 보석을 들고 묘사된다.코토 비나야카(拘刀毘那夜迦, "칼을 든 비나야카"), 콘지키 가나핫테이(金色迦那鉢底, "황금 가나파티")



네 명 모두 금강계 만다라에서 코끼리 머리로 묘사되지만, ''카쿠젠쇼''는 네 명의 ''비나야카'' 중 세 명을 인간 형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바즈라자야만이 코끼리 머리로 묘사된다.[41]

6. 3. 기타 묘사

간기 도지(歓喜童子), 어린 소년(童子, ''dōji'')으로 묘사된 칸기텐


칸기 도지(歓喜童子)는 칸기텐(쇼텐)을 머리에 코끼리 머리가 하나 또는 두 개 달린 앉아있는 인간 청년(童子, ''dōji'')으로 묘사한다. 4개(드물게 8개)의 팔을 가지고 있으며, 도끼나 할버드, 보석 지팡이, 모닥, 무를 들고 있다. 이 이미지는 17세기 신곤 승려 이쿠(以空, 1637–1719)에 의해 대중화되었는데, 그는 신이 대중에게 공개할 수 있는 형태로 자신을 보여달라고 기도한 후(코끼리 머리 형태와 달리) 이런 모습으로 쇼텐을 보았다고 한다.[42]

7. 숭배

환희천은 불가능하거나 심지어 부도덕한 소원까지 들어주는 강력한 신으로 알려져 있다.[55] "비로자나의 마지막 방편 화신"(大日如来最後の方便身, Dainichi Nyorai saigo no hōbenshin일본어)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의지할 곳 없는 사람들의 마지막 수단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55][56]

하지만 변덕스럽고 요구가 많은 신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숭배를 소홀히 하면 벌을 내린다는 믿음도 있다.[57] 덴다이 승려 고케이는 신이 가져다주는 혜택은 매우 현실적이지만, 부주의한 수행자에게는 저주를 빠르게 내리기 때문에 말법 시대의 사람들은 그를 숭배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고 경고했다.[103]

18세기 상인이자 고쿠가쿠 학자 쓰무라 소안은 강기천(환희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 강기천은 인도 신이며, 많은 혜택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그의 의식을 수행한다. 그러나 신앙심이 깊더라도 스스로 다라니 등을 외우면서 수행하는 것은 좋지 않다. 아무리 신앙심이 깊더라도, 일반 사람들은 충분한 존경심 없이 수행하면 심각한 죄를 저지르게 된다. 승려에게 기도를 요청해야 한다. ... 강기천은 욕망의 세계의 주인이시다. 그는 어진 자와 부처님에게 버려진 악한 사람들을 돕겠다고 맹세했기 때문에, 악한 사람들이 그에게 기도하면, 심지어 참수당할 지경에 이르더라도 그를 구할 수 있다. 그는 욕망의 세계의 주인이기 때문에, 욕망의 생각으로 이루어진 기도라도 모든 기도를 이루어준다. (그러나 그의 수행원에는 존경심 부족으로 쉽게 화를 내는 다루기 힘든 신들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접근해야 한다.) 심지어 강기천 의식을 수행하는 율 승려들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성적 욕망에 빠진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인도에서는 이것은 불경한 자들이 수행하는 의식이다.[103]

환희천을 숭배하는 것은 한 번에 7대에 걸쳐 축적된 좋은 을 소모한다는 도시 전설이 있는데, 숭배자에게 즉각적인 만족을 주지만 결국에는 멸망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불교 학자 하야시야 토모지로는 이를 "근거 없는 미신적인 전설"이라고 비판했다.[58][59]

다이후쿠덴지 (쿠와나 쇼텐) in 쿠와나, 미에현


과거에는 도박사, 배우, 게이샤 등 유흥업 종사자들 사이에서 널리 숭배되었다.[60] 에도 시대에는 상인, 특히 식물성 기름 판매상들에게도 널리 숭배되었다.[60] 오늘날에는 주로 사랑, 관계, 사업에서의 성공을 위해 숭배받는다.[60] 간사이 지방 (특히 오사카)에서 에비스와 함께 상업적 성공을 기원하며 널리 숭배된다.[60]

현대에는 환희천 신앙의 대중적인 이미지에서 비롯될 수 있는 학대와 미신적인 생각을 억제하기 위해, 단순히 세속적인 이익을 구하는 것 이상으로 헌신을 깊게 하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58][59]

수행자인 하네다 슈카이가 수집한 이야기에 따르면, "교토의 한 노포 주인이 무서운 것을 묻자 '첫째는 성천님, 둘째는 세무서입니다'라고 답했다", "올바른 수행법을 전수받지 않고 성천 공양을 행한 한 대학교수가 이상한 화상을 입고 사망했다" 등 최근에도 무서움을 전하는 이야기가 남아 있다고 한다.[103]

성천(聖天)은 참배한 사람들의 소원을 이루어주기 위해 오전 중에 그 사람들의 곳을 돌아다니기 때문에, 오후에 참배하면 사찰에 성천이 없다는 이야기가 있다.[104]

7. 1. 비자(Bīja) 및 진언(Mantra)

환희천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비자'' 또는 종자 음절은 गः|가sa (데바나가리: गः, 일본어 발음: 갸쿠)이며, 싯담 문자로 표기된다.[39][40] 이 종자 음절은 쇼텐의 이중적인 형태를 상징하여 두 배(गःगः)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모가바즈라의 《이신 비나야카의 의례》에서 비나야카의 "심장 만트라"(心呪)로 확인된, 일본 불교에서 표준으로 여겨지는 만트라는 다음과 같다.[41]

산스크리트어 (로마자 표기)데바나가리일본어 (로마자 표기)히라가나
Oṃ hrīḥ gaḥ huṃ svāhā[41]ॐ ह्रीः गः हुं स्वाहाOn kiri(ku) gyaku un sowaka[40][42]온 기리(쿠) 갸쿠 운 소와카



이 만트라는 전통적으로 비나야카의 종자 음절이 관세음보살(

/ह्रीः, ''hrīḥ'')와 아미리타쿤달리니(
/हुं, ''huṃ'')의 종자 음절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해석되는데, 이들은 비나야카를 굴복시킨 두 인물이다.[40][43]

7. 2. 의식

환희천에게 행해지는 의식은 다음과 같다:

  • '''유욕공(浴油供, Yokuyu-ku)''': 환희천 조각상을 놋쇠 대야에 놓고 정화된 따뜻한 기름을 국자를 사용하여 붓는 의식이다. 일반적으로 참기름을 사용하지만, 전통적으로는 기에 꿀을 섞은 것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44][45] 이 의식은 가장 신성하고 강력하다고 여겨지지만, 동시에 가장 난해한 의식이기도 하다. 적절한 입문을 받은 승려에게만 제한되며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는다.[46][47]

  • '''화수공(華水供, Kesui-ku)''': 꽃, 향, 시키미 잎 등으로 향을 낸 물을 바치는 의식이다.[48] 이 관행은 계율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49]

  • '''주공(酒供)''': 술잔에 술을 넣고 환희천에게 공양하여 재앙이 없기를 기원하는 법이다.

  • '''수환희천공''': 환희천의 장애를 입어 수법이 성취되지 않거나,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행하는 법이다. 향수를 십일면관음 상에 뿌린 뒤, 그 향수를 남천에서 단신 육배의 환희천 상에 뿌린다. 장애를 일으키는 비나야카를 달래고 공양하는 법이기도 하다. 성천 행자, 신자는 반드시 성천에 대한 근행, 수법 시에 군다리명왕, 십일면관음의 진언을 외는 것이 필수적이다.

  • '''기타 의식''':
  • '''대반야경전독(大般若転読)''': 600권의 대반야경(大般若経)을 상징적으로 '독송'하는 의식이다.[50]
  • '''백미구양(百味供養)''': 엄청난 양의 과일, 채소 및 기타 진미를 공물로 바치는 의식이다.

  • '''진언''':
  • 옴 흐리 가 훔 스바하
  • 옴 ह्रीः|흐리sa (십일면관세음보살의 종자) गः|가sa (환희천의 종자) हूं|훔sa[101] (군다리명왕의 종자) 스와하
  • '''옴 키리(키리쿠) 갸쿠 운 소와카'''[102]

7. 3. 공물

환희천은 단 것을 좋아하며, 쌀술, 무, 팥소가 든 과자(특히 강기단) 등을 흔히 공물로 바친다.[99] 무는 세 가지 독(특히 증오)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신에게 이 채소를 바치는 것은 공덕이 있는 정화 행위로 여겨진다. 동시에, 무는 소화를 돕는 것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환희천의 세 가지 독을 제거하는 행동을 상징하기도 한다.[77]

마츠치야마 혼류인 계단에 묘사된 환희천의 상징: 생식력과 부부의 결합을 상징하는 두 갈래 무와 부를 나타내는 돈주머니

7. 4. 평판

환희천은 불가능하거나 심지어 부도덕한 소원까지 들어주는 강력한 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55] "비로자나의 마지막 방편 화신"(大日如来最後の方便身, Dainichi Nyorai saigo no hōbenshin일본어)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의지할 곳 없는 사람들의 마지막 수단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55][56]

동시에 변덕스럽고 요구가 많은 신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숭배를 소홀히 하면 벌을 내린다는 믿음도 있다.[57] 덴다이 승려 고케이 (977–1049)는 신이 가져다주는 혜택은 매우 현실적이지만, 부주의한 수행자에게는 저주를 빠르게 내리기 때문에 이 말법 시대의 사람들은 그를 숭배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고 경고했다.[103]

18세기 상인이자 고쿠가쿠 학자 쓰무라 소안은 강기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 강기천은 인도 신이며, 많은 혜택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그의 의식을 수행한다. 그러나 신앙심이 깊더라도 스스로 다라니 등을 외우면서 수행하는 것은 좋지 않다. 아무리 신앙심이 깊더라도, 일반 사람들은 충분한 존경심 없이 수행하면 심각한 죄를 저지르게 된다. 승려에게 기도를 요청해야 한다. ... 강기천은 욕망의 세계의 주인이시다. 그는 어진 자와 부처님에게 버려진 악한 사람들을 돕겠다고 맹세했기 때문에, 악한 사람들이 그에게 기도하면, 심지어 참수당할 지경에 이르더라도 그를 구할 수 있다. 그는 욕망의 세계의 주인이기 때문에, 욕망의 생각으로 이루어진 기도라도 모든 기도를 이루어준다. (그러나 그의 수행원에는 존경심 부족으로 쉽게 화를 내는 다루기 힘든 신들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접근해야 한다.) 심지어 강기천 의식을 수행하는 율 승려들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성적 욕망에 빠진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인도에서는 이것은 불경한 자들이 수행하는 의식이다.[103]

환희천을 숭배하는 것은 일종의 양날의 검이라는 도시 전설이 있는데, 이는 한 번에 7대에 걸쳐 축적된 좋은 을 소모한다는 것이다. 즉, 숭배자에게 즉각적인 만족을 주지만 결국에는 멸망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불교 학자 하야시야 토모지로(林屋友次郎)는 이를 "근거 없는 미신적인 전설"이라고 비판했다.[58][59]

과거에는 도박사, 배우, 게이샤 등 유흥업 종사자들 사이에서 널리 숭배되었다.[60] 에도 시대에는 상인, 특히 식물성 기름 판매상들에게도 널리 숭배되었다.[60] 오늘날에는 주로 사랑, 관계, 사업에서의 성공을 위해 숭배받는다.[60] 간사이 지방 (특히 오사카)에서 에비스와 함께 상업적 성공을 기원하며 널리 숭배된다.[60]

현대에는 환희천 신앙의 대중적인 이미지에서 비롯될 수 있는 학대와 미신적인 생각을 억제하기 위해, 단순히 세속적인 이익을 구하는 것 이상으로 헌신을 깊게 하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58][59]

수행자인 하네다 슈카이가 수집한 이야기에 따르면, "교토의 한 노포 주인이 무서운 것을 묻자 '첫째는 성천님, 둘째는 세무서입니다'라고 답했다", "올바른 수행법을 전수받지 않고 성천 공양을 행한 한 대학교수가 이상한 화상을 입고 사망했다" 등 최근에도 무서움을 전하는 이야기가 남아 있다고 한다.[103]

성천(聖天)은 참배한 사람들의 소원을 이루어주기 위해 오전 중에 그 사람들의 곳을 돌아다니기 때문에, 오후에 참배하면 사찰에 성천이 없다는 이야기가 있다.[104]

7. 5. 환희천과 부정(不淨)

환희천은 부정(kegare)을 혐오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의례적으로 부정한 사람(예: 최근에 죽음과 접촉했거나 월경 중인 여성)은 정해진 기간 동안 사찰에서 환희천을 방문하는 것을 삼가도록 권고한다.[59] 비슷한 금기가 신토에도 존재하는데, 신토는 순수성을 매우 강조하지만, 장례 관습을 거의 독점하면서 죽음과 내세와 밀접하게 연관된 일본 불교에서는 드문 일이다.[61] 환희천을 모시는 사찰에는 묘지(많은 일본 사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시설)가 경내에 없으며, 환희천 의식을 수행하는 승려들은 장례를 치르지 않는다.[59] 또한 사찰에서는 신도의 오후다를 '부정한' 방(예: 침실이나 주방)이나 사망한 가족 구성원을 숭배하는 제단(불단)에 놓는 것을 금지한다.[52]

7. 6. 숨겨진 신으로서의 환희천

환희천의 이미지는 대부분 소형 신사(厨子, ''zushi'') 안에 숨겨져 있으며, 의식을 거행하는 동안에만 공개된다.[62][63] 이러한 관행은 환희천을 둘러싼 비밀스러움을 잘 보여준다. 일반 신도들은 가정에서 환희천의 우상을 소유하거나 숭배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으며, 대신 사찰에서 배포하는 신성한 종이나 나무 ''오후다''를 통해 숭배하도록 권고받는다.[59]

구마가야 사이타마현에 있는 간기인(메누마 쇼덴잔)의 본존, 즉 환희천의 주요 이미지. 환희천 부부와 두 명의 시자를 묘사한 수도승 지팡이(''khakkhara'', ''shakujō'')의 끝부분이다. 환희천의 중앙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붉은 천으로 감싸여 있으며 불규칙한 간격으로만 공개되는데, 가장 최근에는 2016년 사찰 창건 840주년 기념식 때였다.


하지만 에도 시대부터 간헐적으로 일반에 공개(御開帳, ''go-kaichō'')되는 구마가야 사이타마현에 있는 간기인(메누마 쇼덴잔)의 ''honzon''은 예외이다.[62][63]

7. 7. 평신도의 헌신

환희천 신앙에서 일부 신자들은 특정 은혜를 받기 위한 대가로 특정한 경건한 행위를 하겠다고 약속하거나, 술, 담배, 특정 음식 등을 삼가는 금욕(서원, 願掛け, 간카케)을 실천하기도 한다. 断ち物|타치모노일본어라고도 불리는 이러한 금욕은 힌두교의 브라타와 유사하다.[65]

그러나 도쿄 아사쿠사에 위치한 센소지의 하위 사찰인 혼류인(마츠치야마 쇼덴)에서 발행한 신자 지침에서는 "금욕(타치모노)은 강한 결심을 필요로 하므로, 이를 실천하지 않는 것이 낫다"고 조언한다.[65] 즉, 쇼텐에게 한 약속은 취소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신앙 행위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며, 신에게 큰 죄를 짓지 않도록 아예 피하는 것이 권장되기도 한다.

쇼텐 숭배에서 금욕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하야시야는 금욕을 실천하지 않더라도 쇼텐이 반드시 소원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지만, 금욕을 실천하면 소원이 더 빨리 이루어지는 것은 사실이라고 주장했다.[57] 반면, 하네다 슈카이는 물질적인 목표를 염두에 두고 한 극단적인 서원과 금욕을 모두 비판하며, 이는 비나야카 악마를 끌어들여 파우스트적인 거래를 맺는 것과 같고, 쇼텐에 대한 진정한 헌신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8. 사원

아사쿠사도쿄에 있는 마츠치야마 혼류인(마츠치야마 쇼덴)


메누마 칸기인(메누마 쇼덴)의 본당(혼덴) 뒤쪽 모습


환희천은 일본 전역의 많은 진언종천태종 사원에서 숭배되고 있다.

다음은 전통적으로 "일본 3대 쇼텐 [사찰]" (日本三大聖天, ''니혼 산다이 쇼텐'')[66]으로 여겨지는, 이 신을 모시는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사찰이다.

  • '''혼류인(본룡원)''' (아사쿠사, 타이토, 도쿄) – 쇼칸논-일본 불교 종파 (덴다이의 분파): 도쿄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불교 사찰인 센소지의 하위 사찰 중 하나이며, '''마츠치야마 쇼덴''' (待乳山聖天)으로도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사찰이 위치한 언덕은 595년에 기적적으로 땅에서 솟아났다고 한다. 사찰 자체는 6년 후(601년), 관세음보살이 칸기텐의 모습으로 나타나 그 지역의 심각한 가뭄을 종식시킨 후 세워졌다고 전해진다.[66][67]
  • '''호잔지 (宝山寺)''' (이코마, 나라현) – 진언율슈: '''이코마 쇼텐''' (生駒聖天)이라고도 불리며, 나라현이코마산 정상에 위치해 있다. 664년, 수행자인 엔노 교자에 의해 아찰라 (부동명왕)를 모시는 사찰로 처음 세워졌다고 하며, 1678년에는 승려 탄카이에 의해 칸기텐을 사찰의 수호신 (鎮守, ''친주'')으로 지정하여 재건되었다.[68][69] 아찰라가 여전히 공식적인 사찰의 주 신(本尊, ''혼존'')이지만, 호잔지는 쇼텐의 숭배 중심지로 더 유명하며, 사업가와 다른 신자들이 사찰 경내의 성전(聖天堂, ''쇼텐도'')에서 그를 숭배하기 위해 찾아온다.[69][70]


쇼텐을 모시는 다른 주목할 만한 사찰은 다음과 같다.

  • '''칸기인(환희원)''' / '''메누마 쇼텐잔(妻沼聖天山)''' (구마가야, 사이타마현) – 고야산 진언종: 1179년, 무장 사이토 사네모리에 의해 창건되었다. 사찰의 ''혼존''은 - 1197년 사네모리의 조카 미야지노 쿠니히라에 의해 기증되었으며 - 두 명의 시종과 함께 있는 이중 칸기텐의 이미지가 새겨진 승려 지팡이(''카카라'', ''샤쿠조'') 머리의 형태를 하고 있다.[71][72]
  • '''신조인(심성원)''' / '''유시마 쇼덴(湯島聖天)''' (분쿄구, 도쿄) – 덴다이
  • '''다이후쿠쇼지(大福生寺)''' / '''오이 쇼텐(大井聖天)''' (히가시오이, 시나가와구, 도쿄) – 덴다이[73]
  • '''후쿠쇼인(복생원)''' / '''후쿠로마치 오쇼텐(袋町お聖天)''' (나카구, 나고야, 아이치현) – 진언종 (지산파)
  • '''다이후쿠덴지(대복전사)''' / '''쿠와나 쇼텐(桑名聖天)''' (히가시카타, 쿠와나, 미에현) – 고야산 진언종
  • '''소린인(쌍림원)''' / '''야마시나 쇼텐(山科聖天)''' (야마시나구, 교토) – 덴다이
  • '''우호인(우보원)''' / '''니시진 쇼텐구(西陣聖天宮)''' (가미교구, 교토) – 진언종 (센뉴지파)
  • '''료토쿠인(요덕원)''' / '''우라에 쇼텐(浦江聖天)''' (후쿠시마구, 오사카) – 도지 진언종
  • '''쇼엔지(정원사)''' (아베노구, 오사카) – 진언종 (독립)
  • '''호안지(법안사)''' / '''닛폰바시 쇼텐''' (日本橋聖天) (주오구, 오사카) – 고야산 진언종
  • '''사이코지(서강사)''' (미노오, 오사카) – 고야산 진언종
  • 산광사 (토치기현 나스군 나스정) - 3대 성천 중 하나로 여겨지며, 8월 19일에 축제가 열린다.[105][106]
  • 태자산 덴묘사 (군마현 마에바시시) - 세이리 성천
  • 환희원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 츠누마 성천, 별명 "사이타마 닛코" (국보로 지정된 본전을 가지고 있으며, 환희천의 상을 나타낸 어정체 석장두(국가의 중요 문화재)를 비불 본존으로 모시고, 수십 년에 한 번 공개하고 있다)[107]
  • 혼류인 (도쿄도 다이토구) - 마츠야마 성천
  • 야나이도 신조인 (도쿄도 분쿄구) - 유시마 성천[108]
  • 의광산 안양사 (도쿄도 신주쿠구) - 카구라자카 성천[109]
  • 묘가산 묘오인 토묘지 (도쿄도 에도가와구) - 히라이 성천[110]
  • 효가와야마 긴조인 (도쿄도 메구로구) - 메구로의 환희천(대성환희천) 님
  • 타카하타산 곤고지 (도쿄도 히노시) - 헤이안 시대 목조 환희천상, 오쿠덴에 안치.
  • 구묘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대성환희천(성천), 오쿠노인 안치.
  • 아시가라산 세이텐도 (시즈오카현 오야마정) - 아시가라 성천
  • 후쿠쇼인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구) - 후쿠로마치 오쇼텐
  • 다이후쿠덴지 (미에현 쿠와나시) - 쿠와나 성천, 쿠와나의 성천님[111]
  • [https://saijyouin.com/ 사이조인] (시가현 오츠시) - 히에이 대성천
  • 소린인 (교토부 교토시 야마시나구) - 야마시나 성천[112]
  • 즈이신인 (교토부 교토시 야마시나구) - 매월 1일과 16일에 욕유 기도를 행함
  • 우호인 (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 니시진의 성천님[113]
  • 코세츠인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 히가시야마 성천[114]
  • 카쿠쇼인 (교토부 교토시 우쿄구) - 사가 성천[115]
  • 카쇼지 (교토부 교토시 후시미구) - 후카쿠사 성천[116]
  • 호쥬지 (교토부 우지시) - 미쿠라야마 성천
  • 코묘잔 쇼호인 (교토부 키즈가와시) - 제니즈(젠즈) 성천[117]
  • 간논지 (교토부 오토쿠니군 오야마자키정) - 야마자키 성천[118]
  • 료토쿠인 (오사카부 오사카시 후쿠시마구) - 후쿠시마 성천 (우라에 성천)[119]
  • 쇼엔지 (오사카부 오사카시 아베노구) - 텐가차야의 성천님
  • 쇼호지 (오사카부 타카이시시) - 타카이시 성천
  • 사이코지 (오사카부 미노오시) - 미노오의 성천님[120] 엔노교자에 의한 일본 최초의 환희천 영장으로 여겨짐
  • 환희산 젠푸쿠지 (오사카부 미노오시) - 잇푸쿠 성천 (아오야마다니 성천)
  • 토라쿠지 (효고현 토요오카시) - 토요오카 성천
  • 안라쿠지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 나오의 성천님
  • 코류지 (효고현 고베시 기타구) - 다이케 성천[121]
  • 코세이지 (효고현 고베시 나가타구) - 나가타 성천[122]
  • 뇨호지 (효고현 아카시시 오쿠보초) - 모리의 성천님 봄에 매년 성천제
  • 호잔지 (나라현 이코마시) - 이코마 성천
  • 앵본방 (나라현 요시노군 요시노초) - 요시노 성천[123]
  • 센쥬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 - 키비 성천
  • 쇼텐잔 칸키지 류조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히가시구) - 우시다 성천
  • 대성원 (히로시마현 하츠카이치시)
  • 료죠잔 간논지 (히로시마현 구레시) - 11월 1일에 욕유 공양
  • [https://eianji.p-kit.com/ 영안사]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 가가의 성천님 매월 1일부터 7일까지 유욕 공양, 매년 4월에 성천 대제
  • 상응원 (기후현 다카야마시) - 다카야마 성천
  • 야쿠시지 (가가와현 타카마츠시) - 시코쿠 팔십 팔 곳 영장, 목식 이쿠가 토후쿠몬인으로부터 받은 전·고보 대사 작의 환희천을 모심
  • 한다지 (에히메현 마츠야마시) - 시코쿠 팔십 팔 곳 영장, 4대 쇼군 이에츠나의 염지불 3체 중 하나인 환희천을 모심
  • 테이후쿠지 (고치현 나가오카군 오토요정) - 아오이 성천 매년 11월 10일부터 16일까지 욕유 기도

참조

[1] 웹사이트 歡喜天 (Gaṇeśa) http://www.buddhism-[...] 2021-06-02
[2] 논문 Performing the body in medieval Japanese narratives: Izumi Shikibu in Shasekishū 2007-02-22
[3] 웹사이트 歓喜天 (Kangiten) https://kotobank.jp/[...] 2021-08-01
[4] 웹사이트 大日経疏 (Dainichikyō-shō) https://kotobank.jp/[...] 2021-08-01
[5] 웹사이트 Achala (Buddhist Deity) – Blue, Standing https://www.himalaya[...] 2020-12-09
[6] 웹사이트 Mogao Cave 285 (Western Wei 534-556AD) http://en.dhmusem.yu[...] 2021-08-04
[7] 웹사이트 伊舎那天 (Ishanaten) http://www.reihokan.[...] 2021-08-04
[8] 웹사이트 Daikokuten Iconography in Japan https://www.onmarkpr[...] 2017
[9] 논문 On a Four-Legged Icon of Gaṇapati from Ghosai https://www.jstor.or[...] Artibus Asiae Publishers 1978
[10] 웹사이트 陀羅尼集經法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11] 웹사이트 大聖歡喜雙身毘那夜迦法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12] 웹사이트 使呪法經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13] 웹사이트 大使呪法經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14] 웹사이트 大聖歡喜雙身大自在天毘那夜迦王歸依念誦供養法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15] 웹사이트 十一面神呪心經 https://tripitaka.cb[...]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16] 웹사이트 摩訶毘盧遮那如來定惠均等入三昧耶身雙身大聖歡喜天菩薩修行祕密法儀軌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17] 웹사이트 摩訶毘盧遮那如來定惠均等入三昧耶身雙身大聖歡喜天菩薩修行祕密法儀軌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18] 웹사이트 權現金色迦那婆底九目天法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19] 웹사이트 佛說金色迦那鉢底陀羅尼經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20] 웹사이트 金剛薩埵說頻那夜迦天成就儀軌經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21] 웹사이트 聖歡喜天式法 http://tripitaka.cbe[...]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CBETA) 2021-08-08
[22] 웹사이트 ご本尊 聖天さまについて http://www.shinjyo-i[...] 2021-08-08
[23] 웹사이트 聖天信仰の本義と時代背景を求めて (Shōten shinkō to jidai haikei o motomete) https://www.hozanji.[...] 2021-08-08
[24] 웹사이트 境内のご案内 https://hokaiji.com/[...] 2021-08-08
[25] 웹사이트 林屋友次郎 (Hayashiya, Tomojirō) https://kotobank.jp/[...] 2021-08-09
[26] 웹사이트 林屋友次郎博士について http://kangiten.gora[...] 2021-08-09
[27] 웹사이트 巴利语辭典 (Pali Dictionary) http://cbeta.buddhis[...] 2021-09-01
[28] 서적 People of India: Gujarat, Part One (Volume XXII)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Pvt. Ltd. 2003
[29] 서적 The Pearson Indian History Manual for the UPSC Civil Services Preliminary Examination,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India) Pvt. Ltd. 2008
[30] 웹사이트 覚禅抄 (Kakuzenshō) https://kotobank.jp/[...] 2021-08-09
[31]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Esoteric Buddhist Scholasticism in Early Medieval Japan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6
[32] 웹사이트 Pāpīyas https://www.nichiren[...] Soka Gakkai 2021-08-23
[33] 서적 The Promise of Amida Buddha: Hōnen's Path to Bliss https://books.google[...] Wisdom Publications 2011
[34] 서적 Samatha Vipassanā Medi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to Reach Lord Buddha's Dhammakayas and Nirvana https://books.google[...] Wat Luang Phor Sodh Dhammakayaram 2011
[35] 서적 God of Desire: Tales of Kamadeva in Sanskrit Story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6
[36] 논문 Researching Benzaiten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for Japanese Studies 2007
[37] 웹사이트 【神供段】神々への供養 2 https://gohonmatsu.o[...] 2021-03-21
[38] 서적 The Essence of Shinto: Japan's Spiritual Heart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10
[39] 웹사이트 権現 (Gongen) http://tobifudo.jp/n[...] 2021-08-25
[40] 서적 Shinto: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41] 웹사이트 諸仏解説・微細会 http://www.mikkyo21f[...] 2021-08-26
[42] 서적 印と梵字ご利益・功徳事典 聖なる象徴に表された諸尊の姿と仏の教え (In to bonji goriyaku / kudoku jiten: sei naru shōchō ni hyōsareta shoson no sugata to hotoke no oshie) https://books.google[...] Gakken Publishing 2009
[43] 웹사이트 軍荼利明王を奉祀 http://www.senzoin.c[...] 2016-04-28
[44] 서적 仏さまの履歴書 (Hotoke-sama no rirekisho) Mizushobo 1979
[45] 웹사이트 御祈祷 http://www.shinjyo-i[...]
[46] 웹사이트 山科聖天浴油会(毎年1月~12月) https://yamashina-sy[...] 2019-01-18
[47] 서적 聖天信仰の手引き (Shoten shinkō no tebiki) Daifukushō-ji
[48] 서적 Jewel in the Ashes: Buddha Relics and Power in Early Medieval Japan https://books.google[...] Brill 2020
[49] 웹사이트 "Daihannya Tendoku-e" Performed by Karyōbinga Shōmyō Kenkyūkai https://buddhiststud[...] Stanford University 2021-08-29
[50] 웹사이트 祈祷案内 http://www.matsuchiy[...] 2021-08-29
[5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Sugar and Swee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52] 웹사이트 祈祷中の心得とお札について http://www.matsuchiy[...] 2021-08-30
[53] 웹사이트 Daikon: The great radish of Japan https://www.japantim[...] 2015-12-18
[54] 논문 三大煩悩 http://matsuchiyama.[...] Matsuchiyama Shōden
[55] 웹사이트 大日如来最後の方便身 http://kangiten.gora[...] 2021-08-30
[56] 웹사이트 吉野聖天尊像 https://sakuramotobo[...] 2021-08-30
[57] 웹사이트 信仰問答 http://kangiten.gora[...] 2021-08-30
[58] 웹사이트 聖天信仰の心得十二条 https://kangiten.gor[...] 2021-08-30
[59] 논문 聖天信仰の心得 http://matsuchiyama.[...] Matsuchiyama Shōden
[60] 웹사이트 Japan wants to encourage studies of Hindu gods http://www.hindustan[...] Hindustan Times 2007-02-21
[61] 웹사이트 Buddhism: a religion for death https://www.japantim[...] 2009-01-25
[62] 웹사이트 開創840年 御開扉 http://www.ksky.ne.j[...] 2021-09-05
[63] 웹사이트 妻沼聖天山界隈 https://www.kumagaya[...] 2021-09-05
[64] 서적 興教大師全集 (Kōgyō Daishi Zenshū) https://dl.ndl.go.jp[...] Kaji Sekai Shisha 1909
[65] 논문 断ち物 http://matsuchiyama.[...] Matsuchiyama Shōden
[66] 웹사이트 聖天様鎮座のいわれ http://www.matsuchiy[...] 2021-09-08
[67] 웹사이트 待乳山聖天 http://www.asakusa7.[...] 2021-09-08
[68] 웹사이트 寶山寺について https://www.hozanji.[...] 2021-09-08
[69] 웹사이트 宝山寺 http://www.ubasoku.j[...] 2021-09-08
[70] 웹사이트 宝山寺(ほうざんじ) https://www.kintetsu[...] 2021-09-08
[71] 웹사이트 Shodenzan Temple http://www.ksky.ne.j[...] 2021-09-08
[72] 웹사이트 聖天山縁起 http://www.ksky.ne.j[...] 2021-09-08
[73] 웹사이트 三宝山神護院 大福生寺(通称:大井聖天) http://www.tendaitok[...] 2021-09-08
[74] 사전 歓喜天 https://kotobank.jp/[...] 小学館
[75] 백과사전 聖天 https://kotobank.jp/[...] 平凡社
[76] 백과사전 聖天 https://kotobank.jp/[...] 平凡社
[77] 서적 Understanding Gaṇapati: Insights into the Dynamics of a Cult Manohar Publishers 1997
[78] 서적 Gaṇeśa: Unravelling An Enigm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99
[79] 웹사이트 歡喜天 (Gaṇeśa) http://www.buddhism-[...] 2022-03-23
[80] 서적 The Problem of Gaṇapati Indological Book House 1972
[81] 웹사이트 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https://tripitaka.cb[...] 2022-03-23
[82] 서적 國譯大毗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https://dl.ndl.go.jp[...] 国民文庫刊行会編 1935
[83] 서적 真言密教聖典 https://books.google[...] 大聖社 1915
[84] 문서 聖天信仰のすすめ 待乳山本龍院 2022-11
[85] 서적 Literary Aspects of Japan's Dual-Ganeśa Cul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1
[86] 웹사이트 大聖歡喜雙身大自在天毘那夜迦王歸依念誦供養法 http://tripitaka.cbe[...] 2022-03-23
[87] 서적 変成譜 中世神仏習合の世界 講談社 2018
[88] 서적 1991
[89] 서적 大日本仏教全書 覚禅鈔 第六 https://books.google[...] 仏書刊行会編纂 1916
[90] 서적 1991
[91] 서적 変成譜 中世神仏習合の世界 講談社 2018
[92] 웹사이트 溪嵐拾葉集 (No. 2410 光宗撰) https://21dzk.l.u-to[...] 2022-03-23
[93] 서적 1991
[94] 웹사이트 祕鈔問答 (No. 2536 賴瑜撰) https://21dzk.l.u-to[...] 2022-03-23
[95] 서적 日本料理文化史 - 懐石を中心 人文書院 2002
[96] 서적 箋注倭名類聚抄 - 第四巻 印刷局 1883
[97] 웹사이트 京御菓子司 亀屋清永「通年菓子 - 清浄歓喜団」 http://www.kameyakiy[...] 2015-09-19
[98] 간행물 高野山時報平成24年新春合併特集号・嵯峨聖天の大根供養 2022-11
[99] 서적 すごい真言 フォレスト出版 2023
[100] 서적 印と真言の本 학연 2004-02
[101] 서적 印と真言の本 학연 2004-02
[102] 서적 密教の聖なる呪文 ビイング・ネット・プレス 2019
[103] 서적 印と真言の本 학연 2004
[104] 간행물 大阪人 (財)大阪市都市工学情報センター 2010-09
[105] 웹사이트 三光寺 スポット詳細 じゃらん観光ガイド http://www.jalan.net[...] 리크루트 2011-11-26
[106] 웹사이트 芦野聖天花火大会 http://hanabi.walker[...] Walker plus 2011-11-26
[107] 웹사이트 妻沼聖天山 http://www.ksky.ne.j[...] 歓喜院 2016-06-14
[108] 웹사이트 湯島聖天 天台宗 心城院 https://web.archive.[...] 心城院 2011-11-26
[109] 웹사이트 安養寺 http://www.tendaitok[...] 天台宗東京教区 2011-11-26
[110] 웹사이트 平井聖天(燈明寺) 江戸川区ホームページ http://www.city.edog[...] 江戸川区 2011-11-26
[111] 웹사이트 桑名聖天(大福田寺) http://www.kintetsu.[...] 近畿日本鉄道 2010-02-20
[112] 웹사이트 山科聖天双林院(京都観光ガイド山科区) http://www.kyotok.ne[...] 京都観光ガイド 2011-11-26
[113] 웹사이트 雨宝院(西陣聖天) http://kyotoarashiya[...] 京福電気鉄道 2011-11-26
[114] 웹사이트 HI077 東山聖天参道【道標】 http://www.city.kyot[...] 京都市 2011-11-26
[115] 웹사이트 覚勝院 http://www.kakushoui[...] 覚勝院 2011-11-26
[116] 웹사이트 歴史探訪ページ - 深草トレイル http://www.city.kyot[...] 京都市 2014-10-27
[117] 웹사이트 銭司聖天 光明山聖法院 http://www.z-shoten.[...] 聖法院 2011-11-26
[118] 웹사이트 観音寺(山崎聖天) https://web.archive.[...] 大山崎ふるさとガイドの会 2011-11-26
[119] 웹사이트 福島聖天 了徳院 http://www.uretemour[...] 福島聖天通商店街 2011-11-26
[120] 웹사이트 大聖歓喜天の根本道場 聖天宮 西江寺(大阪・箕面) http://www.nanokaich[...] 西江寺 2011-11-26
[121] 웹사이트 神戸電鉄沿線おでかけガイド/別格本山興隆寺大池聖天 http://www.shintetsu[...] 神戸電鉄 2011-11-26
[122] 웹사이트 聖天さんを祀る寺 http://www.clubbit.n[...] 弘聖寺 2011-11-26
[123] 웹사이트 大峯山護持院 櫻本坊(桜本坊) http://www.sakuramot[...] 櫻本坊 2011-11-26
[124] 웹인용 歡喜天 (Gaṇeśa) http://www.buddhism-[...] 2021-06-02
[125] 저널 Performing the body in medieval Japanese narratives: Izumi Shikibu in Shasekishū 2007-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