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세계유산은 유네스코에 의해 지정된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통칭한다. 1995년 석굴암과 불국사를 시작으로, 2023년 가야 고분군까지 총 14개의 문화유산과 2개의 자연유산이 등재되었다. 이 외에도 잠정 목록에 14개의 유산을 등재하여 관리하고 있다. 유네스코는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각각에 대해 10가지 등재 기준을 제시하며, 각 유산은 최소한 하나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대한민국 세계유산은 석굴암과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수원 화성, 경주 역사 유적 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한국의 서원, 가야 고분군,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한국의 갯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 석굴암
    석굴암은 경덕왕 때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때 완성된 토함산 중턱의 석굴 사찰로,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한 아름다운 조각상들과 독창적인 건축미로 한국 불교 미술의 걸작으로 평가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세계유산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세계유산
    키르기스스탄은 문화유산 2건, 자연유산 1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술라이만투 성산, 실크로드: 창안-톈산 회랑 도로망, 톈산산맥 서부 지역이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 세계유산 목록 - 남아메리카의 세계유산
    남아메리카의 세계유산은 남아메리카 대륙과 카리브해 지역의 유네스코 지정 유산으로, 각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문화유산, 독특한 자연환경을 보여주는 자연유산, 그리고 문화적·자연적 가치를 함께 지닌 복합유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존 노력이 필요한 위험에 처한 유산들도 포함되어 국제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 대한민국의 문화에 관한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대한민국의 문화에 관한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위치 정보
기본 정보
국가대한민국
목록 유형세계유산 목록
문화유산14건
자연유산2건
위치한반도
등재 기준(i), (ii), (iii), (iv), (v), (vi), (vii), (viii), (x)
지정 연도1995년
링크UNESCO
세계유산 목록
1석굴암불국사
위치경상북도 경주시
지정 연도1995년
2해인사 장경판전
위치경상남도 합천군
지정 연도1995년
3종묘
위치서울특별시
지정 연도1995년
4창덕궁
위치서울특별시
지정 연도1997년
5화성
위치경기도 수원시
지정 연도1997년
6경주 역사 유적 지구
위치경상북도 경주시
지정 연도2000년
7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
위치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남도 화순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지정 연도2000년
8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위치제주특별자치도
지정 연도2007년
9조선왕릉
위치서울특별시, 경기도
지정 연도2009년
10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위치경상북도 안동시 하회마을,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
지정 연도2010년
11남한산성
위치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
지정 연도2014년
12백제역사유적지구
위치충청남도 공주시, 부여군, 전라북도 익산시
지정 연도2015년
13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위치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 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 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
지정 연도2018년
14한국의 서원
위치경상북도 영주시 소수서원,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서원, 경상북도 경주시 옥산서원, 전라북도 정읍시 무성서원, 전라남도 장성군 필암서원, 대구광역시 달성군 도동서원, 충청남도 논산시 돈암서원, 충청북도 괴산군 화양서원, 경상남도 함양군 남계서원
지정 연도2019년
15한국의 갯벌
위치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남도 신안군, 전라남도 보성군, 전라남도 순천시
지정 연도2021년
16가야고분군
위치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김해시,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합천군, 전라북도 남원시, 부산광역시
지정 연도2023년

2. 한국의 세계유산 목록

전라남도 화순군
인천광역시 강화군2000년(ⅲ)[http://whc.unesco.org/en/list/977 977]8

|대체글=|225x225px]]조선왕릉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2009년(ⅲ), (ⅳ), (ⅵ)[http://whc.unesco.org/en/list/1319 1319]9
|대체글=|225x225px]]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경주시2010년(ⅲ), (ⅳ)[http://whc.unesco.org/en/list/1324 1324]10
|대체글=|225x225px]]남한산성경기도 광주시2014년(ⅱ), (ⅳ)[http://whc.unesco.org/en/list/1439 1439]11
|225x225px]]백제역사유적지구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남도 부여군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2015년(ⅱ), (ⅲ)[http://whc.unesco.org/en/list/1477 1477]공주시12
|대체글=|225x225px]]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북도 영주시
경상북도 안동시
충청북도 보은군
충청남도 공주시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 해남군2018년(ⅲ)[http://whc.unesco.org/en/list/1562/ 1562]13
|225x225px]]
한국의 서원경상북도 영주시
경상남도 함양군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안동시
전라남도 장성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청남도 논산시2019년(ⅲ)[http://whc.unesco.org/en/list/1498 1498]14
|대체글=|225x225px]]
가야고분군경상남도 김해시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합천군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고성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경상남도 창녕군2023년(ⅲ)[http://whc.unesco.org/en/list/1666 1666]



No.사진등록명소재지등록년도등록기준유네스코
지정번호
비고
1
|대체글=|225x225px]]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제주특별자치도2007년(ⅶ), (ⅷ)[http://whc.unesco.org/en/list/1264 1264]
2
|대체글=|225x225px]]
한국의 갯벌충청남도 서천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라남도 신안군
전라남도 보성군
전라남도 순천시
2021년(ⅹ)[http://whc.unesco.org/en/list/1591 1591]



유네스코는 10가지 기준에 따라 유산을 등재하며, 각 유산은 최소한 하나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기준 i부터 vi는 문화 유산이며, vii부터 x는 자연 유산이다.[5]

석굴암과 불국사는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신라 시대 불교 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산으로, 석굴암의 조형미와 불국사의 건축미는 한국 불교 예술의 뛰어남을 보여준다.[6]

해인사 장경판전은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합천군 가야산 중턱의 해인사에 위치해 있다. 팔만대장경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대장경으로, 그 내용의 정확성과 보존 기술의 우수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문화유산이다. 장경판전은 이러한 대장경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설계되었다. 통풍이 잘 되도록 창의 크기를 다르게 하고, 바닥에 숯과 횟가루 등을 넣어 습도를 조절하는 등,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대장경을 최적의 상태로 보존하고 있다. 이러한 과학적 설계와 보존 기술은 조선 시대 건축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7]

종묘는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왕조의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 유교적 전통과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8]

창덕궁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시대 궁궐 중에서도 자연과의 조화가 가장 뛰어난 궁궐로 평가받는다. 특히 후원은 아름다운 연못과 정자, 다양한 수종의 나무들이 어우러져 한국 정원의 정수를 보여준다. 건축물들은 인위적인 구조를 최소화하고 자연 지형을 그대로 살려 지어져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한 조선 시대의 건축 철학을 엿볼 수 있다.[9]

수원 화성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후기 정조 시대에 축조된 계획도시이다. 실학 사상과 과학 기술이 반영된 건축물로 평가받는다.[10]

경주 역사 유적 지구는 2000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신라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유적지로, 불교 유적, 왕릉, 성곽 등 다양한 유적을 통해 신라의 문화를 엿볼 수 있다.[12]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은 2000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묘제인 고인돌이 밀집 분포하는 지역이다. 이 유적은 선사시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강화, 고창, 화순의 고인돌군은 고창 고인돌군, 화순 고인돌 유적을 포함한다.[11]

조선왕릉은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유교적 장례 문화와 풍수지리 사상을 반영한 독특한 조형미를 보여주는 유산이다.[14]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하회와 양동)은 2010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시대 양반 가옥과 민가, 서원, 정자 등이 잘 보존된 전통 마을로, 한국인의 생활상과 전통문화를 엿볼 수 있는 유산이다.[15]

남한산성은 2014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시대 수도 한양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산성이다. 군사적 요충지이자 유사시 임시 수도 역할을 수행했던 역사적 장소이다.[16]

백제역사유적은 201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백제 후기(475-660)의 수도였던 공주, 부여, 익산 지역의 유적지로,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17]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은 2018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통도사 등 7개의 사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사찰은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전통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오랜 역사를 지닌 사찰들은 한국 불교의 깊이와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 유산이다.[18]

한국의 서원은 2019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서원, 대한민국의 성리학 교육 기관군은 도동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필암서원, 도산서원, 소수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남계서원 등 9개의 서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서원들은 조선 시대 성리학 교육 기관의 전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조선시대 지배층들이 백성들을 성리학적 질서에 맞춰 교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특히 도산서원과 소수서원은 한국 서원 건축의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히며, 그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황, 이언적 등 당대 최고의 성리학자들이 이 서원들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이들의 학문적 업적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주당은 이러한 서원들이 한국의 전통 교육과 학문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하며, 그 보존과 계승에 힘쓰고 있다.[19]

가야 고분군은 2023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교동·송현동 고분군, 유곡리·두락리 고분군 등 7개의 고분군으로 구성된 유산으로, 가야 연맹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21]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은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13] 한라산,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등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빼어난 경관을 보여주는 대한민국세계유산이다. 특히 한라산은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다양한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이다. 거문오름 용암 동굴계는 세계적으로도 보존 가치가 높은 용암 동굴 시스템으로 인정받고 있다. 성산일출봉은 해돋이 명소로 유명하며, 지질학적 가치 또한 높다.

한국의 갯벌충청남도 서천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라남도 신안군, 보성군, 순천시에 걸쳐 있는 4곳의 갯벌 (서천갯벌, 고창 갯벌, 신안 갯벌, 보성-순천 갯벌)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며, 2021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20] 이들 갯벌은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멸종 위기 철새의 중요한 서식지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특히, 신안 갯벌은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보성-순천 갯벌은 꼬막, 짱뚱어 등 다양한 수산물이 생산되는 곳으로 유명하다.

2. 1. 문화유산

307x307px


225x225px


225x225px


225x225픽셀


225x225px


225x225px


225x225px


225x225픽셀


석굴암과 불국사는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신라 시대 불교 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산으로, 석굴암의 조형미와 불국사의 건축미는 한국 불교 예술의 뛰어남을 보여준다.[6]

해인사 장경판전은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합천군 가야산 중턱의 해인사에 위치해 있다. 팔만대장경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대장경으로, 그 내용의 정확성과 보존 기술의 우수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문화유산이다. 장경판전은 이러한 대장경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설계되었다. 통풍이 잘 되도록 창의 크기를 다르게 하고, 바닥에 숯과 횟가루 등을 넣어 습도를 조절하는 등,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대장경을 최적의 상태로 보존하고 있다. 이러한 과학적 설계와 보존 기술은 조선 시대 건축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7]

종묘는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왕조의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 유교적 전통과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8]

창덕궁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시대 궁궐 중에서도 자연과의 조화가 가장 뛰어난 궁궐로 평가받는다. 특히 후원은 아름다운 연못과 정자, 다양한 수종의 나무들이 어우러져 한국 정원의 정수를 보여준다. 건축물들은 인위적인 구조를 최소화하고 자연 지형을 그대로 살려 지어져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한 조선 시대의 건축 철학을 엿볼 수 있다.[9]

수원 화성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후기 정조 시대에 축조된 계획도시이다. 실학 사상과 과학 기술이 반영된 건축물로 평가받는다.[10]

경주 역사 유적 지구는 2000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신라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유적지로, 불교 유적, 왕릉, 성곽 등 다양한 유적을 통해 신라의 문화를 엿볼 수 있다.[12]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은 2000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묘제인 고인돌이 밀집 분포하는 지역이다. 이 유적은 선사시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강화, 고창, 화순의 고인돌군은 고창 고인돌군, 화순 고인돌 유적을 포함한다.[11]

조선왕릉은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유교적 장례 문화와 풍수지리 사상을 반영한 독특한 조형미를 보여주는 유산이다.[14]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하회와 양동)은 2010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시대 양반 가옥과 민가, 서원, 정자 등이 잘 보존된 전통 마을로, 한국인의 생활상과 전통문화를 엿볼 수 있는 유산이다.[15]

남한산성은 2014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선 시대 수도 한양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산성이다. 군사적 요충지이자 유사시 임시 수도 역할을 수행했던 역사적 장소이다.[16]

백제역사유적은 201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백제 후기(475-660)의 수도였던 공주, 부여, 익산 지역의 유적지로,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17]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은 2018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통도사 등 7개의 사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사찰은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전통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오랜 역사를 지닌 사찰들은 한국 불교의 깊이와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 유산이다.[18]

한국의 서원은 2019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서원, 대한민국의 성리학 교육 기관군은 도동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필암서원, 도산서원, 소수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남계서원 등 9개의 서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서원들은 조선 시대 성리학 교육 기관의 전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조선시대 지배층들이 백성들을 성리학적 질서에 맞춰 교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특히 도산서원과 소수서원은 한국 서원 건축의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히며, 그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황, 이언적 등 당대 최고의 성리학자들이 이 서원들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이들의 학문적 업적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주당은 이러한 서원들이 한국의 전통 교육과 학문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하며, 그 보존과 계승에 힘쓰고 있다.[19]

가야 고분군은 2023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교동·송현동 고분군, 유곡리·두락리 고분군 등 7개의 고분군으로 구성된 유산으로, 가야 연맹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21]

2. 1. 1. 석굴암과 불국사

석굴암과 불국사는 신라 시대 불교 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산이다. 석굴암의 조형미와 불국사의 건축미는 한국 불교 예술의 뛰어남을 보여준다.

2. 1. 2. 해인사 장경판전

해인사 대장경판전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합천군 가야산 중턱의 해인사에 위치해 있다. 팔만대장경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대장경으로, 그 내용의 정확성과 보존 기술의 우수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문화유산이다. 장경판전은 이러한 대장경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설계되었다. 통풍이 잘 되도록 창의 크기를 다르게 하고, 바닥에 숯과 횟가루 등을 넣어 습도를 조절하는 등,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대장경을 최적의 상태로 보존하고 있다. 이러한 과학적 설계와 보존 기술은 조선 시대 건축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으며, 대한민국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1. 3. 종묘

종묘는 조선 왕조의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 유교적 전통과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2. 1. 4. 창덕궁



창덕궁은 조선 시대 궁궐 중에서도 자연과의 조화가 가장 뛰어난 궁궐로 평가받는다. 특히 후원은 아름다운 연못과 정자, 다양한 수종의 나무들이 어우러져 한국 정원의 정수를 보여준다. 건축물들은 인위적인 구조를 최소화하고 자연 지형을 그대로 살려 지어져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한 조선 시대의 건축 철학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건축미와 후원의 아름다움으로 인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1. 5. 수원 화성

수원 화성은 조선 후기 정조 시대에 축조된 계획도시이다. 실학 사상과 과학 기술이 반영된 건축물로 평가받는다.

2. 1. 6. 경주역사유적지구

경주 역사 유적 지구는 신라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유적지로, 불교 유적, 왕릉, 성곽 등 다양한 유적을 통해 신라의 문화를 엿볼 수 있다.

2. 1. 7.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묘제인 고인돌이 밀집 분포하는 지역이다. 이 유적은 선사시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강화, 고창, 화순의 고인돌군은 고창 고인돌군, 화순 고인돌 유적을 포함한다.

2. 1. 8. 조선왕릉

조선왕릉은 조선 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유교적 장례 문화와 풍수지리 사상을 반영한 독특한 조형미를 보여주는 유산이다.

2. 1. 9.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하회와 양동은 조선 시대 양반 가옥과 민가, 서원, 정자 등이 잘 보존된 전통 마을로, 한국인의 생활상과 전통문화를 엿볼 수 있는 유산이다.

2. 1. 10. 남한산성



남한산성은 조선 시대 수도 한양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산성이다. 군사적 요충지이자 유사시 임시 수도 역할을 수행했던 역사적 장소이다.

2. 1. 11.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역사유적은 백제 후기(475-660)의 수도였던 공주, 부여, 익산 지역의 유적지로,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2. 1. 12.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은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통도사 등 7개의 사찰로 구성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이들 사찰은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전통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오랜 역사를 지닌 사찰들은 한국 불교의 깊이와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 유산이다.

2. 1. 13. 한국의 서원

서원, 대한민국의 성리학 교육 기관군은 도동서원, 돈암서원, 무성서원, 필암서원, 도산서원, 소수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남계서원 등 9개의 서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서원들은 조선 시대 성리학 교육 기관의 전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조선시대 지배층들이 백성들을 성리학적 질서에 맞춰 교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특히 도산서원과 소수서원은 한국 서원 건축의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히며, 그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황, 이언적 등 당대 최고의 성리학자들이 이 서원들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이들의 학문적 업적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주당은 이러한 서원들이 한국의 전통 교육과 학문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하며, 그 보존과 계승에 힘쓰고 있다.

2. 1. 14. 가야 고분군

가야 고분군은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교동·송현동 고분군, 유곡리·두락리 고분군 등 7개의 고분군으로 구성된 유산으로, 가야 연맹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2. 2. 자연유산



용천동굴


성산일출봉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은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13] 한라산,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등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빼어난 경관을 보여주는 대한민국세계유산이다. 특히 한라산은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다양한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이다. 거문오름 용암 동굴계는 세계적으로도 보존 가치가 높은 용암 동굴 시스템으로 인정받고 있다. 성산일출봉은 해돋이 명소로 유명하며, 지질학적 가치 또한 높다.

한국의 갯벌충청남도 서천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라남도 신안군, 보성군, 순천시에 걸쳐 있는 4곳의 갯벌 (서천갯벌, 고창 갯벌, 신안 갯벌, 보성-순천 갯벌)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며, 2021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20] 이들 갯벌은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멸종 위기 철새의 중요한 서식지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특히, 신안 갯벌은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보성-순천 갯벌은 꼬막, 짱뚱어 등 다양한 수산물이 생산되는 곳으로 유명하다.

2. 2. 1.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한라산,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등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빼어난 경관을 보여주는 대한민국세계유산이다.

2. 2. 2. 한국의 갯벌

서천갯벌, 고창 갯벌, 신안 갯벌, 보성-순천 갯벌 등 4곳의 갯벌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 이들 갯벌은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멸종 위기 철새의 중요한 서식지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특히, 신안 갯벌은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보성-순천 갯벌은 꼬막, 짱뚱어 등 다양한 수산물이 생산되는 곳으로 유명하다.

3. 지역별 분포

대한민국의 세계유산은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에 최소 1곳 이상 위치하고 있다.

9px
'''문화유산'''

9px
고창 · 화순 · 강화의 고인돌 유적

9px
조선왕릉

9px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9px
백제역사유적지구

9px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9px
한국의 서원

9px
'''자연유산'''

9px
한국의 갯벌

4. 잠정 목록

대한민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14개의 유산을 등재하여 관리하고 있다.[3] 세계유산 등재 신청은 잠정 목록에 등재된 유산에 한하여 가능하다.[22]

잠정 세계 유산
유적지그림위치 ()등재 연도UNESCO 기준설명
강진 가마터
풀로 덮여 있고 울타리로 둘러싸인 유적지
150px
전라남도1994ii, iii, iv, v, vi (문화)고려 시대(918–1392)의 가마터로, 고려 청자를 비롯한 한국 도자기와 청자 등 토기 및 자기 생산에 사용되었다. 400개 이상의 가마가 운영되었으며 일부는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23]
설악산 자연 보호 구역
일몰의 산등성이
150px
강원도1994vii, x (자연)태백산맥의 산들은 화강암과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빼어난 자연경관으로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울새, 산양, 사향노루 등 다양한 동식물과 멸종 위기 조류 및 포유류의 서식지이며, 두 개의 불교 사찰이 있다.[24]
남해안 공룡 화석 유적전라남도, 경상남도2002viii, ix, x (자연)백악기 시대 공룡 유적이 발견된 다섯 곳의 유적지로, 세계 최대 규모의 공룡 발자국, 보존된 알 둥지, 가장 오래된 물갈퀴 발 새 발자국 등이 발견되었다.[25]
염전전라남도2010iii, v (문화)신안군과 영광군의 염전으로, 갯벌을 이용하여 소금을 생산한다. 염수는 증발 및 결정 연못으로 이동하며, 19세기 일본에서 소금 생산 기술이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26]
대곡천 암각화
동물과 사람의 모습이 묘사된 암각화
150px
울산2010iii (문화)대곡천 절벽에 새겨진 암각화는 신석기 시대와 초기 청동기 시대에 제작되었으며, 인간, 육상 및 해양 동물, 도구, 배, 추상적인 패턴을 묘사한다. 특히 고래 묘사는 당시 사람들이 고래를 숭배했음을 보여준다.[27]
한국 중부 지역의 고대 산성
언덕 위의 숲에 있는 성벽
150px
충청북도2010iii, iv, v (문화)한국 중부 지역의 일곱 개 산성으로, 외세 침략에 대한 요새 역할을 했다. 5세기 후반에 축조된 삼년산성은 한국에서 가장 높고 큰 산돌 성이다.[28]
우포늪
호수와 몇몇 산이 배경인 습지
150px
경상남도2011vii, x (자연)한국 최대 내륙 습지이자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곳으로, 철새들의 중요한 기착지이다. 가창오리, 청둥오리, 알락꼬리마도요, 큰기러기, 고니 등이 서식하며, 약 7500년 된 나무 배의 잔해가 발견되기도 했다.[29]
나주읍성, 읍성과 마을
전통 초가집이 있는 마을
150px
전라남도2011iii, iv, v, vi (문화)조선 시대 성 안의 마을로, 일제강점기에 대부분 해체되었으나 낙안읍성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행정 건물, 초가집, 비각, 큰 고목이 있으며, 현재는 전통 음악가들이 거주한다.[30]
외암 마을
전통 초가집이 있는 마을
150px
충청남도2011ii, iv, v, vi (문화)전통적인 한국 씨족 마을로, 약 500년 전에 처음으로 거주하기 시작했다. 밭이 있는 농촌 마을이며, 주민들이 집에 물을 끌어들이기 위해 인공 수로를 건설했다.[31]
한양 도성 (수도 방어 시설): 한양도성, 북한산성 및 탕춘대성 방어벽
남대문, 성벽의 문
150px
서울특별시, 경기도2012iii, iv (문화)조선의 수도 서울 주변의 성벽으로, 14세기 말 서울 내산 능선을 따라 처음 건설되었다. 한양도성은 18.6km에 걸쳐 있었으며 여러 번 개조되었다. 현재 성벽의 여러 부분, 문, 보루, 봉수대, 수문이 남아 있다. 남대문은 공식적으로 숭례문으로 알려져 있다.[32]
화순 운주사의 석불 및 석탑
여러 석불 조각
150px
전라남도2017i, iii, iv (문화)고려 시대인 10세기 말 또는 11세기 초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때 불에 타기 전인 16세기까지 번성했다. 중앙 예배당 대신 여러 예배 장소를 갖춘 전통적인 사찰 배치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여러 개의 탑과 부처 조각상이 있으며, 일부는 거의 온전하게 남아 있다. 19세기와 20세기에 개조되었다.[33]
양주 회암사지
불교 사찰의 폐허
150px
경기도2022iii (문화)양주의 회암사는 1374년에서 1376년 사이에 초기 구조 위에 세워졌다. 선의 사찰이었으며, 선불교의 한국 분파이다. 이 종교는 14세기에 한국에서 번성했지만 조선 왕조 시대에 쇠퇴했고 사찰은 16세기에 폐쇄되었다. 수도원의 건축 관행을 반영하는 부지 레이아웃은 보존되었다.[34]
한국 갯벌 (확장)전라남도2023x (자연)2021년에 등재된 세계 유산의 확장 제안으로, 무안 갯벌, 고흥 갯벌 및 여수 갯벌 세 곳의 갯벌 지역이 고려된다. 조류, 염생 식물 및 해양 생물의 중요한 서식지이다.[35]
부산 전시 수도 유적
이름이 새겨진 기념석
150px
부산광역시2023iii (문화)부산은 한국 전쟁 (1950–1953) 동안 두 번의 기간 동안 임시 수도 역할을 했다. 임시 정부 단지 및 대통령 관저, 부산항 1부두, 두 개의 마을 및 유엔 기념 공원을 포함하여 전쟁 정부 지원, 이재민 주택 제공, 국제 협력 촉진을 위한 인프라 적응 필요성을 보여준다.[36]


5. 세계유산 등재의 의의와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9-07-07
[2] 웹사이트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1-02-03
[3]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4] 웹사이트 Report of the 19th Session of the Committee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6-08-10
[5] 웹사이트 The Criteria for Selection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8-08-17
[6] 웹사이트 Seokguram Grotto and Bulguksa Temple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7] 웹사이트 Haeinsa Temple Janggyeong Panjeon, the Depositories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8] 웹사이트 Jongmyo Shrine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9] 웹사이트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0] 웹사이트 Hwaseong Fortres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1] 웹사이트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Site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2] 웹사이트 Gyeongju Historic Area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3] 웹사이트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4] 웹사이트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5] 웹사이트 Historic Villages of Korea: Hahoe and Yangdong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6] 웹사이트 Namhansanseong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7] 웹사이트 Baekje Historic Area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8] 웹사이트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19] 웹사이트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20] 웹사이트 Getbol, Korean Tidal Flat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09
[21] 웹사이트 Gaya Tumuli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3-09-19
[22] 웹사이트 Tentative List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0-10-07
[23] 웹사이트 Kangjingun Kiln Site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24] 웹사이트 Mt. Soraksan Nature Reserve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25] 웹사이트 Sites of fossilized dinosaurs throughout the Southern seacoast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26] 웹사이트 Saltern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27] 웹사이트 Daegokcheon Stream Petroglyph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28] 웹사이트 Ancient Mountain Fortresses in Central Korea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29] 웹사이트 Upo Wetland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30] 웹사이트 Naganeupseong, Town Fortress and Village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31] 웹사이트 Oeam Village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32] 웹사이트 Capital Fortifications of Hanyang : Hangyangdoseong Capital City Wall, Bukhansanseong Mountain Fortress and Tangchundaeseong Defense Wall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33] 웹사이트 Stone Buddhas and Pagodas at Hwasun Unjusa Temple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07-10
[34] 웹사이트 Archaeological Remains at the Hoeamsa Temple Site in Yangju City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10-31
[35] 웹사이트 Getbol, Korean Tidal Flats (Extension)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4-05-19
[36] 웹사이트 Sites of the Busan Wartime Capital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4-05-19
[37]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http://whc.unesco.or[...] UNESCO 2018-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