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니 (음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니(Zōni)는 일본의 전통 음식으로, 떡, 채소, 해산물 등을 끓여 만든 요리이다. '잡다한 것을 끓인다'는 의미를 지닌다. 무가 사회에서 유래하여 정월에 떡을 먹는 관습과 결합하여 의례화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국물, 재료, 조리법을 보인다. 떡의 모양, 국물의 종류, 부재료 등에서 지역별 차이가 나타나며, 간토 지방은 맑은 국물에 네모난 떡을, 간사이 지방은 된장 국물에 둥근 떡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 소설 《오싱》에서는 새해 음식으로 등장하며, 떡국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찌 - 가가미모치
    가가미모치는 둥근 거울 형태에서 유래한 일본의 떡 장식으로, 주로 정월에 신에게 바치는 공물이며 크고 작은 둥근 떡을 겹쳐 귤 등으로 장식하고, 무로마치 시대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장식되기 시작했다.
  • 모찌 - 카가미비라키
    카가미비라키는 일본에서 새해를 축하하고 무운을 기원하는 전통 행사로, 술통 뚜껑을 깨는 의식과 떡을 먹는 풍습을 포함하며 다양한 현대 행사에서도 활용된다.
  • 쇼가쓰 음식 - 가가미모치
    가가미모치는 둥근 거울 형태에서 유래한 일본의 떡 장식으로, 주로 정월에 신에게 바치는 공물이며 크고 작은 둥근 떡을 겹쳐 귤 등으로 장식하고, 무로마치 시대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장식되기 시작했다.
  • 쇼가쓰 음식 - 오세치
    오세치는 일본에서 정월 초하루부터 사흘간 먹는 음식으로, 새해를 축하하고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여러 종류의 음식으로 구성되며, 에도 시대부터 시작되어 3단, 4단, 5단 찬합에 담아 먹는다.
  • 일본 요리 - 복어
    복어는 몸을 부풀려 방어하고 독을 지닌 물고기로, 섭취 시 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자격증을 갖춘 요리사가 조리하면 식용으로 사용되며, 한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 일본 요리 - 우동
    우동은 일본의 면 요리로, 굵고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며 따뜻한 국물이나 차가운 츠유에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일본 각지의 특색을 살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어 각 나라의 식문화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조니 (음식)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종류수프
주재료모치 떡
국가일본
기타세계적으로 수프 요리 중 하나로 볼 수 있음

2. 어원

조니(雑煮)는 일본어 한자 두 글자로 표기된다. 첫 번째 글자인 雑|자쓰일본어는 "잡다한" 또는 "섞인"을 의미하고, 두 번째 글자인 煮|니일본어는 "졸이다" 또는 "끓이다"를 의미한다. 따라서 조니는 여러 가지 재료(예: , 채소, 해산물)를 함께 끓여서 만든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과거 무사 사회에서는 이 음식을 "烹雑"(호조)라고 불렀으며, 烹|호일본어 역시 "졸이다" 또는 "끓이다"의 고어였다.[2]

신타니 나오키에 따르면, "雑煮"라는 글자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은 교토시 요시다 신사의 신직으로 궁중 제사에 관여해 온 스즈카 가문이 기록한 『스즈카 가기』의 조지 3년 (1364년) 정월 기사에 "雑煮 어주 내려짐", "雑煮 만찬", "雑煮 출"이라고 기록된 것이다.[8] 신타니는 무로마치 시대에 雑煮가 보급된 배경에는 조리 기구 제조법의 발달과 쇠 냄비 보급으로 조림 등 요리의 다양성이 넓어진 것이 있다고 설명한다.

이전의 명칭이나 형태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포잡'''(ほうぞう)이다.

3. 기원 및 역사

일본 역사소설 《오싱》에서는 조니가 새해를 상징하는 음식으로 묘사되었는데, 번역자 김균은 한국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떡국으로 번역하였다.

신타니 나오키는 무로마치 시대에 잡煮가 보급된 배경으로 조리 기구 제조법의 발달과 쇠 냄비 보급으로 인해 조림 등 요리의 다양성이 넓어진 점을 꼽았다.[8]

잡탕에 대해서는 무가에서의 의례인 식삼헌에서의 요리라는 견해가 있다.[9] 그러나, 무로마치 막부 쇼군의 어성기 및 무가 고실서에 따르면, 식삼헌은 주전(신전)에서 행해지고, 그 후 회소로 옮겨 여기서 다시 초헌부터 삼헌까지의 삼헌이 나온 후, 오의 선 또는 칠의 선까지가 놓이는 선부가 되고, 더욱이 사헌 이하의 헌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식삼헌에서는 초헌에 해파리, 매실 장아찌, 타전복, 이헌에 잉어의 우치미(생선회), 삼헌에는 와타이리가 나오는 것이 통례이지만, 이것들에는 젓가락을 대지 않고, 실제로 먹는 일은 없다. 한편, 회소로 자리를 옮겨서의 초헌에는 잡탕과 다섯 종류의 깎은 것이 나오는 것이 보통이다. 즉, 잡탕은 식삼헌이 아니라, 이것과는 별개의 삼헌 중의 초헌에 나오는 것이다.[10]

에도 시대 오와리 번의 성하 마을이었던 아이치현나고야시 주변에서는 떡과 떡채만의 잡탕이 현재에도 보인다.

하루는 저녁부터 시작된다는 생각에 따라 설날은 섣달 그믐날 저녁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졌다.[11] 섣달 그믐날 저녁에 세덕신을 맞이하여 세찬을 먹고, 새벽까지 깨어 있다가 신사나 사찰에 참배하고, 새해 첫날에는 덧문을 모두 열지 않고, 청소도 요리도 하지 않으며, 목욕도 하지 않고 조령을 모시는 금기 행위인 "연금"(年籠り)을 했다고 한다. 설날에 청소를 하지 않고 목욕을 하지 않는 등의 풍습은 오늘날에도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설날에는 요리도 하지 않으므로 전날 밤의 남은 음식을 먹고 보내기 때문에, 떡국을 만드는 것도 다음 날 이후였다.

근세 이전에는 "떡 없는 정월"이라고 불리며, 정월 초하루에 떡을 신불에게 바치거나 먹는 것을 금기로 하는 풍습이 밭작 지대를 중심으로 널리 존재했다. 밭작 지대는 논을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아 쌀 이외의 작물로 정전(定畑)이나 화전을 짓던 지역이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쌀 및 그것을 원료로 하는 떡은 자기 땅에서는 생산되지 않는 외래의 음식이었으며, 신불에게 토지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식에서 이러한 외래 음식을 사용하는 것은 금기였다.

밭작 지대에서는 메밀이나 토란 등 자기 땅에서 생산되는 작물을 신불에게 바쳤으며, 이러한 식재료를 주체로 잡탕국 등을 만들어 먹었다. 오늘날에도 "떡을 사용하지 않는 잡탕국"을 만드는 지역에는 과거에 그러한 떡 식용의 금기가 있었고, 그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이러한 풍습을 대신하여 떡을 주체로 하는 잡탕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배경에는 교통과 정보 전달의 발달도 있지만, 석고제에 근거한 막번체제에 의한 쌀 생산에 대한 정치적·경제적인 압력이 밭작 지대를 포함해 가해졌고, 실제로 관개 설비의 정비와 신전 개발에 의해 이러한 지역도 쌀 생산 지대로 전환해 간 영향이 크다고 여겨진다.

3. 1. 유쇼쿠 요리

조니는 사무라이 사회의 요리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는 전쟁터에서 , 채소, 건어물 등을 함께 끓여 만든 음식으로 여겨진다. 처음에는 사무라이만 먹던 이 음식이 결국에는 일반 백성들의 주식이 되었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조니는 처음에는 정찬(''혼젠 료리'')의 일부로 제공되었으며, 따라서 사무라이에게 매우 중요한 음식으로 여겨졌다.[8]

무로마치 시대 말기(1336–1573)부터 설날에 조니를 먹는 전통이 시작되었다. 이 요리는 섣달 그믐에 열리는 의식에서 신에게 바쳐졌다. 신타니 나오키에 따르면, "잡煮"라는 글자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은 교토시 요시다 신사의 신직으로, 궁중의 제사에도 대대로 깊이 관여해 온 스즈카 가문이 사물 등을 기록한 『스즈카 가기』의 조지 3년 (1364년) 정월의 기재에 "잡煮 어주 내려짐", "잡煮 만찬", "잡煮 출"이라고 기록되어 있다.[8]

이전의 명칭 내지 형태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이름은 '''포잡'''(ほうぞう)이라고 한다. 잡탕은 본래 무가 사회에서의 요리였으며, 떡이나 채소, 건조 식품 등을 함께 끓인 야전 요리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설에 따르면, 정월에 떡 요리를 먹는 관습은 고대부터 "이갈이" 의식과 결부된 형태로 존재했으며, 그것과 관련하여 발생했다. 잡탕은 원래 '''포잡'''(ほうぞう)이라고 불렸으며, 이 요리가 차츰 무가 사회에서 의례화되어 마침내 일반 서민에게 보급된 것으로 보인다.

에도 시대, 오와리 번을 중심으로 한 도카이 지방의 여러 번에서는, 무가의 잡탕에는 떡채(정월 채)라고 불리는 에 가까운 재래의 채소류(아이치의 전통 채소)만을 재료로 했다. 떡과 채소를 함께 집어 먹는 것이 관습으로, "명(=채소)을 가지(=떡) 올린다"라는 연기를 뗐다고 한다.

4. 구성

조니는 떡, 기타 재료, 육수와 조미료로 이루어진 "국물", 담는 그릇으로 구성된다.

떡의 종류는 지역마다 다르며, 크게 굽는 떡과 굽지 않는 떡, 네모난 떡(각진 떡)과 둥근 떡으로 나뉜다. 굽지 않는 떡은 나라현을 제외한 간사이 지방과 히로시마현을 제외한 주고쿠 지방에서 사용된다. 둥근 떡은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 서쪽(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 고치현, 가고시마현 제외)에서 사용되며, 둥근 떡과 각진 떡이 혼재된 지역은 홋카이도호쿠리쿠 지방(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이다.

떡 이외의 재료로는 닭고기, 생선, 미트볼 등이 있으며, 잎채소로는 고마츠나 또는 시금치, 미나리와 비슷한 일본 허브인 미츠바, 색깔을 내기 위한 가마보코(어묵)의 일종인 나루토와 당근 조각, 그리고 감귤 향을 내기 위한 유자 껍질 조각 등이 있다.[5]

국물은 간토 지방을 포함한 많은 지역에서 ''다시''(말린 가다랑어와/또는 다시마로 만든 육수)와 간장으로 맛을 낸 맑은 국물인 ''스마시지루''를 사용한다.[1] 간사이 지방과 시코쿠 동부에서는 조니를 흰색 된장으로 육수를 내는 반면, 후쿠이현 일부 지역에서는 붉은 된장으로 육수를 낸다.[1] 다시의 재료도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다시마, 가다랑어포, 멸치, 마른 오징어 등이 주로 사용된다.[1]

식기칠기이 많이 사용되지만, 가정이나 지방에 따라 다양하다.

4. 1. 떡

일본 역사소설 《오싱》에서는 조니가 새해를 상징하는 음식으로 묘사되었는데, 번역자 김균은 한국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떡국으로 번역하였다.[5][4]

근세 이전에는 "떡 없는 정월"이라 불리며, 정월 초하루에 떡을 신불에게 바치거나 먹는 것을 금기로 여기는 풍습이 밭작 지대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 있었다. 밭작 지대에서는 쌀과 떡이 귀했기 때문에, 메밀, 토란 등 자기 땅에서 나는 작물을 신불에게 바치고 잡탕국 등을 만들어 먹었다. 오늘날에도 "떡을 사용하지 않는 잡탕국"을 만드는 지역은 이러한 떡 식용 금기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풍습 대신 떡을 주재료로 하는 잡탕국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배경에는 교통과 정보 전달의 발달, 그리고 석고제에 기반한 막번체제로 인해 쌀 생산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압력이 가해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 관개 설비 정비와 신전 개발로 밭작 지대도 쌀 생산지로 전환되었다.

일본에서는 잡탕에 넣는 떡의 종류가 지역마다 다르다. 크게 굽는 떡과 굽지 않는 떡, 네모난 떡(각진 떡)과 둥근 떡으로 나뉜다. 지역별 떡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떡의 종류지역
굽지 않는 떡나라현을 제외한 간사이 지방, 히로시마현을 제외한 주고쿠 지방
둥근 떡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 서쪽( 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 고치현, 가고시마현 제외)
둥근 떡과 각진 떡 혼재홋카이도, 호쿠리쿠 지방(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메이지 시대 이후 이주민의 영향으로 홋카이도에서는 각진 떡, 맑은 장국 스타일이 우세해지는 경향이 있다. 간사이, 주고쿠, 시코쿠에서도 각진 떡 사용 지역이 늘고 있다.

한편, 떡 대신 토란, 두부, 수제비 등을 사용하는 "떡을 사용하지 않는 잡탕"을 만드는 지역도 있다. 이러한 잡탕은 벼농사가 활발하지 않은 산간 지역이나 섬 지역에 남아 있다. 이아 지방(도쿠시마현미요시시)에서는 토란, 감자, 두부로 만든 "우치가에 잡탕"을 먹는다.[13] 와카야마현오토촌(현재 다나베시 일부)에서는 껍질을 벗기지 않은 토란을 2일 동안 삶은 "보우리"를 먹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고시라 친왕에게 떡을 주지 못한 것에 대한 사과라는 전설이 있다.[13]

4. 2. 떡 이외의 재료

오싱에서 조니는 새해를 상징하는 음식으로 묘사되었는데, 번역자 김균은 한국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떡국으로 번역하였다.

수프에 흔히 곁들여지는 부재료로는 닭고기, 생선, 미트볼 등이 있으며, 잎채소로는 고마츠나 또는 시금치, 세리(미나리)와 비슷한 일본 허브인 미츠바, 색깔을 내기 위한 가마보코(어묵)의 일종인 나루토와 당근 조각, 그리고 감귤 향을 내기 위한 유자 껍질 조각 등이 있다.[5] 지역 특산물을 첨가하는 경우도 많다. 식탁에서는 칠미(시치미) 가루를 뿌려 먹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두부류, 고구마류, 닭고기 토막 또는 완자, 푸른 채소(이나 시금치), 색을 더하기 위한 채소(당근, 어묵, 새우), 향을 내는 유자, 미나리 등이 있지만, #지방에 따른 차이가 크다.

4. 3. 국물

일본 역사소설 《오싱》에서 조니는 새해를 상징하는 음식으로 묘사되었는데, 번역자 김균은 한국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떡국으로 번역하였다.[1]

조니는 일본에서 수많은 지역적 변형을 보인다.[1] 간토 지방을 포함한 많은 지역에서 조니는 ''다시''(말린 가다랑어와/또는 다시마 플레이크로 만든 육수)와 간장으로 맛을 낸 맑은 국물인 ''스마시지루''로 구성된다.[1] 간사이 지방과 시코쿠 동부에서는 조니를 흰색 된장으로 육수를 내는 반면, 후쿠이현 일부 지역에서는 붉은 된장으로 육수를 낸다.[1] 돗토리현-이즈모국 지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팥죽을 조니에 사용한다.[1]

다시의 재료도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다시마, 가다랑어포, 멸치, 마른 오징어 등이 주로 사용된다.[1] 국물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1]

맑은 국물된장국기타


4. 4. 식기

식기칠기이 많이 사용되지만, 가정이나 지방에 따라 다양하다. 정월에 잡곡밥이나 오세치 요리를 먹을 때 사용하는 야나기 등의 흰 나무 젓가락을 "조니바시"라고 부른다.

5. 지역별 차이

조니는 일본에서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모치를 준비하는 과정도 지역에 따라 다르다.

  • 간토 지방도호쿠 지방: 모치를 사각형으로 잘라 구운 후 국물에 넣는다.
  • 간사이 지방과 주고쿠 지방: 둥글게 끓인 모치를 선호한다.
  • 규슈 지방 대부분 지역: 둥근 모치가 일반적이지만, 굽거나 삶는 방식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5][4]
  • 일부 지역: 모치 대신 토란이나 두부를 사용하기도 한다. (쌀 재배가 어려운 섬이나 산악 지역)


국물에 곁들이는 재료도 다양하다.

  • 일반적인 재료: 닭고기, 생선, 미트볼, 잎채소(고마츠나, 시금치), ''세리''와 비슷한 미츠바, ''가마보코''(어묵)의 일종인 ''나루토'', 당근, ''유자'' 껍질[5]
  • 지역 특산물 첨가
  • 식탁에서 칠미(''시치미'') 가루를 뿌려 먹기도 한다.


동일본에서는 모서리를 구운 떡을 넣은 맑은 장국, 서일본에서는 둥근 떡을 삶아 된장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산물을 넣는 등 지역마다 특징이 있다.[14]

도도부현참고 이미지간 맞추기떡의 모양조리 방법특징비고출처
홋카이도 지방
홋카이도
조니
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메이지~다이쇼 시대에 전국 각지에서 온 이주민들이 출신지의 조리법을 계승하여 지역별, 집집마다 다른 조니가 산재해 있다.-[16]
도호쿠 지방
아오모리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쓰가루 지방: 케노지루에 삶은 재료와 구운 모서리 떡을 넣은 쓰가루 조니. 하치노헤시: 고래 국물에 구운 모서리 떡을 넣은 고래 조니.-[17]
이와테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해안 지역: 바다에서 잡은 생선이나 가공품 첨가. 산지: 야채를 많이 사용.
산리쿠 해안 지방: 간장으로 간을 한 조니에 호두를 갈아 만든 소스를 곁들여 떡을 찍어 먹는 호두 조니.
--
미야기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히키나" 사용 (히키나 조니). 육수는 다양 (산간부: 닭고기, 꿩고기, 연안부: 아나고 등). 센다이시: 구운 하제 육수에 히키나와 구운 하제, 하라코를 얹은 센다이 조니. 이시노마키시 일부 지역: 멍게를 사용한 멍게 조니.-[18][19]
아키타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오가 지방: 하타하타로 만든 쇼츠루 베이스 국물. 내륙부: 닭 뼈 베이스 국물.--
야마가타현맑은 장국둥근 떡삶기쇼나이 지방: 키타마에부네 교역으로 교토 문화가 전파되어 둥근 떡 사용. 무라야마 지방: 모서리 떡이나 물떡.-[20][21]
후쿠시마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가늘게 썬 무, 당근, 닭고기 등을 사용한 맑은 장국. 나카도리: 코리 두부 사용. 떡은 썰은 떡을 구워서 사용. 아이즈와카마쓰 지역: 쓰유모치 (설날 외에도 먹음), 갓 찐 떡을 찢어 넣음.-[22][23][24]
간토 지방
이바라키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지바현 북부와 이바라키현 일부 (시모후사 조니): 모서리 구운 떡을 넣은 맑은 장국. 닭고기, 무, 당근, 토란, 우엉, 곤약, 푸른 채소 등 재료 풍성.--
토치기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사노시 구즈우 지역: 설날에 떡 대신 귀 우동 섭취.-[25]
군마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
사이타마현
조니
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
지바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지바현 동부: 모서리 구운 떡을 넣은 맑은 장국. 재료는 당근과 유부 가늘게 썬 것. 구주쿠리 연안 지역, 도게시: 하바노리를 뿌린 하바 조니.-[26]
도쿄도
조니
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도쿄의 에도 조니: 고마쓰나, 닭고기 사용, 다시마와 가다랑어포로 육수를 낸 진한 간장 맑은 장국.--
가나가와현
조니
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
주부 지방
니가타현
조니
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니가타현에치고 조니: 연어 머리, 살, 연어알, 무, 당근, 우엉, 긴 , 곤약, 은행 등을 넣고 썰은 떡을 사용한 간장 조니. 지역 활성화 이벤트 개최. 조에쓰시 다카다 지역: 상어고기를 이용한 상어 조니.--
도야마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
이시카와현맑은 장국둥근 떡삶기노토 지역: 둥근 떡 맑은 장국 (팥 국물 조니도 존재). 호다쓰시미즈초: 팥 국물 조니 비율 높음. 가가지: 실파를 자르지 않고 넣은 파 조니.-[27]
이시카와현팥 국물둥근 떡삶기상동-[27]
이시카와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가가 지역, 노토 반도 뿌리 (하쿠이시, 히미시): 모서리 떡 맑은 장국.-[27]
후쿠이현
조니
된장둥근 떡삶기다시마 깐 냄비에 물, 다시, 둥근 떡, 된장, 가다랑어포 (재료 없는 조니). 레이난 지방: 흑설탕 첨가. 순무 조니, 무, 배추, 토란 등을 넣는 조니.-[28]
야마나시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
나가노현
조니
맑은 장국, 된장모서리 떡굽기, 삶기맑은 장국/된장국, 떡 굽는 지역/삶는 지역, 연어/방어 혼재. 나가노 지역: 연어, 마쓰모토 지역: 방어. 가미이나 지역: 구운 떡. 다카토초: 혼합 된장. 미나미신슈 지역: 간장 새해 맞이 국(조림, 오시루)에 삶은 떡. 산촌 옛집: 조니 풍습 없는 지역 존재. (사진: 마쓰모토 지역, 맑은 장국, 방어)-[29][30]
기후현맑은 장국모서리 떡삶기---
시즈오카현맑은 장국모서리 떡굽기, 삶기동일본/서일본 특징 혼합. 가다랑어 육수, 엷은 간장 맑은 장국. 모서리 떡 (현 동부: 굽기, 현 서부: 굽지 않음). 무, 배추, 물냉이 등 (가정마다 다름, 야마나시현 영향으로 근채류). 이즈 지방: 카키나와 떡 (심플).-[31][32]
아이치현
조니
맑은 장국모서리 떡삶기간장 맑은 장국, 모서리 떡 (굽지 않음), 닭고기, 떡나물(모치나). 나고야시 주변: 닭고기 없이 떡과 떡나물 (나고야 조니).-[33]
긴키 지방
미에현맑은 장국모서리 떡, 둥근 떡삶기동일본/서일본 떡, 조니 문화 혼합, 이세 신궁 어찬 영향. "금은 떡"(흰 떡, 밤 떡) 사용. 낙도부: 쇼와 초년까지 떡 없는 팥 국물, 데친 작은 떡에 팥 앙금.-[34]
시가현된장, 맑은 장국둥근 떡, 모서리 떡삶기, 굽기떡 모양, 간 분기점. 고호 지방: 맑은 장국, 굽지 않은 둥근 떡. 고난, 고세이: 둥근 떡, 된장 조니. 도카이: 모서리 떡.-[35]
교토부
조니
된장둥근 떡삶기교토의 조니: 된장, 둥근 떡 (굽지 않고 삶음). 된장 조니#교토부 참조--
오사카부된장둥근 떡삶기, 굽기선바: 정월 초하루: 된장, 굽지 않은 둥근 떡, 이튿날: 미즈나, 구운 떡, 맑은 장국, 사흘째: 단팥죽 (장사 조니).--
효고현맑은 장국, 된장둥근 떡삶기맑은 장국/된장 혼재, 된장/혼합 된장.--
나라현
조니
된장둥근 떡굽기나라현의 조니: 된장, 토란, 무, 두부 (흰색), 당근 (홍백). 둥근 떡 (굽기).
"고물 조니": 떡을 국물에서 꺼내 고물을 묻혀 먹음 ("고물 조니"라고 부르지 않고 "조니"라고 부름).
--
와카야마현된장둥근 떡삶기된장, 둥근 떡 (굽지 않음). 에소 육수 (아리다시), 붕장어 육수 (맑은 장국). 스사미초: 붕장어 말린 것 육수, 썰은 떡 (굽기).-[36]
주고쿠 지방
돗토리현팥 국물둥근 떡삶기팥 조니 (팥 양, 국물 양, 단맛, 짠맛 다양). 미사사정: 토치 떡. 산간부: 꽃 가다랑어포 간장, 구운 두부 된장. 현 서부: 간장, 김, 두부, 파, 우엉, 방어, 김 술.-[37]
시마네현팥 국물둥근 떡삶기둥근 떡, 맑은 장국. 이즈모 바다: 팥 조니, 산: 김 조니, 이와미: 검은콩 조니. 오색 조니 (오다시), 표고버섯 조니(오키 제도), 두부 조니(히로시마현 경계 산간부), 조개 조니(히로시마현 경계 산간부), 야채 조니(야마구치현 경계), 붕장어 조니(붕장어 육수, 마스다시).-[38]
오카야마현맑은 장국둥근 떡삶기세토 내해 연안: 방어 (방어 조니). 오카야마현 남부: 가다랑어포, 다시마 육수, 북부: 멸치 육수.-[39]
히로시마현맑은 장국둥근 떡삶기아키 지방, 에타지마시: (굴 조니).--
야마구치현맑은 장국둥근 떡삶기하기시 등: 둥근 떡, 순무, 세 잎 (순무 조니).--
시코쿠 지방
도쿠시마현된장둥근 떡삶기도쿠시마현, 고치현 경계 아야야마: 마이모(토란 어미), 두부, 멸치, 다시마 육수 맑은 장국 (쌀 부족, 떡 귀중품).
감자 3개, 썬 두부 2개 십자형 ("우치치가에 조니", 헤이케 칼).
--


6. 한국과의 관계

일본 역사소설 《오싱》에서 조니는 새해를 상징하는 음식으로 묘사되었는데, 번역자 김균은 한국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떡국으로 번역하였다.

참조

[1] Encyclopedia 美保湾 (Miho-wan)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5-20
[2] 웹사이트 雑煮 http://gogen-allguid[...] 2013-08-08
[3] Encyclopedia Tone-gawa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5-22
[4] 웹사이트 日本全国お雑煮文化圏地図 http://tg.tripadviso[...] TripAdvisor 2016-10-09
[5] Encyclopedia Zōni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5-22
[6] 서적 広辞苑
[7]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冬 講談社 2023-11-21
[8] 웹사이트 正月に欠かせない「雑煮」 郷土色あふれる豊かな味わい https://www.sankei.c[...] 2016-12-25
[9] 서적 日本料理文化史 人文書院
[10] 서적 和食と懐石 淡交社
[11] 웹사이트 No.100 宮崎の正月料理 http://www.miten.jp/[...] 2011-12-27
[12] 뉴스 味の分かれ目関が原 2008-05-25
[13] 웹사이트 正月の祝い膳 餅なし文化でもてなす 主役を飾る身近な食材 https://www.agrinews[...] 2021-12-24
[14] 웹사이트 日本全国お雑煮マップ 写真付き https://www.gsi.go.j[...]
[15] 웹사이트 納豆、あんこ餅、きなこ入り…「お雑煮」日本全国でここまで違う驚きの理由 お雑煮って、こんなに違うんです https://gendai.media[...] 2021-01-01
[16] 뉴스 小田嶋政子:雑煮は「母村」の味 移住多い北海道、食文化は全国にルーツ https://www.nikkei.c[...] 2017-12-30
[17] 웹사이트 地域によって大きく異なるお雑煮。各地域の個性的なお雑煮レシピをご紹介 https://www.yamaki-s[...]
[18] 서적 年取りと正月の料理 農山漁村文化協会
[19] 뉴스 ほや雑煮「100年フード」に 石巻地方の正月料理、文化庁が認定 https://kahoku.news/[...] 2023-04-04
[20] 웹사이트 丸餅、角餅、焼き餅、つきたての生餅 お餅の形状も盛り付けもさまざま! https://www.yamagata[...]
[21] 웹사이트 雑煮 https://www.city.yam[...] 山形市
[22] 웹사이트 雑煮とふるさと(1月1日) https://www.minpo.jp[...] 2022-01-01
[23] 웹사이트 お雑煮編 https://aizuyotuba.j[...]
[24] 웹사이트 福島県風お雑煮 https://www.yamasa.c[...]
[25] 서적 そば・うどん・粉もの 農山漁村文化協会
[26] 웹사이트 ちばのふるさと料理-はば雑煮 https://www.pref.chi[...] 2022-10-20
[27] 웹사이트 東西「お雑煮」の境界線は北陸にあった https://hokuroku.med[...] 2021-01-08
[28] 웹사이트 雑煮 福井県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9] 웹사이트 正月行事 https://www.city.iid[...] 飯田市
[30] 뉴스 関東・甲信のお雑煮 松本栄文さんの地域の文化を味わう「お雑煮図鑑」 https://discoverjapa[...] ディスカバー・ジャパン 2020-12-15
[31] 웹사이트 意外と知らない静岡県のお雑煮事情 伊豆では「かき菜」を入れるのが当たり前? https://estlinks.co.[...] 2017-01-27
[32] 서적 日本の特別地域特別編集75 これでいいのか静岡県 マイクロマガジン社
[33] 웹사이트 雑煮 愛知県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34] 웹사이트 雑煮 三重県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35] 웹사이트 参考資料〈全国の雑煮〉 ●京都府 ●大阪府 ●兵庫県 ●奈良県 ●和歌山県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36] 웹사이트 和歌山の食文化 https://wave.pref.wa[...] 和歌山県 2023-11-23
[37] 웹사이트 小豆雑煮 https://www.pref.tot[...] 2023-11-21
[38] 웹사이트 同じ県に9種類も!?島根県の豊かなお雑煮文化をご覧あれ https://sotokoto-onl[...] 2023-11-13
[39] 웹사이트 ブリ雑煮 岡山県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3-11-16
[40] 뉴스 アンケートでみるうどん県民の「素顔」=雑煮「あん餅派」52% 島しょ部は「あんなし」優勢 うどんは「週1以上」9割 マンバ、女性の7割超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6-01-01
[41] 웹사이트 お正月の定番「お雑煮」!愛媛のお雑煮には違いがある!? https://dogoehime.co[...] 2023-11-21
[42] 웹사이트 お雑煮 https://www.kochi-ba[...] 高知銀行 2023-11-13
[43] 웹사이트 ふるさと食文化の旅:高知 https://www.kosakai.[...] 小堺化学工業 2023-11-13
[44] 뉴스 <佐賀県お雑煮図鑑>佐賀のお雑煮“多数派”を再現 カキ、クジラ使ったレシピや今泉今右衛門家に伝わる伝統の味も https://www.saga-s.c[...] 2023-11-13
[45] 웹사이트 お雑煮研究家 粕谷さんに聞きました!九州のご当地珍雑煮8選 https://coop-sateto.[...] コープ九州 2023-11-16
[46] 웹사이트 お正月にお雑煮を食べるのは何故?由来と九州のお雑煮を大紹介! https://www.hataraku[...] 2023-11-16
[47] 서적 旬の食材がまるごとわかる本 晋遊舎
[48] 웹사이트 長崎「島原具雑煮」&熊本「納豆雑煮」&沖縄「中味汁」 https://dancyu.jp/re[...] 2023-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