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경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의 경제는 농업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화폐 유통은 미흡했다. 현물 화폐와 상평통보가 사용되었지만, 구리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공업은 초기에는 관청 주도였으나 후기에는 민간 수공업이 발달했다. 광업은 국가 통제 하에 있었으나 후기에 민간 개발이 허용되었다. 상업은 장시와 육의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무역은 조공 무역과 개시를 통해 이루어졌다. 개화기에는 자본주의 국가에 문호를 개방하면서 사회·경제적 질서가 붕괴되고 식민지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조선의 경제 |
---|
2. 화폐
조선 시대의 경제 활동에서는 오랫동안 쌀, 면포, 삼베 등 현물화폐가 주요 교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곡물은 주로 세금 납부나 관리 녹봉 지급에, 면포와 삼베는 일반적인 거래에 널리 쓰였다.[17][18] 현물화폐는 관리가 어렵고 가치 변동성이 커서, 조선 정부는 초기부터 명목화폐 유통을 시도했다.
1401년(태종 1년)에는 종이 화폐인 저화를 발행했으나, 쉽게 훼손되고 당시 자급자족적 경제 구조 속에서 널리 유통되지 못했다.[22] 이후 세종 대에는 조선통보(1423년), 세조 대에는 전폐(1464년) 등 주화를 만들었지만, 이 역시 주로 국가적 필요에 의해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을 뿐 일반적인 거래 수단으로 정착하지는 못했다.[20][25] 주화 유통의 주요 장애물은 원료인 구리의 국내 생산량 부족과 화폐 발행을 통합 관리할 중앙 기구의 부재였다.[26][23]
본격적인 주화 유통은 17세기 이후 일본의 구리 생산량 증가로 가능해졌다. 조선은 일본에서 구리를 수입하여[27] 1678년(숙종 4년)부터 상평통보를 주조, 발행하기 시작했다.[33] 상평통보는 이전 화폐들과 달리 막대한 양이 발행되어 점차 조선의 대표적인 화폐로 자리 잡았으나[27], 발행 초기에는 급격한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겪기도 했고, 이후에도 전황(동전 부족 현상) 등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33][34] 상평통보 발행은 여러 중앙 관청과 지방 관청에서 분산되어 이루어지다가 고종 대에 이르러서야 일원화되었다.[35][36]
조선 말기에는 국가 재정난 타개를 위해 고액 화폐가 발행되기도 했다. 1866년(고종 3년) 흥선대원군은 경복궁 중건 비용 마련을 위해 당백전을 발행했으나 극심한 물가 상승과 경제 혼란을 초래하여 2년 만에 폐지되었다. 1883년에는 개화 정책 비용 충당 목적으로 당오전이 발행되었고, 화폐 주조를 위해 전환국이 설치되었으나 이 역시 물가 폭등을 야기하며 실패했다.
1892년부터는 전환국에서 백동화가 발행되어 유통되었다. 그러나 청일 전쟁 이후 경제적 영향력을 강화한 일본은 재정 고문 메가타 종태랑을 앞세워 1904년 화폐 정리 사업을 강행했다. 이 사업은 기존 백동화의 가치를 일방적으로 평가 절하하거나 교환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극심한 화폐 부족 현상을 일으켰고, 조선의 상공업자와 농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또한 사업 자금을 일본 차관으로 충당하고 일본 제1은행이 대한제국의 중앙 은행 역할을 대신하게 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일본 예속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2. 1. 현물화폐

조선의 경제 활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인 교환 수단은 쌀 등의 곡물과 면포, 삼베 등 직물을 이용한 현물화폐이었다. 곡물은 주로 세금의 납부, 관리들의 녹봉 지급 등에 이용되었고[17] 면포와 삼베는 각종 거래에 이용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삼베가 교환을 위한 현물화폐로 기능하였으나 점차 목화 재배 면적이 늘면서 면포가 쓰이기 시작하였다.[18] 직물을 거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16세기 말, 17세기 초까지도 계속되었다. 국가가 정한 직물의 표준은 5승포로 1 승은 80 올이어서 5승포는 한 폭에 400 올이 들어간 직물이다.[19] 그러나 실제 거래에서는 4승포나 3승포 등이 상포(常布)로 불리며 사용되었고 심지어는 옷감으로서는 도저히 사용할 수 없는 2승포도 거래되었다. 2승포의 경우엔 오로지 거래만을 위해 제작된 직물이라 할 수 있다.[18] 이러한 현물화폐는 조선 후기에 주화가 명목화폐로서 정착된 뒤로도 여전히 사용되었으며 상인들은 자신들의 이익에 따라 각 종 현물, 명목 화폐 중에서 유리한 것을 이용하여 거래하고자 하였다.[20]
현물화폐는 해당 물품의 작황 등에 영향을 받고 별도의 관리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조선의 중앙정부는 초기부터 명목화폐를 제작하여 유통시키고자 노력하였으나 그리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화폐 유통이 실패한 이유는 무엇보다 경제 활동의 상당 부분이 이익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선물로서 주고 받는 호혜경제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품의 교환 활동 자체가 적었던 것이다. 조선의 교환 경제는 양란 이후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야 활성화되었다.[21]
조선 초기의 자급자족적인 경제 속에서 화폐 경제의 발달은 완만했으며, 전매품인 소금과의 교환품이 포(布)나 쌀, 잡곡 등으로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삼베·면포·쌀 등의 현물 화폐가 거래되었고, 포백세의 납세를 조건으로 포화의 사용이 인정되었다.
1401년에는 하륜 등이 주장하여 종이를 원료로 한 저화를 발행하여 국폐로 삼아 통용을 장려했지만, 일반 서민들은 사용하려 하지 않았고, 단지 봉록의 지급 등에 혼용되었기 때문에, 경성 부근에서만 통용되었을 뿐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1423년에는 조선통보라는 동전이, 그리고 1464년에는 전폐가 만들어졌지만, 이것들은 주로 국가의 수세에 사용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반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은 아니었다.
2. 2. 저화
조선 초기에 국가는 지폐의 일종인 저화를 발행하여 유통시키고자 했다.[22] 저화는 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만든 한지인 저지(楮紙)로 제작되었으며, 품질에 따라 저주지(楮注紙)와 저상지(楮常紙)로 구분하고 일정한 규격을 정했다. 제작 후에는 규격을 심사한 기관이 도장을 찍어 품질을 보증하는 방식을 취했다.[22] 1401년, 하륜 등의 건의에 따라 저화를 국가 공식 화폐로 삼고 통용을 장려하였다.[22]하지만 저화는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 종이로 만들어져 오래 사용하면 쉽게 닳거나 손상될 수 있었지만, 그 가치는 액면가로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22] 또한, 당시 조선 경제는 전매제 품목인 소금을 교환할 때 주로 베, 쌀, 잡곡 등을 사용하는 등 자급자족적인 물물교환의 성격이 강하여 화폐 유통 자체가 활발하지 않았다.[22] 이 때문에 여전히 쌀, 삼베, 면포 등이 실질적인 교환 수단으로 더 선호되었다.[22]
정부는 저화에 대한 불신을 없애기 위해 저화 1장의 가치를 쌀 1말, 30장의 가치를 무명 1필로 정하고 국가가 교환을 보증하는 태환 정책을 내놓기도 했다.[23] 그러나 이 정책은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고 일시적인 조치에 그쳐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22] 결국 일반 백성들은 저화 사용을 꺼렸고, 주로 관리 봉급 지급에 일부 사용되거나 수도 한성 부근에서만 제한적으로 유통되는 데 그쳤다.[22] 시간이 흐르면서 저화의 실제 가치는 계속 하락하여 화폐로서의 신뢰를 잃었고, 조선 중기에 이르러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 자연스럽게 사라졌다.[22]
비록 화폐로서 널리 유통되지는 못했지만, 저화는 상평통보가 보편화되기 전까지 물건 가격 표시의 기준 단위로는 계속 사용되어, 당시 작성된 여러 매매 관련 문서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23] 한편, 저화 외에도 1423년에는 조선통보라는 동전이, 1464년에는 화살촉 모양의 전폐(箭幣)가 만들어지기도 했으나, 이들 역시 주로 세금 징수 등 국가적 필요에 의해 발행되었을 뿐, 일반 백성들의 일상적인 거래 수단으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22]
2. 3. 주화
저화는 생산 지역별 품질 차이가 크고 쉽게 훼손되거나 더러워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질 가치가 하락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주화 유통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23] 세종 11년(1429년),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박서생은 일본에서 동전 사용이 일반화되어 여행과 징세에 편리하다고 보고했다.[24] 세종은 이미 조선통보 유통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경험이 있었지만, 박서생의 보고를 받아들여 1423년(세종 5년)에 조선통보라는 동전을 다시 주조했다.[20] 이후 1464년(세조 10년)에는 화살촉 모양의 전폐(箭幣)가 만들어지기도 했으나, 이들 초기 주화는 주로 국가의 세금 수취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뿐 일반적인 거래에는 널리 쓰이지 못했다. 인조 대에 이르기까지 조선통보가 간헐적으로 제작되었으나 본격적인 유통에는 실패했다.[25]초기 동전 유통 실패의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는 한반도의 구리 채굴량이 매우 부족했다는 점이다. 세종은 장영실을 경상도 채방별감(採訪別監)으로 임명하여 여러 지역의 광물 조사를 지시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26] 조선은 동전을 비롯한 각종 유기 제작에 필요한 구리를 주로 수입에 의존해야 했으며, 특히 17세기 이후 제작된 상평통보에 사용된 구리의 주요 수입원은 일본이었다.[27] 국내 구리 생산량이 적어 동전 제작 수량 자체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갑오경장 이전까지 조선에는 화폐 발행 및 관리를 총괄하는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기구가 부재했다. 동전 발행 이전의 저화처럼, 동전 역시 주조하는 기관마다 구리 함량, 두께 등이 달라 화폐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이 때문에 세종은 동전 대신 철전 발행을 고려하기도 했으나, 주화 가치 하락 문제로 이마저 포기해야 했다.[23] 심지어 동전의 원료인 구리가 귀해지자, 동전을 녹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훼전(毁錢) 현상까지 발생했다.[28]
동전 유통이 부진하자 조선 중기 경제 활동은 다시 삼베와 면포 같은 현물 화폐를 이용한 교환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상황은 임진왜란으로 인한 극심한 재정 악화로 변화의 계기를 맞게 된다. 국왕이 의주까지 피난 간 상황에서, 특히 원정 온 명나라 군대에 대한 보급이 원활하지 않자 동전 주조 주장이 다시 힘을 얻었다. 그러나 전쟁 중이라는 현실적인 제약으로 실제 제작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인조반정 이후 조세 수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동전 주조가 시도되었으나, 고질적인 구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또다시 실패했다.[28] 헌종 시기 거제도에서 구리 광산이 발견되었지만[29] 산출량은 여전히 미미했다. 한반도의 구리는 주로 경상도 지역의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된다.[30] 거제도 구리 광산은 훗날 영국, 일본 등 열강의 이권 각축장이 되었다가 일제강점기에 본격적으로 개발되었고,[31] 1980년대 초에 최종 폐광되었다.[32]
상황은 17세기에 들어 일본의 구리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변하기 시작했다. 16세기 연간 50ton 정도였던 일본의 구리 생산량은 17세기 새로운 광산 개발로 150ton 이상으로 급증했다.[28] 조선은 이 구리를 적극적으로 수입하여 마침내 상평통보를 대량으로 주조할 수 있게 되었다. 당시 구리 100근당 은 20냥 정도의 가격으로 수입되었다. 상평통보는 총 1,300만~1,500만 냥 규모로 발행되어 약 30만ton ~ 40만ton의 구리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전적으로 일본으로부터의 구리 수입에 의존한 결과였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은 왜관을 통한 쓰시마와의 중계 무역만 허용했으므로, 구리 역시 쓰시마를 통해 수입되었다. 구리 수입 대가는 주로 쓰시마에서 자급하지 못하는 쌀과 면포로 지불되었다.[27]
숙종 4년(1678년), 허적, 권대운 등의 건의에 따라 호조, 상평청, 진휼청, 훈련도감 등 여러 기관에서 상평통보를 주조하여 공급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당시 조선 조정은 화폐 유통량과 물가 상승의 관계, 즉 인플레이션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초기 동전 공급이 급격히 늘자 물가가 급등하는 부작용을 겪었고, 이 때문에 1698년에는 상평통보 주조가 다시 금지되어 이후 30년간 중단되기도 했다.[33] 또한 여러 이유로 전황(錢荒, 동전 부족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동전의 실질 가치가 불안정했다. 전황은 18세기 내내 조선 경제의 고질적인 문제였다. 지배층인 사대부들의 동전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일본 구리 수입에 따른 국부 유출 우려, 거상이나 부자들이 부의 축적 수단으로 동전을 유통시키지 않고 쌓아두는 행태 등 전황의 원인은 복합적이었다.[34]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상평통보는 이전의 화폐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한 양이 발행되었기 때문에 마침내 조선의 대표적인 화폐로 자리 잡게 되었다.[27] 상평통보 발행을 시작한 숙종은 상평청을 신설하여 동전 주조를 중앙에서 통제하려 했으나, 여러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완전한 통제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조선의 조세 수취 구조가 각 부처별로 분산되어 있었기 때문에 화폐 발행을 중앙에서 일원화할 강력한 동기가 부족했고, 잦은 흉년 등으로 인한 예측 불가능한 동전 수요 역시 중앙 통제를 어렵게 만들었다.[33] 결국 상평통보 발행은 호조, 상평청, 진휼청, 정초청, 어영청, 사복시, 훈련도감 등 중앙 7개 기관을 비롯하여 각 지방 관청에서도 이루어지는 다원화된 체제로 운영되었다.[35] 이러한 다원적 발행 체계는 정조 시기에 일시적으로 일원화되기도 했으나 오래가지 못하고 다시 다원화되었으며, 고종 시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발행처가 일원화된다.[36]
1866년(고종 3년), 흥선대원군은 경복궁 중건이라는 대규모 사업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고액 화폐인 당백전을 발행했다. 그러나 당백전은 명목 가치에 비해 실제 가치가 터무니없이 낮아 극심한 물가 상승을 유발하며 경제 혼란을 야기했고, 이는 대원군 집권 체제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했다. 결국 1868년(고종 5년) 5월, 최익현의 강력한 상소로 당백전 통용은 금지되었다. 이후 1883년(고종 20년)에는 개화 정책 추진 비용을 충당할 목적으로 당오전을 주조하고, 혼란스러운 화폐 제도를 정비한다는 명분 하에 상설 조폐 기관인 전환국을 설치했다. 그러나 당오전 역시 실질 가치가 명목 가치에 크게 미치지 못해 물가 폭등을 초래했고, 결국 1895년(고종 32년)에 통용이 금지되는 운명을 맞았다.
1892년부터는 전환국에서 새로운 동전인 백동화를 발행하여 유통시켰다. 1894년 갑오개혁 당시 신식 화폐 발행 장정에 따라 은본위제가 도입되었고, 1901년(광무 5년)에는 화폐 조례에 의해 금본위제가 실시되면서 백동화는 점차 보조 화폐의 지위로 밀려났다.
청일 전쟁 이후 승기를 잡은 일본은 조선의 재정난 해결을 돕는다는 구실을 내세워 차관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조선의 세관 운영권을 장악했으며 차관 제공에 대한 독점권까지 확보했다. 일본은 세관 운영권을 자국의 제1은행에 넘기고 관세를 일본 화폐로 징수하도록 하여, 일본 상인들이 조선 상권을 더욱 쉽게 장악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일본 화폐가 조선 내에서 대량으로 유통됨에 따라, 조선의 화폐 가치는 급격하게 하락하며 경제적 종속이 심화되었다.
특히 1904년, 일본인 재정 고문으로 부임한 메가타 종태랑은 조선의 화폐 제도를 장악하기 위해 전환국을 폐지하고 악명 높은 화폐 정리 사업을 강행했다. 그는 화폐 가치가 불안정하다는 명분을 내세워 기존의 백동화를 갑·을·병 3등급으로 임의로 나누고, 을종은 갑종의 1/5 가치만 인정했으며, 병종은 아예 교환 대상에서 제외시켜 버렸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백동화를 병종으로 판정하여 교환을 거부함으로써 극심한 화폐 부족 사태를 인위적으로 조장했다. 이로 인해 조선의 상공업자와 농민들은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일본의 경제 침탈 의도를 노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 더욱이 화폐 정리 사업에 필요한 자금마저 일본으로부터의 차관으로 충당되었으며, 이 사업의 결과 일본 제1은행이 대한제국의 중앙 은행 역할을 사실상 대신하게 되면서 한국의 경제적 자립 기반은 크게 훼손되고 일본에 대한 경제적 예속은 더욱 심화되는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다.
3. 산업
조선의 가장 중요한 산업은 농업이었다.[37]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 즉 '농업이 세상의 근본'이라는 말처럼 농업은 국가 경제의 기반을 이루었다.[38] 공업은 조선 초기 국가가 주도하는 관영 수공업 체제에서 시작하여, 조선 후기로 가면서 점차 민간 수공업이 활발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13] 광업 역시 조선 후기에 이르러 민간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본격적인 탐사와 채굴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상업 활동은 기본적으로 중앙 정부의 통제 아래 시장이 운영되었으나, 지방에서는 오일장과 같이 정기적으로 열리는 장시(場市)가 점차 발달하였다. 이 외에도 국가 운영에 필수적인 토목과 건축 역시 중요한 산업 분야였다.
3. 1. 농업

조선은 농업을 국가적으로 중요하게 여겼다.[39] 그러나 근대적인 농업 기술이 발달하기 이전 시기에는 동서양 모두 비료 생산 부족 등으로 농업 생산량이 낮아 늘 기근의 위험이 있었다. 작물 생장에 필수적인 질소는 공기 중에 풍부하지만, 식물은 이를 직접 이용하지 못하고 토양 속 박테리아 등의 질소 고정 작용을 통해 흡수해야 한다. 화학 비료 생산 기술은 20세기에 들어서야 개발되었다.[40] 농사를 지으면 토양의 질소가 소모되어 땅의 생산력이 떨어지는데, 이를 "지력"(地力)이 쇠퇴했다고 표현했다. 지력을 회복하기 위해 오랫동안 휴한농법, 즉 경작지를 일정 기간 쉬게 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1~2년 동안 농사를 짓지 않으면 질소 고정 식물이 자라 토양에 질소를 보충해주었다. 밭을 깊게 가는 심경법(深耕法)이나 다른 곳의 흙을 옮겨와 섞는 객토(客土) 역시 지력 회복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었다.[41]
질소 공급과 더불어 농업 생산량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관개 시설이었다. 조선은 산지가 많고 육로 운송이 어려워 대규모 관개에 필요한 수레나 수차 같은 도구가 부족했다. 이로 인해 이웃한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농업 생산량이 낮은 편이었다.[42] 저수지와 관개 수로가 부족하여 많은 논밭이 자연 강우에 의존하는 천수답(天水畓) 형태로 운영되었다. 특히 가뭄이 들면 논의 피해가 컸다. 한반도는 벼를 심는 시기가 여름 장마철 이전에 이루어져 가뭄 피해에 취약했기 때문에, 조선은 오랫동안 모내기(이앙법)를 금지하다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야 널리 보급되었다.[43] 중국이나 일본에서 수차 도입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실용화되지 못하여 관개 규모 확대에는 한계가 있었다.
조선은 낮은 생산량과 관개 부족으로 인한 기근 우려를 곡물 비축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각 지방의 주요 지점에 조창을 설치하여 거둬들인 곡물을 보관하고, 환곡 제도를 통해 기근에 대비했다. 세종 시기에는 약 100만 석의 곡물을 비축했으며, 임진왜란 직후에는 비축량이 거의 바닥나기도 했으나 조선 후기에는 1,000만 석까지 늘어났다. 덕분에 1인당 곡물 생산량은 중국보다 적었지만, 비축량은 오히려 더 많았다.[44]
국가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농업 기술 개발과 보급에 힘썼다. 특히 세종 시기에는 다양한 농업 서적을 편찬하고 보급했으며,[45] 이후 농업 장려는 지방 수령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가 되었다.[46]
조선 전기에 여러 어려움을 겪었던 농업 생산량은 후기에 들어 여러 요인으로 개선되었다. 관개 시설이 늘어나면서 모내기가 일반화되었고, 이에 따라 벼가 가장 중요한 작물로 자리 잡았다.[47] 또한 고구마와 같은 구황작물이 도입되어, 주식인 쌀이 흉작일 경우에도 심각한 기근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었다.[48] 생산량 증가는 농촌에서 면화와 같은 환금작물을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49]
한편, 조선 초기부터 왕실 재정을 담당하던 내수사에는 장리소(長利所)가 설치되어 농민에게 연 50%의 높은 이자(장리는 연 5할의 이자를 의미)로 돈이나 곡식을 빌려주었다. 또한 빈민 구제를 목적으로 설립된 상평청에서는 정부미를 빌려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돌려받는 환곡 제도를 운영했으나, 이 역시 점차 고리대금업처럼 변질되어 삼정의 문란 중 하나로 지목되며 큰 사회 문제가 되었다.
3. 2. 광공업
조선 시대의 산업은 농업 중심이었으나, 공업과 광업 역시 국가 운영과 백성들의 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초기에는 국가가 장인과 광산을 직접 관리하는 방식이었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점차 민간 중심의 생산 활동이 활발해지는 변화를 겪었다.공업 분야에서는 초기에 국가에 소속된 공장들이 왕실과 관청에 필요한 물품을 제작했지만, 점차 민간 수공업자들이 생활용품, 농기구 등 다양한 물품을 생산하며 그 역할이 커졌다. 특히 대동법 시행은 민간 수공업 발달을 촉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56]
광업 분야 역시 초기에는 국가의 엄격한 통제 아래 철 생산 등이 이루어졌으나, 전쟁 이후 광물 수요가 증가하고 경제 구조가 변화하면서 민간의 광산 개발이 점차 허용되었다. 18세기에 이르러 민간 광업이 활기를 띠었으며,[67] 19세기에는 덕대와 같은 전문 경영인이 등장하기도 하였다.[67] 이러한 변화 속에서 조선의 공업과 광업은 국가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며 발전해 나갔다.
3. 2. 1. 공업
조선 시대의 공업은 초기에는 국가 주도로 관리되었다. 전문 수공업 종사자인 공장(工匠)은 국가에 등록되어 활동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이는 고려 시대부터 이어진 제도였다. 공장은 중앙 정부 소속의 경공장과 지방 관청 소속의 외공장으로 나뉘어 관리되었고, 이들의 명단인 《공장안》은 공조와 각 관청, 그리고 각 도와 읍에 보관되었다. 《경국대전》에는 130여 종의 공업을 담당하는 2,795명의 경공장이 30여 개의 관청에 소속되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사기, 옹기 같은 도자기류, 활과 화살 등의 무기류, 쇠를 다루는 야철(冶鐵), 삼베와 비단 같은 직물류를 생산했다. 한편 외공장은 3,764명으로, 종이를 만드는 지장(紙匠)이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쇠를 다루는 야장(冶匠), 돗자리를 만드는 석장(席匠) 등이 있었다.[13] 경공장은 대부분 궁궐 근처에 작업장을 두었으며, 현재 북촌 한옥마을 인근에는 경공장의 후예가 운영하는 공방 26곳이 남아있다.[50]
국가가 주도하는 관영 수공업은 주로 국가 운영에 필요한 물품 조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에, 일반 백성들이 필요로 하는 물품은 별도의 민간 수공업을 통해 제작되었다. 대부분의 생활 소품은 직접 만들거나 부업으로 제작된 것을 구매했지만, 놋그릇, 농기구, 갓, 장도(粧刀)와 같이 전문 기술이 필요한 물품은 전업 민간 장인이 담당했다.[51] 관영 수공업은 지방 행정 기관의 중요한 수입원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 시절 통영에서 공방을 운영하여 재정을 확충했고, 이 공방들은 전쟁 이후에도 계속 운영되어 통영을 수공업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특히 통영의 나전칠기는 오늘날까지도 대표적인 명물로 남아있다.[52] 다른 관청들도 외공장을 두어 필요한 물품을 만들고 남는 것을 판매하여 재정을 확보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조선 전기의 관영 수공업 체계는 약화되었고, 대신 민간 수공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17세기에 이르면 대부분의 공산품이 민간 수공업을 통해 생산되었다.[53] 《공장안》에 등록된 장인들도 점차 임금을 받고 일하는 노동자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숙종 33년(1707년)의 《비변사등록》 기록에 따르면, 옹기를 만드는 사옹원 소속 장인들은 이전에는 의무적으로 번을 서며 무상으로 옹기를 제작했으나, 군역과 같은 무상 노동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점차 번을 서는 대신 일정한 대가를 받고 물품만 납부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54] 정조 시기에 편찬된 《대전통편》에는 경공장을 두고 물품을 제작하는 중앙 관청의 수가 전기 30개에서 15개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다.[55] 대동법 시행 이후 현물로 받던 공물을 쌀로 대체하면서, 필요한 물품은 공인(貢人)들이 시장에서 구매하여 납부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인들이 자금과 생산 도구를 제공하고 장인이 임금을 받고 일하는 방식의 민간 수공업이 더욱 발달하게 되었다.[56] 조선 시대 말기에는 관청 소속의 공장 제도가 무너지면서 장인들이 독립적인 자유 생산자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러한 변화가 상품 생산 확대로 뚜렷하게 이어졌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조선 사회는 장인을 천시하는 경향이 있어 이들이 사회적으로 생산을 주도하기 어려웠고, 주로 주문에 따라 제작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일부 업종은 천민의 생계 수단으로 여겨졌는데, 가축을 도살하는 도축업이나 버드나무 가지 등으로 생활용품을 만드는 고리백정 등이 대표적이다.[57] 이러한 천민에 대한 차별은 조선 시대를 넘어 일제강점기까지 이어져, 천민 차별 철폐를 주장하는 형평사 운동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58] 유형원은 《반계수록》에서 과도한 세금 부담과 생산품 품질 관리의 부실함을 비판하며 당시 수공업의 문제점을 지적했다.[59] 조선 시대 수공업이 지속적으로 침체된 상태를 벗어나기 어려웠던 이유로는 화폐 경제의 미발달로 상품 유통을 전제로 한 생산 활동이 부진했고, 상공업을 천시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이 꼽힌다. 전반적으로 조선 시대의 공업 발달은 제한적이었으며, 공업은 농업과 명확히 분업되지 않았고 많은 경우 농촌에서 자급자족을 목적으로 한 가내 수공업 형태로 이루어졌다.
조선 시대 수공업의 지역별 명산품 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각 지역의 전통 공예로 이어지고 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한산모시[60]나 전주시의 부채[61] 등이 그 예이다.
3. 2. 2. 광업

광업은 선사시대부터 한반도의 주요 산업 중 하나였으며, 조선 역시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국가가 광산을 직접 관리하고 개인이 함부로 채광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였다. 조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주요 광물로는 금, 은, 철, 구리, 아연 등이 있었으며, 비금속 광물인 고령토는 자기 제작의 핵심 원료로서 중요한 자원으로 취급되었다.[62]
조선 초기, 철 생산은 고려 시대처럼 철광 인근에 설치된 철장에서 관리되었다. 그러나 철광석 채굴과 제련된 철을 현물로 바치게 하는 공납 제도가 백성들에게 큰 부담이 되자, 국가가 직접 철 생산을 관리하는 철장도회제를 실시하였다.[63] 이 제도는 각 도의 관찰사가 감야관을 임명하여 철 생산을 감독하게 했으나, 임명된 감야관이 개인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아 비판받기도 했다.[64] 당시 각 도에 설치된 철장도회는 총 27곳이었는데, 양질의 철광석보다는 주로 강가 모래에서 철 성분을 걸러내는 사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65] 한편, 조선 초에는 명나라에 매년 금 150냥과 은 700냥을 조공으로 바쳐야 했으나, 세종 대에 이르러 이러한 금, 은 조공을 중단하고 대신 고려 인삼과 같은 다른 물품을 바치게 되면서 조선 조정은 금과 은의 채굴을 더욱 엄격하게 통제하였다. 금, 은뿐만 아니라 철, 구리 등 다른 금속 역시 채굴하면 조정에 의무적으로 바치도록 하였다.
임진왜란과 같은 큰 전쟁을 겪은 후, 무기 제조 등에 필요한 광물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가가 관리하는 광산만으로는 필요량을 충당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조선 조정은 점차 민간의 광산 개발을 허가하기 시작했다. 민간이 운영하는 사유 광산은 '점(店)'이라고 불렸으며, 금을 캐는 곳은 금점, 은을 캐는 곳은 은점 등으로 불렸다. 조정은 이들 사유 광산에서 채굴한 광물에 대해 일정량의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재정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철 생산 책임은 훈련도감과 같은 군영으로 넘어가고, 철 채취에 동원되는 인력(취역군) 역시 군영의 관할 아래 놓이게 되었다.[66]
조선 후기, 대동법 시행 이후에는 철과 같은 광물도 공인들이 대신 납부하는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군영의 직접적인 철 생산은 점차 줄어들었다. 18세기에 이르러서는 호조의 별장이 공인으로부터 광물을 납품받는 호조별장제가 도입되었다.[65] 호조별장제 아래에서 공인들은 적극적으로 각지의 광산을 개발하였고, 민간 광업이 크게 활성화되었다. 이들이 광산을 개발하여 관청에 신고하면 채굴량에 따라 세금을 거두는 설점수세제가 운영되었다.[67] 특히 정조 22년(1798년)에는 그동안 엄격히 금지되었던 금광과 은광의 민간 개발이 허용되면서[68] 광산 개발은 더욱 활기를 띠게 되었다. 당시 채광 중이던 금광은 3곳에 불과했으나, 점차 개발이 늘어나 고종 시기에는 수십 곳의 사금 채취장이 운영될 정도였다.[69]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덕대라고 불리는 전문적인 민간 광산 경영인이 등장하여 광산 개발을 주도하였다. 덕대는 자본을 대는 물주를 찾아 그의 이름으로 관청에 광산 개발 허가(설점)를 신고하고, 실제 광산의 개발과 운영은 덕대가 책임지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이들은 주로 농촌 등지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사람들을 고용하여 광산 작업에 투입했는데, 당시 광산 노동자들의 노동 조건은 매우 열악했고 각종 붕괴나 질식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농촌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많은 농민들이 생계를 위해 광산으로 몰려들었고, 이들은 때때로 광산을 둘러싼 이권 다툼에 휘말리거나 민란에 가담하면서 사회적인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67]
3. 3. 토목과 건축
조선 시대에 토목은 국가의 중요한 사업이었다. 군사적으로는 각종 성곽의 축성과 보수가 중요했고, 서울을 비롯한 주요 행정 중심지는 계획에 따라 정비되었다. 생산과 관련해서는 관개를 위한 저수지와 수로 건설이 주요 토목 사업이었으며, 각 지역을 잇는 도로 역시 중요하게 여겨졌다. 조선은 주요 도로에 역참을 설치하여 중앙과 지방 간의 연락을 원활히 했고, 이를 위해 도로 정비와 교량 건설이 필요했다.[70]이러한 각종 토목 공사는 주로 백성들의 요역(徭役)을 통해 이루어졌다. 무상으로 노동력을 제공해야 하는 요역은 백성들에게 큰 부담이었으며, 늘 원망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사서 대신 보내거나(대립), 삼베 등을 바치는 방식(포납)으로 요역을 피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가난한 하층민들이 요역의 부담을 전적으로 떠안게 되는 불합리한 구조가 형성되었고, 이러한 문제는 조선 말까지 해결되지 못했다.[71] 정조 시기 수원 화성을 축성할 때는 임금이 지급되기도 했지만[72], 이는 예외적인 경우였고 이후 국가 주도의 토목 및 건축 사업에서 정식적인 제도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건축은 구조물에 대한 고도의 지식을 요구하는 전문 기술 분야였기 때문에 전문적인 목수가 담당했다. 특히 대목장은 궁궐 건축에서부터 각종 관청, 사원, 그리고 유력자들의 사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건축 사업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73]
4. 상업
조선 시대의 상업은 국가의 엄격한 통제 아래 놓여 있었다. 국가는 필요한 물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시전 상인이나 대동법 시행 이후 등장한 공인 등에게 특정 품목에 대한 독점 판매권을 부여하였다. 이들은 주로 지배층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어용상인의 성격을 띠었으며, 보장된 독점권을 통해 부를 축적하기도 했으나, 국가 역시 관청을 통해 직접 물품을 판매했기 때문에 이들의 독점권은 제한적이었다.[78]
상업 활동은 취급 품목에 따라 구분되었다. 궁방이나 관아는 수공업 공예품과 같이 독점적인 품목을 취급했으며[52], 대표적인 시전인 육의전은 시대에 따라 변동은 있었지만 주로 비단, 면포, 삼베 등 직물과 종이, 어물 등을 독점적으로 판매했다.[74] 이 외의 생필품과 도구는 서울의 경우 품목별 전문 시장에서 거래되었는데, 예를 들어 노리개나 비녀 등은 도자전에서, 빗이나 허리띠는 상전에서, 갓끈과 주머니는 진사전에서 판매되었다.[75] 잡다한 물품은 길거리 좌판인 난전이나 방문 판매 상인에게서 구매했다. 화장품은 매분구를 통해[76], 서적은 책장수를 통해[77] 주로 구매하는 방식이었다.
상업 종사자는 사농공상의 신분 질서 속에서 천시받는 경향이 강했다. 조선 건국의 주축인 신진사대부는 지방 토지를 기반으로 한 지주였기에 농업을 중시하고 상업 발달을 경계했다. 이는 대외 무역으로 부를 쌓은 고려의 왕건과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80] 상인들은 신분이 세습되었고 과거 응시 자격이 제한되었으며, 관직에 나아가더라도 문무 양반과 달리 잡직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품계가 주어지지 않는 등[79] 차별을 받았다. 국가의 통제는 조세 수취 목적도 있었는데, 공상세(工商稅)를 부과했으며 특히 돌아다니며 물건을 파는 행상에게는 더 많은 세금을 걷어 상업 활동을 억제하고자 했다.[81][80]
이러한 국가의 억제책에도 불구하고 실제 생활에 필요한 물품 교환은 막을 수 없어 난전이 성행했다. 국가는 시전 상인에게 금난전권을 부여하여 난전을 단속하려 했으나, 도시 주민들의 생활은 난전 없이는 유지되기 어려웠다.[82] 조선 후기 정조 대에 이르면 난전이 시전을 압도할 정도로 성장했으며[83], 특히 현재의 종로4가 부근인 이현과 서소문 밖 칠패는 난전에서 출발하여 대표적인 신흥 상권으로 자리 잡았다.[84]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정조는 1791년 신해통공을 단행하여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14]
지방에서는 정기 시장인 장시를 통해 상업 활동이 이루어졌다. 장시는 15세기 후반 전라도에서 시작되어 17세기에 이르면 전국 읍 단위로 확산되었으며[85], 보통 5일마다 열리는 오일장 형태로 자리 잡아 오늘날 전통시장의 기원이 되었다. 각 장시는 날짜를 달리하여 열렸는데, 이는 보부상들이 여러 지역을 순회하며 장사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86] 순조 때의 기록인 《만기요람》에 따르면 당시 전국의 장시는 1,061곳에 달했다.[87] 장시에서는 주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물품을 교환했지만, 보부상과 같은 행상인들의 역할도 중요했다. 이들은 각 지역의 특산물 외 상품들을 지게 등으로 운반하며 판매했고, 중세 유럽의 길드와 유사한 동업 조합을 이루기도 했다.
상설 점포인 '''전'''(廛)도 존재했으나, 대표적인 육의전은 주로 정부 물품 조달에 집중하여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점두 판매는 활발하지 않았다. 필방이나 놋그릇 가게 등 양반들이 주로 이용하는 일부 상점만이 문을 열고 영업하는 정도였다. 조선 후기 상품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상인과 여행객을 위한 객주(客主)나 여각(旅閣) 같은 시설도 등장했는데, 이들은 숙박뿐만 아니라 상품의 매매, 보관, 운송, 전당포와 같은 금융업까지 겸하였다.[93] 전반적으로 조선의 상업은 일상 필수품 교환 중심이었고, 광범위한 화폐 경제의 발달은 제한적이었다.
4. 1. 무역
조선은 원칙적으로 사신 파견과 연계된 공무역만을 인정하였으며, 그 외의 사적인 밀무역은 금지하였다. 공무역은 조선의 특산물을 조공으로 바치고 그에 대한 답례품을 받아오는 조공무역과, 사신 행렬을 따라가 할당된 무역품을 교환하는 사행무역으로 구분되었다.[88] 이러한 무역 환경에서는 통역을 담당하는 역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으며, 실제로 조선 시대의 큰 부자 중에는 역관 출신이 많았다.[89]명·청에 대해서는 조공 형식을 통한 공무역과 사신 일행이 수행하는 사행무역이 이루어졌다. 이웃한 여진, 일본 등과는 교린 외교의 틀 안에서 무역이 이루어졌는데, 이들 국가가 조선에 진상품을 바치는 형식의 공무역과 함께, 국경 지역에 공식적으로 허용된 시장인 '''개시'''(開市)를 통해 민간 무역도 행해졌다.
일본과는 왜관을 설치하여 일본의 외교관과 상인들이 상주하며 교역할 수 있도록 하였다.[90] 일본과의 무역은 임진왜란으로 인해 한때 중단되기도 하였으나, 화폐 주조에 필요한 왜동(倭銅) 수입과 같이 필수적인 물품 교역의 필요성 때문에 전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재개되었다.[91] 남쪽의 왜관과 더불어 북쪽 국경 지역인 중강, 북관 등에서도 여진족과의 개시가 이루어졌다.
또한, 당시 독립 왕국이었던 류큐 왕국(현재의 오키나와)과도 교역 관계를 맺었다. 이는 류큐가 조선에 조공하는 형식을 취했으며, 조선은 류큐로부터 설탕이나 물소의 뿔과 같은 물품을 수입하였다.[92]
5. 개화기 경제
전근대적인 사회·경제적 질서 속에서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고 자본주의 각국에 문호를 개방하게 되자, 조선은 곧바로 그들의 상품 시장 및 원료 공급지로 전락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봉건적인 경제 체제는 붕괴되었고, 사회에 큰 혼란이 일어나 점차 식민지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참조
[1]
뉴스
増殖する韓国の「自尊史観」
http://www.sankei.co[...]
2008-12-17
[2]
뉴스
アジア研究委員会 韓国「正しい歴史認識」の虚構と戦略--日韓歴史教科書問題
アジア調査会
2009-04
[3]
뉴스
李朝=インカ帝国説
産業経済新聞社
2009-07
[4]
서적
韓国「反日主義」の起源
草思社
2019-02-27
[5]
뉴스
松本厚治 著『韓国「反日主義」の起源』
http://harc.tokyo/wp[...]
モラロジー研究所歴史研究室
2019
[6]
서적
朝鮮における司法制度近代化の足跡
友邦文庫
1966-01-01
[7]
서적
台湾 朝鮮 満州
扶桑社
2003-10-31
[8]
뉴스
評論家・屋山太郎 韓国よ、「歴史の真実」に目覚めよ
https://www.sankei.c[...]
2013-07-17
[9]
서적
조선시대사 1 - 국가와 세계
푸른역사
2015
[10]
웹사이트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http://contents.hist[...]
[11]
논문
조선후기 조직의 賻儀와 경제적 성격
https://s-space.snu.[...]
2009
[12]
웹사이트
토지 소유 관계의 변화
http://contents.hist[...]
[13]
웹사이트
공장
https://encykorea.ak[...]
[14]
웹사이트
신해통공
http://contents.hist[...]
[15]
웹사이트
최상층 중인 역관과 의관
http://contents.hist[...]
[16]
논문
경상(京商)과 송상(松商)의 상거래 유통망에 관한 비교 연구
https://preview.kstu[...]
2010
[17]
논문
조선후기 祿俸制 연구
https://www.kci.go.k[...]
2015
[18]
웹사이트
금속화폐 시행론
http://contents.hist[...]
[19]
웹사이트
면포
http://contents.hist[...]
[20]
논문
조선 초기 화폐 유통의 과정과 그 성격 - 저화 유통을 중심으로 -
https://www.kci.go.k[...]
2009
[21]
웹사이트
우리나라의 화폐 - 조선
https://www.bok.or.k[...]
[22]
웹사이트
저화(楮貨)
http://dh.aks.ac.kr/[...]
[23]
웹사이트
조선 전기 지폐·주화 통용책의 좌절
http://contents.hist[...]
[24]
웹사이트
박서생이 시행할 만할 일들을 갖추어 아뢰다
https://sillok.histo[...]
1429-12-03
[25]
웹사이트
조선통보
https://encykorea.ak[...]
[26]
뉴스
조선시대 동철 생산 중심지 창원
https://www.knnews.c[...]
2013-06-17
[27]
웹사이트
왜동(倭銅)
http://dh.aks.ac.kr/[...]
[28]
논문
조선 후기 鑄錢정책과 財政활용
https://s-space.snu.[...]
서울대학교
2014
[29]
웹사이트
거제에서 구리가 산출되다
https://sillok.histo[...]
1668-01-19
[30]
논문
거제 장안 동광상의 광물, 유체포유물 및 동위원소 연구
https://text.cnu.ac.[...]
충남대학교
2000
[31]
뉴스
거제 구리광산을 손에 넣어라!
http://www.gjnewspla[...]
2015-02-21
[32]
뉴스
포커스-동아광산 광미 처리
http://www.saegeoje.[...]
2006-08-19
[33]
웹사이트
동전의 보급
http://contents.hist[...]
[34]
웹사이트
전황
https://encykorea.ak[...]
[35]
웹사이트
숙종대의 동전 유통과 폐단
http://contents.hist[...]
[36]
백과사전
상평통보
https://encykorea.ak[...]
[37]
웹사이트
조선 왕조의 농정책 수행
http://contents.hist[...]
한국문화사
[38]
뉴스
농자천하지대본의 뜻을 다시 새긴다
https://www.ikpnews.[...]
한국농정신문
2019-10-20
[39]
웹인용
향교 건립의 목적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2020-03-04
[40]
뉴스
식량난 ‘해결사’ 질소고정 방법
https://www.sisajour[...]
시사저널
1994-05-05
[41]
백과사전
휴한농법
https://encykorea.ak[...]
[42]
뉴스
한일 격차 600년, (4) 낮은 농업생산성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18-09-27
[43]
웹사이트
이앙법의 보급
http://contents.hist[...]
신편한국사
[44]
웹사이트
조선왕조는 세계 최대 곡물저장 국가
https://sgsg.hankyun[...]
생글생글
2014-07-11
[45]
웹사이트
조선 왕조의 농정책 수행
http://contents.hist[...]
한국문화사
[46]
웹사이트
권농의 실무를 맡은 수령
http://contents.hist[...]
한국문화사
[47]
웹사이트
새로운 전통의 탄생
http://contents.hist[...]
한국문화사
[48]
간행물
문틈으로 본 조선의 농업과 사회
https://repository.k[...]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9]
논문
해방이후 우리나라 면작농업의 지역적 소멸과정
https://www.kgeograp[...]
1994
[50]
웹사이트
국가가 관리한 조선의 수공업
https://science.ytn.[...]
YTN사이언스
2015-04-01
[51]
웹사이트
공업
https://www.yd.go.kr[...]
영덕군
[52]
뉴스
기획취재① 통영 공예 400년
https://www.tynewspa[...]
통영신문
2021-10-28
[53]
웹사이트
산업의 발달
http://contents.hist[...]
제6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하)
[54]
웹사이트
장인의 임노동자화
http://contents.hist[...]
사료로 본 한국사
[55]
웹사이트
공장의 경제적 성장
http://contents.hist[...]
신편한국사
[56]
백과사전
공인
https://encykorea.ak[...]
[57]
웹사이트
천민 취급을 받았던 재인과 백정
http://contents.hist[...]
주제로 본 한국사
[58]
웹사이트
형평사운동
http://www.grandcult[...]
디지털예산문화대
[59]
웹사이트
민영 수공업의 발달
http://contents.hist[...]
사료로 본 한국사
[60]
웹인용
한산모시축제 소개
https://hansanmosi.k[...]
2023-10-18
[61]
웹사이트
부채의 고장, 전주
https://ncms.ncultur[...]
지식N문화
[62]
뉴스
우리나라 광업의 역사…고대 철 생산에서 출발
http://www.atlasnews[...]
아틀라스뉴스
2019-03-12
[63]
웹사이트
철장도회제의 성립
http://contents.hist[...]
신편한국사
[64]
백과사전
감야관
https://encykorea.ak[...]
[65]
웹사이트
철장
http://dh.aks.ac.kr/[...]
실록위키
[66]
논문
조선시대의 철 생산체제
https://www.kci.go.k[...]
2021
[67]
웹사이트
덕대
http://contents.hist[...]
교과서 용어해설
[68]
웹사이트
광업의 활성화
http://contents.hist[...]
사료로 본 한국사
[69]
웹사이트
광업부문
http://contents.hist[...]
신편한국사
[70]
백과사전
토목
https://encykorea.ak[...]
[71]
백과사전
요역
https://encykorea.ak[...]
[72]
웹사이트
철저한 임금지급
https://www.swcf.or.[...]
[73]
웹사이트
대목장 고택영
https://www.chf.or.k[...]
[74]
웹사이트
육의전
http://contents.hist[...]
[75]
웹사이트
조선시대 한양에서는 물건을 어디서 사고 팔았을까요?
https://museum.seoul[...]
[76]
뉴스
중국산 연분서 박가분까지… 방문판매 원조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7-10-23
[77]
뉴스
책장수 조생 따라 조선팔도 책문화 기행
https://www.hani.co.[...]
한겨레
2013-01-04
[78]
백과사전
상인
https://encykorea.ak[...]
[79]
논문
조선초기 工商의 身分
https://s-space.snu.[...]
[80]
웹사이트
조선 왕조의 상업관
http://contents.hist[...]
한국문화사, 우리역사넷
[81]
백과사전
공상세
https://encykorea.ak[...]
[82]
웹사이트
난전
http://contents.hist[...]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
[83]
웹사이트
난전의 성행
http://contents.hist[...]
사료로 본 한국사, 우리역사넷
[84]
웹사이트
칠패
http://contents.hist[...]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
[85]
웹사이트
장시의 형성과 확산
http://contents.hist[...]
신편한국사, 우리역사넷
[86]
웹사이트
오일장
https://www.kculture[...]
[87]
백과사전
정기시장
https://encykorea.ak[...]
[88]
위키
공무역
http://dh.aks.ac.kr/[...]
[89]
뉴스
조선의 역관, 이들에게 외국어는 무기이자 돈이었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1-07-16
[90]
위키
왜관
http://dh.aks.ac.kr/[...]
[91]
웹사이트
왜관
http://contents.hist[...]
교과서 용어해설, 우리역사넷
[92]
뉴스
오키나와 역사①…중국·조선과 교류한 독립왕국
http://www.atlasnews[...]
아틀라스뉴스
2021-08-27
[93]
웹사이트
객주의 기원
http://contents.hist[...]
신편한국사, 우리역사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