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한국 음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은 밥과 함께 먹는 한국의 대표적인 국물 요리이다. 맑은 장국, 곰국, 토장국, 냉국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맛과 영양이 다르다. 맑은 장국은 간장이나 된장으로 간을 한 맑은 국으로, 곰국은 소의 여러 부위를 장시간 끓여 진한 국물을 낸다. 토장국은 된장을 풀어 끓인 국이며, 냉국은 차갑게 먹는 국으로 여름철에 즐겨 먹는다. 국은 계절에 따라 제철 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한국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국밥은 국에서 파생된 음식으로, 콩나물국밥, 굴국밥, 따로국밥 등이 있다. 탕은 국의 존칭으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국보다 농도가 진하고 단품 요리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국 - 추어탕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삶아 뼈를 제거하고 고추장, 된장, 채소를 넣어 끓인 한국의 전통 음식이며, 지역에 따라 조리법과 부재료에 차이가 있다. - 한국의 국 - 대구탕
대구탕은 대구를 주재료로 하여 끓인 탕으로, 경상도의 대표적인 음식이며 부산광역시 가덕도의 대구탕이 유명하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국 (한국 음식) - [음식]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이름 | 국 |
다른 이름 | 탕 |
종류 | 국 |
한국어 이름 | |
한글 | 국, 탕 |
한자 | -, 湯 |
로마자 표기 | guk, tang |
한국어 IPA | kuk̚, tʰaŋ |
요리 정보 | |
국가 | 한국 |
종류 | 국 |
2. 역사
밥에 '''국'''(국물)을 곁들여 먹는 한반도의 식습관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상당히 오래된 습관으로 여겨진다.[52] 국의 조리법은 간단하여, 고기, 생선, 채소 등 모든 식재료에 물을 넉넉하게 붓고 간을 하여 끓이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소량의 식재료로 최대한의 영양분을 추출하며,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식사하기에 적합한 요리이기 때문이다.[52]
국은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만들 수 있으며, 조리법 또한 다양하다. 식재료에 따라 조리법의 세부 사항은 다르다.[52] 계절에 따라 제철 식재료를 사용하여 맛, 색, 영양을 고려한 균형 잡힌 요리를 만들 수 있다.[52] 여름에는 차가운 냉국, 가을에는 버섯과 뿌리채소를 넣은 맑은 국, 겨울과 봄에는 된장국을 즐겨 먹는다.[59]
국은 크게 맑은 장국, 곰국, 토장국, 냉국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특징
4. 종류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국들이 있다.
종류 | 설명 |
---|---|
미역국 | 소의 양지나 사태 등을 푹 끓여서 만든 국에, 미역을 넣고 간장으로 간을 한 것이다.[60] |
해장국 | 숙취를 해소하는 국의 총칭으로, 술국이라고도 불린다. 재료와 조리법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62] |
개장국 | 개의 고기를 끓여서 만드는 국으로, 보신탕이라고도 불린다. 예로부터 복날에 먹는 귀한 음식이었다.[57] |
재첩국 | 재첩을 주재료로 하는 국으로, 경상도 지방의 향토 음식이다.[58] |
4. 1. 맑은 장국
맑은 장국은 간장이나 된장으로 간을 한 맑은 국으로, 고기, 생선, 채소, 해산물 등을 주재료로 한다.[55] 쇠고기로는 양지로 국물을 내는 것이 가장 맛있다고 한다.
- 떡국 : 떡 수프[8]
- 미역국 : 미역 수프[9]
- 콩나물국 : 콩나물로 만듦[10]
- 뭇국 : 무로 만듦[11]
- 감자국 : 감자로 만듦[12]
- 토란국 : 토란으로 만듦[13]
- 북엇국 : 말린 명태로 만듦[14]
- 복어국 : 복어로 만듦[15]
- 조개국 : 조개로 만듦[16]
- 재첩국 : 경상도 강에서 채취한 재첩(작은 조개, ''Corbicula fluminea'')으로 만든 수프[17]
4. 2. 곰국
곰국은 쇠고기의 여러 부위나 뼈를 장시간 끓여 만든 국이다. 곰국의 국물은 우유빛깔을 띠며 진하고 든든한 맛이 특징이다.[18] 닭고기나 돼지 뼈로 만들면 삼계탕이나 감자탕이 된다.- '''곰국/곰탕''' (곰국/곰탕|gomguk, gomtang한국어):[18] 쇠갈비, 꼬리, 양지, 머리 등 다양한 소 부위를 오랫동안 끓여서 만든다.[56] 오랫동안 끓여 영양분이 국물에 녹아들면 국물이 탁해지고, 우유와 같은 백탁색으로 풍부한 맛이 난다.[56]
- * ''사골곰탕'' (사골곰탕): 소꼬리나 양지머리를 고명으로 얹은 뽀얀 국물[19][20]
- * ''꼬리곰탕'' (꼬리곰탕): 소 꼬리로 만든 국[21]
- '''도가니탕''' (도가니탕|doganitang한국어): 소의 연골과 뼈로 만든 국[25]
4. 3. 토장국
된장을 풀어 끓인 국으로, 구수하고 깊은 맛이 특징이다. 쌀뜨물을 기본 국물로 사용한다.[29] 사계절 내내 먹는 국이며, 1930년대 한국 요리책에서 처음 등장했다.[29]- 시금치토장국: 시금치로 만든다.[30]
- 아욱토장국: 아욱으로 만든다.[31]
- 냉이토장국: 냉이로 만든다.[32]
- 우거지국: 말린 배추 우거지로 만든다.[33]
- 다슬기국: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로 만든다.[34]

4. 4. 냉국
냉국은 여름에 주로 먹는 차가운 국을 말하며, 순우리말로는 '찬국'이라고도 한다.[35] 냉국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기록은 고려 시대(918–1392)의 고위 관리 이규보 (1168–1241)가 쓴 시에 나타난다. 이규보는 시에서 냉국을 '숭갱'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순채''(Brasenia schreberi)로 만든 국인 '순채국'을 의미하며, 맑고 담백한 맛을 칭찬했다.[36][37]냉국은 일반적으로 맛과 재료에 따라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한 종류는 차가운 물과 식초를 섞어 새콤한 맛을 내는데, 미역냉국(미역으로 만든 국), 오이냉국(오이로 만든 국), 파 냉국(파로 만든 국), 나물 냉국(마늘로 만든 국), 김 냉국(김으로 만든 국) 등이 있다. 다른 종류는 건강을 보충하기 위해 만들어지며, 깻국(닭고기와 간 참깨로 만든 국), 냉콩국(간 콩으로 만들었으며, 콩국수에 사용될 수 있는 국)과 같이 풍부한 맛을 낸다.[36][37]
4. 5. 기타 국/탕 종류
- 갈비탕
- 계란탕
- 곰국
- 곰치국
- 곰탕
- 꼬리곰탕
- 김칫국
- 다슬기국
- 닭볶음탕
- 대구탕
- 된장국
- 떡국
- 만두국
- 매생이국
- 매운탕
- 몸국
- 물곰탕
- 뭇국
- 미역국
- 미역냉국
- 백숙
- 보신탕
- 북어국
- 삼계탕
- 설렁탕
- 섭국
- 수제비
- 순대국
- 어탕
- 오이냉국
- 옹심이
- 육개장
- 장국
- 재첩국
- 초두부탕
- 추어탕
- 콩국
- 해물탕
- 해장국
- 황태국
- 효종갱

쇠고기
- '''곰국/곰탕''': 소꼬리나 양지머리를 고명으로 얹은 뽀얀 국물.[18][19][20]
- ''사골곰탕''
- ''꼬리곰탕'': 소 꼬리 수프[21]
- '''설렁탕''': 10시간 이상 끓여 국물이 뽀얗게 된 소 다리 뼈 국물.[22] 보통 ''소면''과 소고기 덩어리가 담겨서 제공된다. 얇게 썬 파와 후추가 양념으로 사용된다.
- '''갈비탕''': 갈비 또는 쇠갈비로 만든 국.[23]
- '''육개장''': 고춧가루, 간장, 숙주나물로 맛을 낸 쇠고기 국.[24]
- ''도가니탕'': 소의 연골과 뼈로 만든 국.[25]
닭고기 및 돼지고기
- '''삼계탕''': 인삼, 황기, 찹쌀, 대추, 마늘, 밤을 넣고 속을 채운 닭으로 만든 수프. 전통적으로 여름에 먹는다.[26]
- '''감자탕''': 돼지 등뼈, 채소(특히 감자), 고추로 만든 매운 국. 척추뼈는 보통 분리되어 있으며, 늦은 밤 간식으로 제공되지만 점심이나 저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27]
- '''돼지국밥''': 해안 경상도 지역의 대표적인 돼지 부속 부위와 밥을 넣어 만든 든든한 국밥.[28]
- '''매운탕''': 시원하고 맵고 얼큰한 생선탕.
- '''해장국''': 돼지 뼈, 우거지(말린 배추), 응고된 소의 피(순대와 유사)와 채소를 진한 소고기 육수에 넣고 끓인 술국.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이 국을 발명한 식당이 당시 오전 4시에 통행금지가 해제될 때 종로구에서 유일하게 문을 연 곳이었다는 전설이 있다.
- 해물탕: 다양한 해산물로 만든 국.
- 해물잡탕: 해산물과 소 곱창으로 만들었으며, 한때 한국 궁중 요리의 일부였다.
- '''알탕''': 명란젓, 소금에 절여 고추 양념을 한 명태알 또는 생알로 만들 수 있다.
- 추어탕: 미꾸리를 넣어 끓인 국.
- 용봉탕: 닭고기, 잉어, 자라로 만든 국.
- '''만두국''': 만두국.
- 완자탕: '''완자''' (고기 완자 모양의 전)로 만든 국.
- 계란탕: 계란으로 만든 국.
- 쑥국: 쑥 (''사철쑥'')으로 만든 국.
- '''순댓국''': 순대 (또는 돼지 피 순대)로 만들며, 때로는 곱창, 간, 폐, 연골 조각 및 고기 조각을 포함한다.
- 맑은 장국: "조미료(장)로 간을 한 맑은 국"이라는 뜻으로, 고기, 생선, 채소, 해산물 등을 재료로 한다. 쇠고기로는 브리스킷(양지)으로 국물을 내는 것이 가장 맛있다고 한다.[55]
- 된장국: 된장으로 간을 한 국. 봄에는 산채를 사용한 쌉쌀한 된장국을,[52] 겨울에는 묵은 나물이나 시금치나 푸성귀의 겉잎을 넣은 된장국을 먹는 경우가 많다.[59]
- 냉국: 국을 차갑게 식힌 차가운 국으로, 여름의 무더운 시기에 주로 먹는다.[52] 대표적인 냉국으로는, 미역을 넣는 미역국, 오이를 넣는 오이냉국, 닭을 끓여 국물을 낸 국에 참깨를 넣는 깨국이 있다.[52] 담백한 간으로, 몸에 쌓인 열을 내리고 갈증을 해소하는 종류의 국이 적합하다.
- 곰국: 갈비, 꼬리, 양지, 머리, 뼈 등 소의 다양한 부위를 오랫동안 끓여서 만든다.[56] 오랫동안 끓여 영양분이 국물에 녹아들면 국물이 탁해지고, 우유와 같은 백탁색으로 풍부한 맛이 나며, 그 위에 뜨는 기름을 제거한 후, 소금으로 간을 하고, 잘게 썬 파와 후추로 간을 맞춘다.[56] 지방에 따라 사용하는 쇠고기 부위가 다르거나, 간장으로 간을 하는 경우도 있다.[56]
- 미역국: 소의 양지나 사태 등을 푹 끓여서 만든 국에, 미역을 넣고 간장으로 간을 한 것이다.[60]
- 해장국: "숙취를 해소하는 국"의 총칭으로, "술국"이라고도 불린다. 같은 의미를 가진 "성주탕(성주탕)"이 조선 시대 1600년대의 문헌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그 기원은 오래된 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것은 불분명하다.[62] 재료와 조리법은 지역 차가 크지만, 해장국 가게는 이른 아침부터 문을 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술을 과하게 마신 밤뿐만 아니라, 밤샘 후 아침에 먹는 사람도 많다.[62]
- 개장국: 개의 고기를 끓여서 만드는 국의 일종으로, "개장"이라고도 한다.[57] 고기는 푹 삶아 국물을 만든 후, 먹기 직전에 고기만 따로 떼어내 양념으로 간을 하여 먹는다.[57] 오장을 보하는 건강 증진 효과가 있다고 하여 "보신탕(保身湯)"이라고도 불린다.[57] 개의 고기는 예로부터 귀한 식재료였으며, 계절적으로는 6월의 여름 더위가 절정에 달하는 "복날"에 먹는다.
- 된장국: 된장과 쌀뜨물로 만든다.
- 재첩국: 재첩을 주재료로 하는 국으로, 어패류를 많이 먹는[58] 한국 동남부 경상도 지방의 향토 음식이다.
5. 국밥
국밥은 국에 밥을 말아 먹는 음식으로, 조선 시대 후기부터 노동자 계층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49] 한 끼 식사로 든든하게 즐길 수 있다.
6. 문화
한국 문화에서 국은 단순한 음식을 넘어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가족의 상황에 따라 반드시 먹는 국과 먹으면 안 되는 국이 있는데, 이러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는 과학적 근거가 있는 것도 있지만, 관습적인 요소가 강한 것도 있다.
수술 후 회복기나 고령자가 몸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곰탕을 먹인다. 감기에 걸렸을 때는 콩나물국을, 술을 마신 후에는 명태국을 끓여 먹는다.
국과 관련된 다양한 속담 또한 존재한다.[56][60]
6. 1. 먹는 상황
한국에서는 가족의 상황에 따라 반드시 먹는 국과 먹으면 안 되는 국이 있는데, 이러한 이야기에는 과학적 근거가 있는 것도 있지만, 관습적인 요소가 강한 것도 있다.생일에는 미역국을 먹는다. 이는 미역에 모유 수유를 돕는 성분이 있다는 점에서, 산후 여성에게 반드시 미역국을 먹이는 풍습에서 비롯되었다. 옛날에는 임산부에게 미역을 시장에서 사 오는 것은 손자의 탄생을 기다리는 시아버지의 역할이었으며, 폭이 넓고 긴 것이 최고 품질로 여겨졌다. 미역을 살 때는 값을 깎으면 난산이 된다는 속설이 있어 가격 협상은 하지 않아야 했다. 또한, 시장에서 미역을 가져올 때는 부정한 것에 닿는 것을 막기 위해 밧줄로 묶어 어깨에 메고 가는 것으로 여겨졌다.
시험 전에 미역국을 먹으면 합격하지 못한다는 속설 때문에 시험 전에는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6. 2. 속담
"뜨거운 국 맛은 모른다"는 속담은 급한 상황에서는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는 뜻이다.[56] "맛없는 국은 뜨겁기만 하다"는 속담은 실속 없는 사람이 겉으로만 떠벌린다는 뜻이다.[56] "식은 국도 불어 먹는다"는 속담은 한 번 데인 후에는 조심하게 된다는 뜻이다.[56] "젊은이의 망령은 아야마키로 고치고, 노인의 망령은 곰국으로 고친다"는 속담은 젊은이가 장난치는 것은 분별이 없기 때문이므로 엉덩이를 때려 훈육하고, 노인의 망령은 늙어서 그런 것이니 곰국으로 영양을 보충하여 고치는 것이 좋다는 뜻이다.[60]7. 탕과의 차이
탕은 넓은 의미에서 국의 높임말이며, 원래는 특별한 제사 때 먹는 국물 요리였다.[66] 하지만 "곰국"과 "곰탕"처럼 일반적으로 섞어 쓰는 경우도 많아, 국과 탕은 대체로 같은 종류의 요리로 여겨지지만, 농도가 짙은 것을 탕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63][64] 일반적으로 채소를 넣은 가벼운 국물 요리에는 "국", 연포탕(문어국), 대구탕(대구국) 등과 같이[64][65] 건더기가 들어간 더 무겁고 진한 국물 요리에는 "탕"이 사용된다.[63][64]
국은 밥(주식)에 곁들여지는 국물 요리인 데 반해, 탕은 단품으로 완성된 요리인 경우가 많으며, 사용하는 그릇도 국보다 한 단계 큰 그릇에 담아 제공한다.[66]
참조
[1]
웹사이트
guk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2
[2]
웹사이트
tang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2
[3]
서적
Korean Cuisine: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20-10-02
[4]
웹사이트
kuk, t'ang
http://cooks.org.kp/[...]
Korean Association of Cooks
2017-04-22
[5]
웹사이트
'국'과 '탕'
http://hangeul.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8-02-25
[6]
웹사이트
gamja-guk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2
[7]
웹사이트
gamja-tang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2
[8]
웹사이트
Lunar New Years Tteokguk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9-01-22
[9]
웹사이트
Miyeok-guk
http://www.lifeinkor[...]
Life in Korea
[10]
웹사이트
Kongnamul-guk
http://www.lifeinkor[...]
Life in Korea
[11]
웹사이트
ko:무국
http://100.nate.com/[...]
Encyclopedia of National and Ethnic Cultures
[12]
웹사이트
ko:감자국
http://100.nate.com/[...]
Encyclopedia of National and Ethnic Cultures
[13]
웹사이트
Toranguk Taro Soup
http://folkency.nfm.[...]
Encyclopedia of Korean Seasonal Customs
2013-04-02
[14]
웹사이트
Bugeo-guk
http://www.lifeinkor[...]
Life in Korea
[15]
웹사이트
ko:복어국, 먹을까 말까… 18세기 선비들의 논란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12-05-21
[16]
웹사이트
ko:맑은 조개국
http://food.chosun.c[...]
Chosun
[17]
웹사이트
ko:재첩국
http://100.nate.com/[...]
Encyclopedia of National and Ethnic Cultures
[18]
웹사이트
Korean Food {{!}} Gomtang {{!}} Stew Meat & Tripe Soup
http://www.trifood.c[...]
2008-05-27
[19]
웹사이트
ko:사골곰탕
http://food.chosun.c[...]
Chosun
[20]
웹사이트
엠파스 백과사전
http://100.empas.com[...]
2008-05-27
[21]
웹사이트
사골곰탕 VS 꼬리곰탕, 최고 보양식은?
http://www.thedailyn[...]
The Daily News
2013-02-26
[22]
웹사이트
Food map: Eat your way around Korea
http://travel.cnn.co[...]
CNN Travel
2012-04-06
[23]
웹사이트
Galbi Tang (Short Rib Soup) Recipe
http://koreanfood.ab[...]
About.com
2013-04-02
[24]
웹사이트
YOOK-GAE-JANG
http://www.trifood.c[...]
Trifood.com
2013-04-02
[25]
웹사이트
Dogani-tang
http://www.lifeinkor[...]
Life in Korea
[26]
웹사이트
SAM-GYE-TANG
http://www.trifood.c[...]
Trifood.com
2013-04-02
[27]
웹사이트
5 Korean ways to eat a pig
http://travel.cnn.co[...]
CNNGo
2011-11-11
[28]
웹사이트
Busan: Larger than Life
http://enewsworld.in[...]
enewsworld
2011-09-26
[29]
웹사이트
엠파스 백과사전
http://100.empas.com[...]
2008-05-27
[30]
웹사이트
ko:시금치토장국
http://woman.donga.c[...]
Donga
[31]
웹사이트
ko:아욱토장국(아욱국)
http://koreanfood.rd[...]
RDA
[32]
웹사이트
Soup (Guk) An Essential Part of the Korean Meal
http://koreana.kf.or[...]
Koreana
2008
[33]
웹사이트
Haejangguk
http://www.hannaone.[...]
Hannaone
2013-04-02
[34]
웹사이트
ko:다슬기국(고둥국)
http://koreanfood.rd[...]
RDA
[35]
웹사이트
ko:냉국
http://kordic.nate.c[...]
Nate Korean Dictionary
[36]
웹사이트
ko:냉국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10-23
[37]
웹사이트
ko:냉국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10-23
[38]
웹사이트
Miyeok naengguk
http://www.hannaone.[...]
HannaOne
2013-04-02
[39]
웹사이트
ko:오이냉국
http://food.chosun.c[...]
Chosun
2013-04-02
[40]
웹사이트
Kkaetguk
http://www.hannaone.[...]
HannaOne
2013-04-03
[41]
웹사이트
Quelques plats de Gyeonggi-do
http://www.visitkor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3-04-03
[42]
웹사이트
네이트
http://100.empas.com[...]
2014-11-29
[43]
웹사이트
네이트
http://100.empas.com[...]
2014-11-29
[44]
웹사이트
네이트
http://100.empas.com[...]
2014-11-29
[45]
웹사이트
네이트
http://100.empas.com[...]
2014-11-29
[46]
웹사이트
네이트
http://100.empas.com[...]
2014-11-29
[47]
웹사이트
네이트
http://100.empas.com[...]
2014-11-29
[48]
웹사이트
5 Korean ways to eat a pig
http://www.cnngo.com[...]
CNN Go
2012-04-11
[49]
웹사이트
엠파스 백과사전
http://100.empas.com[...]
2008-05-27
[50]
웹사이트
엠파스 백과사전
http://100.empas.com[...]
2008-05-27
[51]
문서
[52]
서적
한국전통문화사전
교육출판
2006
[53]
서적
Korean Cuisine: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54]
웹사이트
kuk, t'ang
http://cooks.org.kp/[...]
Korean Association of Cooks
2017-04-22
[55]
웹사이트
マルグンヤンジヘジャンクク(牛むね肉酔い覚ましスープ)(맑은양지해장국)
https://japanese.vis[...]
한국관광공사
2024-11-30
[56]
서적
한국전통문화사전
교육출판
2006
[57]
서적
한국전통문화사전
교육출판
2006
[58]
서적
한국의 밥
농촌어촌연락협의회
2007
[59]
서적
한국전통문화사전
교육출판
2006
[60]
서적
한국전통문화사전
교육출판
2006
[61]
서적
한국의 밥
농촌어촌연락협의회
2007
[62]
서적
한국전통문화사전
교육출판
2006
[63]
웹사이트
guk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2
[64]
웹사이트
tang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2
[65]
웹사이트
‘국’과 ‘탕’
http://hangeul.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8-02-25
[66]
서적
한국전통문화사전
교육출판
2006
[67]
서적
한국전통문화사전
교육출판
2006
[68]
웹사이트
gamja-guk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2
[69]
웹사이트
gamja-tang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2
[70]
웹인용
국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1-09-27
[71]
웹인용
탕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1-09-27
[72]
웹인용
-탕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1-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