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경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 경쟁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전개된 과학기술 및 군사적 경쟁을 의미한다. 초기에는 독일의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탄도 미사일 개발 경쟁이 시작되었으며, 냉전 시기에는 인공위성 발사, 우주 비행사 배출, 달 착륙 등 우주 개발 전반에 걸쳐 경쟁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경쟁은 막대한 예산 투입과 인명 피해를 동반했지만, 로켓 기술, 통신 기술 등 다양한 과학 기술 발전을 이끌었고, 오늘날에도 여러 국가 및 민간 기업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우주 개발 시대를 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럴드 포드 행정부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제럴드 포드 행정부 - 프리퀀트 윈드 작전
프리퀀트 윈드 작전은 1975년 4월 사이공 함락 직전 남베트남에서 미국 시민과 우방국 국민을 대피시키기 위해 미국이 실행한 군사 작전으로, 헬기 대피를 주된 방식으로 떤선녓 공군 기지 공격 이후 진행되었으며 미 해군 제76기동부대와 에어 아메리카 헬리콥터가 동원되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 실패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남았다. - 린든 B. 존슨 행정부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린든 B. 존슨 행정부 - 메디케어 (미국)
메디케어는 1965년 사회 보장법 개정으로 도입된 미국의 건강 보험 프로그램으로, 65세 이상 노인과 특정 장애인에게 제공되며 파트 A, B, C, D로 구성되어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CMS에서 관리 및 운영한다. - 페이퍼클립 작전 - V-2 로켓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은 베르너 폰 브라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액체 추진제를 사용, 최대 320km 사거리와 1톤의 탄두 운반 능력을 갖췄으나, 연합국 도시 공격에 사용되며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고, 전후 미사일 및 우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개발 과정에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이 동원되는 윤리적 문제와 군사적 효용성 논란이 있었다. - 페이퍼클립 작전 - 새턴 V
새턴 V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스카이랩 계획에 사용된 다단식 액체 추진 로켓으로, NASA에 의해 13회 발사되어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재 3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우주 경쟁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우주 경쟁(宇宙競爭) |
로마자 표기 | Uju Gyeongjaeng |
러시아어 | Космическая гонка |
러시아어 발음 | Kosmicheskaya gonka (kɐsˈmʲitɕɪskəjə ˈɡonkə) |
주요 내용 | 미국과 소련 간의 우주 개발 경쟁 |
시작 시점 | 1957년 스푸트니크 1호 발사 |
종료 시점 | 1975년 아폴로-소유스 테스트 프로젝트 |
배경 | |
주요 원인 | 냉전 시대의 이념 대립 군사적 기술 우위 확보 경쟁 국가적 자존심 경쟁 |
주요 사건 | |
1957년 | 소련,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최초의 인공위성) |
1961년 | 소련, 유리 가가린 보스토크 1호 탑승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 |
1969년 | 미국, 아폴로 11호 닐 암스트롱, 달 착륙 성공 (최초의 유인 달 착륙) |
1975년 | 미국과 소련, 아폴로-소유스 테스트 프로젝트 (최초의 국제 우주 협력) |
기술 발전 | |
주요 기술 | 로켓 기술 인공위성 기술 유인 우주선 기술 우주 정거장 기술 |
영향 | |
과학 기술 발전 촉진 | 다양한 분야의 기술 혁신 및 발전 촉진 |
우주 탐사 경쟁 심화 | 새로운 우주 탐사 및 연구 프로젝트 증가 |
국제 협력 강화 | 우주 개발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필요성 증대 |
주요 인물 | |
미국 | 존 F. 케네디 베르너 폰 브라운 닐 암스트롱 |
소련 | 세르게이 코롤료프 유리 가가린 |
주요 계획 | |
미국 | 머큐리 계획 제미니 계획 아폴로 계획 |
소련 | 보스토크 계획 보스호트 계획 소유스 계획 |
기타 | |
관련 용어 | 스푸트니크 쇼크 달 착륙 유인 우주 비행 우주 탐사 |
유산 | |
기술적 유산 | 우주 탐사 기술 발전 통신 및 기상 위성 개발 GPS 기술 개발 |
사회적 유산 | 과학 기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 증대 교육 및 연구 분야 투자 확대 국제 협력의 중요성 인식 |
2. 역사적 배경
우주 경쟁은 1957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사이에서 벌어진 우주 탐사 경쟁이다. 이 경쟁은 인공 위성 발사, 유인 우주 비행, 달 착륙 등을 포함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로켓 기술 발전과 냉전이라는 국제적 긴장 속에서 시작된 이 경쟁은, 1957년 10월 4일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로 본격화되었다. '우주 경쟁'이라는 용어는 군비 경쟁에서 유래했다.
우주 경쟁은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문화, 과학 기술 경쟁의 핵심이었다. 우주 기술은 미사일 개발과 같은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국민의 자긍심과 국제적 위상 강화에도 중요했다. 초기에는 소련이 앞섰지만, 미국은 달 착륙으로 가장 인상적인 성과를 냈다.
막대한 비용이 드는 유인 달 탐사는 정치적 목표 달성 후 중단되었고, 우주 경쟁은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 아시아와 유럽 국가들이 우주 개발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경쟁이 시작되고 있다.
2. 1. 초기 로켓과 군사
로켓은 오랫동안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중국은 이미 11세기에 로켓을 무기로 사용했다.19세기 말, 러시아의 콘스탄틴 치올콥스키는 우주에 도달할 수 있는 다단식 액체 연료 로켓을 이론화했다. 1926년, 미국의 로버트 고다드가 실제로 액체 연료 로켓을 발사했지만, 이들의 연구는 당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고다드는 과학계와 대중, 뉴욕 타임즈로부터 조롱을 받았다.
로켓 기술의 평가는 제2차 세계 대전을 통해 높아졌다. 이는 "로켓 연구는 정치나 군사와 무관한, 순수한 과학적인 연구로, 평화를 위한 것이다."라는 미사여구에도 불구하고, 모든 우주 경쟁이 국가의 군사력에 대한 야망과 결부되어버리는 미래의 전조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독일, 미국, 소련은 소형 액체 연료 로켓을 실험했지만, 위성과 인간을 우주로 발사하려면 탄도 미사일과 같은 대형 로켓 개발이 필요했다. 예를 들어 베르너 폰 브라운의 Aggregat-4 (A-4)는 페르겔퉁스바페 2 (V-2)로 알려졌으며, 나치 독일이 전쟁에서 연합군을 폭격하기 위해 개발했다.[16] 전쟁 후 미국과 소련은 독일 로켓 개발 자산을 확보하여 자체 미사일 개발에 활용했다.
2. 2. 로켓에 대한 독일의 기여
1920년대 중반 독일 과학자들은 액체 추진 연료로 작동하는 로켓 실험을 시작했다.[16] 1932년 바이마르 공화국의 바이마르 공화국군(이후 독일 국방군)은 장거리 무기로서의 로켓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6] 베르너 폰 브라운은 로켓 연구에 참여하여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사용하는 장거리 포격 무기 개발에 성공했다.[16]1942년에 발사된 독일의 A-4 로켓은 인류가 처음으로 우주에 쏘아올린 인공물체가 되었다.[16] 1943년에 독일은 A-4 로켓을 보복무기 2호라는 이름으로 대량생산했다.[16] 독일 국방군은 사정거리 300km, 적재 가능한 탄두 무게 1톤의 V-2 로켓 수천발을 영국 등의 연합국측의 국토에 쏘아 막대한 손해와 많은 희생자를 냈다.[16]
대전이 막바지에 다다르면서 미국, 소비에트 연방, 영국의 군대와 과학자들 사이에서 발트해 연안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페네뮨데 육군 무기 실험장에 있던 독일의 로켓 개발 계획 관련 시설과 연구 및 기술에 대한 경쟁이 시작되었다.[16] 그 결과, 종이클립 작전에 의해 많은 과학자들이 독일에서 미국으로 이송되었다.[16] 이들 대부분은 베르너 폰 브라운을 포함한 나치당원이며, 소비에트 연방에 구속된 후의 신변의 위협을 두려워했다.[16] 미국에서 독일인 과학자들은 독일제 로켓을 영국 등에 대한 폭격 대신 미국을 위한 과학연구 및 군사연구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했다.[16] 영국도 V-2 로켓의 실물과 연구자를 확보하는 등 약간의 성공을 거두었다.[16]
2. 3. 우주 개발 경쟁의 시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은 냉전 시대에 돌입하며, 우주 탐사와 인공 위성 기술은 양국의 경쟁에서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우주 기술은 미사일 등 군사 기술에 응용될 수 있었고, 국민의 자긍심과 사기, 국제적 이미지 제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었다. 따라서 양국의 경쟁과 마찰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16]냉전 시대에는 정치, 경제, 기술, 문화, 오락, 스포츠 등 직접적인 군사 분야 외의 모든 분야에서 양 진영이 우열을 다투는 치열한 싸움이 펼쳐졌다. 우주 개발은 단순히 상대국에 앞서는 것을 넘어, 그 나라의 기술과 경제력을 과시하고, 국가의 이데올로기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특히 소련은 미국에 비해 열세였던 항공 전력을 보완하기 위해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에 집중했다. 이는 초고속으로 미국 본토를 직접 공격할 수 있는 ICBM의 중요성이 더 컸기 때문이다. 소련 지도부는 다른 군수 산업 및 민생 부문에 비해 로켓 산업에 자원을 우선 배분하고 종사자들의 생활환경을 우대했다. 그 대가로 기술 및 인력의 대부분은 두터운 국가기밀 속에 갇혀, 연구 거점은 일부 공식 지도에도 표시되지 않는 폐쇄 도시가 되었다.[17][18]
두 강대국은 어느 쪽이 먼저 돌파구를 뚫었는지 서로 알지 못한 상황에서 각각 우주 개발에서의 최고의 성과를 얻으려고 노력했다. 실제로는, 우주 개발 분야, 그 중에서도 기술적으로 가능한 부분에 많은 자원을 투자하고 있던 소련이 미국에 비해 은밀하게 앞서고 있었다. 양측 모두 우주 경쟁의 기반 다지기는 끝나가고 있었으며, 그 다음에는 신호탄이 터지기를 기다릴 뿐이었다.
3. 인공위성 개발 경쟁
1957년부터 1975년까지 이어진 우주 경쟁은 초기 로켓 기술 경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국제적인 긴장 속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1957년 10월 4일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는 이 경쟁의 실질적인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우주 경쟁'이라는 용어는 군비 경쟁에서 유래한 비공식적인 표현이다.
우주 경쟁은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문화, 과학 기술 경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우주 기술은 미사일과 같은 군사 기술에 응용될 수 있었고, 국민의 자긍심과 사기를 높이며 국제적인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초기에는 소련이 여러 우주 개발 성과를 먼저 달성했지만, 미국은 달 착륙을 성공시키며 인상적인 성과를 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은 스파이와 선전을 통한 냉전 시대에 돌입했다. 우주 탐사와 인공위성 기술은 양국에게 냉전의 상징적인 첨병이 되었다. 인공위성 기술은 정찰기 없이 타국을 감시할 수 있게 해주고, 우주여행 성공은 국가의 과학적 역량과 군사적 잠재력을 과시하는 수단이 되었다. 인류를 궤도나 달로 보내는 로켓 기술은 핵무기 운반 수단인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과도 연관되어 있었다.
냉전 하에서 양국은 정치, 경제, 기술, 문화, 오락, 스포츠 등 모든 분야에서 경쟁했다. 우주 개발의 진전은 단순한 기술적 우위를 넘어, 국가의 기술, 경제적 역량,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여겨졌다. 우주 개발은 평화적인 과학적 성과와 군사적, 심리적 성과를 동시에 추구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소련은 1960년의 U-2 격추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통상적인 항공 전력에서 미국에 비해 열세였고, 미국의 봉쇄 정책에 의해 자국 및 동유럽의 세력권이 포위된 상황이었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 소련은 미국 본토를 직접 공격할 수 있는 ICBM 개발에 집중했다. 소련 지도부는 로켓 산업에 자원을 우선 배분하고 종사자들의 생활을 우대했다. 그러나 기술과 인력은 국가 기밀 속에 갇혀 있었고, 연구 거점은 비밀 도시가 되었으며, 로켓 설계자들의 이름은 소련 붕괴 전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양국은 어느 쪽이 먼저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지 모르는 상황에서 우주 개발 경쟁을 벌였다. 소련은 기술적으로 가능한 부분에 자원을 투자하여 미국보다 은밀하게 앞서 나갔다.
3. 1. 스푸트니크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스푸트니크 1호를 탑재한 R-7 로켓을 쏘아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에 보내는 데 성공했다. 이것이 우주 경쟁의 시작이었다.[242]
스푸트니크 이전, 일반적인 미국인들은 미국의 과학 기술이 모든 분야에서 세계 최고라고 생각했지만, 인공위성 기술은 경제활동이나 군사용으로 응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소비에트 연방이 미국을 추월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미국 국내에서 공황이 발생하여 정치 논쟁도 일어났다. 한편, 스푸트니크의 성공은 소비에트 연방에서 자국의 과학 기술력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중요한 기회가 되어 국위를 선양했다.
소비에트 연방에서 스푸트니크 발사와 연속적인 우주 개발 계획은 대중의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독소전에서 치명적인 타격을 입고 부흥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소비에트 연방에게 스푸트니크는 새로운 시대의 기술력에 대한 도전의 성과로서 국민의 사기를 높이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243] 소비에트 연방의 세르게이 코롤료프는 인공위성에 그치지 않고 달에 우주비행사를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스푸트니크에 대항하여 미국은 기술적 우위를 되찾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 베르너 폰 브라운을 뛰어넘는 인재를 만들기 위해 초등 과학교육을 충실하게 한 것이 그 일환이다.[244] 미국이 입은 충격이나 그에 대한 일련의 정책은 현재 스푸트니크 쇼크라고 불린다.
3. 2. 미국의 대응과 NASA 창설
소비에트 연방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대한 미국의 대응은 이른바 '스푸트니크 쇼크'로 나타났다. 이전까지 미국인들은 자국의 과학 기술이 세계 최고라고 믿었지만, 소련이 먼저 인공위성을 발사하자 큰 충격을 받았다.[234] 이러한 상황은 미국 사회에 공황과 같은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정치적인 논쟁으로 이어졌다.[234]이에 미국은 기술적 우위를 되찾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수학 등 기초 과학 교육을 강화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234] 린든 B. 존슨 부통령은 "우주에서 1등은 모든 면에서 1등이다. 우주에서 2등은, 무엇이든 2등이다"라며 우주 경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35]

1958년, 미국은 미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을 통해 최초의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했다. 비록 스푸트니크 1호 발사 4개월 후였지만, 익스플로러 1호는 제임스 밴 앨런이 지구를 둘러싼 밴 앨런대를 발견하는 과학적 성과를 낳았다.
같은 해, 미국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창설하여 우주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또한, 프로젝트 스코어를 통해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크리스마스 메시지를 전 세계에 중계하는 최초의 통신 위성을 발사했다. 이후에도 에코(1960년, 세계 최초 수동형 통신 위성), 텔스타 위성(1962년, 세계 최초 능동형 통신 위성) 등 다양한 통신 위성 개발이 이어졌다.
4. 새로운 성공 : 우주에 동물과 인간 보내기
1957년부터 1975년까지 이어진 우주 경쟁에서, 각 국가들은 인공위성 발사, 인간의 우주 공간 진출, 달 착륙 등을 목표로 경쟁했다.
1957년 10월 4일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가 실질적인 경쟁의 시작이었다. '우주 경쟁'이라는 용어는 군비 확장 경쟁에서 유래한 비공식적인 표현이다. 초기 로켓 기술 경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국제적 긴장은 우주 경쟁의 발판이 되었다.
우주 경쟁은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문화, 과학 기술 경쟁에서 중요한 부분이었다. 우주 기술은 미사일 등 군사 기술에 활용될 수 있었고, 국민의 자긍심과 사기, 국제적 이미지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이점이 있었기 때문에 양국의 주요 경쟁 무대가 되었다. 초기에는 소련이 여러 최초 기록을 세웠지만, 미국은 달 착륙 성공으로 가장 큰 주목을 받았다.
4. 1. 동물을 우주로!
최초로 우주로 보내진 생물은 1946년 미국이 독일에서 가져온 V2 로켓에 실려 대기권 밖으로 쏘아 올려진 초파리였지만, 이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1957년 스푸트니크 2호에 실려 지구 궤도를 돈 개 '''라이카'''는 우주로 보내진 최초의 포유류였다.[39][40] 라이카는 로켓으로 발사되어 대기권 밖으로 나간 다른 생물들과 달리, 처음으로 지구 궤도를 돈 생물이기도 하다. 당시에는 우주 비행 후 개를 회수하는 기술이 없었기에, 원래는 캡슐이 대기권에 재진입하기 전 라이카를 안락사시킬 계획이었다. 그러나 2002년 공개된 바에 따르면, 라이카는 스트레스와 캡슐 내부 과열로 인해 궤도 도달 직후 사망했다. 이후 소련은 다가올 유인 우주 비행을 위해 여러 마리의 개를 우주로 보냈고, 1960년 9월 18일 스푸트니크 5호에 벨카와 스트렐카 두 마리와 여러 마리의 쥐를 태워 지구 궤도로 보낸 후, 모두 무사히 지구로 귀환시키는 데 성공했다.
1968년 9월, 소련은 존드 5호에 거북이를 태워 달로 보냈는데, 이것이 달 궤도를 돈 최초의 생물이었다.
한편, 미국도 아프리카에서 침팬지를 수입하여 유인 우주 비행에 앞서 최소 두 마리 이상을 우주로 보냈다.[236]
4. 2. 인류를 우주로!
1961년 4월 12일, 소련의 유리 가가린은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인류 최초로 지구 궤도를 비행했다.[232] 미국은 앨런 셰퍼드의 준궤도 비행, 존 글렌의 지구 궤도 비행으로 이에 대응했다.이후 소련은 발렌티나 테레쉬코바를 최초의 여성 우주 비행사로 배출하고,[232] 보스호트 계획을 통해 다인승 우주선과 우주 유영을 성공시켰다.[125] 미국은 제미니 계획을 통해 우주 랑데부, 우주선 도킹, 장기 우주 체류 등 달 착륙에 필요한 기술을 축적했다.[125]
5. 달 착륙 경쟁!
1961년 5월 25일,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미국 연방 의회 특별 양원 합동 회의에서 10년 안에 달 착륙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245] 이로써 아폴로 계획의 목표는 단순한 달 궤도 비행에서 달 착륙으로 변경되었고, 머큐리 계획, 제미니 계획 등 유인 우주 비행 계획과 달 탐사 계획은 아폴로 계획을 위한 기술 개발, 비행사 훈련, 현지 조사의 일환이 되었다.
케네디 대통령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2대 국장 제임스 E. 웹과의 대화에서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러시아인보다 먼저 달에 착륙하는 사업과 잘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이런 돈을 써서는 안 된다, 나는 우주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출이) 정당화되는 것은 단지, 신께 맹세컨대 몇 년 안에 그들을 따라잡아 미국이 뒤처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세계에 성과를 보여주고 소련을 꺾어버리겠다는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238]
1962년 9월, 케네디는 휴스턴에서 "우리는 달에 가기로 선택한다"라는 유명한 연설을 통해 국민들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 아폴로 계획 지지율은 1963년 33%에서 1965년 58%까지 상승했다. 린든 B. 존슨 대통령도 이 계획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성공으로 이끌었다.
한편, 소비에트 연방은 달 착륙에 대해 적극성과 소극성을 동시에 보였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다른 분야에서의 승리로 만족하려 했지만, 달 계획에 막대한 비용을 투입하는 것에는 소극적이었다. 1963년 10월, 그는 "현재 시점에서 달에 우주 비행사를 보낼 계획은 없다"고 말했지만, 경쟁에서 완전히 물러나지는 않았다.
1964년 흐루쇼프 실각 이후, 소련은 달 착륙 계획 (소유즈 L3 계획)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세르게이 코롤료프가 이끄는 연구 기관(코롤료프 설계국)은 소유즈 우주선과 N-1 로켓을 이용한 달 착륙 계획을 추진했다. 블라디미르 첼로메이가 지휘하는 "첼로메이 설계국"은 프로톤 로켓과 존드 우주선을 이용한 유인 달-지구 간 왕복 미션('''존드 계획''')을 개발했다.
그러나 1966년 코롤료프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1967년 소유즈 1호의 사망 사고로 소련의 유인 달 여행 계획은 큰 타격을 입었다. 1969년 N1 로켓 발사 실패가 이어지면서 유인 달 착륙 계획은 지연되었고, 결국 중단되었다.
5. 1. 무인 탐사기


미국과 소련은 달 착륙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무인 탐사선을 달에 보내어 상공에서 사진 촬영 등을 하고 안전하게 달 표면에 착륙할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45]
소련은 루나 계획을 통해 달 탐사를 진행했다. 1959년 1월 4일 루나 1호를 발사해 달에 접근시켰으나 충돌에는 실패하고 그대로 통과하여 세계 최초의 인공 행성이 되었다. 1959년 9월 4일 루나 2호는 달 표면 충돌에 성공하여 세계 최초로 달에 도달한 인공 물체가 되었다. 루나 3호는 달의 뒷면을 촬영했다. 1966년 루나 9호는 달에 최초로 연착륙하는 데 성공했고, 표면에서 사진을 전송했다.[98] 루나 10호은 달 궤도를 설정한 최초의 인공 물체였으며,[99] 이후 루나 11호, 루나 12호, 루나 14호도 궤도 설정에 성공했다. 루나 12호는 궤도에서 달 표면의 상세한 사진을 전송할 수 있었다.[100] 루나 10호, 12호, 루나 14호는 다른 테스트와 함께 달의 감마선 분광법을 수행했다.
존드 계획은 ''루나'' 프로그램과 함께 기획되었으며, 존드 3호은 달 뒷면에서 고품질 사진을 전송했다.[103][104]
미국은 레인저 계획, 루나 오비터 계획, 서베이어 계획을 통해 달 탐사를 진행했다. 레인저 계획은 달 표면을 접사 촬영하는 것이 목표였다. 1959년에 시작되었지만, 1961년과 1962년에 발사된 탐사선들은 실패했고, 1964년부터 1965년까지 발사된 레인저 7호부터 레인저 9호가 크레이터 등의 촬영에 성공했다. 루나 오비터 계획은 달 표면 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목표였다. 1966년 8월부터 1967년 8월에 걸쳐 5기가 발사되었고, 모두 성공하여 달 표면의 99%에 달하는 고해상도 사진을 얻었다. 서베이어 계획은 달 표면에 연착륙하여 원격 조작으로 달 표면 토양의 굳기와 조성 등을 탐사하는 것이 목표였다. 1966년 5월부터 1968년 1월에 걸쳐 7기가 발사되었고, 5기가 착륙과 관측에 성공했다.
1967년 4월 20일 달에 성공적으로 착륙한 서베이어 3호은 달 토양의 시험을 용이하게 하는 '표면 샘플러'를 탑재했다. 이 실험을 바탕으로 과학자들은 달 토양이 젖은 모래와 유사하며 지지력이 제곱인치당 약 10파운드(제곱센티미터당 0.7킬로그램, 또는 98킬로파스칼)로 아폴로 달 착륙선을 지탱할 만큼 충분히 견고하다고 결론지었다.[114]
이러한 미국의 달 탐사 계획들은 모두 아폴로 계획에서 유인 우주선이 안전하게 달 궤도에 도달하고 착륙하기 위한 기술 시험과 안전한 착륙 지점을 찾는 것이 목적이었다.
5. 2. 달 표면에 인류를 보내다!
1961년 5월 25일,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미국 연방 의회 특별 양원 합동 회의에서 10년 안에 달 착륙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245] 이로써 아폴로 계획의 목표는 단순한 달 궤도 비행에서 달 착륙으로 변경되었고, 머큐리 계획, 제미니 계획 등 유인 우주 비행 계획과 달 탐사 계획은 아폴로 계획을 위한 기술 개발, 비행사 훈련, 현지 조사의 일환이 되었다.케네디 대통령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2대 국장 제임스 E. 웹과의 대화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러시아인보다 먼저 달에 착륙하는 사업과 잘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이런 돈을 써서는 안 된다, 나는 우주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출이) 정당화되는 것은 단지, 신께 맹세컨대 몇 년 안에 그들을 따라잡아 미국이 뒤처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세계에 성과를 보여주고 소련을 꺾어버리겠다는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238]
1962년 9월, 케네디는 휴스턴에서 "우리는 달에 가기로 선택한다"라는 유명한 연설을 통해 국민들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 1963년 33%였던 아폴로 계획 지지율은 1965년 58%까지 상승했다. 린든 B. 존슨 대통령도 이 계획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성공으로 이끌었다.
한편, 소비에트 연방은 달 착륙에 대해 적극성과 소극성을 동시에 보였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다른 분야에서의 승리로 만족하려 했지만, 달 계획에 막대한 비용을 투입하는 것에는 소극적이었다. 1963년 10월, 그는 "현재 시점에서 달에 우주 비행사를 보낼 계획은 없다"고 말했지만, 경쟁에서 완전히 물러나지는 않았다.
1964년 흐루쇼프 실각 이후, 소련은 달 착륙 계획 (소유즈 L3 계획)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세르게이 코롤료프가 이끄는 연구 기관(코롤료프 설계국)은 소유즈 우주선과 N-1 로켓을 이용한 달 착륙 계획을 추진했다. 블라디미르 첼로메이가 지휘하는 "첼로메이 설계국"은 프로톤 로켓과 존드 우주선을 이용한 유인 달-지구 간 왕복 미션('''존드 계획''')을 개발했다.
그러나 1966년 코롤료프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1967년 소유즈 1호의 사망 사고로 소련의 유인 달 여행 계획은 큰 타격을 입었다. 1969년 N1 로켓 발사 실패가 이어지면서 유인 달 착륙 계획은 지연되었고, 결국 중단되었다.
5. 3. 아폴로 11호, 달에 최초로 착륙



소련은 루나 계획과 존드 계획으로 미국의 우주선보다 먼저 무인 탐사선을 달 궤도에 올리고 착륙도 했지만, 달 표면에 발자국을 남긴 최초의 인류는 미국인인 닐 암스트롱이었다.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선이 착륙한 다음 날인 1969년 7월 21일의 일이었다. 아폴로 11호의 선장인 닐 암스트롱은 사령선 조종사 마이클 콜린스, 달 착륙선 조종사 버즈 올드린의 지원을 받으며 전 세계 5억 명이 보았다는 대형 이벤트를 성공시켰다. 많은 평론가들은 이 달 착륙을 20세기의 결정적인 순간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으며, 암스트롱이 달 표면에 발을 내디딜 때 했던 말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기억에 남았다.[167]
: 이것은 한 명의 인간에게 있어서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 있어서는 위대한 도약이다.
: That 's one small step for (a) man, one giant leap for mankind.영어
아폴로 11호는 첫 유인 달 비행 후 불과 반년 만에 7월에 고요의 바다에 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준비되었다. 1969년 1월에 선발된 승무원은 사령관(CDR) 닐 암스트롱, 사령선 조종사(CMP) 마이클 콜린스, 달 착륙선 조종사(LMP) 에드윈 "버즈" 올드린으로 구성되었다. 그들은 발사 당일 직전까지 임무를 위해 훈련했다. 1969년 7월 16일 오전 9시 32분 EDT, 새턴 V 로켓 AS-506이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 센터 39번 발사대에서 발사되었다.
달까지의 여행은 3일이 조금 넘게 걸렸다.[166] 궤도에 진입한 후, 암스트롱과 올드린은 사령선 및 서비스 모듈 ''콜롬비아''에 콜린스를 남겨두고 ''이글''이라는 달 착륙선으로 이동하여 하강을 시작했다. 안테나 스위치를 잘못된 위치에 둔 탓에 과부하된 컴퓨터에서 경보가 울리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암스트롱은 수동 비행 제어를 맡아 ''이글''을 1969년 7월 20일 20시 18분 4초 UTC(CDT 오후 3시 17분 4초)에 안전한 착륙 지점에 착륙시켰다. 6시간 후인 7월 21일 2시 56분 UTC(7월 20일 오후 9시 56분 CDT), 암스트롱은 ''이글''을 떠나 달 표면을 밟은 최초의 인간이 되었다.
올드린은 약 20분 후에 달 표면에 합류했다.[168] 그들은 총 2시간 15분 미만을 우주선 밖에서 보냈다.[169] 다음 날, 그들은 다른 천체에서 최초의 유인 발사를 수행했고, ''콜롬비아''에서 콜린스와 재회했다.
아폴로 11호는 달 궤도를 떠나 1969년 7월 24일 태평양에 안전하게 착륙했다. 우주선이 착수했을 때,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10년이 끝나기 전에 달에 인간을 착륙시키고 지구로 안전하게 귀환시키겠다고 약속한 지 2,982일이 지났으며, 임무는 161일을 남기고 완료되었다. 아폴로 11호 임무가 안전하게 완료되면서 미국은 달 탐사 경쟁에서 승리했다.
암스트롱과 그의 승무원은 세계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고, 8월 13일 뉴욕시와 시카고에서 열린 종이 테이프 퍼레이드에 참석했으며, 추산 600만 명이 참석했다.[173][174] 그날 저녁 로스앤젤레스에서 그들은 의회 의원, 44명의 주지사, 미국 연방 대법원장, 83개국 대사들이 참석한 공식 국빈 만찬에서 영예를 안았다. 대통령과 부통령은 각 우주 비행사에게 대통령 자유 훈장을 수여했다.[173][175] 우주 비행사들은 1969년 9월 16일 미국 의회 합동 회의에서 연설했다.[176] 이것은 22개국을 방문하는 38일간의 세계 투어로 시작되었으며, 많은 국가의 지도자들과의 만남을 포함했다.[177]
6. 다른 우주 기술 경쟁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스푸트니크 1호를 탑재한 R-7형 로켓을 발사하여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것이 우주 개발 경쟁의 시작이었으며[232], 이후 미국, 프랑스, 일본이 뒤를 이었다. 2001년 현재, 국가별 위성 발사 개수는 구 소련을 포함한 러시아가 2,500개, 미국이 1,600개로, 일본은 94개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스푸트니크 1호 이전에는, 평균적인 미국인들은 미국이 과학 기술의 모든 분야에서 세계를 압도하고 있다고 믿었지만, 인공위성 기술은 경제 활동과 군사적 용도로 응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선수를 빼앗긴 미국 국내에서는 공황이 발생했고, 정치적 논쟁도 일어났다. 한편, 스푸트니크의 성공은 소련에서 자국의 과학력과 기술력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고, 크게 국위가 선양되었다.
소련에서, 스푸트니크 발사와 잇따른 우주 개발 계획은 대중의 지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처참했던 독소전에서 부활한 지 얼마 안 된 소련에게 스푸트니크는 새로운 시대에 기술력의 도전을 보여주는 성과로서 국민을 용기를 북돋아주는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233]. 폰 브라운의 라이벌이자 R-7 로켓의 설계자·개발 책임자이며 이후 A1 로켓도 설계한 '''세르게이 코롤료프'''는 인공위성에 그치지 않고 달에 우주 비행사(코스모나우트)를 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스푸트니크에 대항하여, 미국은 기술적 우위를 되찾기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폰 브라운을 능가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수학 등 초등 과학 교육을 충실히 한 것이 그 일환이다[234]. 미국이 겪은 충격과 그에 대한 일련의 정책은, 현재 '스푸트니크 쇼크'(스푸트니크 위기)라고 불린다.
존 F. 케네디 행정부의 린든 B. 존슨부통령은 미국의 일련의 정책 노력의 동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세계의 눈으로 볼 때, 우주에서 1등은 모든 면에서 1등이다. 우주에서 2등은, 무엇이든 2등이다"[235]。
소련의 스푸트니크 성공에 실망하고 공포에 질린 미국 대중은, 점차 미국의 우주 개발 계획에 중대한 관심을 나타내게 되었다. 어린이와 학생들은 로켓 발사가 계속되는 것을 지켜봤고, 로켓 모형 만들기는 인기 있는 오락이 되었으며, 텔레비전 프로그램, 패션, 디자인, 길가의 광고 간판 등에도 로켓 붐과 우주 붐이 파급되었다. 1960년대에는 '스페이스 에이지'를 반영한 은색 메탈릭 제품과 디자인이 휩쓸었다. 한편, 거액의 우주 개발을 불안해하는 목소리도 일었지만, 케네디 대통령은 국민을 격려하기 위해 "우주 개발을 국가적으로 지원하고, 수백만 달러에서 수천만 달러의 거액을 기존 무기 증산이나 빈곤 대책에 쓰는 것이 낫지 않겠느냐는 미국 전역에 퍼진 회의론에 승리할 것이다"라고 연설했다.
스푸트니크 1호 발사 4개월 후인 1958년, 미국은 육군 탄도 미사일국에 의해 최초의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했다. 그러나 같은 무렵, 플로리다 반도의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는 위성 뱅가드 TV3을 탑재한 해군의 뱅가드가 폭발하고, 잇따른 발사도 실패하는 등 잇따른 로켓 발사 실패라는 심각한 사태가 벌어졌다.
이러한 초기 인공위성은 이미 과학 탐사 목적으로 발사되었다. 스푸트니크 1호도 익스플로러 1호도 국제 지구 관측년 (1957년 - 1958년)의 각국의 관측 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스푸트니크는 대기권 상층부의 공기 밀도를 측정했고, 익스플로러 1호의 비행 관측 데이터로부터 제임스 밴 앨런은 지구를 둘러싸는 밴 앨런대를 발견했다.
사상 최초의 통신 위성인 프로젝트 스코어(Project SCORE, ''Signal Communications Orbit Relay Equipment'')는 1958년 12월 18일에 발사되어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크리스마스 메시지를 전 세계에 중계했다. 그 외, 우주 개발 경쟁에서 파생된 위성 통신의 주목할 만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960년, 에코: 세계 최초의 수동형 통신 위성
- 1962년, 텔스타 위성 (Telstar): 세계 최초의 능동형 통신 위성
- 1972년, 아니크 1호(Anik 1): 캐나다 최초의 국내용 통신 위성
- 1974년, WESTAR: 미국 최초의 국내용 통신 위성
- 1976년, MARISAT: 최초의 휴대 단말기용 통신 위성
미국은 최초의 정지 위성인 싱콤 3호(Syncom-3)를 1964년8월 19일에 발사했다. 지표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한 정지 궤도에 통신 위성이 투입된 것은 안테나가 더 이상 위성을 따라 방향을 바꿀 필요가 없어졌다는 것을 의미했다. 또한 일반 시민들에게도 일단 안테나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텔레비전 방송 등 위성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과학적 연구를 위해 의도적으로 우주로 보내진 최초의 생물은, 1946년에 미국이 독일로부터 포획한 V2 로켓으로 대기권 밖으로 쏘아 올린 초파리(fruit fly, 초파리의 일종)였지만, 이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우주로 보내진 최초의 포유류는, 1957년에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2호로 지구 궤도를 돈 개, '''라이카'''였다. 당시, 우주를 비행한 개를 회수하는 기술은 없었고, 2002년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라이카는 스트레스와 캡슐 내 과열로 궤도 도달 직후 사망했다. 소련은 1960년 9월 18일, 스푸트니크 5호로 벨카와 스트렐카 두 마리의 개 외 다수의 쥐를 지구 궤도에 태워, 모두 무사히 지구로 귀환시키는 데 성공했다.
소련은 1968년 9월, 달로 향하는 존드 5호에 거북을 태웠는데, 이것이 처음으로 달 궤도를 돈 생물이 되었다. 한편, 미국의 우주 개발 기관도 아프리카에서 침팬지들을 수입하여, 유인 우주 비행 전에 적어도 두 마리를 우주로 보냈다.[236]

right
소련은 1960년 9월 스푸트니크 5호의 성공에 힘입어, 인간을 궤도에 올릴 계획을 세웠으나, 시험용 로켓 폭발로 수 개월 지연되었다. 1961년 4월 12일, '''보스토크 1호'''에 탑승한 '''유리 가가린'''은 인류 최초로 지구 궤도를 선회한 우주 비행사가 되었다. 4월 12일은 러시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공휴일 (우주 비행사의 날)로 지정되었다. 그는 사교적이고 노동자 계층 출신으로 체제 측에 흠 잡을 데 없는 인물이었으며, 소련의 우주 개발이 세계를 선도했다는 점을 선전하는 선전탑이 되어 세계 각국을 순방했다.
미국은 1958년 머큐리 계획을 시작, 우주 개발을 미국 항공 우주국(NASA)으로 일원화하여 유인 비행에서 소련에 앞서려 했지만, 소련에 선수를 빼앗겼다. 가가린 비행 23일 후인 1961년 5월 5일, 프리덤 7으로 앨런 셰퍼드를 우주로 보냈지만, 이는 10여 분 간의 탄도 비행에 불과했다. 1962년 2월 20일, 존 글렌은 프렌드십 7으로 지구 궤도를 3바퀴 돌며, 최초로 지구를 선회한 미국인이 되었다.
소련은 1962년 8월 11일부터 15일까지 보스토크 3호와 4호를 동시에 발사하여, 두 기체의 랑데부를 시험하고, 사상 최초의 2인 동시 우주 비행에 성공했다. 1963년 6월 16일의 보스토크 6호로 지구를 선회한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는 여성 최초의 우주 비행사가 되었다.
니키타 흐루쇼프 제1서기는 아폴로 계획 발표와 케네디 대통령의 1961년 5월 25일 미국 연방 의회 특별 양원 합동 회의에서 10년 이내 달 착륙 공언[237]에 따라 코롤료프에게 속도를 높일 것을 명령했다. 보스토크 우주선을 개량한 3인승 보스호드 1호는 1964년 10월 12일 발사되었으며, 블라디미르 코마로프, 콘스탄틴 페오크티스토프, 보리스 예고로프 3명을 우주로 보냈다. 그들은 도쿄 올림픽에 메시지를 보냈고, 1871년 파리 코뮌의 깃발도 지참했다. 보스호드 1호는 공간 부족으로 우주복을 착용하지 않은 최초의 우주 비행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비행보다 세계를 놀라게 한 것은 흐루쇼프의 갑작스러운 해임이었다.
1965년 3월 18일 발사된 보스호드 2호는 2인승으로, 알렉세이 레오노프는 인류 최초의 우주 유영을 실현했다. 그러나 이 미션은 레오노프가 캡슐로 돌아오지 못할 뻔했고, 목표 강하 지점에서 1,600km나 떨어진 곳에 착륙하는 등 간신히 대참사를 면했다. 흐루쇼프는 1964년 10월 실각했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등은 우주 개발에 전력을 쏟지 않게 되었다.

한편, 1962년부터 시작하여 1964년 4월에 무인 시험 비행을 실시한 2인승 우주선 '''제미니 계획'''은, 1965년부터 1966년까지 12기에 달하는 제미니 계획을 통해 달 착륙에 필요한 장기 우주 체류, 두 기체의 랑데부와 도킹, 연료 전지 및 자세 제어 실험, 선외 활동, 귀환 예정 지점으로의 확실한 착륙 기술 등을 축적하여 소련의 차세대 우주선 소유스에 탑재될 기술을 이미 실현했다.
6. 1. 다른 행성으로의 미션

달 탐사 외에도 미국과 소련은 금성과 화성 등 다른 행성 탐사에서도 경쟁을 벌였다.[232]
소련은 1960년에 금성과 화성에 최초의 행성 탐사선을 보냈다. 미국의 마리너 계획도 큰 성과를 거두었다. 1962년 12월 14일, 마리너 2호는 금성에 접근하여 플라이바이를 실시한 최초의 우주선이 되었다. 마리너 2호는 금성 표면의 높은 기온과 대기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했지만, 카메라가 없어 표면 영상은 얻지 못했다.[232]
소련은 베네라 계획을 통해 금성 탐사를 진행했다. 1971년 발사된 베네라 7호는 최초로 금성에 착륙한 우주선이 되었다. 베네라 9호는 금성 표면 사진을 전송하여 인류는 처음으로 다른 행성 표면의 모습을 보게 되었다. 이후 베네라 탐사선들은 금성 표면 레이더 지도를 작성하기도 했다.[232]
1965년 발사된 미국의 마리너 4호는 최초로 화성을 플라이바이한 탐사선이 되었다. 마리너 4호는 황량한 화성 표면 사진을 전송했다. 1971년 소련의 마르스 3호는 최초로 화성에 착륙했지만, 모래 폭풍으로 인해 영상 전송에는 실패했다. 같은 해 미국의 마리너 9호는 최초로 다른 행성의 인공위성이 되어 7,000장이 넘는 화성 표면 사진을 보내왔다. 1976년 바이킹 계획의 1호와 2호는 최초로 화성 표면 사진 전송에 성공했다.[232]
1974년, 미국은 마리너 10호를 발사하여 금성을 거쳐 수성으로 향했다. 이는 20세기 유일한 수성 플라이바이 탐사선이었다.[232]
목성 이원 행성 탐사는 미국의 독무대였다. 1973년 파이오니어 10호가 목성에 접근했고, 1979년 파이오니어 11호는 토성에 접근했다. 보이저 계획에서 보이저 2호는 천왕성과 해왕성에 접근했다.[232]
6. 2. 랑데부, 도킹, 정거장
1965년 12월 15일, 미국의 제미니 6-A호와 제미니 7호가 최초로 우주 공간에서 랑데부에 성공했다. 이어서 제미니 8호는 1966년 3월 16일 무인 위성과 최초로 우주 도킹에 성공했다.[239] 자동 조종에 의한 최초의 우주 도킹은 1967년 10월 30일 소련의 무인 우주선 코스모스 186호와 코스모스 188호가 실행했다.[240]최초의 우주 정거장은 소련의 살류트 계획에 의한 것이었다. 살류트 1호는 1971년 6월 7일 운용을 시작했다.[241]
7. 우주의 군사 이용 경쟁
미국과 소련은 우주 공간을 군사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도 경쟁했다. 양국은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이전부터 정찰 위성 개발 계획을 추진했다.[65] 소련의 제니트 위성은 대기권 진입 캡슐에 육상 촬영용 카메라를 실은 지표 촬영 위성이었고, 미국 공군의 코로나 위성과 경쟁했다. 1960년 8월 코로나 13호가 궤도에서 캡슐 회수에 성공했는데, 이는 소련보다 하루 앞선 것이었다.[65]
이러한 군사 위성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양국은 위성공격무기를 개발하기도 했다. 소련은 Istrebitel Sputnikov 대위성 무기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1968년 11월 위성 파괴 시뮬레이션에 성공했다.[143] 미국은 프로젝트 SAINT를 통해 대위성 능력을 확보하려 했으나, 예산 제약으로 조기에 취소되었다.[148][143][149][150]
미·소 양측은 대규모 군사 우주 계획을 세웠으나, 많은 계획이 중단되거나 다른 계획에 통합되었다.
구분 | 미국 | 소련 |
---|---|---|
초음속 대륙간 순항 미사일 | 나바호 미사일(시험계획 중지) | 브랜드 순항 미사일(계획에 머무름) |
날개 있는 우주선 | X-20 다이나소아(모형 제작에 머무름) | MiG-105(시험 비행) |
위성 정찰 유인 캡슐 | 블루 제미니(모형 제작에 머무름) | 소유스 정찰선(계획에 머무름) |
군사용 우주 정거장 | 유인 궤도 실험실(계획에 머무름) | 알마즈 계획(살류트 2호, 3호, 5호로 실현) |
군사용 유인 캡슐 | 제미니 B(비행사 없이 시험 비행) | VA-TKS(TKS 우주선의 일부로 무인 비행) |
군사용 우주 정거장의 수송기 | 제미니 페리(계획에 머무름) | TKS 우주선(무인 발사되어 살류트에 도킹 성공) |
8. 미·소의 우주 개발 경쟁의 변화
1957년부터 1975년까지 이어진 미·소 우주 개발 경쟁은 인공위성 발사, 인간의 우주 진출, 달 착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개되었다. 이 경쟁은 초기 로켓 기술 경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국제적 긴장 속에서 시작되었으며, 1957년 10월 4일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로 본격화되었다. '우주 경쟁'이라는 용어는 군비 경쟁에서 유래한 비공식적인 표현이다.
우주 경쟁은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문화, 과학 기술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우주 기술은 미사일 등 군사 기술에 활용될 수 있었고, 국민의 자긍심과 사기, 국제적 이미지 제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이점이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소련이 여러 분야에서 최초의 성과를 거두었지만, 미국은 달 착륙을 성공시키며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은 스파이와 선전을 통한 냉전 시대에 돌입했다. 우주 탐사와 인공위성 기술은 양 진영의 상징적인 냉전의 첨병이 되었다. 위성 기술을 통해 정찰기 없이 타국을 감시할 수 있게 되었고, 우주여행 성공은 국가의 과학 분야와 군사적 잠재력을 과시하는 수단이 되었다. 핵무기 운반 수단이 될 가능성이 있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에도 우주 기술이 활용될 수 있었다.
냉전 하에서 양 진영은 정치, 경제, 기술, 문화, 오락, 스포츠 등 모든 분야에서 경쟁했다. 우주 개발은 기술과 경제의 대담성을 보여주는 지표이자 국가 이데올로기의 정당성과 우수성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우주 개발은 평화적 과학적 성과와 군사적·심리적 성과를 동시에 추구했다.
특히 소련은 항공 전력 열세와 봉쇄 정책에 대한 대응으로 ICBM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소련 지도부는 로켓 산업에 자원을 집중하고 종사자들의 생활을 우대했다. 기술과 인력은 국가 기밀 속에 갇혔고, 연구 거점은 비밀 도시가 되었으며, 로켓 설계자는 소련 붕괴까지 이름조차 밝혀지지 않았다.
두 강대국은 우주 개발의 선두적인 성과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 소련은 미국보다 은밀하게 앞서 있었고, 양측 모두 신호탄이 울리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여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에 진입시켰다.[232] 이는 우주 개발 경쟁의 시작이었으며, 이후 미국, 프랑스, 일본이 뒤를 이었다. 2001년 현재, 국가별 위성 발사 개수는 러시아가 2,500개, 미국이 1,600개, 일본이 94개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이전, 미국인들은 자국이 과학 기술 모든 분야에서 세계를 압도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인공위성 기술은 경제 및 군사적 용도로 응용 가능했기에, 선수를 빼앗긴 미국 내에서는 공황과 정치적 논쟁이 발생했다. 반면, 스푸트니크 성공은 소련에게 과학력과 기술력을 과시하는 기회였고, 국위 선양에 크게 기여했다.
소련에서 스푸트니크 발사와 후속 우주 개발 계획은 대중의 큰 관심을 받았다. 독소전에서 부활한 지 얼마 안 된 소련에게 스푸트니크는 기술력 도전을 보여주는 성과로서 국민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233] 폰 브라운의 라이벌이자 R-7 로켓의 설계·개발 책임자이며 A1 로켓도 설계한 '''세르게이 코롤료프'''는 인공위성뿐 아니라 달에 우주 비행사(코스모나우트)를 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미국은 스푸트니크에 대항하여 기술적 우위를 되찾기 위해 노력했다. 수학 등 초등 과학 교육을 강화한 것이 그 일환이다.[234] 미국이 겪은 충격과 정책은 '스푸트니크 쇼크'(스푸트니크 위기)로 불린다.
존 F. 케네디 행정부의 린든 B. 존슨부통령은 미국의 정책 노력 동기에 대해 "우주에서 1등은 모든 면에서 1등이고, 2등은 무엇이든 2등이다"라고 말했다.[235]
소련의 성공에 실망하고 공포에 질린 미국 대중은 우주 개발 계획에 관심을 보였다. 로켓 모형 만들기가 인기 오락이 되었고, 텔레비전, 패션, 디자인, 광고 간판 등에 로켓 붐과 우주 붐이 파급되었다. 1960년대에는 '스페이스 에이지'를 반영한 은색 메탈릭 제품과 디자인이 유행했다. 거액의 우주 개발에 대한 불안도 있었지만, 케네디 대통령은 "우주 개발을 국가적으로 지원하고, 거액을 기존 무기 증산이나 빈곤 대책에 쓰는 것이 낫지 않겠느냐는 회의론에 승리할 것이다"라고 연설하며 국민을 격려했다.
1958년, 미국은 육군 탄도 미사일국을 통해 최초의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했다. 그러나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뱅가드 TV3을 탑재한 뱅가드 로켓이 폭발하는 등 잇따른 로켓 발사 실패가 발생했다.
초기 인공위성은 과학 탐사 목적으로 발사되었다. 스푸트니크 1호와 익스플로러 1호는 국제 지구 관측년(1957년 - 1958년)의 관측 사업 일환이었다. 스푸트니크는 대기권 상층부 공기 밀도를 측정했고, 익스플로러 1호는 제임스 밴 앨런이 밴 앨런대를 발견하는 데 기여했다.
최초의 통신 위성인 프로젝트 스코어는 1958년 12월 18일 발사되어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크리스마스 메시지를 전 세계에 중계했다. 우주 개발 경쟁에서 파생된 위성 통신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960년, 에코: 세계 최초의 수동형 통신 위성
- 1962년, 텔스타 위성(Telstar): 세계 최초의 능동형 통신 위성
- 1972년, 아니크 1호(Anik 1): 캐나다 최초의 국내용 통신 위성
- 1974년, WESTAR: 미국 최초의 국내용 통신 위성
- 1976년, MARISAT: 최초의 휴대 단말기용 통신 위성
미국은 최초의 정지 위성인 싱콤 3호를 1964년8월 19일에 발사했다. 정지 궤도에 통신 위성이 투입되면서 안테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없어졌고, 일반 시민들도 텔레비전 방송 등 위성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right
소련은 1961년 4월 12일 '''보스토크 1호'''에 탑승한 '''유리 가가린'''을 통해 인류 최초로 지구 궤도를 선회하는 우주 비행사를 배출했다. 4월 12일은 러시아 등에서 공휴일(우주 비행사의 날)로 지정되었다. 가가린은 소련의 우주 개발과 공산주의 체제 우월성을 선전하는 역할을 했다.
미국은 1958년 머큐리 계획을 시작했지만, 소련에 선수를 빼앗겼다. 1961년 5월 5일, 앨런 셰퍼드가 프리덤 7으로 우주 비행을 했지만, 탄도 비행에 그쳤다. 1962년 2월 20일, 존 글렌이 프렌드십 7으로 지구 궤도를 3바퀴 돌며 미국인 최초로 지구를 선회했다.
소련은 1963년 6월 16일 보스토크 6호로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를 우주로 보내 여성 최초의 우주 비행사가 탄생했다.
니키타 흐루쇼프 제1서기는 아폴로 계획 발표와 케네디 대통령의 달 착륙 공언[237]에 따라 보스토크 우주선을 개량하여 3인승으로 개조한 '''보스호드 1호'''를 1964년 10월 12일 발사했다. 보스호드 1호는 공간 부족으로 승무원이 우주복을 착용하지 않은 최초의 우주 비행이었다.
1965년 3월 18일 발사된 보스호드 2호는 알렉세이 레오노프가 인류 최초의 우주 유영을 실현했다. 그러나 흐루쇼프는 1964년 10월 실각했고, 새로운 지도자들은 우주 개발에 전력을 쏟지 않게 되었다.
미국은 제미니 계획을 통해 달 착륙에 필요한 기술을 축적하여 소련의 소유스에 탑재될 기술을 이미 실현했다.
미국과 소련은 무인 탐사선을 통해 달 탐사 경쟁을 벌였다. 소련은 루나 계획을 통해 1959년 9월 4일 루나 2호로 달 표면 충돌에 성공했고, 루나 3호로 달의 뒷면을 촬영했으며, 루나 9호로 달 표면 연착륙에 성공했다.
미국은 레인저 계획, 루나 오비터 계획, 서베이어 계획을 통해 아폴로 계획을 위한 기술 시험과 착륙 지점을 조사했다.
소련은 아폴로 계획에 앞서 달 착륙을 시도했지만, 1969년 7월 21일 아폴로 11호의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에 첫 발을 내딛었다. 암스트롱의 "이것은 한 사람에게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라는 말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미국과 소련은 무인 행성 탐사에서도 경쟁했다. 미국의 마리너 2호는 1962년 12월 14일 금성 플라이바이에 성공했다. 소련의 베네라 7호는 1971년 금성에 착륙했고, 베네라 9호는 금성 표면 영상을 전송했다.
1965년 미국의 마리너 4호는 화성 플라이바이에 성공했고, 1971년 소련의 마르스 3호는 화성에 착륙했지만, 영상 전송에는 실패했다. 미국의 바이킹 계획은 1976년 화성 표면 영상 전송에 성공했다.
미국은 1974년 마리너 10호로 수성을 플라이바이했고, 파이오니어 계획과 보이저 계획을 통해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탐사를 진행했다.
최초의 우주 공간 랑데부는 1965년12월 15일 미국의 제미니 6A호와 제미니 7호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최초의 우주 도킹은 1966년3월 16일 제미니 8호가 성공했고, 최초의 자동 조종 도킹은 1967년10월 30일 소련의 무인기들이 실시했다.
최초의 해양 발사는 1967년4월 26일 미국의 스카우트 B에 의해 이루어졌다.
최초의 우주 정거장은 1971년6월 7일 운용을 시작한 소련의 살류트 1호였다.
미국과 소련은 우주의 군사적 이용을 위한 개발 경쟁도 진행했다. 정찰 위성 개발, 위성 공격 무기 개발, 군사용 우주 정거장 계획 등이 추진되었지만, 대부분 계획 단계에 머물거나 중단되었다.
우주 개발 경쟁은 1969년 달 착륙을 정점으로 점차 완화되었다. 미국은 스카이랩 계획과 우주왕복선 개발에 집중했고, 소련은 우주 정거장 건설에 주력했다.
8. 1. 긴장 완화
1970년대의 냉전 긴장 완화 (데탕트)가 진행됨에 따라, 미국과 소련의 우주 개발 경쟁도 완화되었다. 1969년 달 착륙 성공 이후, 미국의 우주 과학자들은 스카이랩과 우주왕복선 개발에 집중했고, 소련은 우주 정거장 건설에 주력했다.8. 2. 아폴로-소유스 시험 계획

1972년 5월,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수상은 데탕트라고 알려진 관계 완화를 협상하여 냉전에서 일시적인 "해빙"을 만들었다. 두 나라는 마지막 미국 아폴로 우주선과 소유스를 도킹하는 공동 임무를 계획했는데, 이는 아폴로-소유스 시험 계획(ASTP)으로 알려졌다.[247] 이를 준비하기 위해 미국은 소련 도킹 시스템과 호환되는 아폴로용 도킹 모듈을 설계했는데, 이는 어떤 우주선이라도 다른 우주선과 도킹할 수 있도록 했다(예: 소유스-소유스 및 소유스-살류트). 이 모듈은 또한 호환되지 않는 선실 대기압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의 우주선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록으로도 필요했다. 소련은 1974년 12월 소유스 16호 임무를 사용하여 ASTP를 준비하기 위해 소유스 대기압과 도킹 어댑터의 수정을 테스트했다.[217][218]
공동 임무는 1975년 7월 15일 12:20 UTC에 소유스 19호가 먼저 발사되면서 시작되었고, 아폴로 우주선은 도킹 모듈과 함께 6시간 반 후에 발사되었다. 두 우주선은 7월 17일 16:19 UTC에 만나 도킹했다. 세 명의 미국 우주 비행사는 두 명의 소련 우주 비행사와 공동 실험을 수행했고, 승무원은 악수를 하고 선물을 교환했으며 서로의 우주선을 방문했다.[219]
8. 3. 전략방위구상(SDI)과 소련 붕괴
1980년대 초,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전략 방위 구상(SDI)을 발표하여 우주 무기 개발 경쟁이 일시적으로 다시 치열해졌다.[247] 이는 미사일 요격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했으나, 소련과 미국 양국의 경제를 압박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결국 이러한 경제적 압박은 1989년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의 붕괴와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를 가속화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247]9. 경쟁에 관련된 조직, 예산, 경제효과
우주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국가적인 우주 개발 기관이 설립되었다.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은 우주 개발을 위한 과학적, 산업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각각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의 경우,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설립되어 정부, 공군, 해군, 육군의 연구 기관을 통합하고 예산을 크게 늘렸다. 아폴로 계획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 발전을 이루었다.
반면, 소련은 러시아 연방 우주국과 같은 통일된 조직 없이 여러 설계국이 난립하여 예산 부족과 내부 갈등을 겪었다. 세르게이 코롤료프 사후, 소련의 우주 계획은 미국에 뒤처지기 시작했다.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 우주 개발을 진행해야 했던 소련은 결국 초기의 우위를 잃어갔다. 일부 연구자들은 우주 개발 경쟁과 군비 경쟁으로 인한 막대한 지출이 소련 경제 위기를 심화시키고 붕괴의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한다.[240]
9. 1. 미국의 NASA 창설
1958년 7월 29일,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국가항공우주법(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ct of 1958)에 서명하여,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창설했다.[248] NASA는 정부, 공군, 해군, 육군의 연구 기관을 통합했으며, 1958년 10월 1일 업무를 시작했다. NASA는 46년간 미국의 항공 기술 개발에 관여해 온 미국 항공 자문 위원회(NACA)에서 인수한 4개의 연구소와 약 8,000명의 직원으로 구성되었다.NASA의 예산은 NACA 시절 연간 500만달러에서 연간 50억달러 이상으로 크게 증가했다. NASA의 아폴로 계획 중 아폴로 11호의 달 왕복에는 200억달러에서 250억달러가 소요된 것으로 추정된다.
9. 2. 소비에트 연방의 예산 부족과 조직 난립
소련의 우주 개발은 예산 부족과 내부 연구 기관 간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소련에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같은 통일된 조직이 없었고(러시아 연방 우주국이 발족한 것은 1990년대이다),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정치적 문제나 개인 간의 갈등이 많아 발전이 더뎠다. 1964년 당시 주임 설계원들은 각자의 설계국을 가지고 다양한 계획을 난립시켰고, 소련은 설계 의도가 다른 우주선과 발사 로켓을 30개나 되는 계획안을 별도로 진행하고 있었다.[240] 세르게이 코롤료프가 1966년에 사망한 후, 소련의 우주 계획은 미국의 우주 계획에 뒤처지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1974년, 소련은 우주 계획을 재편성하여 미국의 우주왕복선을 모방한 부란 우주왕복선을 개발하는 '에네르기아 계획'을 시작했다.[240]소련은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우주 개발을 진행해야 했다. 소련의 경제는 세계 2위 규모였지만, 미국은 세계 1위였다. 예산 부족과 비효율적인 조직 운영으로 예산이 분산되면서 소련의 우주 계획은 초기의 우위를 잃어갔다. 일부 소련 연구자들은 우주 개발 경쟁과 군비 경쟁으로 인한 막대한 지출이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에 걸친 소련의 경제 위기를 심화시키고, 소련 붕괴의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한다.[240]
10. 우주 개발의 희생
우주 개발 경쟁은 인류에게 많은 과학적 성과를 가져다주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희생 또한 발생했다.
소련의 경우, 우주 개발을 위한 노력에 걸림돌이 된 것은 예산뿐 아니라 내부 연구기관 간의 분쟁도 있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같은 통일적인 조직이 아닌, 과학 기술 분야의 정치적 문제와 개인 간의 문제가 많았기 때문에 발전이 방해받았다. 수석 개발자들은 각 설계국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수뇌부에 개인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1963년에는 다양한 계획이 난립하여 설계 의도가 다른 우주선이나 로켓 30여 개의 계획이 별도로 진행되고 있었다. 독창적인 연구자였던 세르게이 코롤료프가 1966년에 사망한 뒤, 소련의 우주 계획은 미국의 우주 계획에 흔들리기 쉬웠고,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데 힘쓰게 되었다.[248]
소련은 경제적인 불리함을 안고 우주 개발을 진행해야 했다. 소련 경제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였지만, 미국의 경제는 세계 최대였다. 예산 부족과 효율적이지 않은 부서에 예산이 분산되어 낭비된 것 때문에, 예산을 집중하여 실현한 우주 개발 초기의 우위를 잃어갔다. 일부 연구자들은 우주 개발 경쟁과 군비 경쟁의 극단적인 고비용이 맞물려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 소련의 경제 위기를 심화시켰고, 소련 붕괴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양국이 각자의 위신을 걸었던 우주 경쟁은 인류 역사에 빛나는 성과를 남기는 한편, 양국의 재정에 큰 부담을 가져왔다. 특히 소련은 우주 개발과 군사 관련 생산을 우선시한 결과 경제가 피폐해져 일반 국민들에게 필요한 생활 물자가 부족한 상황에 빠졌다. 그러나 소련의 소비재 부족 문제를 우주 개발에만 돌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소련의 소비재 부족 문제는 국가의 경제 개발 목표가 경공업 신장보다는 중공업 신장에 더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10. 1. 우주비행사
아폴로 1호의 거스 그리섬, 에드워드 화이트, 로저 채피는 1967년 1월 27일 지상 훈련 중 사령선 화재로 사망했다.[151] 이는 미국 우주비행사 중 최초의 희생이었다. 소련에서는 소유스 1호의 블라디미르 코마로프가 1967년 4월 23일 대기권 재돌입 후 낙하산 문제로 사망했다.[153] 1971년 소유스 11호의 게오르기 도브로볼스키, 블라디슬라프 볼코프, 빅토르 파차예프는 지구 귀환 중 공기 누출 사고로 희생되었다.[154][155][156]미국과 소련의 우주 경쟁 이후, 우주왕복선 시대에도 사고는 이어졌다. 1986년 1월 28일 챌린저 호 폭발 사고[151]와 2003년 2월 1일 컬럼비아 호 폭발 사고[151]로 각각 7명의 우주비행사가 사망했다.
유리 가가린을 포함하여 훈련 중 사망한 비행사들도 있었다.
10. 2. 그 외의 인명피해
로켓 발사 사고 등으로 지상 근무자나 주변 주민들이 희생되기도 했다.[239] 1960년 R-16 로켓 폭발 사고(네델린 대참사)와 1996년의 창정 로켓 추락 사고는 특히 피해가 커서 각각 수백 명의 희생자가 나왔다고 전해지지만,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239]10. 3. 양국의 재정 및 경제
우주 개발 경쟁은 미국과 소련 양국에 큰 재정적 부담을 안겨주었다. 특히 소련은 냉전 시기 동안 정치, 경제, 기술, 문화, 오락, 스포츠 등 직접적인 전쟁 외 모든 분야에서 미국과 경쟁하면서, 우주 개발에 막대한 자원을 투자했다. 이는 자국의 기술력과 경제력을 과시하고 이데올로기의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함이었다.[235]특히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봉쇄 정책으로 인해 미국에 대항하기 위해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에 집중했고, 이는 우주 개발 경쟁으로 이어졌다. 소련은 로켓 산업에 막대한 자원을 투자했지만, 이는 다른 산업과 민생 부문의 발전을 저해하여 경제가 피폐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232][239]
11. 우주 개발의 유산 및 기술과 교육의 진보
우주 개발 경쟁은 항공 기술, 통신 기술, 재료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 발전을 이끌었다. 특히 미국은 스푸트니크 쇼크에 대응하여 1958년 국가 방위 교육법을 제정, 수학 등 기초 과학 교육을 강화했다.[234] 이는 베르너 폰 브라운을 능가하는 인재 육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234]
1958년 7월 29일,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국가 항공 우주법에 서명하여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을 설립했다. NASA는 미국 항공 자문 위원회(NACA)의 4개 연구소와 8,000명의 직원을 인수하여 발족했으며, 우주 개발 기술을 민간 분야에 응용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12. 우주 경쟁의 재래
1957년부터 1975년까지 지속된 우주 경쟁은 인공 위성 발사, 인간의 우주 진출, 달 착륙 계획을 포함한다. 이 경쟁은 초기 로켓 기술 경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국제적 긴장 속에서 시작되었지만, 1957년 10월 4일 소비에트 연방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로 인한 스푸트니크 쇼크로 본격화되었다. '우주 경쟁'이라는 용어는 군비 경쟁에서 유래한 비공식 용어이다.
우주 경쟁은 냉전 시기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문화, 과학 기술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우주 기술은 미사일 등 군사 기술에 응용될 수 있었고, 국민의 자긍심과 사기, 국제적 이미지 제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이익이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양국의 주요 경쟁 무대가 되었다. 초기에는 소련이 우주 개발에서 최초의 성과들을 독점했지만, 미국은 가장 인상적인 달 착륙을 성공시켰다.
미국이 승리했지만, 양국 모두 경쟁으로 인해 막대한 비용이 드는 유인 달 탐사는 정치적 임무를 마치고 중단되었다. 우주 경쟁은 일단락되었지만, 21세기 들어 아시아와 유럽 국가들이 우주 개발에 참여하면서 경쟁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우주 경쟁은 과학 기술, 특히 항공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그 영향은 로켓, 물리학, 천문학뿐만 아니라 가정용품, 고엽제 등 다양한 분야에 미쳤다. 또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미국의 정책으로 학교에서의 과학 교육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미국은 초기 우주 경쟁 계획에서 소련을 따라잡기 위해 노력했고, 이는 국방교육법(1958년) 제정으로 이어져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 수학 및 물리 교육 예산이 크게 확충되었다. 이러한 교육 정책으로 성장한 과학자들은 우주 개발 기술 연구에 종사하여 많은 성과를 냈으며, 이는 주방용품, 스포츠용품, 가전제품 등에도 적용되었다. 건조식품, 즉석식품, 흐림 방지 스키 고글 등도 우주 개발에 기반을 둔 제품이다. 마이크로 기술 역시 우주 개발 경쟁에 따른 연구로 발전이 가속화되어 시간 측정부터 휴대용 음악 재생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혜택을 주고 있다.
오늘날에는 1,000개 이상의 인공위성이 지구 궤도를 돌며 위성방송, 통신 데이터 중계, 기상, 식물 및 사람의 움직임 등 데이터를 지상에 전송하고 있다. 미국은 전자공학, 원격제어, 차량유도, 로봇 제어 분야의 선두 주자가 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는 로켓 기술 분야의 선두 주자로 남아 있다.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스푸트니크 1호를 탑재한 R-7형 로켓을 발사하여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것이 우주 개발 경쟁의 시작이었다.[232]
12. 1. 유럽과 러시아
유럽 우주국(ESA)은 아리안 4호 로켓을 통해 상용 로켓 분야에서 미국을 앞지르기 시작했고,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무인 우주 탐사 분야에서 경쟁을 시작했다.[239] ESA는 2030년까지 화성에 인류를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오로라 계획을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우주 개발 의지를 보였다. 또한 ESA는 러시아와 협력하여 2011년 발사를 목표로 무인 화성 탐사선 엑소마스 계획을 추진하기도 했다.[239]러시아 연방 우주국은 미국의 오리온 우주선에 대항하기 위해 소유즈 우주선의 후속 기종인 클리퍼 우주선 개발을 추진했다.[239] 러시아는 클리퍼 우주선을 2011년에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ESA와 공동 개발 및 출자 여부를 검토하기도 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또한 클리퍼 우주선 개발에 참여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239]
12. 2. 일본
일본은 1990년대 초반까지 상업 위성, 로켓 등 실용 위성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미국에 의한 슈퍼 301조를 내세운 실용 위성의 정부 조달에 관한 '''미일 위성 조달 합의'''(사실상 미국으로부터의 위성 수입을 의무화하는 것)에 의해 좌절된 과거가 있다. 우주 개발은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우주 산업이 성숙 단계에 접어들기 전까지는 국가에 의한 수요가 예상되지 않으면 국내 우주 산업의 발전은 정체된다(그것이 진정한 미국의 의도였다고도 한다).그럼에도 일본의 우주 개발은 착실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PLANET 계획에 의한 지구 외 천체 탐사 등에 현저하며, 달 탐사 위성 가구야가 활약한 외에도, 이온 엔진의 장기 가동 실증기와 소행성 탐사를 목표로 개발된 하야부사로 소행성에서 샘플 귀환에 성공했다. 지구 외 천체 탐사에서는 하야부사 2, 베피콜롬보 등의 발사가 예정되어 있다. 또한,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의 보급선인 고노토리를 H-IIB로 발사하고 있으며, 미국의 우주왕복선 퇴역 후에는 최대의 보급선이 될 예정이다. 유인 우주 비행에는 적극적이지 않지만 HOPE-X라는 일본판 우주 왕복선 계획이 존재하며, 현재도 우주 비행체라는 명칭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전에는 우주 개발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보 수집 위성도 발사하여 4기 체제가 되었으며, 우주 기본법으로 안전 보장용 이용도 가능하도록 법률을 변경했다. 최근에는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의 우주 기관과의 협력도 보인다.
12. 3. 중국, 인도
인도, 이스라엘, 중국 등 신흥국들이 우주 탐사 경쟁에 참여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신흥국 중에서는 인도와 중국이 유럽 우주국(ESA)이나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협력하지 않고 미국, 일본, 유럽을 따라잡고 있다고 여겨진다.특히 중국은 중국 국가항천국의 유인 우주선 계획인 '선저우' 계획을 추진하여, 선저우 5호와 선저우 6호의 유인 비행에 성공했다(유인선 성공국으로는 세 번째, 인공위성으로는 다섯 번째). 2007년에는 위성 파괴 실험을 실시하여 우주 군비 경쟁을 유발하려 했으며, 독자적인 우주 정거장 계획, 무인 달 탐사 계획인 '창어 계획', 유인 달 및 화성 탐사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인도는 인도 우주 연구 기구의 우주 개발을 추진하여, 2007년에는 국산 로켓으로 이탈리아의 천문 관측 위성을 발사했다. 2008년 4월에는 국산 지구 관측 위성 2기, 일본의 소형 위성 2기를 포함한 세계 5개국의 총 10기를 탑재한 국산 로켓 'PSLV-C9'을 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에서 발사하여(한 번에 발사한 위성 수로는 세계 최다), 상업 위성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2008년에는 무인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 발사 및 독자적인 유인 우주 비행 등을 계획하며 중국을 맹렬하게 뒤쫓고 있다.
12. 4. 한국, 브라질, 이란
대한민국은 나로호와 누리호 발사 성공을 통해 자체적인 우주 개발 역량을 입증했다.[239] 대한민국은 이미 위성 개발 능력을 갖추고 있었으나, 2009년 및 2010년에 앙가라 로켓의 1단을 기반으로 한 KSLV-1 로켓 발사는 모두 실패했다.[239]브라질은 1997년, 1999년, 2003년 3차례에 걸쳐 자체 개발 로켓으로 위성 발사를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239]
이란은 2007년 2월 및 2008년 2월에 로켓 발사 실험에 성공했으며, 2009년 2월에는 최초의 국산 위성 오미드 발사에 성공했다.[239] 이란의 로켓은 1998년에 개발한 장거리 탄도 미사일 샤하브-3의 개량형일 가능성이 높다.[239]
12. 5. 민간 우주 개발 경쟁
미국과 소련 간의 우주 개발 경쟁이 끝난 후, 민간 분야에서도 "우주 경쟁"이 나타나고 있다. 초기의 민간 우주 경쟁은 궤도에 관광객을 보내는 "우주 여행"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2001년 4월 28일, 미국의 사업가 데니스 티토는 약 2000만달러의 비용을 지불하고 러시아의 소유즈 TM-32에 탑승하여 국제 우주 정거장을 방문, 사상 최초로 자비로 우주 관광을 한 사람이 되어 세계를 놀라게 했다.[239] 민간 유인 우주선 발사(탄도 비행 포함)에 1000만달러의 상금을 건 "안사리 X Prize"는 민간 기업 간의 새로운 우주 경쟁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2004년 10월, 스페이스십원이 고도 100km의 유인 비행에 성공하여 민간 최초의 유인 우주선이 되어 상금을 획득했다.
2004년 말, 버진 그룹을 이끄는 영국의 사업가 리처드 브랜슨은 우주 여행 회사 "버진 갤럭틱"의 설립을 발표하고, 스페이스십원의 기술을 제공받아 2008년까지 승객을 태우고 탄도 비행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2. 6. 인공위성 발사 실적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면서 우주 개발 경쟁이 시작되었고,[232] 이후 미국, 프랑스, 일본 등이 뒤를 이었다. 2001년 기준으로 국가별 위성 발사 개수는 러시아(구 소련 포함)가 2,500개, 미국이 1,600개, 일본이 94개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The Space Race
https://www.history.[...]
History.com
2023-01-08
[2]
웹사이트
The Space Race
https://airandspace.[...]
2024-12-09
[3]
웹사이트
What was the space race?
https://www.space.co[...]
2024-12-09
[4]
웹사이트
Space Program {{!}} JFK Library
https://www.jfklibra[...]
2024-12-09
[5]
웹사이트
How Did NASA'S "Vomit Comet" Get Its Name? A Brief History
https://www.gozerog.[...]
2023-08-01
[6]
웹사이트
Sputnik and the Origins of the Space Age
https://www.nasa.gov[...]
2024-12-09
[7]
웹사이트
The Space Race {{!}} Miller Center
https://millercenter[...]
2024-12-09
[8]
웹사이트
Apollo 11 Command and Service Module (CSM)
https://nssdc.gsfc.n[...]
2019-11-20
[9]
웹사이트
Apollo 11 Lunar Module / EASEP
https://nssdc.gsfc.n[...]
2019-11-20
[10]
웹사이트
Apollo 11 Mission Summary
https://airandspace.[...]
[11]
웹사이트
Apollo Landing Site Coordinates
http://nssdc.gsfc.na[...]
NASA
2013-09-07
[12]
서적
Encyclopedia of United States National Securit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13]
간행물
U.S.-Soviet Cooperation in Space
https://www.princeto[...]
US Congress,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
2018-06-13
[14]
뉴스
Russia bids farewell to Mir
https://www.nbcnews.[...]
2015-06-13
[15]
웹사이트
ISS Facts and Figures
http://www.nasa.gov/[...]
NASA
2015-06-13
[16]
서적
The Rocket and the Reich: Peenemünde and the Coming of the Ballistic Missile Era
https://archive.org/[...]
The Free Press
[17]
웹사이트
Timeline: U.S.-Russia Nuclear Arms Control
https://www.cfr.org/[...]
2024-11-25
[18]
웹사이트
R-7 - SS-6 SAPWOOD Russian / Soviet Nuclear Forces
https://nuke.fas.org[...]
2024-11-25
[19]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and the Escalation of the Cold War, 1945-1962 {{!}} Department of History
https://history.stan[...]
2024-11-25
[20]
웹사이트
Cold War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I
https://weaponsandwa[...]
2020-01-10
[21]
웹사이트
GIRD (Gruppa Isutcheniya Reaktivnovo Dvisheniya)
http://weebau.com/ro[...]
2022-07-26
[22]
웹사이트
Gas Dynamics Laboratory
http://www.russiansp[...]
2022-06-09
[23]
웹사이트
Greatest World War II Weapons: The Fearsome Katyusha Rocket Launcher
https://defencyclope[...]
2022-05-20
[24]
서적
V-2 Ballistic Missile 1942–52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3-03-20
[25]
서적
Scud Ballistic Missile and Launch Systems 1955–2005
Bloomsbury Publishing
2013-03-20
[26]
서적
Russian Space Probes: Scientific Discoveries and Future Missions
Springer Praxis Books
2011
[27]
웹사이트
R-7 History
https://www.worldspa[...]
2024-11-26
[28]
웹사이트
The Military Rockets that Launched the Space Age
https://airandspace.[...]
2023-12-24
[29]
웹사이트
Russian Rockets and Space Launchers
https://historicspac[...]
2023-12-26
[30]
웹사이트
The R-7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https://www.russians[...]
2023-12-29
[31]
encyclopedia
Atlas
http://www.astronaut[...]
2020-09-28
[32]
journal
Man on the Moon: The U.S. Space Program as a Cold War Maneuver
1994-01-01
[33]
웹사이트
Atlas Missiles and Space Launchers {{!}} Historic Spacecraft
https://historicspac[...]
2024-11-26
[34]
웹사이트
How Much Do You Know About the History and Invention of WD-40?
https://www.thoughtc[...]
2024-11-26
[35]
웹사이트
WD-40 History {{!}} Learn the Stories Behind the WD-40 Brand {{!}} WD-40
https://www.wd40.com[...]
2024-11-26
[36]
서적
Into the Cosmos: Space Exploration and Soviet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
2016-01-19
[37]
웹사이트
OhioLINK Institution Selection
http://ebooks.ohioli[...]
2016-01-19
[38]
웹사이트
Sputnik and The Dawn of the Space Age
https://history.nasa[...]
NASA History Website
2007-10-10
[39]
웹사이트
Sputnik 2
https://nssdc.gsfc.n[...]
[40]
웹사이트
60 years ago: The First Animal in Orbit - NASA
https://www.nasa.gov[...]
2024-12-09
[41]
웹사이트
Analysis of Soviet Earth Satellite and Launching Device
https://www.cia.gov/[...]
1957-11-09
[42]
간행물
Atlas A
http://www.astronaut[...]
2022-11-01
[43]
서적
Aus den Arbeiten des deutschen Raketen-Kollektivs in der Sowjet-Union.
Deutsche Gesellschaft für Raketentechnik und Raumfahrt
1958-04
[44]
웹사이트
Development of guided missiles at Bleicherode and Institut 88
https://archive.org/[...]
2022-09-30
[45]
서적
Sputnik/Explorer I: The Race to Conquer Space
Chelsea House Publications
[46]
서적
The Nuclear Age
Greenhaven, Inc.
[47]
서적
Journey into Space
Grolier
[48]
논문
'"Russia Wins Space Race": The British Press and the Sputnik Moment'
[49]
웹사이트
THE NATION: Red Moon Over the U.S.
http://www.time.com/[...]
TIME
2016-02-24
[50]
서적
Space Biology and Medicine: Space and Its Exploration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51]
서적
Encyclopedia of Space Astronomy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s, Inc.
[52]
서적
Encyclopedia of Space Astronomy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s, Inc.
[53]
웹사이트
Explorer 2 - Earth Missions -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https://www.jpl.nasa[...]
2024-12-09
[54]
웹사이트
Explorer 3
https://nssdc.gsfc.n[...]
[55]
웹사이트
Explorer 3 - Earth Missions -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https://www.jpl.nasa[...]
2024-12-09
[56]
웹사이트
Birth of NASA
https://history.nasa[...]
2020-02-12
[57]
서적
Stages to Saturn
https://history.nasa[...]
NASA
2021-03-19
[58]
웹사이트
The Beginnings of Research in Space Biology at the Air Force Missile Development Center, 1946-1952
https://history.nasa[...]
NASA
1958-01
[59]
간행물
Animals and man in space. A chronology and annotated bibliography through the year 1960.
http://archive.rubic[...]
2011-06-14
[60]
뉴스
First dog in space died within hours
http://news.bbc.co.u[...]
BBC
2010-01-04
[61]
뉴스
The first creature in space was a dog. She died miserably 60 years ago
https://arstechnica.[...]
2017-11-03
[62]
문서
Laika
First Second
[63]
웹사이트
Pioneer 0, 1, 2
http://msl.jpl.nasa.[...]
2022-07-11
[64]
서적
The Radiation Belt and Magnetosphere
[65]
웹사이트
Declassified documents offer a new perspective on Yuri Gagarin's flight
https://www.thespace[...]
2015-10-12
[66]
웹사이트
Soviet Space Deceptions - not so many after all!
http://www.svengrahn[...]
2024-12-08
[67]
문서
7.1 Гражданин мира
https://books.google[...]
[68]
Russian law
[69]
웹사이트
UN Resolution A/RES/65/271, The International Day of Human Space Flight (12 April)
https://www.un.org/e[...]
2015-01-19
[70]
웹사이트
Kamanin diaries, April 16, 1965
http://www.astronaut[...]
Astronautix.com
2023-01-08
[71]
간행물
A Cosmic Wedding
[72]
서적
The 'First Lady of Space': In Her Own Words
SpaceHistory101.com Press
[73]
웹사이트
In the Beginning: Project Mercury - NASA
https://www.nasa.gov[...]
2008-10-01
[74]
AV media
As World Watched. Spaceman Hailed After U.S. Triumph, 1961/05/08 (1961)
https://archive.org/[...]
Universal Newsreel
2012-02-20
[75]
뉴스
A New Analysis May Have Just Solved A Decades-Old Mystery Of The Space Race
https://www.npr.org/[...]
2022-12-13
[76]
웹사이트
President John F. Kennedy Pins NASA Distinguished Service Medal on John Glenn
https://www.nasa.gov[...]
NASA
2015-05-13
[77]
서적
Project Mercury – NASA's First Manned Space Programme
https://archive.org/[...]
Springer Praxis
2001
[78]
AV media
Special Message to Congress on Urgent National Needs
http://www.jfklibrar[...]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3-08-01
[79]
문서
Quoted in John M. Logsdon, ''The Decision to Go to the Moon: Project Apollo and the National Interest'' (Cambridge, MA: MIT Press, 1970) p. 111.
[80]
문서
"[[David E. Bell]], Memorandum for the President,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Budget Problem\", March 22, 1961, NASA Historical Reference Collection; U.S. Congress, House, Committee of Science and Astronautics, ''NASA Fiscal 1962 Authorization'', ''Hearings'', 87th Cong., 1st. sess., 1962, pp. 203, 620; Logsdon, Decision to go to the Moon, pp. 94–100."
[81]
서적
Wolfe, Tom. The Right Stuff. New York: Picador, 1979.(179)
[82]
문서
Roger D. Launius and Howard E. McCurdy, eds, Spaceflight and the Myth of Presidential Leadership (Champaign,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7), 56.
[83]
웹사이트
Kennedy to Johnson,"Memorandum for Vice President,"
http://www.hq.nasa.g[...]
1961-04-20
[84]
웹사이트
Memo, Wernher von Braun to the Vic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http://www.hq.nasa.g[...]
NASA
2023-01-08
[85]
웹사이트
Memo, Johnson to Kennedy, Evaluation of Space Program
https://www.hq.nasa.[...]
2023-01-08
[86]
웹사이트
Address at Rice University on the Nation's Space Effort
http://www.jfklibrar[...]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0-08-16
[87]
웹사이트
Imagining a World Where Soviets and Americans Joined Hands on the Moon
https://www.smithson[...]
2024-12-10
[88]
서적
Astronomy and Astrophysics – Volume I
https://books.google[...]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EOLSS)
2012-11-30
[89]
웹사이트
THE SOVIET MANNED LUNAR PROGRAM
https://spp.fas.org/[...]
2024-12-10
[90]
웹사이트
Yes, There Was a Moon Race
https://www.airandsp[...]
2024-12-10
[91]
웹사이트
Address before the 18th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September 20, 1963
https://www.jfklibra[...]
2021-11-16
[92]
서적
Stone, Oliver and Peter Kuznick, "The Untold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Gallery Books, 2012), p. 320
[93]
웹사이트
Soviets Planned to Accept JFK's Joint Lunar Mission Offer
http://www.spacedail[...]
2011-02-01
[94]
웹사이트
United States-Soviet Space Cooperation during the Cold War
http://www.nasa.gov/[...]
2009-07-19
[95]
간행물
The COSPAR Meetings in Prague
1969-09
[96]
conference
Report on the Activities of the COSPAR Working Group VII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69-05-11
[97]
웹사이트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 Ranger 6
https://nssdc.gsfc.n[...]
National Air and Space Administration
2012-06-19
[98]
웹사이트
Luna 9
https://nssdc.gsfc.n[...]
[99]
웹사이트
Luna 10
https://nssdc.gsfc.n[...]
[100]
웹사이트
Luna 12
https://nssdc.gsfc.n[...]
[101]
웹사이트
Zond 1
https://nssdc.gsfc.n[...]
[102]
웹사이트
Zond 2
https://nssdc.gsfc.n[...]
[103]
웹사이트
Zond 3
https://nssdc.gsfc.n[...]
[104]
웹사이트
Zond 3 photography
https://nssdc.gsfc.n[...]
[105]
웹사이트
Lunar Orbiter to the Moon (1966 - 1967)
https://nssdc.gsfc.n[...]
2024-11-23
[106]
웹사이트
Lunar Orbiter Program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1-23
[107]
웹사이트
Luna 13
https://nssdc.gsfc.n[...]
[108]
웹사이트
The Mission of Luna 13: Christmas 1966 on the Moon
https://www.drewexma[...]
2016-12-24
[109]
웹사이트
USSR - Luna 13
https://www.orbitalf[...]
2024-12-09
[110]
웹사이트
Luna 13
https://nssdc.gsfc.n[...]
[111]
웹사이트
Luna E-6M
http://www.astronaut[...]
2024-12-09
[112]
웹사이트
Surveyor 1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2-09
[113]
웹사이트
Surveyor 1 - Moon Missions - NASA's Jet Propulsion Laboratory
https://www.jpl.nasa[...]
2024-12-09
[114]
웹사이트
Surveyor 3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2-09
[115]
웹사이트
Astronauts Pay a Visit to Surveyor 3 - NASA
https://www.nasa.gov[...]
2024-12-09
[116]
웹사이트
Surveyor 6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2-09
[117]
웹사이트
Surveyor 6
https://nssdc.gsfc.n[...]
[118]
웹사이트
Venus: Exploration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2-10
[119]
웹사이트
Venera 1
https://nssdc.gsfc.n[...]
[120]
웹사이트
Mariner 1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1-21
[121]
웹사이트
Mariner 2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1-21
[122]
웹사이트
Mariner 2
https://www.jpl.nasa[...]
2024-11-21
[123]
웹사이트
Venera 3
https://nssdc.gsfc.n[...]
[124]
웹사이트
Mariner 5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2-10
[125]
웹사이트
Gemini: Stepping Stone to the Moon
http://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3-10-21
[126]
뉴스
Space Troika on Target
Torstar
1964-10-13
[127]
뉴스
Russian Floats in Space for 10 Minutes; Leaves Orbiting Craft With a Lifeline; Moscow Says Moon Trip Is 'Target Now'
https://www.nytimes.[...]
1965-03-19
[128]
뉴스
Kremlin summit probably greased skids for Mr. K
Torstar
1964-10-16
[129]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Space Rendezvous
http://www.nasm.si.e[...]
Smithsonian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2006-09-17
[130]
웹사이트
Gemini8 Crew and PJs
http://www.nasaimage[...]
2010-06-15
[131]
웹사이트
Gemini Pioneered the Technology Driving Today's Exploration - NASA
https://www.nasa.gov[...]
2023-03-27
[132]
웹사이트
The Soviet Manned Lunar Program
https://fas.org/spp/[...]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FAS)
1997-01-01
[133]
서적
Korolev: how one man masterminded the Soviet drive to beat America to the moon
Wiley
1997-01-01
[134]
웹사이트
N1: The Rise and Fall of the USSR's Moon Rocket
https://www.spacefli[...]
2020-02-21
[135]
웹사이트
N1: The Rise and Fall of the USSR's Moon Rocket
https://www.spacefli[...]
2020-02-21
[136]
웹사이트
Ground Ignition Weights
https://history.nasa[...]
2014-11-08
[137]
웹사이트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and International Law
http://www.inesap.or[...]
International Network of Engineers and Scientists Against Proliferation
1999-03-05
[138]
문서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139]
Webarchive
UN website
http://documents-dds[...]
2015-11-17
[14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http://www.unoosa.or[...]
Unit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141]
문서
Papers of John F. Kennedy. Presidential Papers. National Security Files. Subjects. Space activities: US/USSR cooperation, 1961–96
http://www.jfklibrar[...]
[142]
간행물
Treaty on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Status of the Treaty
http://disarmament.u[...]
UNODA
[14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US ANTI-SATELLITE WEAPONS
https://man.fas.org/[...]
[144]
웹사이트
The Historic Beginnings Of The Space Arms Race
https://www.spacewar[...]
2024-11-21
[145]
웹사이트
The historic beginnings of the space arms race
https://www.rbth.com[...]
RBTH
2008-11-01
[146]
웹사이트
MilsatMagazine
http://www.milsatmag[...]
2024-11-21
[147]
웹사이트
The Hidden History of the Soviet Satellite-Killer
https://www.popularm[...]
2013-11-01
[148]
웹사이트
istrebitel-sputnikov-is
https://weaponsandwa[...]
2021-08-10
[149]
웹사이트
SAINT
http://www.astronaut[...]
2016-08-20
[150]
웹사이트
SAINT
http://www.astronaut[...]
2016-08-20
[151]
서적
Report of Apollo 204 Review Board
NASA History Office
2007-10-07
[152]
서적
Deke!: U.S. Manned Space from Mercury to the Shuttle
https://archive.org/[...]
Forge: St. Martin's Press
[153]
웹사이트
soyuz-1
https://sma.nasa.gov[...]
[154]
웹사이트
Vladimir Komarov's tragic flight aboard Soyuz-1
https://www.russians[...]
2024-12-07
[155]
웹사이트
Soyuz 1
https://nssdc.gsfc.n[...]
[156]
웹사이트
Spaceflight mission report: Soyuz 1
http://www.spacefact[...]
2024-12-07
[157]
웹사이트
Soyuz 1
https://web.archive.[...]
2016-08-20
[158]
웹사이트
The first man to die in the Space Race cursed the USSR the whole way down
https://www.wearethe[...]
2018-04-02
[159]
웹사이트
US Analysts Heard Russian Astronaut Komarov cursing his superiors while he plunged to his death in 1967 {{!}} The Vintage News
https://www.thevinta[...]
2015-10-26
[160]
웹사이트
A Cosmonaut's Fiery Death Retold : Krulwich Wonders... : NPR
https://web.archive.[...]
2019-05-03
[161]
웹사이트
The Tragic Death Of Vladimir Komarov, The Man Who Fell From Space
https://allthatsinte[...]
2023-05-05
[162]
문서
Burrows (1999), p. 417
[163]
웹사이트
Soyuz 4 & 5: The First Crew Exchange in Space
https://www.drewexma[...]
2022-07-24
[164]
웹사이트
Tentatively Identified Missions and Launch Failures
http://nssdc.gsfc.na[...]
NASA NSSDC
2005-01-06
[165]
서적
Chariots for Apollo: A History of Manned Lunar Spacecraft
http://www.hq.nasa.g[...]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Branch, NASA
2008-01-29
[166]
웹사이트
Apollo 11 Press Kit
http://www.hq.nasa.g[...]
2010-08-15
[167]
웹사이트
Space Program and television
http://www.museum.tv[...]
The Museum of Broadcast Communications
2010-08-11
[168]
웹사이트
Apollo 11 Lunar Surface Journal
http://www.hq.nasa.g[...]
2010-08-15
[169]
웹사이트
Apollo 11 Lunar Surface Journal
http://www.hq.nasa.g[...]
2010-08-15
[170]
웹사이트
Missions: Luna 15
2019-03-18
[171]
뉴스
Recording tracks Russia's Moon gatecrash attempt
https://www.independ[...]
2009-07-03
[172]
뉴스
The Soviets crashed a spacecraft onto the moon
https://www.washingt[...]
2024-07-17
[173]
웹사이트
Richard Nixon: Remarks at a Dinner in Los Angeles Honoring the Apollo 11 Astronauts
https://www.presiden[...]
1969-08-13
[174]
뉴스
President Offers Toast to 'Three Brave Men'
https://www.newspape[...]
1969-08-14
[175]
뉴스
Astronauts Awed by the Acclaim
https://www.newspape[...]
1969-08-14
[176]
웹사이트
The Apollo 11 Crew Members Appear Before a Joint Meeting of Congress
http://history.house[...]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8-03-03
[177]
뉴스
Apollo 11 Crew Starts World Tour
https://www.newspape[...]
1969-09-29
[178]
magazine
The Moon Landing through Soviet Eyes: A Q&A with Sergei Khrushchev, son of former premier Nikita Khrushchev
https://www.scientif[...]
2019-01-07
[179]
웹사이트
Declassified Files. Luna 16 Mission. USSR's first robotic lunar sample return mission 24 Sep 1970
https://astrotalkuk.[...]
2024-12-06
[180]
웹사이트
Luna 16
https://nssdc.gsfc.n[...]
[181]
웹사이트
Luna 17/Lunokhod 1
https://nssdc.gsfc.n[...]
[182]
웹사이트
Salyut 2
http://www.russiansp[...]
Russian Space Web
2012-07-06
[183]
웹사이트
Astrospies
https://www.pbs.org/[...]
PBS Nova
2012-07-06
[184]
웹사이트
The Almaz program
https://www.russians[...]
2024-11-26
[185]
웹사이트
The USSR begins enduring space station program
https://www.russians[...]
2024-11-26
[186]
웹사이트
descent-into-the-void
https://sma.nasa.gov[...]
[187]
웹사이트
50 Years Ago: Remembering the Crew of Soyuz 11 - NASA
https://www.nasa.gov[...]
2024-12-08
[188]
웹사이트
The Partnership: A History of the Apollo-Soyuz Test Project
https://history.nasa[...]
NASA
2007-10-20
[189]
웹사이트
50 Years Ago: The Launch of Skylab, America's First Space Station - NASA
https://www.nasa.gov[...]
2024-11-26
[190]
서적
The Voyages of Columbia: The First True Spaceship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1]
웹사이트
Salyut 7
https://nssdc.gsfc.n[...]
[192]
웹사이트
Venera 7
https://nssdc.gsfc.n[...]
[193]
웹사이트
Venera 7, The First Craft to Make Controlled Landing on Another Planet And Send Data From its Surface
https://www.amusingp[...]
2024-11-20
[194]
웹사이트
Venera 7
http://weebau.com/sa[...]
2024-11-20
[195]
웹사이트
Plumbing the Atmosphere of Venus
http://mentallandsca[...]
2024-11-20
[196]
웹사이트
Venera 9
https://nssdc.gsfc.n[...]
[197]
웹사이트
Venera 9 descent craft
https://nssdc.gsfc.n[...]
[198]
웹사이트
Venus - Venera 10 Lander
https://nssdc.gsfc.n[...]
[199]
웹사이트
Pioneer Venus 1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2-08
[200]
웹사이트
Venera 13
https://nssdc.gsfc.n[...]
[201]
웹사이트
Surface of Venus
https://pages.uorego[...]
2024-11-19
[202]
웹사이트
Drilling into the Surface of Venus
http://mentallandsca[...]
2024-11-19
[203]
웹사이트
Venera 14
https://nssdc.gsfc.n[...]
[204]
웹사이트
Vega 1
https://nssdc.gsfc.n[...]
[205]
웹사이트
Vega 2
https://nssdc.gsfc.n[...]
[206]
웹사이트
'In Depth {{!}} Vega 2'
https://solarsystem.[...]
2024-11-20
[207]
웹사이트
28. "Big Joe" Boulder
https://www.lpi.usra[...]
2024-12-08
[208]
웹사이트
Catalog Page for PIA00572
https://photojournal[...]
2024-12-08
[209]
웹사이트
Mars 3 Lander
https://nssdc.gsfc.n[...]
[210]
웹사이트
viking-1
https://www.jpl.nasa[...]
[211]
웹사이트
Viking 1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12-07
[212]
웹사이트
Viking 1 - Mars Missions -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https://www.jpl.nasa[...]
2024-12-08
[213]
웹사이트
viking-2
https://science.nasa[...]
[214]
웹사이트
Viking 2 - Mars Missions -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https://www.jpl.nasa[...]
2024-12-08
[215]
웹사이트
Viking Mission to Mars
https://mars.nasa.go[...]
[216]
웹사이트
Winds of Mars: Aeolian Activity and Landforms
https://www.lpi.usra[...]
2024-12-08
[217]
서적
The Soviet Manned Space Program
https://archive.org/[...]
Orion Books, a division of Crown Publishers, Inc.
[218]
서적
Almanac of Soviet Manned Space Flight
Gulf Publishing Company
[219]
웹사이트
The Partnership: A History of the Apollo–Soyuz Test Project
https://history.nasa[...]
NASA
2011-05-04
[220]
웹사이트
Space Shuttle - NASA
https://www.nasa.gov[...]
2024-12-08
[221]
뉴스
How the Soviet space shuttle fizzled
https://www.nbcnews.[...]
NBC News
2023-01-08
[222]
서적
The Rebirth of the Russian Space Program: 50 Years After Sputnik, New Fronti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2-09
[223]
뉴스
ISS Passing Old Russian Mir In Crewed Time
http://www.aviationw[...]
2010-10-29
[224]
웹사이트
Who really won the US-Soviet space race?
https://newsroom.co.[...]
2024-01-25
[225]
웹사이트
Calls For a New Way of Thinking About the Global Space Race - SPACE & DEFENSE
https://spaceanddefe[...]
2024-01-25
[226]
웹사이트
The Heavens and the Earth: A Political History of the Space Age -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https://www.fpri.org[...]
2024-12-07
[227]
웹사이트
The Heavens and the Earth: A Political History of the Space Age
https://www.history.[...]
[228]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the ISS
https://www.txstate-[...]
2020-01-15
[229]
웹사이트
U.S. Human Spaceflight Program Still Strong, NASA Chief Says
http://www.space.com[...]
Space.com
2012-07-02
[230]
웹사이트
Russia wants to land 3 next-generation Luna spacecraft on the moon by 2025
https://www.space.co[...]
2024-11-24
[231]
웹사이트
NASA Outlines Challenges, Progress for Artemis Moon Missions
https://spacenews.co[...]
2024-11-24
[232]
웹사이트
Sputnik and The Dawn of the Space Age
http://history.nasa.[...]
NASA
2009-06-27
[233]
뉴스
Both Sides of the “Moon”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1957-10-12
[234]
간행물
Sputnik Revisited: Historical Perspectives on Science Reform
http://www.nas.edu/s[...]
2007-03-20
[235]
문서
ジョンソンからケネディへの[[1961年]][[4月28日]]の書簡
[236]
문서
[[1997年]]6月、アメリカ空軍はまだ生き残っていたチンパンジーたちを議会承認のもと民間への資産分割のため放出すると発表した。2ヵ月後チンパンジーは[[ニューメキシコ州]]の研究施設に譲渡されたが、動物保護団体の訴訟により[[1999年]]にチンパンジーは南フロリダの自然保護区に放されることになった。
[237]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jfklibrar[...]
2007-09-20
[238]
웹사이트
A Historic Meeting on Human Spaceflight
http://history.nasa.[...]
1962-11-20
[239]
서적
Space Exploration
Eyewitness Books
[240]
문서
James Oberg、『Final Frontier』誌、『The New Book of Popular Science Annual』1992年版に再掲載
[241]
간행물
平成19年版 世界の航空宇宙工業
http://www.space-lib[...]
社団法人 日本航空宇宙工業会
2015-11-08
[242]
웹인용
Sputnik and The Dawn of the Space Age
http://history.nasa.[...]
NASA
2009-06-27
[243]
뉴스
Both Sides of the “Moon”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1957-10-12
[244]
저널
Sputnik Revisited: Historical Perspectives on Science Reform
http://www.nas.edu/s[...]
2007-03-20
[24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jfklibrar[...]
2012-08-05
[246]
웹사이트
A Historic Meeting on Human Spaceflight
http://history.nasa.[...]
1962-11-20
[247]
서적
Space Exploration
Eyewitness Books
1997
[248]
간행물
Final Frontier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