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계 (지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계(지리학)는 지리적, 정치적, 사회적 맥락에서 공간을 구분하는 선이나 구역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자연적 특징이나 변방과 같은 모호한 개념으로 경계를 인식했지만, 현대에는 명확한 경계선이 확립되었다. 경계는 자연 경계, 기하학적 경계, 정치적 경계 등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며, 해양, 영공 등에도 적용된다. 국경은 국가의 주권 행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국경 통제, 무역, 분쟁 등 다양한 사회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한국은 남북 분단으로 인한 비무장 지대(DMZ)와 서해 북방한계선(NLL) 등 특수한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초국가적 협력과 국경 연구의 발전을 통해 경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계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 경계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경계 (지리학)
지리학적 경계
정의정치적 실체의 지리적 한계
중요성자원, 정체성, 경제적 활동에 영향
예시국가 경계
지방 자치 단체 경계
행정 구역 경계
참고국경, 행정 구역
경계의 유형
물리적 경계자연적인 지형지물을 이용 (예: 산맥, 강)
인위적 경계인간이 설정한 경계 (예: 위도, 경도, 직선)
문화적 경계문화적 요소를 기반으로 설정 (예: 언어, 종교)
경계의 기능
분리서로 다른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영역을 분리
연결교류와 협력의 통로 역할
상징국가 또는 지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
경계 연구 분야
정치 지리학경계가 정치적, 사회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제 지리학경계가 경제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 지리학경계가 문화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2. 역사적 배경

근대 이전 시대에는 '경계'라는 용어가 명확하지 않아 '경계선' 또는 '경계 지역'으로 세분화하여 표현해야 했다. 중세 시대에는 정부의 통치력이 수도에서 멀어질수록 약해졌고, 특히 통과하기 어려운 지형의 경계 지역은 많은 무법자들을 끌어들였다.[3]

과거에는 많은 경계가 명확한 선이 아닌, 양쪽 모두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중간 지역, 즉 변방이었다. 현대의 사례로는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중립 지대(1922년~1991년)와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 지대(1922년~1970년)가 있었다. 현대에는 변방이 명확하게 정의된 경계선으로 대체되었다.

2. 1. 근대 이전의 경계

근대 이전 시대에는 '경계'라는 용어가 명확하지 않아, '경계선' 또는 '경계 지역'으로 구분해야 했다. 중세 시대에는 정부의 통치력이 수도에서 멀어질수록 약해지는 경향이 있었고, 특히 통과하기 어려운 지형의 경계 지역은 많은 무법자들을 끌어들였다.[3]

과거에는 많은 경계가 명확한 선이 아닌, 양쪽 모두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중간 지역, 즉 변방이었다. 현대의 사례로는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중립 지대(1922년~1991년)와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 지대(1922년~1970년)가 있었다. 현대에는 변방이 명확하게 정의된 경계선으로 대체되었다.

고대 일본에서는 (고개, 분수령)이나 등 자연이 형성한 경계를 그대로 경계로 여겼다. 이후 다리언덕과 같은 인위적인 개념이 포함된 경계도 사용되었다.

개발이 진행되면서 토지 경계를 정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히타치국 풍토기』에는 야쿠라마타치와 야토가미(夜刀神)의 다툼을 통해 인간과 자연 (미개지 및 그 상징인 신)과의 경계가 생겨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다이카 개신 이후, 고리제에서 율령제적인 령제국 형성에 따라 각지에서 국경과 군경의 획정이 진행되었다. 조리제를 통해 토지 경계선 획정도 이루어졌다.

율령제가 붕괴되고 장원제가 진행되면서, 장원 권리자 등이 독자적으로 사지 경계를 설정했다. 산천 등의 자연 경계, 행정적 경계선, 길, 용수로, 묘지 등 인위적인 시설을 이용했지만, 경계 소송 등의 분쟁도 빈번했다. 교토가마쿠라 등의 도시에서는 사계를 정하여 사각사계제를 시행하거나, 마을에서는 지장이나 을 세워 경계의 증표로 삼았다.

도요토미 정권은 총무사령을 발령하여 경계 소송 재판권을 자신에게 모으고, 제후들을 동원하여 어전장과 국지도를 작성하게 하여 재정 기초 자료로 삼았다. 이 정책은 에도 막부에도 계승되어 국지도나 향장이 작성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다이묘 배치나 행정 구분이 확립되었다.

일본 국토·영역 경계에 대한 인식도 변천을 겪었다.

송서』에 따르면, 왜의 왜5왕 중 무는 남조 황제에게 올린 상표문에서 자신의 영역 확장 실적을 언급했다.

중세 일본에서는 사지, 즉 경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연희식』에서는 무쓰국을 동쪽 끝, 도사국을 남쪽 끝, 사도국을 북쪽 끝으로 한다. 도이의 침입 당시 다자이곤노소치는 무사들에게 "신라 (실제로는 고려) 경계에 들어가지 말라"고 명령하여, 일본과 고려 사이에 국경이 존재함을 인식했다. 중세 시대 일본 열도는 동서로 길게 뻗어 있었고, 에조(홋카이도) 또는 소토가하마(쓰가루 반도 동부)와 귀계가 섬(키카이 섬 또는 이오 섬)이 일본의 동서 끝이자 유배지로 여겨졌다. 남북의 끝은 크게 의식하지 않았지만, 북쪽은 사도, 남쪽은 도사 또는 구마노라는 설이 있었다. 일본과 조선중국 국경으로 조류 경계인 지쿠라가 오키(지쿠라가 오키)라는 관념이 생겼다. 그러나 국가 주권이 성립되지 않아 국경 개념은 모호했고, 묘본사본 『소가가타리』에서 일본 서쪽 끝을 "귀계·고려·유황도"로 하는 등 의식과 현실의 괴리가 있었고, 후세에도 영향을 미쳤다.

2. 2. 변방에서 국경으로

근대 이전 시대에는 '경계'라는 용어가 명확하지 않아 경계의 양쪽 모두를 가리킬 수 있었으므로, '경계선' 또는 '경계 지역'으로 나누어 표현해야 했다. 중세 시대에는 정부의 통치력이 수도에서 멀어질수록 약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경계 지역(특히 통과하기 어려운 지형)은 많은 무법자들을 끌어들였고, 이들은 종종 동조자들을 찾았다.[3]

과거에는 많은 경계가 명확하게 정의된 선이 아니라 양쪽 모두가 영유권을 주장하며 다투는 중간 지역이 존재했는데, 이를 변방이라고 불렀다. 현대의 특별한 사례로는 1922년부터 1991년까지 존재했던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중립 지대와 1922년부터 1970년까지 존재했던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 지대가 있었다. 현대에는 변방이 명확하게 정의되고 경계가 확정된 경계선으로 대체되었다.

2. 3. 일본의 경계 인식

고대 일본에서는 산(고개, 분수령)이나 강 등의 자연이 형성한 경계를 그대로 경계로 여겼다. 이후, 다리나 언덕과 같은 인위적인 개념이 포함된 경계도 사용되게 되었다.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토지의 경계를 정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히타치국 풍토기』에 나오는 야쿠라마타치와 야토가미(夜刀神)의 다툼에서는 인간과 자연 (미개지 및 그 상징인 신)과의 경계가 생겨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다이카 개신 이후, 고리제에서 율령제적인 령제국 형성에 따라, 각지에서 국경・군경의 획정이 진행되었다. 또한, 조리제에 의해 토지의 경계선 획정도 이루어지게 된다.

율령제가 붕괴되어 장원제가 진행되면서, 장원의 권리자 등이 독자적으로 사지의 경계를 설정하게 된다. 산천 등의 자연 경계, 행정적인 경계선, 길이나 용수로, 묘지 등 인위적인 시설 등을 이용하여 경계선을 설정하게 되었지만, 동시에, 경계 소송 등으로 불리는 분쟁도 빈발하게 되었다. 교토가마쿠라 등의 도시에서는 사계를 정하여 사각사계제를 행하거나, 마을에서는 지장이나 을 세워 경계의 증표로 삼았다.

도요토미 정권은 이러한 경계 소송의 재판권을 자신에게 모으기 위해 총무사령을 발령하는 동시에, 제후들을 동원하여 어전장과 국지도를 작성하게 하여, 재정의 기초 자료로 삼았다. 이 정책은 에도 막부에도 계승되어, 자주 국지도나 향장이 작성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다이묘 배치나 행정 구분의 확립 등이 이루어졌다.

일본이라는 국토·영역의 경계에 대한 인식 역시 다양한 변천을 겪어왔다.

송서』에 따르면, 왜의 왜5왕 중 한 명인 무는 남조 황제에게 올린 상표문에서 "동쪽으로는 모인을 정벌하여 55개국. 서쪽으로는 여러 오랑캐를 복종시켜 66개국. 건너서 해북을 평정함이 95개국."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영역 확장의 실적에 대해 언급했다.

중세에 들어서면서 토지와 마찬가지로 일본에도 사지, 즉 경계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연희식』에서는 무쓰국을 동쪽 끝, 도사국을 남쪽 끝, 사도국을 북쪽 끝으로 하고 있다. 도이의 침입 당시, "신라 (실제로는 고려)의 경계에 들어가지 말라"는 다자이곤노소치의 무사들에게 대한 명령이 내려졌으며, 일본과 고려 사이에 국경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중세 시대에는 일본 열도는 동서로 길게 뻗어 있었고, 에조 (홋카이도) 또는 소토가하마 (쓰가루 반도 동부 지역)와 귀계가 섬 (키카이 섬 또는 이오 섬)이 일본의 동서의 끝으로, 국내의 부정을 방출하는 땅 (즉, 유배지)으로 생각하는 것이 널리 행해졌다. 또한, 그 지리관에서 남북의 끝에 대해서는 그다지 의식하지 않았지만, 북쪽은 사도, 남쪽은 도사 또는 구마노로 하는 설이 있었다. 또한 일본과 조선중국의 국경으로 조류의 경계가 되는 지쿠라가 오키 (지쿠라가 오키)라는 관념이 생겨났다. 그러나 국가 주권이 성립되지 않았던 당시에는 국경 개념이 매우 모호했으며, 묘본사본 『소가가타리』에서 일본의 서쪽 끝을 "귀계·고려·유황도"로 하는 등, 의식과 현실의 괴리가 보였으며, 후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경계의 유형

경계는 크게 자연적 경계와 인위적 경계로 나눌 수 있다.
자연 경계, 산맥, 호수, 등 지형적 특징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된 경계를 말한다. 이러한 자연 경계는 사람들의 통행과 물자 수송에 어려움을 주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 정치적 경계를 설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했다.
정치적 경계는 사람들의 합의나 조약, 전쟁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경계이다. [4] 정치적 경계는 강이나 산맥과 같은 자연 지형을 따르기도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기하학적 경계는 위도나 경도처럼 지역의 특성과 관계없이 직선이나 곡선으로 이루어진 경계이다. 주로 식민지배에서 벗어난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중동 지역 국가에서 많이 나타난다.
잔존 경계는 과거에는 경계선이었지만 현재는 그 기능을 상실한 경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과거 동독서독 사이의 내독일 경계는 통일 이후 사라졌지만, 여전히 그 흔적이 남아 문화적, 경제적 경계로 작용하고 있다.
통제선(LoC)은 둘 이상의 국가 간 군사적 충돌이나 분쟁으로 인해 확정된 국경선 대신 군사력이 배치된 임시 경계를 말한다. 인도파키스탄 사이의 심라 협정을 통해 설정된 휴전선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0]
해양 경계영해, 접속 수역, 배타적 경제 수역 등 바다에서의 국가 관할권을 나타내는 경계이다. [12][13] 유엔 해양법 협약에 의해 인정되며, 국가 간 자원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영공 경계는 국가가 통제하는 대기 공간의 범위를 나타낸다. 항공 주권에 따라 국가는 영공을 규제하고 보호할 권리를 가지며,[16] 수평 경계는 보통 해안선에서 12해리까지, 수직 경계는 카르만 선(100km 고도)까지로 간주된다.[18]

3. 1. 자연 경계

알프스산맥의 남서쪽 끝이 프랑스와 이탈리아 두 나라를 분리하는 모습을 밤에 촬영한 사진.


자연 경계는 통신과 운송에 자연적인 장애물을 제공하는 지리적 특징이다. 기존의 정치적 국경은 종종 이러한 역사적, 자연적 장애물을 공식화한 것이다.

자연 경계를 구성하는 지리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대양: 대양은 매우 비용이 많이 드는 자연 경계를 형성한다. 매우 적은 수의 국가만이 두 개 이상의 대륙에 걸쳐 있다. 매우 크고 자원이 풍부한 국가만이 오랜 기간 동안 대양을 가로질러 통치하는 데 드는 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
  • : 일부 정치적 국경은 강으로 형성된 자연 경계를 따라 공식화되었다. 정확한 선을 원할 경우, 종종 강을 따라 가장 깊은 선인 최심수로를 따라 그린다.
  • 호수: 더 큰 호수는 자연 경계를 형성한다.
  • : 더 울창한 정글이나 숲은 강력한 자연 경계를 만들 수 있다.
  • 산맥: 많은 국가가 산맥을 따라, 종종 분수령을 따라 정치적 국경을 정의한다.


역사를 통틀어 기술 발전은 자연 경계를 가로지르는 운송 및 통신의 비용을 줄여왔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경계의 중요성을 감소시켰다. 결과적으로, 아프리카나 아메리카와 같이 더 최근에 공식화된 정치적 국경은 유럽이나 아시아와 같은 매우 오래된 국경보다 자연 경계에 덜 부합하는 경향이 있다.

지구의 육지 지형은 크게 기복과 경사가 큰 산지와 기복과 경사가 작은 평지로 나눌 수 있다[51]。인류의 여러 활동은 행동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평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50]。산지는 평지만큼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생활 자원도 부족하다[50]。산지와 평지의 경계에 있는 지형에는 구릉, 대지, 단구, 선상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지형에서는 특징적인 환경을 볼 수 있다[50]

3. 2. 정치적 경계

정치적 경계는 인간의 행위에 의해 세상에 부과된다.[4] 강이나 산맥이 정치적 경계를 따라갈 수는 있지만, 그러한 지형적 특징이 정치적 경계를 자동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주요한 물리적 장벽이 될 수 있을지라도 마찬가지이다.

정치적 경계는 눈에 띄는 지구의 지형적 특징을 따르는지 여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한다. 윌리엄 마일스(William Miles)는 영국과 프랑스가 전 세계 국제 경계의 거의 40%에 달하는 길이를 따라간다고 말했다.[5] 정치 행정상의 경계에는 국경, 주 경계, 촌락 경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경계의 대부분은 자연 발생적인 경우가 많으며, 분수계, 호수, 해양, 수목 등 자연적인 사물이 경계가 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인위적인 사물이 경계가 되는 경우가 있다.[52]

국가주권 아래 주민과 영토를 지배하며, 그 경계가 되는 것이 국경이다.[53] 고대 국가에서는 영역의 한계에 대한 관념이 희박하여 변방에 의해 영역이 구분되었다.[50] 고대 국가에서는 방어를 위해 삼림, 산악, 사막, 늪지 등의 자연적 장벽이 이용되었다.[50] 주민의 증가나 개척 전선의 확장에 따라 국가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타국과의 경계를 확정할 필요성이 생겼다.[50]

고대 일본에서는 (고개, 분수령)이나 등의 자연이 형성한 경계를 그대로 경계로 여겼다. 이후, 다리언덕과 같은 인위적인 개념이 포함된 경계도 사용되게 되었다.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토지의 경계를 정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히타치국 풍토기』에 나오는 야쿠라마타치와 야토가미(夜刀神)의 다툼에서는 인간과 자연 (미개지 및 그 상징인 신)과의 경계가 생겨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다이카 개신 이후, 고리제에서 율령제적인 령제국 형성에 따라, 각지에서 국경・군경의 획정이 진행되었다. 또한, 조리제에 의해 토지의 경계선 획정도 이루어지게 된다. 율령제가 붕괴되어 장원제가 진행되면서, 장원의 권리자 등이 독자적으로 사지의 경계를 설정하게 된다. 산천 등의 자연 경계, 행정적인 경계선, 길이나 용수로, 묘지 등 인위적인 시설 등을 이용하여 경계선을 설정하게 되었지만, 동시에, 경계 소송 등으로 불리는 분쟁도 빈발하게 되었다. 교토가마쿠라 등의 도시에서는 사계를 정하여 사각사계제를 행하거나, 마을에서는 지장이나 을 세워 경계의 증표로 삼았다.

도요토미 정권은 이러한 경계 소송의 재판권을 자신에게 모으기 위해 총무사령을 발령하는 동시에, 제후들을 동원하여 어전장과 국지도를 작성하게 하여, 재정의 기초 자료로 삼았다. 이 정책은 ವಿರು막부에도 계승되어, 자주 국지도나 향장이 작성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다이묘 배치나 행정 구분의 확립 등이 이루어졌다.

3. 3. 기하학적 경계

기하학적 경계는 해당 지역의 물리적, 문화적 특징과 관계없이 직선(위도선 또는 경도선) 또는 때로는 호(펜실베이니아/델라웨어)로 형성된다.[7] 이러한 정치적 경계는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중동과 같이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난 국가에서 자주 발견된다. 캐나다-미국 국경은 우즈호 (온타리오주미네소타주)에서 서쪽 태평양까지 대략 약 3500.31km에 걸쳐 49번째 위도를 따른다.

3. 4. 잔존 경계

만리장성은 중국 북쪽 국경을 넘어오는 사람들과 군대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오늘날 만리장성은 잔존 경계이다.


잔존 경계는 더 이상 법적인 경계가 아닐 수 있는 이전의 경계를 의미한다. 하지만 이전 경계의 존재는 여전히 지형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독서독 사이의 내독일 경계는 더 이상 국제 경계가 아니지만, 지형에 역사적 표지가 남아 있기 때문에 여전히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독일에서 문화적, 경제적 경계로 남아 있다. 다른 예시로는 베트남 비무장 지대(1975년 이후 폐지)와 예멘 아랍 공화국남예멘 사이의 경계(1990년 이후 폐지)가 있다. 때때로 잔존 경계는 어떤 형태로든 재구성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사이의 경계는 1960년 두 식민지가 합쳐져 독립 국가 소말리아를 형성하면서 사라졌지만, 1991년 이전 영국령 소말릴란드가 독립을 선언했을 때 이전 영국-이탈리아 선을 동쪽 경계로 주장했다.[9]

3. 5. 통제선 (Lines of Control)

통제선은 둘 이상의 국가 사이에 아직 영구적인 국경 지위를 확보하지 못한 군사화된 완충 국경을 의미한다. 통제선은 일반적으로 군대의 통제를 받으며 공식적인 국제 국경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휴전선으로 공식적으로 알려진 통제선은 처음 심라 협정을 통해 인도파키스탄 사이에 만들어졌다.[10] 휴전선과 유사하게, 통제선은 일반적으로 전쟁, 군사적 교착 상태 및 해결되지 않은 토지 소유 분쟁의 결과이다.[11]

3. 6. 해양 경계

해양 경계는 국가가 광물 및 생물 자원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갖는 해양 지역을 둘러싸는 경계선으로,[12] 해양 지형, 한계 및 구역을 포함한다.[13] 해양 경계는 해양 국가의 관할 경계를 나타내며 유엔 해양법 협약에 의해 인정된다.

해양 경계는 영해, 접속 수역 및 배타적 경제 수역의 맥락에서 존재하지만, 이 용어는 육지 경계의 맥락에서 고려되는 호수 또는 경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해양 경계는 명확히 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확실하게 남아있다. 이는 지역 문제를 보여주는 여러 요인에 의해 설명된다.[15]

3. 7. 영공 경계

영공은 국가의 통제 하에 있는 국제 및 해상 경계 내에 위치한 대기를 의미한다. 모든 주권 국가는 항공 주권의 국제법에 따라 영공을 규제하고 보호할 권리를 가진다.[16] 영공의 수평 경계는 해양법의 "공해" 정책과 유사하다. 영공은 국가 해안에서 12해리까지 뻗어 있으며, 나토 평시 보호를 받지 않는 한 자체 영공을 보호할 책임을 진다.[16][17] 국제 협정에 따라 국가는 태평양과 같은 국제 영공에 대한 보호 또는 통제 책임을 질 수 있다. 영공의 수직 경계는 공식적으로 설정되거나 국제적으로 규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직 영공은 일반적으로 카르만 선에서 끝난다는 데 합의가 있다.[18] 카르만 선은 지구 표면으로부터 100km 고도에 있는 최고점으로, 대기(영공)와 외우주(우주법의 적용을 받음) 사이의 경계를 설정한다.[19]

4. 경계와 관련된 사회 현상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국경은 일자리와 식량을 찾아 이동하고, 친족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식민지 시대 서구 열강은 노동력 모집 독점권을 얻으려 했고, 이는 이주 패턴의 변화를 가져왔다. 국경 지역 사람들은 초국가적인 문화, 사회적 네트워크를 유지했다.

정치적 국경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많은 국경에는 국경 검문소가 설치되어 사람과 물품을 검사한다.

여권과 비자 등 법적 서류를 제시해야 국경을 넘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외국인은 이민 서류나 취업 허가가 필요할 수 있지만, 서류 소지가 국경 통과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상품 이동에는 소비세가 부과될 수 있으며, 관세 공무원이 징수한다. 동물(또는 사람)은 격리될 수 있고, 불법 약물이나 멸종 위기 동물 운반은 금지된다. 밀수는 공식 검사를 회피하는 불법 이동이다.

헤르몬산 지역의 이스라엘, 시리아, 레바논 국경. 이스라엘과 레바논 사이의 청색선은 검은 별표, 시리아와의 이스라엘 휴전선(1974)은 파란색 별표, 이스라엘과의 시리아 휴전선(1974)은 빨간색 별표로 표시.


국경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양측 합의
  • 일방 부과
  • 제3자 부과
  • 이전 국가 등으로부터 상속
  • 이전 내부 국경 상속
  • 미정의


국경은 ''사실상'' 군사적 휴전선일 수도 있다.

국경에서 배에 탑승하는 미국 세관 및 국경 관리 요원


유럽에서는 솅겐 조약과 유럽 연합 법률로 개인 통제가 폐지되었다. 암스테르담 조약 이후 EU 및 솅겐 지역 국가 내 국경 통과 법률 제정 권한은 EU에 속한다(영국과 아일랜드 제외).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 동안 캐나다-미국 국경과 미국-멕시코 국경 통제를 강화했다. 미국-멕시코 국경은 "선진국개발도상국 간의 세계에서 가장 긴 경계"로 불리기도 한다.[38]

스위스-이탈리아 국경


만리장성, 마지노 선, 하드리아누스 장벽 등 역사적 국경은 다양한 역할을 했다. 석벽인 만리장성과 하드리아누스 장벽은 군사적 기능이 있었지만, 로마 국경은 경제 활동을 장려했다.[38] 마지노 선은 군사적 목적이었으나, 독일은 벨기에를 통해 우회했다.

4. 1. 국경 통제

밀수, 이민, 침투가 문제가 되는 곳에서 많은 국가들은 울타리 및 장벽으로 국경을 강화하고 공식적인 국경 통제 절차를 시행한다. 이러한 절차는 미국과 같이 내륙으로 확장될 수 있는데, 미국 세관 및 국경 보호국은 육지 또는 해상 경계에서 최대 약 160.93km까지 관할권을 행사한다.[22] 반면에 일부 국경은 단순히 표지판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유럽 솅겐 지역 내 국가들과 캐나다-미국 국경의 시골 지역에서 흔하다. 국경은 심지어 표식이 전혀 없을 수도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외딴 지역이나 숲이 우거진 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국경은 종종 "취약"하다고 묘사된다.

앰배서더 다리를 건너 미국에서 캐나다로 진입


규제된 국경은 국가 및 관할권 간의 사람과 무역의 이동에 대한 통제 정도가 다양하다. 대부분의 산업화된 국가는 입국에 대한 규제를 가지고 있으며 비자 확인, 여권 확인 또는 세관 검사[23]와 같은 절차 중 하나 이상을 요구한다. 대부분의 규제된 국경은 이민, 야생 동식물, 마약이나 무기 등 불법 물품에 대한 규제를 가지고 있다. 전반적인 국경 규제는 국가 및 지방 정부에 의해 부과되며 국가 및 현재의 정치적 또는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규제가 심한 국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이스라엘, 캐나다, 영국, 아랍에미리트 등이 있다.[24]

인도와 파키스탄 국경에서 인도와 파키스탄 국경 경비대


'''개방 국경'''은 국가 및 관할 구역 간의 사람 이동에 대한 규제 완화 또는 규제 부재를 의미한다. 이 정의는 사유지 간의 무역 또는 이동에는 적용되지 않는다.[25] 대부분의 국가는 자국 내 여행에 대해 개방 국경을 유지하고 있지만, 더 권위주의적인 국가는 과거 소련의 프로피스카와 같이 시민의 국내 이동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국가와 개방 국경을 규제 완화한 국가는 소수에 불과하며, 그 예로는 솅겐 조약에 따른 유럽 국가 또는 개방된 벨라루스-러시아 국경이 있다.[26] 개방 국경은 모든 국가에서 매우 흔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규제되어 덜 일반화되었고 대부분의 산업 국가에서는 더 이상 실현 가능하지 않게 되었다.[27] 개방 국경의 예로는 29개 유럽 국가가 상호 국경 통제를 폐지한 솅겐 지역이 있다.[28]

4. 2. 국경 무역과 경제

샌디에이고–티후아나 사이의 미국-멕시코 국경.


미국과 멕시코를 분리하는 해변의 국경 장벽.


국경은 무역 활동을 감소시켜 경제 활동과 개발을 저해한다.[34][35][36]

국경의 존재는 종종 특정 경제적 특징이나 변칙 현상을 촉진한다. 두 관할 구역이 접촉하는 곳마다 국경 무역을 위한 특별한 경제적 기회가 발생한다. 밀수는 전형적인 사례이며, 반대로 국경 지역은 소비세 또는 수입수출 서비스(합법적이거나 준법적이거나, 부패했거나 정당한) 제공을 통해 번성할 수 있다. 국경 양쪽의 서로 다른 규정은 해당 국경 근처에 서비스를 장려할 수 있다. 따라서 포르노그래피, 매춘, 알코올, 불꽃놀이, 마약 제공은 국경, 도시 경계, 카운티 경계, 항만공항 주변에 집중될 수 있다. 더욱 계획적이고 공식적인 맥락에서, 경제 특별 구역 (SEZ)은 종종 국경이나 항만 근처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상품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인식되지 않더라도 국가는 관세를 징수하고 외환 수입으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해 국경 간 무역을 문서화하고 규제하려고 할 것이다.[37] 따라서 합법적인 상품에 대한 비공식 무역 개념이 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의 뿔 지역 유목민의 가축 국경 간 무역이 있다. 에티오피아는 매년 2.5억달러에서 3억달러 상당의 가축을 소말리아, 케냐, 지부티에 비공식적으로 판매하며, 이는 공식 추정치의 100배가 넘는다.[37]

국경을 넘나드는 인간의 경제적 이동 (납치 제외)은 직장과 주거 지역 간의 대규모 통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업에 대한 내부 장벽 제거는 프랑스 혁명 이후의 프랑스나 1940년대 이후의 유럽에서와 같이, 국경 기반의 경제 활동을 약화시키고 자유 무역을 촉진한다. 유로지역은 경계를 넘나드는 통근을 중심으로 구축된 유사한 공식 구조이다.

4. 3. 국경 분쟁

비무장 지대(DMZ)는 둘 이상의 국가, 집단, 군대 등이 경계 내에서 군사 활동을 금지하기로 합의한 곳이다. DMZ는 전쟁 경계, 휴전선,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또는 '사실상'의 국제 국경 역할을 할 수 있다. 국제 국경의 예로는 남북한 간의 38선이 있다.[29]

국경 분쟁은 해당 영토를 분리하는 국경에서 발생하는 영토 간의 분쟁이다. 이는 한쪽 당사자가 상대방의 정체성과 이익과 양립할 수 없는 국경과 관련된 정체성 또는 이익을 구축할 때 발생한다.[39] 국경 분쟁 또는 그러한 분쟁의 가능성은 많은 국경이 요새, 무인 지대, 비무장 지대, 분계선, 완충 지대와 같은 구역 설정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이다. 국경 분쟁의 예로는 38선 (북한과 남한 사이), 서사하라 분쟁,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카슈미르 지역 분쟁과 같은 산발적인 충돌과 전쟁이 있다.

국경 분쟁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데, 가장 흔하게는 영토 분쟁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카슈미르 분쟁의 경우와 같다.[40]

5. 한국의 특수한 경계

한국은 한반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휴전선을 경계로 북한과 분단되어 있다. 이 휴전선은 한국 전쟁의 결과로 생긴 특수한 경계이다.

5. 1. 남북 분단과 비무장 지대 (DMZ)

비무장 지대(DMZ)는 둘 이상의 국가, 집단 또는 군대가 경계 내에서 군사 활동이나 무력 사용을 금지하기로 합의한 경계이다. DMZ는 전쟁 경계, 휴전선,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또는 '사실상' 국제 국경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무장 국제 국경의 예로는 남북한 간의 38선이 있다.[29]

DMZ는 국가의 통제가 금지되어 인간의 영향에 노출되지 않아 한반도 비무장 지대와 같은 자연 국경 또는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발전할 수 있다.[32]

6. 현대 사회와 경계의 변화

국경은 단순한 만남과 교환을 넘어 국경 중첩과 협력과 같은 복합적인 형태를 촉진하거나 차단하기도 한다.

6. 1. 초국가적 협력과 국경 지역

유럽 연합이나 북미 자유 무역 협정(NAFTA)과 같은 거시 지역 통합 계획은 국경 지역의 설립을 촉진했다. 이러한 국경 지역은 교통 및 환경 악화와 같이 국경을 초월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 또는 지역 당국이 추진하는 계획이다.[41] 많은 국경 지역은 상호 문화 소통과 대화는 물론 국경 간 경제 개발 전략을 장려하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유럽에서 유럽 연합은 Interreg 프로그램을 통해 국경 지역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유럽 평의회는 국경 간 협력에 관한 기본 협약을 발표하여 유로 지역에서 실제로 거의 사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국경 간 협력을 위한 법적 틀을 제공한다.

6. 2. 경계 연구의 발전

1990년대 말부터 국경 연구는 부활을 맞이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세계화 이론과 함께 국경 없는, 탈영토화된 장소로 세계가 변해가고 있다는 담론에 대한 반대 담론의 창출에서 비롯되었다.[42][43] 최근 연구 활동으로는 학자 네트워크인 국경 지역의 전환(Border Regions in Transition)이 있으며,[44] 더럼 대학교 국제 경계 연구소,[45] 북아메리카 기반 국경 연구 협회,[46] 아프리카 국경 연구 네트워크[47], 네이메헌[48] 및 벨파스트 퀸스 대학교에 소규모 국경 연구 센터 설립 등이 있다.[49]

6. 3. 경계 예술 (Border Art)

경계 미술은 현대 미술의 한 분야로, 특히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인 '프론테라'와 같은 사회·정치적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80년대 중반에 시작된 이 예술적 실천은 고향, 국경, 감시, 정체성, 인종, 민족, 국적 등에 대한 질문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개념 미술의 한 형태인 경계 미술은 예술가들이 정체성과 국적에 대한 유사한 관심사를 탐구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위치가 미국-멕시코 국경에 국한되지 않는다. 국경은 사람들과 가족을 분리하는 분열이 될 수 있으며, 언어, 문화, 사회 및 경제 계층, 종교, 국가 정체성을 포함한다. 또한, 국경은 멕시코와 미국 간의 티후아나-샌디에이고 국경과 같이 국경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 사회에서 묘사되는 주류 문화 및 정체성과는 별개인 응집력 있는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는 국경 지대를 만들기도 한다.

경계 미술은 물리적이거나 상상적인 경계에 대한 참조로 만들어진 예술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예술은 사회, 정치, 물리적, 감정적, 민족주의적 문제들을 다룬다. 경계 미술은 특정 매체에 국한되지 않으며, 경계 미술가들은 종종 인간의 신체와 물리적 토지의 강제적인 정치화, 그리고 국경과 경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임의적이지만 매우 해로운 분리에 대해 다룬다. 이 예술가들은 종종 스스로 "국경을 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전통적인 예술 제작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으며(퍼포먼스, 비디오 또는 매체의 조합을 통해), 예술가이자 활동가가 될 수 있으며, 여러 사회적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많은 경계 미술가들은 그들의 예술적 실천과 작업에서 쉬운 분류를 거부한다.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 Pearson 2016
[2] 서적 Cultural Borders of Europe: Narratives, Concepts and Practices in the Present and the Past Berghahn Books 2017
[3] 서적 Outlaw in Medieva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
[4] 간행물 Reexamining Fiat, Bona Fide and Force Dynamic Boundaries for Geopolitical Entities and their Placement in DOLCE http://www.edwardhea[...] 2012
[5] 서적 Scars of Partition: Postcolonial Legacies in French and British Borderlands U of Nebraska Press 2014
[6] 간행물 Frontier, Fortification, and Forestation: Defensive Woodland on the Song–Liao Border in the Long Eleventh Century 2018-07
[7] 웹사이트 Why Are U.S. Borders Straight Lines? https://daily.jstor.[...] 2023-01-05
[8] 서적 Spatial Information Theory. Proceedings of COSIT 1995 Springer Verlag 2017-01-03
[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maliland http://www.chr.up.ac[...] Government of Somaliland 2010-02-02
[10] 뉴스 Simla Agreement https://www.stimson.[...] 2018-07-24
[11] 뉴스 The Future of Kashmir http://news.bbc.co.u[...] 2018-07-24
[12] 웹사이트 General info http://www.vliz.be/v[...] 2010-11-19
[13] 웹사이트 Maritime definitions http://www.ga.gov.au[...] 2010-11-19
[14] 웹사이트 Maritime boundaries http://www.state.gov[...] 2010-11-19
[15] 서적 Maritime Regime Building: Lessons Learned and Their Relevance for Northeast Asia https://books.google[...] 2001
[16] 백과사전 Air law https://www.britanni[...] 2018-07-26
[17] 웹사이트 NATO Air Policing https://ac.nato.int/[...] NATO 2019-02-28
[18] 학위논문 The Vertical Limit of State Sovereignty http://apps.dtic.mil[...] McGill University 2005-06
[19] 웹사이트 Bulletin 20 – Space Weapons Ban: Thoughts on a New Treaty http://www.inesap.or[...] 2018-07-26
[20] 간행물 National Finitude and the Paranoid Style of the One https://research.gol[...] 2020-09-29
[21] 웹사이트 Making claims https://discoveringa[...] 2023-11-29
[22]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in the 100-Mile Border Zone https://www.aclu.org[...] 2018-05-03
[23] 웹사이트 Types of International Borders along the U.S.–Mexico Border http://www.siue.edu/[...] 2018-07-28
[24] 뉴스 Border Force: The world's toughest customs and immigration http://www.traveller[...] 2018-07-28
[25] 웹사이트 open border Definition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dictionary.ca[...] 2018-07-27
[26] 웹사이트 Schengen Area - Migration and Home Affairs – European Commission https://ec.europa.eu[...] 2018-07-27
[27] 웹사이트 International Union for the Scientific Study of Population : XXIV General Population Conference, Salvador da Bahia, Brazil : Plenary Debate no 4 http://www.populatio[...] 2018-07-26
[28] 웹사이트 Schengen Area – European Commission https://home-affairs[...] 2024-10-23
[29] 백과사전 demilitarized zone (DMZ) https://www.britanni[...] 2018-07-26
[30] 백과사전 Antarctic Treaty https://www.britanni[...] 2018-07-26
[31] 백과사전 Outer Space Treaty https://www.britanni[...] 2018-07-26
[32] 뉴스 Wildlife preserve planned for Korean demilitarized zone https://www.nytimes.[...] 2007-06-07
[33] 뉴스 Military Zones Mean Boon For Biodiversity http://www.neontommy[...] 2018-07-26
[34] 간행물 Gravity with Gravitas: A Solution to the Border Puzzle https://www.aeaweb.o[...] 2022-07-26
[35] 간행물 Trade and Urbanization: Evidence from Hungary 2022
[36] 논문 The Border Population Effects of EU Integration https://onlinelibrar[...] 2022-07-26
[37] 웹사이트 Working across borders – Harnessing the potential of cross-border activities to improve livelihood security in the Horn of Africa drylands http://www.odi.org.u[...] 2010
[38] 뉴스 Roman Empire: gold standard of immigration http://www.latimes.c[...] 2007-06-20
[39] 논문 The European Union and Border Conflicts: The Transformative Power of Integration https://www.jstor.or[...] 2024-11-24
[40] 뉴스 China and the Kashmir crisis http://news.bbc.co.u[...] 2024-11-24
[41] 논문 Building governance institutions across European borders http://hdl.handle.ne[...] 1999
[42] 논문 Fences and neighbours in the post-modern world: boundary narratives in political geography 1998
[43] 논문 The lines that continue to separate us: Borders in our borderless world 2006
[44] 웹사이트 Border Regions in Transition IX Conference, North American and European Border Regions in Comparative Perspective: Markets, States and Border Communities http://publicadmin.u[...] 2008-01-12
[45]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ies Research Unit http://www.dur.ac.uk[...] 2008-09-24
[46] 웹사이트 Association for Borderland Studies http://www.absborder[...] 2008-09-24
[47] 웹사이트 ABORNE http://www.aborne.or[...]
[48] 웹사이트 Nijmegen Centre for Border Research http://www.ru.nl/ncb[...] 2008-09-24
[49] 웹사이트 Centre for International Borders Research (CIBR) http://www.qub.ac.uk[...]
[50] 서적 さかいの地理学 古今書院 1989
[51] 서적 さかいの地理学 古今書院 1989
[52] 서적 さかいの地理学 古今書院 1989
[53] 서적 さかいの地理学 古今書院 1989
[54] 서적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 Pearson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