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는 경제 발전 수준과 정치적 특성을 반영하는 용어로서, 지리적 위치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글로벌 노스는 선진국, 글로벌 사우스는 개발도상국을 지칭하며, 북아메리카, 유럽, 이스라엘, 일본, 대한민국, 호주, 뉴질랜드 등이 글로벌 노스에 속한다. 반면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아시아(일부 제외),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 제외) 등은 글로벌 사우스로 분류된다. 이 용어는 칼 오글스비가 1969년 처음 사용했으며, 냉전 시대의 제3세계 개념을 대체하며 20세기 후반부터 널리 사용되었다. 글로벌 사우스는 낮은 생활 수준,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농업 중심 경제 등을 특징으로 하며, 브란트 라인은 이러한 남북 격차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 간의 불평등 심화에 대한 논의와 함께, 남남 협력을 통한 개발을 모색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한반도, 대만, 중국, 일본 등에서도 지역 간의 경제적 격차를 남북 문제로 지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지리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경제지리학 - 콤비나트
    콤비나트 모델은 중국에서 특정 산업 집중화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개발 모델로, 경제 성장에 기여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라는 부작용도 검토해야 한다.
  • 경제 세계화 - 경제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는 애덤 스미스에 의해 발전된 경제 이론으로, 정부의 경제 개입 최소화, 사유 재산, 개인 계약을 중시하며 봉건제와 중상주의에 반대한다.
  • 경제 세계화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 사회 문제 -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는 사생활 보호 및 자기 정보 통제권으로, 철학적, 역사적 기원을 가지며 기술 발전과 함께 침해 가능성이 커져 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위한 철학적, 사회적, 기술적 과제로 남아있다.
  • 사회 문제 - 자해
    자해는 자살 의도 없이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히는 행위로, 정신적 고통 완화나 도움 요청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고, 정신사회적 치료법으로 치료하며,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예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
개요
정의북반구와 남반구와 대조되는 용어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
관련 용어제1세계
제2세계
제3세계
역사
기원1969년 베트남 전쟁에 대한 남반구 국가들의 공동 대응에서 유래
반둥 회의 정신과 신국제경제질서 요구에 기반
발전냉전 종식 후 북-남 문제의 새로운 표현으로 등장
탈식민주의 시대의 유산
특징
일반적 특징소득 불평등, 자원 접근 제한, 교육 및 의료 기회 부족
높은 인구 성장률과 그로 인한 부양 부담
열악한 기반 시설과 사회 서비스 부족
경제적 특징개발 우선순위: 경제 및 사회 발전
선진국과의 격차 해소 노력
정치적 특징과거 식민지 경험 공유
국제 관계에서 공동의 목소리 강화 노력
비판
개념의 모호성국가 간 경제적, 사회적 차이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남반구'라는 단일 범주로 묶는 것의 문제점 지적
일부 국가 (예: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타이완)는 높은 경제 수준에도 불구하고 '남반구'로 분류되는 모순 발생
내부 불균형남반구 국가 내에서도 상당한 경제적, 사회적 불균형 존재
관련 개념
핵심 개념중심-주변부 모델
종속 이론
세계체제론
대안적 개념다극 세계
글로벌

2. 정의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는 지리적 위치보다는 경제 발전 수준과 정치적 특성을 반영하는 용어다.[3] 일반적으로 글로벌 노스는 선진국을, 글로벌 사우스는 개발도상국을 지칭하지만,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2]

UNCTAD에 따르면, 글로벌 노스는 북아메리카, 유럽, 이스라엘, 일본,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를 포함한다.[73] 반면, 글로벌 사우스는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아시아(일본, 이스라엘, 대한민국 제외), 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제외) 등을 포함한다.[9][2]

남반구 국가들은 대체로 낮은 소득, 높은 빈곤 수준, 높은 인구 성장률, 제한된 교육 기회, 부족한 의료 시스템 등 낮은 생활 수준을 특징으로 한다.[77] 또한, 남반구 도시들은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을 갖춘 경우가 많다. 남반구 국가들은 농업이 주요 경제 수단이다.

인간 개발 지수 범주를 나타내는 세계 지도 (2019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0년에 발표됨)


범례


3. 용어의 발전

칼 올레스비는 1969년 가톨릭 저널 ''코먼웰''의 베트남 전쟁 특별호에 "남반구"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그는 수백 년 동안 "북반구의 남반구 지배가 고통스러운 사회 질서를 낳았다"고 주장했다.[80]

이 용어는 20세기 후반에 인기를 얻었으며, 21세기 초반에 급격하게 확산되었다. 2004년에는 20편 이하의 출판물에 등장했지만, 2013년에는 수백 편의 출판물에 등장했다. "남반구"라는 단어는 제3세계 또는 개발도상국과 같은 이전 용어에 비해 덜 계층적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81]

국가들을 경제적, 발전적 수준에 따라 구분하는 개념은 냉전 시기 ·서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소련중국동양을, 미국과 그 동맹국은 서양을 대표했다.[82] 제3세계라는 용어는 20세기 후반 알프레드 소비의 1952년 기사 "Trois Mondes, Une Planète"에서 유래했다. 초기 제3세계는 냉전의 동서 갈등뿐만 아니라, 국가들의 식민지 지위와 빈곤을 강조했다.[83]

제3세계를 독자적인 정치적 주체로 활용하려는 노력으로, 1955년 반둥 회의가 열려 동서 갈등의 양쪽에 속하지 않는 대안을 모색했다.[84] 1961년에는 제1차 비동맹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 동시에 세계 경제를 "핵심"과 "주변"으로 구분하는 종속 이론이 발전하면서, '북'과 '남'이라는 용어가 국제 정치 용어에 등장했다.[85]

1973년 알제에서 열린 비동맹 정상회의에서 신국제경제질서 추구가 시작되었다.[86] 같은 해 욤키푸르 전쟁으로 OPEC 국가들이 시작한 석유 금수조치로 세계 유가가 상승했다.[87] 이는 세계적인 불황을 야기했고, 선진국들은 보호무역 정책을 강화하고 남반구 국가들에 대한 원조를 줄였다.[88] 많은 남반구 국가들이 부채를 갚지 못하자, IMF는 자유화 개혁을 조건으로 추가 대출을 연장했다.[89] 이러한 정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케인스의 대외 원조 접근법에서 벗어난 것이었다.[90] 1987년 이후, 구조조정 정책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보고서로 인해 IFI는 반빈곤 프로젝트를 추가했다.[91] 냉전 종식과 소련 해체 이후, 일부 제2세계 국가들은 제1세계에, 다른 국가들은 제3세계에 편입되었다. 이에 따라 "북"과 "남"이라는 용어가 더 널리 사용되었다.[92]

3. 1. 브란트 라인

브란트 라인, 1980년대에 세계를 선진 북쪽과 개발도상 남쪽으로 나눈 유물


CIA 월드 팩트북(2013)에 따른 국가별 평균 위도 및 1인당 GDP. 브란트 라인은 굵게 표시되어 있다.


브란트 라인은 1980년대 서독의 전 총리 빌리 브란트가 제안한 개념으로, 세계를 부유한 북반구와 가난한 남반구로 나누는 시각적 표현이다.[93] 이 선은 대략 북위 30도를 기준으로 하며, 미국과 멕시코 사이, 아프리카중동 북쪽을 지나, 중국몽골 위로 올라가서 일본,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뉴질랜드를 '부유한 북쪽'에 포함시키기 위해 남쪽으로 내려간다.[23]

이후 브란트 라인은 브란트 보고서로 알려졌다.[22] 2023년 현재 브란트 라인은 구식이라는 비판을 받지만, 세계적 불평등을 가시화하는 데 여전히 유용하다.[94]

3. 2. '남반구' 용어의 사용

'남반구'라는 용어는 남반구 국가들이 정치, 경제, 사회, 환경, 문화,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는 과정에서 등장했다.[95] 이러한 협력은 남남 협력(SSC)이라고 불리며,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 간의 상호 이익 증진과 세계 경제 변화를 추구하는 장기적인 목표를 가진 정치적, 경제적 용어이다.[96] 남남 협력은 세계 시스템에서 불리한 입장에 있는 국가들 간의 연대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7]

남남 협력은 국가 주권 존중, 국가 소유권, 독립성, 평등, 무조건성, 국내 정치 불간섭, 상호 이익의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98] 이러한 협력을 통해 남반구 국가들은 높은 인구 압력, 빈곤, 기아, 질병, 환경 악화, 갈등, 자연 재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식, 기술, 전문 지식, 자원을 공유한다.[99] 또한, 환경 보호, HIV/AIDS와 같은 국경을 초월하는 문제와 자본 및 노동의 이동에 대해서도 협력한다.[99]

사회 정신과 의사 빈센초 디 니콜라는 세계화에 대한 비판과 글로벌 정신 건강 운동의 격차를 잇는 다리로서 남반구를 적용하고, 보아벤투라 데 소자 산투스의 "남반구의 인식론" 개념을 도입하여 사회 정신 의학의 새로운 인식론을 제시했다.[100]

4. 개발 정의

'인간 지리 사전(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은 발전을 "사회적 변화의 과정이거나 국가 경제를 변형하는 계급과 국가 프로젝트"로 정의한다.[101]

경제 발전은 특정 경제에서의 진전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기술의 발전, 농업 중심 경제에서 산업 중심 경제로의 전환, 그리고 생활 수준의 향상을 의미한다.[102]

북반구에 속하는 것은 발전을 함축하고, 남반구에 속하는 것은 그 반대를 의미한다. N. Oluwafemi Mimiko에 따르면, 남반구는 적절한 기술이 부족하고 정치적으로 불안정하며, 경제는 분열되어 있으며, 외환 수입은 주로 북반구로 수출되는 주요 제품의 가격 변동에 의존한다. 남반구가 수입 및 수출에 대해 행하는 제어 수준이 낮음은 남반구가 제국주의적 시스템에 순응하도록 한다. 남반구의 발전 부족과 북반구의 고도 발전은 그들 사이의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남반구를 발달된 국가들의 원자재 공급원으로 남긴다.[103] 북반구는 경제 발전산업화를 상징하며, 남반구는 이전 식민지국가로서 국제 원조 계획의 형태로 도움이 필요한 나라들을 대표한다.[104]

5. 분열 설명 이론

의존 이론은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진 남북 간의 불평등한 관계가 남반구의 빈곤을 야기했다고 주장한다.[106] 이 이론은 전 식민지 국가들의 경제가 외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계속해서 지향되어 왔으며, 이러한 발전 체제가 산업화된 나라에서 발견되는 심각한 계급 구조를 재생산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107]

라틴 아메리카 구조주의는 남반구 국가의 경제가 외부 경제에 의존하여 자본 축적 과정을 완성하지 못한다고 분석한다.[108][109] 이들은 주요 자원 수출국이 제조업 제품에 의존하는 문제를 지적하며, 수입 대체 산업화 정책을 통해 수입된 제품을 국내 제품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0][111]

새로운 경제 지리학은 기업 집단화의 차이로 인한 산업 경쟁력 격차를 설명한다.[112] 북반구는 남반구보다 기업 집단화가 더 많아 산업이 더 경쟁력 있게 되었으며, 북반구의 임금이 일정 수준에 도달할 때만 기업이 남반구에서 운영하는 것이 유리해져 집단화가 시작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5. 1. 관련 이론

종속 이론 학자들은 정보가 하향식 접근 방식을 가지며,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이 정보를 받기 전에 먼저 글로벌 노스로 전달된다고 주장한다.[36] 이들 국가 중 다수는 정치적 또는 경제적 도움에 의존하지만, 이는 정보가 서구적 편견을 띄고 학문적 종속성을 초래할 기회를 열어준다.[20] 메넬레오 리토뉴아는 종속 이론의 문제점에 대해 "제3세계/글로벌 사우스 국가의 빈곤과 저개발의 기본적인 맥락은 전통주의가 아니라 부유하고 강력한 국가와 가난하고 약한 국가 사이의 지배-종속 관계"라고 설명한다.[20]

현대화 이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이 개발도상국을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돕기 위해 재정적으로 지원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되었다.[37] 이 이론은 "제1세계/글로벌 노스의 모습과 유사하게 글로벌 사우스를 재구성"하려 했으며,[20] "사회가 서구의 기술 자본, 조직 형태, 과학 기술을 개발도상국에 '수입'함으로써 현대화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국가들이 서구의 방식을 따르면 더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38]

탈개발 이론 학자들은 현대화 시도의 영향에 의문을 제기하며, 모든 개발도상국이 서구의 방식을 따를 필요는 없으며, 대신 자체 개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지역 사회가 글로벌 자본 및 기타 현대적 선택의 영향 없이, 그들이 인식하는 대로 자체 개발 경로를 추구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유럽 중심적 모델의 패러다임 전체를 거부하고 비서구 사회에 대한 새로운 사고 방식을 옹호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9] 탈개발의 목표는 서구적 방식을 거부하고 비서구적 방식을 포용함으로써 개발을 개혁하기보다는 거부하는 것이었다.[40]

6. 논의

세계화국제 통화 기금(IMF), 세계 은행, 세계 무역 기구(WTO) 및 다양한 유엔 관계 기관과 같은 국제 기구의 발전 노력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지만, 이들 간에는 세계화와 불평등 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한다.[125] 일부는 세계 경제 모델로서 세계화의 정확성을 비판하며, 세계 정치에서 국가의 영향력과 지역 무역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26] 최근에는 남반구를 세계 경제 질서에 더욱 의미 있게 통합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27]

1978년 시작된 중국개혁개방 이후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은 북반구 중심의 경제력을 분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120] 2015년 기준으로, 남반구의 하위 60개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들이 수입, 다변화 및 세계 시장 참여 측면에서 북쪽에 뒤처지고 있다고 여겨졌다.[121] 그러나 제이슨 히켈과 로버트 웨이드 같은 학자들은 세계적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남반구에서 북반구로의 자원 유출이 여전히 심각하다고 주장한다.[122] 히켈은 2015년에 남반구에서 북반구로 240조달러 이상의 무차별적인 이익이 추출되었으며, 이는 남반구에 제공된 재정 지원의 약 30배에 달한다고 주장했다.[123][124]

북반구와 남반구의 분리는 국제 환경 협력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경제적 차이로 인해 지구 온난화에 대한 과학적 증거와 데이터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는데, 이는 남반구가 북반구의 데이터를 신뢰하지 않고 자체 데이터를 생산할 기술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128] 이러한 상황은 책임, 비용 부담, 남반구의 추격 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분열을 야기하며, 이는 신흥 강대국의 등장과 함께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정부, 기업, 비정부 기구(NGO) 등 다양한 행위자들은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의 분열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북반구와 남반구 정부 간의 분쟁은 국제적 논의를 붕괴시키고 있다. 대부분의 환경 문제는 국제적 협력을 필요로 하지만, 북반구와 남반구는 모든 형태의 이행과 집행에 대한 정체를 야기하며, 이는 주요 문제로 남아 있다.

6. 1. 용어 논쟁

'남반구'라는 용어는 이전의 '개발도상국'이나 '제3세계'와 같은 용어보다 덜 위계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129][81] 글로벌 사우스 개발 매거진의 공동 편집자인 레이 앤 덕은 이 용어가 "이들 국가의 자주성과 발전을 위협하는 지배적인 힘에 저항하는 데 더 적합하다"고 주장했다.[130]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글로벌 남반구 부서의 공동 설립자인 알바로 멘데스는 이 용어가 주는 힘에 찬사를 보냈으며, 2030년까지 세계 중산층 인구의 80%가 개발도상국에 거주할 것으로 예측했다.[131]

그러나 이 용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비판론자들은 이 용어가 모호한 포괄적인 용어라고 주장하며,[132] 이 용어의 사용과 그 결과가 주로 남반구 국가들의 상류층에게 이익을 주고 있다고 비판한다.[133]

학자 앤 마흐러는 남반구 개념이 냉전 시대 급진적 정치 사상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134] 그는 남반구가 지리적으로 유연하게 사용되며, "현대 자본주의 세계화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공간과 사람들"을 지칭한다고 설명한다.[135] 즉, 지리적 북쪽에도 경제적 남쪽이 존재하고, 지리적 남쪽에도 북쪽이 존재한다는 것이다.[135]

7. 향후 개발

일부 경제학자들은 국가간 국제 자유 무역 및 장벽이 없는 자본 이동이 남북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경우 더 공정한 무역과 자본 흐름은 개발도상국이 경제적으로 더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137]

브라질과 같이 남반구의 일부 국가들은 급속한 발전을 통해 높은 수준의 남-남 지원을 개발하고 있다.[138] 특히 브라질은 높은 수준의 지원(매년 10억달러로 많은 전통적 기부국들을 앞서는)과 자체 경험을 활용하여 높은 수준의 전문 지식 및 지식 전달을 제공하는 데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대기 중인 세계 모델로 묘사되었다.[139]

유엔은 2015년까지 달성해야 할 밀레니엄 개발 목표를 설정하여 북남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 이 목표들은 극심한 빈곤과 기아 근절, 세계적 보편적 교육 및 보건 실현, 성 평등 촉진 및 여성 자립, 아동 사망률 감소, 모성 보건 개선, HIV/AIDS, 말라리아 및 기타 질병 대비, 환경 지속 가능성 보장, 개발을 위한 세계적 동반자관계 발전을 포함한다.[140] 이 목표들은 2015년 유엔 총회에서 설정된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 대체되었으며, "2030 의제"라는 유엔 결의의 일부이다.[141]

8. 사회와 문화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 간의 사회, 문화적 차이는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난다. 특히 미디어 표현과 디지털 기술 격차에서 두드러진다.

8. 1. 디지털 기술 격차

글로벌 디지털 및 기술적 격차는 종종 남북 분열과 대응한다고 특징지어지지만, 인터넷 사용, 특히 고속 인터넷 접속은 아시아에서 다른 대륙과 비교하여 급증하고 있다.[142] 이 현상은 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이 구형 인터넷 기술과 인프라를 도약할 수 있는 능력과,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경제 호황에 힘입어 가능해졌다.[143]

8. 2. 미디어 표현

대중 매체는 종종 남반구를 북반구와 비교하며, 이러한 비교는 분열을 돕는 요인으로 여겨진다. 서양 매체는 개발도상국을 일반화된 시각으로 제시하며, 편향된 보도를 통해 빈곤 및 기타 부정적인 이미지에 과도하게 집중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보도는 개발도상국이 서양의 가치와 기준에 비해 사회, 경제, 정치적으로 후퇴되었다는 스테레오타입을 만들었다.[144]

또한 대중 매체는 개발도상국 사람들이 받는 정보에 영향을 미쳤다. 뉴스는 주로 선진국을 다루며 정보 흐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145] [65] [66]

9. 지역 수준에서의 남북 문제

지구적 규모의 남북 문제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의 경제 격차도 남북 문제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69] 이러한 현상은 특정 국가나 지역 내에서 경제적 격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에서는 북부 이탈리아와 남부 이탈리아 간의 경제 격차가, 영국에서는 잉글랜드 남부와 북부 간의 격차가 존재한다. 한반도의 경우, 대한민국(한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간의 경제적 격차뿐만 아니라, 한국 내에서도 수도권과 남부 지역 간의 격차가 나타난다.

9. 1.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북부 이탈리아와 남부 이탈리아 간의 경제 격차가 크다. 북부는 밀라노, 제노바, 토리노를 중심으로 중공업이 발달했지만, 남부는 1차 산업 중심이다. 1960년대 바노니 계획으로 타란토 제철소와 아우토스트라다가 건설되는 등 남부 개발 노력이 있었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남부 실업률은 북부의 4배에 달했고, 많은 남부 주민들이 독일 등 타국으로 돈을 벌러 가거나 이민을 갔다.[1]

이 때문에 북부에서는 남부에 세금을 빼앗긴다는 불만이 커져 북부 동맹 같은 분리주의 세력이 등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의 지지가 반드시 국가 분리를 원하는 것은 아니며, 남부에 대한 비판적인 표심으로 해석할 수 있다.[2]

최근에는 마피아가 쇠퇴하고 전자·정보 산업 등 선진 공업이 성장하면서 남부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메리디올리 메카니카 등 남부 기업들이 성장하고, 남부 실업률도 개선 추세에 있다. 북부와의 실업률 격차도 3배 정도로 줄었다. 프로디 정권 하에서는 남부 개발 계획이 수정되어, "제3의 이탈리아"를 참고한 새로운 경제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북부 동맹도 공격 대상을 남부에서 불법 이민으로 바꾸고 남부에서 지지세를 늘리는 등, 이탈리아의 남북 격차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3]

9. 2. 프랑스



전통적으로 남프랑스와 북프랑스의 대립 구도가 존재한다.

9. 3. 영국

그레이트브리튼 섬을 국토의 주요부로 하는 영국에서는 수도 런던을 비롯해 버밍엄, 옥스퍼드, 케임브리지 등 대도시와 부유한 지역은 섬의 남부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 한때 산업 혁명 시대에 제조업 등으로 번영을 누렸던 잉글랜드 북부의 맨체스터, 리버풀, 리즈, 뉴캐슬스코틀랜드의 최대 도시 글래스고 등은 1960년대~80년대 영국병으로 불린 경제 침체 속에서 급속히 쇠퇴했다. 그 후 마거릿 대처 정권 시대에 영국 경제의 중심이 금융업으로 옮겨가면서 영국의 부는 런던으로 집중되었고, 21세기 이후 영국 남북 격차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1]

9. 4. 한반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의 통치에서 벗어난 한반도는 북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남쪽에 대한민국(한국)이라는 두 개의 정권이 수립되면서 분단 국가가 되었다. 한국 전쟁은 동서 냉전의 대리 전쟁으로 번져 휴전은 이루어졌지만, 정식 종전 선언 없이 21세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한국과 달리, 북한은 김씨 일족의 세습 체제가 지속되며 경제적으로 피폐해져 남북 간 큰 격차가 존재한다.[1]

한국 내에서도 수도 서울과 그 주변(수도권)에 대기업 본사, 일류 대학 등이 집중되는 서울 일극 집중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반면 경상도, 전라도 등 남부 지역은 경제 활동이 상대적으로 빈약하고 발전 정도도 뒤처져 있다.[1]

9. 5. 대만

타이완의 인구는 서해안 쪽에 집중되어 있지만, 정치·경제·보도의 요충지인 타이베이시 및 주변부의 타이베이 수도권을 둔 북부와 가오슝시타이난시와 같은 대도시를 품은 남부에서는 산업 구조의 차이에 따른 고용 기회 격차, 소득 격차가 다른 나라만큼 심각하지는 않지만 국내에서 심화되고 있다. 북부를 기반으로 하는 중국 국민당과 남부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진보당의 패권 다툼을 기인으로 한 정치적 요소가 이를 증폭시키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70]. 처음에는 계급 간 격차를 가리키는 인터넷 슬랭인 "천룡인/천룡국"도 타이베이 사람/타이베이시를 조롱하는 것으로 확대·변용되어 지역 격차까지 내포하는 의미가 짙어지고 있다.

9. 6.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의 역사에서는 북방과 남방이라고 불리는 두 지역의 대립이 여러 번 형성되었다(중국 남방과 북방 참조). 양자는 기후, 산업, 문화가 크게 다르며, 많은 중국인의 자기 인식에도 남북 간에는 구별이 있다.

장쑤성, 안후이성, 후베이성, 충칭시, 쓰촨성, 티베트 자치구 이남을 남방으로 했을 경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부터 1970년대까지는 남북 양자의 경제력이 팽팽했지만, 그 후 서서히 남방이 우세해지기 시작하여, 2019년 시점에서는 남방이 북방의 약 1.8배의 경제력을 나타내고 있다.[71]

9. 7. 일본

도쿄 (관동 지방)를 비롯해 나고야, 게이한신, 후쿠오카일본의 인구는 태평양 벨트라고 불리는 열도의 남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일본의 대기업 본사도 대부분 이 지역에 있다. 반면, 태평양 벨트에서 벗어난 홋카이도, 도호쿠 지방 (북일본)은 저출산·인구 감소가 일본 국내에서 가장 심한 지역이며, 한때 일본에서 인구가 가장 많았던 호쿠리쿠 지방이나, 산인 지방 등의 동해 쪽 지역도 인구 유출, 과소화가 심각하다. (「우라니혼」이라는 단어가 경제적 격차 등을 포함하여 부정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일본은 국토 형태상 2분할할 경우 남북보다는 동서 구분이 주로 사용되며, 도카이도 신칸센·고속도로 등의 고속 교통 개통 이후에는 태평양 벨트 내에서도 도쿄 일극 집중이 문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남북 격차"라는 표현이 사용되는 경우는 적다.

9. 7. 1. 주고쿠 지방

주고쿠 산지를 사이에 두고 북부가 산인, 남부가 산양으로 나뉘는 주고쿠 지방에서는 신칸센이 지나고 세토 내해 공업 지역이 있으며, 600만 명에 육박하는 인구를 가진 산양에 비해 100만 명을 조금 넘는 인구를 가진 산인은 심각한 경제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주고쿠 산지에 가로막혀 있어 동서에 비해 남북을 잇는 철도나 도로가 적고, 경제 교류도 적다.[1]

9. 7. 2. 이바라키현

수도권 내에서도 특히 이바라키현에서 현 남부와 북부 지역 간의 격차 문제가 최근 주목받고 있다. 도쿄 통근권 내에 있고, 쓰쿠바 익스프레스 개통으로 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쓰쿠바시·모리야시 등의 현 남부 지역과, 고령화·인구 감소가 진행되는 현 북부 지역 사이의 격차가 해마다 커지고 있어, 신속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9. 7. 3. 미에현・기후현

미에현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남북 간에 인구, 고령화율, 산업 집적 상황이 크게 다르다. 미에현 북부에서는 중경권 및 긴키권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어 산업인구가 집적되어 있는 반면, 남부에서는 풍부한 자연, 역사, 문화 자원이 있지만, 도로망이나 철도망 등의 기반이 약하여 이를 지역 활력으로 충분히 연결하지 못하고 지역 경제, 사회의 존립 기반이 취약해지고 있다. 지역 경제에서 비중이 높은 농림수산업, 중부, 긴키권으로부터의 집객이 중요한 관광을 둘러싼 환경도 어려운 현실이 있다.[72]이러한 문제는 같은 도카이 지방에서 미에현 정도는 아니지만 남부에 많은 인구를 안고 북부의 대부분을 산악 지대가 차지하는 기후현에서도 공통적인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9. 7. 4. 교토부

부청 소재지인 교토시로의 인구 집중률이 약 55%로, 도쿄도(구 도쿄부)를 제외한 도도부현 중 1위이다. 교토부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남부(구 야마시로국)와 북·중부(구 단바국, 구 탄고국) 간의 격차가 커서, 남부와 북부는 서로 다른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전후 경제 성장 과정에서 남부는 일찍이 발전한 반면, 북부는 소외되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에는 고속도로(교토 종관 자동차도 등) 건설 및 산인 본선 복선 전철화 공사가 시행되는 등 남북 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구 단바국 지역 중 1965년경부터 가메오카시 및 구 소노베정, 구 야기정 등 난탄 지역은 교토시오사카부와의 연계가 강해져, 행정에서는 교토부를 남북으로만 구분할 경우 후나이군 이남을 남부로 한다(다만, 행정에서는 가메오카시 및 난탄시, 후나이군 교탄바정을 중부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1]

참조

[1] 웹사이트 Classifications - UNCTAD Handbook of Statistics 2023 https://hbs.unctad.o[...] unctad.org
[2] 웹사이트 Handbook of Statistics 2022 https://unctad.org/s[...] unctad.org
[3] 웹사이트 Introduction: Concepts of the Global South http://gssc.uni-koel[...] gssc.uni-koeln.de 2016-10-18
[3] 웹사이트 Concepts of the Global South https://kups.ub.uni-[...] gssc.uni-koeln.de 2024-03-10
[4] 논문 Global South countries: The dark side of city logistics. Dualisation vs Bipolarisation. 2021-01
[5] 서적 Urban Poverty in the Global South: Scale and N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6] 서적 Globalization: The Politics of Global Economic Relations and International Business Carolina Academic Press 2012
[7] 논문 Beyond the North-South divide: The two tales of world poverty 1999-08
[8] 논문 Studying the Bandung conference from a Global IR perspective 2016-07-03
[9] 웹사이트 UNCTADstat - Classifications https://unctadstat.u[...]
[10] 논문 Australia and the Global South: Knowledge and the Ambiguities of Place and Identity 2021-03
[11] 논문 A Friendly Critique of 'Asian Criminology' and 'Southern Criminology' 2019-02-15
[12] 서적 Southern Exposure: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the Global South in the Twenty-First Century Kumarian Press 2003
[13] 논문 Vietnamism has failed ... The revolution can only be mauled, not defeated
[14] 웹사이트 The Use of the Concept 'Global South' in Social Science & Humanities https://www.academia[...]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2016-10-06
[15] 간행물 A “Battle for Hearts and Minds”? EU Digital Diplomacy towards the Global South, Digital Diplomacy and Statecraft Working Paper n.2 https://pure.giga-ha[...] GIGA Hamburg 2023
[16] 논문 What was the Third World? 2003-04
[17] 논문 The Global South 2012-02
[18] 논문 Ideologies and the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Reflections on Some Recent Literature 1979
[19] 논문 The Brandt Commission Report: A Critical Appraisal 1982
[20] 논문 Third World/Global South: From Modernization, to Dependency/Liberation, to Postdevelopment 2012-03-22
[21] 서적 From German Colonialism in the 19th Century to Two Germanies Africa Policies in ACP Context and Beyond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21-05-27
[22] 논문 The Brandt Line after forty years: The more North–South relations change, the more they stay the same? 2021-01
[23] 논문 Climate change, mental health, and reproductive decision-making: A systematic review 2023-11-09
[24] 논문 South–South cooperation and the rise of the Global South 2016-04-02
[25] 논문 South-South Cooperation 2013-03
[26] 웹사이트 South-South Cooperation http://ssc.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e for South-South Cooperation http://ssc.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8] 논문 The Global South: An Emergent Epistemology for Social Psychiatry https://journals.lww[...] 2020-01
[29] 서적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Wiley-Blackwell 2009
[30] 웹사이트 Economic Development http://www.businessd[...]
[31] 서적 Globalization: The Politics of Global Economic Relations and International Business Carolina Academic Press 2012
[32] 논문 Lifelong learning and development: a perspective from the 'South' 2009-09
[33] 서적 Regionalism Across the North-South Divide: State Strategies and Globalizat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20-08-30
[34] 논문 The Rise and Decline of Economic Structuralism in Latin America: New Dimensions 2005
[35] 논문 Dependency Theory: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Development Studies 1980
[36] 논문 From the South to the North: The circulation of Latin American dependency theories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2020-01
[37] 웹사이트 America's Proud History of Post-War Aid – Foreign assistance after World War II proved critical to U.S. interests. https://www.usnews.c[...] 2020-09-23
[38]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2015
[39] 논문 The Inadequacy of Post-Development Theory to the Discourse of Development and Social Order in the Global South 2019-09
[40]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Studies
[4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and Financial Surveys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WEO Groups and Aggregates Information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2-06-02
[42] 문서 Least Developed Countries https://www.un.org/d[...]
[43] 논문 From the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to the G20: how the 'global South' is restructuring world capitalism from within 2013-07
[44] 논문 Development economics in retrospect and prospect 2015
[45] 논문 Is Globalization Reducing Poverty and Inequality? 2004
[46] 웹사이트 Global inequality may be much worse than we think https://www.theguard[...] 2023-11-06
[47] 논문 Plunder in the Post-Colonial Era: Quantifying Drain from the Global South Through Unequal Exchange, 1960–2018 2021-11-02
[48] 논문 Imperialist appropriation in the world economy: Drain from the global South through unequal exchange, 1990–2015 2022-03
[49] 논문 Development Discourse of the Globalists and Dependency Theorists: Do the Globalisation Theorists Rephrase and Reword the Central Concepts of the Dependency School? 2008
[50] 뉴스 Modi says India as G20 host will be inclusive and invites African Union to become permanent members https://candorium.co[...] 2023-08-27
[51] 웹사이트 Introduction: Concepts of the Global South http://gssc.uni-koel[...] 2019-02-27
[52] 웹사이트 Discussion on the Global South http://gssc.uni-koel[...] 2019-02-27
[53] 논문 The Global South 2012-02
[54] 웹사이트 What's wrong with the Global North and the Global South? http://gssc.uni-koel[...] Global South Studies Center 2016-10-06
[55] 서적 From the Tricontinental to the Global South: Race, Radicalism, and Transnational Solidarity Duke University Press
[56] 문서 Global South Oxford Bibliographies in Literary and Critical Theory, ed. Eugene O'Brien
[57] 간행물 The Global South López, Alfred J., ed. 2007
[58] 논문 The North-South Divide and International Studies: A Symposium 2007
[59] 문서 Brazil: an emerging aid player http://www.odi.org.u[...]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60] 문서 Brazil'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he South: a global model in waiting http://blogs.odi.org[...]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6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https://www.un.org/m[...] 2017-06-29
[62] 문서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63] 웹사이트 The Global Digital Divide https://courses.lume[...] 2021-04-19
[64] 웹사이트 Internet penetration in Asia-Pacific 2019 https://www.statista[...] 2021-04-19
[65] 웹사이트 Dependency Theory: A Useful Tool for Analyzing Global Inequalities Today? https://www.e-ir.inf[...] 2016-11-23
[66] 논문 An unseen world: How the media portrays the poor https://unesdoc.unes[...] 2022-07-16
[67] 웹사이트 南北問題における社会経済的指標の検討-永続可能な発展の視点から- https://kaken.nii.ac[...] 2022-10-03
[68] 뉴스 『連続成長』でも韓国に水をあけられる北朝鮮経済 https://japanknowled[...] 東洋経済新報 2000
[69] 간행물 The New International Balance: Challenge to the Western World Saturday Review 1960-01-16
[70] 뉴스 広がる南北格差、新政権の課題に https://www.ys-consu[...] ワイズニュース 2008-03-26
[71] 웹사이트 中国、広がる「南北格差」の深刻度 https://www.nikkei.c[...] 2020-06-25
[72] 서적 過疎からのブレークスルー-観光と環境を取り入れた地域づくり- 新曜社 2003-08-25
[73] 저널 Three Concepts of Internationalism in the Global South: Solidarism, Pluralism, and Developmentalism http://dx.doi.org/10[...] 2024-03-28
[74] 저널 Australia and the Global South: Knowledge and the Ambiguities of Place and Identity https://onlinelibrar[...] 2021-03
[75] 웹인용 UNCTADstat - Classifications https://unctadstat.u[...]
[76] 저널 A Friendly Critique of ‘Asian Criminology’ and ‘Southern Criminology’ https://academic.oup[...] 2019-02-15
[77] 웹인용 The Top 25 Economies in the World https://www.investop[...]
[78] 저널 Geometry and Statistics http://dx.doi.org/10[...] 2022
[79] 웹인용 Handbook of Statistics 2022 https://unctad.org/s[...]
[80] 간행물 Vietnamism has failed ... The revolution can only be mauled, not defeated 1969
[81] 저널 The Use of the Concept 'Global South' in Social Science & Humanities https://www.academia[...]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2014-07-11
[82] 저널 What was the Third World? http://journals.sage[...] 2003-04
[83] 저널 The Global South http://journals.sage[...] 2012-02
[84] 저널 What was the Third World? http://journals.sage[...] 2003-04
[85] 저널 The Global South http://journals.sage[...] 2012-02
[86] 저널 Ideologies and the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reflections on some recent literature https://www.cambridg[...] 1979
[87] 간행물 The Brandt Commission Report: A Critical Appraisal 1982
[88] 저널 The Brandt Commission Report: A Critical Appraisal 1982
[89] 저널 Third World/Global South: From Modernization, to Dependency/Liberation, to Postdevelopment 2012-03-22
[90] 저널 Third World/Global South: From Modernization, to Dependency/Liberation, to Postdevelopment 2012-03-22
[91] 저널 Beyond the North-South divide: The two tales of world poverty http://www.tandfonli[...] 1999-08
[92] 서적 From German colonialism in the 19th century to two Germanies Africa policies in ACP context and beyond GRIN Verlag 2020
[93] 저널 The Brandt Line after forty years: The more North–South relations change, the more they stay the same? https://www.cambridg[...] 2021-01
[94] 저널 Climate change, mental health, and reproductive decision-making: A systematic review https://dx.plos.org/[...] 2023-11-09
[95] 저널 South–South cooperation and the rise of the Global South http://www.tandfonli[...] 2016-04-02
[96] 저널 South–South cooperation and the rise of the Global South http://www.tandfonli[...] 2016-04-02
[97] 저널 South–South cooperation and the rise of the Global South http://www.tandfonli[...] 2016-04-02
[98] 웹인용 South-South Cooperation http://ssc.undp.org/[...] United Nations 2024-04-28
[99] 웹인용 United Nations Office for South-South Cooperation http://ssc.undp.org/[...] United Nations 2024-04-28
[100] 웹인용 The Global South: An Emergent Epistemology for Social Psychiatry https://journals.lww[...] World Social Psychiatry
[101] 서적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2009
[102] 웹인용 Economic Development http://www.businessd[...] 2007
[103] 서적 Globalization: the politics of global economic relations and international business https://archive.org/[...] Carolina Academic Press 2012
[104] 저널 Lifelong learning and development: a perspective from the ‘South’ http://www.tandfonli[...] 2009-09
[105] 서적 Regionalism across the North-South divide: state strategies and globalization Routledge 1999
[106] 간행물 "Third World/Global South: From Modernization, to Dependency/Liberation, to Postdevelopment" Journal of Third World Studies 2012-03-22
[107] 간행물 "Third World/Global South: From Modernization, to Dependency/Liberation, to Postdevelopment" Journal of Third World Studies 2012-03-22
[108] 간행물 "The Rise and Decline of Economic Structuralism in Latin America: New Dimensions" Latin American Research Review 2005
[109] 저널 Dependency theory: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development studies https://www.cambridg[...] 1980
[110] 저널 Development Discourse of the Globalists and Dependency Theorists: do the globalisation theorists rephrase and reword the central concepts of the dependency school? http://www.tandfonli[...] 2008-06
[111] 간행물 "The Rise and Decline of Economic Structuralism in Latin America: New Dimensions" Latin American Research Review 2005
[112] 간행물 "Development economics in retrospect and prospect"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2015
[113] 저널 From the South to the North: The circulation of Latin American dependency theories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http://journals.sage[...] 2020-01
[114] 간행물 "Third World/Global South: From Modernization, to Dependency/Liberation, to Postdevelopment" Journal of Third World Studies 2012-03-22
[115] 웹인용 America's Proud History of Post-War Aid – Foreign assistance after World War II proved critical to U.S. interests https://www.usnews.c[...] 2014-06-06
[116] 서적 Science and Development https://linkinghub.e[...] Elsevier 2015
[117] 저널 The Inadequacy of Post-Development Theory to the Discourse of Development and Social Order in the Global South https://www.sociostu[...] 2019-09
[118] 서적 Postdevelopment Theory http://international[...]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3-01
[119] 저널 What was the Third World? http://journals.sage[...] 2003-04
[120] 저널 From the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to the G20: how the ‘global South’ is restructuring world capitalism from within http://www.tandfonli[...] 2013-07
[121] 간행물 "Development economics in retrospect and prospect"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2015
[122] 간행물 "Is Globalization Reducing Poverty and Ine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2004
[123] 간행물 "Imperialist appropriation in the world economy: Drain from the global South through unequal exchange, 1990–2015"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022-03
[124] 저널 Plunder in the Post-Colonial Era: Quantifying Drain from the Global South Through Unequal Exchange, 1960–2018 https://www.tandfonl[...] 2021-11-02
[125] 저널 Beyond the North-South divide: The two tales of world poverty http://www.tandfonli[...] 1999-08
[126] 저널 Development Discourse of the Globalists and Dependency Theorists: do the globalisation theorists rephrase and reword the central concepts of the dependency school? http://www.tandfonli[...] 2008-06
[127] 웹인용 Modi says India as G20 host will be inclusive and invites African Union to become permanent members https://candorium.co[...] 2023-08-27
[128] 논문 기후변화에 대한 역사적 책임 법학연구 2012
[129] 웹인용 Introduction: Concepts of the Global South http://gssc.uni-koel[...] 2024-04-28
[130] 저널 Climate change, mental health, and reproductive decision-making: A systematic review https://journals.plo[...] 2023-11-09
[131] 저널 The Global South http://journals.sage[...] 2012-02
[132] 문서 "What's wrong with the Global North and the Global South?" 2015-01
[133] 웹인용 Introduction: Concepts of the Global South http://gssc.uni-koel[...] 2024-04-28
[134] 서적 From the Tricontinental to the Global South: Race, Radicalism, and Transnational Solidarity Duke University Press 2018
[135] 문서 "Global South."
[136] 웹인용 Introduction: Concepts of the Global South http://gssc.uni-koel[...] 2024-04-28
[137] 저널 The North-South Divide and International Studies: A Symposium1: Introduction https://academic.oup[...] 2007-12-10
[13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odi.org.u[...] London: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24-04-28
[13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blogs.odi.org[...] London: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24-04-28
[14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www.un.org 2017-06-29
[141] 간행물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S/70/1 United Nations 2015-09-25
[142] 웹사이트 The Global Digital Divide 2021-04-19
[143] 웹인용 Internet penetration in Asia-Pacific 2019 https://www.statista[...] 2021-04-19
[144] 웹인용 Dependency Theory: A Useful Tool for Analyzing Global Inequalities Today? https://www.e-ir.inf[...] E-International Relations. 2016-11-16
[145] 뉴스 An unseen world: How the media portrays the poor https://web.archive.[...] The UNESCO Courier 20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