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는 아키하바라역에서 쓰쿠바역까지 58.3km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1991년 건설이 시작되어 2005년 8월 24일에 개통되었다. 조반선의 혼잡 완화를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쾌속, 통근쾌속, 구간쾌속, 보통 등 4가지 열차 종별로 운행된다. 개통 이후 승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며 수도권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연선 지역의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신도시 철도 - 수도권 신도시 철도 TX-1000계 전동차
    수도권 신도시 철도 TX-1000계 전동차는 쓰쿠바 익스프레스에서 운행하는 통근형 전동차로,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2003년부터 제작되었으며 알루미늄 합금 더블 스킨 구조의 6량 1편성으로 아키하바라역과 모리야역 구간을 중심으로 운행하고 2030년대에는 8량 편성으로 증강될 예정이다.
  • 수도권 신도시 철도 - 수도권 신도시 철도 TX-2000계 전동차
    수도권 신도시 철도 TX-2000계 전동차는 쓰쿠바 익스프레스에서 운행하는 직류/교류 겸용 6량 편성 전동차로, TX-1000계 전동차를 기반으로 교류 구간 대응 기능을 추가하여 2005년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수송력 증대와 디자인 및 설비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2019년에 탈선 사고 및 차량 결함이 발생했다.
  • 이바라키현의 철도 - 간토 철도 류가사키선
    간토 철도 류가사키선은 이바라키현 류가사키시의 간토 철도가 운영하는 4.5km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사누키역과 류가사키역을 잇고, 과거 계획 구간이었던 후지시다 방면으로는 버스가 운행되며, 일본 최초로 원맨 운전을 도입하여 현재는 전 구간 무인 운전으로 운영되고 있다.
  • 이바라키현의 철도 - 간토 철도 조소선
    간토 철도 조소선은 이바라키현의 토리데역과 시모다테역을 잇는 총 연장 51.1km의 간토 철도 노선으로, 일부 복선 구간과 다양한 열차 운행, IC 카드 사용 가능, 그리고 최근 무인화 진행 등의 특징을 가진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성화물선
    장성화물선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는 3.6km 길이의 한국철도공사 소속 화물 전용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 단선에 ATS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평역과 장성화물역 두 개의 무인역으로 구성되어 2005년 개통되었고 2019년에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기본 정보
로고
노선 이름쓰쿠바 익스프레스
고유 이름つくばエクスプレス
고유 이름 (언어)ja
노선 색상#000084
쓰쿠바 익스프레스 열차 (TX-2000 시리즈)
노선 종류통근 철도
노선 상태운행 중
노선 지역간토 지방
노선 시작점아키하바라 역
노선 종점쓰쿠바 역
역 수20
일일 승객 수 (2015년)431,060
개통일2005년 8월 24일
소유자수도권 신도시 철도
운영자수도권 신도시 철도
노선 성격도시
차량 기지모리야
사용 차량TX-1000 시리즈
TX-2000 시리즈
TX-3000 시리즈
노선 길이58.3 km
궤간1067 mm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아키하바라–모리야)
교류 20 kV, 50 Hz (모리야–쓰쿠바)
속도130 km/h
노선 정보
노선 기호TX
최대 구배35 퍼밀
최소 곡선 반지름200 m
폐색 방식ATC 방식
보안 장치디지털 전송식 CS-ATC
ATO
TASC
설계 최고 속도160 km/h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Tsukuba Ekusupuresu
별칭조반 신선
노선명 (일본어)首都圏新都市鉄道つくばエクスプレス
노선명 (일본어 가나)つくばエクスプレス
노선명 (한국어)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2. 역사

1991년 3월 15일, 쓰쿠바 익스프레스(당시 가칭 조반 신선) 건설을 위해 수도권 신도시 철도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2] 이 노선은 동일본여객철도(JR 동일본)가 운영하는 조반선의 혼잡 완화를 목적으로 계획되었다.[2]

건설 초기 단계에서 건설 회사(일본 철도 건설, 운송 및 기술청(JRTT))와 관련 계열사 및 공공 부문 관련 기업들이 노선에 위치한 토지를 매입했다. 결국 모든 토지는 완공 여부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소유권이 최종 철도 운영사인 수도권 신도시 철도에 이전되었다.[2]

당초 계획은 도쿄역에서 모리야까지 노선을 계획했지만, 비용 문제로 아키하바라역에서 노선을 시작하게 되었고, 이바라키현 정부의 압력으로 모리야에서 쓰쿠바역까지 연장이 1단계 건설에 포함되었다.

2005년 8월 24일에 개통되었으며,[3] 당초 계획은 2000년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공사 지연으로 개통일이 2005년 여름으로 늦춰졌다.

2012년 10월 15일 개정된 시간표부터 출퇴근 시간대에 새로운 通勤快速|쓰킨 가이소쿠일본어 서비스가 도입되었다.[4]

2013년 9월, 이바라키현 쓰쿠바 익스프레스선(つくばエクスプレス線)을 따라 위치한 여러 지자체는 2020년 하계 올림픽 인프라 개선의 일환으로 제안된 새로운 공항 간 연결선과 동시에 도쿄역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제안서를 제출했다.[5]

2023년 3월 31일, 오이가와 가즈히코 이바라키현 지사에게 북쪽 연장에 대한 네 가지 제안이 제출되었다.[6] 제안에는 다음과 같은 노선 연장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제안에 따르면, 쓰치우라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가장 유리한 비용편익 분석 결과를 산출했다.

초기 계획 노선명은 '조반 신선(常磐新線)'이었으며, '쓰쿠바 익스프레스(つくばエクスプレス)'라는 명칭은 일반 공모를 통해 결정되었다.[24]

2. 1. 개통 이전

1978년 이바라키현은 "제2조반선" 구상을 발표했다. 1983년에는 "제2 조반선과 지역 개발에 관한 조사 연구회"를 통해 구체적인 철도 노선이 검토되었다.[59]

1985년 이전에는 이바라키현과 지바현에서 각각 노선안을 제시했다.

노선경로
이바라키현[61][62]A노선도쿄 도심 - 기타센주 - 가시와시 북부 - 토리데 - 쓰쿠바 연구학원도시
B노선도쿄 도심 - 기타센주 - 가시와시 북부 - 모리야 - 쓰쿠바 연구학원도시 (건설 노선)
C노선도쿄 도심 - 기타센주 - 가시와시 북부 - 미나토가이도 - 쓰쿠바 연구학원도시
D노선도쿄 도심 - 기타센주 - 나나히카리다이 - 이시게 - 쓰쿠바 연구학원도시
지바현[63]1노선아키하바라 - 기타센주 - 미나미류가사마 - 토요시키 - 아비코
2노선도쿄 (카지마치) - 신코이와 - 신마츠도 - 토요시키 - 아비코
3노선오기하시[64] - 신코이와 - 신마츠도 - 토요시키 - 아비코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직통)
4노선신바시 - 신코이와 - 신마츠도 - 토요시키 - 아비코
5노선아키하바라 - 신코이와 - 신마츠도 - 토요시키 - 아비코
6노선아키하바라 또는 신바시 - 마츠도 - 카시와 - 아비코



1985년 7월 11일,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 "조반 신선 신설" 항목이 설정되었다. 도쿄 - 모리야정 남부 간은 "목표 연차까지 신설하는 것이 적당한 구간", 모리야정 남부 - 쓰쿠바 연구학원도시 간은 "향후 신설을 검토해야 할 구간"으로 지정되었다.

1988년 11월, 조반 신선 정비 검토 위원회에서 "조반 신선 정비 방책의 기본 프레임"에 대한 합의가 성립되었다. 건설 구간은 아키하바라 - 쓰쿠바 학원 연구 도시로 결정되었고, 건설 주체는 제3섹터 회사, 운영은 JR 동일본이 맡는 것으로 결정되었다.[65]

1989년 6월, "대도시 지역에 있어서의 주택 개발 및 철도 정비의 일체적 추진에 관한 특별 조치법"이 제정되었다. 조반 신선은 이 법률의 적용 제1호 철도가 되었다.[66]

1991년 3월 15일, 수도권 신도시 철도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77] 같은 해 10월, 주택철도법에 기반한 기본 계획이 국가로부터 승인되어, 노선 경로와 19개 역의 위치가 정해졌다.[78][79]

1994년 10월 28일, 아키하바라에서 기공식이 거행되었다.[69][82][83] 그러나 연약 지반, 지하수 대책, 용지 협상 문제 등으로 인해 1996년 12월 20일, 개업 예정이 2000년에서 2005년으로 변경되었다.[70]

2001년 2월 2일, 노선 명칭이 "쓰쿠바 익스프레스"로 발표되었다.[77]

2005년 8월 24일, 쓰쿠바 익스프레스가 개통되었다.[3]

2. 2. 개통 이후

2005년 8월 24일 개통 이후, 첫해 승객 수는 3,469만 명, 1일 평균 승객 수는 개통 전 예상치(13만 5천 명)를 넘어선 15만 700명이었다.[74] 2007년 3월에는 개업 20개월 만에 누적 수송 인원 1억 명을 돌파했으며, 1일 평균 승객 수는 2007년 4월 23만 9천 명, 2008년 11월 26만 6,100명, 2009년 4월 27만 500명을 기록하며 목표치(27만 명)에 도달했다.[74]

첫해 영업 수익은 예상(90억 엔)을 크게 웃도는 140억 엔이었으나, 감가상각비 109억 엔 계상 등의 이유로 최종 손익은 49억 엔 적자를 기록했다. 이후 증편을 위한 차량 증비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가 있었지만, 2008년도 결산에서 감가상각비를 포함한 영업 흑자를 달성했고,[90] 2009년도 결산에서는 당초 계획("개업 20년 후 단년도 흑자")을 크게 앞당겨 최종 흑자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수송 인원은 증가 추세를 이어가 2017년도에 누적 손실이 해소되어 개업 이후 처음으로 이익잉여금을 계상했다. 그러나 러시아워 시간대 혼잡률은 병행하는 조반 쾌속선, 조반 완행선과 비교해도 높은 상황이다. 2019년 6월에는 8량 편성화 사업 시행을 발표했으며, 사용 개시는 2030년대 전반으로 예정되어 있다.

개통 이후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2022년도 기준 하루 평균 수송 인원은 '''34만 9천 명'''이다. 2020년도에 코로나19 유행의 영향으로 일시 감소하기 전까지는 개업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2012년도에는 하루 평균 수송 인원이 30만 명을 넘었으며, 이는 대형 사철인 서일본철도(2017년도 하루 평균 수송 인원 28만 명)보다 많은 수치이다.

2022년도 아침 러시아워 최혼잡 구간은 아오이역 → 키타센주역 구간이며, 피크타임(7:29~8:29)의 혼잡률은 '''138%'''이다.[135]

2012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운행 편수를 1시간당 20편에서 22편으로 증편했다. 2015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야시오역의 열차 대피를 해소했다. 2019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운행 편수를 1시간당 25편으로 증편하고, 록초역에 정차함으로써 혼잡의 평준화를 도모했다.

설비 면에서도 2012년도에 미나미나가야마역 승강장을 연장했다. 2017년부터는 일부 TX-2000형에 설치된 세미 크로스 시트를 롱 시트로 개조하여 혼잡 시 탑승률을 높였다.

최근 수송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수송 실적(승차 인원):명/일최혼잡 구간(아오이역 → 키타센주역간) 수송 실적[137][138][139][140]특기 사항
정기정기 외합계[141]운행 편수:편수송력:명수송량:명혼잡률:%
2005년 (헤이세이 17년)150,7001613,15214,3801078월 24일, 개업
2006년 (헤이세이 18년)118,00077,000195,3001613,15218,329139
2007년 (헤이세이 19년)146,00089,000234,2001713,97420,779149
2008년 (헤이세이 20년)164,00094,000257,6002016,44025,896158
2009년 (헤이세이 21년)176,00094,000270,3002016,44025,007152
2010년 (헤이세이 22년)187,00096,000282,6002016,44026,232160동일본 대지진 발생 연도
2011년 (헤이세이 23년)192,00098,000289,700[142]2016,44025,811157
2012년 (헤이세이 24년)201,000105,000305,900[143]2218,08426,33914610월 15일, 통근쾌속 운행 개시
2013년 (헤이세이 25년)214,000110,000323,900[144]2218,08426,597148
2014년 (헤이세이 26년)214,000112,000325,600[145]2218,08427,918154
2015년 (헤이세이 27년)222,000116,000340,100[146]2218,08428,280156
2016년 (헤이세이 28년)230,000121,000354,200[147]2218,08429,218162
2017년 (헤이세이 29년)242,000124,000370,200[148]2218,08430,140165
2018년 (헤이세이 30년)254,000128,000386,300[149]2218,08431,022169
2019년 (레이와 원년)264,000127,000395,400[150]2218,30431,324171
2020년 (레이와 2년)194,00081,000277,900[151]2520,77524,021116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대도시권 유행과 긴급사태 선언 발령
2021년 (레이와 3년)203,400102,600305,800[152]2520,77525,59012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유행과 긴급사태 선언 발령・만연 방지 등 중점 조치
2022년 (레이와 4년)219,000127,500349,000[153]2419,94427,480138


2. 3. 향후 계획


  • 8량 편성화


2019년 5월 31일, 수도권 신도시 철도는 지속적인 혼잡률 증가와 열차 증편만으로는 대응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8량 편성화 사업 시행을 공식적으로 결정했다.[101] 1편성당 수송력은 6량 편성에 비해 약 30% 증가하며,[101] 아침 출퇴근 시간대에 8량 편성 열차를 투입하면 혼잡률을 150% 이하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101] 2030년대 초반 사용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101] 8량화 완료까지는 10년 이상의 공사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 측은 "가능한 한 빨리 8량화하고 싶지만, 여러 제약 조건으로 인해 이 정도의 기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100]

8량 편성화 계획은 2008년부터 있었으며, 모든 역에서 승강장 연장 공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100][102] 2012년 9월에는 남류산역의 승강장이 10량분으로 연장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지하역을 중심으로 승강장 연장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3년까지 아키하바라역, 신오테마치역, 아사쿠사역, 미나미센주역, 아오이역, 로쿠초역에서 승강장 연장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2024년에는 기타센주역의 승강장 연장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103]

  • 도쿄 방면 연장


이바라키현과 현내 시정촌은 아키하바라역에서 도쿄역까지의 연장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1985년 7월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는 조반 신선의 기점을 도쿄역으로 설정하고 도쿄-모리야정 남부 간을 "2000년까지 신설하는 것이 적절한 구간"으로 지정했지만, 2000년 1월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18호에서는 도쿄-아키하바라 간을 "향후 정비에 대해 검토해야 할 노선"으로 변경했다.

국토교통성은 도쿄역의 위치와 비용을 검토하고 있으며, 마루노우치 중앙거리가 유력하다는 보도도 있었다.[104][105]

2016년 4월 발표된 교통정책심의회 답신 제198호[106]에서는 쓰쿠바 익스프레스의 도쿄역 연장과 더불어, 주오구 등이 제창하는 도심부·림해 지역 지하철 구상(도쿄역-긴자역-림해부)과의 일체 정비 및 상호 직통 운전이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철도 네트워크 프로젝트"로 포함되었다.[107] 그러나 구체적인 노선 설정 등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수도권 신도시 철도(TX) 측에서도 이 구상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은 나오지 않았다.[108]

유키 코이치 사장은 2019년 일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도쿄역까지의 연장은) 조금 더 상황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건설비 상환과 8량 편성화에 자금이 필요하고, 경쟁 가능성이 있는 도심 직결선 등의 동향이 불명확하여 "검토해도 헛수고"라는 이유를 들었다.[109]

2022년 6월 도쿄 신문 취재에 따르면, 국토교통성 담당자는 (도쿄역까지의 연장은) 사업 주체가 정해져 있지 않고, 구상은 있지만 현재 구체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110]

2022년 11월, 도쿄도는 도심부·림해 지역 지하철 구상의 사업 계획안을 발표했다.[111][112] 이 안에서 "우선 도심부·림해 지역 지하철의 단독 정비에 대해 검토한다", "조반 신선(TX) 연장과의 접속을 향후 검토한다"고 하여, 쓰쿠바 익스프레스(TX)와의 일체 정비를 하지 않는 방침을 명확히 했다.

  • 이바라키현 내 연장


이바라키현 주민들은 쓰쿠바역에서 쓰치우라와 이바라키 공항,[113][114] 미토시[115]까지 연장을 요구하고 있지만, 구체화되지 않고 있다. 이바라키현도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으나,[116][117][118] 2017년 이바라키현 지사 선거에서 쓰쿠바 익스프레스의 현내 구간 연장 검토 등을 주장한 오이가와 가즈히코가 당선되었다.[119]

이바라키현의 종합 계획(2018년~2021년)에서는 쓰쿠바 익스프레스의 현내 연장 정비가 제시되었다.[120] 「2050년 경의 이바라키의 모습」에서는 쓰쿠바에서 4방향으로의 연장안이 점선으로 제시되었으며, 쓰치우라, 이바라키 공항, 미토 또는 쓰쿠바산과 직선적으로 연결하는 교통 네트워크 구상이 그려져 있었다.[121][122][123]

2022년 3월, 이바라키현은 2022년도 예산안에 현내 연장 조사 검토 사업비로 1800만을 처음으로 계상하여, 운수종합연구소와 협력하여 5월부터 연장 방향안 조사를 시작했다.[124][125] 조사 검토 사업에서는 제3자 위원회를 설립하여 사업비, 사업 예측, 노선 수요 예측, 비용 대비 효과 등을 조사하고, 재해 시 조반선의 대체 수송 기능도 비교 검토한다.[125] 현 종합 계획에서 제시된 네 개의 연장 루트 「(1) 쓰쿠바산 방면」(2) 미토 방면」(3) 이바라키 공항 방면」(4) 쓰치우라역 방면」에서 하나로 압축하여 국가에 제시할 예정이다.[124] 각 방면 연장의 장점으로 「(1) 쓰쿠바산 방면」은 관광 진흥, 「(2) 미토 방면」은 현 중앙·현 북부 지역 진흥, 「(3) 이바라키 공항 방면」은 관광 및 비즈니스 목적 이동 수단 제공, 「(4) 쓰치우라 방면」은 조반선과의 직결을 통한 편리성 향상이 제시되고 있다.[126]

현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22년 12월부터 제3자 위원회에서 논의하고, 2023년 2월 주민 의견을 구하는 퍼블릭 코멘트를 실시한 후,[125] 3월 31일 연장 루트를 「쓰치우라 방면」으로 하는 제언서를 오이가와 지사에게 제출했다.[127] 그러나 가장 비용편익비(B/C)가 높은 「쓰치우라 방면」조차도 0.6으로 1.0 이하였다.[128]

오이가와 지사는 이를 받아들여 6월 23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연장지를 쓰치우라 방면으로 하는 최종 결정을 표명했다. 2050년경 완성을 목표로 조반선과의 접속을 도모하고, 장기적으로는 쓰치우라 연장 실현 후 이바라키 공항 방면으로의 연장도 고려하고 있다.[129][130]

이바라키현이 1방면안으로 압축한 후에는 현 외 TX 출자 단체인 지바현, 사이타마현, 도쿄도 3도현과 철도 사업자와의 조정을 진행할 방침이지만, 실현에는 막대한 사업비와 현내 관계 지역과의 합의 형성이 필요하다. 오이가와 지사는 정례 기자회견에서 "넘어야 할 벽이 매우 높다"고 말했으며, 현 의회 담당자는 "국가의 교통정책심의회 답신에 포함되지 않으면 실현은 없다"고 답하여, 1안 압축은 미래를 향한 시작점이라는 생각을 강조했다.[125]

이바라키현 내에서는 연장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지만, TX 측은 창업 당시의 "91년 합의"(아키하바라에서 도쿄로의 연장을 제외한 노선 연장의 경우, 청원자가 건설 비용 전액을 부담한다는 1991년 당시 관계 도현 간 합의)에 따라 "현의 논의이며, 당사는 관여하지 않으므로 코멘트는 삼가겠다"고 관망하고 있다.[131][132] 도쿄도, 사이타마현, 지바현 등 이바라키현 외 다른 도현도 관망 태도를 유지하며, 각 담당자는 "아직 조사 단계. 운영 회사가 어떻게 판단할지 주시하고 있다"(도쿄도), "구체적인 이야기가 나오면 관계 도현과 의견 교환을 할 것이다"(사이타마현), "향후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지바현)고 말했다.[133]

3. 노선 정보

쓰쿠바 익스프레스의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39][40]


  • 관할(사업 종류): 수도권신도시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노선명: 조반신선 (통칭: 쓰쿠바 익스프레스)
  • 구간: 아키하바라 역(秋葉原駅) - 쓰쿠바 역(つくば駅) 58.3km
  • 역 수: 20개
  • 궤간: 1067mm (협궤)
  • 복선 구간: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아키하바라 역(秋葉原駅) - 모리야역 간 직류 1500V, 모리야역 - 쓰쿠바 역(つくば駅) 간 교류 50·20000V)
  • 데드섹션: 모리야역 - 미라이다이라역 간, 차상전환식
  • 최대 구배: 35퍼밀
  • 최소 곡선 반경: 200m
  • 운전 보안 방식: 열차 간의 간격을 확보하는 장치에 의한 방법 (ATC 방식), 전방 예고·진로 예고 기능부 1단 브레이크 제어 디지털 전송식 CS-ATC 채용
  • ATO에 의한 자동 운전을 채용. 단, 2014년 1월부터 아침 러시아워시 모리야역 - 키타센주 역(北千住駅) 간은 TASC 운전을 실시[41]
  • 최고 속도: 130km/h
  • 표정속도

구간거리소요 시간 (쾌속)표정 속도중간 정차역 수
아키하바라 역(秋葉原駅) - 쓰쿠바 역(つくば駅) 간58.3km45분77.7km/h8
키타센주 역(北千住駅) - 쓰쿠바 역(つく바駅) 간50.8km34분89.6km/h4
류가사마오타카노모리 역(流山おおたかの森駅) - 쓰쿠바 역(つくば駅) 간31.8km19분100.4km/h1
모리야역 - 쓰쿠바 역(つくば駅) 간20.6km11분112.4km/h0



시가지에서는 지하를 통과한다 (아사쿠사 역(浅草駅) 지상 출구)

4. 운행

TX-2000계(TX-3000계도 있음)로 운행되는 쾌속 열차


정차역 목록 (2024년 3월 16일 ~)


쓰쿠바 익스프레스는 도쿄 도심과 쓰쿠바 연구학원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2005년 8월 24일에 개업했다. 최고 속도 130km/h로 고속 운행을 하며, 아키하바라역 - 쓰쿠바 역 간 58.3km를 최단 45분(쾌속)에 연결한다. 전 구간에서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에 의한 자동 운전을 실시하고, 기관사는 승무하지만 차장은 승무하지 않는 원맨 운전을 실시한다.[24] 전 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등 자동화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24]

쓰쿠바 익스프레스는 개통 이후 지속적으로 시간표 개정을 통해 운행 횟수를 늘리고 서비스를 개선해왔다. 특히, 2012년에는 통근쾌속 열차가 신설되었고, 2020년에는 신형 차량 TX-3000계가 도입되었다. 2024년 3월 16일 개정에서는 쾌속 열차가 야시오 역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

쓰쿠바 익스프레스(TX)는 4가지 종류의 열차를 운행한다.[47] 각 열차는 색상으로 구분되며, 운행 시간대는 오전 5시 3분부터 다음 날 0시 47분까지이다.

종류색상설명열차 번호정차역
쾌속 (Rapid)가장 빠른 열차로, 아키하바라~쓰쿠바 구간을 45분에 운행한다. 2024년 3월 15일까지는 야시오를 통과했다.3000번대아키하바라~기타센주 간 각 역, 야시오, 미나미나가레야마,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모리야, 쓰쿠바
통근쾌속 (Commuter Rapid)평일 저녁 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열차로, 아키하바라~쓰쿠바 구간을 49분에 운행한다. 쾌속 정차역 외에 로쿠초, 가시와노하 캠퍼스, 겐큐가쿠엔에 추가로 정차한다. 과거에는 평일 아침 상행선에도 운행했으나 2020년 3월 14일 개정으로 폐지되었다.[51] 통근쾌속 운행 시간에는 쾌속이 운행되지 않는다.2000번대아키하바라~기타센주 간 각 역, 로쿠초, 야시오, 미나미나가레야마,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가시와노하 캠퍼스, 모리야, 겐큐가쿠엔, 쓰쿠바
구간쾌속 (Semi-Rapid)기타센주~모리야 구간은 일부 역을 통과하고, 아키하바라~기타센주 구간과 모리야~쓰쿠바 구간은 각 역에 정차한다. 아키하바라~쓰쿠바 구간을 52분에 운행한다. 평일 아침 상행 열차는 로쿠초에도 정차한다.[51]4000번대아키하바라~기타센주 간 각 역, 로쿠초(평일 아침 상행선만 정차), 야시오, 미사토추오, 미나미나가레야마,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가시와노하 캠퍼스 및 모리야~쓰쿠바 간 각 역
보통 (Local)모든 역에 정차하는 열차로, 아키하바라~쓰쿠바 구간을 57분에 운행한다.5000번대모든 역



모든 열차는 자동 운행되며, 정기적으로 회차 운전을 하는 역은 아키하바라(기점역), 쓰쿠바(종점역), 입환선이 있는 야시오와 모리야 4개 역이다.[47] 과거에는 기타센주에서도 회차 운전을 했지만, 2022년 다이어 개정으로 기타센주행이 없어지면서 정기 열차에서는 회차 운전을 하지 않게 되었다.[47]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의 아키하바라 쪽에도 선로 건넘선(크로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회차 운전에 사용되지 않는다.[47]

대피 가능한 역은 야시오,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모리야 3개 역이다.[47]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시간표 변천은 다음과 같다.


  • 2005년(헤이세이 17년): 개통 및 '쓰쿠바 스타일 페스타', '다이스키 이바라키 현민 마쓰리 2005' 개최로 인한 임시 시간표 운영.
  • 2006년(헤이세이 18년): '쓰쿠바 마라톤' 개최로 인한 임시 시간표 운영 및 12월 시간표 개정.
  • 2007년(헤이세이 19년): 10월 시간표 개정 및 '쓰쿠바 마라톤' 개최로 인한 임시 조치.
  • 2008년(헤이세이 20년): 10월 시간표 개정.
  • 2009년(헤이세이 21년): 응용물리학회 강연회 개최로 인한 임시 운행 및 금요일 최종 열차 전 임시 열차 증편, 10월 시간표 개정.
  • 2010년(헤이세이 22년): 살롱파스컵 관중 수송을 위한 임시 정차 및 10월 시간표 개정.
  • 2012년(헤이세이 24년): 10월 시간표 개정 및 통근쾌속 신설.
  • 2015년(헤이세이 27년): 3월 시간표 개정.
  • 2016년(헤이세이 28년): 10월 시간표 개정.
  • 2018년(헤이세이 30년): 3월 시간표 개정.
  • 2020년(레이와 2년): 3월 시간표 개정 및 TX-3000계 도입.
  • 2022년(레이와 4년): 3월 시간표 개정 (코로나19로 인한 감편).
  • 2023년(레이와 5년): 3월 시간표 개정 (감편 및 서행 운전).
  • 2024년(레이와 6년): 3월 시간표 개정 (쾌속 야시오 역 추가 정차).

4. 1. 운행 형태

수도권 신도시 철도에서는 JR을 제외한 통근 철도로는 처음으로 130km/h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설비는 160km/h 운전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장기적으로 160km/h 운전도 검토되고 있다.[47]

열차 종별은 쾌속, 통근쾌속, 구간쾌속, 보통의 4가지이다.

  • 쾌속 (Rapid): 가장 등급이 높은 열차이다. 쓰쿠바 역과 아사쿠사 역을 제외하고는 환승역에만 정차한다.
  • 정차역: 아키하바라 ~ 기타센주 간 각역 - 미나미나가레야마 -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 모리야 - 쓰쿠바
  • 통근쾌속 (Commuter-Rapid): 평일 아침 상행 열차와 저녁 하행 열차에서 쾌속 대신 운행된다.
  • 정차역: 아키하바라 ~ 기타센주 간 각역 - 로쿠초 - 야시오 - 미나미나가레야마 -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 가시와노하 캠퍼스 - 모리야 - 겐큐가쿠엔 - 쓰쿠바
  • 구간쾌속 (Semi-Rapid): 보통 열차보다 한 단계 위인 종별이다. 쾌속과는 정차역 설정이 다르다.
  • 정차역: 아키하바라 ~ 기타센주 간 각역 - 야시오 - 미사토추오 - 미나미나가레야마 -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 가시와노하 캠퍼스 - 모리야 ~ 쓰쿠바 간 각역
  • 보통 (Local): 각 역에 정차하는 가장 느린 종별이다. 기본적으로 아키하바라 ~ 모리야 구간만 운행하지만, 새벽이나 심야 시간대에는 쓰쿠바까지 운행한다.


쓰쿠바 익스프레스는 1인 운전(차장 없는 운전) 방식으로 운영된다. 기관사가 수동으로 문을 열고 닫지만, 열차 운행 자체는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최고 속도는 시속 130km이다. 쾌속 서비스는 아키하바라에서 쓰쿠바까지의 이동 시간을 45분으로 단축시켰다. 도쿄에서 출발할 경우 50~55분이 소요된다. 이 노선에는 건널목이 없다.[47]

운행 시간대는 5시 3분부터 다음날 0시 47분까지이다. 아키하바라역 - 쓰쿠바역 간의 전 구간 운행과 아키하바라역 - 모리야역 간의 구간 운행의 두 가지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하치오역 시발·종착이나 모리야역 - 쓰쿠바역 간의 구간 운행도 있다. 평일 저녁에는 하행선에만 쾌속 대신 통근쾌속이 운행된다. 총 20개 역 중 보통 열차만 정차하는 역은 3개 역이다.[47]

종별에 따라 운전 속도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며, 모든 열차가 고속 운전을 한다. 차량 성능에 차이가 없고, 전 구간이 고가·절토·지하선으로 건설되었으며, 건널목이 없어 수도권의 JR을 제외한 통근 전철로서는 처음으로 130 km/h 운전을 실시했다(ATO에 의한 제한 속도는 127 km/h).[47]

2012년 10월 15일 시간표 개정 시점의 낮 시간대(日中) 1시간당 운행 편수는 다음과 같다.

낮 시간대 운행 패턴
종별\역명아키하바라모리야쓰쿠바운행 편수
운행 구간쾌속colspan="6"|2편
구간쾌속colspan="3"|(각역정차)2편
보통colspan="6"|2편
colspan="3"|colspan="3"|4편



역 번호역 이름역간 거리 (km)누계 거리 (km)구간 쾌속통근 쾌속쾌속접속 노선・비고소재지
TX01아키하바라 역-0.0동일본여객철도:
야마노테 선 (JY 03),
게이힌토호쿠 선 (JK 28),
소부선 (각역정차)(JB 19)
도쿄도치요다구
TX02신오테마치 역1.61.6도에이 지하철: -- 오에도 선 (E-10)다이토구
TX03아사쿠사 역1.53.1 
TX04미나미센쥬 역2.55.6동일본여객철도:
조반선 (쾌속) (우에노 도쿄 라인: JJ 04)
아라카와구
TX05키타센쥬 역1.97.5동일본여객철도: 조반선 (쾌속) (우에노 도쿄 라인: JJ 05)아다치구
TX06아오이 역3.110.6 
TX07로쿠초 역1.412.0 
TX08야시오 역#3.615.6사이타마현야시오시
TX09미사토추오 역3.719.3 미사토시
TX10미나미나가레야마 역2.822.1동일본여객철도:
무사시노 선 (JM 16)
지바현나가레야마시
TX11나가레야마 센트럴파크 역2.224.3 
TX12나가레야마오오타카노모리 역#2.226.5도부 철도: -- 노다선 (도부 어반파크라인) (TD-22)
TX13카시와노하 캠퍼스 역3.530.0 카시와시
TX14카시와타나카 역2.032.0 
TX15모리야 역#5.737.7간토 철도: 조소 선이바라키현모리야시
TX16미라이히라 역6.644.3 츠쿠바미라이시
TX17미도리 역4.348.6 츠쿠바시
TX18반파쿠기넨코엔 역3.251.8 
TX19켄큐가쿠엔 역3.855.6 
TX20츠쿠바 역2.758.3 


  • 정차역 범례:
  • ●: 정차
  • ▲: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상행 열차만 정차
  • |, ↓: 통과 (↓는 화살표 방향으로만 운행)
  • 통근 쾌속은 평일 하행만 운행한다.
  • 보통 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하므로 생략한다.
  • '#' 표시가 있는 역은 열차 대피 가능 역이다.

4. 2. 열차 종별



쓰쿠바 익스프레스(TX)는 4가지 종류의 열차를 운행한다.[47] 각 열차는 색상으로 구분되며, 운행 시간대는 오전 5시 3분부터 다음 날 0시 47분까지이다.

종류색상설명열차 번호정차역
쾌속 (Rapid)가장 빠른 열차로, 아키하바라~쓰쿠바 구간을 45분에 운행한다. 2024년 3월 15일까지는 야시오를 통과했다.3000번대아키하바라~기타센주 간 각 역, 야시오, 미나미나가레야마,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모리야, 쓰쿠바
통근쾌속 (Commuter Rapid)평일 저녁 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열차로, 아키하바라~쓰쿠바 구간을 49분에 운행한다. 쾌속 정차역 외에 로쿠초, 가시와노하 캠퍼스, 겐큐가쿠엔에 추가로 정차한다. 과거에는 평일 아침 상행선에도 운행했으나 2020년 3월 14일 개정으로 폐지되었다.[51] 통근쾌속 운행 시간에는 쾌속이 운행되지 않는다.2000번대아키하바라~기타센주 간 각 역, 로쿠초, 야시오, 미나미나가레야마,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가시와노하 캠퍼스, 모리야, 겐큐가쿠엔, 쓰쿠바
구간쾌속 (Semi-Rapid)기타센주~모리야 구간은 일부 역을 통과하고, 아키하바라~기타센주 구간과 모리야~쓰쿠바 구간은 각 역에 정차한다. 아키하바라~쓰쿠바 구간을 52분에 운행한다. 평일 아침 상행 열차는 로쿠초에도 정차한다.[51]4000번대아키하바라~기타센주 간 각 역, 로쿠초(평일 아침 상행선만 정차), 야시오, 미사토추오, 미나미나가레야마,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가시와노하 캠퍼스 및 모리야~쓰쿠바 간 각 역
보통 (Local)모든 역에 정차하는 열차로, 아키하바라~쓰쿠바 구간을 57분에 운행한다.5000번대모든 역



모든 열차는 자동으로 운행되며, 최고 속도는 시속 130km이다.

4. 3. 시간표 변천


  • 2005년(헤이세이 17년)
  • * 6월 30일 - 개통 당시 시간표가 설정되었다.[52]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쾌속 및 구간쾌속 열차의 소요 시간이 낮 시간대와 동일하게 설정되었다.
  • * 10월 1일 - 연구학원역 주변에서 '쓰쿠바 스타일 페스타'가 한 달 동안 개최되어, 해당 역의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토요일과 휴일 낮 시간대에 임시 시간표로 운행되었다. 보통 열차가 쓰쿠바역까지 연장 운행되었으며, 이는 10월 30일까지 토요일과 휴일에 총 11회 실시되었다.
  • * 11월 12일·13일 - 미라이다이라역 근처에서 '다이스키 이바라키 현민 마쓰리 2005'가 개최됨에 따라, 보통 열차가 쓰쿠바 역까지 연장 운행되었다.
  • 2006년(헤이세이 18년)
  • * 7월 21일 - 모리야역 - 쓰쿠바 역 구간에서 낮 시간대에 임시 보통 열차가 운행되었다. 2005년의 조치에 더해, 모리야 역 - 쓰쿠바 역 구간의 임시 보통 열차와 아키하바라역 - 모리야 역 구간의 보통 열차가 모리야 역에서 연결되는 열차가 설정되었다.
  • * 11월 26일 - 쓰쿠바 시에서 개최된 '쓰쿠바 마라톤'에 맞춰 개최 시간대에 특별 시간표가 설정되었다. 모리야 역 발착 열차가 쓰쿠바 역 발착으로 연장 운행되었고, 방문객용 시설이 연구학원역 주변에 설치됨에 따라 쾌속 열차가 연구학원역에 임시 정차했다.
  • * 12월 8일 - 시간표가 개정되었다. 같은 해 7월 21일에 설정된 낮 시간대 모리야 역 - 쓰쿠바 역 구간 열차가 정기 운행으로 전환되었다.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혼잡 완화를 위해 일부 보통 열차의 하치오역에서의 완급 접속이 폐지되고, 아키하바라 역까지 직행 운행되었다.
  • 2007년(헤이세이 19년)
  • * 10월 18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모리야 역 - 쓰쿠바 역 구간이 증편되었다. 저녁부터 밤 시간대의 쾌속 계열 차량의 모리야 역행이 거의 모두 쓰쿠바 역행으로 연장됨에 따라, 모리야 역행 쾌속은 사라졌다.
  • * 11월 25일 - '쓰쿠바 마라톤'에 맞춰 이전과 동일한 조치가 시행되었다.
  • 2008년(헤이세이 20년) 10월 1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와 낮·밤 시간대의 열차가 증편되었다. 모리야 역 시발·종착 쾌속은 모두 없어졌고, 하치오역 시발 보통 열차가 증편되었다.
  • 2009년(헤이세이 21년)
  • * 3월 30일 - 쓰쿠바 대학에서 개최된 응용물리학회 강연회에 맞춰 4월 2일까지 아침 8시대 하행 모리야 역행 구간 쾌속 1편이 쓰쿠바 역까지 연장 운행되었다.
  • * 6월 5일 - 매주 금요일 최종 열차 전에 임시 열차가 증편 운행되기 시작했다. 이는 아키하바라 역 0시 18분 발 하행 최종 열차 1편 전에 운행하는 것으로, 금요일 최종 열차의 혼잡 완화와 열차 지연 방지를 목표로 했다. 아키하바라 역 발 모리야 역행 보통 열차 1편이 추가되어, 아키하바라 역 발 0시 9분, 모리야 역 도착 0시 52분으로 운행되었다.
  • * 10월 1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와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의 구간 쾌속이 증편되고 쾌속이 감편되었다. 6월 5일 증편된 임시 열차가 정기화되었고,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의 보통 열차는 전 열차가 하치오역 대기에서 구간 쾌속과의 완급 접속을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역으로 변경했다(쾌속 대기는 종전대로 하치오역에서 실시).
  • 2010년(헤이세이 22년)
  • * 5월 8일·9일 - 여자 골프 공식전 살롱파스컵(월드 레이디스 챔피언십) 관중 수송을 위해 쾌속 일부가 미라이다이라역에 임시 정차했다.
  • * 10월 1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낮 시간대 아키하바라 역 - 하치오역 구간 보통 열차가 아키하바라 역 - 모리야 역 구간으로 연장되었고, 아침·밤 시간대 모리야 역 - 쓰쿠바 역 구간이 증편되었다.
  • 2012년(헤이세이 24년) 10월 15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열차 증편 및 운행 구간 연장 등으로 수송력 증강 및 운행 빈도 증가 등이 이루어져 혼잡 완화 및 편리성 향상을 도모했다. 평일 아침 상행·밤 러시아워 시간대 하행에 "통근쾌속"이 신설되었으며, 통근쾌속 운행 시간대에는 쾌속 운행이 없었다. 하행 쓰쿠바행 최종 열차는 15분 연기되어 아키하바라 23시 45분 발로 변경되었다.
  • 2015년(헤이세이 27년) 3월 14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시발 열차 시간 조정, 아침·밤 시간대 열차 증편·운행 패턴 재검토 등으로 이용객의 편리성 향상을 도모했다.
  • 2016년(헤이세이 28년) 10월 15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시발 열차 시간 조정, 최종 열차 시간 연기, 새벽·심야 열차 증편,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운행 간격 평준화,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 운행 패턴 통일 등으로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상행 아키하바라 역행 최종 열차 후, 상행 기타센주역행 최종 열차가 신설되어 쓰쿠바 역 23시 30분 발로 운행되었다. 기타센주행 정기 열차는 이번 개정이 처음이었다. 이 열차는 회차하여 하치오행이 되었다. 상행 모리야 역행 최종 열차는 13분 연기되어 쓰쿠바 역 0시 0분 발로 변경되었다.
  • 2018년(헤이세이 30년) 3월 17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열차 증편·종별 변경 및 운행 구간 연장 등이 실시되었다. 모리야 역 대피 설비 설치에 따라 낮 시간대 대부분에서 쾌속 열차가 보통 열차를 추월하는 역을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역에서 하치오역·모리야 역 2개 역으로 변경하고, 같은 시간대 하치오역에서의 구간 쾌속 열차와 보통 열차의 대기가 취소되었다. 쓰쿠바 역행 모든 통근쾌속 열차가 하치오역과 모리야 역에서 보통 열차와 접속하게 되었다.[53]
  • 2020년(레이와 2년) 3월 14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개통 이후 최초의 신형 차량인 TX-3000계가 도입되었고, 열차 증편·종별 변경 및 운행 구간 연장 등이 실시되었다.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최혼잡 시간대 열차가 증편(7~8시대 열차 편수 22~25편 증편)되었다. 상행 통근쾌속은 구간쾌속으로 변경되어,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상행 열차는 보통과 구간쾌속으로 통일되었다. 마찬가지로 최혼잡 시간대의 구간쾌속이 록쿠쵸역에 정차하게 되어, 해당 역에서는 최혼잡 시간대 정차 편수가 29편에서 42편으로 크게 증가했다.[51]
  • 2022년(레이와 4년) 3월 12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개통 이후 처음으로 감편이 실시되었다. 평일은 상행 6편·하행 7편, 토요일·휴일은 상행 2편·하행 4편이 감편되었다.[54]
  • 2023년(레이와 5년) 3월 18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전년에 이어 감편이 실시되었다. 토요일·휴일은 상행 1편, 하행 1편이 감편되었다. 또한, 진행 중인 8량 편성화 사업에 따른 록쿠쵸역, 아오이역의 승강장 연장 공사로 인해 서행 운전을 실시함에 따라 많은 열차의 소요 시간이 1~2분 연장되었다.[55]
  • 2024년(레이와 6년) 3월 16일 - 시간표가 개정되어 쾌속 열차 정차역에 하치오역이 추가되었으나, 전 구간 소요 시간은 변경되지 않았다. 또한,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보통 열차 4편,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구간 쾌속 열차 1편이 증편되었다. 록쿠쵸역, 아오이역의 승강장 연장 공사에 따른 서행 운전이 종료되었다.[49]

4. 4. 운행 편수

2012년 10월 15일 시간표 개정 당시 낮 시간대(日中) 1시간당 운행 편수는 다음과 같다.[52]

낮 시간대 운행 패턴
종별\역명아키하바라모리야쓰쿠바운행 편수
운행 구간쾌속colspan="6" |2편
구간쾌속colspan="3" |(각역 정차)2편
보통colspan="6" |2편
colspan="3" |colspan="3" |4편


4. 5. 회차역

쓰쿠바 익스프레스에서 정기적으로 회차 운전을 하는 역은 아키하바라(기점역), 쓰쿠바(종점역), 입환선이 있는 야시오모리야 4개 역이다.[47] 과거에는 기타센주에서도 회차 운전을 했지만, 2022년 다이어 개정으로 기타센주행이 없어지면서 정기 열차에서는 회차 운전을 하지 않게 되었다.[47]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의 아키하바라 쪽에도 선로 건넘선(크로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회차 운전에 사용되지 않는다.[47]

대피 가능한 역은 야시오,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모리야 3개 역이다.[47] 이 중 모리야 역은 개업 당시부터 2면 4선의 승강장 구조였지만, 2017년에 대피 설비가 설치될 때까지는 안쪽 선이 상행·하행 모두 쓰쿠바 방향으로 차량 기지에만 출입할 수 있는 배선이었다.[56][57]

5. 역 목록

쾌속통근
쾌속쾌속접속 노선소재지TX01아키하바라秋葉原일본어●●●야마노테선, 게이힌 도호쿠선
주오·소부 완행선(소부 본선)
히비야 선 (H-16)도쿄도지요다구TX02신오카치마치新御徒町일본어●●●오에도 선 (E-10)다이토구TX03아사쿠사浅草일본어●●● TX04미나미센주南千住일본어●●●조반 쾌속선(조반선), 히비야 선 (H-21)아라카와구TX05기타센주北千住일본어●●●조반 쾌속선(조반선), 히비야 선 (H-22)
지요다 선 (C-18, 조반 완행선)
도부 철도 이세사키 선아다치구TX06아오이青井일본어│││rowspan="4" |TX07로쿠초六町일본어▲●│TX08야시오八潮일본어●●●사이타마현야시오시TX09미사토추오三郷中央일본어●││미사토시TX10미나미나가레야마南流山일본어●●●무사시노선지바현나가레야마시TX11나가레야마 센트럴파크流山セントラルパーク일본어│││ TX12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流山おおたかの森일본어●●●도부 철도 노다선TX13가시와노하 캠퍼스柏の葉キャンパス일본어●●│rowspan="2" |가시와시TX14가시와타나카柏たなか일본어│││ TX15모리야守谷일본어●●●간토 철도 조소선이바라키현모리야시TX16미라이다이라みらい平일본어●││rowspan="5" |쓰쿠바미라이시TX17미도리노みどりの일본어●││쓰쿠바시TX18반파쿠기넨코엔万博記念公園일본어●││ TX19겐큐가쿠엔研究学園일본어●●│ TX20쓰쿠바つくば일본어●●● 



번호역 이름전철 방식각역정차준급통근쾌속쾌속환승위치
일본어영어구/시
TX01秋葉原아키하바라 (Akihabara)직류야마노테선, 게이힌 도호쿠선, 주오·소부 완행선(소부 본선), 히비야 선 (H-16)지요다도쿄
TX02新御徒町신오카치마치 (Shin-Okachimachi)도에이 오에도선 (E-10)다이토
TX03浅草아사쿠사 (Asakusa)도쿄 지하철 긴자선 (다와라마치 (G-18) 역)
TX04南千住미나미센주 (Minami-Senju)(쾌속), 히비야 선 (H-21)아라카와
TX05北千住기타센주 (Kita-Senju)(쾌속), 히비야 선 (H-22), 지요다 선 (C-18), 도부 스카이트리 선아다치
TX06青井아오이 (Aoi) 
TX07六町로쿠초 (Rokuchō) 
TX08八潮야시오 (Yashio) 야시오사이타마
TX09三郷中央미사토추오 (Misato-chūō) 미사토
TX10南流山미나미나가레야마 (Minami-Nagareyama)무사시노선나가레야마지바
TX11流山セントラルパーク나가레야마센트럴파크 (Nagareyama-centralpark) 
TX12流山おおたかの森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Nagareyama-ōtakanomori)도부 어반파크선
TX13柏の葉キャンパス가시와노하 캠퍼스 (Kashiwanoha-campus) 가시와
TX14柏たなか가시와타나카 (Kashiwa-Tanaka) 
TX15守谷모리야 (Moriya)조소선모리야이바라키
TX16みらい平미라이다이라 (Miraidaira)교류 쓰쿠바미라이
TX17みどりの미도리노 (Midorino) 쓰쿠바
TX18万博記念公園반파쿠기넨코엔 (Bampaku-kinenkōen) 
TX19研究学園겐큐가쿠엔 (Kenkyū-gakuen) 
TX20つくば쓰쿠바 (Tsukuba) 


5. 1. 역의 장식 및 설비

6. 연선 개황



도쿄 도구부(東京都区部)와 쓰쿠바 연구학원도시(筑波研究学園都市)를 잇는 철도 구상을 바탕으로, 당시 철도 통근 상황이 악화되고 있던 일본국유철도(日本国有鉄道)(국철) 조반선(常磐線)의 혼잡 해소 및 수도권의 주택 공급을 목적으로 2005년(平成17年) 8월 24일에 개업했다.[24]

관동 지방(関東地方)의 주요 간선 중에서는 가장 역사가 짧으며, 기성 시가지(既成市街地)의 지상 용지 매입을 피하기 위해 약 25%의 구간이 지하에 건설되었다.[24] 기점인 아키하바라 역(秋葉原駅) - 야시오 역(八潮駅) 구간은 미나미센주 역(南千住駅)에서 아라카와(荒川) 교량(키타센주 역(北千住駅) - 아오이 역(青井駅) 구간)을 제외하고 지하선(地下線)이며, 종점인 쓰쿠바 역(つくば駅)도 지하역이다. 지상 구간은 모두 고가 또는 굴착 구조로, 건널목(踏切)이 없다.[24]

최고 속도 130km로 고속 운전을 하며, 아키하바라 역 - 쓰쿠바 역 간 58.3km을 최속 45분(쾌속)에 연결한다. 전 구간에서 자동 열차 운전 장치(自動列車運転装置)(ATO)에 의한 자동 운전을 실시하며, 기관사(運転士)는 승무하지만, 차장(車掌)은 승무하지 않는 원맨 운전(ワンマン運転)을 한다.[24] 전 역에 가동식 홈 柵을 설치하는 등, 자동화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24]

도쿄 도구부(東京都区部)와 쓰쿠바 연구학원도시 및 연선 지역의 통근·통학 노선일 뿐만 아니라, 쓰쿠바산 셔틀버스(筑波山シャトルバス)와 연결하여 쓰쿠바산(筑波山)으로의 관광 노선 역할도 한다. 이 노선 개업으로 류가사마오타카노모리 역(流山おおたかの森駅)이나 카시와노하 캠퍼스 역(柏の葉キャンパス駅) 등 연선에서 주택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33]

6. 1. 아키하바라 - 기타센주

아키하바라역에서 야마노테 선, 게이힌 도호쿠 선, 우에노 도쿄 라인도호쿠 본선 아래를 북쪽으로 가는 열차는 오테마치역 직전에 동쪽으로 꺾어 카스가도리와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 선 바로 아래를 지나 신오카치마치역을 거쳐 북쪽으로 다시 꺾어 아사쿠사역에 도착한다. 이 역은 도부 철도, 도쿄 메트로긴자선, 도에이 지하철 아사쿠사선아사쿠사역과는 거리가 있다.

아키하바라역에서 미나미센주역까지는 지하로 운행되며, 미나미센주역을 지나 JR 조반 선과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 사이로 지상 구간이 시작된다.[42] 스미다가와를 건너면 3층에 승강장이 있는 키타센주역에 도착한다.

역 번호역 이름역간 거리 (km)누계 거리 (km)접속 노선・비고지상/지하소재지
TX01아키하바라 역-0.0동일본여객철도: 야마노테 선 (JY 03), 게이힌토호쿠 선 (JK 28), 소부선 (각역정차)(JB 19)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 (H-16)※
도에이 지하철:-- 신주쿠 선 (이와모토초 역:S-08)
지하도쿄도 치요다구
TX02신오카치마치 역1.61.6도에이 지하철:-- 오에도 선 (E-10)지하다이토구
TX03아사쿠사 역1.53.1지하다이토구
TX04미나미센주 역2.55.6동일본여객철도조반선 (쾌속) (우에노 도쿄 라인) (JJ 04)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 (H-21)※
지하아라카와구
TX05키타센주역1.97.5동일본여객철도: 조반선 (쾌속) (우에노 도쿄 라인) (JJ 05)
도부 철도:-- 이세사키선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TS-09)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 (H-22), -- 치요다 선 (C-18)
지상아다치구


6. 2. 기타센주 - 모리야

기타센주역을 출발한 열차는 도쿄 메트로 지요다 선, JR 조반선과 나란히 달리다가 아라카와를 건넌다.[43] 도부 이세사키 선과 교차하는 지점 부근에서 북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지하로 들어가는데, 도쿄 도심의 지상 구간은 짧게 끝난다. 이후 아야세가와와 수도고속 6호 미사토 선을 따라 지하로 달리다가 야시오역 직전에 지상으로 나온다. 야시오역 북쪽에는 수도고속 6호 미사토 선의 하시오 휴게소가 있다.

야시오역 부근부터는 교외 지역을 통과한다. 나카가와를 건너 도쿄 외곽순환 고속도로, 국도 298호선과의 삼중 입체 교차점과 미사토추오역을 지난다. 이후 사이타마현과 지바현의 경계인 에도가와를 건너면 다시 지하로 들어가, JR 무사시노 선과 환승 가능한 미나미나가레야마역에 도착한다.[43]

미나미나가레야마역을 출발하면 류테쓰 류야마 선을 지나[44] 지하 구간을 주행한다. 그 후 고가선이 되어 나가레야마 센트럴파크역을 지나, 도부 노다 선과 환승 가능한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역에 도착한다. 북동쪽으로 향해 가시와노하 캠퍼스역, 가시와타나카역을 지나 리네가와를 리네가와 교량으로 건너면 모리야역에 도착한다.[44]

6. 3. 모리야 - 쓰쿠바

모리야역을 출발하면 바로 차량기지 출입선이 분기된다. 도시축도로와 병용교인 코가이가와 교량을 통과하면 곧 직류 전철화와 교류 전철화를 구분하는 데드섹션을 통과하여 교류 전철화 구간에 진입한다.[45]

이곳부터는 고가와 절토로 구성된 전원 지대의 선형이 좋은 구간을 130km에 가까운 속도로 운행한다. 미라이다이라역, 미도리노역, 반파쿠키넨코엔역, 겐큐가쿠엔역을 경유하여 종점인 쓰쿠바역 직전에 지하(쓰쿠바 터널)로 들어가 쓰쿠바역에 도착한다.

이 모리야역 - 쓰쿠바역 간 20.6km 구간을 최고속도 등급인 쾌속열차는 중간 정차 없이 11분 만에 주파하며, 평균 속도는 112.4km이다. 이는 승차권만으로 탑승할 수 있는 일본 국내 열차(쾌속열차나 보통열차 등의 재래선) 중에서 매우 높은 속도이다.

7. 전철화 방식

기상청 지자기 관측소(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 소재)의 지자기 관측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모리야역 이북 구간은 교류 전력을 사용한다.[7] 아키하바라역-모리야역 구간은 직류 1500V, 모리야역 이북은 교류 20000V 50Hz로 전철화되어 있다.

전 구간 운행에는 교직류 양용 차량이 필요하지만, 직류 전용 차량보다 제작비가 비싸다. 따라서 아키하바라역-모리야역 구간만 운행하는 직류 전용 TX-1000계와 전 구간을 운행하는 교직류 겸용 TX-2000계, TX-3000계를 함께 운용하여 총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7]

도쿄 도내 지하 구간을 교류 20kV로 설계하면 절연 파괴 대책을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해 터널 단면이 커져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교류 전철화 방식을 사용하지 않았다.

가선 현수 방식은 세 종류를 사용한다. 아키하바라역에서 미나미센주역-기타센주역 구간 터널 갱구까지는 강체 가선 방식, 모리야역까지는 급전현수식, 모리야역에서 쓰쿠바역까지는 CS 심플 카테나리 현수식을 사용한다.

7. 1. 교직・교교 섹션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의 모리야 - 미라이헤이 구간에는 무전구간이 있어, 전철은 주행 중에 직류와 교류 전환을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기관사의 수동 조작이 아니라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무전구간 통과 중에도 차내 조명은 꺼지지 않지만, 에어컨은 정지되며, TX-2000계에서는 목적지·정차역 표시 패널이 소등된다. 여객 안내용 프리 패턴 디스플레이는 소등되지 않는다. 측벽(방음벽)에는 무전구간을 나타내는 마킹 도색이 있으며, 이것으로 무전구간을 판별할 수 있다.[46]

미도리노 - 만박기념공원역 구간에도 무전구간이 있으며,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만, 이 구간은 "교류-교류 섹션"이라고 불린다. 변전소 상호 간의 교류 전압 위상차에 의한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도 측벽에 무전구간을 나타내는 마킹 도색이 있다. 어느 구간이든 열차는 관성운전으로 통과한다. ATO 운전 시에는 전용 지상자를 통과하면 관성운전으로 들어간다.

8. 사용 차량

TX-1000계(아키하바라 ~ 모리야 간), TX-2000계(아키하바라 ~ 쓰쿠바 간), TX-3000계(아키하바라 ~ 쓰쿠바 간) 세 종류의 차량이 사용된다.[7] 이바라키현 이시오카에 있는 일본 기상청의 지자기 측정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모리야에서 쓰쿠바까지의 구간은 교류 전력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직류 전용 열차인 TX-1000계는 아키하바라와 모리야 사이에서만 운행 가능하며, 교류/직류 겸용 열차인 TX-2000계와 TX-3000계는 노선 전체를 운행할 수 있다.[7]

모든 차량은 2.95m의 넓은 차체를 채용하고 있다. 2003년 3월 시운전 및 교육용으로 6량짜리 열차 2대(TX-1000계와 TX-2000계)가 완성되었고, 2004년 1월부터 TX-1000계 84량(6량 열차 14편성)과 TX-2000계 96량(6량 열차 16편성)의 양산이 시작되어 2005년 1월까지 인도되었다. 히타치 레일이 제작한 TX-3000계 열차는 2020년 3월 14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계획 초기에는 2층 전차 투입도 계획되어 디자인, 완성 예상도, 모형도 제작되었다. 이 모형은 현재도 수도권 신도시 철도가 보관하고 있으며, 「쓰쿠바 익스프레스 축제」 등의 이벤트에서 전시되기도 한다.

2005년 9월 1일부터 여성 전용칸을 도입하여, 전 열차 6량 편성 중 1량을 시간대·방향에 따라 여성 전용칸으로 설정하고 있다.[77][58] 상행선은 평일 첫차부터 9시까지, 하행선은 아키하바라역 출발 18시 이후부터 막차까지 각 열차마다 1량을 여성 전용칸으로 하고 있다.[24]

수도권 신도시 철도는 2024년 4월 4일, 열차 내 범죄 예방 및 보안 강화를 목적으로 2024년도 말까지 전 차량(41편성 246량)에 차내 CCTV를 설치한다고 발표했다.[134] 쓰쿠바 익스프레스에서는 2020년도에 도입한 TX-3000계(5편성 30량)에만 기록식 차내 CCTV를 설치했지만, 실시간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통신식 카메라로 교체할 예정이다.

8. 1. 차량 검수 시설

쓰쿠바 익스프레스 종합기지는 다른 철도 사업자와 선로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차량 반입 시 육상 운송을 이용한다.[4] JR 등의 다른 철도 사업자와 선로 연결이 전혀 없기 때문에, 차량 반입 시에는 쓰쿠바 익스프레스 쓰치우라역에서 종합기지까지 육상으로 운송한다. TX-3000계는 코시가야 화물터미널역에서 육상으로 운송한다.[4]

8. 2. 열차 내 무선 LAN 접속

2005년 8월 24일, 쓰쿠바 익스프레스 개업과 함께 TX-2000계 60편성에서 열차 내 무선랜 접속(공중 무선 LAN) 실험 운영이 시작되었다.[24] 초기에는 아키하바라 역(秋葉原駅) - 키타센주 역(北千住駅) 구간에서만 이용 가능했으나, 2006년 3월 14일부터 아키하바라 역 - 미나미나가레야마 역(南流山駅) 구간 (10개 역, 9개 구간)으로 확대되었고, 같은 해 7월 20일에는 전 구간으로 확대되었다. 실험 운영은 TX-2000계 59편성부터 시작하여 전 편성으로 순차적으로 확대되었으며, 같은 달 말에 종료되었다.[24]

2006년 8월 24일부터는 TX-2000계 전 편성에서 아키하바라 - 쓰쿠바 전 구간에 걸쳐 상용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초기에는 NTT 도코모(NTTドコモ)의 Mzone (이후 도코모 와이파이(docomo Wi-Fi)) 및 모페라 U (공중 무선 LAN 코스)만 이용 가능했으나, 같은 해 11월 9일부터는 동일본전신전화(東日本電信電話)(NTT 동일본)의 프렛츠・스팟 서비스도 추가되었다.[24]

2019년 3월 31일, NTT 동일본의 프렛츠・스팟 서비스 종료로 인해 신규 가입은 도코모 이용자만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docomo Wi-Fi의 후속 서비스인 d 와이파이(d Wi-Fi)가 개시되면서, 도코모 이용자가 아니더라도 d포인트 클럽(dポイントクラブ) 회원이면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24]

2022년 12월 23일, 운영 사업자와의 계약 기간 만료로 열차 내 무선 LAN 서비스는 종료되었다.[24]

9. 이용 현황

회계연도승객 수 (백만 명)운영 일수일일 승객 수출처
200534.69220150,000[8]
200670.69365195,000
200784.85366234,000
200893.21365258,000
200997.79365270,300[9]
2010102.22365283,000[10]
2011104.89366290,000[11]
2012110.66365306,000[12]
2013118.22365323,900[13]
2014118.84365325,600[14]
2015124.14365340,100[15]
2016129.64366354,200[16]
2017135.12365370,200[17]
2018139.74365386,000[18]
2019143.10365395,000[19]
2020100.44365278,000[20]
2021110.61365306,000[21]



2005년 8월 24일 개업 첫해 승객 수는 3,469만 명, 1일 평균 승객 수는 개업 전 예상치(13만 5천 명)를 넘어선 15만 700명이었다.[8] 2007년 3월, 개업 20개월 만에 누적 수송 인원 1억 명을 돌파했다.[74] 1일 평균 승객 수는 2007년 4월 23만 9천 명,[74] 2008년 11월 26만 6,100명, 2009년 4월 27만 500명을 기록, 목표치인 27만 명에 도달했다.[74] 수도권 신도시 철도에 따르면, 이 목표는 향후 도쿄역까지 연장을 검토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74]

첫해 영업 수익은 예상치(90억 엔)를 크게 웃도는 140억 엔이었으나, 감가상각비 109억 엔 등의 이유로 최종 손익은 49억 엔 적자였다. 이후 증편을 위한 차량 증비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가 있었지만, 2008년도 결산에서 감가상각비를 포함한 영업 흑자를 달성했다.[90] 2009년도 결산에서는 당초 계획("개업 20년 후 단년도 흑자")을 크게 앞당겨 최종 흑자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수송 인원은 증가 추세를 이어가, 2017년도에 누적 손실이 해소되어 개업 이후 처음으로 이익잉여금을 계상했다. 이처럼 본 노선은 대형 사철의 한 노선과 견줄 만한 규모로 성장하고 있으나, 러시아워 시간대 혼잡률은 병행하는 조반 쾌속선, 조반 완행선과 비교해도 높다. 2019년 6월, 8량 편성화 사업 시행을 발표했으며, 사용 개시는 2030년대 전반이 될 예정이다.

2010년도 혼잡률은 160%에 달했으나, 열차 증편으로 한때 146%까지 낮아졌다. 그러나 2018년도에는 최고치인 169%까지 상승했다.[100] 러시아워에는 미나미나가야마역을 지나면 몸을 움직이기 어려웠고, 야시오역 이용 승객들은 문 근처 손잡이나 벽을 잡고 간신히 탑승했다.[100] 운행 편수는 점차 증가하여, 1시간당 16편이었던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편수는 2007년 17편, 2008년 20편, 2012년 10월 22편으로 증편했지만 혼잡률은 낮아지지 않았고, 연선 자치단체에서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2019년 5월 31일, 혼잡률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편수 증가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 8량 편성화 사업 시행을 공식 발표했다.[101] 사업 효과로는 1편성당 수송력이 6량 편성 대비 약 30% 증가하고,[101]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적절한 8량 편성 차량을 투입, 향후 여객 수요 동향을 고려해도 동 시간대 혼잡률을 150%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101] 2030년대 전반 사용 개시 예정이다.[101] 8량화 완료까지는 10년 이상 공사 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 측은 "가능한 한 빨리 8량화하고 싶지만, 여러 제약 조건 때문에 이 정도 기간이 걸린다"라고 설명한다.[100]

8량 편성화 계획은 2008년부터 있었으며, 8량 편성화를 위해 모든 역에서 승강장 연장 공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100][102] 2012년 9월, 미나미나가야마역 승강장이 10량분으로 연장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지하역을 중심으로 승강장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2023년도까지 아키하바라역, 신오테마치역, 아사쿠사역, 미나미센주역, 아오이역, 로쿠초역에서 승강장 연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2024년도에는 키타센주역 승강장 연장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103]

수도권신도시철도는 2024년 4월 4일, 열차 내 범죄 예방 및 보안 강화를 위해 2024년도 말까지 전 차량(41편성 246량)에 차내 CCTV를 설치한다고 발표했다.[134] 쓰쿠바 익스프레스에서는 2020년도 도입 TX-3000계(5편성 30량)에만 기록식 차내 CCTV를 설치했지만, 실시간 영상 확인 가능 통신식 카메라로 교체 예정이다. 이를 통해 차내 범죄나 혐오 행위 등 문제 발생 시 모든 차량 대상 지상에서 실시간 영상 확인이 가능, 관련 부서의 신속한 상황 파악, 확인, 대응, 연계로 열차 내 안전성 향상을 도모한다.

2022년도 하루 평균 수송 인원은 '''34만 9천 명'''이다. 2020년코로나19 유행 영향으로 한때 감소하기 전까지는 개업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012년도에 하루 평균 수송 인원이 30만 명을 넘었다. 이 수치는 대형 사철인 서일본 철도(2017년도 하루 평균 수송 인원 28만 명)보다 많다.

2022년도 아침 러시아워 최혼잡 구간은 아오이역 → 키타센주역 구간이며, 피크타임(7:29~8:29) 혼잡률은 '''138%'''이다.[135] 2017년부터 수도권신도시철도 HP에 공개된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혼잡 상황」에서는 키타센주역에 8:00~8:30경 도착 열차가 가장 혼잡하다.[136] 연선 개발 진행에 따른 인구 증가와 병행, 조반선으로부터 승객 이동이 진행되었다.

2012년도 다이어 개정에서는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운행 편수를 1시간당 20편에서 22편으로 증편했다. 러시아워 시간 설정 쾌속을 통근쾌속으로 변경, 간이 정차를 채용했지만, 아키하바라역 - 쓰쿠바역 소요시간은 50분 정도였다. 2015년도 다이어 개정에서는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상행선에서 실시되던 야시오역 열차 대피를 해소, 아키하바라역 - 나가야마오타카노모리역 구간 평행 다이어가 되었다. 2019년도 다이어 개정에서는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운행 편수를 1시간당 25편으로 증편했다.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설정 상행 열차 통근쾌속을 구간쾌속으로 변경, 로쿠초역에 정차해 혼잡 평준화를 도모했지만,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상행 구간쾌속은 통과역이 3역이 되어 아키하바라역 - 쓰쿠바역 소요시간은 1시간 정도였다.

설비 면에서도 2012년미나미나가야마역 승강장 연장, 상하선 열차 정차 위치 변경으로 혼잡 완화를 도모했다. 2017년부터 일부 TX-2000형 설치 세미 크로스 시트를 롱 시트로 개조, 혼잡 시 탑승률을 높였다.

최근 수송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수송 실적(승차 인원):명/일최혼잡 구간(아오이역 → 키타센주역간) 수송 실적[137][138][139][140]특기 사항
정기정기 외합계[141]운행 편수:편수송력:명수송량:명혼잡률:%
2005년|150,7001613,15214,3801078월 24일, 개업
2006년118,00077,000195,3001613,15218,329139
2007년146,00089,000234,2001713,97420,779149
2008년164,00094,000257,6002016,44025,896158
2009년176,00094,000270,3002016,44025,007152
2010년187,00096,000282,6002016,44026,232160동일본 대지진 발생
2011년192,00098,000289,700[142]2016,44025,811157
2012년201,000105,000305,900[143]2218,08426,33914610월 15일, 통근쾌속 운행 개시
2013년214,000110,000323,900[144]2218,08426,597148
2014년214,000112,000325,600[145]2218,08427,918154
2015년222,000116,000340,100[146]2218,08428,280156
2016년230,000121,000354,200[147]2218,08429,218162
2017년242,000124,000370,200[148]2218,08430,140165
2018년254,000128,000386,300[149]2218,08431,022169
2019년264,000127,000395,400[150]2218,30431,324171
2020년194,00081,000277,900[151]2520,77524,021116코로나19 대도시권 유행과 긴급사태 선언 발령
2021년203,400102,600305,800[152]2520,77525,590123코로나19 유행과 긴급사태 선언 발령・만연 방지 등 중점 조치
2022년219,000127,500349,000[153]2419,94427,480138


10. 운임

쓰쿠바 역의 운임표(2014년 5월 촬영)


성인 일반 여객 운임(소아는 반액, IC 카드 운임은 끝수를 1엔 단위로 내림, 승차권은 10엔 단위로 올림)은 2019년 10월 1일에 개정되었다.[154][155]

거리(km)운임(엔)거리(km)운임(엔)
IC 카드승차권IC 카드승차권
1 - 316817028 - 30682690
4 - 521021031 - 33733740
6 - 725126034 - 36786790
8 - 929330037 - 39838840
10 - 1133534040 - 42891900
12 - 1337738043 - 45943950
14 - 1541942046 - 489951,000
16 - 1847148049 - 511,0481,050
19 - 2152453052 - 541,1001,100
22 - 2457658055 - 571,1521,160
25 - 2762963058 - 591,2051,210



개업 당시 운임은 JR동일본의 간선 운임 수준을 참고하여 책정되었으며, 아키하바라역 - 쓰쿠바역 간 운임은 당시 고속버스 운임보다 약간 저렴했다. 그러나 쓰쿠바 익스프레스 개업과 동시에 고속버스 「쓰쿠바호」의 운임도 인하되었다. 2023년 1월 고속버스 운임 인상으로 현재는 쓰쿠바호가 더 비싸다. 또한 JR 본토 3사의 지방교통선보다 운임 수준이 높다.

10. 1. 승차권

쓰쿠바 익스프레스는 일반 승차권(편도·왕복), 정기 승차권(통근·통학), 단체 승차권(일반·학생) 및 각 역의 입장권을 판매한다. 정기권은 자기권과 IC 카드 두 종류가 있다.

PASMO, Suica 등 전국 교통계 IC 카드 10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자동 개찰기에서 2매 투입이 가능하다. 정기권 구입에는 신용카드도 사용 가능하다. (VISA, Master, JCB, AMEX, DINERS, MUFG 카드, DC 카드, UFJ 카드, NICOS). 신체·지적 장애인 할인 제도도 있다.

2008년 3월 14일부터 PASMO 개찰기 이용이 종료되었고, 2023년 12월 30일부터 회수 승차권·왕복 승차권 발매가 종료되었다.[77]

10. 1. 1. 연락 운송

쓰쿠바 익스프레스는 연락승차권을 설정하고 있지만, 일반 승차권의 경우 연결 철도 사업자 중 유일한 주주인 관동철도의 조소선만 해당된다. 각 역의 매표소에는 쓰쿠바 익스프레스선 내 운임 옆에 관동철도 조소선의 환승 운임이 기재되어 있다. 다른 회사 노선의 경우 기획 승차권을 다수 마련하여 대응하고 있다.
:* 관동철도 조소선(모리야역 환승)
:* 동일본여객철도선(수도권 정기권 발매 범위[156])・도쿄메트로선・도영지하철선・도부철도선・조소선 등. 3사 연락도 가능하다.

10. 2. 기획 승차권


TX&常総線往復きっぷ|티엑스 안도 조소센 오후쿠킷푸일본어

: 아키하바라역(秋葉原駅), 신오카치마치역(新御徒町駅), 기타센주역(北千住駅) - 모리야역(守谷駅) 구간 왕복 승차권과 간토 철도(関東鉄道) 조소선(常総線)의 모리야역 - 이시게역(石下駅), 시모쓰마역(下妻駅), 시모다테역(下館駅) 구간 왕복 승차권이 세트로 구성된 상품이다. 2005년 9월부터(신오카치마치역 출발은 2014년 4월 1일부터) 모리야역을 제외한 상기 6개 역에서 판매한다.

:* 유효기간: 발매일로부터 2일
TOKYO探索きっぷ|도쿄 단사쿠킷푸일본어

: 수도권 신도시 철도의 왕복 승차권과 도에이 마루고토킷푸(都営まるごときっぷ)가 세트로 구성된 상품으로, 2006년 4월 24일부터 판매하고 있다. 수도권 신도시 철도에서는 아사쿠사역(浅草駅)과 기타센주역(2014년 4월 1일부터)에서 중간 하차가 가능하다.[157] 신오카치마치역을 제외한 각 역에서 판매.
筑波山きっぷ|쓰쿠바야마킷푸일본어

: 수도권 신도시 철도의 왕복 승차권, 쓰쿠바산 셔틀버스 왕복 승차권(쓰쿠바스(つくバス) 북부 셔틀과 선택 승차 가능), 쓰쿠바산(筑波山) 내 일반 노선버스(간테츠), 쓰쿠바 관광 철도(筑波観光鉄道)의 케이블카, 로프웨이 1일 승차권이 세트로 구성된 상품이다. 2006년 4월 1일부터 판매하며, 쓰쿠바역(つくば駅)을 제외한 각 역에서 판매한다.
TX東京メトロパス|티엑스 도쿄 메토로파스일본어

: 아오이역(青井駅) - 쓰쿠바역 중 한 곳을 출발역으로 하는 왕복 승차권과 도쿄 메트로 1일 승차권(東京メトロ一日乗車券)이 세트로 구성된 상품이다. 2008년 7월 1일부터 판매하며, 수도권 신도시 철도의 아키하바라역 - 기타센주역 구간과 도쿄 메트로 전 노선의 승하차가 자유롭다. 아오이역 - 쓰쿠바역 구간의 각 역에서 판매.
TX&東京スカイツリー周辺散策フリーきっぷ|티엑스 안도 도쿄 스카이쓰리 슈헨 산사쿠 후리킷푸일본어

: 아키하바라역, 신오카치마치역 출발 시 아사쿠사역까지, 아오이역 - 쓰쿠바역 출발 시 기타센주역까지의 왕복 승차권과 도쿄 스카이트리(東京スカイツリー) 주변 산책 프리 티켓, 스카이트리 셔틀(スカイツリーシャトル) 우에노·아사쿠사선 1일 프리 승차권이 세트로 구성된 상품이다. 2012년 5월 22일 도쿄 스카이트리가 개업하면서 판매를 시작했다. 수도권 신도시 철도의 아사쿠사역 - 기타센주역 구간도 승하차가 자유롭다. 아사쿠사역, 미나미센주역(南千住駅), 기타센주역을 제외한 각 역에서 판매.
TX! 1日フリーきっぷ|티엑스 이치니치 후리킷푸일본어

: 적용 구간: 전 노선

:* 매년 여름방학, 겨울방학, 봄방학, 골든위크 기간에 각 역에서, 사이타마현민의 날에는 야시오역(八潮駅)·미사토추오역(三郷中央駅)에서 판매한다. 유효 기간은 발매 당일 한정이다. 판매 가격은 2014년 골든위크부터 어른 2380JPY, 어린이 680JPY이다.[158] 2014년 3월 발매분까지는 어른 2300JPY, 어린이 680JPY이었고,[159] 어른과 어린이의 판매 가격을 합치면 2980JPY(298 = 츠쿠바(two ku ba))이었다.

:* 2006년 12월 22일부터 2007년 1월 8일에 처음으로 판매되었다. 이 승차권 발매와 함께 2007년부터 "신춘 1일 승차권"(후술)은 판매되지 않았다. 또한 "여름방학! 1일 자유이용권"(후술)을 대신하여 2008년부터 여름방학 기간에도 "TX! 1일 자유이용권"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
: 적용 구간: 전 노선

:* 2005년 8월 19일부터 8월 21일까지 500JPY에 판매했다. 유효기간은 8월 29일부터 31일까지의 하루였다. 총 3만 매를 판매했다.
新春1日乗車券|신슌 이치니치 조샤켄일본어

: 적용 구간: 전 노선

:* 2006년 1월 1일부터 3일까지 각 역에서 판매했다. 유효기간은 발매 당일 한정이었다. 구입 당일에 한하여 연선(沿線)의 특정 상점에 제시하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판매 가격은 어른 2000JPY, 어린이 1000JPY였다.
: 적용 구간: 전 노선

:* 2006년 7월 15일부터 8월 31일까지 각 역에서 판매했으며, 유효기간은 발매 당일 한정이었다. 이 승차권 발매에 따라 「TX 두근두근! 스탬프 랠리」가 실시되어, 스탬프를 모은 개수에 따라 다양한 경품이 준비되었다. 스탬프는 총 52개이며, 모두 모은 승객 중 1명에게 실제 차량에 사용되었던 헤드 마크가 선물로 증정되었다. 판매 가격은 어른 2300JPY, 어린이 680JPY였다. 2007년에는 후술하는 「개업 2주년 기념 1일 승차권」이 판매되었고, 2008년부터는 하계 1일 승차권도 「TX! 1일 자유이용권」이라는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다.
: 적용 구간: 전 노선

:* 개업 2주년이 되는 2007년 8월 24일부터 9월 2일까지 판매되었다. 판매 가격은 어른 2000JPY, 어린이 680JPY이며, 유효기간은 판매 기간 중 하루였다. 선착순 4만 매는 특별 디자인 표면으로 판매했다.

11. 이미지 캐릭터

일반 공모를 통해 2005년 2월 5일에 '''스피피(スピーフィ)'''라는 이름이 발표되었다. "스피디(스피드)"하고 "나이스 필링"인 이미지를 담고 있는 것이 이름의 유래이다.[24]

12. 심볼 마크

수도권 신도시 철도 및 쓰쿠바 익스프레스의 로고마크인 '''TX'''는 '''T'''sukuba E'''x'''press에서 유래되었다.

13. 연선 개발

사이타마현지바현은 물론, 이바라키현모리야시쓰쿠바시에서도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개통 전에는 개발이 더딜 것으로 예상되었던 모리야역 이북의 급행 통과역에서도 개발이 진행되었다. 미라이헤이역 앞에는 이이다산업이, 쓰쿠바 시청 신청사가 완공된 켄큐가쿠엔역 앞에는 아나후키고무텐과 미쓰비시지소가 대규모 아파트를 착공했다.[33]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역 앞에는 다카시마야 계열인 토신개발의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S・C가, 카시와노하캠퍼스역 앞에는 미쓰이부동산의 라라포토카시와노하가, 켄큐가쿠엔역 근처에는 다이와하우스공업의 이아스쓰쿠바가 들어섰다. 야시오역과 미라이헤이역 앞에는 카스미를 중심으로 하는 쇼핑센터 후레스포야시오와 피아시티미라이헤이가 개점하는 등 신규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개발로 연선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매년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나가레야마시와 모리야시 지역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33]

13. 1. 개발 계획

1985년 7월 11일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 "조반 신선 신설" 항목이 설정된 후, 1988년 11월 조반 신선 정비 검토 위원회에서 "조반 신선 정비 방책의 기본 프레임"에 대한 합의가 성립되었다.[75] 1991년 12월 4일 "수도권 신도시 철도 설립 준비실"이 발족되었고,[76] 1991년 1월 23일 발기인회에서 회사명을 "수도권 신도시 철도 주식회사"로 결정했다.[77] 같은 해 3월 15일 수도권 신도시 철도 주식회사가 설립되었으며,[78][79] 10월 23일에는 주택철도법에 기반한 기본 계획이 국가의 승인을 받았다.[80][81] 10월 25일 "수도권 신도시 철도"가 철도 사업 면허를 신청했고,[66] 1992년 1월 "수도권 신도시 철도"에 철도 사업 면허가 발급되었다.

1993년 5월, 이나・타니와하라 구릉부 특정 토지구획정리사업 계획이 발표되었고, 12월에는 조반 신선 계획(모리야 - 이나・타니와하라 간)에 대해 이바라키현 도시계획심의회에 자문이 이루어졌다. 1994년 3월, 조반 신선 계획(모리야 - 이나・타니와하라 간)에 대해 도시계획 결정이 고시되었고, 1996년 2월에는 이바라키현이 주택철도법에 의한 기본 계획 변경을 운수・건설・자치 3대신에게 신청하여 3월에 승인받았다.

1998년 1월, 나가레야마시 구간에 대해 도시계획 결정이 고시되었고, 1999년 3월에는 가시와 시내 구간, 6월에는 쓰쿠바 시내 구간에 대해 도시계획 결정이 고시되면서 아키하바라 - 쓰쿠바 간 전 노선이 도시계획 결정되었다.

2001년 1월, 연선 지역의 애칭이 "미라이다이라・이치사토"로 결정되었고, 2월 2일 수도권 신도시 철도에서 노선 명칭이 "쓰쿠바 익스프레스"로 발표되었다.[77]

이바라키현과 UR 도시기구는 다음과 같은 주요 개발 지역을 정비했다.

13. 1. 1. 시설・주택 단지 등

쓰쿠바 익스프레스 노선 주변은 개통 전부터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특히 역 주변을 중심으로 상업 시설과 주택 단지가 조성되어 부동산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 연구학원가쓰라기 (겐큐가쿠엔역 주변)

쓰쿠바 시청을 비롯하여 여러 기업의 쇼룸이 위치해 있다.

; 쓰쿠바 미도리노사토 (미도리역 주변)

; 다엔도시시마나 (반파쿠키넨코엔역 주변)

; 미라이다이라 (미라이히라역 주변)

이 외에도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역 앞에는 다카시마야 계열인 토신개발의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S・C, 카시와노하캠퍼스역 앞에는 미쓰이 부동산의 라라포토카시와노하, 겐큐가쿠엔역 근처에는 다이와 하우스 공업의 이아스쓰쿠바, 야시오역과 미라이헤이역 앞에는 카스미를 키 테넌트로 하는 쇼핑센터 후레스포야시오, 피아시티미라이헤이 등이 개발되었다.

14. 수상 및 표창 내역

쓰쿠바 익스프레스 수상 및 표창 내역
연도수상 및 표창 내역주최 기관비고
2005년일본철도상 표창 심사위원회 프로젝트상국토교통성 철도의 날 실행위원회
2005년배리어프리 우수상배리어프리 추진 네트워크
2005년2005 쇼가쿠칸 다임(DIME) 트렌드 대상 생활건강 부문쇼가쿠칸 다임
2006년동기념상사단법인 일본철도운전협회
2006년제16회 독자가 뽑는 네이밍 대상 생활부문 2위닛칸공업신문사
2006년2005년도 토목학회상 기술상 (21세기에 어울리는 도시 만들기와 일체적으로 정비한 철도 신선)사단법인 토목학회
2006년쓰쿠바 익스프레스 열차 내 무선 LAN 2006년도 정보화의 달 정보처리 시스템 표창정보화의 달 추진 회의
2006년이바라키 이미지 업 대상이바라키현
2006년모리야역 제51회 철도건축협회 작품 부문 국토교통성 국장상사단법인 철도건축협회(국토교통성 철도국 국장)
겐큐가쿠엔역 제51회 철도건축협회 작품상사단법인 철도건축협회
미라이다이라역 제51회 철도건축협회 작품상
2007년운전 무사고 표창 (2005년 10월 1일 ~ 2007년 9월 30일, 2년간)국토교통성 간토 운수국장


15. 등장 작품

펜딩 트레인-8시 23분, 내일 너와 (2023년 방송)에는 쓰쿠바 익스프레스가 실제 이름 그대로 등장하며, 실제 차량 (TX-2000계)의 내장 부품을 드라마 촬영 세트에 사용했다.[160]

참조

[1] 웹사이트 平成27年 大都市交通センサス 首都圈報告書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8-09-29
[2] 논문 Tsukuba Express – Introduction to Stations https://www.ejrcf.or[...] 2005-12-01
[3] 웹사이트 トピックス【TX情報】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05-12-01
[4] 웹사이트 http://www.mir.co.jp[...]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2-07-26
[5] 뉴스 TX東京駅延伸で茨城の沿線自治体市議会が意見書 http://www.nikkei.co[...] 2013-09-21
[6] 웹사이트 茨城県内のTX延伸先は「土浦方面」 県第三者委「実現可能性、採算性で優位」 https://www.sankei.c[...] 2023-03-31
[7] 웹사이트 Hitachi to supply extra trains for Tsukuba Express https://www.railjour[...] Simmons-Boardman Publishing 2018-06-12
[8] 간행물 "開業3周年を迎えるつくばエクスプレス(TX)" Tetsudō Daiya Jōhō Magazine 2008-08-01
[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0-05-25
[10] 웹사이트 http://www.mir.co.jp[...]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1-06-06
[11] 웹사이트 http://www.mir.co.jp[...]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2-06-04
[12] 웹사이트 http://www.mir.co.jp[...]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3-06-07
[13] 웹사이트 http://www.mir.co.jp[...]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4-06-06
[14] 웹사이트 https://www.mir.co.j[...]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5-06-02
[15] 웹사이트 https://www.mir.co.j[...]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6-06-08
[16] 웹사이트 https://www.mir.co.j[...]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7-06-01
[17] 웹사이트 https://www.mir.co.j[...]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8-06-03
[18] 웹사이트 https://www.mir.co.j[...]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19-06-03
[19] 웹사이트 https://www.mir.co.j[...]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20-06-06
[20] 웹사이트 https://www.mir.co.j[...]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21-06-03
[21] 웹사이트 https://www.mir.co.j[...] Metropolitan Intercity Railway Company 2022-06-03
[22] 간행물 開業目前!つくばエクスプレス 交通新聞社『鉄道ダイヤ情報』 2005-09-01
[23] 웹사이트 旅客営業規則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0-02-27
[24] 서적 茨城「地理・地名・地図」の謎 小野寺敦 監修 2014-01-01
[25] 웹사이트 コーポレート・アイデンティティ http://www.mir.co.jp[...]
[26] 웹사이트 首都圏の未来を開く常磐新線(首都圏新都市鉄道公式サイト)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7] 문서 日本第4526931号、第4528643号、第4542177号、第4550991号、第5147374号、第5151391号、第5153431号、第5153432号、第5153433号、第5176639号
[28] 웹사이트 PASMO・Suicaエリア 路線図 http://www.pasmo.co.[...] PASMO
[29] 웹사이트 地下鉄路線図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30] 웹사이트 メトロネットワーク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31] 웹사이트 東武列車種別と停車駅ご案内 http://railway.tobu.[...] 東武鉄道
[32] 웹사이트 鉄道路線図 http://kantetsu.co.j[...] 関東鉄道
[33] 웹사이트 つくばエクスプレス沿線の都市開発の経緯と影響について https://www.cpij.or.[...] 公益社団法人 日本都市計画学会
[34] 보도자료 お知らせ http://www.ktt.mlit.[...] 関東運輸局鉄道部 2005-07-22
[35] 웹사이트 首都圏新都市鉄道(株)の旅客運賃の上限設定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05-04-19
[36] 웹사이트 首都圏新都市鉄道株式会社からの鉄道の旅客運賃の上限設定認可申請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3-12-17
[37] 웹사이트 参考資料1 法律等の関係部分について http://www.jterc.or.[...] 運輸政策研究機構 2013-12-17
[38] 웹사이트 平成24事業年度財務諸表(建設勘定) http://www.jrtt.go.j[...] 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2013-12-17
[39] 서적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公営鉄道・私鉄
[40] 웹사이트 つくばエクスプレス概要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0-09-27
[41] 간행물 首都圏新都市鉄道 ニーズに対応した快適性を求めて 日本鉄道運転協会 2017-11
[42] 서적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公営鉄道・私鉄
[43] 서적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公営鉄道・私鉄
[44] 서적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公営鉄道・私鉄
[45] 서적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公営鉄道・私鉄
[46] 웹사이트 つくばエクスプレス 守谷―みらい平 交直セクション https://www.youtube.[...] 2013-11-16
[47] 문서 時刻表より
[48] 문서 東京メトロ銀座線田原町駅
[49] 웹사이트 2024年3月16日(土) 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4-01-25
[50] 보도자료 10月15日(月)にダイヤ改正を実施いたします。〜輸送力を増やし、利便性の向上を図ります〜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0-05-19
[51] 보도자료 〜TX-3000系を導入、朝ラッシュ時間帯は25本運行へ〜 2020年3月14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20-02-09
[52] 웹사이트 トピックス【TX情報】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20-05-19
[53] 보도자료 3月17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いたします。〜「守谷追越設備」を使用開始し、TXの利便性向上を推進します〜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8-04-29
[54] 보도자료 2022年3月12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お客様の行動変容を踏まえ、ご利用状況に応じたダイヤに変更〜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2-02-02
[55] 웹사이트 2023年3月18日 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3-02-03
[56] 보도자료 「入出庫線の複線化」および「守谷駅追越設備の新設」工事を開始しました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8-04-29
[57] 웹사이트 『TXかわら版』2018年春号 vol. 42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8-04-29
[58] 뉴스 つくばエクスプレス:平日ラッシュ時、女性専用車両を導入--来月1日から/千葉 毎日新聞社 2005-08-21
[59] 뉴스 早期開通へ態勢固め着々 1992-01-03
[60] 논문 茨城の鉄道とつくばエクスプレスの可能性 http://www.arc.or.jp[...] 常陽地域研究センター 2003-10
[61] 간행물 広報もりや 1984-09-10
[62] 간행물 広報とりで 1984-09-15
[63] 간행물 広報かしわ 1983-09-21
[64] 문서 扇橋
[65] 논문 常磐新線からつくばエクスプレス (TX) 竣工への道 Part1 電気車研究会 2007-01
[66] 뉴스 動き出す常磐新線沿線開発 1993-03-12
[67] 논문 交流を支える交通網の整備 常磐新線プロジェクト http://www.pref.ibar[...] 茨城県地域総合研究会 1998-03
[68] 문서 http://www.pref.ibar[...]
[69] 서적 地方自治年鑑 1995年版 第一法規出版 1995-10
[70] 뉴스 事業費1兆283億円-運輸省が見直し 開業も5年遅らす 1996-12-21
[71] 뉴스 開業時期遅れる-用地買収難航など影響 1996-12-13
[72] 웹사이트 参考資料1 http://www.pref.ibar[...] 茨城県 2001-03-01
[73] 보고서 平成15年度筑波研究学園都市の建設推進のための方策検討調査報告書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04-03-01
[74] 뉴스 TX東京延伸計画に弾み、目標の1日平均乗車27万人突破 http://www.yomiuri.c[...] 2009-05-26
[75] 뉴스 常磐新線・第3セクター 設立準備室が発足 読売新聞社 1990-12-05
[76] 뉴스 常磐新線整備 名称は首都圏新都市鉄道 三セク会社 発起人会で決定 千葉日報社 1991-01-24
[77] 서적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公営鉄道・私鉄
[78] 뉴스 常磐新線基本計画 運輸など3省承認 鉄道事業免許申請へ 千葉日報社 1991-10-24
[79] 뉴스 常磐新線の基本計画承認 読売新聞社 1991-10-24
[80] 뉴스 常磐新線の免許申請 年内にも許可、12年開業へ 千葉日報社 1991-10-26
[81] 뉴스 常磐新線の免許申請 朝日新聞社 1991-10-26
[82] 뉴스 常磐新線が本格着工 住宅供給と一体化 首都圏1都3県結ぶ 秋葉原で起工式 千葉日報社 1994-10-29
[83] 뉴스 「常磐新線」起工式 秋葉原-つくば間2000年開業 用地交渉で難航も 毎日新聞社 1994-10-28
[84] 뉴스 秋葉原駅工事の祈願祭 常磐新線 ホームは地下4階 交通新聞社 1998-09-18
[85] 학술지 モハユニ ■首都圏新都市鉄道 「つくばエクスプレス」一般公開 鉄道友の会 2003-07-01
[86] 뉴스 全20駅の名称発表 つくばエクスプレス 県内5駅名も決定 千葉日報社 2003-10-09
[87] 뉴스 TXあす開業 発車式で完成祝う 千葉日報社 2005-08-23
[88] 뉴스 県内5駅 つくばエクスプレス開業 県内企業、新動脈に期待感 沿線の魅力づけ必要 千葉日報社 2005-08-25
[89] 웹사이트 トピックス【TX情報】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05-12-01
[90] 뉴스 つくばエクスプレスが営業実績発表-輸送人員増、初の営業黒字に http://akiba.keizai.[...] 2009-06-08
[91] 문서 平成20年度営業実績について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株式会社
[92] 웹사이트 TSUKUBA EXPRESS|つくばエクスプレス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11-03-23
[93] 웹사이트 TSUKUBA EXPRESS|つくばエクスプレス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11-05-12
[94] 웹사이트 TX情報 - TSUKUBAEXPRESS|つくばエクスプレス https://web.archive.[...] 2011-05-19
[95] 웹사이트 TSUKUBA EXPRESS|つくばエクスプレス https://web.archive.[...] 2011-09-27
[96] 보도자료 3編成18両の車両増強と南流山駅ホーム改良計画について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11-01-11
[97] 웹사이트 TSUKUBA EXPRESS {{!}} つくばエクスプレス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12-09-23
[98] 보도자료 平成29年3月19日(日)初列車より入出庫線の複線使用を開始します!! 〜安定輸送の更なる向上を図ります〜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17-03-09
[99] 뉴스 つくばエクスプレス、基地内で脱線 車止めにぶつかる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9-02-28
[100] 웹사이트 つくばエクスプレス「8両化」なぜ10年もかか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19-06-28
[101] 웹사이트 8両編成化事業の実施を決定! 朝ラッシュ時間帯における抜本的な混雑緩和を図ります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株式会社 2019-05-31
[102] 문서 つくばエクスプレス線、8両化に伴うホーム延伸詳細設計他 http://www.jrtt.go.j[...] 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103] 웹사이트 つくばエクスプレス 2024年度 事業計画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4-03-01
[104] 뉴스 TX東京延伸・国交省調査 運営会社の収支好転 1日平均27万人乗車条件 2007-05-03
[105] 문서 つくばエクスプレスプロジェクトの促進について http://www.pref.ibar[...] 茨城県
[106]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今後の都市鉄道のあり方について(答申)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6-04-20
[107] 뉴스 交政審小委/答申案に東京圏地下鉄新路線構想盛る/秋葉原から臨海部まで直通運転 https://www.decn.co.[...] 2016-04-08
[108] 웹사이트 都心・臨海地下鉄新線 https://www.city.chu[...] 中央区
[109] 뉴스 TX、8両編成 前倒し難しく 社長「東京駅延伸は様子見」 https://www.nikkei.c[...] 2019-08-07
[110] 뉴스 つくばエクスプレス(TX)の延伸は必要か…茨城で「実現する会」発足、東京、千葉、埼玉は静観 https://www.tokyo-np[...] 2022-06-09
[111] 웹사이트 都心部・臨海地域地下鉄構想事業計画検討会「事業計画案の取りまとめ」について https://www.metro.to[...]
[112] 웹사이트 都心部・臨海地域地下鉄構想 事業計画検討会 事業計画 https://www.metro.to[...]
[113] 회의록 本会議 http://gikai1.pref.i[...] 茨城県議会 2004-03-08
[114] 회의록 本会議 http://gikai1.pref.i[...] 茨城県議会 2008-03-06
[115] 웹사이트 ご意見・ご提案紹介ページ http://www.pref.ibar[...] 茨城県
[116] 회의록 本会議 http://gikai1.pref.i[...] 茨城県議会 2004-03-08
[117] 회의록 平成17年総務企画常任委員会 http://gikai1.pref.i[...] 茨城県議会 2005-03-07
[118] 회의록 本会議 http://gikai1.pref.i[...] 茨城県議会 2008-03-06
[119] 웹사이트 知事に大井川氏 刷新訴え初当選、橋本氏の7選阻む https://ibarakinews.[...] 茨城新聞社 2017-08-28
[120] 웹사이트 茨城県総合計画{{~}}「新しい茨城」への挑戦{{~}} 第3部(チャレンジⅢ{{~}}Ⅳ) https://www.pref.iba[...] 茨城県政策企画部計画推進課
[121] 웹사이트 茨城県総合計画{{~}}「新しい茨城」への挑戦{{~}} 計画表紙,第1部,第2部 https://www.pref.iba[...] 茨城県政策企画部計画推進課
[122] 웹사이트 茨城県総合計画{{~}}「新しい茨城」への挑戦{{~}}パンフレット 「IBARAKI CHALLENGE BOOK」 https://www.pref.iba[...] 茨城県政策企画部計画推進課
[123] 웹사이트 茨城県総合計画{{~}}「新しい茨城」への挑戦{{~}} 第4部,第5部,参考資料 https://www.pref.iba[...] 茨城県政策企画部計画推進課
[124] 웹사이트 【茨城新聞】22年度茨城県予算案 TX延伸、調査費1800万円 構想4ルート、絞り込みへ https://ibarakinews.[...]
[125] 뉴스 県4方面案 TX延伸、進む調査 災害時輸送も比較 2022-09-01
[126] 웹사이트 TXって本当に延伸するの!? https://web.archive.[...]
[127] 뉴스 つくばエクスプレス、茨城側の延伸先は土浦 東京側の動向も注視 https://www.asahi.co[...] 2023-03-31
[128] 웹사이트 TX県内延伸調査の結果について https://www.pref.iba[...]
[129] 뉴스 つくばエクスプレス 2050年ごろ土浦市方面に延伸目指す 茨城県 https://www3.nhk.or.[...] 2023-06-23
[130] 뉴스 つくばエクスプレス延伸案は土浦方面に決定 採算性で実現にハードル https://www.asahi.co[...] 2023-06-23
[131] 뉴스 TX茨城空港延伸を再度要望 7市議会の期成同盟会 「91年合意」言及後初 https://newstsukuba.[...] 2021-03-07
[132] 뉴스 「調査する状況にない」TX県内延伸問題で知事 91年合意に言及 https://newstsukuba.[...] 2020-12-22
[133] 뉴스 つくばエクスプレス(TX)の延伸は必要か…茨城で「実現する会」発足、東京、千葉、埼玉は静観 https://www.tokyo-np[...] 2022-06-09
[134] 보도자료 2024年度末までに全車両に車内防犯カメラを設置し、駅や車内での巡回警備も強化します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4-04-04
[135]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4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7-14
[136] 웹사이트 北千住駅到着時の⾞両別混雑状況について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137] 간행물 都市交通年報
[138] 웹사이트 公共交通関係データ集 http://www.pref.sait[...] 埼玉県
[139] 웹사이트 民鉄線のラッシュ1時間当り旅客輸送状況 http://www.pref.sait[...] 埼玉県
[140] 웹사이트 路線整備の意義・必要性等の整理 https://www.pref.sai[...] 埼玉県
[141] 웹사이트 つくばエクスプレスの利用状況について http://www.city.naga[...]
[142] 보도자료 平成23年度営業実績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2-06-24
[143] 보도자료 平成24年度営業実績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3-06-07
[144] 보도자료 平成25年度営業実績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4-06-03
[145] 보도자료 平成26年度営業実績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5-06-02
[146] 보도자료 平成27年度営業実績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6-06-02
[147] 보도자료 平成28年度営業実績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7-06-01
[148] 보도자료 平成29年度営業実績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8-06-07
[149] 보도자료 平成30年度営業実績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9-05-31
[150] 보도자료 2019年度営業実績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0-06-30
[151] 보도자료 2020年度営業実績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1-06-03
[152] 보도자료 2021年度営業実績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2-06-01
[153] 웹사이트 2022年度営業成績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23-08-14
[154] PDF 消費税率の引上げに伴う運賃変更の許可および運賃改定について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19-09-05
[155] PDF 消費税率の引上げに伴う運賃の改定申請について https://www.mir.co.j[...] 首都圏新都市鉄道 2019-07-02
[156] 웹사이트 連絡定期券 http://www.jreast.co[...]
[157] 문서 秋葉原駅・浅草駅発売分は途中下車不可。南千住駅・北千住駅発売分は浅草駅のみ途中下車可能。
[158] 보도자료 「TX!1日乗り放題きっぷ」を発売します! GWはつくばエクスプレスに乗って出かけよう!!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4-04-23
[159] 보도자료 「TX!1日乗り放題きっぷ」の発売について 3月1日から31日の期間限定発売! http://www.mir.co.jp[...] 首都圏新都市鉄道 2014-02-19
[160] 웹사이트 金曜ドラマ『ペンディングトレイン―8時23分、明日 君と』|TBSテレビ https://www.tbs.co.j[...] 2023-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