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가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중가요는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아 민주화, 노동, 반전, 반미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저항 정신을 표현하는 노래를 의미한다.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되어 영국, 프랑스, 독일,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전 세계적으로 발전했으며, 포크, 록, 힙합 등 다양한 장르로 표현된다. 대한민국에서는 1970~80년대 군사 정권에 저항하는 노래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김민기, 안치환, 노래를 찾는 사람들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이다. 민중가요는 문학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 운동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운동 - 반체제
반체제는 지배적인 정치 체제나 권위에 반대하는 개인 또는 집단을 의미하며, 동구권에서는 공산주의 정권 비판적 지식인을, 소련에서는 체제 반대자를 지칭했으며, 암호화 기술을 활용하여 검열을 피하는 활동도 있었다. - 정치 운동 - 반핵 운동
반핵 운동은 핵무기 개발, 생산, 사용, 그리고 원자력 에너지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바탕으로 하는 국제적인 사회 운동으로, 핵무기 폐기,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을 알리고,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안보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논쟁이 발생하고 있다. - 민중가요 - 반디에라 로사
반디에라 로사는 1877년 카를로 투치가 작곡하고 가사를 쓴 이탈리아의 혁명가요로, 이탈리아 사회주의 운동의 상징이자 노동자들의 투쟁과 연대를 고취하는 노래이며, 시대 변화에 따라 가사가 수정되어 전 세계 বিভিন্ন 언어로 번역되었고 한국에서는 민주화 운동 시기에 진보 진영의 가치와 이념을 상징하는 노래로 불렸다. - 민중가요 - Working Class Hero
Working Class Hero는 존 레논이 사회 계층 간 불평등과 노동 계급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묘사한 곡으로,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며 발표 당시 검열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의 대표곡으로 자리매김하여 사회 운동과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중가요 | |
---|---|
정의 | |
설명 | 사회 변화를 위한 운동과 관련된 노래 |
관련 용어 | 항의 노래 저항 노래 자유 노래 평화 노래 |
특징 | |
목적 | 특정 문제에 대한 항의, 사회적 의식 고취, 행동 촉구 |
주제 | 전쟁 빈곤 불평등 억압 환경 문제 |
음악적 스타일 | 다양함 (포크, 록, 힙합, 팝 등) |
역사 | |
기원 | 민중의 불만과 저항 정신의 표현 |
발전 | 다양한 사회 운동과 함께 발전 |
예시 | 1960년대 미국의 반전 운동과 관련된 노래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노래 |
영향 | |
사회적 영향 | 사회적 의식 고취 사회 운동 동기 부여 사회 변화 촉구 |
음악적 영향 | 다양한 음악 장르에 영향 |
관련된 노래 | |
설명 | 사회 비판적인 내용이나 사회 운동의 메시지를 담은 노래 |
예시 | 밥 딜런의 "Blowin' in the Wind" 존 레논의 "Imagine" 김민기의 "아침 이슬" 양희은의 "상록수" |
일본어 명칭 | |
일본어 | プロテストソング |
로마자 표기 | Purosuto Songu |
한국어 명칭 | |
관련 용어 | 민중가요 저항가요 |
2. 역사
사회학자 R. 세르주 데니소프는 시위 노래를 설득이나 선전의 형태로 보았으며, 그 기능을 "자극적" 또는 "수사적"으로 구분했다.[6] "자극적" 시위 노래는 사람들을 운동에 참여시키고 연대와 헌신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Keep Your Eyes on the Prize"와 "We Shall Overcome"이 있다. 반면 "수사적" 시위 노래는 개인적인 분노를 표현하고 정치적 여론을 바꾸기 위한 직접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밥 딜런의 "Masters of War"와 마빈 게이의 "What's Going On"이 그 예이다.[7]
론 아이어먼과 앤드류 제이미슨은 데니소프의 접근 방식이 지나치게 단순하다고 비판하며, 음악과 노래가 조직, 지도자, 시위가 없을 때조차 운동을 유지하고 새로운 운동의 출현을 준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8][9]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자유의 노래가 운동에 단결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고 묘사했다.[10]
라이(())는 알제리 오랑에서 기원한 민요의 일종으로, 베두인 양치기들이 스페인 음악, 프랑스 음악, 아프리카 음악, 아랍 음악의 형식을 혼합하여 만들어졌다.[11] 1950년대와 1960년대를 거치면서 현대적인 악기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프랑스 점령에 맞서 싸운 알제리 해방 투사들과 같은 정치 운동 및 조직과의 연관성을 유지했다. 알제리가 독립한 후에도 라이는 알제리 정부와 불리한 관계를 지속했는데, 정부는 문화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라이는 방송 매체에서 금지되었지만, 카바레와 같은 지하 공간에서는 번성했다.[11] 체브 마미의 노래 "북쪽의 파리인(Parisien Du Nord)"은 2005년 프랑스 폭동을 촉발한 인종적 긴장에 대한 항의로 쓰였다.[12]
아흐메드 푸아드 네즘은 이집트 하층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시위대를 고무하는 시를 쓴 반체제 인사였다.[13][14] 그의 시 "그들은 누구이고 우리는 누구인가?"의 구절은 2011년 타흐리르 광장에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에 대한 항의 시위에서 외쳐졌다.[14] 음악은 이집트 혁명으로 이어진 타흐리르 광장 시위를 조직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5] 라미 에쌈의 "Irhal"은 혁명의 찬가가 되었다.[18][19]
에멜 마틀루티는 제인 엘 아비디인 벤 알리 치하의 튀니지에서 자유와 존엄성을 요구하는 노래를 작곡하여 감시를 받았고, 결국 파리로 피신해야 했다. 그녀의 노래 켈메티 호라(내 말은 자유다)는 튀니지 혁명의 찬가로 언급되었다.
중국계 한국인 최건의 노래 "아무것도 없네"는 천안문 광장 시위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 중국 가수 리즈는 그의 노래에서 천안문 학살을 언급했고, 2019년 중국에서 금지되었다. 3년 후, 중국의 반봉쇄 시위 동안 이 노래는 유튜브에서 시위가로 사용되었다.
홍콩 록 밴드 비욘드의 "바운드리스 오션스 바스트 스카이스"와 "광휘세월"은 다양한 사회 운동에서 저항가로 여겨져 왔다. 2019-2020년 홍콩 시위 동안, 레 미제라블의 "민중의 노래"와 토마스 dgx yhl의 "홍콩에 영광을"이 시위를 지지하며 불렸다. 후자는 이 시위의 국가로 널리 채택되었으며, 일부에서는 이를 "홍콩 국가"로 여기기도 한다.[24][25]
인도에서 문화적 활동은 독립 이전부터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 중 하나였다.[26] 인도 래퍼 Raftaar의 "''Mantoiyat"''는 부패한 정치인과 경찰을 비판하며, 인도를 괴롭히는 불의를 폭로한다.[28] 2019년, 인도의 시민권 법은 전국적으로 대규모 시위를 촉발시켰다. Varun Grover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자신만의 음향 시위로 이 운동에 동참했다.[32][33] 달리트 권리 운동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음악을 사용한다. Kabir Kala Manch는 공연을 통해 그들의 대의를 알리는 잘 알려진 가수 그룹 중 하나이다.[34]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란에서는 정부와 사회 문제를 비판하는 것이 불법이 되었기 때문에, 시위 가요를 만드는 이란 예술가들은 대부분 해외에 거주한다. 이란의 시위 가요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인권 침해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역사로 인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37] 이란의 가장 중요한 시위 가요 중 하나는 히치카스의 "좋은 날이 올 것이다"로, 이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시위 가요로 여겨진다.[38][39] 2022년 마흐사 아미니의 죽음 이후,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시위가 촉발되었고 많은 이란 예술가들이 시위 가요를 발표했다. 샤르빈 하지푸르의 "For"는 즉각적인 히트를 쳤고, 즉시 봉기의 비공식 "국가"가 되었다.[44][45]
이스라엘의 시위 음악은 종종 다양한 정치 세력과 연관되어 왔다. 1967년 전쟁 동안 나오미 셰머는 술리 나탄이 부른 그녀의 노래 "예루살렘 오브 골드"에 2,000년 만에 예루살렘을 탈환한 내용의 세 번째 절을 추가했다.[51] 1995년 이츠하크 라빈 총리가 암살되기 몇 분 전, 이스라엘 포크 가수 미리 알로니는 이스라엘 팝송 "쉬르 라샬롬"("평화를 위한 노래")을 불렀다. 이 노래는 이스라엘 평화 캠프의 찬가 중 하나가 되었다.[52]
8888 항쟁 당시, 미얀마 작곡가 나잉 미얀마는 저항가요로 "Kabar Makyay Bu"(ကမ္ဘာမကျေဘူး)를 작곡했다.[57] 이 노래는 캔자스의 "Dust in the Wind"의 곡조에 맞춰 만들어졌으며, 자유를 위한 감성적인 호소로 미얀마 전역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58] 2021년 미얀마 쿠데타 이후, 미얀마의 초기 시민 불복종 운동은 이 노래를 되살려 시위와 시민 불복종 행위 동안 불렀다.[59]
팔레스타인 음악()은 이스라엘과의 분쟁, 평화에 대한 갈망, 그리고 팔레스타인 땅에 대한 사랑을 다룬다. 전형적인 예는 빌라디, 빌라디인데, 이는 비공식 팔레스타인 국가가 되었다.
파키스탄의 저항 음악은 독립 이전부터 남아시아의 전통에 깊은 영향을 받아왔다. "우리는 볼 것이다(Hum Dekhenge)"는 파키스탄의 저항 음악의 한 예시이다. 파이즈 아흐메드는 파키스탄의 저명한 마르크스주의 시인으로, 지아 울 하크 장군의 억압적인 독재에 대한 응답으로 같은 제목의 시를 처음 썼다. 이 시는 지아의 권위주의적 이슬람에 대한 비판적인 논평으로 여겨진다.[61]
카티푸난의 혁명가에서 신인민군이 부르는 노래에 이르기까지, 필리핀 시위 음악은 빈곤, 억압, 반제국주의, 독립을 다룬다. 전형적인 예는 미국 시대에 호세 코라손 데 헤수스가 식민주의를 포함한 억압에 맞서 국가를 구원하자는 내용을 담은 유명한 시위 노래 "바얀 코"를 만든 것이다. 이 노래는 마르코스 정권에 반대하는 노래로도 인기를 얻었다. 1960년대 동안, 필리핀 시위 음악은 공산주의와 혁명 사상과 일치하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저항 가요는 ''민중가요''로 알려져 있으며, 저항 가요 장르는 "노래 운동"으로 불린다.[65] 한국 저항 가요의 시작점은 1970년대 한국 학생 운동의 음악 문화였다.[66] 1970년대~1980년대, 특히 1987년 6월 민주 항쟁 전후에 흔히 불렸으며, 박정희와 전두환 대통령의 군사 정권에 대한 반대와 당시의 비판 여론을 반영했다.[66]
섬의 일출은 2014년 해바라기 학생 운동의 주제가이다. 또한, 마잉주 총통의 중화민국 정부 시절 타이완의 모든 사회적, 정치적 논란을 표현한, Mayday가 부른 드라마 《난릉왕》의 주제곡 《입진곡》이기도 하다.
태국에서 시위 노래는 'Phleng phuea chiwit(, ; 문자 그대로 "삶을 위한 노래")로 알려져 있으며, 이 음악 장르는 70년대에 Caravan, Carabao, 퐁텝 끄라돈참난과 퐁싯 캄피와 같은 유명 아티스트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아나톨리아 반항/저항 음악의 뿌리는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피르 술탄 압달(Pir Sultan Abdal), 코로글루(Koroglu), 18세기에 살았던 다다로그루(Dadaloglu)와 같은 그 시대의 아쉬크들은 여전히 영감을 준다. 이 반항의 전통은 수 세기 동안 이어져 왔으며 이 지역 문화에 많은 노래를 선사했다.[69] 터키 저항 음악의 메시지는 불평등, 자유의 부재, 빈곤, 표현의 자유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벨라루스 민중가요는 20세기 초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의 부상과 러시아 제국 및 소비에트 러시아로부터의 독립 전쟁 시기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다음 저항 가요의 시기는 1990년대였으며, NRM, Novaje Nieba 등의 밴드에 의해 다수가 만들어졌고, 이는 이들 음악가에 대한 암묵적인 금지로 이어졌다. 벨라루스에서 가장 유명한 밴드 중 하나인 Lyapis Trubetskoy는 가사에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를 비판하여 국내 공연이 금지되었다.
에스토니아 노래 축제에서 불려지는 많은 노래는 항의 노래이며, 특히 노래 혁명 동안 쓰여진 곡들이 그렇다. 당시 소련의 공식적인 입장 때문에, 가사는 Tõnis Mägi의 노래 ''Koit''처럼 명시적으로 반소련적이기보다는 암시적인 경우가 많았다. 반면, Ivo Linna와 In Spe 그룹이 부른 ''Eestlane olen ja eestlaseks jään''은 에스토니아 정체성을 명확히 옹호하는 노래이다.
핀란드는 핀란드 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시위 노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은 소비에트 러시아에서 수입되어 번역되었다. 21세기에는 사회주의 시위 노래 전통이 좌파 랩 아티스트들에 의해 다소 이어지고 있으며, 타이스토주의자 형태의 KOM 극장 합창단에 의해 더 적은 정도로 이어지고 있다.
1960년대 중반, 쿠바의 음악에서 전통적인 민속 음악 어법과 진보적이고 종종 정치적인 가사를 결합한 운동이 시작되면서 쿠바 시위 음악의 한 유형이 등장했다. 이러한 시위 음악 운동은 "누에바 트로바"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누에바 칸시온과 다소 유사했지만, 쿠바 혁명을 장려했기에 혁명 노래의 일부가 되어 쿠바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는 이점이 있었다.
텔레그램 게이트에 대응하여, 푸에르토리코 음악가 배드 버니, 레지덴테, 그리고 일레는 2019년 7월 17일 항의곡 "아필란도 로스 쿠치요스"를 발표했다.[107] 이 곡은 리카르도 로셀로의 사임을 요구하는 디스 트랙이다.[108]
호주의 정치적 영향을 받은 음악에서는 원주민 문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여기에는 토지 권리와 원주민의 구금 중 사망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 원주민 문제에 맞선 다른 호주 밴드로는 티다스, 케브 카모디, 아치 로치, 크리스틴 아누, 더 허드, 닐 머레이, 블루 킹 브라운, 존 버틀러 트리오, 미드나잇 오일, 와룸피 밴드, 폴 켈리, 파우더핑거 및 자비에 루드 등이 있다. 원주민 문제 외에도 많은 호주 시위 가수들이 전쟁의 무의미함에 대해 노래했다. 주목할 만한 반전 노래로는 에릭 보글의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1972)와 레드검의 "A Walk in the Light Green"(1983)이 있으며, "I was only nineteen"이라는 후렴구로 가장 자주 기억된다.
뉴질랜드에서 가장 초창기 저항가요 중 하나는 1973년에 녹음된 존 핸론의 ''댐을 저주하라(Damn the Dam)''로, 마나푸리 보존 운동을 지지하는 곡이었다. 극심한 분열을 낳았던 1981년 스프링복스 투어 동안, 블람 블람 블람의 ''뉴질랜드에는 우울증이 없다(There Is No Depression in New Zealand)''는 반 투어 시위대 사이에서 애창곡이 되었다. 레게 밴드 허브스는 태평양에서의 프랑스 핵실험을 비판하는 노래를 쓰고 공연했다.
1960년대 미국에서 저항 가요가 황금기를 누리는 동안, 해외에서는 상업화되었다고 비판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칠레의 싱어송라이터 빅토르 하라는 누에바 칸시온(Nueva Canción 칠레) 운동으로 이어진 민속 부흥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는데, 이 운동은 그의 나라의 대중음악에 혁명을 일으켰으며, 칠레로 수입된 "상업화된" 미국의 저항 가요 현상을 비판했다.[111] 누에바 칸시온 (스페인어로 "새로운 노래"라는 뜻)은 라틴 아메리카 음악의 일종의 저항/사회적 노래로, 특히 칠레와 다른 안데스 국가에서 뿌리를 내렸으며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전통적인 라틴 아메리카 민속 음악 어법( 케나, 삼포냐, 차랑고 또는 카혼을 사용하고 기타 반주를 사용)과 일부 대중적인 (특히 영국) 록 음악을 결합했으며, 진보적이고 종종 정치적인 가사가 특징이다. 때때로 스페인어 록의 전조로 여겨진다. 가사는 전형적으로 스페인어로 되어 있으며, 일부 토착어 또는 지역어가 섞여 있다. 2019년, "네 길에 강간범이 있다"()는 강간 문화와 피해자 비난에 항의하기 위해 칠레에서 처음 공연되었다.[111] 이 노래와 그에 수반되는 춤의 영상은 입소문을 타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112]
프로테스트 송은 미국에서 우디 거스리([113])나 피트 시거([114]) 등의 영향을 받은 포크 가수들에 의해 활발히 불리게 되었고, 포크 송의 주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115]). 1960년대에는 시민권 운동이나 반전 운동 등의 좌파 운동과 결합하여, 밥 딜런, 조안 바에즈나 피터, 폴 앤 메리 등에 의해 많은 히트곡이 탄생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포크 가수에서 록 가수, 소울 가수로 확대되어, 메시지성이 강한 노래가 많이 발표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테스트 송이라고 하면 좌파 시점의 것이 많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전반에 걸쳐, 스티비 원더, 마빈 게이, 존 레논, 닐 영 등이 많은 프로테스트 송을 발표했다. 그 후에도 폭넓은 장르에서 다양한 프로테스트 송이 불리고 있다. 프로테스트 송은 때때로 정부의 압력이나 언론 통제, 스폰서의 압력의 대상이 되어 방송 자제곡이 된다. 미국에서는 걸프 전쟁·이라크 전쟁·9.11 테러 등에서 이러한 자체 규제 현상이 나타났다([116]).
2. 1. 서구권
서구권 민중가요는 19세기 말부터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인터내셔널가(프랑스어: ''L'Internationale'')는 사회주의, 아나키즘, 공산주의, 사회 민주주의의 찬가이다.[72][73] 국제 사회주의의 찬가가 되었으며, 세계 대부분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전통적으로 손을 꽉 쥔 주먹 경례를 하면서 부른다. 중국어 버전은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 당시 학생과 노동자들의 결집 노래이기도 했다.[74]
프랑스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수들이 전쟁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고, 정부와 권력자들에게 의문을 제기했다. 보리스 비앙은 "Le déserteur"(The deserter)로 알제리 전쟁에 반대했으며, 이 노래는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다.[75] 레오 페레, 조르주 브라상스, 자크 브렐 등 여러 프랑스 작곡가들은 다수의 아이디어와 정치 권력에 반대하는 노래를 썼거나 불렀다.
독일에서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톤 슈타인 셔벤이 정치적인 가사로 유명했다. 이 밴드는 점거 운동의 음악적 대변인이 되었다. 슬라임은 정치적 주제로 인해 LP가 금지된 최초의 밴드였다. BAP는 차별과 독일 정치 엘리트의 권력 게임을 다루는 가사로 유명하다. 동독에서는 볼프 비어만의 노래 Ermutigung이 SED 정부에 반대하는 저항 노래가 되었다.[76][77]
아일랜드 반군 음악은 아일랜드 독립 투쟁, 북아일랜드 분쟁 등을 다룬다. 폴 매카트니는 피의 일요일에 대한 반응으로 "Give Ireland Back to the Irish"를 썼다. Wolfe Tones는 아일랜드 반군 장르에 기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U2는 "Sunday Bloody Sunday"를 통해 반군 음악 전통과 결별했다.
네덜란드에서는 1966년 보데베인 데 흐로트가 베트남 전쟁에 관한 노래인 "잘 자요, 대통령"을 발표했다.
포르투갈의 저항 노래는 반파시스트 운동과 관련이 있으며, 조제 아폰수의 "Grândola Vila Morena" 등이 카네이션 혁명의 암호로 선택되었다.
폴란드의 시위 노래는 반공산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었으며, 야체크 카치마르스키 등이 유명하다.
러시아에서는 바드로 알려진 싱어송라이터들이 정치적 노래를 썼다.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알렉산드르 갈리치(작가) 등이 대표적이다.
스페인에서는 프랑코 독재 말기에 저항 가수가 등장했다. 후안 마누엘 세라트, 빅토르 마누엘 등이 대표적이다.
영국에서는 중세 말부터 사회적 저항을 담은 노래들이 불려왔다. 19세기 산업혁명 시기에는 러다이트 운동을 배경으로 한 민중가요가 등장했다. 20세기에는 핵무기 반대 운동과 관련된 노래들이 만들어졌다. 비틀즈의 존 레논이 반전 운동에 참여하여 "평화를 줍시다" 등의 노래를 발표했다. 1970년대에는 펑크 록 밴드들이 사회 비판적인 노래를 불렀다.
2. 1. 1. 미국
미국의 민중가요는 20세기 초 우디 거스리[113]와 피트 시거[114] 등의 포크 가수에 의해 발전했다. 이들의 음악은 포크 송의 주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115]1960년대에는 시민권 운동과 반전 운동 등 좌파 운동과 결합하여 밥 딜런, 조안 바에즈, 피터, 폴 앤 메리 등이 많은 히트곡을 냈다. 1960년대 후반에는 포크, 록, 소울 등 다양한 장르로 확대되어 메시지성이 강한 노래가 많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민중가요는 좌파적 시각을 담은 경우가 많다.
1970년대 이후에도 스티비 원더, 마빈 게이, 존 레논, 닐 영 등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노래를 발표했다. 미국의 민중가요는 때때로 정부의 압력이나 언론 통제, 스폰서의 압력을 받아 방송 자제곡이 되기도 했다.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9.11 테러 등에서 이러한 자체 규제 현상이 나타났다.[116]
1950년대 이전 | 1960년대 | 1970년대 | 1980년대 이후 |
---|---|---|---|
2. 1. 2. 영국
영국에서는 14세기 농민 봉기부터 사회적 저항을 담은 노래들이 불려왔다. 1381년 영국 농민 반란 당시에는 "When Adam delved and Eve span, who was then the gentleman?"이라는 구절이 널리 퍼졌으나, 이에 맞는 곡조는 전해지지 않는다.[85] 로빈 후드와 같은 사회적 무법자를 찬양하는 발라드도 있었지만, 사회 비판은 암시적이었고 현 상태에 대한 명시적인 의문은 제기되지 않았다.[86]17세기 레벨러와 디거 운동은 "Diggers' Song"과 같은 발라드와 찬송가를 낳았다.[87] "Diggers' Song"에는 "가난한 자가 왕관을 쓰리라. 지금 일어서라, 디거들아!"와 같은 격정적인 구절이 포함되어 있었다.[87]
19세기 산업혁명 시기에는 러다이트 운동을 배경으로 한 민중가요가 등장했다. "The Triumph of General Ludd"는 러다이트 운동의 지도자를 로빈 후드와 연결시켜 노래했다.[90]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많은 발라드에서 일반 노동자의 챔피언으로 묘사되었다.[91] 노동 운동이 조직화되면서 "The Black Leg Miner"와 같은 광부들의 찬가, "The Factory Bell"과 같은 공장 노동자들의 찬가가 만들어졌다.[92]
20세기에는 핵무기 반대 운동과 관련된 노래들이 만들어졌다. 핵군축 캠페인의 올더머스턴 행진을 위해 존 브루너는 "H-Bomb's Thunder"를 작곡했다.[95] 이완 매콜은 핵 군축 운동의 주요 음악가 중 한 명이었다.[95] 1960년대에는 비틀즈의 존 레논이 반전 운동에 참여하여 "평화를 줍시다" 등의 노래를 발표했다.[99][100] 1970년대에는 펑크 록 밴드들이 사회 비판적인 노래를 불렀다. 섹스 피스톨스의 "여왕 만세"(1977), 더 클래시의 "백인 폭동"(1977) 등이 대표적이다.[104] 1980년대에는 마가렛 대처의 정책에 반대하는 빌리 브래그 등의 가수들이 활동했다.
2. 2. 아시아
튀니지의 가수 에멜 마틀루티는 제인 엘 아비디인 벤 알리 독재 정권에 저항하는 노래를 불렀다. 그녀의 노래 켈메티 호라(내 말은 자유다)는 2010년 말과 2011년 초 튀니지 시위대의 튀니지 혁명 찬가로 불렸다.[66]2.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민중가요는 1970년대 후반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과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탄생했다.[66] 1980년대 5·18 민주화 운동, 6월 항쟁 등을 거치면서 민주화 운동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66] 1990년대 이후에는 노동 운동, 통일 운동, 반미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과 함께 불리고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촛불 집회 등에서 불리며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주요 아티스트로는 김민기, 안치환, 노래를 찾는 사람들, 윤민석 등이 있다. 특히, 노래를 찾는 사람들은 서울대학교의 동아리 메아리와 관련되어 있다. 그 외에도 각 대학에 민중가요 노래패들이 민중가요를 창작하거나 구전을 통하여 보존/발전 시켜왔다.
민중가요는 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류 | 주요 노래 |
---|---|
노동/빈민 운동 계열 | 그날이 오면, 단결 투쟁가, 사계, 인터내셔널가, 파업가 등 |
민주화 운동 계열 |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거치른 들판에 푸르른 솔잎처럼, 아침 이슬, 임을 위한 행진곡, 타는 목마름으로, 오월의 노래, 유월의 노래, 바위섬 등 |
일반적인 주제 | 광야에서, 동지, 바위처럼, 어머니, 함께가자 우리 이 길을,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등 |
학생운동 계열 | 전대협 진군가, 총학생회가, 한총련 진군가 등 |
반미 계열 | Fucking USA, 또라이 부시, 주한미군 철거가 등 |
2008년 촛불 시위 관련 | 다시 광화문에서 |
쇠고기 논란 관련 | 촛불을 들어라, Hey, Mr. Lee |
통일 관련 | 백두에서 한라, 한라에서 백두로, 서울에서 평양까지 |
2016년 촛불 시위(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 이게 나라냐 |
아침 이슬과 상록수는 곡 제작 당시에는 민중가요가 아니었으나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불리면서 민중가요로 정착하였다.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는 민중가요로 시작했으나 이후 개사가 이뤄져 대중가요, 동요로도 활용된다.
1990년대 중반부터 대한민국 민주화 이후 한국 저항 가요는 인기를 잃었다.[67]
2. 2. 2. 일본
일본에서는 1960년대 안보 투쟁과 반전 운동 등의 영향을 받아 포크 가수를 중심으로 프로테스트 송이 불리기 시작했다.'''일본의 아티스트'''
1960~70년대 | 1980년대 이후 |
---|---|
2. 3.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민중가요는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 등 사회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담아내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는 노래들이 민중가요의 역할을 했으며, 알제리에서는 라이(( رأي|opinionar))가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아 민중가요로 불렸다.2. 3. 1.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는 노래들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민중가요의 역할을 했다. 1948년부터 1994년까지 흑인들의 시민권과 권리를 박탈한 인종 차별 제도인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은 노래로 표현되었다.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에 의해 강제 이주당한 사람들은 집을 떠나는 것에 대한 슬픔, 광산 노동의 어려움, 가정부로 일하는 굴욕감 등을 노래했다.[20] 베네딕트 월렛 빌라카지의 "Meadowlands", 토이토이 응원가, 휴 매세켈라의 "Bring Him Back Home"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스페셜 AKA의 "Free Nelson Mandela"는 경쾌한 분위기 속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음악적 영향을 담아 아프리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미리엄 마케바가 부른 매세켈라의 "소웨토 블루스"는 1976년 소웨토 봉기를 추모하는 블루스/재즈 곡이다.[20] 바실 코에체와 압둘라 이브라힘의 "Mannenberg"는 반 아파르트헤이트 저항의 비공식적인 노래가 되었다.백인 아프리카너 공동체 내부에서도 보엘프라이 운동을 통해 반대의 목소리가 나왔다. 요하네스 케르코렐, 코스 콤바이스, 베르놀두스 니에만트 등이 이끈 이 운동은 아프리카너 정체성을 재정의하려 했으며, 당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너 청년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21]
2. 3. 2. 알제리
라이( رأي|opinionar)는 알제리 오랑에서 기원한 일종의 민요로,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아 민중가요로 불렸다.[11] 베두인 양치기들이 스페인 음악, 프랑스 음악, 아프리카 음악, 아랍 음악의 형식을 혼합하여 만들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를 거치면서 남성 음악가들이 라이 음악을 연주하기 시작했고, 바이올린, 아코디언, 류트, 트럼펫과 같은 당시 현대적인 악기를 사용했다.이 장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면서 프랑스 점령에 맞서 싸운 알제리 해방 투사들과 같은 정치 운동 및 조직과의 연관성을 유지했다. 1962년 알제리가 독립을 달성한 후에도 라이는 알제리 정부와 불리한 관계를 지속했는데, 정부는 문화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라이는 방송 매체에서 금지되었지만, 카바레와 같은 지하 공간에서는 번성했다.[11] 심지어 유명 가수인 체브 하스니가 암살될 정도로 금지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정부가 라이에 대한 규제를 완화한 이후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체브 마미의 노래 "북쪽의 파리인(Parisien Du Nord)"은 이 장르가 어떻게 항의의 형태로 사용되었는지 보여주는 최근의 예로, 이 노래는 2005년 프랑스 폭동을 촉발한 인종적 긴장에 대한 항의로 쓰였다.[12] 알-닌은 "반항의 음악이자 냉소주의의 상징"이라고 말하며, 라이는 청년들의 좌절감을 표출하고 자유와 해방을 강조하는 출구로 부상하고 있다고 한다.[11]
2. 4. 중남미
1960년대 중반, 쿠바에서 전통적인 민속 음악 어법과 진보적이고 종종 정치적인 가사를 결합한 누에바 트로바 운동이 시작되었다. 누에바 칸시온과 유사하지만, 쿠바 혁명을 장려하여 혁명 노래의 일부가 되었고 쿠바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 누에바 트로바는 쿠바에서 시작되었지만, 푸에르토리코를 비롯한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인기를 얻었다. 이 운동에는 로이 브라운, 안드레스 히메네스, 안토니오 카반 발레, 아시엔도 푼토 엔 오트로 손 등이 참여했다.[106]2019년 7월 17일, 푸에르토리코 음악가 배드 버니, 레지덴테, 일레는 텔레그램 게이트에 대응하여 항의곡 "아필란도 로스 쿠치요스"를 발표했다. 이 곡은 리카르도 로셀로의 사임을 요구하는 디스 트랙이다.[107][108]
팔레스타인 음악(موسيقى فلسطينية|무시카 팔라스티니야ar)은 이스라엘과의 분쟁, 평화에 대한 갈망, 팔레스타인 땅에 대한 사랑을 다룬다. 대표적인 예로 빌라디, 빌라디는 비공식 팔레스타인 국가가 되었다. 일부 평론가들은 팔레스타인 사회에서 내부 문제를 말하는 것을 금기시하고, 가자 지구에서는 하마스의 통제하에 반대가 금지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샤리프 사브리가 가사를 쓴 "알 쿠드스(예루살렘) 우리 땅"은 이집트 포트사이드 출신의 암르 디아브가 불렀으며, 2003년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뮤직비디오 콘테스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60] DAM은 아랍 힙합 그룹으로, 아랍어와 히브리어로 팔레스타인인들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 랩을 하고 변화를 촉구한다. 카밀리야 주브란의 노래 "가리바"는 칼릴 지브란의 시에 곡을 붙인 것으로, 팔레스타인 여성들의 고립감과 외로움을 다룬다.
2. 4. 1. 칠레
빅토르 하라를 중심으로 누에바 칸시온 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는 칠레 대중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다. 누에바 칸시온은 칠레로 수입된 "상업화된" 미국의 저항 가요 현상을 비판했다.[111] 빅토르 하라는 문화적 침략은 우리 자신의 해, 하늘, 별을 보지 못하게 하는 무성한 나무와 같다고 비판하며, 미국 제국주의가 음악을 통해 젊은이들의 반항 정신을 중화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저항 가요'라는 용어 대신 '혁명 가요'라는 용어를 선호했다.[111]누에바 칸시온(스페인어로 "새로운 노래")은 라틴 아메리카 음악의 일종으로, 특히 칠레와 다른 안데스 국가에서 뿌리를 내렸으며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누에바 칸시온은 전통적인 라틴 아메리카 민속 음악 어법(케나, 삼포냐, 차랑고, 카혼, 기타 반주)과 일부 대중적인(특히 영국) 록 음악을 결합했으며, 진보적이고 종종 정치적인 가사가 특징이다. 때때로 스페인어 록의 전조로 여겨진다. 가사는 전형적으로 스페인어로 되어 있으며, 일부 토착어 또는 지역어가 섞여 있다.
2019년, "네 길에 강간범이 있다"(Un violador en tu camino|운 비올라도르 엔 투 카미노es)는 강간 문화와 피해자 비난에 항의하기 위해 칠레에서 처음 공연되었다.[111] 이 노래와 그에 수반되는 춤의 영상은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112]
3. 주제
민중가요는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반영하며, 그 주제 또한 폭넓다. 사회학자 R. 세르주 데니소프는 시위 노래를 설득과 선전의 형태로 보았고, 그 기능을 "자극적"인 것과 "수사적"인 것으로 나누었다.[6][7] 전자는 사람들을 운동에 참여시키고 연대감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Keep Your Eyes on the Prize, We Shall Overcome 같은 노래들이 이에 해당한다. 후자는 개인적인 분노를 담아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밥 딜런의 Masters of War, 마빈 게이의 What's Going On이 대표적이다.[7]
론 아이어먼과 앤드류 제이미슨은 데니소프의 관점이 지나치게 단순하다고 비판하며, 노래의 선율과 문화적 전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들은 효과적인 시위 노래가 강력한 문화적 전통을 담은 선율을 통해 힘을 얻는다고 보았다.[8] 또한, 음악은 운동이 사라진 후에도 그 정신을 유지하고 새로운 운동을 준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9]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자유의 노래가 운동에 단결을 가져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10] 미국의 경우, 우디 거스리[113]나 피트 시거[114] 같은 포크 송 가수들이 프로테스트 송을 활발히 불렀고, 포크 송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115]
1960년대에는 시민권 운동과 반전 운동 등 좌파 운동과 함께 밥 딜런, 조안 바에즈, 피터, 폴 앤 메리 등이 많은 프로테스트 송을 발표했다. 이후 록과 소울 가수들까지 참여하면서 다양한 장르에서 메시지를 담은 노래들이 나왔다. 프로테스트 송은 정부나 언론의 압력을 받아 방송 금지곡이 되기도 했는데, 미국에서는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9.11 테러 등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116]
민중가요는 민주화 운동, 노동/빈민 운동, 반전/평화, 반미/민족 자주, 통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3. 1. 민주화 운동
독재와 권위주의에 저항하고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내용을 담은 노래들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
-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 상록수거치른 들판에 푸르른 솔잎처럼한국어 - 곡 제작 당시에는 민중가요가 아니었으나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부르면서 민중가요로 정착함.
- 아침 이슬 - 곡 제작 당시에는 민중가요가 아니었으나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부르면서 민중가요로 정착함.
- 임을 위한 행진곡 - 가장 대표적[65]
- 타는 목마름으로
- 오월의 노래 - 5·18 민주화운동 관련
- 유월의 노래 - 6월 민주항쟁 관련
- 바위섬 - 5·18 민주화운동 관련
- 일어서는 사월 - 4·19 혁명 관련
- 진달래 - 4·19 혁명 관련
-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 의연한 산하
3. 2. 노동/빈민 운동
노동 운동과 빈민 운동은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중요한 움직임이었다. 이러한 흐름은 민중가요에도 큰 영향을 주어, 노동자의 권리와 빈민의 생존권을 옹호하는 노래들이 많이 불렸다.한국에서는 단결 투쟁가, 사계 등이 대표적인 노래로 꼽힌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노래들이 노동/빈민 운동 계열 민중가요로 널리 알려져 있다.
3. 3. 반전/평화
밥 딜런의 Blowin' in the Wind영어와 같이 전쟁과 폭력에 반대하고 평화를 염원하는 노래들이다.[116]3. 4. 반미/민족 자주
외세의 간섭에 반대하고 민족의 자주성을 주장하는 노래들이다. 한국에서는 Fucking USA, 주한미군 철거가 등이 대표적이다.노래 제목 | 내용 |
---|---|
Fucking USA | 반미 |
또라이 부시 | 반미 |
주한미군 철거가 | 주한미군 철거 |
탱크라도 구속해 | 반미 |
혁명동지가 | 반미 |
3. 5. 통일
남북 분단의 극복과 통일을 염원하는 노래들이다. 한국에서는 백두에서 한라, 한라에서 백두로, 서울에서 평양까지 등이 대표적이다.[117]3. 6. 기타 사회 문제
성차별, 인종차별, 사회적 불평등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룬 노래들은 다음과 같다.연도 | 제목 | 가수 | |||||||||||||||||||||||||||||||||||||||||||||||||||||||||||||||||||||||||||||||||||||||||||||||||||||||||||||||||||||||||||||||||||||||||||||||||||||||||||||||||||||||||||||||||||||||||||||||||||||||||||||||||||||||||||||||||||||||||||||||||||||||||||||||||||||||||||||||||||||||||||||||||||||||||||||||||||||||||||||||||||||||||||||||||||||||||||||||||||||||||||||||||||||||||||||||||||||||||||||||||||||||||||||||||||||||||||||||||||||||||||||||||||||||||||||||||||||||||||||||||||||||||||||||||||||||||||||||||||||||||||||||||||||||||||||||||||||||||||||||||||||||||||||||||||||||||||||||||||||||||||||||
---|---|---|---|---|---|---|---|---|---|---|---|---|---|---|---|---|---|---|---|---|---|---|---|---|---|---|---|---|---|---|---|---|---|---|---|---|---|---|---|---|---|---|---|---|---|---|---|---|---|---|---|---|---|---|---|---|---|---|---|---|---|---|---|---|---|---|---|---|---|---|---|---|---|---|---|---|---|---|---|---|---|---|---|---|---|---|---|---|---|---|---|---|---|---|---|---|---|---|---|---|---|---|---|---|---|---|---|---|---|---|---|---|---|---|---|---|---|---|---|---|---|---|---|---|---|---|---|---|---|---|---|---|---|---|---|---|---|---|---|---|---|---|---|---|---|---|---|---|---|---|---|---|---|---|---|---|---|---|---|---|---|---|---|---|---|---|---|---|---|---|---|---|---|---|---|---|---|---|---|---|---|---|---|---|---|---|---|---|---|---|---|---|---|---|---|---|---|---|---|---|---|---|---|---|---|---|---|---|---|---|---|---|---|---|---|---|---|---|---|---|---|---|---|---|---|---|---|---|---|---|---|---|---|---|---|---|---|---|---|---|---|---|---|---|---|---|---|---|---|---|---|---|---|---|---|---|---|---|---|---|---|---|---|---|---|---|---|---|---|---|---|---|---|---|---|---|---|---|---|---|---|---|---|---|---|---|---|---|---|---|---|---|---|---|---|---|---|---|---|---|---|---|---|---|---|---|---|---|---|---|---|---|---|---|---|---|---|---|---|---|---|---|---|---|---|---|---|---|---|---|---|---|---|---|---|---|---|---|---|---|---|---|---|---|---|---|---|---|---|---|---|---|---|---|---|---|---|---|---|---|---|---|---|---|---|---|---|---|---|---|---|---|---|---|---|---|---|---|---|---|---|---|---|---|---|---|---|---|---|---|---|---|---|---|---|---|---|---|---|---|---|---|---|---|---|---|---|---|---|---|---|---|---|---|---|---|---|---|---|---|---|---|---|---|---|---|---|---|---|---|---|---|---|---|---|---|---|---|---|---|---|---|---|---|---|---|---|---|---|---|---|---|---|---|---|---|---|---|---|---|---|---|---|---|---|---|---|---|---|---|---|---|---|---|---|---|---|---|---|---|---|---|---|---|---|---|---|---|---|---|---|---|---|---|---|---|---|---|---|---|---|---|---|---|---|---|---|---|---|---|---|---|---|---|---|---|---|---|---|---|---|---|---|---|---|---|---|---|---|---|---|---|---|---|---|---|---|---|---|---|---|---|---|---|---|---|---|---|---|---|---|---|---|---|---|---|---|---|---|---|---|---|---|---|---|---|---|---|---|---|---|---|---|---|---|---|---|---|---|---|---|---|---|---|---|---|---|---|---|---|---|---|---|---|---|---|---|---|---|---|---|---|---|---|---|---|---|---|---|
1944년 | {{lang|en|This Land Is Your Land|우리 조국|} | } [117] || 우디 거스리
일본의 아티스트 |
---|
5개의 붉은 풍선 |
이마와노 키요시로 |
ASIAN2 |
오카바야시 노부야스 |
카가와 료 |
사노 모토하루[121][122] |
소에다 아센보 |
타카이시 토모야 |
타카다 와타루 |
나카가와 고로 |
키타가와 테츠 |
우메하라 시헤이 |
하시모토 미카 |
하마다 쇼고[123] |
판타 |
RC 서세션 |
두뇌 경찰 |
제복 향상 위원회 |
더 타임즈 |
소울 플라워 유니온 |
아마미야 도린 |
THE NEWS |
오자키 유타카 |
나가부치 츠요시 |
5. 1. 대한민국
김민기는 한국 민중가요의 선구자로, 아침 이슬 등을 작곡했다. 안치환은 광야에서,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등을 부른 대표적인 민중가수이다. 노래를 찾는 사람들은 사계, 그날이 오면 등을 부른 그룹이다. 윤민석은 Fucking USA 등을 작곡한 민중가요 작곡가이다.[1]대한민국의 민중가요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류 | 주요 곡 |
---|---|
노동/빈민 운동 계열 | 그날이 오면, 단결 투쟁가, 사계, 인터내셔널가, 파업가 등 |
민주화 운동 계열 |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상록수, 아침 이슬, 임을 위한 행진곡, 타는 목마름으로, 오월의 노래, 유월의 노래, 바위섬 등 |
일반적인 주제 | 광야에서, 동지, 바위처럼, 어머니, 함께가자 우리 이 길을, 흔들리지 않게 등 |
학생운동 계열 | 전대협 진군가, 총학생회가, 한총련 진군가 등 |
반미 계열 | Fucking USA, 또라이 부시, 주한미군 철거가 등 |
2008년 촛불 시위 관련 | 다시 광화문에서 |
쇠고기 논란 관련 | 촛불을 들어라, Hey, Mr. Lee |
통일 관련 | 백두에서 한라, 한라에서 백두로, 서울에서 평양까지 |
2016년 촛불 시위 관련 | 이게 나라냐 |
김광석, 꽃다지, 우리나라, 천지인 등 여러 가수와 그룹들이 민중가요를 불렀으며, 각 대학의 노래패들도 민중가요 창작 및 보존에 기여했다.[1]
5. 2. 미국
우디 거스리는 "This Land Is Your Land" 등을 작곡한 미국의 대표적인 포크 가수이다.[113] 피트 시거는 "We Shall Overcome" 등을 부른 미국의 포크 가수이자 사회 운동가이다.[114] 이들의 영향을 받은 포크 가수들에 의해 프로테스트 송이 활발하게 불리며 포크 송의 주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115]1960년대에는 시민권 운동이나 반전 운동 등의 좌파 운동과 결합하여, 밥 딜런, 조안 바에즈, 피터, 폴 앤 메리 등에 의해 많은 히트곡이 탄생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포크 가수에서 록 가수, 소울 가수로 확대되어, 메시지성이 강한 노래가 많이 발표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테스트 송이라고 하면 좌파 시점의 것이 많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전반에 걸쳐, 스티비 원더, 마빈 게이, 존 레논, 닐 영 등이 많은 프로테스트 송을 발표했다. 그 후에도 폭넓은 장르에서 다양한 프로테스트 송이 불리고 있다. 프로테스트 송은 때때로 정부의 압력이나 언론 통제, 스폰서의 압력의 대상이 되어 방송 자제곡이 된다. 미국에서는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9.11 테러 등에서 이러한 자체 규제 현상이 나타났다.[116]
다음은 미국의 주요 프로테스트 송 및 아티스트 목록이다.
연도 | 노래 제목 | 아티스트 |
---|---|---|
1944년 | This Land Is Your Land|우리 조국영어 | 우디 거스리[117] |
승리를 우리에게 | 피트 시거 | |
블랙 앤 화이트 | 피트 시거 | |
기묘한 열매 | 빌리 홀리데이 | |
아이젠하워 블루스 | J.B. 루노아 | |
앨라배마 블루스 | J.B. 루노아 | |
트레인 투 아우슈비츠 | 톰 팍스턴 | |
굿맨, 샤우나, 앤 체이니 | 톰 팍스턴 | |
1962년 | 천사의 해머 | 피터, 폴 앤 메리 |
1963년 | 옥스포드 타운 | 밥 딜런 |
1964년 | Chimes of Freedom|자유의 종영어 | 밥 딜런 |
1964년 | Only a Pawn in Their Game|보잘것없는 병졸영어 | 밥 딜런 |
1964년 | 시대는 변한다 | 밥 딜런 |
1965년 | 인 더 히트 오브 더 서머 | 필 옥스 |
1964년 | 변화는 올 것이다 | 샘 쿡 |
1966년 | 소사이어티스 차일드 | 재니스 이안 |
1967년 | 포 왓 잇츠 워스 | 버펄로 스프링필드 |
1967년 | 위어 어 위너 | 임프레션스 |
1967년 | 리스펙트 | 아레사 프랭클린 |
1968년 | 세이 잇 라우드 아이엠 블랙 앤드 아이엠 프라우드 | 제임스 브라운 |
1968년 | 자유에의 찬가 | 라스칼스 |
1969년 | 투 비 영 기프티드 앤드 블랙 | 니나 시몬 |
1969년 | 위 캔 비 투게더 | 제퍼슨 에어플레인 |
1969년 | 볼런티어스 | 제퍼슨 에어플레인 |
1969년 | 섬싱 인 더 에어 | 썬더클랩 뉴먼 |
1970년 | 빅 옐로우 택시 | 조니 미첼 |
1970년 | 서던 맨 | 닐 영 |
1970년 | 노동 계급의 영웅 | 존 레논 |
1971년 | 머시 머시 미 | 마빈 게이 |
1971년 | 이너 시티 블루스 | 마빈 게이 |
1972년 | 아일랜드에 평화를 | 폴 매카트니 & 윙스 |
1972년 | 피의 일요일 | 존 레논 & 오노 요코 |
1972년 | 이민자 | 크로스비 & 내시 |
1972년 | 앨라배마 | 닐 영 |
1972년 | 블랙 앤 화이트 | 쓰리 도그 나이트 |
1973년 | 이프 유어 레디 | 더 스테이플 싱어스 |
1973년 | 겟 업, 스탠드 업 | 더 웨일러스 |
1973년 | 아이 샷 더 셰리프 | 더 웨일러스 |
1973년 | 더러운 거리 | 스티비 원더 |
1974년 | 악몽 | 스티비 원더 |
1975년 | 동지여 눈을 떠라! | 워 |
1976년 | 조니 워즈 | 밥 말리 & 더 웨일러스 |
1977년 | 신이여, 여왕을 구원하소서 | 섹스 피스톨스 |
1979년 | 런던 콜링 | 더 클래쉬 |
1980년 | 고잉 언더그라운드 | 더 잼 |
1985년 | 올드 맨 다운 더 로드[118] | 존 포거티 |
1985년 | 올 시 원즈 두 이즈 댄스[119] | 돈 헨리 |
1989년 | 엔드 오브 디 이노센스[120] | 돈 헨리 |
1984년 | 샤우트 투 더 탑 | 스타일 카운슬 |
아티스트 |
---|
우디 거스리 |
피트 시거 |
닐 영 |
밥 딜런 |
밥 말리 |
조안 바에즈 |
잭슨 브라운 |
존 레논 |
필 옥스 |
그레이트풀 데드 |
제퍼슨 에어플레인 |
존 프레인 |
탐 팩스턴 |
피터, 폴 앤 메리 |
버피 세인트-마리 |
딕 고한 |
닉 존스 |
유안 매콜 |
빌리 브래그 |
제로 비아프라 |
데드 케네디스 |
길 스콧-헤론 |
라스트 포에츠 |
린턴 퀘시 존슨 |
로버트 와이어트 |
브루스 스프링스틴 |
War |
브루스 혼스비 & 레인지 |
니나 시몬 |
U2 |
5. 3. 그 외 국가
이스라엘의 시위 음악은 다양한 정치 세력과 연관되어 있다.1967년 전쟁 동안 나오미 셰머는 술리 나탄이 부른 노래 "예루살렘 오브 골드"에 2,000년 만에 예루살렘을 탈환한 내용의 세 번째 절을 추가했다.[51] 그해 말, 포크 가수 메이어 아리엘은 반전 버전을 녹음하여 "아이언 오브 예루살렘"이라고 명명하여 이 노래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시했다.
구쉬 에무님 지지자들은 오래된 종교 노래를 가져와 정치적 의미를 부여했다. "우추 에추 베투파르"(그들은 조언을 했지만 그들의 조언은 침해되었다)라는 노래는 그들의 신념에 확고한 사람들의 궁극적인 정당성을 의미하며, 정부의 반 정착 정책에 맞선 구쉬 에무님의 투쟁의 정당성을 암시한다.
1995년 11월 정치 집회에서 이츠하크 라빈 총리가 암살되기 몇 분 전, 이스라엘 포크 가수 미리 알로니는 이스라엘 팝송 "쉬르 라샬롬"("평화를 위한 노래")을 불렀다. 이 노래는 원래 1969년에 쓰여졌으며 당시 이스라엘 군악대에서 널리 공연되었으며, 이스라엘 평화 캠프의 찬가 중 하나가 되었다.[52]
제1차 인티파다 동안 이스라엘 가수 시 헤이먼은 영토에서 이스라엘 정책에 항의하기 위해 "요림 베보킴"("쏘고 울다")을 불렀다. 핑크 플로이드의 "또 다른 벽"은 서안 지구의 이스라엘 장벽에 반대하는 일부 시위자들이 시위 노래로 사용한다. 가사는 "우리는 어떤 점령도 필요하지 않다. 우리는 어떤 인종차별적인 장벽도 필요하지 않다."로 수정되었다.[53][54][55]
오슬로 평화 프로세스가 시작된 이후, 그리고 최근에는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철수 계획 이후, 시위 노래는 반대 활동가들이 감정을 표현하는 주요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정책에 항의하는 노래는 아리엘 질버, 아하론 라젤 등 이스라엘 음악가들이 작사하고 공연했다.[56]
6. 대표적인 민중가요
미국에서는 우디 거스리나 피트 시거 등의 영향을 받은 포크 가수들에 의해 프로테스트 송이 활발하게 불렸고, 포크 송의 주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115] 1960년대에는 시민권 운동이나 반전 운동 등의 좌파 운동과 결합하여, 밥 딜런, 조안 바에즈나 피터, 폴 앤 메리 등에 의해 많은 히트곡이 탄생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포크 가수에서 록 가수, 소울 가수로 확대되어, 메시지성이 강한 노래가 많이 발표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테스트 송이라고 하면 좌파 시점의 것이 많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전반에 걸쳐, 스티비 원더, 마빈 게이, 존 레논, 닐 영 등이 많은 프로테스트 송을 발표했다. 그 후에도 폭넓은 장르에서 다양한 프로테스트 송이 불리고 있다. 프로테스트 송은 때때로 정부의 압력이나 언론 통제, 스폰서의 압력의 대상이 되어 방송 자제곡이 된다. 미국에서는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9.11 테러 등에서 이러한 자체 규제 현상이 나타났다.[116]
연도 | 노래 제목 | 가수 |
---|---|---|
1944년 | This Land Is Your Land|우리 조국영어 | 우디 거스리[117] |
승리를 우리에게 | 피트 시거 | |
블랙 앤 화이트 | 피트 시거 | |
기묘한 열매 | 빌리 홀리데이 | |
아이젠하워 블루스 | J.B. 루노아 | |
앨라배마 블루스 | J.B. 루노아 | |
트레인 투 아우슈비츠 | 톰 팍스턴 | |
굿맨, 샤우나, 앤 체이니 | 톰 팍스턴 | |
1962년 | 천사의 해머 | 피터, 폴 앤 메리 |
1963년 | 옥스포드 타운 | 밥 딜런 |
1964년 | Chimes of Freedom|자유의 종영어 | 밥 딜런 |
1964년 | Only a Pawn in Their Game|보잘것없는 병졸영어 | 밥 딜런 |
1964년 | 시대는 변한다 | 밥 딜런 |
1965년 | 인 더 히트 오브 더 서머 | 필 옥스 |
1964년 | 변화는 올 것이다 | 샘 쿡 |
1966년 | 소사이어티스 차일드 | 재니스 이안 |
1967년 | 포 왓 잇츠 워스 | 버펄로 스프링필드 |
1967년 | 위어 어 위너 | 임프레션스 |
1967년 | 리스펙트 | 아레사 프랭클린 |
1968년 | 세이 잇 라우드 아이엠 블랙 앤드 아이엠 프라우드 | 제임스 브라운 |
1968년 | 자유에의 찬가 | 라스칼스 |
1969년 | 투 비 영 기프티드 앤드 블랙 | 니나 시몬 |
1969년 | 위 캔 비 투게더 | 제퍼슨 에어플레인 |
1969년 | 볼런티어스 | 제퍼슨 에어플레인 |
1969년 | 섬싱 인 더 에어 | 썬더클랩 뉴먼 |
1970년 | 빅 옐로우 택시 | 조니 미첼 |
1970년 | 서던 맨 | 닐 영 |
1970년 | 노동 계급의 영웅 | 존 레논 |
1971년 | 머시 머시 미 | 마빈 게이 |
1971년 | 이너 시티 블루스 | 마빈 게이 |
1972년 | 아일랜드에 평화를 | 폴 매카트니 & 윙스 |
1972년 | 피의 일요일 | 존 레논 & 오노 요코 |
1972년 | 이민자 | 크로스비 & 내시 |
1972년 | 앨라배마 | 닐 영 |
1972년 | 블랙 앤 화이트 | 쓰리 도그 나이트 |
1973년 | 이프 유어 레디 | 더 스테이플 싱어스 |
1973년 | 겟 업, 스탠드 업 | 더 웨일러스 |
1973년 | 아이 샷 더 셰리프 | 더 웨일러스 |
1973년 | 더러운 거리 | 스티비 원더 |
1974년 | 악몽 | 스티비 원더 |
1975년 | 동지여 눈을 떠라! | 워 |
1976년 | 조니 워즈 | 밥 말리 & 더 웨일러스 |
1977년 | 신이여, 여왕을 구원하소서 | 섹스 피스톨스 |
1979년 | 런던 콜링 | 더 클래쉬 |
1980년 | 고잉 언더그라운드 | 더 잼 |
1985년 | 올드 맨 다운 더 로드[118] | 존 포거티 |
1985년 | 올 시 원즈 두 이즈 댄스[119] | 돈 헨리 |
1989년 | 엔드 오브 디 이노센스[120] | 돈 헨리 |
1984년 | 샤우트 투 더 탑 | 스타일 카운슬 |
6. 1. 대한민국
5.18 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노래인 임을 위한 행진곡이 대표적이다.[1] 김민기가 작곡하고 양희은이 노래한 아침 이슬은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 정신을 담고 있다.[1] 안치환의 대표곡인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는 민주화 운동의 정신을 담고 있다.[1] 문대현이 작곡하고 안치환이 노래한 광야에서는 민주화 운동의 현장을 담은 노래이다.[1]다음은 민주화 운동, 학생 운동, 반미 운동, 촛불 시위, 통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민중가요 목록이다.
분류 | 노래 제목 | 비고 |
---|---|---|
민주화 운동 | 대한민국 헌법 제1조 | |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 ||
거치른 들판에 푸르른 솔잎처럼 | 곡 제작 당시에는 민중가요가 아니었으나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불리면서 민중가요로 정착함. | |
아침 이슬 | 곡 제작 당시에는 민중가요가 아니었으나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불리면서 민중가요로 정착함. | |
임을 위한 행진곡 | ||
타는 목마름으로 | ||
오월의 노래 | 5·18 민주항쟁 관련 | |
유월의 노래 | 6월 민주항쟁 관련 | |
바위섬 | 5·18 민주항쟁 관련 | |
4·19 혁명 관련 | 일어서는 사월 | |
진달래 | ||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 ||
일반적인 주제 | 광야에서 | |
동지 | ||
바위처럼 | ||
불나비 | ||
어머니 | ||
함께가자 우리 이 길을 | ||
학생 운동 | 당당한 주인으로 | |
전대협 진군가 | ||
총학생회가 | ||
한총련 진군가 | ||
민족성대 진군가 | ||
민족한신 진군가 | ||
반미 | Fucking USA | |
또라이 부시 | ||
주한미군 철거가 | ||
탱크라도 구속해 | ||
혁명동지가 | ||
2008년 대한민국의 촛불 시위 관련 | 다시 광화문에서 | |
쇠고기 논란 관련 | 촛불을 들어라 | |
Hey, Mr. Lee | ||
통일 관련 | 백두에서 한라, 한라에서 백두로 | |
서울에서 평양까지 | ||
2016년 촛불 시위 관련 | 이게 나라냐 |
6. 2. 미국
우디 거스리나 피트 시거 등의 영향을 받은 포크 가수들에 의해 미국에서 프로테스트 송이 활발하게 불렸고, 포크 송의 주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115] 1960년대에는 시민권 운동이나 반전 운동 등의 좌파 운동과 결합하여, 밥 딜런, 조안 바에즈나 피터, 폴 앤 메리 등에 의해 많은 히트곡이 탄생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포크 가수에서 록 가수, 소울 가수로 확대되어, 메시지성이 강한 노래가 많이 발표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테스트 송이라고 하면 좌파 시점의 것이 많다.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전반에 걸쳐, 스티비 원더, 마빈 게이, 존 레논, 닐 영 등이 많은 프로테스트 송을 발표했다. 그 후에도 폭넓은 장르에서 다양한 프로테스트 송이 불리고 있다. 프로테스트 송은 때때로 정부의 압력이나 언론 통제, 스폰서의 압력의 대상이 되어 방송 자제곡이 된다. 미국에서는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9.11 테러 등에서 이러한 자체 규제 현상이 나타났다.[116]
연도 | 노래 제목 | 가수 |
---|---|---|
1944년 | This Land Is Your Land|우리 조국영어 | 우디 거스리[117] |
승리를 우리에게 | 피트 시거 | |
블랙 앤 화이트 | 피트 시거 | |
기묘한 열매 | 빌리 홀리데이 | |
아이젠하워 블루스 | J.B. 루노아 | |
앨라배마 블루스 | J.B. 루노아 | |
트레인 투 아우슈비츠 | 톰 팍스턴 | |
굿맨, 샤우나, 앤 체이니 | 톰 팍스턴 | |
1962년 | 천사의 해머 | 피터, 폴 앤 메리 |
1963년 | 옥스포드 타운 | 밥 딜런 |
1964년 | Chimes of Freedom|자유의 종영어 | 밥 딜런 |
1964년 | Only a Pawn in Their Game|보잘것없는 병졸영어 | 밥 딜런 |
1964년 | 시대는 변한다 | 밥 딜런 |
1965년 | 인 더 히트 오브 더 서머 | 필 옥스 |
1964년 | 변화는 올 것이다 | 샘 쿡 |
1966년 | 소사이어티스 차일드 | 재니스 이안 |
1967년 | 포 왓 잇츠 워스 | 버펄로 스프링필드 |
1967년 | 위어 어 위너 | 임프레션스 |
1967년 | 리스펙트 | 아레사 프랭클린 |
1968년 | 세이 잇 라우드 아이엠 블랙 앤드 아이엠 프라우드 | 제임스 브라운 |
1968년 | 자유에의 찬가 | 라스칼스 |
1969년 | 투 비 영 기프티드 앤드 블랙 | 니나 시몬 |
1969년 | 위 캔 비 투게더 | 제퍼슨 에어플레인 |
1969년 | 볼런티어스 | 제퍼슨 에어플레인 |
1969년 | 섬싱 인 더 에어 | 썬더클랩 뉴먼 |
1970년 | 빅 옐로우 택시 | 조니 미첼 |
1970년 | 서던 맨 | 닐 영 |
1970년 | 노동 계급의 영웅 | 존 레논 |
1971년 | 머시 머시 미 | 마빈 게이 |
1971년 | 이너 시티 블루스 | 마빈 게이 |
1972년 | 아일랜드에 평화를 | 폴 매카트니 & 윙스 |
1972년 | 피의 일요일 | 존 레논 & 오노 요코 |
1972년 | 이민자 | 크로스비 & 내시 |
1972년 | 앨라배마 | 닐 영 |
1972년 | 블랙 앤 화이트 | 쓰리 도그 나이트 |
1973년 | 이프 유어 레디 | 더 스테이플 싱어스 |
1973년 | 겟 업, 스탠드 업 | 더 웨일러스 |
1973년 | 아이 샷 더 셰리프 | 더 웨일러스 |
1973년 | 더러운 거리 | 스티비 원더 |
1974년 | 악몽 | 스티비 원더 |
1975년 | 동지여 눈을 떠라! | 워 |
1976년 | 조니 워즈 | 밥 말리 & 더 웨일러스 |
1977년 | 신이여, 여왕을 구원하소서 | 섹스 피스톨스 |
1979년 | 런던 콜링 | 더 클래쉬 |
1980년 | 고잉 언더그라운드 | 더 잼 |
1985년 | 올드 맨 다운 더 로드[118] | 존 포거티 |
1985년 | 올 시 원즈 두 이즈 댄스[119] | 돈 헨리 |
1989년 | 엔드 오브 디 이노센스[120] | 돈 헨리 |
1984년 | 샤우트 투 더 탑 | 스타일 카운슬 |
7. 작품에 나타난 민중가요
소설가 공지영의 등단작 '동트는 새벽' 마지막 장면에는 1980년대 대표적인 민중가요인 '동지'가 나온다.
최규석의 만화 '100°c'에서는 5·18 민주화 운동을 추모하는 '오월의 노래'가 나온다.
7. 1. 대한민국
노동/빈민 운동 계열에는 그날이 오면, 단결 투쟁가, 동물의 왕국, 대결, 무노동 무임금을 자본가에게, 사계, 연대 투쟁가, 인터내셔널가, 저 평등의 땅에, 철의 노동자, 청계천 8가, 총파업가, 파업가, 진짜 노동자 등이 있다.민주화 운동 계열에는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상록수(곡 제작 당시에는 민중가요가 아니었으나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부르면서 민중가요로 정착), 아침 이슬(곡 제작 당시에는 민중가요가 아니었으나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부르면서 민중가요로 정착), 임을 위한 행진곡(가장 대표적), 타는 목마름으로, 오월의 노래(5·18 민주화 운동 관련), 유월의 노래(6월 민주항쟁 관련), 바위섬(5·18 민주화 운동 관련), 일어서는 사월(4·19 혁명 관련), 진달래(4·19 혁명 관련),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의연한 산하 등이 있다.
일반적인 주제를 갖고 있는 민중가요에는 광야에서, 동지, 바위처럼, 불나비, 어머니, 함께가자 우리 이 길을, 흔들리지 않게,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민중가요로 시작했으나 이후 개사가 이뤄져 대중가요, 동요로도 활용됨) 등이 있다.
학생 운동 계열에는 당당한 주인으로, 전대협 진군가, 총학생회가, 한총련 진군가, 민족성대 진군가, 민족한신 진군가, 건국대학교 진군가 등이 있다.
반미 계열에는 Fucking USA, 또라이 부시, 주한미군 철거가, 탱크라도 구속해, 혁명동지가 등이 있다.
2008년 대한민국의 촛불 시위 관련 노래에는 다시 광화문에서가 있다.
쇠고기 논란 관련 노래에는 촛불을 들어라, Hey, Mr. Lee가 있다.
통일 관련 노래에는 백두에서 한라, 한라에서 백두로, 서울에서 평양까지가 있다.
2016년 촛불 시위 관련 노래에는 '이게 나라냐'가 있다.
소설가 공지영의 등단작 '동트는 새벽'의 마지막 장면에는 1980년대 대표적인 민중가요인 '동지'가 나온다.
최규석의 만화 '100°c'에서 5.18을 추모하는 '오월의 노래'를 부른다.
8. 영향
민중가요는 미국에서 우디 거스리([113])나 피트 시거([114]) 등의 영향을 받은 포크 가수들에 의해 활발히 불렸고, 포크 송의 주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115]).
1960년대에는 시민권 운동이나 반전 운동 등 좌파 운동과 결합하여, 밥 딜런, 조안 바에즈, 피터, 폴 앤 메리 등에 의해 많은 히트곡이 탄생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포크 가수에서 록 가수, 소울 가수로 확대되어, 메시지성이 강한 노래가 많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노래들은 좌파 시점의 것이 많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전반에 걸쳐, 스티비 원더, 마빈 게이, 존 레논, 닐 영 등이 많은 프로테스트 송을 발표했다. 그 후에도 폭넓은 장르에서 다양한 프로테스트 송이 불리고 있다. 프로테스트 송은 때때로 정부의 압력이나 언론 통제, 스폰서의 압력의 대상이 되어 방송 자제곡이 된다. 미국에서는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9.11 테러 등에서 이러한 자체 규제 현상이 나타났다([116]).
참조
[1]
논문
"Protest Song Lyrics as Rhetoric"
1983
[2]
웹사이트
'Phil Ochs\' Quote'
http://www.people.ub[...]
UBR, Inc.
[3]
간행물
From Vietnam to Iraq: A content analysis of protest song lyrics of two war periods
http://id.nii.ac.jp/[...]
2008
[4]
간행물
The humiliated began to sing: How teachers on strike tried to teach society
2023
[5]
웹사이트
Songs of Freedom
http://www.mcgath.co[...]
Gary McGath
2007-11-03
[6]
논문
"Songs of Persuasion: A Sociological Analysis of Urban Propaganda Songs"
1966-10
[7]
간행물
Songs of Persuasion: A Sociological Analysis of Urban Propaganda Songs
1966
[8]
서적
Music and Social Movements: Mobilizing Tradi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UK
1998
[9]
서적
Music and Social Movements
1998
[10]
논문
"Protest Movements: Class Consciousness and the Propaganda Song"
1968-03
[11]
간행물
The Evolution of Rai Music
2005
[12]
웹사이트
Raï: Algerian blues and protest music
http://unclesamscabi[...]
Uncle Tom's Cabin
[13]
뉴스
Ahmed Fouad Negm: Poet whose revolutionary work inspired decades of
https://www.independ[...]
2018-08-03
[14]
뉴스
Ahmed Fouad Negm, Dissident Poet of Egypt's Underclass, Dies at 84
https://www.nytimes.[...]
2018-08-03
[15]
간행물
Popular Protest Music and the 2011 Egyptian Revolution
2014-05-13
[16]
뉴스
The Songs Of The Egyptian Protests
https://www.npr.org/[...]
2018-08-03
[17]
뉴스
Ramy Essam – the voice of the Egyptian uprising
https://www.theguard[...]
2018-08-03
[18]
뉴스
Out of Protest, an Anthem for Egypt's Revolution
https://www.nytimes.[...]
2018-08-03
[19]
잡지
Egypt's Music of Protest
https://www.merip.or[...]
2018-08-03
[20]
간행물
Miriam Makeba Welela
1990-03-01
[21]
문서
Voëlvry is discussed in detail by Hopkins (2006) in ''Voëlvry. The movement that rocked South Africa'' (Cape Town: Zebra Press), and Grundlingh (2004) in "'Rocking the Boat' in South Africa? Voëlvry music and Afrikaans anti-apartheid social protest in the 1980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frican Historical Studies'', 37(3):483–514.
[22]
뉴스
Black citizens bear brunt of unemployment, inequality in SA - StatsSA
https://www.iol.co.z[...]
2024-01-07
[23]
웹사이트
Are SA whites really being killed 'like flies'? Why Steve Hofmeyr is wrong
https://africacheck.[...]
2024-01-07
[24]
잡지
The Story Behind Hong Kong's New 'National Anthem'
https://time.com/567[...]
2019-10-26
[25]
뉴스
Hong Kong Protesters, Without an Anthem to Sing, Create One Online
https://www.nytimes.[...]
2019-10-26
[26]
웹사이트
Songs Of Change: Protest Music In India
https://www.outlooki[...]
2018-11-27
[27]
웹사이트
The Role of Poets in Freedom Struggle
http://pib.nic.in/fe[...]
[28]
웹사이트
Raftaar Silences Critics With Latest Drop "Mantoiyat"
http://www.desihipho[...]
2020-05-19
[29]
뉴스
This is what protest sounds like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20-05-19
[30]
웹사이트
Protest rap from a state under lockdown
https://mumbaimirror[...]
2020-05-19
[31]
웹사이트
10 Artists who raised their voice through Protest Songs
https://siachenstudi[...]
siachenstudios.com
2020-07-25
[32]
뉴스
How art on social media became the face of anti-CAA protests
https://www.thehindu[...]
2020-05-19
[33]
웹사이트
Voice Of The People: Protest Music In India
http://www.thewildci[...]
2020-05-19
[34]
간행물
''Jai Bhim Comrade'' and the Politics of Sound in Urban Indian Visual Culture
2014
[35]
웹사이트
2017: The year in protest music
https://www.thehindu[...]
2017-12-15
[36]
뉴스
"شرقی غمگین" چگونه ساخته شد؟
https://www.radiofar[...]
2021-12-19
[37]
웹사이트
Iran's rap battles: youth with a 'pure love' for rap
https://observers.fr[...]
2022-12-28
[38]
Citation
Hichkas - Ye Rooze Khoob Miad
https://soundcloud.c[...]
2022-12-28
[39]
웹사이트
Chaos prevails as protesters, police clash in Iranian capital
http://edition.cnn.c[...]
2022-12-28
[40]
Citation
Iran Iran
https://open.spotify[...]
2022-12-28
[41]
웹사이트
Iran giving out condoms for criminals to rape us, say jailed activists
http://www.theguardi[...]
2022-12-28
[42]
뉴스
Slain student's family blame Iran
http://news.bbc.co.u[...]
2022-12-28
[43]
웹사이트
World must condemn use of lethal force in Iran
https://www.amnesty.[...]
2022-12-28
[44]
웹사이트
How art is amplifying the Iran protesters' demands for "woman, life, freedom!"
https://www.cbsnews.[...]
2022-12-27
[45]
웹사이트
Why Is Iran's Regime So Afraid of This Song?
https://foreignpolic[...]
2022-12-27
[46]
웹사이트
Popular Protest Singer Shervin Hajipour Arrested
https://iranwire.com[...]
2022-12-28
[47]
AV media
"The Symphony of the Epic of Khorramshahr" by Majid Entezami - Live
https://www.youtube.[...]
Majid Entezami
2023-03-28
[48]
웹사이트
Islamic Republic's Security Forces Arrest Dissident Rapper
https://www.iranintl[...]
2022-12-28
[49]
웹사이트
Rapper who protested over death of Mahsa Amini faces execution in Iran
https://www.theguard[...]
2022-12-28
[50]
Citation
Fadaei - Meshki
https://soundcloud.c[...]
2023-03-11
[51]
문서
Song sample, sung by Shuli Natan, taken from http://www.songs.co.il
[52]
journal
Military Songs as Popular Music: War, Memory, and Commemoration in the Songs of the Israeli Military Bands
https://www.proquest[...]
2018
[53]
뉴스
Roger Waters makes mark on Israel's wall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5-01-01
[54]
뉴스
Waters writes on West Bank wall
http://news.bbc.co.u[...]
BBC
2015-01-01
[55]
웹사이트
Tear down this Israeli wal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Limited
2015-01-01
[56]
웹사이트
Zimrat Ha Aretz songs are NOT 'Haaretz' newspaper SHALOM songs
http://jsc.rjews.net[...]
Jerusalem Song Club "Zimrat HaAretz"
[57]
웹사이트
Songwriter Who Provided 'Theme Song' to 8888 Uprising Finally Honored
https://www.irrawadd[...]
2021-02-04
[58]
웹사이트
'Driving evil out': Myanmar people kick up din to protest coup
https://www.france24[...]
2021-02-04
[59]
웹사이트
Myanmar blocks Facebook as resistance grows to coup
https://apnews.com/a[...]
2021-02-04
[60]
book
Musical View on the Conflict in the Middle East
Jerusalem: Minerva Instruction and Consultation Group
[61]
Citation
Listening to Faiz is a subversive act
http://www.himalmag.[...]
2011-01
[62]
Citation
GIRTI HUI DEEWAR KO (International Anthem by ALI ARSHAD MIR)
https://www.youtube.[...]
2021-04-21
[63]
Citation
Girti huwi Deewar ko Aik Dhaka Aur Do Benazir in Jacobabad
https://www.youtube.[...]
2021-04-21
[64]
tweet
Girti hui deewar ko... Aik dhakka aur do!
2023-03-28
[65]
book
World music: The basics
https://archive.org/[...]
Routledge
[66]
journal
한국 민중가요의 전개와 대중성 / Development and Popular Appeal of Korean Min-joong Ga-yo
http://dcollection.p[...]
2013
[67]
book
민중가요의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68]
웹사이트
..ปฐมบทเพลงเพื่อชีวิต ...
http://www.kreenjair[...]
2016-11-09
[69]
웹사이트
TC – Protest music after the Coup/ Songs that changed our lives
http://www.turkishcl[...]
2016-12-02
[70]
웹사이트
Turkish Protest Music
http://www.turkish-m[...]
2016-12-02
[71]
웹사이트
Protest Music from Gezi Park
http://sarapci.com/2[...]
2016-12-02
[72]
서적
Internationale, The
World Book Encyclopedia
2018
[73]
문서
The International Anarchist Congress, Amsterdam, 1907
http://www.fdca.it
2019-06-04
[74]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e
http://www.fordham.e[...]
Modern History Sourcebook
[75]
웹사이트
Boris Vian biography
http://www.biogs.com[...]
biogs.com
[76]
서적
Orte des Erinnerns Gedenkzeichen, Gedenkstätten und Museen zur Diktatur in SBZ und DDR.
2007
[77]
서적
Strömungslehre
Rowohlt
[78]
웹사이트
Erin-Go-Bragh
http://sniff.numachi[...]
2007-10-03
[79]
웹사이트
The World's Top Ten
http://www.bbc.co.uk[...]
BBC
2007-05-01
[80]
웹사이트
sophie-straat-en-goldband-maken-stem-op-een-vrouw-anthem
https://3voor12.vpro[...]
[81]
간행물
Social movement learning about violence
2022
[82]
간행물
An 'ordinary man's' protest: self-immolation as a radical political message in Eastern Europe today and in the past
2018
[83]
웹사이트
The Cutty Wren
http://unionsong.com[...]
Union Songs
2007-10-03
[84]
Webarchive
Mudcat Cafe
https://web.archive.[...]
2011-05-22
[85]
서적
Images of the Medieval Peasan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86]
서적
The Outlaw Legend: A Cultural Tradition in Britain, America and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87]
서적
Cromwell & Communism: Socialism and Democracy in the Great English Revolution
Routledge
1895
[88]
서적
The Common Muse: An Anthology of Popular British Ballad Poetry, XVth-XXth Century
Chatto & Windus
1957
[89]
서적
Which Side Are You On: An Inside History of the Folk Music Revival in America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6
[90]
서적
The Writings of the Luddit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4
[91]
웹사이트
The Grand Conversation: Napoleon and British Popular Balladry
http://www.mustrad.o[...]
Musical Traditions
2009-02-19
[92]
서적
The Urban & Industrial Songs of the Black Country and Birmingham
Michael Raven
1977
[93]
서적
Electric Folk: The Changing Face of English Traditional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4]
웹사이트
Reviews
http://www.bbc.co.uk[...]
BBC Radio 2
2009-02-19
[95]
뉴스
Power to the people; Aldermaston: The birth of the British protest song
https://www.theguard[...]
2008-11-08
[96]
웹사이트
The H-Bomb's Thunder
http://www.antiwarso[...]
Anti-War Songs
2008-11-08
[97]
문서
discussion
Mudcat Cafe
[98]
간행물
American Popular Music and the War in Vietnam
http://web.ebscohost[...]
2011-12-04
[99]
웹사이트
Eternal Flame
http://news.scotsman[...]
scotsman.com
2007-12-20
[100]
뉴스
1969: Millions march in US Vietnam Moratorium
http://news.bbc.co.u[...]
bbc.co.uk/onthisday
2007-12-16
[101]
웹사이트
John Lennon on Television
http://homepage.ntlw[...]
homepage.ntlworld.com
2007-12-17
[102]
뉴스
The Life and Times of John Sinclair
https://movies.nytim[...]
2007-12-20
[103]
웹사이트
John Sinclair's Bio
http://www.johnsincl[...]
John Sinclair
2007-12-20
[104]
문서
1991
[105]
문서
Rethinking the cultural politics of punk: anti-nuclear and anti-war (post-)punk popular music in 1980s Britain
2021
[106]
서적
Music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2-22
[107]
뉴스
'Afilando Los Cuchillos' Soundtracks Puerto Rico's Social Movement In Real Time
https://www.npr.org/[...]
2019-07-27
[108]
뉴스
Residente, iLe, Bad Bunny "Afilando los Cuchillos"
https://pitchfork.co[...]
2019-07-27
[109]
웹사이트
Listen and Watch to 40 years of Australian Blockading Songs
https://commonslibra[...]
2024-09-13
[110]
웹사이트
Behind Enemy Lines - The Songs of the Terania Creek and Nightcap Blockades
https://www.3cr.org.[...]
2024-09-13
[111]
웹사이트
'A rapist in your path': Chilean protest song becomes feminist anthem – video
https://www.theguard[...]
2019-12-11
[112]
웹사이트
Chilean anti-rape anthem becomes international feminist phenomenon
https://www.theguard[...]
2019-12-11
[113]
문서
Woody Guthrie
http://www.discogs.c[...]
[114]
웹사이트
Beans in My Ears
http://sniff.numachi[...]
Sniff.numachi.com
2012-11-20
[115]
문서
http://www.virgin.co[...]
[116]
뉴스
ラジオ局が音楽を自主規制。「イマジン」も禁止曲?
https://eiga.com/new[...]
2021-10-09
[117]
웹사이트
The Story Of Woody Guthrie's 'This Land Is Your Land'
https://www.npr.org/[...]
2020-02-18
[118]
문서
Anti Reagan의 곡。石炭のように黒い瞳、右に立っている、の歌詞を聴いたアメリカ人の多くは、誰の事を歌っているか、わかったという。
[119]
문서
Anti Reaganの曲、イラン・コントラ疑惑に触れている曲。
[120]
문서
同じくAnti Reaganの曲。
[121]
웹사이트
チェルノブイリ原発事故や阪神・淡路大震災が与えた影響
https://natalie.mu/m[...]
ナタリー
2021-11-09
[122]
웹사이트
佐野元春 ライブ・アンソロジー 1980-2010:映像解説
https://www.moto.co.[...]
2021-11-09
[123]
웹사이트
浜田省吾、メッセージ色の強い楽曲を集めたベスト&DVDを同時リリース
https://tower.jp/art[...]
タワーレコード
2021-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