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법난은 불교 신자들에 대한 박해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기와 지역에서 발생했다. 사산 제국, 인도, 헵탈, 훈족 등의 침략으로 불교가 탄압받았고, 힌두교 통치, 당나라 무종의 폐불 정책, 티베트의 랑다르마 왕의 반불교 정책 등 종교적, 정치적 이유로 박해가 이루어졌다. 이슬람 제국, 민족주의 정당, 기독교,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도 불교는 탄압받았으며, 특히 크메르 루주, 중국, 북한 등지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불교 - 억불 정책
억불 정책은 조선 시대에 불교를 억압하기 위해 사찰 정리, 종단 통폐합, 승려 공양 금지 등을 시행한 정책이다. - 공산주의자의 종교 박해 - 장쩌민
장쩌민은 1989년부터 2002년까지 중국 공산당 총서기를 역임하고 1993년 국가주석에 취임하여 13년간 중국 최고 지도자로 집권하면서 사회주의 시장경제로의 이행과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빈부격차, 부정부패, 환경오염 등의 문제와 파룬궁 탄압 논란도 있었다. - 공산주의자의 종교 박해 - 출신성분
출신성분은 김일성 시대에 확립된 북한의 계층 분류 제도로, 주민을 핵심, 동요, 적대 계층으로 나누어 사회적 지위와 운명을 결정하며, 시장 경제 확산으로 영향력이 약화되었으나 여전히 불평등과 체제 불안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 법난 - 랑다르마
랑다르마는 토번의 짼뽀로서 초기에는 무위정치를 펼쳤으나, 839년 이후 재난으로 인한 사회 혼란 속에서 불교 탄압을 단행하여 티베트 불교에 큰 타격을 입혔으며, 승려에 의해 암살된 후 토번 멸망의 원인이 되었고, 폭군이라는 부정적 평가와 혼란 수습을 위한 통치자라는 재평가가 공존한다. - 법난 - 펑위샹
펑위샹은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시기까지 활동한 군벌이자 정치가로, 베이징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국민군을 이끌었으며, 북벌에 참여했지만 중원대전에서 패배했고, 이후 중일 전쟁에 참전했다가 중국 공산당 초청으로 귀국 중 사망하여 "선한 군벌"로 평가받았다.
법난 | |
---|---|
개요 | |
![]() | |
유형 | 종교 박해 |
대상 | 불교 신자와 불교 문화 |
원인 | 정치적 억압 종교적 불관용 사회경제적 요인 |
결과 | 불교 공동체 해체 문화 유산 파괴 종교적 갈등 심화 |
역사적 사건 | |
남아시아 | 마우리아 제국 시대의 박해 인도에서의 불교 쇠퇴 |
동아시아 | 삼무일종의 법난 문화 대혁명 시기의 탄압 티베트에서의 박해 |
동남아시아 | 베트남에서의 불교 탄압 미얀마에서의 로힝야족 박해 (불교 극단주의와 연관) |
현대의 박해 | |
주요 사례 | 중국의 티베트 불교 탄압 미얀마의 로힝야족 탄압 |
특징 | 정부 주도의 종교 탄압 소수 민족에 대한 차별 종교적 극단주의에 의한 폭력 |
법난 (法難) | |
정의 | 불교에 대한 박해 또는 재앙 |
종류 | 인위적인 박해 (정치적, 종교적 이유) 자연 재해 (기근, 전염병 등) |
주요 사례 (한국) | 고구려 소수림왕 시대의 초기 박해 조선 시대의 억불 정책 |
법난 (法難, beomnang) | |
정의 | 불교가 겪는 재난이나 박해 |
원인 | 정치적 상황 변화 지배층의 종교적 신념 변화 사회 경제적 요인 |
결과 | 불교 교단의 쇠퇴, 사찰 파괴, 승려 탄압 등 |
2. 초기 불교 박해
초기 불교는 여러 지역에서 박해를 받았다. 224년 조로아스터교가 페르시아의 국교가 되면서 불교의 서쪽 전파가 중단되었다.[1] 3세기 사산 제국이 박트리아 지역을 점령하면서 불교도들이 박해를 받았고, 많은 탑이 불태워졌다.[1] 하지만 사산 제국은 불교를 관용하여 더 많은 불교 사찰 건설을 허용하기도 했다.[2]
인도에서는 기원전 2세기에 푸시야미트라 숭가 왕이 불교 신자들을 박해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많은 역사가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를 반박한다.[3]
6세기에는 백훈의 침략으로 중앙 아시아와 북서 인도 불교가 약화되었다.[2] 백훈은 텡그리교와 마니교 등 자신들의 종교를 따랐으며, 간다라를 정복하고 갠지스 평원으로 진출했다.[1][2] 515년경부터 통치한 미히라쿨라 왕은 불교를 탄압하여 사원을 파괴했지만, 그의 아들이 정책을 뒤집었다.[2]
2. 1. 사산 제국
224년 조로아스터교가 페르시아의 국교가 되면서 다른 종교는 용납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불교의 서쪽 전파가 중단되었다.[1] 3세기 사산 제국이 박트리아 지역을 점령하여 쿠샨 제국의 통치를 전복시켰으며,[2] 불교도들이 박해를 받아 많은 탑이 불태워졌다.[1] 사산 제국은 조로아스터교를 강력하게 지지했지만, 불교를 관용하여 더 많은 불교 사찰 건설을 허용하기도 했다. 사산 제국 통치 기간 동안 로코타라바다 추종자들이 바미안 석불을 세웠다.[2]3세기 후반, 조로아스터교 대사제 케르데르가 국가 종교 정책을 지배했다.[2] 그는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여러 불교 사찰을 파괴하라고 명령했는데, 이는 불교와 조로아스터교의 혼합 형태인 "붓다-마즈다" 신이 그에게 이단으로 보였기 때문이다.[2] 케르데르 사후 불교는 빠르게 회복되었다.[2]
2. 2. 인도
인도에서 불교 신자에 대한 최초의 박해는 기원전 2세기에 푸시야미트라 숭가 왕에 의해 일어났다고 알려져 있지만, 많은 역사가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를 지속적으로 반박해 왔다.[3] 한 비동시대 불교 문헌은 푸시야미트라가 불교 신자들을 잔혹하게 박해했다고 주장한다. 일부 학자들은 불교 기록에 근거하여 그가 불교 신자를 박해했다고 믿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그가 불교 신자를 후원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편향되었다고 간주한다.[4]많은 다른 학자들은 불교 측 주장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에티엔 라모트는 불교 전설이 푸시야미트라의 반불교 운동과 그의 죽음의 위치에 대해 일관성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문서를 판단해 볼 때 푸시야미트라는 증거 부족으로 무죄로 간주해야 한다"고 말한다.[5] D. 데바후티는 푸시야미트라가 불교 승려의 머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한 후 갑작스럽게 파멸했다는 것은 "명백히 거짓"이라고 주장하며 라모트의 의견에 동의한다. R. C. 미트라는 "푸시야미트라의 박해에 대한 이야기는 ''디비야아바다나''와 타라나타에 기록되어 있는데, 명백한 터무니없는 흔적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6]
2. 3. 헵탈
6세기 중앙 아시아와 북서 인도 불교는 백훈의 침략으로 약화되었는데, 백훈은 텡그리교와 마니교와 같은 자체 종교를 따랐다.[2] 약 440년경 소그디아나를 정복한 후 간다라를 정복하고 갠지스 평원으로 진출했다.[1][2] 515년경부터 통치한 미히라쿨라 왕은 불교를 탄압하여 오늘날의 알라하바드까지 사원을 파괴했지만, 그의 아들이 정책을 뒤집었다.[2]2. 4. 훈족의 침입 (6세기)
백훈은 텡그리교와 마니교 등 자신들만의 종교를 따랐는데, 이들의 침략으로 6세기 중앙 아시아와 북서 인도 불교는 약화되었다.[2] 백훈은 약 440년경 소그디아나를 정복한 후 간다라를 정복하고 갠지스 평원으로 진출했다.[1][2] 515년경부터 통치한 미히라쿨라 왕은 불교를 탄압하여 오늘날의 알라하바드까지 사원을 파괴했지만, 그의 아들이 이 정책을 뒤집었다.[2]법현, 현장, 의정, 혜생, 송운과 같은 5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이 지역을 여행한 중국 학자들은 인도 아대륙 북서부, 특히 6세기 중앙 아시아로부터의 훈족 침략 이후 불교 ''승가''의 쇠퇴에 대해 언급하기 시작했다.[7] 현장은 북서부 인도의 수많은 사찰들이 훈족에 의해 폐허가 되었다고 기록했다.[7][8]
훈족의 통치자 미히라쿨라는 515년경부터 북서부 지역(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및 북인도)에서 통치하며 불교를 탄압했다. 그는 오늘날의 프라야그라지까지 사찰을 파괴했다.[9]
3. 힌두교 통치 하의 박해
6세기 중앙아시아와 북서 인도의 불교는 백훈의 침략으로 약화되었다. 백훈은 텡그리교와 마니교와 같은 종교를 따랐다.[2] 이들은 약 440년경 소그디아나를 정복하고 간다라를 거쳐 갠지스 평원까지 진출했다.[1][2] 515년경부터 통치한 미히라쿨라 왕은 불교를 탄압하고 사원을 파괴했지만, 그의 아들은 이 정책을 바꾸었다.[2]
12세기 저술인 《라자타랑기니》에 따르면, 잘라우카는 시바교 신자로 많은 불교 사원을 파괴했다.[10] 그러나 잘라우카의 이야기는 전설적인 성격이 강하며, 독립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11] 문법학자 파탄잘리는 《마하바샤》에서 브라만과 샤라마나는 영원한 적이라고 말했다.[10]
굽타 제국의 힌두교 통치자들은 힌두교 부흥을 이끌었고, 이는 당시 절정에 달했던 불교에 큰 위협이 되었다. 굽타 제국은 불교에 관대하고 불교 예술과 기관을 후원했지만, 힌두교 부흥은 불교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팔라 제국 시대의 불교 삽화가 그려진 팜 잎 필사본(현대에 남아있는 가장 초기의 인도 삽화 필사본 중 하나)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1015년에 작성된 이 필사본에는 1138년 카루나바즈라라는 불교 신자가 쓴 메모가 있는데, 그는 자신의 노력이 없었다면 필사본이 권력을 위한 정치 투쟁 중에 파괴되었을 것이라고 적었다.
1794년, 바라나시의 체트 싱 라자의 재상인 자갓 싱은 건축 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사르나트에서 아소카 이전 시대의 스투파 2개를 발굴했다. 다르마라지카 스투파는 완전히 철거되었고, 다메크 스투파는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발굴 과정에서 다르마라지카 스투파에서 부처의 유골을 담은 녹색 대리석 유물 함이 발견되었고, 자갓 싱은 이를 갠지스강에 던져버렸다. 동인도 회사 관리들의 조치로 다메크 스투파는 철거를 면했다.[13]
아소카바다나 전설은 숭가 제국 궁정에서 불교의 영향력이 쇠퇴하는 것을 반영한다. 후기 숭가 왕들은 불교에 호의적이었고 바르후트의 스투파 건설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졌다.[14] 인도 불교의 쇠퇴는 굽타 왕조가 시작될 때까지 시작되지 않았다.
데오르코타르에서 발견된 스투파의 고고학적 유적은 의도적인 파괴를 시사하며, 푸시야미트라에 관한 《디비아바다나》에 언급된 파괴로 추정된다.[15] 그러나 고대 인도에서 스투파 파괴와 종교적 폭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6][17] 《디비아바다나》의 이야기는 역사적 기록으로서 가치가 의심스럽다.[18]
다른 학자들에 따르면, 숭가 왕들은 불교에 더 호의적이었고 바르후트의 스투파 건설에 기여했다.[20] 마하보디 사원 보드가야에 있는 비문은 사원 건설을 "브라흐미트라 왕의 아내인 나가데비의 기증"과 "인드라그니미트라 왕의 아내인 쿠란기의 기증"으로 기록하고 있다.[21]
3. 1. 판디아와 팔라바
칼라브라 시기를 지나, 타밀 지역의 판디아 왕국과 팔라바 왕국이 다시 힘을 얻으면서 시바교와 비슈누교 등 토착 종교가 다시 일어났다. 시바교 성인 티루그나나삼반다르는 8,000명의 스라마나(불교도로 추정)를 신학적으로 이겼고, 이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마두라이 근처 사마나탐에서 쿤 판디얀에 의해 처형되었다.[10] 마헨드라바르마 팔라바는 시바교로 개종한 성인 아파르의 영향으로 스라마나 기념물을 파괴하고, 불교를 포함한 베다 이외의 종파를 풍자하는 희극 마타빌라사프라하사나를 썼다.[10] 이러한 사건들은 인도에서 바크티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4. 다른 왕국에서의 박해
당 무종은 재정 위기를 해결하고자 불교 사찰의 재산을 몰수하는 등 무차별적인 종교 탄압을 벌였다. 당시 불교는 당나라의 주요 종교 세력으로 성장하여 사찰들은 면세 혜택을 누리고 있었다. 무종은 수많은 불교 사원을 폐쇄하고 재산을 몰수했으며, 승려와 비구니들을 강제로 속세로 돌려보냈다. 독실한 도교 신자였던 무종은 불교를 중국 사회에 해로운 외래 종교로 간주했다. 그는 조로아스터교, 마니교,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등 다른 외래 종교도 탄압하여, 중국 내 이들 종교는 거의 근절되거나 회복 불가능한 쇠퇴기에 접어들었다.[1]
랑다르마는 838년부터 841년까지 티베트를 통치한 왕으로, 반불교적 성향을 띠고 본교를 따랐다고 알려져 있다.[1]
오이라트(서부 몽골)는 1615년경 티베트 불교로 개종했다. 17세기 초, 여러 오이라트 부족 연합으로 등장한 준가르는 아시아의 마지막 대규모 유목 제국인 준가르 칸국을 세웠다. 그러나 18세기 건륭제의 거듭된 원정으로 준가르는 멸망했다. 1755년부터 1757년까지 이어진 만주족 정복 과정에서 준가르 학살이 발생하여, 준가르 인구의 약 80% (약 50만~80만 명)가 만주족 정황군과 할하 몽골족에게 학살당했다.[22]
17세기 오이라트족은 준가리아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볼가강 하구 초원으로 이주하여 칼미크 칸국을 세우고 티베트 불교를 주요 종교로 삼았다. 18세기 동안 칼미크 칸국은 확장하던 러시아 제국에 흡수되었고, 러시아 정교회는 많은 칼미크인에게 정교회 개종을 강요했다. 1770–1771년 겨울, 약 30만 명의 칼미크인이 청나라로부터 준가리아 지배권을 되찾기 위해 중국으로 귀환을 시도했다.[23] 그러나 이 과정에서 많은 이들이 토지 경쟁으로 인한 부족 간 갈등으로 카자흐족과 키르기스인에게 공격받아 살해되거나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 수개월 간의 여정 끝에 원래 집단의 3분의 1만이 준가리아에 도착했으나, 이들 역시 청나라에 항복할 수밖에 없었다.[24]
4. 1. 당나라 무종
당 무종(814–846)은 무차별적인 종교 탄압에 빠져 불교 사찰의 재산을 몰수하여 재정 위기를 해결하려 했다. 불교는 당나라 시대에 주요 종교 세력으로 발전했으며, 사찰은 면세 혜택을 받고 있었다. 무종은 많은 불교 사원을 폐쇄하고 재산을 몰수했으며, 승려와 비구니들을 속세로 돌려보냈다. 경제적인 이유 외에도 무종의 동기는 철학적 또는 이념적인 것이었다. 독실한 도교 신자였던 그는 불교를 중국 사회에 해로운 외래 종교로 여겼다. 그는 다른 외래 종교도 탄압하여 중국에서 조로아스터교와 마니교를 거의 근절했으며, 급성장하던 네스토리우스 기독교에 대한 탄압으로 중국 기독교는 회복 불가능한 쇠퇴기에 접어들었다.[1]4. 2. 티베트의 랑다르마 왕
랑다르마는 838년부터 841년까지 티베트의 왕이었다. 그는 반불교적이었고 본교를 따랐던 것으로 여겨진다.[1]4. 3. 오이라트 몽골
오이라트(서부 몽골)는 1615년경 티베트 불교로 개종했다. 준가르는 17세기 초에 등장한 여러 오이라트 부족의 연합이었다. 준가르 칸국은 아시아의 마지막 대규모 유목 제국이었다. 18세기, 준가르는 건륭제의 여러 차례 원정으로 멸망했다. 준가르 인구의 약 80%, 즉 약 50만에서 80만 명이 만주족 정황군과 할하 몽골족에 의해 준가르 학살 동안 또는 그 후에 사망했는데, 이는 1755년부터 1757년까지의 만주 정복 과정에서 발생했다.[22]칼미크 칸국은 17세기에 오이라트족이 준가리아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볼가강 하구 주변 초원으로 이주한 후, 티베트 불교를 주요 종교로 하여 설립되었다. 18세기 동안, 칼미크 칸국은 남쪽과 동쪽으로 확장하던 러시아 제국에 흡수되었다. 러시아 정교회는 많은 칼미크인에게 정교회를 받아들이도록 압력을 가했다. 1770–1771년 겨울, 약 30만 명의 칼미크인이 중국 청나라로부터 준가리아의 지배권을 되찾기 위해 중국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23] 가는 길에 많은 사람들이 토지 경쟁을 기반으로 한 부족 간 갈등으로 카자흐족과 키르기스인에게 공격받아 살해되었고,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 수개월의 여정 끝에 원래 집단의 3분의 1만이 준가리아에 도착했고, 도착하자마자 청나라에 항복할 수밖에 없었다.[24]
5. 이슬람 제국의 박해
الإمبراطوريات الإسلامية|이슬람 제국ar 시대에는 비무슬림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박해가 있었다. 이러한 박해는 법적인 차별, 경제적 제약, 사회적 압박, 폭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 지미 제도: 이슬람 제국은 기독교인과 유대인과 같은 "경전의 백성"에게 지미 지위를 부여했다. 지미는 제한적인 종교적 자율성을 누릴 수 있었지만, 무슬림보다 낮은 사회적 지위를 가지며, 특별한 세금(지즈야)을 납부해야 했다.[56]
- 개종 압력: 일부 지역에서는 비무슬림에게 개종을 강요하거나, 개종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 종교 시설 파괴: 때로는 비무슬림의 교회, 사원, 회당 등이 파괴되거나, 무슬림 사원으로 개조되기도 했다.
- 폭력: 비무슬림에 대한 폭력, 살해, 고문 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무슬림 제국의 박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달랐다. 예를 들어, 무굴 제국 시대에는 비무슬림에 대한 관용적인 정책이 시행되기도 했지만,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비무슬림에 대한 차별이 심화되기도 했다.
사파르 왕조는 약탈한 불교와 힌두교의 성상을 아바스 왕조에 선물로 보냈다.[56] 몽골 통치자 가잔 칸은 불교도들에게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일 칸국을 떠나라고 요구했고 사원을 파괴하라고 명령했지만, 이후 약간 덜 가혹한 입장을 취했다.[57] 그는 이전에 다른 비무슬림의 박해뿐만 아니라 그들의 박해를 지지했지만, 나우루즈가 죽은 후 종교 정책이 바뀌어 종교적 불관용 행위자에게 처벌이 가해지고 비무슬림과의 관계를 회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58] 그곳에서 종교가 살아남았지만,[59][60] 가잔 칸의 공격에서 결코 회복되지 못했다.[61]
5. 1. 아랍의 침략
쿠타이바 이븐 무슬림은 대 호라산의 아랍 장군으로, 사마르칸트를 포함한 중앙아시아의 여러 지역을 정복했으며, 그곳에서 많은 이미지를 파괴했다.[25] 진격하는 무슬림에 의해 불교 사원이 파괴된 여러 사례가 기록되어 있지만, 불교는 상당 기간 동안 일부 지역에서 계속 살아남았다. 베르톨프 스퓔러는 나르샤키의 글을 인용하면서 부하라 주민들이 쿠타이바에 의해 712~713년에 정복될 때까지 네 번이나 이슬람에서 불교로 개종했다고 말했다. 불교 사찰 대신 도시에 모스크가 건설되었다. 불교도들은 10세기까지 그곳에서 계속 살았다. 마찬가지로 불교는 올드 부하라, 남부 투하리스탄의 시밍간, 바미안, 그리고 불교도들의 고향이기도 했던 "인디언"들이 거주하는 교외 지역인 카불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도 계속 존재했다. 그러나 종교는 더 이상 세력으로 발전하거나 선전을 할 수 없었고, 그 추종자들은 또한 이 지역 사람들의 개종을 포기해야 했다.[26] 리처드 넬슨 프라이와 같은 학자들은 마르샤키의 이야기를 의심하며, 그 진술과는 달리 쿠타이바 이븐 무슬림은 우마이야 칼리프 무아위야 시대가 아닌 훨씬 나중에 살았다고 지적했다.[27] 차별, 이민, 평신도의 개종 외에도, 불교와 그 수도원은 무슬림이 실크로드와 신드의 무역을 장악하면서 쇠퇴했다.[28][31][30]아랍인들은 신드를 정복하는 동안 비무슬림을 ''ahl al-kitab'' (경전을 가진 사람들) 범주에 포함시켜 ''ahl al-dhimmah''(보호받는 피보호자)로 간주하여, 여러 의무를 다하는 조건으로 종교 생활에 대한 어느 정도의 불간섭을 허용했다. 불교와 힌두교는 모두 경전을 가진 문해 종교이므로, 조로아스터교를 ''ahl al-kitab'' 범주에 동화시키는 선례가 그들에게도 적용되었다. ''dhimmis''(딤미)는 조상 종교를 따르는 대가로 지즈야를 지불해야 했다. 역사가 알-발라두리는 무하마드 빈 카심이 불교 비하라와 아로르를 조약(''술흐'')을 통해 정복한 후 사람을 죽이지 않고 사원에 들어가지 않기로 동의했으며, 그들에게 하라지를 부과했다고 기록한다.[29] 불교도들은 아랍인들에게 사찰 중 하나를 복원할 권리를 청원했고, 알-하지자 이븐 유수프가 이를 허가했다. 그러나 이 결정은 나중에 우마르 협약과 그 후의 이슬람 법전에 의해 위반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비무슬림 종교 구조물의 복원과 새로운 구조물의 건설을 금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 비문은 11세기에 여전히 기록되었다.[30] 일부 불교도들은 무슬림 통치 지역에서 도망쳐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 브라만교 숭배와 달리 불교는 8세기 이후 신드에서 급격히 쇠퇴했으며 11세기까지 사실상 사라졌다.[30][31]
아랍인들은 불교의 중심지였던 발흐를 정복했다. 발흐의 많은 사람들은 정복 이후 불교에 동정심을 보였고, 이슬람 정통주의 추종자들에 의해 혹독하게 비난받았다.[32] 나바 비하라 불교 사원은 국가 저항의 상징이 되었으며, 663년 무아위야 1세 시대에 훼손되었다.[33] 아랍인들은 비무슬림이 지즈야라는 인두세를 지불하는 한 종교를 실천하는 것을 허용했다.[34] 불교 사원의 파괴 외에도 아랍 정복 기간 동안 구시가지의 일부가 파괴되었다.[35] 나바 비하라는 역사 기록에 따르면 계속 개방되어 있었다.[34] 이와 함께 다른 많은 비하라들이 아랍 정복 이후 최소 1세기 동안 중앙아시아에서 계속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36] 알-비루니는 11세기 초에 종교와 그 수도원의 존재를 기록한다.[30] 8세기 한국 여행가 혜초는 아랍 통치 하의 발흐에서 소승불교 신자들을 기록한다.[37] 이 도시는 705년에 잦은 반란으로 인해 폐허가 되었다.[38]
일부 동판 비문을 통해 일부 불교도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30] 알-마문(재위 813년 ~ 833년)은 호라산을 방문하는 동안 카불을 공격하여 통치를 받는 왕에게 과세를 했다.[39] 카불의 왕은 체포되었고, 그 후 이슬람으로 개종했다.[40] 자료에 따르면, 샤가 알-마문에게 항복했을 때, 그는 자신의 왕관과 보석으로 장식된 왕좌를 보냈고, 나중에 메카 역사가 알-아즈라키는 이 왕관과 왕좌를 칼리프에게 보낸 것을 보고 칼리프는 파들에게 "다신교를 억제하고, 우상을 파괴하고, 반항자를 죽인" 것을 칭찬하며 카불의 왕과 ''이스파바드''에 대한 그의 성공을 언급했다. 그러나 다른 거의 동시대의 자료들은 이 유물을 힌두 샤히 통치자 또는 "티베트"의 이름 없는 통치자가 이슬람으로 개종한 것을 상징하는, 금으로 된 보석으로 장식된 은색 왕좌에 앉아 있는 우상이라고 언급하고 있다.[41]
5. 2. 인도
6세기경 중앙아시아와 북서 인도 불교는 백훈의 침략으로 약화되었다. 백훈족은 텡그리교와 마니교 등 자신들의 종교를 따랐다.[2] 이들은 약 440년경 소그디아나를 정복한 후 간다라를 점령하고 갠지스 평원으로 진출했다.[1][2] 515년경부터 통치한 미히라쿨라 왕은 불교를 탄압하여 오늘날의 알라하바드까지 사원을 파괴했지만, 그의 아들이 이 정책을 번복했다.[2]D. N. 자는 《라자타랑기니》를 바탕으로 곤안디야-아소카 왕(마우리아 제국의 아소카 왕과는 다름) 시대에도 불교도 박해가 있었다고 전한다. 12세기 저술인 《라자타랑기니》에 따르면, 잘라우카는 시바교 신자였으며 많은 불교 사원을 파괴했다.[10] 그러나 잘라우카 이야기는 전설적인 성격이 강하며, 카슈미르 전통에 대한 독립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11] 문법학자 파탄잘리는 《마하바샤》에서 브라만과 śramaṇa(불교도 포함)는 영원한 적이라고 언급했다.[10] 굽타 제국의 힌두교 통치자들의 등장과 함께 힌두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크게 부흥했으며, 이는 당시 절정에 달했던 불교에 도전이 되었다. 굽타 제국은 불교에 관대하고 불교 예술과 종교 기관을 후원했지만, 힌두교 부흥은 불교에 큰 위협이 되었고 불교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팔라 제국 시대의 불교 삽화 팜 잎 필사본(현대에 남아있는 가장 초기의 인도 삽화 필사본 중 하나)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1015년에 작성된 이 필사본에는 1138년 카루나바즈라라는 불교 신자가 쓴 메모가 있는데, 그는 자신의 노력이 없었다면 필사본이 권력 투쟁 중에 파괴되었을 것이라고 적었다. 이 메모는 '그가 전지자의 비교할 수 없는 어머니인 '지혜의 완성'을 불신자들의 손(카밀로 포르미가티에 따르면 브라만 계열의 사람들이었을 가능성이 높음)에서 구출했다'고 명시하고 있다.[12] 1794년, 바나라스의 체트 싱 라자의 재상인 자갓 싱은 사르나트에서 아소카 이전 시대의 스투파 2개를 건축 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발굴했다. 다르마라지카 스투파는 완전히 철거되어 오늘날에는 기초만 남아있고, 다메크 스투파는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발굴 과정에서 다르마라지카 스투파에서 부처의 유골을 담은 녹색 대리석 유물 함이 발견되었고, 자갓 싱은 자신의 힌두교 신앙에 따라 이를 갠지스 강에 던져버렸다. 이 사건은 영국 거주자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동인도 회사 관리들의 시의적절한 조치로 다메크 스투파는 철거를 면했다.[13]
아소카바다나 전설은 숭가 제국 궁정에서 불교의 영향력이 쇠퇴하는 것을 반영하여 푸시야미트라의 마우리아 공격에 대한 불교 버전과 유사하다. 후기 숭가 왕들은 불교에 호의적이었고 바르후트의 스투파 건설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졌다.[14] 인도 불교의 쇠퇴는 굽타 왕조가 시작될 때까지 시작되지 않았다.
데오르코타르에서 발견된 스투파의 고고학적 유적은 의도적인 파괴를 시사하며, 푸시야미트라에 관한 《디비아바다나》에 언급된 파괴로 추정된다.[15] 그러나 고대 인도에서 스투파가 파괴되었는지, 아니면 훨씬 후대의 시대에 파괴되었는지는 불분명하며, 고대 인도에서 힌두교와 불교 사이에 종교적 폭력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6][17] 데오르코타르 스투파가 언제, 누구에 의해 파괴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디비아바다나》의 허구적 이야기는 학자들에 의해 역사적 기록으로서 의심스러운 가치를 지닌 것으로 간주된다.[18] 예를 들어, 모리츠 빈터니츠는 "이러한 전설 [《디비야바다나》에 있는]은 역사적 가치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18] 마찬가지로, 폴 윌리엄스는 초기 불교의 마하상기카 학파에서 묘사된 부처의 열반(기원전 400년)과 그 이후 푸시야미트라의 통치 시기에 대한 박해 주장은 "모든 주장 중에서 가장 터무니없는 것이며 더 이상의 논의를 할 가치가 거의 없다"고 말한다.[19]
다른 학자들에 따르면, 숭가 왕들은 불교에 더 호의적이었고 바르후트의 스투파 건설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지며,[20] 마하보디 사원의 보드가야에 있는 비문은 사원의 건설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브라흐미트라 왕의 아내인 나가데비의 기증." 또 다른 비문에는 "살아있는 아들을 낳은 어머니이자 코시키의 아들인 인드라그니미트라 왕의 아내인 쿠란기의 기증. 왕궁 사당의 스리마의 기증도 있다."[21]
6. 민족주의 정당에 의한 박해
북벌 기간 중인 1926년 광시에서 중국 국민당 소속 무슬림 장군 바이충시는 군대를 이끌고 불교 사찰을 파괴하고 불상을 부수었으며, 사찰을 학교와 국민당 당사로 강제 전환했다.[85] 광시의 거의 모든 불교 사찰이 바이충시에 의해 이러한 방식으로 파괴되었으며, 승려들은 쫓겨났다.[86] 바이충시는 광시에서 반외세 운동을 주도하여 미국인, 유럽인 및 기타 외국인과 선교사를 공격했고, 이로 인해 외국인들은 해당 지역을 안전하지 않다고 여겼다. 서양인들은 광시를 탈출했으며, 일부 중국 기독교인들도 제국주의 간첩으로 몰려 공격받았다.[87]
칭하이 평정 작전 동안 무슬림 장군 마부팡은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티베트 불교 사찰을 파괴했다.[88] 마부팡은 국민혁명군 장군으로 복무하며 중화민국의 칭하이 통제 확대를 꾀했으며, 무력으로 티베트를 중화민국에 복속시킬 가능성도 모색했다. 마부팡이 골록에 7차례 원정을 벌여 수천 명의 티베트인을 살해했을 때, 중화민국 정부는 마부팡을 지원했다.[88]
6. 1. 국민당 치하 중화민국
북벌 기간 중인 1926년 광시에서 중국 국민당 소속 무슬림 장군 바이충시는 군대를 이끌고 불교 사찰을 파괴하고 불상을 부수었으며, 사찰을 학교와 국민당 당사로 강제 전환했다.[85] 보고에 따르면 광시의 거의 모든 불교 사찰이 바이충시에 의해 이러한 방식으로 파괴되었으며, 승려들은 쫓겨났다.[86] 바이충시는 광시에서 반외세 운동을 주도하여 미국인, 유럽인 및 기타 외국인과 선교사를 공격했고, 이로 인해 외국인들은 해당 지역을 안전하지 않다고 여겼다. 서양인들은 광시를 탈출했으며, 일부 중국 기독교인들도 제국주의 간첩으로 몰려 공격받았다.[87] 바이충시 운동의 세 가지 목표는 반외세, 반제국주의, 반종교였다. 그는 미신에 반대하는 반종교 운동을 이끌었다. 무슬림은 우상 숭배에 적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그의 개인적인 신념은 바이충시가 사찰의 신상과 중국에서 만연한 미신적 관행에 대해 조치를 취하도록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신 광시 파벌의 국민당 구성원인 황샤오슝은 바이충시의 캠페인을 지지했으며, 황샤오슝은 무슬림이 아니었으므로 반종교 캠페인은 모든 광시 국민당 구성원들의 합의를 얻었다.[87]칭하이 평정 작전 동안 무슬림 장군 마부팡은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티베트 불교 사찰을 파괴했다.[88] 마부팡은 국민혁명군 장군으로 복무하며 중화민국의 칭하이 통제 확대를 꾀했으며, 무력으로 티베트를 중화민국에 복속시킬 가능성도 모색했다. 마부팡이 골록에 7차례 원정을 벌여 수천 명의 티베트인을 살해했을 때, 국민당으로 알려진 중화민국 정부는 마부팡을 지원했다.[88] 마부팡은 매우 반공주의적이었고, 그와 그의 군대는 칭하이 북동부와 동부에서 많은 티베트인을 제거하고 티베트 불교 사찰을 파괴했다.[89]
7. 기독교에 의한 박해
인도에서는 나가랜드 사회주의 평의회가 아삼-아루나찰 국경에 거주하는 불교도들에게 돈과 식량을 요구하고, 현지인들에게 기독교로 개종을 강요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이 단체는 아루나찰 프라데시의 랑프라 사원을 불태운 혐의도 받고 있다.[168] 트리푸라 민족해방전선은 트리푸라의 힌두교 및 불교 고아원, 병원, 사찰, 학교를 폐쇄하고 공격했으며, 불교도들을 기독교로 강제 개종시켰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169][170][171] 1980년 트리푸라에서는 침례교회에 의해 대규모 민족 폭동이 발생하여 힌두교와 불교 부족들이 체계적인 민족 청소를 겪었고, 수천 명의 여성들이 납치되어 강간을 당하고 기독교로 개종을 강요받았다. 이들은 국제 기독교 단체와 NLFT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172]
일본 전국 시대에는 여러 다이묘와 그들의 신하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예수회 선교사들의 노력으로 불교 사찰과 신토 신사가 파괴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수회 또한 파괴와 박해에 기여했으며,[174][175] 불교 승려들은 교회로 재사용될 사찰에서 강제로 쫓겨나는 등 박해를 받았다.[176] 기독교 다이묘는 불교 승려에게 강제로 결혼을 강요하기도 했으며,[174] 승려들이 숨겨둔 불교 유물이 파괴되기도 했다.[175] 예수회 선교사들은 신토와 불교를 악마의 우상 숭배로 간주하여 용납하지 않았고,[175] 기독교 개종자들은 신토와 불교의 신들이 악령이며 종교 시설을 파괴함으로써 그들의 영향력을 제거할 수 있다고 믿었다.[174] 이러한 종교적 다원성을 무시하는 태도와 종교 시설 파괴는 일본에서 전례 없는 일이었으며, 결국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87년 칙령을 통해 "일본은 신의 나라이므로, 기독교 국가에서 온 사악한 교리가 전파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명시하며 기독교를 금지했다.[174]
미국에서는 1942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행정명령 9066호에 서명하여 미국 육군이 일본계 미국인 11만 명 이상을 서부 해안에서 제거하여 수용소에 수용했다.[188] 이들 대다수가 불교 신자였기 때문에 종교가 미국인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와이 제도에서는 진주만 공격 이전부터 불교 지도자들을 체포할 계획을 세웠으며, 기독교 신자에게 특혜를 주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수만 명의 일본계 미국인 불교 신자들이 군 복무를 했다.[189]
2020년에는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외국인 혐오 및 인종차별 속에서 6개의 불교 사찰을 훼손했고,[190] 다음 해에는 로스앤젤레스의 한 불교 사찰이 방화로 불탔다.[191]
남베트남에서는 1953년부터 프랑스에 의해 무장된 가톨릭 베트남인들이 마을을 습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1961년에는 사찰 포격 사건이 보도되었다.[192] 응오딘지엠 대통령은 가톨릭 신자로, 불교도보다 가톨릭 신자들을 우대했으며 1959년 국가를 성모 마리아에게 헌납했다. 베트남 인구의 80%가 불교도였지만, 가톨릭 신자들이 군대와 공무원에서 높은 지위를 얻었고, 국회의원 절반이 가톨릭 신자였다. 불교도들은 대규모 회의를 개최하기 위해 특별 정부 허가를 받아야 했다.[193] 1963년 5월, 정부는 석가탄신일에 불교 깃발 게양을 금지했고, 불교 시위대와 정부군 충돌로 9명이 사망했다.[193] 이에 항의하여 틱광득 승려가 분신 자살했으며,[194] 8월 21일 사리 사원 습격으로 수백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7. 1. 한국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불교 사찰 방화 사건과 불교 미술품 훼손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한 개신교 목사가 마이크를 휘둘러 사찰의 그림과 조각상을 부수거나, 사찰 벽, 벽화, 조각상에 붉은 십자가를 칠하고 불상을 훼손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불교 대학 학생들은 캠퍼스 내, 특히 사찰 근처에서 기독교인들의 공격적인 전도 행위를 경험했다고 보고했다.[177]일부 대한민국 불교 신자들은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 소망교회 신자라는 점을 들어, 이명박 정부가 불교를 차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178] 특히 이명박 대통령 취임 후 공직 사회에서 기독교인 비율이 불교 신자에 비해 높았으며, 대통령 내각의 경우 12명의 기독교인과 1명의 불교 신자로 구성되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179]
불교 조계종은 이명박 정부가 특정 불교 사찰을 무시하고 공문서에 기독교 교회만 포함시키는 등 불교를 차별하고 기독교를 편애했다고 비판했다.[178] 2006년 아시아 타임스에 따르면, 이명박 대통령은 부산에서 열린 기독교 집회에 영상 기도 메시지를 보냈는데, 이 예배에서 한 참석자는 "주님, 이 나라의 불교 사찰이 무너지게 하소서!"라고 기도했다.[180]
''불교-기독교 연구'' 기사에 따르면, 1990년대 한국에서 많은 불교 사찰이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의 방화로 파괴되거나 훼손되었다. 불상들이 우상으로 간주되어 예수의 이름으로 공격받고 훼손되기도 했다. 방화범과 훼손범들이 야간에 은밀히 활동하여 체포가 어려웠다.[180] 2008년에는 경찰이 서울 조계사에서 피신한 시위대를 조사하고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 스님의 차량을 수색하면서, 불교 신자들이 경찰이 지관 스님을 범죄자 취급했다고 항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78]
2009년 3월, 이명박 대통령과 영부인은 한국 불교 회의에 참석하여 참석자들과 함께 찬송가를 부르는 동안 합장하며 기도하는 모습을 보였다.[181] 이후 불교 신자들의 불만은 점차 줄어들었다.[182][183]
조선 시대에는 이성계 이후 수 대에 걸쳐 숭유억불이라 불리는 대규모 불교 탄압이 있었다. 이는 유교를 보호하고, 전 왕조인 고려가 불교 국가였기 때문에 그 잔재를 없애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7. 2. 스리랑카
영국은 1815년 캔디 왕국을 점령하고 싱할라 군주를 폐위시켜 2300년 이상 지속된 싱할라 불교 왕조의 역사를 종식시켰다.[184] 대영 제국은 1948년까지 스리랑카 섬을 통치하면서, 세례받지 않은 유아의 등록을 거부하고 비기독교인 결혼을 인정하지 않았다. 기독교인은 직업과 승진에서 공개적으로 우대받았다.[184] 영국은 다양한 기독교 선교 단체를 지원하여 섬에 기독교 학교를 설립하도록 하였고, 이 학교에서의 교육은 정부 기관 근무를 위한 필수 조건이었다. 선교사들은 싱할라어로 불교를 공격하고 기독교를 홍보하는 소책자를 썼다.[185] 1852년 영국의 보수주의자 로버트 잉글리스 경은 영국 식민 정부와 "불교 승려"의 관계에 대한 의회 토론에서 불교를 "우상 숭배"에 비유했다.[186] 19세기에는 기독교 선교와 탄압에 대한 대응으로 전국적인 불교 부흥 운동이 일어났으며, 미게투와테 구난난다 테라와 히카두웨 스리 수망갈라 테라 등 기독교 사제와 불교 승려 간의 파나두라 토론은 불교도에게 널리 승리로 여겨졌다.[187]스리랑카 싱할라인 사회에서, 시타와카의 라자싱하 1세 왕은 데바남피야 티사 왕의 개종 이후 오랫동안 상좌부 불교가 지배한 이후 사이바 시단탐으로 돌아갔다.[195] 라자싱하 왕은 타밀족 재상 만남페루마 모호탈라를 "철의 딸"로 알려진 젊은 왕비의 여동생과 결혼시켰고, 사이바 시단타로 개종했다.[196] 그는 브라만 아디 사이바스와 타밀 사이바이트 벨랄라스를 스리 파다와 같은 주요 불교 유적지에 정착시켰다. ''벨랄라 구룩칼''은 왕의 종교 멘토 역할을 했고, 이 센터에서 ''사이바 시단탐''을 강화했다. 만남페루마 모호탈라의 조언에 따라 그는 많은 불교 종교 유적지를 파괴했다. 이후 불교는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지원을 받아 각각 시암 니카야와 아마라푸라 니카야가 형성될 때까지 쇠퇴했다.
1958년 타밀족 학살 당시 타밀 폭도들은 자프나의 스리 나가 비하라와 나가디파 푸라나 비하라를 공격하여 후자를 완전히 파괴했다.[197] 여러 싱할라족 증인들은 산소니 위원회에 1970년대 초 트린코말리 구의 고대 불교 기념물과 건물에 피해가 있었다고 증언했다. 밀리아니 산소니 판사는 1977년 반타밀족 폭동의 원인이 북부 및 동부 주의 고대 불교 유적지에 대한 피해라고 의견을 밝혔다. 폭동 중에는 킬리노치의 불교 사찰이 반싱할라족 폭동의 일환으로 타밀 폭도에 의해 불탔다.[198] 스리랑카 내전 동안 타밀 일람 해방 호랑이와 다른 타밀족 무장 단체는 달라다 말리가와와 같은 불교 유적지에 여러 차례 공격을 가했으며, 종종 싱할라 불교도 민간인 학살을 수반했다.[199][200][201][202] 사회학자 사산카 페레라는 무장 세력이 자신들이 주장하는 영토에서 싱할라족 유산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불교 유적을 파괴하려 했지만, 실제로는 그들 자신의 유산을 파괴하고 있다고 말했다.[203]
8. 공산주의 하의 박해
몽골에서는 공산주의 통치 기간 동안 승려들이 박해를 받았으며, 1990년 민주화 혁명이 일어날 때까지 지속되었다.[222] 호르로깅 초이발상은 17,000명의 승려를 국가의 적으로 규정하고 시베리아 강제 수용소로 추방했으며, 그곳에서 많은 승려들이 사망했다. 몽골에 있던 700개 이상의 불교 사찰이 약탈당하거나 파괴되었다.[223]
소련에서도 불교는 국가 무신론 정책 하에 박해받고 경멸받았다.[226] 신도들은 당국의 공격을 받았으며,[227] 1929년 소련 정부는 많은 수도원을 폐쇄하고 승려들을 체포하여 유형에 처했다.[226] 부랴티야와 칼미크 공화국이 소비에트화되면서 성직자들은 줄어들었다.[228]
북한은 국가가 승인하고 강제하는 무신론을 유지하고 있으며,[224] 1960년대와 1970년대 동안 모든 불교의 흔적을 없애려 하였다.[225]
8. 1. 크메르 루주 치하 캄보디아
크메르 루주는 국가 무신론 정책에 따라 1975년부터 1979년까지 통치하면서 소수 민족과 불교 승려를 박해하는 무신론적 농업 혁명을 적극적으로 시행했다.[210][211][213] 불교 기관과 사찰은 파괴되었고, 많은 수의 불교 승려와 스승들이 살해당했다.[212] 국가 수도원의 3분의 1이 수많은 성서와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물품들과 함께 파괴되었다. 25,000명의 불교 승려가 정권에 의해 학살당했다.[213] 폴 포트는 불교가 쇠퇴한 허례허식이라고 믿었으며, 캄보디아에 1,500년 동안 새겨진 불교의 흔적을 제거하려 했다.[213][214]8. 2. 중국
오늘날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은 타림 분지와 준가리아로 나뉘며, 원래 불교를 믿는 토하라족과 사카족이 거주했다. 이 지역은 튀르크계 무슬림의 침략으로 튀르크화 및 이슬람화되었다.중국 공산 혁명 이후 불교는 심각한 제약을 받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 무신론의 영향으로 종교 공동체가 감소했다.[215] 문화 대혁명 기간에는 중국 공산당의 반종교 운동으로 인해 불교도들이 박해받고, 불교 사찰, 불상, 경전이 파괴되었다.[216] 최근 중국 불교는 부흥하고 있지만, 대부분 국가의 통제 하에 있다.[216]
중국에서는 북위 태무제, 북주 무제, 당 무종, 후주 세종의 4차례 폐불 정책, 즉 삼무일종의 법난이 대표적인 법난으로 꼽힌다.
8. 2. 1. 티베트
문화 대혁명 이후 많은 불교 사찰과 사원들이 재건되었지만, 티베트 불교도들은 대체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제약을 받고 있다.[217] 모든 인권 단체는 티베트 불교 승려와 수녀들이 중국 인민해방군에 의해 투옥, 고문, 살해당했다고 보고했다.[218] 티베트에는 6,000개가 넘는 불교 사찰이 있었으며, 거의 모든 사찰이 중국 공산당에 의해 파괴되었는데, 이는 주로 문화 대혁명 기간에 일어났다.[219] 다수의 문서를 분석한 결과, 많은 티베트 불교 사찰들이 문화 대혁명 이전에 중국 공산당에 의해 파괴되었음이 밝혀졌다.[220] 중국 공산당은 티베트 불교 지역에서 무신론을 장려하기 위한 3개년 계획을 시작했다. 티베트의 중국 공산당 선전부 지도자인 샤오 화이위안은 "이는 농민과 유목민이 종교의 부정적인 영향에서 벗어나도록 도울 것이다. 특히 무신론에 대한 선전을 강화하는 것은 티베트에서 매우 중요하며, 무신론은 이 지역의 경제 건설, 사회 발전 및 사회주의 정신 문명을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이 지역의 모든 민족들이 그들의 이념적, 윤리적 자질을 향상시키고, 문명적이고 건강한 생활 방식을 배우며, 통일되고 번영하며 문명화된 새로운 티베트를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221]8. 3. 북한
The Oxford Handbook of Atheism영어은 "북한은 국가가 승인하고 강제하는 무신론을 유지하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224] 1960년대와 1970년대 동안, "북한은 실제로 모든 불교의 흔적을 말살했다".[225]참조
[1]
서적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History of Buddhism in Afghanistan
https://studybuddhis[...]
2001
[3]
문서
Encyclopedia of Buddhism: "Persecutions"
[4]
서적
Indigenous states of northern India, circa 200 B.C. to 320 A.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cutta
[5]
서적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the origins to the Śaka era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Institut Orientaliste
1988
[6]
서적
Popular Controversies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7]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archive.org/[...]
Merriam-Webster
[8]
백과사전
Historical Development of Buddhism in India – Buddhism under the Guptas and Palas
https://www.britanni[...]
2015-09-12
[9]
서적
Indian Buddhism: A Survey With Bibliographical Notes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s
[10]
웹사이트
Monumental Absence The destruction of ancient Buddhist sites
http://www.caravanma[...]
2018-06-01
[11]
서적
The Early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12]
웹사이트
The 1,000-year-old manuscript and the stories it tells
http://www.lib.cam.a[...]
University of Cambridge
2015-05-12
[13]
서적
The Historical Buddha: The Times, Life, and Teachings of the Founder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04
[14]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 from Śākyamuni to early Mahāyāna
Motilal Banarsidass
1993
[15]
웹사이트
Article on Deokothar Stupas possibly being targeted by Pushyamitra
http://www.archaeolo[...]
Archaeology.org
2001-04-04
[16]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Sakyamuni to Early Mahayan
Motilal Banarsidass Publ.
[17]
간행물
India's Ancient Art
http://www.buddhistc[...]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08-01
[18]
서적
Divine Stories - The Divyāvadāna Part 1
http://www.wisdompub[...]
Wisdom Publications, Boston
[19]
서적
Buddhism: Buddhist origins and the early history of Buddhism in South and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Sakyamuni to Early Mahayan
Motilal Banarsidass Publ.
[21]
학술지
Old Buddhist Shrines at Bodh-Gaya Inscriptions
http://ccbs.ntu.edu.[...]
1930-03
[22]
문서
In the Eye of Power
http://www4.gu.edu.a[...]
Brisbane
2004
[23]
웹사이트
The Kalmyk People: A Celebration of History and Culture
http://www.tibetan-m[...]
null
[24]
웹사이트
Republic of Kalmykia in Transition: Natural Resource Management After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http://casestudies.l[...]
Lead International
null
[25]
서적
History of The Arabs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6]
서적
Iran in the Early Islamic Period: Politics, Culture, Administration and Public Life between the Arab and the Seljuk Conquests, 633-1055
https://books.google[...]
Bertold Spuler
[27]
문서
The History of Bukhara
[28]
서적
An Archaeological History of Indian Buddh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Early Histo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30]
서적
Buddhism and Islam on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1]
서적
Building Communities in Gujarāt: Architecture and Society During the Twelfth Through Four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32]
서적
Lost Enlightenment: Central Asia's Golden Age from the Arab Conquest to Tamerlan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
서적
Buddhism: Art and Values : a Collection of Research Papers and Keynote Addresses on the Evolution of Buddhist Art and Thought Across the Lands of Asia
International Academy of Indian Culture and Aditya Prakashan
[34]
서적
A Concise History of Afghanistan in 25 Volumes, Volume 14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3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ranian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Islam and Tibet: Interactions Along the Musk Routes
Ashgate Publishing
[37]
서적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The Places Where Men Pray Together: Cities in Islamic Lands, Seventh Through the T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9]
서적
History of Bengal
Dacca
1943
[40]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https://books.google[...]
UNESCO
1996-01-01
[41]
서적
Objects of Translation: Material Culture and Medieval "Hindu-Muslim" Encount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05-03
[42]
서적
Land of seven rivers: History of India's Geograph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12-11-15
[43]
서적
An Archaeological History of Indian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44]
웹사이트
A Close View of Encounter between British Burma and British Bengal
http://www.sasnet.lu[...]
2015-09-27
[45]
서적
The Maha-Bodhi
[46]
서적
The Maha-Bodhi
[47]
서적
The Philosophy of Mahatma Gandhi: And Other Essays,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48]
서적
Writings and Speeches
[49]
서적
The Maha-Bodhi
[50]
백과사전
The Turkish conquest
http://kids.britanni[...]
2015-09-28
[51]
서적
Islam at War: A History
[52]
서적
Sir Aurel Stein: Archaeological Explorer
[53]
서적
Ethnicity & Family Therapy
[54]
서적
War at the Top of the World: The Struggle for Afghanistan, Kashmir, and Tibet
[55]
서적
Buddhism and Dalits: Social Philosophy and Traditions
2010
[56]
서적
Authority and Identity in Medieval Islamic Historiography: Persian Histories from the Periphe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9-09
[57]
서적
Medieval Persia 1040-1797
https://books.google[...]
Routledge
[58]
서적
The Mongol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11-07
[59]
서적
Buddhism and Islam on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06-06
[60]
서적
The Mongol Conquests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3-02-15
[61]
서적
Towards Rewriting?: New Approaches to Byzantine Archaeology and Art :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Byzantine Art and Archaeology, Cracow, September 8 - 10, 2008
https://books.google[...]
Prus24.pl
2013-02-15
[62]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63]
서적
Kashgar: Oasis City on China's Old Silk Road
https://books.google[...]
Frances Lincoln
[64]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65]
간행물
Modular History: Identity Maintenance before Uyghur Nationalism
https://www.academia[...]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2012-08
[66]
간행물
Modular History: Identity Maintenance before Uyghur Nationalism
https://www.academia[...]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2012-08
[67]
간행물
Modular History: Identity Maintenance before Uyghur Nationalism
https://www.academia[...]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2012-08
[68]
서적
Buddhism and Islam on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9]
서적
Islam and Tibet: Interactions Along the Musk Routes
Ashgate Publishing
[70]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72]
서적
From Mahmud Kaşgari to Evliya Çelebi
https://books.google[...]
Isis Press
2008
[73]
간행물
Three Turkic Verse Cycles Relating to Inner Asian Warfare
1979–1980
[74]
서적
Die Geschichte des uigurischen Manichäismus an der Seidenstrasse: Forschungen zu manichäischen Quellen und ihrem geschichtlichen Hintergrund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75]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76]
웹사이트
哈密回王简史-回王家族的初始
http://www.hami.gov.[...]
2015-09-27
[77]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Brill
[78]
웹사이트
The Encyclopaedia of Islam - Hamilton Alexander Rosskeen Gibb, Bernard Lewis, Johannes Hendrik Kramers, Charles Pellat, Joseph Schacht
https://books.google[...]
2009-12-08
[79]
웹사이트
The Encyclopaedia of Islam - Hamilton Alexander Rosskeen Gibb, Bernard Lewis, Johannes Hendrik Kramers, Charles Pellat, Joseph Schacht
https://books.google[...]
2009-12-08
[80]
웹사이트
The Encyclopaedia of Islam - Hamilton Alexander Rosskeen Gibb, Bernard Lewis, Johannes Hendrik Kramers, Charles Pellat, Joseph Schacht
https://books.google[...]
2009-12-08
[81]
서적
Of Heretics and Martyrs in Meiji Japan
[82]
서적
Zen War Stories
[83]
웹사이트
Burma: A Land Where Buddhist Monks Are Disrobed and Detained in Dungeons
http://www.aappb.org[...]
Assistance Association for Political Prisoners (Burma)
2004-11-01
[84]
뉴스
Burma's Buddhist monks take to the streets
http://www.csmonitor[...]
2007-09-20
[85]
서적
Region and nation: the Kwangsi clique in Chinese politics, 1925-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86]
서적
Toward a modern Chinese Buddhism: Taixu's refor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0-06-28
[87]
서적
Region and nation: the Kwangsi clique in Chinese politics, 1925-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88]
서적
Dilemmas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06-28
[89]
서적
China's campaign to "Open up the West": national, provincial, and lo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90]
문서
Asian Art, chap. "History of attacks on the Buddhas"
[91]
웹사이트
booklet web E.indd
http://www.christian[...]
2013-10-09
[92]
서적
Eindtijd en Antichrist
[93]
웹사이트
Ancient Buddhas Will Not Be Rebuilt – UNESCO
http://ipsnews.net/n[...]
Ipsnews.net
2013-10-09
[94]
웹사이트
Photogrammetric reconstruction of the Great Buddha of Bamiyan, Afghanistan
http://www.idb.arch.[...]
Idb.arch.ethz.ch
2015-09-27
[95]
간행물
Mega Copper Deal in Afghanistan Fuels Rush to Save Ancient Treasures
http://ngm.nationalg[...]
2015-09-01
[96]
웹사이트
Early History Of Buddhism
http://factsanddetai[...]
Facts and Details
2015-09-27
[97]
서적
I Am Malala: The Girl Who Stood Up for Education and Was Shot by the Taliban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2013-10-08
[98]
뉴스
'I am Malala': But then, we all are Malalas, aren't we?
http://www.ft.lk/art[...]
2014-02-17
[99]
뉴스
'I am Malala': But Then, We All Are Malalas, Aren't We?
https://www.colombot[...]
2014-02-17
[100]
뉴스
Attack on giant Pakistan Buddha
http://news.bbc.co.u[...]
2007-09-12
[101]
뉴스
Another attack on the giant Buddha of Swat
http://www.asianews.[...]
2007-11-10
[102]
뉴스
Taliban and traffickers destroying Pakistan's Buddhist heritage
http://www.asianews.[...]
2012-10-22
[103]
뉴스
Taliban trying to destroy Buddhist art from the Gandhara period
http://www.asianews.[...]
2009-11-27
[104]
뉴스
Archbishop of Lahore: Sharia in the Swat Valley is contrary to Pakistan's founding principles
http://www.asianews.[...]
2009-04-21
[105]
뉴스
Pakistan police foil huge artefact smuggling attempt
https://www.bbc.com/[...]
2012-07-06
[106]
뉴스
Buddha attacked by Taliban gets facelift in Pakistan
http://dawn.com/2012[...]
Dawn
2012-06-25
[107]
뉴스
Iconic Buddha in Swat valley restored after nine years when Taliban defaced it
http://www.dawn.com/[...]
DAWN
2016-11-07
[108]
웹사이트
Chittagong Hill Tracts: Sabita Chakma's Murder Condemned By CHT Commission
http://unpo.org/arti[...]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2014-02-19
[109]
웹사이트
Chittagong Hill Tracts of Bangladesh – rapists act with impunity
http://www.survivali[...]
Survival International - The movement for tribal peoples
2014-04-03
[110]
웹사이트
Chittagong Hill Tracts: Town of Chakma Villagers Attacked and Houses Burned Down
http://unpo.org/arti[...]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2014-12-18
[111]
서적
Stateless in South Asia The Chakmas Between Bangladesh and India
Sage Publications
[112]
서적
Life Is Not Ours
The Chittagong Hill Tracts Commission
2000
[113]
서적
Unlawful Killings in Chittagong Hill Tracts
Amnesty International
1986
[114]
서적
Unlawful Killings in Chittagong Hill Tracts
Amnesty International
1986
[115]
서적
Unlawful Killings in Chittagong Hill Tracts
Amnesty International
1986
[116]
서적
Unlawful Killings in Chittagong Hill Tracts
Amnesty International
1986
[117]
서적
Unlawful Killings in Chittagong Hill Tracts
Amnesty International
1986
[118]
간행물
Jana Samhati
1988-12
[119]
간행물
Jana Samhati
1989-09
[120]
서적
Life Is Not Ours
The Chittagong Hill Tracts Commission
1994
[121]
서적
Life Is Not Ours
The Chittagong Hill Tracts Commission
1994-04
[122]
서적
Bangladesh Unlawful Killings and Torture in the Chittagong Hill Tracts
Amnesty International
1986-09
[123]
서적
Unlawful Killings in Chittagong Hill Tracts
Amnesty International
1986-09
[124]
서적
The Charge of Genocide
Organizing Committee Chittagong Hill Tracts Campaign
1986
[125]
간행물
Life is Not Ours
1991-05
[126]
웹사이트
Protesters burn Bangladesh Buddhist temple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2-09-30
[127]
뉴스
Religious attacks lead to 300 arrests in Bangladesh
https://www.abc.net.[...]
ABC News
2012-10-02
[128]
뉴스
Ladakh visited
Pioneer
1995-12-04
[129]
뉴스
Conversions: LBA blames govt
https://web.archive.[...]
2000-01-13
[130]
웹사이트
World Heritage Day: Five must-visit sites in India
https://web.archive.[...]
[131]
웹사이트
5 injured in multiple blasts at Mahabodhi temple in Bodh Gaya
http://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13-07-07
[132]
뉴스
13 bombs were planted in Mahabodhi temple complex: Shinde
https://web.archive.[...]
The Times of India
2013-07-08
[133]
뉴스
Ranchi document helps NIA crack Bodh Gaya blast case
http://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13-11-06
[134]
뉴스
Patna terror cell behind Bodh Gaya strike too: NIA
http://www.thehindu.[...]
The Hindu
2013-11-07
[135]
뉴스
Islamism Set Stage for Maldives Coup
https://www.wsj.com/[...]
2012-02-11
[136]
뉴스
Vandalism at Maldives Museum Stirs Fears of Extremism
https://www.nytimes.[...]
2012-02-13
[137]
뉴스
Maldives mob smashes Buddhist statues in national museum
http://english.alara[...]
Al Arabiya
2012-02-08
[138]
뉴스
Self-denial of heritage in Maldives sends message to Establishments
http://www.tamilnet.[...]
2012-02-16
[139]
뉴스
Mob storms National Museum, destroys Buddhist statues: "A significant part of our heritage is lost now"
https://web.archive.[...]
2012-02-09
[140]
AV media
Attack on the Maldives National Museum (After the Island President)
https://www.youtube.[...]
M Stewart
2013-04-01
[141]
뉴스
Trouble in paradise: Maldives and Islamic extremism
http://www.alarabiya[...]
Al Arabiya
2012-02-12
[142]
뉴스
35 Invaluable Hindu and Buddhist Statues Destroyed in Maldives by Extremist Islamic Group
http://www.chakranew[...]
2012-02-23
[143]
뉴스
Vandalised Maldives museum to seek India's help
http://zeenews.india[...]
2012-02-15
[144]
뉴스
Maldives museum reopens minus smashed Hindu images
http://archive.bosto[...]
2012-02-14
[145]
뉴스
Islamists destroy some 30 Buddhist statues
http://www.asianews.[...]
2012-02-15
[146]
웹사이트
Azaad Dreamer Articles
http://azaad-dreamer[...]
2012-08-10
[147]
웹사이트
Rape-Murder of a Buddhist girl by Muslims led to riots: Myanmar Ambassador
http://twocircles.ne[...]
2012-07-22
[148]
웹사이트
The Dark Side of Transition: Violence Against Muslims in Myanmar
http://www.crisisgro[...]
The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13-10-01
[149]
뉴스
Special Report: Buddhist monks incite Muslim killings in Myanmar
https://www.reuters.[...]
2013-04-08
[150]
뉴스
Insurgents Behead Buddhist in Thailand
http://www.foxnews.c[...]
Fox News Channel
2007-01-14
[151]
뉴스
In Muslim Thailand, teachers face rising threat
http://www.iht.com/a[...]
2005-07-04
[152]
뉴스
Thailand News – Woman teacher shot dead in Pattani, body burned
http://www.thailandn[...]
2014-03-14
[153]
웹사이트
Southeast Asia news – South Thailand: 'They're getting fiercer'
http://www.atimes.co[...]
2006-12-07
[154]
뉴스
Three Buddhist women dead in south Thailand attack
https://www.reuters.[...]
2007-03-19
[155]
뉴스
Four soldiers killed in roadside attacks in Thailand's insurgency-plagued south
https://www.theguard[...]
2015-06-04
[156]
뉴스
Motorcycle blast kills two in southern Thailand bomb attacks
https://www.reuters.[...]
2015-09-17
[157]
뉴스
Three Buddhist Temples Attacked With Explosives (Thailand)
http://www.pluralism[...]
Pluralism Project
2004-05-16
[158]
간행물
Old Sterile Death Leaves its Mark Over Sinkiang
https://books.google[...]
1943-12-13
[159]
서적
Conservation of ancient sites on the Silk Road: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onservation of Grotto Sites, Mogao Grottoes, Dunhuang, People's Republic of China
Getty Publications
[160]
뉴스
Mystery grips Urumqi as Apsara statue demolished
http://timesofindia.[...]
2012-08-22
[161]
뉴스
'Flying Apsara' statue razed in China
http://epaper.timeso[...]
2012-08-22
[162]
뉴스
Dispatches From Xinjiang: The Rise Of Buddhism In The Far West
http://beijingcream.[...]
2014-08-04
[163]
뉴스
Nine bombs exploded in the 1,100-year-old Borobudur temple in...
https://www.upi.com/[...]
[164]
뉴스
3 Orang terluka akibat bom di Vihara Ekayana
http://news.detik.co[...]
2014-08-04
[165]
웹사이트
Buddhist monk threatened by Islamists (Video)
https://www.asianews[...]
2022-08-04
[166]
웹사이트
Vihara, pagodas burned down, plundered in N. Sumatra
https://www.thejakar[...]
The Jakarta Post
2022-08-04
[167]
웹사이트
Bomb placed near Buddhist temple door in Aceh
https://www.thejakar[...]
The Jakarta Post
2022-08-04
[168]
뉴스
Missionaries Arrested in Northeast India
https://www.worthyne[...]
2003-08-15
[169]
뉴스
National Liberation Front of Tripura (NLFT) - Christian Aggression
http://christianaggr[...]
2016-04-29
[170]
웹사이트
Incidents involving National Liberation Front of Tripura, India, South Asia Terrorism Porta
http://www.satp.org/[...]
[171]
서적
The Politics Behind Anti Christian Violence: A Compilation of Investigation Committee Reports Into Acts of Violence Against the Christian Minorities
https://books.google[...]
Media House
2006
[172]
뉴스
Christian Conversions and Terrorism in North-East India - Christian Aggression
http://christianaggr[...]
2016-04-27
[173]
웹사이트
Church backing Tripura rebels
http://news.bbc.co.u[...]
[174]
논문
The Many Meanings of Iconoclasm: Warrior and Christian Temple-Shrine Destruction in Late Sixteenth Century Japan
https://brill.com/vi[...]
2020-11-18
[175]
웹사이트
A Little Faith: Christianity and the Japanese
https://www.nippon.c[...]
2019-11-22
[176]
서적
Christ in Japanese Culture: Theological Themes in Shusaku Endo's Literary Works
https://books.google[...]
BRILL
[177]
간행물
Questions for Buddhist and Christian Cooperation in Korea
[178]
뉴스
President Embarrassed Over Angry Buddhists
https://www.koreatim[...]
2015-09-27
[179]
뉴스
Buddhists set to protest against Lee's religious bias
http://english.hani.[...]
HANKYOREH
2008-08-22
[180]
웹사이트
Korea News and Korean Business and Economy, Pyongyang News
http://www.atimes.co[...]
2008-02-01
[181]
웹사이트
News & Issues - Korean President reaches out to Buddhist leaders
http://www.buddhistc[...]
2015-08-08
[182]
웹사이트
대구·경북 범불교도대회 '정부규탄' 대신 '호법결의'로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news.chosun.c[...]
News.chosun.com
2010-06-15
[183]
웹사이트
Daum 미디어다음 – 뉴스
http://media.daum.ne[...]
Media.daum.net
2010-06-15
[184]
웹사이트
BuddhaNet.Net: Sacred Island - A Buddhist Pilgrim's Guide to Sri Lanka: Kelaniya
http://www.buddhanet[...]
2015-08-08
[185]
웹사이트
Buddhism in Sri Lanka: A Short History
https://www.accessto[...]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2023-01-02
[186]
문서
Hansard
[187]
웹사이트
Buddhists must safeguard religion, Sangha – Thera
http://www.dailynews[...]
Daily News
[188]
서적
American Sutra
Harvard University Press
[189]
서적
American Sutra
Harvard University Press
[190]
뉴스
6 Buddhist Temples Vandalized in OC in November, 2 Women Caught on Camera
https://nextshark.co[...]
NextShark
2020-11-30
[191]
뉴스
LAPD investigates vandalism incident at Buddhist temple in Little Tokyo
https://abc7.com/103[...]
2021-02-26
[192]
서적
Errors Escalated Too
https://archive.nyti[...]
2023-01-02
[193]
잡지
The Religious Crisis
http://www.time.com/[...]
1963-06-14
[194]
웹사이트
Ngo Dinh Diem: South Vietnamese president
http://www.cnn.com/i[...]
CNN
2015-09-28
[195]
웹사이트
ගණින්නාන්සේලා කියවිය යුතු සංඝරජ වැලවිට සරණංකර චරිතය
http://www.divaina.c[...]
2010-01-20
[196]
뉴스
Mayadunne and Rajasinha I
http://www.island.lk[...]
The Island
2011-05-20
[197]
서적
Emergency '58: The Story of the Ceylon Race Riots
https://tamilnation.[...]
Andre-Deutsch
2023-09-07
[198]
보고서
Report of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f Inquiry Into the Incidents Which Took Place Between 13th August and 15th September
https://lankafreelib[...]
Government Printing, Sri Lanka
1980-07
[199]
서적
Buddhism Betrayed?: Religion, Politics, and Violence in Sri Lank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3-09-08
[200]
보고서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Report Submitted to th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U.S. Senate and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U.S. House of Representatives by the Department of State in Accordance with Sections 116(d) and 502B(b) of the Foreign Assistance Act of 1961, as Amended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
보고서
Annual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04, November 2004, 108-2 Joint Committee Print, S. Prt. 108-59, *
https://books.google[...]
[202]
보고서
The War And Its Consequences in the Amparai District
https://www.uthr.org[...]
University Teachers for Human Rights (Jaffna)
1990-10-16
[203]
학술지
Formation of Ethnocentrism and the Perpetuation of Hatred: The Role of Socialization and Media in the Sri Lankan Conflict
https://dl.nsf.gov.l[...]
2023-09-30
[204]
뉴스
Buddhist Monks and Rana Rulers: A History of Persecution
http://ccbs.ntu.edu.[...]
2011-03-17
[205]
웹사이트
Theravada Buddhism in Modern Nepal
http://www.lumbini.o[...]
Lumbini Nepalese Buddha Dharma Society (UK)
2013-05-15
[206]
뉴스
The monks in yellow robes
http://www.ekantipur[...]
2012-04-07
[207]
서적
Syamukapu: The Lhasa Newars of Kalimpong and Kathmandu
Vajra Publications
[208]
서적
Rebuilding Buddhism: The Theravada Movement in Twentieth-Century Nepal
Harvard University Press
[209]
웹사이트
Theravada Buddhism in Modern Nepal
http://www.lumbini.o[...]
Lumbini Nepalese Buddha Dharma Society (UK)
2013-05-09
[210]
서적
Millennialism, Persecution, and Violence: Historical Cases
Syracuse University Press
[211]
웹사이트
Chronology, 1994-2004 - Cambodian Genocide Program - Yale University
http://gsp.yale.edu/[...]
2015-08-08
[212]
웹사이트
Nie: Remembering the deaths of 1.7-million Cambodians
http://www.sptimes.c[...]
2015-09-27
[213]
뉴스
Phnom Penh Journal; Lord Buddha Returns, With Artists His Soldiers
https://www.nytimes.[...]
2023-01-02
[214]
서적
Millennialism, Persecution, and Violence: Historical Cases
Syracuse University Press
[215]
서적
Population Aging in China
https://books.google[...]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Pacific
2016-07-01
[216]
뉴스
Reorganizing the United Front Work Department: New Structures for a New Era of Diaspora and Religious Affairs Work
https://jamestown.or[...]
2019-11-18
[217]
웹사이트
Human rights abuses up as Olympics approach
https://www.asianews[...]
2023-01-02
[218]
간행물
Area Tibetans mourn their nation's lost independence
http://www.highbeam.[...]
2023-01-02
[219]
뉴스
Tibetan monks: A controlled life
http://news.bbc.co.u[...]
2023-01-02
[220]
서적
Hidden Tibet: History of Independence and Occupation
https://books.google[...]
Library of Tibetan Works and Archives
[221]
웹사이트
China announces "civilizing" atheism drive in Tibet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6-07-01
[222]
뉴스
Mongolia's monks make a comeback
http://tvnz.co.nz/vi[...]
2011-11-02
[223]
웹사이트
Mongolia: The Bhudda and the Khan
http://www.orientmag[...]
2015-09-28
[22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theism
OUP Oxford
2013-11-21
[225]
서적
Religion and Violence: An Encyclopedia of Faith and Conflict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Routledge
2015-03-04
[226]
간행물
Buddhism in the Soviet Union: Annihilation or survival?
[227]
웹사이트
Asia Times: Buddhist revival tangles with politics
http://www.atimes.co[...]
Atimes.com
2015-09-27
[228]
서적
Of Religion and Empire: Missions, Conversion, and Tolerance in Tsarist Russi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229]
웹사이트
Vietnam: Religious Freedom Denied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5-08-08
[230]
웹사이트
Vietnam — Thich Nhat Hanh responds to Bat Nha crackdown with Zen koan - Buddhachannel
http://www.buddhacha[...]
2017-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