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거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거리는 영어 단어로, 산스크리트어 '샤르카라'에서 유래된 설탕의 일종이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당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사탕수수나 야자 수액을 끓여서 제조하며, 흑설탕과 유사하게 정제를 억제하여 사탕수수의 맛과 단맛을 유지한다. 남아시아,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음식의 감미료로 사용되며, 토피, 케이크, 알코올 음료, 천연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리랑카의 후식 - 다히
다히는 남아시아에서 유래한 발효 유제품으로, 우유를 발효시켜 만들며 요구르트와 유사한 질감을 가지고 인도, 방글라데시, 네팔, 파키스탄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단맛을 첨가하거나 과일, 향신료를 넣은 다양한 종류와 물소젖으로 만든 다히가 존재하고 여러 요리에 활용된다. - 스리랑카의 후식 - 쿨피
쿨피는 16세기 무굴 제국 시대 델리에서 유래한 인도의 전통 아이스크림으로, 농축된 우유에 향료를 넣어 얼린 후 '덮인 컵'이라는 페르시아어 이름처럼 다양한 맛으로 인도 아대륙에서 판매된다. - 동남아시아 요리 - 비빔국수
비빔국수는 국수를 삶아 양념에 비벼 먹는 요리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막국수, 비빔냉면, 잡채, 짜장면, 쫄면 등으로 발전했다. - 동남아시아 요리 - 잭프루트
잭프루트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뽕나무과 열매로, 세계에서 가장 큰 열매이며, 과육과 씨앗은 식용으로, 덜 익은 열매는 채소로, 목재는 가구 제작 등에 사용되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중요한 식량 자원이다. - 인도의 후식 - 페라
페라는 우유와 밀가루로 만든 인도 과자이며,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되었고,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힌두교 종교 의식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 인도의 후식 - 라스굴라
라스굴라는 인도 아대륙에서 유래한 치즈 시럽 디저트로, 오디샤와 서벵골이 기원을 주장하며 다양한 종류가 남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랑받고 있다.
재거리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주요 재료 | 끓여서 농축된 사탕수수 주스 |
유사한 음식 | 머스코바도 파넬라 팜 슈가 |
개요 | |
종류 | 미정제 사탕수수 설탕 |
2. 이름
영어 "재거리(jaggery영어)"는 포르투갈어 "자그라(jagrapt)"에서 유래했으며, 어원은 "설탕"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샤르카라(शर्कराsa)"이다.[5]
재거리의 어원은 다음과 같다.
어원 | 언어 | 표기 |
---|---|---|
산스크리트어 guḍa (गुड|공sa) | 벵골어 | गुड़bn |
보지푸리어 | गुड़bh | |
펀자브어 | ਗੁੜpa | |
하리야나어 | गुड़hi | |
힌디어 | गुड़hi | |
아삼어, 나가어 | गुৰas | |
신드어 | ڳُڙsd | |
우르두어 | گڑur | |
오리야어 | ଗୁଡ଼or | |
콘칸어 | गोडkok (로마자 표기 godd) | |
마라티어 | गूळmr | |
rowspan="2" | | 구자라트어 | ગોળgu |
라자스탄어 | गौळraj | |
산스크리트어 guḍa | 파슈토어 | ګوړهpa (https://en.wiktionary.org/wiki/%DA%AB%D9%88%DA%93%D9%87 gwëṛa) |
원시 드라비다어 *vell-am | 타밀어, 말라얄람어 | வெல்லம்ta, വെല്ലംml (타밀어의 더 긴 형태는 panai vellam (பனை வெல்லம்ta)) |
텔루구어 | బెల్లంte | |
칸나다어 | ಬೆಲ್ಲkn | |
툴루어 | bella | |
산스크리트어 śarkarā (शर्करा|자갈, 모래, 설탕 절임sa) | 말라얄람어 | ശർക്കരml 또는 ചക്കരml |
타밀어 | சக்கரைta | |
네팔어 | सक्खरne | |
싱할라어, 디베히어 | හකුරුsi, ހަކުރު디베히어 | |
산스크리트어 miṣṭa (मिष्ट|달콤함, 맛있는sa) | 보지푸리어 | mitha |
아삼어 | मिঠৈas | |
파이테어 | kawltu tuikang | |
미조어 | kurtai | |
네팔어 | bheli | |
말라얄람어 | 야자수 즙으로 만든 재거리: karuppaṭṭi, karippaṭṭi, 또는 karipeṭṭi (കരിപെട്ടിml) | |
야자수 즙으로 만든 사탕: panam kalkaṇḍam (പനം കല്കണ്ടംml) | ||
타밀어 | karupaṭṭi (கருப்பட்டிta) 또는 panam kalkaṇḍu (பனம் கற்கண்டுta) |
당밀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자당 50%, 전화당(포도당과 과당) 20%, 수분 20%, 그리고 회분, 단백질, 버개스 섬유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1]
재거리는 네팔,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인도, 파키스탄 외에도 인접한 지역의 아프가니스탄, 이란에서 흔히 쓰인다. 사탕수수와 야자나무의 산물로 만들어지며,[6] 200°C로 가열된 응고된 농축 설탕 시럽 덩어리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 제공된다. 전통적으로 시럽은 크고 얕으며 둥근 바닥의 용기에 생 사탕수수 즙이나 야자 수액을 끓여서 만든다.
3. 성분
백설탕, 과립 설탕 등의 정제당과 비교하여 정제를 억제해 사탕수수의 맛과 독특한 단맛을 남긴다.[1] 원재료인 아라자당과 당밀 등의 배합을 조정하여 성분과 색조 등을 어느 정도 균일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규격화된 가공식품 등에도 널리 사용되며, 가라토나 흑빵 등의 제과 제빵 등에 예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1] 흑설탕과는 달리, 산지나 원재료의 종류 등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낼 수 있다.[1]
4. 종류와 쓰임새
설탕은 제법에 따라 함밀당과 분밀당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함밀당은 당밀 성분을 분리하지 않고 결정 설탕과 함께 굳힌 것이다. 흑설탕과 적당이 함밀당에 포함된다.
백설탕이나 과립 설탕 등의 정제당과 비교하여 정제를 억제하여 사탕수수의 맛과 독특한 단맛을 남기고 있다. 원재료인 아라자당과 당밀 등의 배합을 조정하여 성분과 색조 등을 어느 정도 균일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규격화된 가공식품 등에도 널리 사용되며, 가라토나 흑빵 등의 제과 제빵 등에 예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흑설탕과는 달리, 산지나 원재료의 종류 등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낼 수 있다.
4. 1. 남아시아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 스리랑카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 재거리는 여러 요리에 사용되는 중요한 재료이다.
국가 | 명칭 및 설명 |
---|---|
몰타 | 공작야자 수액으로 만든 재거리를 하쿠루(ހަކުރު디베히어)라고 부른다. |
방글라데시 | 대추야자나 다라수, 코코넛 등 야자나무 수액으로 만든 재거리를 구르(গুড়bn)라고 부른다. |
스리랑카 | 공작야자 수액으로 만든 재거리를 하쿠루(හකුරුsi) 또는 벨람(வெல்லம்ta)이라 부른다.[8] 스리랑카에서는 주로 키툴 야자수 시럽이나 코코넛 시럽으로 자구리를 만든다. 싱할라어로는 각각 키툴 하쿠루 (කිතුල් හකුරු)와 폴 하쿠루 (පොල් හකුරු)라고 한다. 탈 야자 시럽으로 만든 자구리는 북부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며, 탈 자구리 또는 탈 하쿠루 (තල් හකුරු)라고 한다. 사탕수수 시럽으로 만든 자구리는 야자 시럽 기반 자구리보다 품질이 낮다고 여겨진다. |
인도 | 사탕수수 즙이나 대추야자 수액으로 만든 재거리를 여러 이름으로 부른다. |
파키스탄 | 재거리를 구르(گڑur, ਗੁੜpa) 또는 궈라(گوړهps)로 부른다. |
남아시아 지역에서 자구리는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인도:'''
- 구자라트 요리에서는 매콤하고, 짭짤하고, 시큼한 맛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렌틸 수프(''달'')에 자구리를 첨가하여 단맛을 더한다.
- 마하라슈트라와 카르나타카의 시골에서는 더운 햇볕 아래서 일하고 집에 돌아오는 사람에게 물과 자구리 한 조각을 준다.
- 마카르 산크란티 기간 동안 ''틸굴''이라는 디저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구자라트에서는 ''탈 나 라두'' 또는 ''탈 상클리''라고 알려진 유사한 요리가 만들어진다.
- 약혼식에서는 작은 입자가 고수 씨앗 (ધાણા)과 섞인다. 많은 구자라트 공동체에서 약혼은 문자 그대로 "자구리와 고수 씨앗"을 의미하는 환유 ''골-다나''(ગોળ-ધાણા)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 남인도에서는 매운 음식의 매운맛을 균형 맞추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안드라프라데시와 타밀나두에서는 쌀, 우유, 자구리로 만든 ''차카라 퐁갈'' 및 ''밀크 퐁갈''과 같은 과자에 사용된다.
- 상크란티 기간에는 안드라프라데시의 정통 요리인 ''아리셀루''를 준비한다.
- 타밀나두에서는 푸자 및 디왈리, 타밀 신년 및 잔마슈타미와 같은 축제 기간에 신에게 바치는 공물인 ''프라사담''으로 ''엘루른다이''(참깨 볼), 아디라삼 및 ''포리 빌랑구 웅다이''(뻥튀기 쌀 볼)를 준비한다.
- 라마 나바미 축제 동안 물, 자구리, 후추로 만든 달콤한 액체인 ''파나캄''이 라마 경에게 가장 좋아하는 공물로 준비된다.
- 케랄라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요리에 널리 사용된다. 달콤한 요리인 많은 종류의 ''파야삼''의 필수 재료이다. 케랄라 주에는 센트럴 트라방코르 자구리와 마라유르 자구리라는 이름으로 GI 태그가 지정된 자구리가 2개 있다.
- 타밀나두에서는 자구리가 감미료로만 사용된다. ''차카라이 퐁갈''이라는 요리에 사용되며, 수확철이 시작될 때 열리는 퐁갈(타이 퐁갈) 축제 기간에 준비된다.
- 오디아 요리에는 케이크 또는 ''피타''에 자구리가 들어간다. 아리사 피타와 같은 피타는 오디아어로 구다라고 불리는 자구리로 만들어진다.
- 전통적인 카르나타카 과자는 다양한 종류의 자구리를 사용한다. 약간의 자구리는 일반적으로 ''삼바''(별칭 ''후리 사루'')와 ''라삼''(별칭 ''사루'')에 첨가된다. 카르나타카는 설탕과 야자 기반 자구리를 생산한다.
- '''방글라데시, 아삼 주:'''
- 벵골 요리에서는 달콤한 요리를 만드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그 중 일부는 자구리를 우유와 코코넛과 혼합한다. ''라두''/''라루'' 또는 ''파티샤프타 피타''와 같은 인기 있는 달콤한 요리는 코코넛 채를 섞는다.
- ''틸-피타''(쌀가루, 참깨, 자구리로 만든), 기타 쌀 기반 ''피타'' 및 ''파야스''와 같은 아삼의 인기 있는 달콤한 요리는 자구리로 만들어진다. 아삼의 일부 마을에서는 사람들이 ''구르'' (자구리) 한 조각과 함께 짠맛의 붉은 차를 마시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체레카-차''(핥는 차)라고 불린다.
4. 2. 동남아시아
말레이시아에서는 재거리를 '''굴라'''(gulams)라 부른다. 믈라카 지역의 코코넛 재거리인 굴라 믈라카(gula Melakams)와 사라왁 지역의 니파야자 재거리인 굴라 아퐁(gula apongms) 등이 있다.[12]미얀마에서 재거리는 '''탄예'''(ထန်းလျက်my)라 불리며, 주로 다라수 수액으로 만든다. 미얀마 중부와 바간 주변에서는 재거리 제조를 위해서만 토디 시럽을 채취한다. 반투명한 흰색 시럽을 끓여서 금빛 갈색으로 만든 다음 한 입 크기로 만든다. 이는 달콤한 간식으로 여겨지며, 보통 오후에 녹차 한 냄비와 함께 어린이와 어른 모두가 즐겨 먹는다. 현지에서는 미얀마 초콜릿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토디 야자 재거리는 지역에 따라 코코넛 가루, 대추 퓌레 또는 참깨와 섞이기도 한다. 이러한 종류의 재거리는 미얀마 요리에 사용되며, 주로 음식에 색을 더하고 맛을 풍부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12]

인도네시아에서는 재거리를 '''굴라'''(gulaid)라 부른다. 사탕야자 수액으로 만든 굴라 아른(gula arenid), 코코넛 수액으로 만든 굴라 클라파(gula kelapaid) 등이 있다.[12]
태국에서 재거리는 '''남 딴'''(น้ำตาลth)이라 부르며, 다라수 수액으로 만든 남 딴 따놋(น้ำตาลโตนดth), 코코넛 수액으로 만든 남 딴 마프라오(น้ำตาลมะพร้าวth), 사탕수수 즙으로 만든 남 딴 오이(น้ำตาลอ้อยth) 등이 있다.[12]

다음은 동남아시아 각 지역에서 재거리를 부르는 명칭이다.
언어 | 명칭 |
---|---|
미얀마어 | 탄예 (ထန်းလျက်my), 캰 타 카 (ကြံသကာmy) |
말레이어 | 굴라 믈라카 (gula Melakams), 굴라 메라 (Gula merahms), 굴라 니산/니세 (Gula nisan/nisems), 굴라 아퐁 (Gula apongms) |
인도네시아어 | 굴라 자와 (Gula jawaid), 굴라 메라 (Gula merahid), 굴라 아렌 (Gula arenid) |
순다어 | 굴라 카웅 (Gula kawungsu) |
일로카노어 | 코야-코야 (Koya-koyailo), 타가풀롯 (Tagapulotilo) |
팜팡가어 | 파콤부크 (Pakombukpam) |
필리핀 스페인어 | 파노차 (Panochaes) |
타갈로그어 | 바그캇 바오 (Bagkat baotl), 파카스카스 (Pakaskastl), 파눗사 (Panutsatl), 상카카 (Sangkakatl) |
와라이어 | 칼라메이 (Kalamaywar) |
태국어 | 남 딴 따놋 (น้ำตาลโตนดth), 남 딴 마프라오 (น้ำตาลมะพร้าวth), 남 딴 오이 (น้ำตาลอ้อยth), 남 딴 사이 댕 (น้ำตาลทรายแดงth), 남 딴 사이 (น้ำตาลทรายth), 남 딴 사이 카오 (น้ำตาลทรายขาวth) |
베트남어 | 드엉 톳 놋 (Đường thốt nốtvi) |
4. 3. 그 외 지역
5. 제조 과정
자거리는 사탕수수와 야자나무의 산물로 만들어진다.[6] 대추 야자 수액으로 만든 설탕은 더 귀하게 여겨지며, 생산 지역 외에서는 덜 흔하게 구할 수 있다. 야자 나무는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네팔, 미얀마, 스리랑카에서 자거리 생산을 위해 사용된다. 스리랑카에서는 ''키툴''(Caryota urens) 나무에서 추출한 시럽이 자거리 생산에 널리 사용된다.[7]
모든 종류의 설탕은 200°C로 가열된 응고된 농축 설탕 시럽 덩어리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 제공된다. 전통적으로 시럽은 크고 얕으며 둥근 바닥의 용기에 생 사탕수수 즙이나 야자 수액을 끓여서 만든다.
역사적으로 사탕수수 재배자들은 소가 동력을 제공하는 압착기를 사용했지만, 현대의 모든 압착기는 동력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압착기는 사탕수수 식물 근처의 밭에 설치된다. 잘리고 깨끗하게 정리된 사탕수수는 압착되고 추출된 사탕수수 즙은 큰 용기에 모인다. 즙의 일부는 용광로에서 가열하기 위해 작은 용기로 옮겨진다.
용기는 약 1시간 동안 가열된다. 압착된 사탕수수에서 나온 건조된 목재 펄프는 전통적으로 용광로의 연료로 사용된다. 즙을 끓이는 동안, 석회를 첨가하여 모든 목재 입자가 거품 속에서 즙의 상단으로 올라오게 하여 거품을 걷어낸다. 마지막으로 즙을 걸쭉하게 만든다. 그 결과로 나오는 걸쭉한 액체는 원래 부피의 약 3분의 1이다.
이 뜨거운 액체는 황금색을 띤다. 계속 저어주면서 주걱으로 들어올려 실을 형성하는지 또는 떨어질 때 방울이 지는지 관찰한다. 만약 많은 실을 형성한다면, 완전히 걸쭉해진 것이다. 이것을 얕고 바닥이 평평한 팬에 부어 식히고 굳힌다. 팬은 증발과 냉각을 빠르게 하기 위해 표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뜨거운 액체의 얇은 막이 바닥에 형성되도록 매우 크다. 냉각 후, 자거리는 부드러운 고체가 되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된다.
자거리의 품질은 색상으로 판단한다. 짙은 갈색은 제조 과정에서 정제되지 않았거나, 사탕수수 즙이 모든 영양소를 그대로 유지한 채 끓여졌음을 의미한다. 반면, 황금색 자거리는 즙을 정제하여 영양소를 제거하고 색상을 개선한 것으로, 정제된 설탕에 가깝다. 독성이 있을 수 있는 착색 첨가물이 황금빛 색상을 모방하기 위해 자거리에 첨가되기도 한다.
천연 짙은 갈색 자거리는 통 사탕수수 즙을 큰 무쇠 팬에서 거의 200°C로 끓여서 얻는다. 식품 등급의 겨자유 또는 피마자유 (발연점이 높음)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팬에 무시할 수 있는 양 (약 100kg당 2티스푼)으로 사용되어 끓이는 동안 매우 뜨거운 즙 거품이 팬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한다.
많은 제조업체들이 합성유를 사용하며, 미량이기 때문에 건강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합성유는 미량이라도 독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자거리의 완전성(정제 없이 얻은 것)을 확인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오일의 종류도 확인해야 한다.
원료당(황설탕)이나 당밀 등을 배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끓여서 농축시킨 후, 불을 지펴 나무 통 안에서 반죽하면서 냉각시켜 결정화시켜 고체 또는 분말 형태로 만든다.[17]
6. 역사
일본에 설탕이 전래된 것은 덴표쇼호 6년(754년)으로, 당나라에서 감진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가져온 물품 중에 "석밀, 설탕, 꿀, 감자"가 있었다. 당대 이전의 설탕은 인도에서 전래된 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홍당"이었지만, 석밀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종류이다. 석밀과 같은 종류의 "홍당"은 후에 일본에 전해져 적당으로 변화해 갔다.[18]
신농본초경에 따르면 석밀은 꿀을 말하며, "심복의 사기를 다스리고, 진통 및 해독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18]
7. 기타 용도
자구리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와 이란에서 음식 재료, 천연 염색, 후카 등에 사용된다.
- 음식 재료: 남아시아와 이란 요리에서 단맛과 짠맛을 내는 재료로 사용된다. 특히 인도에서는 여러 요리와 과자에 사용되며,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와 이름으로 불린다. 미얀마에서는 'htanyet'(ထန်းလျက်my)이라 불리며 간식이나 요리 재료로 사용된다.
- 알코올 음료 제조: 야자주와 같은 알코올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탄두르 오븐 양념: 탄두르 오븐 내부를 양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1]
- 천연 염색: 섬유의 천연 염색에 사용된다.
- 후카: 파키스탄과 인도의 시골 지역에서 후카에 사용된다.
- 제과 제빵: 가라토, 흑빵 등의 제과 제빵 등에 예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 흑봉
- 카린토
- 게탄
- 흑밀
- 술
참조
[1]
웹사이트
New improvements in jaggery manufacturing process and new product type of jaggery
http://www.panelamon[...]
2014-08-30
[2]
웹사이트
Learn How Piloncillo Is Used in Authentic Mexican Recipes
https://www.thespruc[...]
2024-08-07
[3]
웹사이트
Media | Practical Action
http://itdg.org/docs[...]
Itdg.org
2011-09-28
[4]
웹사이트
Sukari nguru
https://www.kenyatal[...]
2021-09-03
[5]
문서
wikt:jaggery
[6]
웹사이트
Jaggery: South Asia's sweet, sentimental cure-all
https://www.bbc.com/[...]
2021-03-31
[7]
웹사이트
Sri Lanka's 'Kithul' Palm Syrup: An Ancient Sweetener In Need Of Saving
https://www.npr.org/[...]
2017-01-26
[8]
웹사이트
Stop Eating Jaggery for Weight Loss Now - Side-Effects, Benefits
https://rebootwithna[...]
2021-08-28
[9]
웹사이트
Kolhapur: Second Largest market of gur
https://www.irjet.ne[...]
IRJET
2018-05-14
[10]
웹사이트
Jaggery and Confectionary
http://apeda.gov.in/[...]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Government of India
2009-06-19
[11]
서적
Prashad Cooking with Indian Masters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Private, Limited
2015-09-13
[12]
서적
A Concise Cambodian-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웹사이트
Brown Sugar from Okinawa | Art of Eating
http://www.artofeati[...]
artofeating.com
2015-09-13
[14]
웹사이트
ما هو الجاجري( jaggery الجاكري) وما فوائد وأضرار هذا السكر الهندي للصحة {{!}} أعشاب الهيرب ALHERB
https://alherb.com/j[...]
2023-10-05
[15]
웹사이트
New improvements in jaggery manufacturing process and new product type of jaggery
http://www.panelamon[...]
2014-08-30
[16]
문서
『丸善食品総合辞典』丸善株式会社、1998年、8ページ。
[17]
문서
加工黒糖・黒糖・赤糖について
http://japan-kurozat[...]
日本黒砂糖協会
[18]
문서
神農本草經
[19]
뉴스
설탕과의 전쟁…아가베시럽·토디팜 재거리 입맛 당기네
http://news.heraldco[...]
2018-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