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은 충청북도에 지정된 문화재 중 기념물로 지정된 1호부터 100호까지의 목록을 수록하고 있다. 여기에는 선사시대 및 초기 국가 시대 유적, 삼국시대 유적, 고려시대 유적, 조선시대 유교 및 건축 관련 유적, 인물 관련 유적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독립운동 관련 유적과 지정 해제된 문화재 정보도 제공한다.

2. 선사시대 및 초기 국가

충청북도 지역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남아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이 지역의 기념물 중에는 선사시대와 초기 국가 시대의 유물과 유적이 포함되어 있다.

충청북도 선사시대 및 초기 국가 유적/유물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2단양 온달산성충북 단양군 영춘면 하리1975년 8월 20일
34영동 부용리 고분충북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731981년 5월 1일
36충주 누암리 고분군충북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 산1411983년 3월 30일
81충주 문주리 요지충북 충주시 이류면 문주리 50-11988년 9월 30일
82청주 정북동 토성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 351-3631990년 12월 14일
83진천 대모산성충북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 산1-41990년 12월 14일
93제천 청풍 망월산성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산6-2 외1994년 6월 24일
97영동 가곡리 고분충북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 141-71994년 12월 30일
100충주 미륵리 요지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2151994년 12월 30일

2. 1. 구석기 및 신석기 시대 유적

주어진 자료에는 구석기 및 신석기 시대 유적에 대한 정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채울 수 없다.

2. 2. 초기 국가 시대의 유적

이 섹션에서는 삼한 시대 및 초기 국가 시대의 유적과 유물을 살펴본다.

충청북도의 초기 국가 시대 유적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비고
2단양 온달산성충북 단양군 영춘면 하리1975년 8월 20일1979년 7월 26일 해제, 사적 264호로 승격
34영동 부용리 고분충북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731981년 5월 1일
36충주 누암리 고분군충북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 산1411983년 3월 30일2005년 3월 25일 해제, 사적 463호로 승격
81충주 문주리 요지충북 충주시 이류면 문주리 50-11988년 9월 30일
82청주 정북동 토성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 351-3631990년 12월 14일1999년 6월 11일 해제, 사적 415호로 승격
83진천 대모산성충북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 산1-41990년 12월 14일
93제천 청풍 망월산성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산6-2 외1994년 6월 24일
97영동 가곡리 고분충북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 141-71994년 12월 30일
100충주 미륵리 요지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2151994년 12월 30일

3.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은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충청북도 지역은 각축장이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여 삼국시대의 다양한 유적과 유물이 충청북도에 남아있다.

삼국시대 관련 유적
명칭소재지지정일 및 비고
진천 길상사충북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 5081975년 2월 21일 지정
단양 온달산성충북 단양군 영춘면 하리1975년 8월 20일 지정, 1979년 7월 26일 해제, 사적 264호로 승격
영춘남굴충북 단양군 영춘면 하리1975년 8월 20일 지정, 1979년 6월 18일 해제, 천연기념물 261호로 승격
충주 탄금대충북 충주시 칠금동 산11976년 12월 21일 지정, 2008년 7월 9일 해제, 명승 42호로 승격
청주 압각수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92-61976년 12월 21일 지정
충주 남산성충북 충주시 직동 산24-11980년 1월 9일 지정
영동 부용리 고분충북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731981년 5월 1일 지정
제천 덕주산성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산1-1외1983년 3월 30일 지정
충주 누암리 고분군충북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 산1411983년 3월 30일 지정, 2005년 3월 25일 해제, 사적 463호로 승격
청주 정북동 토성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 351-3631990년 12월 14일 지정, 1999년 6월 11일 해제, 사적 415호로 승격
진천 대모산성충북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 산1-4번지1990년 12월 14일 지정
제천 청풍 망월산성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산6-2 외1994년 6월 24일 지정
영동 가곡리 고분충북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 141-71994년 12월 30일 지정
충주 미륵리 요지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2151994년 12월 30일 지정


3. 1. 고구려 관련 유적

단양 온달산성1975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가 1979년 7월 26일 해제되었고, 1979년 사적 264호로 승격되었다.

3. 2. 백제 관련 유적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2호단양 온달산성충북 단양군 영춘면1975년 8월 20일 지정, 1979년 7월 26일 해제, 사적 264호로 승격
34호영동 부용리 고분충북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731981년 5월 1일 지정
36호충주 누암리 고분군충북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1983년 3월 30일 지정, 2005년 3월 25일 해제, 사적 463호로 승격
81호충주 문주리 요지충북 충주시 이류면 문주리 50-11988년 9월 30일 지정
82호청주 정북동 토성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1990년 12월 14일 지정, 1999년 6월 11일 해제, 사적 415호로 승격
83호진천 대모산성충북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1990년 12월 14일 지정
97호영동 가곡리 고분충북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1994년 12월 30일 지정
100호충주 미륵리 요지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1994년 12월 30일 지정


3. 3. 신라 관련 유적

다음은 신라의 북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유적과 유물에 대한 설명이다.

  • '''단양 온달산성'''(사적 제264호): 1975년 8월 20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2호로 지정되었다가 1979년 7월 26일 해제되고, 사적으로 승격되었다. 단양군 영춘면 하리에 있다.
  • '''충주 남산성''':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31호로 지정되었다. 충주시 직동 산24-1에 있다.
  • '''진천 대모산성''': 1990년 12월 14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83호로 지정되었다.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 산1-4번지에 있다.
  • '''제천 청풍 망월산성''': 1994년 6월 24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었다.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산6-2 외에 있다.
  • '''충주 미륵리 요지''': 1994년 12월 30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215에 있다.
    충주 미륵리 요지

4. 고려시대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융성하여 관련 유적과 유물이 많이 남아있다. 대표적인 예로 충주 문주리 요지가 있다.


  • '''충주 문주리 요지''' (忠州 文周里 窯址): 충청북도 충주시 이류면 문주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가마터로, 1988년 9월 30일에 충청북도 기념물 제81호로 지정되었다. 충주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충주 미륵리 요지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한다.

4. 1. 불교 유적 및 유물



충주 미륵리 요지는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있는 고려시대 가마터이다. 1994년 12월 30일에 충청북도 기념물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명칭충주 미륵리 요지 (忠州 彌勒里 窯址)
소재지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215
관리자 (단체)충주시
지정일1994년 12월 30일
참조문화재청


4. 2. 도요지


  • 충주 문주리 요지(충북 충주시 이류면 문주리 50-1 소재): 1988년 9월 30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주시에서 관리한다.
  • 충주 미륵리 요지(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215 소재): 1994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주시에서 관리한다.

5. 조선시대

충청북도 기념물 제1호부터 100호까지 중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유적과 유물은 다음과 같다.

진천 길상사


옥천 척화비


청주 압각수


충주 이수일 묘소


청주 척화비


충주향교


진천향교


제천 박약재


제천 청풍 망월산성


38호 청주향교, 39호 괴산 청안향교, 47호 충주향교, 50호 제천 청풍향교, 52호 청주 문의향교, 53호 보은향교, 54호 보은 회인향교, 55호 옥천향교, 56호 옥천 청산향교, 57호 영동향교, 58호 영동 황간향교, 59호 진천향교, 60호 괴산향교, 61호 괴산 연풍향교, 62호 음성향교, 63호 제천향교, 64호 단양 영춘향교, 65호 단양향교는 조선시대에 건립된 향교이나, 1988년 9월 30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면서 기념물에서 해제되었다.

5. 1. 유교 관련 유적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비고
1호진천 길상사충북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 5081975년 2월 21일
7호괴산 칠충사충북 괴산군 문광면 광덕리 산941976년 12월 21일
8호영동 난계사충북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5151976년 12월 30일
9호진천 정송강사충북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5621976년 12월 20일
12호괴산 충민사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571976년 12월 21일
13호옥천 후율당충북 옥천군 안내면 도이길 42(도이리 181)1976년 12월 21일
15호보은 후율사충북 보은군 수한면 차정리 30-41976년 12월 21일
16호청주 충렬사충북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 산1051977년 12월 6일
17호청주 표충사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6-111977년 12월 6일
18호제천 황강영당 및 수암사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산331977년 12월 7일
22호영동 삼괴당충북 영동군 상촌면 임산리 4461978년 10월 27일
25호괴산 만동묘정비충북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 393-21978년 10월 27일
27호충주 박팽년 사당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청리 941978년 10월 27일
28호보은 풍림정사충북 보은군 회인면 눌곡리 126-31976년 12월 21일
29호옥천 양신정충북 옥천군 동이면 옥천동이로 788-29(금암리 76)1978년 12월 11일
37호제천 자양영당충북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4751984년 12월 31일
38호청주향교충북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1977년 12월 6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39호로 승격
39호괴산 청안향교충북 괴산군 청안면 읍리1977년 12월 6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40호로 승격
40호청주 안정라씨 삼세충효문충북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비중리 110-11984년 12월 31일2014년 6월 27일 명칭변경
42호청주 신항서원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 1201984년 12월 31일
43호보은 상현서원충북 보은군 장안면 서원리 3041984년 12월 31일
44호옥천 김문기 유허비충북 옥천군 이원면 백지3길 44-29(백지리 841-1)1984년 12월 31일
45호옥천 송시열 유허비충북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 134-21979년 9월 29일
46호영동 송시열 유허비충북 영동군 황간면 원촌리 1111977년 12월 7일
47호충주향교충북 충주시 교현동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57호로 승격
48호보은 김수온 부조묘충북 보은군 보은읍 지산리 산3321984년 12월 31일
49호괴산 청안사마소충북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 2791984년 12월 31일
50호제천 청풍향교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64호로 승격
51호보은 고봉정사충북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 458-11984년 12월 31일
52호청주 문의향교충북 청주시 문의면 미천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94호로 승격
53호보은향교충북 보은군 보은읍 교사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95호로 승격
54호보은 회인향교충북 보은군 회북면 부수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96호로 승격
55호옥천향교충북 옥천군 옥천읍 교동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97호로 승격
56호옥천 청산향교충북 옥천군 청산면 교평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98호로 승격
57호영동향교충북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99호로 재지정
58호영동 황간향교충북 영동군 황간면 남성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100호로 승격
59호진천향교충북 진천군 진천읍 교사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101호로 승격
60호괴산향교충북 괴산군 괴산읍 서부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102호로 승격
61호괴산 연풍향교충북 괴산군 영풍면 행촌리1980년 1월 9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103호로 승격
62호음성향교충북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1981년 12월 6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104호로 승격
63호제천향교충북 제천시 교동1981년 12월 6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105호로 승격
64호단양 영춘향교충북 단양군 영춘면 상리1981년 12월 6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106호로 승격
65호단양향교충북 단양군 단성면 상방리1981년 12월 6일1988년 9월 30일 해제, 충북 유형문화재 107호로 승격
73호청주 체화당사 및 사적비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신송리 산69-21987년 3월 31일2014년 6월 27일 명칭변경
74호괴산 수월정충북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 2451987년 3월 31일
87호제천 박약재충북 제천시 두학동 2311993년 11월 5일
90호청주 신채호 사당 및 묘소충북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귀래길 2491993년 11월 5일2014년 6월 27일 명칭변경
92호제천 원호 유허비 및 관란정충북 제천시 송학면 장곡리 산14-21994년 6월 24일


5. 2. 건축물

조선시대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관아, 정자, 가옥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7호괴산 칠충사충북 괴산군 문광면 광덕리 산941976년 12월 21일
13호옥천 후율당충북 옥천군 안내면 도이길 42(도이리 181)1976년 12월 21일
18호제천 황강영당 및 수암사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산331977년 12월 7일
22호영동 삼괴당충북 영동군 상촌면 임산리 4461978년 10월 27일
24호괴산 고산정 및 제월대충북 괴산군 괴산읍 제월리 산16-21978년 10월 27일
27호충주 박팽년 사당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청리 941978년 10월 27일
28호보은 풍림정사충북 보은군 회인면 눌곡리 126-31976년 12월 21일
29호옥천 양신정충북 옥천군 동이면 옥천동이로 788-29(금암리 76)1978년 12월 11일
37호제천 자양영당충북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4751984년 12월 31일
40호청주 안정라씨 삼세충효문충북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비중리 110-11984년 12월 31일, 2014년 6월 27일 명칭변경
41호영동 김자수 고가충북 영동군 심천면 각계리 3881977년 12월 7일
42호청주 신항서원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 1201984년 12월 31일
43호보은 상현서원충북 보은군 장안면 서원리 3041984년 12월 31일
48호보은 김수온 부조묘충북 보은군 보은읍 지산리 산3321984년 12월 31일
49호괴산 청안사마소충북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 2791984년 12월 31일
51호보은 고봉정사충북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 458-11984년 12월 31일
74호괴산 수월정충북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 2451987년 3월 31일
85호청주 무농정충북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 210-41990년 12월 14일
87호제천 박약재충북 제천시 두학동 2311993년 11월 5일
92호제천 원호 유허비 및 관란정충북 제천시 송학면 장곡리 산14-21994년 6월 24일


5. 3. 인물 관련 유적

조선시대 주요 인물들의 생가, 묘소, 유허비 등이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번호명칭지정일내용 및 비고
1호진천 길상사1975년 2월 21일김유신 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6호옥천 척화비1976년 12월 21일흥선대원군쇄국정책을 보여주는 척화비이다.
7호괴산 칠충사1976년 12월 21일임진왜란 때 순절한 순창 조씨 7명의 충신을 모신 사당이다.
8호영동 난계사1976년 12월 30일조선 초기 3대 악성 중 한 명인 박연을 추모하는 사당이다.
9호진천 정송강사1976년 12월 20일조선 정철을 모신 사당이다.
12호괴산 충민사1976년 12월 21일임진왜란 때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 등 4명의 충신을 모셨다.
13호옥천 후율당1976년 12월 21일조선 중기 문신 조정이 후학 양성을 위해 1575년에 건립하였다.
14호옥천 조헌 묘소1976년 12월 21일조선 중기 의병장 조헌의 묘소이다.
15호보은 후율사1976년 12월 21일조선 중기 문신 조헌을 추모하기 위해 1696년에 세워진 서원이다.
16호청주 충렬사1977년 12월 6일임진왜란 때 순절한 송상현, 이흥발, 이정암을 모셨다.
17호청주 표충사1977년 12월 6일병자호란 때 순절한 유림, 유위, 유인발을 모셨다.
18호제천 황강영당 및 수암사1977년 12월 7일조선 후기 학자 권상하의 영정을 모신 황강영당과 그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수암사이다.
20호청주 곽예 묘소1977년 12월 6일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곽예의 묘소이다.
21호충주 이수일 묘소1978년 2월 22일조선 중기 무신 이수일의 묘소이다.
22호영동 삼괴당1978년 10월 27일조선 중기 문신 남절이 1580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23호청주 척화비1978년 10월 27일흥선대원군쇄국정책을 보여주는 척화비이다.
24호괴산 고산정 및 제월대1978년 10월 27일조선 중기 문신 임호신1637년에 건립한 정자와 그 주변의 경승지이다.
25호괴산 만동묘정비1978년 10월 27일만동묘의 내력을 기록한 비석이다.
27호충주 박팽년 사당1978년 10월 27일조선 초기 사육신 중 한 명인 박팽년을 모셨다.
28호보은 풍림정사1976년 12월 21일조선 중기 문신 김장생의 제자 최신이 1649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29호옥천 양신정1978년 12월 11일조선 중기 문신 전팽령이 1554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30호청주 손병희 생가1979년 9월 29일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인 손병희의 생가이다.
32호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1980년 1월 9일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권근과 그의 아들, 손자의 묘소 및 신도비이다.
33호괴산 정인지 묘소1980년 11월 13일조선 초기 문신이자 훈민정음 창제에 기여한 정인지의 묘소이다.
37호제천 자양영당1984년 12월 31일조선 말기 의병장 이소응과 그의 휘하에서 활동한 의병들의 위패를 모셨다.
40호청주 안정라씨 삼세충효문1984년 12월 31일조선시대 안정 나씨 가문의 충신, 효자, 열녀를 기리는 정려문이다.
41호영동 김자수 고가1977년 12월 7일조선 전기의 문신 김자수의 고택이다.
42호청주 신항서원1984년 12월 31일조선 중기 문신 이정암, 이흥발 등을 모신 서원이다.
43호보은 상현서원1984년 12월 31일조선 중기 문신 김세필, 박훈 등을 모신 서원이다.
44호옥천 김문기 유허비1984년 12월 31일조선 초기 사육신 중 한 명인 김문기가 태어난 곳에 세운 비석이다.
45호옥천 송시열 유허비1979년 9월 29일송시열이시백신도비문을 지을 때 머물렀던 곳을 기념하는 비석이다.
46호영동 송시열 유허비1977년 12월 7일송시열정묘호란 때 황간에서 강학하던 곳을 기념하는 비석이다.
48호보은 김수온 부조묘1984년 12월 31일조선 초기 문신 김수온의 신주를 모셨다.
49호괴산 청안사마소1984년 12월 31일조선시대 생원진사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의 친목 단체인 사마소 건물이다.
51호보은 고봉정사1984년 12월 31일조선 중기 문신 김정의 제자 이후가 1606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66호청주 송상현 묘소 및 신도비1984년 12월 31일조선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 전투에서 순절한 송상현의 묘소와 신도비이다.
67호충주 임경업 묘소1984년 12월 31일조선 임경업의 묘소이다.
68호청주 최명길 묘소1984년 12월 31일조선 최명길의 묘소이다.
69호청주 영조 태실1984년 12월 31일조선 영조의 태를 묻은 석실이다.
70호보은 성운 묘소 및 묘갈1986년 4월 28일조선 중기 문신 성운의 묘소와 묘갈이다.
71호청주 박광우 묘소1987년 3월 31일조선 중기 무신 박광우의 묘소이다.
72호청주 한란 묘소 및 신도비1987년 3월 31일조선 중기 문신 한란의 묘소와 신도비이다.
73호청주 체화당사 및 사적비1987년 3월 31일조선 중기 문신 노수와 그의 후손들을 모신 사당과 사적비이다.
74호괴산 수월정1987년 3월 31일조선 중기 문신 노수신1548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75호영동 박연 묘소1987년 3월 31일조선 초기 3대 악성 중 한 명인 박연의 묘소이다.
76호영동 김수온 묘소1987년 3월 31일조선 초기 문신 김수온의 묘소이다.
77호진천 이상설 생가1987년 3월 31일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었던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생가이다.
78호진천 홍우경・정인옹주 묘소1988년 9월 30일조선 선조의 부마 홍우경과 정인옹주의 합장 묘소이다.
80호진천 남지 묘소 및 신도비1988년 9월 30일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남지의 묘소와 신도비이다.
84호청주 방정1990년 12월 14일청주 한씨 시조 한란이 마셨다는 우물이다.
85호청주 무농정1990년 12월 14일청주 한씨 시조 한란이 농사를 장려하기 위해 건립했다는 정자이다.
86호청주 산덕리 태실1993년 6월 4일조선 숙종의 아들 연령군의 태를 묻은 석실이다.
87호제천 박약재1993년 11월 5일조선 중기 문신 이황의 제자 강박1567년에 건립한 서당이다.
88호영동 박흥생 묘비1993년 11월 5일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박흥생의 묘비이다.
89호영동 김영이・장비 단소1993년 11월 5일임진왜란 때 순절한 김영이장비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제단이다.
90호청주 신채호 사당 및 묘소1993년 11월 5일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 언론인으로 활동했던 신채호의 사당과 묘소이다.
91호진천 송인 묘소1994년 1월 7일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송인의 묘소이다.
92호제천 원호 유허비 및 관란정1994년 6월 24일조선 중기 문신 원호1545년에 건립한 관란정과 그의 유허비이다.
94호진천 이정 묘소1994년 6월 24일조선 중기 문신 이정의 묘소이다.
95호진천 이거이 묘소1994년 6월 24일조선 초기 문신 이거이의 묘소이다.
96호영동 추풍령 전적 및 장지현 순절비1994년 12월 30일임진왜란 때 추풍령 전투에서 순절한 장지현과 의병들의 넋을 기리는 비석이다.
98호증평 배극렴 묘소1994년 12월 30일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배극렴의 묘소이다.
99호음성 경녕군 부인 김씨 묘소1994년 12월 30일조선 태종의 서자 경녕군의 부인 청주 김씨의 묘소이다.


5. 3. 1. 진보적 인물

이 섹션에서는 충청북도 기념물 중 진보적 성향을 가진 인물들과 관련된 유적을 소개한다.

5. 3. 2. 보수적 인물

다음은 보수적 성향의 인물 관련 유적이다.

6. 근현대

개항 이후 충청북도에는 여러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유적과 유물이 남아있다.

1871년 신미양요 이후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을 강화하며 서울과 전국 각지에 세운 척화비옥천 척화비(沃川 斥和碑)는 옥천군 옥천읍 삼양리 산4-4에, 청주 척화비(淸州 斥和碑)는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92-13에 위치한다. 옥천 척화비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6호로, 청주 척화비1978년 10월 27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23호로 지정되었다.

척화비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6호옥천 척화비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양리 산4-41976년 12월 21일
23호청주 척화비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92-131978년 10월 27일


6. 1. 독립운동 관련 유적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인 손병희 선생이 태어난 곳으로,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의암로 234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9년 9월 29일에 충청북도 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되었다.

1907년 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었던 이상설 선생이 태어난 곳으로,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134-2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7년 3월 31일에 충청북도 기념물 제77호로 지정되었다.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인 신채호 선생을 기리는 곳으로,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귀래길 249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3년 11월 5일에 충청북도 기념물 제90호로 지정되었다.

6. 2. 6.25 전쟁 관련 유적

6.25 전쟁과 관련된 유적으로는 추풍령 전적이 있다. 영동 추풍령 전적 및 장지현 순절비1994년 12월 30일에 기념물 제96호로 지정되었다.

번호명칭위치지정일
96호영동 추풍령 전적 및 장지현 순절비충북 영동군 추풍령면 사부리 5181994년 12월 30일


6. 3. 기타 근현대 유적

(淸州 孫秉熙 生家)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의암로 2341979년 9월 29일
2014년 6월 27일 명칭 변경77진천 이상설 생가
(鎭川 李相卨 生家)충북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134-21987년 3월 31일90청주 신채호 사당 및 묘소
(淸州 申采浩 祠堂 및 墓所)충북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귀래길 2491993년 11월 5일
2014년 6월 27일 명칭 변경96영동 추풍령 전적 및 장지현 순절비
(永同 秋風嶺 戰蹟 및 張智賢 殉節碑)충북 영동군 추풍령면 사부리 5181994년 12월 30일


7. 지정 해제 문화재

충청북도에서는 여러 유적과 유물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 기념물로 지정해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기념물은 그 가치가 재평가되거나 더 높은 등급의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기념물 지정이 해제되기도 하였다.

지정 해제된 충청북도 기념물
번호명칭지정 해제일해제 사유
2호단양 온달산성1979년 7월 26일사적 제264호로 승격
3호단양 온달동굴1979년 6월 18일천연기념물 제261호로 승격
4호충주 탄금대2008년 7월 9일명승 제42호로 승격
10호괴산 송시열 유적1999년 12월 29일사적 제417호로 승격
11호의림지2006년 12월 4일명승 제20호로 승격
26호단양 노동동굴1979년 6월 18일천연기념물 제262호로 승격
36호충주 누암리 고분군2005년 3월 25일사적 제463호로 승격
38호청주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39호로 승격
39호괴산 청안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40호로 승격
47호충주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57호로 승격
50호제천 청풍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64호로 승격
52호청주 문의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94호로 승격
53호보은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95호로 승격
54호보은 회인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96호로 승격
55호옥천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97호로 승격
56호옥천 청산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98호로 승격
57호영동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99호로 승격
58호영동 황간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100호로 승격
59호진천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101호로 승격
60호괴산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102호로 승격
61호괴산 연풍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승격
62호음성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104호로 승격
63호제천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승격
64호단양 영춘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106호로 승격
65호단양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제107호로 승격
79호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1999년 6월 11일사적 제414호로 승격
82호청주 정북동 토성1999년 6월 11일사적 제415호로 승격


7. 1. 사적 승격

다음은 충청북도 기념물 중 사적으로 승격된 유적들이다.

7. 2. 천연기념물 승격

다음은 충청북도 기념물 중 천연기념물로 승격된 유적들이다.

7. 3. 유형문화재 승격

다음은 충청북도 기념물 중 유형문화재로 승격된 유적들이다.

번호명칭지정 해제일승격 후 명칭 및 번호
38호청주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39호
39호괴산 청안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40호
47호충주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57호
50호제천 청풍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64호
52호청주 문의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94호
53호보은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95호
54호보은 회인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96호
55호옥천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97호
56호옥천 청산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98호
57호영동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99호
58호영동 황간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100호
59호진천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101호
60호괴산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102호
61호괴산 연풍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103호
62호음성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104호
63호제천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105호
64호단양 영춘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106호
65호단양향교1988년 9월 30일충북 유형문화재 107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