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 708인 명단 - 중추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일파 708인 명단 - 중추원은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자들을 수록한 명단 중 중추원 관련 인물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중추원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자문 기관으로, 고문, 찬의, 부찬의, 참의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 문서에는 중추원 구성원들의 명단과 함께, 그들이 친일 행위로 분류된 근거가 제시되어 있다. 중추원 주요 인물, 폐지 과정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2. 중추원 구성
2. 1. 1910년 창설 당시
2. 1. 1. 고문
2. 1. 2. 찬의
wikitable
명단 | 명단 |
---|---|
2. 1. 3. 부찬의
wikitext- 고원식 (高源植)
- 구희서 (具羲書)
- 권태환 (權泰煥) - 조선귀족
- 김교성 (金敎聲)
- 김명규 (金命圭)
- 김명수 (金明秀)
- 김준용 (金準用)
- 김한규 (金漢奎) - 친일단체
- 나수연 (羅壽淵)
- 민건식 (閔健植) - 조선귀족
- 박제환 (朴齊瓛)
- 박희양 (朴熙陽)
- 서상훈 (徐相勛)
- 송지헌 (宋之憲)
- 송헌빈 (宋憲斌)
- 신우선 (申佑善)
- 신태유 (申泰游)
- 어윤적 (魚允迪) -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국장
- 엄태영 (嚴台永)
- 오재풍 (吳在豊)
- 윤치오 (尹致旿)
- 이도익 (李度翼)
- 이봉로 (李鳳魯)
- 이원용 (李源鎔)
- 정동식 (鄭東植)
- 정진홍 (鄭鎭弘)
- 조병건 (趙秉健)
- 조제환 (趙齊桓)
- 최상돈 (崔相敦)
- 한동리 (韓東履)
- 허진 (許璡)
- 홍우석 (洪祐晳)
- 홍운표 (洪運杓)
2. 2. 1911년∼1915년
2. 2. 1. 부의장
이완용 (李完用) -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 조선귀족, 친일단체2. 2. 2. 고문
- 권중현 (權重顯) - 을사오적, 조선귀족
- 이근상 (李根湘) - 조선귀족
- 이근택 (李根澤) - 을사오적, 조선귀족
- 이재곤 (李載崑) - 정미칠적, 조선귀족
- 이하영 (李夏榮) - 조선귀족
- 임선준 (任善準) - 정미칠적, 조선귀족
- 장석주 (張錫周) - 조선귀족
- 조중응 (趙重應) - 정미칠적, 경술국적, 조선귀족
- 조희연 (趙羲淵) - 조선귀족
- 한창수 (韓昌洙) - 조선귀족
2. 2. 3. 찬의
wikitable명단 | 명단 |
---|---|
2. 2. 4. 부찬의
wikitable부찬의 |
---|
2. 3. 1916년∼1920년
2. 3. 1. 고문
2. 3. 2. 찬의
wikitable
2. 3. 3. 부찬의
wikitext2. 4. 1921년∼1925년
2. 4. 1. 부의장
이완용 (李完用) -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 조선귀족, 친일단체2. 4. 2. 고문
wikitable
2. 4. 3. 부찬의
김현수 (金顯洙)2. 4. 4. 참의
wikitext; 칙임 참의
width="50%" | | width="50%" | |
; 주임 참의
width="50%" | | width="50%" | |
; 참의
width="50%" | | width="50%" | |
2. 5. 1926년∼1930년
2. 5. 1. 부의장
2. 5. 2. 고문
wikitext- 고희경 (高羲敬) - 조선귀족
- 권중현 (權重顯) - 을사오적, 조선귀족
- 민병석 (閔丙奭) - 경술국적, 조선귀족
- 윤덕영 (尹德榮) - 경술국적, 조선귀족
- 이윤용 (李允用) - 조선귀족, 친일단체
2. 5. 3. 참의
wikitextwidth="50%" | | width="50%" | |
width="50%" | | width="50%" | |
width="50%" | | width="50%" | |
2. 6. 1931년∼1935년
2. 6. 1. 고문
wikitext2. 6. 2. 참의
- 강필성 (姜弼成) -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 김병원 (金炳鵷)
- 김성규 (金成圭)
- 김제하 (金濟河)
- 박상준 (朴相駿) - 일본 귀족원 및 제국의회 의원, 도지사, 도 참여관
- 어윤적 (魚允迪) -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국장
- 유성준 (兪星濬) - 도지사, 도 참여관
- 진희규 (秦喜葵)
- 홍종철 (洪鍾轍)
2. 7. 1936년∼1940년
2. 7. 1. 고문
2. 7. 2. 참의
고원훈은 도지사, 도 참여관, 군수산업 관련자를 지낸 칙임 참의였다. 김관현은 도지사와 도 참여관을 역임했다. 김명준은 일진회 회원이었고, 일본 귀족원 의원 및 제국의회 의원과 친일단체에서 활동했다. 김영진은 도 참여관이었다. 남궁영은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을 지냈다.박두영은 조선총독부 군인 출신으로, 밀정 활동과 군수산업 관련 경력이 있다. 박상준은 일본 귀족원 및 제국의회 의원, 도지사, 도 참여관을 역임했다. 박영철은 도지사와 도 참여관을 지냈다. 박용구는 도 참여관과 조선총독부 사무관을 역임했다. 박중양은 일본 귀족원 및 제국의회 의원과 도지사를 지낸 대표적인 친일 관료이다.
서상훈과 엄준원, 유정수, 이겸제도 칙임 참의였다. 신석린은 도지사, 도 참여관, 친일단체에서 활동했다. 어담은 조선총독부 군인 출신이었다.
유혁로는 도지사와 도 참여관을 역임했다. 윤갑병은 일진회 출신으로, 도지사, 도 참여관, 친일단체에서 활동했다. 이범익은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을 지냈다. 이진호는 일본 귀족원 및 제국의회 의원, 도지사, 조선총독부 국장, 기타에 포함된 인물이다.
장헌근은 도 참여관, 경시, 기타에 해당한다. 정교원은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기타에 포함되었다. 조경하는 도 참여관과 조선총독부 사무관을 지냈다. 조성근과 조희문은 도지사였다.
주영환과 홍종국은 도 참여관과 조선총독부 사무관을 역임했다. 한규복은 도지사와 도 참여관을 지냈다. 한상룡은 일본 귀족원 의원 및 제국의회 의원, 친일단체, 기타에 포함되었다.
강번, 강동희, 김경진, 김기수, 김기홍, 김상회, 김신석, 김정석, 김진수, 김창수는 주임 참의였다. 김한목은 도 참여관을 지냈다. 남백우, 노영환, 문종구, 민병덕, 박보양, 박봉진도 주임 참의였다.
박철희와 안종철은 도 참여관을 역임했다. 박희옥, 방의석, 방태영, 서병조, 서병주, 석명선, 성원경, 손재하, 손조봉, 오세호는 주임 참의였다. 방의석은 군수산업 관련자이며, 기타에도 포함되었다. 서병조와 원덕상은 기타에 포함되었다.
유태설, 이경식, 이근수, 이기찬, 이은우, 이종섭은 주임 참의였다. 이승우와 이희적은 기타에 포함되었다. 장석원은 도 참여관과 기타에, 장직상은 기타에 포함되었다.
정란교는 도 참여관을 지냈다. 정석용, 정대현, 정해붕, 조병상은 주임 참의였다. 조병상은 기타에 포함되었다. 지희열, 최윤, 하준석, 홍치업, 황종국도 주임 참의였다.
최남선과 최준집은 기타에 포함되었다. 최지환은 도 참여관과 경시를 지냈다. 현헌은 도 참여관을, 현준호는 기타에 포함되었다.
유만겸은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을 지낸 참의였다.
2. 8. 1941년∼1945년
2. 8. 1. 부의장
wikitable
2. 8. 2. 고문
- 김윤정 (金潤晶) - 도지사, 도 참여관
- 박중양 (朴重陽) - 일본 귀족원 의원 및 제국의회 의원, 도지사
- 윤치호 (尹致昊) - 친일단체, 기타
- 이범익 (李範益) -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 이진호 (李軫鎬) - 일본 귀족원 의원 및 제국의회 의원, 도지사, 조선총독부 국장, 기타
- 한상룡 (韓相龍) - 일본 귀족원 의원 및 제국의회 의원, 친일단체, 기타
2. 8. 3. 참의
wikitext; 칙임 참의
- 고원훈 (高元勳) - 도지사, 도 참여관, 군수산업 관련자
- 김관현 (金寬鉉) - 도지사, 도 참여관
- 김명준 (金明濬) - 일진회, 일본 귀족원 의원 및 제국의회 의원, 친일단체
- 김사연 (金思演)
- 김연수 (金秊洙) - 군수산업 관련자, 기타
- 김영배 (金永培) -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경시
- 김영진 (金英鎭) - 도 참여관
- 김우영 (金雨英) -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 김윤정 (金潤晶) - 도지사, 도 참여관
- 김태석 (金泰錫) -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애국자 살상자, 경시
- 김화준 (金化俊) -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 박두영 (朴斗榮) - 조선총독부 군인, 밀정, 군수산업 관련자
- 박상준 (朴相駿) - 일본 귀족원 의원 및 제국의회 의원, 도지사, 도 참여관
- 서상훈 (徐相勛)
- 신석린 (申錫麟) - 도지사, 도 참여관, 친일단체
- 안종철 (安鍾哲) - 도 참여관
- 원덕상 (元悳常) - 기타
- 유만겸 (兪萬兼) -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 유진순 (劉鎭淳) - 도지사, 도 참여관, 기타
- 이겸제 (李謙濟)
- 이경식 (李敬植)
- 이계한 (李啓漢) -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경시
- 이병길 (李丙吉) - 조선귀족
- 이원보 (李源甫) -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애국자 살상자, 조선총독부 경시
- 장직상 (張稷相) - 기타
- 장헌식 (張憲植) -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기타
- 정교원 (鄭僑源) -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기타
- 정란교 (鄭蘭敎) - 도 참여관
- 정연기 (鄭然基) -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 진학문 (秦學文) - 기타
- 최린 (崔麟) - 기타
- 한규복 (韓圭復) - 도지사, 도 참여관
; 주임 참의
- 강이황 (姜利璜)
- 권중식 (權重植)
- 김경수 (金景壽)
- 김경진 (金慶鎭)
- 김동준 (金東準)
- 김병욱 (金秉旭)
- 김사연 (金思演)
- 김신석 (金信錫)
- 김원근 (金元根)
- 김재환 (金在煥)
- 김태집 (金泰潗)
- 노준영 (盧俊泳)
- 민재기 (閔載祺)
- 박지근 (朴智根)
- 박필병 (朴弼秉)
- 방의석 (方義錫)
- 서병조 (徐丙朝)
- 손창식 (孫昌植)
- 송문화 (宋文華)
- 신현구 (申鉉求)
- 양재창 (梁在昶)
- 원병희 (元炳喜)
- 위정학 (魏楨鶴)
- 이경식 (李敬植)
- 이기찬 (李基燦)
- 이승우 (李升雨) - 기타
- 이영찬 (李泳贊)
- 이익화 (李翊華)
- 이종덕 (李鍾悳)
- 임창수 (林昌洙)
- 임창하 (林昌夏)[3]
- 장용관 (張龍官)
- 장윤식 (張潤植)
- 장준영 (張俊英)
- 장직상 (張稷相) - 기타
- 전덕룡 (田德龍)
- 조병상 (曺秉相) - 기타
- 조상옥 (趙尙鈺)
- 차남진 (車南鎭)
- 최윤 (崔潤)
- 최승렬 (崔昇烈)
- 최정묵 (崔鼎默)
- 최준집 (崔準集) - 기타
- 한익교 (韓翼敎)
- 한정석 (韓定錫)
- 현준호 (玄俊鎬)
- 황종국 (黃鍾國) - 기타
; 참의
2. 8. 4. 서기장관
엄창섭 (嚴昌燮) -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국장, 조선총독부 사무관3. 중추원 주요 인물
3. 1. 조선 귀족 출신
3. 2. 관료 출신
3. 3. 경제인 출신
3. 4. 언론인/학자 출신
4. 중추원의 폐지
참조
[1]
문서
김도현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적이 없으며 평안북도 정주군수, 용천군수, 박천군수를 역임한 인물이다.
[2]
문서
이방협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적이 없으며 평안북도 내무부 이사관, 평안북도 강계군수를 역임한 인물이다.
[3]
문서
발표 당시에 나온 명단에는 박창하(朴昌夏)라고 잘못 표기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