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의 교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교파는 기독교의 다양한 분파들을 의미하며, 크게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분류된다. 서방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로 나뉘며, 개신교는 루터교,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성결교, 오순절교 등 다양한 교파를 포함한다. 동방교회는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등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몰몬교, 여호와의 증인 등 니케아 신경을 따르지 않는 신흥 교파들도 존재한다. 기독교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분열과 발전을 거쳤으며, 현재에도 다양한 교파들이 존재하며, 교파주의와 에큐메니즘 사이에서 다양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교파 - 교회
    교회는 기독교 신자들의 공동체 또는 예배당을 의미하며, 어원은 신약성서에서 신자들의 모임이나 회중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 고대 그리스어 "에클레시아"에서 유래했고, 교파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신학적 해석을 가진다.
  • 기독교의 교파 - 아리우스주의
    아리우스주의는 4세기 초 아리우스가 예수 그리스도가 성부에 의해 창조된 피조물이라고 주장한 기독교 교리로, 삼위일체 교리와 충돌하여 이단으로 정죄되었으나 다양한 형태로 존속하며 게르만족에게 전파되었고 현대 일부 종교 단체에서도 유사한 교리가 나타난다.
기독교의 교파
개요
정의기독교 교파는 공통된 특징을 가진 식별 가능한 기독교 단체이다.
설명교파라는 용어는 종종 기독교 내의 다양한 교단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주요 교파
가톨릭 교회세계에서 가장 큰 기독교 교회이다. 교황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가톨릭 신자는 13억 4천5백만 명이다.
개신교16세기 종교 개혁에서 시작된 다양한 교파들을 포함한다. 하버드 신학대학에 따르면, 개신교는 신학적 다양성을 특징으로 한다.
동방 정교회퓨 리서치 센터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6천만 명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동유럽과 러시아에 집중되어 있다.
역사적 배경
종교 개혁개신교 교파의 기원은 16세기 종교 개혁에 있다. 역사 채널에 따르면, 종교 개혁은 가톨릭 교회의 관행과 교리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
교파주의교파주의는 기독교 내에서 분열된 여러 교파들을 인정하고 조직하는 것을 의미한다. 러셀 E. 리치에 따르면, 교파주의는 기독교 역사의 중요한 특징이다.
교파 간 관계
에큐메니즘기독교 교파 간의 협력과 통일을 추구하는 운동이다.
상호 인정일부 교파는 서로의 세례와 성찬을 인정하며, 이는 교파 간의 관계를 증진시킨다.
현대적 추세
무교파주의특정 교파에 소속되지 않은 교회의 증가를 의미한다. 하트포드 종교 연구소에 따르면, 무교파 교회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탈교파주의전통적인 교파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크리스채너티 투데이에 따르면, 많은 개신교인들이 교파를 떠나고 있다.
기타
관련 개념존속
가지 이론

2. 기독교 교파의 분류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승천 후 사도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초대교회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초대교회는 사도들의 권능을 전승하였다고 믿거나 주장하는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catholic church)에서 시작하여 언어 차이로 헬라어(그리스어)권역의 동방교회와 라틴어 권역의 서방교회로 구분되었다.

11세기, 공교회의 5개 총대주교 교회 연합은 정치, 문화, 신학적 입장 차이(필리오케 논쟁, 성상 논쟁, 상호 파문)로 인해 결렬되었다. 로마 교회가 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4개 교회와 연합을 거부하면서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완전히 나뉘는 교회 대분열이 발생하였다.

이후 동방교회는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교구 연방 형태로 발전하였고, 서방교회는 500년 동안 로마를 중심으로 교황이 관할하는 로마 교구를 중심으로 성장했다. 16세기, 서방교회는 교회 내부 부패와 비기독교적 요소의 만연, 그리고 인문주의의 영향을 받아 교회 갱신 운동이 전개되면서, 교황 중심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루터교를 시작으로 개혁교회(장로교), 성공회, 감리교 등 다양한 개신교 교파로 발전하게 된다.

현대 정통 기독교 교파(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따르는 '''보편교회''')는 크게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분류된다.



몰몬교, 여호와의 증인 등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따르지 않는 신흥 교파들은 주류 정통 교단에서 이단으로 규정된다.

기독교는 분류학적으로 동방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 가톨릭교회, 개신교, 재건주의의 여섯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38][39]

비교파 중심의 기독교 교파 계통도/하승무 교수의 교회사관에 의한 계통도

2. 1. 서방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승천 후 사도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초대교회에 근원을 둔 기독교는 동방교회와 서방교회로 나뉜다. 11세기 교회의 대분열을 통해 서방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16세기 종교개혁 운동으로 개신교가 등장하면서 서방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개신교 (루터교, 침례교, 성공회, 감리교, 장로교, 개혁교회, 재림교, 성결교, 오순절교 등)로 나뉘게 되었다.[36]

가톨릭 교회는 스스로를 교파로 보지 않고, 본래의 교회로 간주한다. 침례교, 감리교, 루터교 교회는 일반적으로 개신교 교파로 간주되지만, 루터교만이 슈파이어 항의에 참여했다. 성공회는 개신교로 분류되지만,[56][57][58] 옥스퍼드 운동 이후 일부 성공회 작가들은 교회를 개신교이면서 동시에 가톨릭이라고 칭한다.[59] 루터교 또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과 일치신조에 포함된 기타 문서의 가톨릭적 성격과, 다른 개신교 교파가 파생된 교회보다 먼저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60]

가톨릭의 핵심 교리 중 하나는 사도 전승의 실천이다. 가톨릭은 교황이 베드로로부터 직접 권한을 받았다고 믿으며, 베드로를 교회의 첫 번째 머리이자 첫 번째 교황으로 여긴다.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교황 무류성의 정의를 거부한 소규모 교회, 복음주의 가톨릭 및 앵글로-가톨릭은 루터교 및 성공회 신자로서, 루터교와 성공회가 역사적인 가톨릭교의 연장이라고 믿고 많은 가톨릭 신앙과 관습을 통합한다.[60]

일부 가톨릭 신자들은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에 대한 엄격한 해석에 근거하여, 그들의 친교 밖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어떠한 참된 가톨릭 기독교 신앙의 일부로 간주될 수 없다는 개념을 거부한다. 이것을 피니주의라고 하며, 가톨릭 교회는 이를 이단으로 간주하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거부되었다.[61] 가톨릭은 신앙과 관습에 대한 최고 권위가 교황과 그와 연합하여 활동하는 주교에게 독점적으로 있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 개신교 운동은 자유롭게 발전했으며, 많은 운동이 신학적 문제로 분열되었다. 오순절주의가 그 예이다. 교리적 문제와 양심에 관한 문제 역시 개신교를 분열시켰다. 감리교는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인해 목사 임명 능력이 복잡해지면서 자체 교단으로 갈라졌다. 감리교는 많은 행정적 분열을 겪었고, 특히 20세기에 성결 운동과 관련된 다른 교단과의 합병을 겪었다.

재세례파 전통은 아미쉬, 후터파, 메노파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마 가톨릭과 루터교의 유아 세례 교리를 거부했다. 이 전통은 또한 평화주의에 대한 믿음으로도 유명하다. 많은 재세례파는 자신들을 개신교로 보지 않고, 완전히 별개의 전통으로 본다.[62][63]

서방 기독교 전통과 함께 일어난 일부 교단은 자신들을 기독교로 여기지만, 가톨릭도 아니고 완전히 개신교도 아닌, 퀘이커와 같은 교회이다. 퀘이커는 17세기 잉글랜드에서 시작된 복음주의 기독교 운동으로, 성직자와 모든 공식적인 성공회 또는 가톨릭 성사를 기피했으며, 물로 세례를 하는 것과 같이 개신교인들이 엄격하게 지키는 많은 관습을 포함했다. 그들은 미국에서 지하철도 (Underground Railroad)를 돕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메노파와 마찬가지로 퀘이커는 전통적으로 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자제한다.

2. 2. 동방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승천 후 사도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초대교회에 근원을 둔 기독교는, 초대교회의 사도들의 권능을 전승하였다고 믿거나 주장하는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catholic church)에서 시작하여 언어의 차이로 헬라어(그리스어)권역의 동방교회와 라틴어 권역의 서방교회로 구분되었다. 11세기에 공교회의 5개 총대주교 교회 연합이 정치적 대립, 문화적, 신학적 입장 차이(필리오케 논쟁, 성상 논쟁, 상호 파문)로 인하여 깨어져 로마 교회가 4개 교회(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와 연합을 거부해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완전히 나뉘는 교회 대분열이 발생한다. 이후 동방교회는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교구 연방형태로 발전하였다.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따르는 '''보편교회''' 중 동방교회에는 러시아 정교회, 그리스 정교회 등의 '''동방 정교회'''와 이집트의 콥트 교회, 시리아의 시리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교회, 아르메니아 교회 등의 '''오리엔트 정교회''', '''네스토리우스파'''를 계승한 아시리아 동방교회 등이 존재한다. 이외에도 서아시아(중동) 유일의 기독교 국가인 레바논과 그 외 중동 이슬람 국가, 인도 등에 이슬람이 발생하기 전부터 남 인디아 교회 등이 자생했다.

기독교는 분류학적으로 동방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 가톨릭교회, 개신교, 재건주의의 여섯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38][39]

오늘날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교파로 언급되지 않는 초기 교회에 의해 이단으로 간주된 일부 운동이 있었다. 예시로는 영지주의 (이는 비밀 이원론인 영지를 믿었음), 에비온파 (예수의 신성을 부인함), 아리우스파 (예수의 선재를 부인하여 예수를 피조물로 둠으로써 성자성부에게 종속시킴), 보고밀파와 보스니아 교회가 있다. 그러나 오늘날 기독교의 가장 큰 분열은 동방 및 오리엔트 정교회, 가톨릭, 그리고 종교 개혁 이후 형성된 다양한 교파 사이에 있다.[46][47][48]



동방 세계에서 현대에 가장 큰 신자 집단은 때때로 부정확하게 "그리스 정교회"라고 불리는 동방 정교회이다. 이는 그리스어가 그리스도 시대부터 비잔틴 제국 시대까지 공통 언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리스 정교회"라는 용어는 실제로는 전체 동방 정교회의 일부만을 지칭한다. 동방 정교회는 스스로를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에 의해 세워진 최초의 기독교 교회의 연속으로 여긴다. 정교회와 가톨릭은 11세기에 동서 분열 이후 분리되었으며, 각자는 분열 이전의 교회를 대표한다고 주장한다.

동방 정교회는 영적으로 하나의 몸이라고 생각하며, 행정적으로 여러 개의 자치 관할 구역(하나의 교회에 속하지만 일반적으로 "교회"라고도 함)으로 묶여 있다. 그들은 단일 주교를 보편적 교회 지도자로 인정하지 않고, 각 주교는 자신의 교구만 관할한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세계 총대주교로 알려져 있으며, "동등자 중 으뜸"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 이는 대의회가 소집될 경우 총대주교가 의장으로 앉는다는 의미일 뿐이며, 다른 어떤 주교보다 더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현재 가장 많은 신자를 가진 시노드는 러시아 정교회이다. 다른 교회로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예루살렘의 고대 총대주교청, 조지아, 루마니아, 세르비아불가리아 정교회, 그리고 몇몇 더 작은 교회들이 있다.

아시리아인 마을 게라몬에 있는 6세기 네스토리우스 교회, 성 요한 아랍 교회


두 번째로 큰 동방 기독교 교단은 오리엔트 정교회이며, 동방 정교회와 유사한 방식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6개의 국가 자치 교회와 2개의 자치 기구가 있다. 그러나 동방 정교회보다 더 큰 내부적 차이가 있는데, 특히 사용되는 예식의 다양성이 그러하다. 6개의 자치 오리엔트 정교회는 콥트 (이집트), 시리아, 아르메니아, 말란카라 (인도), 에티오피아 및 에리트레아 정교회이다. 중동의 아람어 사용 지역에서 시리아 정교회는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다. 오늘날의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지역은 기독교 초창기부터 강력한 신자 집단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러한 지역은 각각 1963년과 1994년에 자치를 얻었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 있는 인간과 신성의 결합에 관한 교리적 차이로 동방 정교회와 구별되며, 이 두 교단은 451년 칼케돈 공의회의 결과로 분리되었지만, 최근 화해를 위한 움직임이 있었다. 이 집단들은 서방 세계에서는 비교적 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문헌에는 때때로 동방 교회가 포함되어 있다. 동방 교회는 오리엔트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서기 1세기에 시작되었지만,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 이전부터 그들과의 교류가 없었다.

대체로 비상형상적인 동방 교회는 자체적으로 세 번째 동방 기독교 전통을 나타낸다. 최근 몇 세기 동안 세 개의 교회로 분열되었다. 가장 큰 교회(20세기 초부터)는 1552년부터 시작하여 여러 시기에 로마와 교류를 시작한 집단으로 구성된 바그다드에 기반을 둔 칼데아 가톨릭 교회이다. 두 번째로 큰 교회는 1976년[54] 이후 공식적으로 아시리아 동방 교회라고 불리며 1933년부터 2015년까지 처음에는 키프로스에, 그 다음에는 미국에 본부를 두고 있었지만, 2015년에 선출된 현재의 가톨리코스-총대주교 게와르기스 3세는 이라크 에르빌에 거주하고 있다. 세 번째는 1964년부터 분리되어 바그다드에 거주하는 아다이 2세 기와르기스가 이끄는 고대 동방 교회이다.

또한, 대부분 위에 열거된 교회에 상응하는 동방 가톨릭 교회가 있으며, 동일한 신학적, 전례적 전통을 공유하지만, 로마 교황을 교회의 보편적 수장으로 인정한다는 점에서 그들과 다르다.

2. 3. 기타 교파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따르지 않는 신흥 교파들로는 몰몬교, 여호와의 증인 등이 있으며, 이들은 주류 정통 교단들에 의해 이단으로 규정된다.

기독교는 분류학적으로 동방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 가톨릭교회, 개신교, 재건주의의 여섯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기독교의 재건주의 분파 내에는 어빙파, 스웨덴보리안, 크리스텔피안, 말일성도, 여호와의 증인, 라 루스 델 문도, Iglesia ni Cristo가 있다.

초기 교회에 의해 이단으로 간주되었던, 오늘날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교파로 언급되지 않는 일부 운동으로는 영지주의 (이는 비밀 이원론인 영지를 믿었음), 에비온파 (예수의 신성을 부인함), 아리우스파 (예수의 선재를 부인하여 예수를 피조물로 둠으로써 성자성부에게 종속시킴), 보고밀파, 보스니아 교회가 있다.[46][47][48]

3. 용어 (Terminology)

각 그룹은 자신들의 신념을 논의하기 위해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이 절에서는 다음 절에서 신념 자체를 자세히 논의하기 전에, 이 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의 정의를 논의한다.

기독교 내의 교파는 "기독교 교회의 인정된 자율 지부"로 정의할 수 있다. 주요 동의어로는 "종교 단체, 종파, 교회" 등이 있다.[26][27] "교회"는 동의어로서, "자신의 성직자, 건물 및 독특한 교리를 가진 특정 기독교 조직"을 지칭한다.[28] "교회"는 또한 전체 기독교인 집단인 "기독교 교회"로 더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전통적이고 복음주의적인 개신교는 보편적인 교회 구성원과 지역 교회 내의 교제 사이를 구분한다.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이 되면 보편적인 교회의 구성원이 되며, 그런 다음 다른 지역 신자들의 교제에 참여할 수 있다.[29] 일부 복음주의 그룹은 자신들을 초교파 교제로 묘사하며, 학생이나 민족 집단과 같이 특수한 요구가 있는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복음주의적 노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교회와 협력한다.[30] 관련 개념은 교파주의인데, 이는 구별되는 이름, 신념 및 관행에 관계없이 일부 또는 모든 기독교 그룹이 동일한 종교의 합법적인 교회라는 믿음이다.[31] (반대로, "교파주의"는 "교파 간의 차이점을 좁게 배타적인 지점까지 강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분파주의와 유사하다.)[32]

개신교 지도자들의 견해는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의 지도자들의 견해와 크게 다르며, 이 두 교회가 가장 큰 기독교 교파이다. 각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설립된 교회의 직접적인 연속성이라고 주장하며, 다른 교파는 나중에 여기에서 분리되었다.[9] 이 교회들과 몇몇 다른 교회들은 교파주의를 거부한다. 종교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위해, 기독교의 주요 가족은 교파, 즉 "조직된 기독교인 집단"으로 분류된다.[33]

역사적으로 가톨릭은 실제 또는 주장된 창시자의 이름으로 특정 기독교 교회의 구성원(또한 특정 비기독교 종교)에게 라벨을 붙였다. 이러한 가상의 창시자는 이단자라고 불렸다. 이 행위는 해당 집단이 스스로를 유일한 참된 교회에 속한다고 여길 때에도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가톨릭 측은 다른 교회가 창시자에 의해 설립된 반면 가톨릭 교회는 그리스도에 의해 설립되었다고 말할 수 있었다. 이것은 의도적으로 "기독교 내의 분열의 외관을 만들어내기" 위해 이루어졌으며,[34] 가톨릭 측은 자체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다.

가톨릭은 분파 이론을 거부하지만, 베네딕토 16세요한 바오로 2세는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를 관련시키기 위해 "두 개의 폐" 개념을 사용했다.[35] 교파주의는 기독교의 일부 또는 모든 그룹이 그들의 구별되는 명칭, 신념 및 관행에 관계없이 동일한 종교의 정당한 교회라는 믿음이다.[31] 이 아이디어는 처음 청교도 운동 내의 독립파에 의해 명확히 표현되었다. 그들은 기독교인 간의 차이는 불가피하지만, 이러한 차이에 근거한 분열이 반드시 분열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기독교인들은 동의하지 않는 교회에 머무르기보다는 자신의 신념을 실천할 의무가 있지만, 동시에 그들의 불완전한 지식을 인정하고 중요하지 않은 문제로 다른 기독교인들을 배교자로 정죄해서는 안 된다.[49]

일부 기독교인들은 교파주의를 유감스러운 사실로 본다. 2011년 기준으로 분열이 덜 심해지고 있으며, 에큐메니즘으로 알려진 교파 간의 협력이 증가하고 있다. 많은 교파가 세계 교회 협의회에 참여하고 있다.[50]

4. 역사적 분열과 발전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승천 후 사도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초대교회에 근원을 두고 있다. 초대교회는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catholic church)라고 불렸으며, 이후 언어권에 따라 헬라어(그리스어)권의 동방교회와 라틴어권의 서방교회로 나뉘었다.

11세기, 공교회의 5개 총대주교 교회 연합은 정치적 갈등, 문화 및 신학적 입장 차이(필리오케 논쟁, 성상 논쟁, 상호 파문)로 인해 분열되었다. 이로 인해 로마 교회가 4개 교회(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예루살렘)와의 연합을 거부하면서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완전히 갈라지는 동서 교회 분열이 발생하였다.

이후 동방교회는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교구 연방 형태로 발전하였고, 서방교회는 500년 동안 교황이 관할하는 로마 교구를 중심으로 성장했다. 16세기, 서방교회는 교회 내 부패와 비기독교적 요소의 만연, 인문주의를 배경으로 교회 갱신 운동이 전개되면서 교황 중심의 로마가톨릭교회와 독일 루터파교회를 시작으로 개혁교회(장로교회), 영국국교회, 감리교회 등 다양한 개신교회로 발전한다.

기독교는 1세기 또는 사도 시대부터 하나의 획일적인 신앙은 아니었지만, 기독교인들은 대체로 서로 교류했다. 오늘날 주류 기독교 안팎에서 공통의 역사와 전통을 공유하는 다양한 집단이 존재한다. 기독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종교이며(전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 다양한 분파들은 전통, 신학, 교회 정치, 교리, 언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4. 1. 초기 기독교와 공의회

동서 기독교 전통 사이의 초기 차이점은 서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 내 및 그 사이의 사회 문화적 및 민족 언어적 분열에서 비롯되었다. 서방(즉, 서유럽)은 ''공용어''로 라틴어를 사용했고 동방(동유럽, 중동, 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은 아람어코이네 그리스어를 주로 사용하여 저술물을 전달했기 때문에 신학적 발전은 한 분파에서 다른 분파로 번역하기 어려웠다. 에큐메니컬 공의회 (기독교 지도자들의 대규모 모임) 과정에서 일부 교회 단체는 더 큰 기독교 공동체에서 분리되었다. 많은 초기 이단 집단은 추종자의 부족으로 인해 사라지거나, 초기 원시 정통 기독교에 의해 억압되었다(예: 아폴리나리우스주의, 몬타누스주의, 에비온파).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다음 큰 분열은 시리아 정교회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가 자체적으로 분열되면서 발생했으며, 일부 교회는 오늘날의 오리엔트 정교회가 되었다. 대표가 공의회에 참석하지 못한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새로운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현재 또한 오리엔트 정교회로 여겨진다. 현대에는 이 분열을 치유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며,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시리아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 자카 1세 이와스 사이, 그리고 동방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 대표자들 사이에서 기독론에 대한 공동의 성명이 발표되었다.

칼케돈 신조가 네스토리우스주의를 회복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이는 그리스도의 ''인격''과 관련된 다음 구분을 유지함으로써 반박된다. 즉, 두 위격, 두 본성(네스토리우스파); 한 위격, 한 본성(단성론자); 한 위격, 두 본성 (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

4. 2. 동서 교회의 분열 (11세기)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승천 후 사도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초대교회에 근원을 두고 있는데, 초대교회의 사도들의 권능을 전승하였다고 믿거나 주장하는 공교회에서 시작하여 헬라어(그리스어)권역의 동방교회와 라틴어 권역의 서방교회로 구분되었다. 11세기에 공교회의 5개 총대주교 교회 연합이 정치적 대립, 문화적, 신학적 입장 차이(필리오케 논쟁, 성상 논쟁, 상호 파문)로 인하여 깨어져 로마 교회가 4개 교회(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예루살렘)와 연합을 거부해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완전히 나뉘는 동서 교회 분열이 발생한다.

동서 교회 분열은 동방과 서방 그룹이 약 1054년에 서로 파문을 선언하면서 일어났다. 분열의 정치적, 신학적 이유는 복잡하지만, 주요 논쟁 중 하나는 서방에서 필리오케 조항을 니케아 신조에 포함시키고 이를 받아들인 것이었는데, 동방은 이를 오류로 간주했다. 또 다른 논쟁은 교황 수위권의 정의였다.

서방과 동방 모두 로마의 총대주교가 다른 총대주교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콘스탄티노플, 예루살렘)으로부터 "명예의 수위"를 받아야 한다는 데 동의했지만, 서방은 이 수위가 관할권까지 확장된다고 주장했고, 동방 총대주교들은 이 입장을 거부했다. 두 그룹 간의 다양한 대화 시도가 있었지만, 1960년대에 교황 바오로 6세와 아테나고라스 총대주교 하에서 두 그룹 간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가 시작되었다.

4. 3. 종교개혁과 개신교의 등장 (16세기)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승천 후 사도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초대교회에 근원을 두고 있다. 초대교회의 사도들의 권능을 전승하였다고 믿거나 주장하는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catholic church)는 언어의 차이로 인해 헬라어(그리스어)권역의 동방교회와 라틴어 권역의 서방교회로 구분되었다. 11세기, 공교회의 5개 총대주교 교회 연합은 정치적 대립, 문화 및 신학적 입장 차이(필리오케 논쟁, 성상 논쟁, 상호 파문)로 인해 깨어졌다. 로마 교회가 4개 교회(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와 연합을 거부해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완전히 나뉘는 교회 대분열이 발생하였다. 이후 동방교회는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교구 연방 형태로 발전하였고, 서방교회는 5백년 동안 교황이 관할하는 로마 교구를 중심으로 성장했다. 16세기에 서방교회는 교회 내 부패와 비기독교적 요소의 만연, 인문주의를 배경으로 교회 갱신 운동이 전개되면서 교황 중심의 로마가톨릭교회와 독일 루터파교회를 시작으로 개혁교회(장로교회), 영국국교회, 감리교회 등 다양한 개신교회로 발전한다.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은 1517년 10월 31일 작센에서 마르틴 루터가 ''95개조''를 게시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종교 개혁 이전의 서방 교회를 개혁하기 위한 불만 사항들을 담고 있었다. 루터의 저술은 스위스 신학자 울리히 츠빙글리와 프랑스 신학자이자 정치인인 장 칼뱅의 저술과 함께 교리와 실천상의 기존 문제들을 개혁하려 했다. 개혁가 당시의 교회 성직자들의 반응으로 인해, 이 개혁가들은 서방 기독교 내에서 분열을 일으키며 가톨릭 교회에서 분리되었다.

잉글랜드에서 잉글랜드의 헨리 8세는 1534년 수장령을 통해 스스로를 잉글랜드 성공회의 최고 수장으로 선언하며, 루터교 개혁가들과 교황에게 충성하는 자들을 모두 억압하는 잉글랜드 성공회를 창설했다. 캔터베리 대주교인 토마스 크랜머는 칼뱅주의자와 루터교 사이에서 타협한 형태로 종교 개혁을 도입했다.

4. 4. 구 가톨릭 교회와 자유 가톨릭 교회 (19-20세기)

구 가톨릭 교회는 1870년대 교황 무류성 교리제1차 바티칸 공의회(1869–1870)에서 선포됨에 따라 가톨릭 교회에서 분리되었다. '구 가톨릭'이라는 용어는 1853년, 교황의 권위 아래 있지 않은 위트레흐트 관구의 구성원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구 가톨릭 운동은 미국에서 성장했지만 위트레흐트와 관계를 유지하지 못했으며, 현재 독립 구 가톨릭 주교와 위트레흐트 간에 회담이 진행 중이다.

자유 가톨릭 교회는 1916년 런던의 구 가톨릭 주교인 매튜 주교가 제임스 웨지우드 주교를 주교 서품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분파는 비교적 짧은 역사 동안 여러 차례 분열을 겪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여러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4. 5. 동방 기독교의 발전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승천 후 사도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초대교회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초대교회는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catholic church)라고 불렸으며, 이후 언어권에 따라 헬라어(그리스어)권의 동방교회와 라틴어권의 서방교회로 나뉘었다. 11세기, 공교회의 5개 총대주교 교회 연합은 정치적 갈등, 문화 및 신학적 입장 차이(필리오케 논쟁, 성상 논쟁, 상호 파문)로 인해 분열되었다. 이로 인해 로마 교회가 4개 교회(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와의 연합을 거부하면서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완전히 갈라지는 교회 대분열이 발생하였다.

동방교회는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교구 연방 형태로 발전하였다. 동방 세계에서 가장 큰 신자 집단은 동방 정교회이다. 동방 정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에 의해 세워진 최초의 기독교 교회를 계승한다고 주장한다. 동방 정교회는 영적으로 하나의 몸이지만, 행정적으로는 여러 자치 교회로 구성되어 있다. 각 주교는 자신의 교구만 관할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동등자 중 으뜸"이라는 칭호를 가진다. 현재 가장 많은 신자를 가진 시노드는 러시아 정교회이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조지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불가리아 정교회 등이 있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두 번째로 큰 동방 기독교 교단으로, 6개의 국가 자치 교회와 2개의 자치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콥트 (이집트), 시리아, 아르메니아, 말란카라 (인도),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정교회가 이에 속한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서 인간과 신성의 결합에 대한 교리적 차이로 동방 정교회와 구별되며, 451년 칼케돈 공의회의 결과로 분리되었다.

동방 교회는 서기 1세기에 시작되었지만,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 이전부터 오리엔트 정교회와 교류가 없었다. 동방 교회는 최근 몇 세기 동안 세 개의 교회로 분열되었다. 가장 큰 교회는 칼데아 가톨릭 교회이고, 두 번째는 아시리아 동방 교회[54]이며, 세 번째는 고대 동방 교회이다.

동방 가톨릭 교회는 위에 열거된 교회들과 신학적, 전례적 전통을 공유하지만, 로마 교황을 교회의 보편적 수장으로 인정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들은 가톨릭 교회의 완전한 일부이며, 라틴 교회와 동일한 법적 지위를 갖는다. 구성원들은 자신을 마론파, 멜키트파, 우크라이나 가톨릭교도, 콥트 가톨릭교도, 칼데아 가톨릭교도 등으로 묘사한다.[55]

비잔틴 전례 루터교는 20세기 초에 설립된 가장 작은 동방 기독교 집단으로, 우크라이나 루터교회와 같은 루터교 전통을 유지하면서 비잔틴 전례를 받아들인다.

4. 6. 서방 기독교의 발전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승천 후 사도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초대교회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초대교회 사도들의 권능을 전승하였다고 믿거나 주장하는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catholic church)에서 시작하여 언어의 차이로 인해 헬라어(그리스어)권역의 동방교회와 라틴어 권역의 서방교회로 구분되었다. 11세기에 공교회의 5개 총대주교 교회 연합이 정치적 대립, 문화적, 신학적 입장 차이(필리오케 논쟁, 성상 논쟁, 상호 파문)로 인해 깨어져 로마 교회가 4개 교회(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와 연합을 거부해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완전히 나뉘는 교회 대분열이 발생한다. 이후 동방교회는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교구 연방형태로 발전하였고, 서방교회는 5백년 동안 로마를 중심으로 교황이 관할하는 로마교구를 중심으로 성장했다. 서방교회는 16세기에 들어 교회내 부패와 비기독교적 요소의 만연, 인문주의를 배경으로 교회 갱신 운동이 전개되면서 교황을 중심으로 한 로마가톨릭교회와 독일 루터파교회를 시작으로 개혁교회(장로교회), 영국국교회, 감리교회 등으로 다양한 개신교회로 발전한다.

가톨릭 교회의 라틴 교회와 개신교는 서방 세계의 기독교를 이루는 3개의 주요 분파이다. 가톨릭은 스스로를 교파로 묘사하지 않고, 모든 다른 분파가 분열에서 갈라져 나온 본래의 교회로 간주한다. 침례교, 감리교, 루터교 교회는 일반적으로 개신교 교파로 간주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 셋 중 루터교만이 제2차 슈파이어 제국 회의의 포고령에 따라 루터의 저서를 불태우고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을 종식하는 것을 명령한 후 공식적인 슈파이어 항의에 참여했다. 성공회는 일반적으로 개신교로 분류되며,[56][57][58] 원래는 루터교와 개혁 기독교 사이의 중간 길, 즉 ''via media''로 여겨졌으며, 19세기 옥스퍼드 운동 이후 일부 앵글로-가톨릭 성향의 성공회 작가들은 교회의 더 가톨릭적인 이해를 강조하고, 교회를 개신교이면서 동시에 가톨릭이라고 특징짓는다.[59] 루터교 또한 그 기초 문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과 일치신조에 포함된 기타 문서)의 가톨릭적 성격과, 성공회, 재세례파, 개혁 교회 등 거의 모든 다른 개신교 교파가 파생된 교회보다 먼저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60]

가톨릭의 핵심 교리 중 하나(가톨릭, 스칸디나비아 루터교, 성공회, 모라비아, 정교회 및 기타 일부 교회의 공통점)는 사도 전승의 실천이다. "사도"는 "파견된 자"를 의미한다. 예수님은 첫 번째 열두 사도를 임명하셨고, 그들은 다시 후임 교회의 지도자들에게 안수를 통해 그들을 사역에 임명(파견)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톨릭과 성공회는 안수받은 성직자들의 계보를 첫 번째 열두 사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가톨릭은 교황이 베드로로부터 직접 권한을 받았다고 믿으며, 베드로를 교회의 첫 번째 머리이자 첫 번째 교황으로 여긴다. 구 가톨릭 교회와 같이 교황 무류성의 정의를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거부한 소규모 교회, 그리고 복음주의 가톨릭 및 앵글로-가톨릭은 루터교 및 성공회 신자로서, 루터교와 성공회가 역사적인 가톨릭교의 연장이라고 믿고 많은 가톨릭 신앙과 관습을 통합한다.[60] 가톨릭 교회는 스스로를 단순히 ''가톨릭''이라고 부른다(보편적이라는 의미).

일부 가톨릭 신자들은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extra ecclesiam nulla salus)에 대한 엄격한 해석에 근거하여, 그들의 친교 밖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어떠한 참된 가톨릭 기독교 신앙의 일부로 간주될 수 없다는 개념을 거부한다. 이것을 피니주의라고 하며, 가톨릭 교회는 이단을 간주하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에서 거부되었다.[61] 가톨릭은 신앙과 관습에 대한 최고 권위가 교황과 그와 연합하여 활동하는 주교에게 독점적으로 있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 개신교 운동은 자유롭게 발전했으며, 많은 운동이 신학적 문제로 분열되었다. 예를 들어, 많은 운동이 기독교 부흥과 같은 영적 부흥에서 성장했다. 오순절주의가 그 예이다. 교리적 문제와 양심에 관한 문제 역시 개신교를 분열시켰다. 또 다른 사람들은 행정적 문제로 형성되었다. 감리교는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인해 목사 임명 능력이 복잡해지면서 자체 교단으로 갈라졌다(이는 잉글랜드 교회 내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감리교의 경우, 그것은 많은 행정적 분열을 겪었고, 특히 20세기에 성결 운동과 관련된 다른 교단과의 합병을 겪었다.

재세례파 전통은 아미쉬, 후터파, 메노파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마 가톨릭과 루터교의 유아 세례 교리를 거부했다. 이 전통은 또한 평화주의에 대한 믿음으로도 유명하다. 많은 재세례파는 자신들을 개신교로 보지 않고, 완전히 별개의 전통으로 본다.[62][63]

서방 기독교 전통과 함께 일어난 일부 교단은 자신들을 기독교로 여기지만, 가톨릭도 아니고 완전히 개신교도 아닌, 퀘이커와 같은 교회이다. 퀘이커는 17세기 잉글랜드에서 시작된 복음주의 기독교 운동으로, 성직자와 모든 공식적인 성공회 또는 가톨릭 성사를 기피했으며, 물로 세례를 하는 것과 같이 개신교인들이 엄격하게 지키는 많은 관습을 포함했다. 그들은 미국에서 지하철도 (Underground Railroad)를 돕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메노파와 마찬가지로 퀘이커는 전통적으로 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자제한다.

재건주의에 뿌리를 둔 많은 교회들은 개신교나 심지어 교단으로 식별되는 것을 거부하며, 신조가 아닌 성경만을 사용하고, 성경에서 발견되는 1세기 교회를 따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스도의 교회가 그 예이며, 아프리카 기독교 교회는 킴방구주의와 같이, 다양한 정도의 혼합주의를 띄며 주로 개신교에 속한다. 교단과 운동 간의 상호 수용 정도는 다양하지만, 20세기의 에큐메니컬 운동과 세계 교회 협의회와 같은 전반적인 기독교 단체로 인해 크게 증가하고 있다.

4. 7. 유대계 기독교인

메시아닉 유대인들은 예수메시아로, 신약 성경을 권위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유대인 정체성을 유지한다. 교회가 세워진 후, 예수의 제자들은 일반적으로 복음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면서 민족적 기원을 유지했다. 최초의 교회 공의회는 예루살렘에서 소집되어 이 문제를 다루었고, 결정적인 의견은 예루살렘의 초대 주교이자 기독교 운동의 핵심 인물인 의로운 야고보에 의해 작성되었다. 메시아닉 유대교의 역사는 많은 운동과 집단을 포함하며, 어떠한 단순한 분류 체계도 따르지 않는다.

19세기에는 다양한 단체의 기존 기록에 따르면 최소 25만 명의 유대인이 기독교로 개종했다.[64] 퓨 리서치 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약 160만 명의 성인 미국 유대인이 스스로를 기독교인으로 식별하며, 대부분 개신교 신자이다.[65][66][67] 같은 자료에 따르면, 기독교인으로 스스로를 식별하는 유대인(160만 명)의 대부분은 유대인으로 자라거나 조상에 의해 유대인이다.[66]

5. 현대의 발전

현대에는 다양한 기독교 운동들이 등장하며 발전해 왔다. 16세기 개혁 전통에서 비롯된 유니테리언 교회삼위일체 교리를 부정하여 주류 기독교 교회로부터 인정받지 못했다.[71] 제2차 대각성 운동 시기 미국에서 시작된 복원 운동은 신약 시대의 교회를 복원하고 모든 기독교인을 통합하려는 목표를 가졌으며, 그리스도의 교회, 그리스도의 기독교 교회 등 여러 그룹으로 분열되었다.[72]

제2차 대각성 운동에서 시작된 여호와의 증인[80], 크리스천 사이언스[81] 등은 원시 기독교 복원을 추구했다. 랜드마크주의적 견해를 가진 일부 침례교회도 비슷한 신념을 가졌다.[82] 조셉 스미스가 설립한 예수 그리스도 교회(후기 성도)에서 파생된 후기 성도 운동은 복원주의 교파로 분류되며,[20]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가 가장 큰 교파이다.

몰로칸과 두호보르를 포함하는 영적 기독교는 러시아에서 등장했으며,[84] 두호보르는 메노나이트 재세례파 기독교인 및 퀘이커 기독교인과 유사하여 평화 교회로 여겨진다.[85][86][87] 제4차 대각성운동은 은사주의 운동, 예수 운동 등 현상을 낳았다.[1]

통일교와 라스타파리 운동은 기독교 성경을 믿음의 근거로 인용하지만, 기독교 단체의 전통적인 분류 범주에는 속하지 않는다.[1] 기독교 신념과 지역 및 부족 종교의 혼합주의도 나타나는데, 아메리카 원주민 교회가 그 예이다.[1] 조직화된 종교를 거부하는 기독교 무정부주의자들은 예수의 가르침이 로마 국교주의에 의해 타락했다고 믿으며, 지상의 권위나 기존 교회의 지배를 부정한다.[1]

5. 1. 유니테리언주의 (Unitarianism)

성서적 유니테리언주의에 대한 추가 정보를 참고할 수 있다.

유니테리언 교회는 16세기 개혁 전통에서 등장했으며, 이탈리아, 폴란드, 리투아니아, 트란실바니아, 헝가리, 루마니아 등에서 주로 나타났다.[68][69] 이들은 재세례파의 신자세례 교리를 수용했다.[70] 트란실바니아 유니테리언 교회는 이 시기에 생겨난 대표적인 예시이며, 클루지 프로테스탄트 신학 연구소가 해당 교파를 대표한다. 유니테리언 교회는 삼위일체 교리를 담고 있는 아타나시우스 신조를 거부하기 때문에, 많은 주류 기독교 교회들은 이들을 기독교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71]

5. 2. 복원주의 (Restorationism)

제2차 대각성 운동 기간 동안 미국에서 시작된 스톤-캠벨 복원 운동은 교회를 복원하고 "신약 시대의 교회를 본뜬 단일 조직 내에서 모든 기독교인을 통일"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72] 이 운동의 구성원들은 스스로를 개신교 신자가 아닌, 단순히 기독교인으로 여겼다.[73][74][75]

복원 운동은 사도적 기독교로 돌아가려는 여러 독립적인 노력에서 발전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바튼 W. 스톤이 이끈 그룹과 토마스 캠벨과 알렉산더 캠벨 부자가 이끈 두 그룹이 중요했다.[76] 스톤은 켄터키주 케인 리지에서 시작했으며,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불렀다. 캠벨 부자는 펜실베이니아 서부와 버지니아(현재 웨스트 버지니아)에서 시작했으며, "그리스도의 제자"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두 그룹 모두 신약에 제시된 패턴에 따라 전체 기독교 교회를 복원하려 했으며, 신조가 기독교를 분열시킨다고 믿었다. 1832년, 두 그룹은 악수로 교제를 시작했다.

이들은 예수가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믿음, 기독교인은 매주 첫째 날주의 만찬을 기념해야 하며, 성인 신자의 침례는 물에 잠기는 침례를 통해 구원을 받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는 데 동의했다. 창립자들은 모든 교파적 이름을 버리고 예수의 추종자들을 지칭하는 성경적 이름을 사용했다.[77] 두 그룹 모두 신약에 묘사된 1세기 교회의 목적에 대한 회귀를 장려했다. 이 운동의 한 역사가에 따르면, 이 운동은 주로 통일 운동이었으며, 복원 모티프는 부차적인 역할을 했다.[78]

복원 운동은 이후 그리스도의 교회, 그리스도의 기독교 교회, 그리스도 교회 (그리스도의 제자) 등 여러 그룹으로 분열되었다. 이 운동과 관련된 다른 그룹으로는 국제 그리스도의 교회, 국제 기독교 교회 등이 있다. 미국 외 그룹으로는 호주의 그리스도의 교회, 캐나다의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유럽의 그리스도의 교회가 있다. 플리머스 형제단은 영국에서 시작된 유사한 그룹이다. 그리스도의 교회플리머스 형제단과 같은 일부 교회는 이 운동 내의 다른 교회와 공식적인 관계를 거부한다.

재림 운동을 포함하여 제2차 대각성 운동에서 시작된 여호와의 증인[80], 크리스천 사이언스[81] 등은 서로 50년 이내에 설립되었으며, 모두 스스로를 원시 기독교와 초기 교회의 복원 운동이라고 여긴다. 랜드마크주의적 견해를 가진 일부 침례교회는 원시 기독교와의 관계에 대해 비슷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82]

5. 2. 1. 후기 성도 운동 (Latter Day Saint movement)

대부분의 후기 성도 교파는 1830년 조셉 스미스에 의해 설립된 예수 그리스도 교회(후기 성도)에서 파생되었으며, 복원주의 교파로 분류된다.[20] 세계 최대 교파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이며, 일반적으로 몰몬교라고 불린다. 1800년대 중반 이 운동이 로키 산맥으로 이주한 후 다양한 소규모 분파가 갈라져 나왔다. 이들 중 일부는 1890년 선언 이후 일부다처제 관행을 포기하면서 분리되었다. 대부분의 "프레리 성도" 교파(아래 참조)는 조셉 스미스의 죽음 이후 브리검 영과 함께 서부로 가지 않은 후기 성도의 잔류 세력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들 중 다수는 1840년대의 일부 신학적 발전에 반대하여 1830년대의 신학적 이해와 관행을 선호했다. 다른 교파는 조셉 스미스를 선지자로 믿거나 몰몬경을 종교 경전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정의된다. 몰몬교도는 일반적으로 스미스를 선지자, 선견자, 계시자로서, 참된 예수 그리스도 교회를 지구상에 복원했다고 믿으며 스스로를 복원주의자로 간주한다. 일부 후기 성도 교파는 다른 기독교인들에게 비삼위일체론적 또는 심지어 비기독교로 간주되지만, 후기 성도들은 이러한 주장에 대체로 동의하지 않는다. 후기 성도들은 자신들이 목적을 공유하는 별개의 인물로서 성부, 성자, 성신으로 구성된 신회를 믿는다고 생각한다. 후기 성도들은 삼위일체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를 참된 교리의 일탈이자 대배교의 상징으로 간주하지만,[83] 아타나시우스 신경과 같은 기독교 신조 목록의 일부 삼위일체론적 정의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5. 3. 영적 기독교 (Spiritual Christianity)

영적 기독교는 몰로칸과 두호보르를 포함하며, 각자 독특한 전통을 가지고 러시아에서 등장했다.[84] 두호보르는 메노나이트 재세례파 기독교인 및 퀘이커 기독교인과 종교적 관습이 유사하여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이 모든 집단은 평화주의를 믿기 때문에 집합적으로 평화 교회로 여겨진다.[85][86][87]

5. 4. 기타 운동

제4차 대각성운동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일어났으며, 은사주의 운동, 예수 운동, 그리고 복음주의를 기반으로 한 여러 초교파 단체와 같은 현상을 낳았다.[1]

많은 독립 교회와 운동은 스스로를 초교파라고 여기지만 교리에 있어서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1] 지역 교회 운동과 같은 많은 단체들은 전통적인 기독교의 핵심 가르침을 반영한다.[1] 그러나 더 웨이 인터내셔널과 같은 다른 단체들은 기독교 반컬트 운동에 의해 컬트로 비난받았다.[1] 또한, 다른 단체들은 주류 교회와 유사한 교리를 가질 수 있지만, 전적으로 가상적이고 국제적인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종교 간 에큐메니컬 교회(Interfaith-Ecumenical Church, IEC)와 같이 다종교 및 에큐메니컬 모델을 통합하기도 한다.[1]

창립에 있어서는 전혀 관련이 없지만, 추가적인 메시아(또는 그리스도의 화신)라는 공통 요소를 공유하는 두 운동은 통일교와 라스타파리 운동이다.[1] 이 운동들은 기독교 단체의 전통적인 분류법 범주에 속하지 않지만, 둘 다 기독교 성경을 믿음의 근거로 인용한다.[1]

기독교 신념과 지역 및 부족 종교의 혼합주의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다.[1] 이의 예로는 아메리카 원주민 교회가 있다.[1] 이 그룹의 의식은 페요테 사용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1] (여기서 라스타파리의 환각제대마초의 영적 사용과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1] 부족마다 전통이 다르지만, 종종 예수님을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영웅, 인간을 위한 중재자 또는 영적 수호자로 믿는 것, 성경을 믿는 것, 그리고 예수님과 페요테를 연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1]

조직화된 종교를 완전히 거부하는 기독교인들도 있다.[1] 일부 기독교 무정부주의자들—종종 개신교 배경을 가진 사람들—은 예수의 가르침이 로마의 국교주의에 의해 타락했다고 믿으며(초기 기독교와 로마 제국의 국교회 비교), 정부와 같은 지상의 권위, 또는 심지어 기존의 교회조차 그들을 지배할 권한이 없으며, 있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1] "황금률"을 따르는 많은 사람들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물리적 폭력의 사용을 반대하며, 비폭력을 옹호한다.[1] 러시아 소설가 레프 톨스토이는 『천국은 당신 안에 있다』를 저술했으며, 기독교 무정부주의자였다.[1]

6. 한국 기독교의 특수성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8
[2]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1998
[3]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Foreign Media Group 2006
[4] 서적 Denominationalism Illustrated and Explained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3
[5] 서적 Denominations Comparison https://books.google[...] Rose Publishing Inc 2013
[6]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Christian Denominations: Understanding the History, Beliefs, and Differences https://books.google[...] Harvest House Publishers 2015
[7] 서적 Christianity Heinemann 2002
[8] 웹사이트 Pubblicazione dell'Annuario Pontificio e dell'Annuario Statistico della Chiesa, 25.03.2020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20-03-25
[9]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 twenty centuries of tradition & reform http://archive.org/d[...] Downers Grove, Ill. : InterVarsity Press 1999
[10] 웹사이트 Pewforum: Christianity (2010) http://www.pewforum.[...] 2014-05-14
[11] 웹사이트 The Protestant Movement https://rlp.hds.harv[...] 2020-05-31
[12] 웹사이트 What Is Protestantism & Why Is it Important? https://www.christia[...] 2020-05-31
[13] 웹사이트 The Reformation https://www.history.[...] 2019-04-11
[14] 웹사이트 Western Christianity http://www.philtar.a[...] 2020-05-23
[15] 간행물 Orthodox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https://www.pewforum[...] 2017-11-08
[16] 웹사이트 Status of Global Christianity, 2019, in the Context of 1900–2050 https://www.gordonco[...] Center for Study of Global Christianity 2020-05-14
[17] 웹사이트 Christianity:Basics:Eastern Orthodox Church Denomination http://christianity.[...] about.com 2014-06-23
[18] 서적 A History of the Methodist Church in Great Britain, Volume Three Wipf & Stock Publishers 2017
[19] 서적 Interpretation of Tongues and Prophecy in 1 Corinthians 12-14, with a Pentecostal Hermeneutics Brill Academic Publishers 2019-05-21
[20] 웹사이트 The Restorationist denominations in Christianity http://www.religious[...] Ontario Consultants on Religious Tolerance 2012
[21] 웹사이트 Nondenominational & Independent Congregations http://hirr.hartsem.[...] Hartford Seminary, Hartford Institute for Religion Research 2015
[22]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Nons: Protestants Keep Ditching Denominations https://www.christia[...] 2017-07-20
[23] 웹사이트 What Are Non-Denominational Churches? Meaning & Examples https://www.christia[...]
[24] 웹사이트 What Does the Growth of Nondenominationalism Mean? https://factsandtren[...] 2017-08-08
[25] 웹사이트 Gallup: Non-denominational Protestants on the rise http://www.bpnews.ne[...] 2017-07-21
[26] 문서
[27] 웹사이트 Denomination http://www.oxforddic[...] Oxford Dictionaries: English 2015-06-06
[28] 웹사이트 Church http://www.oxforddic[...] Oxford Dictionaries: English 2015-06-06
[29] 웹사이트 Church Membership and Church Fellowship. Is there a difference? http://lifehouse.org[...] 2015-06-06
[30] 웹사이트 Church http://www.intervars[...] Intervarsity Christian Fellowship 2003-07-01
[31] 웹사이트 Denominationalism – Permissible or Reprehensible? https://www.christia[...] Christian Courier 2015-06-02
[32] 웹사이트 Denominationalism http://www.merriam-w[...] Merriam Webster Dictionary 2015-06-06
[33] 서적 Our Social World: Introduction to Sociology Pine Forge Press 2008-11-17
[34] 서적 Making Christians: Clement of Alexandria and the Rhetoric of Legitimac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9-04-04
[35] 웹사이트 Modern culture runs risk of amnesia http://www.osservato[...] 2010-05-20
[36] 웹사이트 Status of Global Christianity, 2024, in the Context of 1900–2050 https://www.gordonco[...] Center for the Study of Global Christianity,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2024-05-23
[37] 간행물 Global Christianity: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s://assets.pewre[...] Pew Research Center 2021-05-28
[38] 서적 Feminism and Christianity: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Third Wav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9-10-01
[39] 웹사이트 Motivations in Faith-Based Organizations https://hc.edu/cente[...] Houston Christian University 2023-02-07
[40] 서적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https://archive.org/[...] Encyclopaedia Britannica 1987
[41] 서적 T&T Clark Handbook of Anabaptism Bloomsbury Publishing 2021-12-30
[42] 서적 What's So Liberal about the Liberal Arts?: Integrated Approaches to Christian Formatio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04-27
[43] 서적 The Holy Spirit: Works Gifts InterVarsity Press 2005-12-02
[44] 서적 Reformation and Modern Rituals and Theologies of Baptism: From Luther to Contemporary Practices Routledge 2017-03-02
[45] 서적 What's So Liberal about the Liberal Arts?: Integrated Approaches to Christian Formatio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04-27
[46] 웹사이트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Catholics and Protestants {{!}} DW {{!}} 21.04.2019 https://www.dw.com/e[...] 2020-05-23
[47] 웹사이트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Catholics and Eastern Orthodox Anyway? https://www.ncregist[...] 2020-05-23
[48] 웹사이트 Beyond Dialogue: The Quest for Eastern and Oriental Orthodox Unity Today {{!}} St Vladimir's Orthodox Theological Seminary https://www.svots.ed[...] 2020-05-23
[49] 웹사이트 Life in a Muddy World: Reflections on Denominationalism http://seminary.fres[...] Fresno Pacific Biblical Seminary; first published in Fall/Winter 2008 edition of In Touch Magazine. For reprint permission contact the Director of Public Relations at 1-800-251-6227
[50] 웹사이트 What is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s://www.oikoumen[...] 2020-05-23
[51] 서적 Culturally Alert Counseling: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SAGE Publishing 2008
[52] 서적 Religion Matters: What Sociology Teaches Us About Religion In Our World Routledge 2016
[5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Monophysites and Monophysitism https://www.newadven[...] 2023-05-10
[54] 서적 Wilhelm Baum, Dietmar W. Winkler (editors), ''The Church of the East: A Concise History'' (Routledge 2003), p. 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12-08
[55] 웹사이트 Robert Spencer, "We are Non-Roman Catholics" in ''Crisis Magazine'', 22 November 2011 http://www.crisismag[...] 2016-10-25
[56]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
[57]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Infobase Publishing 2005
[58]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Protestant Dissenting Traditions, Volume IV: The Twentieth Century: Traditions in a Global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59] 서적 Anglican and Episcopal History Historical Society of the Episcopal Church
[60] 서적 Luther's Catholic Reformation The Lutheran Witness 2016-09-12
[61] 웹사이트 Unitatis redintegratio https://www.vatican.[...] 2023-05-10
[62] 웹사이트 Anabaptism: Neither Catholic Nor Protestant https://www.christia[...] 2004
[63] 문서 The Anabaptists: Neither Catholic nor Protestant http://www.cbc4me.or[...] The Fellowship Messenger
[64] 서적 How Jewish is Christianity?: 2 views on the Messianic movement https://books.google[...] Zondervan
[65] 웹사이트 How many Jews are there in the United States? http://www.pewresear[...] 2013-10-02
[66] 웹사이트 A PORTRAIT OF JEWISH AMERICANS: Chapter 1: Population Estimates http://www.pewforum.[...] 2019-03-18
[67] 뉴스 American-Jewish Population Rises to 6.8 Million http://www.haaretz.c[...] 2013-09-30
[68] 서적 The Encyclodedia of Christianity, Vol. 5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02-14
[69] 문서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J. Gordon Melton 2005
[70] 서적 Transforming Faith Communities: A Comparative Study of Radical Christianity in Sixteenth-Century Anabaptism and Late Twentieth-Century Latin America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3-03-14
[71] 서적 Protestantism and Its Relation to the Mor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Developments of Modern Times: A Lecture Delivered in the Baptist Chapel, Ottawa, on Sunday Evening, Jan. 21st, 1872 Joseph Loveday 1872
[72] 서적 I Just Want to Be a Christian 20th Century Christian, Nashville, Tennessee 1984
[73] 문서
[74] 간행물 Neither Catholic, Protestant nor Jew Church of Christ 1960
[75]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in the South Mercer University Press 2005
[76] 서적 Redigging the Wells: Seeking Undenominational Christianity Quality Publications, Abilene, Texas 1976
[77] 서적 Journey in Faith: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alice Press, St. Louis, MO 1975
[78] 서적 The Stone–Campbell Movement: The Story of the American Restoration Movement College Press 2002
[79] 서적 A Spiritual History of the Western Tradition
[80] 서적 RELG: World (with Religion CourseMate with eBook Printed Access Card)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81] 서적 Manual of the Mother Church https://www.gutenber[...] CSPS 2020-02-18
[82] 서적 America: Religions and Religion Cengage Learning
[83] 웹사이트 Articles of Faith, no. 1 http://mormon.org/ar[...] 2014-01-03
[84] 서적 The Religion of the Heart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0-03-20
[85] 서적 Folk Furniture of Canada's Doukhobors, Hutterites, Mennonites and Ukrainia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lberta
[86] 서적 The Mennonite Encyclopedia Mennonite Brethren Publishing House
[87] 서적 The Encyclodedia of Christianity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02-14
[88] 웹사이트 Leo Tolstoy –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http://www.kingdomno[...] 2012-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