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로코스 지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로코스 지방은 필리핀 루손섬 북서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북일로코스, 남일로코스, 라 유니온, 팡가시난 4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으며, 오스트로네시아인 이주와 해상 무역을 통해 문화적, 경제적으로 성장했다.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지배를 거치며 필리핀 독립 이후에도 대통령을 배출했다. 2023년에는 7.1%의 경제 성장을 기록했으며, 농업, 수산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일로카노어, 팡가시난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며, 로마 가톨릭을 비롯한 여러 종교가 공존한다. 일로카노, 팡가시난, 코르디예라 민족의 문화 유산이 풍부하며, 다양한 축제와 예술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로코스 지방 - 팡가시난주
    팡가시난주는 필리핀 루손섬에 위치하며 "소금의 장소"라는 뜻의 이름처럼 주요 소금 생산지이자 해양 무역 중심지였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 링가옌을 중심으로 행정 구역이 설정되어 현재 4개의 도시와 44개의 자치시로 구성, 다양한 문화유산을 가진 주민들이 농업과 어업에 종사한다.
  • 일로코스 지방 - 남일로코스주
    남일로코스주는 필리핀 루손섬 북부 일로코스 지방에 위치한 주로, 스페인 식민 시대부터 역사를 거쳐 1818년 일로코스 지방 분리 후 현재의 주가 되었으며, 농업 중심 경제 발전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필리핀의 지방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필리핀의 지방 - 다바오 지방
    다바오 지방은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하며, 5개의 주와 다바오시로 구성되어 있고, 농업, 무역, 관광의 중심지이며, 세부아노어를 주로 사용하고 기독교가 다수를 차지한다.
  • 루손섬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루손섬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일로코스 지방
지역 정보
파오아이 교회와 종탑
파오아이 교회
풍력 발전
방귀 풍력 발전소
발루아르테 감시탑 상단 뷰
발루아르테 감시탑
팡가시난 백 개의 섬
백 개의 섬 국립공원
라파즈 모래 언덕
라파즈 사구
비간 칼레 크리솔로고
비간 시 칼레 크리솔로고
반타이 종탑
반타이 종탑
위치필리핀
섬 그룹루손 섬
중심 도시산페르난도
별칭루손 해안 지역
행정 구역
관할 구역일로코스 노르테 주
일로코스 수르 주
라 union 주
팡가시난 주
독립 시다구판
구성 시알라미노스
바탁
칸돈
라오아그
산카를로스
산페르난도
우르다네타
비간
자치체116
바랑가이3,267
하원 의원 지역12
인구 통계
2020년 추정 인구5,220,807
인구 밀도자동 계산
언어일로카노어 (일로코어)
팡가시난어
볼리나오어
캉카나에이어
삼발어
이트네그어
이스나그어
이발로이어
영어
필리핀어
지리
최대 고도 지점시카포 산
최대 고도7,746 피트
면적13,013.60 km2
경제
GDP (2023)₱8142억 9천만 ($146억 4천만)
성장률증가 (7.1%)
기타 정보
시간대PST
UTC 오프셋+8
ISO 코드PH-01
HDI (2017)0.756 - 높음
HDI증가 0.743 (높음)
HDI 순위필리핀에서 6위 (2019)

2. 역사

일로코스 지방에는 기원전 30,000년경부터 네그리토족이 거주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발랑가이를 타고 온 오스트로네시아족 이주민들에 의해 대체되었다. 이들은 중국 남부 또는 타이완에서 기원하여 필리핀에 도착했으며, 코르디예라 산맥 원주민 집단의 조상을 포함한다. 이후 이주를 통해 농업 관행이 도입되고 이전 거주민의 언어가 대체되었다.[6][7]

오스트로네시아 이주를 묘사한 지도


동남아시아에 상업적 교역로가 구축되면서 해상 무역을 통해 이 지역 정착촌은 문화적, 경제적으로 번성했다. 중국인과 일본인을 포함한 현지 및 외국 상인들과 활발하게 상품을 교역했으며, 초기 일로카노 무역의 중요한 중심지는 비간이었다.[8] 지역 남부에서는 식민지 시대 이전 정치체인 카볼로안이 아그노 강 유역과 링가옌 만 근처에 위치하여 해상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코르디예라 산맥에서 채굴된 금은 아링가이-통글로-발라토크 금길을 따라 아고와 같은 정착촌에서 교역되었다.[9][10]

카볼로안 거주민, 캄필란, 복서 코덱스(1590), 링가옌 만, 루손


1572년 후안 데 살세도는 링가옌 만으로 항해하여 아그노 강 어귀에 상륙했고, 비간에 '''빌라 페르난디나 데 비간'''을 설립하고 누에바 세고비아 대교구의 교구 소재지로 삼았다.[17]

후안 데 살세도, 16세기 필리핀의 스페인 정복자


빌라 페르난디나 데 비간은 북부 누에바 세고비아의 교구 소재지이다


일로카노족은 스페인 통치에 저항했으며, 이는 1660년 안드레스 말롱, 1762년 팡가시난의 팔라리스, 1661년 페드로 알마잔의 북일로코스 봉기, 1764년 디에고 실랑과 가브리엘라 실랑 부부, 1807년 바시 반란 등 여러 봉기로 이어졌다.[20] 1818년 2월 2일, 일로코스는 북일로코스와 남일로코스로 분리되었다.

1807년경 일로카노족과 지역 스페인인 사이의 바시 반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침공은 1941년 12월 8일 시작되었다. 일본군은 비간에 상륙하여 비행장을 확보하려 했으나, 악천후와 미국의 공습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12월 11일까지 일본군은 비간과 라오아그를 점령했다.[29] 점령 기간 동안, 이 지역은 호세 P. 라우렐 대통령이 이끄는 일본 통제하의 ''괴뢰 공화국''의 일부였으며, 현지 주민들은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자행된 인권 침해를 견뎌야 했다.

광범위한 저항 운동의 선전 포스터


1944년, 미국이 필리핀 해방 작전을 시작하면서 이 지역은 군사 작전의 중요한 초점이 되었다. 1945년 1월 6일, 미 해군은 영국 해군의 지원을 받아 일본 해안 방어선과 기반 시설에 대한 대규모 폭격을 시작했다. 1월 9일, 맥아더 장군과 미 육군 병력은 링가옌과 산 파비안(산 파비안, 팡가시난) 사이의 해안 교두보에 상륙했다.

일로코스 지방은 필리핀 독립 이후 처음 20년 동안 엘피디오 키리노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두 명의 대통령을 배출했다. 이 시기는 담배 산업이 다시 돌아온 시기이기도 하다. 사업가 해리 스톤힐은 버지니아 담배가 일로코스 토양에서 잘 자랄 것이라는 막시모 솔리벤의 설명을 듣고, 농부들을 모집하여 담배를 생산하도록 하면서 산업 재건에 투자했다.[35][33]

필리핀의 담배 생산 지방 (일로코스 지방의 네 개 주 포함)


1972년 9월 24일 필리핀 계엄령 선포는 필리핀 데일리 익스프레스를 통해 발표되었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시대 동안 일로코스 지방에서는 다양한 인권 침해가 기록되었지만, 이 지역은 대체로 마르코스 행정부를 지지했다.[37] 마르코스의 권위주의 통치를 비판한 일로카노스 중에는 안토니오 L. 마부타스(Antonio L. Mabutas)가 있었으며,[38][39] 로물로 팔라바이(Romulo Palabay)와 아르만도 팔라바이(Armando Palabay)도 독재 정권에 맞서 싸웠다.[40] 일로코스노르테에서는 푸리피카시온 페드로(Purificacion Pedro)와 데이비드 부에노(David Bueno)가 계엄령 시대의 주요 피해자였다.[41][44] 부에노와 페드로는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Bantayog ng mga Bayani) 기념의 벽에 이름을 새겼으며, 페드로는 하느님의 종 후보에 올랐다.[45][46]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Bantayog ng mga Bayani)의 기념의 벽은 계엄령 정권에 저항한 사람들을 기린다.


1973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대통령령 제1호''를 발령하여 팡가시난 주를 제3지역(중앙 루손)에서 제1지역(일로코스 지방)으로 옮겼다.

1990년 루손 지진 강도 지도


1990년 루손 지진으로 이 지역의 남부 지역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라유니온 주의 5개 시정촌은 지진의 영향을 받았다. 아구 시청,[50] 무세오 데 일로코, 아링가이 교구 교회,[51] 자선 성모 소성당을 포함한 많은 건물들이 붕괴되거나 심하게 손상되었다.[11]

2. 1. 선사 시대

일로코스 지방에는 기원전 30,000년경부터 네그리토족이 거주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전통적인 배인 발랑가이(일로카노어로는 ''비라이'' 또는 ''빌로그''로 불림)를 사용하여 이 지역의 좁은 해안 지역을 통해 들어온 오스트로네시아족 이주민의 잇따른 파도에 의해 이른 정착민들이 대체되었다. 이러한 이주는 신석기 시대의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이 타이완에서 이주하여 현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조상 집단을 형성했다는 "타이완 이주" 가설에 의해 설명된다.[6]

오스트로네시아족은 중국 남부 또는 타이완에서 기원하여 최소 두 번의 주요 이주를 통해 필리핀에 도착한 것으로 여겨진다. 약 10,000년에서 7,000년 전에 있었던 첫 번째 이주로 코르디예라 산맥의 원주민 집단의 조상이 유입되었다. 그 후의 이주로 추가적인 오스트로네시아 인구가 유입되었고, 농업 관행이 도입되어 이전 거주민의 언어를 대체했다.[7]

이러한 오스트로네시아 정착민에는 이주 첫 번째 파동 중에 도착한 이고로트족(Cordilleran) 집단, 예를 들어 북부 고원 지대의 잇네그족(팅기안)과 이스나그족, 그리고 남부 고원 지대의 칸카나에족과 이발로이족 등이 포함되었다. 두 번째 파동은 북부 해안 지역에 정착한 일로카노족과 남서부 해안 지대에 정착한 팡가시난족, 볼리나오족, 삼발족을 데려왔다.

2. 2. 초기 역사

동남아시아에 상업적 교역로가 구축되면서, 해상 무역을 통해 이 지역의 정착촌은 문화적, 경제적으로 번성했다. 식민지 시대 이전에 일로카노족은 중국인과 일본인을 포함한 현지 및 외국 상인들과 활발하게 상품을 교역했다. ''아름다운 해안''을 의미하는 ''Bee Gan''(중국어: 美岸|메이안중국어; bí-gānnan)은 현재의 비간 시로, 초기 일로카노 무역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했다.[8]

지역 남부에서는 식민지 시대 이전 정치체인 카볼로안이 아그노 강 유역에 위치해 비날라통안이 수도였으며, 팡가시난은 삼각주와 링가옌 만 근처에 위치하여 해상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코르디예라 산맥에서 채굴된 금은 아링가이-통글로-발라토크 금길을 따라 운송되어 아고와 같은 정착촌에서 교역되었다.[9][10] 당시 아고의 해안 모양은 외국 선박에게 이상적인 항구였다.[11][12]

이 무역 네트워크는 이 지역을 인도양남중국해를 가로지르는 해상로와 연결했다. 교환된 상품에는 도자기, 실크 (''이나벨''), 면, 밀랍, 꿀, 보석, 구슬, 귀금속, 현지에서 제작된 ''번나이''(석기 항아리), 특히 금이 포함되었다.

15세기 중국-명나라 도자기


이러한 무역의 증거는 팡가시난의 아고 항구에서 발견되었으며, 그곳에서 가톨릭 교회의 개조 공사 중에 도자기와 도자기 또는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들은 현재 무세오 데 일로코에 보존되어 있다.[11] 일본 어부들은 나중에 필리핀에 첫 번째 정착지 중 하나를 아고에 건설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진보된 어업 기술과 기술을 도입했다.[11]

이 지역 초기 역사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측면은 14세기 또는 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팡가시난의 초기 거주민과 관련된 볼리나오 두개골의 발견이다.[13] 이 두개골은 특히 "치아 장식"으로 유명하며, 치아에 ''금''이 박혀 있다. 이 두개골은 67개의 다른 유사하게 장식된 두개골과 초기 명나라 시대의 교역 도자기 도자기와 함께 발견되었다.[14] 이 발견은 고대 필리핀 공동체의 진보된 미적 전통, 매장, 무역 관행 및 사회 구조를 강조하며, 이 지역의 식민지 이전 문화와 역사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15][16]

2. 3. 스페인 식민 시대

1572년 5월 20일,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손자인 후안 데 살세도가 8척의 무장 보트와 80명의 병력을 이끌고 북쪽으로 진출했다.[17] 린가옌 만으로 항해하여 아그노 강 어귀에 상륙한 살세도는, 1574년에 중국 해적 리마홍이 마닐라에서 쫓겨난 후 팡가시난으로 도망쳐 식민지를 건설하려 했으나, 7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실패했다.

살세도는 아고에서 일본인 정착지를 발견하고 정복 후 "''엘 푸에르토 데 하폰"''으로 명명했다. 1572년 6월 13일, 중국 푸젠 성 출신 무역 기지였던 비간에 도착한 그는 '''빌라 페르난디나 데 비간'''을 설립하고, 펠리페 2세 왕의 아들 페르디난드 왕자를 기리기 위해 누에바 세고비아 대교구의 교구 소재지로 삼았다.[17] 이후 라오아그, 쿠리마오, 바독으로 진출하여 루손 섬 북단을 돌아 비콜 지방을 진정시켰다.

1574년, 살세도는 군인들과 아우구스티누스회 선교사들과 함께 비간으로 돌아와 일로코스 지방의 복음화를 시작했다. 그는 인근 영토를 통제하고 원주민들을 가톨릭교로 개종시키기 위해 스페인 도시를 건설했다.[17]

살세도는 북일로코스, 남일로코스, 아브라, 라 유니온, 산악 지방의 일부를 포함하는 일로코스 지방을 영지로 받고, ''Justicia Mayor de esta Provincia de Ylocos'' (일로코스 주 시장)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7] 1700년대 말, 일로코스에는 원주민 44,852가구, 스페인계 필리핀인 631가구, 중국계 필리핀인 10,041가구가 거주했다.[18][19][19]

일로카노족은 스페인 통치에 저항했으며, 이는 1660년 안드레스 말롱, 1762년 팡가시난의 팔라리스, 1661년 페드로 알마잔의 북일로코스 봉기, 1764년 디에고 실랑과 가브리엘라 실랑 부부, 1807년 바시 반란 등 여러 봉기로 이어졌다.[20] 1818년 2월 2일, 바시 반란 이후 긴장이 고조되어 일로코스는 북일로코스와 남일로코스로 분리되었다. 남부 팡가시난족은 스페인 통치에 대한 저항을 이어갔다.[20]

2. 4. 미국 침략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리핀 연방에 대한 일본의 침공은 1941년 12월 8일, 일본이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 군사 시설과 주거 지역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틀 후, 일본의 ''간노 부대''는 비간(비간, 일로코스수르)에 상륙하여 추가적인 군사 작전을 위한 비행장을 확보하려 했다. 초기에는 저항이 없었지만, 악천후와 미국의 공습으로 인해 상륙이 지연되었다. 12월 11일까지 일본군은 비간을 점령하고 라오아그와 그 비행장을 점령하기 위해 추가 병력을 파견했다. 미군이 후퇴하면서 혼마 마사하루 중장은 비간에 작은 수비대를 남겨두고 주력을 링가옌 만에서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이동시켰다.[29]

12월 20일까지 칸노 대령과 다나카 시즈이치 장군 부대의 연합군은 3번 국도를 따라 남쪽으로 진격했다. 바코트난에서 필리핀군의 방어를 돌파한 후 12월 22일까지 산 페르난도(산 페르난도, 라 유니온)에 도착했다. 혼마 마사하루 중장이 지휘하는 일본 제14군은 링가옌 만에도 상륙하여 팡가시난과 라 유니온의 주요 지역을 장악했다. 이로써 1945년 연합군에 의해 탈환될 때까지 3년 동안 링가옌 만 지역을 포함한 북부 루손은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점령 기간 동안, 이 지역은 호세 P. 라우렐 대통령이 이끄는 일본 통제하의 ''괴뢰 공화국''의 일부였다. 현지 주민들은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자행된 집단 강간, 위안부, 고문 및 기타 인권 침해를 포함한 광범위한 잔학 행위를 견뎌야 했다. 이러한 잔혹 행위는 이 지역 전역에서 상당한 저항 운동을 촉발시켜 일본 점령에 반대하기 위해 여러 게릴라 그룹이 결성되었다. 지역 저항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은 칸돈, 일로코스 수르에서 일본군에 대한 성공적인 매복을 이끈 ''가엘란'' 선장이었다.[30]

1944년, 미국이 필리핀 해방 작전을 시작하면서 이 지역은 군사 작전의 중요한 초점이 되었다. 1944년 10월 20일, 연합군은 필리핀 해방을 시작했고, 1945년 초 링가옌 만 전투의 무대를 마련했다. 1945년 1월 6일, 미 해군은 영국 해군의 지원을 받아 1월 8일까지 지속된 일본 해안 방어선과 기반 시설에 대한 대규모 폭격을 시작했다. 1월 7일부터 9일까지 일본의 가미카제 공격이 연합군 선박을 목표로 했지만, 피해에도 불구하고 미 해군은 만의 통제권을 유지하여 임박한 침공을 위해 만을 확보했다.[31]

1월 9일, S-Day로 알려진 날, 맥아더 장군과 미 육군 병력은 링가옌과 산 파비안(산 파비안, 팡가시난) 사이의 25마일 해안 교두보에 상륙했다. 800척 이상의 선박과 광범위한 공중 지원을 받은 상륙은 일본군이 방어를 내륙에 집중했기 때문에 가벼운 저항에 직면했다. 1945년 1월 15일까지 연합군은 링가옌 만 지역을 확고히 확보하고 루손 심장부로 진격하기 시작하여 마닐라 해방과 필리핀에서 일본군의 최종 패배를 위한 길을 열었다.

2. 5. 전후 시대

일로코스 지방은 필리핀 독립 이후 처음 20년 동안 엘피디오 키리노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두 명의 대통령을 배출했다.

이 시기는 담배 산업이 일로코스 지방으로 다시 돌아온 시기이기도 하다. 담배 독점 시대가 끝난 후, 필리핀 사람들이 국내산 시가에서 외국산 담배로 전환하면서 일로코스 지방의 담배 생산량은 감소하기 시작했다.[32] 그러나 사업가 해리 스톤힐은 막시모 솔리벤의 특집 기사를 통해 버지니아 담배가 일로코스 토양에서 잘 자랄 것이라는 설명을 듣고, 1951년 필리핀 담배 건조 및 재건조 공사(PTFCRC)를 설립하고 지역 1 전역의 농부들을 모집하여 담배를 생산하도록 하면서 산업 재건에 투자했다.[35][33] 이듬해 라유니온 의원 마누엘 T. 케이시스는 "외국 잎담배 수입 제한" 법안을 제출했고,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이 공화국 법 698호로 서명했다.[34] 이를 통해 스톤힐의 투자는 상당한 수익을 올릴 수 있었고,[36] 새롭게 재건된 지역 산업은 번창하게 되었다.[35] 스톤힐은 1960년대에 탈세 및 정부 관리 뇌물 수수 혐의로 추방되었는데, 이는 나중에 스톤힐 스캔들이라고 불렸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배 산업은 계속 성장했다.[33][36]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시대 동안 일로코스 지방에서는 다양한 인권 침해가 기록되었지만, 이 지역은 마르코스 행정부에 대해 대체로 지지를 보냈다.[37] 일로코스노르테에서는 빈타르, 두말넥, 솔소나, 마르코스, 피디그 마을 출신의 여러 농부들이 고문을 당했고,[1] 방귀에서는 8명의 농부가, 빈타르에서는 3명의 원주민이 1984년에 "사살"되었다.[1]

마르코스의 권위주의 통치를 비판한 일로카노스 중에는 로마 가톨릭 대주교이자 라고, 라 유니온(Agoo, La Union) 출신인 안토니오 L. 마부타스(Antonio L. Mabutas)가 있었는데, 그는 교회 직원들의 고문과 살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했다.[38][39] 독재 정권에 맞서 싸운 다른 라 유니온 출신으로는 산 페르난도, 라 유니온(San Fernando, La Union) 출신의 학생 운동가인 로물로 팔라바이(Romulo Palabay)와 아르만도 팔라바이(Armando Palabay)가 있었는데, 이들은 팜팡가에 있는 군사 기지에서 고문을 당하고 사망하여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Bantayog ng mga Bayani) 기념관에서 독재 정권에 맞선 투쟁의 순교자로 추앙받았다.[40]

일로코스노르테에서, 라오아그 출신이자 계엄령 시대의 주요 피해자 중 한 명은 치코 강 댐 프로젝트에 항의하는 단체에서 자원 봉사자로 활동한 가톨릭 평신도이자 사회 사업가인 푸리피카시온 페드로였다.[41] 바탄에서 활동가 친구들을 방문하다가 부상을 입은 그녀는 나중에 병원에서 회복하던 중 마르코스 행정부 군인에 의해 살해되었다.[42][43] 계엄령 정권의 또 다른 주요 반대자로는 인권 옹호자이자 Bombo Radyo Laoag 프로그램 진행자인 데이비드 부에노가 있었는데, 그는 마르코스 행정부 후반과 그 뒤를 이은 아키노 행정부 초기에 일로코스노르테에서 자유 법률 지원 그룹과 함께 일했다. 그는 1987년 10월 22일, 오토바이를 탄 군복 차림의 남성들에게 암살당했는데, 이는 1986-87년 쿠데타와 일치하는 일련의 암살 사건 중 하나였다. 이 쿠데타는 1986년 인민 권력 혁명 이후 수립된 민주 정부를 전복하려는 시도였다.[44] 부에노와 페드로는 나중에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 기념의 벽에 이름을 새긴 최초의 65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이 벽은 독재 정권에 맞서 싸운 순교자와 영웅들을 기리고,[45] 페드로는 하느님의 종으로 임명될 필리핀 가톨릭 신자 후보 명단에 올랐다.[46]

2. 6. 계엄령 시대

1973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대통령령 제1호''를 발령하여 팡가시난 주를 제3지역(중앙 루손)에서 제1지역(일로코스 지방)으로 옮겼다. 이 재편성은 19세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이미 일로카노 정착민 유입을 경험한 팡가시난 주에 일로카노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마르코스 정권 하의 이주 정책은 때로는 토착 팡가시난족에게 피해를 주면서까지 팡가시난으로의 일로카노 정착을 더욱 장려했다. 이 법령 이전에는 팡가시난 주는 일로코스 지방의 일부가 아니었다.[47]

같은 기간에 아브라 주, 마운틴 주, 벵게트 주도 일로코스 지방에 포함되었다. 전통적으로 원주민이 거주했던 이 지역들은 일로카노 이주가 증가했다. 특히 아브라 주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더 큰 일로코스 주와 나중에는 일로코스 수르 주의 일부였을 때부터 일로카노 정착민의 목적지였다. 이러한 지방들의 지역 포함은 코르디예라스의 민족 공동체 사이에서 일로카노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의 일부였다.[48]

2. 7. 지방 통합 및 재편

1990년 루손 지진으로 이 지역의 남부 지역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라유니온 주의 아구, 아링가이, 카바, 산토토마스, 투바오 5개 시정촌은 총 132,208명의 인구가 지진의 영향을 받았다. 아구 시청,[50] 무세오 데 일로코, 아링가이 교구 교회,[51] 자선 성모 소성당을 포함한 많은 건물들이 붕괴되거나 심하게 손상되었다.[11] 아링가이의 시티오 나그파나우안은 지진 동안 해수면 상승과 땅이 무너지면서 완전히 침수되었다.[52] 두 해안 마을이 액상화로 인해 가라앉으면서 100,000가구가 이재민이 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32명이 사망했다. 팡가시난 주 다구판에서는 약 90개 건물이 손상되었고 약 20개 건물이 붕괴되었다. 일부 구조물은 액상화로 인해 건물이 1m 침하되면서 피해를 입었다. 지진으로 도시 고도가 낮아져 여러 지역이 침수되었다. 이 도시에서는 6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그 중 47명이 생존하고 17명이 사망했다. 대부분의 부상은 대학교 건물과 극장에서의 압사 사고로 발생했다.

2. 8. 현대사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시대 동안 일로코스 지방에서는 다양한 인권 침해가 기록되었지만, 이 지역은 대체로 마르코스 행정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37] 일로코스노르테에서는 빈타르, 두말넥, 솔소나, 마르코스, 피디그 마을 출신의 여러 농부들이 고문을 당했고,[1] 방귀에서는 8명의 농부가, 빈타르에서는 3명의 원주민이 1984년에 "사살"되었다.[1]

마르코스의 권위주의 통치를 비판한 일로카노스 중에는 로마 가톨릭 대주교이자 라고, 라 유니온(Agoo, La Union) 출신인 안토니오 L. 마부타스(Antonio L. Mabutas)가 있었는데, 그는 교회 직원들의 고문과 살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했다.[38][39] 독재 정권에 맞서 싸운 다른 라 유니온 출신으로는 산 페르난도, 라 유니온(San Fernando, La Union) 출신의 학생 운동가인 로물로 팔라바이(Romulo Palabay)와 아르만도 팔라바이(Armando Palabay)가 있었는데, 그들은 팜팡가에 있는 군사 기지에서 고문을 당하고 사망하여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Bantayog ng mga Bayani) 기념관에서 독재 정권에 맞선 투쟁의 순교자로 추앙받았다.[40]

일로코스노르테 라오아그 출신으로 계엄령 시대의 주요 피해자 중 한 명은 인근 코르디예라 센트럴 산맥의 치코 강 댐 프로젝트(Chico River Dam Project)에 항의하는 단체에서 자원 봉사자로 활동한 가톨릭 평신도이자 사회 사업가인 푸리피카시온 페드로(Purificacion Pedro)였다.[41] 바탄에서 활동가 친구들을 방문하다가 부상을 입은 그녀는 나중에 병원에서 회복하던 중 마르코스 행정부 군인에 의해 살해되었다.[42][43] 계엄령 정권의 또 다른 주요 반대자로는 인권 옹호자이자 Bombo Radyo Laoag 프로그램 진행자인 데이비드 부에노(David Bueno)가 있었는데, 그는 마르코스 행정부 후반과 그 뒤를 이은 아키노 행정부 초기에 일로코스노르테에서 자유 법률 지원 그룹(Free Legal Assistance Group)과 함께 일했다. 그는 1987년 10월 22일, 오토바이를 탄 군복 차림의 남성들에게 암살당했는데, 이는 1986-87년 쿠데타와 일치하는 일련의 암살 사건 중 하나였다. 이 쿠데타는 1986년 인민 권력 혁명 이후 수립된 민주 정부를 전복하려는 시도였다.[44] 부에노와 페드로는 나중에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Bantayog ng mga Bayani) 기념의 벽에 이름을 새긴 최초의 65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이 벽은 독재 정권에 맞서 싸운 순교자와 영웅들을 기리고,[45] 페드로는 하느님의 종으로 임명될 필리핀 가톨릭 신자 후보 명단에 올랐다.[46]

일로코스 지방은 1986년 피플 파워 혁명 이후 필리핀 대통령 3명을 더 배출했다. 그들은 팡가시난 출신인 피델 V. 라모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어머니 쪽이 일로카노), 그리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아들인 봉봉 마르코스이다.

이 지역의 남부 지역은 1990년 루손 지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라유니온 주의 5개 시정촌(아구, 아링가이, 카바, 산토토마스, 투바오)은 총 132,208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지진의 영향을 받았다. 아구 시청,[50] 무세오 데 일로코, 아링가이 교구 교회,[51] 그리고 자선 성모 소성당을 포함한 많은 건물들이 붕괴되거나 심하게 손상되었다.[11] 아링가이의 시티오 나그파나우안은 지진 동안 해수면이 상승하고 땅이 무너지면서 완전히 침수되었다.[52] 두 해안 마을이 액상화로 인해 가라앉으면서 100,000가구가 이재민이 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32명이 사망했다. 팡가시난에서는 다구판의 약 90개 건물이 손상되었고 약 20개 건물이 붕괴되었다. 일부 구조물은 액상화로 인해 건물이 1m 침하되면서 피해를 입었다. 지진으로 인해 도시의 고도가 낮아졌고 여러 지역이 침수되었다. 이 도시에서는 6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그 중 47명이 생존하고 17명이 사망했다. 대부분의 부상은 대학교 건물과 극장에서의 압사 사고로 발생했다.

3. 지리



일로코스 지방은 필리핀 루손섬 북서부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12840.2km2이다. 이 중 810062ha는 처분 가능한 토지로 분류되고, 473957ha는 산림으로 지정되어 있다.[53] 이 지역은 국제 해상 항로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전략적 위치에 있으며, 다양한 지리적 풍경을 특징으로 한다. 서쪽으로는 남중국해와 접하고, 동쪽으로는 중앙 코르디예라 산맥과 접한다. 반면 팡가시난은 광대한 중앙 루손 평원의 북서쪽 부분을 차지하며, 삼발레스 산맥이 서쪽의 자연 경계를 이룬다.[54]

이 지역의 가장 높은 봉우리는 일로코스 노르테와 아브라에 있는 중앙 코르디예라 산맥 내에 위치한 시카푸 산이다. 빽빽한 소나무 숲으로 특징지어지는 이 산은 해발 약 2360.98m 높이에 이르며, 일로코스 노르테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일로코스 지방은 ''아그노 강'' 유역과 ''아브라 강'' 유역을 포함하여 29개의 강 시스템을 통과한다. 아그노 강은 벵게트에서 발원하여 팡가시난을 통과하며, 링가옌과 다구판 근처에서 넓은 삼각주를 형성한 후 링가옌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강은 필리핀에서 가장 큰 강 시스템 중 하나로, 유역 면적은 5952km2이다. 아브라 강은 벵게트의 데이터 산 근처에서 발원하여 아브라와 일로코스 수르를 통과하며, 유역 면적 약 5125km2와 길이 179km로 이 나라에서 일곱 번째로 큰 강 시스템이다.

이 지역의 주목할 만한 수역인 링가옌 만은 특히 팡가시난과 라 유니온에서 중요하다. 이 만에는 유명한 백 개의 섬 국립공원을 포함하여 수많은 섬이 있다. 이 지역 북쪽에는 루손 해협이 있어 전략적 지리적 중요성을 강조한다.

카바루얀 섬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섬이다. 이 섬은 링가옌 만을 따라 안다 팡가시난에 위치해 있다. 이 섬의 면적은 약 77.78km2이고 해안선 길이는 약 59.16km이다.

파오아이 호수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자연 호수 중 하나로, 파오아이 일로코스 노르테에 위치해 있다. 표면적은 약 3.86km2이고, 평균 수심은 6m, 최대 수심은 10m이며, 표면 고도는 해수면보다 낮다.

시가이 일로코스 수르에 있는 아와센 폭포는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폭포이다. 높이는 120m이며, 폭포 아래의 웅덩이 깊이는 약 8m이다.[55]

일로코스 지방은 위치상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남부와 같은 역동적인 경제와 가깝다.

4. 행정 구역

일로코스 지방은 북일로코스주, 남일로코스주, 라우니온주, 팡가시난주의 4개 주와 다구판 (독립 구성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56]

이 지역은 116개의 지방 자치체와 3,265개의 바랑가이로 더 세분화된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12개로, 일로코스 노르테 주와 일로코스 수르 주, 라우니온 주에 각각 2개, 팡가시난 주에 6개가 있다.[56]

4. 1. 주 (Provinces)

주도인구 [57]면적 [58]인구 밀도도시바랑가이
북일로코스라오아그 시609,5883418.75km2180221559
남일로코스비간 시706,0092596km2270232768
라우니온산페르난도 시822,3521499.28km2550119576
팡가시난링가옌3,163,1905450.59km25804441,364
총계5,301,13912964.62km241091163,267
colspan=13 |


5. 경제

일로코스 지방은 2023년에 7.1%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여, 2022년 6,548억 페소에서 7,015억 페소로 성장했다. 이는 필리핀 17개 지역 중 세 번째로 빠른 성장이며, 필리핀 전체 경제 성장률 5.5%에 0.2%p 기여했다. 이 지역은 국가 국내총생산(GDP)의 3.3%를 차지한다.[60] 서비스 부문이 4.4%p로 가장 큰 기여를 했고, 산업 부문이 2.1%p, 농업, 임업, 어업이 0.6%p를 기여했다.[60]

2022년 팡가시난의 GDP는 3,529억 3천만 페소로 일로코스 지방 전체 GDP의 53.9%를 차지했다. 라유니온이 1,186억 페소(18.1%), 일로코스 노르테와 일로코스 수르가 각각 931억 페소(14.2%)와 902억 4천만 페소(13.8%)를 기여했다.[61]

팡가시난은 필리핀 82개 주 중에서 7번째로 GDP가 높았다. 일로코스 노르테는 2022년에 8.7%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라유니온(7.7%), 팡가시난(7.4%), 일로코스 수르(7.1%) 순이었다. 1인당 GDP는 일로코스 노르테가 15만 1500페소로 가장 높았고, 라유니온(14만 840페소), 일로코스 수르(12만 458페소) 순이었으며, 팡가시난은 11만 1450페소로 가장 낮았다.[61]

2023년 일로코스 지방의 가구 빈곤율은 8.4%였고, 연간 1인당 빈곤선은 34,454페소였다. 일로코스 노르테는 가구 빈곤율이 0.3%로 가장 낮았고, 인구 빈곤율은 0.5%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62] 일로코스 수르(5.2%), 라유니온(6.3%), 팡가시난(11.4%) 순으로 빈곤율이 높았다.[63]

일로코스 지방의 경제는 농업, 산업, 서비스업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남부의 팡가시난은 수산 양식, 농업 관련 산업,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특히 밀크피쉬(방우스) 양식, 염전, 축산업, 생선 페이스트(바고옹) 생산이 활발하다.[64] 2023년 3분기 팡가시난의 수산 양식 생산량은 27,420 미터톤으로, 이 지역 전체 생산량의 96.8%를 차지했다. 밀크피쉬 외에 틸라피아도 많이 생산된다.[65]

팡가시난 다솔의 염전


팡가시난 다솔 시는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소금 생산지이다.[66] 2021년 다솔은 10,000개 이상의 염전에서 24,000 미터톤의 소금을 생산했다.[67]

일로코스 노르테 쿠리마오에서 그물을 육지로 끌어올리는 어부들


2023년 2분기 일로코스 지방의 총 어업 생산량은 46,846.41 미터톤으로, 2022년 같은 기간보다 5.35% 증가했다. 이는 전국 어업 생산량의 4.33%를 차지하며, 전국에서 7번째로 큰 생산지이다.[68]

북부 지역은 , 담배, 마늘, 옥수수, 사탕수수 등 농업 생산이 주를 이룬다. 2023년 일로코스 지방은 필리핀에서 다섯 번째로 큰 쌀 생산 지역으로, 1헥타르당 평균 4.83 미터톤, 총 190만 미터톤을 생산했다.[69][70]

일로코스 지방은 필리핀 최대의 마늘 및 담배 생산지이기도 하다. 2022년 마늘 생산량의 76.51%를 차지했으며, 일로코스 노르테가 97.20%, 일로코스 수르가 2.80%를 생산했다.[71] 2023년 2분기 담배 생산량은 24,620 미터톤으로, 전국 총 생산량의 66.4%를 차지했다. 일로코스 수르가 최대 생산지이며, 팡가시난, 라유니온, 일로코스 노르테 순이다. 버지니아 담배가 가장 많이 생산되고, 토착 담배가 그 뒤를 이었다.[72][73]

팡가시난 라오악의 넓은 옥수수밭


일로코스 지방은 2022년 필리핀의 옥수수 생산에서 5위를 차지하여, 국가 총 생산량의 7.10%를 기여했다. 팡가시난이 이 지역 옥수수 생산량의 62.56%를 차지했고, 일로코스 수르(19.53%), 일로코스 노르테(11.32%), 라유니온(6.59%) 순이었다. 옐로우 옥수수가 91.97%, 화이트 옥수수가 8.03%를 차지했다.[74]

2021년 주요 과일 및 채소 생산량은 바나나(44,411.05 미터톤, 사바 바나나 최다), 망고(172,469.08 미터톤, 카라바오 망고 최다), 파파야(3,573.36 미터톤), 수박(28,782.39 미터톤), 칼라만시(3,508.58 미터톤), 파인애플(206.66 미터톤), 토마토(75,127.03 미터톤), 양파(38,968.45 미터톤), 고구마(15,512.72 미터톤), 강낭콩(12,543.09 미터톤) 등이다. 2022년 여주 생산량은 10,831.42 미터톤으로 전국 3위였다. 2023년까지 이 지역은 가지 95,281 미터톤을 생산했다.[75][76]

일로코스 지방은 2022년 필리핀 생산 지역 중 3위를 차지하여, 국가 총 생산량의 9.87%를 기여했다. 축산업, 돼지, , 염소, 물소 사육도 주요 경제 활동이다.[77]

산타, 일로코스 수르의 대장장이(Pandayan) 생산


최근에는 농업 중심에서 산업 및 서비스 기반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식품 가공, 담요 직조, 바구니 직조, 조개 공예, 부드러운 빗자루 제작, 도자기, 생선 페이스트, 대장장이, 와인 및 식초 생산, 보석 제작, 목재 및 석재 공예품 등이 중요한 산업이다. 골동품 및 항아리도 인기 있다.[64]

라오아그 국제공항, 산페르난도 공항, 비간 공항, 린가옌 공항 등 4개의 공항과 쿠리마오 항구, 살로마구 항구, 산페르난도(포로 포인트) 항구, 수알 항구 등 4개의 항구가 있다.[53] 바우앙 발전소, 수알 석탄 화력 발전소, 산 로케 다목적 프로젝트, 방기 풍력 발전소 등 10개의 발전소가 총 1,682MW의 전력을 생산한다. 대부분 건설-운영-양도(BOT) 방식으로 관리된다.[53]

다구판 시는 금융, 상업, 교육 중심지 역할을 하며, CSI 그룹, 매직 그룹, BHF 그룹, 콴존 그룹, 성 요셉 제약, 시아프노-타다 안경 등 지역 사업체들이 있다.

6. 인구

2020년 일로코스 지방 인구 및 주택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 가구 인구는 5,292,297명이었다.[78] 남성은 268만 명(50.7%), 여성은 261만 명(49.3%)이었다. 0~14세 연령대는 149만 명(28.2%)으로, 성비는 남성 100명당 여성 108명이었다. 생산 가능 인구 (15~64세)는 341만 명(64.5%)으로, 성비는 남성 100명당 여성 105명이었다. 노년층 인구(65세 이상)는 388,000명(7.3%)으로, 성비는 남성 100명당 여성 69명이었다.[80]

5세 미만 아동은 총 480,000명(9.1%)이었고, 5~24세 학령 인구는 198만 명(37.4%)이었다.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578,000명(10.9%)이었다. 이 지역의 전체 성비는 남성 100명당 여성 103명이었다. 가임기 여성(15~49세)은 총 133만 명으로 여성 인구의 50.7%를 차지했다. 인구 분포는 젊은 연령대에서 남성이 우세하고, 여성의 기대 수명이 더 길기 때문에 노년층에서 여성이 우세함을 보여준다.[80]

필리핀 통계청 인구 조사[79]
연도인구
1903정보 없음
1918정보 없음
1939정보 없음
1948정보 없음
1960정보 없음
1970정보 없음
1975정보 없음
1980정보 없음
1990정보 없음
1995정보 없음
2000정보 없음
2007정보 없음
2010정보 없음
2015정보 없음
2020정보 없음



2020년 기준 각 주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 일로코스노르테주: 609,588명 (11%)[78]
  • 일로코스수르주: 706,009명 (13%)[78]
  • 라유니온주: 822,352명 (16%)[78]
  • 팡가시난주: 3,163,190명 (60%)[78]

6. 1. 민족

일로코스 지방은 다양한 민족이 사는 곳이다.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지역은 주로 일로카노인(58.3%)이 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팡가시난인(29.7%), 타갈로그인(4.1%) 순이다. 그리고 여러 원주민 집단도 살고 있다.[5]

1800년대 일로카노 상인


각 민족별 인구 및 지역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민족총 인구북일로코스주남일로코스주라 유니온주팡가시난주
일로카노인3,083,391명570,849명580,484명673,312명1,258,746명
팡가시난인1,570,600명1,156명1,769명10,319명1,557,356명
타갈로그인219,011명9,415명8,721명23,518명177,357명



주요 민족 외에도, 일로코스 지방에는 여러 코르디예라(이고로트) 원주민이 살고 있다. 여기에는 남일로코스주에 가장 많이 거주하는 이네그(팅기안)(34,262명), 라 유니온주에 가장 많은 칸카나에족(85,864명), 주로 남일로코스주에서 발견되는 바고족(73,371명)이 있다. 이 지역의 다른 원주민 집단으로는 라 유니온주의 이발로이족, 북일로코스주의 이스나그족, 발랑가오족, 이푸가오족, 그리고 남일로코스주의 칼링가족 등이 있다.[5]

이 지역 출신이 아닌 다른 소수 민족으로는 마긴다나오인, 마라나오인, 타우수그인, 카팜팡간인, 세부아노인, 힐리가이논인중국인[81], 인도인[82][83]과 같은 외국인과 필리핀에서 태어난 그 후손들이 있다.

6. 2. 언어


  • ---

일로카노어는 이 지역 대다수의 주요 언어이며, 라우니온는 2012년부터 이를 공용어로 인정하고 있다.[84] 카가얀 계곡 (제2지역), 코르디예라 행정 지역, 중앙 루손 (제3지역)의 일부 지역에서도 일로카노어와 비일로카노어 거주자들 사이의 공통어로 사용된다. 민도로, 팔라완, 민다나오 (특히 소크사르젠의 일부 지역)에서도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일로카노인들은 20세기 초부터 상당한 규모로 거주해왔다. 2022년 기준으로 약 1,100만 명의 화자가 있는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캘리포니아하와이를 포함한 해외에도 많은 화자를 두고 있다.[85]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주요 필리핀 지방 언어는 팡가시난어(같은 이름의 민족 집단인 팡가시난 지방의 토착어)이다. 팡가시난의 공식 언어이자 토착 언어이며, 이 지역의 고도로 도시화된 지역인 중앙 팡가시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다구판, 링가옌, 산 카를로스 등과 같은 도시 중심지에서 모국어로 사용된다. 인근 타를라크, 라우니온, 벵게트에서도 모국어 화자를 찾아볼 수 있다. 볼리나오어와 서부 팡가시난의 삼발어와 같은 주요 지방 언어, 그리고 코르디예라 행정 지역의 경계 근처의 코르디예라어가 이 지역에서 사용된다. 타갈로그어누에바에시하와 경계를 접한 마을의 주민들이 사용하며, 표준 방언인 필리피노어와 영어도 이 지역에서 사용되고 이해되며, 비즈니스, 교육 및 미디어에 활용된다.

이 지역 토착 언어가 아닌 언어들도 해당 지역의 민족 공동체에 의해 다양한 정도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마라나오어, 마긴다나오어, 타우수그어, 캄팡가어 (볼리나오어 및 삼발어와 관련),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등이 있다.

6. 3. 종교

2020년 일로코스 지방의 가구 인구는 로마 가톨릭이 82.0%(4,338,887명)로 가장 많았다. 두 번째로 큰 종교는 Iglesia ni Cristo(3.44%, 181,885명)였으며, 아글리파이(1.97%, 104,366명)가 그 뒤를 이었다.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는 인구의 1.65%(87,635명)를 차지했다.[86]

개신교, 여호와의 증인, 연합 감리 교회, 하나님의 성회와 같은 다른 기독교 단체들은 전체적으로 적은 비율(각각 0.8% 이하)을 차지했다. 지방별 로마 가톨릭 신자 비율은 팡가시난이 62.6%(2,715,621명)로 가장 높았고, 라 유니온 16.0%(695,867명), 일로코스 수르 13.2%(574,136명), 일로코스 노르테 8.2%(353,263명) 순이었다. Iglesia ni Cristo의 경우, 팡가시난이 111,149명으로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했고, 일로코스 노르테 30,678명, 라 유니온 23,374명이 그 뒤를 이었다.[86]

2020년 일로코스 지방의 이슬람교 신자는 절반 이상이 팡가시난에 거주하며 7,037명(56%)이었고, 라 유니온 2,021명(16.2%), 일로코스 수르 1,932명(15.5%), 일로코스 노르테 1,489명(11.9%) 순이었다. 불교 신자는 653명이었으며, 이 중 360명(55.1%)이 팡가시난, 25%가 라 유니온, 10.4%가 일로코스 노르테, 9.5%가 일로코스 수르에 거주했다.[86]

7. 문화

일로코스 지방은 일로카노, 팡가시난, 코르디예라 사람들의 풍부한 전통을 반영하는 다양한 문화 유산을 자랑한다. 이 지역은 수 세기 동안 식민 열강, 인접 지역 및 토착 오스트로네시아의 영향을 받아 외래 요소를 토착 관행과 훌륭하게 통합하면서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보존해 왔다.

아벨(Inabel) 직조공이 전통 일로카노 직조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북부의 일로카노족은 제한된 농지에서 생활하는 어려움 속에서 형성된 근면함과 검소함으로 유명하다.[87] 이들의 문화는 가족 가치, 절약 정신, 근면을 강조한다. 비아그 니 람앙 서사시는 일로카노의 번성하는 문학 전통을 보여준다. 피낙벳과 디넹뎅과 같은 요리가 특징인 일로카노 요리는 현지 재료의 실용적인 사용과 풍부하고 흙내음이 나는 맛을 선호하는 것을 반영한다. 다밀리(적점토 도자기)와 이나벨 직조와 같은 전통 예술은 그들의 창의성과 회복력을 강조한다. 나무 틀에서 제작된 복잡한 패턴의 수직물은 수세기 된 예술 형태를 보존한다. 파물리나웬 및 발세와 같은 음악과 춤은 축제와 기념 행사의 중심이며 일로카노 전통의 풍성함을 더한다.

''사야우 에드 타페우 나 방코''(벤치 댄스)는 전통 팡가시난 민속 춤으로, 링가옌에서 유래되었다.


남쪽의 팡가시난은 해안 문화와 농업 유산으로 유명하다. 팡가시난 사람들은 어업과 소금 생산과 관련된 전통을 유지하고 있으며, 소금 생산은 팡가시난 지방의 이름(소금의 땅)을 부여했다. 투피그(구운 쌀 케이크) 및 방거스 요리와 같은 별미가 특징인 그들의 요리는 땅과 바다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를 반영한다. 팡가시난은 또한 통통, 울리란, 디파란 및 파비틀라와 같은 형태의 번성하는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비나수안 및 사야우 에드 타페우 나 방코(벤치 댄스)와 같은 팡가시난 민속 춤은 팡가시난의 풍부한 문화 유산을 반영하여 우아함, 예술성 및 지역 사회의 축제 전통을 보여준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소개된 연극 예술 형태인 이 지방의 코메디아 공연은 카톨릭 주제와 지역 민속을 결합하고 문화적 하이라이트로 남아 있다.

동쪽의 코르디예라 고원은 이 지역에 독특한 산악 문화를 가져온다. 이고로트의 고향인 이 지역은 상징적인 계단식 논과 자연과의 깊은 영적 연결을 반영하는 농업 의식으로 유명하다. 코르디예라 예술은 목각, 대나무 공예, 금속 세공, 전통 쌀 와인 타푸이를 통해 빛을 발하며, 이는 종종 의식적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발효 기술의 숙달을 반영한다. 전통 음악은 강사(꽹과리) 및 칼라렝(코 피리)와 같은 악기를 특징으로 하며, 카냐오 또는 타야우 및 타데크와 같은 춤은 조상 영혼에 대한 감사와 경외심을 표현한다.

방거스 축제 - ''길론-길론 에드 발레이'' 거리 댄스 경연


팡가시난의 방거스 축제와 피스타이 다얏(바다 축제), 일로코스 수르의 칸나위단 축제와 같은 이 지역의 축제는 관습, 요리, 전통 춤의 활기찬 조화를 보여준다. 유네스코가 인정한 비간 시로 대표되는 식민지 시대 건축물은 이 지역에 대한 스페인 영향을 강조한다. 비간의 축제 기간 동안 공연되는 비나트바탄 춤은 일로카노의 토착 직조 전통을 기념한다. 마찬가지로, 팡가시난의 신앙 기반 축제는 카톨릭과 토착 신앙을 혼합하여 이 지방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한다.

212x212px


이 지역은 전국적인 찬사를 받은 수많은 예술가를 배출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현재 존재하는 비아그 니 람앙 텍스트를 출판하는 데 도움을 준 비간 출신의 작가이자 활동가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가 있다. 바도크에서 태어난 필리핀 혁명 시대의 활동가이자 지도자 후안 루나, 그리고 소설 아메리카 이즈 인 더 하트가 "필리핀계 미국인의 경험을 담은 최고의 텍스트"로 여겨지는 비날로난 출신의 카를로스 불로산이 있다.[88]

이 지역에는 또한 필리핀 국립 예술가 여러 명이 있다.

예술가분야수여 연도
빅토리오 칸디도 에다데스시각 예술(회화)1976년
루크레시아 카실라그음악1989년
세베리노 몬타노연극2001년
프란시스코 시오닐 호세문학2001년
살바도르 베르날연극 및 디자인2003년

[89]

이 지역에는 또한 국립 생존 보물(가와드 사 마닐리크하 응 바얀) 여러 명이 있다. 여기에는 피나게벨의 일로카노 직조 전통에 대한 전문 지식으로 유명한 마스터 직조공 마그달레나 가마요, 그리고 일로카노 구두 전통인 달롯과 기타 구두 전통을 전문으로 하는 아델리타 바갈이 있으며, 둘 다 일로코스 노르테 출신이다.

현대 예술에서 2023년에 시작된 갈릴라 예술 축제는 팡가시난 예술가를 소개하고 팡가시난의 네 번째 지구의 관광 명소를 강조한다. 이 축제는 지방에서 예술을 육성하는 것 외에도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한다.[90]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Health 2020-10-16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0-03-13
[3] 웹사이트 Tables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4-04-26
[4]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Region | DepEd RO1 https://depedro1.com[...] 2021-09-15
[5]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psa.gov.ph/c[...] 2024-10-17
[6] 서적 The Global Prehistory of Human Migration 2014
[7] 간행물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2021-03-30
[8] 웹사이트 History – Vigan City http://vigancity.gov[...] 2024-11-22
[9] 뉴스 Looking into the past through the eyes of the future https://www.rappler.[...] 2022-01-03
[10] 서적 The Discovery of the Igorots New Day Publishers 1974
[11] 서적 The History of Agoo: 1578-2005 Limbagan Printhouse 2005
[12] 서적 Pangasinan, 1572-1800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13] 웹사이트 National Museum http://www.nationalm[...]
[14] 웹사이트 Bolinao Teeth Ornaments http://masterpieces.[...] 2015-03-01
[15] 웹사이트 Recovered Artefacts & Treasures from the Philippines http://pinoy-culture[...] 2015-03-01
[16] 뉴스 The Bolinao Skull http://opinion.inqui[...]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5-03-01
[17] 서적 The Ilocos Heritage Tower Book House 2006
[18] 웹사이트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www.xeniaedit[...] 2024-02-23
[19]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s://ia601608.us.[...]
[20] 문서 Culture and History by Nick Joaquin
[21]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pain; December 10, 1898 http://avalon.law.ya[...] "[[Lillian Goldman Law Library]], Yale Law School" 2014-06-15
[22] 웹사이트 'BOOK REVIEW: Ilocano Responses to American Aggression 1900-1901 -' https://thefilipinoc[...] 2024-11-22
[23] 문서
[24] 서적 The U.S. Army and Irregular Warfare 2010-02-20
[25]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pangasin[...] 2024-11-22
[26] 웹사이트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Philippine Educational System http://www.deped.gov[...] RP Department of education 2008-03-11
[27] 웹사이트 Diocese of San Jose, Nueva Ecija – History http://www.dioceseof[...] 2017-02-07
[28] 웹사이트 Agno Rustic Pangasinan 0 http://www.manilatim[...] 2018-05-02
[29] 웹사이트 HyperWar: US Army in WWII: Fall of the Philippines [Chapter 6] https://www.ibiblio.[...] 2024-11-25
[30] 문서 "A Democracy at War: America's Fight at Home and Abroad in World War II"
[31] 웹사이트 Pacific Wrecks – Lingayen Gulf, Luzon, Philippines https://pacificwreck[...]
[32] 뉴스 Tabacalera: 130 years of cigars and Philippine history https://www.philstar[...] 2024-03-26
[3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philstar[...] 2024-03-30
[34] 간행물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Journal, June 1951 https://repository.m[...] 1951-06
[35] 웹사이트 Tobacco History https://www.nta.da.g[...] 2024-03-26
[36]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37] 웹사이트 Ilocanos remember dark days of martial law, vow to continue fight https://www.bulatlat[...] 2012-10-02
[38] 웹사이트 Honoring Davao's Contributions to the Struggle for Rights, Freedom http://www.bantayog.[...] 2018-02-23
[39] 뉴스 VOICES FROM MINDANAO: Fear is not a good foundation for getting Mindanao out of the rut https://www.mindanew[...] 2017-07-10
[40] 웹사이트 PALABAY, Armando D. – Bantayog ng mga Bayani http://www.bantayog.[...] 2017-01-18
[41] 웹사이트 MARTYRS & HEROES: PEDRO, Purificacion A. http://www.bantayog.[...] 2016-07-13
[42] 웹사이트 Human Rights Martyrs of the Word https://www.bulatlat[...] 2003-12-14
[43] 간행물 No Way to Go But Onwards! Philippine Religious Resist Marcos Repression http://religion.lib.[...] Christian Conference of Asia 1983-03
[44] 서적 The Politics of NGOs in Southeast Asia Routledge
[45] 웹사이트 A Tribute to Human Rights Lawyer David Bueno (1988) http://www.bantayog.[...] 2015-08-19
[46]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newsaints.fai[...]
[47]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1, s. 1972 https://www.official[...] 1972-09-24
[48]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224, s. 1973 https://www.official[...] 1973-06-22
[49]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4695: An Act Creating the Provinces of Benguet, Mountain Province, Ifugao and Kalinga-Apayao http://www.chanroble[...]
[50] 웹사이트 23 Years in La Union https://www.philnavs[...] 2015-12-12
[51] 웹사이트 Aringay through the years https://aringaytouri[...]
[52] 웹사이트 Vanishing Brgy. Alaska: Who's paying for loss and damage? https://www.rappler.[...] 2017-12-13
[53] 웹사이트 ILOCOS REGION https://boi.gov.ph/w[...]
[54] 웹사이트 Region 1 - Regional Profile https://www.dti.gov.[...]
[55] 웹사이트 Enchanted Aw-asen Falls - Sigay LGU https://sigay.gov.ph[...] 2023-06-27
[56] 웹사이트 List of Region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57]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ww.doh.gov.[...] Department of Health 2020-08-27
[58] 웹사이트 PSGC Interactive;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59] 웹사이트 PSGC Interactive; List of Cities http://www.nscb.gov.[...]
[60] 웹사이트 Ilocos Region's economy accelerates by 7.1 percent in 2023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61] 웹사이트 Economic Performance of the Provinces of Ilocos Region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62] 웹사이트 Ilocos Norte sustains tag as among ‘least poor province’ in PH https://www.pna.gov.[...]
[63] 웹사이트 Poverty Statistics 11 out of 18 Regions Recorded Significant Decreases in Poverty Incidence in 2023 https://psa.gov.ph/s[...]
[64] 웹사이트 Region 1 - Profile https://www.dti.gov.[...]
[65] 웹사이트 Ilocos Region's Aquaculture Production Situation in 3rd Quarter 2023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66] 웹사이트 Dasol remains Pangasinan’s top salt producer https://www.pangasin[...] 2023-05-30
[67] 웹사이트 Pangasinan salt farm aims to hike production https://www.manilati[...] 2024-11-26
[68] 웹사이트 Ilocos Region’s Fisheries Production Increases in Second Quarter 2023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69] 웹사이트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Palay Production in the Ilocos Region Decreases in 1st Quarter 2023 https://rsso01.psa.g[...]
[70] 웹사이트 Palay Situation Report, January to December 2023 https://psa.gov.ph/c[...]
[71] 웹사이트 Highlights of Garlic Production Ilocos Region, 2022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2024-12-04
[72] 웹사이트 Tobacco Major Non-Food and Industrial Crops Quarterly Bulletin, April-June 2023 https://psa.gov.ph/m[...] 2024-12-04
[73] 웹사이트 Tabacco Production: THE ILOCANO FAMILY'S LIFELINE https://nta.da.gov.p[...] 2024-12-04
[74] 웹사이트 Corn Production in the Ilocos Region Decreases in 1st Quarter 2023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2024-12-04
[75] 웹사이트 Highlights of Selected Fruits Production Ilocos Region 2021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2024-12-04
[76] 웹사이트 Highlights of Major Vegetables and Rootcrops Production in Ilocos Region 2021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2024-12-04
[77] 웹사이트 Cattle Situation in Ilocos Region Second Quarter 2024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2024-12-04
[78] 웹사이트 Population Counts and Urban Population of Ilocos Region (Results of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2024-11-22
[79] 웹사이트 Population and Annual Growth Rates for The Philippines and Its Regions, Provinces, and Highly Urbanized Cities https://www.census.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3-08-09
[80] 웹사이트 Household Population Age and Sex in Ilocos Region (2020 CPH)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2024-11-22
[81] 웹사이트 Chen Laiping met the Fil-Chinese community in Vigan and visites University of Northern Philippines http://laoag.china-c[...] 2023-09-23
[82] 웹사이트 Indian businesses explore opportunities in Ilocos Norte https://www.manilati[...] 2023-04-04
[83] 문서 Rosario Mendoza Cortes, Pangasinan, 1801–1900: The Beginnings of Modernization
[84] 웹사이트 Iloko La Union's official language https://www.philstar[...] 2023-09-23
[85] 웹사이트 Language of the Month April 2022: Ilocano https://languagemuse[...] 2022-04-30
[86] 웹사이트 Religious Affiliation in llocos Region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gion I https://rsso01.psa.g[...] 2024-11-22
[87] 서적 Tikim : essays on Philippine food and culture https://www.worldcat[...] 2020
[88] 웹사이트 America Is in the Heart: A Personal History by Carlos Bulosan (Introduction by Carey McWilliams)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0-08-23
[89] 웹사이트 About Culture and Arts http://www.ncca.gov.[...] 2022-01-11
[90] 웹사이트 Arts, culture, tourism converge for Pangasinan's Galila Arts Fest https://www.pna.gov.[...] 2023-11-02
[91] Youtube Armando Palabay https://www.youtube.[...] Commission on Human Rights of the Philippines
[92] 웹인용 Population and Annual Growth Rates for The Philippines and Its Regions, Provinces, and Highly Urbanized Cities https://www.census.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3-08-09
[93]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94] 간행물 2000
[95] 간행물 2003
[96] 간행물 2006
[97] 간행물 2012
[98] 간행물 2015
[99] 간행물 2018
[100]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