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동 장씨 (상장군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동 장씨 (상장군계)는 고려 시대 삼중대광 신호위상장군 장금용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옥산 장씨를 포괄하며, 25개의 분파가 존재한다. 주요 분파로는 종파, 남산파, 진가파, 진평파, 황상파 등이 있다. 인동은 경상북도 구미시와 칠곡군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이다. 조선 시대에 많은 인물을 배출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현대 인물들이 있다. 인구 분포는 경상북도 중부, 전라남도 남서부, 충청북도 북동부 등에서 2%를 초과하는 지역이 있다. 종가가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하며, 옥계서원, 옥산사 등 유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인동 장씨 (상장군계)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인동 장씨 (仁同張氏)
관향경상북도 구미시·칠곡군 인동
시조장금용(張金用)
역사
창성 시기고려 시대
창성 배경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여 창성
분파옥산 장씨 (玉山張氏)
계통
상장군계 시조장금용(張金用)
직제학계 시조장계(張桂)
주요 인물
상장군계장지연
장면
장택상
장도영
장태완
장세동
장훈
장하준
기타장안세
장현광
장응일
장만
장복추
장승원
장석영
장지영
장건상
장기영
장재식
장하성
장하석
장하진
장영신
장성만
장성수
희빈 장씨
장동건
기타 정보
대종회인동장씨 대종회 (상장군계)
참고 자료
디지털구미문화대전인동장씨 - 디지털구미문화대전
KOSIS 통계KOSIS

2. 역사

시조 장금용(張金用)은 고려 초 삼중대광(三重大匡) 신호위상장군(神虎衛上將軍)을 역임하였다. 상장군공 이래 후손들이 옥산에 세거하면서 지명에 따라 본관을 옥산(玉山)으로 하였다.[6] 옥산의 정식 행정구역 명칭이 인동으로 변경되어 지금은 본관을 인동(仁同)으로 쓰고 있다. 인동 본향에서는 역사적인 이름인 연유로 옥산을 본관으로 고집하는 후손도 있다. 옥산 장씨(玉山 張氏) 또한 상장군계 인동 장씨에 속한다. 옥산화벌(玉山華閥)로 알려져 있다.[7]

3. 본관

인동(仁同)은 경상북도 구미시칠곡군에 위치하는 옛 인동군(仁同郡)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이다.[8]

4. 분파

4. 1. 주요 분파

대동보에는 총 27개 분파가 기록되어 있었으나, 안주파(安州派)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에 거주하여 현황 파악이 어렵고 성주파(城州派)는 후손이 끊어졌다고 전해져 현재는 25개 분파가 있다.

분파명분파조 (세대)분파조 이름주요 경력 및 정보
종파(宗派) (중리파)시조장금용(張金用)시조 장금용의 직계 후손
남산파(南山派)15세장우(張俁)조선 중직대부(中直大夫) 사천진병마첨절제사행현감(泗川鎭兵馬僉節制使行縣監) 역임
진가파(眞佳派)16세장맹창(張孟倡)조선 예빈시(禮賓寺) 참봉(參奉) 역임
진평파(眞坪派)17세장신손(張信孫)조선 중종 2년 진사 입격
황상파(凰顙派)18세장잠(張潛)대유학자, 조선 중종 재위 시 진사 입격
함평파(咸平派)6세장백림(張百林)고려 우참찬(右參贊) 역임
흥해파(興海派)6세장세규(張世圭)고려 직장영동정(直長令同正) 역임
화순파(和順派)6세장세재(張世榟)고려 우교위(右校尉) 역임
청안파(淸安派)9세장인계(張仁溪)고려 통훈대부(通訓大夫) 판통례문사(判通禮門事) 역임
영광파(靈光派)9세장인연(張仁璉)고려 소윤(少尹) 역임
청주파(淸州派)10세장득선(張得宣)고려 충렬왕 재위 시 사순위중랑장(司巡衛中郞將) 역임, 평장사(平章事) 증직, 기성군(箕城君) 봉작
가평파(加平派) (감무공파)11세장게(張垍)고려 감무(監務) 역임
경파(京派) (태상경공파)13세장백(張伯)고려 말 태상경(太常卿) 역임
고흥파(高興派)13세장중일(張仲日)고려 말 내사(內寺) 역임, 조선한림(翰林) 제수되었으나 불취
금구파(金溝派)14세장기건(張紀乾)조선 통훈대부(通訓大夫) 사복시정(司僕寺正) 거쳐 진안현감(鎭安縣監) 역임
의흥파(義興派)16세장맹우(張孟佑)조선 선무랑(宣務郞) 역임
영덕파(盈德派)16세장맹선(張孟善)조선 문장가
양월파(良月派)16세장맹순(張孟洵)조선 예빈사(禮賓寺) 참봉(參奉) 역임
안성파(安城派)16세장맹희(張孟僖)조선 금화서(禁火署) 별좌(別坐) 역임
양양파(襄陽派)17세장달손(張達孫)조선 훈도(訓導) 역임
초계파(草溪派)17세장지손(張智孫)조선 통훈대부(通訓大夫) 사헌부 감찰(監察) 역임
양주파(楊州派)17세장석손(張碩孫)조선 도사(都事) 역임, 통정대부(通政大夫) 좌통례(左通禮) 증직
호명파(虎鳴派)18세장도(張濤)조선 문장가
울진파(蔚珍派)18세장연(張演)조선 통정대부(通政大夫) 공조참의(工曹參議) 증직
무안파(務安派)18세장부개(張傅凱)조선 성종 재위 시 헌납(獻納) 및 보국숭록대부(輔國崇錄大夫)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역임


5. 인물

조선 시대에 문과 50명(장원 2명, 아원 2명), 무과 154명(장원 5명, 아원 1명), 진사시 79명, 생원시 77명(장원 2명), 역과 23명(장원 7명), 의과 9명, 음양과 1명, 율과 22명(장원 9명) 등 총 415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으며, 음서제(蔭敍制)를 통해 관직에 진출한 음관(蔭官)도 104명에 이른다.[9]

5. 1. 고려 인물


  • 장국신(張國伸): 고려조 봉정대부(奉正大夫)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 내사령(內史令)
  • 장위(張偉): 고려조 통의대부(通議大夫) 검교군기감사(檢校軍器監事)
  • 장안세(張安世): 고려조 함흥부사(咸興府使)·정헌대부(正憲大夫) 덕녕부윤(德寧府尹)
  • 장중양(張仲陽): 고려조 김해부사(金海府使)·가선대부(嘉善大夫) 한성좌윤(漢城左尹)
  • 장안식(張安栻): 고려조 어사대(御史臺) 감찰어사(監察御史)
  • 장백림(張百林): 고려조 정헌대부(正憲大夫) 우참찬(右參贊)

5. 2. 조선 인물


  • 장현광(張顯光): 조선 중기의 학자, 문신, 철학자, 교육자로 호조참판, 의정부 우참찬을 거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장경우(張慶遇): 승정원 좌승지, 경연참찬관을 지냈다.
  • 장응일(張應一): 이조참의, 홍문관 부제학 등을 역임했다.
  • 장내범(張乃範): 공조참판을 지냈다.
  • 장경세(張慶世): 이조판서를 역임했다.
  • 장만(張晩): 병조판서, 의정부 우찬성을 지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옥성부원군(玉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장시안(張時安): 공조참판을 지냈다.
  • 장예상(張禮尙): 창성부사(昌城府使)를 역임했다.
  • 장한주(張漢柱): 정평부사(定平府使)를 지냈다.
  • 장우수(張宇秀): 한성판윤을 역임했다.
  • 장훈(張焄): 호조참판을 지냈다.
  • 장헌(張憲): 형조참의를 역임했다.
  • 장열(張烈): 이조판서를 지냈다.
  • 장현도(張顯道): 이조참판을 역임했다.
  • 장현충(張鉉忠): 강릉부사(江陵府使)를 지냈다.
  • 장지학(張趾學):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했다.
  • 장석용(張錫龍): 대사헌, 형조판서, 공조판서를 지냈다.
  • 장경역(張慶錫): 승정원 좌승지를 역임했다.
  • 장주한(張柱翰): 이조참판을 지냈다.
  • 장우한(張遇漢): 상주부사(尙州府使)를 역임했다.
  • 장사한(張師漢): 절충장군으로 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 장공한(張公漢): 병조참판을 역임했다.
  • 장시현(張始顯): 사헌부 대사헌을 지냈다.
  • 장돈(張暾): 개천군수(价川郡守)를 지냈으며, 사후 영돈녕부사에 추증되고 옥산부원군(玉山府院君)에 봉해졌다.
  • 장한신(張漢臣):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 장희적(張希籍): 갑산부사(甲山府使)를 지냈으며,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 장응현(張應賢):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 장득종(張得宗): 호조참판을 역임했다.
  • 장원한(張遠翰): 암행어사,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 장필한(張弼翰): 호조참판을 역임했다.
  • 장의일(張義一):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 장부개(張傅凱): 영돈녕부사를 역임했다.
  • 장석손(張碩孫): 통례원 좌통례를 지냈다.
  • 장지손(張智孫): 사헌부 감찰을 역임했다.
  • 장담(張潭): 승정원 좌승지를 지냈다.
  • 장응원(張應元): 사헌부 지평을 역임했다.
  • 장사의(張思義): 이조참판을 지냈다.
  • 장륜(張崙): 호조참판을 역임했다.
  • 장덕생(張德生): 함안군수(咸安郡守), 사헌부 장령을 지냈다.
  • 장사림(張士琳): 병조참판을 역임했다.
  • 장지풍(張志豊): 경기충청도 수군절도사, 황해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 장석룡(張錫龍): 형조판서를 역임했다. (동명이인 장석용(張錫龍)과 구분 필요)
  • 장효남(張孝男): 호조참판, 동지의금부사를 지냈다.
  • 장우택(張宇澤): 어모장군으로 경상좌도 수군도총관부사(水軍都摠管府使)를 지냈다.
  • 장명동(張命東): 호조참판, 의금부사를 역임했다.
  • 장희(張熙): 충순위 출신으로 승정원 좌승지를 지냈다.
  • 장붕익(張鵬翼): 창원부사(昌原府使), 훈련대장, 형조참판을 역임했다.
  • 장태소(張泰紹): 수원부사(水原府使), 포도대장,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냈다.
  • 장지항(張志恒): 어영대장, 형조판서,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했다.
  • 장현택(張鉉宅): 공충도 병마절도사, 풍덕부사(豊德府使), 형조참판, 어영대장을 지냈다.
  • 장복추(張福樞): 조선 후기의 재야 유학자이자 교육자로, 영남 3학자, 3징사(徵士) 중 한 명으로 꼽혔다.
  • 장승원(張承遠): 경상북도 관찰사를 지냈다.
  • 장헌상(張憲相): 경기도 관찰사를 역임했다.
  • 장사진(張士珍):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으며, 사후 수군절도사에 추증되었다. 일문삼의사(一門三義士) 중 한 명이다.
  • 장봉한(張鳳翰): 임진왜란의병으로 활동했으며, 일문삼의사(一門三義士) 중 한 명이다.
  • 장홍한(張鴻翰): 임진왜란의병으로 활동했으며, 상주판관(尙州判官)을 지냈다. 일문삼의사(一門三義士) 중 한 명이다.
  • 장해(張 0): 병자호란 때 인동(仁同) 지역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했다. (이름의 한자가 불명확함)

5. 3. 근대 인물


  • 장태수(張泰秀): 대한제국 관료이자 순국의사이다. 통정대부(通政大夫) 병조참의(兵曹參議), 동부승지(同副承旨), 춘추관수찬관(春秋官修撰官) 등을 지냈으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장석영(張錫英): 대한제국의 유학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을사오적 처단을 요구하는 청참오적소(請斬五賊疏)를 올렸으며, 파리 강화 회의에 보내진 독립청원서(파리장서)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장길상(張吉相):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사업가, 금융자본가이다. 규장각(奎章閣) 직각(直閣)을 지냈으며, 경일은행(慶一銀行)을 설립하였다.
  • 장직상(張稷相): 대한제국 및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하양 군수, 선산 군수, 대구상업회의소 회두 등을 역임했다.
  • 장지영(張志暎):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국문학자이자 언론인이다. 조선어학회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문화훈장과 한글공로표창을 받았다.
  • 장건상(張建相):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차장과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을 지냈으며, 해방 후 제2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장지연(張志淵): 일제 강점기의 애국계몽 운동가이자 우국 언론인이다. 황성신문에 논설 '시일야방성대곡'을 게재한 것으로 유명하다. 대한민국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 장진홍(張鎭弘):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대한광복단한국독립당에서 활동했으며,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의거를 주도하였다.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병준(張柄俊):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과 신간회 대표 등으로 활동하였다. 대통령 표창, 건국포장,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현식(張鉉植): 일제 강점기의 애국지사이자 대한민국의 관료이다. 대동신문 재정 책임자로 활동했으며, 해방 후 전라북도지사를 역임했다.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기석(張基奭):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대통령 표창, 건국포장,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재성(張在星):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의열단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독립유공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
  • 장면(張勉): 대한민국의 외교관, 교육자, 정치인이다. 제2대 및 제7대 국무총리, 제4대 부통령을 역임했다. 건국공로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택상(張澤相):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다. 미군정기 수도경찰청장, 제3대 국무총리, 부통령 권한대행을 지냈다.
  • 장도영(張都暎):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제14대 육군 참모총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국방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 장경순(張坰淳):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대한민국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으며, 농림부 장관, 제6·7·8·9·10대 국회의원(5선), 국회부의장을 지냈다.
  • 장기영(張基榮):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한국일보 사주, 한국은행 부총재, 경제기획원 장관, IOC 위원, 제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장동식(張東植): 대한민국의 경찰, 정치인이다. 서울특별시 경찰국장, 내무부 치안국장을 거쳐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장창국(張昌國):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정치가이다. 육군참모총장(육군 대장), 주 브라질 대사, 제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장성환(張盛煥): 대한민국의 군인, 관료이다. 공군참모총장(공군 중장), 주 태국 대사, 교통부 장관을 지냈다.
  • 장지수(張志洙):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인이다. 해군참모총장, 한국비료 사장, 호남정유 이사장을 역임했다.
  • 장성만(張聖萬):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다. 동서대학교 설립자이며, 제11·1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장재식(張在植): 대한민국의 금융인, 정치인이다. 제14·15·16대 국회의원과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
  • 장태완(張泰玩):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을 지냈으며, 제1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장형태(張炯泰): 대한민국의 관료, 기업인이다. 제19대 전라남도지사를 지냈으며, 해양도시가스 회장을 역임했다.
  • 장세동(張世東):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특전사 공수여단장, 대통령경호실장,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역임했다.
  • 장기오(張基梧):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으며, 총무처 장관, 민주자유당 특임행정위원을 지냈다.
  • 장상(張裳): 대한민국의 학자, 정치인이다. 제11대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국무총리 서리, 헌법재판소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 장훈(張勳): 재일 한국인 스포츠 선수이다. 일본 프로 야구 선수 및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했으며, KBO 총재 특별 보좌관을 지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 체육훈장 맹호장을 받았다.
  • 장하성(張夏成): 대한민국의 경영학자이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대통령 비서실 정책실장, 주중국대사를 역임했다.
  • 장하진(張夏眞): 대한민국의 사회학자이다. 충남대학교 교수, 제3대 여성부 장관, 초대 여성가족부 장관을 지냈다.
  • 장하준(張夏準):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장하석(張夏碩): 대한민국의 과학사학자, 과학철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과학역사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장승우(張丞玗): 대한민국의 관료, 기업인이다.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 통계청장, 기획예산처 장관, 한국투자금융지주 의장 겸 회장을 역임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 장제원(張濟元):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8대,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장영신(張英信):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관료이다. 애경그룹 회장이며, 제16대 국회의원, 국무총리비서실 공보관 겸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다.
  • 장세주(張世宙):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동국제강 대표이사 회장이다.
  • 장세홍(張世弘):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한국철강 사장을 지냈다.
  • 장세용(張世龍): 대한민국의 학자, 정치인이다.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를 지냈으며, 민선 7기 경상북도 구미시장을 역임했다.

5. 4. 현대 인물


  • 장태수(張泰秀): 대한제국 관료이자 순국의사. 통정대부 병조참의, 동부승지, 춘추관수찬관을 지냈으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장석영(張錫英): 대한제국 시기 유학자이자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을사오적 처단을 주장하는 청참오적소(請斬五賊疏)를 올렸고, 파리장서의 초안을 작성했다.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장길상(張吉相): 대한제국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사업가, 금융자본가. 규장각 직각을 지냈고 경일은행을 설립했다.
  • 장직상(張稷相): 대한제국 및 일제 강점기 관료이자 대한민국 기업인. 하양 및 선산 군수를 역임했고, 대구상업회의소 회두를 지냈다.
  • 장지영(張志暎):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국문학자이자 언론인. 조선어학회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문화훈장과 한글공로표창을 받았다.
  • 장건상(張建相):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 상해 임시정부 외무차장과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을 지냈고, 해방 후 제2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장지연(張志淵): 일제 강점기 애국계몽 운동가이자 우국 언론인. 황성신문 주필로 활동하며 '시일야방성대곡'을 게재했다. 대한민국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 장진홍(張鎭弘):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대한광복단과 한국독립당 당원으로 활동했으며,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의거를 주도했다.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병준(張柄俊):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과 신간회 대표로 활동했다. 대통령 표창, 건국포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현식(張鉉植): 일제 강점기 애국지사이자 대한민국 관료. 대동신문 재정 책임자로 활동했고, 해방 후 전라북도지사를 지냈다.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기석(張基奭):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대통령 표창, 건국포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재성(張在星):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의열단원으로 활동했으며, 독립유공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 장면(張勉): 대한민국 외교관, 교육자, 정치인. 제2공화국 국무총리와 제4대 부통령을 역임했다. 건국공로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장택상(張澤相): 대한민국 정치가. 미군정기 수도경찰청장을 지냈고, 제3대 국무총리와 대한민국 부통령 권한대행을 역임했다.
  • 장도영(張都暎): 대한민국 군인, 정치가. 제14대 육군 참모총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국방부 장관을 지냈다.
  • 장경순(張坰淳): 대한민국 군인, 정치가. 대한민국 육군 중장으로 예편 후 농림부 장관과 제6대부터 제10대까지 5선 국회의원 및 국회부의장을 역임했다.
  • 장기영(張基榮): 대한민국 언론인, 정치인. 한국일보 사주였으며, 한국은행 부총재, 경제기획원 장관, IOC 위원,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장동식(張東植): 대한민국 경찰, 정치인. 서울특별시 경찰국장, 내무부 치안국장을 거쳐 제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장창국(張昌國): 대한민국 군인, 외교관, 정치가. 육군 대장으로 육군참모총장을 지냈고, 브라질 대사와 제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장성환(張盛煥): 대한민국 군인, 관료. 공군 중장으로 공군참모총장을 지냈고, 태국 대사와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
  • 장지수(張志洙): 대한민국 군인, 기업인.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하고, 한국비료 사장과 호남정유 이사장을 지냈다.
  • 장성만(張聖萬): 대한민국 교육자, 정치인. 동서대학교 설립자이며, 제11대, 1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장재식(張在植): 대한민국 금융인, 정치인. 제14대, 15대, 16대 국회의원과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
  • 장태완(張泰玩): 대한민국 군인, 정치가. 12·12 군사 반란 당시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이었으며, 제1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장형태(張炯泰): 대한민국 관료, 기업인. 제19대 전라남도지사를 지냈고, 해양도시가스 회장을 역임했다.
  • 장세동(張世東): 대한민국 군인, 정치가. 특전사령부 공수여단장, 대통령 경호실장,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역임했다.
  • 장기오(張基梧): 대한민국 군인, 정치가. 육군 중장으로 예편 후 총무처 장관을 지냈고, 민주자유당 특임행정위원을 역임했다.
  • 장상(張裳): 대한민국 학자, 정치인. 제11대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지냈고,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국무총리 서리를 역임했으며, 헌법재판소 자문위원을 지냈다.
  • 장훈(張勳): 재일 한국인 스포츠 선수. 일본 프로 야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로, 야구 해설위원과 KBO 총재 특별 보좌관을 지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과 체육훈장 맹호장을 받았다.
  • 장하성(張夏成): 대한민국 경영학자.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했다.
  • 장하진(張夏眞): 대한민국 사회학자. 충남대학교 교수, 제3대 여성부 장관, 초대 여성가족부 장관을 지냈다.
  • 장하준(張夏準): 대한민국 경제학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장하석(張夏碩): 대한민국 과학사학자, 과학철학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과학역사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장승우(張丞玗): 대한민국 관료, 기업인.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 통계청장, 기획예산처 장관을 지냈고, 한국투자금융지주 의장 겸 회장을 역임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 장제원(張濟元): 대한민국 정치인. 제18대, 20대,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장영신(張英信): 대한민국 기업인, 정치인, 관료. 애경그룹 회장이며, 제16대 국회의원과 국무총리 비서실 공보관 겸 정책자문위원을 지냈다.
  • 장세주(張世宙): 대한민국 기업인. 동국제강 대표이사 회장을 맡고 있다.
  • 장세홍(張世弘): 대한민국 기업인. 한국철강 사장을 역임했다.
  • 장세용(張世龍): 대한민국 학자, 정치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를 지냈고, 민선 7기 경상북도 구미시장을 역임했다.
  • 장기용
  • 장근석
  • 장동우
  • 장우영
  • 장규리
  • 장예은
  • 장윤주
  • 장동윤
  • 장나라
  • 장희령
  • 장미란
  • 희빈 장씨
  • 장성민
  • 장윤정
  • 존 창 이크
  • 장형광
  • 장동건
  • 장영철 (정치인)[1]

6. 인구 분포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많은 자치단체의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2%이며, 경상북도 중부, 전라남도 남서부, 충청북도 북동부 등 2%를 초과하는 지역도 있다. 전국에서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 가평군 (1,597명, 총인구의 2.88%)이다[5].

주요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광역자치단체기초자치단체세부 지역
경상북도구미시인의동·임수동·황상동
양호동·구평동·구포동·신동·오태동
장천면 상장리·신장리
경상북도고령군다산면 호촌리
경상북도영천시청통면 계지리
경상북도칠곡군북삼읍 율리·인평리
석적읍 반계리·성곡리·중리
가산면 송학리·학상리·학하리
기산면 각산리·봉산리·영리
약목면 관호리
경상북도김천시대덕면 연화리
경상북도상주시도남동
사벌국면 금흔리
화남면 임곡리
경상북도성주군벽진면 봉계리
경상북도의성군단북면 신하리
경상북도청도군각남면 함박리
경상북도경주시외동읍 죽동리
경상북도포항시남구 장기면 양포리
북구 흥해읍 초곡리
북구 송라면 조사리
경상남도거제시둔덕면 학산리
경상남도고성군영현면 연화리
경상남도김해시주촌면 내삼리
경상남도밀양시단장면 고례리
경상남도사천시사천읍 금곡리
사남면 초전리
경상남도창녕군대합면 모전리
경상남도창원시의창구 동읍 노연리
경상남도하동군악양면 축지리
강원도양양군강현면 방축리
강원도홍천군내면 방내리
경기도고양시덕양구 도내동·성사동
경기도가평군가평읍 산유리
충청북도제천시청풍면 단리·용곡리
충청남도서산시대산읍 기은리·오지리
충청북도괴산군청안면 작천리
전라북도군산시서수면 금암리
전라북도김제시금구면 서도리
전라북도완주군소양면 황운리
전라남도광양시옥룡면 율천리
전라남도고흥군도양읍 용정리
대서면 금마리
도덕면 가야리
점암면 월송리
전라남도담양군담양읍 오계리
전라남도무안군몽탄면 구산리
전라남도순천시주암면 갈마리
해룡면 상삼리
전라남도신안군안좌면 반월리
임자면 도찬리
전라남도여수시상암동·오천동
화양면 옥적리
전라남도영광군백수읍 대전리·상사리
평안북도박천군청룡면 응봉동·대화동
평안북도용천군북중면 동양동·원송동
함경남도영흥군덕흥면 풍성리·한봉리
순녕면 중양리·풍남리
홍인면 성북리·사현리


7. 유적

종가(宗家)는 경상북도 구미시 인의동(仁義洞)에 위치하고 있다. 1천여 년간 인동에 세거하며 종가와 유적을 보존해 오고 있다.
주요 유적


  • 경상북도 구미시 및 칠곡군 소재[11]
  • 옥계서원(玉溪書院)
  • 옥산사(玉山祠)
  • 고려삼중대광신호위상장군옥산장공유허비(高麗三重大匡神虎衛上將軍玉山張公遺墟碑)
  • 동락서원(東洛書院)
  • 여헌선생 신도비(旅軒張先生神道碑)
  • 금오서원(金烏書院)
  • 입암서원(立巖書院)
  • 인동장씨 대종가(옥산고택)
  • 남산파 대종가
  • 진평파 대종가
  • 황상파 대종가
  • 현암서원(賢巖書院)
  • 죽정 장선생 유허비(竹亭張先生諱潛遺墟碑)
  • 송은선생 유허비(松隱張安世先生遺墟碑)
  • 천청당선생 신도비(聽天堂張應一先生神道碑)
  • 삭제재: 장맹저(張孟儲)
  • 경양서당: 장업(張岌)의 강습소
  • 학림정: 장순(張峋)의 강학지소
  • 반계정사: 장내범(張乃範)의 추모지소
  • 영회당(永懷堂): 장성한(張成漢)의 추모지소
  • 원사정(遠思亭): 장신손(張信孫)의 추모지소
  • 봉양재: 장용한(張龍翰)의 추모지소
  • 경심재: 장제원(張悌元)의 추모지소
  • 일원재(一源齋): 장내도(張乃度)의 추모지소
  • 화산서당: 장경우(張慶遇)의 강학지소
  • 만계정: 장경우(張慶遇)의 추모지소
  • 대송재: 장경달(張慶達)의 추모지소
  • 진목재(眞木齋): 장보(張俌)의 추모지소
  • 술효당: 장신손(張信孫)의 추모지소
  • 귀로정(歸老亭): 장우일(張遇一)의 추모지소
  • 계산재: 장원(張原)의 추모지소
  • 심신재: 장우원(張宇遠)의 추모지소
  • 침류정(枕流亭): 장우상(張宇相)의 추모지소
  • 녹리서당(甪里書堂): 장복추(張福樞)의 강학지소
  • 하산재: 장규석(張圭錫)의 추모지소
  • 뇌양정사(磊陽精舍): 장승택(張升澤)의 강학지소
  • 녹동서당(甪洞書堂): 장석영(張錫英)의 강학지소
  • 기주재: 장일환(張日煥)의 추모지소
  • 공실서당: 장상학(張相學)의 강학지소
  • 아헌정사(我軒精舍): 장선원(張善遠)의 강학지소

참조

[1] 웹사이트 장영철(張永喆) https://rokps.or.kr/[...]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3] 웹사이트 인동장씨 - 디지털구미문화대전 http://gumi.grandcul[...] 2023-08-15
[4] 논문 한국인의 기원에 관한 중고생의 의식과 『국사』교과서와의 관계 https://yamagata.rep[...] 야마가타대학 역사·지리·인류학연구회 2012-03
[5]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6] 문서 옥산(玉山)은 인동의 옛 별호이다.
[7] 웹사이트 상장군계 인동 장씨 - 성씨뉴스닷컴 http://www.sungssi.c[...]
[8] 문서 현재의 구미시 인의동·황상동·구평동·신동·임수동·진평동·시미동·옥계동·구포동·양호동·거의동·금전동·오태동·장천면과 칠곡군 북삼읍·석적읍·왜관읍·약목면·기산면·가산면 일대에 해당한다.
[9] 웹사이트 인동장씨 (상장군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10] 웹사이트 인동장씨 (상장군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11] 웹사이트 인동 장씨 (상장군계) 옥산고택 -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
[12] 웹인용 인동 장씨 대종회 (상장군계) - 遺址 http://www.indongjan[...] 2021-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