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철학은 유럽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청교도 종교적 전통과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강조했다. 18세기에는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칼뱅주의 개혁 신학과 미국 계몽주의의 도덕 철학이 발전했으며, 새뮤얼 존슨과 조너선 에드워즈 등의 사상가들이 활동했다. 19세기에는 낭만주의, 초월주의, 실용주의가 주요 사조로 부상했고, 특히 실용주의는 찰스 샌더스 퍼스, 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에 의해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20세기에는 분석 철학, 과정 철학, 여성주의, 비판 이론 등이 등장했으며, 정치 철학 분야에서는 롤스, 노직, 매킨타이어 등의 사상가들이 활동했다. 20세기 말에는 실용주의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으며, 마음의 철학, 법철학, 정치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국 철학 | |
---|---|
지도 | |
개요 | |
유형 | 철학 |
국가 | 미국 |
지역 | 북미 |
주요 관심사 | 실용주의 자유주의 초월주의 과정 철학 여성주의 인종 철학 |
역사 | |
초기 영향 | 계몽주의 공화주의 개신교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영국 경험주의 |
주요 시대 | 초월주의 운동 (1830년대 ~ 1860년대) 실용주의 (1870년대 ~ 현재) 분석 철학 (20세기) 신실용주의 (20세기 후반) |
관련 주제 | 미국 문학 미국 종교 |
주요 인물 | |
주요 개념 | |
영향 | |
영향 받은 분야 | 미국 법 미국 정치 미국 교육 미국 문학 미국 종교 |
학회 및 단체 | |
참고 문헌 | |
학술지 | 미국 철학 저널 실용주의 윌리엄 제임스 연구 초월주의 연구 듀이 연구 |
2. 17세기: 초기 식민지 시대의 철학
청교도의 뉴잉글랜드 정착은 초기 미국 철학을 종교적 전통(청교도 섭리주의)에 기반하게 하였고,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이는 〈코네티컷 기본법〉(1639년)이나 〈자유 메사츄세츠 단체〉(1641년)와 같은 초기 식민지 문서에 명백히 드러나 있다.[174][3][126]
18세기 미국 철학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청교도 칼뱅주의 개혁 신학이 제1차 대각성 운동의 영향을 받아 계몽주의 자연 철학으로 발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 대학에서 가르쳐진 미국 계몽주의의 도덕 철학이다.[176] 이들은 "1750년대와 1770년대의 격동기"에 "미국을 위한 새로운 지적 문화를 창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6] 건국의 아버지들의 정치 사상과 관련된 유럽 계몽주의의 미국적 구현으로 이어졌다.[1]
존 윈throp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총독)과 같은 사상가들은 공공 생활이 사생활에 우선한다고 주장하였고, 이러한 주장은 로저 윌리엄스와 같은 신학자들이 종교적 관용과 정교분리를 강조하는데 영향을 주었다.[175] 로저 윌리엄스는 공동체에서 종교적 동질성을 이루려는 것보다 종교 관용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4][127]
3. 18세기: 계몽주의와 미국 철학의 발전
존 윈스럽과 같은 초기 사상가들은 공공 생활이 사생활에 우선한다고 주장했다.[175] 이는 로저 윌리엄스와 같은 신학자들이 종교적 관용과 정교분리를 강조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175]
3. 1. 계몽주의의 도입과 영향
프랜시스 베이컨, 데카르트, 뉴턴, 로크 등 유럽 계몽주의 철학자들의 사상이 18세기에 미국에 소개되었다.[176] 새뮤얼 존슨과 조너선 에드워즈는 이러한 사상에 영향을 받아 자신들만의 미국적 신학과 철학을 발전시켰다.[176] 두 사람 모두 예일대학교에서 교육받은 회중 교회 성직자였으며, 계몽주의 사상을 수용하고 확장했다.[176]
존슨은 예일대학교에서 계몽주의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미국 계몽주의의 시작을 알렸다.[184] 에드워즈는 존슨의 제자였으며, 제1차 대각성 운동 시기에 정열적인 설교로 유명한 신학자였다.[185] 철학적으로는 경험론과 뉴턴 물리학을 바탕으로 플라톤주의를 기독교와 결합시켰다.[185]
18세기 후반에는 스코틀랜드 상식 학파가 미국에 도입되어 남북전쟁 시기까지 학계를 지배했다.[178]
3. 2. 개혁 칼뱅주의
조너선 에드워즈는 미국의 중요한 철학자이자 신학자로 꼽힌다.[185] 그는 제1차 대각성 운동 시기에 〈분노하신 하느님의 손에 든 죄인〉과 같은 설교로 신의 절대적인 권능과 신성함을 강조했다. 철학적으로는 경험론적 인식론과 뉴턴 물리학을 바탕으로 기독교와 결합된 플라톤주의를 제시했다. 에드워즈는 조지 버클리의 영향을 받아, 비물질적인 정신은 이해와 의지를 가지며, 저항이라는 형이상학적 범주를 통해 뉴턴 물리학의 틀에서 이해의 영역을 해석했다. 그는 모든 대상이 저항하기 때문에 특정한 속성을 갖는다고 보았고, 저항은 신의 권능이 행사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뉴턴 운동 법칙에서 물체가 현재의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에드워즈는 계몽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청교도 신학을 개혁하려 했지만, 여전히 칼뱅주의를 옹호하고 양립주의를 주장하며 자유 의지를 부정했다. 그는 구원은 오직 신의 은총으로만 가능하다고 믿었다.
3. 3. 미국의 계몽주의
18세기에는 프랜시스 베이컨, 데카르트, 뉴턴, 로크, 버클리 등의 계몽주의 철학자들이 당시 영국의 식민지였던 미국에 소개되었다. 미국 출신의 새뮤얼 존슨과 조너선 에드워즈는 이러한 철학자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들 자신의 미국적 신학과 철학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계몽주의 사상을 수용하고 확장시켰다.
새뮤얼 존슨은 "미국 철학의 창시자"이자 "식민지 미국에서 최초의 중요한 철학자이자 최초의 철학 교과서 간행자"였다.[188] 그는 철학과 신학 이외에도 교육, 백과사전의 발행, 대학 교육과정의 수립, 도서 분류법의 개발 등 많은 일을 하였다.[189]
존슨은 "진정한 종교의 정수는 도덕성"이라는 관점을 제안하였고, "교단의 문제"는 모든 종교가 수용할 수 있는 비종교적 도덕 철학의 교육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190] 존슨의 도덕 철학은 데카르트와 로크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였고, 직접적으로는 윌리엄 울러스턴의 《자연 표현 종교》와 조지 버클리의 형이상학에서 영향을 받았다. 존슨은 1729년에서 1731년 사이에 버클리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존슨은 칼뱅의 예정설을 강하게 부정하였고, 사람은 자유의지와 로크가 주장한 인간의 자연권을 신봉하였다. 존슨의 혼성 철학은 자연 종교와 관념론이 결합된 것으로 스스로는 "미국 실천 관념론"(American Practical Idealism)이라고 불렀다.[191]
존슨의 도덕 철학은 그가 집필한 대학 교재 《기초 철학》에서 "미덕의 실천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최상의 행복"으로 정의되었다.[193] 벤저민 프랭클린은 존슨의 오랜 친구이자 교재의 출판인 그리고 교육 운동의 동지였다.[196] 존슨의 도덕 철학은 당대에 큰 영향을 주어 1743년에서 1776년 사이 미국 대학생의 절반이 이에 따른 교육을 받았고,[194] 미국 독립 선언의 사상적 기반 가운데 하나로 작용하였다.[195]
3. 4. 미국 국부들의 정치 철학
인지세법 시대에 정치 철학이 시민들의 주요 관심사로 부상하였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존 애덤스, 존 디킨슨, 알렉산더 해밀턴, 존 제이, 토머스 제퍼슨, 벤자민 프랭클린, 제임스 매디슨과 같은 사람들은 정치적 이슈에 대한 광범위한 글을 출간하였다. 17세기 이래 이어진 청교도적 주제를 여전히 다루는 가운데, 미국 국부들은 신과 국가, 개인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해 논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1776년 선포된 미국 독립 선언과 1778년 선포된 헌법에 반영되었다.
신생 독립국인 미국의 국체는 연방제 공화국으로서 권력 분립의 원칙에 따라 정부를 구성하여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가 상호 견제하도록 설계되었고, 입법부는 하원과 상원의 양원제를 채택하였다.[197]
국부들이 미국 독립 선언 안에서 언급되는 조물주, 자연의 신, 신의 섭리, 세계에 대한 신의 심판과 같은 용어들을 사용할 때 그들은 유신론 만을 염두에 두지는 않았다. 국부들의 신에 대한 관념에는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나 볼테르, 루소와 같은 유럽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이신론적 관념도 포함되어 있었다.[198] 그러나 1774년 11월 5일부터 1776년 7월 4일 사이에 독립 선언 초안을 검토한 106인의 작성자들 가운데 공공연히 이신론을 주장한 사람은 프랭클린과 제퍼슨 단 두 명뿐이었는데, 이 둘은 모두 도덕 철학에 입각한 미국 실천 관념론자이기도 하였다.[199] 그 외의 작성자들은 모두 특정 종단 소속 기독교인이었고, 프랭클린 마저도 국교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200] 때때로 여러 교회에 출석하였다. 제퍼슨은 샬러츠빌에 있는 복음주의적 칼뱅주의 개혁 교회의 교구 위원이었는데, 이 교회는 1777년 자신의 이름을 따 스스로 창립한 것이었다.[201] 그러나 독립 선언 작성자들은 모두 존슨, 프랭클린, 그리고 스미스의 특정 종파에 경도되지 않는 도덕 철학을 주장하였거나 연구하였고, 최소한 울러스턴의 자연 종교로부터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독립 선언문에 "자연의 법칙과 신의 본성"이나 "행복의 추구"와 같은 개념을 넣는데 주저함이 없었다.[202]
4. 19세기: 낭만주의, 초월주의, 실용주의
19세기 미국의 주요 철학 사조는 낭만주의와 실용주의였다. 미국의 낭만주의는 초월주의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국적인 혁신으로 자리 잡았다. 실용주의는 미국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학파로서 큰 영향을 미쳤다. 조지 홈즈 하우이즌이 이끈 헤겔 철학 운동도 하나의 흐름을 이루었으나,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았다.[174]
조시아 로이스의 객관적 관념론과 보든 파커 본의 보스턴 개인주의로 알려진 개인주의 철학도 있었다.
4. 1. 초월주의
미국의 초월주의는 모더니즘과 주지주의, 특히 환원주의적 세계관이 갖는 기계론에 대한 반발로 형성되었다. 초월주의는 전체론의 입장에서 물리적, 경험적인 것을 "초월"하는 이상적인 정신 상태에 대한 믿음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완전한 상태는 오직 개개인 각자의 반성과 통찰에 의해서만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초월주의는 산업화와 과학 발전 또는 관성화된 기성 종교에 대해 반대하였다. 가장 널리 알려진 초월주의 저자로는 랠프 월도 에머슨,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마거렛 풀러가 있다.[203]초월주의 저자들은 모두 자연으로 회귀할 것을 주장하였고, 실재적이고 참된 지식은 직관적이고 개인적이며 자연에 대한 개인의 깊은 성찰을 통해 얻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 때문에 이들은 과학적 지식은 그저 경험적 증거에 불과하다고 낮추어 보았다.[204] 초월주의의 대표적 저서로는 소로우의 《월든; 숲 속의 삶》이 꼽힌다.[205]
과학 도구, 정치 제도, 그리고 전통적인 종교가 지시하는 도덕적 관습과 같은 것들은 초월되어야 한다. 이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1854년 저서 《월든; 숲 속의 생활》에서 발견되며, 여기서 초월은 자연에 몰입하고 사회로부터 자신을 멀리함으로써 달성된다.


4. 2. 실용주의
찰스 샌더스 피어스, 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를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시작된 실용주의는 행동과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철학 사조이다. 실용주의는 어떤 개념의 의미가 그 개념을 진리로 받아들인 주체가 실시하거나 실천한 결과라고 보았다.[206]찰스 다윈의 진화론은 종의 기원을 통해 미국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존 피스크와 챈시 라이트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철학을 재구성하고자 하였고, 이는 진화 심리학과 진화 윤리학의 선례가 되었다.
다윈의 생물학 이론은 허버트 스펜서와 윌리엄 그레이엄 섬너의 사회 및 정치 철학에도 통합되었다. "적자생존"이라는 용어를 만든 허버트 스펜서는 사회가 생존을 위한 투쟁을 벌이고 있으며, 약자는 도태되고 강자만이 살아남는 것이 인류에게 유익하다고 보았다. 앤드루 카네기와 함께 스펜서의 영향을 받은 섬너는 자유 방임 자본주의가 자연스러운 정치경제 체제이며, 반제국주의와 금본위제를 옹호했다.
W. E. B. 듀보이스는 윌리엄 제임스의 제자로, 철학이 사회 비판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유색 인종의 평등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흑인의 영혼''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겪는 ''이중 의식''이라는 개념을 소개했고, ''암흑의 물: 베일 안의 목소리''에서는 ''이중 시각''이라는 개념을 통해 백인 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독특한 관점을 제시했다.[64]
실용주의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찰스 샌더스 피어스는 실용적 극대와 기호학을 통해 실용주의를 정의하였다.
- 윌리엄 제임스는 급진적 경험주의와 다원주의를 주장했다.
- 존 듀이는 기능주의 심리학과 진보주의 교육을 이끌었다.
4. 2. 1. 찰스 샌더스 피어스
찰스 샌더스 피어스는 1870년대에 실용주의라는 용어를 도입하고 정의하였다.[136] 그는 촌시 라이트,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 윌리엄 제임스 등이 함께한 지식인 대담 모임인 형이상학 클럽의 회원이었다.[127] 피어스는 이 클럽 회원들과의 철학적 논의를 거치면서 실용주의를 발전시켰다.[206]피어스가 실용주의를 정식화한 최초의 저술로는 1877년 출간된 《믿음의 정착》과 1878년 출간된 《우리의 아이디어를 명확히 하는 방법》이 있다. 《믿음의 정착》에서 피어스는 이론상의 물음에 대해 믿음을 안착할 때 과학적 방법의 우수성을 논했다. 《우리의 아이디어를 명확히 하는 방법》에서는 훗날 피어스가 실용적 극대라고 이름 붙인 실용주의의 명제를 제시했다.
피어스는 "실천적 산물이 있어야 한다고 여겨질 효용이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우리는 개념이 갖는 대상을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효용에 대한 우리의 개념은 대상에 대한 우리 개념의 전체이다"라고 서술하였다. 피어스는 하나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행동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분명한 효용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대신에 대상의 개념은 적확한 실천을 위해 생각할 수 있는 대상의 효과에 대한 일반적인 확장에 이르는 대상의 효과와 일치하게 된다고 보았다. 그러한 고려 가능한 실천적 일치가 개념의 의미가 된다는 것이다.
실용적 극대는 과거에 만들어진 차이가 있으나 실천적인 구분은 없는 것에 따른 혼동을 유익한 방향으로 명확히 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입되었다. 전통적으로 한 개의 개념은 세부들로 나뉜 아이디어로 분석된다. (피어스는 예로서 기호가 그것의 대상과 일치하는 경우의 진리에 대한 정의를 들었다) 필요하지만 제한된 단계로서 실용적 극대는 실천에 기원하는 단계를 추가하였다. (피어스는 예로서 충분한 조사의 결론인 경우의 진리를 들었다.)
4. 2. 2. 윌리엄 제임스
윌리엄 제임스 (1842–1910)는 생리학, 심리학, 철학 분야에서 독창적인 사상가였다.[57] 그는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심리학 원리'', "믿음의 의지" 강연으로 유명하다.제임스는 퍼스와 함께[58] 실용주의를 익숙한 태도를 급진적인 새로운 철학적 방법으로 발전시켜 아이디어를 명확히 하고 딜레마를 해결하는 것으로 보았다. 1910년 저서 ''실용주의: 오래된 사고방식에 대한 새로운 이름''에서 퍼스의 실용주의 격언을 다음과 같이 의역했다.
제임스는 이어서 실용주의를 아이디어를 명확히 하는 방법론을 장려할 뿐만 아니라 진리에 대한 특정한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특징지었다. 퍼스는 제임스의 이러한 움직임을 거부하고, 실용주의 격언을 논리의 격언으로만 묘사하고, 실용주의를 방법론적 입장으로 묘사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그것이 진리나 다른 어떤 것에 대한 실질적인 교리나 이론이 아님을 명시적으로 부인했다.[59]
제임스는 대상 간의 관계가 대상 자체만큼 실재한다고 주장하는 급진적 경험론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진리에 대한 여러 가지 정확한 설명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다원주의자였다. 그는 진리 대응설을 거부하고 대신 진리는 믿음, 세계에 대한 사실, 다른 배경적 믿음, 그리고 그러한 믿음의 미래 결과를 포함한다고 주장했다. 말년에 제임스는 궁극적인 실재가 하나의 종류이며 정신적이지도 물리적이지도 않다는 견해인 중립 일원론을 채택했다.[60]
4. 2. 3. 존 듀이
존 듀이 (1859년–1952년)는 찰스 샌더스 피어스와 윌리엄 제임스의 뒤를 이은 실용주의 철학자로 오늘날까지 철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헤겔 철학과 데이비드 흄의 경험주의를 바탕으로 실용주의를 발전시켰으며, 철학뿐만 아니라 교육학,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215] 듀이는 기능주의 심리학을 창시하였고,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 운동을 이끌었다.[216]듀이는 고전적 자유주의의 개인주의를 비판하며, 사회 제도는 개인에게서 무언가를 수취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17] 그는 개인이 사회 제도에 맞추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제도가 개개인에 의해 형태를 잡아간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사회 계약을 통해 개인이 만들어지고 개인의 자유가 지지된다고 주장했다.
듀이는 응용 철학인 교육 철학 관련 저술로 널리 알려져 있다. 듀이의 교육 철학은 아동들이 행동을 통해 학습한다는 것이며, 학교 제도 교육이 불필요하게 형식화되거나 긴 기간에 걸쳐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였다.[220] 예를 들어, 수학에서 학생들은 요리에서 비율을 계산하거나 특정 교통 수단을 사용하여 거리를 이동하는 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 파악함으로써 배울 수 있다고 보았다.[63]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218]은 현대 미국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듀이의 이론을 반영한 경험중심 교육과정은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219]
5. 20세기: 분석 철학, 과정 철학, 여성주의, 비판 이론
19세기부터 이어져 온 실용주의는 20세기에도 과학 지식의 발전과 함께 지속되었다. 특히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철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20세기 중반에는 분석철학과 언어철학이 미국에서 널리 퍼졌다. 반면 유럽에서 큰 영향을 미친 실존주의와 현상학은 미국에서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174]
W. E. B. 듀보이스는 윌리엄 제임스의 제자로, 철학이 사회 비판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한 실용주의자였다.[64] 그는 유색 인종의 평등을 추구했으며, ''흑인의 영혼''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이중 의식'' 개념을 소개했다. 이는 인종 차별적인 사회와 자신의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중적인 자아 인식을 의미한다. 또한 ''암흑의 물: 베일 안의 목소리''에서는 백인 사회를 안팎으로 이해하는 ''이중 시각'' 개념을 제시했다.[64]
5. 1. 관념론에 대한 거부
스페인 출신의 미국 철학자 조지 산타야나는 실용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 가운데 한 명이었다. 그는 관념론을 철저하게 반대하였고, 모두가 자명하다고 인정하는 가치관으로서의 상식을 거부하였다. 그는 어떤 것이든 지식으로서 질서가 확고해진다면, 어떤 지식도 가능해 보이지 않게 되며, 결론적으로 회의주의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스스로 확신하지 못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기에 믿는 것을 "동물적인 믿음"이라고 불렀다.[221]산타야나는 《회의주의와 동물적 믿음》에서 지식은 이성의 결과가 아니라 행동하라는 명령이 요구되고 세계에 성공적인 개입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22] 그는 자연주의에 입각하여 토대주의를 비판하였다. 자연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설명은 과학의 몫이며 행동의 의미와 가치가 철학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5. 2. 과정 철학
과정 철학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찰스 하츠혼이 주창한 것으로 아인슈타인의 세계관을 수용하였다. 과정 철학의 핵심 신념은 사건과 과정이 존재론의 주된 범주라는 것이다.[223] 화이트헤드는 그간의 철학에서 상정하였던 고정 불변하는 세계는 실재가 아니며 "존재의 실상은 활동하는 동안에만 있고, 활동이 끝나면 소멸한다"는 생성론을 주장했다.[224] 그는 《관념의 모험》[225]에서 결정론에 근간한 법칙주의적 역사관을 거부하고 역사 역시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는 "합생"(concresences)의 결과라고 보았다.[226] 화이트헤드는 《자연의 개념》에서 자연 속의 사물, 즉 그가 "결합"이라고 부른 것은 영속성을 유지하는 사건들의 결합이라고 주장했다. 과정 철학은 기본적인 존재론적 범주가 변화라는 점에서 헤라클레이토스적이다.[70] 찰스 하츠숀은 화이트헤드의 과정 철학을 과정 신학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5. 3. 분석 철학
20세기 중반, 미국 철학은 분석 철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분석 철학은 유럽의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란드 러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논리실증주의자들에 의해 시작되어 미국으로 전파되었다. 논리실증주의는 데이비드 흄과 에른스트 마흐를 계승하였다고 여겼으며,[227] 비트겐슈타인의 "말할 수 없는 것에는 침묵하여야 한다"는 주장에 크게 동조하였다.[228] 이들은 과학적 언어 분석이나 기호논리학이 철학적 명제의 진위나 의미 유무를 밝히는 주요한 수단이라고 보았다.[229] 1930년대 나치의 대두로 논리실증주의를 주장하던 빈학파 대부분이 국외로 망명하면서, 루돌프 카르나프가 미국에 분석 철학을 소개하였다.[230]윌러드 밴 오먼 콰인은 논리실증주의를 배격하면서도 명징한 지식을 추구하고 세계를 이해하는데 철학과 과학이 함께 나아갈 수 있다는 관점을 공유하였다. 콰인은 〈경험주의의 두 교리〉에서 논리실증주의를 공격하고, 이들이 환원론에 빠져있다고 비판하였다.[231] 콰인은 번역의 불확정성을 주장하며 "gavagai"의 예를 들었다.[232] 그는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경우 관찰할 수 있는 언어 성향의 총화와 일치하는 여러 가지 다른 번역을 할 수 있는데, 이 때 어느 번역이 올바른 번역이냐고 묻는 것은 헛된 일"이라고 생각하였다.[233]
콰인의 제자인 솔 크립키는 분석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크립키는 양상 논리와 직관 논리를 구분하는 크립키 의미론을 주장하였고, 1970년대에 행해진 언어 철학 강의를 모아 《이름과 필연》[234]을 발간하였다. 그는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언어 철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나, 크립키의 비트겐슈타인 해석은 정석이 아니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235]
토머스 쿤은 과학 철학과 과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학자로, 그의 대표작 《과학 혁명의 구조》[236]은 패러다임의 개념을 소개한 것으로 유명하다.[237] 쿤의 패러다임 이론은 지식 사회학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지고 있다.
5. 4. 정치 철학으로의 회귀
아인 랜드는 소설 《파운틴헤드》(1943년), 《아틀라스》(1957년)를 통해 윤리적 이기주의(훗날 객관주의로 명명)를 주장하였다. 랜드의 소설은 큰 반향을 불러일으켜 객관주의 운동의 모태가 되었다.[238] 랜드는 인식 외부에 있는 객관적 실재를 이성에 의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인류는 스스로의 합리적 자기이해를 가지고 윤리적 이기주의에 따라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239] 전문 철학계는 랜드의 저술에서 지적 엄밀성과 품질을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하였지만,[240][241] 대중들은 랜드를 미국 자유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바라보았다.[242][243]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은 민권 운동의 시기였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인종 차별 반대와 민권 신장을 위한 많은 저술을 남겼다.
1971년 존 롤스는 《정의론》을 출판하여 사회계약설에 근간한 "공평한 정의"를 주장하였다.[244] 롤스는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적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원초적 입장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99] 롤스의 철학에서 원초적 입장은 토머스 홉스의 자연 상태와 관련이 있다. 정의의 두 가지 원칙은 평등한 자유의 원칙과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의 분배를 규율하는 원칙이다. 롤스는 모든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이 가장 불리한 사람에게 최대의 이익이 되어야 한다는 차등 원칙에 따른 분배 정의 시스템을 주장한다.[100]
자유지상주의자인 로버트 노직은 1974년 ''무정부, 국가, 유토피아''를 출판하여 롤스가 과도한 정부 통제와 권리 침해를 옹호한다고 비판했다. 노직은 최소 국가를 옹호하고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며, 정부의 역할이 "경찰 보호, 국방, 법원 운영으로 제한되어야 하며, 현대 정부가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다른 모든 업무, 즉 교육, 사회 보험, 복지 등은 종교 단체, 자선 단체 및 자유 시장에서 운영되는 기타 사적 기관이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01]
노직은 사회의 모든 사람이 획득, 이전, 교정의 원칙에 따라 자신의 소유물을 획득했다면, 분배 패턴이 얼마나 불평등하든 정의롭다는 자격 이론을 주장한다. 정의의 자격 이론은 "분배의 정의는 실제로 특정한 역사적 상황에 의해 결정되지만(최종 상태 이론과 달리), 가장 열심히 일하거나 가장 자격이 있는 사람들이 가장 많은 몫을 갖도록 보장하는 어떤 패턴과도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102]
영국에서 태어나 교육을 받은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는 약 40년 동안 미국에서 생활하며 일했다. 그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 제안한 윤리의 한 형태인 덕 윤리에 대한 관심을 부활시켰다.[103][104] 그는 저명한 토마스주의 정치 철학자로, "현대 철학과 현대 생활은 일관된 도덕적 규범이 부재한 특징을 보이며, 이 세상에 사는 대다수의 개인들은 삶에 대한 의미 있는 목적 의식을 결여하고 진정한 공동체도 결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05] 그는 개인이 자신의 덕을 제대로 얻을 수 있는 진정한 정치 공동체로의 회귀를 권장한다.
5. 5. 여성주의
새라 그림케, 샬럿 퍼킨스 길먼,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 앤 허친슨과 같이 페미니스트로 여겨지는 초기 작가들이 있었지만, 제2세대 여성주의라고도 불리는 1960년대와 1970년대의 페미니스트 운동은 철학에 미친 영향으로 주목할 만하다.[162]대중의 관심은 베티 프리댄의 ''여성의 신비''(1963)에 집중되었다.[106] 애드리언 리치와 같은 페미니스트 철학자들은 객관성과 권리 기반 정치 이론과 같은 남성적 접근 방식이라고 믿는 윤리에 대한 기본적 가정과 가치를 비판했다. 그들은 가치 중립적인 탐구와 같은 것은 없다고 주장했으며, 철학적 문제의 사회적 차원을 분석하고자 했다.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1990)은 젠더를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수행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젠더학이라는 학문 분야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08]
6. 현대: 실용주의의 부활과 다양한 철학적 논의
20세기 말, 힐러리 퍼트넘과 리처드 로티를 중심으로 실용주의가 부활했다. 로티는 ''철학과 자연의 거울''과 ''철학과 사회적 희망''(번역본: ''리버럴 유토피아라는 희망'')의 저자로 잘 알려져 있다.
코넬 웨스트는 인종, 젠더, 계급 문제를 실용주의, 초월주의와 연결하여 분석했다.
앨빈 플랜팅가는 기독교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로, 자연주의에 대한 진화론적 논증을 제시했다.[125]
6. 1. 현대 철학의 주요 논점
20세기 말, 힐러리 퍼트넘과 리처드 로티의 영향으로 실용주의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퍼트넘은 마음의 철학, 언어철학 등에 기여한 철학자로, 뇌 속의 항아리 사고 실험에 대한 이의 제기로도 유명하다.[110]마음의 철학에서는 의식의 어려운 문제를 비롯한 마음의 본질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도널드 데이비드슨,[112] 대니얼 데닛,[113] 존 설,[115] 데이비드 챌머스[117] 등이 이 논쟁에 참여했다.
21세기 초, 구현 인지는 마음-몸-세계 통합 이론으로서 숀 갤러거와 알바 노에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옹호되었다.[119]
법철학 분야에서는 로널드 드워킨과 리처드 포스너가 활동했다. 포스너는 법의 경제적 분석으로 유명하며,[122] 드워킨은 통합으로서의 법과 법적 해석주의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123][124]
참조
[1]
웹사이트
"American philosophy" at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2009-05-24
[2]
웹사이트
American Philosophy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3-05-06
[3]
웹사이트
American Philosophy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3-05-06
[4]
웹사이트
"Religious Tolerance" – Freedom: A History of US: PBS.com
https://www.pbs.org/[...]
2009-09-09
[5]
서적
Creating the American Mind:Intellect and Politics in the Colonial Colleges
Rowman & Littlefield
2007
[6]
문서
[7]
문서
[8]
서적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Yale University Press
1972
[9]
서적
The New England Mind in Transition: Samuel Johnson of Connecticut, 1696–1772
Yale University Press
1973
[10]
서적
Samuel Johnson, President of King's College: His Career and Writing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29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Jonathan Edward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09-07-24
[14]
웹사이트
"American philosophy" at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9-05-24
[15]
서적
Education of the Founding Fathers of the Republic: Scholasticism in the Colonial Colleges
Fordham University Press, New York
1925
[16]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Taylor & Francis
1998
[17]
간행물
"President Samuel Johnson and the Circle of Knowledge"
The William and Mary Quarterly
1971-04
[18]
문서
[19]
서적
Pursuing Happines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Continental Congress
Nonagram Publications
2013
[20]
서적
Early American philosophers
The Macmillan Co.
1898
[21]
서적
Samuel Johnson, President of King's College: His Career and Writing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29
[22]
문서
[23]
문서
Appendix I: Morality
[24]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ttee of Style
https://web.archive.[...]
2013-09-02
[25]
웹사이트
"Bicameralism and Enumerated, Implied, Resulting, and Inherent Powers"
http://supreme.justi[...]
2009-09-07
[26]
웹사이트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Christianity Myth"
http://atheism.about[...]
2009-09-07
[27]
문서
[28]
서적
The works of Benjamin Franklin
Hillard, Gray
1840
[29]
간행물
"Rev. Charles Clay, and the Calvinistical Reformed Church of Charlottesville, Virginia During the American Revolution"
Providential Perspective
1977-08
[30]
서적
American philosophy: the early schools
Dodd, Mead
1907
[31]
서적
The Political Writings of Thomas Jefferson
UNC Press Books
1993
[32]
서적
A Critical History of Philosophy
2003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Inventing America: Jefferson'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Doubleday
1978
[37]
서적
"Residues of Justice: Literature, Law, Philoso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38]
문서
[39]
논문
'Jefferson and the Scottish Enlightenment: "A Critique of Garry Wills\'s Inventing America: Jefferson\'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979-10
[40]
문서
[41]
문서
[42]
논문
'The Scottish Philosophy and American Theology Church History'
1955-09
[43]
서적
"American Sphinx: The Character of Thomas Jefferson"
Random House Digital, Inc.
1998
[44]
문서
[45]
서적
"The American Revolution: A History"
Modern Library
2002
[46]
서적
"From Resistance to Revolution: Colonial Radicals and the Development of American Opposition to Britain, 1765–1776"
[47]
문서
[48]
문서
[49]
웹사이트
"Famous Transcendentalists"
https://web.archive.[...]
2009-09-09
[50]
서적
"Understanding Emerson: The American scholar and his struggle for self-relianc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51]
웹사이트
"Transcendentalism" at the SEP
http://plato.stanfor[...]
2009-09-09
[52]
서적
Charles Stearns Wheeler, Friend of Emerson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51
[53]
웹사이트
"Pragmatism" at IEP
http://www.iep.utm.e[...]
2008-07-30
[54]
간행물
pragmatism, n.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02
[55]
문서
Collected Papers v. 5, paragraph 13, note 1. See relevant quote at [[Pragmatic maxim#6]].
1902
[56]
문서
See Collected Papers, v. 1, paragraph 34, Eprint (in "The Spirit of Scholasticism"), where Peirce ascribes the success of modern science less to a novel interest in verification than to the improvement of verification.
[57]
웹사이트
"William James" at SEP
http://plato.stanfor[...]
2009-07-30
[58]
문서
See "Pragmatism (Editor [3])", c. 1906, especially the portion published in Collected Papers v. 5 (1934), paragraphs 11–12.
[59]
문서
Collected Papers v. 2, paragraph 99; v. 5, paragraphs 18, 195; v. 6, paragraph 482.
1903
[60]
웹사이트
"Neutral Monism"
http://plato.stanfor[...]
2009-09-09
[61]
서적
School and Society: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McGraw-Hill Humanities/Social Sciences/Languages
2004-09
[62]
웹사이트
"Dewey's Political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09-07-30
[63]
웹사이트
"John Dewey: Philosophy of Education"
http://wilderdom.com[...]
2009-07-30
[64]
웹사이트
Du Bois, William Edward Burghardt
https://iep.utm.edu/[...]
2023-05-06
[65]
웹사이트
"George Santayana" a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09-09-09
[66]
서적
American Philosophy: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8
[67]
서적
Essays in critical realism: a co-operative study of the problem of knowledge
https://archive.org/[...]
Macmillan
1920
[68]
논문
A statement of critical realism
1939-04-15
[69]
웹사이트
"Process Philosophy" at the SEP
http://plato.stanfor[...]
2009-09-07
[70]
웹사이트
"Process Philosophy and the New Thought Movement"
http://websyte.com/a[...]
2009-09-07
[71]
뉴스
Greenspan Book Criticizes Bush And Republicans
https://www.wsj.com/[...]
2007-09-15
[72]
웹사이트
"Introducing Objectivism" by Ayn Rand
http://www.aynrand.o[...]
2010-05-01
[73]
웹사이트
"The Winnowing of Ayn Rand" by Roderick Long
http://www.cato-unbo[...]
2012-07-29
[74]
웹사이트
"The philosophical art of looking out number one" at heraldscotland
http://www.heraldsco[...]
2011-05-14
[75]
웹사이트
"Ayn Rand" at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2016-08-15
[76]
웹사이트
"Profile of Ayn Rand at the Cato Institute
http://www.cato.org/[...]
2010-07-28
[77]
웹사이트
"Understanding Quine's Theses of Indeterminacy" by Nick Bostrom
http://www.nickbostr[...]
2009-11-14
[78]
웹사이트
Brian Leiter, "The last poll about philosophers
http://leiterreports[...]
[79]
서적
Wittgenstein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 An Elementary Expos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80]
웹사이트
"Let's Settle This Once and For All: Who Really Was the Greatest Philosopher of the 20th-Century?"
http://leiterreports[...]
2017-06-08
[81]
웹사이트
"David K. Lewis" - Princeton University Department of Philosophy
http://philosophy.pr[...]
2008-05-15
[82]
웹사이트
"Thomas Kuhn" at the SEP
http://plato.stanfor[...]
2014-03-28
[83]
서적
The essential Frankfurt School reader
https://archive.org/[...]
Urizen Books
1978
[84]
간행물
Critical Theor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05-22
[85]
학술지
Herbert Marcuse
https://plato.stanfo[...]
2013-12-18
[86]
웹사이트
Angela Davis on Protest, 1968, and Her Old Teacher, Herbert Marcuse
https://lithub.com/a[...]
2023-05-22
[87]
서적
Herbert Marcuse: A Critical Reader
Routledge
2004
[88]
서적
New lefts: the making of a radical trad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89]
서적
Phenomenal blackness: Black power, philosophy, and the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2-01-27
[90]
학술지
"Nicht mitmachen!" and "Weitermachen!": Rereading Adorno and Marcuse on Theory and Praxis
2022-01-02
[91]
서적
Understanding society: a survey of modern social the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92]
학위논문
Critical Theory in Revolt: Angela Davis, Rudi Dutschke, Hans-Jürgen Krahl and the Frankfurt School, 1964-1972
https://www.proquest[...]
Yale University
2022
[93]
학술지
Edward Said, cultural politics, and critical theory (an interview)
2005
[94]
학술지
Social justice an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critical peace education: Exploring Nussbaum, Sen, and Freire
2011-12
[95]
서적
A dictionary of critic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96]
간행물
West, Cornel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2011
[97]
서적
The persistence of critical theory
Transaction Publishers
2017
[98]
잡지
Judith Butler Wants Us to Reshape Our Rage
https://www.newyorke[...]
2020-02-09
[99]
웹사이트
"Philosophy: John Rawls vs. Robert Nozick"
http://jeffersonswal[...]
2009-06-16
[100]
웹사이트
"Distributive Justice" at SEP
http://plato.stanfor[...]
2010-07-09
[101]
웹사이트
"Robert Nozick (1938–2002)" at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2015-12-10
[102]
웹사이트
"Robert Nozick" at IEP
http://www.iep.utm.e[...]
2015-12-10
[103]
웹사이트
"The Virtues of Alasdair MacIntyre"
http://www.firstthin[...]
2012-07-12
[104]
웹사이트
"Virtue Ethics" at SEP
http://plato.stanfor[...]
2019-05-14
[105]
웹사이트
"Political Philosophy of Alasdair MacIntyre" at IEP.com
http://www.iep.utm.e[...]
2019-05-07
[106]
웹사이트
The Powerful, Complicated Legacy of Betty Friedan's 'The Feminine Mystique'
https://www.smithson[...]
2023-06-14
[107]
웹사이트
Topics in Feminism
http://plato.stanfor[...]
2009-09-07
[108]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merican cultural and intellectu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09]
서적
Mind, Language, and Reality. Philosophical Papers, Volume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110]
웹사이트
Brains in a Vat
http://plato.stanfor[...]
2004-10-29
[111]
서적
The 'Mental' and the 'Physical': The Essay and a Postscript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67
[112]
웹사이트
Donald Davidson
http://www.utm.edu/r[...]
2009-09-10
[113]
웹사이트
Daniel Dennett
http://philosophy.uw[...]
2009-09-10
[114]
웹사이트
Douglas Hofstadter's page at Indiana.edu
http://www.indiana.e[...]
2009-09-10
[115]
웹사이트
John Searle
http://philosophy.uw[...]
2009-09-10
[116]
웹사이트
Eliminative Materialism
http://plato.stanfor[...]
2009-09-10
[117]
웹사이트
Facing Up to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http://consc.net/pap[...]
2009-09-10
[118]
서적
Studies in 20th Century Philosophy
Ontos Verlag; Transaction Books
2005
[119]
서적
Cambridge Handbook of Situated Cogn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1-17
[120]
뉴스
bell hooks, author and activist, dies aged 69
https://www.theguard[...]
2021-12-15
[121]
웹사이트
bell hooks
https://www.britanni[...]
Stanford University
2019-11-27
[122]
웹사이트
The Economic Analysis of Law
http://plato.stanfor[...]
2009-09-11
[123]
웹사이트
Interpretivist Theories of Law
http://plato.stanfor[...]
2009-09-11
[124]
간행물
Review: Dworkin and Dicey: The Rule of Law as Integrity
Oxford University Press
[125]
문서
World Without Design: Ontological Consequences of Naturalism
Clarendon Press
2001
[126]
웹사이트
American philosophy
http://www.iep.utm.e[...]
2009-05-24
[127]
웹사이트
Religious Tolerance
http://www.pbs.org/w[...]
2009-09-09
[128]
웹사이트
Jonathan Edwards
http://plato.stanfor[...]
[129]
웹사이트
Bicameralism and Enumerated, Implied, Resulting, and Inherent Powers
http://supreme.justi[...]
2009-09-07
[130]
웹사이트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Christianity Myth
http://atheism.about[...]
2009-09-07
[131]
서적
The American Revolution: A History
Modern Library
2002
[132]
웹사이트
Famous Transcendentalists
http://www.adherents[...]
2009-09-09
[133]
웹사이트
Transcendentalism
http://plato.stanfor[...]
2009-09-09
[134]
웹사이트
William Graham Sumner
http://www.nndb.com/[...]
2009-09-09
[135]
웹사이트
Pragmatism
http://www.iep.utm.e[...]
2008-07-30
[136]
웹사이트
Pragmatism - Charles Sanders Peirce
http://science.jrank[...]
2009-09-09
[137]
문서
Collected Papers
1902
[138]
문서
Collected Papers
[139]
웹사이트
William James
http://plato.stanfor[...]
2009-07-30
[140]
문서
Pragmatism (Editor [3])
1906
[141]
웹사이트
Neutral Monism
http://plato.stanfor[...]
2009-09-09
[142]
서적
School and Society: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McGraw-Hill Humanities/Social Sciences/Languages
[143]
웹사이트
Dewey's Political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09-07-30
[144]
웹사이트
John Dewey: Philosophy of Education
http://wilderdom.com[...]
2009-07-30
[145]
웹사이트
George Santayana
http://plato.stanfor[...]
2009-09-09
[146]
웹사이트
Process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09-09-07
[147]
웹사이트
Process Philosophy and the New Thought Movement
http://websyte.com/a[...]
2009-09-07
[148]
웹사이트
UNDERSTANDING QUINE'S THESES OF INDETERMINACY
http://www.nickbostr[...]
Nick Bostrom
2009-09-07
[149]
블로그
The last poll about philosophers for awhile--I promise!
http://leiterreports[...]
2009-03-07
[150]
서적
Wittgenstein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 an Elementary Expos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51]
웹사이트
Let's Settle This Once and For All: Who Really Was the Greatest Philosopher of the 20th-Century?
http://leiterreports[...]
2009-07-29
[152]
웹사이트
David K. Lewis
http://philosophy.pr[...]
2009-09-07
[153]
웹사이트
Thomas Kuhn
http://plato.stanfor[...]
2009-09-07
[154]
웹사이트
INTRODUCING OBJECTIVISM
http://www.aynrand.o[...]
Ayn Rand
2009-09-07
[155]
웹사이트
Philosophy: John Rawls vs. Robert Nozick
http://jeffersonswal[...]
2009-09-07
[156]
웹사이트
Distributive Justice
http://plato.stanfor[...]
2009-12-18
[157]
웹사이트
Robert Nozick (1938-2002)
http://www.iep.utm.e[...]
2009-09-07
[158]
웹사이트
Robert Nozick
http://www.iep.utm.e[...]
2010-01-05
[159]
웹사이트
The Virtues of Alasdair MacIntyre
http://www.firstthin[...]
2009-09-07
[160]
웹사이트
Virtue Ethics
http://plato.stanfor[...]
2009-09-07
[161]
웹사이트
Political Philosophy of Alasdair MacIntyre
http://www.iep.utm.e[...]
2009-12-22
[162]
웹사이트
Topics in Feminism
http://plato.stanfor[...]
2009-09-07
[163]
서적
Mind, Language, and Reality. Philosophical Papers, Volume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4]
웹사이트
Brains in a Vat
http://plato.stanfor[...]
2009-09-10
[165]
웹사이트
Donald Davidson
http://www.iep.utm.e[...]
2009-09-10
[166]
웹사이트
Daniel Dennett
http://philosophy.uw[...]
2009-09-10
[167]
웹사이트
Douglas Hofstadter's page at Indiana.edu
http://www.indiana.e[...]
2009-09-10
[168]
웹사이트
John Searle
http://philosophy.uw[...]
2009-09-10
[169]
웹사이트
Eliminative Materialism
http://plato.stanfor[...]
2009-09-10
[170]
웹사이트
Facing Up to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http://consc.net/pap[...]
David Chalmers
2009-09-10
[171]
웹사이트
The Economic Analysis of Law
http://plato.stanfor[...]
Lewis Kornhauser
2009-09-11
[172]
웹사이트
Interpretivist Theories of Law
http://plato.stanfor[...]
Nicos Stavropoulos
2009-09-11
[173]
간행물
Review: Dworkin and Dicey: The Rule of Law as Integrity
http://www.jstor.org[...]
2009-09-11
[174]
웹사이트
American philosophy
http://www.iep.utm.e[...]
2009-05-24
[175]
웹사이트
Religious Tolerance
http://www.pbs.org/w[...]
2009-09-09
[176]
서적
Creating the American Mind:Intellect and Politics in the Colonial Colleges
Rowman & Littlefield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Yale University Press
[180]
서적
The New England Mind in Transition: Samuel Johnson of Connecticut, 1696-1772
Yale University Press
[181]
서적
[182]
서적
Samuel Johnson, President of King's College: His Career and Writings
Columbia University Press
[183]
서적
[184]
서적
[185]
웹사이트
"Jonathan Edwards"
http://plato.stanfor[...]
2006-11-07
[186]
웹사이트
"American philosophy"
2009-05-24
[187]
서적
Education of the Founding Fathers of the Republic: Scholasticism in the Colonial Colleges
Fordham University Press
[188]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Taylor & Francis
[189]
간행물
"President Samuel Johnson and the Circle of Knowledge"
1971-04
[190]
간행물
[191]
서적
Pursuing Happines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Continental Congress
Nonagram Publications
[192]
서적
Early American philosophers
The Macmillan Co.
[193]
서적
Samuel Johnson, President of King's College: His Career and Writing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4]
서적
[195]
서적
Morality
[196]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ttee of Style
http://myloc.gov/Exh[...]
2013-09-02
[197]
웹사이트
Bicameralism and Enumerated, Implied, Resulting, and Inherent Powers
http://supreme.justi[...]
2009-09-07
[198]
웹사이트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Christianity Myth
http://atheism.about[...]
2009-09-07
[199]
서적
[200]
서적
The works of Benjamin Franklin
Hillard, Gray
[201]
간행물
"Rev. Charles Clay, and the Calvinistical Reformed Church of Charlottesville, Virginia During the American Revolution"
1977-08
[202]
서적
American philosophy: the early schools
Dodd, Mead
[203]
웹사이트
Famous Transcendentalists
http://www.adherents[...]
2009-09-09
[204]
웹사이트
"Transcendentalism"
http://plato.stanfor[...]
2009-09-09
[205]
서적
월든
은행나무
[206]
웹사이트
"Pragmatism"
http://www.iep.utm.e[...]
2008-07-30
[207]
웹사이트
"Pragmatism - Charles Sanders Peirce"
http://science.jrank[...]
2009-09-09
[208]
웹사이트
"William James"
http://plato.stanfor[...]
2009-07-30
[209]
서적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한길사
[210]
서적
심리학의 원리
부글북스
[211]
서적
실용주의
아카넷
[212]
문서
[213]
문서
[214]
웹사이트
Neutral Monism
http://plato.stanfor[...]
2009-09-09
[215]
서적
지도로 보는 세계 사상사
시그마북스
[216]
서적
School and Society: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McGraw-Hill Humanities/Social Sciences/Languages
[217]
웹사이트
Dewey's Political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09-07-30
[218]
서적
민주주의와 교육/철학의 개조
동서문화사
[219]
서적
교육학개론
서현사
[220]
웹사이트
John Dewey: Philosophy of Education
http://wilderdom.com[...]
2009-07-30
[221]
웹사이트
Full text of "Scepticism and animal faith : introduction to a system of philosophy"
http://www.archive.o[...]
[222]
웹사이트
George Santayana at the Stanford Encyl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09-09-09
[223]
웹사이트
Process Philosophy at the SEP
http://plato.stanfor[...]
2009-09-07
[224]
뉴스
21세기 밝혀줄 화이트헤드 ‘과정 철학’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1999-07-29
[225]
서적
관념의 모험
한길사
[226]
간행물
화이트헤드의 과정 철학적 역사 이해
http://www.whitehead[...]
[227]
서적
흄
이룸
[228]
서적
서양 철학사 산책
평단문화사
[229]
서적
이즘
청년사
[230]
서적
실용주의
살림
[231]
서적
지도로 보는 세계 사상사
시그마북스
[232]
웹사이트
"UNDERSTANDING QUINE'S THESES OF INDETERMINACY" by Nick Bostrom
http://www.nickbostr[...]
2009-09-07
[233]
서적
역사학의 철학
민음사
[234]
서적
이름과 필연
필로소픽
[235]
간행물
크립키의 회의적 역설과 언어공동체의 문제
서울대학교 철학과
[236]
서적
과학 혁명의 구조
까치글방
[237]
웹사이트
Thomas Kuhn at the SEP
http://plato.stanfor[...]
2009-09-07
[238]
뉴스
Greenspan Book Criticizes Bush And Republicans
http://online.wsj.co[...]
2007-09-15
[239]
웹사이트
INTRODUCING OBJECTIVISM
http://www.aynrand.o[...]
2009-09-07
[240]
웹사이트
The Winnowing of Ayn Rand
http://www.cato-unbo[...]
2010-07-10
[241]
웹사이트
The philosophical art of looking out number one at heraldscotland
http://www.heraldsco[...]
2010-07-10
[242]
웹사이트
Ayn Rand at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2010-07-10
[243]
웹사이트
Profile of Ayn Rand at the Cato Institute
http://www.cato.org/[...]
2010-07-10
[244]
웹사이트
Philosophy: John Rawls vs. Robert Nozick
http://jeffersonswal[...]
2009-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