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카'는 일본어로 "바보"를 의미하는 단어로, 어원은 불확실하나 중국 고사, 산스크리트어, 기타 여러 설이 존재한다. 중국의 지록위마 고사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산스크리트어 '모하'(어리석음) 또는 '마할라카'(멍청함)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바카'는 14세기 문헌인 '태평기'에서 처음 등장하며, 이후 다양한 의미와 용법으로 사용되었다. 일상생활에서 뿐만 아니라, 공업, 낚시, 요괴, 동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의 가미카제 비행 폭탄의 암호명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 낱말 - 사무라이
    사무라이는 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일본의 무사 계급을 일컫는 말로, 본래 귀족을 섬기는 사람을 뜻하는 '사부라이'에서 유래하여 쇼군을 섬기는 무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변화했으며, 무사도를 따르며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어 낱말 - 훈도시
    훈도시는 일본의 전통 속옷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전통 행사, 스모, 연극 등에서 사용되고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바카
단어 정보
언어일본어
표기馬鹿 (한자), ばか/バカ (히라가나/가타카나)
로마자 표기baka
의미어리석음, 멍청함, 바보
유사 표현아호
관련 표현바카야로
어원 및 역사
기원불명 (여러 가지 추측 존재)
유래 추정"말(馬)과 사슴(鹿)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고사성어 (지록위마)
불교 용어 "무지(無知, moha)"
바쿠(獏)
사용 예시
문학 작품다양한 문학 작품 및 대중 매체에서 사용됨
일상 회화"바보", "멍청이" 등의 의미로 사용
기타
주의 사항모욕적인 표현이므로 사용에 주의
지역별 뉘앙스지역에 따라 뉘앙스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 어원

'바카(baka)'의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일본 학자들은 다양한 어원과 민간 어원을 제시해 왔다. 가장 널리 인용되는 두 가지는 고대 중국의 관용구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차용어이다.

언어학적으로 가장 타당한 어원은 '바카'가 "바보"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2][7] 이 외에 신뢰도가 낮은 어원설로는, 에도 시대의 두 사전에서 '바카'가 ''오마카'' 大まか일본어 "관대한; 아낌없는"(''리겐 슈란'' 俚言集覧일본어) 또는 ''보케루'' 惚ける일본어 "노망이 들다; 정신이 흐려지다; 정신이 쇠약해지다"(''마쓰야 힛키'' 松屋筆記일본어)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하는 것이 있다.[7][8]

어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결정적인 것은 없다. 다만, 문헌에 의한 최초 출현이 태평기에 나오는 "바보"이며, "바보"라는 용법은 그것보다 후세인 점으로 볼 때, 당초에는 "바보"라는 숙어로만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전제로 한 설이 약간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 '''젊은이 설''': "젊은이 (wakamono)"의 w음이 b음으로 변하여 "바보 (바보자)"가 되었다는 설.[22]
  • '''파가 설''': 선종의 불전 등에 나오는 파산한다는 의미의 "파가"와 "자"를 합쳐 "파산할 정도로 어리석은 자"라는 데에서 "바보"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설.
  • '''마가 설''': 중국에 있던 마씨 성을 가진 부유한 일족이 쓸데없는 일에 신경 써서 돈을 낭비하고, 그 집안이 엉망이 되었다는 백거이의 '''백씨문집'''에 있는 시의 한 구절에서 생겨났다는 설.
  • '''하카나시 설''': 고어 형용사인 "하카나시"의 어간이 변화했다는 설.
  • '''오코 설''': 옛말에 어리석은 것을 "오코"라고 하며, 이것이 변했다는 설.
  • '''보케 설''': "보케 (아마도, "호케(루)", "후우케(루)"의 전음)"가 변했다는 설.

2. 1. 중국 고사 유래설

진나라의 반역자 조고() (기원전 207년 사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는 ''사기''에 기록되어 있다.[7] 1548년경 ''운보이로하슈''() 사전에서는 '바카' 를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指鹿曰馬)는 의미로 풀이하고 있다.[8] 즉, 중국어 관용구인 ''지록위마''(; lit.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부름", 일본어 ''Shika o Sashite Uma to Nasu'')는 "숨겨진 목적을 위한 의도적인 허위 진술"을 의미한다. 조고는 초대 황제 진시황(재위 기원전 246–221년)을 섬기고, 제2대 진이세 황제(재위 기원전 210–207년)에게 자살을 강요한 악명 높은 대신이었다.

조고는 반역을 꾀했지만, 다른 관리들이 자신의 명령을 따르지 않을까 두려워 먼저 시험해 보기로 결심했다. 그는 사슴 한 마리를 가져와 이세 황제에게 바치며 그것을 말이라고 불렀다. 이세 황제는 웃으며 "승상이 혹시 사슴을 말이라고 부르는 실수를 한 것이오?"라고 말했다. 그러자 황제는 주변 사람들에게 물었다. 어떤 사람들은 침묵을 지켰고, 어떤 사람들은 조고에게 아첨하기 위해 그것을 말이라고 말했으며,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사슴이라고 말했다. 조고는 몰래 사슴이라고 말한 사람들을 모두 법정에 세우도록 조치했다. 그 후 관리들은 모두 조고를 두려워했다.
|조고는 반역을 꾀했지만, 다른 관리들이 자신의 명령을 따르지 않을까 두려워 먼저 시험해 보기로 결심했다. 그는 사슴 한 마리를 가져와 이세 황제에게 바치며 그것을 말이라고 불렀다. 이세 황제는 웃으며 "승상이 혹시 사슴을 말이라고 부르는 실수를 한 것이오?"라고 말했다. 그러자 황제는 주변 사람들에게 물었다. 어떤 사람들은 침묵을 지켰고, 어떤 사람들은 조고에게 아첨하기 위해 그것을 말이라고 말했으며,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사슴이라고 말했다. 조고는 몰래 사슴이라고 말한 사람들을 모두 법정에 세우도록 조치했다. 그 후 관리들은 모두 조고를 두려워했다.중국어[5]

이 일본어 관용구는 11세기 소설 ''겐지 이야기''에서 처음 등장한다.

고키덴은 분노에 휩싸였다. "폐하의 총애를 받지 못하는 사람은 스스로 먹고 살기도 어렵다. 그런데 그는 멋지고 세련된 집에서 살면서 우리 모두에 대해 끔찍한 말을 하고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그의 주변에 아첨꾼들이 그에게 사슴이 말이라고 확신시키고 있을 것이다."
|고키덴은 분노에 휩싸였다. "폐하의 총애를 받지 못하는 사람은 스스로 먹고 살기도 어렵다. 그런데 그는 멋지고 세련된 집에서 살면서 우리 모두에 대해 끔찍한 말을 하고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그의 주변에 아첨꾼들이 그에게 사슴이 말이라고 확신시키고 있을 것이다."일본어[6]

지록위마(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


의 호해 시대, 권력을 휘두르던 환관조고모반을 꾀하고, 조정 신하들 중 자신의 아군과 을 판별하기 위해 한 가지 계책을 고안했다. 그는 궁중에 사슴을 끌고 와 "진귀한 말이 들어왔습니다"라고 황제에게 헌상했다. 황제는 "이것은 사슴이 아니냐"라고 물었지만, 조고가 좌우 신하들에게 "이것은 틀림없이 말이 아니겠는가?"라고 묻자 그를 두려워하는 자는 말이라고 하고, 그를 두려워하지 않는 기골 있는 자는 사슴이라고 대답했다. 조고는 나중에 사슴이라고 대답한 자들을 모두 죽였다. 참고로, 겐지 이야기의 "스마" 권에서는 고쿄덴 다이코가 히카루 겐지와 그를 사모하는 사람들을 비난할 때 이 고사를 사용하고 있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마록"은 단순히 사슴을 의미한다.

2. 2. 산스크리트어 유래설

मोह|모하sa(मोहsa)는 산스크리트어로 "어리석음", "당혹", "망상"을 뜻하며, "혼란"을 의미하는 어근 ''무흐''에서 유래한다.[10] 일본 불교 승려들이 이 단어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에도 시대 학자 아마노 사다카게 (天野信景일본어; 1663–1733)는 승려들이 산스크리트어에서 '바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고 처음 제안했다.[8]

현대 참고 자료는 '바카'의 산스크리트어 어원으로 "어리석은" ''모하''(慕何)와 "멍청한" ''마할라카''(摩訶羅)를 제시한다.[2][8][9] ''마할라카''는 "노망", "허약", "멍청", "쇠약"을 의미하며, "둔한, 멍청한, 어리석은, 경험이 없는, 바보"를 뜻하는 ''무르카''(मूर्खsa)에서 유래한다.[10]

방글라데시의 공용어인 벵골어에서도 "바카"는 어리석은 자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며, 벵골어는 산스크리트어를 조어로 한다.

에도 시대의 국학자 아마노 노부카게가 이 설을 제창하여, 고지엔을 비롯한 주요 국어 사전에서 채용하고 있다. ''mahallaka'' ('''마하라''': 무지) (신무라 이즈루, 이시구로 오사무), 또는 ''maha'' ('''마하''': 크다, 위대하다)를 어원으로 보는 설도 있다.

2. 3. 기타 어원설

'바카'(baka)는 그 기원이 불확실하지만, 일본 학자들은 다양한 어원과 민간 어원을 제시해 왔다. 가장 널리 인용되는 두 가지는 고대 중국의 관용구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차용어이다.[7]

; 산스크리트어 설

: 산스크리트어로 ", 어리석음"을 의미하는 ''moha''의 음역인 '''막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승려들이 사용하던 은어였으며, '바보'라는 표기는 후세의 대자라고 한다. 에도 시대의 국학자 아마노 노부카게가 제창했으며, 고지엔을 비롯한 주요 국어 사전에서 채용하고 있다.

: 같은 산스크리트어의 ''mahallaka'' ('''마하라''': 무지) (신무라 이즈루, 이시구로 오사무), 또는 ''maha'' ('''마하''': 크다, 위대하다)를 어원으로 하는 설도 있다.

: 방글라데시의 공용어인 벵골어에서도 "바카"라는 단어는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어리석은 자를 가리킨다. 벵골어는 산스크리트어를 조어로 한다.

; 사기의 "지록위마(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 고사 설

: 진나라 호해 시대, 권력을 휘두르던 환관 조고모반을 꾀하고, 조정 신하들 중 자신의 아군과 을 판별하기 위해 계책을 고안했다. 그는 궁중에 사슴을 끌고 와 "진귀한 말이 들어왔습니다"라고 황제에게 헌상했다. 황제는 "이것은 사슴이 아니냐"라고 물었지만, 조고가 좌우 신하들에게 "이것은 틀림없이 말이 아니겠는가?"라고 묻자 그를 두려워하는 자는 말이라고 하고, 그를 두려워하지 않는 기골 있는 자는 사슴이라고 대답했다. 조고는 나중에 사슴이라고 대답한 자들을 모두 죽였다. 겐지 이야기의 "스마" 권에서는 고쿄덴 다이코가 히카루 겐지와 그를 사모하는 사람들을 비난할 때 이 고사를 사용하고 있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마록"은 단순히 사슴을 의미한다.

; 젊은이 설

: "젊은이 (wakamono)"의 w음이 b음으로 변하여 "바보 (바보자)"가 되었다는 설이다.[22] 민속학자 야나기타 구니오는, 고지엔의 편자 신무라 이즈루가 제창했다고 적고 있지만, 신무라가 문장으로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불명확하다. 신무라는 고지엔에서 산스크리트어 설을 채용했지만, 적극적으로 채용한 것은 아니었던 듯하다. 그 외, 우메가키 미노루 등이 있다.

; 파가 설

: 선종 불전 등에 나오는 파산한다는 의미의 "파가"와 "자"를 합쳐 "파산할 정도로 어리석은 자"라는 데에서 "바보"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설이다. 도호쿠 대학의 사토 기요지가 제창했으며, 일본 국어 대사전에서 채용하고 있다.

; 마가 설

: 중국에 있던 마씨 성을 가진 부유한 일족이 쓸데없는 일에 신경 써서 돈을 낭비하고, 그 집안이 엉망이 되었다는 백거이의 '''백씨문집'''에 있는 시의 한 구절에서 생겨났다는 설이다. "마가의 자"에서 "바보"가 되었다고 한다. "마가"는 헤이안 시대에도 한음으로 "바카"로 읽혔으며, 발음에 대한 모순은 없고, "바보"가 무로마치 시대에는 "난폭한 자"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점 등과도 일치한다며, 마쓰모토 오사무가 제창하고, 기다 아키요시 등이 지지하고 있다.[23]

; 하카나시 설

: 고어 형용사인 "하카나시"의 어간이 변화했다는 설이다. 가네다이치 하루히코는 이 설을 따르고 있으며, 이를 채택한 국어 사전도 있다.

; 오코 설

: 옛말에 어리석은 것을 "오코"라고 하며, 이것이 변했다는 설이다. (아호도 이것에 유래하는 것이 아니냐는 설도 있지만, 어느 쪽도 증거는 없다) (야나기타 구니오 '웃음의 본원')

; 보케 설

: "보케 (아마도, "호케(루)", "후우케(루)"의 전음)"가 변했다는 설이다. (오야마다 요시키요 '마쓰야 필기', 나가타 나오유키 '기쿠치 속언고')

3. 역사

현대 일본어 표기법에서 ''바카''라는 모욕적인 단어는 가타카나로 バカ일본어, 히라가나로 ばか일본어, 또는 ''아테지'' 음성 한자 표기로 馬鹿일본어(말 사슴한국어)로 표기한다. 이전의 ''아테지'' 표기에는 莫迦일본어, 母嫁일본어, 馬嫁일본어, 또는 破家일본어가 있었다.[2]

''바카(Baka)''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한 것은 남북조 시대 (1336–1392년)였다.[24] 가장 초기의 예로, 역사 서사시인 태평기는 1342년에 "바카모노"(馬鹿者일본어)가 욕설로 사용되었음을 기록하고 있다.[3] 아시카가의 지휘관 토키 요리토(土岐頼遠일본어)는 물러난 고곤 천황 (재위 1313–1364)에게 경의를 표하기를 거부하며, "아마 술에 취한 요리토는 감히 그에게 하마하라고 명령하는 자가 어떤 바보(''바카모노'')인지 큰 소리로 따졌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신무라는 ''태평기''의 초판(14세기)에는 ''바카''가 バカ일본어로 표기되었지만, 후기 활자판(c. 1600)에는 한자 馬鹿일본어로 표기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7][4]

분메이 시대(1469–1487년)의 ''세쓰요슈'' 사전은 ''바카'' 馬鹿일본어를, 母嫁일본어 (문자 그대로 "어머니 신부"), 馬嫁일본어 (문자 그대로 "말 신부"), 또는 破家일본어 (문자 그대로 "가족 파괴")로도 표기했으며, 이는 ''로제키'' 狼藉일본어 "무질서, 혼란"을 의미한다고 기록하고 있다.[8]

많은 고전 일본 문헌에서 ''바카''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c. 1616) ''고요 군칸'' 군사 연대기에서는 ''바카''를 馬嫁일본어로 기록했다. 이하라 사이카쿠의 (1682) ''호색일대남'' (好色一代男일본어; "색을 밝히는 남자의 일생")은 우키요조시 장르의 고전으로, ''바카''를 현대 한자인 馬鹿일본어로 표기했다.

남북조 시대 태평기에서의 "바보(바카노모노)"의 사용이 최초이다. 초기 시절의 "바보"는 문명본절용집에 있듯이 "횡포를 부리는 자"로, 현재의 "어리석음"의 의미를 포함하는 단어는 아니었다.[24] "어리석음"을 가리키는 단어로는 고대부터 사용되던 "오코노모노"가 있었고, 그것이 사용되었다. '''바보'''가 "어리석음"의 뜻을 포함하게 되는 것은 에도 시대호색일대남 무렵부터이다.

4. 의미와 용법

馬鹿|바카일본어는 현대 일본어 표기법에서 모욕적인 단어로, 가타카나로는 バカ|바카일본어, 히라가나로는 ばか|바카일본어로 표기한다. 또는 소리나는 대로 한자를 빌려 쓴 馬鹿일본어 ( "말 사슴")로 표기하기도 한다.[2]

이 단어는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지역이나 상황, 그리고 누구에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의미와 뉘앙스가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간토 지방에서는 가벼운 야유 정도로 사용되지만, 긴키 지방에서는 강한 감정을 담아 욕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상대방의 출신에 따라 '바카'라는 말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주의해야 한다.[19]

조지 새빌은 바카를 "내면에 대화가 없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이는 "지식이 부족하다"거나 "사려 깊음이 부족하다", 더 나아가 "이해의 정도가 부족하다(스테레오타입을 남용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바카'는 상대방이 이해하려는 의지노력이 부족하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다. '바보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는 속담은 원래 '둔감해서 감기에 걸려도 눈치채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아호'(이해하거나 사고하는 능력이 부족하다)와 구별해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지역에 따라 의미의 강약에 차이가 있다.

'바카'는 단점을 함께 좋아하는 사이에서 사용될 때는 욕설의 의미가 없으며, "친밀함", "수줍음", 또는 "진심으로 사랑하고 있다"는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매우 친밀한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또한 무언가에 열중한 나머지 사회적 상식을 잃어버린 상태를 '바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는 일반적인 배려나 상식적인 배려가 등한시되는 모습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친바카(오야바카): 부모가 자신의 아이만 맹목적으로 사랑한 나머지, 보기에는 어리석은 짓을 하고 있는데 그 어리석음을 부모 스스로가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20]
  • 전문 바카: 특정 분야에만 비정상적으로 집착하여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그 분야 외에는 일반인 이상으로 심하게 무지한 사람을 말한다.
  • 낚시 바카: 낚시에 열중한 나머지, 사회적 상식을 잃어버려 가족이나 일보다 낚시를 우선시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바카'는 다소 감정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단어이므로, 공적인 자리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소속 조직상사에게 사용하면 사회인으로서 치명적인 상황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끼리 서로 바보라고 욕하며 싸우는 모습은 쌍방이 모두 바보처럼 보이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사용하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사람을 깔보는 의미가 될 수 있다.

바보를 강조할 때는 "대(大)"를 붙여 "대바보(大馬鹿)"라고 하거나, 뒤에 을 붙여 "바보 놈(馬鹿野郎)"이라고 표현한다. "바보 녀석(馬鹿者)"이라는 표현도 사용된다. 욕설끼리 조합할 때는 "바보 자식(馬鹿たれ)"이라고 하며, 아이러니한 표현으로는 "꼬마 바보(小馬鹿)"가 있다. 바보를 심하게 말할 때는 "똥"을 붙여 "똥 바보(糞馬鹿)"라고 한다.

4. 1. 일반적인 의미

언어학자 마이클 카는 일본어 사전과 유의어 사전의 '바카' 항목에 대한 의미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8개의 상호 관련된 의미를 구분한다.[7]

'''바카의 3가지 기본 의미 ("바보; 어리석은"):'''

  • ''바카''1 "멍청이; 얼간이; 바보"
  • ''바카''2 "정신 지체; 바보; 멍청이; 바보" (ament는 "선천적으로 정신 지체"를 의미하는 드문 단어)
  • ''바카''3 "얼간이; 둔한 사람; 멍청이; 단순한 사람; 얼간이; 바보"


'''자주 사용되는 일본어 표현:'''

  • 더 모욕적인 표현:
  • ''바카모노'' 馬鹿者|바카모노일본어 "바보, 얼간이, 멍청이"
  • ''오바카'' 大馬鹿|오바카일본어 "대바보, 젠장할 멍청이"
  • ''바카야로'' 馬鹿野郎|바카야로일본어 "멍청한 얼간이, 멍청이, 멍청이, 멍청이"
  • 복합어:
  • ''바카 요케'' 馬鹿ヨケ|바카 요케일본어 "바보 방지; 멍청이 방지"
  • ''바카 와라이'' 馬鹿笑い|바카 와라이일본어 "어리석은/말 웃음"
  • ''바카 즈라'' 馬鹿面|바카 즈라일본어 "어리석은 얼굴; 멍청한 표정"
  • 동사구:
  • ''바카 니 수루'' 馬鹿にする|바카 니 수루일본어 "(누군가를) 바보로 만들다; 경멸하다"
  • ''바카 요바와리수루'' 馬鹿よば와리する|바카 요바와리수루일본어 "(누군가를) 바보라고 부르다"
  • ''바카 오 미루'' 馬鹿を見る|바카 오 미루일본어 "(자신을) 바보/얼간이로 만들다"


'''확장된 의미:'''

  • ''바카''4 "가치 없는; 어리석은; 가치 없는; 사소한; 무의미한":
  • ''바카게타'' 馬鹿げた|바카게타일본어 "어리석은; 터무니없는; 우스꽝스러운"
  • ''바카나'' 馬鹿な|바카나일본어 "어리석은; 어리석은; 멍청한"
  • ''바카라시이'' 馬鹿らしい|바카라시이일본어, ''바카바카라시이'' 馬鹿々々らしい|바카바카라시이일본어, 또는 ''바카쿠사이'' 馬鹿臭い|바카쿠사이일본어 (모두 "어리석은; 터무니없는; 우스꽝스러운"을 의미)
  • ''바카 이에'' 馬鹿言え|바카 이에일본어 "말도 안 돼!; 계속해!"
  • ''바카나 마네 오 수루'' 馬鹿な真似をする|바카나 마네 오 수루일본어 "어리석은 짓을 하다; 어리석게 행동하다"
  • ''바카''5 "과도함; 어리석은; 터무니없는; 극단적인; 사치스러운":
  • ''바카니'' 馬鹿に|바카니일본어 또는 ''바카바카시쿠'' 馬鹿々々しく|바카바카시쿠일본어 "아주; 몹시; 극도로"
  • ''바카야수이'' 馬鹿安い|바카야수이일본어 "터무니없이/싸구려"
  • ''바카네'' 馬鹿値|바카네일본어 또는 ''바카다카이'' 馬鹿高い|바카다카이일본어 "터무니없이 비싼"
  • ''바카테이네이'' 馬鹿丁寧|바카테이네이일본어 "과도한 공손함"
  • ''바카쇼지키'' 馬鹿正直|바카쇼지키일본어 "지나치게 정직함"


'''특별한 의미 (관련 없는 의미론적 연결):'''

  • ''바카''6 "조개"는 ''바카가이'' 馬鹿貝|바카가이일본어 "조개; ''Mactra chinensis''"의 생략형이다.
  • ''바카''7 "마비(사지)"는 ''바카 니 나루'' 馬鹿になる|바카 니 나루일본어라는 표현에서 사용된다.
  • ''바카''8는 "(골동품 종류의) 동전 계산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용법:'''

  • 상대방을 조롱하거나 욕설(상대방의 입장을 낮게 봄으로써, 감정을 손상시키거나 인격을 부정하는 행위)하기 위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단어이다.[19]
  • 적인 자리에서 사용하면 자극이 강할 수 있다.[19]
  • [http://kotobank.jp/word/%E9%A6%AC%E9%B9%BF 広辞苑]에 따르면, 옛날에는 승려은어였으며[16], 아마 범어(산스크리트어)의 moha("무지"라는 의미의 단어)에서 유래된 단어라고 여겨진다.[16] (다양한 설 존재, 어원 참조)
  • 일본어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지역, 사용 상황, 사용자(자신/타인)에 따라 의미와 뉘앙스가 크게 달라진다.
  • 간토 지방: 가벼운 야유
  • 긴키 지방: 강한 감정을 담은 욕설
  • 듣는 사람의 출신지에 따라 '바카'의 의미가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방언과 분포 상황 참조)
  • 조지 새빌은 바카를 "내부에 대화가 없는 사람"이라고 정의. "지식 부족", "사려 깊음 부족", "이해 정도 부족(스테레오타입 남용)" 등의 의미로 사용.
  • 당사자가 이해하려는 의지노력이 부족하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다. ('바보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는 '둔감해서 감기에 걸려도 눈치채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유래)
  • 유사어 '아호'(이해/사고 능력 부족)와 구별: 지역에 따른 의미 강약 차이 존재.
  • 단점을 함께 좋아하고 있는 사이: 욕설 의미 없음. "친밀함", "수줍음", "진심으로 사랑" 등의 표현. 매우 친밀한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
  • 무언가에 열중하여 사회적 상식을 잃어버린 상태: 일반적인 배려나 상식적인 배려가 등한시되는 모습.
  • 예시:
  • "친바카"(오야바카): 부모가 자신의 아이만 맹목적으로 사랑하여 어리석은 짓을 하고, 그 어리석음을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것.[20] ("친바카입니다 죄송합니다" 등 비유 표현으로 사용)
  • "전문 바카": 특정 분야에만 비정상적으로 집착, 지식을 가지지만, 그 외 분야는 일반인 이상으로 심하게 무지한 사람.
  • "낚시 바카": 낚시에 열중하여 사회적 상식을 잃고, 가족/일보다 낚시를 우선시하는 사람 ("도락", "미치"가 유사어).
  • 감정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단어이므로, 공적인 자리에서는 용법이 제한. (예: 조직 상사에게 사용 시 사회인으로서 치명적인 상황 초래)
  • 어린이들끼리 서로 바보라고 욕하며 싸우는 모습: 쌍방이 바보처럼 보이는 케이스. 같은 단어를 반복 사용 시 상대방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사람을 깔보는 의미.


'''구체적인 사용 예시:'''

  • 실패한 상대를 욕하는 경우, 어리석은 행위나 인물: "바보 같은 짓을 했어", "바보", "정직한 사람이 바보 취급을 받는다" 등.
  • 일반 상식, 지식 부족 인물: "○○도 몰라? 너 바보구나", "테스트 0점 받았어? 바보네" 등.
  • 엄청난 것을 표현하는 접두사: "바보 정직", "바보 소동", "바보로 크다" 등 ("엄청 인기", "엄청 잘 팔림" 등은 새로운 용법).
  • 쌀과자 "바카우케": 긍정적인 의미 (쿠리야마 베이카가 있는 니가타 지방에서는 옛날부터 "바보~"가 "정도가 심하다"는 방언으로 사용[21]).
  • 특정 분야에만 통달, 그 외 일반 상식 결여 인물: "저 녀석은 수학 바보니까", "축구 바보", "야구 바보", "전문 바보", "전쟁 바보" 등 (『가라데 바보 일대』, 『낚시 바보 일지』).
  • 특정 분야 지식은 풍부, 이상한 집착을 보이는 인물이라는 긍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함.
  • 무언가에 집착하여 객관적/이성적 판단 불가 상태: 애정결핍 등.
  • 쓸모없는 것: "나사가 헛돌게 되다" (과도한 조임 토크로 나사산 손상, 뉴턴을 가해도 체결 불가) 등.
  • "바보 구멍을 통과시키다": "나사 깎는 것"은 무의미, "나사 통과"는 필요. "쓸모없다"는 의미로 단정 불가.

4. 2. 특정 분야에 대한 용법

馬鹿일본어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일본어 단어이다. 언어학자 마이클 카는 일본어 사전과 유의어 사전의 ''바카'' 항목에 대한 의미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8개의 상호 관련된 의미를 구분했다.[7]

의미설명예시
바보, 어리석음바카1 "멍청이, 얼간이, 바보"
바카2 "정신 지체, 바보, 멍청이" (ament는 "선천적으로 정신 지체"를 의미하는 드문 단어)
바카3 "얼간이, 둔한 사람, 멍청이, 단순한 사람, 얼간이, 바보"
바카모노 馬鹿者일본어 "바보, 얼간이, 멍청이"
오바카 大馬鹿일본어 "대바보"
바카야로 馬鹿野郎일본어 "멍청한 얼간이"[7]
가치 없음, 과도함바카4 "가치 없는, 사소한"
바카5 "과도함, 터무니없는, 극단적인"
바카게타 馬鹿げた일본어 "터무니없는"
바카나 馬鹿な일본어 "어리석은"
바카니 馬鹿に일본어 "몹시"
바카야수이 馬鹿安い일본어 "터무니없이 싼"
기타바카6 "조개" (바카가이 馬鹿貝일본어 "조개, Mactra chinensis"의 생략형)
바카7 "마비(사지)" (바카 니 나루 馬鹿になる일본어라는 표현에서 사용)
바카8 "(골동품 종류의) 동전 계산기"



이러한 의미들은 다양한 표현에서 나타난다.


  • '''복합어''': ''바카 요케'' 馬鹿ヨケ일본어 "바보 방지", ''바카 와라이'' 馬鹿笑い일본어 "어리석은 웃음", ''바카 즈라'' 馬鹿面일본어 "멍청한 표정"[7]
  • '''동사구''': ''바카 니 수루'' 馬鹿にする일본어 "바보로 만들다, 경멸하다", ''바카 요바와리수루'' 馬鹿よば와리する일본어 "바보라고 부르다", ''바카 오 미루'' 馬鹿を見る일본어 "바보/얼간이로 만들다"[7]
  • '''기타 표현''': ''바카 이에'' 馬鹿言え일본어 "말도 안 돼!", ''바카나 마네 오 수루'' 馬鹿な真似をする일본어 "어리석은 짓을 하다", ''바카테이네이'' 馬鹿丁寧일본어 "과도한 공손함", ''바카쇼지키'' 馬鹿正直일본어 "지나치게 정직함"[7]


''바카''는 상대방을 조롱하거나 욕설(상대방의 감정을 손상시키거나 인격을 부정하는 행위)하기 위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단어이다.[19] 적인 자리에서 사용하면 자극이 강할 수 있다.[19]

조지 새빌은 바카에 대해 "내부에 대화가 없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듯이, "지식이 부족하다"거나 "사려 깊음이 부족하다", "이해의 정도가 부족하다(스테레오타입을 남용하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바카'의 다양한 용례

  • 실패했을 때: "바보 같은 짓을 했어", "정직한 사람이 바보 취급을 받는다" 등.
  • 일반 상식, 지식이 부족한 인물: "○○도 몰라? 너 바보구나", "테스트 0점 받았어? 바보네" 등.
  • 엄청난 것을 표현하는 접두사: "바보 정직", "바보 소동" 등.
  • 특정 분야에만 통달하고, 그 외의 일반 상식이 결여된 인물: "수학 바보", "축구 바보", "전쟁 바보" 등.
  • 무언가에 집착하는 등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없는 상태: 애정결핍 등.
  • 쓸모없는 것을 가리키는 경우: "나사가 헛돌게 되다" 등.


이처럼 '바카'는 다양한 의미와 용법을 가진 단어이며, 문맥에 따라 그 뉘앙스가 달라진다.

4. 3. 긍정적 용법

''바카''는 다양한 긍정적 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친밀함, 수줍음, 사랑의 표현: 단점을 함께 좋아하는 사이 등에서 사용되며, 욕설의 의미는 없다. "친밀함", "수줍음", 또는 "진심으로 사랑하고 있다"는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매우 친밀한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가 될 수도 있다.[19]
  • 한 가지에 열중하는 모습: 무언가에 열중한 나머지 사회적 상식을 잃어버린 상태를 "바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배려나 상식적인 배려가 등한시되는 모습을 가리킨다.
  • "친바카"(오야바카): 부모가 자신의 아이만 맹목적으로 사랑한 나머지, 보기에는 어리석은 짓을 하고 있는데 그 어리석음을 부모 스스로가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20] 타인에게 준 불쾌감에 대해 사과하기 위해 "친바카입니다 죄송합니다" 등 비유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전문 바카": 특정 분야(특정 학문 등)에 대해서만 비정상적으로 집착하여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그 분야 외에 관해서는 일반인 이상으로 심하게 무지한 사람을 말한다.
  • "낚시 바카": 낚시에 열중한 나머지, 사회적 상식을 잃어버려, 가족이나 일보다 낚시를 우선시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 의미에서는 "도락"이나 "미치"가 유사어에 해당한다).
  • 우직함, 정직함: 서투르지만 한 가지 을 굽히지 않고 걸어가면서 무언가를 이루는 모습을 바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예: 『가라데 바보 일대』). 유사한 표현으로 "우직한 일념"이 있다. 복잡한 생각이나 술책을 부리지 않고 정직하게 살아가는 사람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 『이반의 바보』, 『비에도 지지 않고』)
  • 젊음, 정의감: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일을 해결하는 어른의 판단에 대해, 그렇게 해서는 정의가 똑바로 관철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때, 젊은이가 그런 상황을 견디지 못하고 곧장 나아가는 모습을 "바보"라고 칭하기도 한다. '''바보 정직''' 등은 경우에 따라 이것을 의미한다. 혹은 젊은이의 폭발하기 쉬운 에너지를 가리켜 바보라고 하는 예도 있다.
  • 순수함, 청량함: 사물을 생각하는 힘이 약하고, 일을 잘 진행하지 못하는 모습이, 오히려 여러 가지에 신경 쓰고, 앞을 내다보며 움직여야 하는 사회에서는, 한 모금의 청량제가 될 수 있다. 선승의 한 모습으로서의 료칸 등이 이에 가깝다. 만화 『천재 바카본』의 캐릭터인 바카본의 파파도 그런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있다.
  • 거물, 큰 인물: 더 큰 바보는 거물이 될 수 있다는 표현은 문학 등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바 료타로소설 『항우와 유방』에서 고조 유방을 그렇게 그리고 있다.


"헤이세이의 대바보 문" 소동이라는 것도 있었다. 조각가인 소라 미츠아키가 부교대학에 기증한 석조 기둥에 이 단어가 새겨진 것이 발단이었다. 부교대학은 "바보라는 말은 대학에는 부적절하다"며 이 단어를 삭제할 것을 요구했지만, 소라가 이를 거부하면서 대소동으로 발전했다. 결국 문 기둥은 부교대학에서 철거되었지만, 소라의 사상에 공감한 효고현 시소군 치쿠사초 (현: 효고현 시소시)가 이 문 기둥을 인수하여, 마을 내 두 개의 산 정상에 하나씩 이설되었다.

4. 4. 기타 용법

언어학자 마이클 카는 일본어 사전과 유의어 사전의 ''바카'' 항목에 대한 의미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8개의 상호 관련된 의미를 구분한다.[7]

''바카''는 상대방을 조롱하거나 욕설(상대방의 감정을 손상시키거나 인격을 부정하는 행위)하기 위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19] 단어이다. 적인 자리에서 사용하면 자극이 강할 수 있다.[19]

[http://kotobank.jp/word/%E9%A6%AC%E9%B9%BF 広辞苑]에 따르면, 옛날에는 승려은어였다고 하며[16], 아마 범어(산스크리트어)의 moha("무지"라는 의미의 단어)에서 유래된 단어라고 여겨진다[16].

이 단어는 일본어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지역, 사용되는 상황, 자신에게 사용되었는지, 타인에게 사용되었는지에 따라 의미와 뉘앙스가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간토 지방에서는 일반적으로 가벼운 야유 정도로 사용되지만, 긴키 지방에서는 강한 감정을 담아 욕할 때 사용되는 등의 차이가 있다.

조지 새빌은 바카에 대해 "내부에 대화가 없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듯이, 비교적 흔하게 보이는 뉘앙스는 "지식이 부족하다"거나 "사려 깊음이 부족하다", 더 나아가 "이해의 정도가 부족하다(스테레오타입을 남용하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단, 기본적으로 당사자가 이해하려는 의지노력이 부족하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다. 참고로 '바보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의 원래 의미는 '둔감해서 감기에 걸려도 눈치채지 못한다'는 데서 유래한다.

유사어인 '아호'(이해하거나 사고하는 능력이 부족하다)와의 구별(의미의 강약)에는 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다.

단점을 함께 좋아하고 있는 사이 등에서도 사용된다. 이 경우 욕설의 의미는 없다. "친밀함"의 표현이나 "수줍음", 또는 "진심으로 사랑하고 있다"를 표현하는 등 다양한 국면에서 사용된다. 매우 친밀한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가 될 수도 있다.

무언가에 열중한 나머지 사회적 상식을 잃어버린 상태도 "바카"라고 한다. 이것은 무언가에 열중한 나머지, 일반적인 배려나 상식적인 배려가 등한시되는 모습을 가리킨다.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 "친바카"(오야바카) - 부모가 자신의 아이만 맹목적으로 사랑한 나머지, 보기에는 어리석은 짓을 하고 있는데 그 어리석음을 부모 스스로가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20] 타인에게 준 (가능성이 있는) 불쾌감에 대해 사과하기 위해 "친바카입니다 죄송합니다" 등 비유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전문 바카" - 특정 분야(특정 학문 등)에 대해서만 비정상적으로 집착하여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그 분야 외에 관해서는 일반인 이상으로 심하게 무지한 사람을 말한다.
  • "낚시 바카" - 낚시에 열중한 나머지, 사회적 상식을 잃어버려, 가족이나 일보다 낚시를 우선시하는 사람을 가리킨다.(이 의미에서는 "도락"이나 "미치"가 유사어에 해당한다).


"바카"는 다소나마 감정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단어이므로, 공적인 자리에서는 그 용법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소속 조직상사에게 같은 단어를 사용하면, 사회인으로서 치명적인 상황으로 몰릴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끼리의 사소한 싸움 등에서, 서로 바보라고 욕하고 싸우는 모습이 종종 보이는데, 이것은 겉보기에는 쌍방이 바보처럼 보이는 하나의 케이스이다. 게다가,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사용하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사람을 깔보는 의미가 되는 경우도 있다.

; 실패했을 때 실패한 상대를 욕하는 경우.

; 어리석은 행위나 인물

: "바보 같은 짓을 했어", "바보", "정직한 사람이 바보 취급을 받는다" 등.

; 일반 상식, 지식이 부족한 인물

: "○○도 몰라? 너 바보구나", "테스트 0점 받았어? 바보네" 등.

; 엄청난 것을 표현하는 접두사

: "바보 정직", "바보 소동", "바보로 크다" 등. "엄청 인기", "엄청 잘 팔림" 등은 새로운 용법.

: 쌀과자 "바카우케"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쿠리야마 베이카가 있는 니가타 지방에서는 옛날부터 "바보~"가 "정도가 심하다"는 방언으로 사용되었다[21]).

; 특정 분야에만 통달하고, 그 외의 일반 상식이 결여된 인물을 평하는 경우

: "저 녀석은 수학 바보니까", "축구 바보", "야구 바보", "전문 바보", "전쟁 바보" 등. 『가라데 바보 일대』, 『낚시 바보 일지』라는 만화도 있다.

: 어떤 특기 분야에는 뛰어나지만, 다른 지식은 현저하게 부족한 상태 또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그 분야의 지식만은 풍부하게 가지고 있고, 그 방향으로 이상한 집착을 보이는 인물이라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무언가에 집착하는 등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없는 상태

: 애정결핍 등.

; 쓸모없는 것을 가리키는 경우

: "나사가 헛돌게 되다" (과도한 조임 토크로 나사산을 손상시킨 상태로, 아무리 뉴턴을 가해서 조이려고 해도, 나사는 헛돌기만 할 뿐 체결할 수 없다) 등.

4. 5. 강조 표현

언어학자 마이클 카는 일본어 사전과 유의어 사전의 ''바카'' 항목에 대한 의미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8개의 상호 관련된 의미를 구분한다.[7]

세 가지 기본 "바보; 어리석은" 의미는 다음과 같다.

  • ''바카''1 "멍청이; 얼간이; 바보"
  • ''바카''2 "정신 지체; 바보; 멍청이; 바보" (ament는 "선천적으로 정신 지체"를 의미하는 드문 단어)
  • ''바카''3 "얼간이; 둔한 사람; 멍청이; 단순한 사람; 얼간이; 바보"


이러한 의미들은 자주 사용되는 많은 일본어 표현에서 발견된다. 더 모욕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다.

  • ''바카모노'' 馬鹿者|바카모노일본어 "바보, 얼간이, 멍청이"
  • ''오바카'' 大馬鹿|오-바카일본어 "대바보, 젠장할 멍청이"
  • ''바카야로'' 馬鹿野郎|바카야로-일본어 "멍청한 얼간이, 멍청이, 멍청이, 멍청이"


몇몇 복합어는 다음과 같다.

  • ''바카 요케'' 馬鹿ヨケ|바카요케일본어 "바보 방지; 멍청이 방지"
  • ''바카 와라이'' 馬鹿笑い|바카와라이일본어 "어리석은/말 웃음"
  • ''바카 즈라'' 馬鹿面|바카즈라일본어 "어리석은 얼굴; 멍청한 표정"


몇몇 동사구는 다음과 같다.

  • ''바카 니 수루'' 馬鹿にする|바카니 스루일본어 "(누군가를) 바보로 만들다; 경멸하다"
  • ''바카 요바와리수루'' 馬鹿よば와리する|바카요바와리 스루일본어 "(누군가를) 바보라고 부르다"
  • ''바카 오 미루'' 馬鹿を見る|바카오 미루일본어 "(자신을) 바보/얼간이로 만들다"


''바카''4 "가치 없는"과 ''바카''5 "과도함"의 두 가지 확장된 의미는 "어리석음; 어리석음"을 확장한다. ''바카''4 "가치 없는; 어리석은; 가치 없는; 사소한; 무의미한"은 다음 표현에서 사용된다.

  • ''바카게타'' 馬鹿げた|바카게타일본어 "어리석은; 터무니없는; 우스꽝스러운"
  • ''바카나'' 馬鹿な|바카나일본어 "어리석은; 어리석은; 멍청한"
  • ''바카라시이'' 馬鹿らしい|바카라시-일본어, ''바카바카라시이'' 馬鹿々々らしい|바카바카라시-일본어, 또는 ''바카쿠사이'' 馬鹿臭い|바카쿠사이일본어 (모두 "어리석은; 터무니없는; 우스꽝스러운"을 의미)


또한, 다음과 같은 구문에서도 사용된다.

  • ''바카 이에'' 馬鹿言え|바카이에일본어 "말도 안 돼!; 계속해!"
  • ''바카나 마네 오 수루'' 馬鹿な真似をする|바카나 마네오 스루일본어 "어리석은 짓을 하다; 어리석게 행동하다"


''바카''5 "과도함; 어리석은; 터무니없는; 극단적인; 사치스러운"은 다음과 같은 여러 표현에서 발견된다.

  • ''바카니'' 馬鹿に|바카니일본어 또는 ''바카바카시쿠'' 馬鹿々々しく|바카바카시쿠일본어 "아주; 몹시; 극도로"
  • ''바카야수이'' 馬鹿安い|바카야스이일본어 "터무니없이/싸구려"
  • ''바카네'' 馬鹿値|바카네일본어 또는 ''바카다카이'' 馬鹿高い|바카다카이일본어 "터무니없이 비싼"
  • ''바카테이네이'' 馬鹿丁寧|바카테-네-일본어 "과도한 공손함"
  • ''바카쇼지키'' 馬鹿正直|바카쇼-지키일본어 "지나치게 정직함"


세 가지 특별한 의미는 관련이 없는 의미론적 연결이다.

  • ''바카''6 "조개"는 ''바카가이'' 馬鹿貝|바카가이일본어 "조개; ''Mactra chinensis''"의 생략형이다.
  • ''바카''7 "마비(사지)"는 ''바카 니 나루'' 馬鹿になる|바카니 나루일본어라는 표현에서 사용된다.
  • ''바카''8는 "(골동품 종류의) 동전 계산기"를 의미한다.


상대방을 조롱하거나 욕설(그 입장을 낮게 봄으로써, 상대방의 감정을 손상시키거나 인격을 부정하는 행위)하기 위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단어이다.[19] 적인 자리에서 사용하면 자극이 강할 수 있다.[19]

바보를 강조할 때는 앞에 "대(大)"를 붙여 "대바보(大馬鹿)"가 하나의 정형 표현이다. 그리고 또 다른 정형 표현으로는 뒤에 이 붙는 "바보 놈(馬鹿野郎)"이 있다. 또한, "바보 녀석(馬鹿者)"이라는 표현도 사용된다. 더 나아가, 강조가 아닌 개인을 특정하는 표현에서도 "바보 녀석"이 사용된다. 이를 강조할 때는 "대바보 녀석(大馬鹿者)"이 사용된다.

욕설끼리의 조합으로는 "바보 자식(馬鹿たれ)"이 있다. 반대로 아이러니한 표현으로는 "꼬마 바보(小馬鹿)"가 있다.

바보를 심하게 말할 때는 앞에 "똥"을 붙인 "똥 바보(糞馬鹿)"가 있다.

5. 방언과 분포 상황

마크 베르나베에 따르면, 일본어 방언은 관동 방언에서 '바카'를 사용하는 것과 간사이 방언에서 阿呆일본어 또는 あほ일본어 ('바보', '멍청이', '얼간이'를 의미)를 사용하는 것 사이에서 지역적 차이를 보인다. 많은 일본어 사전은 '바카'와 '아호'를 동의어로 취급하지만, 오사카와 그 주변 지역에서는 '아호'가 비교적 무해한 단어인 반면, '바카'는 격렬한 단어이다. 반면 도쿄와 그 주변 지역에서는 정반대 현상이 나타난다.[11]

관동 지방에서는 "바카", 긴키 지방에서는 "'''아호'''"라고 하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 분포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오사카시의 아사히 방송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탐정! 나이트 스쿠프』에서 "『아호』와 『바카』의 경계선은 어디인가"라는 시청자 의뢰를 바탕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1991년에는 모든 시정촌교육위원회를 대상으로 대규모 앙케이트 조사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 특별 프로그램이 방영되어 많은 상을 받았다.

이 프로그램에서 제작된 "전국 아호·바카 분포도"에 따르면, "바카"는 긴키 이서에서도 사용되며, 전국 각지의 방언에서 "바카" 이외의 표현도 많이 보인다. 예를 들어, 도호쿠 지방에서는 "혼지나시"나 비슷한 말이 많이 보이며, "바카" 계열의 말이나 "타쿠란케[25]", "한카쿠사이"(반가취)라는 말도 보인다. 아이치현은 "타와케"가 많지만, 이는 오와리국 서부에서, 미카와국 동부에서는 시즈오카현 일부 등과 함께 "토로이", "토로쿠사이"가 많다. 미에현이나 오카야마현에는 "안고",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시가현 다카시마시[26], 돗토리현, 시마네현 동부에는 "다라", "다라즈"가 보인다. 오키나와 지방에서는 "후리문", "프리무누"가 보인다. "보케" 등 다른 말들을 포함하여, 동심원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동서에서는 그 원의 중심이 오랫동안 일본의 수도였던 교토라고 지적하고 있다.

바카와 아호 중 어느 쪽이 심한 표현인지에 대해서는, 관동 사람은 "아호"라는 말을 들으면 매우 모욕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간사이 사람은 "바카"라는 말을 들으면 매우 깔보는 듯한 느낌을 받는 경우가 많다. 홋카이도는 이주한 사람들이 각각 "바카", "아호" 외의 말들을 가져왔는데, 지역에 따라 어떤 말이 더 심한 표현인지가 다르다.

6.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바카'

'''바카'''는 일본어에서 모욕적인 단어로 사용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일본 대중 음악'''에서는 ''Pretty Little Baka Guy'', ''Ai no Baka'' 등의 앨범과 "Suki Sugite Baka Mitai" 등의 노래에 사용되었다.
  • '''일본 문학'''에서는 ''낚시 바보 일지'', ''개바보'', ''가라데 바카 이치다이'',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등의 제목에 사용되었다.

6. 1. 동물

중국어에서 ''mǎlù'' (馬鹿중국어)와 일본어 ''akashika'' (赤鹿일본어)는 모두 붉은 사슴(''Cervus elaphus'')을 가리킨다.

''무마시카''(馬鹿일본어)는 말 머리에 사슴 몸을 가진 요괴로, 1832년 백귀야행 에마키모노 (百鬼夜行絵巻일본어)에는 외눈, 말의 입과 귀, 사슴 뿔과 발굽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1]

1832년 ''백귀야행 에마키''에 묘사된 무마시카


중국에는 '''바카'''(ばろく, 마루(mǎ lù))라는 사슴의 일종이 있다. 이는 유럽이나 중동의 붉은사슴(학명: Cervus elaphus)과 근연종이며, 북미 북부와 유라시아 대륙 북동부에 분포하는 와피티(학명: Cervus canadensis) 중 동북아시아에 사는 종이다. 바카의 낡은 뿔이 탈락한 뒤 새로 생기는 어린 뿔을 건조시킨 것은 한약녹용(鹿茸, 로쿠조)으로 귀하게 여겨진다.

6. 2. 요괴



에도 시대 후기의 요괴 그림 두루마리에 그려진 요괴이다. 말의 머리에 사슴의 다리가 달려 있으며, 얼굴은 "바카"라는 이름을 나타내는 듯한 우스꽝스러운 표정을 하고 있다.

바카를 표기하는 "말 사슴" 한자는 중국 동물학 명명법과 일본 신화에서 사용된다. 중국어에서 ''mǎlù'' (馬鹿중국어)는 붉은 사슴(''Cervus elaphus'')을, 일본어 ''akashika'' 赤鹿일본어를 지칭한다.

''무마시카''(馬鹿일본어)는 드문 일본어 대체 읽기로, 말 머리에 사슴 몸을 가진 요괴이다.[1] 1832년경 ''백귀야행 에마키'' (百鬼夜行絵巻일본어; "백귀야행 에마키모노")는 외눈, 말의 입과 귀, 사슴 뿔과 발굽을 가진 것으로 묘사한다.

6. 3. 공업 용어


  • 실패했을 때 실패한 상대를 욕하는 경우, 어리석은 행위나 인물: "바보 같은 짓을 했어", "바보", "정직한 사람이 바보 취급을 받는다" 등.
  • 일반 상식, 지식이 부족한 인물: "○○도 몰라? 너 바보구나", "테스트 0점 받았어? 바보네" 등.
  • 엄청난 것을 표현하는 접두사: "바보 정직", "바보 소동", "바보로 크다" 등. "엄청 인기", "엄청 잘 팔림" 등은 새로운 용법. 쌀과자 "바카우케"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쿠리야마 베이카가 있는 니가타 지방에서는 옛날부터 "바보~"가 "정도가 심하다"는 방언으로 사용되었다[21]).
  • 특정 분야에만 통달하고, 그 외의 일반 상식이 결여된 인물을 평하는 경우: "저 녀석은 수학 바보니까", "축구 바보", "야구 바보", "전문 바보", "전쟁 바보" 등. 『가라데 바보 일대』, 『낚시 바보 일지』라는 만화도 있다. 어떤 특기 분야에는 뛰어나지만, 다른 지식은 현저하게 부족한 상태 또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그 분야의 지식만은 풍부하게 가지고 있고, 그 방향으로 이상한 집착을 보이는 인물이라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무언가에 집착하는 등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없는 상태: 애정결핍 등.
  • 쓸모없는 것을 가리키는 경우: "나사가 헛돌게 되다" (과도한 조임 토크로 나사산을 손상시킨 상태로, 아무리 뉴턴을 가해서 조이려고 해도, 나사는 헛돌기만 할 뿐 체결할 수 없다) 등. 또한, "바보 구멍을 통과시키다" 등과 같은 경우에는 "나사를 깎는 것"에 관해서는 무의미하지만, "나사를 통과시키는 것"에 관해서는 필요한 일이 되므로, "쓸모없다"는 의미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나사를 깎을 필요는 없지만 나사를 통과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멍을 "바카 구멍"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바카 구멍을 뚫는다"는 것은 "그곳에는 나사 봉이 통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축 현장에서는 강재 등에 볼트 등을 통과시키기 위해 뚫은 구멍 중 필요 이상으로 큰 것을 "바카 구멍"이라고 부른다[32]. (나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여유" 정도가 아니라, 조정을 위해 위치를 옮길 수 있을 정도의 것). 터널 공사 등에서 다이너마이트를 채우기 위해 파는 구멍 중 실제로는 채우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여분의 구멍을 "바카 구멍"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2].

6. 4. 낚시 용어

릴을 사용하지 않는 낚싯대인 민물 낚싯대를 사용한 낚시에서, 특히 계류 낚시에서는 낚싯대의 길이에 비해 낚싯줄목줄을 합한 채비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 부분을 "바카를 낸다"라고 한다. 예를 들어, 전체 길이 3m의 낚싯대에 채비의 길이가 3m 10cm인 경우, 10cm가 바카가 된다.

낚싯줄 감는 기능이 없는 민물 낚싯대를 사용하는 경우, 낚싯대보다 너무 긴 채비로는 잡은 물고기를 끌어올리는 낚시의 최대 목표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채비의 길이는 낚싯대와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계류의 깊은 곳을 노리거나 텐카라 등과 같은 어법에서는 다소 바카를 낼 필요가 있다.

7. 일본 국외에서의 '바카'

현대에 ''바카''는 애니메이션 커뮤니티에서 종종 사용된다. 이는 누군가를 바보라고 부르거나, 인터넷 밈 공간에서 애니메이션 커뮤니티를 조롱하기 위해 ''바카''를 풍자적이고 반어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어졌다.[15]

미국에서 아는 일본어를 말하라고 하면 "바카타레"가 자주 언급된다. 이는 일본에서 온 초기 미국 이민자들의 출신지가 이 단어를 자주 사용하는 주고쿠 지방·규슈 지방이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영화 "이세 부대"의 대사에서도 자주 들을 수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태평양 전쟁 이후 현재까지 제작된 항일 소재 영화나 드라마에서 일본군은 "바카야로"(八格牙鲁|바보 자식중국어)라고 말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바카야로"는 일본군의 입버릇으로 여겨지는 "미시미시"("밥, 밥") 다음으로 중국 매체에 자주 등장하는 일본어이다.

중국어 "말록"()은 붉은사슴을 가리킨다.[31]

인도네시아어에는 일본 점령 시대의 흔적으로 "바카야로"에서 유래한 'bakero|바케로id'라는 단어가 있다.

7.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바카'(baka)는 미국 군대 속어로 일본 제국 요코스카 MXY-7 오카 가미카제 비행 폭탄을 지칭했다.[13] 1945년 5월 7일 ''Newsweek''는 "미국군은 이 폭탄을 '바카'로 공식 지정했으며, 바카는 일본어로 어리석은, 유치한, 또는 멍청한을 의미한다"라고 보도했다.[14]

태평양 전쟁 말기, 일본의 특공 병기 "사쿠라"에는 연합군으로부터 일본어의 바카에서 유래한 "BAKA"라는 암호명이 부여되었다.[29][30]

7. 2. 기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바카''(baka)는 미국 군대 속어로 일본 제국 요코스카 MXY-7 오카 가미카제 비행 폭탄을 지칭했다.[13] 1945년 5월 7일 ''Newsweek''에서 "미국군은 이 폭탄을 '바카'로 공식 지정했으며, 바카는 일본어로 어리석은, 유치한, 또는 멍청한을 의미한다"라고 처음 사용되었다.[14] 현대에 ''바카''는 애니메이션 커뮤니티에서 종종 사용된다. 이는 누군가를 바보라고 부르거나, 인터넷 밈 공간에서 애니메이션 커뮤니티를 조롱하기 위해 ''바카''를 풍자적이고 반어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어졌다.[15]

미국에서 아는 일본어를 말하라고 하면 "바카타레"가 자주 언급된다. 이는 일본에서 온 초기 미국 이민자들의 출신지가 이 단어를 자주 사용하는 주고쿠 지방·규슈 지방이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영화 "이세 부대"의 대사에서도 자주 들을 수 있다.

태평양 전쟁 말기, 일본의 특공 병기 "사쿠라"에는 연합군으로부터 일본어 바카에서 유래한 "BAKA"라는 암호명이 부여되었다.[29][30]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태평양 전쟁 이후 현재까지 제작된 항일 소재 영화나 드라마에서 일본군은 "바카야로"(八格牙鲁|바보 자식중국어)라고 말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바카야로"는 일본군의 입버릇으로 여겨지는 "미시미시"("밥, 밥") 다음으로 중국 매체에 자주 등장하는 일본어이다.

중국어 "말록"()은 붉은사슴을 가리킨다.[31]

인도네시아어에는 일본 점령 시대의 흔적으로 "바카야로"에서 유래한 'bakero|바케로id'라는 단어가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ばか 【馬鹿/莫迦】 Shogakukan
[2] 백과사전 ばか 【馬鹿・莫迦・破家】 Shogakukan
[3] 서적 Warriors of Japan: As Portrayed in the War Ta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3-04-19
[4] 서적 新村出全集 [Shinmura Izuru zenshū] Chikuma
[5]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Renditions
[6] 서적 The Tale of Genji Knopf
[7] 학술지 Baka and Fool
[8] 서적 新村出全集 [Shinmura Izuru zenshū] Chikuma
[9] 백과사전 ばか Iwanami Shoten
[10] 서적 A Practical Sanskrit Dictionary: With Transliteration, Accentuation, and Etymological Analysis Throughout Motilal Banarsidass
[11] 서적 Japanese in MangaLand: Learning the Basics Japan Publications Trading
[12] 서적 The Japanese William Morrow
[13] 서적 A Dictionary of Japanese Loanword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4] 학술지 Among the New Words
[15] 웹사이트 What does 'baka' mean on TikTok? https://www.inthekno[...] Yahoo! 2021-03-31
[16] 문서 広辞苑「ばか」
[17] 문서 大辞泉「ばか」
[18] 문서 「ばか」『新明解国語辞典 第六版』三省堂、2005年、ISBN 4-385-13105-8
[19] 문서 「新明解国語辞典 初版」
[20] 문서 広辞苑「親馬鹿」
[21] 웹사이트 「ばかうけ」の名前のヒミツ | 株式会社栗山米菓|Befco(ベフコ) https://befco.jp/spe[...]
[22] 문서 この説を採る場合、開国当時よりの学生語の由来にドイツ語系列が多い事を根拠としている(ドイツ発音でw字母はヴ発音を表すため。この場合いわゆる[[クサチュー語]]のヴァカ時の置き換え由来の一つでもある)。事実日本語を初学するドイツ人は例外なくwの綴りをヴと読む。
[23] 서적 『全国アホ・バカ分布考 はるかなる言葉の旅路』 新潮文庫
[24] 문서 同様に原義から大きく変わった[[悪党]]とは逆の変遷をして来た事になる(こちらの原義も狼藉者の意味ではない)。
[25] 문서 なお、同型の標準語で「たくらだ」があり、「たくらだ猫の隣歩き」という諺も存在する。
[26] 문서 かつては加賀藩の領地だった。
[27] 뉴스 アナタは何人知っている? 年末・年始も引っ張りだこの“おバカ”タレント、そのブームの背景に迫る! http://trendy.nikkei[...] 日経トレンディネット 2007-12-27
[28] 뉴스 おバカタレント、その真価を探る https://allabout.co.[...] All About 2008-10-23
[29] 서적 Little Ship, Big War Jove
[30] 서적 Japanese Aircraft: Code Names & Designations Schiffer
[31] 웹사이트 马鹿的解释|马鹿的意思|汉典“马鹿”词语的解释 https://www.zdic.net[...] 汉典 2022-03-16
[32] 서적 建築現場実用語辞典 井上書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