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웰치간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웰치간균(Clostridium perfringens)은 사람과 동물의 장관, 토양 등에 널리 분포하는 그람 양성 세균이다. A형균은 식중독과 가스 괴저를 일으키며, B~E형균은 동물의 장관 내에 주로 서식한다. 웰치간균은 다양한 독소를 생성하며, 특히 알파 독소는 가스 괴저의 주요 원인이다. 이 세균은 유전체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탄수화물 활성 효소를 분비하여 장 점막을 분해하기도 한다. 웰치간균 감염은 식중독, 가스 괴저, 괴사성 장염, 균혈증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특히 부적절하게 조리되거나 보관된 음식을 섭취할 경우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다.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 취급, 조리, 보관에 주의해야 하며, 치료는 감염 유형과 심각성에 따라 항생제 투여, 외과적 수술, 고압 산소 치료 등을 시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로스트리디움강 -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은 유전 공학 분야에서 활용되며, 부탄올 합성 및 짧은 사슬 알칸 미생물 생산 연구에 기여한다.
  • 클로스트리디움강 -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은 보툴리누스 독소를 생성하는 그람 양성 혐기성 세균으로, 포자를 통해 생존하며 보툴리누스증을 유발하지만, 정제된 독소는 의약품으로도 활용된다.
  • 그람 양성균 - 탄저균
    탄저균은 바실러스속의 그람 양성 포자 형성 간균으로, 탄저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이며,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포자를 형성하고 캡슐과 외독소를 통해 숙주를 공격하며, 백신과 항생제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 그람 양성균 - 황색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인구의 약 30%가 보균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이 널리 퍼져 있어 효과적인 백신 개발과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웰치간균
기본 정보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간균의 현미경 사진 (그램 양성)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간균의 현미경 사진 (그램 양성)
학명Clostridium perfringens
명명자Veillon & Zuber 1898
추가 명명자Hauduroy et al. 1937
기타 명칭웨ルシュ菌 (일본어), 웰치간균
어원Clostridium: 그리스어 'κλωστήρ' (kloster, '실', '물레') + 'ιδιον' (idion, '작은')
perfringens: 라틴어 'per' (강조) + 'frango' (부수다, 깨뜨리다)
생물학적 분류
도메인세균
피르미쿠테스문
클로스트리디움강
클로스트리디움목
클로스트리디움과
클로스트리디움속
C. 퍼프린젠스
특징
형태그램 양성균, 간균
산소 요구도혐기성
크기길이 2-7 μm, 폭 0.5-1.5 μm
세포 당 단백질 분자 수1.7 x 106
생존 조건포자 형태로 생존 가능
관련 질병식중독
가스 괴저
괴사성 장염
패혈증
병원성
주요 독소알파 독소 (포스포리파아제 C), 퍼프린젠스 엔테로톡신 (CPE)
독소 유형A, B, C, D, E형 (독소 생산 능력에 따라 분류)
알파 독소 기능호중구 분화 억제를 통한 선천 면역 손상
기타 독소 및 효소20개 이상 알려짐 (세포외 독소 및 효소)
질병 및 감염
관련 질병식중독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보고)
가스 괴저
괴사성 장염
패혈증
유산 후 패혈증
감염 경로오염된 음식 섭취, 상처 감염
주요 증상설사, 복통 (식중독), 심한 통증, 부종 (가스 괴저)
발병 원인오염된 육류, 가금류, 국, 소스 섭취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보고)
기타 정보
발견 장소사람 및 동물의 장
토양
하수
활용 사례소금 빵 제조
추가 정보유전자 양막 천자 후 패혈증 및 태아 사망 사례 보고됨

2. 분포

A형 웰치간균은 사람동물장관 내에 상당수가 존재하며, 분변과 토양 속에서도 영양형과 아포 형태로 다수 발견된다. 반면, B형부터 E형까지의 웰치간균은 주로 동물장관 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웰치간균은 자연계 전반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다.

3. 성상

그람 양성이며, 크기는 0.6~2.4 × 1.3~19.0 μm인 대형 간균이다. 균체는 곧고 양쪽 끝이 뭉툭한 모양이다. 아포는 타원형으로, 균체의 중앙 또는 한쪽 끝 근처에 위치하지만 아포가 균체보다 부풀어 오르지는 않는다.

다른 클로스트리디움속 세균들과는 달리 편모가 없어 운동성이 없다. 활성 산소를 처리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는 생육이 어려운 절대 혐기성 세균이다. 생체 내에서 증식하거나 혈청이 첨가된 배지에서 자랄 때는 협막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아포를 잘 형성하지 않는다.

가장 잘 자라는 최적 온도는 43°C에서 47°C 사이이다. 45°C 환경에서는 분열 시간이 약 10분 정도로 매우 짧다. 독소는 37°C에서 가장 많이 생산한다.

4. 유전체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는 약 27~28%의 안정적인 GC 함량을 가지며 평균 게놈 크기는 3.5Mb이다.[13] 56개의 ''C. perfringens'' 균주의 게놈이 과학 연구 커뮤니티를 위해 NCBI 게놈 데이터베이스에 공개되었다. 유전체 연구에 따르면 ''C. perfringens'' 판게놈은 매우 높은 다양성을 나타내며, 이는 보고된 그람 양성 세균 중 가장 분화된 것으로 확인된 핵심 유전자를 12.6%만 공유하는 수준이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C. perfringens'' 균주 사이의 16S rRNA 영역은 고도로 보존된 것으로 밝혀졌다(서열 동일성 >99.1%).[13]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장독소(CPE)를 생성하는 균주는 전체 ''C. perfringens'' 개체군 중 약 1~5% 정도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게놈 검사를 통해 확인되었다.[14] CPE를 생성하는 ''C. perfringens'' 균주에 대한 유전 정보가 발전하면서, 미생물원 추적(MST)과 같은 기술을 통해 식품 오염원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14] CPE 유전자는 염색체 DNA와 플라스미드 DNA 모두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플라스미드 DNA는 세포의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CPE를 포함한 주요 독소를 암호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C. perfringens''는 항생제 내성에 관련된 유전자를 플라스미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pCW3 플라스미드는 ''C. perfringens''에서 항생제 내성을 일으키는 주요 접합 플라스미드이다. 또한, pCW3 플라스미드는 ''C. perfringens''의 병원성 균주에서 발견되는 여러 독소를 암호화하기도 한다.[16] 지금까지 관찰된 항생제 내성 유전자에는 테트라사이클린 내성, 유출 단백질 관련 내성,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내성 등이 포함된다.[17]

식품 생산, 특히 가금류 생산과 같은 산업적 맥락에서 ''C. perfringens''의 병원성 균주에 대한 게놈 시퀀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C. perfringens'' 균주가 점점 더 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18] 메타게놈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은 ''C. perfringens'' B20과 같은 새로운 병원성 세균 균주를 식별할 수 있다.[18]

5. 운동성

웰치간균(Clostridium perfringens)은 일반적으로 편모가 없어 비운동성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특정 조건 하에서 활주 운동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0][19]

5. 1. 과운동성 변이

이 그림은 배럴 모양의 ''웰치 간균''(Clostridium perfringens) 박테리아 무리의 3차원(3D)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 예술적 재현은 주사 전자 현미경(SEM) 이미지를 기반으로 했다.


한천 배지에서 배양할 때, SM101 균주처럼 운동성이 매우 활발해진 변종이 콜로니의 가장자리 주변에서 자주 나타난다. 비디오 이미징 분석 결과, 이들은 길고 얇은 실 모양을 형성하여 마치 깃털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활주 운동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과운동성 표현형과 그 직계 자손의 원인은 유전자 서열 분석을 통해 밝혀졌다. 예를 들어, 과운동성을 보이는 SM101과 SM102 균주의 자손인 SM124와 SM127은 각각 부모 균주와 비교했을 때 10개와 6개의 염기 서열 다형성(SNP)을 가지고 있었다. 공통적으로 과운동성 균주들은 세포 분열과 관련된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특징을 보인다.[20]

5. 2. 활주 운동 조절: CpAL/VirSR 시스템

일부 웰치간균(Clostridium perfringens) 균주는 가스 괴저 및 근육 괴사와 같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 근육 괴사에 필요한 독소는 VirSR 투-컴포넌트 시스템을 통해 웰치간균 Agr-like (CpAl) 시스템에 의해 조절된다. CpAL/VirSR 시스템은 다른 병원성 클로스트리디아에 의해 암호화된 쿼럼 감지 시스템과 유사하다. 근육 괴사는 감염 부위에서 시작되며, 활주 운동성을 통해 박테리아가 더 깊이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연구 결과, CpAL/VirSR 시스템이 웰치간균의 활주 운동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육 괴사 과정에서 활주하는 박테리아가 독소 유전자 전사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19]

6. 형질전환

''웰치간균''(''C. perfringens'')에서 유전자 형질전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진 실험을 통한 유전자 조작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6. 1. 원형질체 형질전환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의 형질전환에 대한 첫 보고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이용한 원형질체 형질전환 방법이다. 형질전환 절차는 고농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있는 상태에서 플라스미드 DNA를 원형질체에 첨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초기 원형질체 형질전환 실험에서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의 L-상 변이체를 사용했는데, 이는 0.4M 수크로스가 있는 환경에서 페니실린을 처리하여 만들었다. 형질전환 후에도 세포들은 L-상 변이체 형태를 유지했으며, 영양 세포로 돌아가지는 못했다. 하지만 자가융해(autolysis) 과정에서 생긴 자가원형질체(autoplast)는 세포벽을 가진 막대 모양으로 다시 자라날 수 있었고, 이 자가원형질체가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플라스미드 DNA로 형질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1]

6. 2. 전기천공법

전기천공법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고전압 전기장을 세균 영양 세포에 가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세균이 음식물에서 영양 세포 또는 휴면 포자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Clostridium perfringens''(웰치균)의 유전자 형질전환에 큰 발전을 가져왔다.[22] 전기 펄스는 세균 세포막에 구멍을 만들어 DNA 분자가 수동적으로 유입되도록 한다.[23]

7. 대사 과정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웰치균)는 토양과 인간의 장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는 내기성 혐기성 세균이다.[24] 이 세균은 생합성에 필요한 특정 유전자가 부족하여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을 스스로 합성하지 못한다.[24] 대신, 효소독소를 생산하여 주변의 숙주 세포를 분해하고, 분해된 세포로부터 필요한 영양소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살아간다.[24]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는 다양한 효소를 가지고 있어 당분해 과정과 글리코겐 대사를 활발히 수행한다. 주요 에너지 획득 경로는 발효 과정인데, 이 과정에서 피루브산은 피루브산-페레독신 산화환원효소에 의해 아세틸-CoA로 전환된다. 이 반응 결과 이산화 탄소(CO2) 가스와 환원된 페레독신이 생성된다.[25] 환원된 페레독신에서 나온 전자는 수소화 효소를 통해 양성자로 전달되어 수소 분자(H2)를 형성하며, 생성된 수소 가스는 이산화 탄소와 함께 세포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피루브산은 젖산 탈수소 효소에 의해 젖산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아세틸-CoA는 여러 효소 반응을 거쳐 에탄올, 아세트산, 부티르산 등으로 전환되는데, 이 전체 과정을 통해 혐기성 해당 작용을 완료하며 에너지를 얻는다.[25]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는 과당, 갈락토스, 글리코겐, 유당, 말토스, 만노스, 라피노스, 전분, 수크로스 등 다양한 종류의 당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 관련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당 분해 산물이나 아미노산은 프로피오닐-CoA를 거쳐 프로피온산으로 전환되어 추가적인 에너지 생산에 이용되기도 한다.[25]

8. 독성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lat)의 독성 인자는 기능에 따라 막 손상 효소, 기공 형성 독소, 세포 내 독소, 가수 분해 효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독성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세균의 염색체나 큰 플라스미드에서 발견된다.[26]

웰치간균은 생성하는 주요 독소(major antigen)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데, 대표적인 주요 독소로는 알파(α), 베타(β), 엡실론(ε), 요타(ι) 네 가지가 있다. 이들의 조합에 따라 A형부터 E형까지 5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또한, 감마(γ), 델타(δ), 에타(η), 세타(θ, 용혈소), 카파(κ, 콜라게나제), 뮤(μ,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람다(λ, 프로테아제), 뉴(ν, DNase)와 같은 8가지 부수적 항원(minor antigen)도 생산할 수 있다. 이 부수적 항원들은 감염 부위에서 병변을 확산시키고 세균이 영양분을 얻는 데 도움을 준다.[89]

병원성의 핵심은 알파(α) 독소이며, A형부터 E형까지 모든 유형에서 생성된다.[89] A형 균주가 주로 사람에게 병원성을 나타내며, B~E형 균주는 주로 동물의 장관 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89]

각 주요 독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알파(α) 독소''': 가스 괴저를 일으키는 주요 독소로, 조직을 파괴하는 작용을 한다. 폐로 흡입될 경우 치명적인 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생물 무기로 사용될 가능성이 우려된다.[89]
  • '''베타(β) 독소''': 클로스트리디움 괴사성 장염을 유발하며 조직을 파괴한다.[89]
  • '''엡실론(ε) 독소''': 동물 실험에서 신경독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89]
  • '''요타(ι) 독소''': 세포독성을 나타낸다.[89]

8. 1. 탄수화물 활성 효소

인간의 위장관은 장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이 점막은 점액을 분비하여 병원체, 독소 및 유해 물질에 대한 방어 기작으로 작용한다. 점액은 여러 개의 뮤신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미생물을 인식하고 주변에 장벽을 형성하여 미생물이 내피 세포에 부착하여 감염되는 것을 막는 여러 개의 O-결합 글리칸 당단백질이다.[27][28] ''웰치간균''(C. perfringens)은 장 점막 내의 뮤신 및 기타 O-글리칸을 분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탄수화물 활성 효소 (CAZymes)를 분비할 수 있다. 이러한 효소에는 다양한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가족에 속하는 시알리다제, 헥소사미니다제, 갈락토시다제 및 푸코시다제가 포함된다.[28]

8. 1. 1. 시알리다제

시알리다제는 가수분해를 통해 단백질 내에 위치한 말단 시알산 잔기를 탈시알산화하여 뮤신을 분해하는 기능을 한다. ''Clostridium perfringens''(웰치간균)은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 효소 33족(GH33)에 속하는 세 가지 시알리다제, 즉 NanH, NanI, NanJ를 가지고 있다. 모든 ''C. perfringens'' 균주는 이 효소 중 적어도 하나를 암호화한다.[28][29]

''C. perfringens''는 각 단백질에 위치한 분비 신호 펩타이드를 통해 NanI과 NanJ를 분비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NanH는 분비 신호 펩타이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C. perfringens''의 세포질 내에서 작용한다. NanH는 촉매 도메인만 포함하는 반면, NanI과 NanJ는 촉매 활성을 돕기 위해 촉매 도메인과 추가적인 탄수화물 결합 모듈 (CBM)을 포함한다. N-말단에 위치한 NanI은 CBM40을 포함하고, NanJ는 CBM40과 CBM32를 모두 포함한다. NanI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그 활성 부위는 장 점막에서 시알로뮤신으로부터 시알산 잔기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포켓과 같은 방향을 가지고 있다.[28]

8. 1. 2. 헥소사미니다제

점액층은 헥소사민, 예를 들어 N-아세틸글루코사민(GlcNAc)과 N-아세틸갈락토사민(GalNAc)을 포함하는 장 점액 글리칸, 글리콜리피드 및 당단백질로 구성된다. ''웰치간균''(C. perfringens)은 점액 내 헥소사민을 분해하는 8개의 헥소사미니다아제를 암호화한다. 이 헥소사미니다아제들은 4개의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패밀리인 GH36, GH84, GH89, GH123에 속한다.[28]

''웰치간균''은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36 패밀리(GH36)에 속하는 AagA (''Cp''GH36A)와 ''Cp''GH36B를 암호화한다. AagA는 O-글리칸에서 GalNAc을 제거하며, ''Cp''GH36B는 AagA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능적 특이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84 패밀리(GH84)에 속하는 NagH, NagI, NagJ, NagK는 기질-보조 소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말단 GlcNAc 잔기를 절단한다.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89 패밀리(GH89)에 속하는 AgnC (''Cp''GH89)는 점액 글리칸의 말단에서 GlcNAc을 절단하고 위 점액에도 작용한다.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123 패밀리(GH123)에 속하는 ''Cp''Nga123은 GalNAc을 절단한다. 하지만 이 효소는 분비 신호 펩타이드가 없기 때문에, ''웰치간균''에 의해 흡수된 글리칸만을 분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8]

8. 1. 3. 갈락토시다제

웰치간균(Clostridium perfringens)는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2(GH2)에 속하는 네 가지 갈락토시다제를 가지고 있다: CpGH2A, CpGH2B, CpGH2C, 그리고 CpGH2D. 연구에 따르면 이 효소들은 CBM51을 사용하여 갈락토스를 결합하는 능력을 갖춘 핵심 뮤신 글리칸 구조를 분해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웰치간균(C. perfringens)의 갈락토시다제의 특정 기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28]

8. 1. 4. 푸코시다제

퓨코스 단당류는 핵심 O-결합 글리칸의 말단에 위치해 있다. ''웰치간균''(Clostridium perfringenslat)은 두 개의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가족에 속하는 세 종류의 푸코시다아제를 암호화한다. 이는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29족(GH29)에 속하는 Afc1과 Afc2, 그리고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95족(GH95)에 속하는 Afc3이다. Afc3는 C-말단 CBM51을 포함하며, ''웰치간균''에서 탄수화물 결합 모듈을 포함하는 유일한 푸코시다아제이다. 퓨코실 잔기는 글리칸의 끝을 덮어 효소 소화로부터 보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푸코시다아제가 복잡하고 다양한 퓨코실 결합을 절단하는 능력은 뮤신 근처에서 지속된 ''웰치간균''의 장기적인 적응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28]

8. 2. 주요 독소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는 여러 종류의 독소를 생산하며, 이 중 주요 독소는 알파(α), 베타(β), 엡실론(ε), 요타(ι), 장독소(enterotoxin, CPE) 다섯 가지가 있다.[30] 이 독소들은 감염 시 다양한 병증을 유발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알파, 베타, 엡실론 독소와 장독소는 세포의 투과성을 높여 이온 불균형을 초래하며, 요타 독소는 세포 내부의 액틴 세포골격을 파괴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30]

웰치간균은 생산하는 주요 독소의 조합에 따라 A, B, C, D, E, F, G의 7가지 독소형(toxinotype)으로 분류된다.[31]

''C. perfringens''의 독소형[31][32]
타입/독소알파 (α)베타 (β)엡실론 (ε)요타 (ι)장독소 (CPE)NetB비고
A+---+/--사람에게 가스 괴저, 식중독 등을 일으킴
B+++---주로 어린 양, 염소에게 이질, 장독혈증 유발
C++--+/--돼지에게 괴사성 장염, 사람에게도 감염 가능 (Enteritis necroticans, Pig-bel)
D+-+-+/--주로 양, 염소에게 장독혈증 (Pulpy kidney disease) 유발
E+--+--송아지, 양에게 출혈성 장염, 괴사 유발
F+---+-사람에게 식중독 유발 (장독소 생산 균주)
G-----+닭에게 괴사성 장염 유발



모든 형에서 공통으로 생성되는 알파 독소가 병원성의 핵심으로 간주된다.[89] 사람에게 주로 병원성을 나타내는 것은 A형과 F형 균주이며, 다른 유형(B, C, D, E, G)은 주로 동물의 장 내에 서식하며 해당 동물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9]

주요 독소 외에도 웰치간균은 감마(γ), 델타(δ), 에타(η), 세타(θ, 용혈소), 카파(κ, 콜라게나제), 뮤(μ,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람다(λ, 프로테아제), 뉴(ν, DNase) 등 8가지의 부수적 항원(minor antigen)을 생산할 수 있다. 이 부수적 항원들은 감염 부위에서 병변을 확산시키고 세균의 영양 획득을 돕는 역할을 한다.[89]

각 주요 독소는 특정 질병과 관련이 깊다.

8. 2. 1. 알파 독소 (α-toxin)

알파 독소(CPA)는 웰치간균(''Clostridium perfringens'')의 5가지 모든 유형에서 생성되는 독소이다. 특히 A형 균주에서 가장 많이 만들어지며, A형 균주의 주요 독소로 알려져 있다.

이 독소는 아연을 함유한 포스포리파제 C(레시티나제 C)이며, 세포막을 파괴하는 두 개의 구조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알파 독소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레시틴 함유 리포 단백질에 작용하여 막에 손상을 입히고 결국 세포를 파괴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사람과 동물에게 가스 괴저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 물질로 지목된다. 가스 괴저의 대부분 사례는 웰치간균을 포함하는 토양에 오염된 깊은 상처와 관련이 깊다.

웰치간균 A형은 사람의 장관 내에 상당수 존재하며, 분변이나 토양 중에서도 영양형 또는 아포형으로 발견될 수 있다.

8. 2. 2. 베타 독소 (β-toxin)

베타 독소(CPB)는 단백질로, 동물(B형)과 인간(C형) 모두에게 출혈성 괴사성 장염과 장독혈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 독소에 감염되면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장 조직이 죽게 된다.[30]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은 베타 독소(CPB)를 분해하여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하지만 포유류의 초유에는 트립신의 작용을 막는 억제제가 들어있기 때문에, 갓 태어난 새끼에게 베타 독소는 특히 치명적이다.[34]

8. 2. 3. 엡실론 독소 (ε-toxin)

엡실론 독소(ETX)는 B형과 D형의 ''C. perfringens'' 균주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이다. 이 독소는 현재 알려진 세 번째로 강력한 세균 독소로 여겨진다.[35] ETX는 주로 염소와 양에서 장독소혈증을 일으키며, 소 역시 때때로 이 독소에 감염될 수 있다.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ETX의 반수치사량(LD50)은 50-110 ng/kg으로 나타났다.[36] ETX가 과도하게 생산되면 장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뇌와 신장 같은 장기에 심각한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37]

ETX의 매우 낮은 반수치사량은 생물 무기로 사용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이 때문에 과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미국 농무부(USDA)의 선택 물질 목록에 포함되었으나, 2012년에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현재 이 독소에 대한 인간용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동물에게 효과적인 백신은 존재한다.[38]

8. 2. 4. 요타 독소 (ι-toxin)

이오타 독소(Iota toxin, ITX)는 E형 웰치간균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이다. 이 독소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두 개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세포 안에서 여러 개가 모여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오타 독소는 실처럼 생긴 액틴 필라멘트의 형성을 방해하여 세포 골격을 파괴한다. 그 결과, 세포는 항상성을 잃고 결국 죽게 된다.[39]

8. 2. 5. 장독소 (Enterotoxin)

웰치간균 장독소(CPE)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물질이다. 이 독소는 내장 상피 세포 사이의 밀착연접을 구성하는 단백질인 클라우딘에 작용하여 이를 변형시킨다. 시험관 연구에서는 인간의 회장 및 결장 상피 세포에 결합하여 괴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PE는 카스파제-3 경로를 활성화시켜 감염된 세포의 세포 자멸사를 유도할 수 있다. 이 독소는 주로 F형 균주와 관련이 깊지만, 특정 C, D, E형 균주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40]

CPE가 상피 세포에 작용하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 '''표적 세포 결합''': CPE는 먼저 표적인 상피 세포 표면의 클라우딘 단백질에 결합한다. 초기 연구에서는 키메라 클라우딘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클라우딘의 특정 영역(ECS-2)이 결합에 중요하다고 여겨졌다.[136] 이후 구조 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ECS-1과 ECS-2 영역 모두가 CPE와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37] 구체적으로는 ECS-1 영역의 특정 아미노산 서열(A39-I41)이 C-CPE(CPE의 C-말단 부분)와 수용체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19] 하지만 이 서열은 CPE에 감수성이 없는 클라우딘에서도 발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클라우딘에서는 ECS-2 영역의 아미노산 배열이 CPE 감수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119]

# '''세포막 상 다량체화''': 클라우딘에 결합한 CPE 분자들은 세포막 위에서 여러 개가 모여 복합체(다량체)를 형성한다. 단량체 상태의 CPE는 수용성이지만 다량체를 형성하면서 막 단백질의 성질을 띠게 되며, 이 과정에서 큰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세포막 구멍 형성''': 다량체를 형성한 CPE 복합체는 세포막에 구멍을 만들어 칼슘 이온과 같은 물질들이 세포 안으로 급격히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온 농도의 급격한 변화는 결국 세포사를 초래한다.

8. 3. 기타 독소

TpeL은 B형, C형, G형[41] 균주에서 발견되는 독소이다. 이는 ''C. difficile'' 독소 A와 동일한 단백질 패밀리에 속한다.[42] B형 및 C형 감염의 발병 기전에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G형 균주의 독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Rho와 Ras GTPase를 당화시켜 숙주 세포 신호 전달을 방해한다.[41]

9. 감염

웰치간균(''Clostridium perfringens'')은 인체에 다양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주요 감염 질환으로는 조직 괴사, 균혈증, 기종성 담낭염, 그리고 근육 괴사라고도 하는 가스 괴저 등이 있다.[47] 또한, 여러 종류의 균이 함께 감염을 일으키는 다균성 혐기성 감염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3]

웰치간균은 흔한 식중독의 원인이 되며[44], 가스 괴저를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세균이기도 하다.[46] 드물지만 혈류로 침투하여 치명적인 균혈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48][49] 특정 균주(C형)는 장의 괴사를 일으키는 클로스트리디움 괴사성 장염(pigbel)을 유발하며,[50] 일부 균주는 미숙아의 괴사성 장염과도 관련이 있다.[51] 최근에는 특정 균주와 다발성 경화증 간의 연관성도 연구되고 있다.[52][53][54][55]

9. 1. 식중독

''Clostridium perfringens''는 미국에서 흔한 식중독의 원인이다.[44] 이 균은 포자를 생성하며, 이 포자가 섭취되면 설사를 유발하는 독소를 생성한다. 대량으로 조리되어 약 4.4°C와 약 60.0°C 사이의 안전하지 않은 온도로 보관된 식품이 ''C. perfringens''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가금류, 쇠고기,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는 일반적으로 ''C. perfringens'' 식중독과 관련이 있다.[44] ''C. perfringens''의 포자는 일반적인 조리 온도를 견딜 수 있기 때문에, 부적절하게 보관된 식품에서 증식할 수 있다. ''C. perfringens''의 A형 독소(CPA)가 식중독의 원인이다.[45]

''Clostridium perfringens'' 식중독은 또한 장 괴사성 장염 또는 클로스트리디움 괴사성 장염 (pigbel이라고도 함)으로 알려진 또 다른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C. perfringens'' C형에 의해 발생한다. 이 감염은 종종 치명적이다. 다량의 ''C. perfringens''가 에서 증식하여 외독소를 분비하는데, 이 외독소는 장 괴사, 다양한 수준의 출혈 및 장 천공을 유발한다. 염증은 일반적으로 소장의 중간 부분인 공장의 일부에서 발생한다.[50] Perfringolysin O (''pfoA'') 양성 ''C. perfringens'' 균주는 또한 미숙아의 괴사성 장염 급성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1]

9. 2. 가스 괴저

조직 괴사, 균혈증, 기종성 담낭염과 함께 가스 괴저는 근육 괴사라고도 불리며, ''C. perfringens'' 감염과 관련이 있다.[47] ''C. perfringens''는 가스 괴저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세균이다.[46]

가스 괴저는 ''C. perfringens''가 생산하는 α-독소에 의해 발생한다. 이 독소는 세포의 세포막에 침투하여 막 구조를 변화시키고 정상적인 세포 기능을 방해한다.[47] 가스 괴저의 증상으로는 물집, 빈맥, 부종,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46]

또한, ''C. perfringens''가 시체를 감염시키면 조직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부패를 매우 빠르게 진행시키며, 방부 처리를 통해서만 멈출 수 있다. 조직 가스는 주로 괴저, 큰 욕창, 괴사성 근막염으로 사망한 경우나, 흙, 대변 또는 물에 오염된 ''C. perfringens''가 열린 상처를 통해 들어간 경우에 발생한다.[56]

9. 3. 균혈증

웰치간균(''C. perfringens'')은 식중독균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때로는 위장관에서 혈류로 퍼져나가 균혈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웰치간균에 의한 균혈증은 독소 때문에 혈관 안에서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 현상이나 패혈성 쇼크 같은 심각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48] 혈액 배양 검사에서 웰치간균이 발견되는 경우는 전체의 1% 미만으로 드문 편이지만, 일단 발생하면 치사율이 27%에서 58%에 달할 정도로 매우 위험하다.[49]

9. 4. 괴사성 장염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장 괴사성 장염 또는 클로스트리디움 괴사성 장염(pigbel이라고도 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감염은 ''C. perfringens'' C형 균주에 의해 발생하며 종종 치명적이다. 다량의 ''C. perfringens''가 장 내에서 증식하며 외독소를 분비하는데, 이 외독소는 장의 괴사, 다양한 정도의 출혈 및 장 천공을 유발한다. 염증은 주로 소장의 중간 부분인 공장에서 발생한다.[50] 또한, Perfringolysin O (''pfoA'')를 생성하는 ''C. perfringens'' 균주는 미숙아에게 발생하는 급성 괴사성 장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1]

9. 5. 다발성 경화증과의 연관성

웰치간균(''C. perfringens'')의 특정 균주가 다발성 경화증(MS) 초기 병변, 특히 발로 동심성 경화증의 패턴 III 유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52]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엡실론 독소(ETX)를 생성하는 두 종류의 장내 웰치간균 균주가 뇌에 다발성 경화증과 유사한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연구에서도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서 해당 웰치간균 균주가 발견된 바 있다.[53][54] 또한,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엡실론 독소에 대해 10배 더 강한 면역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55]

10. 임상 증상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웰치간균) 감염은 가벼운 위장 증상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태까지 다양한 임상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가장 흔한 형태는 식중독이다. 오염된 음식을 먹고 6시간에서 24시간 이내에 갑작스러운 복통설사가 나타나며, 때로는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다른 많은 식중독과 달리 발열은 보통 없다. 증상은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 24시간에서 48시간 안에 저절로 좋아진다. 하지만 설사로 인해 수분 손실이 심하면 심각한 탈수가 발생할 수 있다. 탈수 증상으로는 입안 건조, 소변량 감소, 어지럼증, 피로 등이 있다. 만약 설사가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물을 마시기 어렵거나, 심한 탈수 증상이 보이면 병원 진료가 필요할 수 있다.[57] 대부분의 경우 치료 없이 회복되지만, 설사를 하는 경우 물이나 이온 음료 등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좋다.[58]

가스 괴저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감염 중 매우 심각한 형태이다. 상처 부위에 극심한 통증이 생기고, 발열, 빠른 심박수, 땀 흘림, 불안감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된 부위는 붓고 색깔이 변하며(창백해지거나 짙은 붉은색 또는 보라색으로 변함), 악취가 나는 액체로 가득 찬 크고 검붉은 물집이 생길 수 있다. 세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퍼지면서 피부와 근육 조직이 빠르게 파괴되어 넓은 범위의 괴사 조직이 생기고, 피부 아래에 가스가 차서 누르면 부스럭거리는 소리(핍진음)가 나기도 한다. 또한 적혈구가 파괴되어 신부전이 발생할 수도 있다. 패혈증이나 패혈성 쇼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59]

괴사성 장염 역시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의 심각성은 다양하다. 가벼운 설사만 나타나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심한 복통, 구토, 혈변, 패혈성 쇼크와 같은 심각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가장 심각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60]

11. 진단

''웰치간균'' 식중독의 진단은 환자의 대변 샘플 또는 질병과 관련된 오염된 음식에서 박테리아나 그 독소를 실험실에서 검출하는 것에 의존한다. 양성 대변 배양은 최소 106 cfu/g의 ''C. perfringens'' 성장을 보일 것이다. 대변 검사에는 다른 잠재적인 병인을 배제하기 위해 백혈구, 난세포, 기생충 등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ELISA 검사는 CPA 독소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C. perfringens'' 식중독을 진단하는 것은 몇 가지 이유로 비교적 흔하지 않다.[61] 이 식중독에 걸린 대부분의 사람은 의료 치료를 받거나 검사를 위해 대변 샘플을 제출하지 않으며, 임상 실험실에서는 일반적으로 ''C. perfringens''에 대한 정기 검사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공중 보건 실험실은 일반적으로 집단 발병 시에만 이 병원균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다.[62]

가스 괴저의 진단에는 일반적으로 감염을 확인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포함된다. X선, CT 스캔, 또는 MRI와 같은 영상 기술은 근육 손상을 나타내는 가스 방울 또는 조직 변화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처에서 채취한 체액의 세균 염색 또는 배양은 ''Clostridium perfringens''와 감염을 일으키는 다른 박테리아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경우에 따라 손상 또는 괴사 징후에 대해 영향을 받은 조직의 샘플을 분석하는 생검을 수행한다.[59]

클로스트리듐 괴사성 장염의 진단은 주로 환자의 임상 증상에 기반하며, 심한 복통, 구토, 혈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변 샘플에서 ''Clostridium perfringens'' C형 독소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중요하다.[60]

12. 역학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는 미국에서 연간 약 966,000건의 식중독 사례를 일으키며, 이는 병원체가 확인된 모든 식중독 발생 건수의 약 10.3%에 해당한다. 감염은 주로 ''C. 퍼프린젠스'' 포자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며, 이 세균이 장 내에서 설사를 유발하는 독소를 생성하게 된다. 집단 발병은 종종 가금류, 육류, 그레이비 소스 등 대량으로 조리된 음식이 원인이 되며, 4.4°C에서 60°C 사이의 위험 온도 구간에서 보관될 경우 세균이 증식하기 쉽다. 이러한 집단 발병은 병원, 학교 구내식당, 교도소, 요양원 및 케이터링 행사와 같이 많은 사람에게 음식이 제공되는 환경에서 발생하기 쉽다.

대부분의 ''C. 퍼프린젠스'' 감염은 물 설사와 가벼운 복부 경련 같은 경미한 증상을 유발한다. 증상은 오염된 음식을 섭취한 후 8~12시간 이내에 나타나며 보통 24시간 안에 사라진다. 감염된 사람의 약 90%는 특별한 치료 없이 이틀 안에 회복한다. 그러나 노인, 어린아이,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탈수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이 더 크며, 드물게는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지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미국에서는 매년 ''C. 퍼프린젠스'' 감염으로 약 438건의 입원과 26건의 사망이 발생하며, 이는 전체 식중독 관련 입원의 0.8%, 관련 사망의 1.9%를 차지한다. 집단 발병은 특히 11월과 12월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칠면조나 로스트 비프와 같은 명절 음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C. 퍼프린젠스''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연간 3.427억달러로 추산되며, 여기에는 의료 비용 5320만달러, 생산성 손실 6430만달러, 사망 관련 비용 2.25억달러가 포함된다.

클로스트리디움 괴사성 장염은 미국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며, 주로 특정 위험 요인을 가진 인구 집단에서 나타난다. 미국에서 발생하는 연간 940만 건의 식중독 사례 중 약 11%만이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괴사성 장염의 위험 요인으로는 단백질이 부족한 식단, 비위생적인 음식 준비 과정, 단백질 결핍 상태에서 불규칙하게 고기를 섭취하는 경우, 트립신 억제제가 다량 함유된 고구마 등을 섭취하는 식단, 그리고 트립신 억제제를 생성하는 기생충인 회충(Ascaris) 감염이 흔한 지역 등이 있다. 이 질병은 주로 뉴기니, 아프리카 일부 지역,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및 아시아 지역의 주민들에게서 발생한다.

가스 괴저의 위험 요인으로는 심각한 외상, 복부 수술, 결장암, 혈관 질환, 당뇨병, 게실염과 같은 기저 질환이 있다. 그러나 가스 괴저가 발생하는 가장 흔한 경로는 외상성 부상이다. 미국에서는 연간 약 1,000건의 가스 괴저 사례가 보고된다.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경우 가스 괴저의 사망률은 20~30%이지만, 치료받지 않으면 사망률은 100%에 달한다.

13. 식중독 사건

연도장소사건 개요원인 및 결과
2010년 5월미국 루이지애나 주립 정신병원환자 42명과 직원 12명이 구토, 복통, 설사 증세를 보였고, 환자 3명이 24시간 이내에 사망했다.하루 전에 조리되었으나 병원 지침대로 냉각되지 않은 닭고기가 원인이었다. 이 사건으로 병원 환자의 31%, 닭고기를 먹은 직원의 69%가 영향을 받았다.[67]
2011년 5월아메리칸 항공 대서양 횡단 항공편한 남성이 비행 중 제공된 오염된 기내식을 먹고 사망했다.독일 회사인 LSG 스카이 셰프가 준비한 기내식이 원인이었다. 사망한 남성의 아내와 딸은 아메리칸 항공과 LSG 스카이 셰프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68]
2012년 12월영국 에식스 주 혼처치의 한 펍크리스마스 식사를 한 46세 여성이 이틀 만에 사망했으며, 식사를 함께 한 약 30명이 식중독 증세를 보였다.희생자들의 샘플에서 C. perfringens가 검출되었다. 호텔 매니저와 요리사는 칠면조 조리 기록을 위조한 혐의로 구속되었다.[69]
2014년 12월캐나다 뉴브런즈윅 주 내커윅교회 공동 식사에 참여한 87세 여성이 사흘 만에 사망했으며, 30명 이상이 위장 질환,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였다.주 최고 의료 책임자는 Clostridium perfringens가 사망의 가장 유력한 원인이라고 발표했다.[70]
2016년 10월미국 인디애나 주 웨스트 라파예트 Agave Azul 식당66세 남성이 식당에서 엔칠라다, 부리토, 타코를 먹은 지 나흘 만에 사망했다. 같은 날 식사한 다른 3명도 식중독 증상을 보였다.식중독 증상을 보인 사람들은 C. perfringens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사망자가 집으로 가져간 음식에서는 음성 반응이 나왔다.[71][72]
2016년 11월미국 캘리포니아 주 안티오크한 교회에서 주최한 추수감사절 점심 식사 후 3명이 사망하고 22명이 식중독 증상을 보였다.C. perfringens에 오염된 음식이 원인이었다.[73]
2017년 1월미국 뉴욕로체스터 골든 폰드 식당한 어머니와 아들을 포함한 260명 이상이 식중독 증상을 보였다.C. perfringens에 오염된 음식이 원인이었다. 보건 당국 조사 결과, 음식물이 엎질러지고 곰팡이가 핀 냉장고, 손상된 문 밀폐 장치 등 위생 불량 상태가 발견되어 식당이 폐쇄되었다. 피해자들은 식당을 고소했다.[74]
2018년 7월미국 오하이오 주 파웰 치폴레 멕시칸 그릴 식당식당 이용객 647명이 식중독 증상을 보고했다.CDC에서 검사한 대변 샘플에서 C. perfringens 양성 반응이 나왔다.[75]
2018년 11월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콩코드교회 바비큐 행사에서 제공된 음식을 먹은 약 300명이 식중독 증상을 보였다.제공된 음식에서 C. perfringens 양성 반응이 나왔다.[76]
2021년미국 알래스카 병원수십 명의 병원 직원이 식중독 증상을 보였다.쿠바노 샌드위치가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대부분의 감염자는 24시간 이내에 회복했으며 입원한 사람은 없었다. 알래스카에서 이 정도 규모의 발병은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77]


14. 예방

웰치간균 오염 및 증식을 막기 위해서는 음식을 신중하게 다루고, 올바르게 조리하며, 적절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음식, 특히 쇠고기닭고기는 권장되는 내부 온도까지 조리하여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주방 온도계를 사용하면 고기가 안전한 조리 온도에 도달했는지 가장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에서 이상한 냄새나 맛이 나거나, 보기 좋지 않거나, 오랫동안 안전하지 않은 온도에 방치되었다면 먹지 않아야 한다.[78]

''C. perfringens'' 포자는 15°C에서 50°C 사이의 온도에서 증식할 수 있다.[79] 세균 증식을 막으려면 남은 음식은 조리 후 2시간 안에 냉장 보관해야 하며, 온도는 4°C 미만으로 유지해야 한다. 고기가 많이 들어간 음식은 냉장 전에 작은 용기에 나누어 담아 골고루 식도록 해야 한다. 남은 음식을 다시 먹을 때는 보관 중에 생겼을 수 있는 세균을 없애기 위해 최소 74°C까지 데워야 한다.[78]

통조림 채소, 훈제 또는 염장 육류, 염장 또는 훈제 생선과 같이 위험도가 높은 음식은 더욱 주의해야 한다. 잘못된 가공이나 보관은 세균이 증식하여 위험한 독소를 만들 수 있게 한다. 비정상적인 냄새, 질감 변화, 부풀어 오른 통조림(일명 "폭탄캔")과 같은 오염 징후는 음식이 상했다는 표시이므로 버려야 한다.[80]

가스 괴저를 예방하려면 세균 감염을 피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의료 기관에서는 ''Clostridium perfringens'' 감염을 포함한 감염 예방을 위해 엄격한 절차를 따른다. 개인은 비누와 물로 상처를 깨끗이 씻고, 깊거나 제대로 씻기 어려운 상처는 의료 지원을 받아 가스 괴저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처 부위의 피부 상태 변화나 심한 통증 발생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전거나 오토바이 타기와 같은 활동 시 보호 장비를 착용하면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혈액 순환에 영향을 미치거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는 기저 질환이 있다면 의료 전문가와 협력하여 관리하는 것이 감염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다.[59]

15. 치료

''웰치 간균'' 감염의 치료 방법은 감염의 종류와 심각성에 따라 다르다.

가스 괴저(클로스트리디움 근육 괴사)와 같이 심각한 감염의 경우, 가장 중요한 치료는 감염된 부위의 죽은 조직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변연 절제술이다. 이 시술을 통해 세균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없애 감염이 퍼지는 것을 막는다. 항생제 치료도 보통 함께 시작하는데, 페니실린이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81] 하지만 ''웰치 간균''은 항생제에 따라 다른 내성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클린다마이신에는 약 20%, 메트로니다졸에는 약 10% 정도의 내성을 나타낸다.[82] 반면, 다른 병원성 ''클로스트리디움'' 균들에 비해 반코마이신에는 비교적 민감한 편이어서, 경우에 따라 치료 대안이 될 수 있다.[81]

고압 산소 치료(HBOT) 역시 심각한 클로스트리디움 조직 감염에 사용될 수 있다. 고압 산소 치료는 감염된 조직에 산소 공급을 늘려, ''웰치 간균''과 같은 산소를 싫어하는(혐기성) 세균이 살기 어려운 환경을 만든다. 모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다.[83]

''웰치 간균''으로 인한 식중독의 경우, 대부분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감염된 사람들은 대부분 항생제 없이도 회복하며, 설사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84]

16. 연구

''웰치간균''은 약 27~28%의 안정적인 GC 함량을 가지며, 평균 게놈 크기는 3.5Mb이다.[13] 56개 ''웰치간균'' 균주의 게놈 정보가 과학 연구 커뮤니티를 위해 NCBI 게놈 데이터베이스에 공개되었다. 유전체 연구에 따르면 ''웰치간균'' 판게놈은 놀랍도록 높은 다양성을 나타내며, 이는 보고된 그람 양성 세균 중 가장 분화된 것으로 확인된 핵심 유전자 12.6%만을 포함한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웰치간균'' 균주 사이의 16S rRNA 영역은 서열 동일성이 99.1% 이상으로 매우 높게 보존된 것으로 밝혀졌다.[13]

''웰치간균'' 장독소(CPE) 생성 균주는 게놈 검사를 통해 전체 ''웰치간균'' 개체군 중 작은 부분(약 1~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14] CPE 생성 ''웰치간균'' 균주를 둘러싼 유전 정보의 발전으로 미생물원 추적(MST)과 같은 기술을 통해 식품 오염원을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14] CPE 유전자는 염색체 DNA와 플라스미드 DNA 내에서 발견되었다. 플라스미드 DNA는 세포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PE를 포함한 주요 독소를 암호화한다.[15]

''웰치간균''은 항생제 내성에 대한 플라스미드 함유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CW3 플라스미드는 ''웰치간균''에서 항생제 내성을 생성하는 주요 접합 플라스미드이다. 또한, pCW3 플라스미드는 ''웰치간균''의 병원성 균주에서 발견되는 여러 독소를 암호화한다.[16] 지금까지 관찰된 항생제 내성 유전자에는 테트라사이클린 내성, 유출 단백질 관련 내성,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내성이 포함된다.[17]

식품 생산과 같은 산업적 맥락에서 ''웰치간균''의 병원성 균주에 대한 게놈 시퀀싱은 연구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가금류 생산은 이러한 추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 ''웰치간균'' 균주가 더욱 흔해지고 있다.[18] 메타게놈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연구자들은 ''웰치간균'' B20과 같은 병원성 세균의 새로운 균주를 식별할 수 있다.[18]

최근 수십 년 동안, ''웰치간균''은 특히 인간과 동물의 균주에서 다제내성을 보이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테트라사이클린, 에리트로마이신, 설폰아마이드와 같은 항생제에 대한 높은 내성 수준이 발견되었다. 유전적 요인, 항생제 오남용, 세균 진화가 이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며, 이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찾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85]

다중좌위 서열 분석 (MLST)과 전장 유전체 시퀀싱 (WGS)은 ''웰치간균''의 유전적 다양성을 찾는 데 사용되었다. 이 방법들은 322개의 유전체에서 25개의 클론 복합체로 묶인 195개의 뚜렷한 서열 유형을 확인했다. 특정 계통 발생 그룹 또한 여러 다른 숙주와 환경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세균의 종 간 전파 가능성과 적응성을 강조한다.[86]

참조

[1]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 an Introduction to Infectious Diseases McGraw-Hill 2004
[2] 논문 An update on the human and animal enteric pathogen ''Clostridium perfringens''
[3] 웹사이트 BioNumber Details Page http://bionumbers.hm[...]
[4] 웹사이트 Foodborne Illnesses and Germs https://www.cdc.gov/[...] 2018-02-18
[5] 논문 Microbiology of salt rising bread
[6]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Sepsis and Fetal Demise after Genetic Amniocentesis 2011-01-24
[7] 서적 Lexicon Orthopaedic Etymology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9
[8]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Sepsis and Fetal Demise after Genetic Amniocentesis 2011-01-24
[9]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α-Toxin Impairs Innate Immunity via Inhibition of Neutrophil Differentiation 2016-06-16
[10]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Opportunistic Foodborne Pathogen, Its Diversity and Epidemiological Significance 2023-05-26
[11]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extracellular toxins and enzymes: 20 and counting http://microbiology.[...] 2015
[12] 논문 Whole Genome Sequence-Based Identification of Clostridium estertheticum Complex Strains Supports the Need for Taxonomic Reclassification Within the Species Clostridium estertheticum 2021-09-13
[13] 논문 Probing Genomic Aspects of the Multi-Host Pathogen Clostridium perfringens Reveals Significant Pangenome Diversity, and a Diverse Array of Virulence Factors 2017
[14] 논문 Enterotoxigenic Clostridium perfringens: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2012
[15] 논문 Extensive genome analysis identifies novel plasmid families in Clostridium perfringens 2023-04-20
[16] 논문 Antibiotic resistance plasmids and mobile genetic elements of Clostridium perfringens https://linkinghub.e[...] 2018-09
[17] 논문 Probing Genomic Aspects of the Multi-Host Pathogen Clostridium perfringens Reveals Significant Pangenome Diversity, and a Diverse Array of Virulence Factors 2017-12-12
[18] 논문 Complete genome sequence of Clostridium perfringens B20, a bacteriocin-producing pathogen 2021-11-30
[19] 논문 Gas gangrene-associated gliding motility is regulated by the Clostridium perfringens CpAL/VirSR system https://www.scienced[...] 2020-12-01
[20] 논문 Hypermotility in Clostridium perfringens Strain SM101 Is Due to Spontaneous Mutations in Genes Linked to Cell Division 2014-07
[21] 논문 Molecular genetics and pathogenesis of Clostridium perfringens 1991-12
[22] 논문 Risk Assessment for Clostridium perfringens in Ready-to-Eat and Partially Cooked Meat and Poultry Products 2009-07
[23] 논문 Molecular genetics and pathogenesis of Clostridium perfringens. 1991
[24] 논문 Regulation of Toxin Production in Clostridium perfringens 2016-07-05
[25] 논문 Complete genome sequence of Clostridium perfringens , an anaerobic flesh-eater 2002-01-22
[26]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extracellular toxins and enzymes: 20 and counting http://microbiology.[...] 2015
[27]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in the Intestine: Innocent Bystander or Serious Threat? 2024-08-07
[28] 논문 The glycoconjugate-degrading enzymes of ''Clostridium perfringens'': Tailored catalysts for breaching the intestinal mucus barrier https://academic.oup[...] 2020-05-30
[29] 논문 A "terminal" case of glycan catabolism: Structural and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the sialidases of Clostridium perfringens 2024-10-01
[30]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Epsilon Toxin: A Malevolent Molecule for Animals and Man? 2013-11-12
[31] 논문 Toxigenic Profile of Clostridium perfringens Strains Isolated from Natural Ingredient Laboratory Animal Diets 2022-02
[32] 논문 Expansion of the Clostridium perfringens toxin-based typing scheme 2018-10-01
[33]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bloodstream infection secondary to acute pancreatitis: A case report 2021-06-16
[34] 논문 The effect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C strain CN3685 and its isogenic beta toxin null mutant in goats 2012-01-04
[35]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epsilon toxin: The third most potent bacterial toxin known https://www.scienced[...] 2014-12-01
[36]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epsilon toxin: Toxic effects and mechanisms of action 2019-09-01
[37] 논문 Epsilon toxin from Clostridium perfringens induces toxic effects on skin tissues and HaCaT and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2021-07-30
[38] 서적 Medical Aspects of Biological Warfare https://medcoe.army.[...] Health Readiness Center of Excellence (US Army) 2018
[39]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Iota-Toxin: Structure and Function 2009-12-23
[40] 논문 An update on the human and animal enteric pathogen Clostridium perfringens 2018-12-01
[41] 논문 Large Clostridial Toxins: Mechanisms and Roles in Disease. 2021-08-18
[42] 논문 Characteriza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TpeL toxin gene carriage, production, cytotoxic contributions, and trypsin sensitivity. 2015-06
[43]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α-Toxin Impairs Innate Immunity via Inhibition of Neutrophil Differentiation 2016-06-16
[44] 웹사이트 About C. perfringens food poisoning https://www.cdc.gov/[...] 2024-11-20
[45] 간행물 Clostridium perfringens Infection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11-20
[46] 웹사이트 Gas gangrene: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47]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Sepsis and Fetal Demise after Genetic Amniocentesis 2011-01-24
[48] 논문 Cytarabine http://dx.doi.org/10[...] 2023-06-03
[49] 논문 Severe Sepsis due to Clostridium perfringens Bacteremia of Urinary Origin: A Case Report and Systematic Review 2016
[50] 웹사이트 Clostridial Necrotizing Enteritis http://www.merckmanu[...] Merck Sharp & Dohme Corp. 2016-09-27
[51] 논문 Particular genomic and virulence traits associated with preterm infant-derived toxigenic Clostridium perfringens strains 2023-06
[52] 논문 Isola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B in an Individual at First Clinical Presentation of Multiple Sclerosis Provides Clues for Environmental Triggers of the Disease 2013-10-16
[53] 웹사이트 Multiple sclerosis 'linked to food bug' https://www.bbc.co.u[...] BBC 2014-01-29
[54] 논문 Clostridium epsilon toxin is excessive in multiple sclerosis and provokes multifocal lesions in mouse models 2023-05-01
[55] 웹사이트 Bacterial toxin may trigger multiple sclerosis, research finds https://www.foxnews.[...] 2014-01-29
[56] 웹사이트 Clostridium perfringens https://ldh.la.gov/a[...] Louisiana Office of Public Health 2024-06-14
[57] 웹사이트 Symptoms of C. perfringens food poisoning https://www.cdc.gov/[...] 2024-05-13
[58] 웹사이트 Treating C. perfringens food poisoning https://www.cdc.gov/[...] 2024-11-20
[59] 웹사이트 Gas Gangrene https://my.cleveland[...] 2024-02
[60] 웹사이트 Clostridial Necrotizing Enteritis - Clostridial Necrotizing Enteritis https://www.msdmanua[...] 2024-11-21
[61] 간행물 Clostridium perfringens Infection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11-21
[62] 웹사이트 Diagnosing C. perfringens food poisoning https://www.cdc.gov/[...] 2024-11-21
[63] 웹사이트 Economic Burden of Major Foodborne Illnesses Acquired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ers.usda[...] 2024-11-21
[64] 웹사이트 About C. perfringens food poisoning https://www.cdc.gov/[...] 2024-11-21
[65] 논문 Foodborne Illness Acquired in the United States—Major Pathogens 2011-01
[66] 간행물 Gas Gangrene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11-21
[67] 웹사이트 Fatal Foodborne Clostridium perfringens Illness at a State Psychiatric Hospital — Louisiana, 2010 https://www.cdc.gov/[...] 2013-11-16
[68] 뉴스 Passenger dies in-flight, family says airline to blame http://overheadbin.n[...] MSNBC 2012-02-13
[69] 뉴스 Pub chef and manager jailed over Christmas dinner that left a diner dead https://www.theguard[...] 2015-08-03
[70] 뉴스 Woman's death likely caused by bacteria from Christmas supper http://www.cbc.ca/ne[...] CBC 2014-12-12
[71] 뉴스 Food poisoning death at Indiana restaurant kept secret for months http://www.wthr.com/[...] 2017-07-18
[72] 웹사이트 Agave Azul Tippecanoe Co Food Poisoning Finding Summary https://www.document[...] 2017-07-18
[73] 뉴스 Bacteria that killed 3 at Antioch Thanksgiving dinner pinpointed http://www.sfgate.co[...] 2016-12-20
[74] 웹사이트 Mother, son sue eatery for Thanksgiving dinner food poisoning - Food Safety News http://www.foodsafet[...] 2017-01-06
[75] 웹사이트 CDC releases test findings after hundreds sickened at Powell Chipotle - Columbus Dispatch http://www.dispatch.[...] 2018-08-16
[76] 뉴스 Strain of food poisoning causes illness at North Carolina church barbecue https://myfox8.com/2[...] 2018-11
[77] 웹사이트 Cubano Sandwiches with Clostridium Perfringens Found in Alaska Investigation https://www.foodsafe[...] 2021-08-12
[78] 웹사이트 Preventing C. perfringens Food Poisoning https://www.cdc.gov/[...] 2024-11-21
[79] 논문 Growth Potential of Clostridium perfringens during Cooling of Cooked Meats https://www.scienced[...] 2004-07-01
[80] 논문 Health Hazard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Clostridium Bacteria in Food Products 2024-08-18
[81] 논문 Anaerobic bloodstream infections in Italy (ITANAEROBY): A 5-year retrospective nationwide survey https://linkinghub.e[...] 2022-06
[82] 논문 A subanalysis of Clostridium perfringens bloodstream infections from a 5-year retrospective nationwide survey (ITANAEROBY) https://linkinghub.e[...] 2024-08
[83] 논문 Hyperbaric oxyge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Clostridium perfringens infections https://pubmed.ncbi.[...] 1986-08-27
[84] 웹사이트 Prevent Illness From C. perfringens https://www.cdc.gov/[...] 2023-10-01
[85] 논문 Clostridium perfringens in the Intestine: Innocent Bystander or Serious Threat? 2024-08
[86] 논문 Intra-species diversity of Clostridium perfringens: A diverse genetic repertoire reveals its pathogenic potential 2022-07-22
[87] 서적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東京化学同人 2010
[88] 웹사이트 2日目のカレーに注意が必要な理由とは? https://www.asahi.co[...] 朝日小学生新聞・中高生新聞 2024-12-08
[89] 논문 "ウエルシュ菌主要毒素の構造と機能及び活性発現機構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3[...] 日本細菌学会 2006
[90] 논문 2009-12
[91] 논문 1986-12
[92] 논문 1993-12
[93] 논문 1996-08
[94] 논문 2000-04
[95] 논문 1995
[96] 논문 2002-04
[97] 논문 1999-06-15
[98] 논문 2002-11-15
[99] 논문 2011-09-27
[100] 논문 2004-08
[101] 논문 2012
[102] 논문 2017-08-28
[103] 논문 2018-08-10
[104] 논문 1994-10
[105] 논문 1996-04
[106] 논문 2010-06-03
[107] 논문 2011
[108] 논문 1986-04
[109] 논문 1991-06-15
[110] 논문 1992-05
[111] 논문 1997-03-24
[112] 논문 1999-10-04
[113] 논문 1989-04
[114] 논문 1993-08
[115] 논문 1992-06
[116] 논문 1995-02
[117] 논문 食中毒を引き起こすウェルシュ菌エンテロトキシンCPEの構造生物学的研究 https://doi.org/10.5[...] 日本結晶学会 2013
[118] 논문 1983-06
[119] 논문 2016-10
[120] 논문 1987-12
[121] 논문 1999-11
[122] 논문 2007-01-15
[123] 논문 2005-11-02
[124] 논문 2006-09
[125] 논문 2008-04-15
[126] 논문 2014-02-14
[127] 논문 2015-04
[128] 논문 1980-10-14
[129] 논문 1979-05
[130] 논문 1979-11-28
[131] 논문 1982-08
[132] 논문 1997-10-17
[133] 논문 1999-01-19
[134] 논문 2016-03-16
[135] 논문 2004-03-01
[136] 논문 2000-07-07
[137] 논문 2015-02-13
[138] 웹사이트 ウェルシュ菌 http://www.j-poison-[...] 財団法人 日本中毒情報センター
[139] 웹사이트 食中毒予防(食中毒原因菌) - 広島県環境保健協会 https://www.kanhokyo[...]
[140] 웹사이트 ウエルシュ菌による食中毒について http://www.city.yoko[...] 横浜市衛生研究所感染症・疫学情報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