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에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에쓰선은 일본 간토 지방과 니가타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다카사키역에서 나가오카역까지 총 165.6km 구간을 운행한다. 이 노선은 미나카미역을 기준으로 운행 형태가 나뉘며, 조에쓰 신칸센 개통 이후 완행 열차와 화물 열차가 주로 운행된다. 에치고유자와역과 갈라유자와역 사이의 지선은 기술적으로 조에쓰선에 속하며, 겨울철 스키 시즌에 신칸센 열차가 운행한다. 조에쓰선은 다카사키선, 료모선, 아가쓰마선 등과 직통 운행하며, 특급 열차와 일반 열차, 화물 열차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클선
서클선은 1863년 메트로폴리탄 철도로 시작되어 1949년 독립된 런던 지하철 노선으로, 총 35개 역, 27km 길이이며 2014년 S형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 188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료모선
료모선은 도치기현 오야마역과 군마현 신마에바시역을 잇는 84.4km의 동일본여객철도 노선으로, 관동평야를 지나며 전 구간 전철화되었고 스이카 등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단선 구간이 많고 강풍에 취약하여 운행 지연이 발생하기도 한다. - 192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한큐 이타미선
한큐 이타미선은 한큐 전철이 운영하며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와 이타미시를 잇는 3.1km 길이의 철도 노선으로, 쓰카구치역과 이타미역을 연결하며 1920년 개업 후 지진 피해 복구를 거쳐 4량 편성 열차가 운행 중이다. - 192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우치코선
우치코선은 시코쿠 여객철도 관할 하에 총 5.3km 길이로, 에히메 철도에 의해 개업 후 국유화와 개궤를 거쳐 요산 본선의 단축 루트로 편입되어 현재 요산선과 직통 운행하며 특급 "우와카이"와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니가타현의 철도 - 반에쓰사이선
반에쓰사이선은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역과 니가타현 니이쓰역을 잇는 175.6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아이즈 지방과 니가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이용객 감소와 수익성 악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1897년 개통 이후 자연재해와 사고를 겪으며 시설 개량과 운영 방식 변화를 거쳐왔다. - 니가타현의 철도 - 다다미선
다다미선은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역과 니가타현 고이데역을 잇는 동일본여객철도의 총 연장 135.2km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28년 개통 후 2011년 호우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상하 분리 방식으로 2022년 전 구간 운행을 재개했으며, 현재 36개 역이 운영 중이고 적자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조에쓰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조에쓰 선 |
로마자 표기 | Jōetsu-sen |
한자 표기 | 上越線 |
노선 색상 | '#00BFFF' |
통칭 | 우에노 도쿄 라인 (다카사키 역 - 신마에바시 역 구간) 쇼난 신주쿠 라인 (다카사키 역 - 신마에바시 역 구간) 조에쓰 신칸센 (에치고유자와 역 - 가라유자와 역 구간) |
국가 | 일본 |
소재지 | 군마현 니가타현 |
노선 종류 | 보통 철도 (재래선·간선) |
기점 | 다카사키 역 (본선) 에치고유자와 역 (지선) |
종점 | 미야우치 역 (본선) 가라유자와 역 (지선) |
역 수 | 36개 역 (가라유자와 역 포함) |
전보 약호 | 시요세 |
개업일 | 1884년 8월 20일 |
전 구간 개통일 | 1931년 9월 1일 |
소유자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운영자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
노선 길이 | 162.6 km (다카사키 역 - 미야우치 역 간) 1.8 km (에치고유자와 역 - 가라유자와 역 간) |
궤간 | 1,067 mm (다카사키 역 - 미야우치 역 간) 1,435 mm (에치고유자와 역 - 가라유자와 역 간)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구간 | 전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방식 (다카사키 역 - 미야우치 역 간) 교류 25,000 V・50 Hz・가공전차선 방식 (에치고유자와 역 - 가라유자와 역 간)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식 (본선) 차내 신호식 (지선) |
보안 장치 | ATS-P (다카사키 역 - 미나카미 역 간, 에치고나카사토 - 이시우치 역 간, 로쿠마치 역과 우라사 역 구내) ATS-SN (이시우치 역 - 미야우치 역 간) DS-ATC (에치고유자와 역 - 가라유자와 역 간) |
최고 속도 | 120 km/h (우등 열차) |
이미지 | |
![]() |
2. 운행 형태
미나카미역을 경계로 조에쓰선은 운행 계통이 크게 둘로 나뉜다. 조에쓰 신칸센 개통 이전에는 도쿄와 니가타를 잇는 급행 열차가 자주 운행되었으나, 신칸센 개통 이후에는 완행 열차와 화물열차가 주로 운행하게 되었다.
1931년 개업 당시, 우에노역 - 니가타역 구간은 신에쓰 본선 경유 급행열차로 11시간 6분이 걸렸는데, 신설된 조에쓰선 경유 급행열차는 7시간 10분으로 단축되어, 4시간의 소요 시간 단축이 이루어졌다. 조에쓰 신칸센 개업 후에는 수도권과 니가타 간의 도시 간 수송 역할을 신칸센에 넘겨주고 전선을 직통하는 여객 열차는 없어졌지만, 수도권과 니가타·북륙·쇼나이·아키타 방면을 잇는 화물열차가 다니는 간선이라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6]
2. 1. 다카사키 ~ 미나카미
다카사키역에서 미나카미역 구간은 다카사키선, 료모선과의 직통 열차를 중심으로 운행된다. 특급 '구사쓰' (우에노역 ~ 만자·카자와구치역)가 다카사키역에서 시부카와역을 거쳐 아가쓰마선 만자·카자와구치역까지 운행한다. 성수기에는 임시 특급 '미나카미' (우에노역 ~ 미나카미역)가 운행된다.[6] 일반 열차는 시간당 2편 정도 운행되며, 일부는 아가쓰마선으로 직결 운행한다. 이 구간에서는 "조에쓰선"이라고 안내하지 않는다.2. 2. 미나카미 ~ 에치고나카자토
조에쓰 신칸센과 겹치는 구간으로 열차가 뜸하여, 하루에 평일 왕복 5편, 주말과 휴일에 왕복 6편이 다니고 있다. 보통 2량에서 길게는 4량 편성[61]의 열차가 다니고 있다. 겨울철 성수기에는 평일 왕복 7편, 주말과 휴일 왕복 8편으로 운행 편수가 늘어난다. 한편 군마현과 니가타현의 경계 지역에서는 산간 지역을 지나가기 때문에 수요가 적어, 정기 여객 열차가 3 ~ 4시간 이상 다니지 않는 시간대도 있다. 하지만 성수기 때에는 재래선을 이용해 양쪽 현을 넘나드는 임시 열차들이 자주 다니고 있다. 이 구간을 운행하는 모든 여객 열차가 나가오카역 방면으로 직결 운행한다.조에쓰 국경(上越国境)의 산간부를 달리는 구간으로, 노선 주변에 민가가 거의 없어 꾸준한 여객 수송은 적다. 특히 미나카미역 - 유히소역 - 도아이역 구간은 병행하는 노선 버스(간에쓰 교통)의 운행 횟수가 많아, 실질적으로 여객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의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2. 3. 에치고나카자토 ~ 나가오카
에치고나카자토역에서 나가오카역 구간은 보통 열차가 주로 운행되며, 1~2시간마다 1편 정도 운행된다.[6] 일부 열차는 신에쓰 본선 니가타역까지 직결 운행한다.[6] 호쿠에쓰 급행 소속 열차는 에치고유자와역에서 호쿠호쿠선과 만나는 무이카마치역까지 직결 운행한다.[6]이시우치역, 오사와 역, 조에쓰코쿠사이스키조마에역은 모든 정기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6]
2. 4. 에치고유자와 ~ 갈라유자와 (지선)
이 구간은 JR의 노선 명칭 공고 상으로는 조에쓰선의 지선이지만, 조에쓰 신칸센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문서 상으로는 조에쓰 선의 일부이지만, 사용 설비와 운영 차량이 신칸센에 준하기 때문에 《신칸센 특례법》의 적용 대상이다. 중간역은 없으며, 에치고유자와역과 갈라유자와역만 존재한다. 갈라유자와역은 인근 스키장과의 철도 연계를 위해 만든 역으로, 겨울철에만 도쿄 방면으로 운행하는 신칸센을 위해 운행한다. 따라서 갈라유자와 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통상 운임 외에 특급 요금 100JPY을 더 지불해야 한다. 일반 열차용 기획 승차권인 세이슌주하치 티켓, 홋카이도&동일본 패스 등은 사용할 수 없다. 서일본 여객철도 하카타미나미 선과 유사한 경우이다.영업 기간이 아닐 때도 이 지선으로 신칸센 열차가 들어오지만 회차 목적이며, 여객 영업은 하지 않는다.
2. 5. 장거리 임시 열차
과거에는 야간 침대 특급 '아케보노' (우에노역 ~ 아오모리역)과 야간 쾌속 '문라이트 에치고' (신주쿠역 ~ 니가타 역) 등이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1]개통 이후 겨울철 스키 관광객 수송과 여름철 오제 하이킹 관광객 수송을 위해 우에노역·신주쿠역 등에서 직통하는 임시열차가 운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축소되는 경향에 있으며, 우에노역 - 도아이역 구간을 연 1회 왕복(왕복은 야간, 복귀는 주간) 운행하는 「다니가와다케 산개방」만 남아있다.[1]
수도권 방면에서는 오미야역 - 에치고유자와역 구간에 임시 특급열차 '다니가와다케 모구라'와 '다니가와다케 루프'를 6월 - 11월을 중심으로 운행하고 있다.[1]
3. 사용 차량
조에쓰선에는 다음과 같은 차량이 운행된다.
=== 우등 열차 ===
185계 전동차는 특급 '구사쓰', '미나카미' 등으로 운행되었다.[1] 681계 전동차 및 683계 전동차는 특급 '하쿠타카'로 운행되었다.[1]
일본국유철도 24계 객차는 침대 특급 '아케보노'로 운행되었으며, EF64형 전기기관차 및 EF81형 전기기관차가 '아케보노'를 견인했으나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1]
'''다카사키 선, 아가쓰마 선 직통 운행''' 구간에는 E257-5500계 5량 편성이 2023년 3월부터 특급 '구사쓰'로 운행되고 있다.[1] 과거에는 185계 전동차 7량 편성이 2014년 3월까지 '구사쓰' 특급 열차로 운행되었다.[1]
E257계는 특급 '구사쓰·시마'로 운행된다.
=== 보통 열차 ===
다카사키역~미나카미역 구간에는 동일본 여객철도 107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115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동일본 여객철도 E233계 전동차가 운행된다. 미나카미역~나가오카역 구간에는 동일본 여객철도 E129계 전동차가 운행된다. 에치고유자와역~무이카마치역 구간에는 호쿠에쓰 급행 HK100형 전동차가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 선 직통 열차로 운행된다. 에치고카와구치역~나가오카역 구간에는 동일본 여객철도 키하100계 기동차가 이야마선 직통 열차로 운행된다.[1]
차량 종류 | 운행 구간 | 비고 |
---|---|---|
동일본 여객철도 107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동일본 여객철도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
일본국유철도 115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다카사키 차량 센터, 니가타 차량 센터 소속 |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오야마 차량 센터 소속 |
동일본 여객철도 E233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
동일본 여객철도 E129계 전동차 | 미나카미역 ~ 나가오카역 | |
호쿠에쓰 급행 HK100형 전동차 | 에치고유자와역 ~ 무이카마치역 |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 선 직통 |
동일본 여객철도 키하100계 기동차 | 에치고카와구치역 ~ 나가오카역 | 이야마선 직통 |
=== 화물 열차 ===
현재 조에쓰선을 운행하는 화물 열차는 EH200형 전기기관차(다카사키 기관구 소속)가 견인하고 있다.[62] 과거에는 EF64형 전기기관차가 운행되었으나, 2010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모든 정기 열차가 EH200형으로 교체되었다.[62]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전기 기관차들이 화물 열차를 견인했다.
- ED16형
- EF10형
- EF11형
- EF12형
- EF13형
- EF15형
- EF16형
- EF57형
- EF58형
- EF64형
- EF65형
- EF81형
3. 1. 우등 열차
185계 전동차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다마치 차량 센터 소속)는 특급 '구사쓰', '미나카미' 등으로 운행되었다.[1] 681계 전동차 (서일본 여객철도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 및 호쿠에쓰 급행 소속) 및 683계 전동차는 특급 '하쿠타카'로 운행되었다.[1]일본국유철도 24계 객차 (아오모리 차량 센터 소속)는 침대 특급 '아케보노'로 운행되었으며, EF64형 전기기관차 및 EF81형 전기기관차 (아오모리 차량 센터 소속)가 '아케보노'를 견인했으나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1]
'''다카사키 ~ 시부카와''' (다카사키 선, 아가쓰마 선 직통 운행) 구간에는 E257-5500계 5량 편성이 2023년 3월부터 특급 '구사쓰'로 운행되고 있다.[1] 과거에는 185계 전동차 7량 편성이 2014년 3월까지 '구사쓰' 특급 열차로 운행되었다.[1]
E257계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소속)는 특급 '구사쓰·시마'로 운행된다.
3. 2. 보통 열차
동일본 여객철도 107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115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동일본 여객철도 E233계 전동차가 다카사키역~미나카미역 구간에서 운행된다. 동일본 여객철도 E129계 전동차는 미나카미역~나가오카역 구간에서 운행된다. 호쿠에쓰 급행 HK100형 전동차는 에치고유자와역~무이카마치역 구간에서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 선 직통 열차로 운행된다. 동일본 여객철도 키하100계 기동차는 에치고카와구치역~나가오카역 구간에서 이야마선 직통 열차로 운행된다.[1]차량 종류 | 운행 구간 | 비고 |
---|---|---|
동일본 여객철도 107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동일본 여객철도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
일본국유철도 115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다카사키 차량 센터, 니가타 차량 센터 소속 |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오야마 차량 센터 소속 |
동일본 여객철도 E233계 전동차 | 다카사키역 ~ 미나카미역 |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
동일본 여객철도 E129계 전동차 | 미나카미역 ~ 나가오카역 | |
호쿠에쓰 급행 HK100형 전동차 | 에치고유자와역 ~ 무이카마치역 |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 선 직통 |
동일본 여객철도 키하100계 기동차 | 에치고카와구치역 ~ 나가오카역 | 이야마선 직통 |
3. 3. 화물 열차
현재 조에쓰선을 운행하는 화물 열차는 EH200형 전기기관차(다카사키 기관구 소속)가 견인하고 있다.[62] 2009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으로 조에쓰선에서의 운용을 시작했으며, EF64형 전기기관차가 전 차량 아이치 기관구로 배치 전환됨에 따라 2010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모든 정기 열차가 EH200형으로 교체되었다.[62]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전기 기관차들이 화물 열차를 견인했다.
- ED16형
- EF10형
- EF11형
- EF12형
- EF13형
- EF15형
- EF16형
- EF57형
- EF58형
- EF64형
- EF65형
- EF81형
4. 역사
1920년 니가타현 쪽의 '''조에쓰호쿠 선'''(上越北線일본어) 나가오카·미야우치 ~ 히가시오지야 구간이 개통되었고, 1921년에는 군마현 쪽의 '''조에쓰난 선'''(上越南線일본어) 신마에바시 ~ 시부카와 구간이 개통되었다.[16][17][18] 두 노선은 점차 연장되어 1925년에는 조에쓰호쿠 선이 현재의 에치고유자와까지, 1928년에는 조에쓰난 선이 현재의 미나카미까지 이어졌다.[20][21]
미쿠니 산맥을 따라가는 산악 철도 구간인 미나카미에서 에치고유자와 사이는 1931년 총길이 9702m의 시미즈 터널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연결되었다. 이 터널 구간은 개통 당시부터 전철화되었으며, 1947년에는 다카사키에서 나가오카까지 전 구간이 직류 전기 철도 노선이 되었다.
1960년대 일본국유철도는 조에쓰 선을 개량하여 1967년 유비소 ~ 쓰치타루 구간에 신시미즈 터널을 개통, 전 구간 복선화를 완료했다. 1982년 조에쓰 신칸센 개통으로 장거리 운송 기능은 신칸센에 넘겨주었지만, 연선 주요 중소도시 간 여객 및 화물 수송은 여전히 조에쓰 선이 담당하고 있다. 1987년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이 되었다.
2004년 주에쓰 지진으로 조에쓰선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미나카미~미야우치 구간이 약 두 달 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 2011년 7월 말 폭우로 인한 피해로 에치고유자와~무이카마치 구간이 2주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5. 역 목록
조에쓰선은 미나카미역을 경계로 운행 계통이 나뉜다. 군마현 내에서는 다카사키역~미나카미역 구간을, 현 경계인 니가타현 내에서는 미나카미역~나가오카역 구간을 운행한다.
다카사키역~신마에바시역 구간은 다카사키선 및 료모선과 노선이 합쳐져 운행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역사 참조). 료모선과 다카사키선으로 직통하는 보통 열차가 주로 운행되며, 1시간에 3~4편 정도(아침 저녁 혼잡 시간대에는 1시간에 5~7편 정도) 운행된다. 다카사키선에서는 우에노 도쿄 라인·쇼난 신주쿠 라인의 보통·쾌속 열차가 직통한다. 마에바시역에서 출발/도착하는 열차는 「료모선」(다카사키역·료모선)으로 안내되고, 조에쓰선은 생략된다. 과거 신마에바시역에서 출발/도착하는 열차도 「다카사키선」으로 안내되어 조에쓰선 안내가 생략되었으나, 우에노 도쿄 라인 개업으로 행선표가 바뀌면서 「다카사키역·조에쓰선」으로 안내되기 시작했다.
2017년 3월 4일부터는 주간 운행 편수가 조정되어, 시부카와역·미나카미역 방면의 일부 열차(아가쓰마선 직통 포함)가 신마에바시역에서 회차하게 되었다.[59] 다카사키역 방면으로는 료모선 직통 열차(신마에바시역 회차 열차는 없음)로 환승해야 한다. 다카사키역~신마에바시역 구간은 료모선과의 연계가 강화되었다.
신마에바시역과 시부카와역·미나카미역 사이의 조에쓰선·아가쓰마선 구간은 1시간에 1~3편 정도 운행된다. 이 중 1~2편은 미나카미역에서 출발/도착하며, 나머지 0~1편은 시부카와역에서 아가쓰마선으로 직통한다. 다카사키역에서 출발/도착하는 열차가 많지만, 일부 열차는 신마에바시역에서 출발/도착한다. 모든 열차는 군마현 내에서만 운행된다. 저녁에는 다카사키역에서 시부카와역으로 가는 구간 열차도 있다. 과거에는 다카사키선으로 직통하거나, 미나카미역을 넘어 나가오카역·니가타역 방면까지 직통 운행하기도 했다.[60]
미야우치 쪽에서 모든 여객 열차가 직통하는 신에쓰 본선 나가오카역까지 구간을 포함한다.
- (화): 화물 전용역, ◇표시: 화물 취급역 (정기 화물 열차의 발착은 없음)
- 호쿠호쿠선 직통 이외의 보통 열차(임시 쾌속 미포함)는 기본적으로 모든 역에 정차하지만, 일부 열차는 조에쓰코쿠사이스키조마에역을 통과한다.
- * 에치고유자와역~무이카마치역 간 호쿠호쿠선 직통 보통 열차는 ▼・▽ 표시가 있는 역을 통과한다(▽표시가 있는 시오자와역은 정차하는 열차도 있음).
- 임시 열차의 정차역은 각 열차 문서를 참조.
2022년 기준으로, JR 동일본 자체 승차 인원 집계[95] 대상역은 다카사키역~시부카와역 사이의 각 역과 누마타역, 미나카미역, 에치고유자와역, 무이카마치역, 우라사역, 고이데역, 에치고카와구치역, 오지야역, 미야우치, 나가오카역(그리고 후술하는 지선에 있는 갈라유자와역)이다. 그 외의 역은 완전 무인역이므로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
군마소자역~야기하라역 사이에 기타군마군 요시오카정을 지나지만, 역은 없다.
5. 1. 본선
다카사키선신에쓰 본선
조신 전철 조신선
(이왓파라스키조마에)
갈라 유자와 지선
(화물역)
신에쓰 본선 (니가타 방면)